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1123B1 - 개방폭이 확장되는 공동주택의 문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개방폭이 확장되는 공동주택의 문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1123B1
KR100651123B1 KR1020060076106A KR20060076106A KR100651123B1 KR 100651123 B1 KR100651123 B1 KR 100651123B1 KR 1020060076106 A KR1020060076106 A KR 1020060076106A KR 20060076106 A KR20060076106 A KR 20060076106A KR 100651123 B1 KR100651123 B1 KR 100651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door
fixing
door frame
prim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6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형제케이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형제케이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형제케이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60076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11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1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11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1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near one edge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bottom, e.g. trun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2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at a considerable distance from the edges of the wing, e.g. for balanced wings
    • E05D7/084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at a considerable distance from the edges of the wing, e.g. for balanced wings with a movable pivot axis
    • E05D7/085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at a considerable distance from the edges of the wing, e.g. for balanced wings with a movable pivot axis with two or more pivot axes, e.g. used at the same ti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 건물 또는 공동주택의 문이 문틀에 고정되는 구조 때문에 문틀의 폭을 전부 사용하지 못하던 것을 개선하여 문틀의 폭을 전부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한 개방폭이 확장되는 공동주택의 문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며, 문틀고정부(11)와 문고정부(12)가 핀홀(13)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어 문틀고정부(11)는 문틀(1)에 나사로 고정되고, 문고정부(12)는 문(12)의 내측 상단에 나사로 고정되며, 2차힌지(20)에 1차힌지핀(14)으로 고정되는 1차힌지(10); 일측에 1차힌지설치홈(21)이 측방향으로 개방되어 형성되고, 타측에 상하로 관통된 핀홀(23)이 형성되며, 1차힌지설치홈(21)의 상하에 1치힌지고정홀(22)이 형성되어 1차힌지(10)의 핀홀(13)이 삽입되어 일치된 상태에서 1차힌지핀(14)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2차힌지(20); ㄴ자로 절곡된 몸체 일측에 문틀고정부(32)가 형성되어 문틀(1)에 서로 마주보도록 두개가 나사로 고정되고, 몸체 타측에 2차힌지고정홀(31)이 형성되어 두개의 몸체 사이에 2차힌지(20)의 핀홀(23)이 삽입되어 2차힌지핀(24)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2차힌지고정브라켓(3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1차힌지, 2차힌지, 문틀, 폭

Description

개방폭이 확장되는 공동주택의 문 고정구조{DOOR STRUCTURE OF BUILDING}
도 1은 종래의 문 고정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문 고정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개방폭이 확장되는 공동주택의 문 고정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개방폭이 확장되는 공동주택의 문 고정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개방폭이 확장되는 공동주택의 문 고정구조가 1차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개방폭이 확장되는 공동주택의 문 고정구조가 2차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 : 문틀 2 : 문
3 : 벽체 4 : 힌지
10 : 1차힌지 11 : 문틀고정부
12 : 문고정부 13 : 핀홀
14 : 1차힌지핀 20 : 2차힌지
21 : 1차힌지설치홈 22 : 1차힌지고정홀
23 : 핀홀 24 : 2차힌지핀
30 : 2차힌지고정브라켓 31 : 2차힌지고정홀
32 : 문틀고정부 L : 문틀의 폭
L1 : 개방폭 L2 : 1차개방폭
L3 : 2차개방폭
본 발명은 개방폭이 확장되는 공동주택의 문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문이 문틀에 고정되는 구조 때문에 문틀의 폭을 전부 사용하지 못하던 것을 개선하여 문틀의 폭을 전부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한 개방폭이 확장되는 공동주택의 문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의 현관문은 대부분 철재로 이루어져 강도나 도둑의 침입을 막는 기능을 할 뿐만 아니라 불이 났을 경우 불이 다른 곳으로 전파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도 한다.
이러한 현관문 뿐만 아니라 공동주택 내의 방문의 구조 또한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3)에 문틀(1)을 설치할 공간을 형성하고, 그 공간에 문틀(1)을 고정한 다음 문(2)을 문틀(1)에 고정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의 폭(L)은 문(2)이 열렸을 때 문(2)의 단부에 의한 간섭으로 인하여 개방폭(L1)이 문틀의폭(L) 보다 적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문틀의폭(L)보다 문의 개방폭(L1)이 적으므로 이사등 물건의 이동시 장롱과 같은 큰 물건은 개방폭(L1)의 제한에 걸려 문(2)을 문틀(1)에서 탈거한 후에 물건을 이동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그러나 문(2)을 문틀(1)에서 탈거하기 위해서는 많은 나사를 분리하여야 하고, 중량의 문을 복잡한 공간에 따로 세워 놓아야 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문이 넘어지면 안전사고 발생의 우려도 있다.
