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5055B1 - 유연한 보호 커버 - Google Patents

유연한 보호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5055B1
KR101515055B1 KR1020080056827A KR20080056827A KR101515055B1 KR 101515055 B1 KR101515055 B1 KR 101515055B1 KR 1020080056827 A KR1020080056827 A KR 1020080056827A KR 20080056827 A KR20080056827 A KR 20080056827A KR 101515055 B1 KR101515055 B1 KR 101515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one
type
sub
vehicle
flex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6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11403A (ko
Inventor
볼프강 슈타르크
Original Assignee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080111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1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5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5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007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moveable head-liners, screens, curtains or blinds for ceilings
    • B60J7/0015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moveable head-liners, screens, curtains or blinds for ceilings roller bli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6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elements
    • B60J1/2041Blind sheets, e.g. shape of sheets, reinforcements in sheets, materia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1/00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or parts of vehicles, e.g. parking covers
    • B60J11/04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or parts of vehicles, e.g. parking covers for covering at least the roof of the vehicle, e.g. for covering the whol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1. 차량용 보호판(20), 특히 차량 루프(10)용 보호판(20).
2.1. 본 발명은 차량용 보호판(20), 특히 차량 루프용 차양판(20)에 관한 것이다. 이 보호판(20)은 유연한 면 구조물(20)로써 차량 루프(10) 또는 적재 공간의 구역에 고정하기 위해 형성된다.
2.2. 본 발명에서 유연한 면 구조물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신장이 가능하게 형성된 제1 층 및 자외선 보호층으로서 형성된 그 위에 존재하는 제2 층을 포함한다. 그 대안으로써 유연한 면 구조물(20)이 적어도 하나의 주 구역(20a), 바람직하게는 더 낮은 탄성 및/또는 공기 투과성을 갖는 정확하게 하나의 주 구역(20a) 및 적어도 하나의 제1 유형의 부 구역(20b), 바람직하게는 주 구역(20a)보다 더 높은 탄성 및/또는 공기 투과성을 갖는 두 개의 제1 유형의 부 구역(20b)을 포함한다.
2.3. 부하로 인한 및 노화로 인한 보호판의 약화를 방지하기 위한 사용.
3. 도 1.
Figure R1020080056827
보호 커버, 보호판, 차양판

Description

유연한 보호 커버{Flexsible protective cover}
본 발명은 차량용 보호판, 특히 차량 루프용 차양판에 관한 것이다. 이 보호판은 유연한 면 구조물로써 차량 루프 또는 적재 공간의 구역에 고정하기 위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특히 차량 루프 또는 적재 공간용 보호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보호판 시스템은 이동 방향, 바람직하게는 차량 종방향에서 거의 평행하게 작동하는 두 개의 안내 장치 및 안내 장치에서 양측으로 안내되며 이동 방향에 대해 횡방향, 바람직하게는 차량 종방향에서 이동 가능한 보호판을 포함한다.
유연한 면 구조물로서 형성된 보호판은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런 면 구조물은 특히 차량 루프 구역에서 차양판으로서 사용되는데, 이런 차량 루프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열리도록 또는 투명하게 실시된다. 이러한 차량으로는 예를 들어 대형 파노라마 루프 탑재 차량, 타르가 루프(targa roof) 탑재 차량 및 슬라이딩 선루프 탑재 차량을 들 수 있다. 차양판으로서 형성된 이런 유형의 보호판은, 열린 차량 루프의 구역에서부터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열린 정체 상태 및 차량 루프를 덮은 작동 상태에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작동 상태에서는 차양판으로서 형성된 이런 유형의 차양판이 태양광의 입사를 차단한다. 예를 들어 타르가 루프가 탑재된 차량에서는 태양광 입사로 인한 편의성의 침해 없이 쾌적한 운전 상태가 보장된다. 또한 이러한 유형의 보호판은 특히 왜건 차량에서 차량 적재 공간의 구역에도 사용된다. 이 경우 보호판은 외부에서 차량 적재 공간을 볼 수 없게 차단하는 틴팅(tinting) 기능을 한다.
일반적으로 이런 유형에서는 보호판이 차량 실내에서 양측으로 고정되고 차량 종방향에서 밀릴 수 있도록 보호판의 안내가 이루어진다. 차양판에서는 보호판이 예를 들어 차량 루프의 구역에서 고정되고 차량 횡방향에서 승객 구역 위로 진행한다. 이러한 유형의 보호판에는 예를 들어 가장자리부와 같은 고정 수단이 제공된다. 이런 고정 수단은 안내 장치에서 안내된다.
