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3858Y1 - 경첩 - Google Patents

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3858Y1
KR200373858Y1 KR20-2004-0031800U KR20040031800U KR200373858Y1 KR 200373858 Y1 KR200373858 Y1 KR 200373858Y1 KR 20040031800 U KR20040031800 U KR 20040031800U KR 200373858 Y1 KR200373858 Y1 KR 2003738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t
fire door
state
hing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18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목향균
Original Assignee
목향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목향균 filed Critical 목향균
Priority to KR20-2004-00318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38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38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38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05D3/04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engaging three or more parts, e.g. sleeves, movable relatively to one another for connecting two or more wings to another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6Bent fl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출입구의 방화문 등에 설치되어 방화문 등을 여닫을 수 있도록 한 경첩에 있어서, 설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정면에서 보아 'ㄷ' 형상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그 대향되는 상·하 절곡편 상에 내측 전방으로 편중된 축결합공이 각각 천공되며, 상기 상·하 절곡편 끝단에는 그로부터 상·하측으로 수직 절곡된 각각의 결합편 상에 결합공이 천공되어 문틀에 나사식 결합되는 고정부; 설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평면에서 보아 'ㄷ' 형상으로 절곡되어 상기 고정부의 상·하 절곡편 상에 수용되어지되 그 내측 절곡편의 끝단에는 상기 축결합공과 동일축을 이루는 회전축공이 일정간격을 두고 상·하 구획 형성되고, 그 외측 절곡편은 상·하로 일정길이 연장된 상태에서 상·하측에 다수개의 결합공이 천공되어 방화문의 단부와 나사식 결합되는 회전부; 상기 고정부의 축결합공과 회전부의 회전축공이 일치된 상태로 관통하여 결합되는 축핀; 및 상기 축핀에 결합된 상태로 회전축공 사이에 위치되어지되, 열려진 방화문이 자동으로 닫히도록 형성된 자동닫힘부재; 로 이루어짐으로서, 문틀과 방화문 사이에 설치된 경첩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견고하게 결합됨은 물론이고, 도어 클로우저 없이 그 자체만으로 열린 방화문이 자동으로 닫히도록 한 경첩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Description

경첩{HINGE FOR DOOR}
본 고안은 출입구의 방화문 등에 설치되는 경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방화문에 설치된 경첩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견고하게 결합됨은 물론이고, 도어 클로우저 없이 그 자체만으로 열린 방화문이 스스로 닫히도록 한 경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첩은 건물의 방화문과 같은 각종 문을 문틀의 일측에 결합한 상태에서 그 축을 중심으로 여닫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바, 이는 상기 문의 종류와 설치 방법에 따라 여러 가지의 형태로 제공되어 용도에 맞게 적절히 사용되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이와 같은 종래 경첩의 일반적인 구성은 철편을 상호 대칭되도록 형성하여 그 일측은 문틀의 단부에 결합하고 그 타측은 방화문의 단부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각 철편을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철편을 축 결합한 상태에서 그 축을 중심으로 방화문을 회전시켜 여닫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방화문을 여닫을 수 있도록 결합되는 종래 경첩은 그 구조상 문틀과 방화문의 외부로 노출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외부로 노출된 경첩은 방화문의 미관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다른 물체나 기구들의 간섭에 의하여 돌출된 경첩이 파손되거나 상기 간섭된 물체 또는 기구들이 파손되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특히, 방화문 등은 외부로부터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이 우선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각종 절도범죄의 유형을 살펴보면 방화문이 잠긴 상태에서도 상기 노출된 경첩을 파손시킨 후 침입하는 예가 빈번함을 알 수 있는 바, 이는 종래 경첩의 큰 결점이 아닐 수 없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방화문 등은 대부분 방화문이 열린 상태에서 사람의 노력에 의하지 않고도 스스로 닫히도록 그 상단에 도어 클로우저가 설치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도어 클로우저를 구비할 경우 꾀 많은 비용이 지출될 뿐만 아니라, 설치된 도어 클로우저가 외부로 많이 노출되기 때문에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다른 물체나 기구와 상호 간섭되어 파손되는 등 여러 문제가 발생된다.