그리고 물건의 이동이 완료된 후 문을 다시 조립할 때 제대로 조립이 안되는 문제도 발생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문이 문틀에 지지되어 있은 상태에서 문틀의 원래 폭을 다 사용하게 할 수 있게 하고, 문이 문틀에서 2단으로 움직이게 하여 이사 중에 잠시 자리를 비우더라도 문을 다시 조립하지 않고 문을 닫을 수 있게 하며, 1차힌지의 문틀고정부 나사만 분리하여 문틀을 완전히 개방할 수 있게 하고, 문틀을 완전히 개방하더라도 문을 분리하여 문이 넘어져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개방폭이 확장되는 공동주택의 문 고정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틀고정부와 문고정부가 핀홀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어 문틀고정부는 문틀에 나사로 고정되고, 문고정부 는 문의 내측 상단에 나사로 고정되며, 2차힌지에 1차힌지핀으로 고정되는 1차힌지; 일측에 1차힌지설치홈이 측방향으로 개방되어 형성되고, 타측에 상하로 관통된 핀홀이 형성되며, 1차힌지설치홈의 상하에 1치힌지고정홀이 형성되어 1차힌지의 핀홀이 삽입되어 일치된 상태에서 1차힌지핀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2차힌지; ㄴ자로 절곡된 몸체 일측에 문틀고정부가 형성되어 문틀에 서로 마주보도록 두개가 나사로 고정되고, 몸체 타측에 2차힌지고정홀이 형성되어 두개의 몸체 사이에 2차힌지의 핀홀이 삽입되어 2차힌지핀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2차힌지고정브라켓;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폭이 확장되는 공동주택의 문 고정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개방폭이 확장되는 공동주택의 문 고정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개방폭이 확장되는 공동주택의 문 고정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a는 본 발명의 개방폭이 확장되는 공동주택의 문 고정구조가 1차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개방폭이 확장되는 공동주택의 문 고정구조가 2차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개방폭이 확장되는 공동주택의 문 고정구조는 1차힌지(10)에 2차힌지(20)를 결합하여 평소에는 1차힌지(10)에 의해 문이 개폐되다가 이사나 물건 구입등으로 인하여 문틀의 폭까지 공간을 사용하여야 할 경우 문틀(1)에 2차힌지고정브라켓(30)으로 고정된 2차힌지(20)를 이용하여 문을 완전히 열어 물건을 이동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1차힌지(10)는 문틀고정부(11)와 문고정부(12)가 핀홀(13)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어 문틀고정부(11)는 문틀(1)에 나사로 고정되고, 문고정부(12)는 문(12)의 내측 상단에 나사로 고정된다.
이러한 1차힌지(10)는 핀홀(13)이 형성된 중심부가 2차힌지(20)에 1차힌지핀(14)으로 고정되어 1차힌지핀(14)이 삽입된 핀홀(1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1차힌지(10)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고 있는 2차힌지(20)는 일측에 1차힌지설치홈(21)이 측방향으로 개방되어 형성되고, 타측에 상하로 관통된 핀홀(23)이 형성된다.
2차힌지(20)는 양측 단부가 반원형으로 이루어진 몸체를 가지고, 일측 단부가 상하를 제외한 측부가 파여져 1차힌지설치홈(21)이 형성된다. 1차힌지설치홈(21)을 이루는 상하부에는 각각 1치힌지고정홀(22)이 형성되어 1차힌지(10)의 핀홀(13)이 삽입되어 일치된 상태에서 1차힌지핀(14)으로 1차힌지(10)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2차힌지(20)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2차힌지고정브라켓(30)은 ㄴ자로 절곡된 몸체 일측에 문틀고정부(32)가 형성되어 문틀(1)에 서로 마주보도록 두개가 나사로 고정되고, 문틀고정부(32)와 90도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몸체 타측에 2차힌지 고정홀(31)이 형성된다.
2개의 2차힌지고정브라켓(30)의 문틀고정부(32)가 나사로 문틀(1)의 일측에 고정되고, 그 사이에 2차힌지(20)의 핀홀(23)이 삽입된다. 이때 2차힌지(20)의 핀홀(23)과 2차힌지고정홀(31)이 일치되어 2차힌지핀(24)으로 2차힌지(20)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한다.
따라서 평소에는 1차힌지(10)가 문틀과 문에 각각 고정되어 1차힌지핀(14)을 중심으로 2차힌지(20)의 1차힌지설치홈(21) 내에서 회전하게 되어 문(2)을 개폐하므로 종래와 같이 1차개방폭(L2)이 문틀의 폭(L)보다 작게 된다.
