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1482B1 - 스태빌라이저 브래킷 및 완충기 - Google Patents

스태빌라이저 브래킷 및 완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1482B1
KR101511482B1 KR1020147016312A KR20147016312A KR101511482B1 KR 101511482 B1 KR101511482 B1 KR 101511482B1 KR 1020147016312 A KR1020147016312 A KR 1020147016312A KR 20147016312 A KR20147016312 A KR 20147016312A KR 101511482 B1 KR101511482 B1 KR 101511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connecting piece
stabilizer
axial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6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6125A (ko
Inventor
쇼타로 아사오카
Original Assignee
카야바 고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야바 고교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카야바 고교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96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6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1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1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B60G15/07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the damper being connected to the stub axle and the spring being arranged around the dam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60G21/0551Mount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2Mounting of torsion springs
    • B60G2204/1224End mounts of stabiliser on wheel susp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40Constructional features of dampers and/or springs
    • B60G2206/41Dam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1Joining by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스태빌라이저 브래킷(A)은 완충기의 외통(T)의 외주면 또는 상기 외통(T)에 장착되는 통 형상체(N)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연결부(1)와, 상기 연결부(1)에 이어져 스태빌라이저 장착용 구멍(22)이 형성되는 장착부(2)를 구비한다. 상기 연결부(1)는 상기 외통(T) 또는 상기 통 형상체(N)의 외주면에 기립한 상태에서 고정되고 상기 외통(T) 또는 상기 통 형상체(N)의 축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축방향 연결편(10)을 구비한다. 상기 장착부(2)는 상기 축방향 연결편(10)으로부터 상기 외통(T) 또는 상기 통 형상체(N)의 축방향 일측으로 연장되는 연장편(20)과, 상기 연장편(20)의 완충기 반대측 단부로부터 경사져 연장되는 장착편(21)을 구비한다. 상기 구멍(22)은 상기 장착편(21)에 형성된다.

Description

스태빌라이저 브래킷 및 완충기{STABILIZER BRACKET AND SHOCK ABSORBER}
본 발명은, 스태빌라이저 브래킷의 개량 및 스태빌라이저 브래킷을 구비하는 완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좌우의 전륜과 차체 사이에는, 각각 완충기가 개재 장착되어 있다. 완충기는, 노면의 요철에 의한 충격이 차체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한다. 좌우의 전륜의 각 완충기는, 스태빌라이저로 연결되어 있다. 스태빌라이저는, 좌우의 전륜이 역 위상으로 움직일 때에 비틀려 소정의 반력을 발생하는 스태빌라이저 바와, 스태빌라이저 바의 양단부와 각 완충기 사이에 개재 장착되는 좌우의 스태빌라이저 링크를 구비한다. 스태빌라이저는, 차체의 롤을 억제하여 차체의 자세를 안정시킨다. 각 완충기에는, 스태빌라이저 브래킷이 장착된다. 스태빌라이저 브래킷은, 완충기와 스태빌라이저 링크를 연결한다.
JP10-119527A에는, 완충기의 외통의 외주면에 용접 고정되는 연결부와, 연결부의 일측 단부를 따라 기립하여 외통의 축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판 형상의 장착부를 구비하는 스태빌라이저 브래킷이 개시되어 있다. 이 스태빌라이저 브래킷에서는, 장착부의 대략 중앙에 스태빌라이저 장착용 구멍이 형성된다. 장착용 구멍에는, 스태빌라이저 링크의 상단부가 연결된다. 스태빌라이저 바의 일측 단부는, 스태빌라이저 링크의 하단부에 연결된다.
JP10-119527A의 완충기의 외통에는, 현가 스프링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스프링 시트와, 차륜을 지지하는 너클에 완충기를 연결하기 위한 너클 브래킷이 장착된다. 스태빌라이저 브래킷은, 스프링 시트와 너클 브래킷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완충기에서는, 스프링 시트와 너클 브래킷이 접근하는 등의 이유에 의해, 완충기의 외통에 스태빌라이저 브래킷의 연결부를 용접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그로 인해, 스태빌라이저 브래킷의 연결부를 너클 브래킷에 용접 고정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스태빌라이저 장착용 구멍의 위치를 너클 브래킷보다도 상측에 위치시키기 위해, 장착부를 너클 브래킷의 상측으로 연장시키고, 이 연장 부분에 스태빌라이저 장착용 구멍이 형성된다.
