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5531B1 - 제습 유닛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제습 유닛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5531B1
KR101515531B1 KR1020090022786A KR20090022786A KR101515531B1 KR 101515531 B1 KR101515531 B1 KR 101515531B1 KR 1020090022786 A KR1020090022786 A KR 1020090022786A KR 20090022786 A KR20090022786 A KR 20090022786A KR 101515531 B1 KR101515531 B1 KR 101515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ir
dehumidifying
positive electrode
dehumidify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2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4403A (ko
Inventor
박형호
황순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2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5531B1/ko
Publication of KR20100104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4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5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5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58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using regenerator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제습 유닛을 갖는 공기조화기는 공기 흡입부와 공기 토출부가 형성된 본체와; 공기 흡입부로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 토출부로 토출하게 본체에 설치된 송풍기와; 공기 흡입부로 흡입된 공기가 제습되게 본체에 설치된 제습 유닛을 포함하고; 제습 유닛은 데시컨트를 갖는 제습 부재와; 제습 부재의 일면과 접촉되게 형성된 양전극부와; 제습 부재 중 상기 양전극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제습 부재의 타면과 접촉되게 형성된 음전극부와; 양전극부와 음전극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압 인가부를 포함하여 제습 부재의 수분을 정전 삼투로 저감시키는 정전 삼투 재생부를 포함하여, 재생 히터 등의 재생기구 없이 제습 유닛 자체가 실내 수분을 일정 범위내에서 유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공기조화기, 공기 흡입부, 공기 토출부, 제습 유닛, 양전극부, 음전극부, 전압 인가부

Description

제습 유닛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Dehumidifing unit and Air conditione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제습 유닛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습 유닛의 제습 부재가 재생될 수 있는 제습 유닛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온도나 습도나 청정도 등을 변화시키는 것으로서, 실내를 냉방시키는 냉방기와, 실내를 난방시키는 난방기와, 실내를 제습시키는 제습기와, 실내를 가습시키는 가습기와, 실내 공기를 청정하게 변화시키는 정화기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기는 제습 기능을 주로 갖는 제습기로 이루어지거나 제습 기능을 부가적으로 갖는 냉방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종래에는 냉매가 흐르는 응축기 및 증발기로 이루어진 열교환기로 실내 공기를 통과시켜 습도를 낮춘 후, 실내로 이 제습된 공기를 다시 토출하는 것에 의해 실내의 습도를 낮춘다.
즉, 제습기는 액화 상태의 냉매를 증발기에서 증발시킴으로써 주위의 공기로부터 열을 빼앗는 방법을 사용하는데, 냉매가 증발하면서 증발기의 온도가 낮아지 게 되고, 증발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 역시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증발기 주위의 온도가 하강함에 따라 공기에 포함되어 있던 수분이 응축되어 증발기의 표면에 이슬로 맺히고, 증발기 표면의 이슬은 버킷에 낙하된다.
한편, 등록특허공보 10-0598214에는 공기가 데시컨트를 통과하면서 데시컨트로 수분을 빼앗기고, 데시컨트에 흡착된 수분이 히터의 열에 의해 증발되는 것에 의해 데시컨트가 재생되는 데시컨트를 이용한 가습 및 제습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데시컨트를 이용한 가습 및 제습 장치는, 히터에 의해 가열된 실내 공기가 데시컨트를 통과하여 데시컨트에 흡착된 수분을 간접 가열방식으로 증발시키거나, 방사형의 전기 히터를 데시컨트와 일체화하여 데시컨트의 수분을 방사형의 전기 히터에서 발생된 열로 직접 가열하여 직접 가열방식으로 증발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화재 발생 가능성이 최소화된 제습 유닛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품수가 최소화되고 간단한 구조로 실내 공기를 제습시킬 수 있는 제습 유닛을 갖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습 유닛은, 데시컨트를 갖는 제습 부재와; 상기 제습 부재의 일면과 접촉되게 형성된 양전극부와; 상기 제습 부재 중 상기 양전극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제습 부재의 타면과 접촉되게 형성된 음전극부와; 상기 양전극부와 음전극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압 인가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습 부재의 수분을 정전 삼투로 저감시키는 정전 삼투 재생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습 유닛을 갖는 공기조화기는, 공기 흡입부와 공기 토출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공기 흡입부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공기 토출부로 토출하게 상기 본체에 설치된 송풍기와; 상기 공기 흡입부로 흡입된 공기가 제습되게 상기 본체에 설치된 제습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습 유닛은 데시컨트를 갖는 제습 부재와; 상기 제습 부재의 일면과 접촉되게 형성된 양전극부와; 상기 제습 부재 중 상기 양전극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제습 부재의 타면과 접촉되게 형성된 음전극부와; 상기 양전극부와 음전극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압 인가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습 부재의 수분을 정전 삼투로 저감시키는 정전 삼투 재생부를 포함한다.
