KR101523764B1 - 회전 스위치 - Google Patents

회전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3764B1
KR101523764B1 KR1020097025504A KR20097025504A KR101523764B1 KR 101523764 B1 KR101523764 B1 KR 101523764B1 KR 1020097025504 A KR1020097025504 A KR 1020097025504A KR 20097025504 A KR20097025504 A KR 20097025504A KR 101523764 B1 KR101523764 B1 KR 101523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l
electrode
plate
convex
circumferenti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5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0257A (ko
Inventor
시로 츠두키
Original Assignee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10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0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3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3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6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along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 H01H25/065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along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using separate operating parts, e.g. a push button surrounded by a rotating knob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26Measuring inductance or capacitance; Measuring quality factor, e.g. by using the resonance method; Measuring loss factor; Measuring dielectric constants ; Measuring impedance or related variables
    • G01R27/2605Measuring capacitan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025/048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separate central push, slide or tumbler button which is not integral with the operating part that surrounds 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06Containing a capacitive switch or usable as suc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고정면을 가지는 바디와, 박판형상이며 고정면 상에 고정되고, 제1 전극 배치면 상의 제1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제1 전극이 배치된 플렉시블 기판과, 박판형상이며 제1 전극 배치면과 대향하는 제2 전극 배치면의 제2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제2 전극이 배치되고 당해 제2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전극판과, 조작면을 가지고 제2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다이얼과 다이얼의 역조작면과 탄성부재면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고, 전극판은 탄성부재면에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전극판 볼록부를 가지고, 다이얼은 역조작면에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다이얼 볼록부를 가진다.
고정면, 바디, 제1 전극 배치면, 제1 원주방향, 제1 전극, 플렉시블 기판, 제2 전극 배치면, 제2 원주방향, 제2 전극, 전극판, 다이얼, 조작면, 역조작면, 탄성부재면, 탄성부재, 전극판 볼록부, 다이얼 볼록부, 회전 스위치

Description

회전 스위치{ROTARY SWITCH}
본 발명은 다이얼의 회전 방향,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회전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회전 스위치는 기판과, 기판 상에 배치된 자계검출소자(IC)와, 회전 가능한 다이얼과, 이 다이얼과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한 환형상 마그넷을 주로 구비한다. 다이얼이 회전되면 일체적으로 환형상 마그넷도 회전하고, 자계검출소자가 환형상 마그넷의 회전에 수반되는 자속의 변화를 검지하여, 회전 방향 및 회전량을 검출한다. 상세한 것은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2006-73311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다이얼의 덜컥거림 등의 영향으로 회전 신호를 발생시키는 환형상 마그넷이 자속의 변화를 검출하는 홀 IC(그 밖에 플렉시블 기판 등)에 대해서 수평을 유지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 자계검출소자는 정확한 자속의 변화를 검출할 수 없고, 결과적으로 다이얼의 회전 방향, 회전량을 검출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회전 스위치는, 적어도, 고정면을 가지는 바디와, 플렉시블 기판과, 전극판과, 다이얼과, 탄성부재를 구비한다. 플렉시블 기판은 박판형상이며, 고정면 상에 고정되고, 고정면과 접하는 면과 반대측의 면(이하, 「제1 전극 배치면」이라고 함) 상의 제1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제1 전극이 배치되어 있다. 전극판은 박판형상이며, 제1 전극 배치면과 대향하는 제2 전극 배치면의 제2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제2 전극이 배치되고, 당해 제2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다이얼은 조작면을 가지고, 제2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탄성부재는 다이얼의 조작면과 반대측의 면(이하, 「역조작면」이라고 함)과 전극판의 제2 전극 배치면과 반대측의 면(이하, 「탄성부재면」이라고 함) 사이에 개재된다. 그리고 전극판은 탄성부재면에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전극판 볼록부를 가진다. 다이얼은 역조작면에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다이얼 볼록부를 가진다. 전극판 볼록부는 2개의 다이얼 볼록부 사이에 위치하거나, 또는 다이얼 볼록부는 2개의 전극판 볼록부 사이에 위치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회전 스위치에 의하면, 다이얼과 전극판 사이에 탄력성을 가지는 탄성부재를 개재시킨다. 따라서 이 탄성부재에 의해 항상 전극판은 플렉시블 기판의 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진다. 따라서 다이얼의 덜컥거림 등이 생겨도 항상 전극판은 플렉시블 기판에 대해서 수평을 유지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정확한 정전용량의 변화를 검출할 수 있고, 정확한 다이얼의 회전 각도, 회전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회전 스위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회전 스위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회전 스위치의 도 1의 선 AA'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회전 스위치의 상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회전 스위치의 하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제1 전극(4d)을 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바디(2)에 고정시킨 플렉시블 기판(4)을 바로 위에서 보고, 주로 수용 영역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세트키 역압압면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바디(2)에 고정시킨 플렉시블 기판(4)을 바로 위에서 보고, 주로 바디 볼록부간 영역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제1 전극 배치면과 제2 전극 배치면이 대향하고 있는 것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1은 제1 전극, 제2 전극의 위치 관계의 예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2는 탄성부재면으로부터 본 전극판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역조작면으로부터 본 다이얼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바디 볼록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5는 탄성부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6은 고정판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7A는 키탑(20)의 평면도이며, 도 17B는 키탑(20)의 측면도이고, 도 17C는 키탑(20)의 선 AA'에서의 단면도이며, 도 17D는 키탑(20)의 선 CC'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17E는 키탑(20)의 탭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에,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로서 회전 스위치(100)를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회전 스위치(100)로서 나타낸 구체적인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 바로 위에서 본 회전 스위치(100)의 외관을 도시하고, 도 2에 바로 옆에서 본 회전 스위치(100)의 외관을 도시하며, 도 3에 회전 스위치(100)를 도 1에 기재한 선 AA'에서 자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에 상방에서 본 회전 스위치(100)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5에 하방에서 본 회전 스위치(100)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디(2)는 박판형상이며 대략 원형상이 된다. 바디(2)는 고정면(2a)을 가지고, 외주를 따라 외주벽(2b)을 가진다. 그리고 고정면(2a) 상에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바디 볼록부(2c)가 형성된다. 각각의 바디 볼록부(2c)는 각각 동일형상이며, 고정면(2a)과 평행하게 자른 단면(이하, 간단히 「단면」이라고 함)이 원주를 따른 원호형상을 이루는 것이다. 도 4의 예에서는 120도 간격으로 3개의 바디 볼록부(2c)가 형성된다. 플렉시블 기판(4)은 원반형상이며 고정면(2a) 상에 고정되는 원형부(4a)와, 정전용량 검출소자(IC)(26)를 유지하는 유지부(4b)로 이루어진다. 고정면(2a)의 외주에는 단면 반원형상의 볼록부(2k)가 90도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원형부(4a)의 외주에는 단면 반원형상의 절결부(4k)가 90도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볼록부(2k)가 절결부(4k)에 끼워지고, 볼록부(2k)의 선단을 예를 들어 열코킹하거나 하여 원형부(4a)는 바디(2)에 고정된다.
