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9373B1 - 차량설치용 실내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설치용 실내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9373B1
KR101509373B1 KR1020137021491A KR20137021491A KR101509373B1 KR 101509373 B1 KR101509373 B1 KR 101509373B1 KR 1020137021491 A KR1020137021491 A KR 1020137021491A KR 20137021491 A KR20137021491 A KR 20137021491A KR 101509373 B1 KR101509373 B1 KR 101509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locking
design
functional
interior ligh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1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3626A (ko
Inventor
야스오 스즈키
신지 야마다
히로히토 토리야마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03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3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9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9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S41/198Snap-fit attach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10Protection of ligh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60Q3/51Mounting arrangements for mounting lighting devices onto vehicle interior, e.g. onto ceiling or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S41/192Details of lamp holders, terminals or conn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차량용 실내조명장치(10)로서 디자인부(20)와, 디자인부에 결합된 기능부(30)와, 착탈가능하게 기능부에 삽입되는 커넥터(60)를 포함하고, 기능부의 개재 홀더(31)에는 2개의 잠금 프레임(201)과 2개의 잠금 후크(301)가 배치되고, 2개의 잠금 프레임(201)은 탄성을 가지고 간격을 두고 디자인부의 베이스 하우징(21)으로부터 상향으로 기립하여 설치되고, 2개의 잠금 후크(301)는 각각 기능부가 디자인부와 결합할 때 디자인부의 2개의 잠금 프레임 외측으로부터 2개의 잠금 프레임과 결합하고, 2개의 잠금 프레임들 사이 부분은 커넥터의 하우징(61)이 삽입되는 커넥터 삽입구멍(30c)이다.

Description

차량설치용 실내조명장치{IN-VEHICLE INDOOR ILLUMIN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강한 충격을 받은 경우에도 디자인부와 기능부 간의 결합이 해제되지 않는 차량용 실내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추가부품을 사용하지 않고도 룸 램프(room lamp)의 조립강도를 개선할 수 있는 차량용 실내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실내조명장치로는 실내측에 설치된 디자인부와 실외측에 설치된 기능부가 연계되고 이들 디자인부와 기능부 사이에 차량의 실내 천장판이 개재되어 결합된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이 차량용 실내조명장치에 있어서는, 디자인부가 기능부와 결합할 때, 디자인부 측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일측부로 돌출하는 잠금 후크가 잠금대상부에 의해 결합되며, 이 잠금대상부는 천장판에 평행한 방향으로 기능부측에 설치되고 탄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예를 들면, 커튼 에어백 등이 작동할 때 기능부측의 잠금대상부가 강한 충격을 받으면, 이 잠금대상부는 굴곡되어 디자인부와 기능부 간의 결합이 해제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차량의 실내에 디자인부가 낙하하여 분산되는 단점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강한 충격을 받아도 디자인부와 기능부 간의 결합이 해제되지 않고 실내에서 디자인부가 낙하하여 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실내조명장치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1 참조).
일본특허공개 제2009-143531호
특허문헌1에 개시된 차량용 실내조명장치
도 10은 특허문헌1에 개시된 차량용 실내조명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차량용 실내조명장치(100)는 실내측[천장(500)의 하측]에 배치된 디자인부(200)와 천장(500)의 부착구멍(501)을 통해 실외측[천장판(500)의 상측]에 배치된 기능부(300)를 결합하여 조립되며, 여기서 차량 실내의 천장판(500)은 디자인부와 기능부 사이에 개재된다. 이 때, 천장판(500)에 평행하게 기능부(300) 측에 설치되고 탄성을 가진 잠금대상부(301)(도면에는 도시안됨)가 잠금 후크(201)에 결합되며, 이 잠금 후크(201)는 디자인부(200)의 측면에 설치된 측면부로 돌출한다. 즉, 잠금대상부(301)는 굴곡된 상태에서 잠금 후크(201) 위로 걸쳐 올라타고, 이 잠금 후크(201) 위로 걸쳐 올라탄 잠금대상부(301)의 굴곡이 탄성(복원력)에 의해 복귀되며, 그 결과 잠금 후크와 잠금대상부 양쪽 부품이 서로 결합된다(잠겨진다).
