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8891B1 - 내연 기관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내연 기관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8891B1
KR101508891B1 KR1020147009629A KR20147009629A KR101508891B1 KR 101508891 B1 KR101508891 B1 KR 101508891B1 KR 1020147009629 A KR1020147009629 A KR 1020147009629A KR 20147009629 A KR20147009629 A KR 20147009629A KR 101508891 B1 KR101508891 B1 KR 101508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nal combustion
combustion engine
engine
lubricating oil
pressur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9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9300A (ko
Inventor
마사토모 요시하라
쇼이치 구와야마
Original Assignee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59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9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8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8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37/00Non-electrical conjoint control of two or more functions of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16Controlling lubricant pressure or quant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9/00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 F02D29/02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peculiar to engines driving vehicles; peculiar to engines driving variable pitch prope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02N11/0814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comprising means for controlling automatic idle-start-sto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5/00Heating, cooling, 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lubricant; Lubrication means facilitating engine starting
    • F01M2005/008Lubrication means facilitating engine star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ubric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Abstract

전자 제어 장치는, 기관 구동식 펌프를 구비하는 내연 기관에 적용되며, 내연 기관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윤활유를 순환시킴과 함께, 윤활유의 수요가 작을 때 윤활유의 순환량을 제한하는 저압 제어를 실행하여 내연 기관에 작용하는 펌프의 구동 부하를 저감한다. 또한, 소정의 자동 정지 조건이 성립되었을 때 기관 운전을 자동 정지함과 함께, 당해 자동 정지 중에 소정의 재시동 조건이 성립되었을 때 내연 기관을 재시동한다. 또한, 이그니션 스위치의 조작에 수반하는 내연 기관의 시동 시에는 저압 제어의 실행을 금지하는 한편, 내연 기관의 재시동 시에는 저압 제어의 실행을 허용한다.

Description

내연 기관 제어 장치{CONTROL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본 발명은 기관 구동식 펌프를 구비하는 내연 기관에 적용되며, 내연 기관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윤활유를 순환시킴과 함께, 윤활유의 수요가 작을 때 윤활유의 순환량을 제한하는 저압 제어를 실행하여 내연 기관에 작용하는 펌프의 구동 부하를 저감하는 내연 기관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내연 기관은 기관 구동식 펌프를 구비하고 있고, 이 펌프를 구동함으로써 내연 기관의 각 부에 윤활유를 순환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윤활유의 공급 통로에 릴리프압을 변경할 수 있는 릴리프 밸브를 구비하고, 윤활유의 수요가 작을 때 릴리프 밸브의 릴리프압을 낮게 함으로써, 윤활유의 순환량을 제한하는 저압 제어를 실행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저압 제어를 실행함으로써 내연 기관에 작용하는 펌프의 구동 부하를 저감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내연 기관의 연료 소비량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런데, 내연 기관의 시동 시에는, 그때까지의 기관 정지 중에 공급 통로 내의 윤활유가 흘러 나와 버림으로써, 공급 통로 내에 윤활유가 남아 있지 않은 상황으로 된다. 따라서, 내연 기관의 시동 시에는, 저압 제어의 실행을 금지함으로써, 기관 시동 직후에 공급 통로 내의 윤활유의 압력을 높은 상태로 해서 공급 통로의 말단까지 빠르게 윤활유를 골고루 미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도 제안되고 있다.
또한 종래, 기관 운전 중에 있어서, 예를 들어 차속이 소정의 속도 이하이고, 또한 액셀러레이터 페달이 답입되어 있지 않다고 하는 소정의 자동 정지 조건이 성립되었을 때 기관 운전을 자동 정지하는 제어, 소위 아이들링 스톱 제어를 행함으로써, 내연 기관의 연료 소비량을 억제하는 기술이 주지이다. 또한, 당해 자동 정지 중에 있어서, 예를 들어 액셀러레이터 페달이 다시 답입되었다고 하는 등의 소정의 재시동 조건이 성립되었을 때 내연 기관이 재시동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0-116890호 공보
그런데, 상술한 내연 기관의 자동 정지 재시동 제어를 행하는 제어 장치에 대하여, 내연 기관의 시동 시에 저압 제어의 실행을 금지하는 상기 기술을 적용하면, 내연 기관의 재시동의 빈도가 증대하기 때문에, 저압 제어의 실행이 빈번히 금지되게 된다. 그로 인해, 저압 제어의 실행 기회가 크게 제한되어 버려, 내연 기관의 연료 소비량을 억제하는 데 있어서는 여전히, 개선의 여지를 남기는 것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기관 시동 시에 윤활유의 공급 부족이 발생해 버리는 것을 억제하는 한편, 내연 기관에 작용하는 펌프의 구동 부하를 저감할 수 있는 내연 기관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하,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 및 그 작용 효과에 대하여 기재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르는 내연 기관 제어 장치는, 기관 구동식 펌프를 구비하는 내연 기관에 적용되며, 상기 내연 기관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윤활유를 순환시킴과 함께, 윤활유의 수요가 작을 때 윤활유의 순환량을 제한하는 저압 제어를 실행하여 상기 내연 기관에 작용하는 상기 펌프의 구동 부하를 저감하는 제어 장치이며, 기관 시동 시에 상기 저압 제어의 실행을 제한하는 내연 기관 제어 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자동 정지 조건이 성립되었을 때 기관 운전을 자동 정지함과 함께, 당해 자동 정지 중에 소정의 재시동 조건이 성립되었을 때 내연 기관을 재시동하는 것이고, 내연 기관의 재시동 시에는 상기 저압 제어의 실행 제한을 완화하는 것을 그 요지로 하고 있다.