이러한 유형의 보호판의 단점으로는 다음을 들 수 있다. 열기 및 냉기와 같은 외부 영향 및 주행풍에 의한 부하 및 기타 기계적 부하로 인하여 보호판에서 신장되고 팽창되는 경향이 나타나므로 보호판이 일정 기간 후에 심미성 및 기능성을 저해하는 방식으로 차량 실내 또는 차량 적재 공간으로 밀린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적어도 일측면에서 유연한 면 구조물이 고정되어 있는 안내 수단을 탄성으로 편향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유연한 면 구조물 전체가 차량 횡방향으로 당겨지도록 하는 것이 이미 제안되었다. 하지만 기술적 구현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며 작동성의 측면에서 만족스럽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유형의 보호판 및 이런 보호판을 구비한 보호판 시스템을 더욱 개선함으로써 종래 기술에서 알려진 단점을 방지 또는 억제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다음을 통해서도 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주 구역, 바람직하게는 더 낮은 탄성 및/또는 공기 투과성을 갖는 정확하게 하나의 주 구역 및 적어도 하나의 제1 유형의 부 구역, 바람직하게는 주 구역보다 더 높은 탄성 및/또는 공기 투과성을 갖는 두 개의 제1 유형의 부 구역을 포함하는 편직물로서 유연한 면 구조물이 형성된다.
탄성 구역의 사용을 통하여 뜨거운 열기 또는 기계적 부하와 같은 외부 영향 요인의 침해성 영향이 감소될 수 있다. 면 구조물은 부분적으로 탄성으로 팽창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주행풍과 같은 특이한 외부적 영향이 사라질 때 다시 그 본래 상태로 복구된다.
본 발명에 따른 형태로 인하여, 면 구조물의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주 구역을 특수한 재료로 제작할 필요 없이 바람직한 탄성이 달성될 수 있다. 이로써 차양 기능 및/또는 틴팅 기능에 이상적인 특성을 갖는 재료로 유연한 면 구조물의 주 구역을 제조하고 반면에 제1 유형의 부 구역에는 한 가지 재료만을 사용하며 그리고/또는 바람직한 탄성을 갖는 편직물의 사용이 가능하다. 차량의 루프 구역에서 상응하게 형성된 차양판의 경우에는 주 구역이 차량 탑승객의 시트 위치 위에 배치되는 반면 제1 유형의 적어도 하나의 부 구역은 하나의 스트립 형태 또는 복수의 스트립 형태로 그 측면에 연결되거나 또는 완전히 감춰지는 방식으로 차량 루프의 가장자리 구역에 제공되도록 바람직하게도 제1 유형의 부 구역 및 주 구역이 형성된다. 또한 주 구역 및 부 구역 또는 부 구역에서 공기 투과성을 다르게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로써 개방형 루프용 차양판의 경우에서, 고속 주행 시 차양판이 차량 방향으로 눌리거나 또는 차량에서부터 외측으로 당겨져서 신장된 오목한 또는 볼록한 형태로 되는 효과가 공기 투과성의 증가로 인해 억제된다. 하지만 증가된 공기 투과성은 증가된 공기 투과 및 이로써 저하된 차광 효과를 수반하므로, 부 구역에서 이런 증가된 공기 투과성을 제공하는 반면에 주 구역에서는 공기 투과성을 낮게 유지하며 주 구역에서 약화된 이런 공기 투과성을 차광 효과 개선에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직물로서의 형성은 면 구조물을 통일된 부품으로서 부재로서 디자인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복수의 면 부분을 서로 접합시킬 필요가 없다. 편직물의 복수의 구역은 편직물의 제조 시 서로 다른 메시 밀도(mesh density) 또는 서로 다른 재료로 제조된다. 이 편직물은 전체적으로 매우 우수하며 심미적 측면에서 바람직한 통일된 면 구조물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면 구조물은 차양판의 경우에 커버해야 하는 개구의 폭에 해당하는 차량 횡방향 폭을 갖는다. 슬라이딩 선루프의 커버링을 위한 차양판은 일반적으로 0.6 m 내지 1.20 m의 폭을 갖는 반면, 파노라마 루프의 커버링을 위한 차양판은 차종에 따라서 최대 2 m의 폭 또는 그 이상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적재 공간 커버에서는 면 구조물이 적재 공간을 덮을 수 있도록 폭을 선택해야 한다. 이는 유 연한 면 구조물 폭이 0.9 m 내지 2 m일 때 가능하다.
