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7434B1 -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 및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 - Google Patents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 및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7434B1
KR101507434B1 KR1020127022716A KR20127022716A KR101507434B1 KR 101507434 B1 KR101507434 B1 KR 101507434B1 KR 1020127022716 A KR1020127022716 A KR 1020127022716A KR 20127022716 A KR20127022716 A KR 20127022716A KR 101507434 B1 KR101507434 B1 KR 101507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panel
elastic member
image display
display unit
ann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2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8194A (ko
Inventor
히로토시 오타
사다오 테라네
타다시 나카가와
히로아키 타카야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테크노 어소시에
킨조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테크노 어소시에, 킨조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테크노 어소시에
Publication of KR20130048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8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7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7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8Telephone se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hips, mines, or other places exposed to adverse environment
    • H04M1/185Improving the rigidity of the casing or resistance to sh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10)이 전자기기(1)의 화상표시부(3) 전방에 배치되는 유리판을 포함하는 화상표시부용의 보호패널(11)과, 상기 보호패널(11)의 외측 가장자리부(11a)를 둘러싸는 환상의 탄성부재(12)를 구비한다. 상기 보호패널(11)은 조작면으로서의 표면(13)과, 상기 표면(13)에 대향하는 이면(14)과, 상기 표면(13)과 상기 이면(14)을 접속하는 외주 측면(15)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부재(2)는 상기 보호패널(11)의 상기 외주 측면(15)에 화학 결합에 의해 접합된 내주 접합부(2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 및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IMAGE-DISPLAY-UNIT-PROTECTING PANEL UNIT AND IMAGE-DISPLAY-UNIT-PROTECTING PANEL HOLDING STRUCTURE}
본 발명은 휴대전화, 휴대정보단말(PDA: Personal Digltal Assistant), 태블릿 PC 등의 모바일 컴퓨터, 디지털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전자책, 게임기, 카 네비게이션 등의 터치패널식의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 및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 휴대정보단말, 태블릿 PC 등의 모바일 컴퓨터, 디지털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전자책, 게임기, 카 네비게이션 등의 터치패널식의 전자기기는 표면의 패널을 유저가 손가락으로 터치함으로써 조작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의 휴대용 전자기기는 액정표시장치와, 액정표시장치의 전방에 배치되어 유저에 의한 누름 조작이 가능한 터치패널을 갖고 있다. 터치패널은, 예를 들면 터치패널의 표면을 구성하는 투명한 패널과, 패널에 의해 보호된 투명전극을 갖고 있다. 이 터치패널의 주위에는 고무 프레임이 끼워 넣어져 있다. 고무 프레임은 판금 프레임의 내측에 수용되어 있다. 판금 프레임은 나사에 의해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터치패널이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다.
하우징의 표면부(정면부)는 터치패널이 노출되도록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프레임 형상의 내측의 개구에 패널의 표면이 노출되어 있고, 유저가 손가락으로 패널을 누름 조작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패널 표면의 외주 부분은 하우징의 표면부에 덮여 있고, 이들 패널 표면의 외주 부분과 하우징 표면부 사이에 방수용의 패킹이 끼워져 있다.
일본 특허 제3347009호 명세서
전자기기가 예를 들면 휴대전화일 경우, 유저가 운반하고 있을 때에 전자기기가 잘못해서 낙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전자기기가 카 네비게이션 장치인 경우에는 자동차의 대시보드 이면측의 스테이 등에 고정될 때까지의 반송시에 전자기기가 잘못하여 낙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자동차의 주행시에는 전자기기에 항상 진동이 가해진다.
즉, 전자기기의 터치패널 표면의 패널은 낙하 등에 기인하는 측면으로부터의 충격이 가해지기 쉬운 경향이 있고, 또한 유저로부터의 반복된 누름 조작에 견딜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패널을 충격으로부터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는 구성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패널에 고급감을 갖게 하는 등의 이유에 의해 패널을 강화유리 등의 유리제로 했을 경우, 유리제의 패널은 플라스틱제의 패널에 비해서 측면으로부터의 충격에 약하기 때문에 패널을 충격으로부터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는 구성이 요구되고 있다.
그래서, 특허문헌 1과 같이 패널을 고무 프레임으로 둘러싸고, 또한 판금 프레임을 개재하여 하우징에 유지하는 구성이 고려된다. 그러나, 판금 프레임을 사용하는 등, 패널을 유지하기 위한 구성이 대규모가 되어 정보단말장치가 대형화되어 버린다. 또한, 판금 프레임이 필수가 되어 부품수가 많아져 버린다.
또한, 하우징과 패널 사이로부터 빗물 등의 수분이 하우징 내에 진입하면 액정표시장치가 고장나는 원인이 되므로, 하우징와 패널 사이를 확실하게 방수할 수 있게 할 필요가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방수용의 패킹이 설치되어 있지만 패널을 둘러싸는 고무 프레임과는 별도로 패킹을 더 설치할 필요가 있어 부품수가 많아져 버린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구성 및 내충격성에 뛰어나고, 또한 전자기기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는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 및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1의 발명은 전자기기의 화상표시부의 전방에 배치되는 유리판을 포함하는 화상표시부용의 보호패널과, 상기 보호패널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둘러싸는 환상의 탄성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보호패널은 조작면으로서의 표면과, 상기 표면에 대향하는 이면과, 상기 표면과 상기 이면을 접속하는 외주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보호패널의 상기 외주 측면에 화학 결합에 의해 접합된 내주 접합부를 포함하는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을 제공한다.
또한 청구항 2와 같이 청구항 1에 기재된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보호패널을 인서트해서 성형된 고무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청구항 3과 같이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둘러싸는 환상의 수지제의 유지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유지 프레임의 내주에 화학 결합에 의해 접합된 외주 접합부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청구항 4와 같이 청구항 3에 기재된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내주 접합부와 상기 외주 접합부가 형성된 전방부와, 후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부는 상기 보호패널의 이면의 외측 가장자리부에 접합된 제 1 후방 접합부와, 상기 유지 프레임의 이면의 내측 가장자리부에 접합된 제 2 후방 접합부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청구항 5와 같이 청구항 3 또는 4에 기재된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보호패널 및 상기 유지 프레임을 인서트해서 성형된 고무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청구항 6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과, 상기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의 상기 보호패널을 유지하는 환상의 수지제의 유지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보호패널의 상기 외주 측면에 접합된 내주 접합부와, 상기 유지 프레임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환상의 접촉부를 포함하는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청구항 7과 같이 청구항 6에 기재된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전방부와 후방부와 외주 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의 상기 접촉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상기 후방부에 설치된 후방 접촉부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청구항 8과 같이 청구항 7에 기재된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상기 접촉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상기 전방부에 설치된 전방 접촉부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청구항 9과 같이 청구항 8에 기재된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유지 프레임은 상기 탄성부재의 상기 전방 접촉부를 탄성적으로 오목하게 하는 환상의 제 1 볼록부와, 상기 탄성부재의 상기 후방 접촉부를 탄성적으로 오목하게 하는 환상의 제 2 볼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볼록부와 상기 제 2 볼록부가 상기 탄성부재를 탄성적으로 협지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청구항 10의 발명은 청구항 3 내지 5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과, 상기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의 상기 탄성부재의 후방에 배치된 유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유지부재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청구항 11과 같이 청구항 10에 기재된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환상의 연설(延設) 볼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연설 볼록부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청구항 12와 같이 청구항 11에 기재된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연설 볼록부의 후방부에 설치된 후방 접촉부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청구항 13과 같이 청구항 12에 기재된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연설 볼록부의 내주에 설치된 내주 접촉부와, 상기 연설 볼록부의 외주에 설치된 외주 접촉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청구항 14와 같이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에 있어서, 상기 보호패널은 상기 보호패널의 상기 외측 가장자리부에 배치된 비투명의 환상 착색부와, 상기 착색부에 의해 둘러싸인 투명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투명부를 피해서 상기 착색부에 화학 결합에 의해 접합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청구항 15와 같이 청구항 1, 2 또는 14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보호패널의 상기 표면의 상기외측 가장자리부를 덮는 전방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덮개부는 상기 보호패널의 상기 표면의 외측 가장자리부에 화학 결합에 의해 접합된 전방 접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덮개부를 통해서 상기 내주 접합부를 시인 가능하여도 좋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 1의 발명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에 의하면, 탄성부재가 보호패널의 외주 측면에 화학 결합에 의해 접합되어 있으므로 보호패널과 탄성부재의 결합력을 매우 높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장기의 사용에서 유저가 보호패널의 조작면을 반복하여 압박 조작한 경우에도 보호패널과 탄성부재의 이탈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어서 내구성이 우수하다.
또한, 유저의 부주의 등에 의해 전자기기가 낙하한 경우에도 보호패널의 외주 측면으로 전해지는 충격을 탄성부재에 의해 확실하게 완화할 수 있으므로, 비교적 충격에 약한 경향이 있는 유리판제의 보호패널의 외주 측면의 손상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서 내충격성이 우수하다.
또한, 보호패널에 탄성부재를 접합에 의해 일체화한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을 구성하고 있으므로 부품수를 적게 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전자기기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탄성부재가 보호패널을 인서트해서 성형된 고무를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면, 미리 금형 내 셋팅된 보호패널의 외주 측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한 상태에서 미경화의 고무 재료를 사출함으로써 보호패널과 탄성부재의 양자를 용이하게 또한 강하게 결합시켜서 양자를 일체화할 수 있다. 따라서, 유리판제이기 때문에 충격에 약한 경향이 있는 보호패널의 외주 측면을 충격으로부터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성형된 고무가 보호패널의 외주 측면과 간극없이 접합되므로 탄성부재(고무)와 보호패널 사이의 방수성, 방진성을 매우 높게 할 수 있다.
가령, 보호패널과 미리 별체로 형성된 고무부재를 보호패널의 외주 측면에 접착제로 부착한다고 하면, 얇은 고무부재를 얇은 보호패널에 정확하게 위치맞춤한 상태에서 접착제를 고무부재나 보호패널에 공급한다고 하는 번거로운 작업이 필요하다. 이것에 대해서,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미리 프라이머 처리된 보호패널을 금형 내에 셋팅하고, 미경화의 고무 재료를 금형 내에 사출한다고 하는 간이한 방법으로 고무(탄성부재)를 성형할 수 있으므로 양산성이 우수하다.
청구항 3의 발명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에 의하면, 탄성부재가 유리판제의 보호패널의 외주 측면 및 수지제의 유지 프레임의 내주 측면에 화학 결합에 의해 접합되어 있으므로 보호패널과 탄성부재의 결합력을 매우 높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장기의 사용에서 유저가 보호패널의 조작면을 반복하여 압박 조작한 경우에도 보호패널과 탄성부재의 이탈이나 탄성부재와 유지 프레임의 이탈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어서 내구성이 우수하다.
또한, 유저의 부주의 등에 의해 전자기기가 낙하한 경우에도 보호패널의 외주 측면에 전해지는 충격을 유지 프레임을 통해서 탄성부재에 의해 확실하게 완화시킬 수 있으므로, 비교적 충격에 약한 경향이 있는 유리판제의 보호패널의 외주 측면의 손상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서 내충격성이 우수하다.
또한, 보호패널 및 유지 프레임에 탄성부재를 접합에 의해 일체화해서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을 구성하고 있으므로 부품수를 적게 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전자기기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탄성부재의 전방부가 내주 접합부와 외주 접합부를 포함하고, 탄성부재의 후방부가 보호패널 이면의 외측 가장자리부에 접합된 제 1 후방 접합부와, 유지 프레임 이면의 외측 가장자리부에 접합된 제 2 후방 접합부를 포함하므로, 보호패널 및 유지 프레임에 대한 탄성부재의 결합력을 매우 높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내구성, 방수성, 방진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에 의하면 탄성부재가 보호패널 및 유지 프레임을 인서트해서 성형된 고무를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면, 미리 금형 내 셋팅된 보호패널의 외주 측면 및 유지 프레임의 내주에 프라이머를 도포한 상태에서 미경화의 고무 재료를 사출함으로써 탄성부재를 보호패널 및 유지 프레임의 양자에 용이하게 또한 강하게 결합시켜서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으로서 일체화할 수 있다. 따라서, 유리판제이기 때문에 충격에 약한 경향이 있는 보호패널의 외주 측면을 유지 프레임 및 탄성부재에 의해 충격으로부터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성형된 고무가 보호패널의 외주 측면 및 유지 프레임의 내주에 간극없이 접합되므로 보호패널과 유지 프레임 사이의 방수성, 방진성을 매우 높게 할 수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의 유지 구조에 의하면, 탄성부재가 보호패널의 외주 측면에 화학 결합에 의해 접합되어 있으므로 보호패널과 탄성부재의 결합력을 매우 높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장기의 사용에서 유저가 보호패널의 조작면을 반복하여 압박 조작한 경우에도 보호패널과 탄성부재의 이탈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어서 내구성이 우수하다.