플렉시블 기판(4)은 고정면(2a)과 접하는 면과 반대측의 면(이하, 「제1 전극 배치면(4c)」이라고 함) 상의 원주방향(이하, 「제1 원주(4x)」라고 함)으로 복수의 전극(이하, 「제1 전극(4d)」이라고 함)이 배치된다. 도 6에 제1 전극(4d)이 배치된 제1 전극 배치면(4c)을 바로 위에서 본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6에서는 제1 전극(4d)을 주로 도시한다. 도 6 내의 빗금 부분이 제1 전극(4d)이다. 도 4, 도 6의 예에서는 제1 전극(4d)의 수는 12개이다. 이 예에서는 제1 원주(4x)의 중심과 원형부(4a)의 중심은 동일한 중심(4m)이 된다. 또 제1 전극 배치면(4c) 상에서 원형부(4a)의 중심에 중앙 고정 접점(4e)이 마련된다(도 4 참조). 그 중앙 고정 접점(4e)을 둘러싸는 원주 상에 3개의 바디 볼록부(2c)가 각각 관통되는 3개의 볼록부 관통구멍(4f)이 설치되어 있다. 원주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볼록부 관통구멍(4f) 사이에는 각각 주변 고정 접점(4g)이 마련된다. 도 4의 예에서는 주변 고정 접점(4g)은 3개 마련된다. 3개의 바디 볼록부(2c)가 3개의 볼록부 관통구멍(4f) 각각에 관통된다.
중앙 고정 접점(4e) 상에는 클릭 반전하는 원형 돔형상을 이루는 스냅 플레 이트(6)(가동 접점)가 배치된다. 또한 스냅 플레이트(6)의 상방에는 테이프(8)가 배치된다. 테이프(8)는 원형상이며, 외주에는 예를 들어 6개의 고정부(8a)를 가진다. 이 6개의 고정부(8a)에 의해 스냅 플레이트(6)의 주변부(6a)는 3개의 주변 고정 접점(4g)에 접촉 고정된다. 테이프(8)의 상방에는 쿠션(10)이 배치된다. 쿠션(10)은 세트키(12)의 상하방향의 덜컥거림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쿠션(10)의 재질은 포론 등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압압 가능한 세트키(12)(후술함)가 압압됨으로써 스냅 플레이트(6)가 클릭 반전하여, 스냅 플레이트(6)와 중앙 고정 접점(4e)이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그리고 검출부(도시 생략)가 이 접촉을 검출하여, 세트키(12)가 압압된 것을 검지한다.
여기서, 종래에는 스냅 플레이트(6)의 위치 결정이 용이하지 않아, 스냅 플레이트(6)의 위치 어긋남에 의한 감촉 열화 등의 문제가 생기고 있었다. 이에 스냅 플레이트(6)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하는 바람직한 수법을 설명한다.
도 7에 바디(2)의 고정면(2a) 상에 고정시킨 플렉시블 기판(4)을 바로 위에서 본 평면도를 도시한다. 설명 간략화를 위해서 볼록부 관통구멍(4f)을 관통한 바디 볼록부(2c)를 주로 도시하고, 중앙 고정 접점(4e), 주변 고정 접점(4g)을 생략하고 있다. 도 7 내의 빗금 부분이 바디 볼록부(2c)와 제1 전극(4d)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3개의 바디 볼록부(2c)의 내주면(2d)에 둘러싸여 있는(굵은선으로 둘러싸여 있는) 영역이 형성된다. 당해 영역을 수용 영역 A라고 하면 스냅 플레이트(6)를 수용 영역 A에 수용시키면 된다. 이 수용에 의해 스냅 플레이트(6)의 위치 결정이 용이하게 되어 상기 문제가 해결된다. 또 이 위치 어긋남의 경감 에 의해 세트키(12)의 압압의 양호한 감촉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위치 어긋남에 의한 감촉의 열화를 경감할 수 있기 때문에 스냅 플레이트를 소형화할 수 있어 회전 스위치(100)도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스냅 플레이트(6)의 주변부(6a)가 3개의 바디 볼록부(2c)의 내주면(2d)에 맞닿도록 하면 더욱 스냅 플레이트(6)의 위치 결정이 용이해진다.
