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1378B1 -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 - Google Patents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1378B1
KR101521378B1 KR1020137034426A KR20137034426A KR101521378B1 KR 101521378 B1 KR101521378 B1 KR 101521378B1 KR 1020137034426 A KR1020137034426 A KR 1020137034426A KR 20137034426 A KR20137034426 A KR 20137034426A KR 101521378 B1 KR101521378 B1 KR 101521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meter side
circumferential direction
portions
rim
ax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4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4297A (ko
Inventor
유타카 이시바시
Original Assignee
닛뽄 세이꼬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1228036A external-priority patent/JP583112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1227776A external-priority patent/JP595369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1228035A external-priority patent/JP5831120B2/ja
Application filed by 닛뽄 세이꼬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닛뽄 세이꼬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14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4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1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1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46Cages for rollers or nee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46Cages for rollers or needles
    • F16C33/4617Massive or moulded cages having cage pockets surrounding the rollers, e.g. machined window cages
    • F16C33/4623Massive or moulded cages having cage pockets surrounding the rollers, e.g. machined window cages formed as one-piece cages, i.e. monoblock cages
    • F16C33/4635Massive or moulded cages having cage pockets surrounding the rollers, e.g. machined window cages formed as one-piece cages, i.e. monoblock cages made from plastic, e.g. injection moulded window c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2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 F16C19/24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for radial load mainly
    • F16C19/26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for radial load mainly with a single row of 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46Cages for rollers or needles
    • F16C33/4694Single-split roller or needle c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46Cages for rollers or needles
    • F16C33/50Cages for rollers or needles formed of interconnected members, e.g.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46Cages for rollers or needles
    • F16C33/51Cages for rollers or needles formed of unconnected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46Cages for rollers or needles
    • F16C33/51Cages for rollers or needles formed of unconnected members
    • F16C33/513Cages for rollers or needles formed of unconnected members formed of arcuate segments for carrying one or more rollers
    • F16C33/516Cages for rollers or needles formed of unconnected members formed of arcuate segments for carrying one or more rollers with two segments, e.g. double-split cages with two semicircular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2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 F16C19/44Needle bearings
    • F16C19/48Needle bearings with two or more rows of nee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40/00Specified values or numerical ranges of parameters; Relations between them
    • F16C2240/40Linear dimensions, e.g. length, radius, thickness, gap
    • F16C2240/46Gap sizes or clearan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61/00Apparatus or articles in engineering in general
    • F16C2361/61Toothed gear systems, e.g. support of pinion shafts

Abstract

본 발명은, 상대 부재의 안내면이 축방향 단면의 전체 영역을 지승할 수 없는 경우에서도, 조립 장착 방향의 제약을 받지 않고, 축방향 단면이 안내면과의 마찰에 의해 마모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액시얼 드로 성형제의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를 실현한다. 보지기(7c)를, 원환상의 한쌍의 림부(8e, 8f)와 복수의 기둥부(9)로 구성하고,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기둥부(9)끼리의 사이를 포켓(10)으로 한다. 림부(8e, 8f)에는, 외주면 중에서 포켓(10)과 축방향으로 정합하는 부분의 복수 개소에 외경측 오목부(23a, 23b)를 마련하고, 내주면의 포켓(10)과 축방향으로 정합하는 부분 중에서, 외경측 오목부(23a, 23b)와 원주방향에 관한 위상이 다른 복수 개소에 내경측 오목부(24a, 24b)를 마련한다. 또한, 한쪽의 림부(8e)와 다른쪽의 림부(8f)에서, 외경측 오목부(23a, 23b) 및 내경측 오목부(24a, 24b)의 원주방향에 관한 위상을 각각 다르게 한다.

Description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RADIAL ROLLER BEARING RETAINER}
본 발명은 자동차의 트랜스미션 등에 사용되는 래디얼 롤러 베어링에 조립되는, 액시얼 드로(axial draw) 성형제(成形製)의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나 철도 차량 등의 차량에 구비된 각종 동력 기구 중 회전 지지부에는, 운전시에, 래디얼 방향(직경방향)에 큰 하중이 가해진다. 이 때문에, 이와 같은 회전 지지부에 조립되는 베어링으로서,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래디얼 방향으로의 하중에 대한 부하 능력이 뛰어난 래디얼 롤러 베어링(1)이 종래부터 널리 이용되고 있다.
래디얼 롤러 베어링(1)은, 사용시에도 회전하지 않는 하우징 등의 외경측 부재(2)의 내주면에 마련한 원통면상의 외륜 궤도(3)와, 회전축 등의 축(4)의 외주면에 마련한 원통면상의 내륜 궤도(5) 사이에, 복수의 롤러(바늘 형상 롤러를 포함함)(6)를, 보지기(7)에 의해 전동 가능하게 보지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외경측 부재(2)와 축(4)으로서, 사용시에 회전하는 치차나 롤러와, 사용시에 회전하지 않는 지지축이 조합되는 경우도 있다.
보지기(7)는, 합성 수지 재료에 의해, 전체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보지기(7)는,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서로 동심으로 배치된, 각각이 원환상인 한쌍의 림부(rim section)(8)와, 원주방향에 걸쳐서 간헐적으로, 림부(8)끼리의 걸쳐 놓인 상태로 마련된 복수개의 기둥부(9)를 구비한다. 그리고,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기둥부(9)와 양측의 림부(8)에 의해 사방이 둘러싸여진 부분을, 롤러(6)를 전동 가능하게 보지하기 위한 포켓(10)으로 하고 있다. 보지기(7)는, 각각의 포켓(10) 내에 롤러(6)를 전동 가능하게 보지하며, 복수의 롤러(6)를 원주방향으로 소정 간격(예를 들어 등 간격)으로 배열한 상태로, 외경측 부재(2)의 내주면과 축(4)의 외주면 사이에, 이들 외경측 부재(2) 및 축(4)에 대한 상대 회전이 가능하게 배치된다. 보지기(7)는, 롤러(6)의 공전 운동에 따라서, 외경측 부재(2) 및 축(4)에 대하여 상대 회전한다.
이와 같은 보지기의 성형 방법 중 하나인 액시얼 드로 성형은, 한쌍의 분할형(split mold)(금형 소자)에 의해 구성되는 금형(액시얼 드로형)의 캐비티 내에 합성 수지를 사출 성형한 후, 이들 분할형을 각각 축방향으로 떼어 놓는 것에 의해 실행된다. 이 때문에, 분할형을 취출할 때에, 포켓의 개구 연부에 돌출하는 상태로 마련된, 롤러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한 빠짐 방지부(체결대(engagement allowance)에 상당하는 부위)에, 소성 변형이나 백화 등의 손상을 일으키게 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액시얼 드로 성형은, 롤러의 대경화나 롤러 수의 증가에 기인하여, 빠짐 방지부의 체적을 크게 할 필요가 있으며, 빠짐 방지부를 탄성적으로 눌러 넓혀 금형 소자를 외경측으로 취출하는 것과 같은 작업이 곤란하게 될 경우, 및 기둥부가 롤러의 피치원 직경보다 직경방향 외측에 배치됨으로써, 금형 소자를 직경방향 외측으로 취출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 등에 채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빠짐 방지부의 체적이 큰 구조의 보지기를, 직경방향으로 이동하는 금형 소자를 이용한 래디얼 드로 성형에 의해 만드는 경우, 빠짐 방지부의 휨(curling back)이 커질 뿐, 충분한 빠짐 방지가 도모되지 않는다. 이에 반해, 액시얼 드로 성형에 의하면, 빠짐 방지부에 휨이 생기게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충분한 빠짐 방지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런데, 래디얼 롤러 베어링(1)을 조립할 때에, 보지기(7)를, 내륜 궤도(5)의 주위에 배치시키기 위해서는, 이러한 보지기(7)를, 축(4)의 단부로부터 관통 삽입하고, 또한 내륜 궤도(5)의 주위까지 축방향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그런데, 축(4)의 외주면 중, 축방향에 관하여 축(4)의 단부와 내륜 궤도(5)와의 사이 부분에, 그 외경 치수가 보지기(7)의 내경 치수보다 커진 외향 플랜지 형상의 칼라부 등의 장애물이 존재했을 경우, 이러한 장애물이 방해가 되어, 보지기(7)를 내륜 궤도(5)의 주위까지 축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없게 된다.
그래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보지기로서 일본 특허 공개 제 1990-89814 호 공보 및 영국 특허 출원 공개 제 1352909 호 명세서에는, 원주방향 1개소에 불연속부를 갖는, 액시얼 드로 성형에 의해 만들어진 보지기(분할형 보지기)가 기재되어 있다. 도 26은 영국 특허 출원 공개 제 1352909 호 명세서에 기재된 보지기(7a)를 도시한 것이다. 보지기(7a)는, 합성 수지제이며, 한쌍의 림부(8a, 8b) 중에서, 원주방향에 관한 위상이 서로 거의 동일한 부분에, 각각 절결부(18a, 18b)를 마련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보지기(7a)의 원주방향 1개소에 불연속부(11)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불연속부(11)를 사이에 두고 마련된, 림부(8a, 8b) 및 기둥부(9)에 의해 구성되는 보지기(7a)의 단부(12a, 12b)끼리를, 결합부(13)에 의해, 축방향 및 직경방향에 관한 상대 변위를 불가능하게 요철 결합시키고 있다.
단부(12a, 12b)에는, 각각이 결합부(13)를 구성하는, 외경측 결합편(14a, 14b) 및 내경측 결합편(15a, 15b)을 1세트씩 형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한쪽의 단부(12a) 중, 외경측 반부의 축방향 편반부에 외경측 결합편(14a)을, 내경측 반부의 축방향 타반부에 내경측 결합편(15a)을 각각 형성하고 있다. 또한, 다른쪽의 단부(12b) 중, 외경측 반부의 축방향 타반부에 외경측 결합편(14b)을, 내경측 반부의 축방향 편반부에 내경측 결합편(15b)을 각각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결합부(13)의 외경측 반부와 내경측 반부에서, 한쌍의 외경측 결합편(14a, 14b)끼리 및 한쌍의 내경측 결합편(15a, 15b)끼리를 각각 축방향으로 결합시킨다. 또한, 결합부(13)의 축방향 편반부와 축방향 타반부에서, 외경측 결합편(14a)과 내경측 결합편(15b), 및 외경측 결합편(14b)과 내경측 결합편(15a)을 각각 직경방향으로 결합시킨다. 또한, 도시의 예에서는, 단부(12a, 12b)끼리가 결합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고 있지만, 보지기(7a)를 래디얼 롤러 베어링에 조립한 상태에서는, 불연속부(11)의 폭이 좁아져, 단부(12a, 12b)끼리가 결합한다.
또한, 한쌍의 림부(8a, 8b)의 주면에는, 각각 외경측 오목부(16a) 및 내경측 오목부(16b)를 형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한쪽의 림부(8a)의 외주면 중, 포켓(10)과 축방향으로 정합하는 부분에, 직경방향 내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패인 외경측 오목부(16a)를 형성하는 동시에, 다른쪽의 림부(8b)의 내주면 중, 포켓(10)과 축방향으로 정합하는 부분에, 직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패인 내경측 오목부(16b)를 형성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보지기(7a)는 액시얼 드로 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이 때문에,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한쌍의 금형 소자 및 직경방향으로 이동하는 복수의 금형 소자로 구성되며, 금형의 형상이 복잡해지는 래디얼 드로 성형에 의해 만들어지는 보지기에 비하여, 그 제조 비용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보지기(7a)를 탄성 변형시키는 것에 근거하여, 불연속부(11)의 폭을 원주방향으로 넓힐 수 있다. 이 때문에, 이러한 불연속부(11)의 폭을, 보지기(7a)를 조립하는 회전축 등의 축(4)의 외경 치수보다 크게 넓힘으로써, 불연속부(11)에 축(4)을 통과시키도록 하여, 보지기(7a)를 축(4)의 주위에 조립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혹은, 보지기(7a)의 내경 치수를, 장애물을 피할 수 있을 정도로 탄성적으로 넓힘으로서, 이러한 보지기(7a)를 축(4)의 주위에 축방향으로 이동시켜 조립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상술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보지기(7a)의 경우, 축방향 양 단부면의 형상[한쌍의 림부(8a, 8b)의 축방향 측면의 형상]이, 일단측과 타단측과 각각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일단측의 림부(8a)는, 외주면에 외경측 오목부(16a)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그 외경측 측면이 불연속면으로 되어 있으며, 그 외경 치수가, 포켓(10)과 축방향으로 정합하는 부분보다 기둥부(9)와 축방향으로 정합하는 부분에서 커지고 있지만, 일단측의 림부(8a)의 내경측 측면은 연속면으로 되어 있으며, 그 내경 치수는 일정하다. 이것에 대하여, 타단측의 림부(8b)는, 내주면에 내경측 오목부(16b)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그 외경측 측면이 연속면으로 되어 있으며, 그 외경 치수가 일정하지만, 타단측의 림부(8)의 내경측 측면은 불연속면으로 되어 있으며, 그 내경 치수가, 포켓(10)과 축방향으로 정합하는 부분보다 기둥부(9)와 축방향으로 정합하는 부분에서 작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축방향 양단면의 형상이 다른 보지기(7a)를 사용하는 경우에서도, 래디얼 롤러 베어링을 조립 장착하는 회전축 등의 상대 부재에 마련된 안내면이, 보지기(7a)의 축방향 단부면의 전체 영역(직경방향 및 원주방향의 전체 범위)을 지승할 수 있는 구조이면, 특별히 문제를 일으키는 일은 없다. 그렇지만, DCT(듀얼·클러치·트랜스미션)의 라이닝 부위 등과 같이, 상대 부재에 마련되는 안내면이 보지기(7a)의 축방향 단면의 전체 영역을 지승할 수 없는 구조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즉, 보지기(7a)의 축방향 양단면 중에서, 면적이 작아진 불연속부[림부(8a)의 외경측 측면 혹은 림부(8b)의 내경측 측면]를 상대 부재의 안내면에 접촉시켜서, 래디얼 롤러 베어링의 축방향 안내(위치 결정)를 하는 경우, 롤러의 스큐(skew) 등에 기인한 축방향으로의 가압력에 의해서, 불연속부와 안내면이 강하게 접촉하여, 보지기(7a)의 축방향 단면(불연속부)이 마찰에 의해 마모하여 버릴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마모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 래디얼 롤러 베어링[보지기(7a)]의 조립 방향을 제한하는(연속부를 안내면에 접촉시키는) 방법도 채용할 수 있지만, 이와 같은 경우에는, 래디얼 롤러 베어링을 조립할 때의 작업 효율이 손상되는 것과 같은 문제를 일으켜 버린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보지기(7a)의 경우, 축방향 치수(폭 치수)가 작은 래디얼 롤러 베어링에 조립하기 위해서, 이 보지기(7a)의 축방향 치수를 작게 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즉, 보지기(7a)는, 결합부(13)를 구성하는 모든 결합편(14a, 14b, 15a, 15b)의 축방향 치수 및 직경방향 치수가, 단부(12a, 12b)의 축방향 치수 및 직경방향 치수의 대략 반이다. 이 때문에, 각각의 결합편(14a, 14b, 15a, 15b)의 원주방향 단부면의 면적은, 불연속부(11)를 사이에 두고 원주방향으로 대향하는 단부면(17a, 17b)의 각각의 전체적인 면적의 대략 1/4이 된다. 게다가, 보지기(7a)의 조립 장착 상태에서의, 결합편(14a, 14b, 15a, 15b)의 원주방향 단부면과 이들 단부면에 원주방향으로 대향하는 각각의 상대면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의 크기를, 모두 일치시키는 것은 어렵다. 그 이유는, 간극의 크기를 전부 동일하게 규제하는 것은, 높은 사출 성형성이나 형태 정밀도가 요구되어, 제작상 곤란한 동시에, 제조 비용의 대폭적인 증대를 초래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보지기(7a)를 조립한 래디얼 롤러 베어링의 운전시, 원주방향으로 대향하는 단부면(17a, 17b)끼리가 접촉(충돌)하는 경우에, 결합편(14a, 14b, 15a, 15b) 중 어느 하나의 원주방향 단부면과, 그 상대면만이 접촉할 가능성이 있으며, 접촉 면적이 작아진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보지기(7a)의 축방향 치수가 충분히 크면, 접촉 면적을 어느 정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문제점이 생기기 어렵지만, 이러한 보지기(7a)의 축방향 치수가 작아지면, 접촉 면적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은 어려워진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접촉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는 경우에는, 단부면(17a, 17b)끼리가 접촉했을 경우에, 이들 단부면(17a, 17b)끼리가 비 평행하게 경사진 상태가 되어, 단부(12a, 12b)의 근방에 보지된 롤러가 스큐한다. 이 결과, 보지기(7a)의 거동이 불안정하게 되는 것과 같은 문제점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또한, 보지기(7a)에 부하되는 모멘트 하중이 커지거나, 이러한 보지기(7a)가 비원통 형상으로 탄성 변형하거나 하는 등, 이러한 보지기(7a)의 거동이 불안정하게 될 가능성도 있다. 게다가, 스큐가 발생하거나 단부면(17a, 17b)끼리가 접촉했을 시의 접촉 부분에 응력이 집중하거나 했을 경우, 보지기(7a)의 파손을 일으킬 가능성도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원주방향의 1개소에 불연속부(11)를 마련한 보지기(7a)의 경우, 조립 작업 중의 취급 미스에 의해, 불연속부(11)의 폭이 원주방향으로 과도하게 넓어질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이 불연속부(11)의 폭이 원주방향으로 과도하게 넓어지면, 합성 수지제인 보지기(7a)가 백화하거나, 혹은 복수의 포켓(10)의 개구부가 넓어져서, 포켓(10) 내에 보지된 롤러(6)가 외부로 탈락하거나 하는 등의 문제점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사태를 회피할 수 있는 보지기로서, 독일 특허 출원 공개 제 4222175 호 명세서에는, 도 27의 (a)에 도시하는 보지기(7b)가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보지기(7b)의 경우, 한쌍의 림부(8c, 8d) 중, 원주방향에 관한 위상이 서로 거의 동일한 부분에, 각각 절결부(18c, 18d)를 마련하고 있다. 이것과 함께, 한쪽의 림부(8c)의 원주방향 일단부[절결부(18c)의 하측에 존재하는 단부]와, 다른쪽의 림부(8d)의 원주방향 타단부[절결부(18d)의 상측에 존재하는 단부]에 걸쳐 놓인 상태에서, 탄성 연결부(19)를 마련하고 있다. 탄성 연결부(19)는 림부(8c, 8d) 및 기둥부(9)에 비하여 얇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탄성 연결부(19)는, 보지기(7b)의 내경 치수를 탄성적으로 넓힐 수 있도록, 도 27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결부(18c, 18d)의 폭을 원주방향으로 넓히는 것에 따라서, 원주방향에 관하여 탄성적으로 신장한다. 그리고, 이러한 탄성 연결부(19)의 신장량의 한도를 초과하여, 절결부(18c, 18d)의 폭이 과도하게 넓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것과 함께, 이러한 탄성 연결부(19)에서 발생한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절결부(18c, 18d)의 폭을 원래대로 되돌리는 작용을 일으킨다.
