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6435B1 -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과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과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6435B1
KR101516435B1 KR1020090008256A KR20090008256A KR101516435B1 KR 101516435 B1 KR101516435 B1 KR 101516435B1 KR 1020090008256 A KR1020090008256 A KR 1020090008256A KR 20090008256 A KR20090008256 A KR 20090008256A KR 101516435 B1 KR101516435 B1 KR 101516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otential
lines
driving transistor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8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5532A (ko
Inventor
테츠로 야마모토
카츠히데 우치노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90085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5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6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6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04Production of frozen sweets, e.g. ice-cream
    • A23G9/22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insofar as not peculiar to a single one of the preceding groups
    • A23G9/28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insofar as not peculiar to a single one of the preceding groups for portioning or dispensing
    • A23G9/288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insofar as not peculiar to a single one of the preceding groups for portioning or dispensing for finishing or filling ice-cream cones or other edible containers; Manipulating method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04Production of frozen sweets, e.g. ice-cream
    • A23G9/22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insofar as not peculiar to a single one of the preceding groups
    • A23G9/24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insofar as not peculiar to a single one of the preceding groups for coating or filling the produ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1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used for counteracting undesired variations, e.g. feedback or autozero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09G2300/0861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with additional control of the display period without amending the charge stored in a pixel memory, e.g. by means of additional select electrodes
    • G09G2300/0866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with additional control of the display period without amending the charge stored in a pixel memory, e.g. by means of additional select electrodes by means of changes in the pixel supply volt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76Supplementary capacities in pixels having special driving circuits and electrodes instead of being connected to common electrode or ground; Use of additional capacitively coupled compensation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02Addressing of scan or signal lines
    • G09G2310/0205Simultaneous scanning of several lines in flat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02Addressing of scan or signal lines
    • G09G2310/0218Addressing of scan or signal lines with collection of electrodes in groups for n-dimensional addr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화소 어레이부와 구동부를 가지며, 상기 화소 어레이부는, 행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주사선과, 열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신호선과, 상기 주사선과 상기 신호선이 서로 교차하는 부분에 행렬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화소와, 상기 주사선과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급전선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신호선에 신호 전위를 갖는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신호 셀렉터와, 상기 주사선에 순차로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라이트 스캐너와, 상기 급전선에 고전위와 저전위로 전환되는 전원을 공급하는 드라이브 스캐너를 가지며, 상기 각각의 화소는, 한 쌍의 전류단 중의 하나가 상기 신호선 중의 대응하는 하나에 접속하고 제어단이 상기 주사선 중에 대응하는 하나에 접속한 샘플링용 트랜지스터와, 드레인측이 되는 한 쌍의 전류단 중의 하나가 상기 급전선중의 대응하는 하나에 접속하고 게이트가 되는 제어단이 상기 샘플링용 트랜지스터의 다른쪽의 전류단에 접속한 구동용 트랜지스터와, 상기 구동용 트랜지스터의 소스측이 되는 전류단에 접속한 발광 소자와, 상기 구동용 트랜지스터의 소스와 게이트 사이에 접속한 보존 용량을 갖는 표시 장치로서, 상기 라이트 스캐너는, 행방향의 주사선에 대해 1개씩 위상을 비켜놓아 제어 신호를 공급하고, 상기 드라이브 스캐너는, 행방향의 급전선을 소정의 개수씩 통합하여 그룹화하고, 그룹 단위로 차례로 위상을 비켜놓아 고전위와 저전위의 전환을 행하고, 또한 그룹 내에서는 같은 위상으로 소정 개수의 급전선의 전위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90008256
표시 장치, 구동 방법, 전자 기기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과 전자 기기{DISPLAY APPARATUS, DRIVING METHOD FOR DISPLAY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은 일본국 특허출원 JP 2008-024053호(2008년 2월 4일자 출원)의 우선권 주장출원이다.
본 발명은 발광 소자를 화소에 이용한 액티브 매트릭스형의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표시 장치를 구비한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발광 소자로서 유기 EL 디바이스를 이용한 평면 자발광형의 표시 장치의 개발이 근래 왕성하게 되어 있다. 유기 EL 디바이스는 유기 박막에 전계를 가하면 발광하는 현상을 이용한 디바이스이다. 유기 EL 디바이스는 인가 전압이 10V 이하에서 구동하기 때문에 저소비 전력이다. 또한 유기 EL 디바이스는 스스로 광을 발하는 자발광 소자이기 때문에, 조명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아 경량화 및 박형화가 용이하다. 또한 유기 EL 디바이스의 응답 속도는 수㎲ 정도로 매우 고속이기 때문에, 동화 표시시의 잔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유기 EL 디바이스를 화소에 이용한 평면 자발광형의 표시 장치중에서도, 특 히 구동 소자로서 박막 트랜지스터를 각 화소에 집적 형성한 액티브 매트릭스형의 표시 장치의 개발이 왕성하다. 액티브 매트릭스형 평면 자발광 표시 장치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2003-255856호 공보, 일본국 특개2003-271095호 공보, 일본국 특개2004-133240호 공보, 일본국 특개2004-029791호 공보, 일본국 특개2004-093682호 공보, 및 일본국 특개2006-251322호에 기재되어 있다.
도 23은 종래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표시 장치의 한 예를 도시하는 모식적인 회로도이다. 표시 장치는 화소 어레이부(1)와 주변의 구동부로 구성되어 있다. 구동부는 수평 셀렉터(3)와 라이트 스캐너(4)를 구비하고 있다. 화소 어레이부(1)는 열방향의 신호선(SL)과 행방향의 주사선(WS)을 구비하고 있다. 각 신호선(SL)과 주사선(WS)이 교차하는 부분에 화소(2)가 배치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1개의 화소(2)만을 나타내고 있다. 라이트 스캐너(4)는 시프트 레지스터를 구비하고 있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클록 신호(ck)에 따라 동작하고 마찬가지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스타트 펄스(sp)를 순차로 전송함으로써, 주사선(WS)에 순차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수평 셀렉터(3)는 라이트 스캐너(4)측의 선순차 주사에 맞추어서 영상 신호를 신호선(SL)에 공급한다.
화소(2)는 샘플링용 트랜지스터(T1)와 구동용 트랜지스터(T2)와 보존 용량(C1)과 발광 소자(EL)로 구성되어 있다. 구동용 트랜지스터(T2)는 P채널형이고, 그 한쪽의 전류단인 소스는 전원 라인에 접속하고, 다른쪽의 전류단인 드레인은 발광 소자(EL)에 접속하고 있다. 구동용 트랜지스터(T2)의 제어단인 게이트는 샘플링용 트랜지스터(T1)를 통하여 신호선(SL)에 접속하고 있다. 샘플링용 트랜지스 터(T1)는 라이트 스캐너(4)로부터 공급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도통하고, 신호선(SL)으로부터 공급되는 영상 신호를 샘플링하여 보존 용량(C1)에 기록한다. 구동용 트랜지스터(T2)는 보존 용량(C1)에 기록된 영상 신호를 게이트 전압(Vgs)으로서 그 게이트에 받고, 드레인 전류(Ids)를 발광 소자(EL)에 흐르게 한다. 이로써 발광 소자(EL)는 영상 신호에 따른 휘도로 발광한다. 게이트 전압(Vgs)은, 소스를 기준으로 한 게이트의 전위를 나타내고 있다.
구동용 트랜지스터(T2)는 포화 영역에서 동작하고, 게이트 전압(Vgs)과 드레인 전류(Ids)의 관계는 이하의 특성식으로 표시된다.
Ids=(1/2)μ(W/L)Cox(Vgs-Vth)2
여기서 μ는 구동용 트랜지스터의 이동도, W는 구동용 트랜지스터의 채널 폭, L은 마찬가지로 채널길이, Cox는 마찬가지로 단위면적당의 게이트 절연막 용량, Vth는 마찬가지로 임계전압이다. 이 특성식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구동용 트랜지스터(T2)는 포화 영역에서 동작할 때, 게이트 전압(Vgs)에 따라 드레인 전류(Ids)를 공급하는 정전류원으로서 기능한다.
도 24는, 발광 소자(EL)의 전압/전류 특성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횡축에 애노드 전압(V)을 나타내고, 종축에 구동 전류(Ids)를 취하고 있다. 또한 발광 소자(EL)의 애노드 전압은 구동용 트랜지스터(T2)의 드레인 전압으로 되어 있다. 발광 소자(EL)는 전류/전압 특성이 경시변화하여, 특성 커브가 시간의 경과와 함께 눕혀져 가는 경향에 있다. 이 때문에 구동 전류(Ids)가 일정하여도 애노드 전압(드 레인 전압)(V)이 변화하여 온다. 그 점, 도 23에 도시한 화소 회로(2)는 구동용 트랜지스터(T2)가 포화 영역에서 동작하고, 드레인 전압의 변동에 관계없이 게이트에서 전압(Vgs)에 따른 구동 전류(Ids)가 흐를 수 있기 때문에, 발광 소자(EL)의 특성 경시 변화에 관계없이 발광 휘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5는, 종래의 화소 회로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앞서 도시한 도 23의 화소 회로와 다른 점은, 구동용 트랜지스터(T2)가 P채널형으로부터 N채널형으로 변하고 있는 것이다. 회로의 제조 프로세스상에서는, 화소를 구성하는 모든 트랜지스터를 N채널형으로 하는 것이 유리한 경우가 많다.
