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1466B1 - 붐 스프레이어 및 붐 제진장치 - Google Patents

붐 스프레이어 및 붐 제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1466B1
KR101511466B1 KR20140003133A KR20140003133A KR101511466B1 KR 101511466 B1 KR101511466 B1 KR 101511466B1 KR 20140003133 A KR20140003133 A KR 20140003133A KR 20140003133 A KR20140003133 A KR 20140003133A KR 101511466 B1 KR101511466 B1 KR 101511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fluid pressure
rolling direction
rolling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03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1656A (ko
Inventor
다쓰오 이토
다카노리 이나다
다카노부 요시다
도모미치 미주카미
아쓰시 오오타
다이키 시바사키
마사키 아카시
야스오 다나카
Original Assignee
카야바 고교 가부시기가이샤
케이와이비 엔지니아링 안도 사비스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야바 고교 가부시기가이샤, 케이와이비 엔지니아링 안도 사비스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카야바 고교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91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1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1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1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20Arrangements of several outlets along elongated bodies, e.g. perforated pipes or troughs, e.g. spray booms; Outlet elemen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A01M7/0053Mounting of the spraybooms
    • A01M7/0057Mounting of the spraybooms with active regulation of the boom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23/00Distribu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manure or other fertilising liquid, including ammonia, e.g. transport tanks or sprinkling wagons
    • A01C23/008Tanks, chassis or relate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05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mounted on vehicles or designed to apply a liquid on a very large surface, e.g. on the road, on the surface of large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1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A01B63/1006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the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structurally belonging to the tract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Soi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Abstract

작업차(90)에 캔틸레버 지지되는 붐(4)의 진동을 억제하는 붐 제진장치(9, 109, 209, 309)는, 작업차(90)에 대하여 붐(4)을 왼쪽 롤링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왼쪽 롤링 방향 부세부(51, 251)와, 작업차(90)에 대하여 붐(4)을 오른쪽 롤링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오른쪽 롤링 방향 부세부(61, 261)를 구비한다. 왼쪽 롤링 방향 부세부(51, 251)의 미는 힘과 오른쪽 롤링 방향 부세부(61, 261)의 미는 힘이 평형을 이루는 롤링 각도에서 붐(4)이 유지된다.

Description

붐 스프레이어 및 붐 제진장치{BOOM SPRAYER AND BOOM VIBRATION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붐 스프레이어(Boom sprayer) 및 붐 제진장치(Boom vibration control device)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붐 스프레이어를 개시하고 있다. 이 붐 스프레이어는, 작업차의 전방 측에 설치되는 승강 링크 기구에 의하여 승강하는 붐 지지 프레임과, 붐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어 전후방향으로 연장하는 요동(搖動) 축과, 요동 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캔틸레버(Cantilever) 지지되는 좌우의 붐과, 붐 지지 프레임과 붐과의 사이에 개재되는 유압 실린더와, 작업차의 경사 각도를 검지하는 경사 센서와, 붐 지지 프레임에 대한 붐 요동 각도를 검지하는 요동각 센서와, 유압 실린더의 신축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한다.
붐 스프레이어의 작업시, 작업차가 롤링 방향으로 기우는 경우에는, 승강 링크 기구에 지지된 붐도 같은 방향으로 기울려고 한다. 제어장치는, 경사 센서 및 요동각 센서의 검출 신호에 따라 좌우 붐의 경사 각도가 설정치가 되도록 유압 실린더의 신축을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붐이 수평 자세 혹은 설정된 경사 자세로 유지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JP2004-254526
작업차가 논밭에 있는 밭두둑 등의 요철을 넘으면서 주행하는 경우에는, 작업차가 전후 축 주위에 회동하는 롤링 방향의 회동 운동을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제어장치에 의하여 신축이 제어되는 유압 실린더가, 작업차의 차체로부터 붐에 입력되는 고주파의 진동을 흡수할 수 없어, 붐이 롤링 방향의 회동 운동을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진동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이 발명의 목적은, 붐이 롤링 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을 억제 가능한 붐 스프레이어 및 붐 제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작업차에 캔틸레버 지지되는 붐의 진동을 억제하는 붐 제진장치로서, 상기 작업차에 대하여 상기 붐을 왼쪽 롤링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왼쪽 롤링 방향 부세부와, 상기 작업차에 대하여 상기 붐을 오른쪽 롤링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오른쪽 롤링 방향 부세부를 구비하고, 상기 왼쪽 롤링 방향 부세부의 미는 힘과 상기 오른쪽 롤링 방향 부세부의 미는 힘이 평형을 이루는 롤링 각도에서 상기 붐이 유지되는 붐 제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붐 제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붐이 좌우 롤링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에 연동하여 신축 작동하는 유체압 실린더와, 상기 유체압 실린더를 가압하는 압축 가스를 비축하는 축압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유체압 실린더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작업차 및 상기 붐의 한쪽에 연결되어 작동 유체가 봉입되는 실린더 튜브와, 상기 작업차 및 상기 붐의 다른 쪽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 튜브 내에 삽입되는 피스톤 로드와, 상기 피스톤 로드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 튜브의 내측을 헤드 측실과 보텀 측실로 구분하는 피스톤을 가진다.
상기 축압부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헤드 측실 및 상기 보텀 측실의 한쪽을 가압하는 압축 가스를 비축하는 제 1 축압부와, 상기 헤드 측실 및 상기 보텀 측실의 다른 쪽을 가압하는 압축 가스를 비축하는 제 2 축압부를 가지고, 상기 왼쪽 롤링 방향 부세부는 상기 제 1 축압부이고, 상기 오른쪽 롤링 방향 부세부는 상기 제 2 축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체압 실린더는, 제 1 유체압 실린더 및 제 2 유체압 실린더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유체압 실린더는, 상기 작업차 및 상기 붐의 한쪽에 연결되어 작동 유체가 봉입되는 제 1 실린더 튜브와, 상기 작업차 및 상기 붐의 다른 쪽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실린더 튜브 내에 삽입되는 제 1 피스톤 로드를 가진다. 상기 제 2 유체압 실린더는, 상기 작업차 및 상기 붐의 한쪽에 연결되어 작동 유체가 봉입되는 제 2 실린더 튜브와, 상기 작업차 및 상기 붐의 다른 쪽에 연결되어 상기 제 2 실린더 튜브 내에 삽입되는 제 2 피스톤 로드를 가진다.
또한, 상기 축압부는, 상기 제 1 실린더 튜브의 내측을 가압하는 압축 가스를 비축하는 제 1 축압부와, 상기 제 2 실린더 튜브의 내측을 가압하는 압축 가스를 비축하는 제 2 축압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붐 제진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축압부를 가지는 어큐뮬레이터와, 상기 유체압 실린더가 신축하는 것에 수반하여 상기 어큐뮬레이터로 출입하는 작동 유체에 저항을 부여하는 스로틀(Throttle)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붐 제진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체압 실린더에 작동 유체를 공급 배출함으로써 상기 붐을 좌우 롤링 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붐의 롤링 각도를 조정하는 롤링 각 조정 기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붐 제진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붐의 롤링 각도를 검지하는 롤링 각도 검지기와, 검지되는 상기 붐의 롤링 각도에 따라 상기 유체압 실린더로 공급 배출되는 작동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여 상기 붐의 롤링 각도를 설정 롤링 각도로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붐 제진장치를 구비하여 방제액을 살포하는 붐 스프레이어이다.
본 발명의 붐 제진장치 및 붐 스프레이어에 의하면, 붐이 롤링 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을 억제 가능하고,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붐 스프레이어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붐 스프레이어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붐 스프레이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붐 제진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붐 제진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붐 제진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붐 제진장치의 구성도이다.
한편, 설명의 편의상, 첨부 도면상에 서로 직교하는 X, Y, Z의 3축을 설정했다. X축은 차량의 전후방향(대략 수평 세로 방향), Y축은 차량의 좌우 방향(대략 수평 가로 방향), Z축은 차량의 상하 방향(대략 연직 방향)으로 연장한다. X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방향을 롤링 방향이라고 칭하고, Z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방향을 요(Yaw) 방향이라고 칭한다.