이와 같은 보지기(7b)는 래디얼 롤러 베어링을 구성하는 외륜 궤도 및 내륜 궤도에 프레팅 마모(fretting wear)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자동차용 수동 변속기 내의 회전 지지 부분에서는, 자동차용 수동 변속기를 구성하는 치차(20a, 20b)를, 동력 전달축(21)의 주위에, 래디얼 롤러 베어링(1a, 1b) 및 싱크로 기구(22a, 22b)를 거쳐서, 이러한 동력 전달축(21)과 동심으로 설치하고 있다. 한쪽의 치차(20a)에 대응하는 변속단이 선택되었을 경우, 이러한 선택된 변속단에 대응하는 치차(20a)는, 싱크로 기구(22a)에 의해 동력 전달축(21)과 결합되며, 이러한 동력 전달축(21)과 동기하여 회전하게 된다. 이것에 대하여, 선택된 변속단에 대응하지 않은 다른 치차(20b)는 동력 전달축(21)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된다. 래디얼 롤러 베어링(1a, 1b)은 선택된 변속단에 대응하지 않는 치차(20a 또는 20b)와 동력 전달축(21)과의 상대 회전을 허용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따라서, 한쪽의 치차(20a)에 대응하는 변속단이 선택되었을 경우, 이러한 선택된 변속단에 대응하는 치차(20a)와 동력 전달축(21) 사이에 마련한, 래디얼 롤러 베어링(1a)을 구성하는 롤러(6a)는, 치차(20a)의 내주면인 외륜 궤도(3a)와, 동력 전달축(21)의 외주면인 내륜 궤도(5a) 사이에서, 자전도 공전[치차(20a) 및 동력 전달축(21)에 대한 상대 회전]도 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단, 이러한 상태에서도, 운전에 수반하는 진동이나, 치차(20a) 및 동력 전달축(21)의 회전에 따른 부하권 및 비부하권의 이동에 의해, 롤러(6a)가 치차(20a) 및 동력 전달축(21)의 직경방향으로 세밀하게 변위(진동)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진동에 따라서, 외륜 궤도(3a)와 내륜 궤도(5a)에 프레팅 마모가 생기기 쉬워진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보지기(7b)의 경우에는, 회전에 근거하여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해, 탄성 연결부(19)를 탄성적으로 신장시키고, 이러한 보지기(7b)를 확경시키거나, 혹은 회전 속도의 저하에 근거하여 탄성 연결부(19)를 탄성적으로 복원시켜서, 이러한 보지기(7b)를 축경시키거나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롤러(6a)의 전동면과 외륜 궤도(3a) 및 내륜 궤도(5a)와의 접촉 위치를 이동(변동)시킬 수 있어서, 프레팅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단, 상술한 구조를 구비하는 보지기(7b)의 경우에서도,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즉, 탄성 연결부(19)를, 한쪽의 림부(8c)의 원주방향 일단부와 다른쪽의 림부(8d)의 원주방향 타단부에 놓은 상태에서, 1개만 마련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사용 조건 등에 의해서는, 탄성 연결부(19)가 발휘하는 탄력이 부족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운전시에, 보지기(7b)가 확경 혹은 축경할 때에, 탄성 연결부(19)에 의해, 한쪽의 림부(8c)의 원주방향 일단부와 다른쪽의 림부(8d)의 원주방향 타단부에 모멘트력이 작용하여, 이러한 부분이, 축방향에 관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가압하거나 당기게 된다. 이것에 의해, 림부(8c, 8d)의 원주방향 일단부의 축방향 측면과 원주방향 타단부의 축방향 측면[절결부(18c, 18d)]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축방향끼리)]이,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림부(8c, 8d)의 축방향 측면이, 이들 축방향 측면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면[보지기(7b)의 중심축에 직교하는 가상 평면]에 대하여 경사질 가능성이 있다.
또한, 보지기(7b)의 경우, 그 두께가 작은 것에 기인하여, 탄성 연결부(19)의 강도가 다른 부분에 비하여 낮기 때문에, 이러한 탄성 연결부(19)에서의 냉각 수축량이 다른 부분에 비해 커져서, 냉각 불균일을 일으키기 쉽다. 이 때문에, 탄성 연결부(19)에 의해 연결된 부분끼리[한쪽의 림부(8c)의 원주방향 일단부와 다른쪽의 림부(8d)의 원주방향 타단부]의 거리가, 소망의 값보다 작아질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초기 상태에 있어서도, 림부(8c, 8d)의 축방향 측면이 상대 부재에 마련되는 안내면에 대하여 경사질 가능성이 있다. 또한, 보지기(7b) 중에서, 절결부(18c, 18d)를 사이에 두고 마련된 양 단부의 근방에 배치된 포켓(10)에 보지된 롤러에 스큐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이 결과, 보지기(7b)의 거동이 불안정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 1990-89814 호 공보 영국 특허 출원 공개 제 1352909 호 명세서 독일 특허 출원 공개 제 4222175 호 명세서
본 발명은 상술과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액시얼 드로 성형에 의해 만들 수 있으며, 조립 장착 방향의 제약을 받는 일이 없이, 축방향 단면이 상대 부재의 안내면과의 마찰에 의해 마모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를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서, 조립 장착 작업성이 양호하며, 또한 축방향 치수가 작은 경우라도, 사용시의 거동을 안정시키는 것이 가능한,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를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서, 조립 장착 작업성이 양호하며, 프레팅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탄성 연결부에 충분한 탄력을 발휘시킬 수 있으며, 또한 운전시에 있어서의 거동을 안정시키는,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를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는, 한쌍의 분할형에 의해 구성되는 액시얼 드로형을 사용한 합성 수지의 액시얼 드로 성형에 의해 일체로 만들어지고 있으며, 한쌍의 림부와, 복수개의 기둥부와, 복수개의 포켓을 구비한다.
상기 한쌍의 림부는, 각각이 대략 원환상이며,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서로 동심으로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둥부는, 원주방향에 걸쳐서 간헐적으로, 상기 림부끼리 사이에 놓이는 상태로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포켓의 각각은, 상기 림부와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상기 기둥부에 의해 사방이 둘러싸이는 부분에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의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는 림부의 형상으로 특징을 갖는다. 즉, 상기 림부의 각각에 있어서, 그 외주면 중에서 상기 포켓과 축방향으로 정합하는 복수 개소에, 직경방향 내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패인 외경측 오목부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림부의 각각에 있어서, 그 내주면 중에서 상기 포켓과 축방향으로 정합하며, 또한 상기 외경측 오목부와 원주방향에 관한 위상이 다른 복수 개소에, 직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패인 내경측 오목부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림부를 구성하는 한쪽의 림부와 다른쪽의 림부 사이에서, 상기 외경측 오목부 및 상기 내경측 오목부의 원주방향에 관한 위상을 각각 다르게 하고, 상기 림부 중에서 상기 포켓의 각각의 축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외경측 오목부와 내경측 오목부를 각각 1개씩 배치하고 있다.
상기 림부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외경측 오목부와 상기 내경측 오목부를, 원주방향으로 1개씩 혹은 복수 2개 교대로 마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외경측 오목부와 상기 내경측 오목부를, 원주방향으로 동일한 개수씩 교대로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림부의 각각을, 원주방향 1개소에 절결부를 갖는 불완전한 원환상으로 하고, 이들 절결부의 폭을 원주방향으로 넓힘으로써 탄성적으로 확경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상기 한쪽의 림부와 상기 다른쪽의 림부에서, 절결부의 원주방향에 관한 위상을 거의 일치시킨다.
대체적으로, 상기 림부의 각각을, 복수의 대략 원호 형상의 분할체를 대략 원환상으로 조합시키는 것에 의해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림부의 각각을 불완전한 원환상으로 구성하는 경우, 이들 림부 및 상기 기둥부 중, 상기 절결부의 위치를 사이에 두고 마련된 원주방향으로 원근동(遠近動) 가능한 단부끼리의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탄성 변형(신축) 가능한 탄성 연결부를 놓는 상태로 마련할 수 있다.
대체적으로는, 상기 림부 및 상기 기둥부 중, 상기 절결부의 위치를 사이에 두고 마련된 원주방향으로 원근동 가능한 단부끼리의 사이에, 이들 단부끼리 중 적어도 축방향에 관한 상대 변위, 혹은 축방향 및 직경방향의 양쪽에 관한 상대 변위를 불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를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탄성 연결부를 마련하는 경우, 상기 한쪽의 림부의 상기 절결부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원주방향 양 단부 중 한쪽의 단부와, 상기 다른쪽의 림부의 상기 절결부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원주방향 양 단부 중에서, 상기 한쪽의 단부와 원주방향에 관하여 반대측의 단부를 상기 탄성 연결부에 의해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대체적으로는, 상기 한쪽의 림부의 상기 절결부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원주방향 양 단부를 상기 탄성 연결부에 의해 서로 연결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탄성 연결부를 상기 다른쪽의 림부에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한쪽의 림부와 상기 다른쪽의 림부의 쌍방에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탄성 연결부를, 원주방향으로 각각 탄성 변형 가능한 외경측 탄성 연결부와 내경측 탄성 연결부로 구성하며, 이들 외경측 탄성 연결부와 내경측 탄성 연결부를 직경방향으로 중첩하여 마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외경측 탄성 연결부와 상기 내경측 탄성 연결부의 서로의 형상을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의 축방향으로 반전한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탄성 연결부를 상기 외경측 탄성 연결부와 상기 내경측 탄성 연결부로 구성하는 경우, 이들 외경측 탄성 연결부와 내경측 탄성 연결부를 각각 대략 직선 형상으로 하여,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의 축방향 중앙 부분에서 교차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외경측 탄성 연결부의 원주방향 일단부를, 상기 절결부를 사이에 두고 마련된 양 단부 중 한쪽 단부의 외경측 부분의 축방향 편측 부분에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외경측 탄성 연결부의 원주방향 타단부를, 상기 절결부를 사이에 두고 마련된 양 단부 중 다른쪽의 단부의 외경측 부분의 축방향 타측 부분에 연결한다. 또한, 상기 내경측 탄성 연결부의 원주방향 일단부를 상기 한쪽의 단부 중 내경측 부분의 축방향 타측 부분에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내경측 탄성 연결부의 원주방향 타단부를 상기 다른쪽의 단부 중 내경측 부분의 축방향 편측 부분에 연결한다.
대체적으로는, 상기 외경측 탄성 연결부와 상기 내경측 탄성 연결부를 각각 대략 V자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외경측 탄성 연결부의 원주방향 일단부를, 상기 절결부를 사이에 두고 마련된 양 단부 중 한쪽의 단부의 외경측 부분의 축방향 편측 부분에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외경측 탄성 연결부의 원주방향 타단부를, 상기 절결부를 사이에 두고 마련된 양 단부 중 다른쪽의 단부의 외경측 부분의 축방향 편측 부분에 연결한다. 또한, 상기 내경측 탄성 연결부의 원주방향 일단부를, 상기 한쪽의 단부 중 내경측 부분의 축방향 타측 부분에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내경측 탄성 연결부의 원주방향 타단부를, 상기 다른쪽의 단부 중 내경측 부분의 축방향 타측 부분에 연결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를 마련하는 경우, 이러한 결합부를, 상기 절결부의 위치를 사이에 두고 마련된 단부마다 각각 한쌍씩 형성된, 합계 2세트의 외경측 결합편 및 내경측 결합편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 단부 중 한쪽의 단부의 외경측 부분의 축방향 편측 부분에, 상기 단부 중 다른쪽의 단부를 향하여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상태로 외경측 결합편을 마련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한쪽의 단부의 내경측 부분의 축방향 타측 부분에, 상기 다른쪽의 단부를 향하여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상태로 내경측 결합편을 마련하고 있다. 이에 반해, 상기 다른쪽의 단부의 외경측 부분의 축방향 타측 부분에, 상기 한쪽의 단부를 향하여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상태로 외경측 결합편을 마련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다른쪽의 단부의 내경측 부분의 축방향 편측 부분에, 상기 한쪽의 단부를 향하여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내경측 결합편을 마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의 외경측 부분과 내경측 부분에서, 상기 외경측 결합편끼리 및 상기 내경측 결합편끼리를 각각 축방향으로 결합시키는 동시에, 상기 결합부의 축방향 편측 부분과 축방향 타측 부분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외경측 결합편과 상기 내경측 결합편을 직경방향으로 결합시킨다.
이 경우, 상기 외경측 결합편끼리의 사이 및 상기 내경측 결합편끼리의 사이에서, 축방향 치수를 각각 서로 다르게 한다. 그리고, 상기 외경측 결합편 중 축방향 치수가 큰 외경측 결합편의 원주방향 단부면과, 이러한 단부면에 원주방향으로 대향하는 상대면 사이의 간극을, 상기 외경측 결합편 중 축방향 치수가 작은 외경측 결합편의 원주방향 단부면과, 이러한 단부면에 원주방향으로 대향하는 상대면 사이의 간극보다 작게 한다. 또한, 상기 내경측 결합편 중 축방향 치수가 큰 내경측 결합편의 원주방향 단부면과, 이러한 단부면에 원주방향으로 대향하는 상대면 사이의 간극을, 상기 내경측 결합편 중 축방향 치수가 작은 내경측 결합편의 원주방향 단부면과, 이러한 단부면에 원주방향으로 대향하는 상대면 사이의 간극보다 작게 한다.
