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4200B1 - 신축장치 - Google Patents

신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4200B1
KR101514200B1 KR1020147006978A KR20147006978A KR101514200B1 KR 101514200 B1 KR101514200 B1 KR 101514200B1 KR 1020147006978 A KR1020147006978 A KR 1020147006978A KR 20147006978 A KR20147006978 A KR 20147006978A KR 101514200 B1 KR101514200 B1 KR 101514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portion
movable leg
coupling pipe
coupling
length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6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9069A (ko
Inventor
가즈오 히가시
Original Assignee
가즈오 히가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즈오 히가시 filed Critical 가즈오 히가시
Publication of KR20140049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90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4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4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6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telescoping, with or without fold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2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balancing device, e.g. by springs, by we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0Telescoping systems
    • F16B7/14Telescoping systems locking in intermediate non-discrete pos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6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telescoping, with or without folding
    • F16M11/32Undercarriages for supports with three or more telescoping legs

Abstract

다리부의 길이의 미세조정이 용이하며, 길이조정부재에 있어서 다리부의 지름방향으로 긴 스트로크를 확보하지 않더라도, 결합부를 확실하게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한 신축장치를 제공한다. 신축장치(1a)는, 상단에 받침대(2)를 구비하는 원통상의 고정다리부(3)와, 고정다리부(3)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내부로부터 삽입하는 원통상의 가동다리부(4)와, 상단(5a)이 계단모양으로 형성되어 고정다리부(3)내에 가동다리부(4)와 동축으로 또한 가동다리부(4)의 원통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결합관(5)과, 가동다리부(4) 및 고정다리부(3)의 내부에 설치되는 가압스프링(10)과, 그 내부에 수용되는 인장스프링(11)과, 상단(13a)이 받침대(2)에 고정되어 결합관(5)내에 설치되는 가이드관(13)과, 결합관(5)의 하단(5b)에 끼워서 설치되는 결합부(14)와, 가이드관(13)의 하단(13b)과 결합관(5) 사이에 설치되는 스페이서(15)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신축장치{EXTENSION/RETRACTION DEVICE}
본 발명은 카메라의 삼각대 등에 사용되는 신축장치(伸縮裝置)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단계(無段階)로 길이를 조절하여 그 길이를 용이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신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메라의 삼각대나 접사다리(stepladder) 등에서는 다리부의 길이를 자유자재로 조절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테이블이나 의자 등의 가구에서도 다리부의 길이를 조절가능한 것이 있다. 다리부의 길이를 가변(可變)하도록 하는 것(이하, 신축장치라고 한다.)으로서는, 예를 들면 상부(上部)측의 고정다리에 대하여 하부(下部)측의 가동다리를 길이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내부로부터 삽입 혹은 외부로부터 삽입하여, 나비나사(thumbscrew) 등을 사용해서 가동다리의 위치를 고정하는 구조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서는 나비 나사의 조작에 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다리부의 길이의 조절을 단시간에 할 수 없다는 과제가 있었다. 거기에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최근에 다리부의 길이를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간편한 구조가 요구되고 있으며, 그것에 대하여 이미 몇 가지의 발명이나 고안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는 「측량기용 삼각대」라는 명칭으로, 다리의 두부(頭部)에 상부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고정다리에 대하여 가동다리가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고, 고정다리에 대하여 가동다리를 원하는 상대위치에서 고정, 지하는 것이 가능한 삼각대에 관한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1에 개시된 발명은 가동다리를 고정지지하는 장치로서, 가동다리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결합부재(結合部材)와, 가동다리와 일체적으로 이동가능하며 결합부재에 마찰결합하는 제1상태(第1狀態)와, 결합부재로부터 이간(離間)된 제2상태 사이에서 변위가능하게 설치되는 변위부재(變位部材)와, 이 변위부재를 가압해서 제1상태로 하는 가압부재(加壓部材)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변위부재가 가압부재에 의하여 가압되어서 결합부재에 마찰결합함으로써 가동다리의 슬라이드 이동이 제한된다는 작용을 구비한다. 또한 가압부재에 의한 가압력에 저항해서 변위부재를 결합부재로부터 이간시킴으로써 가동다리의 슬라이드 이동이 허용된다는 작용을 구비한다. 따라서 다리부의 신축조절을 간편하게 하여 삼각대의 높이를 용이하게 미세조정할 수 있다.
또한 특허문헌2에는 「신축장치」라는 명칭으로, 다리부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음과 아울러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한 삼각대 등에 사용되는 다리부의 신축구조에 관한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2에 개시된 발명은, 일부(一部)에 윈도우부를 구비하는 내부가 비어 있는 통으로서, 일단(一端)이 개구(開口)하는 다리부와, 이 다리부의 개구단에 선단부(先端部)가 내부로부터 삽입되어 그 내부에서 슬라이드 가능한 신축다리부와, 다리부의 내부에 수용되어 신축다리부의 선단부로부터 신축다리부와 직렬로 배치되는 나선상(螺旋狀)의 길이조정부재와, 다리부의 내부에 수용되어 신축다리부의 선단부로부터 설치되어서 길이조정부재의 내측 또는 외측에 배치되는 신축부재(伸縮部材)와, 다리부에 형성된 윈도우부에 있어서 적어도 길이조정부재를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신축다리부를 슬라이드하여 다리부의 내부에 삽입하면, 이것에 연동하여 길이조정부재가 슬라이드하고, 신축부재는 압축된다. 그리고 원하는 길이까지 신축다리부를 슬라이드시킨 시점(時點)에서 다리부의 윈도우부로부터 결합부재를 삽입하면, 윈도우부에 위치하는 길이조정부재의 간극(間隙)을 결합부재가 파고들어, 길이조정부재, 신축다리부 및 신축부재의 이동이 억제된다. 한편 길이조정부재의 간극으로부터 결합부재를 빼어내면, 압축하고 있었던 신축부재의 가압력에 의하여 신축다리부는 자동적으로 신장한다. 또한 길이조정부재로서 나선상으로 형성된 인장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에 의하면, 파고들기 가능한 결합부재의 간극이 무단계로 다수존재하기 때문에 길이조정을 자유자재로 할 수 있다. 또한 길이조정부재의 내측 혹은 외측에 신축부재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장치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허문헌1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0-286286호 공보 특허문헌2 : 일본국 특허 제4545778호 공보