복수의 구역이 포함된 유연한 면 구조물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제1 유형의 부 구역 옆에 적어도 하나의 제2 유형의 부 구역,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제2 유형의 부 구역이 제1 유형의 부 구역보다 더 낮은 탄성 및/또는 공기 투과성으로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도 제2 유형의 이 부 구역은 재료 및 편직 특성과 관련하여 주 구역과 일치한다. 제2 유형의 부 구역은, 차량 루프 구역 또는 적재 공간의 구역에 고정하기에 적합하며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기밀성 재료로 유연한 면 구조물을 가장자리 구역에 형성하는 것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개선된 형태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주 구역 및 적어도 하나의 제1 유형의 부 구역 및 바람직하게는 제2 유형의 적어도 하나의 부 구역이 이동 방향, 바람직하게는 차량 종방향으로 진행하는 구역으로서 형성되며 이동 방향에 대해 횡방향, 바람직하게는 차량 횡방향에서 나란히 배치된다. 여기에서 이동 방향은, 보호판이 그 정체 상태에서 그 작동 상태로 동작할 수 있는 방향이다. 가장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이동 방향이 차량 종방향이다. 차양판으로서 형성된 보호판에서는 차양판이 바람직하게도 정체 상태에서 차량 루프의 후방 구역 또는 차량 루프 뒤에 배치되며 작동 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앞으로 당겨질 수 있다. 나란히 배치된 주 구역 및 부 구역이 포함된 형태로 인해 차양판의 경우에는 주 구역이 작동 상태에서 및 작동 상태로의 전환 시 탑승객의 좌석 위에 배치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한 방식으로 보장된다.
본 발명의 개선된 형태에서는 유연한 면 구조물이 세 개의 구역을 포함하는 데, 이 구역은 이동 방향, 바람직하게는 차량 횡방향에서 나란히 배치되며, 두 개의 외측 구역이 제1 유형의 부 구역이고 내측 구역이 주 구역이다. 차량 종방향에 해당하는 이동 방향에서는 부 구역이 좌측 및 우측에 제공된다. 주 구역은 그 사이의 중앙에 제공된다. 따라서 이러한 보호판이 그 정체 상태에서 그 작동 상태로 전환할 때 부 구역은 항상 좌측 및 우측 외측면에 존재한다. 이로 인해 차양판의 경우에는 제1 유형의 부 구역이 항상 차체 필라(vehicle pillar)의 구역에 존재하므로, 상황에 따라서는 이 부 구역을 통하여 증가된 양의 투과 태양광이 오직 매우 불리한 입사 방향에서 차량 탑승객에게 입사된다.
그에 대한 대안적 형태에서는 유연한 면 구조물이 다섯 개의 구역을 포함하는데, 이 구역은 이동 방향에 대해 횡방향, 바람직하게는 차량 횡방향에서 나란히 배치되며, 중앙 구역이 주 구역이고, 외측 구역이 제2 유형의 부 구역이며, 외측 구역과 중앙 구역 사이에 존재하는 구역이 제1 유형의 부 구역이다. 이러한 형태는, 유연한 면 구조물의 외측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제2 유형의 부 구역이 예를 들어 각각 가이드 레일에 삽입된 상태에서 차량에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허용한다. 내측에서 그에 접하는 제1 유형의 부 구역은 탄성 및/또는 공기 투과성을 구축하는 기능을 한다. 면 구조물의 상당 부분은 제1 유형의 부 구역 사이에 배치된 주 구역에 의해 형성된다. 이 형태는 세 개의 구역이 포함된 전술한 형태의 이점을 제공하며 추가적으로 유연한 면 구조물의 개선된 고정 가능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판의 유연한 면 구조물 또는 적어도 면 구조물의 탄성 하단 층은 바람직하게도 편직물 또는 면직물로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도 적어도 하나의 주 구역 및 적어도 하나의 제1 유형의 부 구역이 서로 다른 실 종류 또는 서로 다른 편직 구조, 특히 서로 다른 메시 밀도로 제조된다. 서로 다른 실 종류의 사용은, 간단한 방식으로 제1 유형의 부 구역 또는 제2 유형의 부 구역과 비교하여 상이한 주 구역 탄성을 형성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로써 주 구역에는 비탄성 실이 사용될 수 있으므로 이 구역에서 차광 및 투과성과 관련하여 일정하게 유지되는 특성이 달성된다. 이와 달리 제1 유형의 부 구역에서는 특히 탄성 특성을 갖는 다른 실의 사용이 가능하므로, 탄성은 오로지 또는 주로 부 구역을 통해 달성된다. 또한 동일한 실을 사용하는 경우에 서로 다른 편직 구조를 통하여 부 구역 및 주 구역에서 서로 다른 거동이 달성될 수 있다. 제1 유형의 부 구역에서 더 낮은 메시 밀도 및 이로써 더 큰 메시를 포함하는 편직 구조의 사용은 증가된 공기 투과성 및 증가된 탄성을 구축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는 탄성의 측면에서 더 큰 메시가 증가된 변형성을 갖는 것에서 기인하며, 예를 들어 열기 또는 냉기에 의한 주 구역의 변형으로 인해 작용하는 힘의 영향이 사라질 때 제1 유형의 부 구역의 메시가 그 신장되지 않은 형태로 복구되는 결과가 나타난다.