상기 양전극부는 상기 제습 부재 중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면과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면 중 상기 흡입면에 형성되고, 상기 음전극부는 상기 배출면에 형성된다.
상기 양전극부는 상기 제습 부재 중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면과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면 중 어느 일면에 금속재로 코팅 형성되고, 상기 음전극부는 상기 흡입면과 배출면 중 타면에 금속재로 코팅 형성된다.
상기 전압 인가부는 상기 양전극부와 음전극부에 일정 전압을 인가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정전 삼투 재생부가 제습 부재를 재생시키기 위한 재생 히터를 대신할 수 있어, 재생 히터를 사용하지 않고 실내를 지속적으로 재생시킬 수 있고, 재생 히터를 사용하는 경우 보다 소비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제습 공기의 불필요한 온도상승을 막을 수 있어 쾌적성이 높은 이점이 있다.
또한, 양전극부와 음전극부가 제습 부재를 보호할 수 있어, 데시컨트를 갖는 제습 부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습 유닛의 수명 단축을 최소화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양전극부와 음전극부가 제습 부재에 코팅 형성된 금속 코팅부로 이루어져 공기의 유동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고, 제습 유닛의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제조가 손쉬우며, 제습 부재의 강도가 보강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펑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본체(2)와, 송풍기(4)와, 제습 유닛(6)과, 드레인 기구(8)와, 제어부(10)를 포함한다.
본체(2)는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실내의 공기가 본체(2)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 흡입부(12)와, 본체(2)의 내부에서 제습된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토출부(14)가 형성된다.
본체(2)는 베이스(16)와, 공기조화기의 후방 외관을 형성하고 베이스(16)의 후방부 상측에 배치된 리어 케이스(18)와, 리어 케이스(18)의 전방에 결합된 프론트 케이스(20)와, 프론트 케이스(20) 전방에 배치된 프론트 패널(22)을 포함한다.
리어 케이스(18)에는 본체(2) 내부에서 제습된 실내 공기가 본체(2)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 토출부(14)가 형성된다. 공기 토출부(14)는 본체(2) 내부에서 제습된 실내 공기가 제습기의 상측으로 토출되도록 리어 케이스(18)의 상부에 형성된다.
프론트 케이스(20)는 실내 공기가 본체(2)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 흡입홀(24)이 형성된다. 공기 흡입홀(24)은 본체(2) 내부로 흡입되는 실내 공기가 공기 흡입홀(24)의 전방에서 전후 방향으로 흡입되도록 공기 흡입홀(24)이 프론트 케이스(20)의 전판부에 형성된다.
프론트 케이스(20)에는 공기조화기를 운전 조작하는 컨트롤부와, 공기조화기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컨트롤 유닛(26)이 설치된다.
컨트롤 유닛(26)은 외부로 노출되는 컨트롤 패널(27)과, 컨트롤 패널(27)에 배치되고 컨트롤부나 디스플레이부 등의 각종 전장부품이 설치된 컨트롤 피시 비(28)를 포함한다.
프론트 패널(22)은 제습기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실내 공기가 본체(2) 내부 특히 프론트 케이스(20)의 공기 흡입홀(24)로 흡입되게 하는 공기 흡입부(12)가 형성된다.
