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3760B1 - 소방함 - Google Patents

소방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3760B1
KR101503760B1 KR1020130093986A KR20130093986A KR101503760B1 KR 101503760 B1 KR101503760 B1 KR 101503760B1 KR 1020130093986 A KR1020130093986 A KR 1020130093986A KR 20130093986 A KR20130093986 A KR 20130093986A KR 101503760 B1 KR101503760 B1 KR 101503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door
door portion
hose reel
box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3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7857A (ko
Inventor
이광호
Original Assignee
중경기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경기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중경기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3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3760B1/ko
Publication of KR20150017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7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3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3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20Hydrants, e.g. wall-hoses, wall units, plug-in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3/00Hose accessories
    • A62C33/04Supports or clamps for fire hos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소방함은 소방함 몸체; 상기 소방함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소방함 몸체의 내측면에 힌지 결합 된 호스 릴; 및 상기 소방함 몸체에 힌지 결합 되어 상기 소방함 몸체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소방함 몸체의 폭은 상기 호스 릴의 회전 반경 이하로 형성되며, 상기 도어는 상기 소방함 몸체의 전면에 형성된 제1 도어부 및 상기 호스 릴이 회동 되는 도중 상기 소방함 몸체의 내측면과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제1 도어부로부터 상기 소방함 몸체의 측면으로 연장된다.