또한, 기능부(300)의 잠금대상부(301) 외측에는 스페이서 삽입공간(302)이 형성되고, 스페이서(400)의 삽입판부(401)를 화살표로 표시한 방향으로 위로부터 스페이서 삽입공간(302)으로 삽입하여 스페이서(400)의 삽입판부(401)가 잠금 후크(201)와 잠금대상부(301) 사이의 결합부를 외측으로부터 규제하고 그 결과 잠금대상부(301)가 굴곡하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서 충격이 부여되어도 결합이 해제되지 않는다.
특허문헌1의 차량용 실내조명장치의 결점
특허문헌1의 차량용 실내조명장치에 있어서는, 램프 조립강도를 개선하기 위해 스페이서(400)가 필요하지만 스페이서(400)는 별도의 부품이기 때문에 비용상승의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의 버스 바 접점에 대한 가압방법으로부터 커넥터 방법으로 전환할 경우 스페이서를 사용하지 않아도 램프 부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실내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양태는 차량용 실내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 하우징을 구비한 디자인부와, 상기 디자인부에 결합된 기능부와, 착탈가능하게 상기 기능부에 삽입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디자인부에는, 탄성을 가지고 간격을 두고 상기 베이스 하우징으로부터 상향 기립한 2개의 잠금 프레임이 제공되고, 상기 기능부의 개재 홀더에는 2개의 잠금 후크가 제공되어,상기 기능부가 상기 디자인부와 결합할 때,상기 2 개의 잠금 후크는, 상기 2 개의 잠금 프레임 외측으로부터 상기 디자인부의 2 개의 잠금 프레임과 각각 결합하고,상기 2 개의 잠금 프레임 사이 부분에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삽입되는 커넥터 삽입구멍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2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양태에 있어서, 상기 기능부에는 상기 커넥터의 잠금 후크와 결합되어 상기 커넥터 삽입구멍의 일측을 규제하는 커넥터 잠금 프레임이 설치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디자인부의 잠금 프레임과 기능부의 잠금 후크 사이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커넥터 삽입구멍으로 커넥터를 삽입함에 따라서, 커넥터는 디자인부의 잠금 프레임이 내측으로 굴곡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결합이 해제되지 않는 차량용 실내조명장치를 실현할 수 있고, 종래기술의 장치에서 문제가 되었던 스페이서를 사용하지 않고도 램프 부착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기능부에서 커넥터 삽입구멍의 일측을 규제(형성)하는 커넥터 잠금 프레임을 제공하여 커넥터 삽입구멍을 더욱 강고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1의 1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실내조명장치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의 1B는 도 1의 1A의 차량용 실내조명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의 2A는 도 1의 1A의 차량용 실내조명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의 2B는 도 2의 2A의 차량용 실내조명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기능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의 4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실내조명장치가 조립해체된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4의 4B는 그 측단면도이다.
도 5의 5A(1), 도 5B(1), 도 5A(2), 도 5B(2) 도 5A(3) 및 도 5B(3)는 도 4의 4A 및 도 4B에서 그 조립해체 상태의 램프를 단계 (1) 내지 (3)으로 순차 조립하는 공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의 5A(1), 도 5A(2) 및 도 5A(3)는 정단면도이고, 도 5의 5B(1), 도 5B(2) 및 도 5B(3)는 측단면도이다.
도 6의 6(1), 도 6(2) 및 도 6(3)은 도 5의 5B(1), 도 5B(2) 및 도 5B(3)에서의 그 조립된 차량용 실내조명장치 속에 커넥터를 단계 (1) 내지 (3)으로 삽입하는 공정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2B의 차량용 실내조명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커넥터 측으로부터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의 8(1) 및 도 8(2)는 도 7의 분해 사시도에 의해 조립된 차량용 실내조명장치에 커넥터를 삽입할 때의 사시도로서, 도 8의 8(1)은 삽입전의 사시도이고, 도 8의 8(2)는 삽입후의 사시도이다.