먼저, 제 1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붐 스프레이어(1)는, 논밭을 주행하는 작업차(트랙터)(90)의 전방 측에 탑재되고, 작업차(90)로부터 방제액(농약)을 살포하는 농업용 작업기이다.
붐 스프레이어(1)는, 작업차(90)로부터 좌우로 연장되는 한 쌍의 붐(4)을 구비한다. 붐(4)에는, 방제액을 살포하는 노즐(도시하지 않음)이 부착되어 있다. 붐 스프레이어(1)의 작업시에는, 작업차(90)가 논밭을 주행하면서 붐(4)의 노즐로부터 방제액이 살포된다.
붐 스프레이어(1)는, 차체(91)에 장착된 링크 아암(2)과, 링크 아암(2)에 의하여 차체(91)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는 승강대(3)와, 승강대(3)에 대하여 롤링 방향(X축주위)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롤링대(5)와, 롤링대(5)로부터 차체(91)의 좌우 측방(Y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붐(4)을 구비한다.
롤링대(5)는, 승강대(3)에 대하여 좌우 붐(4)을 각각 캔틸레버 지지하는 붐(4)의 지지부를 구성한다.
붐(4)의 기단부(4A)는, 격납 힌지(도시 생략)를 통하여 요 방향(Z축 주위)으로 회동 가능하게 롤링대(5)에 캔틸레버 지지된다. 붐(4)의 선단부(4B)는 자유단이다. 붐(4)은, 기단부(4A)를 가지는 기단측 프레임(15)과 선단부(4B)를 가지는 선단측 프레임(16)을 가지고, 선단측 프레임(16)이 기단측 프레임(15)에 신축 가능하게 지지된다.
좌우의 붐(4)은, 도 1에 나타내는 전개 상태로 작업차(90)의 좌우 수평 방향으로 신장한다. 이 전개 상태에서는, 좌우의 붐(4)의 선단 사이의 길이(폭)는, 예를 들면 10∼20미터이다. 붐(4)을 격납할 때에는, 붐(4)이 작업 위치로부터 대략 절반의 돌출 길이가 되도록 수축시킨 후에, 격납 힌지를 통하여 후방으로 회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붐(4)은, 차체(91)의 측방을 따라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접혀진다.
롤링대(5)는, 승강대(3)에 지지축(6)을 통하여 롤링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지지축(6)은, 원기둥 형상의 핀이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구면 베어링 등을 이용해도 좋다.
도 2는, 붐 스프레이어(1)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승강대(3) 근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붐 스프레이어(1)는, 차체(91)의 좌우 양측부에 한 쌍의 링크 아암(2)을 구비한다. 링크 아암(2)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상부 링크(21)와 하부 링크(22)를 가지고, 측면에서 보아, 평행사변형 모양의 링크 기구를 구성한다.
상부 링크(21)는, 기단부가 핀(12)을 통하여 차체(9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선단부가 핀(11)을 통하여 승강대(3)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하부 링크(22)는, 기단부가 핀(14)을 통하여 차체(9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선단부가 핀(13)을 통하여 승강대(3)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각 링크 아암(2)은, 승강대(3)를 차체(91)의 앞부분에서 승강 가능하게 지지된다. 한편, 이것을 대신하여, 차체(91)의 앞부분에 Z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이드 레일을 설치하고, 이 가이드 레일에 의하여 승강대(3)가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차체(91)의 좌우 양측에는, 승강 실린더(40)가 한 쌍 설치된다. 각 승강 실린더(40)는, 차체(91)와 상부 링크(21)와의 사이에 개재되고, 각각의 신축에 의하여 승강대(3) 및 붐(4)을 승강하는 액추에이터이다.
승강 실린더(40)는, 작동 오일이 봉입된 실린더 튜브(41)와, 실린더 튜브(4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 피스톤 로드(42)와, 피스톤 로드(42)의 기단부에 설치되는 피스톤(43)을 구비한다. 실린더 튜브(41)의 기단부는 구면 베어링(46)을 통하여 차체(9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피스톤 로드(42)의 선단부는 구면 베어링(47)을 통하여 상부 링크(2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구면 베어링(46, 47)은, 예를 들면 볼 및 구면 베어링에 의하여 구성된다. 승강 실린더(40)의 연결부는, 구면 베어링(46, 47)에 의하여 지레형 반력(Prying force)이 생기지 않도록 되어 있다.
실린더 튜브(41)의 내측은, 피스톤(43)에 의하여 보텀 측실(44)과 헤드 측실(45)로 구획된다. 보텀 측실(44) 및 헤드 측실(45)에는, 작동유체 공급 배출 장치(70)(도 4)에 의하여 작동 오일이 공급 배출된다. 승강 실린더(40)는, 작동 오일의 공급 배출에 따라 신축된다. 즉, 승강 실린더(40)는 복동형(複動形) 유체압 실린더이다. 한편, 이것에 대신하여, 보텀 측실(44) 및 헤드 측실(45)의 한쪽으로만 작동 오일이 공급 배출되는 단동형(單動形) 유체압 실린더를 승강 실린더(40)로서 이용해도 좋다.
붐(4)의 높이를 바꾸는 경우, 좌우의 승강 실린더(40)를 서로 동기(同期)하여 신축시킴으로써, 좌우의 링크 아암(2)을 회동시켜 승강대(3) 및 붐(4)을 차체(91)에 대하여 승강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승강 실린더(40)가 신장하면, 링크 아암(2)이 상방으로 회동하고, 승강대(3) 및 붐(4)이 상승한다. 한편, 승강 실린더(40)가 수축하면, 링크 아암(2)이 하방으로 회동하고, 승강대(3) 및 붐(4)이 하강한다. 붐 스프레이어(1)는, 승강 실린더(40)를 신축시킴으로써, 논밭의 작물에 대한 붐(4)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승강대(3)와 붐(4)과의 사이에는, 붐 제진장치(9)가 설치된다. 붐 제진장치(9)는, 붐(4)의 롤링 방향의 진동을 억제함으로써, 붐(4)의 선단부(4B)의 상하 방향의 진동을 억제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 3, 도 4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차(90)를 전방에서 보아 X축을 중심으로 하는 좌회전 방향을 오른쪽 롤링 방향(정롤링 방향)이라 칭하고, 우회전 방향을 왼쪽 롤링 방향(역롤링 방향)이라 칭한다.
도 4는, 붐 제진장치(9)의 개략 구성도이다. 붐 제진장치(9)는, 붐(4)이 좌우 롤링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에 연동하여 신축하는 1개의 유체압 실린더(30)를 구비한다.
유체압 실린더(30)는, 작동 오일이 봉입된 실린더 튜브(31)와, 실린더 튜브(31)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 피스톤 로드(32)를 구비한다.
한편, 유체압 실린더(30)는, 작동 유체로서 작동 오일을 이용하지만, 작동 오일 대신에 예를 들면 수용성 대체액 등의 작동액을 이용해도 좋고, 가스를 이용해도 좋다.
실린더 튜브(31)는, 구면 베어링(39)을 통하여 승강대(3)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피스톤 로드(32)의 선단부는, 구면 베어링(37)을 통하여 롤링대(5)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실린더 튜브(31)가 승강대(3)를 통하여 작업차(90)에 연결되고, 피스톤 로드(32)가 롤링대(5)를 통하여 붐(4)에 연결된다. 이것에 의해, 붐(4)이 롤링 방향으로 회동하면, 유체압 실린더(30)가 신축한다.
한편, 상기 구성을 대신하여, 피스톤 로드(32)가 승강대(3)를 통하여 작업차(90)에 연결되고, 실린더 튜브(31)가 롤링대(5)를 통하여 붐(4)에 연결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피스톤 로드(32)의 중간 정도에는, 피스톤(33)이 설치된다. 실린더 튜브(31)의 내측은, 피스톤(33)에 의하여 헤드 측실(35)과 보텀 측실(34)로 구획된다.