본 고안은 종래 경첩의 문제점 및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주된 목적으로는 출입구의 하중이 큰 방화문 등을 설치하기 위한 경첩을 형성하되, 문틀과 방화문 사이에 은폐된 상태로 설치되어 닫힌 상태에서 경첩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도어 클로우저 없이도 열린 방화문이 스스로 닫히도록 한 경첩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경첩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경첩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경첩을 도시한 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된 경첩을 도시한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이 적용된 경첩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문틀 2: 결합구
3: 방화문 10: 고정부
12, 12': 상·하 절곡편 14, 14: 축결합공
16, 16': 결합편 18, 18': 결합공
20: 회전부 22: 내측 절곡편
24, 24': 회전축공 26: 외측 절곡편
28, 28': 결합공 30: 축핀
40: 자동닫힘부재
이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출입구의 방화문 등에 설치되어 방화문 등을 여닫을 수 있도록 한 경첩에 있어서,
설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정면에서 보아 'ㄷ' 형상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그 대향되는 상·하 절곡편 상에 내측 전방으로 편중된 축결합공이 각각 천공되며, 상기 상·하 절곡편 끝단에는 그로부터 상·하측으로 수직 절곡된 각각의 결합편 상에 결합공이 천공되어 문틀에 나사식 결합되는 고정부; 설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평면에서 보아 'ㄷ' 형상으로 절곡되어 상기 고정부의 상·하 절곡편 상에 수용되어지되 그 내측 절곡편의 끝단에는 상기 축결합공과 동일축을 이루는 회전축공이 일정간격을 두고 상·하 구획 형성되고, 그 외측 절곡편은 상·하로 일정길이 연장된 상태에서 상·하측에 다수개의 결합공이 천공되어 방화문의 단부와 나사식 결합되는 회전부; 상기 고정부의 축결합공과 회전부의 회전축공이 일치된 상태로 관통하여 결합되는 축핀; 및 상기 축핀에 결합된 상태로 회전축공 사이에 위치되어지되, 열려진 방화문이 자동으로 닫히도록 형성된 자동닫힘부재; 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자동닫힘부재는 토션스프링이나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경첩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경첩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경첩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경첩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문틀(1)에 결합되는 고정부(10)와 방화문(3)의 단부에 고정되는 회전부(20)와 상기 고정부와 회전부를 축 결합하는 축핀(30)과 상기 축핀에 결합되어 회전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자동닫힘부재(40)로 이루어진다.
먼저, 이와 같은 구성의 경첩을 적용하기 위한 문틀(1)은 그 일측 상부와 하부의 단부 상에 상기 고정부(10)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구(2)가 형성된다. 즉, 회전부(20)에 결합된 방화문(3)의 단부와 고정부(10)가 결합된 문틀(1)의 단부 사이에 이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문틀(1)의 상·하부 적소에 결합구(2)를 형성하고 그 내부에 고정부(10)가 수용된 상태로서 결합된다.
이에, 상기 고정부(10)는 설치되는 상태를 기준으로 정면에서 보아 'ㄷ'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하 대향되는 절곡편(12, 12') 상에는 전방향 내측으로 편중된 축결합공(14, 14')이 각각 천공된다. 즉, 상기 축결합공(14, 14')은 동일축 선상에 결합된 회전부(10)가 상·하 절곡편(12, 12') 사이의 내부로 수용되면서, 상기 회전부(20)의 후방으로 절곡된 부분이 문틀(1)의 결합구(2)에 간섭되지 않는 상태로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상기 축결합공(14, 14')은 방화문(3)이 열리는 전방향과 요입된 내측방향의 선상이 교차하는 지점에 천공된다.
또한, 상기 상·하 절곡편(12, 12')의 끝단에는 그로부터 상·하측으로 수직 절곡된 결합편(16, 16')이 각각의 형성되는 바, 상기 각 결합편(16, 16') 상에는 결합공(18, 18')이 천공되어 문틀(1)에 나사식 결합된다.