또한, 유저의 부주의 등에 의해 전자기기가 낙하한 경우에도 보호패널의 외주 측면에 전해지는 충격을 탄성부재에 의해 확실하게 완화할 수 있으므로, 비교적 충격에 약한 경향이 있는 유리판제 보호패널의 외주 측면의 손상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서 내충격성이 우수하다.
또한, 보호패널에 탄성부재를 접합에 의해 일체화하고 있으므로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을 1부품으로서 취급할 수 있다. 부품수를 적게 할 수 있으므로 전자기기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가 유지 프레임에 탄성적으로 접촉하고 있으므로 유지 프레임에 의해 탄성부재를 통해서 보호패널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에 의하면 탄성부재의 후방부에 설치된 후방 접촉부가 유지 프레임에 접촉하고 있으므로 유지 프레임에 의해 탄성부재를 통해서 보호패널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내충격성 및 밀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8의 발명에 의하면, 탄성부재가 상기 후방 접촉부에 추가해서 탄성부재의 전방부에 설치된 전방 접촉부에서도 유지 프레임에 접촉하고 있으므로 유지 프레임에 의해 보호패널을 보다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내충격성 및 밀봉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9의 발명에 의하면, 유지 프레임의 제 1 볼록부와 제 2 볼록부가 탄성부재를 탄성적으로 오목하게 하면서 탄성부재를 협지하고 있으므로 유지 프레임에 의해 탄성부재를 통해서 보호패널을 현격히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어서 내충격성을 현격하게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밀봉성을 현격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10의 발명에 의하면, 보호패널, 탄성부재 및 유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을 단일의 유닛으로 해서 전자기기의 예를 들면 본체가 되는 유지부재에 부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유닛의 부착시에 탄성부재를 접촉부에서 유지부재에 탄성적으로 접촉시켜서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을 전자기기에 용이하게 장착시킬 수 있다.
청구항 11의 발명에 의하면,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의 부착시에 탄성부재를 후방으로 돌출시키는 연설 볼록부의 접촉부에서 유지부재에 탄성적으로 접촉시켜서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을 전자기기에 용이하게 장착시킬 수 있다.
청구항 12의 발명에 의하면, 탄성부재의 연설 볼록부의 후방부에 설치된 후방 접촉부가 유지부재에 탄성적으로 접촉하고 있으므로 전방으로부터의 충격을 완화하여 보호패널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후방 접촉부에 의해 방수성, 방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13의 발명에 의하면, 탄성부재의 연설 볼록부에 내주 접촉부 및 외주 접촉부 중 적어도 한쪽이 설치되어서 유지부재에 탄성적으로 접촉하고 있으므로 측방으로부터의 충격을 완화하여 보호패널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내주 접촉부 및 외주 접촉부 중 적어도 한쪽과 후방 접촉부에 의하여 복수단의 밀봉을 달성할 수 있어 방수성, 방진성을 현격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14의 발명에 의하면, 덮개부에 설치된 전방 접합부가 보호패널에 화학 결합에 의해 접합되어 있으므로 탄성부재와 패널의 결합력을 보다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덮개부를 통해서 내주 접합부를 시인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보호패널의 외측 가장자리부에 투명감 및 입체감을 갖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보호패널의 돋보임을 좋게 할 수 있다.
청구항 15의 발명에 의하면, 전자기기에 있어서의 보호패널의 이면측의 배선 등, 돋보임의 관점으로부터 유저에게 보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부분을, 보호패널의 외측 가장자리부에 설치된 착색부에 의해 숨길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전자기기의 돋보임을 보다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가 투명부를 피해서 착색부에 접합되어 있으므로 탄성부재가 화상표시부의 시인성을 방해할 일이 없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을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b는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a의 II-I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며, 전자기기 내부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3a는 전자기기의 정면도이며, 전자기기의 상단부 주변을 나타내고 있다.
도 3b는 전자기기의 정면도이며, 전자기기의 하단부 주변을 나타내고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4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4a의 실시형태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이 적용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4a의 실시형태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이 적용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5c는 도 4a의 실시형태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이 적용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6a는 도 4b의 실시형태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이 적용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6b는 도 4b의 실시형태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이 적용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6c는 도 4b의 실시형태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이 적용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7a는 도 4c의 실시형태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이 적용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7b는 도 4c의 실시형태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이 적용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7c는 도 4c의 실시형태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이 적용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8a는 도 4d의 실시형태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이 적용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8b는 도 4d의 실시형태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이 적용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8c는 도 4d의 실시형태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이 적용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9b는 도 9a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이 적용된 일실시형태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11a는 도 10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이 적용된 일실시형태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11b는 도 10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이 적용된 다른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11c는 도 10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이 적용된 또 다른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13a는 도 12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이 적용된 일실시형태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13b는 도 12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이 적용된 다른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13c는 도 12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이 적용된 또 다른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15a는 도 14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이 적용된 일실시형태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15b는 도 14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이 적용된 다른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15c는 도 14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이 적용된 또 다른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15d는 도 14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이 적용된 또 다른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이하에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10)을 갖는 전자기기(1)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b는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1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a의 II-I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며, 전자기기(1) 내부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1a 및 도 2를 참조하여, 전자기기(1)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휴대전화)이나 전자책 등의 휴대식의 정보단말장치이며, 유저가 손으로 잡는 것 등에 의해 운반 가능하다. 전자기기(1)는, 예를 들면 화면의 크기가 수인치∼십인치 정도의 소형·중형의 정보단말장치이다. 유저가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10)[이하에서는, 단지 보호패널 유닛(10)이라고도 함]의 보호패널(11)을 손가락으로 누름 조작함으로써 전자기기(1)의 표시 내용이 변화된다.
전자기기(1)는 하우징(유지부재)으로서의 케이스(2)와, 케이스(2)에 수용된 화상표시부(3)와, 화상표시부(3)의 전방에 배치되어 케이스(2)에 수용된 터치패널 장치(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전자기기(1)의 터치패널 장치(4)를 정면으로 본 상태를 기준으로 해서 상하, 좌우 및 전후의 방향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a의 상하, 좌우 및 전후의 기재에 따라서 상하, 좌우 및 전후의 방향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유지부재로서의 케이스(2)는, 예를 들면 플라스틱제이며, 전방으로 개방된 상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2)는 좌우 대칭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2)는 평판상의 후방벽(5)과, 후방벽(5)의 둘레 가장자리부로부터 전방으로 기립되는 사각 환상의 둘레 측벽에 의해 구성된 유지 프레임(6)을 구비하고 있다. 유지 프레임(6)은 케이스(2)에 있어서 보호패널 유닛(10)을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보호패널 유닛(10)과, 이것을 유지하는 유지 프레임(6)에 의하여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P)가 구성되어 있다.
유지 프레임(6)은 앞면(6a)과, 앞면(6a)에 설치된 평탄한 환상의 시트부(7)와, 시트부(7)를 둘러싸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환상 볼록부(8)와, 내주 측면(6b)을 구비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화상표시부(3)는 후방벽(5)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화상표시부(3)는, 예를 들면 액정표시패널과, 액정표시패널의 후방으로부터 광을 접촉시키기 위한 백라이트를 포함하고 있고, 여러 가지 화면을 표시한다. 화상표시부(3)는 유기 EL 패널이어도 좋고, 그 경우 백라이트를 생략할 수 있다.
화상표시부(3)는 유지 프레임(6)의 내주 측면(6b)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화상표시부(3)는 도시하지 않은 접착제나 고정 나사 등을 이용하여 유지 프레임(6)의 내주 측면(6b)에 고정되어 있다.
터치패널 장치(4)는 화상표시부(3)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터치패널 장치(4)는, 예를 들면 정전용량식의 터치패널이며, 유저에 누름 조작된 것에 따른 전기신호를 발생한다. 전자기기(1)는 케이스(2) 내에 수용된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는 상기 전기신호에 의거하여 화상표시부(3)의 표시 내용을 변경한다. 터치패널 장치(4)는 케이스(2)의 전단부(2a) 근처에 배치되어 있다. 터치패널 장치(4)는 화상표시부(3)의 전방에 배치된 투명전극(9)과, 투명전극(9)의 전방에 배치된 보호패널 유닛(10)을 포함하고 있다.
투명전극(9)은 보호패널 유닛(10)의 보호패널(11)에 유저의 손가락이 접촉한 것에 기인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검출한다. 투명전극(9)은 투명한(투광성을 갖는)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투명전극(9)은 유지 프레임(6)의 내주 측면(6b)에 의해 둘러싸여 있고, 도시하지 않은 접착제나 고정 나사 등을 이용하여 유지 프레임(6)의 내주 측면(6b)에 고정되어 있다.
보호패널 유닛(10)은 투명전극(9) 및 화상표시부(3)를 보호하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보호패널 유닛(10)은 케이스(2)의 내부에 빗물 등의 수분이 침입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다.
보호패널 유닛(10)은 유지부재로서의 케이스(2)의 시트부(7)에 의해 수용되어 있다. 보호패널 유닛(10)의 보호패널(11) 및 투명전극(9)을 통해서 유저가 화상표시부(3)를 시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b를 참조하여, 보호패널 유닛(10)은 강화유리 등의 유리판을 이용하여 형성된 보호패널(11)과, 보호패널(11)의 외측 가장자리부(11a)에 화학 결합에 의해 접합되어서 일체화된 탄성부재(12)를 포함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탄성부재(12)는 보호패널(11)을 인서트해서 형성된 고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10)이 케이스(2)에 장착되어 있지 않은 자유상태일 때에 보호패널(11)의 외곽(外郭)(111)과, 탄성부재(12)의 외곽(121)은 서로 닮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탄성부재(12)를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하고 있음으로써 탄성부재(12)의 외곽(121)의 형상을 정밀도 좋고, 또한 윤곽이 명확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2를 참조하여, 보호패널(11)은 상하에 가늘고 긴 대략 직사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호패널(11)은 유저의 손가락에 의해 누름 조작되는 조작면으로서의 표면(13)과, 이 표면(13)에 전후 방향으로 대향하는 이면(14)과, 표면(13)과 이면(14) 사이를 접속하는 외주 측면(15)을 갖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외주 측면(15)은 표면(13)의 외측 가장자리부(13a)와 이면(14)의 외측 가장자리부(14a) 사이를 접속하고 있다.
보호패널(11)의 이면(14)의 외측 가장자리부(14a)는 유지 프레임(6)의 앞면(6a)의 시트부(7)에 의해 수용되어 있다. 또한, 보호패널(11)의 외주 측면(15)은 유지 프레임(6)의 환상 볼록부(8)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보호패널(11)은 광을 투과 가능한 투명부(16)와, 투명부(16)를 둘러싸도록 보호패널(11)의 외측 가장자리부(11a)에 설치된 비투명의 착색부(17)를 포함하고 있다. 투명부(16)는 무색 투명으로 되어 있다. 투명부(16)는 예를 들면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화상표시부(3)로부터의 광은 투명전극(9) 및 투명부(16)를 통해서 유저의 눈에 도달한다.
착색부(17)는 보호패널(11)의 외측 가장자리부(11a)에 배치되어 있고, 예를들면 흑색으로 착색되어서 광을 투과할 수 없게 되어 있다. 착색부(17)는 시트부(7)나, 투명전극(9)의 외주부 주변의 배선이나, 화상표시부(3)의 외주부 주변의 배선을 유저가 시인할 수 없도록 하는 기능을 하고 있다.
