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9362A - 고정부를 구비한 도어힌지 - Google Patents

고정부를 구비한 도어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9362A
KR20110139362A KR1020100059397A KR20100059397A KR20110139362A KR 20110139362 A KR20110139362 A KR 20110139362A KR 1020100059397 A KR1020100059397 A KR 1020100059397A KR 20100059397 A KR20100059397 A KR 20100059397A KR 20110139362 A KR20110139362 A KR 201101393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evel
inner housing
housing
door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9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5725B1 (ko
Inventor
조용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임
Priority to KR1020100059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5725B1/ko
Publication of KR20110139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9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5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5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2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2Additional arrangements for closers, e.g. for holding the wing in opened or other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또는 도어 프레임과 각각 결합되는 내부하우징 및 외부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하우징 또는 외부하우징에는 도어 개폐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 레벨 플레이트를 및 대응되는 상기 외부하우징 또는 내부 하우징에는 오목하게 형성된 레벨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정부를 구비한 도어힌지 {DOOR HINGE WITH STOPPER}
본 발명은 일반 건축물이나 주거시설 등의 도어 또는 특정 제품의 보호를 위한 도어에 사용되는 힌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에 장착되는 힌지에 도어 고정부를 마련함으로써 도어를 다각도로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상시 쉽게 고정부를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된 도어힌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닫이 방식의 출입 도어에 장착되는 힌지는 도어의 원활한 회전을 유지하는 기능만을 수행한다.
이와 별도로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는 도어 클로져의 경우에는 자동 닫힘을 위한 부가적인 구성이 추가로 마련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일반적인 도어 또는 도어 클로져 모두 도어를 개방한 후 일정한 각도에서 고정할 필요성이 요구되어 있다. 예를 들어, 환기, 냉난방 조절, 출입제한 및 통제 등을 위해 건물의 출입용 도어 또는 실내 도어를 일정한 각도에서 고정 상태를 유지시킬 필요가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냉장고와 같은 가전제품의 도어에서도 도어를 일정한 각도로 고정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도어용 힌지를 냉장고 내에서 음식물을 꺼내거나 넣을 경우 열손실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냉장고 사용 도중에 냉장고 도어가 자동으로 닫혀지는 불편을 최소화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종래의 도어힌지의 경우에는 일정한 각도로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스토퍼 장치가 도어힌지와는 별도로 장착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며, 도어힌지 또는 도어클로져에는 스토퍼 장치가 없거나 별도의 부가적인 구성이 추가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도어힌지의 경우 외부요인, 예를 들어 사용자의 강한 힘이나 바람, 물리적인 충격 등에 의해 갑자기 도어가 닫히는 것을 방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어힌지와는 별도의 스토퍼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도어의 갑작스런 개폐를 방지하는 종래의 도어힌지의 경우에는 도어힌지 비용의 증가, 도어힌지 길이,직경 및 무게의 증가, 유지보수의 번거로움 등 다양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부요인, 예를 들어 사용자의 강한 힘, 바람, 물리적인 충격 등에 의해 도어가 갑자기 닫히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도어힌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힌지와는 별도의 스토퍼 장치를 설치하지 않고도 도어가 갑자기 닫히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도어힌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도어힌지 자체에 도어 고정기능을 부가함으로써 도어힌지 비용, 길이, 직경 등의 변화 없이도 도어를 고정하는 것이 가능한 도어힌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더불어 비상시 쉽게 고정부를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된 도어힌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도어 또는 도어 프레임과 각각 결합되는 내부하우징 및 외부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하우징 또는 외부하우징에는 도어 개폐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 레벨 플레이트를 및 대응되는 상기 외부하우징 또는 내부 하우징에는 오목하게 형성된 레벨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외부하우징 또는 내부하우징에 형성된 레벨 홈 중 적어도 일 부분은 관통되어 있으며, 상기 레벨 홈의 관통부와 접촉하는 위치에 상기 레벨 홈에 고정된 레벨 플레이트를 밀어낼 수 있도록 해제 핀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해제 핀은 전기적 신호에 의해 움직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내부하우징 또는 외부하우징에 구비된 레벨 플레이트는 복원력을 부여하는 복귀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스토퍼 장치를 설치하지 않고도 도어의 고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도어힌지의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의하면, 사용자의 강한 힘, 바람, 물리적인 충격 등에 의해 도어가 갑자기 닫히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의 부상이나 도어의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를 고정한 상태에서도 간단하게 도어 고정을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힌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힌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힌지에 있어서 도어 고정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힌지에 있어서 내부하우징과 외부하우징을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힌지에 있어서 레벨 플레이트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힌지에 있어서 레벨 플레이트와 내부 하우징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분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힌지에 있어서 레벨 홈과 관통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힌지에 있어서 레벨 홈과 관통부를 도시한 절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당해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써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힌지는 도어 및 도어 프레임의 상부 또는 하부에 장착되어 도어를 개폐하고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도어힌지는 내부하우징(10)과 외부하우징(20)으로 구성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하우징(10)은 외부하우징(20)의 내측에 결합되는 하우징으로써, 날개부(11), 레벨 플레이트(12), 몸체부(13)로 구성된다.