도 9의 9A는 도 8의 8(2)의 실내조명장치를 커넥터측에서 바라본 정면도이고, 도 9의 9B는 도 9의 9A의 차량용 실내조명장치를 제2잠금 후크 및 제2잠금 프레임을 통해 종방향으로 절단한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특허문헌1에 개시된 차량용 실내조명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실내조명장치의 구성>
별도의 부품인 스페이서를 사용하지 않고도 램프 조립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실내조명장치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1의 1A(이하 "도 1A"라함)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실내조명장치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1의 1B(이하 "도 1B"라함)는 도 1A의 차량용 실내조명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의 2A(이하 "도 2A"라 함)는 도 1A의 차량용 실내조명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의 2B(이하 "도 2B"라 함)는 도 2A의 차량용 실내조명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A, 도 1B, 도 2A 및 도 2B에 있어서, 차량용 실내조명장치(10)는 디자인부(20)(도 1A 및 도 1B), 기능부(30)(도 2A 및 도 2B), 및 기능부(30)에 연결된 커넥터(60)(도 1A, 도 1B, 도 2A 및 도 2B)를 포함한다.
<디자인부>
디자인부(20)는 베이스 하우징, 이 베이스 하우징의 하면측에 대해 착탈가능한 투명 또는 불투명 렌즈 커버, 및 스위치 노브를 포함한다.
<디자인부(20)의 결합기구>
디자인부(20)에는 종래부터 존재하던 제1잠금 후크(20K)(도 2B) 외에도, 본 발명에 따라서 베이스 하우징(21)의 측면에서 상향으로 기립하여 설치된 탄성(반발력)의 제2잠금 프레임(20L)이 설치된다. 제1잠금 후크(20K)는 기능부(30)의 제1잠금 프레임(30K)(도 2B)과 결합(예를 들면 잠금식 결합)하고, 본 발명에 따른 제2잠금 프레임(20L)은 역시 본 발명에 따른 기능부(30)의 제2잠금 후크(30L)(도 1B)와 결합한다.
<기능부(30)>
도 3은 기능부(3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기능부(30)는 개재 홀더(31), 전자부품이 장착된 회로기판(32)을 포함하고, 이 회로기판(32)의 단부에는 접속패드(30P)가 설치되며, 디자인부(20)를 기능부(30)에 결합시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삽입구멍(30C)(도 1B)을 형성한다(후술함). 커넥터(60)(도 1B)를 커넥터 삽입구멍(30C)에 삽입시킴에 따라서, 접속패드(30P)와 커넥터(60)의 단자가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기능부(30)의 결합기구>
기능부(30)는 개재 홀더(31)의 측면에서 디자인부(20)의 제1잠금 후크(20K)(도 2B)와 결합하는 종래기술의 제1잠금 프레임(30K)(도 2B 및 도 3)을 포함하며, 추가로, 디자인부(20)의 상기 제2잠금 프레임(20L)(도 1B)과 결합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잠금 후크(30L)(도 1B 및 도 3)가 개재 홀더(31) 내측에 설치된다.
또한, 커넥터 잠금 프레임(30N)(제3잠금대상부, 도 1B 및 도 2B 참조)이 기능부(30)의 커넥터 삽입구멍(30C) 부근에 설치된다(본 실시예의 경우 상측에 설치되지만 상측에만 제한될 필요는 없다). 후술하는 커넥터의 잠금 후크(60N)(제3잠금부, 도 2B)는 커넥터 잠금 프레임(30N)과 결합한다.
<커넥터 60>
커넥터(60)(도 1B, 도 2B)는 탄성의 잠금 후크(60N)(제3잠금부, 도 2B)를 포함한 커넥터 하우징(61)과, 전선(W)을 접속하여 유지하는 단자(미도시)로 구성된다.
<커넥터(60)의 결합기구>
기능부(30)에 형성된 커넥터 삽입구멍(30C)(도 1B)에 커넥터(60)를 삽입할 경우, 커넥터(60)의 잠금 후크(60N)는 기능부(30)의 커넥터 잠금 프레임(30N)(도 1B 및 도 2B)과 (잠금)결합하며, 그 결과 이후의 기능부와 커넥터 양자간의 결합해제를 방지할 수 있다.
<천장판(50)에 차량용 실내조명장치(10)를 부착>
다음에, 상기 디자인부(20)와 기능부(30)가 천장판(50)에 부착되고, 커넥터(60)가 기능부(30)에 부착되어 차량용 실내조명장치(10)의 부착이 완료될 때까지의 공정 시퀀스를 도 4의 4A(이하 "도 4A" 라함) 도 9의 9B(이하 "도 9B"라함)를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단계1: 차량용 실내조명장치(10)가 조립해체된 상태>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조명장치가 조립되지 않고 해체된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4의 4B(이하 "도 4B"라 함)는 그 측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천장판(50)에 부착하기 전에 디자인부(20)는 하측에 존재하고, 기능부(30)는 상측에 존재하며, 천장판(50)은 디자인부(20)와 기능부(30) 사이에 개재된다.