그러나, 연장 부분에 스태빌라이저 장착용 구멍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스태빌라이저 장착용 구멍이 연결부의 용접 고정 구간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벗어난 범위에 있다. 그로 인해, 연장 부분에 큰 힘이 작용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며, 스태빌라이저 장착용 구멍이 연결부의 고정 구간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벗어나 있는 경우에도, 구멍이 형성되는 부분의 강도를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완충기에 스태빌라이저를 장착하기 위한 스태빌라이저 브래킷이며, 상기 완충기의 외통의 외주면 또는 상기 외통에 장착되는 통 형상체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이어져 상기 스태빌라이저 장착용 구멍이 형성되는 장착부를 구비하는 스태빌라이저 브래킷이 제공된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외통 또는 상기 통 형상체의 외주면에 기립한 상태에서 고정되고 상기 외통 또는 상기 통 형상체의 축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축방향 연결편을 구비한다. 상기 장착부는, 상기 축방향 연결편으로부터 상기 외통 또는 상기 통 형상체의 축방향 일측으로 연장되는 연장편과, 상기 연장편의 완충기 반대측 단부로부터 경사져 연장되는 장착편을 구비한다. 상기 구멍은, 상기 장착편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완충기는, 상기 스태빌라이저 브래킷을 구비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스태빌라이저 브래킷을 너클 브래킷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스태빌라이저 브래킷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저면도이다.
도 2c는 도 2a의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스태빌라이저 브래킷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비교예에 관한 스태빌라이저 브래킷을 완충기의 외통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제2 비교예에 관한 스태빌라이저 브래킷을, 너클 브래킷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스태빌라이저 브래킷(A)에 대해 설명한다. 복수의 도면에 부여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품이거나 또는 대응하는 부품을 나타낸다.
우선, 스태빌라이저 브래킷(A)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비교예에 관한 스태빌라이저 브래킷(A1), 및 제2 비교예에 관한 스태빌라이저 브래킷(A2)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태빌라이저 브래킷(A1)은, 완충기의 외통(T)의 외주면에 4 코너를 용접 고정되는 직사각형 판 형상의 연결부(100)와, 연결부(100)의 일측 단부를 따라 기립하여 외통(T)의 축방향(도 4에서는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판 형상의 장착부(200)를 구비한다. 장착부(200)의 대략 중앙에는, 스태빌라이저 장착용 구멍(22)이 형성된다. 구멍(22)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스태빌라이저 링크의 상단부가 연결된다. 또한, 스태빌라이저 링크의 하단부에는, 스태빌라이저 바의 일측 단부가 연결된다.
완충기의 외통(T)에는, 차체를 탄성 지지하는 현가 스프링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스프링 시트(S)와, 차륜을 지지하는 너클에 완충기를 연결하기 위한 너클 브래킷(N)이 장착된다. 스태빌라이저 브래킷(A1)은, 스프링 시트(S)와 너클 브래킷(N)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완충기에 있어서는, 스프링 시트(S)와 너클 브래킷(N)이 접근하는 등의 이유에 의해, 완충기의 외통(T)에 스태빌라이저 브래킷(A1)의 연결부(100)를 용접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그로 인해, 연결부(100)를 외통(T)과 너클 브래킷(N)의 양쪽에 용접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연결부(100)를 외통(T)과 너클 브래킷(N)의 양쪽에 용접하면, 완충기에 힘이 가해졌을 때, 외통(T)과 너클 브래킷(N)이 서로 다른 변형을 한다. 그로 인해, 연결부(100)의 용접 강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태빌라이저 브래킷(A2)은, 너클 브래킷(N)에 용접 고정되는 연결부(100)와, 너클 브래킷(N)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이 연장 부분(201)에 스태빌라이저 장착용 구멍(22)을 갖는 장착부(200)를 구비한다.