탄성부재(12)는 보호패널(11)의 외주 측면(15)을 보호함으로써 보호패널(11)에 작용하는 충격을 완화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탄성부재(12)는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보호패널(11)의 외주 측면(15)을 둘러싸고 있다. 탄성부재(12)는 보호패널(11)의 외주 측면(15)과, 유지부재로서의 케이스(2)의 유지 프레임(6)의 내주 측면(9)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탄성부재(12)는 보호패널(11)의 외주 측면(15)과 케이스(2)의 유지 프레임(6)의 내주 측면(9) 사이로부터 빗물 등의 수분이 케이스(2)의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탄성부재(12)는 실리콘 고무 등의 고무부재를 이용하여 형성된 탄력성을 갖는 부재이다. 탄성부재(12)는 보호패널(11)을 인서트해서 형성된 고무에 의해 형성되고, 사출성형에 의해 보호패널(11)의 외측 가장자리부(11a)와 접합되어서 일체화되어 있다. 즉, 금형 내에 보호패널(11)을 인서트한 상태에서 금형의 내부 캐비티에 용융된 고무 재료를 주입하고, 이 고무 재료를 냉각함으로써 탄성부재(12)가 형성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탄성부재(12)는 보호패널(11)의 외주 측면(15)에 가황 접착에 의해 접합되어서 고정된 환상의 내주 접합부(20)와, 보호패널(11) 표면(13)의 외측 가장자리부(13a)를 덮는 환상 전방 덮개부(21)를 갖고 있다. 전방 덮개부(21)는 보호패널(11) 표면(13)의 외측 가장자리부(13a)에 접합되어서 고정된 환상의 전방 접합부(21a)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탄성부재(12)는 유지 프레임(6)의 시트부(7)에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시트부(7)에 의해 수용된 환상의 후방 접촉부(22)와, 유지 프레임(6)의 환상 볼록부(8)의 내주 측면(8a)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환상의 외주 접촉부(23)를 구비하고 있다.
내주 접합부(20) 및 전방 접합부(21a)는 보호패널(11)의 착색부(17)에 고정(접합)되어 있다. 즉, 내주 접합부(20) 및 전방 접합부(21a)는 보호패널(11)에 프라이머를 통해서 화학 결합되어 있다. 즉, 탄성부재(12)를 보호패널(11)에 고정하기 위한 접착제가 별도로 설치되어 있는 구성은 아니다.
내주 접합부(20)는 보호패널(11)의 둘레 방향에 관해서 보호패널(11)의 외주 측면(15)의 전역에 걸쳐서 접합되어 있다. 또한, 내주 접합부(20)는 전후 방향에 관해서 보호패널(11)의 외주 측면(15)의 전역에 걸쳐서 접합되어 있다.
전방 접합부(21a)는 보호패널(11) 표면(13)의 외측 가장자리부(13a)에 배치되어 있고, 보호패널(11)의 둘레 방향에 관해서 보호패널(11)의 전역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다.
외주 접촉부(23)는 보호패널(11)의 외주 측면(15)의 둘레 방향의 전역에 걸쳐서 케이스(2)의 유지 프레임(6)의 환상 볼록부(8)의 내주 측면(8a)을 탄성적으로 압박하고 있고, 내주 측면(8a)에 액밀적으로 접촉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탄성부재(12)는 유지 프레임(6)과 보호패널(11)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압축(탄성변형)되어 있다. 이 탄성변형에 의한 탄성 반발력에 의해 보호패널(11)이 유지 프레임(6)의 환상 볼록부(8)의 내주 측면(8a)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보호패널(11)의 이면(14)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이 접착제에 의해 보호패널(11)과 케이스(2)의 시트부(7)를 고정해도 좋다.
환상의 전방 덮개부(21)는 정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보호패널(11) 표면(13)의 외측 가장자리부(13a)의 일부를 덮고 있다. 전방 덮개부(21)는 보호패널(11)의 둘레 방향에 관해서 보호패널(11)의 전역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다. 전방 덮개부(21)는, 예를 들면 수백㎛ 정도의 두께를 갖고 있고, 반투명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3a는 전자기기(1)의 정면도이며, 전자기기(1)의 상단부 주변을 나타내고 있다. 도 3a를 참조하여 전방 덮개부(21)가 반투명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전자기기(1)를 정면에서 본 유저는 전방 덮개부(21)를 통해서 내주 접합부(20)를 시인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유지 프레임(6)의 환상 볼록부(8)의 내주 측면(8a)은 좌우 방향으로 똑바로 연장되는 직선부(31)와, 직선부(31)의 중도부에 형성되어 하측을 향해서 볼록하게 되는 만곡 형상부(32)를 갖고 있다. 또한, 보호패널(11)의 외주 측면(15)은 좌우 방향으로 똑바로 연장되는 직선부(41)와, 직선부(41)의 중도부에 형성되어 하측을 향해서 오목해지는 만곡 형상부(42)를 갖고 있다.
직선부(31, 41)는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마주보고 있다. 만곡 형상부(32, 42)는 만곡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마주보고 있다. 탄성부재(12)는 직선부(31, 41) 사이에 배치된 직선부(51)와, 만곡 형상부(32) 및 만곡 형상부(42) 사이에 배치된 만곡 형상부(52)를 갖고 있다.
유지 프레임(6)의 만곡 형상부(32)의 좌단부와 직선부(31)의 경계부(33), 및 만곡 형상부(32)의 우단부와 직선부(31)의 경계부(34)는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보호패널(11)의 만곡 형상부(42)의 좌단부와 직선부(41)의 경계부(43), 및 만곡 형상부(42)의 우단부와 직선부(41)의 경계부(44)는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탄성부재(12)가 금형을 사용한 사출성형에 의해 보호패널(11)에 일체화되어 있는 결과, 탄성부재(12)의 내주 접합부(20)는 경계부(43, 44)라고 하는 뾰족한 부분에 대하여 전체면에 걸쳐서 면접촉하고 있다. 또한, 탄성부재(12)의 내주 접합부(20)는 만곡 형상부(42)라고 하는 만곡 형상의 부분에 대하여 전체면에 걸쳐서 면접촉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보호패널(11)과 탄성부재(12)의 강고한 결합이 달성되어 있다.
또한, 탄성부재(12)를 사출성형에 의해 보호패널(11)에 일체화하고 있는 결과, 탄성부재(12) 중 유지 프레임(6)의 경계부(33, 34)라고 하는 뾰족한 부분에 접촉하는 부분을, 이들 경계부(33, 34)의 형상을 따르는 뾰족한 형상으로 높은 치수정밀도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12) 중 유지 프레임(6)의 만곡 형상부(32)에 접촉하는 만곡 형상부(52)를, 이 만곡 형상부(32)의 형상을 따르는 만곡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탄성부재(12)가 만곡 형상부(32) 및 경계부(33, 34)에 액밀적으로 접촉하기 위해서 탄성변형하지 않으면 안되는 양과, 직선부(31)에 액밀적으로 접촉하기 위해서 탄성변형하지 않으면 안되는 양을 대략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10)을 유지 프레임(6) 내에 배치했을 때에 탄성부재(12)의 각 부의 탄성 압축량이 불균일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탄성부재(12)의 외주 접촉부(23)가 유지 프레임(6)의 환상 볼록부(8)의 내주 측면(8a)과 접촉함으로써 생기는 밀봉 효과를, 보호패널(11)의 외주 측면(15)의 둘레 방향의 각 부에 있어서 보다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도 3b는 전자기기(1)의 정면도이며, 전자기기(1)의 하단부 주변을 나타내고 있다. 도 3b를 참조하여, 유지 프레임(6)의 환상 볼록부(8)의 내주 측면(8a)은 좌우 방향으로 똑바로 연장되는 직선부(35)와, 직선부(35)의 우단부에 형성되어 하측을 향해서 오목해지는 오목 형상부(36)를 갖고 있다. 또한, 보호패널(11)의 측면(15)은 좌우 방향으로 똑바로 연장되는 직선부(45)와, 직선부(45)의 우단부에 형성되어 하측을 향해서 볼록하게 되는 볼록 형상부(46)를 갖고 있다.
직선부(35, 45)는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마주보고 있다. 마찬가지로, 오목 형상부(36) 및 볼록 형상부(46)는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마주보고 있다. 탄성부재(12)는 직선부(35, 45) 사이에 배치된 직선부(55)와, 오목 형상부(36) 및 볼록 형상부(46) 사이에 배치된 볼록 형상부(56)를 갖고 있다.
유지 프레임(6)의 오목 형상부(36)의 코너부(37, 38, 39)는 대략 직각으로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보호패널(11)의 코너부(47, 48, 49)는 대략 직각으로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탄성부재(12)가 사출성형에 의해 보호패널(11)에 일체화되어 있는 결과, 탄성부재(12)의 내주 접합부(20)는 보호패널(11)의 코너부(47, 48, 49)라고 하는 뾰족한 부분에 대하여 전체면에 걸쳐서 면접촉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보호패널(11)과 탄성부재(12)의 강고한 결합이 달성되어 있다.
또한, 탄성부재(12)를 사출성형에 의해 보호패널(11)에 일체화하고 있는 결과, 탄성부재(12) 중 유지 프레임(6)의 각 부(37, 38, 39)라고 하는 뾰족한 부분에 접촉하는 부분을, 이들 뾰족한 부분의 형상을 따르는 뾰족한 형상으로 높은 치수정밀도로 형성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탄성부재(12)는 오목 형상부(36)에 액밀적으로 접촉하기 위해서 탄성변형하지 않으면 안되는 양과, 직선부(35)에 액밀적으로 접촉하기 위해서 탄성변형하지 않으면 안되는 양을 대략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10)을 유지 프레임(6) 내에 배치했을 때에 탄성부재(12)의 각 부의 탄성 압축량이 불균일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탄성부재(12)의 외주 접촉부(23)가 유지 프레임(6)의 환상 볼록부(8)의 내주 측면(8a)과 접촉함으로써 생기는 밀봉 효과를 보호패널(11)의 외주 측면(15)의 둘레 방향의 각 부에 있어서 보다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탄성부재(12)가 보호패널(11)의 외주 측면(15)에 화학 결합에 의해 접합되어 있으므로 보호패널(11)과 탄성부재(12)의 결합력을 매우 높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장기의 사용에서 유저가 보호패널(11)의 조작면으로서의 표면(13)을 반복하여 압박 조작한 경우에도 보호패널(11)과 탄성부재(12)의 이탈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어서 내구성이 우수하다.
또한, 유저의 부주의 등에 의해 전자기기(1)가 낙하한 경우에도 보호패널(11)의 외주 측면(15)에 전해지는 충격을 탄성부재(12)에 의하여 확실하게 완화시킬 수 있으므로, 비교적 충격에 약한 경향이 있는 유리판제의 보호패널(11)의 외주 측면(15)의 손상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서 내충격성이 우수하다.
또한, 보호패널(11)에 탄성부재(12)를 접합에 의해 일체화한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10)을 구성하고 있으므로 부품수를 적게 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전자기기(1)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12)가 보호패널(11)을 인서트해서 성형된 고무를 포함하고 있다. 즉, 미리 금형 내에 셋팅된 보호패널(11)의 외주 측면(15)에 프라이머를 도포한 상태에서 미경화의 고무 재료를 사출함으로써 보호패널(11)과 탄성부재(12)의 양자를 용이하게 또한 강하게 결합시켜서 양자를 일체화할 수 있다. 따라서, 유리판제이기 때문에 충격에 약한 경향이 있는 보호패널(11)의 외주 측면(15)을 충격으로부터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성형된 고무가 보호패널(11)의 외주 측면(15)과 간극없이 접합되므로 탄성부재(12)(고무)와 보호패널(11) 사이의 방수성, 방진성을 매우 높게 할 수 있다.
가령, 보호패널과 미리 별체로 형성된 고무부재를 보호패널의 외주 측면에 접착제로 부착한다고 하면, 얇은 고무부재를 얇은 보호패널에 정확하게 위치맞춤한 상태에서 접착제를 고무부재나 보호패널에 공급한다고 하는 번거로운 작업이 필요하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미리 프라이머 처리된 보호패널을 금형 내에 셋팅하고, 미경화의 고무 재료를 금형 내에 사출한다는 간이한 방법으로 고무(탄성부재(12))를 성형할 수 있으므로 양산성이 우수하다.
또한, 탄성부재(12) 자신이 상기한 충격 흡수 효과에 추가하여 방수·방진 효과를 갖고 있으므로 별도의 방수를 위한 전용의 패킹이 필요없어 부품수를 매우 적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보호패널(11)과 케이스(2)의 유지 프레임(6) 사이의 방수·방진 성능을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보호패널(11)의 외측 가장자리부(11a)에 착색부(17)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보호패널(11)의 이면측 배선 등, 돋보임의 관점으로부터 유저에게 보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부분을 착색부(17)에 의해 감출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전자기기(1)의 돋보임을 보다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착색부(17)에 탄성부재(12)가 일체화되어 있고, 투명부(16)에는 탄성부재가 배치되지 않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탄성부재(12)가 화상표시부(3)의 화면 표시를 숨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유저에 대하여 화상표시부(3)를 보다 보기 쉽도록 할 수 있다.