상기 형태에 따르면, 내연 기관의 자동 정지 후의 재시동 시에는, 저압 제어의 실행 제한이 완화되게 되기 때문에, 재시동 직후에는 다른 시동 시에 비하여 윤활유의 순환량이 제한되게 된다. 여기서, 내연 기관의 재시동 시에는, 직전에 기관 운전이 정지되고 나서의 경과 시간이 짧은 경우가 많다. 이 경우, 기관 정지 중에 공급 통로 내의 윤활유가 흘러 나와 버리기 전에 기관 시동이 행해지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발명에 따르면, 기관 시동 직후에는 윤활유의 순환량을 제한하면서도 공급 통로 내의 윤활유의 압력이 어느 정도, 높은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기관 시동 시에 윤활유의 공급 부족이 발생해 버리는 것을 억제하는 한편, 내연 기관에 작용하는 펌프의 구동 부하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내연 기관의 재시동 시에, 직전의 자동 정지 계속 시간이 소정 시간 이상일 때는 상기 저압 제어의 실행 제한의 완화를 무효화하여 이 저압 제어의 실행을 제한한다고 하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내연 기관의 자동 정지 후의 재시동 시라도, 직전에 기관 운전이 정지되고 나서의 경과 시간이 긴 경우가 있다. 이 경우, 기관 정지 중에 공급 통로 내의 윤활유가 흘러 나와 버려, 기관 시동 시에는 공급 통로 내에 윤활유가 거의 남아 있지 않은 상황으로 된다. 그로 인해, 이러한 경우에까지, 내연 기관의 재시동 시인 것을 이유로 저압 제어가 실행되면, 기관 시동 직후에 공급 통로의 말단까지 윤활유를 골고루 미치게 하는 데에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 상기 형태에 따르면, 내연 기관의 재시동 시라도, 직전의 자동 정지 계속 시간이 소정 시간 이상일 때는 저압 제어의 실행 제한의 완화가 무효화되어 저압 제어의 실행이 제한되게 된다. 이로 인해, 직전의 자동 정지 계속 시간이 긴 것에 기인하여 기관 시동 직후에 공급 통로의 말단까지 빠르게 윤활유를 골고루 미치게 할 수 없다고 하는 상기 문제의 발생을 적절하게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경우, 내연 기관의 재시동 시에, 직전의 자동 정지 중에서의 기관 온도가 높을 때일수록 상기 소정 시간을 짧게 설정한다고 하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상기 소정 시간을 최대한 긴 시간으로 설정하는 것이 저압 제어의 실행 기회를 증가시켜서 내연 기관에 작용하는 펌프의 구동 부하를 저감하게 하는 데 있어서는 바람직하다. 단, 직전의 자동 정지 계속 시간이 동일하더라도, 기관 정지 중에 공급 통로 내에서 흘러 나오는 윤활유의 양은 윤활유의 점도가 낮을 때일수록 많아진다. 이로 인해, 가령 점도가 높아 공급 통로 내의 윤활유가 흘러 나가기 어려운 상황을 상정하여 상기 소정 시간을 최대한 긴 고정값으로 설정하면, 이하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즉, 직전의 자동 정지 계속 시간이 상기 소정 시간 미만이라도, 점도가 낮아 공급 통로 내의 윤활유가 흘러 나가기 쉬운 상황에 있어서는, 기관 정지 중에 공급 통로 내의 윤활유가 흘러 나와 버려, 기관 시동 시에는 공급 통로 내에 윤활유가 남아 있지 않은 상황으로 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점에서, 상기 형태에 따르면, 내연 기관의 재시동 시에, 직전의 자동 정지 중에서의 기관 온도가 높을 때일수록 소정 시간이 짧게 설정되게 된다. 이로 인해, 윤활유의 점도에 높은 상관을 갖는 기관 온도에 따라서 소정 시간을 적확하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기관 시동 시에 윤활유의 공급 부족이 발생해 버리는 것을 적확하게 억제하는 한편, 내연 기관에 작용하는 펌프의 구동 부하를 저감하여 내연 기관의 연료 소비량을 적확하게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윤활유의 공급 통로에는 릴리프압을 변경할 수 있는 릴리프 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저압 제어에 있어서는, 상기 릴리프 밸브의 릴리프압을 낮게 함으로써, 윤활유의 순환량을 제한한다고 하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윤활유의 순환량을 제한함으로써, 펌프의 구동 부하를 저감하기 위한 구성으로서는, 상기 형태에 따르는 바와 같이, 윤활유의 공급 통로에 릴리프압을 변경할 수 있는 릴리프 밸브를 설치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하면, 릴리프 밸브의 릴리프압을 낮게 함으로써, 저압 제어를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서의 내연 기관 제어 장치에 대해서, 당해 내연 기관의 유압 공급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2는 이 실시 형태에서의 유압 공급 시스템의 고릴리프압 상태에서의 동작 형태를 설명하는 모식도.
도 3은 이 실시 형태에서의 유압 공급 시스템의 저릴리프압 상태에서의 동작 형태를 설명하는 모식도.
도 4는 이 실시 형태에서의 기관 시동 시의 유압 제어의 처리 수순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5의 (a) 내지 (e)는 이 실시 형태에서의 기관 시동 시의 유압 제어가 실행되었을 때의 각종 파라미터의 추이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 (f), (g) 종래의 기관 시동 시에서의 유압 제어가 실행되었을 때의 각종 파라미터의 추이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내연 기관 제어 장치를, 차량에 탑재되는 내연 기관을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전자 제어 장치로서 구체화한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본 실시 형태에서의 내연 기관의 유압 공급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유압 공급 시스템은, 내연 기관(10)의 도 1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출력축(11)에 연결된 기관 구동식 펌프(20)를 구비하고 있다. 유압 공급 시스템은, 내연 기관(10)의 구동력을 이용해서 이 펌프(20)를 구동하고, 오일 팬(22)에 저류된 윤활유를 펌프(20)로 압송함으로써, 피윤활부인 내연 기관(10)의 각 부에 윤활유를 공급하는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20)에는 공급 통로(21)가 접속되어 있고, 오일 팬(22)에 저류된 윤활유를 공급 통로(21)를 통하여 피윤활부에 공급한다. 또한, 내연 기관(10)의 피윤활부에 공급되어 윤활에 제공된 윤활유는, 내연 기관(10)의 내부를 타고 떨어져서 내연 기관(10)의 하부에 장착된 오일 팬(22)에 다시 저류 되도록 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 통로(21)에서의 펌프(20)보다도 하류측 부분에는, 릴리프 밸브(3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릴리프 밸브(30)에는 공급 통로(21)에서의 펌프(20)보다도 상류측 부위에 접속하는 환류 통로(23)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오일 팬(22)으로부터 펌프(20)를 향하는 방향을, 공급 통로(21)를 흐르는 윤활유의 흐름 방향으로 하고, 펌프(20)와 오일 팬(22) 사이의 공급 통로(21)의 부위가, 공급 통로(21)에서의 펌프(20)보다도 상류측 부위이다.
이에 의해, 공급 통로(21) 내의 윤활유의 압력이 릴리프압 이상으로 되었을 때는, 릴리프 밸브(30)가 밸브 개방하여, 공급 통로(21) 내의 윤활유의 일부가, 환류 통로(23)를 통하여 공급 통로(21)에서의 펌프(20)보다도 상류측 부위로 환류되게 되어 있다.
릴리프 밸브(3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압 전환 밸브(40)를 제어함으로써 릴리프압을 2단계로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유압 전환 밸브(40)는 내연 기관(10)을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전자 제어 장치(100)로부터의 구동 명령에 기초하여 구동된다.