도 23이나 도 25에 도시한 종래의 화소 회로는, 구동용 트랜지스터(T2)를 포화 영역에서 동작시켜서, 발광 소자(EL)에 공급하는 구동 전류를 제어하고 있다. 그러나, 구동용 트랜지스터로서 이용되는 박막 트랜지스터는, 그 임계전압(Vth)이나 이동도(μ)에 편차가 있다. 상술한 트랜지스터 특성식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임계전압(Vth)이나 이동도(μ)에 편차가 있으면, 출력 전류(Ids)가 흐트러지기 때문에, 화면의 유니포미티를 손상시킨다. 이 때문에, 종래로부터 각 화소 내에, 구동용 트랜지스터의 임계전압 보정 기능이나 이동도 보정 기능을 조립한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
도 23이나 도 25에 도시한 화소 회로는, 기본적으로 2개의 트랜지스터와 1개의 용량과 1개의 발광 소자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비교적 단순한 회로 구성으로, 임계전압 보정 기능이나 이동도 보정 기능을 조립하는 경우, 주사선의 선순차 주사에 맞추어서 전원의 전위를 주사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표시 장치의 주변 구동부는, 신호선을 구동하는 수평 셀렉터(신호 셀렉터)나 주사선을 주사하는 라이트 스캐너에 더하여, 전원 라인을 화소의 각 행마다 주사하는 드라이브 스캐너가 필요하게 된다.
신호 셀렉터, 라이트 스캐너, 드라이브 스캐너는 모두 기본적으로 시프트 레지스터로 구성되어 있고, 화소의 각 열 또는 각 행에 대응하여, 1단(段)마다 신호 출력부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신호선 개수나 주사선 개수가 증가하면, 시프트 레지스터의 출력단 수도 그만큼 증가하고, 주변 구동부의 회로 규모의 대형화를 초래하고 있다. 주변 구동부의 회로 규모의 대형화에 의해 패널 위에 차지하는 주변 구동부의 회로 면적이 증대하고, 그만큼 화면을 구성하는 화소 어레이부의 면적을 압박하게 된다.
이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종래로부터 복수개의 신호선이나 주사선으로 시프트 레지스터의 출력단을 공용하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2006-251322호 공보에서는, 신호선을 복수 화소에서 공용화하는 방식이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신호선을 구동하는 신호 셀렉터에 조립되는 시프트 레지스터의 출력단을 복수의 화소열에서 공용화할 수 있고, 그만큼 회로 규모의 축소화, 회로 면적의 축소화, 회로 비용의 저감화가 가능하게 된다.
물론, 신호선의 개수를 삭감하는 것은 저비용화에 대해서는 유리하지만, 주사선측에서도 시프트 레지스터의 출력단의 공용화를 도모하는 것은 표시 장치의 코스트 퍼포먼스를 높이기 위해 중요하다. 특히 각 화소를 급전하는 전원 라인(급전선)에 관해서는 전류 공급 능력의 안정화를 위해, 드라이브 스캐너의 출력부(출력 버퍼)는 그 디바이스 사이즈를 크게 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화소의 각 행에 대응하여 드라이브 스캐너의 출력 버퍼를 마련한 경우, 드라이브 스캐너의 점유 면적이 커져 버려, 표시 패널의 저비용화 및 소형화를 도모함에 있어서, 해결하여야 할 과제로 되어 있다.
상술한 종래의 기술의 과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전원 라인 또는 급전선을 구동하는 드라이브 스캐너의 출력단 또는 출력 버퍼의 공용화를 도모하고, 따라서 주변 구동부의 축소화가 가능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하의 수단을 강구하였다. 즉 본 발명은, 화소 어레이부와 구동부를 가지며, 상기 화소 어레이부는, 행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주사선과, 열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신호선과, 상기 주사선과 상기 신호선이 서로 교차하는 부분에 행렬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화소와, 상기 주사선과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급전선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는, 열방향의 신호선에 신호 전위를 갖는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신호 셀렉터와, 상기 주사선에 순차로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라이트 스캐너와, 상기 급전선에 고전위와 저전위로 전환되는 전원을 공급하는 드라이브 스캐너를 가지며, 상기 각각의 화소는, 한 쌍의 전류단 중의 하나가 상기 신호선 중의 대응하는 하나에 접속하고 제어단이 상기 주사선 중에 대응하는 하나에 접속한 샘플링용 트랜지스터와, 드레인측이 되는 한 쌍의 전류단 중의 하나가 상기 급전선중의 대응하는 하나에 접속하고 게이트가 되는 제어단이 상기 샘플링용 트랜지스터의 다른쪽의 전류단에 접속한 구동용 트랜지스터와, 상기 구동용 트랜지스터의 소스측이 되는 전류단에 접속한 발광 소자와, 상기 구동용 트랜지스터의 소스와 게이트 사이에 접속한 보존 용량을 갖는 표시 장치로서, 상기 라이트 스캐너는, 행방향의 주사선에 대해 1개씩 위상을 비켜놓아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한편, 상기 드라이브 스캐너는, 행방향의 급전선을 소정의 개수씩 통합하여 그룹화하고, 그룹 단위로 차례로 위상을 비켜놓아 고전위와 저전위의 전환을 행하고, 또한 그룹 내에서는 같은 위상으로 소정 개수의 급전선의 전위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 양태로는, 상기 신호 셀렉터는, 적어도 기준 전위와 신호 전위로 교대로 전환되는 구동 신호를 신호선에 공급하고, 상기 샘플링용 트랜지스터는, 신호선이 기준 전위이고 급전선이 저전위인 때, 제어 신호에 따라 온하여 상기 구동용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소스 사이 전압을 구동용 트랜지스터의 임계전압을 초과하는 전압으로 세트하는 준비 동작을 행하고, 계속해서 신호선이 기준 전위이고 급전선이 고전위인 때, 제어 신호에 따라 온하여 상기 구동용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소스 사이 전압이 그 임계전압이 되도록 상기 보존 용량을 방전하는 보정 동작을 행하고, 그 후, 신호선이 신호 전위이고 급전선이 고전위인 때, 제어 신호에 따라 온하고 상기 신호 전위를 상기 보존 용량에 보존하는 기록 동작을 행한다. 이 경우, 상기 신호 셀렉터는, 기준 전위 및 신호 전위에 더하여 그 기준 전위보다도 낮은 보존 전위의 3레벨 사이에서 변화하는 구동 신호를 신호선에 공급하고, 상기 샘플링용 트랜지스터는, 상기 준비 동작의 최후에 상기 보존 전위를 구동용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인가하여 구동용 트랜지스터를 일단 오프 상태에 둔다. 또한 상기 샘플링용 트랜지스터는, 상기 보정 동작을 시분할적으로 복수회 반복하고, 적어도 일부의 보정 동작의 후 상기 보존 전위를 상기 구동용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인가한다. 한 양태로는, 상기 준비 동작은, 하나의 그룹에 속한 행의 화소에서 일제히 행하고, 상기 보정 동작은 행 단위로 비켜놓아 행한다. 다른 양태로는, 상기 준비 동작 및 보정 동작을 순차로 행 단위로 비켜놓아 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샘플링용 트랜지스터는, 상기 발광 소자가 구동용 트랜지스터로부터 전류의 공급을 받아서 점등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신호선이 기준 전위에 있는 때에, 제어 신호에 따라 온하여 기준 전위를 상기 구동용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기록하여 구동용 트랜지스터를 오프하고, 따라서 발광 소자를 점등 상태로부터 소등 상태로 전환한다. 이 경우, 상기 발광 소자는, 애노드가 구동용 트랜지스터의 소스에 접속하고, 캐소드가 소정의 캐소드 전위에 접속하고, 상기 기준 전위는, 캐소드 전위에 발광 소자의 임계전압과 구동용 트랜지스터의 임계전압을 더한 전위보다 낮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드라이브 스캐너는 행방향의 급전선을 소정의 개수씩 통합하여 그룹화하고, 그룹 단위로 차례로 위상을 비켜놓아 고전위와 저전위의 전환을 행하고, 또한 그룹 내에서는 같은 위상으로 소정 개수의 급전선의 전위를 전환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드라이브 스캐너는 그 출력단을 소정의 개수마다, 즉 그룹마다 공용화할 수 있다. 이로써, 디바이스 사이즈가 큰 출력 버퍼를 삭감할 수 있고, 드라이브 스캐너 더 나아가서는 구동부의 회로 면적을 축소 가능하다. 예를 들면 급전선을 10개씩 통합하여 그룹화하고, 하나의 그룹을 하나의 출력 버퍼로 구동한 경우, 출력단 수는 종래의 10분의1이 된다. 구동부의 회로 규모를 축소한 것으로, 저비용화 및 고수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특징, 및 효과는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인 첨부 도면과 청구범의 및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자명하게 될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표시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단 이 표시 장치는 참고예로서,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선행 개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경을 명확하게 하고 또한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우선 이 참고예를 본 발명의 설명의 일부로서 이하에 설명한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화소 어레이부(1)와 상기 화소 어레이부(1)를 구동하는 구동부(3, 4, 5)로 이루어진다. 화소 어레이부(1)는, 행방향의 복수의 주사선(WS)과, 열방향의 복수의 신호선(SL)과, 상기 주사선(WS)과 상기 신호선(SL)이 서로 교차하는 부분에 배치된 행렬 형상의 복수의 화소(2)와, 각 화소(2)의 각 행에 대응하여 배치된 전원 라인인 복수의 급전선(DS)을 구비하고 있다. 