또한, 이 경우, 상기 축방향 치수가 큰 외경측 결합편의 원주방향 단부면과, 이러한 단부면에 원주방향으로 대향하는 상대면 사이의 간극과, 상기 축방향 치수가 큰 내경측 결합편의 원주방향 단부면과, 이러한 단부면에 원주방향으로 대향하는 상대면 사이의 간극을 동일한 크기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부의 축방향 단부를, 상기 림부의 축방향 측면보다 축방향 중앙측으로 오프셋시킴으로써, 상기 결합부의 양측 부분에 삽입 공간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절결부의 위치를 사이에 두고 원주방향으로 원근동 가능한 단부의 각각의 축방향 측면에, 이러한 절결부에 근접할수록 이들 단부의 축방향에 관한 치수가 작아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테이퍼 면을 마련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는, 액시얼 드로 성형에 의해 만들 수 있는 것이면서, 축방향 단부면(한쌍의 림부의 축방향 측면)끼리의 표면 형상 및 표면적을 거의 동일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각각의 축방향 단부면 중 외경측 부분과 내경측 부분과의 표면 형상을 거의 동일하게 할 수도 있다. 이 때문에, 래디얼 롤러 베어링을 조립하는 회전축 등의 상대 부재에 마련된 안내면이,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의 축방향 단부면의 전체 영역을 지승할 수 없는 구조의 경우에도, 안내면에 대하여 축방향 단부면을 충분한 접촉 면적으로 접촉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조립 장착 방향의 제약을 받는 일이 없이, 축방향 단부면이 안내면과의 마찰에 의해 마모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를, 합성 수지제이며, 원주방향 1개소에 한쌍의 절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불연속부를 갖는 구조로 했을 경우, 이러한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를 탄성 변형시킴으로써, 이러한 불연속부의 폭을 원주방향으로 넓힐 수 있다. 이 때문에, 이러한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를 조립 장착하는 회전축 등의 축의 외주면에 외향 플랜지 형상의 칼라부 등의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이러한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를 이러한 축의 주위에 용이하게 조립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에 있어서, 상기 불연속부에, 이러한 불연속부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원주방향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탄성 연결부를 마련한 구조로 했을 경우, 이러한 탄성 연결부를 원주방향으로 신장시킴으로써, 절결부의 폭을 원주방향으로 넓힐 수 있다. 이 때문에, 조립 장착 작업성을 양호하게 할 뿐만 아니라,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를 회전시킬 때에, 회전 속도(작용하는 원심력의 크기)에 따라서, 탄성 연결부를 원주방향으로 신장시키거나 탄성적으로 복원시키거나 함으로써, 각각의 롤러의 전동면과 외륜 궤도 및 내륜 궤도와의 접촉 위치를 변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프레팅 마모의 방지를 효과적으로 도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연결부를, 외경측 탄성 연결부와 내경측 탄성 연결부에 의해 구성하며, 또한 이들 외경측 탄성 연결부와 내경측 탄성 연결부를, 서로 축방향으로 반전한 형상으로 하고, 직경방향으로 중첩하는 상태로 마련한 구조로 했을 경우, 조립 장착 작업성의 개선과 프레팅 마모의 방지 뿐만 아니라, 탄성 연결부에 충분한 탄력을 발휘시킬 수 있으며, 또한 운전시에 있어서의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의 거동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이들의 외경측 탄성 연결부와 내경측 탄성 연결부가 축방향으로 간섭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이들 외경측 탄성 연결부와 내경측 탄성 연결부의 각각의 전체 길이(축방향에 관한 길이)를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의 축방향 치수(전체 폭)의 범위로 충분히 크게 할 수 있으며, 외경측 탄성 연결부와 내경측 탄성 연결부가 각각 발휘하는 탄력(스프링력)을 충분히 크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이들 외경측 탄성 연결부와 내경측 탄성 연결부를 직경방향으로 중첩시켜서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탄성 연결부의 형성 공간(원주방향에 관한 공간)이 커지는 일도 없다. 따라서, 탄성 연결부의 형성 공간이 작은 경우에도, 이러한 탄성 연결부에 충분한 탄력을 발휘시킬 수 있다.
부가하여, 외경측 탄성 연결부와 내경측 탄성 연결부를, 축방향으로 서로 반전한 형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운전시에,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가 확경 혹은 축경할 때에, 외경측 탄성 연결부와 내경측 탄성 연결부로부터 절결부를 사이에 두고 마련된 양 단부에 대하여 작용하는 힘 중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상쇄할 수 있다. 또한, 외경측 탄성 연결부와 내경측 탄성 연결부가 다른 부분에 비하여 크며 냉각 수축했을 경우에도, 이들 외경측 탄성 연결부와 내경측 탄성 연결부의 수축량을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각각의 림부의 원주방향 일단부의 축방향 측면과 원주방향 타단부의 축방향 측면이, 동일 평면 상으로부터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각각의 림부의 축방향 측면이 안내면에 대하여 경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절결부를 사이에 두고 마련된 양 단부의 근방에 배치된 포켓 내에 보지된 롤러에, 스큐가 발생하는 것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시에 있어서의 거동을 안정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에 있어서, 상기 불연속부에, 이 불연속부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원주방향 단부끼리 사이에, 단부마다 각각 1세트씩 형성된, 합계 2세트의 외경측 결합편 및 내경측 결합편으로 구성되는 결합부를 마련한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특히, 상기 외경측 결합편끼리의 사이 및 상기 내경측 결합편끼리의 사이에서, 축방향 치수를 각각 서로 다르게 하고, 또한 결합부의 외경측 부분과 내경측 부분에서, 축방향 치수가 큰 결합편의 원주방향 단부면과 상대면 사이의 간극을, 축방향 치수가 작은 결합편의 원주방향 단부면과 상대면 사이의 간극보다, 각각 작게 한 구조로 하면, 조립 장착 작업성이 양호하며, 또한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의 축방향 치수를 작게 했을 경우에도, 그 사용시의 거동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운전시에, 불연속부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단부면끼리가 접촉했을 경우에, 축방향 치수가 큰 결합편의 원주방향 단부면을 상대면에 대하여 접촉시킬 수 있다. 따라서,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의 축방향 치수가 작은 경우에도, 양 단부면끼리가 접촉할 때의 접촉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이 결과,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의 거동이 불안정하게 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 1 예의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 1 예의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의 축방향 단부면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 2 예의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 3 예의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의 전체 구성을 고정부의 직경방향 외측으로부터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 3 예의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의 전체 구성을 고정부의 직경방향 내측으로부터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 4 예의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의 전체 구성을 고정부의 직경방향 외측으로부터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 4 예의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의 전체 구성을 고정부의 직경방향 내측으로부터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 5 예의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의 전체 구성을 고정부의 직경방향 외측으로부터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 5 예의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의 전체 구성을 고정부의 직경방향 내측으로부터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 6 예의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의 전체 구성을 고정부의 직경방향 외측으로부터 도시하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 7 예의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의 전체 구성을 고정부의 직경방향 외측으로부터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 7 예의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의 전체 구성을 고정부의 직경방향 내측으로부터 도시하는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 8 예의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의 전체 구성을 탄성 연결부의 직경방향 외측으로부터 도시하는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 8 예의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의 전체 구성을 탄성 연결부의 직경방향 내측으로부터 도시하는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 8 예의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를 탄성 연결부의 직경방향 외측으로부터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 8 예의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의 탄성 연결부를 원주방향으로 신장시킨 상태에서, 이러한 탄성 연결부의 직경방향 외측으로부터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 8 예의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의 축방향 단부면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 9 예의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의 전체 구성을 탄성 연결부의 직경방향 외측으로부터 도시하는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 9 예의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의 전체 구성을 탄성 연결부의 직경방향 내측으로부터 도시하는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 9 예의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를 탄성 연결부의 직경방향 외측으로부터 도시하는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 9 예의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의 탄성 연결부를 원주방향으로 신장시킨 상태에서, 이러한 탄성 연결부의 직경방향 외측으로부터 도시하는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 9 예의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의 축방향 단부면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 10 예의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4는 보지기를 구비한 래디얼 롤러 베어링을 조립한 회전 지지부의 단면도,
도 25는 보지기의 원주방향의 일부를 직경방향 외측에서 본 도면,
도 26은 종래 구조의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의 사시도,
도 27의 (a) 및 (b)는 원주방향의 1개소에 불연속부를 갖는 종래 구조의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의 일부를 직경방향 외측에서 본 도면이며, 도 27의 (a)는 자유 상태(완성 상태)를, 도 27의 (b)는 탄성 연결부를 원주방향에 관하여 탄성적으로 신장시킨 상태를 각각 도시하는 도면,
도 28은 래디얼 롤러 베어링의 사용 상태의 일 예를 도시하는 자동차용 수동 변속기의 부분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가 조립되는 래디얼 롤러 베어링은, 내주면에 원통면상의 외륜 궤도를 갖는 외경측 부재(사용시에도 회전하지 않는 외륜이나 하우징, 혹은 사용시에 회전하는 치차나 롤러 등)와, 외경측 부재의 내경측에 배치되며, 그 외주면에 원통면상의 내륜 궤도를 갖는 내경측 부재(사용시에 회전하는 내륜이나 회전축, 혹은 사용시에도 회전하지 않는 지지축 등)와, 이들 외륜 궤도와 내륜 궤도 사이에서 전동 가능하게 마련된 복수의 롤러(바늘형상 롤러를 포함함)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래디얼 롤러 베어링의 사이즈, 내륜의 유무, 롤러의 사이즈(직경이나 전체 길이) 및 개수 등은 사용 조건이나 사용 목적 등에 따라서 임의로 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래디얼 롤러 베어링을 구성하는 복수의 롤러는, 외륜 궤도와 내륜 궤도 사이에서 전동할 때에,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롤러끼리 서로 접촉하여 마찰이 생겨, 회전 저항이 증대하거나, 타는 현상 등이 발생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에 의해서, 포켓 내에 전동 가능하게 보지된다. 또한, 이와 같은 회전 저항의 증대나 타는 현상의 발생 등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오일 윤활이나 그리스 윤활 등의 윤활을 실행하여도 좋다. 또한,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는, 전동체 안내(롤러 안내), 외륜 안내, 및 내륜 안내 중 어느 안내 방식을 채용하여도 좋다.
[실시형태의 제 1 예 및 제 2 예]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 1 예의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이하, 단순하게 「보지기」라 함](7c)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보지기(7c)가, 합성 수지제이며, 이러한 합성 수지를 한쌍의 분할형을 이용한 액시얼 드로 성형에 의해서 전체[림부(8e, 8f) 및 기둥부(9)]가 일체 성형되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도시하지 않는 한쌍의 분할형에 의해 구성되는 금형(액시얼 드로형)의 캐비티 내에,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 혹은 이러한 수지에 보강용 섬유를 혼입한 것 등 일반적인 합성 수지제 보지기의 경우와 같은 합성 수지를 사출 성형한 후, 양 분할형을 각각 축방향으로 떼어 놓는, 액시얼 드로 성형에 의해서, 보지기(7c) 전체가 만들어지고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단, 사출 성형후에, 절삭 가공이나 연삭 가공 등을 별도로 실시하여, 완성품으로서의 보지기(7c)로 하여도 좋다.
보지기(7c)는,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서로 동심으로 배치된, 각각이 대략 원환상인 한쌍의 림부(8e, 8f)와, 원주방향에 걸쳐서 간헐적으로, 양 림부(8e, 8f)끼리의 사이에 걸쳐 놓인 상태로 마련된 복수개의 기둥부(9)를 구비한다. 그리고,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기둥부(9)와 림부(8e, 8f)에 의해 사방이 둘러싸인 부분에, 롤러(도시 생략)를 전동 가능하게 보지하기 위한 포켓(10)이 1개씩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보지기(7c)는, 기둥부(9)와 포켓(10)이 원주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는 동시에, 포켓(10)의 내측에 1개씩 롤러가 삽입되며, 이들 롤러가 원주방향으로 등 간격(등 피치)으로 배치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또한, 포켓(10)의 크기는, 롤러의 직경 및 전체 길이에 따라서, 롤러를 전동 가능하게 보지할 수 있도록 설정하면 좋다. 또한, 포켓(10)의 수도, 보지기(7c)를 조립하는 래디얼 롤러 베어링의 용량(조립하는 롤러의 개수)에 따라서 임의로 설정하면 좋다. 또한, 포켓(10)의 내면(롤러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면)의 형상은, 예를 들어, 롤러의 외주면의 곡률보다 약간 작은 곡률의 오목 곡면 형상으로 하여도 좋고, 직선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포켓(10)의 개구연부에는, 롤러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해, 포켓(10)의 개구 폭을 작게 하는 돌기부(롤러를 파지하는 클로 형상의 돌기 등)를 마련하여도 좋다. 또한, 림부(8e, 8f)의 직경 치수나 축방향에 관한 간격은 래디얼 롤러 베어링의 사이즈 등에 따라서 임의로 설정하면 좋다.
한쌍의 림부(8e, 8f)에는, 그 외주면 중에서 포켓(10)과 축방향으로 정합하는 복수 개소에, 직경방향 내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패인 외경측 오목부(23a, 23b)를 마련하는 동시에, 그 내주면 중에서, 포켓(10)과 축방향으로 정합하고, 또한 외경측 오목부(23a, 23b)와 원주방향에 관한 위상이 다른 복수 개소에, 직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패인 내경측 오목부(24a, 24b)를 마련하고 있다. 즉, 림부(8e, 8f)의 외주면은, 외경측 오목부(23a, 23b)와 잔부(殘部)[기둥부(9)의 외주면과의 연속부]에 의해 요철 형상으로 연속하는 동시에, 림부(8e, 8f)의 내주면은, 내경측 오목부(24a, 24b)와 잔부[기둥부(9)의 내주면의 연속부]에 의해 요철 형상으로 연속한다. 또한, 한쪽의 림부(8e) 및 다른쪽의 림부(8f)의 각각에 있어서, 외경측 오목부(23a, 23b) 및 내경측 오목부(24a, 24b)의 원주방향에 관한 위상을 다르게 하기 때문에, 림부(8e, 8f)의 외주면 및 내주면의 원주방향의 동일 위상에 있어서, 외경측 오목부(23a, 23b)와 내경측 오목부(24a, 24b)가 직경방향과 중첩되는 일은 없다. 특히, 도 1에 도시한 구조의 경우, 한쪽의 림부(8e)에, 외경측 오목부(23a)와 내경측 오목부(24a)를, 원주방향으로 1개씩 교대로 마련하고 있으며, 다른쪽의 림부(8f)에, 외경측 오목부(23b)와 내경측 오목부(24b)를, 원주방향으로 1개씩 교대로 마련하고 있다.
또한, 한쪽의 림부(8e)와 다른쪽의 림부(8f) 사이에서, 외경측 오목부(23a, 23b) 및 내경측 오목부(24a, 24b)의 원주방향에 관한 위상을 각각 다르게 하고 있다. 즉, 한쪽의 림부(8e)에 마련되는 외경측 오목부(23a)와, 다른쪽의 림부(8f)에 마련되는 외경측 오목부(23b)의 원주방향에 관한 위상을 다르게 하는 동시에, 한쪽의 림부(8e)에 마련되는 내경측 오목부(24a)와, 다른쪽의 림부(8f)에 마련되는 내경측 오목부(24b)의 원주방향에 관한 위상을 다르게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림부(8e, 8f) 중에서 각각의 포켓(10)의 축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외경측 오목부(23a, 23b)와 내경측 오목부(24a, 24b)를 각각 1개씩 배치하고 있다.
또한, 외경측 오목부(23a, 23b) 및 내경측 오목부(24a, 24b)의 원주방향에 관한 폭 치수는 포켓(10)의 원주방향에 관한 폭 치수와 동일하며, 직경방향에 관한 깊이 치수는 림부(8e, 8f)의 직경방향에 관한 두께 치수법의 반이다. 이상과 같은 외경측 오목부(23a, 23b) 및 내경측 오목부(24a, 24b)는, 한쌍의 분할형을 축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액시얼 드로 형성을 실행할 때에, 분할형 중 포켓(10)을 형성하기 위해서 마련된 부분을 축방향으로 통과시킨다.
