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4167B1 - 리니어 모터의 적층 철심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리니어 모터의 적층 철심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4167B1
KR101514167B1 KR1020137027788A KR20137027788A KR101514167B1 KR 101514167 B1 KR101514167 B1 KR 101514167B1 KR 1020137027788 A KR1020137027788 A KR 1020137027788A KR 20137027788 A KR20137027788 A KR 20137027788A KR 101514167 B1 KR101514167 B1 KR 101514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pole
tooth
linear motor
back yoke
iron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7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6549A (ko
Inventor
사토시 야마시로
아키라 하시모토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36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6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4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4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3Synchronous motors; Motors moving step by step; Reluctance motors
    • H02K41/031Synchronous motors; Motors moving step by step; Reluctance motors of the permanent magne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3Synchronous motors; Motors moving step by step; Reluctance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4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 H02K1/146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consisting of a generally annular yoke with salient poles
    • H02K1/148Sectional co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6Stator cores with slots for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8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magnetic stationary parts on to, or to, the stato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 H02K15/02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with salient poles or claw-shaped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 Linear Motors (AREA)

Abstract

철심의 재료 수율을 향상한 리니어 모터의 적층 철심을 제공한다. 백 요크부와 백 요크부로부터 돌출한 티스부를 갖는 자극 티스를 구비한 리니어 모터의 적층 철심에 있어서, 티스부를 대략 평행이 되도록 복수개 직선 형상으로 나란하게 한 상태로 펀칭했을 때, 인접하는 티스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대략 동일한 형상의 티스부를 배치하여 펀칭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Description

리니어 모터의 적층 철심 및 그 제조 방법{LAMINATED CORE FOR LINEAR MO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리니어 모터용 적층 철심의 구조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적층 철심의 재료 수율과 특성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리니어 모터는, 구동 코일을 권회한 자극 티스를 복수개 연설하여 이루어지는 가동자와, 이러한 가동자와 소정의 공극을 거쳐서 대설(對設)되며 진행 방향으로 서로 다른 극성의 영구 자석을 배열하여 이루어지는 고정자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 코일을 여자함으로써, 발생하는 진행 자계에 의해서 가동자에게 추력을 부여하고, 이 추력에 의해서 가동자에 탑재된 피반송물을 반송하는 것이다. 상기 가동자는 소정의 피치로 슬롯이 형성된 빗살 형상의 자성 철판을 복수 매 적층하여 형성되지만, 그 제조 시에는, 구동 코일의 조립의 관계상, 자극 티스마다 분할하여 구성하는 것(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이나, 각 자극 티스 중 적어도 한 쌍의 가장자리부 끼리를 굴곡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수단을 마련한 것(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등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00-217334 호(청구항 1 및 도 1 등 ) 일본 특허 제 3428486 호(청구항 1 및 도 7 등)
일반적으로, 상기 적층 철심을 구성하는 자극 티스는, 그 형상이 백 요크부와 이 백 요크부로부터 돌출한 티스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을 1매의 자성 강판으로 프레스 펀칭에 의해 제조된다. 또한, 프레스 펀칭은 2매 1조로 펀칭된다. 즉, 2매의 펀칭판은, 1번째의 펀칭판의 티스부 사이에 2번째의 펀칭판의 티스부가 위치하도록, 서로 역방향으로, 또한, 피치를 어긋나게 하여 펀칭된다.