헤드 측실(35)에는, 제 1 어큐뮬레이터(50)가 접속된다. 헤드 측실(35)의 작동 오일은, 붐(4)이 롤링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에 수반하여 제 1 어큐뮬레이터(50)로 출입한다. 제 1 어큐뮬레이터(50)는, 헤드 측실(35)에 연결하여 통하는 오일 실(52)과, 오일 실(52)을 가압하는 압축 가스를 비축하는 제 1 축압부(51)를 구비한다. 제 1 축압부(51)는, 헤드 측실(35)을 가압하여 붐(4)을 왼쪽 롤링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왼쪽 롤링 방향 부세부를 구성한다.
보텀 측실(34)에는, 제 2 어큐뮬레이터(60)가 접속된다. 보텀 측실(34)의 작동 오일은, 붐(4)이 롤링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에 수반하여 제 2 어큐뮬레이터(60)로 출입한다. 제 2 어큐뮬레이터(60)는, 보텀 측실(34)에 연결하여 통하는 오일 실(62)과, 오일 실(62)을 가압하는 압축 가스를 비축하는 제 2 축압부(61)를 구비한다. 제 2 축압부(61)는, 보텀 측실(34)을 가압하여 붐(4)을 오른쪽 롤링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오른쪽 롤링 방향 부세부를 구성한다.
붐(4)이 왼쪽 롤링 방향으로 회동하는 유체압 실린더(30)의 수축시에는, 수축하는 보텀 측실(34)의 작동 오일이 제 2 어큐뮬레이터(60)로 유입되는 한편, 제 1 어큐뮬레이터(50)의 작동 오일이 확장되는 헤드 측실(35)에 유입된다. 반대로, 붐(4)이 오른쪽 롤링 방향으로 회동하는 유체압 실린더(30)의 신장시에는, 제 2 어큐뮬레이터(60)의 작동 오일이 확장되는 보텀 측실(34)로 유입되는 한편, 수축하는 헤드 측실(35)의 작동 오일이 제 1 어큐뮬레이터(50)에 유입된다.
이와 같이, 붐(4)이 좌우 롤링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에 수반하여 제 1 어큐뮬레이터(50)와 제 2 어큐뮬레이터(60)에 동량의 작동 오일이 공급 배출되기 때문에, 제 1 어큐뮬레이터(50)와 제 2 어큐뮬레이터(60)와의 사이에 가스 압력차이가 생긴다. 붐(4)은, 제 1 어큐뮬레이터(50)의 가스 압력에 의하여 왼쪽 롤링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미는 힘과, 제 2 어큐뮬레이터(60)의 가스 압력에 의하여 오른쪽 롤링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미는 힘이 평형을 이루는 위치에서 유지된다.
유체압 실린더(30)는, 피스톤 로드(32)가 실린더 튜브(31)의 양단으로부터 돌출하는 양 로드 타입이다. 이것에 의해, 유체압 실린더(30)가 신축할 경우에, 보텀 측실(34)과 제 2 어큐뮬레이터(60)와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작동 오일의 유량과, 헤드 측실(35)과 제 1 어큐뮬레이터(50)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작동 오일의 유량이 동일해지고, 제 1 어큐뮬레이터(50)의 가스 압력이 증감하는 변화분과 제 2 어큐뮬레이터(60)의 가스 압력이 증감하는 변화분이 서로 동일해진다.
한편, 상술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실린더 튜브(31) 내에, 압축 가스가 봉입되는 헤드측 가스실과 보텀측 가스실이 각 프리 피스톤을 통하여 각각 구획하여 형성되고, 가스실의 가스 압력에 의하여 피스톤(33)을 중립 위치로 힘을 가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제 1 어큐뮬레이터(50)의 오일 실(52)과 헤드 측실(35)을 연결하여 통하는 통로에는, 스로틀(Throttle)로서 감쇠 밸브(53)가 개재된다. 감쇠 밸브(53)는, 유체압 실린더(30)가 신축하는 것에 수반하여 헤드 측실(35)로부터 오일 실(52)로 출입하는 작동 오일의 흐름에 저항을 부여한다. 이것에 의해, 붐(4)의 롤링 방향의 진동을 억제하는 감쇠력이 발생한다.
제 2 어큐뮬레이터(60)의 오일 실(62)과 보텀 측실(34)을 연결하여 통하는 통로에는, 스로틀로서, 감쇠 밸브(63)가 개재된다. 감쇠 밸브(63)는, 유체압 실린더(30)가 신축하는 것에 수반하여 보텀 측실(34)로부터 오일 실(62)로 출입하는 작동 오일의 흐름에 저항을 부여함으로써, 붐(4)의 롤링 방향의 진동을 억제하는 감쇠력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감쇠 밸브(53, 63)는, 유체압 실린더(30)로 출입하는 작동 오일에 저항을 부여하여, 붐(4)이 롤링 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감쇠 기능을 완수한다. 감쇠 밸브(53, 63)는, 통과하는 작동 오일의 유속이 높아짐에 따라 개구 면적이 증대하는 가변 스로틀이다. 한편, 제 1 어큐뮬레이터(50)의 오일 실(52)과 헤드 측실(35)을 연결하여 통하는 통로 및 제 2 어큐뮬레이터(60)의 오일 실(62)과 보텀 측실(34)을 연결하여 통하는 통로에는, 감쇠 밸브(53, 63)를 대신하여, 오리피스(Orifice) 등의 고정 스로틀을 개재하고, 그 스로틀 유로 면적 또는 스로틀 유로 길이를 수동으로 조정 가능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붐 스프레이어(1)는, 유체압 실린더(30)에 대하여 작동 오일을 공급 배출하는 작동 유체 공급 배출 장치(70)를 구비한다. 작동 유체 공급 배출 장치(70)는, 유체압 실린더(30)에 작동 오일을 공급 배출함으로써 유체압 실린더(30)를 신축시켜서, 붐(4)의 설정 롤링 각도를 조절한다.
작동 유체 공급 배출 장치(70)는, 유체압 실린더(30)의 보텀 측실(34)로 연결하여 통하는 공급 배출 통로(71)와, 공급 배출 통로(71)에 개재되는 오퍼레이트 체크 밸브(Operate check valve, 72)와, 공급 배출 통로(71)에 대한 유압 펌프(74)(유체압원)와 탱크(75)와의 연결하는 것을 전환하는 방향 전환 밸브(77)를 구비한다.
방향 전환 밸브(77)에는, 유압 펌프(74)로부터 토출되는 작동 오일을 유도하는 공급 통로(78)와, 탱크(75)에 작동 오일을 되돌리는 배출 통로(79)와, 오퍼레이트 체크 밸브(72)의 파일롯 압실로 연결하는 오퍼레이트 통로(73)와, 보텀 측실(34)로 연결하는 공급 배출 통로(71)가 접속된다.
방향 전환 밸브(77)는, 왼쪽 롤링 포지션(a)과, 오른쪽 롤링 포지션(b)과, 중립 포지션(c)을 가지고, 운전자가 레버(76)를 조작함으로써 이들 포지션으로 전환된다.
방향 전환 밸브(77)가 왼쪽 롤링 포지션(a)으로 전환되면, 공급 통로(78)와 오퍼레이트 통로(73)가 연결하여 통함과 함께, 공급 배출 통로(71)와 배출 통로(79)가 연결하여 통한다. 유압 펌프(74)의 토출압은, 파일롯 압으로서 오퍼레이트 통로(73)를 통하여 오퍼레이트 체크 밸브(72)로 유도되어, 오퍼레이트 체크 밸브(72)가 열린다. 또한, 보텀 측실(34)의 작동 오일이 공급 배출 통로(71), 배출 통로(79)를 통하여 탱크(75)로 배출된다. 이것에 의해, 유체압 실린더(30)의 피스톤(33)이 상방으로 이동하고, 붐(4)이 왼쪽 롤링 방향으로 회동한다.