프론트 패널(22)은 제습기 전면 미관 향상을 위해 전면이 막히고, 공기 흡입구(12)가 전면 이외인 둘레부에 형성된다.
즉, 실내 공기는 프론트 패널(22)의 공기 흡입부(12)와 프론트 케이스(20)의 공기 흡입홀(24)을 차례로 통과하여 본체(2) 내부로 흡입되고, 본체(2) 내부에서 제습된 후 리어 케이스(18)의 공기 토출부(14)을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송풍기(4)는 공기 흡입부(12)로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본체(2)의 내부에서 제습 유닛(6)에 의해 제습된 후 공기 토출부(14)로 토출되게 하여 실내 공기가 제습 유닛(6)에 의해 제습되게 하는 일종의 제습 팬으로서, 전방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측으로 송풍하는 원심 송풍기로 이루어진다.
송풍기(4)는 리어 케이스(18)와 함께 송풍 유로를 형성하도록 배면이 개방되고 전면에 공기 흡입홀(41)이 형성되며 상부에 토출부(42)가 개구 형성된 팬 하우징(43)과, 팬 하우징(43)과 리어 케이스(18) 중 하나에 설치된 팬모터(44)와, 팬 하우징(43)과 리어 케이스(18) 사이에서 회전되게 팬모터(44)의 회전축과 연결된 팬(45)을 포함한다.
제습 유닛(6)은 실내의 수분을 설정 범위 내에서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일종의 조습 유닛으로서, 수분이 흡착/탈착되는 제습 부재(60)와, 제습 부재(60)에 흡착된 수분을 정전 삼투(electro-osmosis) 원리에 의해 탈착시키는 정전 삼투 재생부(70)를 포함한다.
제습 유닛(6)은 제습 부재(60)를 보호 및 지지하는 제습 부재 서포터(66)를 더 포함한다.
제습 부재 서포터(66)는 제습 부재(60)의 둘레를 둘러싸는 테두리부(67)와, 제습 부재(60)의 전방 혹은 후방에 위치되게 형성되고 격자 형상 또는 방사 형상으로 형성된 그릴부(68)를 포함한다.
제습 유닛(6)은 송풍기(4)의 공기 흡입홀(41)과 프론트 케이스(20)의 공기 흡입홀(24)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되고, 송풍기(4)와 프론트 케이스(20) 중 하나에 직접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고, 송풍기(4)와 프론트 케이스(20)의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제습 유닛 프레임(69)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습 유닛 프레임(69)은 드레인부(8)의 후술하는 드레인팬(82)에 올려져 설치된다.
드레인부(8)는 제습 유닛(6)에서 분리된 수분이 물로 변화되어 모여서 담겨지거나 외부로 배수되게 하는 것으로서, 이하 드레인팬(82)과 버킷(84)을 포함한다.
드레인 팬(82)은 제습 유닛(6)에서 낙하된 물을 버킷(84)으로 안내하는 것으로서, 버킷(84)의 상측 위치에 배수홀부(86)가 형성된다.
드레인 팬(82)은 본체(2)의 내부를 실내에서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면서 제습되는 제습 공간과 버킷(84)이 수용되는 버킷 공간으로 구획하게 설치된다.
버킷(84)은 상면이 개방된 박스체로서, 본체(2)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베이스(16)에 올려져 설치되고, 본체(2)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본체(2) 외부로 인출된다.
제어부(10)는 컨트롤 유닛(26)의 조작에 따라 송풍기(4)를 제어하고, 제습 유닛(6) 특히 후술하는 전압 인가부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제습 유닛 프레임(69)에 설치된다.
제어부(10)는 파워 코드가 연결되고, 송풍기(4)의 팬모터(44) 및 제습 유닛(6)의 전압 인가부와 리드 와이어로 연결된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제습 유닛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제습 유닛의 일부 확대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정전 삼투 재생부의 정전 삼투 원리가 확대 도시된 개략도이다.
제습 부재(60)는 다공성 매체(porous media)인 실리카 겔과 메조 실리카 등의 데시칸트(62)와, 데시칸트가 코팅되는 기본 모재(64)를 포함한다.
