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1618B1 - 정보 표시 시스템 및 차량용 장치 - Google Patents

정보 표시 시스템 및 차량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1618B1
KR101501618B1 KR1020137023059A KR20137023059A KR101501618B1 KR 101501618 B1 KR101501618 B1 KR 101501618B1 KR 1020137023059 A KR1020137023059 A KR 1020137023059A KR 20137023059 A KR20137023059 A KR 20137023059A KR 101501618 B1 KR101501618 B1 KR 101501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ortable terminal
portable
operation input
vehicle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3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2594A (ko
Inventor
아키라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ublication of KR20130132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2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1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1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 H04M1/72463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by limiting the access to the user interface, e.g. locking a touch-screen or a keypad
    • H04M1/724634With partially locked states, e.g. when some telephonic functional locked states or applications remain accessible in the locked st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휴대 단말은 생성한 화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화면을 휴대측 표시부에 표시한다. 차량용 장치는 차량에 고정 또는 휴대 가능하게 탑재된다. 휴대 단말은 화상 데이터를 차량용 장치에 통신에 의해 송신하고, 차량용 장치의 차량측 표시부는 화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화면을 표시한다. 차량용 장치와 휴대 단말이 통신에 의하여 접속 중인 경우, 휴대 단말과 차량용 장치 중, 먼저 조작 입력이 실시된 측의 조작 중에는 해당 먼저 조작 입력이 실시된 측만을 조작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정보 표시 시스템 및 차량용 장치{INFORMATION DISPLAY SYSTEM AND DEVICE FOR VEHICLE}
본 개시는 차량용 장치와 휴대 단말을 접속하고, 휴대 단말의 화면을 차량용 장치에서 표시하는 정보 표시 시스템 및 차량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개시는 2011년 3월 28일에 출원된 일본 출원 번호2011―70332호와, 2011년 10월 12일에 출원된 일본 출원 번호2011―225168호에 기초하는 것으로, 여기에 그 기재 내용을 원용한다.
종래부터, 차량용 장치와 휴대 단말을 접속하여 차량용 장치에서 휴대 단말의 화면을 표시하거나, 차량용 장치로의 조작 입력에 의하여 휴대 단말을 조작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3에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차량용 장치와 휴대 전화기를 접속하고, 차량용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휴대 전화기의 화면을 표시시키거나, 차량용 장치로의 조작 입력에 의하여 휴대 전화기를 조작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히, 특허 문헌 3에는 급커브 주행 중에 휴대 전화기로부터 수신한 화상 데이터를 차량용 장치의 화면에 표시하지 않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 밖에도, 특허 문헌 4∼8에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차량용 장치와 휴대 전화기를 접속하고, 차량용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휴대 전화기의 화면을 표시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히, 특허 문헌 7에는 차량이 주행중일 때, 앞좌석용의 차량용 장치의 화면에 휴대 전화기로부터 출력된 동영상 데이터가 표시되는 것을 금지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 밖에도, 특허 문헌 8에는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 차량용 장치측의 조작을 규제하는 것과 함께, 휴대 전화기측의 조작도 규제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운전자가 차량을 운전하면서 차량용 장치나 휴대 단말을 조작하면 운전 조작에 집중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특허 문헌 1, 2, 4∼6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에서는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서 차량용 장치의 조작을 규제하는 것이 고려되어 있지 않다. 특허 문헌 3, 7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에 대해서도,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서 차량용 장치에서의 표시를 규제하는 것만이 고려되어 있을 뿐이며, 차량용 장치의 조작을 규제하는 것은 고려되어 있지 않다.
다른 한편, 특허 문헌 8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에서는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서 차량용 장치에서의 표시를 규제하는 것이 고려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8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은 차량의 주행 중에 있어서 차량용 장치의 조작을 규제하지만, 휴대 단말의 조작까지 규제해 버린다. 따라서, 운전자 이외의 탑승자가 휴대 단말을 조작하고자 한 경우에도 휴대 단말의 조작이 규제되어 버려서 편리성이 손상되어 버린다.
또, 특허 문헌 1∼7에는 휴대 단말과 차량용 장치가 접속 중인 경우에, 어느 쪽의 조작을 우선시키는가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지 않고, 두 사람이 휴대 단말과 차량용 장치를 동시에 조작하는 경우를 고려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특허 문헌 1∼7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휴대 단말과 차량용 장치를 접속하여 휴대 단말의 화면을 차량용 장치에서 표시하는 경우에 있어서, 휴대 단말과 차량용 장치를 양자가 동시에 조작한 경우에 오동작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휴대 단말과 차량용 장치가 양자에 의하여 동시에 조작된 경우의 오동작의 구체예는, 이하와 같다. 운전자가 휴대 단말의 내비게이션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 차량용 장치 상에서 목적지 설정을 실시하는 과정에 있어서, 검색된 복수의 후보 지점으로부터 하나의 지점을 선택하는 화면 메뉴가 표시되어 있다고 하자. 그리고 운전자는 차량용 장치, 동승자는 휴대 단말 상에서 각각 별도의 후보 지점을 동시에 선택한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동승자가 선택한 후보 지점이 등록된다고 해도 차량용 장치에서의 후보 지점의 선택의 조작도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경우에는, 운전자는 자신이 선택한 후보 지점이 등록되었다고 확신해 버릴 수 있다. 그리고 이 잘못된 확신의 상태로 운전자가 운전을 개시하면, 운전자의 의도와 다른 장소로 경로 안내되게 되어, 혼란이나 트러블의 요인으로 될 수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2003―244343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국 특개2010―130674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국 특개2009―281991호 공보 특허 문헌 4: 일본국 특개2007―195144호 공보 특허 문헌 5: 일본국 특개2008―003093호 공보 특허 문헌 6: 일본국 특개2008―309794호 공보 특허 문헌 7: 일본국 특개2009―139347호 공보 특허 문헌 8: 일본국 특개2010―130670호 공보
본 개시는 차량용 장치와 휴대 단말을 접속하여 휴대 단말의 화면을 차량용 장치에서 표시하는 경우에 있어서, 휴대 단말과 차량용 장치의 양자 동시 조작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하는 것, 운전 조작의 집중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면서도 탑승자에 있어서의 편리성을 보다 손상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정보 표시 시스템 및 차량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정보 표시 시스템은 생성한 화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화면을 휴대측 표시부에 표시하는 휴대 단말을 구비한다. 상기 정보 표시 시스템은 차량에 고정 또는 휴대 가능하게 탑재되는 차량용 장치를 더 구비한다.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차량용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휴대측 통신부를 구비한다. 상기 휴대 단말은 사용자가 조작 입력을 실시하는 휴대측 조작 입력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차량용 장치는 상기 휴대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차량측 통신부를 구비한다. 상기 차량용 장치는 사용자가 조작 입력을 실시하는 차량측 조작 입력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정보 표시 시스템은 상기 차량용 장치와 상기 휴대 단말이 통신에 의하여 접속하고,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용 장치로 송신하여, 해당 화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화면을 상기 차량용 장치의 차량측 표시부에 표시한다. 상기 정보 표시 시스템은 상기 차량용 장치와 상기 휴대 단말이 통신에 의하여 접속 중인 경우에는, 상기 휴대 단말과 상기 차량용 장치 중에서, 먼저 조작 입력이 실시된 측이 조작 중에 있으면, 해당 먼저 조작 입력이 실시된 측만을 조작 가능하게 한다.
본 개시의 다른 양태에 있어서, 차량용 장치는 차량에 고정 또는 휴대 가능하게 탑재되고, 사용자가 조작 입력을 실시하는 휴대측 조작 입력부를 구비한다. 상기 차량용 장치는 휴대 단말의 화면에 표시하기 위해 상기 휴대 단말에서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차량측 통신부에서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수신한 화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화면을 차량측 표시부에 표시한다. 상기 차량용 장치는, 상기 차량용 장치와 상기 휴대 단말이 통신에 의하여 접속 중이고, 또한, 상기 차량이 주행 중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휴대 단말과 상기 차량용 장치 중, 먼저 조작 입력이 실시된 측의 조작 중에는 해당 먼저 조작 입력이 실시된 측만이 조작 가능하게 한다. 상기 차량용 장치는 상기 차량용 장치와 상기 휴대 단말이 통신에 의하여 접속 중이고, 또한, 상기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에는, 상기 차량용 장치를 조작 불가능하게 하는 한편, 상기 휴대 단말을 조작 가능하게 한다.
본 개시에 대해서의 상기 목적 및 그 밖의 목적, 특징이나 잇점은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하기의 상세한 기술에 의해 보다 명확해진다. 그 도면은,
도 1은 정보 표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스마트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3은 차량용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4는 스마트폰의 주제어부에서의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5는 차량용 장치의 제어 장치에서의 조작권 A 및 조작권 B의 관리의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6은 차량용 장치의 제어 장치에서의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7(a), 도 7(b), 도 7(c), 도 7(d)는 본 개시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고,
도 8은 차량이 주정차 중에 있어서의 정보 표시 시스템에서의 조작과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9는 차량의 주행 개시로부터 정차에 걸쳐서의 정보 표시 시스템에서의 조작과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10은 변형예 1에 있어서의 스마트폰의 주제어부에서의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11은 변형예 1에 있어서의 차량용 장치의 조작권 B의 관리의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및
도 12는 변형예 1에 있어서의 차량용 장치의 제어 장치에서의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가 적용된 정보 표시 시스템(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정보 표시 시스템(100)은 스마트폰(1) 및 차량용 장치(2)를 포함하고 있다. 정보 표시 시스템(100)에서는 스마트폰(1)의 화면에 표시하기 위해 스마트폰(1)에서 생성한 화상 데이터를 차량용 장치(2)에 송신하고, 차량용 장치(2)에서 그 화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화면을 표시하거나, 차량용 장치(2)로의 조작 입력에 의하여 스마트폰(1)을 조작한다.
스마트폰(1)은 터치 패널을 이용하여 조작 입력을 실시하는 이른바 터치 패널식 휴대 전화기(즉, 조작 부분을 화면에 집약한 터치 패널을 탑재한 스마트폰)로서, 일반적인 터치 패널식 휴대 전화기와 마찬가지로 통화 기능이나 메일 기능이나 음악 기능이나 지도 기능 등을 갖고 있다. 스마트폰(1)은 휴대 단말에 상당한다.
여기에서, 도 2를 이용하여 스마트폰(1)의 개략적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편의상, 일반적인 터치 패널식 휴대 전화기가 갖고 있는 기능에 관한 구성 중, 설명에 불필요한 것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스마트폰(1)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마트폰(1)은 휴대측 통신부(11), 휴대측 표시부(12)와 조작 검출부(13)로 이루어지는 터치 패널부(14), 서버 통신부(15) 및 주제어부(16)를 구비하고 있다.
휴대측 통신부(11)는 차량용 장치(2)와의 사이에서 예를 들면, Bluetooth(등록 상표)에 따른 통신(이하, BT통신)을 실시한다. 스마트폰(1)과 차량용 장치(2)간의 통신은 예를 들면, Bluetooth(등록 상표)에 따라서 실시하는 것 이외에도, ZigBee(등록 상표)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규격이나 IEEE802. 11 등의 무선 LAN규격 등에 따라서 실시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 스마트폰(1)과 차량용 장치(2)의 사이의 통신은 반드시 무선 통신으로 실시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USB접속 등에 의한 유선 통신에 의하여 실시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휴대측 표시부(12)는 스마트폰(1)의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하, 어플리케이션)에 따른 화면 등을 표시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풀 컬러 표시가 가능한 것이고, 액정 디스플레이, 유기 EL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조작 검출부(13)는 휴대측 표시부(12)와 일체로 된 터치 스위치가 이용되고, 터치 위치에 대응하는 스위치가 조작된 것을 검출하고, 그 위치 정보를 주제어부(16)에 입력한다. 바꾸어 말하면, 조작 검출부(13)는 휴대측 표시부(12)에 표시한 화면 상의 어느 위치에 대하여 조작이 이루어졌는지를 검출하여, 그 위치 정보를 주제어부(16)에 입력한다. 또한, 조작 검출부(13)는 휴대측 조작 입력부에 상당한다. 여기에서 말하는 바의 위치 정보란, 예를 들면, 휴대측 표시부(12)의 화면 상의 좌표에 대응한다.
또한, 터치 스위치는 정전 용량 방식에 의한 것이어도 좋고, 저항막 방식에 의한 것이어도 좋으며, 다른 방식에 의한 것이어도 좋다. 또, 위치 정보는 화면을 사전 설정된 개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취급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각 영역을 특정하는 ID 등의 식별자이어도 좋다.
