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8148B1 - 기둥 고정식 소화전함 - Google Patents

기둥 고정식 소화전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8148B1
KR101778148B1 KR1020150132786A KR20150132786A KR101778148B1 KR 101778148 B1 KR101778148 B1 KR 101778148B1 KR 1020150132786 A KR1020150132786 A KR 1020150132786A KR 20150132786 A KR20150132786 A KR 20150132786A KR 101778148 B1 KR101778148 B1 KR 101778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ose reel
plate
fire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2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4486A (ko
Inventor
박승옥
Original Assignee
육송(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육송(주) filed Critical 육송(주)
Priority to KR1020150132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8148B1/ko
Publication of KR20170034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4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8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8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20Hydrants, e.g. wall-hoses, wall units, plug-in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05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using nozz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화전함 몸체의 후판을 통해 호스 릴을 기둥에 직접 지지시켜 소화전함 몸체의 좌우 측판을 실질적으로 없애고 소화전함 몸체를 개폐하는 도어가 호스 릴을 수용하면서 개폐하도록 전면 도어, 상기 전면 도어의 좌우에서 후면을 향해 절곡되는 좌우 측면 도어로 구성하여, 호스 릴이 소화전함 몸체의 좌우 측판이나 도어에 간섭을 받지 않고 위치 변경이 자유로워 소화 대체 능력을 향상시킨 기둥 고정형 소화전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둥 고정식 소화전함 {column fixed Fire hydrant box for hose reel}
본 발명은 소화전함 몸체의 후판을 통해 호스 릴을 기둥에 직접 지지시켜 소화전함 몸체의 좌우 측판을 실질적으로 없애고 소화전함 몸체를 개폐하는 도어가 호스 릴을 수용하면서 개폐하도록 전면 도어, 상기 전면 도어의 좌우에서 후면을 향해 절곡되는 좌우 측면 도어로 구성하여, 호스 릴이 소화전함 몸체의 좌우 측판이나 도어에 간섭을 받지 않고 위치 변경이 자유로워 소화 대체 능력을 향상시킨 기둥 고정형 소화전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화재에 따른 재산 피해 및 인명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각 건물에는 소방 설비들이 마련된다.
건물에 설치되는 소방 설비들 중 소방 기구가 설치된 소방함은 화재를 신속 정확하게 진압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소방함은 일반적으로 소방 설비들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소방함 몸체, 몸체 내부에 배치된 호스 릴 및 호스 릴에 물을 제공하는 원수관, 소방함 몸체에 설치된 도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건물의 벽면에 매립되는 방식의 소방함은 소방함 몸체의 사이즈 제약이 작아 호스 릴이 원활하게 소방함 몸체로부터 회동되는 공간을 충분히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지하 주차장의 기둥 등에 설치되는 소방함은 기둥의 폭에 의하여 소방함의 폭이 크게 제약받는데, 이는 기둥의 폭보다 소방함의 폭이 넓을 경우 차량과 소방함의 충돌에 의한 소방함 또는 차량 파손이 발생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대로, 소방함의 폭이 좁을 경우 소방함에 장착되는 호스 릴의 직경이 작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호스 릴에 장착되는 소방 호스의 길이가 매우 짧아지게 된다.
또한, 소방함의 폭을 좁게 하고 호스 릴의 직경을 증가시킬 경우, 소방함의 좁은 폭에 의하여 호스 릴이 회동되지 못하고 소방함 몸체에 걸리게 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한 종래의 소방함은 예컨대 특허문헌(한국등록특허 제10-1503760호)에 공지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소방함(100)은 소방함 몸체(10); 소방함 몸체(10)의 내측면에 힌지 결합된 호스 릴(20); 및 소방함 몸체(10)에 힌지 결합 되어 소방함 몸체(10)를 개폐하는 도어(30)를 포함한다.
소방함 몸체(10)의 폭은 호스 릴(20)의 회전 반경 이하로 형성되며, 도어(30)는 소방함 몸체(10)의 전면에 형성된 제1도어부(32) 및 호스 릴(20)이 회동 되는 도중 소방함 몸체(10)의 내측면과 접촉되지 않도록 제1도어부(32)로부터 소방함 몸체(10)의 측면으로 연장된 제2도어부(34)를 포함한다.