세트키(12)는 얇은 원통형상이 되고, 일단이 원형상의 면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그리고 이 폐색된 면이 이용자 등이 압압하는 압압면(12a)이 된다. 세트키(12)의 외주의 하단을 따라 플랜지(12b)가 설치된다. 이 플랜지(12b)를 포함시킨 세트키(12)의 직경은 다이얼(24)(후술함)의 관통구멍(24a)의 직경보다 크다. 따라서 세트키(12)는 다이얼(24)로부터 벗어나지 않는다.
도 8에 세트키(12)의 압압면(12a)과 반대측의 면인 역압압면(12c)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의 빗금은 역압압면(12c)측에 존재하는 면을 도시하고 있다. 역압압면(12c)에는 역압압면(12c)의 중심에 위치하는 중심 세트키 볼록부(12d)와, 당해 세트키 볼록부(12d)를 중심으로 하는 원주를 따른 복수(이 예에서는 3개)의 원주 세트키 볼록부(12e)가 형성된다. 중심 세트키 볼록부(12d)는 역압압면(12c)의 중심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연장된 3개의 고정 볼록부(12f)에 의해 강고하게 고정된다. 도 5의 세트키(12)의 개소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 세트키 볼록부(12d), 3개의 원주 세트키 볼록부(12e), 3개의 고정 볼록부(12f)는 플랜지의 바닥면(12g)보다 나와 있다. 중심 세트키 볼록부(12d)는 쿠션(10)과 대향하고 있고, 세트키(12)가 압압됨으로써 중심 세트키 볼록부(12d)가 쿠션(10)을 압압하여, 스냅 플레이트(6)는 클릭 반전된다. 원주 세트키 볼록부(12e)의 단면형상은 원을 따른 원호형상을 이룬다.
여기서, 세트키(12)의 회전을 방지하는 바람직한 수법을 설명한다. 도 9에 바디(2)의 고정면(2a) 상에 고정시킨 플렉시블 기판(4)을 바로 위에서 본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9 내의 빗금 부분은 바디 볼록부(2c)와 제1 전극(4d)이다. 도 9에 도시한 3개의 바디 볼록부(2c)는 볼록부 관통구멍(4f)을 관통한 것이다. 볼록부 관통구멍(4f)을 관통한 3개의 바디 볼록부(2c)에 있어서, 원주방향으로 인접하는 바디 볼록부(2c) 사이에 굵은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이하, 「바디 볼록부간 영역(2B)」이라고 함)이 생긴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주방향으로 인접하는 원주 세트키 볼록부(12e) 사이에 굵은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이하, 「세트키 볼록부간 영역(12C)」이라고 함)이 생긴다. 세트키 볼록부간 영역(12C)을 바로 위에서 본 형상, 바디 볼록부간 영역(B)을 바로 위에서 본 형상은 각각 원을 따른 원호형상을 이룬다. 도 9의 예에서는 3개의 바디 볼록부간 영역(2B)이 생기고 각각의 바디 볼록부간 영역(2B)의 단면형상은 동일하다. 또한 3개의 세트키 볼록부간 영역(C)이 생기고 각각의 세트키 볼록부간 영역(C)의 형상은 동일하다. 그리고 도 9에 도시한 바디 볼록부간 영역(2B)의 단면형상과, 도 8에 도시한 원주 세트키 볼록부(12e)의 단면형상을 동일하게 한다. 그리고 3개의 원주 세트키 볼록부(12e)를 볼록부 관통구멍(4f)에 관통된 2개의 바디 볼록부(2c)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면 된다. 인접하는 바디 볼록부(2c)의 원주방향에 대향하는 면을 2j(도 9 참조)라고 하고, 인접하는 원주 세트키 볼록부(12e)의 원주방향에 대향하는 면을 12j(도 8 참 조)라고 하면, 각각의 바디 볼록부(2c)의 대향면(2j)과 원주 세트키 볼록부(12e)의 대향면(12j)이 맞닿도록, 바디 볼록부(2c), 원주 세트키 볼록부(12e)를 각각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보다 강력하게 세트키(12)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전극판(14)은 원형 박판형상이며, 중앙에 관통구멍(14c)을 가지고, 수지 성형되어 있다. 압압된 세트키(12)는 관통구멍(14c)을 통과한다. 전극판(14)은 제1 전극 배치면(4c)과 대향하는 제2 전극 배치면(14a)을 가진다. 이 예에서의 전극판(14)은 제2 전극 배치면(14a) 상에는 원주(이하, 「제2 원주(14x)」라고 함)방향으로 복수의 제2 전극이 배치된다. 이 예에서는 12개의 제2 전극이 배치된다. 여기서, 전극판(14)의 수지 성형시에 전극판(14)과 제2 전극을 인서트 성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품수를 줄여, 회전 스위치(100) 자체를 박형으로 할 수 있고, 또한 정밀도 좋게 전극판의 회전의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0에 제1 전극 배치면(4c)에 배치된 12개의 제1 전극(4d), 제2 전극 배치면(14a)에 배치된 12개의 제2 전극(14b)을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도 10 내의 실선의 빗금 부분이 제1 전극(4d), 점선의 빗금 부분이 제2 전극(14b)이다. 또한 이 도면에서는 관통구멍(14c)은 생략하고 있다. 그리고 제1 전극(4d)의 배치, 제2 전극(14b)의 배치의 관계의 상세는 본 출원의 기초출원(일본 특허 출원2008-029218호)의 출원시에는 출원공개되어 있지 않은 일본 특허 출원 2007-110410호를 기초출원으로 하는 PCT출원(WO2008/132930A1, 이하, 「특허문헌 A」라고 함)의 명세서 등에 기재되어 있다. 제1 전극(4d)의 배치, 제2 전극(14b)의 배치의 관계에 대해서 간단하게 일례를 나타낸다.