그런데, 토크 맥동을 저감하여 토크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티스부의 선단의 폭 치수를 크게 한(슬롯 개구 폭을 작게 한) 경우에, 1번째의 펀칭판의 티스부 사이에 2번째의 펀칭판의 티스부를 배치할 수 없게 되어, 재료 수율이 저하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반대로 말하면, 1번째의 펀칭판의 티스부 사이에 2번째의 펀칭판의 티스부를 배치하기 때문에, 티스부의 선단의 폭 치수가 제한되어, 토크 특성의 개선을 방해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티스부의 선단의 폭 치수를 크게 한 경우라도, 리니어 모터의 특성을 저하시키는 일 없이, 비교적 간단한 수법에 의해, 재료 수율의 향상 및 토크 성능의 개선을 도모한 리니어 모터의 적층 철심 및 리니어 모터용 적층 철심의 제조 방법을 얻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모터의 적층 철심은, 백 요크부와 이 백 요크부로부터 돌출한 티스부로 이루어지는 자극 티스 코어편을 서로 인접하는 티스부가 대략 평행이 되도록 복수개 직선 형상으로 나란하게 구성하며, 각 티스부는, 중간부에 마련된 티스 주요부와, 백 요크부측 단부에 마련되며 티스 주요부보다 폭 치수가 작은 축폭부와, 선단부에 마련되며 티스 주요부보다 폭 치수가 큰 확폭부로 이루어지며, 또한, 상기 서로 인접하는 축폭부 사이의 거리가 확폭부의 폭 치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모터용 적층 철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백 요크부와 이 백 요크부로부터 돌출한 티스부로 이루어지는 자극 티스 코어편을 서로 인접하는 티스부가 대략 평행이 되도록 복수개 직선 형상으로 나란하게 구성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자극 티스 코어편은, 상기 인접하는 티스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다른 동일한 형상의 티스부가 배치되도록 반대 방향으로 자극 티스를 복수개 직선 형상으로 나란하게 한 상태로 펀칭 가공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모터의 적층 철심 및 그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티스부의 백 요크부측 단부에 축폭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자극 티스 코어편을 직선 형상으로 나란하게 한 상태에서는, 인접하는 축폭부 사이의 거리가 확폭부의 폭 치수보다 크므로, 티스부에 확폭부를 마련한 경우라도, 복수의 자극 티스 코어편을 직선 형상으로 나란하게 이루어지는 코어 부재를 프레스 가공할 때에, 티스부 사이에 다른 코어 부재의 티스부를 배치한 상태로 2개의 코어 부재를 펀칭할 수 있어서, 높은 토크 성능을 갖는 적층 철심을 재료 수율 및 생산성을 향상 시키면서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리니어 모터의 운전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코어 부재의 프레스 가공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중요부 확대 평면도,
도 4의 (a)는 도 3의 자극 결합 부재를 회동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4의 (b)는 도 4의 (a)의 자극 결합 부재를 더욱 회동시켜서 자극 절결부에 결합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의 실시 대상이 되는 리니어 모터의 운전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의한 코어 부재의 프레스 가공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의한 코어 부재의 프레스 가공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실시 대상이 되는 리니어 모터의 운전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니어 모터(1)는, 고정자(2)와 가동자(3)에 의해 구성된다. 고정자(2)는, 모터 구동 방향(도면 중, 양 방향 화살표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의 고정자 철심(21)과, 고정자 철심(21) 상에 모터 구동 방향을 따라서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며 교대로 극성이 다른 복수의 영구 자석(22, 23)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가동자(3)는, 상기 고정자(2)의 영구 자석(22, 23)과 소정의 간격을 거쳐서 배치되며, 모터 구동 방향을 따라서 순차 연설된 복수의 자극 티스 코어편(30)과, 각 자극 티스 코어편(30)에 인슐레이터(32)를 거쳐서 권회된 구동 코일(33)로 구성되어 있다. 각 자극 티스 코어편(30)은, 백 요크부(12)와, 백 요크부(12)로부터 고정자(2)측으로 돌출한 티스부(13)를 갖는 형상으로 하고, 이것을 지면 방법으로 복수개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분할 적층 철심을, 복수개(도면에서는 6개) 서로의 백 요크부(12)를 접촉하면서, 예를 들면 접착 등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결되며 자극 티스 코어편(30)를 구성하고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코어 부재의 프레스 가공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중요부 확대도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자극 티스 코어편(30, 31)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부터 끼워 맞춤한 배치가 채용되어 있다. 자극 티스 코어편(30, 31)은 예를 들면 자성 강판으로 구성되며, 프레스 가공하여 제조되지만, 한쪽의 자극 티스 코어편(30)의 티스부(13a) 사이에 다른쪽의 코어 부재(31)의 티스부(13b)가 위치하도록 배치된 상태로 프레스 가공된다. 즉, 한쪽의 자극 티스 코어편(30)의 티스부(13a)가 대략 평행이 되도록 복수개 직선 형상으로 나란하게 한 상태에서, 상기 인접하는 티스부(13a)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다른쪽의 자극 티스 코어편(31)의 티스부(13b)가 배치되도록 하고, 프레스기(도시하고 있지 않음)에 의해 펀칭된다. 상기 티스부(13a)와 티스부(13b)는 동일한 형상이다.