유연한 면 구조물이 적어도 제1 유형의 부 구역에서 내자외선성을 갖는 실로 제조되거나 또는 자외선 반사층을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종류의 형태는 탄성 구역이 지속적인 태양광 조사로 인해 그 탄성 특성을 상실하는 것을 억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특히 차량 루프 또는 적재 공간용 보호판 시스템에 관 한 것이다. 이 보호판 시스템은 이동 방향, 바람직하게는 차량 종방향에서 거의 평행하게 작동하는 두 개의 안내 장치 및 안내 장치에서 양측으로 안내되며 이동 방향, 바람직하게는 차량 종방향에서 이동 가능한 보호판을 포함하며, 보호판이 전술한 방식으로 형성된다.
또한 적어도 차양판 시스템의 작동 상태에서 면 구조물 위 및/또는 아래로 진행하는 강직성 커버 부분이 안내 장치의 구역에서 유연한 면 구조물의 위 및/또는 아래에 제공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런 종류의 커버 부분은 주 구역 및 부 구역이 포함된 보호판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며, 차양판의 경우에는 태양광이 부 구역, 특히 제1 유형의 부 구역을 통해 차량 탑승객 구역에까지 도달하는 것이 커버면을 통해 억제된다. 이로써 공기 투과성 및 탄성과 관련하여 최적화되도록 부 구역, 특히 제1 유형의 부 구역에서 유연한 면 구조물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때 태양광 입사에 대한 보호 효과와 관련하여 이 부 구역의 성능에 대해 고려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그 큰 메시로 인해 높은 공기 투과성 및 원하는 탄성을 제공하는 매우 큰 메시의 직물 재료를 제1 유형의 부 구역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커버면이 적어도 작동 상태에서 유연한 면 구조물의 부 구역 위로 진행하고 주 구역을 적어도 상당 부분 커버하지 않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보호판 시스템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이동 방향에 대해 횡방향, 특히 차량 횡방향으로 진행하는 롤러 샤프트가 부분적인 또는 완전한 정체 상태에서 보호판의 고정을 위하여 제공된다. 이로 인해 정체 상태에서 많은 공간이 필요치 않으므로, 예를 들어 차양판으로서 형성된 보호판이 편의성을 침해하지 않는 방식으로 그 정 체 위치에서 차량 실내의 원치 않는 그늘을 형성하거나 또는 뒷유리를 통한 가시성을 침해하지 않는 것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보호판은 태양광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오랜 사용 기간이 경과된 후에도 변형이 발생하지 않고, 차량 실내외의 통풍에도 유리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규정에 따라 설치된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차양판 시스템을 나타낸다. 차양판 시스템(14)은 차량의 루프 구역에 제공된다. 이 차량의 루프(10)는 거의 완전하게 루프(10)의 완전한 길이 및 완전한 폭을 차지하는 파노라마 창(12)을 포함한다. 이 파노라마 창(12)은 더 이상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 방식에 따라 투명한 유리판을 통해 커버되며, 이 유리판은 루프 구역에서 외측 차체와 일치하게 연결된다. 파노라마 창(12)에는 5개의 서로 분리된 구역(20a, 20b, 20c)을 포함하는 유연한 면 구조물(20)로서 제공되는 차양판(20)이 배치된다. 중앙의 주 구역(20a)은 총면적의 약 70 %를 차지한다. 차량 종방향(2)을 기준으로 양측 측면에 배치된 제1 유형의 부 구역(20b)이 각각 이 주 구역(20a)에 연결된다. 스트립 형태의 제2 유형의 부 구역(20c)이 다시 그에 연결된다.
구역(20a, 20b, 20c)을 포함하는 유연한 면 구조물(20)은 통일된 공정으로 제조 가능한 연속된 편직 구조를 포함한다. 따라서 각 부분마다 서로 다른 특성, 특히 서로 다른 탄성을 갖는 면 구조물(20)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이를 위해 각 부분을 별도로 제조하고 이어서 서로 결합할 필요가 없다. 연속적인 편직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특히 우수한 품질 및 심미적 외관이 보장된다.