도 1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림부(8e, 8f)에, 외경측 오목부(23a, 23b)와 내경측 오목부(24a, 24b)를 원주방향으로 한개씩 교대로 마련한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이것에 대하여, 도 3에는, 실시형태의 제 2 열의 보지기(7d)로서, 림부(8e, 8f)에, 외경측 오목부(23a, 23b)와 내경측 오목부(24a, 24b)를 원주방향으로 2개씩 교대로 마련한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실시형태의 제 1 예, 및 도 3에 도시하는 실시형태의 제 2 예에서는, 림부(8e, 8f)에 대하여, 동일한 수의 외경측 오목부(23a, 23b)[및 내경측 오목부(24a, 24b)]를, 포켓(10)의 1개 간격, 혹은 2개 간격으로, 동일한 수씩 일정 간격(피치)으로 나열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다만, 동일한 수의 외경측 오목부(23a, 23b)[및 내경측 오목부(24a, 24b)]를, 동일한 수씩 다른 간격으로 배치하여도 좋고, 동일한 수의 외경측 오목부(23a, 23b)[및 내경측 오목부(24a, 24b)]를, 다른 수씩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여도 좋다. 또한, 다른 수의 외경측 오목부(23a, 23b)[및 내경측 오목부(24a, 24b)]를, 동일한 수 혹은 다른 수씩, 일정 간격 혹은 다른 간격으로 배치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림부(8e, 8f)에, 외경측 오목부(23a, 23b)와 내경측 오목부(24a, 24b)를, 1개씩 교대로 나열한 것과, 2개씩 교대로 나열한 것을, 원주방향으로 교대로 마련하는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다. 또는, 림부(8e, 8f)에, 외경측 오목부(23a, 23b)와 내경측 오목부(24a, 24b)를, 원주방향으로 3개씩 교대로 마련한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다. 혹은, 한쪽의 림부(8e)의 외경측 오목부(23a)의 수와 다른쪽의 림부(8f)의 외경측 오목부(23b)의 수, 및 한쪽의 림부(8e)의 내경측 오목부(24a)의 수와, 다른쪽의 림부(8f)의 내경측 오목부(24b)의 수를 각각 다르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요컨데, 외경측 오목부(23a, 23b) 및 내경측 오목부(24a, 24b)의 수 및 배치 태양은, 보지기(7c, 7d)의 포켓(10)의 수, 및 보지기(7c, 7d)의 축방향 단부면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면의 형상 등에 따라서 임의로 설정하면 된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실시형태의 제 1 예, 및 도 3에 도시하는 실시형태의 제 2 예에서는, 림부(8e, 8f)에 대하여, 동일한 크기 및 동일한 형상의 외경측 오목부(23a, 23b)를 마련하는 동시에, 동일한 크기 및 동일한 형상의 내경측 오목부(24a, 24b)를 마련하고 있다. 단, 외경측 오목부(23a, 23b) 및 내경측 오목부(24a, 24b)의 크기나 형상은, 외경측 오목부(23a, 23b)마다, 및 내경측 오목부(24a, 24b)마다 달라도 좋고, 외경측 오목부(23a, 23b)와 내경측 오목부(24a, 24b)와 달라도 좋다.
또한, 외경측 오목부(23a, 23b) 및 내경측 오목부(24a, 24b)는, 사출 성형시에 분할형의 일부가 배치되는 것에 의해 형성되며, 분할형 중에서 포켓(10)을 형성하는 부분을 축방향으로 통과시키기 위해 기능하기 때문에, 포켓(10)의 축방향 양측에 마련되는 1세트의 외경측 오목부(23a)와 내경측 오목부(24b)[또는 1세트의 외경측 오목부(23b)와 내경측 오목부(24a)]의 직경방향에 관한 깊이 치수의 합은 림부(8e, 8f)의 직경방향에 관한 두께 치수와 동일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하는 실시형태의 제 1 예 및 제 2 예의 보지기(7c, 7d)의 경우, 액시얼 드로 성형에 의해 만들 수 있는 것이면서, 축방향 양 단부면끼리의 표면 형상(표면적)을 거의 동일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각각의 단부면 중 외경측 부분과 내경측 부분의 표면 형상을 거의 동일하게 할 수도 있다. 즉, 본 예의 경우에는, 한쌍의 림부(8e, 8f)에 대하여, 외경측 오목부(23a, 23b) 및 내경측 오목부(24a, 24b)를 거의 균등하게 배치하는 동시에, 각각의 림부(8e, 8f)의 외경측 및 내경측에 대해서도, 외경측 오목부(23a, 23b) 및 내경측 오목부(24a, 24b)를 거의 균등하게 배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한쪽의 림부(8e)의 축방향 측면과 다른쪽의 림부(8f)의 축방향 측면의 표면 형상(표면적)을 거의 동일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림부(8e) 및 림부(8f)의 축방향 측면 각각에 있어서, 외경측 부분과 내경측 부분과의 표면 형상을 거의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래디얼 롤러 베어링을 조립 장착하는 회전축 등의 상대 부재에 마련된 안내면이,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의 축방향 단부면의 전체 영역을 지승할 수 없는(예를 들어 외경측 측면만을 지승하거나, 혹은 내경측 측면만을 지승함) 구조의 경우에도, 안내면에 대하여 보지기(7c, 7d)의 축방향 단부면을 충분한 접촉 면적으로 접촉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조립 장착 방향의 제약을 받는 일이 없이, 축방향 단부면이 안내면과의 마찰에 의해 마모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실시형태의 제 1 예 및 제 2 예의 보지기(7c, 7d)의 경우에는, 한쌍의 림부(8e, 8f)를 각각 원주방향으로 연속한 원환상으로 구성하고 있지만, 한쌍의 림부를 각각 원주방향 1개소에 절결부를 갖는 불완전한 원환상(C자 형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용했을 경우에도, 상대 부재에 마련된 안내면에 대한 접촉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서, 축방향 단부면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것과 같은, 실시형태의 제 1 예 및 제 2 예의 보지기(7c, 7d)의 경우와 같은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실시형태의 제 3 예, 제 4 예, 제 5 예, 제 6 예 및 제 7 예]
도 4 내지 도 12에는, 한쌍의 림부를, 각각 원주방향 1개소에 절결부를 갖는 불완전한 원환상(C자 형상)으로 구성한 보지기의 구성 예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보지기 구성을 실시형태의 제 3 예,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보지기 구성을 실시형태의 제 4 예,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보지기 구성을 실시형태의 제 5 예, 도 10에 도시한 보지기 구성을 실시형태의 제 6 예, 그리고,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보지기 구성을 실시형태의 제 7 예로 하여 각각 설명한다.
또한, 실시형태의 제 3 예 내지 제 7 예의 보지기는, 한쌍의 림부가 각각 원주방향 1개소에 절결부를 갖는 불완전한 원환상(C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모두, 한쌍의 림부에 대하여 거의 균등하게 외경측 오목부 및 내경측 오목부를 배치하는 동시에, 이들 림부의 외경측과 내경측에 거의 균등하게 외경측 오목부 및 내경측 오목부를 배치한 구조이며, 그 기본적인 보지기 구성은 실시형태의 제 1 예의 보지기와 공통하고 있다. 따라서, 동일 혹은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 혹은 간략화하여, 각각의 실시형태에 특유의 구성에 대해서만 상술한다.
도 4 및 도 5는 실시형태의 제 3 예의 보지기(7e)를 도시하고 있다. 본 예의 보지기(7e)도, 한쌍의 림부(8g, 8h)와, 원주방향에 걸쳐서 간헐적으로, 이들 림부(8g, 8h)끼리의 사이에 걸쳐 놓인 상태로 마련된 복수개의 기둥부(9)를 구비한다. 그리고,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기둥부(9)와 양 림부(8g, 8h)에 의해 사방이 둘러싸여진 부분을 각각 롤러를 전동 가능하게 보지하기 위한 포켓(10)으로 하고 있다.
한쌍의 림부(8g, 8h)는 각각 원주방향 1개소에 절결부(18e, 18f)를 갖는 불완전한 원환상(C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절결부(18e, 18f)의 원주방향에 관한 위상을 거의 일치시킨 상태에서,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서로 동심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보지기(7e)는, 원주방향 1개소에, 절결부(18e, 18f)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불연속부(11a)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림부(8g, 8h)의 직경 치수나 축방향에 관한 간격은 래디얼 롤러 베어링의 사이즈 등에 따라서 임의로 설정된다.
본 예의 경우, 림부(8g, 8h)의 원주방향 1개소에 각각 절결부(18e, 18f)를 마련하고 있으며,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기둥부(9)끼리의 사이 부분 중, 이들 절결부(18e, 18f)와 원주방향에 관한 위상이 일치하는 부분에는 포켓을 마련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예의 보지기(7e)는, 원주방향의 일부[불연속부(11a)]에서, 롤러가 결락된 구조로 되어 있다.
한쌍의 림부(8g, 8h)의 원주방향 1개소에 각각 절결부(18e, 18f)를 형성함으로써, 보지기(7e)를 원주방향 1개소에 불연속부(11a)를 갖는 구조(이른바 1개 분할의 보지기 구조)로 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보지기(7e)에 대하여, 불연속부(11a)의 폭을 원주방향으로 확장시키는 방향[절결부(18e, 18f)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양 단부면끼리를 이격시키는 방향]의 힘이 가해지면, 보지기(7e) 전체가 탄성 변형한다. 이러한 결과, 보지기(7e)를 확경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상태로부터 불연속부(11a)의 폭을 원주방향으로 축소시키는 방향[절결부(18e, 18f)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양 단부면끼리를 근접시키는 방향]의 힘이 가해지면, 보지기(7e) 전체가 불연속부(11a)의 확장 전의 원래 상태까지 탄성 변형한다. 이러한 결과, 보지기(7e)를 축경시켜서, 원래의 직경 치수까지 되돌릴 수 있다. 또한, 보지기(7e)에 대하여 불연속부(11a)의 폭을 축소키는 방향의 힘을 가하는 일이 없이, 불연속부(11a)의 폭을 확장시키는 방향으로 가해지고 있던 힘을 해제하는 것에 의한 탄성 복원력만으로, 혹은 탄성 복원력에 축소 방향으로의 힘을 가하면서, 보지기(7e)를 축경시켜, 원래의 직경 치수까지 되돌리는 보지기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보지기(7e)의 직경 치수를, 자유롭게 확장수축시킬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의 계단부(段部)나 칼라부 등을 갖는 내경측 부재 등에 대하여, 보지기(7e)를 용이하게 조립 장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축의 외주면 중 단부와 내륜 궤도 사이에, 외경 치수가 보지기의 내경 치수보다 크게 설정된 단부나 플랜지 형상의 칼라부 등이 마련되어 있는 경우, 이러한 회전축에 보지기(7e)를 조립 장착하는 경우라도, 불연속부(11a)의 폭을 원주방향으로 확장시킴으로서, 보지기(7e)를 단부나 칼라부와 간섭시키는 일이 없이, 회전축의 내륜 궤도까지 축방향으로 부드럽게 이동시킬 수 있다. 단, 이와 같이 보지기(7e)를 회전축에 조립 장착한 후, 보지기(7e)의 불연속부(11a)의 폭이 재차 확장되어 버리면, 보지기(7e)가 탈락하거나 위치 편차를 일으키거나 할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보지기(7e)에, 이와 같은 사태를 방지하기 위한 고정 기구[고정부(13a)]를 마련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기구는, 래디얼 롤러 베어링의 회전시에, 보지기(7e)의 직경 치수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기능한다.
도 4 및 도 5에는 불연속부(11a)를 사이에 두고 마련된 단부(12c, 12d)끼리를, 결합부(13a)에 의해, 축방향 및 직경방향에 관한 상대 변위를 불가능하게 결합(요철 결합)한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단부(12c, 12d)에는, 각각이 결합부(13a)를 구성하는, 외경측 결합편(14c, 14d) 및 내경측 결합편(15c, 15d)을 1세트씩 형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한쪽의 단부(12c) 중, 외경측 반부의 축방향 편반부에 다른쪽의 단부(12d)를 향하여 연장된 외경측 결합편(14c)을 형성하고 있으며, 내경측 반부의 축방향 타반부에 다른쪽의 단부(12d)를 향하여 연장된 내경측 결합편(15c)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다른쪽의 단부(12d) 중, 외경측 반부의 축방향 타반부에 한쪽의 단부(12c)를 향하여 연장한 외경측 결합편(14d)을 형성하고 있으며, 내경측 반부의 축방향 편반부에 한쪽의 단부를 향하여 연장된 내경측 결합편(15d)을 형성하고 있다. 환언하면, 단부(12c, 12d)마다, 외경측 결합편(14c, 14d) 및 내경측 결합편(15c, 15d)에 의해 구성되는 1세트의 볼록부와 잔부[결합편(14c, 14d, 15c, 15d)으로부터 벗어난 부분]에 의해 구성되는 1세트의 오목부를 각각 형성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형식 기구(고정부)는, 불연속부를 사이에 두고 마련된 단부끼리를, 적어도 축방향에 관한 상대 변위를 불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이면 좋다. 예를 들어, 한쪽의 단부의 축방향 편반부에 다른쪽의 단부를 향하여 연장한 결합편을, 다른쪽의 단부의 축방향 타반부에 한쪽의 단부를 향하여 연장한 결합편을 각각 마련한 구조나, 이와 같은 결합편을 조합하여 형성되는 상기 단부끼리를 적어도 축방향에 관한 상대 변위를 불가능하게, 혹은 축방향 및 직경방향의 양쪽에 관한 상대 변위를 불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거나, 임의의 구조를 채용할 수 있어서, 이와 같은 구조도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보지기(7e)를 래디얼 롤러 베어링에 조립한 상태에서, 결합부(13a)의 외경측 반부와 내경측 반부에서, 한쌍의 외경측 결합편(14c, 14d)끼리 및 한쌍의 내경측 결합편(15c, 15d)끼리를 각각 축방향으로 결합시키는 동시에, 결합부(13a)의 축방향 편반부와 축방향 타반부에서, 외경측 결합편(14c, 14d)과 내경측 결합편(15d, 15c)을 각각 직경방향으로 결합시키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한쌍의 외경측 결합편(14c, 14d)의 축방향 측면끼리를 접촉 혹은 근접 대향시키는 동시에, 한쌍의 내경측 결합편(15c, 15d)의 축방향 측면끼리를 접촉 혹은 근접 대향시키고 있다. 또한, 외경측 결합편(14c)의 직경방향 내측면과 내경측 결합편(15d)의 직경방향 외측면을 접촉 혹은 근접 대향시키는 동시에, 외경측 결합편(14d)의 직경방향 내측면과 내경측 결합편(15c)의 직경방향 외측면을 접촉 혹은 근접 대향시키고 있다.
본 예의 경우, 단부(12c, 12d)끼리의 축방향 및 직경방향(또한 비틀림방향)에 관한 상대 변위가 불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래디얼 롤러 베어링의 운전시에 작용하는 원심력 등에 의해, 보지기(7e)가 확경하려고 했을 경우에도, 확경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이상과 같은 위치 관계에 형성되는 외경측 결합편(14c, 14d) 및 내경측 결합편(15c, 15d)은 한쌍의 분할형을 축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액시얼 드로 성형을 실행할 때에, 이들 분할형과 간섭시키지 않아도 된다. 즉, 사출 성형시에, 일부가 외경측 결합편(14c)의 축방향 타측 부분 및 내경측 결합편(15d)의 축방향 타측 부분에 배치되는 편측의 분할형은 사출 성형후에는 축방향 타측으로 인발된다. 이에 반해, 사출 성형시에, 그 일부가 외경측 결합편(14d)의 축방향 편측 부분 및 내경측 결합편(15c)의 축방향 편측 부분에 배치되는 타측의 분할형은 사출 성형후에는 축방향 편측으로 인발된다. 따라서, 각각의 분할형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 외경측 결합편(14c, 14d) 및 내경측 결합편(15c, 15d)이 이들 분할형과 간섭하는 일은 없다.