그러나 상기의 종래기술인 특허문헌1에 개시된 발명에 있어서는, 변위부재와 결합부재의 결합상태가 양자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존하기 때문에, 고정다리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것과 같은 강한 힘이 가동다리에 가해진 경우에는, 상기 결합상태가 용이하게 해제될 우려가 있었다. 즉 이 삼각대로는 중량물(重量物)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없기 때문에 용도가 제한된다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2에 개시된 발명에 있어서는, 결합부재가 다리부의 외주부상에 외측으로 튀어나온 돌출부를 구비하는 형상이 되어버리기 때문에, 사용자의 몸 등에 접촉되는 등 사용할 때에 지장이 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길이조정부재안에 결합부재가 깊게 삽입되도록 길이조정부재에 있어서 지름방향으로 긴 스트로크를 확보할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사정에 대처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다리부의 길이의 미세조정이 용이하며, 길이조정부재에 있어서 다리부의 지름방향으로 긴 스트로크를 확보하지 않더라도, 결합부를 확실하게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한 신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1에 기재된 발명은, 원통상의 가동다리부와, 이 가동다리부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는 나선상의 길이조정부재와, 이 길이조정부재에 결합가능하게 형성되는 결합부와, 이 결합부가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설치됨과 아울러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가동다리부에 내부로부터 삽입되는 결합관과, 가동다리부내에 있어서 길이조정부재와 병렬로 설치되어 이 결합관을 가동다리부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신축부재를 구비하고, 결합관은 가동다리부의 원통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길이조정부재는 일단이 가동다리부에 고정됨과 아울러 타단이 결합관내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결합부는 가동다리부와 결합관과의 상대적인 회전에 연동하여 길이조정부재의 간극에 대하여 회전하면서 파고들고, 또는 간극으로부터 회전하면서 빼어내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의 신축장치에 있어서는 결합관을 가동다리부에 압입하면, 신축부재는 압축되어 길이조정부재가 결합관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는 작용을 구비한다. 또한 가동다리부를 결합관에 대하여 회전시킨다는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결합부가 길이조정부재와 결합해서 가동다리부의 결합관에 대한 길이방향의 위치가 고정된다. 또한 길이조정부재의 나선부분의 간격마다 결합부를 결합시킴으로써, 고정다리부에 대한 가동다리부의 길이방향의 위치가 짧은 간격으로 설정된다는 작용을 구비한다. 그리고 결합부를 길이조정부재에 결합할 때에 결합부가 신축부재와 간섭할 우려가 없다. 부가하여 길이조정부재를 신축부재와 직렬로 설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가동다리부를 고정다리부에 대하여 슬라이드시켰을 때에 신축부재의 전체길이가 변동하는 폭이 좁다는 작용을 구비한다.
또한 청구항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1에 기재된 신축장치에 있어서 신축부재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관이 수용됨과 아울러,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가동다리부에 내부로부터 삽입되는 고정다리부와, 이 고정다리부를 가동다리부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고 또한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고, 결합관은 이 고정다리부에 의하여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의 신축장치에 있어서는, 신축부재 및 결합관에 있어서 가동다리부로부터 돌출된 부분이 고정다리부에 의하여 덮어진다는 작용을 구비한다.
청구항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1에 기재된 신축장치에 있어서 길이조정부재는 일단이 가동다리부에 고정됨과 아울러 결합관내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대신에, 결합관의 외측의 가동다리부의 외측면에 양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설치되고, 가동다리부는 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결합부가 돌출하여 길이조정부재에 대하여 결합가능하게 원통축을 따라 윈도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의 신축장치에 있어서는 청구항1에 기재된 발명의 작용을 구비하는 것에 더하여, 길이조정부재가 가동다리부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결합부와 길이조정부재의 결합상태의 확인이 용이하다.
청구항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3에 기재된 신축장치에 있어서 가동다리부의 단부중에서 결합관이 내부로부터 삽입되지 않은 측에 원통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연결부와, 이 연결부와 결합관을 회전 불가능하고 또한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의 신축장치에 있어서는 청구항3에 기재된 발명의 작용을 구비하는 것에 더하여, 가동다리를 회전시킬 때에 연결부와 결합관은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일이 없다는 작용을 구비한다.
청구항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3 또는 청구항4에 기재된 신축장치에 있어서 결합관은 결합부가 설치되는 대신에 측면에 길이조정부재가 수용되는 오목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길이조정부재는 가동다리부에 설치되는 대신에 가동다리부의 내측면과 접촉하지 않도록 오목홈 내에 설치되고, 가동다리부는 윈도우부가 형성되는 대신에 결합관과의 상대적인 회전에 따라 길이조정부재에 대하여 결합가능하게 내측면에 결합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의 신축장치에 있어서는 청구항3 또는 청구항4에 기재된 발명의 작용을 구비하는 것에 더하여, 가동다리부의 외측면에 결합부나 길이조정부재의 설치에 따르는 돌출부분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작용을 구비한다. 또한 가동다리부를 결합부로부터 떼어냄으로써 길이조정부재가 용이하게 시인(視認)된다는 작용을 구비한다.
청구항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1 내지 청구항5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신축장치에 있어서 나선상의 길이조정부재를 대신하여, 환상으로 적층된 길이조정부재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의 신축장치에 있어서는 청구항1 내지 청구항5에 기재된 발명의 작용에 더하여, 환상으로 적층된 길이조정부재는 환상체 상호간의 간극에 결합부를 결합가능하다는 작용을 구비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청구항1에 기재된 신축장치에 있어서는, 그 전체길이를 원하는 길이로 조절할 수 있다. 그때에 길이의 미세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결합관을 회전함으로써 결합관의 지름방향으로 긴 스트로크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결합부를 길이조정부재에 확실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신축시킬 때에 요하는 힘이 크게 변동하지 않기 때문에 취급하기 쉽다.
본 발명의 청구항2에 기재된 신축장치에 있어서는 청구항1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신축부재가 노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신축부재에 손이 끼이는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결합관에 접촉되어 버려 결합부와 길이조정부재의 결합상태가 잘못해서 해제되어 버리는 등의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3에 기재된 신축장치에 있어서는 청구항1에 기재된 효과에 더하여, 결합부나 길이조정부재의 점검이나 수리 등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가동다리부의 지름을 가늘게 하여 장치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청구항4에 기재된 신축장치에 의하면 청구항3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에 더하여, 예를 들면 연결부를 다른 장치 등에 연결함과 아울러 결합관을 접지하였을 경우에 가동다리부만을 독립적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신축장치의 길이를 고정하는 조작을 안전하고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5에 기재된 신축장치에 있어서는 청구항3 또는 청구항4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외관이 깔끔하며 의장적으로 우수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길이조정부재의 점검이나 수리 등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6에 기재된 신축장치에 있어서는 청구항1 내지 제5항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에 더하여, 환상으로 적층된 길이조정부재는 나선상의 길이조정부재와 마찬가지로 결합부에 의하여 결합되는 부분이 복수 존재하기 때문에, 신축장치의 길이의 미세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도1] (a) 및 (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신축장치의 실시예1의 외관을 나타낸 정면도 및 평면도이며, (c)는 도1(a)의 A-A선 화살방향에서 본 단면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2] 도1(a)의 종단면도이다.