차양판(20)은 파노라마 창(12)의 후단 단부에서 차량 뒷좌석 위에 존재하는 롤러 샤프트(30)에서 롤링이 가능하다. 차양판(20)의 거의 완전한 폭에 걸쳐 진행하며 그와 견고하게 결합된 형상 안정성 엔드 피스(end piece)(32)가 차양판(20)의 롤러 샤프트 대응측에 존재한다.
커버 부분(40)이 부 구역(20b, 20c) 위에 제공되는데, 도 1에 따른 도시에서는 단지 좌측의 커버 부분만 절개된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우측 커버 부분은 이해를 돕기 위해 표시하지 않았다.
커버 부분(40)은 차량에 고정되어 있으며 파노라마 창(12)에서 도시하지 않은 파노라마 유리판 아래에 제공된다. 커버 부분은 파노라마 창(12)의 전체 길이에 걸쳐 진행한다. 차량 횡방향에서 커버 부분이 부 구역(20b, 20c)을 완전하게 커버하지만 차양판(20)의 주 구역(20a)은 거의 커버하지 않도록, 커버 부분이 파노라마 창(12)의 외측 가장자리에서부터 차량 중앙 방향으로 진행한다.
도시한 차양판 시스템의 작동 방식은 아래에서 설명된다. 차양판(20)이 롤러 샤프트(30)에 완전히 감겨져 있는 완전한 정체 위치에서부터 차양판(20)의 전단 단부에 있는 형상 안정성 엔드 피스(32)에 의해 수동으로 또는 모터를 통해 차양판(20)이 차량 종방향에서 앞으로 당겨질 수 있으며, 이때 차양판(20)은 롤러 샤프트(30)에서 풀린다. 이때 차양판(20)은 제2 유형의 부 구역(20c)의 가장자리 구역에서 측방향으로 안내된다. 도 1에 도시한 작동 상태에서는 태양광이 항상 차양 판(20)의 주 구역(20a)에만 조사되며 광투과성의 부 구역(20b)에는 조사되지 않는 것이 작동 커버 부분(40)을 통해 보장된다.
제1 유형의 부 구역(20b) 및 차양판(20)의 주 구역(20a)은 그 직물 구조에서 차이를 나타낸다. 주 구역(20a)에서는 편직물이 조밀하고 비탄성인 반면, 제1 유형의 부 구역(20b)에서는 더 큰 메시의 편직물이 사용되며, 이런 편직물은 탄성 신장이 가능하고 높은 공기 투과성을 보장한다. 제2 유형의 부 구역(20c)은 그 직물 구조와 관련하여 주 구역(20c)에 맞게 디자인되어 있다. 편직물로서 면 구조물을 형성함으로써 매우 바람직한 방식으로 복수의 구역에서 서로 다른 구조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 유형의 부 구역(20b)에는 메시 밀도가 낮은 편직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부 구역(20b)에는 탄성 실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서로 다른 직물 특성을 갖는 다양한 구역을 구비한 차양판(20) 형태는, 장기간 사용한 후에도 차양판(20)이 중앙으로 수축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그 이유는 제1 유형의 부 구역(20c)의 탄성 신장성으로 인해 단기간의 인장 부하가 차양판(20)의 원치 않는 소성 변형을 야기시키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부 구역(20b)의 공기 투과성으로 인하여 고속 조건 하에서도 차량 실내와 주변 사이에서 원활한 공기 소통이 보장되므로, 차량의 파노라마 창이 열린 상태에서 지속적인 차압으로 인해 차양판이 차량 방향으로 눌리거나 또는 차량에서 밖으로 당겨지지 않는다. 커버 부분(40)과 차양판(20) 사이의 간격 및 큰 메시의 부 구역(20b)으로 인해 원활한 공기 투과성이 보장된다. 제2 유형의 부 구역(20c)으로 인해 가장자리 구역에서 차양판(20)의 안정적 안내 및 고정이 가능하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차양판 시스템의 부분 확대도를 나타낸다. 이 부분은 차량 루프의 좌측 뒷부분에 배치된 대칭적으로 형성된 차양판 시스템(14)의 일부분에 해당한다.