도 3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티스부(13)의 근원부[백 요크부(12) 측 단부]의 폭 방향 양측에는, 한 쌍의 사다리꼴의 자극 절결부(13e)가 마련되며, 이것에 의해, 티스부(13)의 근원부에는, 축폭부(13f)가 형성되어 있다. 티스부(13)의 선단부에는 철심의 토크 특성을 높이기 위한 확폭부(13d)가 마련되어 있으며, 티스부(13)의 중간부, 즉 상기 축폭부(13f)와 확폭부(13d) 사이에는, 티스 주요부(13g)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티스부(13)의 축폭부(13f)의 폭 치수는, 티스 주요부(13g)의 폭 치수보다 작으며, 티스 주요부(13g)의 폭 치수는 확폭부(13d)의 폭 치수보다 작다.
즉, 도 2로 되돌아와, 한쪽의 자극 티스 코어편(30)의 서로 인접하는 티스부(13a)의 축폭부(13f) 사이에는, 다른쪽의 자극 티스 코어편(31)의 자극 티스부(13b)의 확폭부(13d)가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코어편(30, 31)을 직선 형상으로 나열한 상태에서, 확폭부(13d)의 폭 치수를 Bt, 인접하는 축폭부(13f) 사이의 거리를 Bs로 했을 경우, Bs>Bt로 되어 있다. 또한, 프레스 금형의 칼날의 손상 등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자극 티스 코어편(30, 31)(자성 강판)의 판 두께를 T로 했을 경우, Bs≥(Bt+2T)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백 요크부(12)의 티스부(13)가 돌출하고 있는 측으로부터, 한 쌍의 사다리꼴의 자극 결합 부재(15)가 상기 자극 티스 코어편의 프레스 가공과 동시 혹은 별개의 공정으로 얇은 연결부(16)를 남기도록 펀칭된다. 그 때, 상기 얇은 연결부(16)는 티스부(13)와의 사이에 치수(B)(도 3 참조)만큼 연결되어 있으며, 자극 결합 부재(15)는, 그 얇은 연결부(16)를 거쳐서 백 요크부(12)로부터 티스부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치수(B)는 얇은 연결부(16)를 화살표의 방향으로 회동하여도 접혀서 분리되는 일이 없는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도 4는 자극 결합 부재(15)의 이용 방법을 도시하는 상태도이며, 도 4의 (a) 상태로부터 자극 결합 부재(15)를 티스부(13)측으로 더욱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도 4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극 결합 부재(15)는 자극 절결부(13e)인 축폭부(13f)에 결합(끼워 맞춤)한다.
즉, 티스부(13)에 구동 코일(33)을 권회할 때에는, 자극 결합 부재(15)는 축폭부(13f)에 결합되며 티스부(13)의 외주에 마련된 인슐레이터(32)에 의해서 축폭부(13f) 내에 보지된다.
