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4051A - 차량의 멀티미디어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멀티미디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4051A
KR20170114051A KR1020160039971A KR20160039971A KR20170114051A KR 20170114051 A KR20170114051 A KR 20170114051A KR 1020160039971 A KR1020160039971 A KR 1020160039971A KR 20160039971 A KR20160039971 A KR 20160039971A KR 20170114051 A KR20170114051 A KR 201701140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vehicle
communication unit
information
multime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9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철래
Original Assignee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9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4051A/ko
Publication of KR20170114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40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Arrangement of adaptations of instr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15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occupant comfort, e.g. for automatic adjustment of appliances according to personal settings, e.g. seats, mirrors, steer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biometry
    • B60R25/252Fingerprint recogn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1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2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4Data processing systems or methods, management, administr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멀티미디어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차량의 멀티미디어 장치는, 차량의 다수 위치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기능 요청을 입력받아 멀티미디어 부가 기능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단말장치; 및 디스플레이 단말장치와 접속되어 사용자의 기능 요청에 따라 차량의 내외부 정보를 취득하여 기능을 제공하고 차량 통신을 통해 차량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멀티미디어 장치{MULTIMEDIA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멀티미디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내에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를 다양한 위치에 설치하여 차량의 내부 정보 및 외부 정보를 수집하고 통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자 및 탑승자가 차량 정보에 접근하여 제어할 뿐만 아니라 멀티미디어 부가 기능을 표출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멀티미디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IT(Information Technology) 기술이 눈부신 발전을 하면서 무선통신기술을 이용한 차량 안전, 보안, 엔터테인먼트 등의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텔레매틱스(Telematics) 기술이 부각되고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기술의 발전은 운전자에게 인포테인먼트를 제공할 수 있는 편안한 자동차(comfortable car), 편리한 자동차(convenience car)로의 진화를 유도하고 있으며, 이러한 자동차의 진화는 운전자를 대상으로 하는 정보전달 기술의 발전으로 이어지고 있다.
또한, 자동차의 복잡성과 다양한 운행패턴으로 인해 운전자는 운전 중 더 많은 기기를 조작하게 되었고, 더불어 자동차 내/외부로부터 더 많은 정보를 요구하게 되었으며, 운전자에게 제공되는 정보의 종류도 음향, 문자, 그래픽, 영상 등의 형태로 매우 다양해지고 있다.
또한, 차량에는 운전자 편의를 위한 각종 편의장치들이 장착되고 있는데, 그 예로 차량용 오디오/비디오 시스템(Audio/Video System)이나 지도 정보, 교통 정보 등을 제공하는 차량용 내비게이션 시스템(Navigation System) 등을 들 수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2015-0092772호(2015.08.17.)인 "차량용 통합정보 및 멀티미디어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이 있다.