전자 제어 장치(100)는 내연 기관(10)의 제어에 관한 연산 처리나, 유압 전환 밸브(40)의 제어를 통한 윤활유의 압력 제어에 관한 연산 처리 등을 실행하는 중앙 연산 처리 장치(CPU)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전자 제어 장치(100)는 연산 처리를 위한 연산 프로그램이나 연산 맵, 그리고 각종 데이터가 기억된 판독 전용 메모리(ROM), 연산의 결과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등을 구비하고 있다.
전자 제어 장치(100)에는, 출력축(11)의 회전각에 기초하여 기관 회전 속도(NE)를 검출하는 크랭크각 센서(101)와, 내연 기관(10)의 내부에 형성된 워터 재킷 내를 순환하는 기관 냉각수의 수온[이하, 냉각 수온(ThW)]을 검출하는 수온 센서(102)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전자 제어 장치(100)에는, 차속(V)을 검출하는 차속 센서(103), 내연 기관(10)에 도입되는 흡입 공기량(GA)을 검출하는 에어 플로미터(104), 운전자에 의한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조작량을 검출하는 액셀레이터 포지션 센서(105)도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전자 제어 장치(100)에는, 운전자에 의한 브레이크의 답입 상태를 검출하는 브레이크 센서(106), 시프트 레버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시프트 포지션 센서(107), 이그니션 키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이그니션 스위치(108) 등도 접속되어 있다.
전자 제어 장치(100)는 이들 각종 센서(101 내지 108)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연료 분사량(Q)이나 점화 시기의 제어 등에 관한 각종 연산을 실행함과 함께, 윤활유의 순환량을 제어하기 위해 공급 통로(21)를 통하여 내연 기관(10)에 공급되는 윤활유의 압력 및 순환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유압 전환 밸브(40)를 조작한다.
또한, 전자 제어 장치(100)는 소정의 자동 정지 조건이 성립되었을 때 연료 분사를 정지함으로써 기관 운전을 자동 정지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차속(V)이 소정의 속도 이하이고,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조작량이 「0」이며, 또한 브레이크가 답입되어 있는 것을 이유로 소정의 자동 정지 조건이 성립된다. 또한, 당해 자동 정지 중에 소정의 재시동 조건이 성립되었을 때 스타터 모터를 구동함과 함께 연료 분사 및 혼합기로의 점화를 개시함으로써 내연 기관(10)을 재시동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브레이크의 답입이 해제되는 것, 또는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조작량이 증대한 것을 이유로 소정의 재시동 조건이 성립된다.
이하, 본 실시 형태에서의 유압 공급 시스템의 릴리프 밸브(3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도 2 및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서의 유압 공급 시스템의 릴리프 밸브(30)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고, 도 2는 릴리프 밸브(30)가 고릴리프압 상태에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3은 릴리프 밸브(30)가 저릴리프압 상태에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급 통로(21)에서의 펌프(20)보다도 하류측 부분에는, 릴리프 밸브(30)가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리프 밸브(30)에 있어서는, 그 하우징(30a) 내에, 원통 형상의 슬리브(31)가 축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슬리브(31)는 공급 통로(21)와 환류 통로(23)에 연통하도록 하우징(30a)에 형성된 밸브 수용 공간(30b)에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슬리브(31)의 측벽에는, 이 측벽을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릴리프 포트(32)가 형성되어 있다. 릴리프 포트(32)는 환류 통로(23)에 연통하고 있다. 또한, 슬리브(31)의 내부에는, 이 릴리프 포트(32)를 개폐하도록 슬리브(31)의 축 방향, 즉 도 2에서의 상하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한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의 밸브체(35)가 수용되어 있다.
릴리프 밸브(30)의 하우징(30a)의 도 2에서의 하방의 저면에는 지지 부재(37)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지지 부재(37)와 밸브체(35) 사이에는 압축된 스프링(36)이 수용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밸브체(35)는 스프링(36)에 의해 도 2에서의 상방, 즉 릴리프 포트(32)를 폐색하는 방향으로 항상 가압되어 있다.
이에 의해, 릴리프 밸브(30)에 있어서는, 공급 통로(21)를 흐르는 윤활유의 압력이 증대함으로써 밸브체(35)에 작용하는 윤활유의 압력이 증대했을 때,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밸브체(35)가 스프링(36)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도 2에서의 하방으로 변위하기 때문에, 릴리프 포트(32)가 개구하게 되어 있다.
도 2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리프 포트(32)는 환류 통로(23) 내로 개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밸브체(35)가 밸브 개방 위치, 즉 릴리프 포트(32)가 개구되는 위치까지 변위함으로써, 릴리프 포트(32)를 통해서 공급 통로(21)와 환류 통로(23)가 연통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릴리프 포트(32)를 통해서 공급 통로(21)와 환류 통로(23)가 연통되면, 공급 통로(21)를 흐르는 윤활유의 일부가 환류 통로(23)를 통하여 펌프(20)의 상류측으로 환류되게 된다.
요컨대, 이 릴리프 밸브(30)에 있어서는, 스프링(36)의 가압력의 크기에 따라 릴리프압이 결정되고 있다. 즉, 공급 통로(21)를 흐르는 윤활유가 밸브체(35)를 도 2에서의 하방으로 가압하는 가압력이, 스프링(36)의 가압력보다도 커졌을 때 릴리프 포트(32)가 개구됨으로써, 공급 통로(21)를 흐르는 윤활유의 일부가 펌프(20)의 상류측으로 환류되게 된다.
도 2의 하방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31)의 저면(31a)과, 지지 부재(37)가 고정되어 있는 하우징(30a)의 저면 사이에는 배압실(38)이 형성되어 있다. 이 배압실(38)에는, 공급 통로(21)를 흐르는 윤활유의 일부가 분기 통로(41) 및 배압 통로(42)를 순서대로 통하여 선택적으로 유도되게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슬리브(31)는 릴리프 밸브(30)의 하우징(30a) 내에서, 그 축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이 릴리프 밸브(30)에 있어서는, 슬리브(31)의 저면(31a)에 작용하는 유압에 기인하여 이 슬리브(31)를 도 2에서의 상방으로 가압하는 가압력과, 슬리브(31)의 정상면(31b)에 작용하는 유압에 기인하여 이 슬리브(31)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힘의 대소 관계에 따라서, 슬리브(31)가 하우징(30a)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변위하게 되어 있다.
또한, 슬리브(31)의 형상은, 배압실(38) 내의 유압이 작용하는 저면(31a)의 면적이, 공급 통로(21)를 흐르는 윤활유의 압력이 작용하는 정상면(31b)의 면적보다도 커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로 인해, 배압실(38)이 분기 통로(41) 및 배압 통로(42)를 통하여 공급 통로(21)와 연통됨으로써, 슬리브(31)의 저면(31a) 및 정상면(31b)과 똑같은 유압이 작용하게 되었을 때는, 저면(31a)의 수압 면적이 정상면(31b)의 수압 면적보다도 큰 분만큼 슬리브(31)를 상방으로 가압하는 힘이 커진다.