Description

소방함{FIRE HYDRANT BOX}
본 발명은 소방함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주차장 등의 기둥 등에 설치되면서 돌출된 부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소방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화재에 따른 재산 피해 및 인명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각 건물에는 소방 설비들이 마련된다.
건물에 설치되는 소방 설비들 중 소방 기구가 설치된 소방함은 화재를 신속 정확하게 진압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소방함은 일반적으로 소방 설비들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소방함 몸체, 몸체 내부에 배치된 호스 릴 및 호스 릴에 물을 제공하는 원수관, 소방함 몸체에 설치된 도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건물의 벽면에 공간에 매립되는 방식의 소방함은 소방함 몸체의 사이즈 제약이 작아 호스 릴이 원활하게 소방함 몸체로부터 회동되는 공간을 충분히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지하 주차장의 기둥 등에 설치되는 소방함은 기둥의 폭에 의하여 소방함의 폭이 크게 제약받는데, 이는 기둥의 폭보다 소방함의 폭이 넓을 경우 차량과 소방함의 충돌에 의한 소방함 또는 차량 파손이 발생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대로, 소방함의 폭이 좁을 경우 소방함에 장착되는 호스 릴의 직경이 작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호스 릴에 장착되는 소방 호스의 길이가 매우 짧아지게 된다.
또한, 소방함의 폭을 좁게 하고 호스 릴의 직경을 증가시킬 경우, 소방함의 좁은 폭에 의하여 호스 릴이 회동 되지 못하고 소방함 몸체에 걸리게 된다.
본 발명은 소방함의 폭은 좁게 형성하고 호스 릴의 직경은 증가시키더라도 호스 릴이 소방함 몸체에 걸리지 않고 소방함 몸체에 대하여 회동 될 수 있도록 한 소방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실시예로서, 소방함은 소방함 몸체; 상기 소방함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소방함 몸체의 내측면에 힌지 결합 된 호스 릴; 및 상기 소방함 몸체에 힌지 결합 되어 상기 소방함 몸체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소방함 몸체의 폭은 상기 호스 릴의 회전 반경 이하로 형성되며, 상기 도어는 상기 소방함 몸체의 전면에 형성된 제1 도어부 및 상기 호스 릴이 회동 되는 도중 상기 소방함 몸체의 내측면과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제1 도어부로부터 상기 소방함 몸체의 측면으로 연장된다.
소방함은 상기 제1 도어부 및 상기 소방함 몸체를 힌지 결합하는 힌지 핀을 포함하며, 상기 힌지 핀에 의하여 상기 제1 도어부 및 상기 호스 릴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소방함의 상기 제2 도어부에는 상기 도어를 여닫기 위한 도어 손잡이가 형성된다.
소방함은 상기 제2 도어부 및 상기 소방함 몸체를 힌지 결합하는 힌지 핀을 포함하며, 상기 힌지 핀에 의하여 상기 제1 도어부 및 상기 호스 릴은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
소방함의 상기 제1 도어부에는 상기 도어를 여닫기 위한 도어 손잡이가 형성된다.
소방함의 상기 소방함 도어의 폭은 건물에 형성된 기둥의 폭 이하로 형성된다.
소방함의 상기 제2 도어부와 마주하는 상기 소방함 몸체의 측면에는 상기 호스 릴과 연결되는 물 공급 배관이 통과하는 개구가 형성된다.
소방함의 상기 제1 및 제2 도어부들은,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L' 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도어부의 길이는 상기 제1 도어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소방함에 의하면, 소방함의 폭은 좁게 형성하고 호스 릴의 직경은 증가시키더라도 호스 릴이 소방함 몸체에 걸리지 않고 소방함 몸체에 대하여 회동 될 수 있도록 하여 지하 주차장에 형성된 폭이 좁은 기둥 등에 장착하기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방함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소방함의 도어를 개방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소방함에서 호스 릴을 소방함 몸체로부터 회동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소방함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II-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방함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소방함의 도어를 개방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소방함에서 호스 릴을 소방함 몸체로부터 회동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소방함(100)은 소방함 몸체(10), 호스 릴(20) 및 도어(30)를 포함한다.
소방함 몸체(10)는, 예를 들어, 직육면체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며, 소방함 몸체(10)의 내부에는 호스 릴(20)과 같은 소방 설비가 장착된다.
소방함 몸체(10)는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소방함 몸체(10)는 상단 소방함 몸체(1) 및 하단 소방함 몸체(2)로 구분될 수 있다. 상단 소방함 몸체(1)에는 경종, 제어부 및 알람 등이 배치될 수 있고, 하단 소방함 몸체(2)에는 호스 릴(20), 원수관 및 소화전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방함 몸체(10)가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소방함 몸체(10)는 상판(4), 4개의 측면판(5,6,7,8) 및 하판(9)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4개의 측면판(5,6,7,8) 중 하나인 측면판(5)은 소방함(100)의 전면에 배치되며, 후술 될 도어(30)는 소방함(100)의 전면에 배치된 측면판(5)에 형성된다.
또한, 측면판(5)과 마주하는 측면판(7)은 소방함(100)의 후면에 배치되며 측면판(7)은 기둥(90)과 마주하게 배치된다. 나머지 2 개의 측면판(6,8)들은 상호 마주하게 배치된다.
측면판(8)에는 호스 릴(20)과 연결되는 물 공급 배관이 통과하는 개구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호 마주하는 한 쌍의 측면판(6,8)들 사이의 폭(W)은 호스 릴(20)의 회전 반경(R) 이하로 형성된다.
