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2737B1 - 쐐기 긴결식 비계에서의 긴결 장치 - Google Patents

쐐기 긴결식 비계에서의 긴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2737B1
KR101522737B1 KR1020090011883A KR20090011883A KR101522737B1 KR 101522737 B1 KR101522737 B1 KR 101522737B1 KR 1020090011883 A KR1020090011883 A KR 1020090011883A KR 20090011883 A KR20090011883 A KR 20090011883A KR 101522737 B1 KR101522737 B1 KR 101522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dge
guide member
wedge guide
center wall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1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2652A (ko
Inventor
가츠히코 사카모토
Original Assignee
도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90011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2737B1/ko
Publication of KR20100092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2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2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2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2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with coupling elements using we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02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 E04G7/306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the added coupling elements are fixed at several bars or members to connect
    • E04G7/307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the added coupling elements are fixed at several bars or members to connect with tying means for connecting the bars or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긴결식 비계에서의 긴결 장치에 있어서, 지주 측의 받침 금구는, 평면에서 보아 コ자형이며 전방 하향 경사형 중앙벽에 핀 수용부를 갖는다. 가로대 측의 결합 금구는, 쐐기와, 평면에서 보아 コ자형이며 일부가 가로대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되고 쐐기가 삽입된 쐐기 안내 부재와, 상측부가 쐐기 안내 부재의 전방 하향 경사형 중앙벽의 뒤쪽에, 하측부가 쐐기 안내 부재의 중앙벽에 형성된 관통 구멍을 통해 중앙벽 앞쪽에 존재하며 하단부에 빠짐 방지 핀을 갖고, 빠짐 방지 핀을 쐐기 방향으로 편향시키고 있는 판스프링을 갖추고 있다. 쐐기에는, 쐐기 안내 부재의 중앙벽에 대한 근접면부와, 그 아래쪽의 이격면부가 있다. 쐐기 안내 부재의 중앙에는 핀 수납 구멍이 형성되고, 받침 금구의 위에 가로대의 단부가 받쳐져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 받침 금구의 핀 수용 구멍의 위치는 핀 수납 구멍에 일치한다.

Description

쐐기 긴결식 비계에서의 긴결 장치{FASTENING DEVICE OF WEDGE FASTENING TYPE SCAFFOLD}
본 발명은, 쐐기 긴결(緊結)식 비계에서의 긴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지주와 가로대의 관계에 있어서는, 앞이란 긴결하는 지주가 있는 쪽을, 뒤란 긴결하는 가로대가 있는 쪽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종래의 상기 긴결 장치는, 지주의 소정 높이 외주에 고착된 받침 금구와, 2개의 지주 사이에 가로놓이는 가로대의 단부에 고착된 쐐기형 결합 금구를 포함하고, 쐐기형 결합 금구를 받침 금구에 해머로 위에서 두드려 넣어 결합함으로써, 지주와 가로대를 긴결하고 있었다. 또한, 지주와 가로대와의 긴결을 해제할 때에는, 가로대의 쐐기형 결합 금구를 지주의 받침 금구로부터 해머로 아래로부터 두드려 올려 결합을 해제하거나, 또는 지주의 받침 금구 근처의 가로대의 단부를 해머로 아래로부터 두드려 올려 그 단부에 고착되어 있는 쐐기형 결합 금구의 결합을 해제하고 있었다. 이와 같이, 지주와 가로대의 긴결은, 쐐기형 결합 금구를 받침 금구에 단단하게 끼워 넣음으로써 이루어지고 있을 뿐이기 때문에, 작업자가 가로대의 아래를 큰 공구를 가지고서 통과하거나, 자재를 부착하는 작업을 할 때에, 공구나 자재가 가로대에 맞닿거나 하여 가로대에 예측치 못한 힘이 아래로부터 가해지면, 쐐기형 결합 금구의 결합이 느슨해져, 받침 금구로부터 쐐기형 결합 금구가 벗겨질 위험성이 있었다. 또한, 종래부터 널리 일반적으로 이용되어 온 틀비계에 사용되고 있는 박강판제의 바닥 구비 천패널을 가로대에 부착한 경우, 바닥 구비 천패널은 가로대에 대하여 로크 기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것에 아래로부터의 풍압이 가해지면, 가로대의 쐐기형 결합 금구가 받침 금구로부터 벗겨져 가로대와 함께 바닥 구비 천패널이 낙하할 위험성이 있었다. 