그 결과, 슬리브(31)가 상방으로 변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0a) 내의 상방에 위치하게 된다. 도 3의 상태에서도 릴리프 포트(32)는 환류 통로(23)에 연통하고 있다.
도 2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 통로(21)에 접속되어 있는 분기 통로(41)와, 배압실(38)에 접속되어 있는 배압 통로(42) 사이에는 유압 전환 밸브(4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유압 전환 밸브(40)에는, 또한 드레인 통로(43)가 접속되어 있고, 유압 전환 밸브(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기 통로(41)와 배압 통로(42)를 연통하는 상태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압 통로(42)와 드레인 통로(43)를 연통하는 상태를 전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드레인 통로(43)는 공급 통로(21)에서의 펌프(20)보다도 상류측 부위에 접속되어 있고, 유압 전환 밸브(40)가 배압 통로(42)와 드레인 통로(43)를 연통하는 상태로 전환되어 있을 때 드레인 통로(43)는 배압실(38) 내의 윤활유를 공급 통로(21)에서의 펌프(20)보다도 상류측 부분으로 환류시킨다.
본 실시 형태의 유압 공급 시스템은, 유압 전환 밸브(40)를 조작함으로써, 배압실(38) 내의 유압을 제어하고, 그 결과로서 하우징(30a) 내에서의 슬리브(31)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릴리프압을 변경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기 통로(41)와 배압 통로(42)를 연통하도록 유압 전환 밸브(40)를 조작함으로써, 공급 통로(21) 내의 윤활유의 일부를 배압실(38)에 도입하도록 한 경우에는, 슬리브(31)의 저면(31a)에 공급 통로(21) 내의 윤활유의 압력과 동등한 유압이 작용하게 된다.
그 결과, 슬리브(31)의 저면(31a)에 작용하는 유압에 기인하여 슬리브(31)를 도 3에서의 상방으로 가압하는 힘이, 슬리브(31)의 정상면(31b)에 작용하는 유압에 기인하여 슬리브(31)를 도 3에서의 하방으로 가압하는 힘보다도 커지면, 슬리브(31)가 상방으로 변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리프 밸브(30)의 하우징(30a)에서의 상방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압 통로(42)와 드레인 통로(43)를 연통하도록 유압 전환 밸브(40)를 조작한 경우에는, 배압실(38) 내의 윤활유가 드레인 통로(43)를 통하여 공급 통로(21)에서의 펌프(20)보다도 상류측 부분으로 환류되게 되기 때문에, 배압실(38) 내의 유압이 저하한다.
그 결과, 슬리브(31)의 정상면(31b)에 작용하는 유압에 기인하여 슬리브(31)를 도 2에서의 하방으로 가압하는 힘이, 슬리브(31)의 저면(31a)에 작용하는 유압에 기인하여 슬리브(31)를 도 2에서의 상방으로 가압하는 힘보다도 커지면, 슬리브(31)가 하방으로 변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리프 밸브(30)의 하우징(30a)에서의 하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슬리브(31)가 하우징(30a) 내에서 하방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슬리브(31)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보다도, 밸브체(35)가 밸브 개방 위치까지 변위시켰을 때의 스프링(36)의 압축량이 많아진다. 즉, 도 2과 같이 슬리브(31)가 하방에 위치할 때는, 도 3과 같이 슬리브(31)가 상방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밸브체(35)가 스프링(36)으로부터 받는 가압력이 커진다. 이로 인해, 릴리프 포트(32)가 개구할 때의 공급 통로(21) 내의 윤활유의 압력, 즉 릴리프압이 높아진다.
한편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31)가 하우징(30a) 내에서 상방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슬리브(31)가 하방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보다도, 밸브체(35)를 밸브 개방밸브 개방 변위시켰을 때의 스프링(36)의 압축량이 적어진다. 즉, 도 3일 때는, 슬리브(31)가 하방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밸브체(35)가 스프링(36)으로부터 받는 가압력이 작아져서 릴리프압이 낮아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유압 공급 시스템에 의하면, 유압 전환 밸브(40)를 조작함으로써 배압실(38) 내의 유압 오일을 제어하고, 그 결과로서 슬리브(31)를 스프링(36)의 신축 방향으로 변위시킴으로써, 릴리프압이 높아지는 고릴리프압 상태(도 2에 도시되는 상태)와, 릴리프압이 낮아지는 저릴리프압 상태(도 3에 도시되는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관 회전 속도(NE) 및 기관 부하(KL)에 기초하여 내연 기관(10)에서의 윤활유의 수요의 크기를 추정하여, 기관 회전 속도(NE)가 낮고 또한 기관 부하(KL)가 낮을 때와 같이 윤활유의 수요가 그 정도로 크지 않을 때는, 유압 전환 밸브(40)를 조작함으로써 저릴리프압 상태를 실현(전환)하는 저압 제어를 실행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기관 회전 속도(NE)가 높을 때나 기관 부하(KL)가 높을 때와 같이 윤활유의 수요가 클 때는, 유압 전환 밸브(40)를 조작함으로써 고릴리프압 상태를 실현(전환)하는 고압 제어를 실행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내연 기관(10)의 시동 시에는, 지금까지의 기관 정지 중에 공급 통로(21) 내의 윤활유가 흘러 나와 버리기 때문에, 공급 통로(21) 내에 윤활유가 남아 있지 않은 상황으로 된다. 따라서, 내연 기관(10)의 시동 시에는 저압 제어의 실행을 금지함으로써 고압 제어를 실행하는 것으로, 기관 시동 직후에 공급 통로(21) 내의 윤활유의 압력을 높은 상태로 하고, 그 결과로서 공급 통로(21)의 말단까지 빠르게 윤활유를 골고루 미치게 하도록 하는 것이 생각된다.
그런데, 내연 기관(10)의 자동 정지 재시동 제어가 행해지면, 내연 기관(10)의 재시동의 빈도가 증대하기 때문에, 저압 제어의 실행이 빈번히 금지되게 된다. 그로 인해, 저압 제어의 실행 기회가 크게 제한되어 버린다.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그니션 스위치(108)의 조작에 수반하는 내연 기관(10)의 시동 시에는 저압 제어의 실행을 금지하는 한편, 내연 기관(10)의 재시동 시에는 저압 제어의 실행 금지를 해제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해, 기관 시동 시에 윤활유의 공급 부족이 발생해 버리는 것을 억제하는 한편, 내연 기관(10)에 작용하는 펌프(20)의 구동 부하를 최대한 저감함으로써 내연 기관(10)의 연료 소비량을 억제하도록 하고 있다.