터치 패널부(14)는 휴대측 표시부(12)와 조작 검출부(13)가 일체화한 것으로서, 주제어부(16)의 지시에 따라서 휴대측 표시부(12)에 예를 들면, 버튼 표시를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한다. 또, 터치 패널부(14)는, 그 버튼 표시에 대한 조작이 실시된 경우에는, 조작이 실시된 버튼 표시의 위치를 조작 검출부(13)에서 검출하고, 그 위치 정보를 주제어부(16)에 입력한다. 터치 패널부(14)는 휴대 터치 패널에 상당한다.
서버 통신부(15)는 휴대 전화 기지국(3)과 무선 통신을 실시하고, 이 휴대 전화 기지국(3) 및 휴대 전화망이나 인터넷 등의 통신망을 통하여 서버(4)와 통신을 실시한다.
주제어부(16)는 통상의 컴퓨터로서 구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예를 들면, 주지의 CPU, ROM, EEPROM, RAM, I/O 및 이들의 구성을 접속하는 버스 라인(모두 도시하지 않음) 등이 구비되어 있다. 주제어부(16)는 휴대측 통신부(11), 터치 패널부(14), 서버 통신부(15)로부터 입력된 각종 정보에 기초하여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주제어부(16)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어플리케이션에 따른 화면을 터치 패널부(14)에 표시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그 화상 데이터에 따른 화면을 터치 패널부(14)에 표시한다.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는, ROM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좋고, 서버 통신부(15)에 의하여 휴대 전화 기지국(3)이나 네트워크 등의 통신망을 통해서 서버(4)로부터 다운로드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 주제어부(16)는 터치 패널부(14)로부터 입력되는 위치 정보를 토대로 터치 패널부(14)에 표시 중인 화면 상의 어느 버튼 표시에 대하여 조작이 실시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조작이 실시된 버튼 표시에 따른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주제어부(16)는 차량용 장치(2)와 휴대측 통신부(11)를 통하여 BT통신을 실시할 수 있도록 페어링 처리를 실시한다. 그리고 스마트폰(1)과 차량용 장치(2)의 BT통신이 확립되고, 터미널 모드가 사용되게 된 경우에는, 터치 패널부(14)에 표시하기 위해 생성한 화상 데이터나 표시 영역 정보를 휴대측 통신부(11)로부터 차량용 장치(2)로 송신한다.
여기에서 말하는 바의 화상 데이터는 예를 들면, 화소마다의 색정보이다. 또, 표시 영역 정보는 화면 사이즈=폭(W픽셀)×높이(H픽셀)나 해상도 등이다.
또, 여기에서 말하는 바의 터미널 모드란, 스마트폰(1)의 화면을 차량용 장치(2)에서 표시하는 것과 함께, 차량용 장치(2)로의 조작 입력에 의하여 스마트폰(1)을 조작하는 모드이다. 터미널 모드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부(14)로의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입력에 의하여 사용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도 좋고, 스마트폰(1)과 차량용 장치(2)의 BT통신이 확립되어 스마트폰(1)과 차량용 장치(2)가 접속된 경우에 자동적으로 사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나중에 상세히 서술하겠지만, 상기의 터미널 모드가 선택 중인 경우에는, 주제어부(16)는 휴대측 통신부(11)를 통하여 차량용 장치(2)로부터 입력되는 위치 정보를 토대로 터치 패널부(14)에 표시 중인 화면 상의 어느 버튼 표시에 대하여 조작이 실시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조작이 실시된 버튼 표시에 따른 처리를 실행한다.
도 1로 되돌아가서, 차량용 장치(2)는 자동차 등의 차량에 고정 또는 휴대 가능하게 탑재되는 것으로서, 화상을 표시한다. 차량용 장치(2)로서는 예를 들면, 차량용의 디스플레이 장치나 차량용 내비게이션 장치 등이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된 차량용 내비게이션 장치를 차량용 장치(2)로서 이용해도 좋고,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지 않는 차량용 내비게이션 장치와 디스플레이의 쌍을 차량용 장치(2)로서 이용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일례로서 차량용 장치(2)는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된 차량용 내비게이션 장치인 것으로 하여 이후의 설명한다.
여기에서, 도 3을 이용하여 차량용 장치(2)의 개략적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편의상, 차량용 장치(2)가 갖고 있는 기능에 관한 구성 중, 본 발명의 설명에 불필요한 것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차량용 장치(2)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용 장치(2)는 차량측 통신부(21), 차량측 표시부(22), 조작 입력부(23), 외부 입력 인터페이스(I/F)(24) 및 제어 장치(25)를 구비하고 있다.
차량측 통신부(21)는 스마트폰(1)간에 예를 들면, BT통신을 실시한다. 또한, 차량용 장치(2)와 스마트폰(1)간의 통신은 상기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에 의한 것이어도 좋고, 유선 통신에 의한 것이어도 좋다. 차량측 통신부(21)는 휴대측 통신부(11)로부터 송신된 표시 영역 정보나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 장치(25)에 입력한다. 또, 차량측 통신부(21)는 제어 장치(25)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제어 장치(25)로부터 출력되는 위치 정보를 휴대측 통신부(11)에 송신한다.
차량측 표시부(22)는 제어 장치(25)의 지시에 따른 화면 등을 표시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풀 컬러 표시가 가능한 것이고, 액정 디스플레이, 유기 EL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조작 입력부(23)는 예를 들면, 차량측 표시부(22)와 일체로 된 터치 스위치 또는 기계적 스위치, 또는 원격 스위치 등이 이용되고, 스위치 조작에 의해 제어 장치(25)에 각종 기능의 조작 지시를 실시한다. 따라서, 조작 입력부(23)는 차량측 조작 입력부에 상당한다. 또한, 조작 입력부(23)는 일부가 차량측 표시부(22)와 일체로 된 터치 스위치로 이루어지고, 다른 일부가 기계적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 입력부(23)의 적어도 일부가 차량측 표시부(22)와 일체로 된 터치 스위치(즉, 차량 탑재 터치 패널)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이후의 설명을 계속한다. 따라서, 차량측 표시부(22) 및 조작 입력부(23)는 차량 탑재 터치 패널에 상당한다. 또, 조작 입력부(23)의, 터치 스위치는 상기의 조작 검출부(13)와 마찬가지로, 차량측 표시부(22)에 표시한 화면 상의 어느 위치에 대하여 조작이 되었는지를 검출해서, 그 위치 정보를 제어 장치(25)에 입력한다.
외부 입력 I/F(24)는 제어 장치(25)가 차량의 각종 센서군으로부터의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면, 제어 장치(25)는 외부 입력 I/F(24)를 통하여 도시하지 않는 차속 센서로 검출된 차량의 속도(즉, 차속) 정보를 취득한다. 차속의 정보는 차속 센서로부터 직접 취득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고, ECU나 차량 탑재 LAN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취득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제어 장치(25)는 통상의 컴퓨터로서 구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예를 들면, 주지의 CPU, ROM, EEPROM, RAM, I/O 및 이들의 구성을 접속하는 버스 라인(모두 도시하지 않음) 등이 구비되어 있다. 제어 장치(25)는 차량측 통신부(21), 조작 입력부(23), 외부 입력 I/F(24)로부터 입력된 각종 정보에 기초하여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제어 장치(25)는 차량측 통신부(21)를 통하여 스마트폰(1)으로부터 송신된 화상 데이터(이하, 휴대 유래 화상 데이터)의 입력을 받아들인 경우에, 그 휴대 유래 화상 데이터에 따른 화상(이하, 차량측 생성 화상)을 생성하여 차량측 표시부(22)에 출력하고, 그 휴대 유래 화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화면을 차량측 표시부(22)에 표시한다. 제어 장치(25)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1)으로부터 송신된 표시 영역 정보를 토대로, 휴대 유래 화상 데이터의 사이즈나 해상도를 차량측 표시부(22)의 화면의 사이즈나 해상도로 변환한 차량측 생성 화상을 생성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마트폰(1)으로부터 송신된 표시 영역 정보를 토대로, 휴대 유래 화상 데이터의 사이즈나 해상도를 차량측 표시부(22)의 화면의 사이즈나 해상도로 변환하는 구성을 나타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휴대 유래 화상 데이터의 사이즈나 해상도의 변환의 비율을 고정값으로서 미리 제어 장치(25)의 ROM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에 유지해 두고, 이 고정값에 따라서 변환을 실시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스마트폰(1)으로부터 표시 영역 정보를 송신하는 구성으로 하지 않아도 좋다.
또, 제어 장치(25)는 차량 탑재 터치 패널로부터의 입력이 유효한 경우에는, 차량측 표시부(22)에 표시한 화면 상의 어느 위치에 대하여 조작이 되었는지의 위치 정보의 입력을 조작 입력부(23)로부터 받고, 그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스마트폰(1)의 터치 패널부(14)(상세하게는 휴대측 표시부(12))의 화면 상의 좌표를 조작 대상 영역으로서 특정한다. 해당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조작 대상 영역의 특정 방법으로서는, 휴대 유래 화상 데이터의 사이즈를 변환하여 차량측 생성 화상을 생성했을 때의 변환과 반대의 변환을 실시하는 것으로 특정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조작 대상 영역으로서 특정한 좌표를 나타내는 신호를 차량측 통신부(21)로부터 스마트폰(1)에 송신함으로써 스마트폰(1)의 터치 패널부(14)의 화면 상의 해당 조작 대상 영역을 조작한 경우와 동일한 입력을 스마트폰(1)에서 실시하게 한다.
정보 표시 시스템(100)에서는 터미널 모드 사용 중에 있어서, 스마트폰(1)과 차량용 장치(2) 중의 한쪽의 기기에 의하여 조작을 실시하고 있는 동안에는 다른쪽에 의한 조작을 금지한다. 또, 차량의 주행 중에는 차량용 장치(2)에 의한 조작을 금지하는 주행 강제를 실시하는 한편, 스마트폰(1)으로부터의 조작은 가능하게 한다. 정보 표시 시스템(100)에서는 이상의 2점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스마트폰(1)과 차량용 장치(2)가 접속되어 터미널 모드를 사용하는 동안, 사용자의 조작을 받아들이는 권리“조작권”을 설정한다.
조작권은 차량용 장치(2)가 관리하고, 디폴트에서는 차량용 장치(2)가 갖고, 조건에 따라서 차량용 장치(2)가 스마트폰(1)에 부여한다. 조작권에는 예를 들면, 조작권 A와 조작권 B의 2종류가 있는 것으로 한다. 조작권 A는 사용자가 스마트폰(1)을 조작했을 때에 스마트폰(1)이 차량용 장치(2)에 대하여 요구해서 부여받고, 조작이 종료된 후에 차량용 장치(2)로 반환하는 것이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바의 조작이 종료된 후란, 예를 들면, 터치 패널부(14)의 버튼 표시의 조작을 예로 들면, 이 버튼 표시마다 설정되어 있는 처리가 완료된 후를 나타낸다.
버튼 표시마다 설정되어 있는 처리란, 그 버튼 표시의 조작이 실시되고나서 다른 버튼 표시의 조작이 실시되기까지의 처리일 수 있다. 또, 그 버튼 표시의 조작이 실시된 경우에 다른 버튼 표시의 조작도 포함시켜서 실시되는 일련의 처리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목적지 설정을 예로 들면, 목적지 설정의 버튼 표시의 조작이 실시된 경우에, 목적지의 일본어 음절 문자 체계 입력을 실시하기 위한 버튼 표시의 조작을 포함하는, 목적지 설정이 완료되기까지의 일련의 처리가 해당된다.
조작권 B는 상기의 주행 강제가 실시된 경우에 차량용 장치(2)가 스마트폰(1)에 부여하고, 주행 강제가 해제된 경우에 차량용 장치(2)가 스마트폰(1)에 반환을 요구하여 받는 것이다. 조작권 A 및 조작권 B는 예를 들면, 사용자로부터의 조작을 받아들이는 권리를 나타내는 정보(이하, 권한 정보)이다.
그리고 스마트폰(1)에서는 조작권 A 및 조작권 B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갖고 있는 경우에 조작 가능하게 되고, 차량용 장치(2)에서는 조작권 A 및 조작권 B의 양쪽을 갖고 있는 경우에 조작 가능하게 된다. 또한, 조작권 A는 제 1 권한 정보에 상당하고, 조작권 B는 제 2 권한 정보에 상당한다.