그래서, 바닥 구비 천패널로서 바람이 지나가는 철판망(expanded metal)제의 것을 사용하고 있다. 이 철판망으로 만든 것은 박강판으로 만든 것에 비하여 폭이 좁기 때문에, 이것을 박강판으로 만든 것과 동일한 폭의 바닥 구비 천패널로 하면, 중량이 무거워지고 고가가 된다. 따라서, 바닥 구비 천패널의 폭을 좁게 하고 있지만, 폭이 좁으면 그 위에서 작업하는 사람에게 불안감을 준다. 게다가, 철판망으로 만든 것은 아래가 들여다보이기 때문에, 작업 바닥이나 통로로 사용시 불안감을 가중시킨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가설 구조물을 구성하는 지주와 수평재의 연결 장치에 있어서,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것 같은 결합이 예측하지 못하게 해제되지는 않는다고 하는 하기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즉, 이 제안 장치는, 받침 금구가, 평면에서 보아 コ자형이며 중앙벽의 폭 중앙에 상방 개구형 수직 홈을 갖고 있고, 결합 금구가, 수평재의 단부면판에서 전방으로 연장되고, 받침 금구의 중앙벽의 수직 홈에 끼워 맞춰지는 횡단면이 종장방형인 수평 돌출부와, 수평 돌출부의 선단에 설치되어 받침 금구의 중앙벽과 지주 사이에 끼워져 들어가는 결합 후크와, 결합 후크의 후방에 있어서, 중앙에 형성된 하방 개구형 수직 홈에 의해 수평 돌출부에 전후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게 걸리며 하단에 앞쪽을 향하는 수평 볼록부를 갖고, 앞면에서 보아 종장방형, 측면에서 보아 반대 형상이며, 전방의 결합 후크로 중앙벽을 사이에 끼워 누르는 스프링제의 중앙벽 협압(挾壓) 부재와, 협압 부재와 단부면판 사이에 있어서 수평 돌출부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걸리고, 앞면에서 보면 역 U자형, 측면에서 보면 상반부가 광폭이며, 하반부가 협폭으로 되어 있고, 양 하단부에 빠짐 방지 핀이 가로놓여져 있는 쐐기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3-56176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제안 장치에 따르면, 결합 금구의 결합 후크를 받침 금구의 중앙벽과 지주 사이에 끼워 넣은 후, 상승 위치에 있는 쐐기 부재의 상단을 수회 쇠망치로 두드려, 그 상반 광폭부를 하강시키며 반대 형상의 스프링제 중앙벽 협압 부재를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전진시키고, 결합 후크로 중앙벽을 협압하여, 지주와 수평재를 연결하는 것이므로, 연결시에 중앙벽 협압 부재의 스프링력이 작용하고 있어, 간단하게는 쐐기 부재가 위로 빠지는 일이 없다. 그러나, 스프링제 중앙벽 협압 부재는 반대 형상이므로, 이것과 쐐기 부재의 상반 광폭부 사이의 위아래에 V형 및 역V형의 간극이 생긴다. 따라서, 수평재는 근소하기는 하지만, 지주에 대하여 불안정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예측치 못한 가로대의 지주로부터의 긴결 해제와 지주에 대한 가로대의 불안정함을 함께 해결한 쐐기 긴결식 비계에서의 긴결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제1항의 발명에 의한 쐐기 긴결식 비계에서의 긴결 장치는, 지주의 소정 높이 외주에 고착된 받침 금구와, 2개의 지주 사이에 가로놓이는 가로대의 단부에 앞쪽이 노출되도록 매립 부설되고 받침 금구에 걸려 고정되는 결합 금구를 포함하며, 받침 금구는, 평면에서 보아 コ자형이며 중앙벽이 전방 하향으로 경사져 있고, 결합 금구는, 긴결시에 지주에 밀접하는 수직부를 갖는 전방 에지를 구비한 세로로 긴 판 형상의 쐐기; 평면에서 보아 받침 금구에 끼워지는 크기의 コ자형이며 중앙벽이 받침 금구의 중앙벽과 동일한 경사도로 전방 하향으로 경사져 있고, 일부가 가로대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되고 쐐기가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쐐기 안내 부재; 및 상측부가 쐐기 안내 부재의 중앙벽 뒤쪽에, 하측부가 중앙벽에 형성된 판스프링 관통 구멍을 관통하여 중앙벽 앞쪽에 각각 존재하며 하단부에 후방 돌출형 빠짐 방지 핀을 갖고 빠짐 방지 핀을 쐐기 방향으로 편향시키고 있는 판스프링을 구비하며, 쐐기 안내 부재의 양측벽에 쐐기 탈출 저지 바가 가로질러 고정되어 있고, 쐐기 탈출 저지 바가 횡단하고 긴결 해제시에 쐐기 탈출 저지 바가 접하는 후방 에지를 갖춘 종장형 구멍 또는 앞쪽을 향하는 절결부가 쐐기의 상하 이동에 필요한 세로 길이로 쐐기에 형성되며, 쐐기 후방 에지의 상부 및 하부가 쐐기 안내 부재의 중앙벽을 따르는 경사형으로 형성되고, 쐐기 안내 부재의 중앙벽 앞면과 마주하는 쐐기 후방 에지 중간부는, 쐐기 안내 부재의 중앙벽 앞면에 근접해 있는 근접면부와, 그 아래쪽의 쐐기 안내 부재의 중앙벽 앞면에서부터 떨어져 있는 이격면부를 포함하고, 쐐기 안내 부재의 가로대로부터의 아래쪽이 받침 금구에 대한 삽입부가 되며, 쐐기 안내 부재의 중앙벽에 있어서의 삽입부 부분에는, 핀 수납 구멍이 형성되고, 쐐기 안내 부재의 삽입부가 받침 금구에 삽입되어 받침 금구의 상단에 가로대의 단부가 받쳐져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 받침 금구의 중앙벽에 핀 수납 구멍에 대응하게 핀 수용부가 형성되고, 핀 수용부는, 결합 금구가 받침 금구로부터 위쪽으로 빠지려고 했을 때 빠짐 방지 핀이 걸리는 상방 에지를 가지고 있으며, 쐐기의 근접면부는, 빠짐 방지 핀을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받침 금구의 핀 수용부에 밀어 넣을 수 있을 정도로 근접해 있고, 쐐기의 이격면부는, 빠짐 방지 핀을 스프링력에 의해 받침 금구의 핀 수용부로부터 빼낼 수 있을 정도로 떨어져 있는 것이다.