제1 도어부(32) 및 제2 도어부(34)는, "L" 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도어부(32)는 제1 길이로 형성되며, 제2도어부(34)는 제1 길이보다 짧은 제2 길이로 형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소방함(100)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보강판(24)이 소방함(100)의 전면에 형성된 측면판(9)과 연결된 측면판(8)에 결합되어 호스 링(20)이 지지됨으로써, 그 지지가 단순히 보강판(24)의 두께 정도로 이루어져 측면 고정이 약해 매우 불안정하고, 또한, 보강판(24)을 측면판(8)에 용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둘째, 도 2 및 도 4와 같이 도어(30)가 힌지 핀(33)에 의해 90도 회전한 상태에서 더 90도 회전(전체적으로는 180도)하고 싶어도 측면판(8)에 걸리는 간섭이 생겨, 호스의 방향에 제한을 받아 신속한 소화에 저해 요인이 된다.
셋째, 소방함(100)이 기둥에 설치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힌지 핀(33) 자체가 도어(30)를 소방함 몸체(10)에 대해 90도 이상 열리지 못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도어(30)가 열린 쪽으로 소방호스를 풀 수 없다는 제한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03760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호스 릴이 소화전함 몸체와 도어에 전혀 간섭받지 않아 호스 릴의 위치 변경이 자유롭고 이에 따른 소방호스의 물 분사 방향 범위가 매우 넓어져 소화 대체 능력을 현저히 향상시킨 기둥 고정식 소화전함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기둥 고정식 소화전함은, 기둥의 일면에 닿는 후판, 상기 후판의 상하에 형성된 상판과 하판을 갖는 소화전함 몸체; 호스 릴과, 상기 호스 릴을 선회 가능하게 기둥에 지지하는 선회유닛으로 이루어진 호스 릴 장치; 상기 소화전함 몸체의 전면 및 좌우 측면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소화전함 몸체의 후판과 상기 도어의 우측에 설치되는 힌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도어는 상기 호스 릴의 전면을 개폐하는 전면 도어판, 상기 전면 도어판의 좌우에서 후면을 향해 절곡 형성되어 상기 호스 릴의 좌우 측면을 개폐하는 좌우 측면 도어판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기둥 고정식 소화전함에 있어서, 상기 후판의 좌우측에서 전면을 향해 절곡되는 좌우측 절곡편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우측 절곡편과 상기 우측면 도어판에 설치되는 경첩이고, 상기 좌측 절곡편과 상기 좌측면 도어판이 맞닿는 부분에 록킹부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기둥 고정식 소화전함에 있어서, 상기 선회 유닛은 링크와, 상기 후판을 통해 상기 기둥에 지지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과 상기 링크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1선회축과, 상기 링크의 타단과 상기 호스 릴을 연결하는 제2선회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기둥에 지지된 선회 유닛에 호스 릴을 선회 가능하게 지지하여 소화전함 몸체의 좌우 측판 대신 도어의 좌우 측면 도어가 형성됨으로써, 도어가 실질적으로 호스 릴을 수용 및 개폐 기능을 하기 때문에, (1) 호스 릴의 원하는 위치로 회전시킬 때 소화전함 몸체의 좌우 측판에 걸리는 간섭을 받지 않아 화재가 난 방향으로 소방호스를 신속히 조준하는 효과가 있고, (2) 호스 릴이 소화전함 몸체의 후판을 통해 기둥에 지지되기 때문에 호스 릴과 더불어 소화전함 몸체도 기둥에 강력히 고정되는 효과가 있고, (3) 이러한 강력한 고정으로 별도의 보강판을 후판에 용접할 필요가 없게 되는 상승적 효과가 있다.
특히, 소화전함 몸체에 대해 도어를 회전시키는 힌지를 경첩으로 구현함으로써, 기둥이라는 특성을 최대한 살려 180도 열어도 기둥에 간섭을 받지 않기 때문에 호스 릴의 소방호스가 90도밖에 열리지 않는 종래의 경우보다 소방호스의 위치 변경이 더욱더 자유롭다.
도 1은 종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함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소방함의 도어를 개방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소방함에서 호스 릴을 소방함 몸체로부터 회동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둥 고정식 소화전함을 도시한 정면도(a) 및 좌우 측면도(b)(c)로서, 정면도(a)는 도어를 생략한 도.
도 6은 도 5의 (a)에서 6-6선을 취하여 본 평단면도.
도 7은 도 5의 (a)에서 호스 릴이 꺼내어진 상태의 7-7선을 취하여 본 종단면도.