이어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서의 기관 시동 시의 유압 제어의 처리 수순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며, 전자 제어 장치(100)에 의해 내연 기관(10)의 시동이 개시되었을 때 실행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일련의 처리에서는, 우선, 스텝 S1에서, 당해 내연 기관(10)의 시동이 키 조작에 의한 시동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이그니션 스위치(108)의 조작에 의한 기관 시동인지, 전술한 소정의 재시동 조건의 성립에 의한 기관 시동인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키 조작에 의한 기관 시동인 경우(스텝 S1:「예」)에는, 이어서 스텝 S2로 진행하여, 저압 제어의 실행을 금지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저압 제어의 실행이 금지되고, 고압 제어를 실행하면, 이어서 스텝 S3으로 진행하여, 제1 정지 조건이 성립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제1 정지 조건은 고압 제어를 정지하기 위한 것이고, 예를 들어 기관 시동 개시로부터 제1 판정 시간 Δt1이 경과한 것을 가지고 성립된다. 또한, 이 제1 판정 시간 Δt1은, 기관 정지 중에 공급 통로(21) 내의 윤활유가 흘러 나와 버려, 공급 통로(21) 내에 윤활유가 거의 남아 있지 않은 상황으로부터, 내연 기관(10)의 시동에 수반하여 저압 제어의 실행을 금지한 경우에 공급 통로(21)의 말단까지 윤활유가 널리 퍼질 때까지 필요로 하는 시간의 최대값으로 되고 있으며, 미리 실험 등을 통하여 설정된 값이다.
상기 스텝 S3에서 제1 정지 조건이 성립되고 있지 않은 경우(스텝 S3:「아니오」)에는, 동일한 조건이 성립될 때까지 스텝 S3의 판단 처리를 소정 기간마다 반복 실행한다. 한편, 스텝 S3에서 제1 정지 조건이 성립되고 있는 경우(스텝 S3:「예」)에는, 이어서 스텝 S4로 진행하여, 저압 제어를 실행하고, 이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스텝 S1에서, 당해 내연 기관(10)의 시동이 키 조작에 의한 시동이 아닌 경우(스텝 S1:「아니오」), 즉 자동 정지 후의 재시동인 경우에는, 이어서 스텝 S5로 진행하여, 직전의 자동 정지 계속 시간 Δtstp가 소정 시간 Δtth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소정 시간 Δtth는, 직전의 자동 정지 중에서의 냉각 수온(ThW)에 따라서 가변 설정되는 판정값이며, 상세하게는 맵을 참조하여 이 냉각 수온(ThW)이 높을 때일수록 짧게 설정된다. 이와 같이 소정 시간 Δtth를 냉각 수온(ThW)에 따라서 가변 설정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런데, 앞의 스텝 S5에서 직전의 자동 정지 계속 시간 Δtstp가 소정 시간 Δtth 이하인 경우(스텝 S5:「예」)에는, 이어서 스텝 S4로 진행하여, 저압 제어를 실행하고, 이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이것은, 직전의 기관 정지 중에서 공급 통로(21) 내의 윤활유가 흘러 나와 버리기 전에 기관 시동이 행해졌기 때문에, 윤활유의 순환량을 제한하면서도 공급 통로(21) 내의 윤활유의 압력이 어느 정도, 높은 상태로 유지된다고 판단한 것에 의한 것이다.
한편, 스텝 S5에서 직전의 자동 정지 계속 시간 Δtstp가 소정 시간 Δtth보다도 긴 경우(스텝 S5:「아니오」)에는, 이어서 스텝 S6으로 진행하여, 저압 제어의 실행을 금지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저압 제어의 실행이 금지되고, 고압 제어를 실행하면, 이어서 스텝 S7로 진행하여, 제2 정지 조건이 성립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제2 정지 조건은 고압 제어를 정지하기 위한 것이고, 예를 들어 기관 시동 개시로부터 제2 판정 시간 Δt2가 경과한 것을 가지고 성립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 제2 판정 시간 Δt2는 제1 판정 시간 Δt1보다도 작은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것은, 자동 정지 계속 시간 Δtstp가 상기 소정 시간 Δtth보다도 길다고는 해도, 내연 기관(10)의 재시동 시에는 키 조작에 의한 최초의 시동 시에 비하여 공급 통로(21) 내에 윤활유가 많이 남아 있으므로, 공급 통로(21)의 말단까지 윤활유를 골고루 미치게 하는 데 필요로 하는 시간이 짧아도 되기 때문이다. 또한, 제2 판정 시간 Δt2는, 내연 기관(10)의 자동 정지가 길게 행해짐으로써 공급 통로(21) 내에 윤활유가 거의 남아 있지 않은 상황으로부터, 내연 기관(10)의 재시동에 수반하여 고압 제어를 실행한 경우에 공급 통로(21)의 말단까지 윤활유가 널리 퍼질 때까지 필요로 하는 시간의 최대값으로 되어 있고, 미리 실험 등을 통하여 설정된 값이다.
스텝 S7에서 제2 정지 조건이 성립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동일한 조건이 성립될 때까지 스텝 S7의 판단 처리를 소정 기간마다 반복 실행한다. 한편, 스텝 S7에서 제2 정지 조건이 성립되고 있는 경우에는, 이어서 스텝 S4로 진행하여, 저압 제어를 실행하고, 이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여기서, 스텝 S5의 처리에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소정 시간 Δtth를 냉각 수온(ThW)에 따라서 가변 설정하는 이유에 대하여 설명한다.
저압 제어의 실행 기회를 증가시킴으로써 내연 기관(10)에 작용하는 펌프(20)의 구동 부하를 저감하는 데 있어서는 상기 소정 시간 Δtth를 최대한 긴 시간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직전의 자동 정지 계속 시간 Δtstp가 동일하더라도, 기관 정지 중에 공급 통로(21) 내로부터 흘러 나오는 윤활유의 양은 윤활유의 점도가 낮을 때일수록 많아진다. 이로 인해, 가령 점도가 높아 공급 통로(21) 내의 윤활유가 흘러 나가기 어려운 상황을 상정하여, 상기 소정 시간 Δtth를 최대한 긴 고정값으로 설정하면, 이하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즉, 직전의 자동 정지 계속 시간 Δtstp가 상기 소정 시간 Δtth 미만이라도, 점도가 낮아 공급 통로(21) 내의 윤활유가 흘러 나가기 쉬운 상황에 있어서는, 기관 정지 중에 공급 통로(21) 내의 윤활유가 흘러 나와 버려, 공급 통로(21) 내에 윤활유가 남아 있지 않은 상황으로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내연 기관(10)의 재시동 시에, 직전의 자동 정지 중에서의 냉각 수온(ThW)이 높을 때일수록 소정 시간 Δtth를 짧게 설정함으로써, 윤활유의 점도에 높은 상관을 갖는 냉각 수온(ThW)에 따라서 소정 시간 Δtth를 적확하게 설정하도록 하고 있다.