도면에서는 그 주 구역(20a)및 제1 유형의 부 구역(20b) 및 부 구역(20c)이 포함된 차양판(20)이 부분적으로 롤러 샤프트(30)에 감겨져 있음을 알 수 있다. 롤러 샤프트(30)에서 차양판(20)을 풀 때 제1 유형의 부 구역(20b)에 연결되는 제2 유형의 부 구역(20c)이 가이드 봉(50) 형태의 가이드 부재(50) 둘레에 지속적으로 접촉하며 이 가이드 봉(50)을 따라 계속 앞으로 안내된다. 또한 커버 부분(40)이 가이드 봉(50) 뿐 아니라 차양판(20)의 부 구역(20b, 20c)으로도 완전하게 신장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차량 실내와 주변 사이의 공기 소통을 보장하기 위해, 커버 부분(40)과 부 구역(20b) 사이에 일정한 간격이 제공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차양판 시스템의 대안적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써 차양판 시스템(14)의 좌측 뒷부분의 일부를 나타낸다. 도 2에 따른 실시 형태와 달리 이 대안적 실시 형태에서는 차양판(120) 및 커버 부분(140)의 안내를 위한 안내 장치가 하나의 부품으로 형성된다. 이 형태에서는 그루브 바닥에서 확장부(154)를 포함하는 위로 열린 그루브(152)가 외측에서 커버 부분(14)에 연결된다. 도 1 및 도 2에 따른 실시 형태와 달리 차양판(120)은 통일된 편직물로 형성되지만, 주 구역(120a) 외에 단지 제1 유형의 부 구역(120b)만 포함한다. 따라서 이 부 구역은 차양판(20)의 외측 가장자리도 형성한다. 이 부 구역(120b)의 영역에는 각각 하나의 팽윤부(122)가 제공되는데, 그 치수는 팽윤부가 확장부(154)에 삽 입되지만 그루브(152)의 상단 부분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결정된다. 롤러 샤프트(130)에서 차양판(120)을 풀 때,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 방식에 따라 팽윤부(122)가 차양판(120)의 양측에서 그루브(152)의 확장부(154) 및 차양판의 다른 측면에 있는 대응하는 그루브로 삽입되므로 차양판이 양측에서 안정적으로 안내된다.
도 1 및 도 2의 실시 형태와 달리 커버 부분(140)이 부 구역(120b)의 위에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부 구역(120b)의 아래에 제공된다. 또한 차양판(120)의 부 구역(120b)이 커버 부분(140) 바로 위에 놓이므로, 부 구역(120b)을 통한 공기 소통이 불가능하거나 또는 커버 부분(140)의 다른 형태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특징은 도면을 통해 개략적으로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하기 설명 및 청구항에 기술된다. 도면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판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의 루프 구역을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보호판 시스템의 부분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양판 시스템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한 부분도를 나타낸다.

Claims (15)

  1. 차량 루프(10) 또는 적재 공간을 위한 차량용 보호판 시스템(14)으로서, 상기 차량용 보호판 시스템은:
    차량 종방향(2)에서 평행한 2 개의 안내 장치(50); 및
    상기 안내 장치(50)에 의해 양측상에서 안내되고 차량 종방향(2)에서 이동 가능한 보호판;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판은 차량 루프 또는 적재 공간의 구역에서 고정되는 유연한 면 구조물(20)로서 형성되고,
    상기 유연한 면 구조물(20)은 편직물로서 형성되고,
    상기 유연한 면 구조물(20)은 적어도 하나의 주 구역(20a) 및, 제 1 유형의 적어도 하나의 부 구역(20b)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유형의 적어도 하나의 부 구역(20b)의 탄성 또는 공기 투과성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 구역(20a)의 탄성 또는 공기 투과성보다 높고,
    상기 안내 장치(50)의 구역에서 강직성 커버 부분(40)들이 유연한 면 구조물(20)의 위 또는 아래에 제공되어 유연한 면 구조물(20)의 위 또는 아래에 걸쳐 연장되고, 상기 강직성 커버 부분(40)은, 유연한 면 구조물(20)의 상기 제 1 유형의 적어도 하나의 부 구역(20b)에 걸쳐 연장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 구역(20a)을 덮지 않게 둠으로써,
    상기 유연한 면 구조물(20)을 통한 공기의 교환은 상기 강직성 커버 부분(40)과 상기 제 1 유형의 적어도 하나의 부 구역(20b)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호판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한 면 구조물(20)이 제1 유형의 부 구역(20b)에 비해 더 낮은 탄성 또는 공기 투과성의 적어도 하나의 제2 유형의 부 구역(20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호판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2 유형의 부 구역(20c)이 재료 및 편직 특성과 관련하여 주 구역(20a)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호판 시스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주 구역(20a), 적어도 하나의 제1 유형의 부 구역(20b)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유형의 부 구역(20c)이 차량 종방향(2)으로 진행하는 구역으로서 형성되며 차량 횡방향(4)에서 나란히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호판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연한 면 구조물(20)이 세 개의 구역(20a, 20b)을 포함하며, 이 구역이 차량 횡방향(4)에서 나란히 배치되며, 두 개의 외측 구역(20b)이 제1 유형의 부 구역(20b)이고, 내측 구역(20a)이 주 구역(20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호판 시스템.