도 11에 12개의 제1 전극(4d)과 12개의 제2 전극(14b)의 위치 관계의 예를 도시한다. 설명 간략화를 위해서 전극판(14)을 생략한다. 도 11 내의 실선의 빗금 부분이 제1 전극(4d), 점선의 빗금 부분이 제2 전극(14b)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하는 6개의 제1 전극(4d)(특허문헌 A에서는 a상전극이라고 함), 또는 서로 인접하는 6개의 제2 전극(14b) 중 어느 일방을 회전 방향으로 어느 일정 각도 어긋나게 한다. 이와 같은 배치에 의해 정전용량 검출소자(26)가 검지한 정전용량의 변화로부터 검출부가 회전 각도 및 회전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한 예에서는 제1 전극(4d) 중 6개를 어긋나게 하고 있다.
또 플렉시블 기판(4), 전극판(14) 사이에 스페이서는 절연 시트 등을 개재시킴으로써 제1 전극 배치면(4c)과 제2 전극 배치면(14a)의 거리(d)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2에 전극판(14)의 제2 전극 배치면(14a)과 반대측의 면(이하, 「탄성부재면(14d)」이라고 함)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2 내의 빗금 부분은 전극판 볼록부(14g)이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부재면(14d)에는 관통구멍(14c)의 둘레에 5개의 보스(14e)가 형성되고, 5개의 보스(14e)의 외측이며 원주방향으로 복수(이 예에서는 4개)의 전극판 볼록부(14g)가 형성되어 있다. 또 원주방향으로 인접하는 전극판 볼록부(14g) 사이에는(이 예에서는 4개의) 전극판 볼록부간 영역(14A)(굵은선으로 둘러싸여 있음)이 생긴다. 전극판 볼록부(14g)의 단면, 전극판 볼록부간 영역(14A)을 바로 위에서 본 평면은 각각 원을 따른 원호형상을 이룬 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가능한 다이얼(24)은 원형상의 조작면(24b)을 가진다. 또 조작면(24b)과 반대측의 면을 역조작면(24c)이라고 한다. 다이얼(24)의 외주부분에는 바디(2)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주벽(24g)이 설치되어 있다. 도 13에 역조작면(24c)측에서 본 다이얼(24)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3 내의 빗금은 다이얼 볼록부(24d)를 도시하고 있다. 역조작면(24c)의 중심에 설치된 관통구멍(24a)으로부터 외측으로 순서대로 환형상의 접촉영역(24B), 다이얼 볼록부(24d), 보스(24e), 환형상의 요철부(24f)가 형성된다. 다이얼 볼록부(24d)는 원주방향으로 복수(이 예에서는 4개) 형성되어 있다. 보스(24e)는 원주방향으로 복수(이 예에서는 8개) 형성되어 있다. 환형상의 요철부(24f)는 원주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또 원주방향으로 인접하는 다이얼 볼록부(24d) 사이에는(이 예에서는 4개의) 다이얼 볼록부간 영역(24A)(굵은선으로 둘러싸여 있음)이 존재한다. 보스(24e)는 각각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다이얼 볼록부간 영역(24A)의 바로 위에서 본 평면, 다이얼 볼록부(24d)의 단면은 각각 원을 따른 원호형상을 이룬다.
복수의 전극판 볼록부(14g) 중 적어도 1개를 2개의 다이얼 볼록부(24d) 사이(다이얼 볼록부간 영역(24A))에 위치시키거나, 또는 복수의 다이얼 볼록부(24d) 중 적어도 1개를 2개의 전극판 볼록부(14g)(전극판 볼록부간 영역(14A)) 사이에 위치시킨다. 이와 같이 위치시킴으로써 다이얼(24)의 회전 방향의 힘은 적절히 전극판(14)에 전달된다. 이 전달을 보다 정확히 하기 위해서 전극판 볼록부(14g)의 단면형상과, 바로 위에서 본 다이얼 볼록부간 영역(24A)의 형상을 동일하게 하는 것 이 바람직하고, 다이얼 볼록부(24d)의 단면형상과, 바로 위에서 본 전극판 볼록부간 영역(14A)의 형상을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서는 4개의 전극판 볼록부(14g)는 각각 4개의 다이얼 볼록부간 영역(24A)에 위치하고, 4개의 다이얼 볼록부(24d)는 각각 4개의 전극판 볼록부간 영역(14A)에 위치한다(이하, 「정위치에 위치한다」고 함). 그리고 인접하는 다이얼 볼록부(24d)의 서로 원주방향에 대향하는 면을 각각 다이얼 볼록부 대향면(24j)이라고 하고, 인접하는 전극판 볼록부(14g)의 서로 원주방향에 대향하는 면을 각각 전극판 볼록부 대향면(14j)이라고 하면, 4개의 전극판 볼록부(14g)와 4개의 다이얼 볼록부(24d)가 정위치에 위치했을 때, 각각의 다이얼 볼록부 대향면(24j)이 각각의 전극판 볼록부 대향면(14j)에 맞닿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전극판 볼록부(14g)와 다이얼 볼록부(24d)를 정위치에 위치시킴으로써 회전 방향에 있어서는 다이얼(24)과 전극판(14)을 일체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원형부(4a)의 중심축에서 전극판(14)을 정확히 회전시키는 바람직한 수법을 설명한다. 도 14에 바디 볼록부(2c)의 확대 사시도를 도시한다. 바디 볼록부(2c)는 외주측이 절결되어, 단부(2e)가 형성되어 있다. 이 단부(2e)의 형성은 바디 볼록부(2c)와 세트키(12)의 플랜지(12b)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바디 볼록부(2c)는 단부(2e)의 하측의 외주면을 2p라고 한다. 그리고 전극판(14)의 관통구멍(14c)의 내주면(14h)과 3개의 바디 볼록부(2c)의 외주면(2p)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맞닿도록 하면, 전극판(14)은 원형부(4a)의 중심축에서 정확히 회전할 수 있다.