제2항의 발명에 의한 쐐기 긴결식 비계에서의 긴결 장치는, 제1항에 있어서, 쐐기 안내 부재의 상방 에지는 그 대략 전반(前半)이 높고 그 대략 후반(後半)이 낮은 단(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가로대는 금속관으로 만들어진 것이며, 금속관 단부의 상하 주벽 대향부에 있어서, 하부 주벽 측에는 쐐기 안내 부재의 대응 부분이 밀접하게 끼워지는 형상의 하부 절결부가 형성되고, 상부 주벽 측에는 쐐기 안내 부재의 대략 전반의 상방 에지부가 밀접하게 끼워지며 그 대략 후반의 상방 에지부의 내측을 따르는 형상의 상부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고, 쐐기 안내 부재는 그 대략 전반의 상방 에지부가 관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되며 그 대략 후반의 상방 에지부가 관의 내면에 접촉되도록 상하 절결부에 끼워 맞춰져 가로대에 용접되어 있고, 쐐기 안내 부재에 삽입된 쐐기는, 긴결시에 그 상방 에지 전체 중 틀비계용 박강판제의 바닥 구비 천패널의 클램프 금구가 걸리는 부분이 관 내에 존재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제1항의 발명에 따르면, 받침 금구의 상단에 가로대의 단부가 직접 받쳐져 고정되어 있어, 쐐기 작용에 의해 가로대가 흔들리는 일이 없기 때문에, 가로대는 확실하게 수평으로 유지되고, 게다가 박강판제의 바닥 구비 천패널을 사용하여 이것에 풍압이 아래로부터 가해졌다고 해도, 결합 금구 측의 빠짐 방지 핀이 받침 금 구의 핀 수용부의 상방 에지에 걸리기 때문에, 결합 금구가 받침 금구로부터 위로 빠질 위험성은 없다. 따라서, 철판망제가 아니라 박강판제의 바닥 구비 천패널을 사용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종래의 쐐기 긴결식 비계에서는, 가로대의 양단부에 있는 쐐기형 결합 금구에 클램프 금구가 닿지 않는 폭의 바닥 구비 천패널을 사용하고 있었다. 틀비계의 경우, 바닥 구비 천패널의 클램프 금구는, 세로 프레임의 횡가재(橫架材)를 클램프하기 때문에, 횡가재 단부에는 장해물이 없고, 쐐기 긴결식 비계용 바닥 구비 천패널보다 폭이 넓은 바닥 구비 천패널을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쐐기 긴결식 비계에 폭이 넓은 바닥 구비 천패널을 사용하고자 하면, 바닥 구비 천패널 양단의 클램프 금구 사이의 폭을 가로대의 양단부에 있는 쐐기형 결합 금구를 피하도록 좁게 한 특별 제품을 제조하지 않을 수 없다고 하는 불편이 있다.