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유연한 면 구조물(20)이 다섯 개의 구역(20a, 20b, 20c)을 포함하며, 이 구역이 차량 횡방향(4)에서 나란히 배치되며, 중앙 구역(20a)이 주 구역(20a)이고, 외측 구역(20c)이 제2 유형의 부 구역(20c)이며, 외측 구역(20c)과 중앙 구역(20a) 사이에 존재하는 구역이 제1 유형의 부 구역(20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호판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연한 면 구조물(20)의 제1 층이 편직물 또는 면직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호판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주 구역(20a) 및 적어도 하나의 제1 유형의 부 구역(20b)이 서로 다른 실 종류 또는 서로 다른 메시 밀도를 가진 서로 다른 편직 구조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호판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연한 면 구조물(20)이 적어도 제1 유형의 부 구역(20b)에서 내자외선성을 갖는 실로 제조되거나 또는 자외선 반사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호판 시스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차량 횡방향(4)으로 진행하는 롤러 샤프트(30)가 부분적인 또는 완전한 정체 상태에서 유연한 면 구조물(20)의 고정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호판 시스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한 면 구조물(20)은 차량 종방향(2)으로 진행하는 구역으로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유형의 부 구역(20c)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유형의 부 구역(20c)은, 차량 종방향(2)으로 진행하는 구역으로서 형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 구역(20a)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유형의 부 구역(20b)과 함께 차량 횡방향(4)에서 나란히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호판 시스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한 면 구조물(20)은 차량 종방향(2)으로 진행하는 구역으로서 형성된 제 2 유형의 부 구역(20c)을 더 포함하고,
    하나의 주 구역(20a), 2 개의 제 1 유형의 부 구역(20b) 및 2 개의 제 2 유형의 부 구역(20c)이 차량 횡방향(4)에서 나란히 배치되며,
    중앙 구역(20a)이 주 구역(20a)이고, 외측 구역(20c)이 제2 유형의 부 구역(20c)이며, 외측 구역(20c)과 중앙 구역(20a) 사이에 존재하는 구역이 제1 유형의 부 구역(20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호판 시스템.
KR1020080056827A 2007-06-18 2008-06-17 유연한 보호 커버 KR1015150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29290.4 2007-06-18
DE102007029290A DE102007029290B4 (de) 2007-06-18 2007-06-18 Flexible Schutzabdeck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1403A KR20080111403A (ko) 2008-12-23
KR101515055B1 true KR101515055B1 (ko) 2015-04-24

Family

ID=39720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6827A KR101515055B1 (ko) 2007-06-18 2008-06-17 유연한 보호 커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757241B2 (ko)
EP (2) EP2006136B1 (ko)
JP (1) JP5563204B2 (ko)
KR (1) KR101515055B1 (ko)
CN (1) CN101327726B (ko)
DE (1) DE102007029290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30973A1 (de) * 2005-06-30 2007-01-11 Webasto Ag Rollo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06023370A1 (de) * 2006-05-16 2007-11-22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Rollo für Fensterscheiben von Kraftfahrzeugen
DE102007047758B4 (de) * 2007-09-28 2009-07-23 Bos Gmbh & Co. Kg Schutz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innenraum
JP5193372B2 (ja) * 2009-02-04 2013-05-08 イナルファ・ルーフ・システムズ・グループ・ベーフェー サンシェードアセンブリ
US20100326609A1 (en) * 2009-04-14 2010-12-30 Thomas James Sheridan Rainstopper - The Sunroof Shield
DE102010008766C5 (de) * 2010-02-22 2014-04-17 Webasto SE Rollo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0017960A1 (de) 2010-04-23 2011-10-27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Fensterrollo für ein vieleckförmiges Fenster einer Fahrzeugtür eines Kraftfahrzeugs
EP2383131A1 (de) * 2010-04-28 2011-11-02 Saint-Gobain Glass France Fahrzeugdach mit integriertem Rollo-Schiebedach
DE102012219523B4 (de) * 2012-10-25 2016-02-18 Bos Gmbh & Co. Kg Rollo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WO2015121255A1 (en) * 2014-02-12 2015-08-20 Assa Abloy Entrance Systems Ab Fast roll-up door comprising a curtain having resilient edges
DE102014106950A1 (de) * 2014-05-16 2015-11-19 Webasto SE Rolloanordnung mit Seitenführung
US11248416B2 (en) * 2016-01-13 2022-02-15 Cornellcookson, Llc Roll-up doors and method for securing same
DE102020131803A1 (de) * 2020-12-01 2022-06-02 Webasto SE Beschattungsanordnungen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eschattungsbahn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03165A1 (de) * 2005-06-30 2007-01-11 Webasto Ag Rollo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77980B1 (fr) * 1985-02-27 1987-04-30 Nergeco Sa Rideau souple etanche pour porte accordeon
US4649981A (en) * 1985-03-07 1987-03-17 Appropriate Technology Corporation Edge seal for fabric covers
DE3823780A1 (de) * 1988-07-14 1990-01-18 Goeppinger Kaliko Gmbh Sonnenrollo
US5201563A (en) * 1992-03-17 1993-04-13 Liao Chuen R Motor vehicle windshield curtain control
DE4402314C2 (de) * 1994-01-27 1996-04-04 Daimler Benz Ag Netz zur Abdeckung von Schiebedachöffnungen
NL9500121A (nl) * 1995-01-23 1995-11-01 Bruynzeel Plastics Bv Gaasweefsel.