탄성부재(16)는 전극판(14)의 탄성부재면(14d) 상에 고정된다. 도 15에 탄성부재(16)의 확대 사시도를 도시한다. 탄성부재(16)는 링형상의 고정부(16a), 고정부(16a)의 둘레 방향 5개소에서 잘려 일으켜져 비스듬하게 상방으로 연장된 5개의 스프링부(16b), 스프링부(16b)의 선단에 설치된 접촉부(16c)로 이루어진다. 고정부(16a)의 스프링부(16b)가 설치되어 있는 각 개소에 구멍(16d)이 설치된다. 탄성부재(16)의 재질로서 탄력성이 있는 인청동 등을 사용하면 된다. 탄성부재면(14d) 상의 각각의 보스(14e)를 각각의 구멍(16d)에 삽입하고, 보스(14e)의 선단을 예를 들어 열코킹(열용착)한다. 이 열코킹에 의해 탄성부재(16)는 탄성부재면(14d) 상에 고정된다.
탄성부재(16)의 접촉부(16c)는 다이얼(24)의 역조작면상(24c)의 접촉 영역(24B)(도 13 참조)에 접촉된다. 그리고 고정부(16a)와 탄성부재면(14d)이 고정됨으로써, 또한 접촉부(16c)가 역조작면(24c)에 접촉됨으로써 스프링부(16b)의 탄성력에 의해 항상 전극판(14)은 바디(2) 방향으로의 하중이 가해진다. 그 결과 다이얼(24)의 덜컥거림 등이 생겨도 전극판(14)은 플렉시블 기판(4)에 대해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또 변형예로서, 고정부(16a)를 역조작면(24c)에 고정시키고, 접촉부(16c)를 탄성부재면(14d)에 접촉시켜도 된다. 또 역조작면(24c), 탄성부재면(14d)의 양면에 고정시키지 않고, 당해 양면에 탄성부재(16)를 접촉시키기만 해도 된다. 또 전극판(14)에 바디(2) 방향으로 하중을 가하면 되므로, 도 15에 도시한 탄성부재(16) 대신에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서스펜션 등을 사용해도 된다.
감촉판(22)은 링형상이 되고, 다이얼(24)의 회전에 수반되어, 클릭감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키탑(20)은 관통구멍(20a)을 가짐으로써 링형상이 된다. 키탑(20)은 역조작면(24c)과 대향하는 면인 감촉판 고정면(20b)을 가진다. 당해 감촉판 고정면(20b)은 감촉판(22)을 고정시킨다. 고정의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감촉판 고정면(20b) 상에 180도 대향하는 위치에 2개씩(즉, 4개의) 볼록부(20c)를 가진다. 한편, 감촉판(22)은 내주에 180도 대향하는 위치에 2개씩(즉, 4개의) 오목부(22a)를 가진다. 그리고 볼록부(20c)는 오목부(22a)에 끼워지고, 예를 들어 볼록부(20c)의 선단을 열코킹하여 고정된다. 클릭감 발생의 일례를 설명한다. 감촉판(22)은 180도 대향하는 위치에 2개의 굴곡부(22b)를 가지고 있다. 굴곡부(22b)는 다이얼(24)의 요철부(24f)(도 13 참조)에 끼워맞춰짐으로써 다이얼(24)의 회전에 수반되어 클릭감이 발생한다. 감촉판(22)은 없어도 된다.
고정판(18)과 다이얼(24)은 키탑(20)과 감촉판(22)을 사이에 끼운다. 이렇게 함으로써 다이얼(24)은 키탑(20)과 감촉판(22)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고정 방법의 구체예를 다음에 설명한다. 도 16에 고정판(18)의 확대 사시도를 도시한다. 고정판(18)에는 링형상을 따른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구멍(18a)이 설치된다. 그리고 복수의 구멍(18a)이 그리는 원주의 외측의 부분(빗금으로 나타나 있는 부분)이 맞닿음부(18b)이다. 도 5에 기재된 바와 같이, 키탑(20)은 관통구멍(20a)의 내주벽(20d)을 따른 내측 칼라(20e)를 가진다. 이 내측 칼라(20e)와 고정판(18)의 맞닿음부(18b)가 회전이 자유롭게 맞닿는다. 그리고 역조작면(24c)(도 13 참조) 상에 형성된 보스(24e)가 고정판(18)의 구멍(18a)에 삽입되어 코킹 고정 된다. 이것에 의해 고정판(18)과 다이얼(24)은 키탑(20)과 감촉판(22)을 사이에 끼우고, 다이얼(24)은 키탑(20)과 감촉판(22)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회전 스위치(100)의 일체 고정을 위해, 및 감촉판(22)에 의한 클릭감을 적절히 발생시키기 위해, 키탑(20)을 바디(2)에 고정시켜야 한다. 즉, 키탑(20)이 다이얼의 조작면(24b)과 수직방향(이하, 간단히 「수직방향」이라고 함)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하고, 또한 키탑(20) 자체의 회전을 방지해야 한다. 여기서 특허문헌 1에 나타난 회전 스위치는 마그넷을 회전 감촉부에 사용하고 있으므로, 회전 스위치 자체가 두꺼워져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기구식의 회전 스위치(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2001-325859호 공보에 기재) 등에서도 브러시 높이 확보 등을 위해서, 마찬가지로 회전 스위치 자체가 두꺼워져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통상적으로는 바디(2)와 키탑(20)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필요로 한다. 이 고정부가 제품을 두껍게 하는 요인이었다. 그래서 고정부를 필요로 하지 않고, 키탑(20)과 바디(2)를 고정시키는 바람직한 수법을 설명한다.