디자인부(20)는 베이스 하우징(21)과, 이 베이스 하우징(21)의 하면측에 착탈가능한 투명 또는 불투명 렌즈 커버(22)와, 스위치 노브(23)(도 4B)를 포함한다. 베이스 하우징(21)의 측면에는 제1잠금 후크(20K)(도 4A)와, 베이스 하우징(21)으로부터 상향으로 기립한 본 발명에 따른 제2잠금 프레임(20L)이 설치된다. 제1잠금 후크(20K)는 결합방향의 선단(tip) 상측으로부터 후방으로 향하여 가느다란 부분으로부터 횡방향폭이 점차 확대되는 테이퍼와, 이 테이퍼의 단부에서 직각으로 복귀하는 키형상을 형성한다.
제2잠금 프레임(20L)은 평탄한 장방형 부재로서 상측에 사각형 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탄성물질로 형성되어 탄성(반발력)을 가진다.
하측의 디자인부(20)와 상측의 기능부(30)가 천장판(50)을 사이에 두고 상호 조립될 때, 기능부(30)의 스위치(33)가 스위치 노브(23)에 수용되고, 스위치(33)는 스위치 노브(23)를 가압하거나 스위치 노브(23)를 미끄럼 이동시킴에 따라서 작동된다.
기능부(30)는 개재 홀더(31)와 전자부품이 장착된 회로기판(32)(도 4B)을 포함한다. 또한, 기능부(30)에는 그 하면측으로 스위치(33)와 광원(34)(도 4B)이 설치된다. 천장판(50)를 사이에 개재하여 디자인부(20)와 기능부(30)를 조립하면, 렌즈 커버(22)는 광원(34)과 마주하여 이 광원(34)을 덮고, 스위치(33)는 스위치 노브(23)에 수용된다.
<단계2: 먼저, 천장판(50)의 부착포트(51)에 디자인부(20)를 설치>
도 5의 5A(1)[이하 "도 5A(1)"이라함], 5B(1)[이하 "도 5B(1)"이라함], 5A(2)[이하 "도 5A(2)"라함], 5B(2)[이하 "도 5B(2)"이라함], 5A(3)[이하 "도 5A(3)"이라함] 및 5B(3)[이하 "도 5B(3)"이라함]는 도 4A 및 도 4B에서 그 조립해체상태의 램프를 단계 (1) 내지 (3)으로 순차 조립하는 공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A(1), 도 5A(2) 및 도 5A(3)는 그 정단면도이고, 도 5B(1), 도 5B(2) 및 도 5B(3)는 그 측단면도이다.
먼저, 도 5A(1) 및 도 5B(1)은 천장판(50)의 부착포트(51)(도 1A 및 도 1B)에 디자인부(20)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1) 및 도 5B(1)를 참조하면, 디자인부(20)의 베이스 하우징(21)(도 4A 및 도 4B)의 둘레 에지가 남겨진 상태로 천장판(50)의 부착구멍(51)(도 1B 및 도 2B)에 선단부가 삽입되어 설치된다.
<단계3: 디자인부(20)와 기능부(30)의 각 결합부를 상호 접근시킴>
도 5A(2) 및 도 5B(2)는 천장판(50)를 사이에 개재시킨 상태로 디자인부(20)와 기능부(30)의 각 결합부를 상호 접근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A(2) 및 도 5B(2)를 참조하면, 디자인부(20)의 제1잠금 후크(20K)의 테이퍼가 기능부(30)의 제1잠금 프레임(30K)과 접촉하고, 디자인부(20)의 제2잠금 프레임(20L)은 기능부(30)의 제2잠금 후크(30L)의 테이퍼와 접촉하며, 그 결과 탄성(반발력)을 가진 각 잠금 후크의 테이퍼가 상대방 잠금 프레임의 에지 위로 타고 올라오는 직전 상태에 도달하게 된다.
