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2715A - 자동차용 커넥터의 록크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커넥터의 록크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2715A
KR20100112715A KR1020090031141A KR20090031141A KR20100112715A KR 20100112715 A KR20100112715 A KR 20100112715A KR 1020090031141 A KR1020090031141 A KR 1020090031141A KR 20090031141 A KR20090031141 A KR 20090031141A KR 20100112715 A KR20100112715 A KR 20100112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connector
piece
spac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1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4038B1 (ko
Inventor
노명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090031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4038B1/ko
Publication of KR20100112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2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4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4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암커넥터가 수커넥터에 삽입될 정확한 위치로 삽입되며 1차와 2차의 두 번 체결에 의하여 암커넥터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커넥터의 록크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구성은 수커넥터는 수용공간 상부에 위치하면서 전면과 일측면이 개구되어 있으면서, 하부면 중앙의 끝단이 후면에 연결되고 양측면이 분리된 체결편과, 체결편 내부에 형성된 체결공과, 개구된 일측면에서 수커넥터의 상부면까지 연장된 작동홀을 구비하는 체결공간과; 체결공간에 위치하며 일측의 하부면으로 전면에서 후면으로 기울어진 각도를 돌출된 삼각형상의 가이드부와, 체결공간의 체결편이 대응되는 부분에 체결편을 지지하도록 돌출된 걸림편과, 체결공간의 작동홀에 대응되는 체결수단의 타측에는 위치하는 손잡이편와 손잡이편의 후방 내측에는 체결공간에 스프링으로 결합되는 탄성돌기를 포함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며, 암커넥터는 상부 중앙에 수커넥터의 체결공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체결돌기와, 가이드부의 끝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가이드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커넥터, 록크 체결, 암커넥터, 수커넥터, 가이드부, 가이드돌기, 체결돌기

Description

자동차용 커넥터의 록크 체결구조{LOCK STRUCTURE OF CONNECTOR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수커넥터와 암커넥터의 체결시 수커넥터에 체결된 암커넥터가 강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간단하게 체결을 해제할 수 있는 자동차용 커넥터의 록크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암커넥터가 수커넥터에 삽입될 정확한 위치로 삽입되며 1차와 2차의 두 번 체결에 의하여 암커넥터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커넥터의 록크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Connector)라 함은 전기에서 전선이나 회로, 기기 등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용구를 말하는 것으로서, 여기서의 일체형 커넥터 조립체는 자동차에서 전원 단자와 시그널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이다.
이러한 커넥터는 자동차의 전장품으로부터 연장되어 각 종 퓨즈, 릴레이 및 전원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대체적으로 자동차에는 많은 전장품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전장품은 전원 단자측과 시그널 단자측이 커넥터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러나, 커넥터 기술에 있어 종래에는 커넥터의 단자 삽입구에 체결되는 단자가 단자 삽입구에 체결된 구조로만 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단자 삽입구에 체결된 단자는 가벼운 힘에 의해서 흔들림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하며 단자의 위치가 조금이나마 