도 8은 도 6에서 도어가 180도 열린 상태의 평단면도.
도 9는 도 8에서 링크가 90도 선회된 상태의 평단면도.
도 10은 도 9에서 호스 릴이 90도 선회된 상태의 평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하는데, 종래의 것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둥 고정식 소화전함을 도시한 정면도(a) 및 좌우 측면도(b)(c)로서, 정면도(a)는 도어를 생략한 도이고, 도 6은 도 5의 (a)에서 6-6선을 취하여 본 평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a)에서 호스 릴이 꺼내어진 상태의 7-7선을 취하여 본 종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에서 도어가 180도 열린 상태의 평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서 링크가 90도 선회된 상태의 평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서 호스 릴이 90도 선회된 상태의 평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둥 고정식 소화전함은 크게 소화전함체(200), 이 소화전함체(200)의 내부에 탑재되는 호스 릴 장치(400)로 이루어진다.
소화전함체(200)는 직육면체 박스 형상으로서, 상단 소화전함체(210)와 하단 소화전체(230)로 구획되어 있다.
상단 소화전함체(210)에는 경종, 제어부 및 알람 등이 배치될 수 있고, 하단 소화전함체(230)에는 원수밸브(101), 호스 릴 장치(400), 원수밸브(101)와 호스 릴 장치(400)를 연결하는 연결호스(103)로 이루어진다.
상단 소화전함체(210)는 전면이 개방된 직육면체의 상단 소화전함 몸체(211)와, 이 상단 소화전함 몸체(211)의 전면을 개폐하는 상단 도어(213)로 이루어진다.
하단 소화전함체(230)는 하단 소화전함 몸체(240)와, 하단 소화전함 몸체(240)를 개폐하는 하단 도어(260)로 이루어진다.
소화전함 몸체(240)는 기둥(90)에 닿는 후판(241)과, 이 후판(241)의 상하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상판(243)과 하판(245)으로 이루어진다.
상판(243)은 상단 소화전함 몸체(211)의 하판에 해당한다.
즉, 하단 소화전함 몸체(240)는 전면과 좌우 측면이 개방된 소화전함 몸체이다.
본 발명의 특징인 도어(260)는 도 6,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 도어판(261)과, 전면 도어판(261)의 좌우에서 후방을 향해 절곡 형성된 좌우 측면 도어판(263)(265)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전면 도어판(261)은 하단 소화전함 몸체(240)의 전면을 개폐하고, 좌우 측면 도어판(263)(265)은 하단 소화전함 몸체(240)의 좌우 측면을 개폐한다.
이러한 구성의 도어(260)는 그 내부가 호스 릴(410)이 거의 수용되는 깊이(d)를 갖게 됨으로써, 도어(260)가 호스 릴(410)을 수용하고 개폐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따라서, 하단 소화전함 몸체(240)의 좌우에는 측면판이 없기 때문에 호스 릴(410)의 위치 변경에 따른 간섭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또한, 소화전함 몸체(240)의 폭(실질적으로 기둥의 폭과 같음)은 도 9와 같이 호스 릴(410)의 회전반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회전 반경은 링크(431)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같다.
좌측면 도어판(265)에는 안쪽으로 움푹 들어간 손잡이(265a)가 형성되어 있다.
도어(260)는 우측면 도어판(265)과 하단 소화전함 몸체(240)의 후판(241)을 연결하는 힌지부(500)에 의해 개폐된다.
힌지부(500)는 종래와 같이 힌지축으로 상판(243)과 하판(245)에 연결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180도 열릴 수 있는 경첩(500)으로 구현되어 있다.
경첩(500)은 제1힌지공을 갖는 제1경첩과, 제2힌지공을 갖는 제2경첩과, 제1힌지공과 제2힌지공에 결합 지지되는 힌지축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경첩(500)을 달기 위해서는 후판(241)의 우측에서 전방을 향해 절곡된 우측 절곡편(241a)이 형성되는 게 더 좋다.
즉, 우측면 도어판(265)의 외면에 제1경첩을 달고, 우측 절곡편(241a)의 외측에 제2경첩을 달고, 제1경첩의 제1힌지공과 제2경첩의 제2힌지공을 힌지축으로 연결하면 된다.