여기에서, 스마트폰(1)과 차량용 장치(2)간의 조작권 A 및 조작권 B의 수수 및 조작의 허가의 상세에 대하여, 도 4∼도 6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4를 이용하여 스마트폰(1)에서의 조작권 A 및 조작권 B의 수수 및 조작의 허가의 상세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스마트폰(1)의 주제어부(16)에서의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의 흐름은 예를 들면, 스마트폰(1)과 차량용 장치(2)를 접속하여 터미널 모드의 사용이 개시되었을 때에 개시되고, 터미널 모드의 사용이 종료되었을 때에 종료된다. 또한, 도 4의 흐름에 있어서, 스마트폰(1)은 디폴트에서는 사용자로부터의 조작을 받아들여서 사용자 조작에 따른 처리를 실행할 수 없는(즉, 조작을 실시할 수 없는) 상태로 된다.
단계 S1에서는 제 1 타이머 카운트 처리를 실행하고, 단계 S2로 옮긴다. 제 1 타이머 카운트 처리에서는 제 1 타이머의 카운트를 초기화하고, 제 1 타이머의 카운트를 개시한다. 제 1 타이머는 예를 들면, 주제어부(16)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는 타이머 회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단계 S2에서는 스마트폰(1)에 대한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입력(즉, 사용자 조작)이 실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사용자 조작이 실시되었는지의 여부에 대해서는, 조작 검출부(13)로부터의 신호의 유무에 따라서 판정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조작이 실시되었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2에서 YES)에는 단계 S3로 옮긴다. 또, 사용자 조작이 실시되었다고 판정하지 않은 경우(단계 S2에서 NO)에는 단계 S9로 옮긴다.
단계 S3에서는 제 2 타이머 카운트 처리를 실행하고, 단계 S4로 옮긴다. 제 2 타이머 카운트 처리에서는 제 2 타이머의 카운트를 초기화하고, 제 2 타이머의 카운트를 개시한다. 제 2 타이머는 예를 들면, 주제어부(16)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는 타이머 회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단계 S4에서는 조작권 A를 유지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조작권 A를 유지하고 있는지의 여부는 조작권 A의 저장 장소로 되는 RAM 등의 메모리의 영역에 조작권 A가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서 판정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조작권 A를 유지하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4에서 YES)에는 단계 S5로 옮긴다. 또, 조작권 A를 유지하고 있다고 판정하지 않은 경우(단계 S4에서 NO)에는 단계 S6로 옮긴다. 단계 S5에서는 터치 패널부(14)로의 사용자 조작을 받아들이고, 그 사용자 조작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여, 단계 S1으로 되돌아가서 흐름을 반복한다.
단계 S6에서는 조작권 A 요구 처리를 실행하여 단계 S7으로 옮긴다. 조작권 A 요구 처리에서는 휴대측 통신부(11)로부터 조작권 A를 요구하는 신호를 차량용 장치(2)로 송신하여 차량용 장치(2)로부터 조작권 A를 송신시킨다. 그리고 차량용 장치(2)로부터 송신되는 조작권 A를 휴대측 통신부(11)를 통하여 취득한다.
단계 S7에서는 조작권 B를 유지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조작권 B를 유지하고 있는지의 여부는 조작권 B의 저장 장소로 되는 RAM 등의 메모리의 영역에 조작권 B가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서 판정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조작권 B를 유지하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7에서 YES)에는 단계 S5로 옮긴다. 또, 조작권 B를 유지하고 있다고 판정하지 않은 경우(단계 S7에서 NO)에는 단계 S8으로 옮긴다.
단계 S8에서는 제 2 타이머가 타임 아웃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제2 타이머가 타임 아웃되어 있는지는 제 2 타이머의 카운트가 사전 설정된 값 이상으로 되어 있는지에 따라서 판정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바의 사전 설정된 값이란, 임의로 설정 가능한 값으로서, 예를 들면, 수초분의 카운트값이다.
그리고 제 2 타이머가 타임 아웃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8에서 YES)에는 단계 S1으로 되돌아가서 흐름을 반복한다. 또, 제 2 타이머가 타임 아웃되어 있다고 판정하지 않은 경우(단계 S8에서 NO)에는 단계 S4로 되돌아가서 흐름을 반복한다.
단계 S9에서는 제 1 타이머가 타임 아웃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제 1 타이머가 타임 아웃되어 있는지는 제 1 타이머의 카운트가 사전 설정된 값 이상으로 되어 있는지에 따라서 판정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바의 사전 설정된 값이란, 임의로 설정 가능한 값으로서, 예를 들면, 수초분의 카운트값이다.
그리고 제 1 타이머가 타임 아웃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9에서 YES)에는 단계 S10으로 옮긴다. 또, 제 1 타이머가 타임 아웃되어 있다고 판정하지 않은 경우(단계 S9에서 NO)에는 단계 S2로 되돌아가서 흐름을 반복한다.
단계 S10에서는 조작권 A를 유지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조작권 A를 유지하고 있는지의 여부는 단계 S4와 마찬가지로, 판정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조작권 A를 유지하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10에서 YES)에는 단계 S11으로 옮긴다. 또, 조작권 A를 유지하고 있다고 판정하지 않은 경우(단계 S10에서 NO)에는 단계 S1으로 되돌아가서 흐름을 반복한다. 단계 S11에서는 유지하고 있는 조작권 A를 휴대측 통신부(11)로부터 차량용 장치(2)로 송신하여 조작권 A를 차량용 장치(2)로 반환하고, 단계 S1으로 되돌아가서 흐름을 반복한다.
계속해서, 차량용 장치(2)에서의 조작권 A 및 조작권 B의 관리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차량용 장치(2)의 제어 장치(25)에서의 조작권 A 및 조작권 B의 관리의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의 흐름은 예를 들면, 스마트폰(1)과 차량용 장치(2)를 접속하여 터미널 모드의 사용이 개시되었을 때에 개시되고, 터미널 모드의 사용이 종료되었을 때에 종료된다.
또, 차량용 장치(2)는 예를 들면, 터미널 모드의 사용이 개시되었을 때에 조작권 A 및 조작권 B를 생성하고, 조작권 A 및 조작권 B의 각각의 저장 장소로 되는 RAM 등의 메모리의 각 영역에 조작권 A 및 조작권 B를 저장한다. 그리고 터미널 모드의 사용이 종료되었을 때에는 조작권 A 및 조작권 B를 저장 장소로부터 소거한다.
우선, 단계 S31에서는 스마트폰(1)으로부터 조작권 A의 요구를 받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마트폰(1)으로부터 조작권 A의 요구를 받았는지의 여부는 조작권 A를 요구하는 신호의 입력을 차량측 통신부(21)를 통하여 받아들이고 있었는지의 여부에 따라서 판정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조작권 A의 요구를 받았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31에서 YES)에는 단계 S32로 옮긴다. 또, 조작권 A의 요구를 받았다고 판정하지 않은 경우(단계 S31에서 NO)에는 단계 S33로 옮긴다. 단계 S32에서는 유지하고 있는 조작권 A를 차량측 통신부(21)로부터 스마트폰(1)으로 송신하여 조작권 A를 스마트폰(1)으로 보내고, 단계 S33로 옮긴다.
단계 S33에서는 차량이 주행 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차량이 주행 중인지의 여부의 판단은 외부 입력 I/F(24)를 통하여 입력되는 차속의 정보를 토대로 차속이 실질적으로 0인지의 여부(예를 들면, 5㎞/h 이하인지의 여부 등)에 따라서 판단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이 주행 중이라고 판단한 경우(단계 S33에서 YES)에는 단계 S34로 옮긴다. 또, 차량이 주행 중이라고 판단하지 않은 경우(단계 S33에서 NO)에는 단계 S36로 옮긴다.
단계 S34에서는 조작권 B를 스마트폰(1)에 보내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조작권 B의 저장 장소로 되는 RAM 등의 메모리의 영역에 조작권 B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조작권 B를 스마트폰(1)에 보내고 있다고 판정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조작권 B를 보내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34에서 YES)에는 단계 S31으로 되돌아가서 흐름을 반복한다. 또, 조작권 B를 보내고 있다고 판정하지 않은 경우(단계 S34에서 NO)에는 단계 S35로 옮긴다.
단계 S35에서는 유지하고 있는 조작권 B를 차량측 통신부(21)로부터 스마트폰(1)으로 송신하여 조작권 B를 스마트폰(1)에 보내고, 단계 S31으로 되돌아가서 흐름을 반복한다.
단계 S36에서는 조작권 B를 스마트폰(1)에 보내고 있는지의 여부를 단계 S35와 마찬가지로, 판정한다. 그리고 조작권 B를 보내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36에서 YES)에는 단계 S37으로 옮긴다. 또, 조작권 B를 보내고 있다고 판정하지 않은 경우(단계 S36에서 NO)에는 단계 S31으로 되돌아가서 흐름을 반복한다.
단계 S37에서는 차량측 통신부(21)로부터 조작권 B를 요구하는 신호를 스마트폰(1)으로 송신하여 스마트폰(1)으로부터 조작권 B를 반환시킨다. 그리고 스마트폰(1)으로부터 반환되는 조작권 B를 차량측 통신부(21)를 통하여 취득한다.
계속해서, 도 6을 이용하여 차량용 장치(2)에서의 조작권 A 및 조작권 B의 수수 및 조작의 허가의 상세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차량용 장치(2)의 제어 장치(25)에서의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의 흐름은 예를 들면, 스마트폰(1)과 차량용 장치(2)를 접속하여 터미널 모드의 사용이 개시되었을 때에 개시되고, 터미널 모드의 사용이 종료되었을 때에 종료된다. 또한, 도 6의 흐름에 있어서, 차량용 장치(2)는 디폴트에서는 사용자로부터의 조작을 받아들여서 사용자 조작에 따른 처리를 실행할 수 없는(즉, 조작을 실시할 수 없는) 상태로 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우선, 단계 S51은 차량용 장치(2)에 대한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입력(즉, 사용자 조작)이 실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사용자 조작이 실시되었는지의 여부에 대해서는, 조작 입력부(23)로부터의 신호의 유무에 따라서 판정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조작이 실시되었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51에서 YES)에는 단계 S2로 옮긴다. 또, 사용자 조작이 실시되었다고 판정하지 않은 경우(단계 S51에서 NO)에는 단계 S51의 흐름을 반복한다.
단계 S52에서는 조작권 A를 스마트폰(1)에 보내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조작권 A의 저장 장소로 되는 RAM 등의 메모리의 영역에 조작권 A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조작권 A를 스마트폰(1)에 보내고 있다고 판정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조작권 A를 보내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52에서 YES)에는 단계 S51으로 되돌아가서 흐름을 반복한다. 또, 조작권 A를 보내고 있다고 판정하지 않은 경우(단계 S52에서 NO)에는 단계 S53로 옮긴다.
단계 S53에서는 조작권 B를 스마트폰(1)에 보내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조작권 B의 저장 장소로 되는 RAM 등의 메모리의 영역에 조작권 B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조작권 B를 스마트폰(1)에 보내고 있다고 판정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조작권 B를 보내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53에서 YES)에는 단계 S51으로 되돌아가서 흐름을 반복한다. 또, 조작권 B를 보내고 있다고 판정하지 않은 경우(단계 S53에서 NO)에는 단계 S54로 옮긴다. 단계 S54에서는 조작 입력부(23)로의 사용자 조작을 받아들이고, 그 사용자 조작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고, 단계 S51으로 되돌아가서 흐름을 반복한다.
이상의 구성에 따르면, 스마트폰(1)과 차량용 장치(2)를 통신 접속 중이고, 또한, 차량이 주행 중이 아닌 경우에는, 스마트폰(1)과 차량용 장치(2) 중, 먼저 조작 입력이 실시된 측의 조작 중에는 먼저 조작 입력이 실시된 측만을 조작 가능하게 하기(바꾸어 말하면, 한쪽의 기기가 조작 중인 상태에서 다른쪽의 기기의 조작이 실시된 경우에, 먼저 조작 입력이 실시된 측만을 조작할 수 있게 하기) 때문에 스마트폰(1)과 차량용 장치(2)가 양자에 의하여 동시에 조작된 경우에도 먼저 조작한 측만을 조작 가능하게 하여, 양자 동시 조작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통신 접속 중이고, 또한,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에는 스마트폰(1)만을 조작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차량이 주행 중인지의 여부를 불문하고, 양자 동시 조작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바의 조작 중이란, 터치 패널의 버튼 표시의 조작을 예로 들면, 이 버튼 표시마다 설정되어 있는 처리가 개시되고나서 종료되기까지의 사이를 나타낸다. 기계적 스위치의 경우에는 예를 들면, 한 번의 스위치 조작에 대하여 실행되는 처리가 개시되고나서 종료되기까지의 사이를 나타낸다.
또한,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에는 차량용 장치(2)의 조작을 실시할 수 없게 하기 때문에 운전자가 차량을 운전하면서 차량용 장치(2)를 조작하는 것을 막고, 운전 조작의 집중을 방해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통신 접속 중이고, 또한,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에도 스마트폰(1)은 조작 가능하기 때문에 운전자 이외의 탑승자가 스마트폰(1)을 조작하여 차량용 장치(2)에 스마트폰(1)의 화면을 표시시킬 수 있어서, 탑승자에 있어서의 편리성이 손상되기 어렵다.