변하게 되어 이 단자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이종단자와의 결합시 결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용 수커넥터와 암커넥터의 체결시 수커넥터에 체결된 암커넥터가 강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간단하게 체결을 해제할 수 있는 자동차용 커넥터의 록크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암커넥터가 수커넥터에 삽입될 정확한 위치로 삽입되며 1차와 2차의 두 번 체결에 의하여 암커넥터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커넥터의 록크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커넥터의 록크 체결구조는, 후방에 와이어가 접속되며 전면에 수용공간(110)이 형성된 수커넥터(100)와 후방에 와이어가 접속되며 전방이 수커넥터에 삽입되는 암커넥터(200)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커넥터의 록크 체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수커넥터(100)는 수용공간 상부에 위치하면서 전면과 일측면이 개구되어 있으면서, 하부면 중앙의 끝단이 후면에 연결되고 양측면이 분리된 체결편(121)과, 체결편 내부에 형성된 체결공(122)과 개구된 일측면에서 수커넥터의 상부면까지 연장된 작동홀(123)을 구비하는 체결공간(120)과; 상기 체결공간에 위치하며 일측의 하부면으로 전면에서 후면으로 기울어진 각도를 돌출된 삼각형상의 가이드부(131)와, 체결공간의 체결편(121)이 대응되는 부분에 체결편을 지지하도록 돌출된 걸림편(132)과, 체결공간의 작동홀(123)에 대응되는 체결수단의 타측에는 위치 하는 손잡이편(133)과 손잡이편의 후방 내측에는 체결공간에 스프링(135)으로 결합되는 탄성돌기(134)를 포함하는 체결수단(130)을 포함하며,
상기 암커넥터는 상부 중앙에 수커넥터의 체결공(122)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체결돌기(210)와, 가이드부(131)의 끝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가이드돌기(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이드부(131)는 삼각형상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체결공간(120)의 후면은 다단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체결수단은 가이드부(131)와 걸림편 사이 및 걸림편(132)과 손잡이편(133)의 사이에는 체결편이 상부로 이동할 수 있는 유동공간(13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커넥터의 록크 체결구조에 의해 수커넥터에 결합된 암커넥터가 강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암커넥터가 수커넥터에 삽입될 정확한 위치로 삽입되며 1차와 2차의 두 번 체결에 의하여 암커넥터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커넥터의 록크 체결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커넥터의 체결공간에 대한 절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수단의 사시도이고,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커넥터 체결구조의 체결과정에 대한 상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용 커넥터의 록크 체결구조는 후방에 와이어가 접속되며 전면에 수용공간(110)이 형성된 수커넥터(100)와 후방에 와이어가 접속되며 전방이 수커넥터에 삽입되는 암커넥터(200)로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커넥터(100)의 수용공간 상부에는 전면과 일측면이 개구된 체결공간(120)이 형성되며 체결공간(120)에는 삽입된 암커넥터(2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체결수단(130)이 위치한다.
체결공간의 하부면 중앙은 끝단이 체결공간의 후면에 연결되면서 양측면이 체결공간과 분리된 체결편(121)이 형성되며 체결편 내부에는 체결공(122)이 형성된다. 또한, 개구된 체결공간의 일측면은 수커넥터의 상부면까지 연장된 작동홀(123)이 형성된다. 이때, 작동홀(123)은 후술하는 체결수단의 손잡이편(133)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내측으로 삽입되어 형성된다. 한편, 체결공간(120)의 후면은 다단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수단(130)은 체결공간에 위치하며 일측의 하부면에는 소정의 각도를 갖는 삼각형상으로 가이드부(131)가 돌출 형성되고, 체결공간의 체결편(121)이 대응되는 부분에는 체결편을 지지하는 걸림편(132)이 돌출 형성되며, 체결공간의 작동홀(123)에 대응되는 체결수단의 타측에는 체결수단을 좌 우로 이동시키는 손잡이편(133)이 형성된다. 그리고, 손잡이편의 후방 내측에는 체결공간에 스프링(135)이 결합되는 탄성돌기(134)가 형성된다. 