[도3] (a) 및 (b)는 도2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4] (a) 및 (b)는 각각 도1(a)의 B1-B1선 화살방향에서 본 단면 및 B2-B2선 화살방향에서 본 단면의 확대도이다.
[도5] (a) 및 (b)는 도4(b)의 일부를 생략한 도면이다.
[도6]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신축장치의 실시예2의 외관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b)는 도6(a)에 있어서 인장스프링의 커버를 벗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c)는 도6(b)의 측면도이다.
[도7] (a) 및 (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신축장치의 실시예2를 구성하는 가동다리부 및 결합관의 외관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8] (a) 내지 (d)은 각각 결합부의 외관 사시도, 평면도,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9] (a) 및 (b)는 결합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10] (a) 및 (b)는 도7(a)에 있어서 결합부 및 스토퍼 보조구의 근방을 부분적으로 확대한 도면이다.
[도11] (a)는 연결부, 수용구, 가이드관 및 결합관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며, (b) 및 (c)는 도11(a)의 부품이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2] (a)는 연결부, 수용구, 가이드관 및 가동다리부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며, (b)는 도12(a)의 수용구 근방을 부분적으로 확대한 도면이며, (c)는 가동다리부와 결합관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13] (a)는 결합관과 신축다리부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며, (b)는 도13(a)의 결합관의 조절부의 근방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14] 도6(a)에 나타나 있는 신축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15] (a) 및 (b)는 도6(b)의 E-E선 화살방향에서 본 단면의 확대도이다.
[도16]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신축장치의 실시예3의 외관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b) 및 (c)는 각각 가동다리부 및 결합관의 외관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17] (a) 및 (b)는 도16(a)의 H-H선 화살방향에서 본 단면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신축장치(伸縮裝置)는 카메라의 삼각대나 접사다리, 혹은 사다리나 의자 등의 다리부로서 사용되는 것이다. 이하, 그 상세한 구조에 대해서 도1 내지 도17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1]
본 실시예의 신축장치에 대해서 도1 내지 도5를 사용하여 설명한다(특히 청구항1 또는 청구항2에 대응). 도1(a) 및 도1(b)는 각각 본 실시예의 신축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정면도 및 평면도이며, 도1(c)는 도1(a)의 A-A선 화살방향에서 본 단면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1(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신축장치(1a)는, 각종 기재(機材) 등이 설치되는 받침대(臺座)(2)가 상단(上端)에 부착된 원통상(圓筒狀)의 고정다리부(3)와, 이 고정다리부(3)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내부로부터 삽입하는 원통상의 가동다리부(4)와, 상단(5a)이 계단모양으로 형성되어 고정다리부(3)의 내부에 가동다리부(4)와 동축(同軸)으로 설치되는 결합관(結合管)(5)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결합관(5)은, 가동다리부(4)의 원통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그 상단이 받침대(2)에 부착되어 있다. 즉 결합관(5)은, 받침대(2)를 통하여 고정다리부(3)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그 상단을 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상단 근방의 외주면에 조작레버(操作lever)(6)가 세워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받침대(2)와 고정다리부(3)의 측면에는 조작레버(6)를 돌출시키기 위한 개구부(2a, 3a)(도2 참조)가 그 가동범위에 대응하도록 각각 둘레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 도1(b)에 화살표(C1)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조작레버(6)를 회전시키면, 결합관(5)은 화살표(C2)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회전한다.
가동다리부(4)는, 상단에 환상(環狀)의 파지부(把持部)(9)가 부착되고, 하단(下端)에 마개(7)가 끼워져 설치되어 있다. 또 파지부(9)의 외주면에는 미끄럼 방지용의 홈(groove)이 요철모양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동다리부(4)의 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가이드 구멍(4a)이 장공모양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도1(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원기둥모양의 돌출부(突出部)(8)가 상부(上部)를 가이드 구멍(4a)으로부터 노출시킨 상태에서 고정다리부(3)의 측면에 고정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 가동다리부(4)를 화살표(X)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시키면, 돌출부(8)가 가이드 구멍(4a)에 의하여 안내되면서 고정다리부(3)가 가동다리부(4)의 내부에 삽입된다. 즉 고정다리부(3)에 대하여 가동다리부(4)를 슬라이드 시키는 경우에, 가이드 구멍(4a) 및 돌출부(8)가 고정다리부(3)와 가동다리부(4)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을 제한하는 가이드 부재(guide 部材)로서 기능한다.
도2는 신축장치(1a)의 신축기구(伸縮機構)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從斷面圖)이며, 도3(a) 및 도3(b)는 신축장치(1a)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또한 도4(a) 및 도4(b)는 각각 도1(a)의 B1-B1선 화살방향에서 본 단면 및 B2-B2선 화살방향에서 본 단면의 확대도(擴大圖)이다. 도5(a) 및 5(b)는, 결합부가 인장스프링(引張spring)(11)에 결합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4(b)의 일부를 생략한 도면에 상당한다. 또 도2에서는 인장스프링(11)과 심재(芯材)(12) 이외의 구성요소를 단면표시로 하고, 도2 및 도3(b)에서는 가압스프링(加壓spring)(10)에 대해서 단면을 나타내는 해칭(hatching)을 생략하고 있다. 또한 도1(a)에 나타낸 B1-B1선 및 B2-B2선에 있어서 결합관(5)에 대한 축방향의 위치가 명확하게 되도록, 이들의 선을 도2에도 도면에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3(b)에서는 인장스프링(11)을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하고 있다. 또한 도2 내지 도4에 있어서 도1에 나타낸 구성요소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2 내지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가동다리부(4) 및 고정다리부(3)의 내부에는 가압스프링(10)이 설치되어 있으며, 가압스프링(10)의 내부에는 인장스프링(11)이 수용되어 있다. 또 본원의 명세서에 있어서 「가압스프링」이란, 보통때에 간극(間隙)을 구비하는 나선상(螺旋狀)의 탄성부재(彈性部材)로서, 나선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전체길이를 단축시킨 경우에 반발력을 발휘하는 것을 말하고, 「인장스프링」이란, 보통때에 간극을 거의 구비하지 않는 나선상의 탄성부재로서, 나선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전체길이를 연장시킨 경우에 반발력을 발휘하는 것을 말한다. 다만 이러한 「인장스프링」의 반발력은 반드시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본 실시예의 신축장치(1a)에서는 「인장스프링」 대신에 탄성력을 구비하지 않는 동일한 형상의 부재(나선상 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인장스프링(11)의 내부에는 상단(12a)이 계단모양으로 형성되고, 하단(12b)이 마개(7)에 고정된 반원기둥모양의 심재(1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가압스프링(10)의 상단(10a)은 결합관(5)의 상단(5a)과 접촉하고, 가압스프링(10)의 하단(10b)은 마개(7)에 고정되어 있다. 즉 가압스프링(10)은 결합관(5)을 가동다리부(4)로부터 이반(離反)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신축부재(伸縮部材)로서 기능한다.