그러나, 스태빌라이저 브래킷(A2)에서는, 연결부(100)의 용접 구간(용접 상단부로부터 용접 하단부까지의 구간)(Y)으로부터 스태빌라이저 장착용 구멍(22)이 축방향으로 벗어난 범위에 있다. 그로 인해, 연장 부분(201)에 큰 힘이 작용할 우려가 있다.
다음에,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스태빌라이저 브래킷(A)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스태빌라이저 브래킷(A)은, 완충기의 외통(T)에 장착되는 너클 브래킷(통 형상체)(N)의 외주면에 용접 고정되는 연결부(1)와, 이 연결부(1)에 이어져 스태빌라이저 장착용 구멍(22)이 형성되는 장착부(2)를 구비한다.
연결부(1)는 너클 브래킷(N)의 외주면에 기립한 상태에서 용접되어 너클 브래킷(N)의 축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축방향 연결편(10)을 구비한다. 장착부(2)는 축방향 연결편(10)으로부터 너클 브래킷(N)의 축방향 상측(일측)으로 연장되는 연장편(20)과, 이 연장편(20)의 완충기 반대측 단부로부터 경사져 연장되는 장착편(21)을 구비한다. 구멍(22)은 장착편(21)에 형성된다.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완충기는, 스트럿식 서스펜션용 완충기이다. 그리고, 완충기의 피스톤 로드(R)는, 어퍼 마운트(도시 생략)를 통해 차체에 연결된다. 완충기의 외통(T)은, 이 외통(T)에 장착되는 너클 브래킷(N)을 통해 차륜을 지지하는 너클(도시 생략)에 연결된다. 또한, 완충기의 외통(T)에는, 완충기를 신장 방향으로 가압하여 차체를 탄성 지지하는 현가 스프링(도시 생략)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스프링 시트(S)가 장착된다.
스태빌라이저 브래킷(A)은, 너클 브래킷(N)에 장착된다. 너클 브래킷(N)은, 횡단면이 C자 형상의 대략 환 형상으로 형성되는 통 형상의 포지부(抱持部)(n1)와, 포지부(n1)의 양단부로부터 대향하여 연장되는 한 쌍의 끼움 지지편(n2, n3)을 구비한 통 형상체이다. 도 2a 내지 도 2c에서는, 너클 브래킷(N)의 형상을 간략화하고, 2점 쇄선으로 원기둥 형상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스태빌라이저 브래킷(A)은, 완충기의 외통(T)이나, 이 외통(T)에 장착되는 보강용 컬러 등, 너클 브래킷(N) 이외의 통 형상체에 장착되어도 된다.
스태빌라이저 브래킷(A)은, 차체의 롤을 억제하는 스태빌라이저(도시 생략)와 완충기(D)를 연결한다.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태빌라이저 브래킷(A)은, 너클 브래킷(N)의 외주면에 용접 고정되는 연결부(1)와, 연결부(1)에 이어져 스태빌라이저 장착용 구멍(22)이 형성되는 장착부(2)를 구비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태빌라이저 브래킷(A)은, 1매의 판재를 프레스 성형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1)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너클 브래킷(N)의 외주면에 기립한 상태에서 용접되어 너클 브래킷(N)의 축방향(도 3에서는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축방향 연결편(10)과, 너클 브래킷(N)의 외주면에 기립한 상태에서 용접되어 너클 브래킷(N)의 주위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주위 방향 연결편(11)과, 축방향 연결편(10)의 완충기 반대측 단부(도 3에서는 깊이측 단부)로부터 경사져 연장되는 지지편(12)을 구비한다.
축방향 연결편(10)은,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너클 브래킷(N)의 외주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된다. 축방향 연결편(10)의 완충기측 단부(10a)(도 3 참조)는 너클 브래킷(N)의 외주면에, 축방향으로 연속하여 접촉하고 있다. 축방향 연결편(10)은 너클 브래킷(N)과의 접촉부를 따라 스태빌라이저 브래킷(A)의 외측으로부터 너클 브래킷(N)에 연속 필렛 용접된다. 이 축방향의 용접 부분은, 도 2a에 1점 쇄선 y1로 나타내어진다.