방향 전환 밸브(77)가 오른쪽 롤링 포지션(b)으로 전환되면, 배출 통로(79)와 오퍼레이트 통로(73)가 연결하여 통함과 함께, 공급 배출 통로(71)와 공급 통로(78)가 연결하여 통한다. 유압 펌프(74)로부터 토출되는 작동 오일은, 공급 통로(78), 공급 배출 통로(71)를 통하여 보텀 측실(34)로 유입된다. 이것에 의해, 유체압 실린더(30)의 피스톤(33)이 하방으로 이동하고, 붐(4)이 오른쪽 롤링 방향으로 회동한다.
방향 전환 밸브(77)가 중립 포지션(c)으로 전환되면, 공급 통로(78), 배출 통로(79), 오퍼레이트 통로(73) 및 공급 배출 통로(71)가 각각 폐색된다. 이것에 의해, 보텀 측실(34)의 작동 오일의 출입이 차단됨과 함께 오퍼레이트 체크 밸브(72)가 닫히므로, 유체압 실린더(30)에 있어서의 피스톤(33)의 이동이 정지하고, 붐(4)의 회동이 정지한다.
이와 같이, 운전자가 방향 전환 밸브(77)를 조작하여 붐(4)을 좌우 롤링 방향으로 회동시켜 정지시킴으로써, 붐(4)의 롤링 각도가 조정된다. 작동 유체 공급 배출 장치(70)는, 붐(4)을 롤링 방향으로 회동시켜 붐(4)의 롤링 각도를 조정하는 롤링 각 조정 기구를 구성한다.
한편, 작동 유체 공급 배출 장치(70)는, 유체압 실린더(30)의 보텀 측실(34)로 작동 오일을 공급 배출하여 붐(4)을 롤링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헤드 측실(35)로 작동 오일을 공급 배출하여 붐(4)을 롤링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 작동 유체 공급 배출 장치(70)는, 유체압 실린더(30)의 보텀 측실(34)로 작동 오일을 공급 배출함과 함께, 헤드 측실(35)로 작동 오일을 공급 배출하여 붐(4)을 롤링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보텀 측실(34)로 공급 배출되는 작동 오일의 유량과, 헤드 측실(35)로 공급 배출되는 작동 오일의 유량이, 동일해지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붐 스프레이어(1)의 작업시, 작업차(90)가 논밭을 주행하면서, 붐(4)의 노즐로부터 방제액이 살포된다. 이때, 좌우의 붐(4)은, 유체압 실린더(30)의 스트로크에 따라 제 1 축압부(51)와 제 2 축압부(61)와의 가스 압력이 평형을 이루는 위치(롤링 각도)에서 센터링 된다.
붐 스프레이어(1)의 작업시에, 예를 들면, 작업차(90)가 논밭의 요철을 넘으면서 주행하여, 작업차(90)의 자세가 롤링 방향으로 변화하는 경우에는, 유체압 실린더(30)를 통하여 롤링대(5)에 붐(4)을 롤링 방향으로 회동시키려고 하는 힘이 작용한다. 붐(4)은, 관성력에 의해 그 자리에 머물려고 하므로, 유체압 실린더(30)가 신축하여 작업차(90)의 기울기를 흡수한다. 유체압 실린더(30)가 작업차(90)의 기울기를 다 흡수하지 못하여, 제 1 축압부(51)와 제 2 축압부(61)와의 가스 압력차이에 의한 힘이 붐(4)의 관성력을 웃돌면, 붐(4)의 롤링 진동이 시작되지만, 감쇠 밸브(53, 63)에 의하여 롤링 진동이 신속하게 감쇠된다.
이와 같이, 유체압 실린더(30)가 신축함으로써 작업차(90)로부터 롤링대(5)로 작용하는 힘의 변화가 완화되기 때문에, 붐(4)이 롤링 방향으로 필요 이상으로 크게 회동하는 것이 억제되고, 붐(4)의 선단부(4B)가 논밭 등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감쇠 밸브(53, 63)는, 유체압 실린더(30)가 신축하는 것에 수반하여 제 1 어큐뮬레이터(50) 및 제 2 어큐뮬레이터(60)로 출입하는 작동 오일의 흐름에 저항을 부여하므로, 붐(4)이 롤링 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이 억제된다. 이것에 의해, 붐(4)의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방제액이 작물 등에 중복하여 살포되는 것이 억제되어, 방제액을 균일하게 살포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하에 나타내는 효과를 가져온다.
붐 제진장치(9)는, 작업차(90)에 대하여 붐(4)을 왼쪽 롤링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제 1 축압부(51)(왼쪽 롤링 방향 부세부)와, 작업차(90)에 대하여 붐(4)을 오른쪽 롤링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제 2 축압부(61)(오른쪽 롤링 방향 부세부)를 구비한다. 이것에 의해, 제 1 축압부(51)가 붐(4)을 왼쪽 롤링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가스 압력(미는 힘)과 제 2 축압부(61)가 붐(4)을 오른쪽 롤링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가스 압력(미는 힘)과의 차이에 의하여 붐(4)을 롤링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힘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붐(4)의 롤링 각도를 양 가스 압력이 평형을 이루는 위치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작업차(90)가 요철을 넘으면서 주행하여, 작업차(90)의 자세가 롤링 방향으로 변화하는 경우에는, 붐(4)이 그 자리에 머물려고 하는 관성력에 의하여 유체압 실린더(30)가 신축한다. 이것에 의해, 작업차(90)로부터 롤링대(5)로 작용하는 힘의 변화가 완화되어, 붐(4)이 롤링 방향으로 필요 이상으로 크게 회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붐(4)의 선단부(4B)가 논밭 등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붐 제진장치(9)는, 붐(4)이 좌우 롤링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에 연동하여 신축 작동하는 유체압 실린더(30)를 구비한다. 유체압 실린더(30)는, 작업차(90)의 승강대(3) 및 붐(4)의 한쪽에 연결되어 작동 유체가 봉입되는 실린더 튜브(31)와, 작업차(90)의 승강대(3) 및 붐(4)의 다른 쪽에 연결되어 실린더 튜브(31) 내에 삽입되는 피스톤 로드(32)와, 피스톤 로드(32)에 연결되어 실린더 튜브(31)의 내측을 헤드 측실(35)과 보텀 측실(34)로 구분하는 피스톤(33)을 구비한다. 붐 제진장치(9)에는, 왼쪽 롤링 방향 부세부로서, 압축 가스를 비축하여 헤드 측실(35)을 가압하는 제 1 축압부(51)가 설치되고, 오른쪽 롤링 방향 부세부로서, 압축 가스를 비축하여 보텀 측실(34)을 가압하는 제 2 축압부(61)가 설치된다. 이것에 의해, 붐 제진장치(9)는, 1개의 유체압 실린더(30)를 이용하여 붐(4)을 오른쪽 롤링 방향 및 왼쪽 롤링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으므로,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붐 제진장치(9)는, 축압부(51, 61)를 가지는 어큐뮬레이터(50, 60)와, 유체압 실린더(30)가 신축하는 것에 수반하여 어큐뮬레이터(50, 60)로 출입하는 작동 오일에 저항을 부여하는 감쇠 밸브(53, 63)(스로틀)를 구비한다. 이것에 의해, 감쇠 밸브(53, 63)가 작동 오일의 흐름에 부여하는 저항에 의하여 감쇠력이 발생하므로, 붐(4)이 롤링 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작동 유체 공급 배출 장치(70)는, 유체압 실린더(30)로 작동 오일을 공급 배출하여 붐(4)을 롤링 방향으로 회동시켜 붐(4)의 롤링 각도를 조정하는 롤링 각 조정 기구를 구성한다. 이것에 의해, 유체압 실린더(30)는, 붐(4)이 롤링 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완충기로서 기능함과 함께, 논밭의 경사 등에 대응하여 붐(4)의 설정 롤링 각도를 조정하는 액추에이터로서 기능하므로, 붐 제진장치(9)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2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붐 제진장치(109)의 개략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주로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점을 설명하고, 제 1 실시형태의 붐 스프레이어(1)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달아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작동 유체 공급 배출 장치(70)는 수동 전환식의 방향 전환 밸브(77)를 구비하는 것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작동 유체 공급 배출 장치(170)는 전자 전환식의 방향 전환 밸브(177)를 구비한다.