여기에서, 본 개시에 있어서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도 7(a), 도 7(b), 도 7(c), 도 7(d)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7(a), 도 7(b), 도 7(c), 도 7(d)는 본 개시에 있어서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또한, 도 7(a), 도 7(b), 도 7(c), 도 7(d)의 예에 있어서는, 스마트폰(1)과 차량용 장치(2)를 통신 접속 중이다.
차량이 주행 중이 아닌 경우(즉, 주정차 중)로서, 스마트폰(1)에 조작 입력이 실시된 경우에는 스마트폰(1)이 조작권 A를 갖고, 차량용 장치(2)가 조작권 B를 갖기 때문에 스마트폰(1)만이 조작 가능하게 된다(도 7(a) 참조). 또, 정차 중으로서, 차량용 장치(2)에 조작 입력이 실시된 경우에는 차량용 장치(2)가 조작권 A 및 조작권 B의 양쪽을 갖기 때문에 차량용 장치(2)만이 조작 가능하게 된다(도 7(b) 참조).
또한,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로서, 스마트폰(1)에 조작 입력이 실시된 경우에는 스마트폰(1)이 조작권 A 및 조작권 B를 갖기 때문에 스마트폰(1)만이 조작 가능하게 된다. 또,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로서, 차량용 장치(2)에 조작 입력이 실시된 경우에는 스마트폰(1)이 조작권 B를 갖고, 차량용 장치(2)가 조작권 A를 갖기 때문에 스마트폰(1)만이 조작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개시에 있어서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또한 도 8 및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차량 내에 운전자 외에 동승자도 존재하고, 차량용 장치(2)와 터미널 모드로 접속된 스마트폰(1)을 동승자가 옆에 두고 있는 케이스를 상정한다. 그리고 이 스마트폰(1) 상의 어플리케이션(음악 재생 등)을 사용하는 데, 운전자가 차량용 장치(2)에 조작 입력을 실시하는 한편, 동승자는 스마트폰(1)에 조작 입력을 실시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8은 차량이 주정차 중에 있어서의 정보 표시 시스템(100)에서의 조작과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또, 도 9는 차량의 주행 개시로부터 정차에 걸쳐서의 정보 표시 시스템(100)에서의 조작과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우선, 도 8을 이용하여 차량이 주정차 중인 경우에 정보 표시 시스템(100)에서의 조작과 처리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 8의 예에서는 차량이 주차 중이기 때문에 조작권 B는 차량용 장치(2)가 계속 유지하게 된다.
스마트폰(1)의 사용자 조작과 차량용 장치(2)의 사용자 조작 중, 스마트폰(1)의 사용자 조작쪽이 먼저 실시되면(t1), 스마트폰(1)으로부터 차량용 장치(2)로 조작권 A를 요구하는 신호가 송신된다(t2). 계속해서, 차량용 장치(2)에서는 스마트폰(1)으로부터의 조작권 A의 요구를 받아들이면, 스마트폰(1)에 조작권 A를 보내는 것으로 조작권 A를 부여한다(t3). 조작권 A를 부여받은 스마트폰(1)에서는 사용자 조작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조작 입력을 받아들인다(t4).
사용자 조작이 가능하게 된 스마트폰(1)에 있어서, 사용자 조작이 연속하여 실시되고 있는 동안에, 그 사용자 조작(t5, t7)에 의한 조작 입력을 계속해서 받아들이게 된다(t6, t8). 한편, 조작권 A를 스마트폰(1)에 부여한 차량용 장치(2)에서는 조작권 B밖에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 조작이 가능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 조작(t9, t11, t13)에 의한 조작 입력이 계속해서 거부되게 된다(t10, t12, t14). 즉, 차량용 장치(2)로부터의 조작 입력을 받아들이지 않기 때문에 조작할 수 있는 것은 동승자만으로 된다.
그 후, 스마트폰(1)에서의 사용자 조작이 사전 설정된 시간동안 실시되지 않은 경우(예를 들면, 5초 등)에 스마트폰(1)으로부터 조작권 A가 차량용 장치(2)로 반환된다(t15). 스마트폰(1)으로부터 조작권 A가 차량용 장치(2)로 반환되면, 차량용 장치(2)가 조작권 A 및 조작권 B를 갖게 되기 때문에 차량용 장치(2)가 사용자 조작 가능하게 된다.
차량용 장치(2)가 사용자 조작 가능하게 된 상태에 있어서, 스마트폰(1)의 사용자 조작과 차량용 장치(2)의 사용자 조작 중, 차량용 장치(2)의 사용자 조작쪽이 먼저 실시되면(t16), 차량용 장치(2)에서는 사용자 조작에 의한 조작 입력을 받아들인다(t17). 차량용 장치(2)의 사용자 조작보다 늦게 스마트폰(1)의 사용자 조작이 실시되면(t18), 스마트폰(1)으로부터 차량용 장치(2)로 조작권 A를 요구하는 신호가 송신(t19)된 경우이어도 차량용 장치(2)에서는 그 신호를 무시한다(t20).
사용자 조작이 가능하게 된 차량용 장치(2)에 있어서, 사용자 조작이 연속하여 실시되고 있는 동안에는, 그 사용자 조작(t21, t23)에 의한 조작 입력을 계속해서 받아들이게 된다(t22, t24). 한편, 차량용 장치(2)의 사용자 조작이 사전 설정된 시간(예를 들면, 5초 등)동안 실시되지 않을 때 까지는 스마트폰(1)의 사용자 조작(t25)에 의하여 스마트폰(1)으로부터 차량용 장치(2)로 조작권 A를 요구하는 신호가 송신된(t26) 경우이어도 차량용 장치(2)에서는 그 신호를 무시한다(t27). 즉, 스마트폰(1)으로부터의 조작 입력을 받아들이지 않기 때문에 조작할 수 있는 것은 운전자만으로 된다.
그 후, 스마트폰(1)에서의 사용자 조작이 사전 설정된 시간동안 실시되지 않은 경우(예를 들면, 5초)에 있어서, 스마트폰(1)의 사용자 조작과 차량용 장치(2)의 사용자 조작 중, 스마트폰(1)의 사용자 조작쪽이 먼저 실시되는(t28) 것으로 한다. 이 경우에는, 스마트폰(1)으로부터 차량용 장치(2)로 조작권 A를 요구하는 신호가 송신되면(t29), 차량용 장치(2)로부터 스마트폰(1)으로의 조작권 A의 부여가 실시된다(t30). 조작권 A의 부여를 받은 스마트폰(1)에서는 사용자 조작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조작 입력을 받아들인다(t31). 이후에 대해서는, 상기한 것과 마찬가지로 스마트폰(1)의 사용자 조작이 연속해서 실시되고 있는 동안에는, 그 사용자 조작(t32)에 의한 조작 입력을 계속해서 받아들이게 된다(t33).
계속해서, 도 9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행 개시로부터 정차에 걸쳐서의 정보 표시 시스템(100)에서의 조작과 처리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차량의 주행이 개시되면(t101), 차량용 장치(2)가 스마트폰(1)에 조작권 B를 보내는 것으로 조작권 B를 부여한다(t102). 조작권 B의 부여를 받은 스마트폰(1)에서는 사용자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 조작이 가능하게 된 스마트폰(1)에서는 사용자 조작(t103, t105, t107)에 의한 조작 입력을 계속해서 받아들이게 된다(t104, t106, t108).
한편, 조작권 B를 스마트폰(1)에 부여한 차량용 장치(2)에서는 적어도 조작권 B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 조작이 가능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 조작(t109, t111, t113)에 의한 조작 입력이 계속해서 거부되게 된다(t110, t112, t114). 즉, 차량용 장치(2)로부터의 조작 입력을 받아들이지 않기 때문에 조작할 수 있는 것은 동승자만으로 된다.
그 후, 차량이 정차하면(t115), 차량용 장치(2)로부터 스마트폰(1)에 조작권 B의 반환을 요구하는 신호가 송신된다(t116). 스마트폰(1)에서는 차량용 장치(2)로부터의 조작권 B의 반환의 요구를 받아들이면, 차량용 장치(2)에 조작권 B를 반환한다(t117).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권 A와 조작권 B를 이용하는 구성을 나타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조작권 A와 조작권 B를 이용하는 대신에, 사용자로부터의 조작을 받아들이는 것을 금지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이하, 금지 정보)와 조작권 A를 이용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스마트폰(1)에서는 조작권 A를 갖고 있는 경우에 조작 가능하게 되고, 차량용 장치(2)에서는 조작권 A를 갖고 있으며, 또한, 금지 정보를 갖고 있지 않은 경우에 조작 가능하게 된다. 또한, 조작권 A는 권한 정보에 상당한다.
금지 정보는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에 차량용 장치(2)에서 생성하여 유지하는 한편, 차량이 주행 중이 아닌 경우에는 소거되며, 예를 들면, 플래그에 의해 표시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에 사용자로부터의 조작을 받아들이는 것을 금지하는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이하, 금지 플래그 C)를 세트하고, 차량이 주행 중이 아닌 경우에는 금지 플래그 C를 리셋한다.
이에 따르면, 통신 접속 중이고, 또한, 차량이 주행 중이 아닌 경우로서, 스마트폰(1)에 조작 입력이 실시된 경우에는 스마트폰(1)이 조작권 A를 갖고, 차량용 장치(2)에서 조작권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스마트폰(1)만이 조작 가능하게 된다. 또, 통신 접속 중이고, 또한, 차량이 주행 중이 아닌 경우로서, 차량용 장치(2)에 조작 입력이 실시된 경우에는 차량용 장치(2)가 조작권 A를 갖고 있으며, 또한, 금지 플래그 C가 리셋되어 있는(즉, 금지 정보를 갖고 있지 않은) 한편, 스마트폰(1)이 조작권 A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차량용 장치(2)만이 조작 가능하게 된다.
또한, 통신 접속 중이고, 또한,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로서, 스마트폰(1)에 조작 입력이 실시된 경우에는 스마트폰(1)이 조작권 A를 갖고, 차량용 장치(2)가 조작권 A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휴대 단말만이 조작 가능하게 된다. 또, 통신 접속 중이고, 또한,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로서, 차량용 장치(2)에 조작 입력이 실시된 경우에는 차량용 장치(2)가 조작권 A를 갖고 있으며, 또한, 금지 플래그 C가 세트되어 있기(즉, 금지 정보를 갖고 있기) 때문에 차량용 정보(2)는 조작 가능하지 않게 된다. 또, 스마트폰(1)도 조작권 A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스마트폰(1)도 조작 가능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상의 구성에 의해서도 스마트폰(1)과 차량용 장치(2)를 접속하여 스마트폰(1)의 화면을 차량용 장치(2)에서 표시하는 경우에 있어서, 스마트폰(1)과 차량용 장치(2)의 양자 동시 조작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하는 것과 함께, 운전 조작의 집중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면서도 탑승자에 있어서의 편리성을 보다 손상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스마트폰(1)과 차량용 장치(2)가 공동하여, 구체적으로는, 조작권 A와 조작권 B를 이용하여 동시 조작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하는 구성을 나타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차량용 장치(2)만으로 오작동을 방지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예를 들면, 차량용 장치(2)가 스마트폰(1)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조작 입력이 실시된 것을 추정하여, 동시 조작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차량용 장치(2)는 스마트폰(1)으로부터 수신한 휴대 유래 화상 데이터를 분석하고, 예를 들면, 차량용 장치(2)의 조작 입력부(23)로부터의 조작 입력이 실시되어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조작 화면이 천이한 경우에 스마트폰(1)에 대하여 사용자 조작 입력이 실시된 것을 추정하여, 사전 설정된 시간, 차량용 장치(2)의 조작 입력부(23)로부터의 조작 입력을 무효로 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에 따르면, 차량용 장치(2)만으로 스마트폰(1) 조작 중의 차량용 장치(2)의 조작을 금지할 수 있고, 스마트폰(1)이 차량용 장치(2)에 비대응이고, 양 기기가 공동하여 조작 권한을 관리하는 것이 곤란한 상황이어도 동시 조작에 의한 오작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차량용 장치(2)는 스마트폰(1)의 상황에 따라서 상기의 양 기기가 공동하여 조작을 유효 내지 무효로 제어하는 형태와, 차량용 장치(2)만으로 조작을 유효 내지 무효로 제어하는 형태를 구분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 스마트폰(1)만으로 오작동을 방지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예를 들면, 통상은 스마트폰(1)의 조작 검출부(13)에서 검출된 조작을 우선하여 채용하고, 차량용 장치(2)로부터 수신한 조작 정보인 위치 정보는 채용하지 않는다. 한편, 차량용 장치(2)만의 조작 중(차량용 장치(2)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나서 사전 설정된 시간)에는 차량용 장치(2)로부터 수신한 조작을 우선하여 채용하고, 스마트폰(1)의 조작 검출부(13)에서 검출된 조작을 무효로 하도록 전환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스마트폰(1)만으로 스마트폰(1) 조작 중의 차량용 장치(2)의 조작을 금지할 수 있고, 차량용 장치(2)에서의 처치는 없어도 스마트폰(1)측의 변경만으로 동시 조작에 의한 오작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권”을 차량용 장치(2)만이 관리하는 구성을 나타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조작권”을 스마트폰(1)에서도 관리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용 장치(2)가 관리하는 상기의 조작권 A 대신에, 스마트폰(1)이 관리하는 조작권 C를 이용하는 구성(이하, 변형예 1)으로 해도 좋다. 이하에서는, 이 변형예 1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상기의 실시 형태의 설명에 이용한 도면에 나타낸 부재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변형예 1에 있어서는, “조작권”으로서 조작권 B와 조작권 C의 2종류가 있는 것으로 한다. 조작권 B는 상기한 조작권 B와 동일한 것이다. 또, 조작권 C는 사용자가 차량용 장치(2)를 조작했을 때에 차량용 장치(2)가 스마트폰(1)에 대하여 요구해서 부여받고, 조작이 종료된 후에 스마트폰(1)에 반환하는 것이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바의 조작이 종료된 후란, 차량 탑재 터치 패널의 버튼 표시의 조작을 예로 들면, 이 버튼 표시마다 설정되어 있는 처리가 완료된 후를 나타낸다. 버튼 표시마다 설정되어 있는 처리란, 그 버튼 표시의 조작이 실시되고나서 다른 버튼 표시의 조작이 실시되기까지의 처리이어도 좋다. 또, 그 버튼 표시의 조작이 실시된 경우에 다른 버튼 표시의 조작도 포함시켜서 실시되는 일련의 처리이어도 좋다. 목적지 설정을 예로 들면, 목적지 설정의 버튼 표시의 조작이 실시된 경우에 목적지의 일본어 음절 문자 체계 입력을 실시하기 위한 버튼 표시의 조작도 포함하는, 목적지 설정이 완료되기까지의 일련의 처리가 해당된다.