구동부(3, 4, 5)는, 각 주사선(WS)에 순차로 제어 신호를 공급하여 화소(2)를 행 단위로 선순차 주사한 제어용 스캐너 또는 라이트 스캐너(4)와, 이 선순차 주사에 맞추어서 각 급전선(DS)에 제 1 전위와 제 2 전위로 전환하는 전원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스캐너 또는 드라이브 스캐너(5)와, 이 선순차 주사에 맞추어서 열방향의 신호선(SL)에 영상 신호가 되는 신호 전위와 기준 전위를 공급하는 신호 셀렉터 또는 수평 셀렉터(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라이트 스캐너(4)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클록 신호(WSck)에 따라 동작하고 마찬가지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스타트 펄스(WSsp)를 순차로 전송함으로써, 각 주사선(WS)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있다. 드라이브 스캐너(5)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클록 신호(DSck)에 따라 동작하고, 마찬가지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스타트 펄스(DSsp)를 순차로 전송함으로써, 급전선(DS)의 전위를 선순차로 전환하고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화소(2)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화소 회로(2)는, 유기 EL 디바이스 등 으로 대표되는 2단자형 또는 다이오드형의 발광 소자(EL)와, N채널형의 샘플링용 트랜지스터(T1)와, 마찬가지로 N채널형의 구동용 트랜지스터(T2)와, 박막 타입의 보존 용량(C1)으로 구성되어 있다. 샘플링용 트랜지스터(T1)는 그 제어단인 게이트가 주사선(WS)에 접속하고, 그 한 쌍의 전류단인 소스 및 드레인의 한쪽이 신호선(SL)에 접속하고, 다른쪽이 구동용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G)에 접속하고 있다. 구동용 트랜지스터(T2)는, 그 소스 및 드레인의 한쪽이 발광 소자(EL)에 접속하고, 다른쪽이 급전선(DS)에 접속하고 있다. 본 형태는 구동용 트랜지스터(T2)가 N채널형이고, 그 편방의 전류단인 드레인측이 급전선(DS)에 접속하고, 또한 편방의 전류단인 소스(S)측이 발광 소자(EL)의 애노드측에 접속하고 있다. 발광 소자(EL)의 캐소드는 소정의 캐소드 전위(Vcat)에 고정되어 있다. 보존 용량(C1)은 구동용 트랜지스터(T2)의 전류단인 소스(S)와 제어단인 게이트(G) 사이에 접속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화소(2)에 대해, 제어용 스캐너(라이트 스캐너)(4)는, 주사선(WS)을 저전위와 고전위의 사이에서 전환함으로써 순차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화소(2)를 행 단위로 선순차 주사한다. 전원 스캐너(드라이브 스캐너)(5)는, 선순차 주사에 맞추어서 각 급전선(DS)에 제 1 전위(Vcc)와 제 2 전위(Vss)로 전환하는 전원 전압을 공급하고 있다. 신호 셀렉터 또는 수평 셀렉터(3)는, 선순차 주사에 맞추어서 열방향의 신호선(SL)에 영상 신호가 되는 신호 전위(Vsig)와 기준 전위(Vofs)를 공급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샘플링용 트랜지스터(T1)는, 영상 신호가 기준 전위(Vofs)로부터 신호 전위(Vsig)로 상승하는 제 1 타이밍의 후, 제어 신호가 상승하는 제 2 타이밍으로부터 제어 신호가 하강하여 오프하는 제 3 타이밍까지의 샘플링 기간(제 2 타이밍부터 제 3 타이밍까지의 사이)에, 신호 전위(Vsig)를 샘플링하여 보존 용량(C1)에 기록한다. 이 때 동시에 구동용 트랜지스터(T2)에 흐르는 전류를 보존 용량(C1)에 부귀환하여 구동용 트랜지스터(T2)의 이동도(μ)에 대한 보정을 보존 용량(C1)에 기록된 신호 전위에 건다. 즉 제 2 타이밍부터 제 3 타이밍까지의 샘플링 기간이, 구동용 트랜지스터(T2)에 흐르는 전류를 보존 용량(C1)에 부귀환하는 이동도 보정 기간으로도 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화소 회로는, 상술한 이동도 보정 기능에 더하여 임계전압 보정 기능도 구비하고 있다. 즉 전원 스캐너(드라이브 스캐너)(5)는 샘플링용 트랜지스터(T1)가 신호 전위(Vsig)를 샘플링하기 전에, 제 1 타이밍에서 급전선(DS)을 제 1 전위(Vcc)로부터 제 2 전위(Vss)로 전환한다. 제어용 스캐너(라이트 스캐너)(4)는, 마찬가지로 샘플링용 트랜지스터(T1)가 신호 전위(Vsig)를 샘플링하기 전에, 제 2 타이밍에서 샘플링용 트랜지스터(T1)를 도통시켜서 신호선(SL)으로부터 기준 전위(Vofs)를 구동용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G)에 인가함과 함께, 구동용 트랜지스터(T2)의 소스(S)를 제 2 전위(Vss)에 세트한다. 전원 스캐너(드라이브 스캐너)(5)는, 제 2 타이밍의 후의 제 3 타이밍에서, 급전선(DS)을 제 2 전위(Vss)로부터 제 1 전위(Vcc)로 전환하여, 구동용 트랜지스터(T2)의 임계전압(Vth)에 상당하는 전압을 보존 용량(C1)에 보존하여 둔다. 이러한 임계전압 보정 기능에 의해,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화소마다 흐트러지는 구동용 트랜지스터(T2)의 임계전압(Vth)의 영향을 캔슬할 수 있다. 또한, 제 1 타이밍과 제 2 타이밍의 전후는 불문한다.
도 2에 도시한 화소 회로(2)는 또한 부트 스트랩 기능도 구비하고 있다. 즉 라이트 스캐너(4)는, 보존 용량(C1)에 신호 전위(Vsig)가 보존된 시점에서, 샘플링용 트랜지스터(T1)를 비도통 상태로 하여 구동용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G)를 신호선(SL)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하고, 따라서 구동용 트랜지스터(T2)의 소스 전위의 변동에 게이트 전위가 연동하고 게이트(G)와 소스(S) 사이의 전압(Vgs)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발광 소자(EL)의 전류/전압 특성이 경시 변동하여도, 게이트 전압(Vgs)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휘도의 변화가 생기지 않는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화소의 동작 설명에 제공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이 타이밍 차트는 시간축을 공통으로 하여, 주사선(WS)의 전위 변화, 급전선(전원 라인)(DS)의 전위 변화, 신호선(SL)의 전위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주사선(WS)의 전위 변화는 제어 신호를 나타내고, 샘플링용 트랜지스터(T1)의 개폐 제어를 행하고 있다. 급전선(DS)의 전위 변화는, 전원 전압(Vcc, Vss)의 전환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신호선(SL)의 전위 변화는 입력 신호의 신호 전위(Vsig)와 기준 전위(Vofs)의 전환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들의 전위 변화와 병행하여, 구동용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G) 및 소스(S)의 전위 변화도 나타내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게이트(G)와 소스(S)의 전위차가 Vgs이다.
이 타이밍 차트는 화소의 동작의 천이에 맞추어서 기간을 (1) 내지 (7)과 같이 편의적으로 구획하고 있다. 상기 필드에 들어가기 직전의 기간(1)에서는 발광 소자(EL)가 발광 상태에 있다. 그 후 선순차 주사가 새로운 필드에 들어가 우선 최초의 기간(2)에서 급전선(DS)을 제 1 전위(Vcc)로부터 제 2 전위(Vss)로 전환한다. 다음의 기간(3)으로 진행하여 입력 신호를 Vsig로부터 Vofs로 전환한다. 또한 다음의 기간(4)에서 샘플링용 트랜지스터(T1)를 온한다. 이 기간(2) 내지 (4)에서 구동용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 전압 및 소스 전압을 초기화한다. 그 기간(2) 내지 (4)는 임계전압 보정을 위한 준비 기간이고, 구동용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G)가 Vofs로 초기화되는 한편, 소스(S)가 Vss로 초기화된다. 계속해서 임계치 보정 기간(5)에서 실제로 임계전압 보정 동작이 행하여지고, 구동용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G)와 소스(S) 사이에 임계전압(Vth)에 상당하는 전압이 보존된다. 실제로는 Vth에 상당하는 전압이, 구동용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G)와 소스(S) 사이에 접속된 보존 용량(C1)에 기록되게 된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참고예에서는, 임계치 보정 기간(5)은 3회로 나뉘어 있고, 시분할적으로 임계전압 보정 동작을 행하고 있다. 각 임계전압 보정 기간(5)의 동안에는 대기 기간(5a)이 삽입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임계전압 보정 기간(5)을 분할하여 임계전압 보정 동작을 복수회 반복함에 의해, Vth에 상당하는 전압을 보존 용량(C1)에 기록하도록 하고 있다. 단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1회의 임계전압 보정 기간(5)에서 보정 동작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후, 기록 동작 기간/이동도 보정 기간(6)으로 진행한다. 여기서 영상 신호의 신호 전위(Vsig)가 Vth에 더해지는 형태로 보존 용량(C1)에 기록됨과 함께, 이동도 보정용의 전압(△V)이 보존 용량(C1)에 보존된 전압으로부터 공제된다. 이 기록 기간/이동도 보정 기간(6)에서는, 신호선(SL)이 신호 전위(Vsig)에 있는 시간대에서 샘플링용 트랜지스터(T1)를 도통 상태로 할 필요가 있다. 이 후 발광 기 간(7)으로 진행하여, 신호 전위(Vsig)에 따른 휘도로 발광 소자가 발광한다. 그 때 신호 전위(Vsig)는 임계전압(Vth)에 상당하는 전압과 이동도 보정용의 전압(△V)에 의해 조정되어 있기 때문에, 발광 소자(EL)의 발광 휘도는 구동용 트랜지스터(T2)의 임계전압(Vth)이나 이동도(μ)의 편차의 영향을 받는 일이 없다. 또한 발광 기간(7)의 최초에서 부트 스트랩 동작이 행하여지고, 구동용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G)/소스(S) 사이 전압(Vgs)을 일정하게 유지한 채로, 구동용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 전위 및 소스 전위가 상승한다.