또한 인장스프링(11)은 상단(11a) 및 하단(1lb)이 각각 심재(12)의 상단(12a) 및 마개(7)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결합관(5)의 내부에는 상단(13a)이 받침대(2)에 고정되는 가이드관(guide管)(13)이 설치되어 있고, 인장스프링(11) 및 심재(12)는 상단(11a, 12a)이 가이드관(13)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결합관(5)의 하단(5b)에는 결합부(14)가 끼워져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관(13)의 하단(13b)과 결합관(5) 사이에는, 스페이서(spacer)(15)가 설치되어 있다. 또 결합관(5)의 회전을 방해하는 일이 없도록, 스페이서(15)는 내주면(內周面)(15a)만이 가이드관(13)에 고정되어 있다(도4(a) 참조). 그리고 도3(a) 및 도4(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결합부(14)의 단부(端部)에는 평면에서 볼 때에 초생달 모양의 스토퍼(stopper)(14a)가 부착되어 있다.
도5(a)에 나타낸 상태에서 조작레버(6)를 조작해서 결합관(5)을 화살표(D1)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5(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스토퍼(14a)가 결합관(5)과 함께 회전하고, 인장스프링(11)의 나선의 간극에 압입(壓入)된다. 이에 따라 인장스프링(11)의 이동이 제지된다. 여기에서 인장스프링(11)은 하단(1lb)이 마개(7)를 통하여 가동다리부(4)에 접속되고, 결합관(5)은 받침대(2)를 통하여 고정다리부(3)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다리부(3)에 대한 가동다리부(4)의 길이방향의 위치가 고정된다. 이때에 인장스프링(11)이 길이조정부재로서 기능한다. 즉 신축장치(1a)에 있어서는, 결합관(5)을 회전시켜 길이조정부재인 인장스프링(11)에 결합부(14)를 결합함으로써 그 길이가 결정된다는 작용을 구비한다.
또 도5(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조작레버(6)를 조작해서 결합관(5)을 화살표(D2)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5(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결합부(14)가 결합관(5)과 함께 회전하고, 스토퍼(14a)가 인장스프링(11)의 나선상의 간극으로부터 빠져나오기 때문에, 인장스프링(11)에 대한 결합부(14)의 결합상태가 해제된다. 그 결과로 신축장치(1a)는 신축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구조의 신축장치(1a)에 있어서는 고정다리부(3)를 가동다리부에 압입하면, 가압스프링(10)이 압축되어 인장스프링(11)이 결합관(5)내에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한다는 작용을 구비한다. 또한 인장스프링(11)의 나선부분의 간격마다 결합부(14)를 결합시킴으로써, 고정다리부(3)에 대한 가동다리부(4)의 길이방향의 위치가 짧은 간격으로 설정된다는 작용을 구비한다.
또한 인장스프링(11)과 결합부(14)가 가압스프링(10)에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결합부(14)를 인장스프링(11)에 결합할 때에 결합부(14)가 가압스프링(10)과 간섭할 우려가 없다. 또한 인장스프링(11)을 가압스프링(10)과 직렬로 설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가동다리부(4)를 고정다리부(3)에 대하여 슬라이드 시켰을 때에 가압스프링(10)의 전체길이가 변동하는 폭이 좁다는 작용을 구비한다.
또 인장스프링(11)의 지름방향으로 결합 칼날(신축장치(1a)에 있어서의 스토퍼(14a)에 상당하는 것)을 슬라이드 시키는 것과 같은 구조에서는, 결합 칼날의 스트로크를 짧게 하려고 하면, 결합 칼날과 인장스프링(11)의 소선(素線)과의 접촉면적이 작아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인장스프링(11)의 지름을 굵게 하지 않을 수 없다. 이에 대하여 신축장치(1a)에서는, 스토퍼(14a)가 회전하면서 인장스프링(11)의 나선상의 간극을 파고드는 구조이며, 인장스프링(11)의 지름방향으로 스토퍼(14a)의 스트로크를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결합관(5)의 지름을 가늘게 할 수 있다. 또한 인장스프링(11)의 지름이 가는 경우에도 스토퍼(14a)와 인장스프링(11)에 있어서 소선과의 접촉면적이 충분하게 확보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신축장치(1a)에 의하면, 그 전체길이를 원하는 길이로 조절할 수 있다. 그때에 길이의 미세조정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조작레버(6)를 조작해서 결합관(5)을 회전시킨다는 간단한 조작으로 결합부(14)를 인장스프링(11)에 대하여 확실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 결합관(5)의 지름방향으로 긴 스트로크를 형성할 필요는 없다.
또한 전체길이를 신축시킬 때에 필요로 하는 힘이 크게 변동하지 않기 때문에 취급하기 쉽다. 부가하여 가압스프링(10)이나 결합관(5)이 고정다리부(3)와 가동다리부(4)에 의하여 완전하게 덮어져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가압스프링(10)에 손이 끼이거나, 사용자가 결합관(5)에 접촉되어 버려, 결합부(14)와 인장스프링(11)의 결합상태가 잘못해서 해제되어 버리는 등의 사고를 회피할 수 있다.
부가하여 결합관(5)이나 인장스프링(11)의 지름을 가늘게 하여 장치 전체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실시예2]
다음에 본 실시예의 신축장치에 대해서 도6 내지 도14를 사용하여 설명한다(특히 청구항3 및 청구항4에 대응). 도6(a)는 본 실시예의 신축장치(1b)의 외관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6(b)는 도6(a)에 있어서 인장스프링(11)의 커버(20)를 벗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6(c)는 도6(b)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7(a) 및 도7(b)는 각각 가동다리부(18) 및 결합관(19)의 외관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8(a) 내지 도8(d)는 각각 결합부(24)의 외관 사시도, 평면도,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9(a) 및 도9(b)는 결합부(24)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10(a) 및 도10(b)는 도7(a)에 있어서 결합부(24) 및 스토퍼 보조구(stopper 補助具)(26)의 근방을 부분적으로 확대한 도면이다. 또 도10에서는 결합관(18)이 도면에 나타나는 것을 생략하고 있다.