붐 제진장치(109)는, 수평선에 대한 붐(4)의 롤링 각도를 검지하는 롤링 각도 검지기(104)와, 붐(4)의 설정 롤링 각도를 지령하는 설정 롤링 각도 지령기(103)와, 방향 전환 밸브(177)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02)를 구비한다.
운전자가 설정 롤링 각도 지령기(103)를 조작하면, 설정 롤링 각도 지령기(103)로부터 붐(4)의 설정 롤링 각도를 지령하는 신호가 컨트롤러(102)로 송신된다. 컨트롤러(102)는, 롤링 각도 검지기(104) 및 설정 롤링 각도 지령기(103)로부터 보내지는 신호를 수신하고, 검지되는 붐(4)의 롤링 각도가 지령되는 설정 롤링 각도에 가까워지도록, 방향 전환 밸브(177)의 솔레노이드(105, 106)에 구동 전류를 보내고, 방향 전환 밸브(177)의 포지션을 전환하는 제어를 행한다. 작업차(90)의 자세 변화에 수반하여 붐(4)의 자세가 롤링 방향으로 변화하는 경우, 컨트롤러(102)가 롤링 각도 검지기(104)의 신호에 따라 방향 전환 밸브(177)를 전환하고, 유체압 실린더(30)로 공급 배출되는 작동 오일의 유량을 조절한다. 이것에 의해, 붐(4)의 롤링 각도가 지령되는 설정 롤링 각도 부근으로 유지된다.
붐 제진장치(109)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붐(4)이 롤링 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완충기로서 기능한다. 예를 들면, 작업차(90)가 논밭의 요철을 넘으면서 주행하고, 작업차(90)의 자세가 롤링 방향으로 변화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어큐뮬레이터(50) 및 제 2 어큐뮬레이터(60)의 작동에 의하여 붐(4)이 롤링 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하에 나타내는 효과를 가져온다.
붐 제진장치(109)는, 붐(4)의 롤링 각도를 검지하는 롤링 각도 검지기(104)와, 검지되는 붐(4)의 롤링 각도에 따라 유체압 실린더(30)로 공급 배출되는 작동 오일의 유량을 조절하여 붐(4)의 롤링 각도를 설정 롤링 각도에 일치시키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102)를 구비한다. 이것에 의해, 붐(4)의 롤링 각도를, 지령되는 설정 롤링 각도가 되도록 자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3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붐 제진장치(209)의 개략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주로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점을 설명하고, 제 1 실시형태의 붐 스프레이어(1)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달아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붐 제진장치(9)는, 1개의 유체압 실린더(30)를 이용하여 붐(4)을 좌우 롤링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것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붐 제진장치(209)는, 2개의 유체압 실린더(240, 230)를 이용하여 붐(4)을 좌우 롤링 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제 1 유체압 실린더(240)는, 작동 오일이 봉입된 제 1 실린더 튜브(241)와, 제 1 실린더 튜브(241)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 제 1 피스톤 로드(242)를 구비한다. 제 1 실린더 튜브(241)는, 구면 베어링(249)을 통하여 승강대(3)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 1 피스톤 로드(242)의 선단부는, 구면 베어링(247)을 통하여 롤링대(5)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제 1 실린더 튜브(241)가 승강대(3)를 통하여 작업차(90)에 연결되고, 제 1 피스톤 로드(242)가 롤링대(5)를 통하여 붐(4)에 연결된다. 이것에 의해, 제 1 유체압 실린더(240)는, 붐(4)이 롤링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에 수반하여 신축한다.
한편, 상술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제 1 피스톤 로드(242)가 승강대(3)를 통하여 작업차(90)에 연결되고, 제 1 실린더 튜브(241)가 롤링대(5)를 통하여 붐(4)에 연결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제 1 피스톤 로드(242)의 기단부에는, 피스톤(243)이 설치된다. 제 1 실린더 튜브(241)의 내측은, 피스톤(243)에 의하여 헤드 측실(245)과 보텀 측실(244)로 구획된다.
피스톤(243)에는, 헤드 측실(245)과 보텀 측실(244)과의 사이에서 작동 오일의 왕래를 허용하는 유로(248)가 형성된다. 제 1 유체압 실린더(240)는, 제 1 실린더 튜브(241) 내의 보텀 측실(244) 및 헤드 측실(245)에 대한 작동 오일의 공급 배출에 따라 신축하는 단동형 유체압 실린더이다.
보텀 측실(244)에는, 제 1 어큐뮬레이터(250)가 접속된다. 제 1 어큐뮬레이터(250)는, 보텀 측실(244)로 연결하여 통하는 오일 실(252)과, 오일 실(252)을 가압하는 압축 가스를 비축하는 제 1 축압부(251)를 구비한다. 제 1 축압부(251)는, 보텀 측실(244) 및 헤드 측실(245)을 가압하여 붐(4)을 왼쪽 롤링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왼쪽 롤링 방향 부세부를 구성한다. 붐(4)이 롤링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에 수반하여, 보텀 측실(244)의 작동 오일이 제 1 어큐뮬레이터(250)로 출입하고, 제 1 축압부(251)가 확장 수축한다.
한편, 상술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제 1 실린더 튜브(241) 내에, 압축 가스가 봉입되는 보텀측 가스실이 프리 피스톤을 통하여 구획하여 형성되고, 보텀측 가스실의 가스 압력에 의하여 보텀 측실(244)을 가압하여 붐(4)을 왼쪽 롤링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제 1 어큐뮬레이터(250)의 오일 실(252)과 제 1 유체압 실린더(240)의 보텀 측실(244)을 연결하여 통하는 통로에는, 스로틀로서 감쇠 밸브(253)가 개재된다. 감쇠 밸브(253)는, 제 1 유체압 실린더(240)가 신축하는 것에 수반하여 보텀 측실(244)로부터 오일 실(252)로 출입하는 작동 오일의 흐름에 저항을 부여한다. 이것에 의해, 붐(4)의 롤링 방향의 진동을 억제하는 감쇠력이 발생한다.
제 2 유체압 실린더(230)는, 작동 오일이 봉입된 제 2 실린더 튜브(231)와, 제 2 실린더 튜브(231)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 제 2 피스톤 로드(232)를 구비한다. 제 2 실린더 튜브(231)는, 구면 베어링(239)을 통하여 승강대(3)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 2 피스톤 로드(232)의 선단부는, 구면 베어링(237)을 통하여 롤링대(5)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제 2 실린더 튜브(231)가 승강대(3)를 통하여 작업차(90)에 연결되고, 제 2 피스톤 로드(232)가 롤링대(5)를 통하여 붐(4)에 연결된다. 이것에 의해, 제 2 유체압 실린더(230)는, 붐(4)이 롤링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에 수반하여 신축한다.
한편, 상술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제 2 피스톤 로드(232)가 승강대(3)를 통하여 작업차(90)에 연결되고, 제 2 실린더 튜브(231)가 롤링대(5)를 통하여 붐(4)에 연결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제 2 피스톤 로드(232)의 기단부에는, 피스톤(233)이 설치된다. 제 2 실린더 튜브(231)의 내측은, 피스톤(233)에 의하여 헤드 측실(235)과 보텀 측실(234)로 구획된다.
피스톤(233)에는, 헤드 측실(235)과 보텀 측실(234)과의 사이에서 작동 오일의 왕래를 허용하는 유로(238)가 형성된다. 제 2 유체압 실린더(230)는, 제 2 실린더 튜브(231) 내의 보텀 측실(234) 및 헤드 측실(235)에 대한 작동 오일의 공급 배출에 따라 신축하는 단동형 유체압 실린더이다.