제2항의 발명에 따르면, 쐐기 안내 부재의 상방 에지는 그 대략 전반이 높고 그 대략 후반이 낮은 단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가로대는 금속관으로 만들어진 것이며, 금속관 단부의 상하 주벽 대향부에 있어서, 하부 주벽 측에는 쐐기 안내 부재의 대응 부분이 밀접하게 끼워지는 형상의 하부 절결부가 형성되고, 상부 주벽 측에는 쐐기 안내 부재의 대략 전반의 상방 에지부가 밀접하게 끼워지며 그 대략 후반의 상방 에지부의 내측을 따르는 형상의 상부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고, 쐐기 안내 부재는 그 대략 전반의 상방 에지부가 관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되며 그 대략 후반의 상방 에지부가 관의 내면에 접촉되도록 상하 절결부에 끼워 맞춰져 가로대에 용접되어 있고, 쐐기 안내 부재에 삽입된 쐐기는, 긴결시에 그 상방 에지 전체 중 틀비계용 박강판제의 바닥 구비 천패널의 클램프 금구가 걸리는 부분이 금속관제 가로대 내에 위치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므로, 위에서 작업하는 사람이 안심할 수 있는 폭을 갖는 틀비계용 박강판제의 바닥 구비 천패널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고, 이로써 처마측용의 낙하방지물, 양생 프레임, 시트 등의 틀비계에 사용하고 있었던 부재도 그대로 이용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쐐기 안내 부재의 상방 에지는 그 대략 전반이 높고 그 대략 후반이 낮은 단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가로대는 금속관으로 만들어진 것이며, 금속관 단부의 상하 주벽 대향부에 있어서, 하부 주벽 측에는 쐐기 안내 부재의 대응 부분이 밀접하게 끼워지는 형상의 하부 절결부가 형성되며, 상부 주벽 측에는 쐐기 안내 부재의 대략 전반의 상방 에지부가 밀접하게 끼워지고 그 대략 후반의 상방 에지부의 내측을 따르는 형상의 상부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쐐기 안내 부재의 가로대에 대한 위치 결정이 매우 용이하다고 하는 이점도 갖는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가장 바람직한 형태를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하는 쐐기 긴결식 비계에서의 긴결 장치는, 지주(1)의 소정 높이의 외주에 고착된 받침 금구(2)와, 2개의 지주(1) 사이에 가로놓이는 가로대(3)의 단부에 앞쪽이 노출되도록 매립 부설되고 받침 금구(2)에 결합되는 결합 금구(4)를 포함한다. 지주(1) 및 가로대(3)는 소정 길이를 갖는 강관으로 만들어지며, 4개의 강제(鋼製) 받침 금구(2)가 지주(1)의 둘레면 사방에 용접에 의해 고 착되어 있다. 4개의 받침 금구(2) 중 대향하는 2개는 하나의 단(段) 상에 위치되어 있지만, 전부 동일한 높이이어도 좋다.
받침 금구(2)는, 평면에서 보아 コ자형이며 중앙벽(5)이 전방 하향으로 경사져 있다. 결합 금구(4)는, 긴결시에 지주(1)에 밀접하는 수직부(7)를 가지며 또한 하부가 받침 금구(2)에 삽입되기 쉽도록 약간 후방 하향으로 경사져 있는 전방 에지를 구비한 세로로 긴 판 형상의 강제(鋼製) 쐐기(9)와, 평면에서 보아 받침 금구(2)에 끼워지는 크기의 コ자형이며 일부가 가로대(3)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되고 쐐기(9)가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강제 쐐기 안내 부재(11)와, 상측부(12)가 쐐기 안내 부재(11)의 중앙벽(13) 뒤쪽에, 하측부(14)가 중앙벽(13)에 형성된 판스프링 관통 구멍(15)을 관통하여 중앙벽(13) 앞쪽에 각각 존재하며 하단부에 후방 돌출형 빠짐 방지 핀(16)을 갖고, 빠짐 방지 핀(16)을 쐐기(9) 방향으로 편향시키고 있는 스테인리스제 판스프링(17)을 구비한다. 쐐기(9)는 긴결 해제시에는 쐐기 안내 부재(11)보다 위쪽으로 일부가 돌출되고, 긴결시에는 쐐기 안내 부재(11)보다 아래쪽으로 일부가 돌출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며, 쐐기 안내 부재(11)의 양측벽(29)의 전방 에지 부근에서 판스프링(17)의 하단부와 거의 대응하는 위치에 쐐기 탈출 저지 바(10)가 가로질러 고정되어 있다(도 5 참조). 그리고, 쐐기 탈출 저지 바(10)가 횡단하고 긴결 해제시에 쐐기 탈출 저지 바(10)가 접하는 후방 에지(30)를 갖춘 종장형 구멍(8)이 쐐기(9)의 상하 이동에 필요한 세로 길이로 쐐기(9)에 형성되어 있다. 판스프링(17)의 상단부는 후크 형상부(12a)로 되어 있고, 그 볼록 원호 측이 쐐기 안내 부재(11)의 중앙벽(13) 뒷면에 접촉되게 되어 있다. 종장형 구멍(8)의 후방 에지(30)는 쐐기 안내 부재(11)의 중앙벽(13)의 경사도에 대응하는 경사도로 전방 하향으로 경사져 있다. 또한, 종장형 구멍(8) 대신에 이것과 같은 후방 에지를 갖는 앞쪽을 향하는 절결부로 하여도 좋다.