DE10046553A1 (de) 2000-09-19 2002-04-04 Bos Gmbh Fensterrollo für gekrümmte oder nicht rechteckige Fahrzeugfenster
US6874845B2 (en) * 2002-08-29 2005-04-05 Webasto Vehicle Systems International Gmbh Shade tarp as sun shield
DE10323605B4 (de) * 2003-05-20 2007-03-01 Bos Gmbh & Co. Kg Schutzvorrichtung für einen Laderaum eines Kraftfahrzeuges
DE102004017023A1 (de) * 2004-04-02 2005-10-20 Reum Gmbh & Co Betriebs Kg Fensterrollo für Kraftfahrzeuge
DE102004036649A1 (de) * 2004-07-28 2006-03-23 Bos Gmbh & Co. Kg Fensterrollo mit unterschiedlicher Lichtdurchlässigkeit
DE102005040758B4 (de) * 2005-08-26 2010-09-23 Webasto Ag Rolloanordnung
DE102005050825B4 (de) 2005-10-24 2009-02-12 Lisa Dräxlmaier GmbH Flachbahn-Rolloabdeckung
CN2908218Y (zh) 2005-11-03 2007-06-06 崔奇 汽车太阳伞
CN2902783Y (zh) * 2005-12-30 2007-05-23 顺亿工业股份有限公司 汽车遮阳结构
US20070281158A1 (en) * 2006-05-15 2007-12-06 Glew Charles A UV and flame resistant textile polymer yar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03165A1 (de) * 2005-06-30 2007-01-11 Webasto Ag Rollo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7029290B4 (de) 2011-07-28
JP2008308166A (ja) 2008-12-25
EP2455245A2 (de) 2012-05-23
KR20080111403A (ko) 2008-12-23
EP2006136A2 (de) 2008-12-24
DE102007029290A1 (de) 2009-01-02
EP2006136A3 (de) 2009-10-28
CN101327726A (zh) 2008-12-24
EP2455245A3 (de) 2013-08-21
CN101327726B (zh) 2012-03-28
EP2006136B1 (de) 2012-06-06
JP5563204B2 (ja) 2014-07-30
US20090008048A1 (en) 2009-01-08
US8757241B2 (en) 2014-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5055B1 (ko) 유연한 보호 커버
US6513864B2 (en) Modular vehicle roof
US6520569B2 (en) Sunshade arrangement for a transparent motor vehicle part and motor vehicle roof with sunshade arrangement
EP1582386B1 (de) Fensterrollo für Kraftfahrzeuge
JP5029107B2 (ja) 車両ルーフ構造
US6874845B2 (en) Shade tarp as sun shield
US20090072574A1 (en) Sunshade device
JPH0372485B2 (ko)
KR102089933B1 (ko) 롤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개방 루프 구조체
KR102116841B1 (ko) 차량용 텐트
US20020092630A1 (en) Roller shade for a transparent vehicle roof section
US6893083B2 (en) Motor vehicle roof with a cover which can be moved to the rear over the roof skin
CN101138949B (zh) 用于篷式汽车的车篷
WO2005068236A2 (de) Fahrzeugdach mit einer rolloanordnung sowie himmelmodul für ein fahrzeugdach
CN217227263U (zh) 一种天窗遮阳帘装置
US7819461B2 (en) Convertible top with trim covered panels
EP1977922B1 (en) Cabriolet soft top
KR101052194B1 (ko) 연결 띠를 갖는 입체커튼지
JPS63263133A (ja) 巻取り式遮光装置
EP0677409A1 (en) Sun roofs for vehicles
JPH09175185A (ja) 車両用サンルーフ装置
CN220180527U (zh) 一种多功能卷帘及车辆
CN212172217U (zh) 一种轨道交通车辆天窗集成式采光装置
KR100747030B1 (ko) 차량용 선루프 개폐장치
JP2005219627A (ja) 自動車のサンバイ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