제습 부재(60)는 기본 모재(64)가 세라믹 섬유질의 평면지와 파형지로 이루어지고, 평면지와 파형지가 교대로 위치되면서 전체적으로 스크롤 형상으로 말아 올리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중앙에 위치하는 일단과 둘레부에 위치하는 타단 사이가 일체로 이루어진다.
제습 부재(60)는 데시컨트(62)가 평면지와 파형지 각각의 표면에 코팅된다.
제습 부재(60)는 송풍기(4)의 구동시, 실내에서 흡입된 공기가 최초로 접하면서 제습 부재(60)로 흡입되는 면, 즉 프론트 케이스(20)의 공기 흡입홀(24)과 대향되는 면이 흡입면(A)이 되고, 제습 부재(60)를 통과하는 공기가 제습 부재(60)에서 배출되는 면, 즉 송풍기(4)의 공기 흡입홀(41)과 대향되는 면이 배출면(B)이 된다.
이하, 제습부재(60)는 송풍기(4)의 전방에 제습 부재(60)가 위치되고, 제습 부재(60)의 전방에 프론트 케이스(20)의 공기 흡입홀(24)이 위치되므로, 제습부재(60)의 전면이 흡입면(A)이고, 제습부재(60)의 후면이 배출면(B)인 것으로 설명한다.
정전 삼투 재생부(70)는 제습 부재(60)의 수분을 정전 삼투로 저감시키는 것으로서, 제습 부재(60)의 일면과 접촉되게 형성된 양전극부(72)와, 제습 부재(60) 중 양전극부(72)와 대향되는 위치에 제습 부재(60)의 타면과 접촉되게 형성된 음전극부(74)와, 양전극부(72)와 음전극부(7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압 인가부(76)를 포함한다.
정전 삼투 재생부(70)는 전압 인가부(76)에서 전압이 인가되면, 양전극부(72)와 음전극부(74) 사이에 전기장(Electric Field)이 생성되면서, 제습 부재(60)의 다공성 매체인 데시칸트(62)에 흡착되어 있던 수분은 전기장에 의해 음전극부(74)를 향해 이동되어 배출된다.
정전 삼투 재생부(70)는 수분의 이동 방향과 공기의 유동 방향이 같을 경우, 수분의 이동이 용이하게 되므로, 양전극부(72)가 흡입면(A)과 배출면(B) 중 흡입면(A)에 형성되고, 음전극부(74)가 흡입면(A)과 배출면(B) 중 배출면(B)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전 삼투 재생부(70)는 양전극부(72) 및 음전극부(74)가 각각 통공을 갖는 금속 전극판으로 이루어져, 제습 부재(60)의 흡입면(A)과 배출면(B)에 접촉되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양전극부(72) 및 음전극부(74)가 제습 부재(60)의 흡입면(A)과 배출면(B)에 일체로 고착된 금속 코팅부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정전 삼투 재생부(70)는 양전극부(72) 및 음전극부(74)가 금속 코팅부로 이루어질 경우 통공을 갖는 금속 전극판으로 이루어질 경우 보다 공기의 유동 저항을 작게 할 수 있고, 제습 유닛(6)의 제작이 용이함과 아울러 구조가 간단하며, 금속 코팅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습 유닛(6)은 양전극부(72) 및 음전극부(74)가 금속 코팅부로 이루어질 경우, 기본 모재(64)의 전체에 데시컨트(62)가 코팅되고, 기본 모재(64)에 코팅된 데시컨트(62) 중 공기 유동 방향의 전,후 양단에 양전극부(72)와 음전극부(74)가 데시컨트(62)를 에워싸듯이 코팅되며, 양전극부(72)와 음전극부(74)는 데시컨트(62)의 선단 전체에 걸쳐 형성되고, 음전극부(74)는 데시컨트(62)의 후단 전체에 걸쳐 형성된다.
전압 인가부(76)는 양전극부(72)와 음전극부(74)에 일정 전압을 인가시키는 것으로서, 제어부(10)에 의해 제어된다.