쐐기 후방 에지의 상부(18) 및 하부(19)가 쐐기 안내 부재(11)의 중앙벽(13)을 따르는 전방 하향 경사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쐐기(9)를 강하(降下)시켰을 때, 강하에 따라서 쐐기(9)가 지주(1)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쐐기(9)의 종장형 구멍(8)의 후방 에지(30)는, 긴결 해제시에는 쐐기 탈출 저지 바(10)와 판스프링(17)으로 쐐기(9)를 사이에 협지하여 쐐기(9)가 자중(自重)에 의해 쐐기 안내 부재(11) 안을 강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쐐기 탈출 저지 바(10)와 접하지만, 긴결시에는 쐐기(9)의 전방 에지(7)가 지주(1)에 압접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쐐기 탈출 저지 바(10)로부터 떨어지도록 되어 있다. 쐐기 안내 부재(11)의 중앙벽(13) 앞면과 마주하는 쐐기 후방 에지 중간부는, 쐐기 안내 부재(11)의 중앙벽(13) 앞면에 근접해 있는 근접면부(20)와, 그 아래쪽의 쐐기 안내 부재(11)의 중앙벽(13) 앞면에서 떨어져 있는 이격면부(21)를 포함하며, 쐐기의 근접면부(20) 및 이격면부(21)는, 받침 금구(2)의 중앙벽(5)의 경사도에 대응하는 경사도로 전방 하향 경사형으로 형성되고, 양자가 볼록 원호부(22)에 의해 이어져 있다. 그리고, 쐐기 안내 부재(11)의 가로대(3)로부터의 아래쪽이 받침 금구(2)에 대한 삽입부(23)가 되고 있다. 삽입부(23) 전방 에지의 대략 하반부는 후방 하향으로 약간 경사져 있어, 삽입부(23)의 받침 금구(2)에 대한 삽입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또한, 쐐기(9)의 상단부는 그 대략 전반부가 높이가 높은 해머 타격용 고부(高部)(32)로 되 어 있고, 그 대략 후반부가 긴결시 금속관제 가로대 내에 위치하도록 높이가 낮은 저부(低部)(34)로 되어 있다. 쐐기 안내 부재(11)의 중앙벽(13)에 있어서의 삽입부 부분에는, 핀 수납 구멍(24)이 형성되며, 쐐기 안내 부재(11)의 삽입부(23)가 받침 금구(2)에 삽입되어 받침 금구(2)의 상단에 가로대(3)의 단부가 받쳐져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 삽입부(23)의 하단이 받침 금구(2)보다 아래쪽으로 돌출되도록 되어 있고, 받침 금구(2)의 중앙벽(5)에는 핀 수납 구멍(24)에 대응하게 핀 수용 구멍(6)이 형성되어 있다. 판스프링 관통 구멍(15)을 뒤에서 앞으로 관통하고 있는 판스프링(17)의 하단부에는, 후방 돌출형 빠짐 방지 핀(16)이 있고, 항상 쐐기 안내 부재(11)의 핀 수납 구멍(24)에 끼워져 있기 때문에, 판스프링(17)의 상단을 쐐기 안내 부재(11)에 고정할 필요는 없지만, 물론 고정해 두더라도 좋다. 핀 수용 구멍(6)은, 결합 금구(4)가 받침 금구(2)로부터 위쪽으로 빠지려고 했을 때 빠짐 방지 핀(16)이 걸리는 상방 에지를 갖고 있다. 핀 수용 구멍(6)은 빠짐 방지 핀(16)을 받아들일 수 있는 오목부라도 좋다. 빠짐 방지 핀(16)의 선단 하부는 핀 수납 구멍(24)에 대한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전방 하향 경사형으로 되어 있다.
쐐기(9)의 근접면부(20)는, 빠짐 방지 핀(16)을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받침 금구(2)의 핀 수용 구멍(6)에 밀어 넣을 수 있을 정도로 근접해 있고, 쐐기(9)의 이격면부(21)는, 빠짐 방지 핀(16)을 스프링력에 의해 받침 금구(2)의 핀 수용 구멍(6)으로부터 빼낼 수 있을 정도로 떨어져 있다. 또한, 판스프링 관통 구멍(15)은, 횡단면이 한일자 형태인 판스프링(17)을 구멍에 관통시킬 때 위아래로 이동시 킬 수 있도록 각진 구멍으로 되어 있다. 빠짐 방지 핀(16)은, 수용 구멍(6)에 밀려 들어갈 때 거의 수평으로 되고(도 4 참조), 핀 수용 구멍(6)으로부터 빼내어졌을 때 후방 하향으로 비스듬하게 되기 때문에(도 3 참조), 핀 수납 구멍(24)은 종장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수용 구멍(6)은, 빠짐 방지 핀(16)을 간단히 받아들이고, 결합 금구(4)가 받침 금구(2)로부터 위로 빠지려고 했을 때, 그 상방 에지에 빠짐 방지 핀(16)이 걸리게 하는 것이므로 둥근 구멍이면 된다.