우선, 키탑(20)이 수직방향으로 벗어나지 않는 바람직한 수법을 설명한다. 도 17A에 키탑(20)의 평면도를, 도 17B에 도 17A에 기재된
Figure 112009075328615-pct00001
방향에서 본 측면도를, 도 17C에 도 17A에 기재된 선AA'에서 자른 단면도를, 도 17D에 도 17A에 기재된 선CC'에서 자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7A나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탑(20)의 외주에는 복수의 탭부(20f)가 돌출 형성된다. 이 예에서는 외주에 90도 간격으로 4개의 탭부(20f)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7E에 도 17C에 도시한 탭부(20f)의 단면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17E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탭부(20f) 는 테이퍼면(20g)을 가진다.
한편, 바디의 외주벽(2b)에는 외주방향으로 90도 간격으로 탭부(20f)가 끼워맞춤 고정되는 탭부 끼워맞춤 구멍(2f)이 형성된다. 이 예에서는, 외주에 90도 간격으로 4개의 탭부 끼워맞춤 구멍(2f)이 형성되어 있다. 바디(2)의 내주면 중에 있어서 탭부 끼워맞춤 구멍(2f)의 상방의 면을 안내면(2g)으로 하면 테이퍼면(20g)은 안내면(2g)으로 안내되어, 탭부(20f)는 탭부 끼워맞춤 구멍(2f)에 끼워맞춰진다. 이와 같이 키탑(20)에 복수의 탭부(20f)를 형성하고, 바디(2)에 복수의 탭부 끼워맞춤 구멍(2f)을 형성함으로써 부품수를 적게 하고, 키탑(20)이 수직방향으로 벗어나지 않는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키탑(20)의 회전을 방지하는 바람직한 수법을 설명한다. 키탑(20)의 외주에 복수의 걸어맞춤부(20h)를 가진다. 이 예에서는 걸어맞춤부(20h)는 다이얼(24)측을 향하고, 단면 사각형상의 돌기물이며, 외주방향으로 90도 간격으로 4개 형성된다. 한편, 바디(2)의 외주벽(2b)에는 단면 사각형상의 절결부(2h)가 형성된다. 이 예에서는 절결부(2h)는 외주방향으로 90도 간격으로 4개 형성된다. 걸어맞춤부(20h)는 각각 절결부(2h)에 걸어맞춰짐으로써 키탑(20)의 회전은 방지할 수 있다. 키탑(20)의 외주에는 90도 간격으로 4개의 단면 반원의 절결부(4k)와, 4k보다 폭이 넓은 절결부(4n)가 설치되어 있는 이유를 설명한다. 절결부(4k)가 설치되어 있는 이유는 키탑(20)과 바디(2)를 고정시켰을 때에 플렉시블 기판(4)의 절결부(4k)와 바디(2)의 볼록부(2k)를 열코킹시킨 개소에 키탑(20)의 외주부분이 닫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절결부(4n)가 설치되어 있는 이유는 플렉시블 기판(4)이 탭부 끼워맞춤 구멍(2f)에 끼워맞춰져 있는 키탑(20)의 탭부(20f)에 닫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다이얼(24), 바디(2), 세트키(12)는 수지제로 하면 된다. 또 세트키(12)는 없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스냅 플레이트(6), 테이프(8), 쿠션(10), 플렉시블 기판(4)의 중앙 고정 접점(4e), 주변 고정 접점(4g)은 필요없다.

Claims (8)

  1. 고정면을 가지는 바디와,
    박판형상이며, 상기 고정면 상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면과 접하는 면과 반대측의 면(이하, 「제1 전극 배치면」이라고 함) 상의 제1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제1 전극이 배치된 플렉시블 기판과,
    박판형상이며, 상기 제1 전극 배치면과 대향하는 제2 전극 배치면의 제2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제2 전극이 배치되고, 당해 제2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전극판과,
    조작면을 가지고, 상기 제2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다이얼과,
    상기 다이얼의 상기 조작면과 반대측의 면(이하, 「역조작면」이라고 함)과 상기 전극판의 상기 제2 전극 배치면과 반대측의 면(이하, 「탄성부재면」이라고 함)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전극판은 상기 탄성부재면에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전극판 볼록부를 가지고,
    상기 다이얼은 상기 역조작면에 상기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다이얼 볼록부를 가지고,
    상기 전극판 볼록부는 2개의 상기 다이얼 볼록부 사이에 위치하거나, 또는 상기 다이얼 볼록부는 2개의 상기 전극판 볼록부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외주에 플랜지를 가지고, 상기 제1 전극 배치면과 수직 방향으로 압압 가능한 세트키와,
    상기 제1 전극 배치면 상에 배치되는 스냅 플레이트도 구비하고,
    상기 바디는 상기 고정면 상에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바디 볼록부를 가지고,
    상기 플렉시블 기판은 상기 복수의 바디 볼록부 각각이 관통되는 복수의 볼록부 관통구멍과, 상기 제1 전극 배치면의 상기 제1 원주의 내측에 중앙 고정 접점을 가지고,
    상기 스냅 플레이트는 상기 중앙 고정 접점과 대향하여, 상기 세트키가 압압되면 상기 중앙 고정 접점과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상기 전극판, 상기 탄성부재, 상기 다이얼은 각각 상기 세트키가 관통되는 관통구멍을 가지고,
    상기 볼록부 관통구멍에 관통된 상기 복수의 바디 볼록부에 둘러싸인 영역에 상기 스냅 플레이트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스위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세트키는 압압면과 반대측의 면 상에 원주를 따라 복수의 원주 세트키 볼록부를 가지고,
    상기 원주 세트키 볼록부는 상기 볼록부 관통구멍에 관통된 2개의 상기 바디 볼록부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스위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바디 볼록부의 외주면은 상기 전극판의 관통구멍의 내주면과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스위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의 상기 역조작면에 접촉하고, 상기 다이얼의 회전에 수반되어 클릭감을 발생시키는 감촉판과,
    상기 다이얼의 역조작면과 대향함과 아울러 상기 감촉판을 고정하는 감촉판 고정면과, 외주 부분에 복수의 걸어맞춤부를 가지는 키탑과,
    상기 키탑과 상기 감촉판을 상기 다이얼과의 사이에 끼우고, 상기 키탑과 상기 감촉판에 대해서 상기 다이얼을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판을 구비하고,