또, 조작권 B의 수수와 조작권 C의 수수는 서로 독립하여 실시된다. 조작권 B 및 조작권 C는 상기의 권한 정보이다.
그리고 스마트폰(1)에서는 조작권 B 및 조작권 C 중 어느 하나를 갖고 있는 경우에 조작 가능하게 되고, 차량용 장치(2)에서는 조작권 B 및 조작권 C의 양쪽을 갖고 있는 경우에 조작 가능하게 된다.
여기에서, 스마트폰(1)과 차량용 장치(2)간의 조작권 B의 수수 및 조작권 C의 관리 및 조작의 허가의 상세에 대하여 도10∼도 12를 이용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10을 이용하여 스마트폰(1)에서의 조작권 B의 수수 및 조작권 C의 관리와 수수 및 조작의 허가의 상세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변형예 1에 있어서의 스마트폰(1)의 주제어부(16)에서의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의 흐름은 예를 들면, 스마트폰(1)과 차량용 장치(2)를 접속하여 터미널 모드의 사용이 개시되었을 때에 개시되고, 터미널 모드의 사용이 종료되었을 때에 종료된다. 또한, 도 10의 흐름에 있어서, 스마트폰(1)은 디폴트에서는 사용자로부터의 조작을 받아들여서 사용자 조작에 따른 처리를 실행할 수 없는(즉, 조작을 실시할 수 없는) 상태로 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 스마트폰(1)은 예를 들면, 터미널 모드의 사용이 개시되었을 때에 조작권 C를 생성하고, 조작권 C의 저장 장소로 되는 RAM 등의 메모리의 영역에 조작권 C를 저장한다. 그리고 터미널 모드의 사용이 종료되었을 때에는 조작권 C를 저장 장소로부터 소거한다.
단계 S51에서는 단계 S1과 마찬가지로, 제 1 타이머 카운트 처리를 실행하고, 단계 S52로 옮긴다. 단계 S52에서는 단계 S2와 마찬가지로, 스마트폰(1)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실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사용자 조작이 실시되었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52에서 YES)에는 단계 S53로 옮긴다. 또, 사용자 조작이 실시되었다고 판정하지 않은 경우(단계 S52에서 NO)에는 단계 S57으로 옮긴다. 단계 S53에서는 단계 S3와 마찬가지로, 제 2 타이머 카운트 처리를 실행하고, 단계 S54로 옮긴다.
단계 S54에서는 조작권 C를 차량용 장치(2)에 보내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조작권 C의 저장 장소로 되는 RAM 등의 메모리의 영역에 조작권 C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조작권 C를 차량용 장치(2)에 보내고 있다고 판정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조작권 C를 보내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54에서 YES)에는 단계 S55로 옮긴다. 또, 조작권 C를 보내고 있다고 판정하지 않은 경우(단계 S54에서 NO)에는 단계 S60로 옮긴다.
단계 S55에서는 단계 S7과 마찬가지로, 조작권 B를 유지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조작권 B를 유지하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55에서 YES)에는 단계 S60로 옮긴다. 또, 조작권 B를 유지하고 있다고 판정하지 않은 경우(단계 S55에서 NO)에는 단계 S56로 옮긴다.
단계 S56에서는 단계 S8과 마찬가지로, 제 2 타이머가 타임 아웃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제 2 타이머가 타임 아웃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56에서 YES)에는 단계 S51으로 되돌아가서 흐름을 반복한다. 또, 제 2 타이머가 타임 아웃되어 있다고 판정하지 않은 경우(단계 S56에서 NO)에는 단계 S54로 되돌아가서 흐름을 반복한다.
단계 S57에서는 단계 S9과 마찬가지로, 제 1 타이머가 타임 아웃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제 1 타이머가 타임 아웃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57에서 YES)에는 단계 S58으로 옮긴다. 또, 제 1 타이머가 타임 아웃되어 있다고 판정하지 않은 경우(단계 S57에서 NO)에는 단계 S52로 되돌아가서 흐름을 반복한다.
단계 S58에서는 차량용 장치(2)로부터 조작권 C의 요구를 받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차량용 장치(2)로부터 조작권 C의 요구를 받았는지의 여부는 조작권 C를 요구하는 신호의 입력을, 휴대측 통신부(11)를 통하여 받아들이고 있었는지의 여부에 따라서 판정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조작권 C의 요구를 받았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58에서 YES)에는 단계 S59으로 옮긴다. 또, 조작권 C의 요구를 받았다고 판정하지 않은 경우(단계 S58에서 NO)에는 단계 S51으로 되돌아가서 흐름을 반복한다.
단계 S59에서는 유지하고 있는 조작권 C를 휴대측 통신부(11)로부터 차량용 장치(2)로 송신하여 조작권 C를 차량용 장치(2)에 보내고, 단계 S51으로 되돌아가서 흐름을 반복한다. 단계 S60에서는 터치 패널부(14)로의 사용자 조작을 받아들이고, 그 사용자 조작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고, 단계 S51으로 되돌아가서 흐름을 반복한다.
계속해서, 도 11을 이용하여 차량용 장치(2)에서의 조작권 B의 관리의 상세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변형예 1에 있어서의 차량용 장치(2)의 제어 장치(25)에서의 조작권 B의 관리의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의 흐름은 예를 들면, 스마트폰(1)과 차량용 장치(2)를 접속하여 터미널 모드의 사용이 개시되었을 때에 개시되고, 터미널 모드의 사용이 종료되었을 때에 종료된다.
또, 차량용 장치(2)는 예를 들면, 터미널 모드의 사용이 개시되었을 때에 조작권 B를 생성하고, 조작권 B의 저장 장소로 되는 RAM 등의 메모리의 영역에 조작권 B를 저장한다. 그리고 터미널 모드의 사용이 종료되었을 때에는 조작권 B를 저장 장소로부터 소거한다.
우선, 단계 S71에서는 단계 S33와 마찬가지로, 차량이 주행 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차량이 주행 중이라고 판단한 경우(단계 S71에서 YES)에는 단계 S72로 옮긴다. 또, 차량이 주행 중이라고 판단하지 않은 경우(단계 S71에서 NO)에는 단계 S74로 옮긴다.
단계 S72에서는 단계 S34와 마찬가지로, 조작권 B를 스마트폰(1)에 보내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조작권 B를 보내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72에서 YES)에는 단계 S71으로 되돌아가서 흐름을 반복한다. 또, 조작권 B를 보내고 있다고 판정하지 않은 경우(단계 S72에서 NO)에는 단계 S73로 옮긴다.
단계 S73에서는 유지하고 있는 조작권 B를 차량측 통신부(21)로부터 스마트폰(1)으로 송신하여 조작권 B를 스마트폰(1)에 보내고, 단계 S71으로 되돌아가서 흐름을 반복한다.
단계 S74에서는 단계 S36와 마찬가지로, 조작권 B를 스마트폰(1)에 보내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조작권 B를 보내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74에서 YES)에는 단계 S75로 옮긴다. 또, 조작권 B를 보내고 있다고 판정하지 않은 경우(단계 S74에서 NO)에는 단계 S71으로 되돌아가서 흐름을 반복한다.
단계 S75에서는 차량측 통신부(21)로부터 조작권 B를 요구하는 신호를 스마트폰(1)에 송신하여 스마트폰(1)으로부터 조작권 B를 반환시킨다. 그리고 스마트폰(1)으로부터 반환되는 조작권 B를 차량측 통신부(21)를 통하여 취득한다.
계속해서, 도 12를 이용하여 차량용 장치(2)에서의 조작권 B 및 조작권 C의 수수 및 조작의 허가의 상세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는 변형예 1에 있어서의 차량용 장치(2)의 제어 장치(25)에서의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의 흐름은 예를 들면, 스마트폰(1)과 차량용 장치(2)를 접속하여 터미널 모드의 사용이 개시되었을 때에 개시되고, 터미널 모드의 사용이 종료되었을 때에 종료된다. 또한, 도 12의 흐름에 있어서, 차량용 장치(2)는 디폴트에서는 사용자로부터의 조작을 받아들여서 사용자 조작에 따른 처리를 실행할 수 없는(즉, 조작을 실시할 수 없는) 상태로 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우선, 단계 S91에서는 제 3 타이머 카운트 처리를 실행하고, 단계 S92로 옮긴다. 제 3 타이머 카운트 처리에서는 제 3 타이머의 카운트를 초기화하고, 제 3 타이머의 카운트를 개시한다. 제 3 타이머는 예를 들면, 제어 장치(25)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는 타이머 회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단계 S92에서는 단계 S51과 마찬가지로, 차량용 장치(2)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실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사용자 조작이 실시되었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92에서 YES)에는 단계 S93로 옮긴다. 또, 사용자 조작이 실시되었다고 판정하지 않은 경우(단계 S92에서 NO)에는 단계 S99으로 옮긴다.
단계 S93에서는 제 4 타이머 카운트 처리를 실행하고, 단계 S94로 옮긴다. 제 4 타이머 카운트 처리에서는 제 4 타이머의 카운트를 초기화하고, 제 4 타이머의 카운트를 개시한다. 제 4 타이머는 예를 들면, 제어 장치(25)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는 타이머 회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단계 S94에서는 조작권 C를 유지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조작권 C를 유지하고 있는지의 여부는 조작권 C의 저장 장소로 되는 RAM 등의 메모리의 영역에 조작권 C가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서 판정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조작권 C를 유지하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94에서 YES)에는 단계 S95로 옮긴다. 또, 조작권 C를 유지하고 있다고 판정하지 않은 경우(단계 S94에서 NO)에는 단계 S96로 옮긴다.
단계 S95에서는 단계 S53와 마찬가지로, 조작권 B를 스마트폰(1)에 보내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조작권 B를 보내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95에서 YES)에는 단계 S97으로 옮긴다. 또, 조작권 B를 보내고 있다고 판정하지 않은 경우(단계 S95에서 NO)에는 단계 S98으로 옮긴다.
단계 S96에서는 조작권 C 요구 처리를 실행하여 단계 S97으로 옮긴다. 조작권 C 요구 처리에서는 차량측 통신부(21)로부터 조작권 C를 요구하는 신호를 스마트폰(1)에 송신하여 스마트폰(1)으로부터 조작권 C를 송신시킨다. 그리고 스마트폰(1)으로부터 송신되는 조작권 C를 차량측 통신부(21)를 통하여 취득한다.