도11(a)는 연결부(連結部)(16), 수용구(受容具)(17), 지지체(支持體)(27a), 가이드관(27b) 및 결합관(19)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며, 도11(b) 및 도11(c)는 도11(a)의 부품이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12(a)는 연결부(16), 수용구(17), 지지체(27a), 가이드관(27b) 및 가동다리부(18)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며, 도12(b)는 도12(a)의 수용구(17)의 근방을 부분적으로 확대한 도면이며, 도12(c)는 가동다리부(18)와 결합관(19)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또한 도13(a)는 결합관(19)과 신축다리부(21)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며, 도13(b)는 도13(a)의 결합관(19)의 조절구(調節具)(22b)의 근방을 확대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14는 도6(a)에 나타낸 신축장치(1b)의 종단면도이며, 도15(a) 및 도15(b)는 도6(b)의 E-E선 화살방향에서 본 단면의 확대도이다. 또 도15에서는 스토퍼 보조구(26) 및 원기둥(26b)이 도면에 나타나는 것을 생략하고 있다. 도1 내지 도5에 나타낸 구성요소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6 및 도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신축장치(1b)는, 다른 장치나 부재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16)와, 연결부(16)가 장착되는 수용구(17)와, 연결부(16)에 수용구(17)를 통하여 상단이 회전가능하도록 접속되는 원통상의 가동다리부(18)와, 가동다리부(18)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내부로부터 삽입되는 결합관(19)과, 가동다리부(18)의 측면에 그 원통축에 대하여 평행하게 설치되는 인장스프링(11)과, 인장스프링(11)을 덮도록 설치되는 커버(20)와, 결합관(19)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내부로부터 삽입되는 신축다리부(2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가동다리부(18) 및 결합관(19)의 하단에는 각각 환상의 파지부(22a) 및 조절구(22b)가 부착되어 있으며, 가동다리부(18)의 상단 및 신축다리부(21)의 하단에는 각각 마개(23a, 23b)가 끼워져 설치되어 있다. 또한 결합관(19)의 상단 근방의 측면에는 결합부(24)가 고정되어 설치되고, 인장스프링(11)에는 스토퍼 보조구(26)가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외부로부터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다리부(18)의 측면에는, 결합부(24)가 돌출하여 인장스프링(11)에 대하여 결합가능하게 원통축을 따라 윈도우부(18a)가 형성되어 있다.
도8(a) 내지 도8(d)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부착판(25)에 세워서 설치되는 결합부(24)는 평면에서 볼 때에 대략 사다리꼴을 하고, 대략 중앙에 볼록부(24a)가 형성되고, 칼날부(24c)가 첨예(尖銳)한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볼록부(24a)의 테두리는 인장스프링(11)의 소선(11c)을 결합가능하게 원호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결합부(24)가 인장스프링(11)에 접근하여 칼날부(24c)가 인장스프링(11)의 나선의 간극에 파고들었을 경우에, 인장스프링(11)의 소선(11c)은 볼록부(24a)에 결합된다(도8(c) 참조). 또한 결합관(19)과의 접합부(24b)는 결합관(19)의 측면과 동일한 곡률(曲率)을 구비하는 원호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부착판(25)의 측면(25a)은 결합부(24)의 접합부(24b)와 함께 결합관(19)의 측면에 접합된다. 이에 따라 결합관(19)에 대한 결합부(24)의 접합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 결합부(24)에는 볼록부(24a)를 형성하는 대신에, 도9(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반경(半徑)이 인장스프링(11)과 대략 동일한 원호모양의 오목부(24e)를 형성해도 좋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도9(a)에 나타낸 상태에서 결합부(24)가 인장스프링(11)에 접근하고, 도9(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칼날부(24c)가 인장스프링(11)의 나선의 간극에 파고들었을 경우에, 인장스프링(11)은 오목부(24e)에 끼워진다. 이에 따라 인장스프링(11)으로부터 칼날부(24c)가 빠지기 어려워져 결합부(24)에 있어서 인장스프링(11)에 대한 결합상태가 고정된다.
또한 도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인장스프링(11)에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스토퍼 보조구(26)는 길이방향의 대략 중앙에 개구부(26a)를 구비하는 원통체로서, 그 측면에는 개구부(26a)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의 원기둥(26b, 26b)이 세워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원기둥(26b, 26b)은 부착판(25)을 사이에 배치가능하게 소정의 간격을 둠과 아울러 스토퍼 보조구(26)의 원통축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동다리부(18)의 회전을 따라 인장스프링(11)은 이동한다. 이때에 칼날부(24c)가 인장스프링(11)의 간극에 삽탈(揷脫)되도록 결합부(24)는 스토퍼 보조구(26)와 함께 원기둥(26b, 26b)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도11(a) 내지 도11(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수용구(17)는 환상을 이루고 있으며, 연결부(16)는 수용구(17)에 하부를 내부로부터 삽입한 상태에서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16)의 중심에는 봉모양의 지지체(27a)가 세워서 설치되고, 이 지지체(27a)에는 각기둥모양의 가이드관(27b)이 외부로부터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결합관(19)은 내부에 내관(內管)(28)이 동축으로 배치되어 2중관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내관(28)은 상단이 스페이서(29)를 사이에 두고 결합관(19)에 고정됨과 아울러 하단이 마개(30)에 의하여 폐쇄되어 있다. 또한 마개(30)의 중심에는, 가이드관(27b)에 내부로부터 삽입되는 봉모양의 가이드 부재(31)가 세워서 설치되어 있고, 가이드 부재(31)의 상부에는, 가이드관(27b)과 결합해서 가이드 부재(31)의 원주방향에 대한 회전을 제지하도록 각기둥모양의 스페이서(31a)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스페이서(31a)는 가이드관(27b)의 내부에 있어서 원통축방향에 대하여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가이드관(27b)과 가이드 부재(31) 및 스페이서(31a)는, 연결부(16)와 결합관(19)을 회전 불가능하고 또한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로서 기능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각기둥모양의 가이드관(27b)의 내부에 각기둥모양의 스페이서(31a)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지만, 가이드관(27b)과 스페이서(31a)는 반드시 이러한 형상이 아니더라도 좋다. 예를 들면 가이드관(27b)을 원통상으로 하고 실시예1과 같은 가이드 구멍을 형성하고, 스페이서(31a) 대신에 이 가이드 구멍에 의하여 안내되는 돌출부를 가이드관(31)에 형성해도 좋다.
도12(a) 및 도12(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가동다리부(18)의 상단에는, 중심에 지지체(27a)를 삽입하기 위한 관통구멍(32a)이 형성된 마개(32)가 끼워져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마개(32)에는, 가동다리부(18)에 결합된 상태에서 수용구(17)의 단차부(17a)에 결합가능하게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단차부(32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12(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가동다리부(18)에는 결합관(19)이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내부로부터 삽입되어 있다.