주위 방향 연결편(11)은,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너클 브래킷(N)의 외주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된다. 주위 방향 연결편(11)의 완충기측 단부(11a)(도 3 참조)는 너클 브래킷(N)의 외주면에, 주위 방향으로 연속하여 접촉하고 있다. 주위 방향 연결편(11)은 너클 브래킷(N)과의 접촉부를 따라 스태빌라이저 브래킷(A)의 내측으로부터 연속 필렛 용접된다. 이 주위 방향의 용접 부분은, 도 2c에 1점 쇄선 y2로 나타내어진다.
이와 같이, 연결부(1)의 용접 구간(용접 상단부로부터 용접 하단부까지의 구간)은 축방향의 용접 부분(1점 쇄선 y1)의 상단부로부터, 주위 방향의 용접 부분(1점 쇄선 y2)의 하단부까지의 범위로 된다. 또한, 축방향 연결편(10) 및 주위 방향 연결편(11)의 너클 브래킷(N)에 대한 용접 방법은, 연속 필렛 용접에 한정되지 않고, 단속적으로 필렛 용접을 하거나, 다른 용접 방법을 채용해도 된다.
지지편(12)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방향 연결편(10)과 주위 방향 연결편(11)에 이어져 있다. 또한, 축방향 연결편(10)과 주위 방향 연결편(11)은, 완충기 반대측(도 3에서는 깊이측)에서 이어져 있다. 이와 같이, 축방향 연결편(10)과 주위 방향 연결편(11)과 지지편(12)에서, 3개의 평면이 1점을 공유하여 교차하여 생기는 입체 도형인 3면각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축방향 연결편(10)의 완충기측 단부(10a)와 주위 방향 연결편(11)의 완충기측 단부(11a) 사이에는, 도 2a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결부(13)가 형성된다. 이 절결부(13)에 의해, 축방향의 용접 부분(1점 쇄선 y1)과 주위 방향의 용접 부분(1점 쇄선 y2)이 접속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부(1)에 이어지는 장착부(2)는 축방향 연결편(10)으로부터 너클 브래킷(N)의 축방향 상측으로 연장되는 연장편(20)과, 연장편(20)의 완충기 반대측 단부(도 3에서는 깊이측 단부)로부터 경사져 연장되는 장착편(21)을 구비한다. 스태빌라이저 장착용 구멍(22)은 장착편(21)에 형성된다.
연장편(20)은 축방향 연결편(10)의 상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약간 경사져 있다. 연장편(20)은 스태빌라이저 브래킷(A)을 외측(도 2a에 나타내는 정면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연장편(20)과 축방향 연결편(10)이 산형 꺾임 형상으로 되어 있다. 연장편(20)의 횡폭 w1은, 하단부로부터 상단부에 걸쳐 서서히 좁아지고 있다. 이에 의해, 연장편(20)의 완충기측 단부(20a)(도 3 참조)와 너클 브래킷(N)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된다. 따라서, 용접이 필요한 축방향 연결편(10)과, 용접이 불필요한 연장편(20)의 경계를 분별하기 쉽다.
장착편(21)은 지지편(12)으로부터 너클 브래킷(N)의 축방향 상측으로 연장된다. 장착편(21)은 지지편(12)의 상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약간 경사져 있다. 장착편(21)은 스태빌라이저 브래킷(A)을 외측(도 2a에 나타내는 정면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장착편(21)과 지지편(12)이 산형 꺾임 형상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스태빌라이저 브래킷(A)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스태빌라이저 브래킷(A)은, 완충기의 외통(T)에 장착되는 너클 브래킷(N)의 외주면에 용접 고정되는 연결부(1)와, 연결부(1)에 이어져 스태빌라이저 장착용 구멍(22)이 형성되는 장착부(2)를 구비한다.
연결부(1)는, 너클 브래킷(N)의 외주면에 기립한 상태에서 용접되어 너클 브래킷(N)의 축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축방향 연결편(10)을 구비한다. 장착부(2)는 축방향 연결편(10)으로부터 너클 브래킷(N)의 축방향 상측(일측)으로 연장되는 연장편(20)과, 연장편(20)의 완충기 반대측 단부로부터 경사져 연장되는 장착편(21)을 구비한다. 구멍(22)은 장착편(21)에 형성된다.