상기 회전부(20)는 설치되는 상태를 기준으로 평면에서 보아 'ㄷ' 형상으로 절곡되어 상기 고정부(10)의 상·하 절곡편(12, 12') 사이에 수용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20)의 상·하 절곡편(12, 12') 사이에 수용되는 내측 절곡편(22)의 끝에는 상기 축결합공(14, 14')과 동일축을 이루는 회전축공(24, 24')이 일정간격을 두고 상·하 구획 형성된다. 즉, 상기 상·하 회전축공(24, 24') 사이에는 상기 자동닫힘부재(40)가 결합되도록 일정한 공간이 절개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외측 절곡편(26)은 상·하로 일정길이 연장된 상태에서 상·하측에 각각 볼틀공(28, 28')이 천공되어 설치되는 방화문의 단부와 나사식 결합된다. 이때, 상기 외측 절곡편(26)은 상·하 연장됨으로서 고정부(10)의 상·하 절곡편(12, 12') 사이에 수용되지 않는다.
상기 축핀(30)은 상기 고정부(10)의 축결합공(14, 14')과 회전부(20)의 회전축공(24, 24')이 일치된 상태로 관통하여 결합되는 것으로서, 회전부(20)가 고정부(10)에 지지된 상태로서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바람직하게는 축핀(30)이 고정부(10)의 축결합공(14, 14')과 고정된 상태에서 그 내부에 결합된 회전부(20)의 회전축공(24, 24')이 축핀(30)을 따라 회전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자동닫힘부재(40)는 상기 축핀(30)에 결합된 상태로 회전축공(24, 24') 사이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돌출된 일측 끝단은 고정부(10) 또는 축핀(30)에 지지되고 타측 끝단은 회전부(20)에 지지되어 회전부(20)의 내측 절곡편(22)이 고정부(10)에 수용된 상태를 항상 유지하게 된다. 즉, 상기 방화문(3)을 개방시 회전부(20)가 축핀(3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고정부(10)의 상·하 절곡편(12, 12')으로부터 탈출되는 바, 이때 상기 자동닫힘부재(40)의 탄력이 작용하면서 회전부(20)에 지지된 끝단이 회전부(20)를 가압하여 고정부(10)의 상·하 절곡편(12, 12') 사이로 복귀되도록 함으로서 방화문(3)이 닫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자동닫힘부재(40)는 토션스프링이나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사람의 가압에 의하여 방화문이 열림과 아울러, 방화문을 사람의 노력이 해제될 경우 자체 탄성력에 의해 방화문을 닫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경첩이 적용된 방화문 등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된 경첩을 도시한 작동상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이 적용된 경첩을 도시한 사용상태도로서, 이와 같은 경첩은 문틀(1)과 방화문(3) 등의 일측 상·하부에 각각 설치된다.
이에, 본 고안의 경첩을 결합시에는 상기 고정부(10)의 상·하 절곡편(12, 12') 사이에 회전부(20)가 수용된 상태로서 각각의 축결합공(14, 14')과 회전축공(24, 24')이 일치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회전축공(24, 24') 사이에는 자동닫힘부재(40)가 정렬된 상태로 축핀(30)을 관통하여 일체로 결합한다.
이때, 상기 자동닫힘부재(40)를 결합시에는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그 돌출된 일단이 고정부(10)에 지지된 상태에서 그 타단은 회전부(20)에 지지되어 탄성력에 의해 회전부(20)의 회전이 자제되도록 한다.
이어 상기 고정부(10)의 상·하 절곡편(12, 12')이 문틀(1)의 결합구(2)에 수용되도록 한 후 문틀(1)과 접하는 결합편(16, 16') 상에 볼트 또는 스크루로 조여 결합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20)를 방화문(3)의 단부에 밀착시킨 상태로 볼트 또는 스크루로 조여 결합 고정한다.