또 연결부(16)에 가동다리부(18)나 가이드관(27b)을 부착해서 도12(a)의 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우선 마개(32)를 지지체(27a)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 회전가능이 되도록 외부로부터 삽입한다. 다음에 지지체(27a)에 가이드관(27b)을 외부로부터 삽입하여 회전 불가능하고 또한 삽탈 불가능하게 고정한 후에, 가동다리부(18)에 대하여 마개(32)를 착탈 불가능하게 끼워서 설치한다.
또한 수용구(17)에 대하여 가동다리부(18)를 삽입함과 아울러 연결부(16)의 하부를 결합하고, 마개(32)의 단차부(32b)를 단차부(17a)와 결합시킨 상태에서 연결부(16)를 수용구(17)에 고정한다. 이에 따라 가동다리부(18)는 수용구(17)를 통하여 연결부(16) 및 가이드관(27b)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접속된 상태가 된다.
도13(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결합관(19)과 내관(28)의 간극에는 신축다리부(21)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결합관(19)의 하단(19a)의 근방에는 볼트부(33a)가 형성되고, 내경이 계단모양으로 형성된 조절구(22b)의 내주면의 일부에는 볼트부(33a)에 나사결합가능한 너트부(33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결합관(19)의 하단(19a)와 조절구(22b) 사이에는, 합성수지로 만든 탄성부재(34)가 결합관(19)과 신축다리부(21)의 간극에 그 일부를 삽입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조절구(22b)를 회전하여 도13(b)에 화살표(F)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조절구(22b)에 의하여 탄성부재(34)가 가압되어서, 그 일부가 결합관(19)과 신축다리부(21)의 간극에 압입되기 때문에 신축다리부(21)는 탄성부재(34)에 의하여 내관(28)으로 눌려진다. 그 결과, 신축다리부(21)와 내관(28) 사이의 마찰력이 증가하여 신축다리부(21)의 내관(28)에 대한 원통축방향으로의 이동이 제지된다. 또한 도1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가동다리부(18)의 내부에는 가압스프링(10)이 가이드관(27b)에 외부로부터 삽입된 상태에서 동축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가압스프링(10)의 상단(10a)은 마개(32)와 접촉하고, 가압스프링(10)의 하단(10b)은 마개(30)에 고정되어 있다.
도15(a)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연결부(16)나 결합관(19)은 고정한 채, 가동다리부(18)만을 화살표(G1)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15(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인장스프링(11)이 가동다리부(18)와 함께 회전하여 결합부(24)가 인장스프링(11)의 나선의 간극에 압입된다. 이에 따라 인장스프링(11)의 이동이 제지되어 가동다리부(18)에 대한 결합관(19)의 길이방향의 위치가 고정된다. 이때에 신축장치(1b)에 있어서도 인장스프링(11)이 길이조정부재로서 기능한다.
즉 신축장치(1b)에 있어서는, 가동다리부(18)를 결합관(19)에 대하여 회전시켜 길이조정부재인 인장스프링(11)에 결합부(24)를 결합함으로써, 그 길이가 결정된다는 작용을 구비한다.
또 도15(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연결부(16)나 결합관(19)은 고정한 채, 가동다리부(18)만을 화살표(G2)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15(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인장스프링(11)이 가동다리부(18)와 함께 회전하여 결합부(24)가 인장스프링(11)의 나선상의 간극으로부터 빠져나오기 때문에, 인장스프링(11)에 대한 결합부(24)의 결합상태가 해제된다. 그 결과, 가동다리부(18)에 대한 결합관(19)의 구속이 해제되어서 신축장치(1b)는 신축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구조의 신축장치(1b)에 있어서는, 결합부(24)를 인장스프링(11)의 나선의 간극에 압입할 때에 스토퍼 보조구(26)에 의하여 인장스프링(11)의 휨이 억제된다는 작용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인장스프링(11)에 대하여 결합부(24)를 확실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인장스프링(11)이 가동다리부(18)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결합부(24)와 인장스프링(11)의 결합상태의 확인이 용이하다.
따라서 결합부(24)나 인장스프링(11)의 점검이나 수리 등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가동다리부(18)의 지름을 가늘게 하여 장치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부가하여 연결부(16)에 다른 장치 등을 연결하고, 신축다리부(21)의 마개(23b)를 접지하였을 경우에, 조절구(22b)를 조작해서 신축다리부(21)가 결합관(19)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해 두면, 가동다리부(18)만이 연결부(16) 및 결합관(19)으로부터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신축장치(1b)의 길이조정을 안전하고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신축다리부(21)가 회전하더라도 가동다리부(18)는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예를 들면 지면에 대한 설치상태가 불안정하기 때문에 신축다리부(21)가 회전하였을 경우에도 가동다리부(18)가 회전해서 결합부(24)에 있어서 인장스프링(11)에 대한 결합상태가 멋대로 해제되어 버린다는 걱정이 없다. 또한 가동다리부(18)는 파지부(22a) 이외의 부분도 잡을 수 있기 때문에 조작성이 좋다.
[실시예3]
본 실시예의 신축장치에 대해서 도16 및 도17을 사용하여 설명한다(특히 청구항5 및 청구항6에 대응). 도16(a)는 본 실시예의 신축장치(1c)의 외관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16(b) 및 도16(c)는 각각 가동다리부(35) 및 결합관(36)의 외관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또한 도17(a) 및 도17(b)는 도16(a)의 H-H선 화살방향에서 본 단면의 확대도이다. 또 도1 내지 도15에 나타낸 구성요소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16 및 도1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신축장치(1c)에서는, 실시예2의 신축장치(1b)에 있어서 인장스프링(11)이 가동다리부(18)에 설치되는 대신에 결합부(24)가 가동다리부(35)에 설치되고, 결합관(19)에 결합부(24)가 설치되는 대신에 인장스프링(11)이 결합관(36)에 설치되어 있다. 즉 가동다리부(35)와 결합관(36) 이외에 대해서는, 신축장치(1c)와 신축장치(1b)의 구조는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가동다리부(35)는 원통상을 하고, 연결부(16)에 대하여 수용구(17)를 통하여 상단이 회전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또한 가동다리부(35)의 하단 근방에는 개구부(35a)가 형성되어 있으며, 개구부(35a)를 덮도록 설치되는 측면에서 볼 때에 원호모양의 커버(37)의 내면에 결합부(24) 및 부착판(25)이, 가동다리부(35)의 내부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동다리부(35)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내부로부터 삽입되는 대략 원통모양의 결합관(36)에는, 인장스프링(11)이 수용되는 오목홈(36a)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결합관(36)의 오목홈(36a)의 내부에는, 인장스프링(11)이 원통축에 대하여 평행하게 또한 가동다리부(35)의 내측면과 접촉하지 않도록 설치되고, 결합관(36)에는 신축다리부(21)가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내부로부터 삽입되어 있다.