보호패널(11)의 측면(15)에 탄성부재(12)가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화됨으로써 돋보임이 향상되어 있는 것과, 착색부(17)를 설치한 것에 의한 돋보임의 향상이 아울러져 전자기기(1)의 돋보임을 보다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보호패널(11) 표면(13)의 외측 가장자리부(13a)를 덮는 전방 덮개부(21)가 전방 접합부(21a)를 통해서 보호패널(11)에 접합되어 있음으로써 탄성부재(12)와 보호패널(11)의 결합력을 보다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전방 덮개부(21)를 통하여 내주 접합부(20)를 시인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보호패널(11)의 외측 가장자리부(11a)에 투명감 및 입체감을 갖게 할 수 있고, 그 결과,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10)의 돋보임을 보다 좋게 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전방 덮개부(21)를 설치함으로써 탄성부재(12)와 보호패널(11)의 접합 강도의 향상과, 돋보임의 향상이라고 하는 상승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어서, 도 4a, 도 4b, 도 4c, 도 4d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을 나타내고 있다.
도 4a에 나타내는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10A)이 도 2의 실시형태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10)과 다른 것은 하기와 같다. 즉,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10A)의 탄성부재(12A)가 전방 덮개부(21)에 추가해서 보호패널(11) 이면(14)의 외측 가장자리부(14a)의 일부를 덮는 후방 덮개부(24)를 구비하고 있다. 그 후방 덮개부(24)는 외측 가장자리부(14a)에 화학 결합에 의해 접합된 후방 접합부(24a)를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보호패널(11)과 탄성부재(12A)의 결합력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4b에 나타내는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10B)이 도 4a의 실시형태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10A)과 다른 것은 하기와 같다. 즉,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10B)의 탄성부재(12B)가 보호패널(11)의 외주 측면(15)에만 접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10B)의 전후 방향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고, 전자기기(1)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 4c에 나타내는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10C)이 도 4A의 실시형태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10A)과 다른 것은 하기와 같다. 즉,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10C)의 탄성부재(12C)의 단면[외주 측면(15)과 직교하고, 또한 보호패널(11)과 평행한 단면]의 외형 형상이 타원 형상이나, 편평한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탄성부재(12C)의 두께를 보호패널(11)의 전후로 돌출되도록 적당하게 두껍게 하고 있으므로 탄성부재(12C)를 적당하게 압축하는 유지 프레임에 적합하게 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d에 나타내는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10D)이 도 4c의 실시형태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10C)과 다른 것은 하기와 같다. 즉,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10D)의 탄성부재(12D)의 단면(도 4c와 같은 단면)의 외형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테에 의하면 탄성부재(12D)의 두께를 보호패널(11)의 전후로 돌출되도록 적당하게 두껍게 하고 있으므로 탄성부재(12D)를 적당하게 압축하는 유지 프레임에 적합하게 조합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 5a, 도 5b 및 도 5c는 각각, 도 4a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10A)을 사용한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5a의 실시형태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P1)는 보호패널(11) 및 탄성부재(12A)를 갖는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10A)과, 이것을 유지하는 유지 프레임(60)을 구비하고 있다. 도 2의 실시형태에서는 보호패널(11) 이면(14)의 외측 가장자리부(14a)와 유지 프레임(6)의 시트부(7)가 접촉하고 있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호패널(11) 이면(14)의 외측 가장자리부(14a)와 유지 프레임(60)의 시트부(7) 사이에 미소한 간극(S)이 형성되어 있다. 탄성부재(12A)는 전방부(12A1)와, 후방부(12A2)와, 외주 측부(12A3)를 갖고 있고, 후방부(12A2)는 시트부(7)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후방 접촉부(22)를 갖고 있다. 외주 측부(12A3)는 유지 프레임(60)의 환상 볼록부(8)의 내주(8a)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외주 접촉부(23)를 갖고 있다.
유지 프레임(60)은 도 2의 실시형태의 유지 프레임(6)과 마찬가지로 케이스(2)와 단일의 부재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또한 케이스(2)와 별체로 형성되어서 케이스(2)에 고정되는 것이라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구성요소에 있어서 도 2의 실시형태의 구성요소와 같은 구성요소에는 도 2의 실시형태의 구성요소의 참조 부호와 같은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이어서, 도 5b의 실시형태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P2)는 보호패널(11) 및 탄성부재(12A)를 갖는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10A)과, 이것을 유지하는 제 1 유지 프레임(61)과, 제 1 유지 프레임(61)에 고정된 제 2 유지 프레임(62)을 구비하고 있다. 양 유지 프레임(61, 62)은, 예를 들면 나사 고정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있다. 제 1 유지 프레임(61)은 사각 환상의 둘레 측벽(63)과, 둘레 측벽(63)의 전단으로부터 내측방으로 연장되는 환상 전방벽(64)을 구비하고 있다. 전방벽(64)은 후방으로 돌출되는 환상의 제 1 볼록부(65)를 갖고 있다. 제 1 볼록부(65)는 단면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고 있다.
제 2 유지 프레임(62)은 제 1 유지 프레임(61)의 둘레 측벽(63)의 내주를 따르는 사각 환상의 둘레 측벽(66)과, 둘레 측벽(66)의 전단으로부터 내측방으로 연장되고, 제 1 유지 프레임(61) 전방벽(64)과 전후로 대향하는 환상의 전방벽(67)을 구비하고 있다. 전방벽(67)은 전방으로 돌출되는 환상의 제 2 볼록부(68)를 갖고 있다. 제 2 볼록부(68)는 단면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고 있다.
제 1 볼록부(65)와 제 2 볼록부(68)는 전후로 대향하여 탄성부재(12A)를 전후로 협지하고 있다. 탄성부재(12A)의 전방부(12A1)는 탄성부재(12A)의 전방에 배치된 제 1 유지 프레임(61)의 전방벽(64)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전방 접촉부(91a) 를 구비하고 있다. 탄성부재(12A)의 후방부(12A2)는 탄성부재(12A)의 후방에 배치된 제 2 유지 프레임(62)의 전방벽(67)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후방 접촉부(92a)를 구비하고 있다. 전방 접촉부(91a)는 전방벽(64)의 제 1 볼록부(65)에 의해 탄성적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고, 후방 접촉부(92a)는 전방벽(67)의 제 2 볼록부(68)에 의해 탄성적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구성요소에 있어서 도 2의 실시형태의 구성요소와 같은 구성요소에는 도 2의 실시형태의 구성요소의 참조 부호와 같은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유지 프레임(61)의 제 1 볼록부(65)와 제 2 유지 프레임(62)의 제 2 볼록부(68)가 탄성부재(12A)를 탄성적으로 오목하게 하면서 탄성부재(12A)를 협지하고 있으므로, 양 유지 프레임(61, 62)에 의해 탄성부재(12A)를 통해서 보호패널(11)을 현격히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어서 내충격성을 현격하게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밀봉성을 현격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양 유지 프레임(61, 62)은 도 2의 실시형태의 유지 프레임(6)과 마찬가지로 케이스(2)와 단일의 부재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또한 케이스(2)와 별체로 형성되어서 케이스(2)에 고정되는 것이라도 좋다. 후자의 경우, 보호패널(11)과 탄성부재(12A)와 양 유지 프레임(61, 62)을 포함하는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이 형성되게 된다.
이어서, 도 5c의 실시형태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P3)는 보호패널(11) 및 탄성부재(12A)를 갖는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10A)과, 이것을 유지하는 유지 프레임(69)을 구비하고 있다. 유지 프레임(69)은 사각 환상의 둘레 측벽(70)과, 둘레 측벽(70)의 전단으로부터 내측방으로 연장되는 환상의 전방벽(71)과, 둘레 측벽(70)의 후단으로부터 내측방으로 연장되는 환상의 후방벽(72)을 구비하고 있다. 전방벽(71)은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 1 볼록부(73)를 갖고, 후방벽(72)은 전방으로 돌출되는 제 2 볼록부(74)를 갖고 있다.
제 1 볼록부(73)와 제 2 볼록부(74)는 전후로 대향하여 탄성부재(12A)를 전후로 협지하고 있다. 탄성부재(12A)의 전방부(12A1)는 전방벽(71)에 접촉하는 전방 접촉부(91a)를 구비하고 있다. 탄성부재(12A)의 후방부(12A2)는 후방벽(72)에 접촉하는 후방 접촉부(92a)를 구비하고 있다. 전방 접촉부(91a)는 제 1 볼록부(73)에 의해 탄성적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고, 후방 접촉부(92a)는 제 2 볼록부(74)에 의해 탄성적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구성요소에 있어서 도 2의 실시형태의 구성요소와 같은 구성요소에는 도 2의 실시형태의 구성요소의 참조 부호와 같은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유지 프레임(69)의 제 1 볼록부(73)와 제 2 볼록부(74)가 탄성부재(12A)를 탄성적으로 오목하게 하면서 탄성부재(12A)를 협지하고 있으므로, 유지 프레임(69)에 의해 탄성부재(12A)를 통해서 보호패널(11)을 현격히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어서 내충격성을 현격하게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밀봉성을 현격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지 프레임(69)은 도 2의 실시형태의 유지 프레임(6)과 마찬가지로 케이스(2)와 단일의 부재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또한 케이스(2)와 별체로 형성되어서 케이스(2)에 고정되는 것이라도 좋다. 후자의 경우, 보호패널(11)과 탄성부재(12A)와 유지 프레임(69)을 포함하는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이 형성되게 된다.
이어서, 도 6a, 도 6b 및 도 6c는 각각, 도 4b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10B)을 사용한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6a의 실시형태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P4)는 보호패널(11) 및 탄성부재(12B)를 갖는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10B)과, 이것을 유지하는 유지 프레임(60)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가 도 2의 실시형태와 다른 것은 도 2의 실시형태의 탄성부재(12) 대신에 탄성부재(12B)를 사용하고, 도 2의 실시형태의 유지 프레임(6) 대신에 유지 프레임(60)을 사용한 점 뿐이다. 탄성부재(12B)의 후방부(12B2)에 후방 접촉부(22)가 설치되고, 탄성부재(12B)의 외주 측부(12B3)에 외주 접촉부(23)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구성요소에 있어서 도 2의 실시형태의 구성요소와 같은 구성요소에는 도 2의 실시형태의 구성요소의 참조 부호와 같은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이어서, 도 6b의 실시형태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P5)는 보호패널(11) 및 탄성부재(12B)를 갖는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10B)과, 이것을 유지하는 제 1 유지 프레임(61)과, 제 1 유지 프레임(61)에 고정된 제 2 유지 프레임(62A)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유지 프레임(61)은 도 5b의 제 1 유지 프레임(61)과 같다. 제 2 유지 프레임(62A)이 도 5b의 제 2 유지 프레임(62)과 다른 것은, 전방벽(67A)이 환상의 제 2 볼록부(68)보다 지름 방향 안쪽에서 보호패널(11) 이면(14)의 외측 가장자리부(14a)를 수용하는 환상의 시트부(671)를 설치하고 있는 점이다.
탄성부재(12B)의 전방부(12B1)는 탄성부재(12B)의 전방에 배치된 제 1 유지 프레임(61)의 전방벽(64)에 접촉하는 전방 접촉부(91b)를 구비하고 있다. 탄성부재(12B)의 후방부(12B2)는 탄성부재(12B)의 후방에 배치된 제 2 유지 프레임(62A)의 전방벽(67A)에 접촉하는 후방 접촉부(92b)를 구비하고 있다. 전방 접촉부(91b)는 전방벽(64)의 제 1 볼록부(65)에 의해 탄성적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고, 후방 접촉부(92b)는 전방벽(67A)의 제 2 볼록부(68)에 의해 탄성적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구성요소에 있어서 도 2, 도 5b의 실시형태의 구성요소와 같은 구성요소에는 도 2, 도 5b의 실시형태의 구성요소의 참조 부호와 같은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볼록부(65)와 제 2 볼록부(68)가 탄성부재(12B) 를 탄성적으로 오목하게 하면서 탄성부재(12B)를 협지하고 있으므로, 양 유지 프레임(61, 62A)에 의해 탄성부재(12B)를 통해서 보호패널(11)을 현격히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어서 내충격성을 현격하게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밀봉성을 현격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양 유지 프레임(61, 62A)은 도 2의 실시형태의 유지 프레임(6)과 마찬가지로 케이스(2)와 단일의 부재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또한 케이스(2)와 별체로 형성되어서 케이스(2)에 고정되는 것이라도 좋다. 후자의 경우 보호패널(11)과 탄성부재(12B)와 양 유지 프레임(61, 62A)을 포함하는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이 형성되게 된다.