이와 같이 차량에 설치되는 각종 편의장치들은 운전자를 중심으로 설치되고 있어 운전자 뿐만 아니라 탑승자에게도 멀티미디어 부가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내에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를 다양한 위치에 설치하여 차량의 내부 정보 및 외부 정보를 수집하고 통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자 및 탑승자가 차량 정보에 접근하여 제어할 뿐만 아니라 내비게이션, 인터넷, 전화, 영상 플레이, 사진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부가 기능을 표출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멀티미디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멀티미디어 장치는, 차량의 다수 위치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기능 요청을 입력받아 멀티미디어 부가 기능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단말장치; 및 디스플레이 단말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되어 사용자의 기능 요청에 따라 차량의 내외부 정보를 취득하여 기능을 제공하고 차량 통신을 통해 차량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 단말장치는, 메인 제어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제1 통신부;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방송수신부; 멀티미디어 기능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소리를 출력하는 제1 출력부; 디스플레이 단말장치의 구동을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제1 저장부; 지문정보, 터치상태, 조도, 음성 및 차량의 내외부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입력받기 위한 제1 입력부; 및 제1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기능 요청에 따라 방송수신부에서 수신되는 방송을 표시부와 제1 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뿐만 아니라 제1 통신부를 통해 메인 제어장치에 사용자의 기능을 요청하고 제공되는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1 통신부는 블루투스, USB, UART, 와이파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방송수신부는, DMB 수신부 및 라디오 수신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1 입력부는, 지문인식기, 터치센서, 조도센서, 마이크, 카메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표시부는, 투명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메인 제어장치는, 디스플레이 단말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제2 통신부; 차량 내 전자장치와 통신하여 차량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제3 통신부; 무선망에 접속하기 위한 무선통신부; 위치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위치정보 수신부; 멀티미디어 장치의 구동을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제2 저장부; 및 제2 통신부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기능 요청에 따라 제3 통신부 및 무선통신부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여 제공할 뿐만 아니라 위치정보 수신부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내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메인 제어부의 작동상태를 소리로 출력하는 제2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2 통신부는, 블루투스, USB, UART, 와이파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3 통신부는, CAN, LIN, FlexRay, UART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무선통신부는, MODEM(3G/LTE), 와이파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음성 및 차량의 내외부 이미지를 입력받기 위한 제2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멀티미디어 장치는 차량 내에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를 다양한 위치에 설치하여 차량의 내부 정보 및 외부 정보를 수집하고 통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자 및 탑승자가 차량 정보에 접근하여 제어할 뿐만 아니라, 내비게이션, 인터넷, 전화, 영상 플레이, 사진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부가 기능을 표출하고 제어할 수 있어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욕구, 가족중심의 여가활동 트랜드 및 안전운전/에코드라이브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멀티미디어 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멀티미디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단말장치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멀티미디어 장치에서 메인 제어장치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멀티미디어 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멀티미디어 장치의 적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멀티미디어 장치를 적용한 예시로써 도어 개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멀티미디어 장치를 적용한 예시로써 내비게이션 기능의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멀티미디어 장치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멀티미디어 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멀티미디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단말장치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멀티미디어 장치에서 메인 제어장치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멀티미디어 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멀티미디어 장치의 적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멀티미디어 장치는, 다수의 디스플레이 단말장치(200) 및 메인 제어장치(10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단말장치(200)는 차량의 다수 위치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기능 요청을 입력받아 멀티미디어 부가 기능을 출력한다.
메인 제어장치(100)는 디스플레이 단말장치(200)와 유무선으로 접속되어 사용자의 기능 요청에 따라 차량의 내외부 정보를 취득하여 기능을 제공하고 차량 통신을 통해 차량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멀티미디어 장치는 도 4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에 하나의 메인 제어장치(100)와 다수의 디스플레이 단말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다수의 디스플레이 단말장치(200)는 운전자를 비롯하여 동승자가 조작하여 요청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운전석의 좌측 및 전면을 비롯하여 앞좌석과 뒷좌석의 승객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측면, 전면, 윗면 및 뒷면 등 다수의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디스플레이 단말장치(200)를 통해 차량정보 표시, 인터넷 접속, 지도정보 표시, 사진촬영 및 멀티미디어 정보 표시 등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단말장치(200)를 전면 유리에 설치한 경우 전면 유리를 통해 차량 정보 및 지도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측면 위치에 설치한 경우 동승자가 측면 유리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단말장치(200)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할 수도 있고 사진을 촬영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단말장치(200)를 윗면에 설치한 한 경우 윗면 유리를 이용하여 영화 등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디스플레이 단말장치(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통신부(210), 방송수신부(220), 표시부(250), 제1 출력부(260), 제1 저장부(270), 제1 입력부(230) 및 단말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제1 통신부(210)는 메인 제어장치(100)와 통신하기 위한 것으로, 블루투스, USB,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와이파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유선이나 무선으로 메인 제어장치(100)와 접속되도록 할 수 있다.