본 예의 경우, 결합부(13a)를 구성하는 외경측 결합편(14c, 14d) 및 내경측 결합편(15c, 15d)은, 각각 직경방향 치수(두께)가, 단부(12c, 12d)의 직경방향 치수의 대략 반이다. 단, 직경방향으로 중첩하는 외경측 결합편(14c)과 내경측 결합편(15d) 중 어느 한쪽, 및 외경측 결합편(14d)과 내경측 결합편(15c) 중 어느 한쪽을, 각각 다른쪽보다 두껍게 구성하는 등 두께를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외경측 결합편(14c, 14d) 및 내경측 결합편(15c, 15d)은 모두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그 이외의 형상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즉, 외경측 결합편(14c, 14d) 및 내경측 결합편(15c, 15d)의 두께나 형상은 결합부(13a)의 기능을 확보하면서, 액시얼 드로 성형에 의해 만들 수 있는 것을 전제로 하여, 임의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구조에서는, 결합부(13b)를 구성하는 한쌍의 외경측 결합편(14e, 14f) 중, 한쪽의 단부(12c)에 마련된 외경측 결합편(14e)의 축방향 치수를, 다른쪽의 단부(12d)에 마련된 외경측 결합편(14f)의 축방향 치수보다 크게 하고 있다. 또한, 결합부(13b)를 구성하는 한쌍의 내경측 결합편(15e, 15f)에 대해서도, 한쪽의 단부(12c)에 마련된 내경측 결합편(15e)의 축방향 치수를, 다른쪽의 단부(12d)에 마련된 내경측 결합편(15f)의 축방향 치수보다 크게 하고 있다. 단, 한쌍의 외경측 결합편(14e, 14f)의 축방향 치수의 합, 및 한쌍의 내경측 결합편(15e, 15f)의 축방향 치수의 합은 각각 단부(12c, 12d)의 축방향 치수와 동일하게 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외경측 결합편(14e, 14f)끼리의 축방향에 관한 결합 위치, 및 내경측 결합편(15e, 15f)끼리의 축방향에 관한 결합 위치가 보지기(7f)의 축방향 중앙 위치로부터 각각 축방향에 관하여 반대 방향으로 어긋나 있다(오프셋 하고 있다). 또한, 외경측 결합편(14e)과 외경측 결합편(14f)과의 축방향 치수비, 및 내경측 결합편(15e)과 상기 내경측 결합편(15f)과의 축방향 치수비를 각각 대략 3:2 정도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외경측 결합편(14e, 14f)끼리의 결합 위치와 내경측 결합편(15e, 15f)끼리의 결합 위치와의 중앙 위치에 대한 오프셋 양은 동일하다.
또한, 외경측 결합편(14e, 14f) 및 내경측 결합편(15e, 15f)의 직경방향 치수는 단부(12c, 12d)의 직경방향 치수의 대략 1/2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구조의 경우에는, 축방향 치수가 큰 외경측 결합편(14e) 및 내경측 결합편(15e)의 각각의 원주방향 단부면의 면적이 불연속부(11a)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각각의 단부면(17c, 17d) 전체 면적의 대략 3/10 정도가 되며, 실시형태의 제 3 예의 구조의 보지기(7e)의 경우의 1/4에 비하여 크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래디얼 롤러 베어링에 조립된 상태에서의 운전시에, 단부면(17c, 17d)끼리가 접촉했을 경우에, 이들 단부면(17c, 17d)끼리가 비평행이 되는(경사짐)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단부(12c, 12d)의 근방에 보지된 곳에 스큐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보지기(7f)의 거동이 불안정하게 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지기(7f)에 부하되는 모멘트 하중이 커지거나 보지기(7f)가 비원통 형상으로 탄성 변형하거나 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스큐를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접촉 면적을 크게 확보할 수 있는 것에 의해서, 응력 집중을 완화할 수 있기 때문에, 보지기(7f)가 파손하는 것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13b)(고정 기구)를 오프셋시키고 있기 때문에, 외경측에 있어서, 축방향 치수가 대폭으로 되는 외경측 결합편(14e)을 마킹 공간으로 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실시형태의 제 5 예의 보지기(7g)를 도시하고 있다. 본 예의 경우에는, 한쌍의 외경측 결합편(14g, 14h) 중, 한쪽의 단부(12c)에 마련된 외경측 결합편(14g)의 축방향 치수를, 다른쪽의 단부(12d)에 마련된 외경측 결합편(14h)의 축방향 치수보다 작게 하고 있다. 또한, 한쌍의 내경측 결합편(15g, 15h)에 대해서도, 한쪽의 단부(12c)에 마련된 내경측 결합편(15g)의 축방향 치수를, 다른쪽의 단부(12d)에 마련된 내경측 결합편(15h)의 축방향 치수보다 작게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외경측 결합편(14g, 14h)끼리의 축방향에 관한 결합 위치[도 8 중의 실선(X)], 및 내경측 결합편(15g, 15h)끼리의 축방향에 관한 결합 위치[도 9 중의 실선(Y)]를, 보지기(7g)의 축방향 중앙 위치[도 8 및 도 9 중의 쇄선(A)으로부터], 각각 축방향에 관하여 반대 방향으로 어긋나게 하고 있다(오프셋시키고 있다). 또한, 본 예의 경우에도, 외경측 결합편(14g)과 외경측 결합편(14h)과의 축방향 치수비, 및 내경측 결합편(15g)과 상기 내경측 결합편(15h)과의 축방향 치수비를 각각 2:3 정도로 하고 있다. 또한, 외경측 결합편(14g, 14h) 및 내경측 결합편(15g, 15h)의 직경방향 치수는 단부(12c, 12d)의 직경방향 치수의 대략 1/2로 하고 있다.
또한, 보지기(7g)를 래디얼 롤러 베어링에 조립한 상태에서의, 외경측 결합편(14g, 14h) 및 내경측 결합편(15g, 15h)의 원주방향 단부면과, 이들 단부면에 원주방향으로 각각 대향하는 상대면 사이의 간극의 크기를 다음과 같이 규제하고 있다. 즉, 한쌍의 외경측 결합편(14g, 14h) 중에서, 축방향 치수가 큰 외경측 결합편(14h)의 원주방향 단부면과, 이러한 단부면에 원주방향으로 대향하는 상대면 사이의 간극(α1)의 크기를, 동일하게 축방향 치수가 작은 외경측 결합편(14g)의 원주방향 단부면과, 이러한 단부면에 원주방향으로 대향하는 상대면 사이의 간극(β1)의 크기보다 작게 하고 있다(α1<β1). 부가하여, 한쌍의 내경측 결합편(15g, 15h) 중에서, 축방향 치수가 큰 내경측 결합편(15h)의 원주방향 단부면과, 이러한 단부면에 원주방향으로 대향하는 상대면 사이의 간극(γ1)의 크기를, 동일하게 축방향 치수가 작은 내경측 결합편(15g)의 원주방향 단부면과, 이러한 단부면에 원주방향으로 대향하는 상대면 사이의 간극의 크기보다 작게 하고 있다(γ1<δ1). 또한, 도시의 예에서는, 간극(α1)을 간극(β1)의 0.7배 정도로 하고 있으며, 간극(γ)을 간극(β1)의 0.7배 정도로 하고 있다.
또한, 축방향 치수가 큰 외경측 결합편(14h)의 원주방향 단부면과 상대면 사이의 간극(α1)의 크기를, 축방향 치수가 큰 내경측 결합편(15h)의 원주방향 단부면과 상대면 사이의 간극(γ1)의 크기를 동일한(실질적으로 동일함을 포함함) 것으로 하고 있다(α1=γ1). 부가하여, 축방향 치수가 작은 외경측 결합편(14g)의 원주방향 단부면과 상대면 사이의 간극(β1)의 크기를, 축방향 치수가 작은 내경측 결합편(15g)의 원주방향 단부면과 상대면 사이의 간극(δ1)의 크기를 동일하게(실질적으로 동일함을 포함함) 하고 있다(β1=δ1).
또한, 보지기(7g)는 한쌍의 분할형을 이용한 액시얼 드로 성형에 의해 만들어지기 때문에, 양 분할형을 축방향으로 떼어 놓은 직후 상태에서는, 양 단부(12c, 12d)끼리는 아직도 결합하고 있지 않다[단부(12c, 12d)끼리의 사이에 간극이 존재함]. 단, 보지기(7g)가 실온까지 냉각되는 과정에서 보지기 직경이 수축하기 때문에, 도시와 같이, 양 단부(12c, 12d)끼리가 결합하여, 외경측 결합편(14g, 14h) 및 내경측 결합편(15g, 15h)의 원주방향 단부면과 각각의 상대면 사이의 간극의 크기가 상술한 바와 같은 관계가 된다. 단, 실제의 경우에는, 냉각의 과정에서 보지기(7g)가 소망하는 바와 같이 수축하지 않는 경우도 있을 수 있지만, 이러한 보지기(7g)는 합성 수지제이며, 고탄성체이기 때문에, 조립 장착후에 상대 부재에 따라(탄성 변형하여), 소망의 형상이 된다(간극의 관계가 얻어진다).
또한, 축방향 치수가 작은 외경측 결합편(14g) 및 내경측 결합편(15g)에 관한 간극의 크기는, 상술의 설명과 같이, 동일하게(β1=δ1)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들 간극의 크기는 반드시 동일하게 규제할 필요는 없다. 단, 이들 간극의 크기는, 운전시에 보지기(7g)에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해서, 결합부(13c)에 의한 결합이 어긋나지 않도록[단부(12c, 12d)끼리가 분리하지 않음], 외경측 결합편(14g)과 내경측 결합편(15g)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결합편이 축방향 및 직경방향에 인접하는 결합편과 결합할 수 있는(오버랩 양을 확보할 수 있음) 크기로 설정된다.
본 예의 보지기(7g)에 의하면, 조립 장착 작업성의 개선 뿐만 아니라, 보지기의 축방향 치수가 작은 경우에도, 그 사용시의 거동을 안정시킬 수 있다. 즉, 본 예의 보지기(7g)의 경우, 운전시에, 단부면(17c, 17d)끼리가 접촉(충돌)했을 경우에, 축방향 치수가 큰 외경측 결합편(14h) 및 내경측 결합편(15h)의 원주방향 단부면을 각각의 상대면에 대하여 접촉시킬 수 있다[이 상태에서, 축방향 치수가 작은 외경측 결합편(14g) 및 내경측 결합편(15g)의 원주방향 단부면과 상대면 사이에는 미소 간극이 형성됨]. 따라서, 보지기(7g)의 축방향 치수가 작은 경우에도, 단부면(17c, 17d)끼리가 접촉할 때의 접촉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본 예에서는, 단부면(17c, 17d) 전체의 면적의 3/5의 부분에서 접촉시키게 함]. 이러한 결과, 이들 단부면(17c, 17d)끼리가 접촉했을 경우에, 이들 단부면(17c, 17d)끼리가 비평행이 되는(경사짐)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단부(12c, 12d)의 근방에 보지된 롤러에 스큐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보지기(7g)의 거동이 불안정하게 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지기(7g)에 부하되는 모멘트 하중이 커지거나, 보지기(7g)가 비원통 형상으로 탄성 변형하거나 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스큐를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접촉 면적을 크게 확보할 수 있는 것에 의해, 응력 집중을 완화할 수 있기 때문에, 보지기(7g)가 파손하는 것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실시형태의 제 6 예의 보지기(7h)를 도시하고 있다. 본 예의 경우, 결합부(13d)를 구성하는 외경측 결합편(14i, 14j) 및 내경측 결합편(15i, 15j)을, 불연속부(11a)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단부(12c, 12d)의 축방향 단부[림부(8g, 8h)]에는 형성하지 않고, 기둥부(9)에만 형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결합부(13d)의 축방향 양 단부를 림부(8g, 8h)의 축방향 단부면보다 축방향 중앙측으로 각각 오프셋시키고 있다. 환언하면, 결합부(13d)를, 보지기(7h)의 축방향 양 단부를 제외한, 축방향 중간부에만 마련하고 있다.
본 예의 보지기(7h)에 의하면, 결합부(13d)의 축방향 양측 부분에, 직경방향 양측 부분 및 축방향에 관하여 이러한 결합부(13d)와는 반대측 부분이 개구한, 삽입 공간(25a, 25b)을 각각 형성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본 예의 보지기(7h)의 경우에는, 래디얼 롤러 베어링의 자동 조립[포켓(10) 내로의 롤러 삽입 작업]을 실행할 때에, 삽입 공간(25a, 25b)에, 도시하지 않는 위치결정 핀을 삽입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위치결정 핀의 원주방향 위치를 정확하게 규제함으로써, 포켓(10)의 원주방향 위치를, 각각의 롤러의 삽입 위치에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 또한, 불연속부(11a)의 폭이 확장수축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서, 보지기(7h)를 일정한 직경 치수로 유지하기 쉬워진다. 이 결과, 보지기(7h)의 형태가 안정되어, 롤러의 삽입 위치에 대한 위상 맞춤이 용이해지는 동시에, 보지기(7h)를 외경측 부재 및 내경측 부재에 조립 장착할 시의 위치 결정도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래디얼 롤러 베어링의 조립의 자동화를 도모하기 쉬워지는 동시에, 조립 작업의 작업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삽입 공간(25a, 25b)을 형성한 만큼, 보지기(7h)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사출 성형시의 수축 방지의 면에서도 유리하게 된다.
도 11 및 도 12는 실시형태의 제 7 예의 보지기(7i)를 도시하고 있다. 본 예의 경우에는, 실시형태의 제 6 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결합부(13e)를 구성하는 외경측 결합편(14k, 14l) 및 내경측 결합편(15k, 15l)을, 불연속부(11a)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단부(12c, 12d)의 축방향 단부[림부(8g, 8h)]에는 형성하지 않으며, 기둥부(9)에만 형성하고 있다.
또한, 한쌍의 외경측 결합편(14k, 14l)끼리의 축방향 치수 및 한쌍의 내경측 결합편(15k, 15l)끼리의 축방향 치수를, 실시형태의 제 5 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각각 서로 다르게 한다. 즉, 한쌍의 외경측 결합편(14k, 14l) 중, 한쪽의 단부(12c)에 마련된 외경측 결합편(14k)의 축방향 치수를, 다른쪽의 단부(12d)에 마련된 외경측 결합편(14l)의 축방향 치수보다 크게 하고 있다. 이에 반해, 한쌍의 내경측 결합편(15k, 15l) 중, 다른쪽의 단부(12d)에 마련된 내경측 결합편(15l)의 축방향 치수를, 한쪽의 단부(12c)에 마련된 내경측 결합편(15k)의 축방향 치수보다 크게 하고 있다. 본 예의 경우, 한쌍의 외경측 결합편(14k, 14l)의 축방향 치수의 합과 한쌍의 내경측 결합편(15k, 15l)의 축방향 치수의 합은 서로 동일하며, 이들 합은, 단부(12c, 12d)의 축방향 치수로부터, 삽입 공간(25a, 25b)의 축방향 치수의 합을 뺀 값과 동일하다. 또한, 본 예에서는, 외경측 결합편(14k)과 외경측 결합편(14l)과의 축방향 치수비, 및 내경측 결합편(15l)과 내경측 결합편(15k)과의 축방향 치수비를 각각 2:1 정도로 하고 있다.
그리고, 한쌍의 외경측 결합편(14k, 14l) 중에서, 축방향 치수가 큰 외경측 결합편(14k)의 원주방향 단부면과, 이러한 단부면에 원주방향으로 대향하는 상대면 사이의 간극의 크기를, 축방향 치수가 작은 외경측 결합편(14l)의 원주방향 단부면과, 이러한 단부면에 원주방향으로 대향하는 상대면 사이의 간극(β2)의 크기보다 작게 하고 있다(α2<β2). 부가하여, 한쌍의 내경측 결합편(15k, 15l) 중에서, 축방향 치수가 큰 내경측 결합편(15l)의 원주방향 단부면과, 이러한 단부면에 원주방향으로 대향하는 상대면 사이의 간극(γ2)의 크기를, 축방향 치수가 작은 내경측 결합편(15k)의 원주방향 단부면과, 이러한 단부면에 원주방향으로 대향하는 상대면 사이의 간극(δ2)의 크기보다 작게 하고 있다(γ2<δ2). 또한, 도시의 예에서는, 간극(α2)을 간극(β2)의 0.7배 정도로 하고 있으며, 간극(γ2)을 간극(δ2)의 0.7배 정도로 하고 있다.
또한, 축방향 치수가 큰 외경측 결합편(14k)의 원주방향 단부면과 상대면 사이의 간극(α2)의 크기를, 축방향 치수가 큰 내경측 결합편(15l)의 원주방향 단부면과 상대면 사이의 간극(α2)의 크기를 동일(실질적으로 동일함을 포함함)한 것으로 하고 있다(α2=γ2). 부가하여, 축방향 치수가 작은 외경측 결합편(14l)의 원주방향 단부면과 상대면 사이의 간극(β2)의 크기를, 축방향 치수가 작은 내경측 결합편(15k)의 원주방향 단부면과 상대면 사이의 간극(δ2)의 크기를 동일(실질적으로 동일함을 포함함)하게 하고 있다(β2=δ2).