몸체부(13)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다양한 금속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날개부(11)는 몸체부(13)와 결합되어 있으며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내부하우징(10)이 도어와 결합하고 외부하우징(20)이 도어 프레임과 결합되나, 이와 반대로 내부하우징(10)이 도어 프레임과 결합되고 외부하우징(20)이 도어와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레벨 플레이트(12)는 내부하우징 날개부(11)의 중간 부분에서 날개부(11)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레벨 플레이트(12)는 도어를 고정하는 경우가 아닌 한 복귀 스프링(도 6의 12B)에 의해 날개부(11)와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하우징(20)은 내부하우징(10)의 외측에 결합되는 하우징으로써, 날개부(21), 몸체부(22), 레벨 홈(23)을 포함한다.
몸체부(22)는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다양한 금속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날개부(21)는 몸체부(22)와 결합되어 있으며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레벨 홈(23)은 날개부(21)에 형성되어 있으며, 날개부에 일정한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레벨 홈(23)은 레벨 플레이트(12)가 고정 가능하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홈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도어힌지의 내부하우징(10) 및 외부하우징(20)은 각각 날개부에 형성된 홀(10A, 20A)에 의해 도어와 도어 프레임에 각각 고정된다.
도 4에는 내부 하우징(10)과 외부 하우징(20)이 분리된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하나의 하우징이 도어 프레임에 결합되고 다른 하우징이 도어에 결합됨으로써 도어를 개폐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내부 하우징(10)과 외부 하우징(20)은 핀(미도시함)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힌지 중 내부하우징(10) 또는 외부하우징의 몸체부에는 부싱(30)이 결합될 수 있다. 부싱(30)은 도어힌지의 내부하우징(10)과 결합되는 다른 구성요소,. 예를 들어 유압부 또는 속도제어부와의 결합을 위해 삽입된다.
내부 하우징과 외부 하우징의 내부에는 도어 클로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토션 스프링(미도시함), 토션부, 속도 제어부 등이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하우징의 날개부에는 홈이 형성되고 레벨 플레이트에는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도어를 일정한 각도로 고정하는 경우에는 레벨 플레이트(12)가 레벨 홈(23A)에 끼움으로써, 도어가 외부 힘에 의해 강제적으로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레벨 홈(2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의 고정 각도에 대응되도록 2개 이상(23A, 23B, 23C)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벨 홈이 여러 개 형성됨으로써 도어를 45도, 90도 등으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달리, 레벨 홈의 위치 및 형태를 변형함으로써 도어를 다양한 각도로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레벨 홈(23)은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도어의 고정시 뿐만 아니라 도어 고정 해제시에도 용이하게 해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 형상과 같이 레벨 홈(23)을 날개부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도어의 고정을 정확하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하면 레벨 홈(23)에 끼워진 레벨 플레이트(12)가 날개부(11)로 복귀하고 도어의 고정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날개부에 구비된 레벨 플레이트(12)의 일 단부에는 복원력을 부여하는 복귀 스프링(12B)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레벨 플레이트 구멍 및 상기 내부 하우징 날개부 홈에는 레벨 핀(12A)이 끼워지고, 그 다음 레벨 핀에 복귀 스프링(12B)이 결합됨으로써 레벨 플레이트(12)에 복원력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복귀 스프링(12B)은 상기 레벨 플레이트가 상기 레벨 홈에 고정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내부하우징 날개부와 동일한 평면에 배치되도록 복원력을 부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레벨 플레이트가 레벨 홈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항상 날개부와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하게 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레벨 플레이트(12)와 날개부(11)는 회전 및 복귀가 가능하도록 다른 구성 요소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하우징 또는 내부하우징 날개부에 형성된 레벨 홈(23A, 23B, 23C) 중 적어도 일 부분은 관통될 수 있다. 레벨 홈(23A, 23B, 23C)의 관통부(24A, 24B, 24C)는 원형 또는 사각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관통부(24A, 24B, 24C)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레벨 홈에 고정된 레벨 플레이트를 밀어낼 수 있도록 해제 핀(24A, 24B, 24C)이 배치될 수 있다. 해제 핀(24A, 24B, 24C)은 도어 또는 도어 프레임 측에 설치되며, 전기적 신호 또는 기계적 신호에 의해 이동하는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 가능하다.
도어를 레벨 플레이트(12)에 의해 고정한 상태에서 비상시와 같이 도어의 고정을 해제해야 하는 경우 해제 핀(24A, 24B, 24C)을 도 7a의 위치에서 도 7b의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레벨 플레이트(12)를 밀어서 도어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도어가 레벨 홈(23A, 23B, 23C) 중 어느 레벨 홈에 끼워져 있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예를 들어 3개의 해제 핀(24A, 24B, 24C) 모두를 밀어서 도어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어힌지에 다른 부가적인 스토퍼 구성요소를 설치하지 않고도 하우징에 포함된 레벨 플레이트와 레벨 홈 구성에 의해 외부 힘 등에 의해 도어가 갑자기 닫히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도어가 고정된 상태에서도 해제 핀을 이용함으로써 도어의 고정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게 된다.
10: 내부하우징
11: 내부하우징 날개부
12: 레벨 플레이트
12A: 레벨 핀
12B: 복귀 스프링
13: 내부하우징 몸체부
20: 외부하우징
21: 외부하우징 날개부
22: 외부하우징 몸체부
23A, 23B, 23C : 레벨 홈
24A, 24B, 24C : 관통부
25A, 25B, 25C : 해제 핀
30: 부싱
40: 하우징 핀