이어서, 도 6c의 실시형태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P6)는 보호패널(11) 및 탄성부재(12B)를 갖는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10B)과, 이것을 유지하는 도 5c의 실시형태의 유지 프레임(69)과 유사한 구성의 유지 프레임(69A)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유지 프레임(69A)이 도 5c의 유지 프레임(69)과 다른 것은, 유지 프레임(69A)의 후방벽(72A)이 환상의 제 2 볼록부(74)의 지름 방향 안쪽에서 보호패널(11) 이면(14)의 외측 가장자리부(14a)를 수용하는 환상의 시트부(721)를 설치하고 있는 점이다.
탄성부재(12B)의 전방부(12B1)는 전방벽(71)에 접촉하는 전방 접촉부(91b)를 구비하고 있다. 탄성부재(12B)의 후방부(12B2)는 후방벽(72A)에 접촉하는 후방 접촉부(92b)를 구비하고 있다. 전방 접촉부(91b)는 제 1 볼록부(73)에 의해 탄성적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고, 후방 접촉부(92b)는 제 2 볼록부(74)에 의해 탄성적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구성요소에 있어서 도 2, 도 5c의 실시형태의 구성요소와 같은 구성요소에는 도 2, 도 5c의 실시형태의 구성요소의 참조 부호와 같은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유지 프레임(69A)의 제 1 볼록부(73)와 제 2 볼록부(74)가 탄성부재(12B)를 탄성적으로 오목하게 하면서 탄성부재(12B)를 협지하고 있으므로, 유지 프레임(69A)에 의해 탄성부재(12B)를 통해서 보호패널(11)을 현격히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어서 내충격성을 현격하게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밀봉성을 현격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지 프레임(69A)은 도 2의 실시형태의 유지 프레임(6)과 마찬가지로 케이스(2)와 단일의 부재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또한 케이스(2)와 별체로 형성되어서 케이스(2)에 고정되는 것이라도 좋다. 후자의 경우 보호패널(11)과 탄성부재(12B)와 유지 프레임(69A)을 포함하는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이 형성되게 된다.
이어서, 도 7a, 도 7b 및 도 7c는 각각 도 4c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10C)을 사용한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7a의 실시형태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P7)는 보호패널(11) 및 탄성부재(12C)를 갖는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10C)과, 이것을 유지하는 제 1 유지 프레임(61)과, 제 1 유지 프레임(61)에 고정된 제 2 유지 프레임(62B)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제 1 유지 프레임(61) 및 제 2 유지 프레임(62B)은 도 5b의 제 1 유지 프레임(61) 및 제 2 유지 프레임(62)과 같은 구성이다. 단, 본 실시형태의 제 1 유지 프레임(61)에 대한 제 2 유지 프레임(62B)의 고정 위치가 도 5b의 실시형태의 제 1 유지 프레임(61)에 대한 제 2 유지 프레임(62)의 고정 위치와는 다르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형태의 양 유지 프레임(61, 62B)의 전방벽(67, 67) 사이의 간격이 도 5b의 실시형태의 양 유지 프레임(61, 62)의 전방벽(64, 67) 사이의 간격보다 넓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것은 본 실시형태의 탄성부재(12C)의 전후 방향의 두께가 도 5b의 실시형태의 탄성부재(12A)의 전후 방향의 두께보다 두껍게 되어 있는 것에 의한다.
탄성부재(12C)의 전방부(12C1)는 탄성부재(12C)의 전방에 배치된 제 1 유지 프레임(61)의 전방벽(64)에 접촉하는 전방 접촉부(91c)를 구비하고 있다. 탄성부재(12C)의 후방부(12C2)는 탄성부재(12C)의 후방에 배치된 제 2 유지 프레임(62)의 전방벽(67)에 접촉하는 후방 접촉부(92c)를 구비하고 있다. 전방 접촉부(91c)는 전방벽(64)의 제 1 볼록부(65)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고, 후방 접촉부(92c)는 전방벽(67)의 제 2 볼록부(68)에 의해 탄성적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 1 볼록부(65)와 제 2 볼록부(68) 사이에 보호패널(11)의 외측 가장자리부(11a)가 배치되어 있다. 보호패널(11)의 외측 가장자리부(11a)가 탄성부재(12C)를 통해서 양 볼록부(65, 68) 사이에 탄성적으로 협지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구성요소에 있어서 도 2, 도 5b의 실시형태의 구성요소와 같은 구성요소에는 도 2, 도 5b의 실시형태의 구성요소의 참조 부호와 같은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볼록부(65)와 제 2 볼록부(68)가 탄성부재(12C)를 탄성적으로 오목하게 하면서 탄성부재(12C)를 협지하고 있으므로, 양 유지 프레임(61, 62B)에 의해 탄성부재(12C)를 통해서 보호패널(11)을 현격히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어서 내충격성을 현격하게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밀봉성을 현격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보호패널(11)의 외측 가장자리부(11a)가 제 1 볼록부(65)와 제 2 볼록부(68)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양 볼록부(65, 68)에 의해 탄성부재(12C)를 통해서 탄성적으로 협지되어 있으므로 보호패널(11)을 보다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고, 내충격성을 한층더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양 볼록부(65, 68)가 탄성부재(12C)의 두께가 가장 두꺼운 부분을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하고 있어 탄성지지 효과가 높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양 유지 프레임(61, 62B)은 도 2의 실시형태의 유지 프레임(6)과 마찬가지로 케이스(2)와 단일의 부재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또한 케이스(2)와 별체로 형성되어서 케이스(2)에 고정되는 것이라도 좋다. 후자의 경우 보호패널(11)과 탄성부재(12C)와 양 유지 프레임(61, 62B)을 포함하는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이 형성되게 된다.
이어서, 도 7b의 실시형태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P8)는 보호패널(11) 및 탄성부재(12C)를 갖는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10C)과, 이것을 유지하는 유지 프레임(69B)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유지 프레임(69B)이 도 5c의 유지 프레임(69)과 다른 것은, 본 실시형태의 유지 프레임(69B)에서는 전방벽(71B)과 후방벽(72B)의 간격이 도 5c의 전방벽(71)과 후방벽(72)의 간격보다 넓게 되어 있는 점이다. 그 만큼, 본 실시형태의 유지 프레임(69B)의 둘레 측벽(70B)의 전후 방향의 길이가 도 5c의 실시형태의 유지 프레임(69)의 둘레 측벽(70)의 전후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되어 있다.
탄성부재(12C)의 전방부(12C1)는 전방벽(71B)에 접촉하는 전방 접촉부(91c) 를 구비하고 있다. 탄성부재(12C)의 후방부(12C2)는 후방벽(72B)에 접촉하는 후방 접촉부(92c)를 구비하고 있다. 전방 접촉부(91c)는 제 1 볼록부(73)에 의해 탄성적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고, 후방 접촉부(92c)는 제 2 볼록부(74)에 의해 탄성적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다. 탄성부재(12C)의 외주 측부(12C3)는 유지 프레임(69B)의 둘레 측벽(70B)의 내주(70B1)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외주 접촉부(93)를 갖고 있다.
또한, 제 1 볼록부(73)와 제 2 볼록부(74) 사이에 보호패널(11)의 외측 가장자리부(11a)가 배치되어 있다. 보호패널(11)의 외측 가장자리부(11a)가 탄성부재(12C)를 통해서 양 볼록부(73, 74) 사이에 탄성적으로 협지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구성요소에 있어서 도 2, 도 5c의 실시형태의 구성요소와 같은 구성요소에는 도 2, 도 5c의 실시형태의 구성요소의 참조 부호와 같은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볼록부(73)와 제 2 볼록부(74)가 탄성부재(12C)를 탄성적으로 오목하게 하면서 탄성부재(12C)를 협지하고 있으므로, 유지 프레임(69B)에 의해 탄성부재(12C)를 통해서 보호패널(11)을 현격히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어서 내충격성을 현격하게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밀봉성을 현격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12C)의 외주 측부(12C3)의 외주 접촉부(93)가 유지 프레임(69B)의 둘레 측벽(70B)의 내주(70B1)에 탄성적으로 접촉하고 있으므로 내충격성 및 밀봉성을 한층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보호패널(11)의 외측 가장자리부(11a)가 제 1 볼록부(73)와 제 2 볼록부(74)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양 볼록부(73, 74)에 의해 탄성부재(12C)를 통해서 탄성적으로 협지되어 있으므로 보호패널(11)을 보다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고, 내충격성을 한층더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양 볼록부(73, 74)가 탄성부재(12C)의 두께가 가장 두꺼운 부분을 오목해지도록 하고 있어 탄성 지지 효과가 높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지 프레임(69B)은 도 2의 실시형태의 유지 프레임(6)과 마찬가지로 케이스(2)와 단일의 부재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또한 케이스(2)와 별체로 형성되어서 케이스(2)에 고정되는 것이라도 좋다. 후자의 경우, 보호패널(11)과 탄성부재(12C)와 유지 프레임(69B)을 포함하는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이 형성되게 된다.
이어서, 도 7c의 실시형태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P9)는 보호패널(11) 및 탄성부재(12C)를 갖는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10C)과, 이것을 유지하는 환상의 유지 프레임(75)을 구비하고 있다.
유지 프레임(75)은 사각 환상을 이루는 둘레 측벽(76)과, 둘레 측벽(76)의 후방부으로부터 내측방으로 연장되는 환상의 후방벽(77)을 구비하고 있다. 둘레 측벽(76)의 내주(76a)에는, 예를 들면 단면 오목 만곡형상의 환상 오목부(78)가 형성되어 있다. 탄성부재(12C)의 주로 외주 측부(12C)가 환상 오목부(78)에 끼워넣어져 탄성부재(12C)가 유지 프레임(75)에 유지되어 있다.
탄성부재(12C)의 전방부(12C1)는 외주 측부(12C3) 근처의 부분에 둘레 측벽(76)의 환상 오목부(78)에 면접촉하는 전방 접촉부(91d)를 갖고 있다. 탄성부재(12C)의 후방부(12C2)는 후방벽(77)의 앞면(77a)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후방 접촉부(92d)를 갖고 있다. 탄성부재(12C)의 외주 측부(12C3)는 둘레 측벽(76)의 환상 오목부(78)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외주 접촉부(93d)를 갖고 있다. 전방 접촉부(91d)와 외주 접촉부(93d)는 환상 오목부(78)에 대하여 연속적으로 접촉하고 있어 밀봉 효과가 높아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보호패널(11)에 복수의 접합부[내주 접합부(20), 전방 접합부(21a), 후방 접합부(24a)]에서 접합된 탄성부재(12C)가 복수의 접촉부[전방 접촉부(91d), 후방 접촉부(92d), 외주 접촉부(93d)]에서 유지 프레임(75)에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따라서, 유지 프레임(75)에 의해 탄성부재(12C)를 통해서 보호패널(11)을 현격히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어서 내충격성을 현격하게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밀봉성을 현격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조립시에 있어서 탄성부재(12C)를 유지 프레임(75)의 환상 오목부(78)에 단지 끼워넣기만 하면 되므로 조립이 용이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지 프레임(75)은 도 2의 실시형태의 유지 프레임(6)과 마찬가지로 케이스(2)와 단일의 부재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또한 케이스(2)와 별체로 형성되어서 케이스(2)에 고정되는 것이라도 좋다. 후자의 경우 보호패널(11)과 탄성부재(12C)와 유지 프레임(75)을 포함하는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이 형성되게 된다.
이어서, 도 8a, 도 8b 및 도 8c는 각각, 도 4d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4D)을 사용한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8a의 실시형태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P10)는 보호패널(11) 및 탄성부재(12D)를 갖는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10D)과, 이것을 유지하는 유지 프레임(60)을 구비하고 있다. 도 2의 실시형태에서는 보호패널(11) 이면(14)의 외측 가장자리부(14a)와 유지 프레임(6)의 시트부(7)가 접촉하고 있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호패널(11) 이면(14)의 외측 가장자리부(14a)와 유지 프레임(60)의 시트부(7) 사이에 간극(S1)이 형성되어 있다.