단계 S97에서는 제 4 타이머가 타임 아웃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제 4 타이머가 타임 아웃되어 있는지는 제 4 타이머의 카운트가 사전 설정된 값 이상으로 되어 있는지에 따라서 판정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바의 사전 설정된 값이란, 임의로 설정 가능한 값으로서, 예를 들면, 수초분의 카운트값이다.
그리고 제 4 타이머가 타임 아웃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97에서 YES)에는 단계 S91으로 되돌아가서 흐름을 반복한다. 또, 제 4 타이머가 타임 아웃되어 있다고 판정하지 않은 경우(단계 S97에서 NO)에는 단계 S94로 되돌아가서 흐름을 반복한다.
단계 S98에서는 조작 입력부(23)로의 사용자 조작을 받아들여서, 그 사용자 조작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고, 단계 S91으로 되돌아가서 흐름을 반복한다.
또, 단계 S99에서는 제 3 타이머가 타임 아웃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제 3 타이머가 타임 아웃되어 있는지는 제 3 타이머의 카운트가 사전 설정된 값 이상으로 되어 있는지에 따라서 판정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바의 사전 설정된 값이란, 임의로 설정 가능한 값으로서, 예를 들면, 수초분의 카운트값이다.
그리고 제 3 타이머가 타임 아웃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99에서 YES)에는 단계 S100로 옮긴다. 또, 제 3 타이머가 타임 아웃되어 있다고 판정하지 않은 경우(단계 S99에서 NO)에는 단계 S92로 되돌아가서 흐름을 반복한다.
단계 S100에서는 단계 S94와 마찬가지로, 조작권 C를 유지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조작권 C를 유지하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100에서 YES)에는 단계 S101으로 옮긴다. 또, 조작권 C를 유지하고 있다고 판정하지 않은 경우(단계 S100에서 NO)에는 단계 S91으로 되돌아가서 흐름을 반복한다. 단계 S101에서는 유지하고 있는 조작권 C를 차량측 통신부(21)로부터 스마트폰(1)으로 송신하여 조작권 C를 스마트폰(1)으로 반환하고, 단계 S91으로 되돌아가서 흐름을 반복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스마트폰(1)과 차량용 장치(2)가 양자에 의하여 동시에 조작된 경우에도 먼저 조작한 측만을 조작 가능하게 하여, 양자 동시 조작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통신 접속 중이고, 또한,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에는 스마트폰(1)만을 조작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차량이 주행 중인지의 여부를 불문하고 양자 동시 조작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휴대 단말로서, 터치 패널을 이용하여 조작 입력을 실시하는 이른바 터치 패널식 휴대 전화기를 이용하는 구성을 나타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휴대 단말로서, 터치 패널을 이용하지 않는 휴대 전화기나 PDA 등의 다른 휴대 단말을 이용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의 정보 표시 시스템에 따르면, 차량용 장치와 휴대 단말이 통신에 의하여 접속 중(이하, 통신 접속 중)에는 휴대 단말과 차량용 장치 중, 먼저 조작 입력이 실시된 측의 조작 중에는 먼저 조작 입력이 실시된 측만을 조작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휴대 단말과 차량용 장치가 양자에 의하여 동시에 조작된 경우에도 먼저 조작한 측만을 조작 가능하게 하여, 양자 동시 조작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차량용 장치와 상기 휴대 단말이 통신에 의하여 접속 중이고, 또한, 상기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에는 상기 차량용 장치를 조작 불가능하게 하는 한편, 상기 휴대 단말을 조작 가능하게 해도 좋다. 이에 따르면, 통신 접속 중이고, 또한,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에는 휴대 단말만을 조작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차량이 주행 중인지의 여부를 불문하고 양자 동시 조작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에는 차량용 장치의 조작을 실시할 수 없게 하기 때문에 운전자가 차량을 운전하면서 차량용 장치를 조작하는 것을 방지하여, 운전 조작의 집중을 방해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접속 중이고, 또한,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에도 휴대 단말은 조작 가능하기 때문에 운전자 이외의 탑승자가 휴대 단말을 조작하여 차량용 장치에 휴대 단말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어서, 탑승자에 있어서의 편리성이 손상되기 어렵다.
또, 차량용 장치와 휴대 단말이 통신에 의하여 접속하는 경우에 사용자로부터의 조작을 받아들이는 권리를 나타내는 정보인 권한 정보로서, 제 1 권한 정보 및 제 2 권한 정보를 상기 차량용 장치에 유지시키고, 휴대 단말은 휴대측 조작 입력부에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입력이 실시된 경우에 휴대측 통신부를 통하여 차량용 장치에 유지되어 있는 제 1 권한 정보를 취득하는 한편, 해당 조작 입력에 따른 처리가 종료된 후에 휴대측 통신부를 통하여 해당 제 1 권한 정보를 차량용 장치에 반환하고, 차량용 장치는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에 차량측 통신부를 통하여 유지하고 있던 제 2 권한 정보를 휴대 단말에 보내는 한편, 차량이 주행 중이 아닌 경우에는 차량측 통신부를 통하여 휴대 단말로부터 해당 제 2 권한 정보의 반환을 받는 것으로 하고, 차량용 장치와 휴대 단말이 통신에 의하여 접속 중, 차량용 장치가 제 1 권한 정보 및 제 2 권한 정보의 양쪽을 갖고 있는 경우에는 차량용 장치를 조작 가능하게 하고, 휴대 단말이 상기 제 1 권한 정보 및 제 2 권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갖고 있는 경우에는 휴대 단말을 조작 가능하게 하는 양태로 해도 좋다.
이에 따르면, 통신 접속 중이고, 또한, 차량이 주행 중이 아닌 경우로서, 휴대 단말에 조작 입력이 실시된 경우에는 휴대 단말이 제 1 권한 정보를 갖고, 차량용 장치가 제 2 권한 정보를 갖기 때문에 휴대 단말만이 조작 가능하게 된다. 또, 통신 접속 중이고, 또한, 차량이 주행 중이 아닌 경우로서, 차량용 장치에 조작 입력이 실시된 경우에는 차량용 장치가 제 1 권한 정보 및 제 2 권한 정보의 양쪽을 갖기 때문에 차량용 장치만이 조작 가능하게 된다.
또한, 통신 접속 중이고, 또한,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로서, 휴대 단말에 조작 입력이 실시된 경우에는 휴대 단말이 제 1 권한 정보 및 제 2 권한 정보를 갖기 때문에 휴대 단말만이 조작 가능하게 된다. 또, 통신 접속 중이고, 또한,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로서, 차량용 장치에 조작 입력이 실시된 경우에는 휴대 단말이 제 2 권한 정보를 갖고, 차량용 장치가 제 1 권한 정보를 갖기 때문에 휴대 단말만이 조작 가능하게 된다.
또, 차량용 장치와 휴대 단말이 통신에 의하여 접속하는 경우에 사용자로부터의 조작을 받아들이는 권리를 나타내는 정보인 권한 정보를 차량용 장치에 유지시키고, 휴대 단말은 휴대측 조작 입력부에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입력이 실시된 경우에 휴대측 통신부를 통하여 차량용 장치에 유지되어 있는 권한 정보를 취득하는 한편, 해당 조작 입력에 따른 처리가 종료된 후에 휴대측 통신부를 통하여 해당 권한 정보를 차량용 장치에 반환하고, 차량용 장치는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에 사용자로부터의 조작을 받아들이는 것을 금지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인 금지 정보를 생성하여 유지하는 한편, 차량이 주행 중이 아닌 경우에는 금지 정보를 소거하는 것으로 하고, 차량용 장치와 휴대 단말이 통신에 의하여 접속 중, 차량용 장치가 권한 정보를 갖고 있으며, 또한, 금지 정보를 갖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차량용 장치를 조작 가능하게 하고, 휴대 단말이 권한 정보를 갖고 있는 경우에는 휴대 단말을 조작 가능하게 하는 양태로 해도 좋다.
이에 따르면, 통신 접속 중이고, 또한, 차량이 주행 중이 아닌 경우로서, 휴대 단말에 조작 입력이 실시된 경우에는 휴대 단말이 권한 정보를 갖고, 차량용 장치가 권한 정보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휴대 단말만이 조작 가능하게 된다. 또, 통신 접속 중이고, 또한, 차량이 주행 중이 아닌 경우로서, 차량용 장치에 조작 입력이 실시된 경우에는 차량용 장치가 권한 정보를 갖고 있으며, 또한, 금지 정보를 갖고 있지 않은 한편, 휴대 단말이 권한 정보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차량용 장치만이 조작 가능하게 된다.
또한, 통신 접속 중이고, 또한,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로서, 휴대 단말에 조작 입력이 실시된 경우에는 휴대 단말이 권한 정보를 갖고, 차량용 장치가 권한 정보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휴대 단말만이 조작 가능하게 된다. 또, 통신 접속 중이고, 또한,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로서, 차량용 장치에 조작 입력이 실시된 경우에는 차량용 장치가 권한 정보 및 금지 정보를 갖고, 휴대 단말이 권한 정보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휴대 단말 및 차량용 장치의 어느 쪽도 조작 가능하지 않게 된다.
차량용 장치는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한 화상 데이터 및 차량측 조작 입력부로의 사용자에 의한 조작의 유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의해서 휴대 단말에 대하여 조작 입력이 실시되었는지의 여부를 추정하고, 해당 추정 결과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의 조작 중에는 차량측 조작 입력부로부터의 조작 입력을 무효로 해도 좋다. 이에 따르면, 차량용 장치만으로 휴대 단말 조작 중에 차량용 장치의 조작을 금지할 수 있고, 휴대 단말이 차량용 장치에 비대응이며, 양 기기가 공동하여 조작 권한을 관리하는 것이 곤란한 상황이어도 동시 조작에 의한 오작동을 억제할 수 있다.
휴대 단말은 차량측 조작 입력부에 입력된 차량측 조작 정보를 차량용 장치로부터 취득하고, 휴대측 조작 입력부에 입력된 조작을 유효로 하여 차량측 조작 정보를 무효로 하는 제 1 상태와, 제 1 상태와 배타적으로 설치된 상태로서, 차량측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용 장치의 조작 중에는 차량측 조작 정보를 유효로 하여 휴대측 조작 입력부에 입력된 조작을 무효로 하는 제 2 상태를 전환해도 좋다. 이에 따르면, 휴대 단말만으로 휴대 단말 조작 중의 차량용 장치의 조작을 금지할 수 있고, 차량용 장치에서의 처치는 없어도 휴대 단말측의 변경만으로 동시 조작에 의한 오작동을 억제할 수 있다.
휴대측 표시부는 휴대측 조작 입력부의 적어도 일부와 일체로 된 터치 패널인 휴대 터치 패널인 양태로 해도 좋다.
이 경우에, 차량측 표시부는 차량측 조작 입력부의 적어도 일부와 일체로 된 터치 패널인 차량 탑재 패널로서, 차량용 장치는 차량측 통신부에서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한 화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화면을 차량 탑재 터치 패널에 표시하고, 해당 차량 탑재 터치 패널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의 조작이 실시된 경우에 조작이 실시된 해당 차량 탑재 터치 패널의 화면 상의 영역에 대응하는 휴대 터치 패널의 화면 상에서의 영역을 조작 대상 영역으로서 특정하여, 해당 조작 대상 영역을 나타내는 신호를 차량측 통신부로부터 휴대 단말로 송신하고, 휴대 단말은 차량용 장치로부터 송신된 조작 대상 영역을 나타내는 신호를 휴대측 통신부에서 수신한 경우에 휴대 터치 패널의 화면 상의 해당 조작 대상 영역을 조작한 경우와 동일한 입력을 실시하는 양태로 해도 좋다.
차량용 장치에 있어서는, 차량에 탑재되어, 사용자가 조작 입력을 실시하는 휴대측 조작 입력부를 구비하고, 휴대 단말의 화면에 표시하기 위해 휴대 단말에서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차량측 통신부에서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수신한 화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화면을 차량측 표시부에 표시하는 차량용 장치로서, 차량용 장치와 휴대 단말이 통신에 의하여 접속 중이고, 또한, 차량이 주행 중이 아닌 경우에는 휴대 단말과 차량용 장치 중, 먼저 조작 입력이 실시된 측의 조작 중에는 해당 먼저 조작 입력이 실시된 측만을 조작 가능하게 하고, 차량용 장치와 휴대 단말이 통신에 의하여 접속 중이고, 또한,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에는 차량용 장치를 조작 불가능하게 하는 한편, 휴대 단말을 조작 가능하게 해도 좋다.