하지만 이사나 기타 물건 구입등으로 큰 부피의 물건이 들어오거나 나갈때 문틀의 폭(L)을 전부 사용해야 할 때, 도 5b와 같이 1차힌지(10)를 문틀에 고정한 나사를 풀어 해제시키게 되면, 2차힌지(20)가 2차힌지핀(24)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게 되고, 완전히 문을 개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문틀의 폭(L)과 2차개방폭(L3)은 같아지게 되어 문틀의 폭을 전부 사용해 물건을 들여올 수 있으므로 문을 문틀에서 완전히 제거하지 않아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문틀의 폭을 전부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문틀에서 문을 완전히 제거하지 않아도 되므로 중량의 문이 넘어져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문을 자주 떼고 달아야 하는 불편함이 없어지므로 문틀에서 1차힌지의 문틀고정부를 분리하더라도 2차힌지에 의하여 회전하므로 작업중 문을 개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문을 완전히 제거하지 않아도 되므로 평소에 문과 문틀을 고정하는 힌지가 결합되는 나사를 모두 제거하지 않고 단지 상하 4개의 나사만 풀었다가 조으면 되므로 작업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유사시에 1차힌지가 고장났을 때 2차힌지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문틀고정부(11)와 문고정부(12)가 핀홀(13)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어 문틀고정부(11)는 문틀(1)에 나사로 고정되고, 문고정부(12)는 문(12)의 내측 상단에 나사로 고정되며, 2차힌지(20)에 1차힌지핀(14)으로 고정되는 1차힌지(10);
    일측에 1차힌지설치홈(21)이 측방향으로 개방되어 형성되고, 타측에 상하로 관통된 핀홀(23)이 형성되며, 1차힌지설치홈(21)의 상하에 1치힌지고정홀(22)이 형성되어 1차힌지(10)의 핀홀(13)이 삽입되어 일치된 상태에서 1차힌지핀(14)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2차힌지(20);
    ㄴ자로 절곡된 몸체 일측에 문틀고정부(32)가 형성되어 문틀(1)에 서로 마주보도록 두개가 나사로 고정되고, 몸체 타측에 2차힌지고정홀(31)이 형성되어 두개의 몸체 사이에 2차힌지(20)의 핀홀(23)이 삽입되어 2차힌지핀(24)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2차힌지고정브라켓(3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폭이 확장되는 공동주택의 문 고정구조.
KR1020060076106A 2006-08-11 2006-08-11 개방폭이 확장되는 공동주택의 문 고정구조 KR100651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6106A KR100651123B1 (ko) 2006-08-11 2006-08-11 개방폭이 확장되는 공동주택의 문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6106A KR100651123B1 (ko) 2006-08-11 2006-08-11 개방폭이 확장되는 공동주택의 문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1123B1 true KR100651123B1 (ko) 2006-11-30

Family

ID=37714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6106A KR100651123B1 (ko) 2006-08-11 2006-08-11 개방폭이 확장되는 공동주택의 문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112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79173U (ko) * 1990-11-21 1992-07-09
KR200163586Y1 (ko) 1999-07-19 2000-02-15 김지명 도어용힌지
JP2003343145A (ja) 2002-05-24 2003-12-03 Manten Co Ltd ドア用ピボットヒンジ
JP2006023925A (ja) 2004-07-07 2006-01-26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自動販売機のヒンジ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79173U (ko) * 1990-11-21 1992-07-09
KR200163586Y1 (ko) 1999-07-19 2000-02-15 김지명 도어용힌지
JP2003343145A (ja) 2002-05-24 2003-12-03 Manten Co Ltd ドア用ピボットヒンジ
JP2006023925A (ja) 2004-07-07 2006-01-26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自動販売機のヒンジ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90306A (en) Hinge and security cover plate assembly
US20080148790A1 (en) Door lock system and method
KR101206621B1 (ko) 노출 차단형 경첩
KR200396859Y1 (ko) 여닫이, 미닫이 방식을 병용한 안전 방범창
WO2005038181A2 (en) Internal hinge for fire resistant safe
KR100651123B1 (ko) 개방폭이 확장되는 공동주택의 문 고정구조
KR200413121Y1 (ko) 방범창이 구비된 미닫이창 조립체
US4823510A (en) Security door system
US20080163549A1 (en) Sliding Window Assebly Having Security Pane Unit
KR20110052625A (ko) 도어 어셈블리
GB2508966B (en) Selectively lockable hinge
GB2571909A (en) Cubicle having emergency access
KR20110029989A (ko) 고중량 도어 고정장치
EP1194672B1 (en) Openable screen element such as a door
US20040031126A1 (en) Four pivot swing away hinge
JP2589363Y2 (ja) ヒンジ
GB2481808A (en) Cubicle suitable for the provision of toilet in public washroom
KR20230170546A (ko) 손끼임 방지기능을 갖는 도어 개폐장치
KR100379340B1 (ko) 양쪽 전후 여닫이식 문의 개폐장치
KR100737824B1 (ko) 보안형 상부 피봇힌지
KR200351050Y1 (ko) 방화문용 안전록
KR200384573Y1 (ko) 미닫이 방범창
JPH10280820A (ja) 副扉が組み込まれた建物の出入口戸
JP2006207351A (ja) 折り戸のヒンジユニット
KR20230087921A (ko) 방화문 문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