계속해서 도 4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도 2에 도시한 화소 회로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광 기간(1)에서는, 전원 전위가 Vcc에 세트되고, 샘플링용 트랜지스터(T1)는 오프하고 있다. 이 때 구동용 트랜지스터(T2)는 포화 영역에서 동작하도록 세트되어 있기 때문에, 발광 소자(EL)에 흐르는 구동 전류(Ids)는 구동용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G)/소스(S) 사이에 인가되는 전압(Vgs)에 따라, 전술한 트랜지스터 특성식으로 나타나는 값을 취한다.
계속해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준비 기간(2), (3)에 들어가면 급전선(전원 라인)의 전위를 Vss로 한다. 이 때 Vss는 발광 소자(EL)의 임계전압(Vthel)과 캐소드 전압(Vcat)의 합보다도 작아지도록 설정하고 있다. 즉 Vss<Vthel+Vcat이기 때문에, 발광 소자(EL)는 소등하고, 전원 라인측이 구동용 트랜지스터(T2)의 소스가 된다. 이 때 발광 소자(EL)의 애노드는 Vss로 충전된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음의 준비 기간(4)에 들어가면, 신호선(SL)의 전위가 Vofs가 되는 한편 샘플링용 트랜지스터(T1)가 온하여, 구동용 트 랜지스터(T2)의 게이트 전위를 Vofs로 한다. 이와 같이 하여 발광시에 있어서의 구동용 트랜지스터(T2)의 소스(S) 및 게이트(G)가 초기화되고, 이 때의 게이트 소스 사이 전압(Vgs)은 Vofs-Vss의 값으로 된다. Vgs=Vofs-Vss는 구동용 트랜지스터(T2)의 임계전압(Vth)보다도 큰 값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Vgs>Vth가 되도록 구동용 트랜지스터(T2)를 초기화함으로써, 다음에 오는 임계전압 보정 동작의 준비가 완료된다.
계속해서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임계전압 보정 기간(5)에 진행되면, 급전선(DS)(전원 라인)의 전위가 Vcc로 되돌아온다. 전원 전압을 Vcc로 함으로써 발광 소자(EL)의 애노드가 구동용 트랜지스터(T2)의 소스(S)가 되고,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류가 흐른다. 이 때 발광 소자(EL)의 등가 회로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이오드(Tel)와 용량(Cel)의 병렬 접속으로 표시된다. 애노드 전위(즉 소스 전위(Vss))가 Vcat+Vthel보다도 낮기 때문에, 다이오드(Tel)는 오프 상태에 있고, 그곳에 흐르는 리크 전류는 구동용 트랜지스터(T2)에 흐른 전류보다도 상당히 작다. 따라서 구동용 트랜지스터(T2)에 흐르는 전류는 대부분이 보존 용량(C1)과 등가 용량(Cel)을 충전하기 위해 쓰인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임계전압 보정 기간(5)에 있어서의 구동용 트랜지스터(T2)의 소스 전압의 시간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용 트랜지스터(T2)의 소스 전압(즉 발광 소자(EL)의 애노드 전압)은 시간과 함께 Vss로부터 상승한다. 임계전압 보정 기간(5)이 경과하면 구동용 트랜지스터(T2)는 컷 오프하고, 그 소스(S)와 게이트(G) 사이의 전압(Vgs)은 Vth가 된다. 이 때 소스 전위 는 Vofs-Vth로 주어진다. 이 값(Vofs-Vth)은 여전히 Vcat+Vthel보다도 낮게 되어 있으면, 발광 소자(EL)는 차단 상태에 있다.
도 8의 그래프로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용 트랜지스터(T2)의 소스 전압은 시간과 함께 상승하여 간다. 그러나 본 예에서는 구동용 트랜지스터(T2)의 소스 전압이 Vofs-Vth에 달하기 전에, 1회째의 임계전압 보정 기간(5)이 끝나기 때문에, 샘플링용 트랜지스터(T1)가 오프하고, 대기 기간(5a)으로 들어간다. 도 9는 이 대기 기간(5a)에 있어서의 화소 회로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1회째의 대기 기간(5a)에서는 구동용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G)/소스(S) 사이 전압(Vgs)은 여전히 Vth보다도 크기 때문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원(Vcc)으로부터 구동용 트랜지스터(T2)를 통과하여 보존 용량(C1)으로 전류가 흐른다. 이로써 구동용 트랜지스터(T2)의 소스 전압이 상승하지만, 샘플링용 트랜지스터(T1)가 오프이고 게이트(G)가 하이 임피던스에 있기 때문에, 게이트(G)의 전위도 소스(S)의 전위 상승에 맞추어서 상승하여 간다. 즉 이 1회째의 대기 기간(5a)에서는 부트 스트랩 동작으로 구동용 트랜지스터(T2)의 소스 전위 및 게이트 전위가 함께 상승하여 간다. 이 때 발광 소자(EL)에는 계속해서 역바이어스가 걸려 있기 때문에, 발광 소자(EL)가 발광하는 일은 없다.
그 후 1H의 시간이 경과하여 재차 신호선(SL)의 전위가 Vofs로 되었을 때 샘플링용 트랜지스터(T1)를 온하여 2회째의 임계전압 보정 동작을 시작한다. 이 후 2회째의 임계전압 보정 기간(5)이 경과하면 2회째의 대기 기간(5a)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임계전압 보정 기간(5)과 대기 기간(5a)을 반복함으로써, 최종적으로 구 동용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G)/소스(S) 사이 전압은 Vth에 상당한 전압에 달한다. 이 때 구동용 트랜지스터(T2)의 소스 전위는 Vofs-Vth로, Vcat+Vthel보다도 작아져 있다.
다음에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신호 기록 기간/이동도 보정 기간(6)에 들어가면, 신호선(SL)의 전위를 Vofs로부터 Vsig로 전환한 후, 샘플링용 트랜지스터(T1)를 온한다. 이 때 신호 전위(Vsig)는 계조에 따른 전압으로 되어 있다. 구동용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 전위는 샘플링용 트랜지스터(T1)를 온하고 있기 때문에 Vsig가 된다. 한쪽 소스 전위는 전원(Vcc)으로부터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시간과 함께 상승하여 간다. 이 시점에서도 구동용 트랜지스터(T2)의 소스 전위가 발광 소자(EL)의 임계전압(Vthel)과 캐소드 전압(Vcat)의 합을 초과하지 않으면, 구동용 트랜지스터(T2)로부터 흐르는 전류는 오로지 등가 용량(Cel)과 보존 용량(C1)의 충전에 쓰인다. 이 때 이미 구동용 트랜지스터(T2)의 임계전압 보정 동작은 완료하고 있기 때문에, 구동용 트랜지스터(T2)가 흐르는 전류는 이동도(μ)를 반영한 것으로 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이동도(μ)가 큰 구동용 트랜지스터(T2)는 이 때의 전류량이 크고, 소스의 전위 상승분(△V)도 크다. 역으로 이동도(μ)가 작은 경우 구동용 트랜지스터(T2)의 전류량이 작고, 소스의 상승분(△V)은 작아진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구동용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 전압(Vgs)은 이동도(μ)를 반영하여 △V만큼 압축되고, 이동도 보정 기간(6)이 완료된 시점에서 완전하게 이동도(μ)를 보정한 Vgs를 얻을 수 있다.
도 11은, 상술한 이동도 보정 기간(6)에 있어서의 구동용 트랜지스터(T2)의 소스 전압의 시간적인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용 트랜지스터(T2)의 이동도가 크면 소스 전압은 빨리 상승하고, 그만큼 Vgs가 압축된다. 즉 이동도(μ)가 크면 그 영향을 없애도록 Vgs가 압축되고, 구동 전류를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이동도(μ)가 작은 경우 구동용 트랜지스터(T2)의 소스 전압은 그다지 빨리 상승하지 않기 때문에, Vgs도 강하게 압축을 받는 일은 없다. 따라서 이동도(μ)가 작은 경우, 구동용 트랜지스터의 Vgs는 작은 구동 능력을 보충하도록 큰 압축이 가해지지 않는다.