보텀 측실(234)에는, 제 2 어큐뮬레이터(260)가 접속된다. 제 2 어큐뮬레이터(260)는, 보텀 측실(234)에 연결하여 통하는 오일 실(262)과, 오일 실(262)을 가압하는 압축 가스를 비축하는 제 2 축압부(261)를 구비한다. 제 2 축압부(261)는, 보텀 측실(234) 및 헤드 측실(235)을 가압하여 붐(4)을 오른쪽 롤링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오른쪽 롤링 방향 부세부를 구성한다. 붐(4)이 롤링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에 수반하여, 보텀 측실(234)의 작동 오일이 제 2 어큐뮬레이터(260)로 출입하고, 제 2 축압부(261)가 확장 수축한다.
한편, 상술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제 2 실린더 튜브(231) 내에, 압축 가스가 봉입되는 보텀측 가스실이 프리 피스톤을 통하여 구획하여 형성되고, 보텀측 가스실의 가스 압력에 의하여 보텀 측실(234)을 가압하여 붐(4)을 오른쪽 롤링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제 2 어큐뮬레이터(260)의 오일 실(262)과 제 2 유체압 실린더(230)의 보텀 측실(234)을 연결하여 통하는 통로에는, 스로틀로서 감쇠 밸브(263)가 개재된다. 감쇠 밸브(263)는, 제 2 유체압 실린더(230)가 신축하는 것에 수반하여 헤드 측실(235)로부터 오일 실(262)로 출입하는 작동 오일의 흐름에 저항을 부여한다. 이것에 의해, 붐(4)의 롤링 방향의 진동을 억제하는 감쇠력이 발생한다.
붐(4)이 왼쪽 롤링 방향으로 회동하면, 제 1 어큐뮬레이터(250)의 작동 오일이 신장하는 제 1 유체압 실린더(240)로 유입되고, 수축하는 제 2 유체압 실린더(230)의 작동 오일이 제 2 어큐뮬레이터(260)로 유입된다. 반대로, 붐(4)이 오른쪽 롤링 방향으로 회동하면, 제 2 어큐뮬레이터(260)의 작동 오일이 신장하는 제 2 유체압 실린더(230)로 유입되고, 수축하는 제 1 유체압 실린더(240)의 작동 오일이 제 1 어큐뮬레이터(250)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붐(4)이 좌우 롤링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에 수반하여 제 1 어큐뮬레이터(250)와 제 2 어큐뮬레이터(260)에 동량의 작동 오일이 공급 배출되므로, 제 1 어큐뮬레이터(250)와 제 2 어큐뮬레이터(260)와의 사이에 가스 압력차이가 생긴다. 붐(4)은, 제 1 어큐뮬레이터(250)의 가스 압력에 의하여 왼쪽 롤링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미는 힘과, 제 2 어큐뮬레이터(260)의 가스 압력에 의하여 오른쪽 롤링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미는 힘이 평형을 이루는 위치로 회동하고, 설정된 롤링 각도로 유지된다.
작동 유체 공급 배출 장치(70)는, 제 2 유체압 실린더(230)의 보텀 측실(234)로 작동 오일을 공급 배출하여 붐(4)을 롤링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한편, 작동 유체 공급 배출 장치(70)는, 헤드 측실(235)로 작동 오일을 공급 배출하여 붐(4)을 롤링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 작동 유체 공급 배출 장치(70)는, 제 2 유체압 실린더(230) 및 제 1 유체압 실린더(240)로 작동 오일을 공급 배출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제 2 유체압 실린더(230)로 공급 배출되는 작동 오일의 유량과, 제 1 유체압 실린더(240)로 공급 배출되는 작동 오일의 유량이 동일해지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붐 스프레이어의 작업시에, 작업차(90)의 자세가 롤링 방향으로 변화하는 경우에는, 제 1 유체압 실린더(240) 및 제 2 유체압 실린더(230)를 통하여 롤링대(5)에 붐(4)을 롤링 방향으로 회동시키려고 하는 힘이 작용한다. 붐(4)은, 관성력에 의해 그 자리에 머물려고 하므로, 제 1 유체압 실린더(240) 및 제 2 유체압 실린더(230)가 신축하여 작업차(90)의 기울기를 흡수한다. 제 1 유체압 실린더(240) 및 제 2 유체압 실린더(230)가 작업차(90)의 기울기를 다 흡수하지 못하여, 제 1 축압부(251)와 제 2 축압부(261)와의 가스 압력차이에 의한 힘이 붐(4)의 관성력을 웃돌면, 붐(4)의 롤링 진동이 시작되지만, 감쇠 밸브(253, 263)에 의하여 롤링 진동이 신속하게 감쇠된다.
이와 같이, 제 1 유체압 실린더(240) 및 제 2 유체압 실린더(230)가 신축함으로써 롤링대(5)에 작용하는 힘의 변화가 완화되기 때문에, 붐(4)이 롤링 방향으로 필요 이상으로 크게 회동하는 것이 억제되어, 붐(4)의 선단부(4B)가 논밭 등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감쇠 밸브(253, 263)는, 제 1 유체압 실린더(240) 및 제 2 유체압 실린더(230)가 신축하는 것에 수반하여 제 1 어큐뮬레이터(250) 및 제 2 어큐뮬레이터(260)로 출입하는 작동 오일의 흐름에 저항을 부여하므로, 붐(4)이 롤링 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이 억제된다. 이것에 의해, 붐(4)의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방제액이 작물 등에 중복하여 살포되는 것이 억제되어 방제액을 균일하게 살포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하에 나타내는 효과를 가져온다.
붐 제진장치(209)는, 붐(4)이 좌우 롤링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에 연동하여 신축 작동하는 제 1 유체압 실린더(240) 및 제 2 유체압 실린더(230)를 구비한다. 제 1 유체압 실린더(240)는, 붐(4)에 연결되어 작동 유체가 봉입되는 제 1 실린더 튜브(241)와, 작업차(90)에 연결되어 제 1 실린더 튜브(241) 내에 삽입되는 제 1 피스톤 로드(242)를 구비한다. 붐 제진장치(209)에는, 왼쪽 롤링 방향 부세부로서, 제 1 실린더 튜브(241)의 내측을 가압하는 압축 가스를 비축하는 제 1 축압부(251)가 설치된다. 제 2 유체압 실린더(230)는, 붐(4)에 연결되어 작동 유체가 봉입되는 제 2 실린더 튜브(231)와, 작업차(90)에 연결되어 제 2 실린더 튜브(231) 내에 삽입되는 제 2 피스톤 로드(232)를 구비한다. 붐 제진장치(209)에는, 오른쪽 롤링 방향 부세부로서, 제 2 실린더 튜브(231)의 내측을 가압하는 압축 가스를 비축하는 제 2 축압부(261)가 설치된다.
이것에 의해, 작업차(90)가 요철을 넘으면서 주행하고, 작업차(90)의 자세가 롤링 방향으로 변화하는 경우, 붐(4)의 관성력에 의하여 제 1 유체압 실린더(240) 및 제 2 유체압 실린더(230)가 신축함으로써, 작업차(90)로부터 롤링대(5)로 작용하는 힘의 변화가 완화되므로, 붐(4)이 롤링 방향으로 필요 이상으로 크게 회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붐(4)의 선단부(4B)가 논밭 등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4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붐 제진장치(309)의 개략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주로 제 3 실시형태와 다른 점을 설명하고, 제 2 실시형태의 붐 제진장치(109) 및 상기 제 3 실시형태의 붐 제진장치(209)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달아 설명을 생략한다.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작동 유체 공급 배출 장치(70)는 수동 전환식의 방향 전환 밸브(77)를 구비하는 것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작동 유체 공급 배출 장치(170)는 전자 전환식의 방향 전환 밸브(177)를 구비한다.