<단계4: 디자인부(20)와 기능부(30)의 각 결합부가 상호 결합>
도 5A(3) 및 도 5B(3)은 디자인부(20)와 기능부(30)의 각 결합부가 천장판(50)를 사이에 개재하여 상호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5A(3) 및 도 5B(3)을 참조하면, 디자인부(20)의 제1잠금 후크(20K)의 테이퍼는 기능부(30)의 제1잠금 프레임(30K)의 에지를 타고 올라와서 제1잠금 후크(20K)와 제1잠금 프레임(30K)의 개구에 결합한다. 또한, 기능부(30)의 제2잠금 후크(30L)의 테이퍼는 디자인부(20)의 제2잠금 프레임(20L)의 에지를 타고 올라와 제2잠금 후크(30L)와 제2잠금 프레임(20L)의 개구들에 결합한다. 이와 같은 결합부의 결합으로 인해 이후의 디자인부(20)와 기능부(30)의 결합해제를 방지하게 된다.
<단계5: 차량용 실내조명장치(10)에 커넥터(60) 접속>
도 6의 6(1)[이하 "도 6(1)"이라함], 6(2)[이하 "도 6(2)"이라함] 및 6(3)[[이하 "도 6(3)"이라함]은 도 5B에서 그 조립된 차량용 실내조명장치(10)에 커넥터(60)를 단계 (1) 내지 (3)으로 삽입하는 공정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6(1)은 커넥터(60)를 차량용 조명장치(10)에 접근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6(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자인부(20)의 제2잠금 프레임(20L)이 기능부(20)의 제2잠금 후크(30L)에 결합되며, 그 결과 제2잠금 프레임(20L)과 제2잠금 후크(30L)에 의해 둘러싸인 캐비티부가 형성되고, 이 캐비티부는 커넥터 삽입구멍(30C)이 된다[도 8의 8(1)]. 커넥터(60)는 기능부(30) 위에 설치된 커넥터 잠금 프레임(30N)에 대해 수평으로 커넥터 삽입구멍(30C)에 접근하게 되며, 이 때, 커넥터 삽입구멍(30C)은 커넥터(60)의 잠금 후크(60N)로 향하여 위치한다.
<단계 6: 커넥터(60)를 커넥터 삽입구멍(30C)에 삽입>
도 6(2)은 커넥터(60)가 커넥터 삽입구멍(30C)에 삽입되고, 커넥터(60)의 잠금 후크(60N)의 테이퍼는 기능부(30)의 커넥터 잠금 프레임(30N)과 접촉하며, 커넥터(60)의 잠금 후크(60N)의 테이퍼는 기능부(30)의 커넥터 잠금 프레임(30N)의 에지를 타고 올라온 상태를 도시한다.
<단계 7: 커넥터(60)를 커넥터 삽입구멍(30C)에 완전히 삽입>
도 6(3)은 커넥터(60)의 잠금 후크(60N)의 테이퍼가 기능부(30)의 커넥터 잠금 프레임(30N)의 에지를 타고 올라와서 잠금 후크(60N)와 잠금 프레임(30N)의 개구와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다. 이러한 결합을 통해 이후 양자의 결합해제가 방지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커넥터 삽입구멍(30C)에 커넥터(60)를 삽입하면, 커넥터(60)의 잠금 후크(60N)가 기능부(30)의 커넥터 잠금 프레임(30N)에 결합되고, 그 결과 접속 패드(30P)(도 1B 및 도 3)가 커넥터(60)의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커넥터 삽입구멍(30)의 완성>
다음에, 본 발명에 따라서 디자인부(20)와 기능부(30) 간의 결합에 의해 커넥터 삽입구멍(30C)이 완성되는 이유를 도 7, 도 8의 8(1)[이하 "도 8(1)"이라함] 및 도 8의 8(2)[이하 "도 8(2)"이라함]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도 2B의 차량용 실내조명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커넥터 측으로부터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1) 및 도 8(2)는 도 7의 분해 사시도에 의해 조립된 차량용 실내조명장치에 커넥터를 삽입할 때의 사시도로서, 도 8(1)은 삽입전의 사시도이고, 도 8(2)는 삽입후의 사시도이다.
도 7를 참조하면, 디자인부(20)에는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제2잠금 프레임(20L, 20L)이 디자인부(20)의 정면측(커넥터 삽입측)에서 간격을 두고 아래로부터 기립되어 있다. 제2잠금 프레임(20L)은 탄성의 얇고 평탄한 장방형이고, 그 중간부분에 가늘고 긴 구멍(20H)이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제2잠금 프레임(20L, 20L)은 기립하여 가늘고 긴 구멍(20H)이 상호 마주하게 된다. 제2잠금 프레임(20L, 20L)의 하측은 접속부(20B)에 의해 연결되고, 그 결과 제2잠금 프레임(20L, 20L)의 기립상태를 보강하고 커넥터 삽입구멍(30C)의 하단을 형성한다.