방송수신부(220)는 DMB 수신부 및 라디오 수신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DMB 방송이나 라디오 방송을 수신한다.
표시부(250)는 멀티미디어 기능을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투명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제1 입력부(230)의 터치센서가 결합되어 터치스크린으로 동작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제1 출력부(260)는 소리를 통해 멀티미디어 기능을 출력한다.
제1 저장부(270)는 디스플레이 단말장치(200)의 구동을 위한 정보를 저장할 뿐만 아니라 도어 개폐 등 인증을 위한 패턴을 저장할 수도 있다.
제1 입력부(230)는 디스플레이 단말장치(200)를 통해 사용자의 기능을 요청하기 위한 수단으로, 지문인식기, 터치센서, 조도센서, 마이크, 카메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지문정보, 터치상태, 조도, 음성 및 차량의 내외부 이미지를 입력받는다.
단말 제어부(240)는 제1 입력부(230)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기능 요청에 따라 방송수신부(220)에서 수신되는 방송을 표시부(250)와 제1 출력부(260)를 통해 출력할 뿐만 아니라, 제1 통신부(210)를 통해 메인 제어장치(100)에 사용자의 기능을 요청하고, 메인 제어장치(100)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표시부(250) 및 제1 출력부(260)를 통해 제공한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단말장치(200)는 전원이 온 되면, 단말 제어부(240)가 초기화 되면서 부팅된 후 주변 디바이스인 제1 통신부(210), 방송수신부(220), 표시부(250), 제1 출력부(260), 제1 저장부(270) 및 제1 입력부(230) 등을 초기화하여 구동시켜 메인 제어장치(100)와 접속시키고, 표시부(250)를 통해 초기화면을 제공한 후 제1 입력부(230)를 통해 사용자의 기능 요청을 입력받는다.
즉, 제1 입력부(230)를 통해 라디오 방송이나 DMB 방송을 시청하고자 할 경우, 단말 제어부(240)는 방송수신부(220)를 통해 수신된 방송을 표시부(250) 및 제1 출력부(260)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단말 제어부(240)는 차량 제어를 위한 제어요청을 제1 통신부(210)를 통해 메인 제어장치(100)로 전송하고, 제1 통신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차량 정보 및 각종 기능에 따른 결과를 입력받아 표시부(250)를 통해 디스플레이 한다.
한편, 메인 제어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통신부(110), 제3 통신부(120), 무선통신부(130), 위치정보 수신부(140), 제2 저장부(160), 제2 입력부(170), 제2 출력부(180) 및 메인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제2 통신부(110)는 디스플레이 단말장치(200)와 통신하기 위한 것으로, 블루투스, USB, UART, 와이파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유선이나 무선으로 디스플레이 단말장치(200)와 접속되도록 할 수 있다.
제3 통신부(120)는 차량 내 전자장치와 통신하여 차량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것으로, CAN, LIN, FlexRay, UART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차량 내 전자장치에 통신하여 차량정보를 수집할 뿐만 아니라 차량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3 통신부(120)는 OBD(On-Board Diagnostics) 단자와 UART 접속을 통해 자동차의 전기/전자적인 작동 상태를 확인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무선통신부(130)는 무선망에 접속하기 위한 것으로, MODEM(3G/LTE) 및 와이파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무선망에 접속하여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위치정보 수신부(140)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및 DR(Dead Reckoning) 기술을 기반으로 차량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위치정보를 제공한다.
제2 저장부(160)는 멀티미디어 장치의 구동을 위한 정보를 저장한다.