따라서, 도어(260)가 기둥(90)의 측면 쪽으로 들어가게 180도 열리기 때문에 도 8 내지 도 10과 같이 호스 릴(410)의 소방호스가 풀릴 때 도어(260)에 간섭받지 않게 된다.
한편, 도어(260)가 닫혔을 때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록킹부(미도시)가 더 설치되는 것이 좋다.
예컨대, 후판(241)의 좌측에서 전방을 향해 절곡되는 좌측 절곡편(241b)에는 록킹홀(미도시)이 형성되고, 록킹홀(미도시)에 맞닿는 좌측면 도어판(263)에는 록킹홀(미도시)에 출납되는 볼(미도시)과, 이 볼(미도시)이 노출되는 방향으로 탄성을 가하는 스프링(미도시)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도어(260)가 닫히면, 볼(미도시)이 좌측 절곡편(241b)에 걸리면서 들어가다가 록킹홀(미도시)에서 복원되어 록킹이 된다.
반대로, 도어(260)가 열리면, 록킹된 볼(미도시)이 뒤로 밀리면서 록킹홀(미도시)에서 빠져나오면서 해제된다.
호스 릴 장치(400)는 소방호스가 감긴 호스 릴(410)과 이 호스 릴(410)을 선회가능하게 지지하는 선회 유닛(430)으로 구성되어 있다.
호스 릴(410)은 한 쌍의 드럼(411)(412)과, 드럼(411)(412)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소방호스가 권취되는 보빈(415)과, 드럼(411)의 회전 중심에 설치되어 연결호스(103)와 소방호스를 연결하는 엘보(417)로 이루어진다.
선회 유닛(430)은 링크(431)와, 후판(241)을 통해 기둥(90)에 지지되는 고정판(433)과, 고정판(433)과 링크(431)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1선회축(435)과, 링크(431)의 타단과 호스 릴(410)을 연결하는 제2선회축(437)으로 이루어진다.
고정판(433)은 후판(241)에 댄 상태에서 앙카를 박아 기둥(90)에 지지시키만 하면 된다.
따라서, 별도의 보강판을 후판(241)에 용접할 필요가 없고, 기둥(90)에 직접 박혀 지지되기 때문에 소화전함을 매우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도 9 및 도 10과 같이 도어(260)와 호스 릴(410)의 회전방향은 서로 반대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어(260)의 힌지부(500)가 우측에 설치되고, 호스 릴(410)의 선회유닛(430)이 좌측에 설치된 경우, 도어(260)의 우측면 도어판(265)이 기둥(90)의 우측벽에 대면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도어(260)가 일부 개방된 상태 예컨대 90도로 열렸을 때도 호스 릴(410)이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도어(260)의 힌지부(500)가 좌측에 설치되고 호스 릴(410)의 선회유닛(430)이 좌측에 설치된 경우에도, 도어(260)의 좌측면 도어판(263)이 기둥(90)의 좌측벽에 대면할 정도로 도어(260)가 회전하면 호스 릴(410)의 회전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 즉, 기둥(90) 주변의 공간 배치를 고려하여 도어(260)의 힌지부(500)는 호스 릴(410)의 선회유닛(430)이 설치된 방향과 반대로 설치될 수도 있고 같은 방향에 설치될 수도 있다.
원수밸브(101)는 기둥의 특성을 살려 상단 소화전함 몸체(210)를 통과한 수직 원수관(102)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소화전함 몸체(210)의 측면 바깥쪽에서 원수관이 배치되는 경우와는 달리 기둥 양 옆으로 간섭을 주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소화전함체가 상단과 하단으로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는지만, 메인은 하단 소화전함체이고, 상단 소화전함체가 없는 경우라면 하단 소화전함체가 단일 소화전함체가 된다.