붐 제진장치(309)는, 수평선에 대한 붐(4)의 롤링 각도를 검지하는 롤링 각도 검지기(104)와, 붐(4)의 설정 롤링 각도를 지령하는 설정 롤링 각도 지령기(103)와, 방향 전환 밸브(177)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02)를 구비한다.
운전자가 설정 롤링 각도 지령기(103)를 조작함으로써, 설정 롤링 각도 지령기(103)로부터 붐(4)의 설정 롤링 각도를 지령하는 신호가 컨트롤러(102)로 송신된다. 컨트롤러(102)는, 롤링 각도 검지기(104) 및 설정 롤링 각도 지령기(103)로부터 보내지는 신호를 수신하고, 검지되는 붐(4)의 롤링 각도가 지령되는 설정 롤링 각도에 가까워지도록, 방향 전환 밸브(177)의 솔레노이드(105, 106)에 구동 전류를 보내, 방향 전환 밸브(177)의 포지션을 전환하는 제어를 행한다.
작동 유체 공급 배출 장치(170)는, 검지되는 붐(4)의 롤링 각도에 따라 유체압 실린더(230)로 공급 배출되는 작동 오일의 유량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02)를 구비하고, 붐(4)을 롤링 방향으로 회동시켜 붐(4)의 롤링 각도를 자동적으로 조정하는 롤링 각 조정 기구를 구성한다. 작업차(90)의 자세 변화에 수반하여 붐(4)의 자세가 롤링 방향으로 변화하는 경우, 컨트롤러(102)가 롤링 각도 검지기(104)의 신호에 따라 방향 전환 밸브(177)의 포지션을 전환한다. 이것에 의해, 붐(4)의 롤링 각도가 지령되는 설정 롤링 각도로 자동적으로 조정된다.
붐 제진장치(309)는, 제 3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붐(4)이 롤링 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완충기로서 기능한다. 예를 들면, 작업차(90)가 논밭의 요철을 넘으면서 주행하고, 작업차(90)의 자세가 롤링 방향으로 변화하는 경우, 붐(4)의 관성력에 의하여 제 1 유체압 실린더(240) 및 제 2 유체압 실린더(230)가 신축함으로써, 작업차(90)로부터 롤링대(5)로 작용하는 힘의 변화가 완화되므로, 붐(4)이 롤링 방향으로 필요 이상으로 크게 회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붐(4)의 선단부(4B)가 논밭 등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붐 제진장치(9, 109, 209, 309)를 구비하여 방제액을 살포하는 붐 스프레이어(1)는, 붐(4)이 롤링 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붐(4)으로부터 방제액을 균일하게 살포하여 작업 스피드를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왼쪽 롤링 방향 부세부 및 오른쪽 롤링 방향 부세부는, 압축 가스를 이용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금속제 스프링 등을 이용해도 좋다.
한편, 붐(4)은 작업차(90)로부터 좌우로 연장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작업차(90)로부터 좌우 한쪽으로 연장되는 것이라도 좋다.
1: 붐 스프레이어
2: 링크 아암
3: 승강대
4: 붐
5: 롤링대
9, 109, 209, 309: 붐 제진장치
30, 230, 240: 유체압 실린더
40: 승강 실린더
50, 60, 250, 260: 어큐뮬레이터
51, 251: 왼쪽 롤링 방향 부세부(축압부, 제 1 축압부)
53, 63, 253, 263: 스로틀
61, 261: 오른쪽 롤링 방향 부세부(축압부, 제 2 축압부)
70, 170: 롤링 각 조정 기구
77, 177: 방향 전환 밸브
90: 작업차
91: 차체
102: 컨트롤러
104: 롤링 각도 검지기

Claims (7)

  1. 작업차(90)에 캔틸레버 지지되는 붐(4)의 진동을 억제하는 붐 제진장치(9, 109, 209, 309)로서,
    상기 작업차(90)에 대하여 상기 붐(4)을 왼쪽 롤링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왼쪽 롤링 방향 부세부(51, 251)와,
    상기 작업차(90)에 대하여 상기 붐(4)을 오른쪽 롤링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오른쪽 롤링 방향 부세부(61, 261)를 구비하고,
    상기 왼쪽 롤링 방향 부세부(51, 251)의 미는 힘과 상기 오른쪽 롤링 방향 부세부(61, 261)의 미는 힘이 평형을 이루는 롤링 각도에서 상기 붐(4)이 유지되는, 붐 제진장치(9, 109, 209, 309).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붐(4)이 좌우 롤링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에 연동하여 신축 작동하는 유체압 실린더(30)와,
    상기 유체압 실린더(30)를 가압하는 압축 가스를 비축하는 축압부(51, 61)를 더 구비하고,
    상기 유체압 실린더(30)는, 상기 작업차(90) 및 상기 붐(4)의 한쪽에 연결되어 작동 유체가 봉입되는 실린더 튜브(31)와, 상기 작업차(90) 및 상기 붐(4)의 다른 쪽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 튜브(31) 내에 삽입되는 피스톤 로드(32)와, 상기 피스톤 로드(32)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 튜브(31)의 내측을 헤드 측실(35)과 보텀 측실(34)로 구분하는 피스톤(33)을 가지며,
    상기 축압부(51, 61)는, 상기 헤드 측실(35) 및 상기 보텀 측실(34)의 한쪽을 가압하는 압축 가스를 비축하는 제 1 축압부(51)와, 상기 헤드 측실(35) 및 상기 보텀 측실(34)의 다른 쪽을 가압하는 압축 가스를 비축하는 제 2 축압부(61)를 가지고,
    상기 왼쪽 롤링 방향 부세부(51, 251)는 상기 제 1 축압부(51)이고, 상기 오른쪽 롤링 방향 부세부(61, 261)는 상기 제 2 축압부(61)인, 붐 제진장치(9, 109).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붐(4)이 좌우 롤링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에 연동하여 신축 작동하는 유체압 실린더(230, 240)와,
    상기 유체압 실린더(230, 240)를 가압하는 압축 가스를 비축하는 축압부(251, 261)를 더 구비하고,
    상기 유체압 실린더(230, 240)는, 제 1 유체압 실린더(240) 및 제 2 유체압 실린더(230)를 가지며,
    상기 제 1 유체압 실린더(240)는, 상기 작업차(90) 및 상기 붐(4)의 한쪽에 연결되어 작동 유체가 봉입되는 제 1 실린더 튜브(241)와, 상기 작업차(90) 및 상기 붐(4)의 다른 쪽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실린더 튜브(241) 내에 삽입되는 제 1 피스톤 로드(242)를 가지고,
    상기 제 2 유체압 실린더(230)는, 상기 작업차(90) 및 상기 붐(4)의 한쪽에 연결되어 작동 유체가 봉입되는 제 2 실린더 튜브(231)와, 상기 작업차(90) 및 상기 붐(4)의 다른 쪽에 연결되어 상기 제 2 실린더 튜브(231) 내에 삽입되는 제 2 피스톤 로드(232)를 가지며,
    상기 축압부(251, 261)는, 상기 제 1 실린더 튜브(241)의 내측을 가압하는 압축 가스를 비축하는 제 1 축압부(251)와, 상기 제 2 실린더 튜브(231)의 내측을 가압하는 압축 가스를 비축하는 제 2 축압부(261)를 가지고,
    상기 왼쪽 롤링 방향 부세부(51, 251)는 상기 제 1 축압부(251)이며, 상기 오른쪽 롤링 방향 부세부(61, 261)는 상기 제 2 축압부(261)인, 붐 제진장치(209, 309).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축압부(51, 61, 251, 261)를 가지는 어큐뮬레이터(50, 60, 250, 260)와,
    상기 유체압 실린더(30, 230, 240)가 신축하는 것에 수반하여 상기 어큐뮬레이터(50, 60, 250, 260)로 출입하는 작동 유체에 저항을 부여하는 스로틀(53, 63, 253, 263)을 더 구비하는 붐 제진장치(9, 109, 209, 309).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압 실린더(30, 230, 240)에 작동 유체를 공급 배출함으로써 상기 붐(4)을 좌우 롤링 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붐(4)의 롤링 각도를 조정하는 롤링 각 조정 기구(70, 170)를 더 구비하는, 붐 제진장치(9, 109, 209, 309).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붐(4)의 롤링 각도를 검지하는 롤링 각도 검지기(104)와,
    검지되는 상기 붐(4)의 롤링 각도에 따라 상기 유체압 실린더(30, 230, 240)로 공급 배출되는 작동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여 상기 붐(4)의 롤링 각도를 설정 롤링 각도로 제어하는 컨트롤러(102)를 더 구비하는, 붐 제진장치(9, 109, 209, 309).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붐 제진장치(9, 109, 209, 309)를 구비하여 방제액을 살포하는 붐 스프레이어(1).