도 5는 기관 시동 시에서의 유압 제어가 실행되었을 때의 각종 파라미터의 추이의 일례를 나타낸 타이밍차트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의 유압 제어에서는, 타이밍 t1에 있어서 이그니션 스위치(108)가 ON 조작됨으로써(a), 기관 시동이 개시되면(c), 릴리프 밸브(30)의 릴리프압이 고릴리프압으로 됨으로써(d), 저압 제어의 실행이 금지되고, 고압 제어가 실행된다(e). 또한, 이 고압 제어는, 타이밍 t1부터 제1 판정 시간 Δt1이 경과하는 타이밍 t2까지 계속된다.
이그니션 스위치(108)의 조작에 수반하는 내연 기관(10)의 시동 시에는, 직전에 기관 운전이 정지되고 나서 당해 시동까지의 경과 시간이 긴 경우가 많다. 이 경우, 기관 정지 중에 공급 통로(21) 내의 윤활유가 흘러 나와 버려, 기관 시동 시에는 공급 통로(21) 내에 윤활유가 남아 있지 않은 상황으로 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이그니션 스위치(108)의 조작에 수반하는 내연 기관(10)의 시동 시에는, 저압 제어의 실행이 금지되고, 고압 제어가 실행되게 되기 때문에, 기관 시동 직후에는 순환량이 제한되지 않고 윤활유가 순환되게 된다. 이로 인해, 기관 시동 직후에는 공급 통로(21) 내의 윤활유의 압력이, 저압 제어를 실행한 경우와 비교하여 높은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그 결과, 공급 통로(21)의 말단까지 빠르게 윤활유를 골고루 미치게 할 수 있게 된다.
그 후의 타이밍 t3에서 소정의 자동 정지 조건이 성립되면(b), 이에 수반하여 기관 운전이 정지된다(c). 그리고, 타이밍 t4에서 소정의 재시동 조건이 성립됨으로써(b), 내연 기관(10)이 재시동된다(c). 여기서, 직전의 자동 정지 계속 시간 Δtstp1은 소정 시간 Δtth 이하이기 때문에, 타이밍 t4 이후에서 릴리프 밸브(30)의 릴리프압이 저릴리프압으로 되고(d), 저압 제어가 실행된다(e).
그 후의 타이밍 t6에서 소정의 자동 정지 조건이 성립되면(b), 이에 수반하여 기관 운전이 정지된다(c). 그리고, 타이밍 t7에서 소정의 재시동 조건이 성립됨으로써(b), 내연 기관(10)이 재시동된다(c). 여기에서도, 직전의 자동 정지 계속 시간 Δtstp2가 소정 시간 Δtth 이하이기 때문에, 타이밍 t7 이후에서 릴리프 밸브(30)의 릴리프압이 저릴리프압으로 되고(d), 저압 제어가 실행된다(e).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내연 기관(10)의 자동 정지 후의 재시동 시에는, 저압 제어가 실행되게 되기 때문에, 기관 시동 직후에는 윤활유의 순환량이 제한되게 된다. 여기서, 내연 기관(10)의 재시동 시에는, 직전에 기관 운전이 정지되고 나서의 경과 시간이 짧은 경우가 많다. 이 경우, 기관 정지 중에 공급 통로(21) 내의 윤활유가 흘러 나와 버리기 전에 기관 시동이 행해지게 된다. 이로 인해, 기관 시동 직후에는 윤활유의 순환량을 제한하면서도 공급 통로(21) 내의 윤활유의 압력이 높은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그 후의 타이밍 t9에서 소정의 자동 정지 조건이 성립되면(b), 이에 수반하여 기관 운전이 정지된다(c). 그리고, 타이밍 t11에서 소정의 재시동 조건이 성립됨으로써(b), 내연 기관(10)이 재시동된다(c). 여기에서는, 직전의 자동 정지 계속 시간 Δtstp3이 소정 시간 Δtth보다도 길기 때문에, 타이밍 t11 이후에서 릴리프 밸브(30)의 릴리프압이 고릴리프압으로 되고(d), 저압 제어의 실행이 금지되고, 고압 제어가 실행된다(e). 또한, 이 고압 제어는, 타이밍 t11부터 제2 판정 시간 Δt2(<t1)가 경과하는 타이밍 t12까지 계속된다.
그런데, 직전의 자동 정지 계속 시간 Δtstp가 긴 경우, 기관 정지 중에 공급 통로(21) 내의 윤활유가 흘러 나와 버려, 기관 시동 시에는 공급 통로(21) 내에 윤활유가 거의 남아 있지 않은 상황으로 된다. 그로 인해, 이러한 경우에까지, 내연 기관(10)의 재시동 시인 것을 이유로 저압 제어가 실행되면, 기관 시동 직후에 공급 통로(21)의 말단까지 윤활유를 골고루 미치게 하는 데에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연 기관(10)의 재시동 시에도, 직전의 자동 정지 계속 시간 Δtstp가 소정 시간 Δtth 이상일 때는 저압 제어의 실행 금지의 해제가 무효화되어 저압 제어의 실행이 금지되게 된다. 이로 인해, 고압 제어가 실행됨으로써, 상술한 문제의 발생이 적절하게 억제되게 된다.
종래의 유압 제어에 있어서도, 본 실시 형태에서의 유압 제어와 마찬가지로 하여, 이그니션 스위치(108)의 조작에 수반하는 내연 기관(10)의 시동 시인 타이밍 t1부터 타이밍 t2까지의 기간에 있어서는, 릴리프 밸브(30)의 릴리프압이 고릴리프압으로 됨으로써(f), 저압 제어의 실행이 금지되고, 고압 제어가 실행된다(g).
그러나, 종래의 유압 제어에 있어서는, 자동 정지 후의 재시동 시인 타이밍 t4부터 타이밍 t5까지의 기간 P1 및 타이밍 t7부터 타이밍 t8까지의 기간 P2에서는, 저압 제어의 실행이 금지되고, 고압 제어가 실행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타이밍 t11부터 타이밍 t12까지 고압 제어가 실행되는 데 반해, 종래의 유압 제어에서는, 타이밍 t11부터 제1 판정 시간 Δt1이 경과하는 타이밍 t13까지 고압 제어가 실행된다. 이로 인해, 종래의 유압 제어에 있어서는, 타이밍 t12부터 타이밍 t13까지의 기간 P3에서는, 고압 제어가 실행된다. 이로부터,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기간 P1, P2, P3의 분만큼 저압 제어의 실행 기간이 증대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내연 기관 제어 장치에 의하면, 이하에 나타내는 효과가 얻어지게 된다.