한편, 기능부(30C)에 있어서는, 개재 홀더(31)의 내벽면 상에 제2잠금 후크(30L, 30L)가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된다. 제2잠금 후크(30L)는 결합방향의 선단(tip) 상측으로부터 후방으로 향하여 가느다란 부분으로부터 횡방향폭이 점차 확대되는 테이퍼와, 이 테이퍼의 단부에서 직각으로 복귀하는 키형상을 형성한다.
또한, 기능부(30) 위에는 커넥터 잠금 프레임(30N)이 형성되고, 커넥터 하우징(60) 위에 설치되면서 탄성을 가진 잠금 후크(60N)는 커넥터 잠금 프레임(30N)에 결합한다. 커넥터(60) 위에서, 기능부(30N)의 커넥터 잠금 프레임(30N)과 커넥터(60)의 하우징의 잠금 후크(60N) 간의 결합위치를 필연적으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
<삽입 이전: 도 8(1)>
따라서, 디자인부(20)와 기능부(30)가 그 사이에 천장판(50)을 사이에 개재하여두고 상호 접근하여, 기능부(30)의 제2잠금 후크(30L)가 디자인부(20)의 제2잠금 프레임(20L)과 결합하면, 도 8(1)의 차량용 실내조명장치가 획득된다. 이 때, 디자인부(20)와 기능부(30) 간의 결합에 의해, 커넥터 삽입구멍(30C)이 이하와 같이 완성된다. 즉, 커넥터 삽입구멍(30C)의 상면에는 기능부(30)의 커넥터 잠금 프레임(30N)이 형성되고, 커넥터 삽입구멍(30C)의 하면에는 디자인부(20)의 접속부(20B)가 형성되며, 좌우측면에는 디자인부(20)의 제2잠금 프레임(20L, 20L)이 형성되어 수직 및 수평 골격(framework)이 전체적으로 완성된다.
<삽입 이후: 도 8(2)>
따라서, 커넥터 삽입구멍(30C)에 커넥터(60)를 삽입할 경우, 커넥터(60)의 잠금 후크(60N)의 테이퍼가 기능부(30)의 커넥터 잠금 프레임(30N)과 접촉하고, 커넥터(60)의 탄성(반발력)을 가진 잠금 후크(60N)의 테이퍼가 수직으로 기능부(30)의 커넥터 잠금 프레임(30N)을 타고 올라와 개구에 도달하며, 그 결과 도 8(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60)와 차량용 실내조명장치 간의 결합이 완성되고 그 이후의 양자 간의 결합해제를 방지하게 된다.
<커넥터 삽입구멍(30C)의 2개의 효과>
상기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삽입구멍(30C)의 2개의 효과[반결합(또는 불완전결합) 검출 및 결합해제 방지]에 대하여 도 9의 9A(이하 "도 9A"라 함) 및 도 9의 9B(이하 "도 9B"라 함) 통해 설명한다. 도 9A는 도 8(2)의 차량용 실내조명장치를 커넥터측에서 바라본 정면도이고, 도 9B는 도 9A의 차량용 실내조명장치를 제2잠금 후크 및 제2잠금 프레임을 통해 종방향으로 절단한 종단면도이다.
<효과1: 불완전결합 검출>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디자인부(20)의 제2잠금 프레임(20L)은 기능부(30)의 제2잠금 후크(30L)와 완전하게 결합하지 않으면(불완전결합), 제2잠금 후크(30L)에 의해 제2잠금 프레임(20L)이 내측으로 가압되기 때문에, 커넥터가 삽입되는 캐비티부가 생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커넥터(60)를 커넥터 삽입구멍(30C)에 삽입할 수 없다. 이러한 이유로, 커넥터(60)의 불완전결합(반결합)을 용이하게 발견할 수 있다.