메인 제어부(150)는 제2 통신부(110)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기능 요청에 따라 제3 통신부(120) 및 무선통신부(130)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여 제공할 뿐만 아니라 위치정보 수신부(140)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내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메인 제어부(150)는 음성 및 차량의 내외부 이미지를 입력받기 위한 제2 입력부(170)를 포함하여 마이크 및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정보를 내비게이션 기능에 적용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제2 출력부(180)는 메인 제어부(150)의 작동상태를 소리로 출력하여 운전자 및 탑승자가 작동상태를 인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메인 제어장치(100)는 전원이 온 되면, 메인 제어부(150)가 초기화 되면서 부팅된 후 주변 디바이스인 제2 통신부(110), 제3 통신부(120), 무선통신부(130), 위치정보 수신부(140), 제2 저장부(160) 및 제2 입력부(170) 등을 초기화하여 구동시켜 디스플레이 단말장치(200)와 접속시킨 후, 작동상태를 디스플레이 단말장치(200)로 출력하여 작동화면을 출력한다.
한편, 메인 제어장치(100)는 배터리의 전원을 체크하여 배터리 전압이 안정적일 경우 초기화하여 구동시킨 후 슬립모드로 전환하여 대기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멀티미디어 장치를 적용한 예시로써 도어 개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멀티미디어 장치는 도 6과 같이 디스플레이 단말장치(200)에 터치패턴을 입력하여 차량의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적용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디스플레이 단말장치(200)는 전원이 인가될 경우 초기화되면서 부팅된 후 대기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S10).
S10 단계에서 초기화된 후 디스플레이 단말장치(200)의 단말 제어부(240)는 제1 입력부(230)를 통해 터치상태를 판단한다(S20).
S20 단계에서 운전자가 디스플레이 단말장치(200)를 터치할 경우, 단말 제어부(240)는 표시부(250)를 통해 화면을 출력하여 도어의 개폐를 위한 패턴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S30).
S30 단계에서 표시부(250)에 출력된 화면에 기초하여 패턴이 입력될 경우, 단말 제어부(240)는 제1 입력부(230)를 통해 패턴을 입력받는다(S40).
S40 단계에서 입력된 패턴에 대해 단말 제어부(240)는 제1 저장부(270)에 저장된 도어 개폐를 위한 패턴과 비교한다(S50).
단말 제어부(240)는 S50 단계에서의 비교결과 제1 입력부(230)를 통해 입력된 패턴이 제1 저장부(270)에 저장된 도어 개폐를 위한 패턴과 일치하지 않을 경우, 화면을 정지시키고 종료될 수 있다(S70).
반면, S50 단계에서의 비교결과 제1 저장부(270)에 저장된 도어 개폐를 위한 패턴과 일치한 경우 단말 제어부(240)는 제1 통신부(210)를 통해 메인 제어장치(100)에 차량 도어의 오픈과 잠금을 위한 기능을 요청할 수 있다(S60).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단말장치(200)에서 메인 제어장치(100)로 도어 개폐를 위한 기능을 요청하게 되면, 메인 제어장치(100)는 제2 통신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기능 요청에 따라 제3 통신부(120)를 통해 차량의 전자장치에 도어의 개폐를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함으로써 도어를 오픈시키거나 잠글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멀티미디어 장치를 적용한 예시로써 내비게이션 기능의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멀티미디어 장치는 도 7과 같이 메인 제어장치(100)와 운전석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단말장치(200)와, 운전석 이외의 좌석에 설치된 탑승객의 디스플레이 단말장치(200)는 제1 통신부(210)와 제2 통신부(110)를 통해 각각 접속되어 내비게이션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운전석 이외에 설치된 탑승객의 디스플레이 단말장치(200)에서 인터넷을 통해 검색하여 선택한 목적지와 경유지를 입력받은 메인 제어장치(100)가 목적지 경로와 경유지 경로를 탐색하여 이를 운전석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단말장치(200)로 전송함으로써 운전자에게 내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전원이 인가되면서 메인 제어장치(100)와, 운전석의 디스플레이 단말장치(200) 및 탑승객의 디스플레이 단말장치(200)는 초기화 된다(S110, S210, S310).
S110, S210, S310 단계에서 각각 초기화된 메인 제어장치(100)와 디스플레이 단말장치(200)는 서로 제1 통신부(210)와 제2 통신부(110)를 통해 통신 접속된다(S120, S220, S320).