도 12는 발광 기간(7)의 동작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발광 기간(7)에서는 샘플링용 트랜지스터(T1)를 오프하여 발광 소자(EL)를 발광시킨다. 구동용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 전압(Vgs)은 일정하게 유지되어 있고, 구동용 트랜지스터(T2)는 전술한 특성식에 따라 일정한 전류(Ids')를 발광 소자(EL)에 흐르게 한다. 발광 소자(EL)의 애노드 전압(즉 구동용 트랜지스터(T2)의 소스 전압)은 발광 소자(EL)에 Ids'라는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Vx까지 상승하고 이것이 Vcat+Vthel를 초과한 시점에서 발광 소자(EL)가 발광한다. 발광 소자(EL)는 발광 시간이 길어지면 그 전류/전압 특성은 변화하여 버린다. 그 때문에 도 11에 도시한 소스(S)의 전위가 변화한다. 그러나 구동용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 전압(Vgs)은 부트 스트랩 동작에 의해 일정치로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발광 소자(EL)에 흐르는 전류(Ids')는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발광 소자(EL)의 전류/전압 특성이 열화되어도, 일정한 구동 전류(Ids')가 항상 흐르고 있고, 발광 소자(EL)의 휘도가 변화하는 일은 없다.
도 1에 도시한 참고예에 관한 표시 장치는, 드라이브 스캐너(5)가 1 라인씩 급전선(DS)을 구동하고 있다. 따라서 드라이브 스캐너(5)는 급전선(DS)의 개수와 같은 출력 버퍼를 구비하고 있다. 라이트 스캐너(4)와 달리, 드라이브 스캐너(5)는 급전선(DS)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기 때문에, 출력 버퍼의 디바이스 사이즈가 크다. 이대로는 드라이브 스캐너(5)의 사이즈가 크기 때문에, 대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도 13은, 도 1에 도시한 참고예에 관한 표시 장치의 문제점에 대처한 것이고,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 1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대응한 참조 번호를 붙이고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기본적으로 화소 어레이부(1)와 구동부를 갖는다. 화소 어레이부(1)는, 행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주사선(WS)과, 열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신호선(SL)과, 각 주사선(WS)과 각 신호선(SL)이 교차하는 부분에 행렬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화소(2)와, 주사선(WS)과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급전선(DS)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구동부는, 열방향의 신호선(SL)에 신호 전위를 갖는 구동 신호(영상 신호)를 공급하는 수평 셀렉터(신호 셀렉터)(3)와, 행방향의 주사선(WS)에 순차로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라이트 스캐너(4)와, 각 급전선(DS)에 고전위와 저전위로 전환하는 전원을 공급하는 드라이브 스캐너(5)를 갖는다.
화소(2)는 도 2에 도시한 참고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화소(2)는, 한쪽의 전류단이 신호선(SL)에 접속하고 제어단이 주사선(WS)에 접속한 샘플링용 트랜지스터(T1)와, 드레인측이 되는 전류단이 급전선(DS)에 접속하고 게이트(G)가 되는 제어단이 샘플링용 트랜지스터(T1)의 다른쪽의 전류단에 접속한 구동용 트 랜지스터(T2)와, 구동용 트랜지스터(T2)의 소스(S)측이 되는 전류단에 접속한 발광 소자(EL)와, 구동용 트랜지스터(T2)의 소스(S)와 게이트(G) 사이에 접속한 보존 용량(C1)을 갖는다. 또한 발광 소자(EL)는, 그 애노드가 구동용 트랜지스터(T2)의 소스(S)에 접속하고, 그 캐소드가 소정의 캐소드 전위(Vcat)에 접속하고 있다.
본 발명의 특징 사항으로서, 드라이브 스캐너(5)는, 행방향의 주사선(DS)을 소정의 개수씩 통합하여 그룹화하고, 그룹 단위로 차례로 위상을 비켜놓아 고전위와 저전위의 전환을 행하고, 또한 그룹 내에서는 같은 위상으로 소정 개수의 급전선(DS)의 전위를 전환한다. 도 13에 도시한 예에서는, 드라이브 스캐너(5)는, 행방향의 급전선(DS)을 2개씩 통합하여 그룹화하고, 그룹 단위로 차례로 위상을 비켜놓아 고전위와 저전위의 전환을 행하고, 또한 그룹 내에서는 같은 위상으로 2개의 급전선(DS)의 전위를 전환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복수행(복수단)에서 급전선(전원 라인)(DS)의 구동 타이밍을 공통화하고 있다.
드라이브 스캐너(5)는 기본적으로 시프트 레지스터와 그 각 단마다 접속한 출력 버퍼로 구성되어 있다. 시프트 레지스터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클록 신호(DSck)에 따라 동작하고, 마찬가지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스타트 신호(DSsp)를 순차로 전송함으로써, 각 단마다 전원 전환의 기초가 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있다. 출력 버퍼는, 이 제어 신호에 따라 전원 라인을 고전위와 저전위로 전환하고, 급전선(DS)에 공급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전원 라인의 제어 타이밍을 공통화함으로써, 출력 버퍼를 복수의 전원 라인 사이에서 공용하고 있다. 이로써, 출력 버퍼의 수를 삭감할 수 있다. 출력 버퍼는 급전선(DS)에 전원 공급하기 때문에, 큰 전류 구동 능력이 필요하고, 그 디바이스 사이즈가 크다. 이 디바이스 사이즈가 큰 출력 버퍼의 개수를 삭감함으로써, 주변 구동부의 회로 사이즈의 축소화, 비용 저감, 고수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3의 예와 같이, 1개의 출력 버퍼를 2개의 급전선(DS)에서 공용하면, 전체로서 출력 버퍼의 개수를 참고예에 비하여 반감할 수 있다. 또한 10개의 급전선(DS)의 제어 타이밍을 공통화하면, 출력 버퍼의 개수를 참고 예의 10분의1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한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의 동작 설명에 제공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각 신호선(SL)에는 구동 신호가 입력된다. 타이밍 차트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입력 신호는 1수평 기간(1H) 내에서 임계치 보정 기준 전위(Vofs), 신호 전위(Vsig), 보존 전위(Vini)의 3레벨을 취한다. 보존 전위(Vini)는 기준 전위(Vofs)보다도 낮다.
급전선(DS)(전원 라인)에는 저전위(Vss)와 고전위(Vcc)로 전환하는 전원이 공급되어 있다. 도 14의 타이밍 차트에서는, N단째와 N+1단째의 2개의 전원 라인에 대해 공통의 타이밍(위상)에서 전원 공급이 행하여지고 있다.
N단째(N행째)의 주사선(WS)(T1 제어 라인)에는, N단째(N행째)의 샘플링용 트랜지스터(T1)에 공급되는 제어 신호 펄스가 출력되고 있다. 마찬가지로 N+1단째의 주사선(WS)(T1 제어 라인)에는, N+1단째의 샘플링용 트랜지스터(T1)에 인가되는 제어 신호가 출력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전원 라인이 그룹화되고, 그 제어 타이밍이 공통화되어 있다. 도 14의 타이밍 차트에서는, N단째 및 N+1단째의 그룹 외에, N+2단째 및 N+3단째의 전원 라인을 통합한 다음의 그룹에 대해서도, 그 제어 타이밍을 싣고 있다. 도면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N단째 및 N+1단째의 그룹에 비하여, N+2단째 및 N+3단째의 그룹은, 주사 타이밍(위상)이 2수평 주기(2H) 시프트하고 있다.
우선 비발광 기간에 있어서, 신호선(SL)이 기준 전위(Vofs)인 때에, N단째 및 N+1단째의 샘플링용 트랜지스터(T1)를 온한다. 이 때 구동용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G)에는 기준 전위(Vofs)가 충전되고, 소스(S)에는 저전위(Vss)가 각각 충전된다. 즉, 구동용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G)를 Vofs에 세트하고 소스(S)를 Vss에 세트하는 임계치 보정 준비 동작이 행하여진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임계치 보정 준비 동작은 1H씩 3회 반복되고 있다. 최후의 3회째의 임계치 보정 준비 기간에서는, 신호선(SL)이 Vofs로부터 Vini로 전환한 시점에서, 이것을 구동용 트랜지스터(T2)의 소스(S)에 기록한다. 이 동작에 의해, 임계치 보정 준비 동작이 완료된 시점에서, 구동용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소스 사이 전압(Vgs)은, Vofs-Vss로부터 Vini-Vss로 변화한다. 여기서 Vofs-Vss는 구동용 트랜지스터(T2)의 임계전압보다도 큰 것에 대하여, Vini-Vss는 구동용 트랜지스터(T2)의 임계전압(Vth)보다도 작은 값이 되도록, Vini의 레벨이 설정되어 있다. 구동용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G)에 보존 전위(Vini)가 충전된 뒤, 샘플링용 트랜지스터(T1)를 오프하여 임계치 보정 준비 기간을 종료한다.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에서는, 임계치 보정 준비 동작을 3회 반복하는 한편, 구동용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G)에 Vini를 기록하는 것은 최후의 3회째의 임계치 보정 준비 기간뿐이다. 단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 는 것이 아니고, 복수회에 걸쳐서 반복되는 임계치 보정 준비 동작의 전부에서, 보존 전위(Vini)를 구동용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G)에 입력하여도 좋다.