쐐기 안내 부재(11)는, 가로대(3)의 단부로부터 다음과 같이 아래쪽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가로대(3)는 강관으로 만들어진다. 그래서, 쐐기 안내 부재(11)의 상방 에지는 그 대략 전반이 높고 그 대략 후반이 낮은 단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금속관 단부의 상하 주벽 대향부에 있어서, 하부 주벽 측에는 쐐기 안내 부재(11)의 대응 부분이 밀접하게 끼워지는 형상의 コ자형의 하부 절결부(33)가 형성되고, 상부 주벽 측에는 쐐기 안내 부재(11)의 대략 전반의 상방 에지부(35)가 밀접하게 끼워지며 그 대략 후반의 상방 에지부(36)의 내측을 따르는 형상의 상부 절결부(25)가 형성되어 있고, 쐐기 안내 부재(11)는 그 대략 전반의 상방 에지부(35)가 관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되고 그 대략 후반의 상방 에지부(36)가 관의 내면에 접촉되도록 상하 절결부(25, 33)에 끼워 넣어지고, 상부 절결부(25)에서는 그 양측 에지의 대략 전반부에 있어서 쐐기 안내 부재(11)의 대략 전반의 상방 에지부(35)가 가로대(3)에 용접되고, コ자형의 하부 절결부(33)에서는, 그 양측 에지부에 있어서, 받침 금구(5)의 양측벽(26) 상단의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된 얕은 오목부(27)에 비드(28)가 끼워지도록, 오목부(27) 대응 부분에서 쐐기 안 내 부재(11)가 가로대(3)에 용접되어 있다.
또한, 쐐기(9)의 상단 저부(34)는 고부(32)에 대하여 단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긴결시에 틀비계용 박강판제의 바닥 구비 천패널의 클램프 금구가 걸리는 데 지장이 없을 정도로 후방 하향 경사형으로 형성하더라도 좋다.
상기한 내용에 있어서, 지주(1)에 가로대(3)를 긴결하기 위해, 지주(1)의 받침 금구(2)에 가로대(3)의 결합 금구(4)를 결합함에 있어서, 우선 결합 금구(4)를 받침 금구(2)에 넣는다. 그렇게 하면, 쐐기 안내 부재(11)의 삽입부(23)가 받침 금구(2)에 끼워져 가로대(3)의 단부 자체가 받침 금구(2)의 상방 에지에 받쳐 고정되기 때문에, 가로대(3)가 기울거나 하지 않고, 그 수평도가 보증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쐐기(9)는, 쐐기 탈출 저지 바(10)와 판스프링(17)에 의해 협지되어 쐐기 안내 부재(11)로부터 그 상부가 돌출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이어서 해머로 위에서 쐐기(9)를 두드려 내려가게 한다. 그렇게 하면, 쐐기(9)의 후방 에지 상부(18) 및 하부(19)가 쐐기 안내 부재(11)의 중앙벽(13) 앞면에 접하고 있으므로, 쐐기(9)의 강하에 따라서 쐐기(9)가 앞으로 이동하여 그 전방 에지의 수직부(7)가 지주(1)에 압접한다. 쐐기(9)의 강하에 따라, 판스프링(17)의 하단부에 있는 빠짐 방지 핀(16)에 대한 쐐기(9)의 후방 에지의 위치가 이격면부(21)에서 근접면부(20)로 옮겨지기 때문에, 쐐기 안내 부재(11)의 중앙벽(13)의 핀 수납 구멍(24)에 있는 빠짐 방지 핀(16)이 받침 금구(2)의 핀 수용 구멍(6)에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밀려 들어간다. 이상의 결과, 쐐기 작용에 의해, 지주(1)에 대하여 가로대(3)가 안정된 상태로 확실하게 수평으로 유지되어 긴결된다. 게다가, 떨어져 있 는 1쌍의 가로대(3)에 도시하지 않는 클램프 금구를 갖춘 박강판제의 바닥 구비 천패널이 부착된 경우, 이것에 아래로부터의 강한 풍압이 가해졌다고 해도, 결합 금구(4) 측의 빠짐 방지 핀(16)이 받침 금구(2)의 핀 수용 구멍(6)의 상방 에지에 걸려, 결합 금구(4)가 받침 금구(2)로부터 위로 빠질 위험성은 없다.