이와 같은 적층 철심(5)에서는, 자극 티스부(13)의 선단부에 확폭부(13d)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토크 맥동을 저감하여 토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티스부(13)의 근원부에 축폭부(13f)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티스부(13)에 확폭부(13d)를 마련하여도, 자극 티스 코어편(30, 31)을 프레스 가공할 때에, 자극 티스 코어편(30)의 티스부(13a) 사이에 다른 코어편(31)의 자극 티스부(13b)를 배치한 상태로 2개의 코어편(31)을 펀칭할 수 있어서, 재료 수율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조립 후에는 자극 결합 부재(15)에 의해 자극 절결부(13e)가 매립되어 있으므로, 자극 절결부(13e)에 의한 자로가 좁아지는 영향을 저감하여, 토크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어서, 양호한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자극 결합 부재(15)가 인슐레이터(32)에 의해서 보지되므로, 부품 점수를 증가시키는 일 없이 자극 결합 부재(15)를 보지할 수 있다.
또한, 프레스 가공 후에는, 자극 결합 부재(15)가 얇은 연결부(16)에 의해서 백 요크부(1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자극 결합 부재(15)를 자극 티스 코어편(30, 31)과 일체로 취급할 수 있어서, 조립 시의 반송성이 뛰어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자극 결합 부재(15)를 얇은 연결부(16)에 의해서 백 요크부(12)에 연결하고 있지만, 분리한 상태로 프레스 가공하여 조립하여도 좋고, 자극 결합 부재(15)를 예를 들면 자성분의 소결이나 자성분에 수지가 코팅된 것을 과열 성형하여 성형한 것을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프레스 시의 직선 형상으로 배치하는 자극 티스의 개수를 6개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한 것은 아니다. 또한, 자극 절결부(13e)나 자극 결합 부재(15)의 형상도 대략 사다리꼴 형상 이외의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1에서는, 각 자극 티스가 서로 완전하게 분리되어 구성되어 있던 예를 도시했지만, 백 요크부(12)의 단부 상측에 각 자극 티스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축부를 마련하고, 인접하는 자극 티스가 상기 회전축부에 의해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서도,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한쪽의 인접하는 티스부(13a)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다른쪽의 자극 티스부(31)의 티스부(13b)를 배치하고 펀칭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동일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실시형태 2)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의한 리니어 모터의 운전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5에 있어서, 양측식 리니어 모터(100)는 상하 2열의 고정자(111, 111)와 그 사이에 배치되며 화살표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가동자(112)에 의해 구성 되어 있다. 고정자(111)는 모터 구동 방향(도면 중, 양 방향 화살표의 방향)을 따라서 상하 2열로 연장되는 판 형상의 고정자 철심(121)과, 이 고정자 철심(121) 상에 모터 구동 방향을 따라서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며 교대로 극성이 다른 복수의 영구 자석(122, 123)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가동자(112)는 상기 고정자(111)의 상하 2열로 배열된 영구 자석(122, 123)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거쳐서 배치되며, 모터 구동 방향을 따라서 순차 배치된 복수의 자극 티스(130)로 이루어지며, 이 자극 티스(130)는, 2열의 고정자(111) 사이 중앙에 위치하며, 인접하는 자극 티스(130)와 접촉하는 백 요크부(212)와, 이 백 요크부(212)로부터 영구 자석(122, 123)과 대향하는 양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는 티스부(213)로 이루어진다. 이 자극 티스(130)의 티스부(213)에는 인슐레이터(132)를 거쳐서 구동 코일(133)이 권회되어 있다.