KR20140003133A 2013-01-11 2014-01-10 붐 스프레이어 및 붐 제진장치 KR1015114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03993 2013-01-11
JP2013003993A JP2014132878A (ja) 2013-01-11 2013-01-11 ブームスプレーヤ及びブーム制振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1656A KR20140091656A (ko) 2014-07-22
KR101511466B1 true KR101511466B1 (ko) 2015-04-10

Family

ID=51137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03133A KR101511466B1 (ko) 2013-01-11 2014-01-10 붐 스프레이어 및 붐 제진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40196996A1 (ko)
JP (1) JP2014132878A (ko)
KR (1) KR101511466B1 (ko)
CN (1) CN10391863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83736B2 (ja) * 2013-01-11 2017-02-22 株式会社やまびこ ブームスプレーヤ及びブーム昇降装置
GB2534391B (en) * 2015-01-21 2021-03-31 Holme Farm Supplies Ltd A motion regulation system to control relative motion between a vehicle and a boom mounted to said vehicle
DE102015101032A1 (de) * 2015-01-26 2016-07-28 Amazonen-Werke H. Dreyer Gmbh & Co. Kg Landwirtschaftliche Maschine und Regelungsverfahren
WO2016132023A1 (fr) 2015-02-17 2016-08-25 Exel Industries Système de commande, rampe de pulvérisation, porteur et procédé de mise en oeuvre
DE102015102975A1 (de) * 2015-03-02 2016-09-08 Horsch Leeb Application Systems Gmbh Vorrichtung zum Ausbringen von flüssigen und/oder festen Wirkstoffen und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solchen Vorrichtung
US9951717B2 (en) 2015-04-15 2018-04-24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Asymmetric load compensation system
US10151080B2 (en) * 2015-11-30 2018-12-11 The Charles Machine Works, Inc. Valve assembly for work attachment
CN105494297A (zh) * 2016-01-25 2016-04-20 太仓市金港植保器械科技有限公司 自走式喷杆喷雾机的喷杆稳定自平衡装置
JP6637369B2 (ja) * 2016-04-08 2020-01-29 Kyb株式会社 ブーム制振装置及びブームスプレーヤ
BR112019011180B1 (pt) * 2016-12-16 2023-01-17 Agco Corporation Implemento, sistema e método para operar um implemento
CA3238055A1 (en) 2016-12-16 2018-06-21 Agco Corporation Implement contouring toolbar
JP6646613B2 (ja) * 2017-04-05 2020-02-14 株式会社丸山製作所 ブームスプレーヤ
WO2018215058A1 (de) * 2017-05-23 2018-11-29 Fsp Fluid Systems Partners Holding Ag Steuereinrichtung für eine ausbringvorrichtung und ausbringvorrichtung mit einer steuereinrichtung
CN109644834A (zh) * 2018-12-26 2019-04-19 丰疆智慧农业股份有限公司 多功能喷嘴喷淋作业车及其应用
US11284611B2 (en) 2019-02-28 2022-03-29 Cnh Industrial America Llc System and method for actuating a boom assembly of an agricultural sprayer
CN110252564B (zh) * 2019-07-05 2024-02-13 农业农村部南京农业机械化研究所 一种喷杆减振稳定装置及控制方法
JP7278536B2 (ja) * 2020-11-27 2023-05-22 井関農機株式会社 自走式薬剤散布機
CN113133440B (zh) * 2021-04-25 2022-06-17 山西农业大学 一种具有多方位喷洒功能的喷洒车及其控制方法
DE102021002610A1 (de) * 2021-05-18 2022-11-24 Hydac Mobilhydraulik Gmbh Fahrbare Arbeitsmaschine
KR102410114B1 (ko) * 2022-03-16 2022-06-22 주식회사 디앤에스테크놀로지 평상시 또는 정전시 고속 승하강이 가능한 친환경 매설형 로드블록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5704A (ja) * 1996-04-18 1997-10-28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管理作業機のローリング制御装置
JP2004125083A (ja) 2002-10-03 2004-04-22 Kajima Corp 油圧ダンパ
JP2004254526A (ja) 2003-02-24 2004-09-16 Iseki & Co Ltd 作業機の姿勢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71261B1 (fr) * 1991-01-04 1993-04-02 Tecnoma Appareillage de traitement du sol ou de la vegetation, comprenant une rampe pouvant pivoter par rapport a des axes longitudinal et transversal.
EP1167095A1 (en) * 2000-06-26 2002-01-02 K.U. Leuven Research & Development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nd stabilising movement
US6834223B2 (en) * 2003-02-10 2004-12-21 Norac Systems International, Inc. Roll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 suspended boom
US7426827B2 (en) * 2006-06-15 2008-09-23 Cnh Canada, Ltd. Suspension arrangement for a boom assembly mounted on an agricultural sprayer
CN200997852Y (zh) * 2006-10-16 2008-01-02 黑龙江省农业机械工程科学研究院 喷杆式喷雾机自动平衡悬浮机构
CN101926318A (zh) * 2009-06-22 2010-12-29 中机美诺科技股份有限公司 平衡机构及具有该平衡机构的喷药机
CN201563528U (zh) * 2009-12-28 2010-09-01 孙星钊 一种乘坐式高地隙喷杆喷雾机
JP5763438B2 (ja) * 2011-06-21 2015-08-12 カヤバ工業株式会社 ブームスプレーヤ及びブーム制振装置
JP5801618B2 (ja) * 2011-06-21 2015-10-28 カヤバ工業株式会社 ブームスプレーヤ及びブーム制振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5704A (ja) * 1996-04-18 1997-10-28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管理作業機のローリング制御装置
JP2004125083A (ja) 2002-10-03 2004-04-22 Kajima Corp 油圧ダンパ
JP2004254526A (ja) 2003-02-24 2004-09-16 Iseki & Co Ltd 作業機の姿勢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918633A (zh) 2014-07-16
JP2014132878A (ja) 2014-07-24
US20140196996A1 (en) 2014-07-17
CN103918633B (zh) 2016-04-13
KR20140091656A (ko) 2014-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1466B1 (ko) 붐 스프레이어 및 붐 제진장치
JP6083736B2 (ja) ブームスプレーヤ及びブーム昇降装置
JP6220697B2 (ja) 散布装置及びブーム制振装置
JP6378956B2 (ja) ブーム制振装置及びブームスプレーヤ
JP6637369B2 (ja) ブーム制振装置及びブームスプレーヤ
US20140263766A1 (en) Planar Linkage, Methods of Decoupling, Mitigating Shock and Resonance, and Controlling Agricultural Spray Booms Mounted on Ground Vehicles
WO2017013962A1 (ja) ブーム昇降装置及びブームスプレーヤ
US20190321845A1 (en) Control system, spray bar, carrier and method of implementation
KR20170116133A (ko) 붐 변위 장치 및 붐 스프레이어
JP5161041B2 (ja) ブームスプレーヤ及びブームスプレーヤのブーム揺動支持機構
JP6218632B2 (ja) 散布装置及びブーム制振装置
JP2016154477A (ja) ブーム制振装置及びブームスプレー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