Claims (4)

  1. 도어 또는 도어 프레임과 각각 결합되는 내부하우징 및 외부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하우징 또는 외부하우징에는 도어 개폐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 레벨 플레이트를 및 대응되는 상기 외부하우징 또는 내부 하우징에는 오목하게 형성된 레벨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도어힌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하우징 또는 내부하우징에 형성된 레벨 홈 중 적어도 일 부분은 관통되어 있으며, 상기 레벨 홈의 관통부와 접촉하는 위치에 상기 레벨 홈에 고정된 레벨 플레이트를 밀어낼 수 있도록 해제 핀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힌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핀은 전기적 신호에 의해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힌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하우징 또는 외부하우징에 구비된 레벨 플레이트는 복원력을 부여하는 복귀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힌지.
KR1020100059397A 2010-06-23 2010-06-23 고정부를 구비한 도어힌지 KR101145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9397A KR101145725B1 (ko) 2010-06-23 2010-06-23 고정부를 구비한 도어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9397A KR101145725B1 (ko) 2010-06-23 2010-06-23 고정부를 구비한 도어힌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9362A true KR20110139362A (ko) 2011-12-29
KR101145725B1 KR101145725B1 (ko) 2012-05-16

Family

ID=45504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9397A KR101145725B1 (ko) 2010-06-23 2010-06-23 고정부를 구비한 도어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57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46984A (zh) * 2013-12-31 2015-07-01 王鼎瑞 滑移式铰链
CN109058283A (zh) * 2018-08-22 2018-12-21 徐州新畅纺织有限公司 一种限制角度的纺织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30275B1 (fr) 2008-04-18 2010-05-07 Deveze Design Dispositif anti pincement pour huisserie
KR102015467B1 (ko) * 2017-08-29 2019-08-28 (주)건설표준시험원 강관 다단 그라우팅용 강관구조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0315Y1 (ko) * 1994-01-20 1998-10-15 김형벽 다단계 멈춤 기능을 가진 경첩
KR200368284Y1 (ko) 2004-09-07 2004-11-18 주식회사 다우텍 문닫힘 방지용 경첩
JP2007255105A (ja) 2006-03-24 2007-10-04 Hitachi Kokusai Denki Engineering:Kk 筐体の回転ロック機構
KR101015071B1 (ko) 2010-03-11 2011-02-16 주식회사 아이닥스 도어힌지 하우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46984A (zh) * 2013-12-31 2015-07-01 王鼎瑞 滑移式铰链
CN109058283A (zh) * 2018-08-22 2018-12-21 徐州新畅纺织有限公司 一种限制角度的纺织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5725B1 (ko) 2012-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65559B2 (en) Multi-directional rotational sliding door self-closing device
JP6062164B2 (ja) ヒンジ装置
EP3095940B1 (en) A hinge mechanism
US8584402B2 (en) Door opening/closing system and catch therefor
EP1327841A2 (en) Refrigerator with two-axis door hinge
EP3309336B1 (en) Snap hinge with damped closing
KR101145725B1 (ko) 고정부를 구비한 도어힌지
JP2018521241A (ja) 低嵩高ヒンジ
KR101015071B1 (ko) 도어힌지 하우징
KR200190938Y1 (ko) 자동 록킹기능을 갖는 도어 힌지장치
KR101213117B1 (ko) 힌지장치 및 이를 갖는 여닫이 도어
EP3179023B1 (en) A hinge mechanism
KR20190091704A (ko) 냉장고
KR200340543Y1 (ko) 도어프레임과 도어간 간극커버장치
KR200340468Y1 (ko) 도어힌지
KR102429098B1 (ko) 도어 개폐장치
KR102600595B1 (ko) 도어 힌지
KR101932155B1 (ko) 도어의 전면 개방이 가능한 캐비닛
KR102094605B1 (ko) 방화문용 제어장치
KR101174279B1 (ko) 문닫힘 방지장치
EP3392442B1 (en) Ventilation window/door with an articulation apparatus
KR200275852Y1 (ko) 도어힌지
KR200373858Y1 (ko) 경첩
JP3149050U (ja) 交差リンク式左右開き蝶番
KR101152517B1 (ko) 안전 도어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