도 6은 실시형태 2에 의한 이른바 양측식 리니어 모터(100)의 가동자용 적층 철심의 자극 티스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는 것이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백 요크부(311a, 311b)로부터 편방향으로 돌출한 티스부(312a, 312b)를 갖는 편측식 자극 티스(300, 301)와, 백 요크부(311c)로부터 양 방향으로 돌출한 티스부(312c1, 312c2)를 갖는 양측식 자극 티스(302)를 구비하고, 상기 2개의 편측식 자극 티스(300, 301)가 각각 상기 양측식 자극 티스(302)에 대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부터 끼워 맞춤한 배치가 채용되어 있다. 또한, 실시형태 1에서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자극 티스 코어편을 완전하게 분리한 구성으로 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백 요크부(12)의 상부에 마련한 얇은 연결부(50)를 거쳐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한쪽의 편측식 자극 티스(300)의 티스부(312a, 312a) 사이에 양측식 자극 티스(302)의 티스부(312c1)가 위치하며, 또한, 다른쪽의 편측식 자극 티스(301)의 티스부(312b, 312b) 사이에 양측식 자극 티스(302)의 티스부(312c2)가 위치하도록 배치된 상태로 프레스 가공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각 티스부(312a, 312b, 312c)의 근원부의 폭 방향 양측에는, 한 쌍의 사다리꼴의 자극 절결부(113e)가 마련되며, 이것에 의해, 티스부(312)의 근원부에는, 축폭부(113f)가 형성되어 있다. 티스부(312)의 선단부에는 철심의 토크 특성을 높이기 위한 확폭부(113d)가 마련되어 있으며, 티스부(312)의 중간부에는, 티스 주요부(113g)가 형성되어 있다.
즉, 한쪽의 자극 티스 코어편의 서로 인접하는 티스부(312)의 축폭부(113f) 사이에는, 다른쪽의 자극 티스 코어편의 자극 티스부(312)의 확폭부(113d)가 위치하고 있다. 즉, 상기 서로 인접하는 축폭부(113f) 사이의 거리가 확폭부(113d)의 폭 치수보다 커지고 있는 것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한 관계에 있으며, 따라서, 동일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상기의 방법으로 명확해진 양측식 자극 티스(302)는 본 실시형태 2의 양측식 리니어 모터(100)의 가동자용 적층 철심으로서 사용되며, 또한, 편측식 자극 티스(300, 301)는 실시형태 1의 편측식 리니어 모터(1)의 가동자용 적층 철심으로서 사용된다.
(실시형태 3)
도 7은 실시형태 3에 의한 양측식 리니어 모터(100)의 가동자용 적층 철심의 자극 티스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전체를 양측식 자극 티스에 펀칭하는 경우를 도시하는 것이다. 즉, 양측식 자극 티스(400, 401, 402, 403)을 모두 서로 반대 방향으로부터 끼워 맞춤 배치한 상태로 프레스 가공한다.
구체적으로는, 양측식 자극 티스(400)의 한쪽의 티스부(312c, 312c) 사이에 양측식 자극 티스(401)의 한쪽의 티스부(312d1)가 위치하며, 또한, 다른쪽의 티스부(312d2)가 양측식 자극 티스(402)의 한쪽의 티스부(312e)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상태(이하 동일함)로 프레스 가공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각 티스부(312c, 312d, 312e)의 근원부의 폭방향 양측에는, 한 쌍의 사다리꼴의 자극 절결부(113e)가 마련되며, 이것에 의해, 티스부(312)의 근원부에는, 축폭부(113f)가 형성되어 있다. 티스부(312)의 선단부에는 철심의 토크 특성을 높이기 위한 확폭부(113d)가 마련되어 있으며, 티스부(312)의 중간부에는, 티스 주요부(113g)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형태 3에 있어서도, 한쪽의 자극 티스 코어편의 서로 인접하는 티스부(312)의 축폭부(113f) 사이에는, 다른쪽의 자극 티스 코어편의 자극 티스부(312)의 확폭부(113d)가 위치하고 있다. 즉, 상기 서로 인접하는 축폭부(113f) 사이의 거리가 확폭부(113d)의 폭 치수보다 커지고 있는 것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한 관계에 있으며, 따라서, 동일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1, 100 : 리니어 모터 2, 111 : 고정자
3, 112 : 가동자 12, 12a, 12b, 212 : 백 요크부
13, 13a, 13b, 213 : 티스부 13d : 확폭부
13e : 자극 절결부 13f : 축폭부
13g : 티스 주요부 15, 115 : 자극 결합 부재
16 : 얇은 연결부 21, 121 : 고정자 철심
22, 23, 122, 123 : 영구 자석 30, 31 : 자극 티스 코어편
32, 132 : 인슐레이터 33, 133 : 구동 코일
130 : 자극 티스 300, 301 : 편측식 자극 티스
302, 400, 401, 402, 403 : 양측식 자극 티스

Claims (12)