따라서, 스태빌라이저 장착용 구멍(22)이, 연결부(1)의 용접 구간(용접 상단부로부터 용접 하단부까지의 구간)(Y)으로부터 축방향(도 1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벗어난 범위에 있었다고 해도, 구멍(22)이 형성되는 장착편(21)을 축방향 연결편(10)에 이어지는 연장편(20)으로 보강할 수 있다. 따라서, 장착편(21)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는 너클 브래킷(N)의 외주면에 기립한 상태에서 용접되어 너클 브래킷(N)의 주위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주위 방향 연결편(11)을 구비한다. 주위 방향 연결편(11)은 축방향 연결편(10)에 이어져 있다.
따라서, 너클 브래킷(N)과 스태빌라이저 브래킷(A)의 용접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연결부(1)는 축방향 연결편(10)의 완충기 반대측 단부로부터 경사져 연장되는 지지편(12)을 구비한다. 지지편(12)은, 장착편(21)과 상기 주위 방향 연결편(11)에 이어져 있다.
따라서, 지지편(12)에 의해서도 장착편(21)을 보강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장착편(21)의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축방향 연결편(10)과 주위 방향 연결편(11)은 이어져 있다. 그리고, 축방향 연결편(10)과 주위 방향 연결편(11)과 상기 지지편(12)은 3면각을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연결부(1)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본 실시 형태와 같이, 1매의 판재를 프레스 성형함으로써 스태빌라이저 브래킷(A)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축방향 연결편(10)과 주위 방향 연결편(11)과 지지편(12)에서 3면각을 구성함으로써, 스태빌라이저 브래킷(A)의 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축방향 연결편(10)은 너클 브래킷(N)의 외주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된다. 주위 방향 연결편(11)은 너클 브래킷(N)의 외주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축방향 연결편(10)과 너클 브래킷(N)의 용접이나, 주위 방향 연결편(11)과 너클 브래킷(N)의 용접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축방향 연결편(10)의 완충기측 단부(10a)는 너클 브래킷(N)의 외주면에 축방향으로 연속하여 접촉한다. 주위 방향 연결편(11)의 완충기측 단부(11a)는, 너클 브래킷(N)의 외주면에 주위 방향으로 연속하여 접촉한다.
따라서, 축방향 연결편(10)과 너클 브래킷(N)은 접촉부를 따라 용접되고, 주위 방향 연결편(11)과 너클 브래킷(N)은 접촉부에 따라 용접되므로, 연속 필렛 용접에 의해 용이하게 용접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축방향 연결편(10)과 연장편(20)은 서로 경사져 배치된다. 지지편(12)과 장착편(21)도 역시 서로 경사져 배치된다.
따라서, 스태빌라이저 브래킷(A)의 강도를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스태빌라이저 브래킷(A)은, 완충기의 외통(T)에 장착되는 너클 브래킷(N)에 장착된다. 그로 인해, 스프링 시트(S)와 너클 브래킷(N)이 접근하는 등, 완충기의 외통(T)에 스태빌라이저 브래킷(A)을 장착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없는 경우에, 특히 유효하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이하에 나타내는 효과를 발휘한다.