도17(a)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연결부(16)나 결합관(36)은 고정한 채, 가동다리부(35)만을 화살표(I1)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17(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결합부(24)가 가동다리부(35)와 함께 회전한다. 그 결과, 결합부(24)가 인장스프링(11)의 나선의 간극에 압입된다. 이에 따라 인장스프링(11)의 이동이 제지되어 가동다리부(35)에 대한 결합관(36)의 길이방향의 위치가 고정된다.
즉 신축장치(1c)에 있어서는, 가동다리부(35)를 회전시켜서 결합부(24)를 인장스프링(11)에 결합함으로써 그 길이가 결정된다는 작용을 구비한다. 또 도17(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연결부(16)나 결합관(36)은 고정한 채, 가동다리부(35)만을 화살표(I2)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17(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결합부(24)가 가동다리부(35)와 함께 회전하여 결합부(24)가 인장스프링(11)의 나선상의 간극으로부터 빠져나오기 때문에, 가동다리부(35)에 대한 결합관(36)의 구속이 해제되어 신축장치(1c)는 신축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구조의 신축장치(1c)에 있어서는, 가동다리부(35)의 외측면에 결합부(24)나 인장스프링(11)의 설치에 따르는 돌출부분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외관이 깔끔하며 의장적(意匠的)으로 우수하다. 또한 가동다리부(35)를 결합관(36)으로부터 떼어냄으로써 인장스프링(11)이 용이하게 시인(視認)되기 때문에 인장스프링(11)의 점검이나 수리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신축장치의 구성은 실시예1 내지 실시예3에 나타낸 경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인장스프링을 대신하여 복수의 환상체(環狀體)를 적층(積層)한 구조를 설치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 환상으로 적층된 길이조정부재에서는 나선상의 길이조정부재와 마찬가지로, 결합부에 의하여 결합되는 부분이 복수 존재하기 때문에, 환상체 상호간의 간극에 결합부를 결합시킴으로써 신축장치의 길이의 미세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인장스프링에는 통상의 원형 단면을 구비하는 코일스프링 이외에도, 대략 사각형모양 단면을 구비하는 고강도의 편평선 코일스프링(扁平線 coil spring)을 사용할 수 있다.
청구항1 내지 청구항6에 기재된 신축장치는, 삼각대나 접사다리 등의 다리부뿐만 아니라 각종 장치의 다리부로서 신축가능한 구조를 구비한 것에 적용가능하다.
1a, 1b, 1c; 신축장치
2 ; 받침대
2a, 3a, 26a, 35a ; 개구부
3 ; 고정다리부
4, 18, 35 ; 가동다리부
4a ; 가이드 구멍
5, 19, 36 ; 결합관
5a, 10a, 11a, 12a, 13a ; 상단
5b, 10b, 1lb, 12b, 13b, 19a ; 하단
6 ; 조작레버
7, 23a, 23b, 30, 32 ; 마개
8 ; 돌출부
9, 22a ; 파지부
10 ; 가압스프링
11 ; 인장스프링
11c ; 소선
12 ; 심재
13, 27b ; 가이드관
14, 24 ; 결합부
14a ; 스토퍼
15, 29, 31a; 스페이서
15a ; 내주면
16 ; 연결부
17 ; 수용구
17a, 32b ; 단차부
18a ; 윈도우부
20, 37 ; 커버
21 ; 신축다리부
22b ; 조절구
24a ; 볼록부
24b ; 접합부
24c ; 칼날부
24e ; 오목부
25 ; 부착판
25a ; 측면
26 ; 스토퍼 보조구
26b ; 원기둥
27a ; 지지체
28 ; 내관
31 ; 가이드 부재
32a ; 관통구멍
33a ; 볼트부
33b ; 너트부
34 ; 탄성부재
36a ; 오목홈

Claims (7)

  1. 원통상(圓筒狀)의 가동다리부(4)와,
    이 가동다리부(4)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는 나선상(螺旋狀)의 길이조정부재(11)와,
    이 길이조정부재(11)에 결합가능하게 형성되는 결합부(結合部)(14)와,
    이 결합부(14)가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설치됨과 아울러,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상기 가동다리부(4)에 내부로 삽입되는 결합관(結合管)(5)과,
    상기 가동다리부(4)내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정부재(11)와 병렬로 설치되고, 이 결합관(5)을 상기 가동다리부(4)로부터 이반(離反)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신축부재(伸縮部材)(10)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관(5)은 상기 가동다리부(4)의 원통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길이조정부재(11)는, 일단(一端)이 상기 가동다리부(4)에 고정됨과 아울러, 타단(他端)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상기 결합관(5)에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결합부(14)는 상기 가동다리부(4)와 상기 결합관(5)과의 상대적인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길이조정부재(11)의 간극(間隙)에 대하여 회전하면서 파고들고, 또는 상기 간극으로부터 회전하면서 빼어내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장치(伸縮裝置)(1a).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재(10)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결합관(5)이 수용됨과 아울러,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상기 가동다리부(4)에 내부로 삽입되는 고정다리부(3)와, 이 고정다리부(3)를 상기 가동다리부(4)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고 또한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guide 部材)(4a, 8)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관(5)은, 이 고정다리부(3)에 의하여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장치(1a).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정부재(11)는 일단이 상기 가동다리부(4)에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결합관(5)내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대신에, 상기 결합관(19)의 외측의 상기 가동다리부(18)의 외측면에 양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설치되고,
    상기 가동다리부(18)는 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결합부(24)가 돌출하여 상기 길이조정부재(11)에 대하여 결합가능하게, 상기 원통축을 따라 윈도우부(18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장치(1b).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다리부(18)의 단부(端部)중에서 상기 결합관(19)이 내부로 삽입되지 않은 측에 상기 원통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연결부(連結部)(16)와,
    이 연결부(16)와 상기 결합관(19)을 회전 불가능하고 또한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連結部材)(27b, 3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장치(1b).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관(36)은 상기 결합부(24)가 설치되는 대신에, 측면에 상기 길이조정부재(11)가 수용되는 오목홈(groove)(36a)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길이조정부재(11)는 상기 가동다리부(35)에 설치되는 대신에, 상기 가동다리부(35)의 내측면과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오목홈(36a)내에 설치되고,
    상기 가동다리부(35)는 상기 윈도우부(18a)가 형성되는 대신에, 상기 결합관(36)과의 상대적인 회전에 따라 상기 길이조정부재(11)에 대하여 결합가능하게, 내측면에 상기 결합부(24)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장치(1c).
  6.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상의 길이조정부재(11)를 대신하여, 환상(環狀)으로 적층(積層)된 길이조정부재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장치(1a∼1c).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상의 길이조정부재(11)를 대신하여, 환상(環狀)으로 적층(積層)된 길이조정부재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장치(1a∼1c).