실시형태의 제 5 예 및 제 7 예에서는, 한쌍의 외경측 결합편끼리의 결합 위치와 한쌍의 내경측 결합편끼리의 결합 위치를, 보지기의 축방향 중앙 위치로부터 축방향에 관하여 반대측으로 오프셋시키고 있었지만, 동일한 방향으로 오프셋시켜도 좋다. 이 경우에는 동일한 양만 오프셋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단부끼리의 체적을 균등하게 하기 쉬워진다. 또한, 실시형태의 제 6 예 및 제 7 예에서는, 결합부의 축방향 양측에, 위치결정 핀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 공간을 형성하고 있지만, 편측에만 마련하는 구조도 채용할 수 있다.
실시형태의 제 3 내 제 7 예의 경우에는, 절결부(18e, 18f)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단부(12c, 12d)의 축방향 측면(32)을, 이들 절결부(18e, 18f)에 근접할수록 양 단부(12c, 12d)의 축방향에 관한 치수가 작아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테이퍼 면으로 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테이퍼 면의 원주방향 길이나 직경방향 폭 치수, 경사 각도 등은 보지기의 크기나 두께, 베어링이 조립 장착되는 상대 부재에 있어서의 안내면의 형상 등에 따라서 임의로 설정하면 좋다.
이와 같이, 테이퍼 면을 마련함으로써, 보지기가 축방향으로 어긋났을 경우의 안내면에 대한 보지기의 접촉 위치에 관계 없이, 안내면에 보지기(불연속부)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보지기의 회전이 저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형태의 제 8 예 및 제 9 예]
도 13 내지 도 22에는, 이와 같은 탄성 연결부를 마련한 보지기의 구성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13 내지 도 17에 도시한 보지기 구성을 실시형태의 제 8 예, 도 18 내지 도 22에 도시한 보지기 구성을 실시형태의 제 9 예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실시형태의 제 8 예 및 제 9 예에서는, 고정부를 대신하여 탄성 연결부가 마련되어 있지만, 그 이외의 부재는, 실시형태의 제 3 예의 구조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동일 혹은 유사한 구성 부재에 대해서는, 도면 상에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도 13 내지 도 17에 도시한 실시형태의 제 8 예의 보지기(7j)의 경우에도, 한쌍의 림부(8g, 8h) 중, 원주방향에 관한 위상이 서로 거의 동일한 부분에 각각 절결부(18e, 18f)를 마련하고 있다. 그리고, 림부(8g, 8h) 및 기둥부(9) 중, 이들 절결부(18e, 18f)의 위치를 사이에 두고 원주방향으로 원근동 가능한 양 단부(12e, 12f)끼리의 사이에 탄성 연결부(19a)를 마련하고 있다.
특히 본 예의 경우, 이러한 탄성 연결부(19a)를, 각각이 원주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외경측 탄성 연결부(26)와 내경측 탄성 연결부(27)에 의해 구성하고 있다. 이들 외경측 탄성 연결부(26)와 내경측 탄성 연결부(27)는 각각 대략 직선 형상(봉 형상)이며, 축방향에 대한 경사 방향을 서로 역 방향으로, 또한 경사 각도를 서로 동일하게 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외경측 탄성 연결부(26)와 내경 탄성 연결부(27)는, 서로의 형상이 보지기(7j)의 축방향으로 반전한(도 15 및 도 16에서 좌우가 반전한) 관계가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완성 상태에서, 외경측 탄성 연결부(26)의 형상이 우측으로 올라가는 직선 형상(「/」 형상)인 것에 비하여, 내경측 탄성 연결부(27)의 형상은 이러한 외경측 탄성 연결부(26)를 축방향(좌우)으로 반전시킨 좌측으로 올라가는 직선 형상(「\」 형상)이다. 또한, 도 16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신장 형태에서는 경사 방향이 반대로 된다. 또한, 본 예의 경우에는, 이러한 외경측 탄성 연결부(26)와 내경측 탄성 연결부(27)를 보지기(7j)의 직경방향으로 중첩시키고, 이들 외경측 탄성 연결부(26)와 내경측 탄성 연결부(27)를 보지기(7j)의 축방향 중앙 부분과 교차(크로스)시키고 있다.
이 때문에, 외경측 탄성 연결부(26) 및 내경측 탄성 연결부(27)의 직경방향에 관한 두께 치수를, 림부(8g, 8h) 및 기둥부(9)[단부(12e, 12f]의 직경방향에 관한 두께 치수의 1/2 미만(도시의 예에서는 2/5 정도)으로 하고, 외경측 탄성 연결부(26)의 내경측 측면과 내경측 탄성 연결부(27)의 외경측 측면 사이에 간극을 마련하고 있다. 그리고, 외경측 탄성 연결부(26)의 원주방향 일단부(도 15의 자유 상태에서 하측, 도 16의 신장 상태에서 상측에 위치하는 단부)를, 한쪽의 림부(8g)의 원주방향 일단부[도 15 및 도 16에서 절결부(18e)의 상측에 존재하는 단부] 중 외경측 부분에, 외경측 탄성 연결부(26)의 원주방향 타단부[도 15의 자유 상태에서 상측, 도 16의 신장 상태에서 하측에 위치하는 단부)를, 다른쪽의 림부(8h)의 원주방향 타단부[도 15 및 도 16에서 절결부(18f)의 하측에 존재하는 단부] 중 외경측 부분에, 각각 연결하고 있다. 한편, 내경측 탄성 연결부(27)의 원주방향 일단부를, 다른쪽의 림부(8h)의 원주방향 일단부의 내경측 부분에, 내경측 탄성 연결부(27)의 원주방향 타단부를, 한쪽의 림부(8g)의 원주방향 타단부의 내경측 부분에, 각각 연결하고 있다. 또한, 본 예의 경우에는, 외경측 탄성 연결부(26) 및 내경측 탄성 연결부(27)의 직경방향에 관한 두께 치수 및 폭 치수(굵기)를 전체 길이에 걸쳐서 일정하게 하고 있다.
또한, 도 13 내지 도 15 및 도 17은 보지기(7j)가 냉각 수축한, 완성 후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에 반해, 이와 같이 냉각 수축하기 이전 상태(분할형으로부터 취출한 직후의 상태)에서는, 도 16에 도시한 경우와 거의 동일하게 절결부(18e, 18f)의 원주방향에 관한 폭이 크며, 외경측 탄성 연결부(26) 및 내경측 탄성 연결부(27)가 원주방향으로 신장된 형상이 된다. 따라서, 본 예의 경우에는, 외경측 탄성 연결부(26) 및 내경측 탄성 연결부(27)를 분할형과 간섭시키는 일이 없이 형성할 수 있다. 즉, 분할형을, 외경측 탄성 연결부(26) 및 내경측 탄성 연결부(27)에 간섭시키는 일이 없이, 축방향으로 인발할 수 있다.
또한, 도시의 구조 이외에도, 외경측 탄성 연결부(26)와 내경측 탄성 연결부(27)의 경사 방향을 서로 반대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외경측 탄성 연결부(26)와 내경측 탄성 연결부(27)와의 직경방향에 관한 두께 치수를 서로 다르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3 내지 도 17에 도시한 실시형태의 제 8 예에서는, 각각 직선 형상의 외경측 탄성 연결부(26)와 내경측 탄성 연결부(27)를, 직경방향으로 중첩시켜서 서로 교차시킨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탄성 연결부의 구조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8 내지 도 22에 도시하는 실시형태의 제 9 예의 보지기(7k)에서는, 각각 V자 형상의 외경측 탄성 연결부(26a)와 내경측 탄성 연결부(27a)를 직경방향으로 중첩시키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탄성 연결부(19b)를 구성하고, 각각이 원주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외경측 탄성 연결부(26a)와 내경측 탄성 연결부(27a)를 각각 V자 형상으로 하고, 각각의 정점(및 연결부)의 위치를 축방향에 관하여 반대로 배치하는 동시에, 정각(頂角)의 크기(자유 상태 및 탄성 변형 상태에 있어서의 정각의 크기)를 서로 동일하게 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외경측 탄성 연결부(26a)와 내경측 탄성 연결부(27a)는, 서로의 형상이, 보지기(7k)의 축방향으로 반전한(도 20 및 도 21에서 좌우가 반전한) 관계가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완성 상태에서, 외경측 탄성 연결부(26a)의 형상이 좌측에 정각을 배치한 V자 형상(「<」 형상)인데 반해, 내경측 탄성 연결부(27a)의 형상은, 외경측 탄성 연결부(26a)를 축방향(좌우)으로 반전시킨, 우측에 정각을 배치한 V자 형상(「>」 형상)이다. 또한, 본 예의 경우에도, 이와 같은 외경측 탄성 연결부(26a)와 내경측 탄성 연결부(27a)를, 보지기(7k)의 직경방향으로 중첩시켜서 서로 교차시키고 있다.
또한, 외경측 탄성 연결부(26a) 및 내경측 탄성 연결부(27a)의 직경방향에 관한 두께 치수를 림부(8g, 8h) 및 기둥부(9)[단부(12e), 12f]의 직경방향에 관한 두께 치수의 1/2 미만(도시의 예에서는 2/5 정도)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외경측 탄성 연결부(26a)의 원주방향 일단부(도 20 및 도 21의 상측에 위치하는 단부)를, 절결부(18e, 18f)를 사이에 두고 마련된 양 단부(12e, 12f) 중, 한쪽의 단부(12e)[도 19 및 도 20에서 절결부(18e, 18f)의 상측에 존재하는 단부(12e)] 중 외경측 부분의 축방향 편측 부분[림부(8f)측, 도 20 및 도 21의 우측 부분]에 연결하고 있다. 또한, 외경측 탄성 연결부(26a)의 원주방향 타단부[도 20 및 도 21의 하측에 위치하는 단부]를, 절결부(18e, 18f)를 사이에 두고 마련된 단부(12e, 12f) 중, 다른쪽의 단부(12f)[도 20 및 도 21에서 절결부(18e, 18f)의 하측에 존재하는 단부(12f)] 중 외경측 부분의 축방향 편측 부분에 연결하고 있다. 환언하면, 보지기(7k)의 외경측에 있어서, 다른쪽의 림부(8h)의 절결부(18f)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양 단부에, 외경측 탄성 연결부(26a)의 원주방향 양 단부를 연결하고 있다.
한편, 내경측 탄성 연결부(27a)의 원주방향 일단부를, 절결부(18e, 18f)를 사이에 두고 마련된 양 단부(12e, 12f) 중, 한쪽의 단부(12e) 중 내경측 부분의 축방향 타측 부분[림부(8g)측, 도 20 및 도 21의 좌측 부분]에 연결하고 있다. 또한, 내경측 탄성 연결부(27a)의 원주방향 타단부를, 절결부(18e, 18f)를 사이에 두고 마련된 양 단부(12e, 12f) 중, 다른쪽의 단부(12f) 중 내경측 부분의 축방향 타측 부분에 연결하고 있다. 환언하면, 보지기(7k)의 내경측에 있어서, 한쪽의 림부(8g)의 절결부(18e)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양 단부에, 내경측 탄성 연결부(27a)의 원주방향 양 단부를 연결하고 있다.
또한, 외경측 탄성 연결부(26a) 및 내경측 탄성 연결부(27a)의 직경방향에 관한 두께 치수를 전체 길이에 걸쳐서 일정하게 하고 있다. 단, 폭 치수에 대해서는, 외경측 탄성 연결부(26a) 및 내경측 탄성 연결부(27a)의 정점(굴곡부) 부근에서, 다른 부분보다 굵게 하고 있다.
또한, 보지기(7k)가 냉각 수축하기 이전의 상태(분할형으로부터 취출한 직후 상태)에서는, 도 21에 도시한 경우와 거의 동일하게 절결부(18e, 18f)의 원주방향에 관한 폭이 크며, 외경측 탄성 연결부(26a) 및 내경측 탄성 연결부(27a)가 원주방향으로 신장된 형상이 된다. 따라서, 본 예의 경우에도, 이들 외경측 탄성 연결부(26a) 및 내경측 탄성 연결부(27a)를 각각의 분할형과 간섭시키지 않고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시의 구조 이외에도, 외경측 탄성 연결부(26a)와 내경측 탄성 연결부(27a)와의 배설 방향을 서로 반대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외경측 탄성 연결부(26a)와 내경측 탄성 연결부(27a)와의 직경방향에 관한 두께 치수를 서로 다르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형태의 제 7 예 및 실시형태의 제 8 예의 보지기(7j, 7k)에 의하면, 조립 장착 작업성이 양호하고, 프레팅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탄성 연결부(19a, 19b)에 충분한 탄력을 발휘시킬 수 있으며, 또한 운전시에 있어서의 거동을 안정시킨다.
조립 장착 작업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으며, 프레팅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은, 원주방향 일부에 원주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 연결부(19a, 19b)[외경측, 내경측 각 탄성 연결부(26, 26a, 27, 27a)]를 마련한 것에 의한다. 즉, 탄성 연결부(19a, 19b)를 원주방향으로 신장시킴으로써, 절결부(18e, 18f)의 폭을 원주방향으로 넓힐 수 있다. 이 때문에, 회전축 등의 축의 외주면에, 외향 플랜지 형상의 칼라부 등의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보지기(7j, 7k)를 이 축의 주위에 용이하게 조립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보지기(7j, 7k)가 회전할 때에, 회전 속도(작용하는 원심력의 크기)에 따라서, 탄성 연결부(19a, 19b)를 원주방향으로 신장시키거나 탄성적으로 복원시키거나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각각의 롤러의 전동면과 외륜 궤도 및 내륜 궤도와의 접촉 위치를 변동시킨다. 따라서, 조립 장착 작업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프레팅 마모를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탄성 연결부(19a, 19b)에 충분한 탄력을 발휘시키는 것은, 탄성 연결부(19a, 19b)를, 각각이 원주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외경측 탄성 연결부(26, 26a)와 내경측 탄성 연결부(27, 27a)를, 보지기(7j, 7k)의 직경방향으로 중첩시켜 구성한 것에 의한다. 즉, 이것들 외경측 탄성 연결부(26, 26a)와 내경측 탄성 연결부(27, 27a)가 각각 탄력을 발휘하고, 원주방향에 관하여, 이들 2개의 탄력을 서로 더한 탄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외경측 탄성 연결부(26, 26a)와 내경측 탄성 연결부(27, 27a)는 축방향에 간섭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이들 외경측 탄성 연결부(26, 26a)와 내경측 탄성 연결부(27, 27a)의 각각의 전체 길이(축방향에 관한 길이)를 보지기(7j, 7k)의 축방향 치수(전폭)의 범위에서 충분히 크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외경측 탄성 연결부(26, 26a)와 내경측 탄성 연결부(27, 27a)가 각각 발휘하는 탄력(스프링력)을 충분히 크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예의 구조에 의하면, 도 27에 도시한 종래 구조의 경우에 비하여, 대략 2배 정도의 탄력을 발휘할 수 있다. 특히, 실시형태의 제 9 예에 나타낸 보지기(7k)에 의하면, 외경측 탄성 연결부(26a) 및 내경측 탄성 연결부(27a)를 V자형으로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보다 큰 탄력을 발휘할 수 있다. 게다가, 외경측 탄성 연결부(26, 26a)와 내경측 탄성 연결부(27, 27a)를 보지기(7j, 7k)의 직경방향으로 중첩시켜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탄성 연결부(19a, 19b)의 형성 공간(원주방향에 관한 공간)이 커지는 일도 없다. 따라서, 탄성 연결부(19a, 19b)의 형성 공간이 작은 경우에도, 탄성 연결부(19a, 19b)에 충분한 탄력을 발휘하게 한다.