이와 같이 문틀(1)의 일측에 경첩으로서 방화문(3)을 설치한 상태에서는 상기 자동닫힘부재(40)의 탄력에 의해 항상 방화문이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방화문(3)을 열면 방화문(3)의 단부와 결합된 회전부(20)가 회전을 하면서 회전부(20)에 지지된 자동닫힘부재(40)의 일단을 밀어내기 때문에 자동닫힘부재(40)에는 그에 해당하는 압력이 작용되는 바, 방화문(3)을 열기위한 압력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자동닫힘부재(40)의 압축된 탄성이 반발하여 회전부(2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때문에 방화문이 닫히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의 경첩에 의하면 문틀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방화문의 단부에 결합되는 회전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서 방화문 등을 설치하되, 그 내부에 결합되는 자동닫힘부재의 작용에 의해 도어 클로우저 없이 열린 방화문이 스스로 닫힐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나아가 본 고안에 의하면 설치된 경첩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으로서 잠긴 방화문의 경첩을 파손 후 가택으로 침입하여 절도하는 등의 범죄를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Claims (3)

  1. 출입구의 방화문 등에 설치되어 방화문 등을 여닫을 수 있도록 한 경첩에 있어서,
    설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정면에서 보아 'ㄷ' 형상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그 대향되는 상·하 절곡편 상에 내측 전방으로 편중된 축결합공이 각각 천공되며, 상기 상·하 절곡편 끝단에는 그로부터 상·하측으로 수직 절곡된 각각의 결합편 상에 결합공이 천공되어 문틀에 나사식 결합되는 고정부;
    설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평면에서 보아 'ㄷ' 형상으로 절곡되어 상기 고정부의 상·하 절곡편 상에 수용되어지되 그 내측 절곡편의 끝단에는 상기 축결합공과 동일축을 이루는 회전축공이 일정간격을 두고 상·하 구획 형성되고, 그 외측 절곡편은 상·하로 일정길이 연장된 상태에서 상·하측에 다수개의 결합공이 천공되어 방화문의 단부와 나사식 결합되는 회전부;
    상기 고정부의 축결합공과 회전부의 회전축공이 일치된 상태로 관통하여 결합되는 축핀; 및
    상기 축핀에 결합된 상태로 회전축공 사이에 위치되어지되, 열려진 방화문이 자동으로 닫히도록 형성된 자동닫힘부재;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닫힘부재는 토션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첩.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닫힘부재는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첩.
KR20-2004-0031800U 2004-11-10 2004-11-10 경첩 KR2003738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1800U KR200373858Y1 (ko) 2004-11-10 2004-11-10 경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1800U KR200373858Y1 (ko) 2004-11-10 2004-11-10 경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3858Y1 true KR200373858Y1 (ko) 2005-01-21

Family

ID=49353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1800U KR200373858Y1 (ko) 2004-11-10 2004-11-10 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385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310B1 (ko) * 2007-11-09 2009-02-03 문홍식 도어 체크의 방화문 폐문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310B1 (ko) * 2007-11-09 2009-02-03 문홍식 도어 체크의 방화문 폐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7174B2 (en) Track corner connecting device for shower door, shower door frame and shower door
KR200410197Y1 (ko) 댐퍼가 구비된 도어힌지
US3621512A (en) Tamper resistant hinge
KR200373858Y1 (ko) 경첩
US3937506A (en) Door security pin
KR20110139362A (ko) 고정부를 구비한 도어힌지
KR200401544Y1 (ko) 회전형 자물쇠용 걸고리
KR101002238B1 (ko) 다굴절 자물쇠 잠금장치
KR100695809B1 (ko) 건축물에 설치되는 개폐가능한 방범창
KR20090022721A (ko) 리턴도어 유니트
KR20190002371U (ko) 도어 틈새 차단 장치
KR20210000058U (ko) 미닫이 창문의 외부 개방 방지장치
KR200325027Y1 (ko) 도어 개방 고정구
US1799719A (en) Screened-closure construction
KR200391505Y1 (ko) 도어용 경첩
RU2040686C1 (ru) Петля мебельная четырехшарнирная
RU2714545C1 (ru) Замк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US20110156409A1 (en) Door guard
KR100651123B1 (ko) 개방폭이 확장되는 공동주택의 문 고정구조
KR102181664B1 (ko) 잠금 기능이 구비된 경첩
KR200339803Y1 (ko) 편심회전축을 갖는 방화문용 무돌출 경첩
KR200351050Y1 (ko) 방화문용 안전록
KR20240054792A (ko) 자동닫힘 도어부를 갖는 도어장치
KR19990004033U (ko) 경첩
KR100379340B1 (ko) 양쪽 전후 여닫이식 문의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