90 : 기둥 240 : (하단)소화전함 몸체
241 : 후판 241a,241b : 우측,좌측 절곡편
243 : 상판 245 : 하판
260 : 도어 261 : 전면 도어판
263 : 좌측면 도어판 265 : 우측면 도어판
400 : 호스 릴 장치 410 : 호스 릴
430 : 선회 유닛 431 : 링크
433 : 고정판 435 : 제1선회축
437 : 제2선회축 500 : 힌지부(경첩)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전면과 좌우 측면이 개방되도록 기둥의 일면에 닿는 후판, 상기 후판의 상하에 형성된 상판과 하판을 갖는 소화전함 몸체; 호스 릴과, 상기 호스 릴을 선회 가능하게 기둥에 지지하는 선회유닛으로 이루어진 호스 릴 장치; 상기 소화전함 몸체의 상기 전면 및 좌우 측면을 개폐하는 도어(260); 상기 소화전함 몸체의 후판과 상기 도어의 우측에 설치되는 힌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소화전함 몸체의 폭은 상기 기둥의 폭과 같으며,
    상기 도어는 상기 호스 릴의 전면을 수용하고 개폐하는 전면 도어판 및 상기 전면 도어판의 좌우에서 후면을 향해 절곡 형성되어 상기 호스 릴의 좌우 측면을 수용하고 개폐하는 좌우 측면 도어판을 포함하고,
    상기 후판의 좌우측에서 전면을 향해 절곡되는 좌우측 절곡편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우측 절곡편의 외면과 상기 우측면 도어판의 외면에 설치되는 경첩이고,
    상기 좌측 절곡편과 상기 좌측면 도어판에는 록킹부가 설치되고,
    상기 선회 유닛은 링크와, 상기 후판을 통해 상기 기둥에 지지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과 상기 링크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1선회축과, 상기 링크의 타단과 상기 호스 릴을 연결하는 제2선회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어가 180도 열린 상태에서, 상기 도어의 우측면 도어판은 상기 기둥의 측벽에 대면하고,
    상기 도어(260)가 기둥(90)의 측면 쪽으로 들어가게 180도 열린 상태에서 상기 링크 및 호스 릴이 비선회된 상태에서 상기 호스 릴의 소방호스가 풀릴 때 상기 도어에 간섭받지 않게 되고,
    상기 도어가 90도로 열렸을 때도 상기 호스 릴이 회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고정식 소화전함.
KR1020150132786A 2015-09-21 2015-09-21 기둥 고정식 소화전함 KR101778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2786A KR101778148B1 (ko) 2015-09-21 2015-09-21 기둥 고정식 소화전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2786A KR101778148B1 (ko) 2015-09-21 2015-09-21 기둥 고정식 소화전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4486A KR20170034486A (ko) 2017-03-29
KR101778148B1 true KR101778148B1 (ko) 2017-09-26

Family

ID=58497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2786A KR101778148B1 (ko) 2015-09-21 2015-09-21 기둥 고정식 소화전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81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0847B1 (ko) * 2018-07-06 2021-04-22 김순원 호스릴의 작동이 원활한 소화전함
USD1006771S1 (en) 2020-12-02 2023-1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levision receiver
USD990480S1 (en) 2020-12-02 2023-06-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levision receiv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788B1 (ko) * 2007-10-31 2009-10-15 한국도로공사 도로터널용 소화전함
KR101503760B1 (ko) * 2013-08-08 2015-03-18 중경기술주식회사 소방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788B1 (ko) * 2007-10-31 2009-10-15 한국도로공사 도로터널용 소화전함
KR101503760B1 (ko) * 2013-08-08 2015-03-18 중경기술주식회사 소방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4486A (ko) 201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8148B1 (ko) 기둥 고정식 소화전함
KR101042038B1 (ko) 호스 릴 소방함
JP5478994B2 (ja) 貯蔵庫
KR101905410B1 (ko) 건축물 소방함용 소방호스릴
JP5774776B2 (ja) 防火ドア用ヒンジ
KR102244548B1 (ko) 소화용수 제거기능이 향상된 소방함용 소방 호스릴
KR101503760B1 (ko) 소방함
JP3674411B2 (ja) 消火栓装置
JP7101473B2 (ja) 消火栓装置
KR20160142621A (ko) 호스 릴용 소화전
JP6301154B2 (ja) 消火栓装置
JP2000312725A (ja) 消火器収納箱
KR102240847B1 (ko) 호스릴의 작동이 원활한 소화전함
KR200425985Y1 (ko) 소화기 보관함
JP2011147703A (ja) 防災機器収納装置
JP2009138368A (ja) 建具
KR20170098584A (ko) 소방함에 수용되는 소방장치
KR20170027959A (ko) 호스 릴용 소화전함
JP7262632B2 (ja) 消火栓装置
JP2020080891A (ja) 消火栓装置
JP2020074833A (ja) 消火栓装置
JP7190876B2 (ja) 消火栓装置
JP2018011692A (ja) 消火栓装置
US1878537A (en)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KR102181562B1 (ko) 개방각도가 확대된 여닫이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