탄성부재(12D)의 후방부(12D2)는 유지 프레임(60)의 시트부(7)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후방 접촉부(22)를 갖고 있다. 탄성부재(12D)의 외주 측부(12D3)는 유지 프레임(60)의 환상 볼록부(8)의 내주 측면(8a)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외주 접촉부(23)를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보호패널(11)에 복수의 접합부[내주 접합부(20), 전방 접합부(21a), 후방 접합부(24a)]에서 접합된 단면 직사각형이고 전후로 두꺼운 탄성부재(12D)가 복수의 접촉부[후방 접촉부(22)와 외주 접촉부(23)]에서 유지 프레임(60)에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따라서, 유지 프레임(60)에 의해 탄성부재(12D)를 통해서 보호패널(11)을 현격히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어서 내충격성을 현격하게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밀봉성을 현격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후방 접촉부(22)도 외주 접촉부(23)도 면접촉하므로 밀봉성을 한층더 향상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 8b의 실시형태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P11)는 보호패널(11) 및 탄성부재(12D)를 갖는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10D)과, 이것을 유지하는 제 1 유지 프레임(61)과, 제 1 유지 프레임(61)에 고정된 제 2 유지 프레임(62B)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제 1 유지 프레임(61) 및 제 2 유지 프레임(62B)은 도 7a의 제 1 유지 프레임(61) 및 제 2 유지 프레임(62B)과 같은 구성이다.
탄성부재(12D)의 전방부(12D1)에 설치된 전방 접촉부(91e)가 제 1 볼록부(65)에 의해 탄성적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다. 탄성부재(12D)의 후방부(12D2)에 설치된 후방 접촉부(92e)가 제 2 볼록부(68)에 의해 탄성적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구성요소에 있어서 도 2, 도 7a의 실시형태의 구성요소와 같은 구성요소에는 도 2, 도 7a의 실시형태의 구성요소의 참조 부호와 같은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 7a의 실시형태와 같은 작용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12D)를 단면 직사각형으로 해서 두께량을 많게 하고 있으므로 충격흡수 효과가 높고, 또한 양 유지 프레임(61, 62B)에 의해 구획되는 환상 공간 내에 차지하는 탄성부재(12D)의 용적 비율이 높으므로 밀봉성을 높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양 유지 프레임(61, 62B)은 도 2의 실시형태의 유지 프레임(6)과 마찬가지로 케이스(2)와 단일의 부재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또한 케이스(2)와 별체로 형성되어서 케이스(2)에 고정되는 것이라도 좋다. 후자의 경우, 보호패널(11)과 탄성부재(12D)와 양 유지 프레임(61, 62B)을 포함하는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이 형성되게 된다.
이어서, 도 8c의 실시형태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P12)는 보호패널(11) 및 탄성부재(12D)를 갖는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10D)과, 이것을 유지하는 유지 프레임(69B)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유지 프레임(69B)의 구성은 도 7b의 실시형태의 유지 프레임(69B)과 같다.
탄성부재(12D)의 전방부(12D1)에 설치된 전방 접촉부(91e)가 제 1 볼록부(73)에 의해 탄성적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다. 또한, 탄성부재(12D)의 후방부(12D2)에 설치된 후방 접촉부(92e)가 제 2 볼록부(74)에 의해 탄성적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구성요소에 있어서 도 2, 도 7b의 실시형태의 구성요소와 같은 구성요소에는 도 2, 도 7b의 실시형태의 구성요소의 참조 부호와 같은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 8b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탄성부재(12D)를 단면 직사각형으로 해서 두께량을 많게 하고 있으므로 충격흡수 효과가 높고, 또한 유지 프레임(69B)에 의해 구획되는 환상 공간 내에 차지하는 탄성부재(12D)의 용적 비율이 높으므로 밀봉성을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단일의 유지 프레임(69B)을 사용하므로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지 프레임(69B)은 도 2의 실시형태의 유지 프레임(6)과 마찬가지로 케이스(2)와 단일의 부재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또한 케이스(2)와 별체로 형성되어서 케이스(2)에 고정되는 것이라도 좋다. 후자의 경우, 보호패널(11)과 탄성부재(12D)와 유지 프레임(69B)을 포함하는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이 형성되게 된다.
또한, 도 5b, 도 6b, 도 7a 및 도 8b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볼록부(65)의 외측면 및 제 2 볼록부(66)의 외측면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서 대응하는 탄성부재(12A, 12B, 12C 및 12D)의 앞면 및 뒷면에 각각 파고 들어가 있다. 또한, 도 5c, 도 6c, 도 7b, 도 8c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볼록부(73)의 외측면 및 제 2 볼록부(74)의 외측면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서 대응하는 탄성부재(12A, 12B, 12C 및 12D)의 앞면 및 뒷면에 각각 파고 들어가 있다. 이것에 의해, 각 탄성부재(12A, 12B, 12C 및 12D)가 내측[보호패널(11)]측으로 어긋나기 어렵게 되어 있다. 그 결과, 보호패널(11)이 어긋나기 어렵게 되어 있다.
이어서, 도 9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10E)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며, 도 9b는 도 9a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10E)이 적용된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Q1)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9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10E)은 보호패널(11)과, 보호패널(11)을 둘러싸는 환상의 수지제의 유지 프레임(79)과, 보호패널(11) 및 유지 프레임(79)에 화학 결합에 의해 접합된 탄성부재(12E)를 구비하고 있다. 유지 프레임(79)은 전방벽(80)과, 전방벽(80)의 외측 가장자리에 만곡부(81)를 통해서 접속되고, 후방 비스듬히 측방으로 연장되는 경사 측벽(82)을 구비하고 있다.
탄성부재(12E)는 보호패널(11)의 외주 측면(15)에 화학 결합에 의해 접합된 내주 접합부(83)와, 유지 프레임(79) 전방벽(80)의 내주 측면(84)에 화학 결합에 의해 접합된 외주 접합부(85)와, 보호패널(11) 이면(14)의 외측 가장자리부(14a)에 화학 결합에 의해 접합된 제 1 후방 접합부(86)와, 유지 프레임(79) 전방벽(80)의 이면(87)의 내측 가장자리부(87a)에 화학 결합에 의해 접합된 제 2 후방 접합부(88)를 구비하고 있다.
탄성부재(12E)는 보호패널(11)의 외주 측면(15)과 유지 프레임(79) 전방벽(80)의 내주 측면(84) 사이에 개재된 환상의 전방부(201)와, 전방부(201)의 후방부에 연속한 환상 판형상의 후방부(202)를 구비하고 있다. 후방부(202)는 보호패널(11) 이면(14)의 외측 가장자리부(14a)를 수용하는 환상의 제 1 수용부(203)와, 유지 프레임(79)의 전방벽(80) 이면(87)의 내측 가장자리부(87a)를 수용하는 환상의 제 2 수용부(204)를 구비하고 있다.
전방부(201)는 내주 접합부(83)가 형성된 내주 측부(201a)와, 외주 접합부(85)가 형성된 외주 측부(201b)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수용부(203)의 앞면에 제 1 후방 접합부(86)가 설치되고, 제 2 수용부(204)의 앞면에 제 2 후방 접합부(88)가 설치되어 있다.
탄성부재(12E)는 보호패널(11) 및 유지 프레임(79)을 인서트해서 형성된 고무(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Q1)는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10E)과,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10E)을 유지하는 유지부재로서의 전자기기(1)의 케이스(320)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320)의 앞면(321)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환상 볼록부(322)가 형성되어 있다. 환상 볼록부(322)의 예를 들면 평탄한 꼭대기부(323)에 탄성부재(12E)의 후방부(202) 이면에 설치된 후방 접촉부(202a)가 탄성적으로 접촉하고 있다. 즉, 탄성부재(12E)는 환상 볼록부(322)의 꼭대기부(323)에 의해 수용되어 있다. 도시 하지 않지만, 유지 프레임(79)과 케이스(320)는 나사 고정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10E)에 의하면, 탄성부재(12E)가 유리판제의 보호패널(11)의 외주 측면(15) 및 수지제의 유지 프레임(79)의 내주 측면[전방벽(80)의 내주 측면(84)]에 화학 결합에 의해 접합되어 있으므로 보호패널(11)과 탄성부재(12E)의 결합력을 매우 높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장기의 사용에서 유저가 보호패널(11)의 조작면[앞면(13)]을 반복하여 압박 조작한 경우에도 보호패널(11)과 탄성부재(12E)의 이탈이나 탄성부재(12E)와 유지 프레임(79)의 이탈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어서 내구성이 우수하다.
또한, 유저의 부주의 등에 의해 전자기기(1)가 낙하한 경우에도 보호패널(11)의 외주 측면(15)에 전해지는 충격을 유지 프레임(79)을 통해서 탄성부재(12E)에 보다 확실하게 완화시킬 수 있으므로, 비교적 충격에 약한 경향이 있는 유리판제의 보호패널(11)의 외주 측면(15)의 손상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서 내충격성이 우수하다.
또한, 보호패널(11) 및 유지 프레임(79)에 탄성부재(12E)를 접합에 의해 일체화해서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10E)을 구성하고 있으므로 부품수를 적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자기기(1)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12E)가 보호패널(11) 및 유지 프레임(79)을 인서트해서 성형된 고무를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면, 미리 금형 내 셋팅된 보호패널(11)의 외주 측면(15) 및 유지 프레임(79)의 내주[전방벽(80)의 내주 측면(84)]에 프라이머를 도포한 상태에서 미경화의 고무 재료를 사출함으로써 탄성부재(12E)를 보호패널(11) 및 유지 프레임(79)의 양자에 용이하게 또한 강하게 결합시켜서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10E)으로서 일체화할 수 있다. 또한, 성형된 고무가 보호패널(11)의 외주 측면(15) 및 유지 프레임(79)의 내주[전방벽(80)의 내주 측면(84)]에 간극없이 접합되므로 보호패널(11)과 유지 프레임(79) 사이의 방수성, 방진성을 매우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12E)의 전방부(201)가 내주 접합부(83)와 외주 접합부(85)를 포함하고, 탄성부재(12E)의 후방부(202)가 보호패널(11) 이면(14)의 외측 가장자리부(14a)에 접합된 제 1 후방 접합부(86)와, 유지 프레임(79) 이면의 외측 가장자리부[전방벽(80) 이면(87)의 내측 가장자리부(87a)]에 접합된 제 2 후방 접합부(88)를 포함하므로, 보호패널(11) 및 유지 프레임(79)에 대한 탄성부재(12E)의 결합력을 매우 높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내구성, 방수성, 방진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9b에 나타내는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Q1)에 의하면,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10E)과 같은 작용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또한,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10E)의 탄성부재(12E)가 유지부재[케이스(320)]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접촉부[후방부(202)의 후방 접촉부(202a)]를 갖고 있으므로 내충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방수성, 방진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10F)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며, 도 11a, 도 11b 및 도 11c는 각각, 도 10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10F)이 적용된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Q2, Q3, Q4)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10를 참조하고, 본 실시형태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10F)이 도 9a의 실시형태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10E)과 다른 것은, 탄성부재(12F)가 그 후방부(202)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환상의 연설 볼록부(250)를 갖고 있는 점이다. 연설 볼록부(250)는 후방부(202)로부터 연장되는 환상의 측벽(251)과, 측벽(251)의 선단에 연속하는 환상의 단면 라운드부(252)를 구비하고 있다.
도 11a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Q2)는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10F)과,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10F)을 유지하는 유지부재로서의 전자기기(1)의 케이스(420)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420)의 앞면(421)에는 각각 전방으로 돌출되는 제 1 환상 볼록부(422)와 제 2 환상 볼록부(423)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환상 볼록부(423)는 제 1 환상 볼록부(422)의 지름 방향 바깥쪽에 배치되어 있다. 양 환상 볼록부(422, 423) 사이에 환상 홈(424)이 구획되어 있다.
탄성부재(12F)는 연설 볼록부(250)의 후방부[단면 라운드부(252)의 후방부]에 설치되고, 환상 홈(424)의 홈 바닥(424a)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후방 접촉부(253)와, 연설 볼록부(250)의 내주[단면 라운드부(252)의 내주]에 설치되고, 제 1 환상 볼록부(422)의 측면(422a)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내주 접촉부(254)와, 연설 볼록부(250)의 외주[단면 라운드부(252)의 외주]에 설치되고, 제 2 환상 볼록부(423)의 측면(423a)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외주 접촉부(255)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10F)에 의하면, 도 9a의 실시형태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10E)과 같은 작용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또한, 도 11a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Q2)에 의하면, 탄성부재(12F)의 연설 볼록부(250)의 후방부에 설치된 후방 접촉부(253)가 케이스(420)[환상 홈(424)의 홈 바닥(424a)]에 탄성적으로 접촉하고 있으므로, 전방으로부터의 충격을 완화하여 보호패널(11)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후방 접촉부(253)에 의해 방수성, 방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12F)의 연설 볼록부(250)에 내주 접촉부(254) 및 외주 접촉부(255)가 설치되어서 케이스(420)에 탄성적으로 접촉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내주 접촉부(254)가 제 1 환상 볼록부(422)의 측면(422a)에 접촉하고, 외주 접촉부(255)가 제 2 환상 볼록부(423)의 측면(423a)에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옆쪽으로부터의 충격을 완화하여 보호패널(11)을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외주 접촉부(255)와, 후방 접촉부(253)와, 내주 접촉부(254)에 의하여 복수단(본 실시형태에서는 3단)의 밀봉을 달성할 수 있어 방수성, 방진성을 현격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 11b의 실시형태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Q3)가 도 11a의 실시형태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Q2)와 다른 것은 하기와 같다. 즉, 도 11b의 실시형태에서는 유지부재로서의 케이스(520)가 그 앞면(521)으로부터 돌출되는 유일한 환상 볼록부(522)를 갖고 있다. 탄성부재(12F)는 유지부재로서의 케이스(520)의 앞면(521)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후방 접촉부(253)와, 케이스(520)의 앞면(521)으로부터 돌출되는 환상 볼록부(522)의 측면(522a)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내주 접촉부(254)를 갖고 있지만, 외주 접촉부를 갖고 있지 않다.