호스 릴(20)은 호스 릴 몸체(22), 고정판(24) 및 회동 핀(26)을 포함한다.
호스 릴(20)의 직경은 소방함 몸체(10)의 폭 보다는 작은 폭으로 형성되며, 호스 릴(20)의 회전 반경은 소방함 몸체(10)의 폭 보다는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호스 릴(20)은 도어(30)를 고려하지 않을 경우 소방함 몸체(10)의 내부에 장착은 가능하지만 소방함 몸체(10)의 내부에서 외부로 소방함 몸체(10)의 외부에서 내부로 회동 되지는 못하게 된다.
호스 릴 몸체(22)는 소방 호스가 감기기에 적합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호스 릴 몸체(22)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호스 릴 몸체(22)는 소방함 몸체(10)의 측면판(7)과 나란한 방향으로 소방함 몸체(10)의 내부에 수납된다.
고정판(24)은 소방함(100)의 전면에 형성된 측면판(9)과 연결된 측면판(8)에 결합되며, 고정판(24)에는 회동 유닛(26)과 힌지 결합 되는 부싱(25)이 형성된다.
회동 핀(26)은 일측이 호스 릴 몸체(22)에 결합 되며 타측은 부싱(25)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 된다.
호스 릴 몸체(22)는 회동 핀(26)을 중심으로 회동 되고, 이로 인해 호스 릴 몸체(22)는 소방함(100)의 소방함 몸체(10)의 내부에 수납 또는 소방함 몸체(10)의 외부로 꺼내진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소방함 몸체(10)의 한 쌍의 측면판(6,8)들 사이의 폭(W)을 호스 릴(20)의 호스 릴 몸체(22)의 회전 반경(R) 이하로 형성할 경우, 호스 릴(20)의 호스 릴 몸체(22)가 회동 핀(26)을 중심으로 회전되다 측면판(6)에 걸리게 되며 이로 인해 호스 릴(20)은 소방함 몸체(10)의 내부에서 소방함 몸체(10)의 외부로 꺼낼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소방함 몸체(10)의 폭(W)을 호스 릴(20)의 호스 릴 몸체(22)의 회전 반경 이하로 형성하면서도 호스 릴(20)이 소방함 몸체(10)에 걸리지 않고 소방함 몸체(10)의 외부로 꺼낼 수 있도록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도어(30)는 소방함 몸체(10)에 힌지 결합 되어 소방함 몸체(10)를 개폐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도어(30)는 호스 릴 몸체(22)의 회전 반경(R) 이하로 소방함 몸체(10)의 폭(W)이 형성되더라도 호스 릴 몸체(22)가 소방함 몸체(10)에 걸리지 않고 회동 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도어(30)는 제1 도어부(32) 및 제2 도어부(34)를 포함한다.
제1 도어부(32) 및 제2 도어부(34)는, "L" 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도어부(32)는 제1 길이로 형성되며, 제2 도어부(34)는 제1 길이보다 짧은 제2 길이로 형성된다.
제1 도어부(32)는 소방함 몸체(10)의 전면에 형성된 측면판(9)과 나란하게 형성되며, 측면판(9)에는 제1 도어부(32)가 배치되기 위한 개구가 형성된다.
한편, 소방함 몸체(10)의 측면판(9)과 측면판(8)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과 대응하는 제1 도어부(32)의 단부는 소방함 몸체(10)에 힌지 핀(33) 등에 의하여 결합 된다. 제1 도어부(32)는 힌지 핀(33)에 의하여 소방함 몸체(10)에 대하여 회동된다.
제2 도어부(34)는 제1 도어부(32)로부터 연장되며, 제2 도어부(34)는 제1 도어부(32)로부터 꺾어진 상태로 연장되며, 이로 인해 제2 도어부(34)는 소방 몸체(10)의 전면에 형성된 측면판(9)과 연결된 측면판(6)과 나란하게 형성된다. 제2 도어부(34)가 배치되는 측면판(6)에는 제2 도어부(34)가 배치되기 위한 개구가 형성된다.
제2 도어부(34)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제2 도어부(34)를 잡아당겨 도어(30)를 소방함 몸체(10)로부터 개방하기 위한 손잡이(35)가 형성된다.
제1 도어부(32)를 배치하기 위해 측면판(9)에 형성된 개구 및 제2 도어부(34)를 형성하기 위해 측면판(6)에 형성된 개구는 호스 릴(20)의 호스 릴 몸체(22)가 회동 핀(26)을 중심으로 회동될 때 호스 릴 몸체(22)가 측면판(6)과 접촉되면서 호스 릴 몸체(22)가 소방함 몸체(10)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며, 이로 인해 호스 릴 몸체(22)는 소방함 몸체(10)의 외부로 회동 된다.
제1 도어부(34)에 힌지 핀(26)이 형성되고 제2 도어부(26)에 손잡이(35)가 형성될 경우, 호스 릴(20) 및 도어(30)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소방함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II-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방함은 도어의 힌지 핀의 위치를 제외하면 앞서 도시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 및 설명된 소방함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소방함(100)은 소방함 몸체(10), 호스 릴(20) 및 도어(30)를 포함한다.
도어(30)는 제1 도어부(32) 및 제2 도어부(3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도어부(32) 및 제2 도어부(34)는 일체로 형성되며, 제1 도어부(32) 및 제2 도어부(34)는 'L' 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어(30)는 제1 도어부(32) 및 제2 도어부(34)를 소방함 몸체(10)로부터 회동시키기 위한 힌지 핀(39)이 형성되는데, 힌지 핀(39)은 소방함 몸체(10)의 측면판(6) 및 제2 도어부(34)를 연결하며, 힌지 핀(39)에 의하여 도어(20)는 회동된다.
한편, 제2 도어부(34)에 힌지 핀(39)이 형성될 경우, 제1 도어부(32)에는 손잡이(35)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2 도어부(34)에 힌지 핀(39)이 형성되고, 제1 도어부(32)에 손잡이(35)이 형성될 경우, 도어(30) 및 호스 릴(20)은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소방함의 폭은 좁게 형성하고 호스 릴의 직경은 증가시키더라도 호스 릴이 소방함 몸체에 걸리지 않고 소방함 몸체에 대하여 회동 될 수 있도록 하여 지하 주차장에 형성된 폭이 좁은 기둥 등에 장착하기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소방함 10...소방함 몸체
20...호스 릴 30...도어