또한, 거동을 안정하는 것은, 탄성 연결부(19a, 19b)를 구성하는 외경측 탄성 연결부(26, 26a)와 내경측 탄성 연결부(27, 27a)와의 형상을 축방향으로 서로 반전한 형상으로 한 것에 의한다. 즉, 이와 같은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운전시에 보지기(7j, 7k)가 확경 혹은 축경할 때에, 외경측 탄성 연결부(26, 26a) 및 내경측 탄성 연결부(27, 27a)로부터 단부(12e, 12f)에 대하여 작용하는 힘 중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상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지기(7j)가 확경할 때에, 한쪽의 림부(8g)의 원주방향 일단부와, 다른쪽의 림부(8h)의 원주방향 타단부에는, 외경측 탄성 연결부(26)로부터 축방향에 관하여 서로 근접하는 방향의 힘이 작용한다. 한편, 다른쪽의 림부(8h)의 원주방향 일단부와, 한쪽의 림부(8g)의 원주방향 타단부에도, 내경측 탄성 연결부(27)로부터 축방향에 관하여 서로 근접하는 방향의 힘이 작용한다. 따라서, 절결부(18e, 18f)를 사이에 두고 마련된 단부(12e, 12f)에는, 축방향에 관한 작용 방향이 역방향으로, 또한 크기가 동일한 2개의 힘이 각각 작용한다. 이 결과, 이러한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상쇄된다. 또한, 실시형태의 제 8 예의 보지기(7k)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상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보지기(7j, 7k)가 확경 혹은 축경할 때에, 림부(8g, 8h)의 원주방향 일단부의 축방향 측면과 원주방향 타단부의 축방향 측면이 동일 평면 상으로부터 어긋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어서, 림부(8g, 8h)의 축방향 측면이, 이들 축방향 측면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면[보지기(7j, 7k)의 중심축에 직교하는 가상 평면]에 대하여 경사지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의 경우에는, 외경측 탄성 연결부(26, 26a) 및 내경측 탄성 연결부(27, 27a)가 다른 부분에 비하여 크게 냉각 수축했을 경우에도, 이들 외경측 탄성 연결부(26, 26a)와 내경측 탄성 연결부(27, 27a)와의 수축량을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림부(8g, 8h)의 원주방향 일단부의 축방향 측면과 원주방향 타단부의 축방향 측면이 동일 평면 상으로부터 어긋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이 때문에 림부(8g, 8h)의 축방향 측면이 안내면에 대하여 경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절결부(18e, 18f)를 사이에 두고 마련된 단부(12e, 12f)의 근방에 배치된 포켓(10) 내에 보지된 각각의 롤러에 스큐가 발생하는 것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보지기(7j, 7k)의 거동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보지기(7j, 7k)는 외경측 탄성 연결부(26, 26a)와 내경측 탄성 연결부(27, 27a) 및 림부(8g, 8h)의 형상을 포함하며, 한쌍의 분할형을 축방향으로 빼낸, 즉, 사출 성형후의 보지기(7j, 7k)를 손상시키는 일이 없이, 이들 한쌍의 분할형끼리를 이격하는 형상으로 규제되어 있다. 이 때문에, 액시얼 드로 형성에 의해 만들 수 있어서, 제조 비용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보지기(7j, 7k)에 대하여, 림부(8g, 8h)의 절결부(18e, 18f)의 폭을 원주방향으로 확장시키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탄성 연결부(19a, 19b)는 탄성 변형하여 원주방향으로 신장한다. 이것에 의해, 보지기(7j, 7k)를 확경시킬 수 있다. 또한, 보지기(7j, 7k)에 대하여, 림부(8g, 8h)의 절결부(18e, 18f)의 폭을 원주방향으로 축소시키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탄성 연결부(19a, 19b)는 탄성 변형하여 원주방향으로 줄어든다. 이것에 의해, 보지기(7j, 7k)를 축경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보지기(7j, 7k)에 작용하고 있던 힘을 해제하면, 탄성 연결부(19a, 19b)가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래 상태까지 되돌아와, 보지기(7j, 7k)의 직경 치수를 원래 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 또한, 보지기(7j, 7k)는 탄성 연결부(19a, 19b)의 신장량의 한도 내에 있어서 확경되며, 그 한도를 초과하여 과도하게 확경되는 일은 없다. 또한, 보지기(7j, 7k)는 절결부(18e, 18f)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양 단부면끼리가 접촉할 때까지를 한도로 축경되며, 그것을 초과하여 과도하게 축경되는 일도 없다.
이와 같이, 탄성 연결부(19a, 19b)는, 이른바 스프링의 역할을 수행하여, 보지기(7j, 7k)의 직경 치수가 소정 범위로 확대 및 축소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어 보지기(7j, 7k)를 조립한 베어링이 고속 회전하는 경우에는, 원심력의 작용에 의해 보지기(7j, 7k)를 확경시키는 한편, 저속 회전이 되면, 보지기(7j, 7k)를 원의 직경까지 부드럽게 축경시킨다. 이 때문에, 포켓(10)의 내면과 롤러의 주면(周面)과의 접촉 위치를 변동 조정할 수 있어서, 프레팅의 손상의 발생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지기(7j, 7k)가 조립된 베어링에 대하여 큰 하중(예를 들어 래디얼 하중)이 부하되었을 경우에도, 보지기(7j, 7k)를 유연하게 확경 혹은 축경시킴으로써, 포켓(10)의 내면과 주위면과의 접촉 위치를 변동 조정시켜서, 부하 하중을 효율적으로 놓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보지기(7j, 7k)의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탄성 연결부를 구성하는 외경측 탄성 연결부 및 내경측 탄성 연결부의 굵기(폭 치수)는 전체 길이에 걸쳐서 일정할 필요는 없으며, 래디얼 롤러 베어링의 사용 조건, 외경측 탄성 연결부 및 내경측 탄성 연결부의 강도, 사출 성형성 등을 고려하여, 일부분을 굵게 하거나, 혹은 가늘게 하거나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근원 부분(연결 부분)을 굵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외경측 탄성 연결부 및 내경측 탄성 연결부의 형상은 직선 형상이나, V자형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파형(波形), 크랭크형, U자형, Z자형, M자형 등의 다양한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실시형태의 제 10 예]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 10 예의 보지기(7l)를 도시하고 있다. 보지기(7l)를 구성하는 한쌍의 림부(8i, 8j)를 모두 2개의 대략 원호 형상의 분할체(28a, 29a, 28b, 29b)로 이루어지는 2분할 구조로 하고 있다. 또한, 본 예의 보지기(7l)는, 한쌍의 림부(8i, 8j)[분할체(28a, 29a, 28b, 29b)]에 대하여, 외경측 오목부(23a, 23b) 및 내경측 오목부(24a, 24b)를 거의 균등하게 마련하는 동시에, 각각의 림부(8i, 8j)의 외경측 및 내경측에 대해서도, 외경측 오목부(23a, 23b) 및 내경측 오목부(24a, 24b)를 거의 균등하게 마련하고 있다. 그 기본적인 보지기 구성은 실시형태의 제 1 예 보지기(7c), 및 실시형태의 제 3 예(7e)와 공통되어 있기 때문에, 동일 혹은 유사한 구성 부재에 대해서는, 도면 상에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또한, 한쌍의 림부(8i, 8j)는, 원주방향에 관한 위상이 서로 거의 동일한 부분에, 각각 절결부(30a, 30b, 31a, 31b)를 마련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보지기(7l)를, 원주방향 2개소에 불연속부(11b, 11c)를 갖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구성하고 있다. 림부(8i)[분할체(28a, 29a)]와 림부(8j)[분할체(28b, 29b)]의 직경 치수(곡률 반경)나 축방향에 대한 대향 간격은 베어링의 사이즈 등에 따라서 임의로 설정하면 좋다.
한쌍의 림부(8i, 8j)에는, 그 외주위면 중에서 포켓(10)과 축방향으로 정합하는 부분의 복수 개소에, 직경방향 내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패인 외경측 오목부(23a, 23b)를 마련하는 동시에, 그 내주면의 포켓(10)과 축방향으로 정합하는 부분 중에서, 외경측 오목부(23a, 23b)와 원주방향에 관한 위상이 다른 복수 개소에, 직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패인 내경측 오목부(24a, 24b)를 마련하고 있다. 즉, 한쌍의 림부(8i, 8j)는, 그 외주면이 외경측 오목부(23a, 23b)와 잔부[기둥부(9)의 외주면과의 연속부]에 의해 요철 형상으로 연속하는 동시에, 그 내주면이 내경측 오목부(24a, 24b)와 잔부[기둥부(9)의 내주면과의 연속부]에 의해 요철 형상으로 연속한다. 또한, 한쪽의 림부(8i) 및 다른쪽의 림부(8j)에 있어서, 외경측 오목부(23a, 23b)와 내경측 오목부(24a, 24b)와의 원주방향에 관한 위상을 다르게 하기 때문에, 림부(8i, 8j)의 외주면 및 내주면의 원주방향의 동일 위상에 있어서, 외경측 오목부(23a, 23b)와 내경측 오목부(24a, 24b)가 직경방향과 중첩되는 일은 없다. 도 23에 도시한 구조의 경우, 한쪽의 림부(8i)에, 외경측 오목부(23a)와 내경측 오목부(24a)를, 원주방향으로 1개씩 교대로 마련하고 있으며, 다른쪽의 림부(8j)에, 외경측 오목부(23b)와 내경측 오목부(24b)를, 원주방향으로 1개씩 교대로 마련하고 있다.
또한, 한쪽의 림부(8i)와 다른쪽의 림부(8j) 사이에서, 외경측 오목부(23a, 23b) 및 내경측 오목부(24a, 24b)의 원주방향에 관한 위상을 각각 다르게 하고 있다. 즉, 한쪽의 림부(8i)에 마련되는 외경측 오목부(23a)와, 다른쪽의 림부(8j)에 마련되는 외경측 오목부(23b)의 원주방향에 관한 위상을 다르게 하는 동시에, 한쪽의 림부(8i)에 마련되는 내경측 오목부(24a)와, 다른쪽의 림부(8j)에 마련되는 내경측 오목부(24b)의 원주방향에 관한 위상을 다르게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림부(8i, 8j) 중에서 포켓(10)의 축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외경측 오목부(23a, 23b)와 내경측 오목부(24a, 24b)를 각각 1개씩 배치하고 있다.
복수의 기둥부(9)는, 한쌍의 림부(8i, 8j)끼리의 사이에, 원주방향에 걸쳐서 간헐적으로, 걸쳐 놓인 상태로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기둥부(9)와 한쌍의 림부(8i, 8l)에 의해 사방이 둘러싸여진 부분을, 롤러(6)를 전동 가능하게 보지하기 위한 포켓(10)으로 하고 있다. 단, 본 예의 경우에는,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기둥부(9)끼리의 사이 부분 중, 절결부(30a, 31a, 30b, 31b)와 원주방향에 관한 위상이 일치하는 부분에는, 포켓을 마련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예의 보지기(7l)는, 원주방향의 2개소(불연속부(11b, 11c)에서, 롤러가 결락된 구조로 되어 있다. 환언하면, 보지기(7l) 중 불연속부(11b, 11c) 이외의 부분에는, 원주방향에 관하여 등 간격으로 포켓(10)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들 포켓(10) 내에 각각 롤러가 삽입된다. 또한, 포켓(10)의 크기는, 롤러의 직경 및 전체 길이에 따라서, 포켓(10)에 의해 각 롤러를 전동 가능하게 보지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또한, 포켓(10)의 수도, 보지기(7l)를 조립하는 래디얼 롤러 베어링의 용량(조립하는 롤러의 개수)에 따라 임의로 설정된다.
이상과 같이, 한쌍의 림부(8i, 8j)[분할체(28a, 29a, 28b, 29b)]에, 각각 2개소씩 절결부(30a, 30b, 31a, 31b)를 형성함으로써, 보지기(7l)를 원주방향 2개소에 불연속부(11b, 11c)를 갖는 구조로 하고 있기 때문에, 보지기(7l)의 직경 치수를 자유롭게 확장수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보지기(7l)를, 각종의 크기의 계단부나 칼라부 등을 갖는 축(내경측 부재) 등에 대하여, 용이하게 조립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각각의 실시형태의 각각의 예의 구조는 서로 모순되지 않는 한 각각의 구조의 일부에 대체하고, 혹은 추가하여, 다른 예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는, 주로 자동차나 철도 차량 등의 차량에 구비된 각종의 동력 기구, 특히, 자동차의 트랜스미션 중 회전 지지부에 조립되는 래디얼 롤러 베어링에 매우 적합하게 이용된다. 단, 본 발명의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를 조립한 래디얼 롤러 베어링의 용도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1a, 1b : 래디얼 롤러 베어링
2 : 외경측 부재
3, 3a, 3b : 외륜 궤도
4 : 축
5, 5a, 5b : 내륜 궤도
6, 6a, 6b : 롤러
7, 7a 내지 7l : 보지기
8, 8a 내지 8j : 림부
9 : 기둥부
10 : 포켓
11, 11a 내지 11c : 불연속부
12a 내지 12f : 단부
13, 13a 내지 13e : 결합부
14a 내지 14l : 외경측 결합편
15a 내지 15l : 내경측 결합편
16a : 외경측 오목부
16b : 내경측 오목부
17a 내지 17d : 단부면
18a 내지 18f : 절결부
19, 19a, 19b : 탄성 연결부
20a, 20b : 치차
21 : 동력 전달축
22a, 22b : 싱크로 기구
23a, 23b : 외경측 오목부
24a, 24b : 내경측 오목부
25a, 25b : 삽입 공간
26, 26a : 외경측 탄성 연결부
27, 27a : 내경측 탄성 연결부
28a, 28b : 분할체
29a, 29b : 분할체
30a, 30b : 절결부
31a, 31b : 절결부
32 : 축방향 측면

Claims (18)

  1. 한쌍의 분할형(split mold)에 의해 구성되는 금형을 사용한 합성 수지의 액시얼 드로 성형에 의해 일체로 만들어지는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로서,
    각각이 원환상이며,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서로 동심으로 마련되어 있는 한쌍의 림부와,
    원주방향에 걸쳐서 간헐적으로, 상기 림부끼리의 사이에 걸쳐 놓인 상태로 마련되어 있는 복수개의 기둥부와,
    상기 림부와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상기 기둥부에 의해 사방이 둘러싸여진 부분에 마련되어 있는 복수개의 포켓을 구비하며,
    상기 림부의 각각에 있어서, 그 외주면 중에서 상기 포켓과 축방향으로 정합하는 복수 개소에, 직경방향 내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패인 외경측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그 내주면 중에서 상기 포켓과 축방향으로 정합하며, 또한 상기 외경측 오목부와 원주방향에 관한 위상이 다른 복수 개소에, 직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패인 내경측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림부를 구성하는 한쪽의 림부와 다른쪽의 림부 사이에서, 상기 외경측 오목부 및 상기 내경측 오목부의 원주방향에 관한 위상을 각각 다르게 하여, 상기 림부 중에서 상기 포켓의 각각의 축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외경측 오목부와 내경측 오목부를 각각 1개씩 배치하고 있으며,
    상기 림부의 각각은 원주방향 1개소에 절결부를 갖는 불완전한 원환상이며, 이들 절결부의 폭을 원주방향으로 넓힘으로써 탄성적으로 확경 가능하며, 또한 상기 한쪽의 림부와 상기 다른쪽의 림부에서, 상기 절결부의 원주방향에 관한 위상을 일치시키고 있으며,
    상기 림부 및 상기 복수의 기둥부 중, 상기 절결부의 위치를 사이에 두고 원주방향으로 원근동(遠近動) 가능한 단부끼리의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 연결부가 걸쳐 놓인 상태로 마련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한쪽의 림부의 상기 절결부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원주방향 양 단부 중 한쪽의 단부와, 상기 다른쪽의 림부의 상기 절결부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원주방향 양 단부 중에서, 상기 한쪽의 단부와 원주방향에 관하여 반대측의 단부를, 상기 탄성 연결부에 의해 서로 연결하고 있는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
  2. 한쌍의 분할형(split mold)에 의해 구성되는 금형을 사용한 합성 수지의 액시얼 드로 성형에 의해 일체로 만들어지는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로서,
    각각이 원환상이며,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서로 동심으로 마련되어 있는 한쌍의 림부와,
    원주방향에 걸쳐서 간헐적으로, 상기 림부끼리의 사이에 걸쳐 놓인 상태로 마련되어 있는 복수개의 기둥부와,
    상기 림부와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상기 기둥부에 의해 사방이 둘러싸여진 부분에 마련되어 있는 복수개의 포켓을 구비하며,
    상기 림부의 각각에 있어서, 그 외주면 중에서 상기 포켓과 축방향으로 정합하는 복수 개소에, 직경방향 내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패인 외경측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그 내주면 중에서 상기 포켓과 축방향으로 정합하며, 또한 상기 외경측 오목부와 원주방향에 관한 위상이 다른 복수 개소에, 직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패인 내경측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림부를 구성하는 한쪽의 림부와 다른쪽의 림부 사이에서, 상기 외경측 오목부 및 상기 내경측 오목부의 원주방향에 관한 위상을 각각 다르게 하여, 상기 림부 중에서 상기 포켓의 각각의 축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외경측 오목부와 내경측 오목부를 각각 1개씩 배치하고 있으며,
    상기 림부의 각각은 원주방향 1개소에 절결부를 갖는 불완전한 원환상이며, 이들 절결부의 폭을 원주방향으로 넓힘으로써 탄성적으로 확경 가능하며, 또한 상기 한쪽의 림부와 상기 다른쪽의 림부에서, 상기 절결부의 원주방향에 관한 위상을 일치시키고 있으며,