KR1020147006978A 2011-08-31 2011-08-31 신축장치 KR1015142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1/069844 WO2013030997A1 (ja) 2011-08-31 2011-08-31 伸縮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9069A KR20140049069A (ko) 2014-04-24
KR101514200B1 true KR101514200B1 (ko) 2015-04-23

Family

ID=47755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6978A KR101514200B1 (ko) 2011-08-31 2011-08-31 신축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9261226B2 (ko)
JP (1) JP5638143B2 (ko)
KR (1) KR101514200B1 (ko)
WO (1) WO201303099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3551B1 (ko) * 2004-11-03 2007-01-24 (주) 컴파스 시스템 멀티 소켓 푸시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30997A1 (ja) * 2011-08-31 2013-03-07 Higashi Kazuo 伸縮装置
CN104854420A (zh) * 2012-11-01 2015-08-19 耿氏火器特制品股份有限公司 用于支撑火器的系统、方法以及设备
US9644786B2 (en) * 2015-05-18 2017-05-09 Christine E. Steiner Pneumatic double actuating cylinder having a rotatably mounted feeding tray
CN104912883B (zh) * 2015-06-11 2017-05-24 厦门明和实业有限公司 一种全自动伸缩杆
CN106499919A (zh) * 2015-09-08 2017-03-15 江苏爱福特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可旋转升降式电脑显示器
CN108087671A (zh) * 2017-12-13 2018-05-29 合肥静美图文科技有限公司 一种网络用自拍装置
CN108594583B (zh) * 2018-04-14 2020-06-26 林峰 一种移动电影银幕
WO2022098037A1 (ko) * 2020-11-04 2022-05-12 임성모 테이블 다리용 높낮이 조절 어셈블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25834A (ja) 2006-06-23 2008-02-07 Choshu Denki:Kk 伸縮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6313Y2 (ja) * 1976-02-04 1983-10-21 染谷 總仁 伸縮ポ−ル
JPS5846314Y2 (ja) * 1976-04-27 1983-10-21 染谷 總仁 伸縮ボ−ル
GB2095364B (en) * 1981-03-24 1985-07-24 Wipac Group Sales Adjustable fluid support devices for swivel chairs
JPS59183594U (ja) * 1983-05-24 1984-12-06 ソニー株式会社 カメラ支持装置
JPS6085605U (ja) * 1983-11-11 1985-06-13 大和スチール株式会社 吊索付支持ピン
JPH043871Y2 (ko) * 1986-03-11 1992-02-05
US4728072A (en) * 1987-02-09 1988-03-01 Quest Product Development, Ltd. Height adjustment apparatus
JPH0569249U (ja) * 1992-02-24 1993-09-21 ライトン株式会社 パイプサポート
JP2882452B2 (ja) * 1994-03-25 1999-04-12 日本フルハーフ株式会社 屋根開閉式貨物車両における屋根梁の支持装置
US6042065A (en) * 1997-07-28 2000-03-28 Benjamin; Benjamin C. Collapsible needlework stand
US6834840B1 (en) * 2000-08-01 2004-12-28 Hill-Rom Services, Inc. Medical device support assembly
JP3630677B1 (ja) * 2003-09-02 2005-03-16 有限会社長州電気 伸縮装置
DE102004003624A1 (de) * 2004-01-24 2005-08-11 Suspa Holding Gmbh Höhenverstellbare Stuhl-Säule
US7594633B2 (en) * 2005-04-29 2009-09-29 Carnevali Jeffrey D Telescoping pole mount
TW200806915A (en) * 2006-07-18 2008-02-01 bo-sen Qiu Height adjusting structure
TWI350928B (en) * 2006-08-11 2011-10-21 Qisda Corp Display and regulating device thereof
US7837413B1 (en) * 2008-01-23 2010-11-23 Kundel Sr Robert Adjustable trench box and spreader bar
US7752932B2 (en) * 2008-04-06 2010-07-13 Hiwin Mikrosystem Corp. Linear actuator
NZ596424A (en) * 2009-04-17 2013-09-27 Petar Zlatar A noise attenuating and vibration dampening pedestal for an access floor assembly
JP2010286286A (ja) 2009-06-09 2010-12-24 Taihei Sangyo:Kk 測量機用三脚
EP2402239B1 (en) * 2010-07-02 2020-09-02 Fox Factory, Inc. Adjustable seat post
WO2013030997A1 (ja) * 2011-08-31 2013-03-07 Higashi Kazuo 伸縮装置
US20140353452A1 (en) * 2013-06-03 2014-12-04 Winvic Sales Inc. Extendable Pilla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25834A (ja) 2006-06-23 2008-02-07 Choshu Denki:Kk 伸縮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3551B1 (ko) * 2004-11-03 2007-01-24 (주) 컴파스 시스템 멀티 소켓 푸시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30997A1 (ja) 2013-03-07
US9458962B2 (en) 2016-10-04
JP5638143B2 (ja) 2014-12-10
US20140175237A1 (en) 2014-06-26
US9261226B2 (en) 2016-02-16
JPWO2013030997A1 (ja) 2015-03-23
US20160123523A1 (en) 2016-05-05
KR20140049069A (ko) 2014-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4200B1 (ko) 신축장치
US8946531B2 (en) Spring force adjustment structure in high-hat stand and high-hat stand including the spring force adjustment structure
JP5632645B2 (ja) 引込装置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引込本体
CN105050477A (zh) 用于保持内窥镜中拉紧的牵引线的装置
US9534628B1 (en) Folding device for baby carriage
EP3259482A1 (en) Telescoping assembly
WO2008114783A1 (ja) 伸縮装置および三脚
US20110146027A1 (en) Castor Assembly Having Adjustable Height
CA2755494A1 (en) Flexible umbrella systems
EP2447439A1 (en) Pivoting support assembly with locking device for an awning arm
KR101403149B1 (ko) 접이식 삼각대
JP2007014395A (ja) 長さ調節可能な衝撃緩衝杖
US20140241561A1 (en) Headphones
JP2007054303A (ja) 電気掃除機
US20220007801A1 (en) Tilting Assemblies for Crankless Cantilevered Umbrellas
JP4025782B2 (ja) 伸縮脚
KR200468605Y1 (ko) 등산 지팡이의 길이 조절장치
KR20160125125A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막대 기구
JP4416597B2 (ja) 伸縮装置
US7401616B2 (en) Umbrella with a foldable stem
TW201700041A (zh) 遮物簾之伸縮邊桿
JP2007061043A (ja) たも網
US20130228051A1 (en) Telescopic hand tool
JP2004188093A (ja) 伸縮ステッキ
CA2827055C (en) Chimney block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