또한, 도 11b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Q3)에 의하면, 도 11a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탄성부재(12F)의 후방 접촉부(253)가 케이스(520)의 앞면(521)에 탄성적으로 접촉하고 있으므로 전방으로부터의 충격을 완화하여 보호패널(11)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후방 접촉부(253)에 의해 방수성, 방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12F)의 연설 볼록부(250)에 설치된 내주 접촉부(254)가 케이스(520)[환상 볼록부(522)의 측면(522a)]에 탄성적으로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옆쪽으로부터의 충격을 완화하여 보호패널(11)을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후방 접촉부(253)와 내주 접촉부(254)에 의하여 복수단(2단)의 밀봉을 달성할 수 있어 방수성, 방진성을 현격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 11c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Q4)가 도 11b의 실시형태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Q3)와 다른 것은 하기와 같다. 즉, 케이스(520A)의 앞면(521)이 환상 볼록부를 갖고 있지 않다. 탄성부재(12F)가 앞면(521)과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후방 접촉부(253)만을 갖고, 내주 접촉부나 외주 접촉부를 갖고 있지 않다. 본 실시형태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Q4)에 의하면 탄성부재(12F)의 후방 접촉부(253)가 케이스(520A)의 앞면(521)에 탄성적으로 접촉하고 있으므로 전방으로부터의 충격을 완화하여 보호패널(11)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후방 접촉부(253)에 의해 방수성, 방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10G)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며, 도 13a, 도 13b 및 도 13c의 각각은 도 12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10G)이 적용된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Q5, Q6, Q7)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고, 본 실시형태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10G)이 도 10의 실시형태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10F)과 다른 것은 하기와 같다. 즉, 탄성부재(12G)의 사각 환상의 연설 볼록부(350)가 평탄한 외주 측면(351)과, 지름 방향 안쪽으로 돌출되는 환상의 만곡 볼록부(352)를 갖는 내주 측면(353)과, 평탄한 후단면(354)을 갖고 있다.
도 13a의 실시형태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Q5)는 도 12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10F)과, 도 11a의 케이스(420)와 같은 케이스(420)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탄성 볼록부(12G)의 연설 볼록부(350)의 평탄한 후단면(354)이 케이스(420)의 환상 홈(424)의 홈 바닥(424a)에 탄성적으로 접촉해서 평탄한 후방 접촉부(355)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탄성부재(12G)의 연설 볼록부(350)의 외주 측면(351)과, 케이스(420)의 제 2 환상 볼록부(423)의 측면(423a)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고, 외주 접촉부의 구성은 폐지되어 있다. 또한, 연설 볼록부(350)의 만곡 볼록부(352)는 케이스(420)의 제 1 환상 볼록부(422)의 측면(422a)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내주 접촉부(356)를 형성하고 있다.
도 12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10G)에 의하면 도 10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10F)과 같은 작용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또한, 도 13a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Q5)에서는 탄성부재(12G)의 연설 볼록부(350)의 후방부에 설치된 후방 접촉부(355)가 케이스(420)[환상 홈(424)의 홈 바닥(424a)]에 탄성적으로 접촉하고 있으므로 전방으로부터의 충격을 완화하여 보호패널(11)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후방 접촉부(355)에 의해 방수성, 방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후방 접촉부(355)가 평탄한 후단면(354)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밀봉 면적을 증가시켜서 방수성, 방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12G)의 연설 볼록부(350)의 내주 접촉부(356)가 제 1 환상볼록부(422)의 측면(422a)에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옆쪽으로부터의 충격을 완화하여 보호패널(11)을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후방 접촉부(355)와 내주 접촉부(356)에 의하여 복수단(2단)의 밀봉을 달성할 수 있어 방수성, 방진성을 현격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케이스(420)의 제 2 환상 볼록부(423)가 탄성부재(12G)의 연설 볼록부(350)의 외주 측면(351) 및 탄성부재(12G)의 제 2 수용부(204)에 근접하여 래버린스(labyrinth) 구조를 나타내므로 밀봉 기능의 향상에 기여한다.
이어서, 도 13b의 실시형태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Q6)는 도 12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10G)과, 도 11a의 케이스(520)와 같은 케이스(520)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2 환상 볼록부(423)에 의한 래버린스 작용을 제외하고, 도 13a의 실시형태와 같은 작용 효과를 이룰 수 있다.
이어서, 도 13c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Q7)는 도 12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10G)과, 도 11c의 케이스(520A)와 같은 케이스(520A)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도 11c의 실시형태와 같은 작용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또한, 평탄한 후단면(354)에 형성된 평탄한 후방 접촉부(355)에 의해서 밀봉 면적을 증가시켜서 방수성, 방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10H)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며, 도 15a, 도 15b, 도 15c 및 도 15d는 각각 도 14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10H)이 적용된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Q8, Q9, Q10, Q11)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고,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10H)이 도 9a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10E)과 다른 것은 하기와 같다. 즉,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10H)의 탄성부재(12H)가 앵글 형상으로 절곡된 단면을 갖는 환상의 연설 볼록부(450)를 갖고 있다. 연설 볼록부(450)는 후방부(202)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환상의 측벽(451)과, 환상의 측벽(451)의 후단으로부터 만곡부(452)를 통해서 연속하여 외측방으로 연장되는 환상 플랜지(453)를 구비하고 있다. 환상 플랜지(453)의 외측단에는 환상을 이루는 단면 라운드부(454)가 형성되어 있다. 단면 라운드부(454)의 단면의 지름은 환상 플랜지(453)의 두께보다 크게 되어 있다.
도 15a를 참조하여,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Q8)는 도 14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10H)과,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10H)을 유지하는 유지부재로서의 전자기기(1)의 케이스(620)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620)의 앞면(621)에는 정방 비스듬히 내측방으로 돌출되는 제 1 환상 볼록부(622)와, 전방 비스듬히 외측방으로 돌출되는 제 2 환상 볼록부(623)를 구비하고 있다. 제 2 환상 볼록부(623)는 제 1 환상 볼록부(622)보다 지름 방향 바깥쪽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환상 볼록부(622)와 제 2 환상 볼록부(623) 사이에 환상 홈(624)이 구획되어 있다.
탄성부재(12H)의 연설 볼록부(450)의 후방부[단면 라운드부(454)의 후방부에 상당]의 일부가 환상 홈(624)의 홈 바닥(624a)에 탄성적으로 접촉해서 후방 접촉부(455)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연설 볼록부(450)의 만곡부(452)의 일부가 제 1 환상 볼록부(622)의 경사 형상의 측면(622a)[환상 홈(624)의 한쪽 내벽면에 상당]에 탄성적으로 접촉해서 내주 접촉부(456)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연설 볼록부(450)의 단면 라운드부(454)의 외측 가장자리부의 일부가 제 2 환상 볼록부(623)의 경사 형상의 측면(623a)[환상 홈(624)의 다른쪽 내벽면에 상당]에 탄성적으로 접촉해서 외주 접촉부(457)를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10H)에 의하면, 도 9a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9A)과 같은 작용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또한, 도 15a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Q8)에 의하면 탄성부재(12H)의 연설 볼록부(450)의 후방부[단면 라운드부(454)의 후방부에 상당]에 설치된 후방 접촉부(455)가 케이스(620)[환상 홈(624)의 홈 바닥(624a)]에 탄성적으로 접촉하고 있으므로, 전방으로부터의 충격을 완화하여 보호패널(11)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후방 접촉부(455)에 의해서 방수성, 방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12H)의 연설 볼록부(450)의 내주 접촉부(456)가 제 1 환상 볼록부(622)의 측면(622a)에 접촉하고, 연설 볼록부(450)의 외주 접촉부(457)가 제 2 환상 볼록부(623)의 측면(623a)에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옆쪽으로부터의 충격을 완화하여 보호패널(11)을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다.
특히, 내주 접촉부(456) 및 외주 접촉부(457)가 대응하는 환상 볼록부(622, 623)의 경사 형상의 측면(622a, 623a)에 탄성적으로 접촉하고 있으므로, 내주 접촉부(456) 및 외주 접촉부(457)는 상기 옆쪽으로부터의 충격의 완화와 함께 보호패널(11)에 부하되는 전방으로부터의 충격도 완화할 수 있다. 이 점에서도 내충격성이 높다.
또한, 외주 접촉부(457)와, 후방 접촉부(455)와, 내주 접촉부(456)에 의하여 복수단(본 실시형태에서는 3단)의 밀봉을 달성할 수 있어 방수성, 방진성을 현격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 15b의 실시형태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Q9)가 도 15a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Q8)와 다른 것은 하기와 같다. 즉, 유지부재로서의 케이스(720)의 앞면(723)에 도 15a의 제 1 환상 볼록부(622)에 상당하는 유일한 환상 볼록부(722)가 형성되어 있다. 탄성부재(12H)는 케이스(720)의 앞면(723)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후방 접촉부(455)와, 환상 볼록부(722)의 경사 형상의 측면(722a)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내주 접촉부(456)를 갖고 있지만, 외주 접촉부를 갖고 있지 않다.
또한, 도 15b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Q9)에 의하면 도 15a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탄성부재(12H)의 후방 접촉부(455)가 케이스(720)의 앞면(723)에 탄성적으로 접촉하고 있으므로 전방으로부터의 충격을 완화하여 보호패널(11)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후방 접촉부(455)에 의해 방수성, 방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12F)의 연설 볼록부(450)에 설치된 내주 접촉부(456)가 케이스(720)[환상 볼록부(722)의 측면(722a)]에 탄성적으로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옆쪽으로부터의 충격을 완화하여 보호패널(11)을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후방 접촉부(455)와 내주 접촉부(456)에 의하여 복수단(2단)의 밀봉을 달성할 수 있어 방수성, 방진성을 현격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 15c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Q10)가 도 15a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Q8)와 다른 것은 하기와 같다. 즉,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Q10)의 케이스(620B)에서는 환상 홈(624)의 내면에 상당하는 제 1 환상 볼록부(622)의 측면(622b)과, 환상 홈(624)의 홈 바닥(624a)과, 제 2 환상 볼록부(623)의 측면(623b)이 연속한 오목 만곡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도 15a의 실시형태와 같은 작용 효과를 이룰 수 있다.
이어서, 도 15d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Q11)가 도 15a의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Q8)와 다른 것은 하기와 같다. 즉, 케이스(620C)의 앞면(621)이 환상 볼록부를 갖고 있지 않다. 탄성부재(12H)가 앞면(621)과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후방 접촉부(455)만을 갖고, 내주 접촉부나 외주 접촉부를 갖고 있지 않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탄성부재(12H)의 후방 접촉부(455)가 케이스(620C)의 앞면(621)에 탄성적으로 접촉하고 있으므로 전방으로부터의 충격을 완화하여 보호패널(11)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후방 접촉부(455)에 의해 방수성, 방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전자기기(1)는 휴대전화, 휴대정보단말, 태블릿 PC 등의 모바일 컴퓨터, 디지털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전자책, 게임기, 카 네비게이션 등의 터치패널식의 전자기기이면 된다.
또한, 각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보호패널(11)에 착색부(17)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보호패널(11)에 착색부(17)가 형성되어 있을 경우 탄성부재가 투명부(16)를 피해서 착색부(17)에만 화학 결합에 의해 접합 되어 있어도 좋다.