이러한 손잡이편(133)은 체결공간의 작동홀(123)을 따라 이동하여 체결수단을 전체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체결수단(130)에 의하여 걸림편(132)과 손잡이편(133)의 사이에는 체결편이 상부로 이동할 수 있는 유동공간(136)이 형성된다. 즉, 체결공간의 체결편(121)의 상부에 체결수단의 걸림편(132)이 위치하면 체결편(121)은 움직이지 않고 현위치를 그대로 유지되며, 체결편의 상부에 걸림편과 손잡이편 사이에 형성된 유동공간(136)이 위치하면 체결편(121)은 유동공간(136)의 높이 까지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스프링(135)에 의하여 체결수단이 좌우로 이동한 후에도 본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한편, 암커넥터(200)는 상부 중앙에 수커넥터의 체결공(122)에 대응되는 체결돌기(210)가 형성되고, 가이드부(131)의 끝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가이드돌기(220)가 형성된다. 이때 체결돌기(210)는 양끝단이 기울어지도록 형성되어 체결편(121)을 밀면서 체결공(122)에 쉽게 삽입되거나 체결편(121)을 밀면서 체결공(122)에서 쉽게 이탈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수커넥터(100)에 체결된 암커넥터(200)를 체결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커넥터(100)의 체결공간(120)에 암커넥터(200) 가 삽입되면, 삽입 직전에 암커넥터의 가이드돌기(220)가 수커넥터의 가이드부(131)의 전면끝단에 위치하게 된다. 이어서 암커넥터(200)가 수커넥터의 체결공간(120)에 삽입되면서 가이드돌기(220)는 가이드부(131)를 계속 밀면서 체결공간(120)의 안쪽으로 이동된다. 즉, 가이드돌기(220)는 직선방향으로 체결공간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가이드부(131)는 가이드돌기(220)에 의하여 기울기만큼 좌우방향인 바깥쪽으로 밀리게 되며 가이드부(131)가 설치된 본체인 체결수단(130)이 전체적으로 바깥쪽으로 이동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커넥터가 수커넥터의 체결공간에 삽입되는 동안에 가이드돌기의 체결편(121)의 상부에 위치하던 걸림편(132)은 체결공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어서 암커넥터의 체결돌기(210)는 체결편(121)을 밀면서 체결공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체결돌기(210)의 양끝단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면 체결편(121)을 쉽게 밀면서 삽입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커넥터의 가이드돌기(220)가 가이드부(131)의 후면끝단을 통과하면 더 이상 가이드돌기(220)가 닿는 부분이 없어 스프링에 의하여 체결수단(130)이 다시 원래의 위치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체결편(121)의 상부에 위치하던 유동공간(136)은 안쪽으로 이동하고 다시 체결편(121)의 상부에 걸림편(132)이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암커넥터의 체결돌기(210)는 수커넥터의 체결공간(120)에 형성된 체결공(122)에 위치하면서 1차로 체결되며, 암커넥터의 가이드돌기(220)는 수커넥터의 체결수단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부(131)의 하단에 위치하면서 2차로 체결된다.
또한, 수커넥터(100)에 체결된 암커넥터(200)를 분리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체결수단의 손잡이편(133)을 체결공간의 작동홀(123)을 따라 누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수단(130)은 전체적으로 바깥쪽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가이드돌기(220)는 가이드부(131)의 후면끝단에 위치하고, 체결편(121)의 상부에 유동공간(136)이 위치하게 된다.
그 후, 암커넥터를 분리하면 암커넥터의 체결돌기(210)는 체결편(121)을 밀면서 체결공(122)에서 빠져나와 분리되고, 가이드돌기(220)는 가이드부(131)와 걸림편(132) 사이를 통해 그대로 빠져나오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암커넥터(200)는 수커넥터의 체결공간(120)에서 이탈되며, 체결수단은 체결공간에 결합된 스프링(135)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온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커넥터의 록크 체결구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커넥터의 체결공간에 대한 절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수단의 사시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커넥터 체결구조의 체결과정에 대한 상태도.