지주(1)의 받침 금구(2)로부터 가로대(3)의 결합 금구(4)를 벗기려면, 받침 금구(2)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쐐기(9)의 하단부를 해머로 두드려 올리면, 쐐기(9)의 상승에 따라서 쐐기 작용이 해제되며, 판스프링(17)의 하단부에 있는 빠짐 방지 핀(16)에 대한 쐐기(9)의 후방 에지의 위치가, 근접면부(20)에서 이격면부(21)로 옮겨지기 때문에, 받침 금구(2)의 핀 수용 구멍(6)에 있는 빠짐 방지 핀(16)이, 판스프링(17)의 힘에 의해 빼내어져 쐐기 안내 부재(11)의 핀 수납 구멍(24)으로 되돌아간다. 그렇게 하면, 쐐기 안내 부재(11)는 받침 금구(2)에 대하여 자유로워지기 때문에, 가로대(3)를 들어 올리면, 받침 금구(2)로부터 결합 금구(4)를 벗길 수 있어, 지주(1)에 대한 가로대(3)의 긴결을 해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예측치 못한 가로대(3)의 지주(1)로부터의 긴결 해제와 지주(1)에 대한 가로대(3)의 불안정함을 함께 없앨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결합 금구를 갖춘 가로대의 단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지주에 가로대를 긴결하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은 결합 금구를 받침 금구에 넣어, 가로대가 받침 금구의 상단에 받쳐져 고정된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를 잘라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 쐐기를 강하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를 잘라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V-V선을 따라 취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결합 금구를 갖춘 가로대의 단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주
2 : 받침 금구
3 : 가로대
4 : 결합 금구
7 : 수직부
8 : 종장형 구멍
9 : 쐐기
11 : 쐐기 안내 부재
16 : 빠짐 방지 핀
17 : 판스프링
20 : 근접면부
21 : 이격면부
23 : 삽입부
24 : 핀 수납 구멍

Claims (2)

  1. 지주의 정해진 높이 외주에 고착된 받침 금구(金具)와, 2개의 지주 사이에 가로놓이는 가로대의 단부에 앞쪽이 노출되도록 매립 부설되고 받침 금구에 걸려 고정되는 결합 금구를 포함하며,
    받침 금구는, 평면에서 보아 コ자형이고 중앙벽이 전방 하향으로 경사져 있으며, 결합 금구는, 긴결(緊結)시에 지주에 밀접하는 수직부를 갖는 전방 에지를 구비한 세로로 긴 판 형상의 쐐기; 평면에서 보아 받침 금구에 끼워지는 크기의 コ자형이며 중앙벽이 받침 금구의 중앙벽과 동일한 경사도로 전방 하향으로 경사져 있고, 일부가 가로대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되며 쐐기가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쐐기 안내 부재; 및 상측부가 쐐기 안내 부재의 중앙벽 뒤쪽에, 하측부가 중앙벽에 형성된 판스프링 관통 구멍을 관통하여 중앙벽 앞쪽에 각각 존재하고, 하단부에 후방 돌출형 빠짐 방지 핀을 가지며, 빠짐 방지 핀을 쐐기 방향으로 편향시키고 있는 판스프링을 구비하며,
    쐐기 안내 부재의 양측벽에 쐐기 탈출 저지 바가 가로질러 고정되어 있고, 쐐기 탈출 저지 바가 횡단하고 긴결 해제시에 쐐기 탈출 저지 바가 접하는 후방 에지를 갖춘 앞쪽을 향하는 절결부 또는 종장(縱長)형 구멍이 쐐기의 상하 이동에 필요한 세로 길이로 쐐기에 형성되며, 쐐기 후방 에지의 상부 및 하부가 쐐기 안내 부재의 중앙벽을 따르는 경사형으로 형성되고,
    쐐기 안내 부재의 중앙벽 앞면과 마주하는 쐐기 후방 에지 중간부가, 쐐기 안내 부재의 중앙벽 앞면에 근접해 있는 근접면부와, 그 아래쪽의 쐐기 안내 부재의 중앙벽 앞면에서부터 떨어져 있는 이격면부를 포함하며,
    쐐기 안내 부재의 가로대로부터의 아래쪽이 받침 금구에 대한 삽입부가 되고, 쐐기 안내 부재의 중앙벽에 있어서의 삽입부 부분에는 핀 수납 구멍이 형성되며, 쐐기 안내 부재의 삽입부가 받침 금구에 삽입되어 받침 금구의 상단에 가로대의 단부가 받쳐져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 받침 금구의 중앙벽에 핀 수납 구멍에 대응하게 핀 수용부가 형성되고,
    핀 수용부는, 결합 금구가 받침 금구로부터 위쪽으로 빠지려고 했을 때 빠짐 방지 핀이 걸리는 상방 에지를 갖고 있으며, 쐐기의 근접면부는, 빠짐 방지 핀을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받침 금구의 핀 수용부에 밀어 넣을 수 있을 정도로 근접해 있고, 쐐기의 이격면부는, 빠짐 방지 핀을 스프링력에 의해 받침 금구의 핀 수용부로부터 빼낼 수 있을 정도로 떨어져 있으며,
    쐐기 안내 부재의 상방 에지는 그 전반이 높고 그 후반이 낮은 단(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가로대가 금속관으로 만들어진 것이며,
    금속관 단부의 상하 주벽 대향부에 있어서, 하부 주벽 측에는 쐐기 안내 부재의 대응 부분이 밀접하게 끼워지는 형상의 하부 절결부가 형성되고, 상부 주벽 측에는 쐐기 안내 부재의 전반의 상방 에지부가 밀접하게 끼워지며 그 후반의 상방 에지부의 내측을 따르는 형상의 상부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고, 쐐기 안내 부재는 그 전반의 상방 에지부가 관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되며 그 후반의 상방 에지부가 관의 내면에 접촉되도록 상하 절결부에 끼워 맞춰져 가로대에 용접되어 있고,
    쐐기 안내 부재에 삽입된 쐐기는, 긴결시에 그 상방 에지 전체 중 틀비계용 박강판제의 바닥 구비 천패널의 클램프 금구가 걸리는 부분이 금속관제 가로대 내에 위치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인 쐐기 긴결식 비계에서의 긴결 장치.