  1. 백 요크부와 이 백 요크부로부터 돌출한 티스부로 이루어지는 자극 티스 코어편을, 서로 인접하는 티스부가 평행이 되도록 복수개 직선 형상으로 나란하게 구성되고, 각 티스부는, 중간부에 마련된 티스 주요부와, 백 요크부측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티스 주요부보다도 폭 치수가 작은 축폭부와, 선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티스 주요부보다도 폭 치수가 큰 확폭부로 이루어지며, 또한 상기 서로 인접하는 축폭부 사이의 거리가 확폭부의 폭 치수보다도 크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축폭부는 상기 티스부의 폭 방향 양측에 한 쌍의 자극 절결부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자극 절결부에는, 자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자극 결합 부재를 매립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모터의 적층 철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 결합 부재는 상기 자극 절결부와 동일 형상을 갖고, 상기 자극 티스 코어편과 동일한 자성판으로 이루어지는 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모터의 적층 철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 결합 부재는 그 단부에 마련된 얇은 연결부를 거쳐서 상기 백 요크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펀칭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모터의 적층 철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티스부의 외주에 마련되며 구동 코일을 권회하는 인슐레이터에 의해 상기 자극 결합 부재를 상기 자극 절결부 내에 보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모터의 적층 철심.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 절결부 및 상기 자극 결합 부재의 형상은 사다리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모터의 적층 철심.
  6. 백 요크부와 이 백 요크부로부터 돌출한 티스부로 이루어지는 자극 티스 코어편을, 서로 인접하는 티스부가 평행이 되도록 복수개 직선 형상으로 나란하게 구성되고, 각 티스부는, 중간부에 마련된 티스 주요부와, 백 요크부측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티스 주요부보다도 폭 치수가 작은 축폭부와, 선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티스 주요부보다도 폭 치수가 큰 확폭부로 이루어지며, 또한 상기 서로 인접하는 축폭부 사이의 거리가 확폭부의 폭 치수보다도 크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축폭부는 상기 티스부의 폭 방향 양측에 한 쌍의 자극 절결부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자극 절결부에는, 자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자극 결합 부재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자극 결합 부재는 그 단부에 마련된 얇은 연결부를 거쳐서 상기 백 요크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펀칭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모터의 적층 철심.
  7. 백 요크부와 이 백 요크부로부터 돌출한 티스부로 이루어지는 자극 티스 코어편을, 서로 인접하는 티스부가 평행이 되도록 복수개 직선 형상으로 나란하게 구성하고, 또한, 상기 자극 티스 코어편을, 상기 인접하는 티스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다른 동일한 형상의 티스부가 배치되도록 반대 방향으로 다른 자극 티스 코어편을 복수개 직선 형상으로 나란하게 한 상태로 펀칭 가공하는 것에 있어서,
    각 티스부는, 중간부에 마련된 티스 주요부와, 백 요크부측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티스 주요부보다도 폭 치수가 작은 축폭부와, 선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티스 주요부보다도 폭 치수가 큰 확폭부로 이루어지며, 또한 상기 서로 인접하는 축폭부 사이의 거리가 확폭부의 폭 치수보다도 크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축폭부는 상기 티스부의 폭 방향 양측에 한 쌍의 자극 절결부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자극 절결부에는, 철심 조립 후에, 자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자극 결합 부재를 매립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모터용 적층 철심의 제조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 결합 부재는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얇은 연결부에 의해 상기 백 요크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모터용 적층 철심의 제조 방법.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 절결부에는 상기 자극 티스 코어편과 동일한 자성재로 이루어지는 자극 결합 부재가 매립된 후, 상기 티스부의 외주에 마련되며 구동 코일을 권회하는 인슐레이터로 보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모터용 적층 철심의 제조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 티스 코어편을 직선 형상으로 나란하게 한 상태에서, 상기 확폭부의 폭 치수를 Bt, 인접하는 축폭부 사이의 거리를 Bs, 상기 자극 티스 코어편의 판의 두께를 T로 한 경우, Bs≥(Bt+2T)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모터용 적층 철심의 제조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백 요크부로부터 편방향으로 돌출한 티스부를 갖는 편측식 자극 티스와, 백 요크부로부터 양 방향으로 돌출한 티스부를 갖는 양측식 자극 티스를 구비하고, 상기 편측식 자극 티스가 상기 양측식 자극 티스에 대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부터 끼워 맞춤한 배치로 한 상태로 펀칭 가공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모터용 적층 철심의 제조 방법.