이에 따르면, 차량용 장치와 휴대 단말을 접속하여 휴대 단말의 화면을 차량용 장치에서 표시하는 경우에 있어서, 휴대 단말과 차량용 장치의 양자 동시 조작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하는 것과 함께, 운전 조작의 집중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면서도 탑승자에 있어서의 편리성을 보다 손상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개시는 실시예에 준거하여 기술되었지만, 본 개시는 해당 실시예나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고 이해된다. 본 개시는 여러 가지 변형예나 균등 범위 내의 변형도 포함한다. 덧붙여서, 여러 가지 조합이나 형태, 나아가서는 그들에 1요소만, 그 이상, 또는 그 이하를 포함하는 다른 조합이나 형태도 본 개시의 범주나 사상 범위에 들어가는 것이다.

Claims (10)

  1. 삭제
  2. 생성한 화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화면을 휴대측 표시부에 표시하는 휴대 단말(1)과,
    차량에 고정 또는 휴대 가능하게 탑재되는 차량용 장치(2)를 포함하되,
    상기 휴대 단말(1)은,
    상기 차량용 장치(2)와 통신하기 위한 휴대측 통신부(11)와,
    사용자가 조작 입력을 실시하는 휴대측 조작 입력부(13)를 구비하고,
    상기 차량용 장치(2)는,
    상기 휴대 단말(1)과 통신하기 위한 차량측 통신부(21)와,
    사용자가 조작 입력을 실시하는 차량측 조작 입력부(23)를 구비하며,
    상기 차량용 장치(2)와 상기 휴대 단말(1)이 통신에 의하여 접속하고,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상기 휴대 단말(1)로부터 상기 차량용 장치(2)로 송신하여, 해당 화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화면을 상기 차량용 장치(2)의 차량측 표시부에 표시하는 정보 표시 시스템으로서,
    상기 차량용 장치(2)와 상기 휴대 단말(1)이 통신에 의하여 접속 중인 경우에는, 상기 휴대 단말(1)과 상기 차량용 장치(2) 중, 먼저 조작 입력이 실시된 측의 조작 중에는 해당 먼저 조작 입력이 실시된 측만을 조작 가능하게 하고,
    상기 차량용 장치(2)와 상기 휴대 단말(1)이 통신에 의하여 접속 중이고, 또한, 상기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에는, 상기 차량용 장치(2)를 조작 불가능하게 하는 한편, 상기 휴대 단말(1)을 조작 가능하게 하는
    정보 표시 시스템.
  3. 생성한 화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화면을 휴대측 표시부에 표시하는 휴대 단말(1)과,
    차량에 고정 또는 휴대 가능하게 탑재되는 차량용 장치(2)를 포함하되,
    상기 휴대 단말(1)은,
    상기 차량용 장치(2)와 통신하기 위한 휴대측 통신부(11)와,
    사용자가 조작 입력을 실시하는 휴대측 조작 입력부(13)를 구비하고,
    상기 차량용 장치(2)는,
    상기 휴대 단말(1)과 통신하기 위한 차량측 통신부(21)와,
    사용자가 조작 입력을 실시하는 차량측 조작 입력부(23)를 구비하며,
    상기 차량용 장치(2)와 상기 휴대 단말(1)이 통신에 의하여 접속하고,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상기 휴대 단말(1)로부터 상기 차량용 장치(2)로 송신하여, 해당 화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화면을 상기 차량용 장치(2)의 차량측 표시부에 표시하는 정보 표시 시스템으로서,
    상기 차량용 장치(2)와 상기 휴대 단말(1)이 통신에 의하여 접속 중인 경우에는, 상기 휴대 단말(1)과 상기 차량용 장치(2) 중, 먼저 조작 입력이 실시된 측의 조작 중에는 해당 먼저 조작 입력이 실시된 측만을 조작 가능하게 하고,
    상기 차량용 장치(2)와 상기 휴대 단말(1)이 통신에 의하여 접속하는 경우에 사용자로부터의 조작을 받아들이는 권리를 나타내는 정보인 권한 정보로서, 제 1 권한 정보 및 제 2 권한 정보를 상기 차량용 장치(2)에 유지시키고,
    상기 휴대 단말(1)은,
    상기 휴대측 조작 입력부(13)에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입력이 실시된 경우에, 상기 휴대측 통신부(11)를 통하여 상기 차량용 장치(2)에 유지되어 있는 상기 제 1 권한 정보를 취득하는 한편,
    해당 조작 입력에 따른 처리가 종료된 후에 상기 휴대측 통신부(11)를 통하여 해당 제 1 권한 정보를 상기 차량용 장치(2)에 반환하고,
    상기 차량용 장치(2)는,
    상기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에, 상기 차량측 통신부(21)를 통하여 유지하고 있던 상기 제 2 권한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1)에 보내는 한편,
    상기 차량이 주행 중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차량측 통신부(21)를 통하여 상기 휴대 단말(1)로부터 해당 제 2 권한 정보의 반환을 받고,
    상기 차량용 장치(2)와 상기 휴대 단말(1)이 통신에 의하여 접속 중, 상기 차량용 장치(2)가 상기 제 1 권한 정보 및 상기 제 2 권한 정보의 양쪽을 갖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차량용 장치(2)를 조작 가능하게 하고, 상기 휴대 단말(1)이 상기 제 1 권한 정보 및 상기 제 2 권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갖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휴대 단말(1)을 조작 가능하게 하는
    정보 표시 시스템.
  4. 생성한 화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화면을 휴대측 표시부에 표시하는 휴대 단말(1)과,
    차량에 고정 또는 휴대 가능하게 탑재되는 차량용 장치(2)를 포함하되,
    상기 휴대 단말(1)은,
    상기 차량용 장치(2)와 통신하기 위한 휴대측 통신부(11)와,
    사용자가 조작 입력을 실시하는 휴대측 조작 입력부(13)를 구비하고,
    상기 차량용 장치(2)는,
    상기 휴대 단말(1)과 통신하기 위한 차량측 통신부(21)와,
    사용자가 조작 입력을 실시하는 차량측 조작 입력부(23)를 구비하며,
    상기 차량용 장치(2)와 상기 휴대 단말(1)이 통신에 의하여 접속하고,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상기 휴대 단말(1)로부터 상기 차량용 장치(2)로 송신하여, 해당 화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화면을 상기 차량용 장치(2)의 차량측 표시부에 표시하는 정보 표시 시스템으로서,
    상기 차량용 장치(2)와 상기 휴대 단말(1)이 통신에 의하여 접속 중인 경우에는, 상기 휴대 단말(1)과 상기 차량용 장치(2) 중, 먼저 조작 입력이 실시된 측의 조작 중에는 해당 먼저 조작 입력이 실시된 측만을 조작 가능하게 하고,
    상기 차량용 장치(2)와 상기 휴대 단말(1)이 통신에 의하여 접속하는 경우에, 사용자로부터의 조작을 받아들이는 권리를 나타내는 정보인 권한 정보를 상기 차량용 장치(2)에 유지시키고,
    상기 휴대 단말(1)은,
    상기 휴대측 조작 입력부(13)에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입력이 실시된 경우에, 상기 휴대측 통신부(11)를 통하여 상기 차량용 장치(2)에 유지되어 있는 상기 권한 정보를 취득하는 한편,
    해당 조작 입력에 따른 처리가 종료된 후에 상기 휴대측 통신부(11)를 통하여 해당 권한 정보를 상기 차량용 장치(2)에 반환하고,
    상기 차량용 장치(2)는,
    상기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에, 사용자로부터의 조작을 받아들이는 것을 금지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인 금지 정보를 생성하여 유지하는 한편,
    상기 차량이 주행 중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금지 정보를 소거하는 것으로 하고,
    상기 차량용 장치(2)와 상기 휴대 단말(1)이 통신에 의하여 접속 중, 상기 차량용 장치(2)가 상기 권한 정보를 갖고 있으며, 또한, 상기 금지 정보를 갖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차량용 장치(2)를 조작 가능하게 하고, 상기 휴대 단말(1)이 상기 권한 정보를 갖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휴대 단말(1)을 조작 가능하게 하는
    정보 표시 시스템.
  5. 생성한 화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화면을 휴대측 표시부에 표시하는 휴대 단말(1)과,
    차량에 고정 또는 휴대 가능하게 탑재되는 차량용 장치(2)를 포함하되,
    상기 휴대 단말(1)은,
    상기 차량용 장치(2)와 통신하기 위한 휴대측 통신부(11)와,
    사용자가 조작 입력을 실시하는 휴대측 조작 입력부(13)를 구비하고,
    상기 차량용 장치(2)는,
    상기 휴대 단말(1)과 통신하기 위한 차량측 통신부(21)와,
    사용자가 조작 입력을 실시하는 차량측 조작 입력부(23)를 구비하며,
    상기 차량용 장치(2)와 상기 휴대 단말(1)이 통신에 의하여 접속하고,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상기 휴대 단말(1)로부터 상기 차량용 장치(2)로 송신하여, 해당 화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화면을 상기 차량용 장치(2)의 차량측 표시부에 표시하는 정보 표시 시스템으로서,
    상기 차량용 장치(2)와 상기 휴대 단말(1)이 통신에 의하여 접속 중인 경우에는, 상기 휴대 단말(1)과 상기 차량용 장치(2) 중, 먼저 조작 입력이 실시된 측의 조작 중에는 해당 먼저 조작 입력이 실시된 측만을 조작 가능하게 하고,
    상기 차량용 장치(2)는 상기 휴대 단말(1)로부터 수신한 상기 화상 데이터 및 상기 차량측 조작 입력부(23)로의 사용자에 의한 조작의 유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의해서 상기 휴대 단말(1)에 대하여 조작 입력이 실시되었는지의 여부를 추정하고, 해당 추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 단말(1)의 조작 중에는 상기 차량측 조작 입력부(23)로부터의 조작 입력을 무효로 하는
    정보 표시 시스템.
  6. 생성한 화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화면을 휴대측 표시부에 표시하는 휴대 단말(1)과,
    차량에 고정 또는 휴대 가능하게 탑재되는 차량용 장치(2)를 포함하되,
    상기 휴대 단말(1)은,
    상기 차량용 장치(2)와 통신하기 위한 휴대측 통신부(11)와,
    사용자가 조작 입력을 실시하는 휴대측 조작 입력부(13)를 구비하고,
    상기 차량용 장치(2)는,
    상기 휴대 단말(1)과 통신하기 위한 차량측 통신부(21)와,
    사용자가 조작 입력을 실시하는 차량측 조작 입력부(23)를 구비하며,
    상기 차량용 장치(2)와 상기 휴대 단말(1)이 통신에 의하여 접속하고,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상기 휴대 단말(1)로부터 상기 차량용 장치(2)로 송신하여, 해당 화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화면을 상기 차량용 장치(2)의 차량측 표시부에 표시하는 정보 표시 시스템으로서,
    상기 차량용 장치(2)와 상기 휴대 단말(1)이 통신에 의하여 접속 중인 경우에는, 상기 휴대 단말(1)과 상기 차량용 장치(2) 중, 먼저 조작 입력이 실시된 측의 조작 중에는 해당 먼저 조작 입력이 실시된 측만을 조작 가능하게 하고,
    상기 휴대 단말(1)은,
    상기 차량측 조작 입력부(23)에 입력된 차량측 조작 정보를 상기 차량용 장치(2)로부터 취득하고,
    상기 휴대측 조작 입력부(13)에 입력된 조작을 유효로 하여 상기 차량측 조작 정보를 무효로 하는 제 1 상태와,
    상기 제 1 상태와 배타적으로 설치된 상태로서, 상기 차량측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용 장치(2)의 조작 중에는 상기 차량측 조작 정보를 유효로 하여 상기 휴대측 조작 입력부(13)에 입력된 조작을 무효로 하는 제 2 상태를 전환하는
    정보 표시 시스템.