샘플링용 트랜지스터(T1)를 오프한 후, 급전선(전원 라인)(DS)을 저전위(Vss)로부터 고전위(Vcc)로 변화시킨다. 이 때 가령, 구동용 트랜지스터(T2)의 Vgs가 그 임계전압(Vth)보다도 크면, 구동용 트랜지스터(T2)에 전류가 흘러 버리고, 그 게이트 전위 및 소스 전위가 변화하여 버린다. 이 영향에 의해 임계전압 보정 동작이 각 단마다 흐트러질 우려가 있다. 이것에 대처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미리 임계치 보정 준비 동작이 완료된 단계에서 보존 전위(Vini)를 기록하고 있고, 이로써 구동용 트랜지스터(T2)의 Vgs(=Vini-Vss)는 임계전압(Vth) 이하로 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용 트랜지스터(T2)는 오프하고 있고, 그 게이트 전위 및 소스 전위는 거의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정상적으로 임계전압 보정 동작을 행할 수 있다.
급전선(전원 라인)이 저전위(Vss)로부터 고전위(Vcc)로 전환된 후, 신호선(WS)이 기준 전위(Vofs)인 때에 샘플링용 트랜지스터(T1)를 온하여 임계전압 보정 동작을 행한다. 도시하는 예에서는, 이 임계전압 보정 동작을 1H씩 3회로 나누어 반복하여 행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임계전압 보정 동작을 행하기 위해 신호선(WS)이 기준 전위(Vofs)인 때에, 샘플링용 트랜지스터(T1)를 온/오프 제어하고 있다. 단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신호선(WS)이 보존 전위(Vini)로 된 후에, 샘플링용 트랜지스터(T1)를 오프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구동용 트랜지스터(T2)의 Vgs가 Vth보다도 작아지기 때문에, 샘플링용 트랜지 스터(T1)가 오프하고 나서 다음에 온하기까지의 사이에, 구동용 트랜지스터(T2)에 필요없는 전류가 흐르는 일이 없다.
이와 같이 하여 3회의 시분할적인 임계전압 보정 동작이 종료된 후, 이번에는 신호선(WS)이 신호 전위(Vsig)로 되었을 때에 재차 샘플링용 트랜지스터(T1)를 온하여 신호 기록을 행한다. 이 동작에 의해 동시에 구동용 트랜지스터(T2)의 이동도 보정도 행하여지게 된다. 소정의 이동도 보정 시간이 지난 후, 샘플링용 트랜지스터(T1)를 오프하여 기록을 종료시키고, 발광 소자(EL)를 발광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발광 기간이 시작한다.
발광 기간이 종료되는 시점이 되면, 신호선(SL)이 기준 전위(Vofs)인 때에, 샘플링용 트랜지스터(T1)를 온하여 발광 소자(EL)를 소등시킨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신호선(SL)이 기준 전위(Vofs)인 때에 샘플링용 트랜지스터(T1)를 온하여 Vofs를 샘플링하여 발광 소자를 소등시키고 있다. 단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보존 전위(Vini)를 샘플링하여 구동용 트랜지스터(T2)를 오프하여 발광 소자를 소등시켜도 좋다. 경우에 따라서는 Vofs 또는 Vini와는 다른 전위를 구동용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에 기록하여 소등 동작을 행하여도 좋다. 발광 소자(EL)의 소등에 필요한 전위는, 캐소드 전위(Vcat)와 발광 소자(EL)의 임계전압(Vthel), 구동용 트랜지스터(T2)의 임계전압(Vth)의 합(Vcat+Vthel+Vth) 이하이면 좋다.
상기 참고예에서는, 각 행(각 단)마다 급전선(전원 라인)(DS)을 전환함으로써, 발광 소자의 점등/소등 상태를 전환하고 있다. 이에 대해 본 발명에서는 급전선(DS)을 복수의 화소행에서 공용화하기 때문에, 행순차로 점등/소등 상태를 전환 할 수 없다. 그래서 본 발명은 신호선(WS)으로부터 공급되는 기준 전위(Vofs) 또는 보존 전위(Vini)를 샘플링함으로써, 구동용 트랜지스터(T2)를 오프하여, 점등/소등 상태의 전환을 행순차로에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15A는, 도 14에 도시한 타이밍 차트의 발전예를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본예에서는, 급전선(전원 라인)(DS)을 9개씩 통합하여 그룹화하고, 그룹 단위로 차례로 위상을 비켜놓아 고전위와 저전위의 전환을 행하고, 또한 그룹 내에서는 같은 위상으로 9개의 급전선(DS)의 전위를 전환하고 있다. 환언하면 9단으로 전원 라인의 타이밍을 공통화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드라이브 스캐너에 조립하는 출력 버퍼의 수를 참고예에 비하여 9분의1까지 삭감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에서는, 신호 셀렉터(3)는, 적어도 기준 전위(Vofs)와 신호 전위(Vsig)로 교대로 전환하는 구동 신호를 신호선(SL)에 공급하고 있다. 샘플링용 트랜지스터(T1)는, 신호선(SL)이 기준 전위(Vofs)이고 급전선(DS)이 저전위(Vss)인 때, 제어 신호에 따라 온하여 구동용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소스 사이 전압(Vgs)을 구동용 트랜지스터(T2)의 임계전압(Vth)을 초과한 전압으로 세트하는 준비 동작을 행하고, 계속해서 신호선(SL)이 기준 전위(Vofs)이고 급전선(DS)이 고전위(Vcc)인 때, 제어 신호에 따라 온하여 구동용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소스 사이 전압이 그 임계전압(Vth)이 되도록 보존 용량(Cs)을 방전하는 보정 동작을 행하고, 그 후 신호선(SL)이 신호 전위(Vsig)이고 급전선(DS)이 고전위(Vcc)인 때, 제어 신호에 따라 온하여 신호 전위(Vsig)를 보존 용량(Cs)에 보존하는 기록 동작을 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신호 셀렉터(3)는, 기준 전위(Vofs) 및 신호 전위(Vsig)에 더하여 기준 전위(Vofs)보다도 낮은 보존 전위(Vini)의 3레벨 사이에서 변화하는 구동 신호를 신호선(SL)에 공급한다. 이 경우 샘플링용 트랜지스터(T1)는, 임계전압 보정 준비 동작의 최후에 보존 전위(Vini)를 구동용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G)에 인가하여 구동용 트랜지스터(T2)를 일단 오프 상태에 둔다. 이로써 후속의 임계전압 보정 동작을 정상적으로 행하게 할 수 있다. 샘플링용 트랜지스터(T2)는, 임계전압 보정 동작을 시분할적으로 복수회 반복하고, 적어도 일부의 보정 동작의 후 보존 전위(Vini)를 구동용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G)에 인가시켜도 좋다. 이로써, 각 임계전압 보정 동작의 사이에서 필요없는 전류가 흐르는 일이 없다. 바람직하게는, 임계전압 보정 준비 동작은, 하나의 그룹에 속하는 행의 화소에서 일제히 행하는 한편, 임계전압 보정 동작은 행 단위로 비켜놓아 행한다. 샘플링용 트랜지스터(T1)는, 발광 소자(EL)가 구동용 트랜지스터(T2)로부터 전류의 공급을 받아서 점등하고 있는 상태에서, 신호선(SL)이 기준 전위(Vofs)에 있는 때에, 제어 신호에 따라 온하여 기준 전위(Vofs)를 구동용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G)에 기록하여 구동용 트랜지스터(T2)를 오프하고, 따라서 발광 소자(EL)를 점등 상태로부터 소등 상태로 전환한다. 발광 소자(EL)는, 애노드가 구동용 트랜지스터(T2)의 소스(S)에 접속하고, 캐소드가 소정의 캐소드 전위(Vcat)에 접속하고 있다. 기준 전위(Vofs)는, 캐소드 전위(Vcat)에 발광 소자(EL)의 임계전압(Vthel)과 구동용 트랜지스터(T2)의 임계전압(Vth)을 더한 전위보다도 낮다.
도 15B는,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의 구동 방식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 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 14에 도시한 앞서의 실시 형태의 타이밍 차트와 같은 표기를 채용하고 있다. 도 14의 타이밍 차트에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는, 임계전압 보정 준비 동작은, 하나의 그룹에 속하는 2행의 화소에서 일제히 행하고, 임계전압 보정 동작은 행 단위로 비켜놓아 행하고 있다. 이에 대해, 도 15B의 실시 형태에서는, 준비 동작 및 임계전압 보정 동작을 순차로 행 단위로 비켜놓아 행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N단째의 샘플링용 트랜지스터(T1)에 인가하는 제어 신호와, 같은 그룹에 속하는 N+1단째의 샘플링용 트랜지스터(T1)에 인가한 제어 신호는, 그 파형을 공통으로 할 수 있다. 도 1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N단째와 N+1단째에서, T1 제어 라인의 파형은, 위상이 1H 시프트하고 있을 뿐, 파형 자체는 동일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라이트 스캐너의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 참고예의 라이트 스캐너와 완전히 같은 구성의 라이트 스캐너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라이트 스캐너에 외부로부터 공급하는 스타트 펄스의 파형을 순차로 전송함으로써, 각 주사선(WS)에 공급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15B의 실시 형태에서도, 임계치 보정 준비 동작은 복수회 반복하고 있다. 그리고 최후의 임계치 보정 준비 동작에서, 신호선(SL)으로부터 보존 전위(Vini)를 샘플링하여 구동용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G)에 기록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구동용 트랜지스터(T2)의 Vgs를 임계전압(Vth) 이하로 억제하여 두는 것이 가능하다.