  12. 제 7 항에 있어서,
    백 요크부로부터 양 방향으로 돌출한 티스부를 갖는 양측식 자극 티스를 적어도 2개 구비하고, 하나의 양측식 자극 티스의 한쪽의 티스부 사이에 다른 양측식 자극 티스의 한쪽의 티스부가 위치한 상태로 펀칭 가공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모터용 적층 철심의 제조 방법.
KR1020137027788A 2011-04-29 2011-04-29 리니어 모터의 적층 철심 및 그 제조 방법 KR1015141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1/060492 WO2012147212A1 (ja) 2011-04-29 2011-04-29 リニアモータの積層鉄心およ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6549A KR20130136549A (ko) 2013-12-12
KR101514167B1 true KR101514167B1 (ko) 2015-04-22

Family

ID=47071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7788A KR101514167B1 (ko) 2011-04-29 2011-04-29 리니어 모터의 적층 철심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5518258B2 (ko)
KR (1) KR101514167B1 (ko)
CN (1) CN103430435B (ko)
DE (1) DE112011105199T5 (ko)
TW (1) TWI454018B (ko)
WO (1) WO20121472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29147B2 (ja) * 2013-05-24 2017-11-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動機およびそれを備えた圧縮機
CN106134038B (zh) 2014-03-26 2019-06-07 三菱电机株式会社 旋转电机的电枢铁芯以及旋转电机
CN104753205B (zh) * 2015-04-22 2017-05-31 广东威灵电机制造有限公司 预制定子冲片和具有其的定子冲片、定子和电机
CN104753198B (zh) * 2015-04-22 2017-10-27 广东威灵电机制造有限公司 预制定子冲片和具有其的定子冲片、定子以及电机
CN104753203B (zh) * 2015-04-22 2017-05-31 广东威灵电机制造有限公司 预制定子冲片、定子冲片、定子和电机
CN104767296B (zh) * 2015-04-22 2017-11-24 广东威灵电机制造有限公司 预制定子冲片、定子冲片、定子和电机
JP5911658B1 (ja) * 2015-05-26 2016-04-27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機子コア、電機子及びリニアモータ
JP7004491B2 (ja) * 2016-05-20 2022-01-21 デュポン帝人アドバンスドペーパー株式会社 金属板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CN107147222A (zh) * 2017-05-26 2017-09-08 东莞市川恩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分体式直线电机铁芯
CN107659109B (zh) * 2017-10-11 2023-09-08 常州汉姆智能科技有限公司 直线步进电机
JP7062921B2 (ja) * 2017-11-13 2022-05-09 株式会社アイシン ステータコアの製造方法
CN111319191A (zh) * 2020-03-23 2020-06-23 东莞市智赢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直驱电机定子成型工艺
CN111313628A (zh) * 2020-03-23 2020-06-19 东莞市智赢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直驱电机动子成型工艺
JP2022136655A (ja) 2021-03-08 2022-09-21 富士電機株式会社 電機子、リニアモータ、電機子の製造方法
DE112022000394T5 (de) 2021-03-09 2023-09-28 Fanuc Corporation Kern und elektromagnetische vorrichtung mit einem ker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9246A (ja) * 2000-04-14 2001-12-26 Denso Corp 車両用回転電機の固定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364374A (ja) * 2003-06-03 2004-12-24 Yaskawa Electric Corp リニアモータ