(1) 전자 제어 장치(100)는 소정의 자동 정지 조건이 성립되었을 때 기관 운전을 자동 정지함과 함께, 당해 자동 정지 중에 소정의 재시동 조건이 성립되었을 때 내연 기관(10)을 재시동하도록 하였다. 또한, 전자 제어 장치(100)는 이그니션 스위치(108)의 조작에 수반하는 내연 기관(10)의 시동 시에는 저압 제어의 실행을 금지하는 한편, 내연 기관(10)의 재시동 시에는 저압 제어의 실행 금지를 해제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형태에 따르면, 기관 시동 시에 윤활유의 공급 부족이 발생해 버리는 것을 억제하는 한편, 내연 기관(10)에 작용하는 펌프(20)의 구동 부하를 최대한 저감하여 내연 기관(10)의 연료 소비량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2) 전자 제어 장치(100)는 내연 기관(10)의 재시동 시에, 직전의 자동 정지 계속 시간 Δtstp가 소정 시간 Δtth 이상일 때는 저압 제어의 실행 금지의 해제를 무효화하여 저압 제어의 실행을 금지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형태에 따르면, 직전의 자동 정지 계속 시간 Δtstp가 긴 것에 기인하여 기관 시동 직후에 공급 통로(21)의 말단까지 빠르게 윤활유를 골고루 미치게 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의 발생을 적절하게 억제할 수 있게 된다.
(3) 전자 제어 장치(100)는 내연 기관(10)의 재시동 시에, 직전의 자동 정지 중에서의 냉각 수온(ThW)이 높을 때일수록 상기 소정 시간 Δtth를 짧게 설정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형태에 따르면, 윤활유의 점도에 높은 상관을 갖는 냉각 수온(ThW)에 따라서 소정 시간 Δtth를 적확하게 설정함으로써, 기관 시동 시에 윤활유의 공급 부족이 발생해 버리는 것을 적확하게 억제하는 한편, 내연 기관(10)에 작용하는 펌프(20)의 구동 부하를 최대한 저감함으로써 내연 기관(10)의 연료 소비량을 적확하게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내연 기관 제어 장치는, 상기 실시 형태에서 예시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것을 적절히 변경한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형태로 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판정 시간 Δt1 및 제2 판정 시간 Δt2가 미리 실험 등을 통하여 설정된 고정값으로 하였다. 이 대신에, 예를 들어 제1 판정 시간 Δt1 및 제2 판정 시간 Δt2를 기관 시동 시에서의 기관 온도(예를 들어 냉각 수온(ThW))에 따라서 가변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즉, 기관 시동 시에서의 기관 온도가 높을 때일수록 윤활유의 점성이 낮아, 공급 통로(21)의 말단까지 윤활유가 널리 퍼질 때까지 필요로 하는 시간이 짧아진다. 따라서, 상기 각 판정 시간을 기관 온도에 따라서 가변 설정함으로써 고압 제어의 실행 기간을 적확하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윤활유의 공급 통로(21)에는 릴리프압을 변경할 수 있는 릴리프 밸브(30)가 설치되는 것으로 되며, 저압 제어에 있어서는, 릴리프 밸브(30)의 릴리프압을 낮게 함으로써, 윤활유의 순환량을 제한하는 것에 대하여 예시하였다. 그러나, 저압 제어를 행하기 위한 구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외에 예를 들어, 기관 구동식 메인 펌프와 서브 펌프를 구비하여, 윤활유의 수요가 작을 때 메인 펌프 및 서브 펌프 중 어느 한쪽의 구동을 정지함으로써 윤활유의 순환량을 제한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자동 정지 계속 시간 Δtstp를 판정하기 위한 소정 시간 Δtth를 냉각 수온(ThW)에 따라서 가변 설정하도록 하였지만, 이 대신에, 윤활유의 온도를 직접 검출하고, 당해 윤활유의 온도에 따라서 소정 시간 Δtth를 가변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르는 바와 같이, 기관 온도에 따라서 소정 시간 Δtth를 가변 설정하는 것이, 윤활유의 점도에 높은 상관을 갖는 기관 온도에 따라서 소정 시간 Δtth를 적확하게 설정하는 데 있어서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기관 온도에 따라서 소정 시간 Δtth를 가변 설정하는 것에 한하지 않고, 소정 시간 Δtth를 고정값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르는 바와 같이, 내연 기관의 재시동 시에, 직전의 자동 정지 계속 시간이 소정 시간 이상일 때는 저압 제어의 실행을 금지하도록 하는 것이, 직전의 자동 정지 계속 시간이 긴 것에 기인하여 기관 시동 직후에 공급 통로의 말단까지 빠르게 윤활유를 골고루 미치게 할 수 없게 되는 것을 적절하게 억제하는 데 있어서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연 기관의 재시동 시에는 항상, 저압 제어를 실행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이그니션 스위치(108)의 조작에 수반하는 내연 기관(10)의 시동 시에는 저압 제어의 실행을 금지하는 한편, 내연 기관(10)의 재시동 시에는 저압 제어의 실행 금지를 해제하는 것에 대하여 예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내연 기관의 재시동 시에 저압 제어의 실행 금지를 해제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외에 예를 들어, 내연 기관의 재시동 시에는, 이그니션 스위치의 조작에 수반하는 내연 기관의 시동 시에 비하여, 저압 제어의 실행 금지 기간을 짧게 하는 등, 저압 제어의 실행 제한을 완화하는 것이면 된다. 이 경우에도, 기관 시동 시에 윤활유의 공급 부족이 발생해 버리는 것을 억제하는 한편, 내연 기관에 작용하는 펌프의 구동 부하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10 : 내연 기관
11 : 출력축
20 : 펌프
21 : 공급 통로
22 : 오일 팬
23 : 환류 통로
30 : 릴리프 밸브
30a : 하우징
30b : 밸브 수용 공간
31 : 슬리브
31a : 저면
31b : 정상면
32 : 릴리프 포트
35 : 밸브체
36 : 스프링
37 : 지지 부재
38 : 배압실
40 : 유압 전환 밸브
41 : 분기 통로
42 : 배압 통로
43 : 드레인 통로
100 : 전자 제어 장치
101 : 크랭크각 센서
102 : 수온 센서
103 : 차속 센서
104 : 에어 플로미터
105 : 액셀레이터 포지션 센서
106 : 브레이크 센서
107 : 시프트 포지션 센서
108 : 이그니션 스위치

Claims (4)

  1. 기관 구동식 펌프(20)를 구비하는 내연 기관(10)에 적용되며, 상기 내연 기관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윤활유를 순환시킴과 함께, 윤활유의 수요가 작을 때 윤활유의 순환량을 제한하는 저압 제어를 실행하여 상기 내연 기관에 작용하는 상기 펌프의 구동 부하를 저감하는 제어 장치(100)이며, 기관 시동 시에 상기 저압 제어의 실행을 제한하는 내연 기관 제어 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자동 정지 조건이 성립되었을 때 기관 운전을 자동 정지함과 함께, 당해 자동 정지 중에 소정의 재시동 조건이 성립되었을 때 내연 기관을 재시동하는 것이고,
    내연 기관의 재시동 시에는 상기 저압 제어의 실행 제한을 완화하는 한편, 직전의 자동 정지 계속 시간이 소정 시간보다도 길 때에는 상기 저압 제어의 실행 제한의 완화를 무효화하여 이 저압 제어의 실행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내연 기관의 재시동 시에, 직전의 자동 정지 중에서의 기관 온도가 높을 때일수록 상기 소정 시간을 짧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 제어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윤활유의 공급 통로(21)에는 릴리프압을 변경할 수 있는 릴리프 밸브(30)가 설치되고,
    상기 저압 제어에 있어서는, 상기 릴리프 밸브의 릴리프압을 낮게 함으로써, 윤활유의 순환량을 제한하는,
    내연 기관 제어 장치.