도 15C는, 도 15B에 도시한 타이밍 차트의 발전예를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본 예에서는, 급전선(전원 라인)(DS)을 9개씩 통합하여 그룹화하고, 그룹 단위 로 차례로 위상을 비켜놓아 고전위와 저전위의 전환을 행하고, 또한 그룹 내에서는 같은 위상으로 9개의 급전선(DS)의 전위를 전환하고 있다. 환언하면 9단으로 전원 라인의 타이밍을 공통화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드라이브 스캐너에 조립하는 출력 버퍼의 수를 참고예에 비하여 9분의1까지 삭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는,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박막 디바이스 구성을 갖는다. 본 도면은, 절연성의 기판에 형성된 화소의 모식적인 단면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소는,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트랜지스터부(도면에서는 1개의 TFT를 예시), 보존 용량 등의 용량부 및 유기 EL 소자 등의 발광부를 포함한다. 기판의 위에 TFT 프로세스에서 트랜지스터부나 용량부가 형성되고, 그 위에 유기 EL 소자 등의 발광부가 적층되어 있다. 그 위에 접착제를 통하여 투명한 대향 기판을 부착하여 플랫 패널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는,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랫형의 모듈 형상의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절연성의 기판상에, 유기 EL 소자, 박막 트랜지스터, 박막 용량 등으로 이루어지는 화소를 매트릭스형상으로 집적 형성한 화소 어레이부를 마련하고, 이 화소 어레이부(화소 매트릭스부)를 둘러싸도록 접착제를 배치하고, 유리 등의 대향 기판을 부착하여 표시 모듈로 한다. 이 투명한 대향 기판에는 필요에 따라, 컬러 필터, 보호막, 차광막 등을 마련하여도 좋다. 표시 모듈에는, 외부로부터 화소 어레이부에의 신호 등을 입출력하기 위한 커넥터로서 예를 들면 FPC(플렉시블 프린트 서킷)를 마련하여도 좋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표시 장치는, 플랫 패널 형상을 가지며, 다 양한 전자 기기,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휴대 전화, 비디오 카메라 등, 전자 기기에 입력된, 또는, 전자 기기 내에서 생성한 영상 신호를 화상 또는 영상으로서 표시하는 모든 분야의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이와 같은 표시 장치가 적용된 전자 기기의 예를 나타낸다.
도 18은 본 발명이 적용된 텔레비전이고, 프런트 패널(12), 필터 유리(13) 등으로 구성된 영상 표시 화면(11)을 포함하고, 본 발명의 표시 장치를 그 영상 표시 화면(11)에 이용함에 의해 제작된다.
도 19는 본 발명이 적용된 디지털 카메라이고, 위가 정면도이고 아래가 배면도이다. 이 디지털 카메라는, 촬상 렌즈, 플래시용의 발광부(15), 표시부(16), 컨트롤 스위치, 메뉴 스위치, 셔터(19) 등을 포함하고, 본 발명의 표시 장치를 그 표시부(16)에 이용함에 의해 제작된다.
도 20은 본 발명이 적용된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이고, 본체(20)에는 문자 등을 입력할 때 조작되는 키보드(21)를 포함하고, 본체 커버에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22)를 포함하고, 본 발명의 표시 장치를 그 표시부(22)에 이용함에 의해 제작된다.
도 2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휴대 단말 장치이고, 왼쪽이 연 상태를 도시하고, 위가 닫은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휴대 단말 장치는, 상측 몸체(23), 하측 몸체(24), 연결부(여기서는 힌지부)(25), 디스플레이(26), 서브 디스플레이(27), 픽처 라이트(28), 카메라(29) 등을 포함하고, 본 발명의 표시 장치를 그 디스플레이(26)나 서브 디스플레이(27)에 이용함에 의해 제작된다.
도 22는 본 발명이 적용된 비디오 카메라이고, 본체부(30), 전방을 향한 측면에 피사체 촬영용의 렌즈(34), 촬영시의 스타트/스톱 스위치(35), 모니터(36) 등을 포함하고, 본 발명의 표시 장치를 그 모니터(36)에 이용함에 의해 제작된다.
본 발명에서 개시된 실시의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고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고 생각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나고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도 1은 참고예에 관한 표시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표시 장치에 형성되는 화소의 한 예를 도시하는 회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화소의 동작의 참고예를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
도 4는 도 2에 도시한 화소의 동작 설명에 제공하는 모식도.
도 5는 도 2에 도시한 화소의 동작 설명에 제공하는 모식도.
도 6은 도 2에 도시한 화소의 동작 설명에 제공하는 모식도.
도 7은 도 2에 도시한 화소의 동작 설명에 제공하는 모식도.
도 8은 도 7에 도시한 화소의 동작 설명에 제공하는 그래프.
도 9는 도 2에 도시한 화소의 동작 설명에 제공하는 모식도.
도 10은 도 2에 도시한 화소의 동작 설명에 제공하는 모식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화소 동작 설명에 제공하는 그래프.
도 12는 도 2에 도시한 화소의 동작 설명에 제공하는 모식도.
도 13은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한 표시 장치의 동작 설명에 제공하는 타이밍 차트.
도 15A, 도 15B, 및 도 15C는 도 13의 표시 장치의 동작 설명에 제공하는 타이밍 차트.
도 16은 도 13에 도시한 표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7은도 13에 도시한 표시 장치의 모듈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18은 도 13에 도시한 표시 장치를 구비한 텔레비전 세트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9는 도 13에 도시한 표시 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0은 도 13에 도시한 표시 장치를 구비한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1은 도 13에 도시한 표시 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 장치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22는 도 13에 도시한 표시 장치를 구비한 비디오 카메라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3은 종래의 표시 장치의 한 예를 도시하는 회로도.
도 24는 도 23에 도시한 종래의 표시 장치의 문제점을 도시하는 그래프.
도 25는 종래의 표시 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회로도.

Claims (10)

  1. 표시 장치에 있어서,
    화소 어레이부와 구동부를 가지며,
    상기 화소 어레이부는,
    행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주사선과,
    열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신호선과,
    상기 주사선과 상기 신호선이 서로 교차하는 부분에 행렬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화소와,
    상기 주사선과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급전선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신호선에 신호 전위를 갖는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신호 셀렉터와,
    상기 주사선에 순차로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라이트 스캐너와,
    상기 급전선에 고전위와 저전위로 전환되는 전원을 공급하는 드라이브 스캐너를 가지며,
    상기 각각의 화소는, 한 쌍의 전류단 중의 하나가 상기 신호선 중의 대응하는 하나에 접속하고 제어단이 상기 주사선 중에 대응하는 하나에 접속한 샘플링용 트랜지스터와,
    드레인측이 되는 한 쌍의 전류단 중의 하나가 상기 급전선중의 대응하는 하나에 접속하고 게이트가 되는 제어단이 상기 샘플링용 트랜지스터의 다른쪽의 전류단에 접속한 구동용 트랜지스터와,
    상기 구동용 트랜지스터의 소스측이 되는 전류단에 접속한 발광 소자와,
    상기 구동용 트랜지스터의 소스와 게이트 사이에 접속한 보존 용량을 갖는 표시 장치로서,
    상기 라이트 스캐너는, 행방향의 주사선에 대해 1개씩 위상을 비켜놓아 제어 신호를 공급하고,
    상기 드라이브 스캐너는, 행방향의 급전선을 소정의 개수씩 통합하여 그룹화하고, 그룹 단위로 차례로 위상을 비켜놓아 고전위와 저전위의 전환을 행하고, 또한 그룹 내에서는 같은 위상으로 소정 개수의 급전선의 전위를 전환하고,
    상기 신호 셀렉터는, 기준 전위 및 신호 전위에 더하여 상기 기준 전위보다도 낮은 보존 전위의 3레벨 사이에서 변화하는 구동 신호를 신호선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셀렉터는, 적어도 기준 전위와 신호 전위로 교대로 전환되는 구동 신호를 신호선에 공급하고,
    상기 샘플링용 트랜지스터는, 신호선이 기준 전위이고 급전선이 저전위인 때, 제어 신호에 따라 온하고 상기 구동용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소스 사이 전압을 구동용 트랜지스터의 임계전압을 초과하는 전압으로 세트하는 준비 동작을 행하고,
    계속해서 신호선이 기준 전위이고 급전선이 고전위인 때, 제어 신호에 따라 온하고 상기 구동용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소스 사이 전압이 그 임계전압이 되도록 상기 보존 용량을 방전하는 보정 동작을 행하고,
    그 후, 신호선이 신호 전위이고 급전선이 고전위인 때, 제어 신호에 따라 온하고 상기 신호 전위를 상기 보존 용량에 보존하는 기록 동작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링용 트랜지스터는, 상기 준비 동작의 최후에 상기 보존 전위를 구동용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인가하여 구동용 트랜지스터를 일단 오프 상태로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링용 트랜지스터는, 상기 보정 동작을 시분할적으로 복수회 반복하고, 적어도 일부의 보정 동작의 후 상기 보존 전위를 상기 구동용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준비 동작은, 하나의 그룹에 속하는 행의 화소에서 일제히 행하고, 상기 보정 동작은 행 단위로 비켜놓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준비 동작 및 보정 동작을 순차로 행 단위로 비켜놓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링용 트랜지스터는, 상기 발광 소자가 구동용 트랜지스터로부터 전류의 공급을 받아서 점등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신호선이 기준 전위에 있는 때에, 제어 신호에 따라 온하고 기준 전위를 상기 구동용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기록하여 구동용 트랜지스터를 오프하고, 따라서 발광 소자를 점등 상태로부터 소등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는, 애노드가 구동용 트랜지스터의 소스에 접속하고, 캐소드가 소정의 캐소드 전위에 접속하고,
    상기 기준 전위는, 캐소드 전위에 발광 소자의 임계전압과 구동용 트랜지스터의 임계전압을 더한 전위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전자 장치에 있어서,
    화소 어레이부와 구동부를 가지며,
    상기 화소 어레이부는,
    행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주사선과,
    열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신호선과,
    상기 주사선과 상기 신호선이 서로 교차하는 부분에 행렬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화소와,
    상기 주사선과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급전선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신호선에 신호 전위를 갖는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신호 셀렉터와,
    상기 주사선에 순차로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라이트 스캐너와,