    상기 바디는 외주 부분에 외주벽을 가지고, 당해 외주벽에 복수의 절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걸어맞춤부가 상기 절결부에 걸어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스위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키탑은 외주 부분에 복수의 탭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바디는 상기 외주벽에 복수의 탭부 끼워맞춤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탭부는 상기 복수의 탭부 끼워맞춤 구멍에 끼워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스위치.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의 상기 역조작면에 접촉하고, 상기 다이얼의 회전에 수반되어 클릭감을 발생시키는 감촉판과,
    상기 다이얼의 역조작면과 대향함과 아울러 상기 감촉판을 고정하는 감촉판 고정면을 가지는 키탑과,
    상기 키탑과 상기 감촉판을 상기 다이얼과의 사이에 끼우고, 상기 키탑과 상기 감촉판에 대해서 상기 다이얼을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판을 구비하고,
    상기 키탑은 외주 부분에 복수의 탭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바디는 외주 부분에 외주벽을 가지고, 상기 외주벽에 복수의 탭부 끼워맞춤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탭부는 상기 복수의 탭부 끼워맞춤 구멍에 끼워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스위치.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판과 상기 복수의 제2 전극이 인서트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스위치.
KR1020097025504A 2008-02-08 2009-01-09 회전 스위치 KR1015237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29218 2008-02-08
JP2008029218A JP4990811B2 (ja) 2008-02-08 2008-02-08 回転スイッチ
PCT/JP2009/050247 WO2009098914A1 (ja) 2008-02-08 2009-01-09 回転スイッ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0257A KR20100110257A (ko) 2010-10-12
KR101523764B1 true KR101523764B1 (ko) 2015-05-27

Family

ID=40951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5504A KR101523764B1 (ko) 2008-02-08 2009-01-09 회전 스위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294049B2 (ko)
EP (1) EP2164084A4 (ko)
JP (1) JP4990811B2 (ko)
KR (1) KR101523764B1 (ko)
CN (1) CN101755318B (ko)
CA (1) CA2690187A1 (ko)
TW (1) TWI383416B (ko)
WO (1) WO20090989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46140B2 (ja) * 2009-11-19 2013-07-24 船井電機株式会社 回転入力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5287680B2 (ja) * 2009-11-19 2013-09-11 船井電機株式会社 回転入力装置および携帯機器
DE102010036006A1 (de) * 2010-08-31 2012-03-01 Continental Automotive Gmbh Drehsteller
JP5677062B2 (ja) 2010-12-10 2015-02-25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
CN102054617A (zh) * 2011-01-06 2011-05-11 余正明 一种fpc开关
TWI430311B (zh) * 2011-01-21 2014-03-11 Primax Electronics Ltd 旋鈕機構
JP5882721B2 (ja) * 2011-12-22 2016-03-09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
DE102012014535A1 (de) * 2012-07-21 2014-01-23 Diehl Ako Stiftung & Co. Kg Drehknebel-Bedienvorrichtung
EP2880668B1 (en) 2012-07-30 2018-01-03 Continental Automotive GmbH Capacitive sensing node integration to a surface of a mechanical part
US9268356B2 (en) 2013-03-15 2016-02-23 Touchsensor Technologies, Llc Modular knob system
EP3012850B1 (en) * 2013-06-21 2019-06-12 Fuji Electric Fa Components & Systems Co., Ltd. Rotary operation switch
US9534933B2 (en) * 2014-01-14 2017-01-03 Panasonic Automotive Systems Company Of America, Division Of Panasonic Corporation Of North America Capacitive encoder
JP6295903B2 (ja) * 2014-01-22 2018-03-20 株式会社デンソー 回転操作装置
JP6226425B2 (ja) * 2014-01-31 2017-11-0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回転入力装置
TWI592787B (zh) 2015-08-19 2017-07-21 信泰光學(深圳)有限公司 旋鈕結構
WO2017204567A1 (ko) * 2016-05-24 2017-11-30 유한회사 핑거팁스랩 리모트 컨트롤 장치
KR101817526B1 (ko) * 2016-09-26 2018-01-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다이얼 조작장치 및 이를 갖는 차량
KR102409055B1 (ko) * 2017-09-26 2022-06-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잠금 기능을 제공하는 키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1992487B1 (ko) * 2017-11-27 2019-06-24 주식회사 더재미 스마트 게임 시스템
KR102224367B1 (ko) * 2019-04-02 2021-03-08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옥외소화전 주변의 주차방지 시스템
JP7450188B2 (ja) * 2019-06-28 2024-03-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入力装置
JPWO2020262390A1 (ko) * 2019-06-28 2020-12-30
CN115210836A (zh) * 2020-04-23 2022-10-18 阿尔卑斯阿尔派株式会社 多方向输入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0947A (ja) * 2003-12-26 2005-07-14 Yamatake Corp 空気調和用温度調節器
WO2007032432A1 (ja) * 2005-09-14 2007-03-22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操作用ダイアル