1 : 전자기기 2 : 케이스(유지부재)
3 : 화상표시부 4 : 터치패널 장치
10; 10A; 10B; 10C; 10D; 10E; 10F; 10G; 10H :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
11 : 보호패널 11a : (보호패널의)외측 가장자리부
12; 12A; 12B; 12C; 12D; 12E; 12F; 12G; 12H : 탄성부재
12A1; 12B1; 12C1; 12D1 : 전방부
12A2; 12B2; 12C2; 12D2 : 후방부
12A3; 12B3; 12C3; 12E3 : 외주 측부
13 : (보호패널의)표면 13a : (표면의)외측 가장자리부
14 : (보호패널의)이면 14a : (이면의)외주 가장자리부
15 : (보호패널의)외주 측면 16 : 투명부
17 : 착색부 20 : 내주 접합부
21 : 전방 덮개부 21a : 전방 접합부
22 : 후방 접촉부 23 : 외주 접촉부
24 : 후방 덮개부 24a : 후방 접합부
60 : 유지 프레임 61 : 제 1 유지 프레임
62; 62A; 62B : 제 2 유지 프레임 65 : 제 1 볼록부
68 : 제 2 볼록부 69; 69A; 69B : 유지 프레임
73 : 제 1 볼록부 74 : 제 2 볼록부
75 : 유지 프레임 78 : 환상 오목부
79 : 유지 프레임 83 : 내주 접합부
85 : 외주 접합부 86 : 제 1 후방 접합부
88 : 제 2 후방 접합부 91a; 91b; 91c; 91d; 91e : 전방 접촉부
92a; 92b; 92c; 92d; 92e : 후방 접촉부
93; 93d : 외주 접촉부 201 : 전방부
202 : 후방부 202a : 후방 접촉부
250 : 연설 볼록부 252 : 단면 라운드부
253 : 후방 접촉부 254 : 내주 접촉부
255 : 외주 접촉부 320 : 케이스(유지부재)
322 : 환상 볼록부 323 : 꼭대기부
350 : 연설 볼록부 355 : 후방 접촉부
356 : 내주 접촉부 420 : 케이스(유지부재)
422 : 제 1 환상 볼록부 423 : 제 2 환상 볼록부
424 : 환상 홈 450 : 연설 볼록부
451 : 측벽 452 : 만곡부
453 : 환상 플랜지 454 : 단면 라운드부
455 : 후방 접촉부 456 : 내주 접촉부
457 : 외주 접촉부 520; 520A : 케이스(유지부재)
522 : 환상 볼록부 620; 620B; 620C : 케이스(유지부재)
622 : 제 1 환상 볼록부 623 : 제 2 환상 볼록부
624 : 환상 홈 720 : 케이스(유지부재)
722 : 환상 볼록부
P1∼P12 :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
Q1∼Q11 :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

Claims (20)

  1. 전자기기의 화상표시부 전방에 배치되는 유리판을 포함하는 화상표시부용 보호패널과,
    상기 보호패널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둘러싸는 환상의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둘러싸는 환상 수지제의 유지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보호패널은 조작면으로서의 표면과, 상기 표면에 대향하는 이면과, 상기 표면과 상기 이면을 접속하는 외주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보호패널의 상기 외주 측면에 화학 결합에 의해 접합된 내주 접합부와, 상기 유지 프레임의 내주에 화학 결합에 의해 접합된 외주 접합부와, 상기 내주 접합부와 상기 외주 접합부가 형성된 전방부와 후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부는 상기 보호패널 이면의 외측 가장자리부에 접합된 제 1 후방 접합부와, 상기 유지 프레임 이면의 내측 가장자리부에 접합된 제 2 후방 접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보호패널을 인서트해서 성형된 고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보호패널 및 상기 유지 프레임을 인서트해서 성형된 고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
  4. 전자기기의 화상표시부 전방에 배치되는 유리판을 포함하는 화상표시부용 보호패널과, 상기 보호패널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둘러싸는 환상의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과,
    상기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의 상기 보호패널을 유지하는 환상 수지제의 유지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보호패널은 조작면으로서의 표면과, 상기 표면에 대향하는 이면과, 상기 표면과 상기 이면을 접속하는 외주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보호패널의 상기 외주 측면에 화학 결합에 의해 접합된 내주 접합부와, 상기 유지 프레임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환상의 접촉부와, 전방부와, 후방부와, 외주 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상기 전방부에 설치된 전방 접촉부와 상기 후방부에 설치된 후방 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지 프레임은 상기 탄성부재의 상기 전방 접촉부를 탄성적으로 오목하게 하는 환상의 제 1 볼록부와, 상기 탄성부재의 상기 후방 접촉부를 탄성적으로 목하게 하는 환상의 제 2 볼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볼록부와 상기 제 2 볼록부가 상기 탄성부재를 탄성적으로 협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
  5. 전자기기의 화상표시부 전방에 배치되는 유리판을 포함하는 화상표시부용 보호패널과, 상기 보호패널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둘러싸는 환상의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둘러싸는 환상 수지제의 유지 프레임을 구비하는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과,
    상기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의 상기 탄성부재의 후방에 배치된 유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보호패널은 조작면으로서의 표면과, 상기 표면에 대향하는 이면과, 상기 표면과 상기 이면을 접속하는 외주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보호패널의 상기 외주 측면에 화학 결합에 의해 접합된 내주 접합부와, 상기 유지 프레임의 내주에 화학 결합에 의해 접합된 외주 접합부와, 상기 유지부재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환상의 연설 볼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연설 볼록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연설 볼록부의 후방부에 설치된 후방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연설 볼록부의 내주에 설치된 내주 접촉부와, 상기 연설 볼록부의 외주에 설치된 외주 접촉부 중 적어도 1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
  9. 전자기기의 화상표시부 전방에 배치되는 유리판을 포함하는 화상표시부용 보호패널과,
    상기 보호패널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둘러싸는 환상의 탄성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보호패널은 조작면으로서의 표면과, 상기 표면에 대향하는 이면과, 상기 표면과 상기 이면을 접속하는 외주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보호패널의 상기 외주 측면에 화학 결합에 의해 접합된 내주 접합부와, 상기 보호패널의 상기 표면의 상기 외측 가장자리부를 덮는 전방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덮개부는 상기 보호패널의 상기 표면의 외측 가장자리부에 화학 결합에 의해 접합된 전방 접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 덮개부를 통해서 상기 내주 접합부를 시인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
  10. 제 1 항에 기재된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과,
    상기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의 상기 탄성부재의 후방에 배치된 유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유지부재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
  11. 제 3 항에 기재된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과,
    상기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의 상기 탄성부재의 후방에 배치된 유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유지부재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
  12. 전자기기의 화상표시부 전방에 배치되는 유리판을 포함하는 화상표시부용 보호패널과,
    상기 보호패널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둘러싸는 환상의 탄성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보호패널은 조작면으로서의 표면과, 상기 표면에 대향하는 이면과, 상기 표면과 상기 이면을 접속하는 외주 측면과, 상기 보호패널의 상기 외측 가장자리부에 배치된 비투명의 환상 착색부와, 상기 착색부에 의해 둘러싸인 투명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보호패널의 상기 외주 측면에 화학 결합에 의해 접합된 내주 접합부와, 상기 보호패널의 상기 표면의 상기 외측 가장자리부를 덮는 전방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덮개부는 상기 보호패널의 상기 표면의 외측 가장자리부에 화학 결합에 의해 접합된 전방 접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투명부를 피해서 상기 착색부에 화학 결합에 의해 접합되어 있어, 상기 전방 덮개부를 통해서 상기 내주 접합부를 시인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27022716A 2011-02-23 2012-02-22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 및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 KR1015074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37325 2011-02-23
JPJP-P-2011-037325 2011-02-23
PCT/JP2012/054255 WO2012115140A1 (ja) 2011-02-23 2012-02-22 画像表示部保護パネルユニット及び画像表示部保護パネル保持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8194A KR20130048194A (ko) 2013-05-09
KR101507434B1 true KR101507434B1 (ko) 2015-05-18

Family

ID=46720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2716A KR101507434B1 (ko) 2011-02-23 2012-02-22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 및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689167B2 (ko)
KR (1) KR101507434B1 (ko)
CN (1) CN102770895B (ko)
WO (1) WO20121151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69332B2 (ja) * 2012-09-06 2016-08-17 京セラ株式会社 振動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14106425A (ja) * 2012-11-28 2014-06-09 Sharp Corp 携帯端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044471B1 (ko) * 2013-01-14 2019-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변형 방지를 위한 프레임 조립 구조 및 이것을 갖는 전자 장치
FR3003196B1 (fr) * 2013-03-15 2018-01-19 Saint-Gobain Glass France Vitrage comprenant un ecran transparent.
TWI553597B (zh) * 2013-09-24 2016-10-1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具外力傳導結構之顯示裝置
JP6163405B2 (ja) * 2013-10-30 2017-07-12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基板支持ケース及び基板付ケース
JP6163411B2 (ja) * 2013-11-18 2017-07-12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用表示板
JP6159269B2 (ja) * 2014-01-29 2017-07-05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インサート成形用金型
JP6248665B2 (ja) * 2014-02-06 2017-12-20 日本精機株式会社 表示装置
JP6461685B2 (ja) * 2015-04-07 2019-01-30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画像表示部パネルユニットの製造方法
CN104865720B (zh) 2015-04-20 2019-06-2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屏、显示屏组件及终端
WO2016194323A1 (ja) * 2015-05-29 2016-12-08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その製造方法
CN204993499U (zh) * 2015-08-24 2016-01-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具有触摸屏的电子产品
CN105704268A (zh) * 2016-01-29 2016-06-22 华为技术有限公司 盖板玻璃组件
TWI603304B (zh) * 2016-11-21 2017-10-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
CN209823798U (zh) * 2019-03-19 2019-12-2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显示屏组件和盖板
JP6958773B2 (ja) * 2019-10-23 2021-11-0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振動構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5013A (ja) * 1991-12-17 1993-06-29 Sony Corp 液晶表示装置
JPH10161087A (ja) * 1996-12-03 1998-06-19 Omron Corp 液晶表示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WO2001057637A1 (en) * 2000-01-31 2001-08-09 Touch Panel Systems K.K. Touch panel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51114A (ja) * 1986-04-25 1987-10-31 Toyoda Gosei Co Ltd 窓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JP2925569B2 (ja) * 1989-03-31 1999-07-28 旭硝子株式会社 枠体付窓ガラスの製造法
JPH03292120A (ja) * 1990-04-09 1991-12-24 Toyoda Gosei Co Ltd ガラス一体窓枠ゴムの金型構造
JP3347009B2 (ja) * 1997-01-28 2002-11-20 エヌイーシーアクセステクニカ株式会社 携帯用電子機器のタッチパネルの固定方法
JP4613663B2 (ja) * 2005-03-30 2011-01-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電子機器
JP4579956B2 (ja) * 2007-09-28 2010-11-10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液晶表示装置
JP2010078898A (ja) * 2008-09-26 2010-04-08 Hitachi Displays Ltd 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5013A (ja) * 1991-12-17 1993-06-29 Sony Corp 液晶表示装置
JPH10161087A (ja) * 1996-12-03 1998-06-19 Omron Corp 液晶表示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WO2001057637A1 (en) * 2000-01-31 2001-08-09 Touch Panel Systems K.K. Touch pa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15140A1 (ja) 2012-08-30
CN102770895B (zh) 2016-03-09
JP5689167B2 (ja) 2015-03-25
CN102770895A (zh) 2012-11-07
JPWO2012115140A1 (ja) 2014-07-07
KR20130048194A (ko) 201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7434B1 (ko)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닛 및 화상표시부 보호패널 유지 구조
EP3176671B1 (en) Display screen assembly and terminal
JP5909655B2 (ja) 電子機器
EP3891577B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waterproof structure of sensor key assembly
CN1979277B (zh) 影像显示系统及其液晶显示模块
CN100420997C (zh) 用于液晶显示模块的背光
KR20140031491A (ko)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조 방법
JP6895524B2 (ja) ディスプレイ画面組立品、ディスプレイ画面組立品の組立て方法、および電子デバイス
US20110261510A1 (en) Display Assembly for a Portable Module
JP5618867B2 (ja) 電子機器
CN108476251A (zh) 壳体组件、移动终端及壳体组件的组装方法
KR20180001670A (ko)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2009238735A5 (ko)
CN101536063A (zh) 电子装置和移动电话
CN106843388B (zh) 显示屏组件及其组装方法与电子装置
US10529947B2 (en) Display device
KR20170020671A (ko) 표시 장치 및 커버 부재 제조방법
US10820438B2 (en) Electronic device and stopping structure thereof
US10742788B2 (en) Mobile terminal
KR101453345B1 (ko) 휴대용 단말기
KR20150072013A (ko) 표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215494445U (zh) 显示装置
JP2013160810A (ja) 表示装置のフレーム
KR200359917Y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메인 액정화면 보호장치
JP2013174777A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