JP3635148B2 (ja) * 1996-04-08 2005-04-06 日本電産シバウラ株式会社 ブラシレスdcモータの固定子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110339C2 (de) * 1981-03-17 1984-09-27 Thyssen Industrie Ag, 4300 Essen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Blechpakets für einen Langstator-Linearmotor
TW411653B (en) * 1997-04-11 2000-11-11 Toshiba Corp Stator for dynamoelectric machin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4277337B2 (ja) * 1999-01-25 2009-06-10 株式会社安川電機 リニアモータおよびそれを用いたテーブル送り装置
JP2008011643A (ja) * 2006-06-29 2008-01-17 Nissan Motor Co Ltd コア及びその製造方法
JP4884418B2 (ja) * 2008-04-04 2012-02-29 三菱電機株式会社 分割固定子鉄心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35148B2 (ja) * 1996-04-08 2005-04-06 日本電産シバウラ株式会社 ブラシレスdcモータの固定子
JP2001359246A (ja) * 2000-04-14 2001-12-26 Denso Corp 車両用回転電機の固定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364374A (ja) * 2003-06-03 2004-12-24 Yaskawa Electric Corp リニアモ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6549A (ko) 2013-12-12
JPWO2012147212A1 (ja) 2014-07-28
CN103430435B (zh) 2016-03-02
CN103430435A (zh) 2013-12-04
TWI454018B (zh) 2014-09-21
DE112011105199T5 (de) 2014-01-30
WO2012147212A1 (ja) 2012-11-01
JP5518258B2 (ja) 2014-06-11
TW201244330A (en) 2012-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4167B1 (ko) 리니어 모터의 적층 철심 및 그 제조 방법
KR101373907B1 (ko) 회전전기의 적층철심
US9136735B2 (en) Rotary electric machine laminated core
KR101586963B1 (ko) 적층 철심의 제조 방법 및 그것에 의해 제조된 적층 철심
US20150028710A1 (en) Rotor for rotating electric machine, rotating electric machin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rotor for rotating electric machine
WO2012026158A1 (ja) 回転電機及びそのステータコアを製造するためのステータコアの製造装置
JP3933890B2 (ja) ステータおよびステータのコア部材の製造装置ならびにこの製造装置を用いたステータの製造方法
JP5591091B2 (ja) 積層鉄心の製造方法、積層鉄心、回転電機、及びエレベータ装置
JP5012155B2 (ja) 積層コア及び回転電機
CN105264745A (zh) 旋转电机的铁芯
US8334631B2 (en) Rotating electrical machine
JP5638475B2 (ja) リニアモータの積層鉄心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2175851A (ja) リニアモータ電機子およびリニアモータ
JP5528164B2 (ja) 回転電機のステ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133922B1 (ko) 세그먼트형 스테이터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스테이터
JP6057777B2 (ja) 固定子、その固定子を備えた密閉型圧縮機及び回転機並びに金型
JP6045638B2 (ja) 積層鉄心の製造方法
JP5311290B2 (ja) アキシャルギャップ型回転電機用ステータコアの製造方法
JP3969379B2 (ja) 積層鉄心とその製造方法、及び回転電機
TWM461250U (zh) 內轉式定子
TWI506921B (zh) Internal stator
JP5705002B2 (ja) 回転電機の積層鉄心部材
JP2014158322A (ja) ステータ、モータ及びステータの製造方法
JP2013207805A (ja) 積層固定子鉄心、積層固定子鉄心の製造方法
JPWO2013051125A1 (ja) 積層鉄心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より製造された積層鉄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