전압 인가부(76)는 제어부(10)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제어부(70)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제습 유닛(6)이나 제습 유닛 프레임(69) 등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정전 삼투 재생부(70)는 제습 유닛(6)이 실내 공기를 제습하는 동안 동작하지 않고 있다가 제습 유닛(6)이 실내 공기를 제습하지 않는 동안에 동작되는 것도 가능하고, 제습 유닛(6)이 실내 공기를 제습하는 동안 함께 동작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어부(10)는 송풍기(4)의 구동 도중에 전압 인가부(76)를 오프시켜 실내 공기가 제습 유닛(6)에 의해 제습되게 하고, 상기와 같은 제습에 의해 제습 유닛(6)의 함수율이 높아지면, 예를 들어, 송풍기(4)의 구동 후 설정 시간이 경과되거나 제습 부재(60)의 함수율을 감지하기 위해 설치된 함수율 감지센서의 감지결과가 설정 함수율 이상이 되면, 제습 부재(60)의 재생을 위해 송풍기(4)를 정지시킴과 아울러 전압 인가부(76)를 온시켜 제습 유닛(6)에 흡착된 수분을 음전극부(74)로 이동시켜 배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송풍기(4)의 구동에 의한 제습 부재(60)의 제습과 정전 삼투 재생부(70)에 의한 제습 부재(60)의 재생이 선택적으로 교대 실시된다.
반면에, 제어부(10)는 송풍기(4)의 구동 도중에 전압 인가부(76)를 온시켜 실내 공기가 제습 유닛(6)에 의해 제습되게 하면서 전압 인가부(76)가 제습 유닛(6)에 흡착되는 수분을 음전극부(74)로 이동시켜 배출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송풍기(4)의 구동에 의한 제습 부재(60)의 제습과 정전 삼투 재생부(70)에 의한 제습 부재(60)의 재생이 동시에 실시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정전 삼투 재생부(70)는 제습 부재(60)가 대략 50% 혹은 60% 이상의 함수율을 갖을 때 제습 부재(60)의 효율적인 재생이 가능하고, 전압 인가부(76)에서 일정 전압이 인가되면, 제습 부재(60)의 함수량에 따라 전류치가 바뀌면서 함수율이 일정 수준에서 유지되게 된다.
즉, 제습 부재(60)의 함수율이 높을 경우 전류치는 높아지면서 정전 삼투 재생부(70)에 의한 수분 분리율이 높아지고, 제습 부재(60)의 함수율이 낮을 경우 전류치가 낮아지면서 정전 삼투 재생부(70)에 의한 수분 분리율이 낮아지며, 제습 유닛(6)은 일정 범위의 함수량을 유지하면서 실내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 등이 컨트롤 유닛(26)을 통해 공기조화기를 제습 조작하면, 제어부(10)는 송풍기(4)를 구동시킴과 아울러 제습 유닛(6)의 전압 인가부(76)를 온시킨다.
송풍기(4)의 구동시 실내 공기는 본체(2)의 내부로 흡입되어 제습 부재(60)의 셀을 통과하고, 이때, 수분이 제습 부재(60)의 데시컨트(62)에 흡착된다.
그리고, 정전 삼투 재생부(70)의 전압 인가부(76)에 의해 양전극부(72)와 음전극부(74)에 일정 전압이 계속 인가되면, 양전극부(72)와 음전극부(74) 사이에는 전기장이 생성되면서, 데시컨트(62) 내의 수분은 정전 삼투 현상에 의해 음전극 부(74)를 향해 이동하고 음전극부(74) 주변에서 물로 변화되어 제습 부재(60)의 하측으로 흘러 내리고, 제습 부재(60)는 재생된다.