스태빌라이저 브래킷(A)에서는, 구멍(22)이 형성되는 장착편(21)은, 축방향 연결편(10)에 이어지는 연장편(20)에 의해 보강된다. 따라서, 스태빌라이저 장착용 구멍(22)이 연결부(1)의 용접 범위로부터 축방향으로 벗어나 있는 경우에도, 구멍(22)이 형성되는 장착편(21)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구멍(22)이 형성되는 장착편(21)의 강도가 부족한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상기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적용예의 일부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상기 실시 형태의 구체적 구성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스태빌라이저 브래킷(A)은, 너클 브래킷(N)에 용접 고정되어 있다. 이 대신에, 스태빌라이저 브래킷(A)이 완충기의 외주(T)에 용접 고정되도록 해도 되고, 또한 스태빌라이저 브래킷(A)이 너클 브래킷(N) 이외의 통 형상체에 용접 고정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너클 브래킷(N)은, 1매의 판재를 프레스 성형함으로써 형성된다. 이 대신에, 너클 브래킷(N)을, 프레스 성형 이외의 방법에 의해 형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연결부(1)는 축방향 연결편(10) 외에, 주위 방향 연결편(11) 및 지지편(12)을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연결부(1)의 구성이나 형상을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축방향 연결편(10)과 주위 방향 연결편(11)이 직접적으로 이어지는 것이 아니라, 지지편(12)을 통해 간접적으로 이어지도록 하여, 축방향 연결편(10)과 주위 방향 연결편(11)과 지지편(12)이 3면각을 구성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또한, 장착부(2)를 구성하는 연장편(20)이나 장착편(21)의 형상이나 경사 각도도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연장편(20)과 축방향 연결편(10)이 경사져 배치되고, 장착편(21)과 지지편(12)이 경사져 배치된다. 그러나, 연장편(20)과 축방향 연결편(10)이 동일 직선상에 배치되도록 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장착편(21)과 지지편(12)이 동일 직선상에 배치되도록 해도 된다.
본원은, 2012년 9월 18일에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2-204109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이 출원의 모든 내용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Claims (12)

  1. 완충기에 스태빌라이저를 장착하기 위한 스태빌라이저 브래킷이며,
    상기 완충기의 외통의 외주면 또는 상기 외통에 장착되는 통 형상체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이어져 상기 스태빌라이저 장착용 구멍이 형성되는 장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외통 또는 상기 통 형상체의 외주면에 기립한 상태에서 고정되고 상기 외통 또는 상기 통 형상체의 축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축방향 연결편을 구비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축방향 연결편으로부터 상기 외통 또는 상기 통 형상체의 축방향 일측으로 연장되는 연장편과,
    상기 연장편의 완충기 반대측 단부로부터 경사져 연장되는 장착편을 구비하고,
    상기 구멍은, 상기 장착편에 형성되는, 스태빌라이저 브래킷.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외통 또는 상기 통 형상체의 외주면에 기립한 상태에서 고정되고 상기 외통 또는 상기 통 형상체의 주위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주위 방향 연결편을 구비하고,
    상기 주위 방향 연결편은, 상기 축방향 연결편에 이어지는, 스태빌라이저 브래킷.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축방향 연결편의 완충기 반대측 단부로부터 경사져 연장되는 지지편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편은, 상기 장착편 및 상기 주위 방향 연결편에 이어지는, 스태빌라이저 브래킷.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연결편과 상기 주위 방향 연결편이 이어져 있고, 상기 축방향 연결편과 상기 주위 방향 연결편과 상기 지지편이 3면각을 구성하는, 스태빌라이저 브래킷.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연결편은, 상기 외통 또는 상기 통 형상체의 외주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는, 스태빌라이저 브래킷.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연결편의 완충기측 단부는, 상기 외통 또는 상기 통 형상체의 외주면에 축방향으로 연속하여 접촉하고, 당해 접촉부를 따라 용접되는, 스태빌라이저 브래킷.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위 방향 연결편은, 상기 외통 또는 상기 통 형상체의 외주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는, 스태빌라이저 브래킷.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위 방향 연결편의 완충기측 단부는, 상기 외통 또는 상기 통 형상체의 외주면에 주위 방향으로 연속하여 접촉하고, 당해 접촉부를 따라 용접되는, 스태빌라이저 브래킷.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연결편과 상기 연장편이 서로 경사져 배치되는, 스태빌라이저 브래킷.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과 상기 장착편이 서로 경사져 배치되는, 스태빌라이저 브래킷.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기의 외통에 장착된 너클 브래킷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통 형상체에 장착되는, 스태빌라이저 브래킷.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태빌라이저 브래킷을 구비하는, 완충기.