<효과2: 결합 해제 방지>
또한, 커넥터(60)가 커넥터 삽입구멍(30C)에 삽입되는 경우, 디자인부(20)의 제2잠금 프레임(20L, 20L)들 사이에 커넥터(60)가 삽입되기 때문에, 커넥터(60)의 하우징은 각 제2잠금 프레임(20L, 20L)이 각각 내측으로 굴곡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디자인부(20)의 제2잠금 프레임(20L)과 기능부(30)의 제2잠금 후크(30L)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지 않는다. 즉, 종래기술의 스페이서(400)(도 10)의 기능을 가지고 자연적으로 전기적 접속되는 커넥터(60)의 하우징을 이용하기 때문에, 종래기술의 스페이서가 본 발명에서는 불필요하다.
<결어>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디자인부의 제2잠금 프레임을 기능부의 제2잠금 후크에 결합하여 형성되는 커넥터 삽입구멍에 커넥터를 삽입함으로써, 커넥터는 디자인부의 제2잠금 프레임(L)이 내측으로 굴곡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결합이 해제되지 않고, 종래기술의 장치에서 문제점이 되는 스페이서를 사용하지 않고도 램프 조립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실내조명장치를 획득할 수 있다.
본 출원은 2011.02.15.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11-030101호에 기초하여 그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내용은 여기 참조로 포함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디자인부의 잠금 프레임과 기능부의 잠금 후크 간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커넥터 삽입구멍에 커넥터를 삽입함으로써 커넥터는 디자인부의 잠금 프레임이 내측으로 굴곡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결합이 해제되지 않는 차량용 실내조명장치를 실현할 수 있고, 종래기술의 문제점이었던 스페이서를 사용하지 않아도 램프 부착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10: 차량용 실내조명장치
20: 디자인부
20B: 접속부
20K: 제1잠금 후크
20L: 본 발명에 따른 제2잠금 프레임
21: 베이스 하우징
22. 렌즈 커버
23. 스위치 노브
30. 기능부
30C: 커넥터 삽입구멍
30K: 제1잠금 프레임
30L; 본 발명에 따른 제2잠금 후크
30N: 커넥터 잠금 프레임
30P: 접속 패드
31: 개재 홀더
32: 회로기판
33: 스위치
34: 광원
50: 천장판
51: 부착구멍
60: 커넥터
60N: 잠금 후크
61: 커넥터 하우징

Claims (2)

  1. 차량용 실내조명장치로서,
    베이스 하우징을 구비한 디자인부와;
    상기 디자인부에 결합된 기능부와;
    착탈가능하게 상기 기능부에 삽입되는 커넥터;
    를 포함하고,
    상기 디자인부에는, 탄성을 가지고 간격을 두고 상기 베이스 하우징으로부터 상향 기립한 2개의 잠금 프레임이 제공되고,
    상기 기능부의 개재 홀더에는 2개의 잠금 후크가 제공되어,
    상기 기능부가 상기 디자인부와 결합할 때,
    상기 2 개의 잠금 후크는, 상기 2 개의 잠금 프레임 외측으로부터 상기 디자인부의 2 개의 잠금 프레임과 각각 결합하고,
    상기 2 개의 잠금 프레임 사이 부분에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삽입되는 커넥터 삽입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실내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부에는 상기 커넥터의 잠금 후크와 결합되어 상기 커넥터 삽입구멍의 일측을 규제하는 커넥터 잠금 프레임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실내조명장치.