EP1873803A2 (en) * 2006-06-26 2008-01-02 Hosiden Corporation Compound operation input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19515B2 (ja) * 1998-08-21 2007-12-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押圧・回動操作型電子部品およびこれを用いた通信端末機器
JP2001325859A (ja) * 2000-05-16 2001-11-22 Alps Electric Co Ltd 複合操作型スイッチ装置
JP2002343192A (ja) * 2001-05-14 2002-11-29 Alps Electric Co Ltd 複合操作型入力装置
JP3820548B2 (ja) * 2001-06-01 2006-09-1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入力装置と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4338364B2 (ja) * 2002-07-02 2009-10-07 ソニー株式会社 携帯情報通信端末、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6784384B2 (en) * 2002-12-03 2004-08-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tation key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NO20034167D0 (no) * 2003-01-20 2003-09-19 Telenostra As Vippeanordning i forbindelse med multifunksjonelle brytere
JP4289553B2 (ja) * 2004-02-13 2009-07-01 サンアロー株式会社 静電容量式フォースセンサの操作機構
JP2006073311A (ja) 2004-09-01 2006-03-16 Omron Corp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TW200611290A (en) * 2004-09-24 2006-04-01 Hon Hai Prec Ind Co Ltd Detector switch
FR2878646B1 (fr) * 2004-11-26 2007-02-09 Itt Mfg Enterprises Inc Commutateur electrique a voies de commutation multiples
JP4487821B2 (ja) * 2005-03-25 2010-06-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複合操作型電子部品
JP2006286458A (ja) * 2005-04-01 2006-10-19 Omron Corp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4100409B2 (ja) * 2005-04-01 2008-06-11 オムロン株式会社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DE602006014066D1 (de) * 2005-08-05 2010-06-17 Niles Co Ltd Multidirektionale Eingabevorrichtung
JP4652186B2 (ja) * 2005-09-16 2011-03-16 株式会社ユーシン ロータリーエンコーダー及びタッチセンサー付き回転操作ノブ
JP4819518B2 (ja) * 2006-02-09 2011-11-24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
US7442886B2 (en) * 2006-03-07 2008-10-28 Alps Electric Co., Ltd. Multi-directional input unit
JP4695620B2 (ja) * 2007-04-18 2011-06-08 ホシデン株式会社 複合操作型入力装置
CN101641571B (zh) * 2007-04-19 2012-10-24 星电株式会社 旋转输入装置及使用该旋转输入装置的旋转检测装置
KR20090069959A (ko) * 2007-12-26 2009-07-01 삼성전기주식회사 회전형 입력 장치
TWM343903U (en) * 2008-06-25 2008-11-01 fu-xiong Li Rotary switch
CN102034630B (zh) * 2009-09-29 2013-08-2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开关装置及使用该开关装置的主机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0947A (ja) * 2003-12-26 2005-07-14 Yamatake Corp 空気調和用温度調節器
WO2007032432A1 (ja) * 2005-09-14 2007-03-22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操作用ダイアル
EP1873803A2 (en) * 2006-06-26 2008-01-02 Hosiden Corporation Compound operation input device
JP2008004504A (ja) * 2006-06-26 2008-01-10 Hosiden Corp 複合操作型入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755318B (zh) 2014-04-23
KR20100110257A (ko) 2010-10-12
WO2009098914A1 (ja) 2009-08-13
EP2164084A4 (en) 2013-03-27
CN101755318A (zh) 2010-06-23
JP2009187894A (ja) 2009-08-20
EP2164084A1 (en) 2010-03-17
US20100200384A1 (en) 2010-08-12
TWI383416B (zh) 2013-01-21
TW200945396A (en) 2009-11-01
CA2690187A1 (en) 2009-08-13
JP4990811B2 (ja) 2012-08-01
US8294049B2 (en) 2012-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3764B1 (ko) 회전 스위치
JP4998171B2 (ja) 回転操作型入力装置
JP4175007B2 (ja) 回転操作型入力装置
US7498527B2 (en) Compound operation input device
JP4241798B2 (ja) 回転形パルススイッチ
WO2009113243A1 (ja) 入力装置
JP4544323B2 (ja) 回転操作型入力装置
US11676783B2 (en) Press-type input device and press-rotate-type input device
JP5129103B2 (ja) 多機能型電子部品
JP2008071589A (ja) 多方向押圧形スイッチ
JP4703526B2 (ja) 多機能型電子部品
JP2005339821A (ja) 回転型電気部品
KR20090122132A (ko) 입력 장치 및 해당 입력 장치를 구비한 전자 기기
JP2013041727A (ja) 電子部品
JP6643150B2 (ja) 回転式電子部品
JP2017147174A (ja) クリック機構付き回転式電子部品
JP2007220438A (ja) 電気部品
WO2019087607A1 (ja) 入力装置
JP4544321B2 (ja) 回転操作型入力装置
JP5727829B2 (ja) 回転式電子部品
JP5955204B2 (ja) 摺動子と摺動子取付板の取付部材への取付方法
KR100701649B1 (ko) 회전형 엔코더
JP2007335240A (ja) 多機能型電子部品
JP2002202150A (ja) 回転型エンコーダ
JP2008159907A (ja) 回転式電子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