    상기 급전선에 고전위와 저전위로 전환되는 전원을 공급하는 드라이브 스캐너를 가지며,
    상기 각각의 화소는, 한 쌍의 전류단 중의 하나가 상기 신호선 중의 대응하는 하나에 접속하고 제어단이 상기 주사선 중에 대응하는 하나에 접속한 샘플링용 트랜지스터와,
    드레인측이 되는 한 쌍의 전류단 중의 하나가 상기 급전선중의 대응하는 하나에 접속하고 게이트가 되는 제어단이 상기 샘플링용 트랜지스터의 다른쪽의 전류단에 접속한 구동용 트랜지스터와,
    상기 구동용 트랜지스터의 소스측이 되는 전류단에 접속한 발광 소자와,
    상기 구동용 트랜지스터의 소스와 게이트 사이에 접속한 보존 용량을 갖는 표시 장치로서,
    상기 라이트 스캐너는, 행방향의 주사선에 대해 1개씩 위상을 비켜놓아 제어 신호를 공급하고,
    상기 드라이브 스캐너는, 행방향의 급전선을 소정의 개수씩 통합하여 그룹화하고, 그룹 단위로 차례로 위상을 비켜놓아 고전위와 저전위의 전환을 행하고, 또한 그룹 내에서는 같은 위상으로 소정 개수의 급전선의 전위를 전환하고,
    상기 신호 셀렉터는, 기준 전위 및 신호 전위에 더하여 상기 기준 전위보다도 낮은 보존 전위의 3레벨 사이에서 변화하는 구동 신호를 신호선에 공급하는 표시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0. 표시 장치에 있어서,
    화소 어레이부와 구동부를 가지며,
    상기 화소 어레이부는,
    행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주사선과,
    열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신호선과,
    상기 주사선과 상기 신호선이 서로 교차하는 부분에 행렬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화소와,
    상기 주사선과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급전선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신호선에 신호 전위를 갖는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신호 셀렉터와,
    상기 주사선에 순차로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라이트 스캐너와,
    상기 급전선에 고전위와 저전위로 전환되는 전원을 공급하는 드라이브 스캐너를 가지며,
    상기 각각의 화소는,
    한 쌍의 전류단 중의 하나가 상기 신호선 중의 대응하는 하나에 접속하고 제어단이 상기 주사선 중에 대응하는 하나에 접속한 샘플링용 트랜지스터와,
    드레인측이 되는 한 쌍의 전류단 중의 하나가 상기 급전선중의 대응하는 하나에 접속하고 게이트가 되는 제어단이 상기 샘플링용 트랜지스터의 다른쪽의 전류단에 접속한 구동용 트랜지스터와,
    상기 구동용 트랜지스터의 소스측이 되는 전류단에 접속한 발광 소자와, 상기 구동용 트랜지스터의 소스와 게이트 사이에 접속한 보존 용량을 갖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으로서,
    상기 라이트 스캐너는, 행방향의 주사선에 대해 1개씩 위상을 비켜놓아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한편, 상기 드라이브 스캐너는, 행방향의 급전선을 소정의 개수씩 통합하여 그룹화하고, 그룹 단위로 차례로 위상을 비켜놓아 고전위와 저전위의 전환을 행하고, 또한 그룹 내에서는 같은 위상으로 소정 개수의 급전선의 전위를 전환하고,
    상기 신호 셀렉터는, 기준 전위 및 신호 전위에 더하여 상기 기준 전위보다도 낮은 보존 전위의 3레벨 사이에서 변화하는 구동 신호를 신호선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090008256A 2008-02-04 2009-02-03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과 전자 기기 KR1015164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24053 2008-02-04
JP2008024053A JP4816653B2 (ja) 2008-02-04 2008-02-04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と電子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532A KR20090085532A (ko) 2009-08-07
KR101516435B1 true KR101516435B1 (ko) 2015-05-04

Family

ID=40427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8256A KR101516435B1 (ko) 2008-02-04 2009-02-03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과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199077B2 (ko)
EP (1) EP2085959B1 (ko)
JP (1) JP4816653B2 (ko)
KR (1) KR101516435B1 (ko)
CN (1) CN101504823B (ko)
SG (1) SG154423A1 (ko)
TW (1) TWI41646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46090B2 (ja) * 2008-05-08 2013-02-20 ソニー株式会社 El表示パネル、電子機器及びel表示パネルの駆動方法
JP2010020034A (ja) 2008-07-10 2010-01-28 Sony Corp 画像表示装置
JP2011145481A (ja) * 2010-01-14 2011-07-28 Sony Corp 表示装置、表示駆動方法
JP5477004B2 (ja) 2010-01-14 2014-04-23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駆動方法
JP5880467B2 (ja) * 2013-02-04 2016-03-09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パレータ装置、並びに、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CN114242017B (zh) * 2021-12-23 2023-08-01 惠州视维新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其驱动方法、显示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0140A (ja) 2005-05-24 2006-12-07 Casio Comput Co Ltd 表示装置及びその表示駆動方法
JP2007133284A (ja) 2005-11-14 2007-05-31 Sony Corp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75178A (en) 1985-05-13 1986-11-19 Philips Electronic Associated Display pixel rounding arrangements
US5315393A (en) 1992-04-01 1994-05-24 Amoco Corporation Robust pixel array scanning with image signal isolation
US7045758B2 (en) 2001-05-07 2006-05-16 Panavision Imaging Llc Scanning image employing multiple chips with staggered pixels
JP2003122309A (ja) 2001-10-03 2003-04-2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表示装置
JP3956347B2 (ja) 2002-02-26 2007-08-08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ディスプレイ装置
WO2003075256A1 (fr) * 2002-03-05 2003-09-12 Nec Corporation Affichage d'image et procede de commande
JP3613253B2 (ja) 2002-03-14 2005-01-26 日本電気株式会社 電流制御素子の駆動回路及び画像表示装置
JP4195337B2 (ja) 2002-06-11 2008-12-10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 発光表示装置及びその表示パネルと駆動方法
JP4103500B2 (ja) * 2002-08-26 2008-06-1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表示パネルの駆動方法
JP2004093682A (ja) 2002-08-29 2004-03-25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El表示パネル、el表示パネルの駆動方法、el表示装置の駆動回路およびel表示装置
JP3832415B2 (ja) 2002-10-11 2006-10-11 ソニー株式会社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
EP1676257A4 (en) 2003-09-23 2007-03-14 Ignis Innovation Inc CIRCU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ARRAY OF LIGHT-EMITTING PIXELS
JP2006251322A (ja) 2005-03-10 2006-09-21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および電子情報機器
WO2006126703A2 (en) 2005-05-24 2006-11-30 Casio Computer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drive control method thereof
US8004477B2 (en) 2005-11-14 2011-08-23 Sony Corporation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2007148128A (ja) 2005-11-29 2007-06-14 Sony Corp 画素回路
JP4240059B2 (ja) * 2006-05-22 2009-03-18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2008024053A (ja) 2006-07-18 2008-02-07 Daikyo Nishikawa Kk 車両用収納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0140A (ja) 2005-05-24 2006-12-07 Casio Comput Co Ltd 表示装置及びその表示駆動方法
JP2007133284A (ja) 2005-11-14 2007-05-31 Sony Corp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85959B1 (en) 2015-09-30
CN101504823B (zh) 2012-01-11
KR20090085532A (ko) 2009-08-07
SG154423A1 (en) 2009-08-28
EP2085959A1 (en) 2009-08-05
JP4816653B2 (ja) 2011-11-16
JP2009186583A (ja) 2009-08-20
CN101504823A (zh) 2009-08-12
TWI416465B (zh) 2013-11-21
TW200945297A (en) 2009-11-01
US8199077B2 (en) 2012-06-12
US20090195480A1 (en) 2009-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06753B2 (ja)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と電子機器
JP5217500B2 (ja) El表示パネルモジュール、el表示パネル、集積回路装置、電子機器及び駆動制御方法
JP4640449B2 (ja)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と電子機器
KR101432768B1 (ko)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과 전자기기
KR101517110B1 (ko)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과 전자기기
KR101532656B1 (ko)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과 전자기기
JP5287111B2 (ja)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と電子機器
US8138999B2 (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8188944B2 (en) Display device, method for driving same,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1512781B1 (ko)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과 전자기기
KR101516435B1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과 전자 기기
KR101544212B1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과 전자기기
JP2008203661A (ja)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101502851B1 (ko) 표시장치, 그 표시장치 구동방법 및 전자기기
JP2010091641A (ja)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と電子機器
JP2009103871A (ja)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と電子機器
JP2009244481A (ja)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と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