KR1020137021491A 2011-02-15 2012-02-15 차량설치용 실내조명장치 KR1015093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30101A JP5627500B2 (ja) 2011-02-15 2011-02-15 車載室内照明装置
JPJP-P-2011-030101 2011-02-15
PCT/JP2012/054176 WO2012111843A1 (en) 2011-02-15 2012-02-15 In-vehicle indoor illumination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3626A KR20130103626A (ko) 2013-09-23
KR101509373B1 true KR101509373B1 (ko) 2015-04-07

Family

ID=45819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1491A KR101509373B1 (ko) 2011-02-15 2012-02-15 차량설치용 실내조명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30314938A1 (ko)
JP (1) JP5627500B2 (ko)
KR (1) KR101509373B1 (ko)
CN (1) CN103370222B (ko)
DE (1) DE112012000829B4 (ko)
WO (1) WO201211184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3520A (ko) 2018-07-30 2020-02-07 주식회사 알리 차량용 실내 조명등 인서트 사출성형 방법 및 그에 의해 성형된 차량용 실내 조명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66656B2 (ja) * 2013-07-08 2015-02-12 株式会社ホンダアクセス 板状部材に対する部品の取付構造
JP5639691B1 (ja) * 2013-07-08 2014-12-10 株式会社ホンダアクセス 板状部材に対する部品の取付構造
JP2016018856A (ja) * 2014-07-07 2016-02-01 トヨタ紡織株式会社 基板保護カバー及び基板保護構造
KR102345383B1 (ko) * 2014-12-29 2021-12-3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6913A (ja) 2000-08-10 2002-02-22 Yazaki Corp ランプユニットの電線接続構造
JP2004203344A (ja) 2002-12-26 2004-07-22 Yazaki Corp ランプユニットの取付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4079A (ja) * 2000-04-14 2001-10-23 Yazaki Corp 車両の室内照明装置
JP4338581B2 (ja) * 2004-05-10 2009-10-07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室内照明灯
JP2005329883A (ja) * 2004-05-21 2005-12-02 Yazaki Corp 車両用室内照明灯
US20080198607A1 (en) * 2007-02-15 2008-08-21 Tyco Electronics Canada Ltd. Panel mount light emitting element assembly
JP5130118B2 (ja) 2007-09-14 2013-01-30 矢崎総業株式会社 車載用室内照明装置
US7775694B2 (en) * 2007-09-14 2010-08-17 Yazaki Corporation Vehicle interior illumination lamp unit
JP4692604B2 (ja) * 2008-09-29 2011-06-01 豊田合成株式会社 車両室内用光源装置
JP5162420B2 (ja) * 2008-11-26 2013-03-13 矢崎総業株式会社 車載用室内照明機器
US8534882B2 (en) * 2009-02-02 2013-09-17 Yazaki Corporation Assembling structure for vehicle room illumination lamp
JP5458726B2 (ja) 2009-07-28 2014-04-02 富士通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端末、送信回路、および送信電力制御方法
JP5495431B2 (ja) * 2010-05-17 2014-05-21 矢崎総業株式会社 自動車用ルームランプ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6913A (ja) 2000-08-10 2002-02-22 Yazaki Corp ランプユニットの電線接続構造
JP2004203344A (ja) 2002-12-26 2004-07-22 Yazaki Corp ランプユニットの取付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3520A (ko) 2018-07-30 2020-02-07 주식회사 알리 차량용 실내 조명등 인서트 사출성형 방법 및 그에 의해 성형된 차량용 실내 조명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2000829T5 (de) 2013-12-24
WO2012111843A1 (en) 2012-08-23
US20130314938A1 (en) 2013-11-28
KR20130103626A (ko) 2013-09-23
CN103370222A (zh) 2013-10-23
DE112012000829B4 (de) 2015-08-06
JP5627500B2 (ja) 2014-11-19
CN103370222B (zh) 2015-09-02
JP2012166721A (ja) 2012-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9373B1 (ko) 차량설치용 실내조명장치
JP4692604B2 (ja) 車両室内用光源装置
JP5721446B2 (ja) 室内ランプの固定構造
JP5130118B2 (ja) 車載用室内照明装置
US9819123B2 (en) Connector with a housing having wings displaceably mounted in surrounding portions of a support to facilitate alignment with a mating housing
KR101207627B1 (ko) 차량의 포브 키
JP2006115638A (ja) 電気接続箱
KR101956750B1 (ko) 전자 제어 장치
JP2006173228A (ja) 受光装置
JP5467880B2 (ja) スイッチ一体型ledランプ装置
JP6652720B2 (ja) ランプユニット、及び車両用ドア
KR100812475B1 (ko) 차량용 저부하 스위치
KR101044038B1 (ko) 자동차용 커넥터의 록크 체결구조
CN212677267U (zh) 一种电视机
KR100881096B1 (ko) 백라이트램프 고정 소켓
US20110104939A1 (en) Flexible circuit board connector with anti-disengagement movable cover
KR200471780Y1 (ko) 차량용 스위치 장치
KR101897076B1 (ko) 커넥터 결합 구조를 구비한 전자 제어 장치
KR20070114670A (ko) 호환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의 인디케이터 장치
KR101437458B1 (ko) 안개등 스위치
JP4450002B2 (ja) 取付金具
CN106952759B (zh) 电子钥匙
KR101212054B1 (ko) 충전커넥터 잠금장치
US20090218461A1 (en) Base assembly capable of reducing the number of assembling steps
KR20070053994A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상표블록 및 조작블록의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