  4. 삭제
KR1020147009629A 2011-10-12 2011-10-12 내연 기관 제어 장치 KR1015088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1/073444 WO2013054407A1 (ja) 2011-10-12 2011-10-12 内燃機関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9300A KR20140059300A (ko) 2014-05-15
KR101508891B1 true KR101508891B1 (ko) 2015-04-08

Family

ID=48081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9629A KR101508891B1 (ko) 2011-10-12 2011-10-12 내연 기관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31767B2 (ko)
EP (1) EP2767689B1 (ko)
JP (1) JP5850061B2 (ko)
KR (1) KR101508891B1 (ko)
CN (1) CN103857884A (ko)
WO (1) WO20130544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63845A1 (en) * 2012-12-12 2014-06-1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Hydraulic accumulator fill estimation for controlling automatic engine stop/start
JP6756302B2 (ja) * 2017-05-09 2020-09-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制御装置
US11345326B2 (en) * 2020-03-25 2022-05-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system for star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16890A (ja) 2008-11-14 2010-05-27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油圧制御装置
JP2010138831A (ja) 2008-12-12 2010-06-24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油圧制御装置
JP2010150987A (ja) 2008-12-24 2010-07-08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潤滑油供給装置
JP2011132815A (ja) 2009-12-22 2011-07-07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制御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36632B2 (ja) * 1997-12-19 2004-06-1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潤滑装置
US6170452B1 (en) * 1999-10-07 2001-01-09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locomotive engine
US6453864B1 (en) * 2001-01-16 2002-09-24 General Motors Corporation Crankshaft rotation control in a hybrid electric vehicle
JP2006274815A (ja) * 2005-03-28 2006-10-12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自動停止・始動システム
JP4407613B2 (ja) * 2005-10-14 2010-02-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エンジンの油圧制御装置
JP4561650B2 (ja) * 2006-02-15 2010-10-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
JP2009127454A (ja) * 2007-11-20 2009-06-11 Toyota Motor Corp エンジンの油圧制御装置
JP5286830B2 (ja) * 2008-02-29 2013-09-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油圧制御装置
JP5359036B2 (ja) * 2008-06-03 2013-12-0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エンジン自動停止制御装置付き車両の変速機に用いる電動オイルポンプの故障判定装置
JP2010048159A (ja) 2008-08-21 2010-03-04 Toyota Motor Corp オイル供給制御装置
JP2010048194A (ja) 2008-08-22 2010-03-04 Nippon Soken Inc 内燃機関の始動制御装置
JP5379722B2 (ja) 2010-03-01 2013-12-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水温センサの異常判定装置
CN102725499B (zh) * 2010-09-22 2014-01-15 丰田自动车株式会社 内燃机控制装置以及内燃机控制方法
US8355859B2 (en) * 2010-11-02 2013-01-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ccessory drive for a stop/start vehicle
DE102010043920B4 (de) * 2010-11-15 2014-09-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rfahren zum Vermeiden von Turboladerschäde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16890A (ja) 2008-11-14 2010-05-27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油圧制御装置
JP2010138831A (ja) 2008-12-12 2010-06-24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油圧制御装置
JP2010150987A (ja) 2008-12-24 2010-07-08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潤滑油供給装置
JP2011132815A (ja) 2009-12-22 2011-07-07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制御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031767B2 (en) 2015-05-12
WO2013054407A1 (ja) 2013-04-18
JP5850061B2 (ja) 2016-02-03
EP2767689B1 (en) 2016-08-03
CN103857884A (zh) 2014-06-11
EP2767689A4 (en) 2015-04-01
US20140244140A1 (en) 2014-08-28
JPWO2013054407A1 (ja) 2015-03-30
EP2767689A1 (en) 2014-08-20
KR20140059300A (ko) 2014-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79333B2 (ja) 内燃機関の始動制御装置
JP4297129B2 (ja) 内燃機関の始動制御装置
JP4930266B2 (ja) 内燃機関の油圧制御装置
US20190316498A1 (en) Oil supply device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5245994B2 (ja) 内燃機関の油圧制御装置
JP5556401B2 (ja) 潤滑油供給システムの制御装置
KR101508891B1 (ko) 내연 기관 제어 장치
JP2009079514A (ja) 筒内噴射式内燃機関の燃圧制御装置
WO2011048827A1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09079564A (ja) 内燃機関の高圧ポンプ制御装置
JP5523082B2 (ja) 内燃機関の早期暖機制御方法
JP5966459B2 (ja) エンジンの潤滑制御方法及び装置
EP2336531A1 (en) Accumulator fuel injection system 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and accumulator fuel injection system
JP2012082749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5589910B2 (ja) エンジン制御装置
JP4941269B2 (ja) エンジンの油圧制御装置
EP2565428A1 (en) Controller for diesel engine
JP3418996B2 (ja) コモンレール式燃料噴射装置
JP5477899B2 (ja) 蓄圧式燃料噴射装置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並びに蓄圧式燃料噴射装置
JP2010203387A (ja) 内燃機関の燃料噴射装置
JP2010242529A (ja) 内燃機関の油圧制御装置
JP5141625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5626142B2 (ja) 蓄圧式燃料噴射装置
JP2015161297A (ja) 燃料供給装置
JP2012136947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