KR1020147016312A 2012-09-18 2013-08-30 스태빌라이저 브래킷 및 완충기 KR1015114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04109 2012-09-18
JP2012204109A JP5452683B1 (ja) 2012-09-18 2012-09-18 スタビライザブラケット
PCT/JP2013/073384 WO2014045845A1 (ja) 2012-09-18 2013-08-30 スタビライザブラケ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6125A KR20140096125A (ko) 2014-08-04
KR101511482B1 true KR101511482B1 (ko) 2015-04-10

Family

ID=50341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6312A KR101511482B1 (ko) 2012-09-18 2013-08-30 스태빌라이저 브래킷 및 완충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452683B1 (ko)
KR (1) KR101511482B1 (ko)
CN (1) CN103998264B (ko)
IN (1) IN2014KN02971A (ko)
WO (1) WO20140458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86776B (zh) * 2015-05-05 2017-01-25 安徽江淮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稳定杆连杆支架
JP2022083482A (ja) * 2020-11-25 2022-06-06 Kyb株式会社 緩衝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9527A (ja) * 1996-10-16 1998-05-12 Kayaba Ind Co Ltd スタビライザブラケットの油圧緩衝器への結合構造
JP2001182772A (ja) 1999-10-15 2001-07-06 Showa Corp 倒立型油圧緩衝器
JP2005155773A (ja) 2003-11-26 2005-06-16 Toyota Motor Corp ブラケット
US20110085848A1 (en) 2009-10-08 2011-04-14 Hyundai Motor Company Stabilizer link mounting unit for shock absorbe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6336A (ja) * 1995-12-04 1997-06-17 Hino Motors Ltd 車輛のリーフスプリング用ブラケット
DE10036048B4 (de) * 1999-08-18 2010-04-22 Zf Sachs Ag Federbein mit einem Achsschenkel
US6305701B1 (en) * 1999-08-31 2001-10-23 Delphi Technologies, Inc. One piece mounting bracket for automotive suspension dampers, including attachment for stabilizer bar
US6692012B2 (en) * 2001-03-09 2004-02-17 Delphi Technologies, Inc. Vehicle damper assembly and method
JP5480011B2 (ja) * 2010-05-18 2014-04-23 富士重工業株式会社 サスペンション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9527A (ja) * 1996-10-16 1998-05-12 Kayaba Ind Co Ltd スタビライザブラケットの油圧緩衝器への結合構造
JP2001182772A (ja) 1999-10-15 2001-07-06 Showa Corp 倒立型油圧緩衝器
JP2005155773A (ja) 2003-11-26 2005-06-16 Toyota Motor Corp ブラケット
US20110085848A1 (en) 2009-10-08 2011-04-14 Hyundai Motor Company Stabilizer link mounting unit for shock absor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452683B1 (ja) 2014-03-26
IN2014KN02971A (ko) 2015-05-08
WO2014045845A1 (ja) 2014-03-27
KR20140096125A (ko) 2014-08-04
CN103998264B (zh) 2016-03-09
CN103998264A (zh) 2014-08-20
JP2014058220A (ja) 2014-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75508B2 (ja) 車両の車体前部構造
JP2015155255A (ja) 自動車のリヤサブフレーム構造
CN104670331A (zh) 悬架框
KR101511482B1 (ko) 스태빌라이저 브래킷 및 완충기
JP6035315B2 (ja) サスペンション用トーションビーム
CN108860318B (zh) 车辆副车架
JP2014118094A (ja) 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
JP6042231B2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JP2018199430A (ja) 車体前部構造
JP2010195257A (ja) 車両の後部車体構造
KR101361246B1 (ko) 자동차의 커플드 토션 빔 액슬
JP6497343B2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構造
JP6234842B2 (ja) トーションビーム式サスペンション
JP6066102B2 (ja) 自動車のリヤサブフレーム構造
JP5649129B2 (ja) 車両の車体フレーム構造
JP6946862B2 (ja) ロアアームフィックスボルト保護装置
JP2006248256A (ja) トレーリングアーム構造
JP2009234355A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サブフレーム構造
JP2010047041A (ja) サスペンション用ブッシュ
KR101916050B1 (ko) 차량용 쇽 업소버 보강유닛
JP6035316B2 (ja) サスペンション用トーションビーム
KR101261951B1 (ko) 차량용 프레임 보강유닛
JP5641245B2 (ja) リヤアクスル
JP2024075808A (ja) 支持ブラケット
KR102101653B1 (ko) 리어 로어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