Claims (8)

  1. 소방함 몸체;
    상기 소방함 몸체의 내측면에 힌지 결합 된 호스 릴; 및
    상기 소방함 몸체에 힌지 결합 되어 상기 소방함 몸체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소방함 몸체의 폭은 상기 호스 릴의 회전 반경 이하로 형성되며, 상기 도어는 상기 소방함 몸체의 전면에 형성된 제1 도어부 및 상기 호스 릴이 회동 되는 도중 상기 소방함 몸체의 내측면과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제1 도어부로부터 상기 소방함 몸체의 측면으로 연장된 제2 도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도어부 및 상기 소방함 몸체를 힌지 결합하는 힌지 핀을 포함하며, 상기 힌지 핀에 의하여 상기 제1 도어부 및 상기 호스 릴은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소방함.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부에는 상기 도어를 여닫기 위한 도어 손잡이가 형성된 소방함.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방함 도어의 폭은 건물에 형성된 기둥의 폭 이하로 형성된 소방함.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어부와 마주하는 상기 소방함 몸체의 측면에는 상기 호스 릴과 연결되는 물 공급 배관이 통과하는 개구가 형성된 소방함.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도어부들은,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L' 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도어부의 길이는 상기 제1 도어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 소방함.
KR1020130093986A 2013-08-08 2013-08-08 소방함 KR101503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3986A KR101503760B1 (ko) 2013-08-08 2013-08-08 소방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3986A KR101503760B1 (ko) 2013-08-08 2013-08-08 소방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7857A KR20150017857A (ko) 2015-02-23
KR101503760B1 true KR101503760B1 (ko) 2015-03-18

Family

ID=53046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3986A KR101503760B1 (ko) 2013-08-08 2013-08-08 소방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37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4486A (ko) 2015-09-21 2017-03-29 육송(주) 기둥 고정식 소화전함
KR20200005723A (ko) 2018-07-06 2020-01-16 김순원 호스릴의 작동이 원활한 소화전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4645Y1 (ko) * 2000-05-17 2000-12-01 문상구 아파트의 파이프 덕트 스틸 판넬
JP2004049775A (ja) * 2002-07-24 2004-02-19 Kitaura Seisakusho:Kk 消火栓装置
JP3691688B2 (ja) * 1999-06-18 2005-09-07 ホーチキ株式会社 消火栓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91688B2 (ja) * 1999-06-18 2005-09-07 ホーチキ株式会社 消火栓装置
KR200204645Y1 (ko) * 2000-05-17 2000-12-01 문상구 아파트의 파이프 덕트 스틸 판넬
JP2004049775A (ja) * 2002-07-24 2004-02-19 Kitaura Seisakusho:Kk 消火栓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4486A (ko) 2015-09-21 2017-03-29 육송(주) 기둥 고정식 소화전함
KR101778148B1 (ko) * 2015-09-21 2017-09-26 육송(주) 기둥 고정식 소화전함
KR20200005723A (ko) 2018-07-06 2020-01-16 김순원 호스릴의 작동이 원활한 소화전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7857A (ko) 2015-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3866B1 (ko) 소방함
KR101503760B1 (ko) 소방함
JP5774776B2 (ja) 防火ドア用ヒンジ
KR101778148B1 (ko) 기둥 고정식 소화전함
JP3641777B2 (ja) 消火栓装置
JP5102117B2 (ja) 消火栓装置
JP5015113B2 (ja) 消火栓装置
KR101015071B1 (ko) 도어힌지 하우징
JP6378613B2 (ja) 消火栓装置
JP6301154B2 (ja) 消火栓装置
JP7101473B2 (ja) 消火栓装置
KR20160142621A (ko) 호스 릴용 소화전
JP2000312725A (ja) 消火器収納箱
KR20110139362A (ko) 고정부를 구비한 도어힌지
JP2016146906A (ja) 消火栓装置
JP5452455B2 (ja) 消火栓装置
JP6531006B2 (ja) 消火栓装置
KR200425985Y1 (ko) 소화기 보관함
JP2006037425A (ja) 電気機器収納用箱体の扉体施錠構造
KR200433321Y1 (ko) 비상콘센트박스용 수납함
KR102240847B1 (ko) 호스릴의 작동이 원활한 소화전함
JP2011147703A (ja) 防災機器収納装置
JP2020074833A (ja) 消火栓装置
JP5597289B2 (ja) 消火栓装置
KR20180103224A (ko) 소화전함 설치용 호스 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