    상기 림부 및 상기 복수의 기둥부 중, 상기 절결부의 위치를 사이에 두고 원주방향으로 원근동(遠近動) 가능한 단부끼리의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 연결부가 걸쳐 놓인 상태로 마련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탄성 연결부가 원주방향으로 각각 탄성 변형 가능한 외경측 탄성 연결부와 내경측 탄성 연결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외경측 탄성 연결부와 내경측 탄성 연결부가 직경방향으로 중첩하여 마련되어 있는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경측 탄성 연결부 및 상기 내경측 탄성 연결부는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의 축방향으로 서로 반전한 형상을 갖는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경측 탄성 연결부와 상기 내경측 탄성 연결부가 각각 직선 형상이며, 또한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의 축방향 중앙 부분에서 교차하고 있으며,
    상기 외경측 탄성 연결부의 원주방향 일단부가, 상기 절결부를 사이에 두고 마련된 양 단부 중 한쪽의 단부의 외경측 부분의 축방향 편측 부분에, 상기 외경측 탄성 연결부의 원주방향 타단부가, 상기 절결부를 사이에 두고 마련된 양 단부 중 다른쪽의 단부의 외경측 부분의 축방향 타측 부분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내경측 탄성 연결부의 원주방향 일단부가, 상기 한쪽의 단부 중 내경측 부분의 축방향 타측 부분에, 상기 내경측 탄성 연결부의 원주방향 타단부가, 상기 다른쪽의 단부 중 내경측 부분의 축방향 편측 부분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경측 탄성 연결부와 상기 내경측 탄성 연결부가 각각 V자형이며,
    상기 외경측 탄성 연결부의 원주방향 일단부가, 상기 절결부를 사이에 두고 마련된 양 단부 중 한쪽의 단부의 외경측 부분의 축방향 편측 부분에, 상기 외경측 탄성 연결부의 원주방향 타단부가, 상기 절결부를 사이에 두고 마련된 양 단부 중 다른쪽의 단부의 외경측 부분의 축방향 편측 부분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내경측 탄성 연결부의 원주방향 일단부가, 상기 한쪽의 단부 중 내경측 부분의 축방향 타측 부분에, 상기 내경측 탄성 연결부의 원주방향 타단부가, 상기 다른쪽의 단부 중 내경측 부분의 축방향 타측 부분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
  6. 한쌍의 분할형(split mold)에 의해 구성되는 금형을 사용한 합성 수지의 액시얼 드로 성형에 의해 일체로 만들어지는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로서,
    각각이 원환상이며,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서로 동심으로 마련되어 있는 한쌍의 림부와,
    원주방향에 걸쳐서 간헐적으로, 상기 림부끼리의 사이에 걸쳐 놓인 상태로 마련되어 있는 복수개의 기둥부와,
    상기 림부와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상기 기둥부에 의해 사방이 둘러싸여진 부분에 마련되어 있는 복수개의 포켓을 구비하며,
    상기 림부의 각각에 있어서, 그 외주면 중에서 상기 포켓과 축방향으로 정합하는 복수 개소에, 직경방향 내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패인 외경측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그 내주면 중에서 상기 포켓과 축방향으로 정합하며, 또한 상기 외경측 오목부와 원주방향에 관한 위상이 다른 복수 개소에, 직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패인 내경측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림부를 구성하는 한쪽의 림부와 다른쪽의 림부 사이에서, 상기 외경측 오목부 및 상기 내경측 오목부의 원주방향에 관한 위상을 각각 다르게 하여, 상기 림부 중에서 상기 포켓의 각각의 축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외경측 오목부와 내경측 오목부를 각각 1개씩 배치하고 있으며,
    상기 림부의 각각은 원주방향 1개소에 절결부를 갖는 불완전한 원환상이며, 이들 절결부의 폭을 원주방향으로 넓힘으로써 탄성적으로 확경 가능하며, 또한 상기 한쪽의 림부와 상기 다른쪽의 림부에서, 상기 절결부의 원주방향에 관한 위상을 일치시키고 있으며, 또한
    상기 림부 및 상기 기둥부 중, 상기 절결부의 위치를 사이에 두고 마련된 원주방향으로 원근동 가능한 단부끼리의 사이에, 이들 단부끼리의 축방향 및 직경방향에 관한 상대 변위를 불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가 마련되어 있는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가, 상기 절결부를 사이에 두고 마련된 단부 중 한쪽의 단부의 외경측 부분의 축방향 편측 부분에, 상기 단부 중 다른쪽의 단부를 향하여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상태로 마련된 외경측 결합편을 마련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한쪽의 단부의 내경측 부분의 축방향 타측 부분에, 상기 다른쪽의 단부를 향하여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상태로 마련된 내경측 결합편을 마련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다른쪽의 단부의 외경측 부분의 축방향 타측 부분에, 상기 한쪽의 단부를 향하여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상태로 마련된 외경측 결합편을 마련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다른쪽의 단부의 내경측 부분의 축방향 편측 부분에, 상기 한쪽의 단부를 향하여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상태로 마련된 내경측 결합편을 마련하고 있으며, 상기 결합부의 외경측 부분과 내경측 부분에서, 상기 외경측 결합편끼리 및 상기 내경측 결합편끼리를 각각 축방향으로 결합시키는 동시에, 상기 결합부의 축방향 편측 부분과 축방향 타측 부분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외경측 결합편과 상기 내경측 결합편을 직경방향으로 결합시키고 있는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외경측 결합편끼리의 사이 및 상기 내경측 결합편끼리의 사이에서, 축방향 치수가 각각 서로 다르며, 또한 상기 외경측 결합편 중 축방향 치수가 큰 외경측 결합편의 원주방향 단부면과, 이러한 단부면에 원주방향으로 대향하는 상대면 사이의 간극은, 상기 외경측 결합편 중 축방향 치수가 작은 외경측 결합편의 원주방향 단부면과, 이러한 단부면에 원주방향으로 대향하는 상대면 사이의 간극보다 작게 되어 있으며, 상기 내경측 결합편 중 축방향 치수가 큰 내경측 결합편의 원주방향 단부면과, 이러한 단부면에 원주방향으로 대향하는 상대면 사이의 간극은, 상기 내경측 결합편 중 축방향 치수가 작은 내경측 결합편의 원주방향 단부면과, 이러한 단부면에 원주방향으로 대향하는 상대면 사이의 간극보다 작게 되어 있는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치수가 큰 외경측 결합편의 원주방향 단부면과, 이러한 단부면에 원주방향으로 대향하는 상대면 사이의 간극과, 상기 축방향 치수가 큰 내경측 결합편의 원주방향 단부면과, 이러한 단부면에 원주방향으로 대향하는 상대면 사이의 간극이 동일한 크기인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축방향 단부를, 상기 림부의 축방향 측면보다 축방향 중앙측으로 오프셋시킴으로써, 상기 결합부의 양측 부분에 삽입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
  11. 한쌍의 분할형(split mold)에 의해 구성되는 금형을 사용한 합성 수지의 액시얼 드로 성형에 의해 일체로 만들어지는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로서,
    각각이 원환상이며,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서로 동심으로 마련되어 있는 한쌍의 림부와,
    원주방향에 걸쳐서 간헐적으로, 상기 림부끼리의 사이에 걸쳐 놓인 상태로 마련되어 있는 복수개의 기둥부와,
    상기 림부와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상기 기둥부에 의해 사방이 둘러싸여진 부분에 마련되어 있는 복수개의 포켓을 구비하며,
    상기 림부의 각각에 있어서, 그 외주면 중에서 상기 포켓과 축방향으로 정합하는 복수 개소에, 직경방향 내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패인 외경측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그 내주면 중에서 상기 포켓과 축방향으로 정합하며, 또한 상기 외경측 오목부와 원주방향에 관한 위상이 다른 복수 개소에, 직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패인 내경측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림부를 구성하는 한쪽의 림부와 다른쪽의 림부 사이에서, 상기 외경측 오목부 및 상기 내경측 오목부의 원주방향에 관한 위상을 각각 다르게 하여, 상기 림부 중에서 상기 포켓의 각각의 축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외경측 오목부와 내경측 오목부를 각각 1개씩 배치하고 있으며,
    상기 림부의 각각은 복수의 원호 형상의 분할체를 원환상으로 조합하는 것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137034426A 2011-10-17 2012-10-16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 KR1015213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28036A JP5831121B2 (ja) 2011-10-17 2011-10-17 ラジアルころ軸受用保持器
JP2011227776A JP5953699B2 (ja) 2011-10-17 2011-10-17 ラジアルころ軸受用保持器
JPJP-P-2011-228036 2011-10-17
JPJP-P-2011-228035 2011-10-17
JP2011228035A JP5831120B2 (ja) 2011-10-17 2011-10-17 ラジアルころ軸受用保持器
JPJP-P-2011-227776 2011-10-17
PCT/JP2012/076736 WO2013058246A1 (ja) 2011-10-17 2012-10-16 ラジアルころ軸受用保持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4297A KR20140014297A (ko) 2014-02-05
KR101521378B1 true KR101521378B1 (ko) 2015-05-18

Family

ID=48140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4426A KR101521378B1 (ko) 2011-10-17 2012-10-16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944696B2 (ko)
EP (1) EP2770221B1 (ko)
KR (1) KR101521378B1 (ko)
CN (1) CN103688070B (ko)
WO (1) WO20130582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13955A1 (ja) * 2012-07-17 2014-01-23 日本精工株式会社 ラジアルころ軸受用保持器
DE102014202789A1 (de) * 2013-04-04 2014-10-09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Geschlitzter Käfig für ein Lager
JP6307861B2 (ja) 2013-12-05 2018-04-11 日本精工株式会社 樹脂製保持器
KR101678297B1 (ko) 2015-04-07 2016-11-21 한국철도공사 윤활성능이 향상된 도시철도차량 차축베어링용 케이지
KR101678298B1 (ko) 2015-04-07 2016-11-21 한국철도공사 돌기가 구비된 도시철도차량 차축베어링용 케이지
JP6702586B2 (ja) * 2015-07-03 2020-06-03 日本電産シンポ株式会社 軸受および減速機
TWI576522B (zh) * 2015-12-30 2017-04-01 Hiwin Tech Corp Bearing with holder
DE102016222439A1 (de) * 2016-11-16 2018-05-17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Wälzlager mit einem Wälzlagerkäfig
CN108591272A (zh) * 2018-06-21 2018-09-28 大连光扬轴承制造有限公司 一种剖分式调心滚子轴承保持架及其调心滚子轴承
DE102019106487A1 (de) * 2019-03-14 2020-09-17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Wälzlagerkäfi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81790A (en) * 1973-08-06 1975-05-06 Federal Mogul Corp One piece molded plastic retainer for cylindrical roller bearings and method of manufacture
JP2008008333A (ja) * 2006-06-27 2008-01-17 Nsk Ltd ラジアルころ軸受用保持器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64167B (de) * 1964-05-30 1968-03-21 Schaeffler Ohg Industriewerk Radialkaefig fuer zylindrische Waelzkoerper
US3388952A (en) * 1965-07-17 1968-06-18 Schaeffler Ohg Industriewerk Plastic window cage for cylindrical roller
GB1303007A (ko) * 1970-05-22 1973-01-17
DE2041342C3 (de) 1970-08-20 1981-11-26 Industriewerk Schaeffler Ohg, 8522 Herzogenaurach Kunststoffkäfig für Wälzlager
JPS5129385Y2 (ko) * 1971-11-10 1976-07-24
JPS54111242U (ko) 1978-01-20 1979-08-04
JPS5829409Y2 (ja) 1979-02-08 1983-06-28 正三 横河 空調用ダクト
JPS5927539Y2 (ja) * 1979-02-09 1984-08-09 光洋精工株式会社 ころがり軸受の割型保持器
JPS6071728U (ja) 1983-10-25 1985-05-21 日本精工株式会社 転がり軸受用保持器
US4865473A (en) 1988-09-06 1989-09-12 The Torrington Company Single split cage locking tab
DE9006526U1 (ko) * 1990-06-09 1990-08-16 Skf Gmbh, 8720 Schweinfurt, De
DE4222175C2 (de) 1992-07-06 1998-12-10 Schaeffler Waelzlager Ohg Wälzlagerkäfig
DE4400718C2 (de) 1994-01-13 1998-04-09 Schaeffler Waelzlager Ohg Lager für eine Längs- und Drehbewegung
JPH09236129A (ja) * 1996-02-29 1997-09-09 Ntn Corp ころ軸受用保持器およびころ軸受
JP2007198496A (ja) * 2006-01-26 2007-08-09 Nsk Ltd 転がり軸受
GB2448687B (en) * 2007-04-23 2011-07-06 Cooper Roller Bearings Company A Cage for a roller bearing and a roller bearing
JP5576283B2 (ja) * 2007-10-03 2014-08-20 コーヨー ベアリングス ユーエスエイ、エルエルシー ローラ軸受アセンブリ、及びローラ軸受取付け配置機構
JP2011089612A (ja) 2009-10-23 2011-05-06 Jtekt Corp 針状ころ軸受用の保持器及び針状ころ軸受
KR101280161B1 (ko) 2009-12-25 2013-06-28 닛본 세이고 가부시끼가이샤 니들 베어링
US9004775B2 (en) * 2010-09-14 2015-04-14 Nsk Ltd. Single-split cag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81790A (en) * 1973-08-06 1975-05-06 Federal Mogul Corp One piece molded plastic retainer for cylindrical roller bearings and method of manufacture
JP2008008333A (ja) * 2006-06-27 2008-01-17 Nsk Ltd ラジアルころ軸受用保持器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944696B2 (en) 2015-02-03
EP2770221A1 (en) 2014-08-27
US20140112609A1 (en) 2014-04-24
EP2770221B1 (en) 2016-10-12
CN103688070A (zh) 2014-03-26
EP2770221A4 (en) 2015-08-19
WO2013058246A1 (ja) 2013-04-25
KR20140014297A (ko) 2014-02-05
CN103688070B (zh) 2016-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1378B1 (ko)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
CN102549284B (zh) 单剖分式保持架
US9382947B2 (en) Retainer for radial roller bearing
JP5334789B2 (ja) 転がり軸受
CN102523750B (zh) 向心滚子轴承用保持架
WO2013140948A1 (ja) ころ軸受の保持器およびころ軸受構造
KR20140112478A (ko) 크로스 롤러 베어링
KR101521379B1 (ko) 래디얼 롤러 베어링용 보지기
JP2013145012A (ja) スラストころ軸受およびスラストころ軸受装置
JP4840250B2 (ja) ラジアルニードル軸受
KR102445802B1 (ko) 볼베어링용 유지기
JP7114976B2 (ja) ケージアンドローラ
JP7315305B2 (ja) ケージアンドローラ
JP5831120B2 (ja) ラジアルころ軸受用保持器
JP7186580B2 (ja) 旋回軸受
CN110307259B (zh) 滚子保持架式轴承
JPH1162962A (ja) 転がり案内装置用のスペーサ部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転がり案内装置
JP6269021B2 (ja) ラジアルころ軸受用保持器
JP5909893B2 (ja) ラジアルニードル軸受
JP7250577B2 (ja) 内輪分離型アンギュラ玉軸受
JP2009210091A (ja) 自動調心ころ軸受
JP2012112418A (ja) ラジアルニードル軸受用保持器
JP2007057076A (ja) ステアリング用ころ軸受
JP5834644B2 (ja) 1つ割れ保持器
JP2011237009A (ja) ラジアルニードル軸受用保持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