제습 부재(60)의 하측으로 흘러 내리는 물은 드레인 팬(82)를 통해 버킷(84)에 담겨진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기는 상기와 같은 제습 및 재생시 실내는 고습의 공기가 일정한 습공기로 변화되면서 보다 쾌적한 환경으로 유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펑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제습 유닛의 확대 단면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제습 유닛의 일부 확대 사시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정전 삼투 재생부의 정전 삼투 원리가 확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2: 본체 4: 송풍기
6; 제습 유닛 8: 드레인부
10; 제어부 60: 제습 부재
62: 데시컨트 64: 기본 모재
70: 정전 삼투 재생부 72: 양전극부
74: 음전극부 76: 전압 인가부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공기 흡입부와 공기 토출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공기 흡입부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공기 토출부로 토출하게 상기 본체에 설치된 송풍기와;
    상기 공기 흡입부로 흡입된 공기가 제습되게 상기 본체에 설치된 제습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습 유닛은
    스크롤 형상으로 말린 형상의 기본모재에 데시컨트가 코팅되고 상기 송풍기에 의해 유동된 공기가 통과하면서 상기 데시컨트에 수분이 흡착되는 제습 부재와;
    상기 제습 부재의 일면과 접촉되게 형성된 양전극부와; 상기 제습 부재 중 상기 양전극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제습 부재의 타면과 접촉되게 형성된 음전극부와; 상기 양전극부와 음전극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압 인가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습 부재의 수분을 정전 삼투로 저감시키는 정전 삼투 재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양전극부는 상기 제습 부재 중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면에 금속재로 코팅 형성되고,
    상기 음전극부는 상기 제습 부재 중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면에 금속재로 코팅 형성된 제습 유닛을 갖는 공기조화기.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를 조작하는 컨트롤 유닛과;
    상기 컨트롤 유닛의 조작에 따라 상기 송풍기와 전압 인가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20090022786A 2009-03-17 2009-03-17 제습 유닛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KR101515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2786A KR101515531B1 (ko) 2009-03-17 2009-03-17 제습 유닛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2786A KR101515531B1 (ko) 2009-03-17 2009-03-17 제습 유닛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4403A KR20100104403A (ko) 2010-09-29
KR101515531B1 true KR101515531B1 (ko) 2015-04-27

Family

ID=43008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2786A KR101515531B1 (ko) 2009-03-17 2009-03-17 제습 유닛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55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116968D0 (en) * 2011-10-03 2011-11-16 Univ Nottingham Dehumid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CN104296273A (zh) * 2014-10-28 2015-01-21 东南大学 一种高压电场辅助溶液除湿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6258A (ja) * 2001-12-27 2002-10-03 Mitsubishi Electric Corp 湿度調整装置
JP2004008858A (ja) * 2002-06-04 2004-01-15 Mitsubishi Electric Corp 湿度調整器
KR100598214B1 (ko) * 2004-02-24 2006-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시컨트를 이용한 가습 및 제습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6258A (ja) * 2001-12-27 2002-10-03 Mitsubishi Electric Corp 湿度調整装置
JP2004008858A (ja) * 2002-06-04 2004-01-15 Mitsubishi Electric Corp 湿度調整器
KR100598214B1 (ko) * 2004-02-24 2006-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시컨트를 이용한 가습 및 제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4403A (ko) 201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010216A (ja) 換気装置
JP2009085558A (ja) 空気清浄機
JP5068293B2 (ja) 空気調和装置
JP3786090B2 (ja) 空気調和機および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JP5700069B2 (ja) 調湿装置
JP5014378B2 (ja) 除湿乾燥機
KR101515530B1 (ko) 제습 유닛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JP2003314858A (ja) 空気調和装置
KR101515531B1 (ko) 제습 유닛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JP3567857B2 (ja) 加湿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JP2007101140A (ja) 空気調和機
JP5007098B2 (ja) 吸着体、調湿装置及び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4258930B2 (ja) 除加湿装置、除加湿機及び空気調和機
JP2002095732A (ja) イオン発生ユニット
JP2005265258A (ja) 可搬型除湿機
JP2010139190A (ja) 空調機の外気導入装置
JP2000126540A (ja) 除湿機
CN212431076U (zh) 空调器室内机
JP2008025923A (ja) 調湿装置および空気調和機
JP2001162128A (ja) 調湿機
CN113685903A (zh) 空调器室内机
JP2009024917A (ja) 吸着体装置、調湿装置及び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5289170B2 (ja) 除湿乾燥機
JP3099588B2 (ja) 除加湿装置
JP2006343038A (ja) 調湿装置及び空調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