  2. 삭제
KR1020090011883A 2009-02-13 2009-02-13 쐐기 긴결식 비계에서의 긴결 장치 KR101522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883A KR101522737B1 (ko) 2009-02-13 2009-02-13 쐐기 긴결식 비계에서의 긴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883A KR101522737B1 (ko) 2009-02-13 2009-02-13 쐐기 긴결식 비계에서의 긴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2652A KR20100092652A (ko) 2010-08-23
KR101522737B1 true KR101522737B1 (ko) 2015-05-26

Family

ID=42757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1883A KR101522737B1 (ko) 2009-02-13 2009-02-13 쐐기 긴결식 비계에서의 긴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27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36506B1 (ja) 2021-12-17 2022-09-13 東阪工業株式会社 くさび緊結式足場における緊結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31864A (zh) * 2010-12-07 2011-04-27 福建工程学院 一种脚手架的连接装置
CN102134905A (zh) * 2011-01-21 2011-07-27 黄明光 脚手架
JP5016736B1 (ja) * 2012-04-12 2012-09-05 ホリー株式会社 仮設足場用継手
CN116220336B (zh) * 2023-04-25 2023-07-21 邢台路桥建设集团有限公司 自锁紧耐用脚手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80743A (ja) * 2007-05-10 2008-11-20 Tohan Kogyo Kk くさび緊結式足場における緊結装置
JP2008280742A (ja) * 2007-05-10 2008-11-20 Tohan Kogyo Kk くさび緊結式足場における緊結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80743A (ja) * 2007-05-10 2008-11-20 Tohan Kogyo Kk くさび緊結式足場における緊結装置
JP2008280742A (ja) * 2007-05-10 2008-11-20 Tohan Kogyo Kk くさび緊結式足場における緊結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36506B1 (ja) 2021-12-17 2022-09-13 東阪工業株式会社 くさび緊結式足場における緊結装置
JP2023089998A (ja) * 2021-12-17 2023-06-29 東阪工業株式会社 くさび緊結式足場における緊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2652A (ko) 2010-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20561B2 (ja) くさび緊結式足場における緊結装置
KR101522737B1 (ko) 쐐기 긴결식 비계에서의 긴결 장치
JP4220560B2 (ja) くさび緊結式足場における緊結装置
KR101357240B1 (ko) 비닐하우스 구조보강 장치
JP5210215B2 (ja) 足場材の楔連結金具
JP4220559B2 (ja) くさび式緊結式足場における緊結装置
JP6271073B1 (ja) くさび緊結式足場における緊結装置
JP5366696B2 (ja) 隙間塞ぎ板付き幅木
JP5648145B1 (ja) くさび緊結式足場における緊結装置
JP5677616B1 (ja) くさび緊結式足場における緊結装置
JP5613858B1 (ja) くさび緊結式足場における緊結装置
JP2008025185A (ja) 雪留金具
CA2513196C (en) Scaffolding bracket
JP2010126962A (ja) 朝顔装置
KR20100045812A (ko) 파이프고정용 클램프
JP2006152686A (ja) 固定金具及び筋交部材
JP6695545B1 (ja) くさび緊結式足場における緊結装置
KR200458475Y1 (ko) 웨일러 클램프
JP2016160586A (ja) 足場用筋交連結構造
JP3051703B2 (ja) 足場用手すり器
JP3228703U (ja) 足場板固定装置のベルト締結ユニット
JP2816953B2 (ja) 建築足場用ロック付き手摺柱
JP5613860B1 (ja) くさび緊結式足場における緊結装置
JP4667398B2 (ja) 足場等の支柱と横ステーの連結装置
JP2700383B2 (ja) 安全索張設用支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