Claims (4)

  1. 후방에 와이어가 접속되며 전면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수커넥터와 후방에 와이어가 접속되며 전방이 수커넥터에 삽입되는 암커넥터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커넥터의 록크 체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수커넥터는 수용공간 상부에 위치하면서 전면과 일측면이 개구되어 있으면서, 하부면 중앙의 끝단이 후면에 연결되고 양측면이 분리된 체결편과, 체결편 내부에 형성된 체결공과 개구된 일측면에서 수커넥터의 상부면까지 연장된 작동홀을 구비하는 체결공간과; 상기 체결공간에 위치하며 일측의 하부면으로 전면에서 후면으로 기울어진 각도를 돌출된 삼각형상의 가이드부와, 체결공간의 체결편이 대응되는 부분에 체결편을 지지하도록 돌출된 걸림편과, 체결공간의 작동홀에 대응되는 체결수단의 타측에는 위치하는 손잡이편과 손잡이편의 후방 내측에는 체결공간에 스프링으로 결합되는 탄성돌기를 포함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암커넥터는 상부 중앙에 수커넥터의 체결공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체결돌기와, 가이드부의 끝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가이드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커넥터의 록크 체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삼각형상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커넥터의 록크 체결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공간의 후면은 다단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커넥터의 록크 체결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가이드부와 걸림편 사이 및 걸림편과 손잡이편의 사이에 체결편이 상부로 이동할 수 있는 유동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커넥터의 록크 체결구조.
KR1020090031141A 2009-04-10 2009-04-10 자동차용 커넥터의 록크 체결구조 KR101044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141A KR101044038B1 (ko) 2009-04-10 2009-04-10 자동차용 커넥터의 록크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141A KR101044038B1 (ko) 2009-04-10 2009-04-10 자동차용 커넥터의 록크 체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2715A true KR20100112715A (ko) 2010-10-20
KR101044038B1 KR101044038B1 (ko) 2011-06-23

Family

ID=43132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1141A KR101044038B1 (ko) 2009-04-10 2009-04-10 자동차용 커넥터의 록크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40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83750A1 (en) * 2019-08-19 2021-02-24 Aptiv Technologies Limited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KR102258328B1 (ko) * 2020-06-01 2021-05-31 주식회사 한올테크 카시트 전장품 조립 및 검사를 위한 조립라인용 암수접속체의 고정 및 고정해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0178B2 (ja) * 1995-06-12 2001-05-28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誤結合防止装置
JPH10108814A (ja) 1996-10-04 1998-04-28 Japan Home Supply Kk 清掃用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83750A1 (en) * 2019-08-19 2021-02-24 Aptiv Technologies Limited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KR102258328B1 (ko) * 2020-06-01 2021-05-31 주식회사 한올테크 카시트 전장품 조립 및 검사를 위한 조립라인용 암수접속체의 고정 및 고정해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4038B1 (ko) 2011-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62243B2 (en) Connector
KR101030911B1 (ko) 커넥터 위치 보장 부재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
KR101886959B1 (ko) 커넥터
KR101830422B1 (ko) 차량용 커넥터
JP5333849B2 (ja) 電気接続箱
CN107017498B (zh) 连接器和连接器组件
JP5282540B2 (ja) 雄雌接続構造
EP2206203B1 (en) End connector for a shielded cable
KR101214847B1 (ko) 슬라이드 레버를 구비한 커넥터
CN105940568B (zh) 连接器和连接器装置
KR101830421B1 (ko) 차량용 커넥터
KR101794340B1 (ko) 차량용 커넥터
KR200442350Y1 (ko) 일체형 이중 결합 커넥터
JP4657034B2 (ja) コネクタ
KR101044038B1 (ko) 자동차용 커넥터의 록크 체결구조
KR101063396B1 (ko) 차량용 콘덴서 커넥터
KR101671866B1 (ko) 컨벤셔널 타입 박스의 프런트 티피에이 조립구조
KR101794339B1 (ko) 차량용 조인트 커넥터
KR100866081B1 (ko) 이중 잠금 리셉터클 단자 커넥터
JP5537239B2 (ja) 暗電流ヒューズの断続機構
KR102666853B1 (ko) 파크라 커넥터
KR200318476Y1 (ko) 차량용 커넥터 조립체의 결합 가이드구조
KR101830423B1 (ko) 차량용 커넥터
JP2010287463A (ja) コネクタ
JP2023032437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