  7. 삭제
  8. 생성한 화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화면을 휴대측 표시부에 표시하는 휴대 단말(1)과,
    차량에 고정 또는 휴대 가능하게 탑재되는 차량용 장치(2)를 포함하되,
    상기 휴대 단말(1)은,
    상기 차량용 장치(2)와 통신하기 위한 휴대측 통신부(11)와,
    사용자가 조작 입력을 실시하는 휴대측 조작 입력부(13)를 구비하고,
    상기 차량용 장치(2)는,
    상기 휴대 단말(1)과 통신하기 위한 차량측 통신부(21)와,
    사용자가 조작 입력을 실시하는 차량측 조작 입력부(23)를 구비하며,
    상기 차량용 장치(2)와 상기 휴대 단말(1)이 통신에 의하여 접속하고,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상기 휴대 단말(1)로부터 상기 차량용 장치(2)로 송신하여, 해당 화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화면을 상기 차량용 장치(2)의 차량측 표시부에 표시하는 정보 표시 시스템으로서,
    상기 차량용 장치(2)와 상기 휴대 단말(1)이 통신에 의하여 접속 중인 경우에는, 상기 휴대 단말(1)과 상기 차량용 장치(2) 중, 먼저 조작 입력이 실시된 측의 조작 중에는 해당 먼저 조작 입력이 실시된 측만을 조작 가능하게 하고,
    상기 휴대측 표시부는 상기 휴대측 조작 입력부(13)의 적어도 일부와 일체로 된 터치 패널인 휴대 터치 패널이며,
    상기 차량측 표시부는 상기 차량측 조작 입력부(23)의 적어도 일부와 일체로 된 터치 패널인 차량 탑재 터치 패널이고,
    상기 차량용 장치(2)는,
    상기 차량측 통신부(21)에서 상기 휴대 단말(1)로부터 수신한 상기 화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화면을 상기 차량 탑재 터치 패널에 표시하는 것과 함께, 해당 차량 탑재 터치 패널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의 조작이 실시된 경우에, 조작이 실시된 해당 차량 탑재 터치 패널의 화면 상의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휴대 터치 패널의 화면 상에서의 영역을 조작 대상 영역으로서 특정하여, 해당 조작 대상 영역을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차량측 통신부(21)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1)로 송신하고,
    상기 휴대 단말(1)은,
    상기 차량용 장치(2)로부터 송신된 상기 조작 대상 영역을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휴대측 통신부(11)에서 수신한 경우에, 상기 휴대 터치 패널의 화면 상의 해당 조작 대상 영역을 조작한 경우와 동일한 입력을 실시하는
    정보 표시 시스템.
  9. 차량에 고정 또는 휴대 가능하게 탑재되어,
    사용자가 조작 입력을 실시하는 휴대측 조작 입력부(13)를 구비하고,
    휴대 단말(1)의 화면에 표시하기 위해 상기 휴대 단말(1)에서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차량측 통신부(21)에서 상기 휴대 단말(1)로부터 수신하고, 수신한 화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화면을 차량측 표시부에 표시하는 차량용 장치(2)로서,
    상기 차량용 장치(2)와 상기 휴대 단말(1)이 통신에 의하여 접속 중이고, 또한, 상기 차량이 주행 중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휴대 단말(1)과 상기 차량용 장치(2) 중, 먼저 조작 입력이 실시된 측의 조작 중에는 해당 먼저 조작 입력이 실시된 측만을 조작 가능하게 하고,
    상기 차량용 장치(2)와 상기 휴대 단말(1)이 통신에 의하여 접속 중이고, 또한, 상기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에는, 상기 차량용 장치(2)를 조작 불가능하게 하는 한편, 상기 휴대 단말(1)을 조작 가능하게 하는
    차량용 장치(2).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장치(2)와 상기 휴대 단말(1)이 통신에 의하여 접속 중이고, 또한, 상기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에는, 상기 차량용 장치(2)를 조작 불가능하게 하는 한편, 상기 휴대 단말(1)을 조작 가능하게 하는
    정보 표시 시스템.
KR1020137023059A 2011-03-28 2012-03-08 정보 표시 시스템 및 차량용 장치 KR1015016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70332 2011-03-28
JP2011070332 2011-03-28
JPJP-P-2011-225168 2011-10-12
JP2011225168A JP5582125B2 (ja) 2011-03-28 2011-10-12 情報表示システムおよび車両用装置
PCT/JP2012/001580 WO2012132255A1 (ja) 2011-03-28 2012-03-08 情報表示システムおよび車両用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2594A KR20130132594A (ko) 2013-12-04
KR101501618B1 true KR101501618B1 (ko) 2015-03-11

Family

ID=46930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3059A KR101501618B1 (ko) 2011-03-28 2012-03-08 정보 표시 시스템 및 차량용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37345B2 (ko)
EP (1) EP2693720B1 (ko)
JP (1) JP5582125B2 (ko)
KR (1) KR101501618B1 (ko)
CN (1) CN103444157B (ko)
WO (1) WO20121322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82125B2 (ja) * 2011-03-28 2014-09-03 株式会社デンソー 情報表示システムおよび車両用装置
WO2013094066A1 (ja) 2011-12-22 2013-06-27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処理端末、表示装置、情報処理方法、表示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表示プログラム
US20140378063A1 (en) * 2013-06-20 2014-12-25 Research In Motion Limited Behavior Based on Paired Device Identification
CN103702288A (zh) * 2013-12-27 2014-04-02 深圳市国华光电研究所 车载终端与移动终端间的数据传输方法及装置
CN104751031A (zh) * 2013-12-31 2015-07-01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一种信息交互控制方法及装置
JP6256083B2 (ja) * 2014-02-18 2018-01-10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装置の遠隔操作システム
JP6295924B2 (ja) * 2014-03-18 2018-03-20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報知制御装置、及び車両用報知制御システム
US9747739B2 (en) * 2014-08-18 2017-08-29 Noke, Inc. Wireless locking device
JP2016061635A (ja) * 2014-09-17 2016-04-25 怡利電子工業股▲ふん▼有限公司 クラウドによる経路策定方法
US9728022B2 (en) 2015-01-28 2017-08-08 Noke, Inc. Electronic padlocks and related methods
US10514878B2 (en) 2015-10-30 2019-12-2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Display controller, display system, and display control method
CN105611357A (zh) * 2015-12-25 2016-05-25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图像处理方法及装置
CN105898044B (zh) * 2016-03-31 2019-07-30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与车载终端连接时移动终端的控制方法和装置
CN109564730B (zh) * 2016-08-22 2022-04-26 索尼公司 车辆和控制方法
CN106911842B (zh) * 2017-01-22 2021-10-08 斑马信息科技有限公司 通信控制方法、通信控制装置、车载设备和交通运输工具
CN109067970A (zh) * 2018-06-27 2018-12-21 上海擎感智能科技有限公司 基于车载仪表屏的智能手机显示方法及系统、车载终端
US11352817B2 (en) 2019-01-25 2022-06-07 Noke, Inc. Electronic lock and interchangeable shackles
JP7310705B2 (ja) * 2020-05-18 2023-07-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エージェント制御装置、エージェント制御方法、及びエージェント制御プログラ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9690A (ja) * 2005-05-31 2006-12-14 Hitachi Ltd 情報表示装置
JP2007161064A (ja) * 2005-12-13 2007-06-28 Mazda Motor Corp 車両用情報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4343A (ja) 2002-02-21 2003-08-29 Toyota Motor Corp 表示装置、携帯端末及び情報表示システム
JP4175295B2 (ja) * 2004-06-09 2008-11-05 株式会社デンソー 自動車電話装置
JP2007022520A (ja) * 2004-12-14 2007-02-01 Fujitsu Ten Ltd 車載装置
JP4636381B2 (ja) 2005-10-24 2011-02-23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用電子機器制御システム
US20070124043A1 (en) * 2005-11-29 2007-05-31 Ayoub Ramy P System and method for modifying the processing of content in vehicles based on vehicle conditions
US7742857B2 (en) 2005-12-07 2010-06-22 Mazda Motor Corporation Automotive information display system
JP5050156B2 (ja) 2005-12-21 2012-10-17 株式会社Dapリアライズ 携帯情報通信装置と外部装置とで構成される情報通信システム
JP2008003093A (ja) 2005-12-21 2008-01-10 Masahiro Izutsu 携帯情報通信装置、該携帯情報通信装置用外部出力ユニット又は入出力ユニット、該携帯情報通信装置を中核とする車載情報通信システム及び該車載情報通信システムに情報を提供する道路交通情報提供システム
JP4028580B2 (ja) 2005-12-21 2007-12-26 政弘 井筒 車載情報通信システム
JP2007232729A (ja) * 2007-03-30 2007-09-13 Kenwood Corp 車載用情報入出力システム
JP2009135764A (ja) * 2007-11-30 2009-06-18 Pioneer Electronic Corp 機器制御装置、機器制御方法、機器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9139347A (ja) 2007-12-11 2009-06-25 Mazda Motor Corp 車両の携帯機器接続装置
US20090248244A1 (en) 2008-03-27 2009-10-01 Mazda Motor Corporation Onboard device control apparatus
JP2009281991A (ja) 2008-05-26 2009-12-03 Fujitsu Ten Ltd 車載ディスプレイ制御装置および車載ディスプレイ制御方法
JP2009296518A (ja) * 2008-06-09 2009-12-17 Kenwood Corp 表示装置および表示内容の切換え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USRE47012E1 (en) 2008-06-09 2018-08-28 JVC Kenwood Corporation Guide display device and guide display method, an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switching display contents
JP4241895B2 (ja) * 2008-09-11 2009-03-18 株式会社デンソー ハンズフリー装置
US20100127996A1 (en) 2008-11-27 2010-05-27 Fujitsu Ten Limited In-vehicle device, remote control system, and remote control method
JP2010127781A (ja) 2008-11-27 2010-06-10 Fujitsu Ten Ltd 車載装置および同装置を有する車載システム
JP5148464B2 (ja) 2008-12-01 2013-02-20 富士通テン株式会社 車載装置
JP5247388B2 (ja) 2008-12-01 2013-07-24 富士通テン株式会社 車載システムおよび車載システムの操作制御方法
US9600153B2 (en) * 2010-07-05 2017-03-2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for displaying a webpag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5582125B2 (ja) * 2011-03-28 2014-09-03 株式会社デンソー 情報表示システムおよび車両用装置
US20130006674A1 (en) * 2011-06-29 2013-01-03 State Farm Insurance Systems and Methods Using a Mobile Device to Collect Data for Insurance Premiums
US20110307188A1 (en) * 2011-06-29 2011-12-15 State Farm Insurance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driver feedback using a handheld mobile device
US10977601B2 (en) * 2011-06-29 2021-04-13 State Farm Mutual Automobile Insurance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the collection of vehicle use data using a mobile device
JP5811935B2 (ja) * 2012-04-11 2015-11-11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通信システム、車両用通信装置及び携帯通信端末
US9335910B2 (en) * 2012-04-23 2016-05-10 Tandem Diabetes Care, Inc. System and method for reduction of inadvertent activation of medical device during manipul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9690A (ja) * 2005-05-31 2006-12-14 Hitachi Ltd 情報表示装置
JP2007161064A (ja) * 2005-12-13 2007-06-28 Mazda Motor Corp 車両用情報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2594A (ko) 2013-12-04
EP2693720A1 (en) 2014-02-05
US20140015737A1 (en) 2014-01-16
WO2012132255A1 (ja) 2012-10-04
CN103444157A (zh) 2013-12-11
US9037345B2 (en) 2015-05-19
JP5582125B2 (ja) 2014-09-03
JP2012217129A (ja) 2012-11-08
CN103444157B (zh) 2016-08-17
EP2693720B1 (en) 2015-10-14
EP2693720A4 (en) 2014-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1618B1 (ko) 정보 표시 시스템 및 차량용 장치
US11314389B2 (en) Method for presenting content based on checking of passenger equipment and distraction
EP2597838B1 (en) Mobile terminal and image display apparatus mounted in a car
US10601826B2 (en) Automobile network to communicate with multiple smart devices
JP2014129037A (ja) 車載情報装置、通信端末、警告音出力制御装置、および警告音出力制御方法
US20180357898A1 (en) Vehicle locator and guide
US9349343B2 (en) Vehicular apparatus and external device screen image display system
US10351143B2 (en) Vehicle-based mobile device usage monitoring with a cell phone usage sensor
JP6819086B2 (ja) 車両用表示制御装置
US9313716B2 (en) Operation regulation method, operation regulation program product, mobile terminal, vehicular apparatus, and vehicular communication system
JP2019505026A (ja) 車両の電子インタフェースを介した通信を容易に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CN104302517A (zh) 车辆的信息显示装置
US20120253597A1 (en) Information display system, on-board device, and portable device
CN110696614A (zh) 经由驾驶员hud和乘客hud控制车辆功能的系统和方法
KR20170114051A (ko) 차량의 멀티미디어 장치
CN112959965A (zh) 汽车自动加热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20160300324A1 (en) Communication system
WO2013153804A1 (ja) 車両用通信システム、車両用通信装置及び携帯通信端末
CN111695400A (zh) 非暂时性计算机可读存储介质以及由计算机实施的方法
KR102030019B1 (ko) Avn 기기를 이용한 차량 제어시스템 장치
JP2019097024A (ja) 遠隔操作システム、車載装置、及び遠隔操作方法
US20130324088A1 (en) Communication device, method and vehicle
JP2017081256A (ja) 電子装置およびレコメンド情報提示システム
KR20160077512A (ko) 차량용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이를 이용하는 차량
KR20140128807A (ko) 차량 설정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