S120, S220, S320 단계에서 통신 접속이 이루어진 후 메인 제어장치(100)는 내비게이션 기능을 실행한다(S230).
S230 단계에서 메인 제어장치(100)는 내비게이션 기능을 실행한 후 위치정보 수신부(140)로부터 차량의 위치정보를 입력받아 지도 데이터를 운전석의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전송한다(S240).
S240 단계에서 지도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면 운전석의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단말 제어부(240)는 제1 통신부(210)로부터 입력된 지도 데이터를 표시부(250)를 통해 출력한다(S130).
한편, 탑승객의 디스플레이 단말장치(200)는 S320 단계에서 통신접속이 이루어진 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메인 제어장치(100)의 무선통신부(130)를 통해 무선망에 접속되어 인터넷 접속한다(S330).
S330 단계에서 인터넷 접속한 후 디스플레이 단말장치(20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목적지를 검색하고(S340), S340 단계에서 검색된 목적지 중 어느 하나의 목적지가 선택되면(S350), S350 단계에서 선택된 목적지를 메인 제어장치(100)로 전송한다(S360).
S360 단계에서 탑승객의 디스플레이 단말장치(200)로부터 목적지가 전송될 경우, 메인 제어장치(100)의 메인 제어부(150)는 제2 통신부(110)를 통해 입력된 목적지에 따른 경로를 탐색한다(S250).
이후 메인 제어부(150)는 S250 단계에서 탐색된 목적지 경로 데이터를 제2 통신부(110)를 통해 운전석의 디스플레이 단말장치(200)로 전송한다(S260).
S260 단계에서 운전석의 디스플레이 단말장치(200)로 전송된 목적지 경로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단말장치(200)의 단말 제어부(240)가 표시부(250)를 통해 출력한다(S14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멀티미디어 장치를 통해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할 경우 운전자가 직접 목적지를 검색하고 입력하지 않더라도 탑승객의 디스플레이 단말장치(200)를 통해 목적지를 검색하고, 이를 기반으로 메인 제어장치(100)에서 목적지에 따른 경로를 탐색한 후 운전석의 디스플레이 단말장치(200)에 출력함으로써 운전자의 안전운전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탑승객은 탑승객의 디스플레이 단말장치(200)에서 추가적으로 경유지를 선택할 수 있다(S360).
이와 같이 S360 단계에서 경유지가 선택된 경우 디스플레이 단말장치(200)의 단말 제어부(240)는 선택된 경유지를 메인 제어장치(100)로 전송한다(S380).
S380 단계에서 경유지가 선택될 경우 메인 제어장치(100)의 메인 제어부(150)는 입력된 경유지에 기초하여 경로를 탐색한다(S270).
S270 단계에서 경유지에 따른 경로를 탐색한 경우, 메인 제어부(150)는 제2 통신부(110)를 통해 경유지 경로 데이터를 운전석의 디스플레이 단말장치(200)로 전송한다(S280).
S280 단계에서 운전석의 디스플레이 단말장치(200)로 전송된 경유지 경로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단말장치(200)의 단말 제어부(240)가 표시부(250)를 통해 출력한다(S15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멀티미디어 장치에 따르면, 차량 내에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를 다양한 위치에 설치하여 차량의 내부 정보 및 외부 정보를 수집하고 통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자 및 탑승자가 차량 정보에 접근하여 제어할 뿐만 아니라, 내비게이션, 인터넷, 전화, 영상 플레이, 사진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부가 기능을 표출하고 제어할 수 있어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욕구, 가족중심의 여가활동 트랜드 및 안전운전/에코드라이브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메인 제어장치 110 : 제2 통신부
120 : 제3 통신부 130 : 무선통신부
140 : 위치정보 수신부 150 : 메인 제어부
160 : 제2 저장부 170 : 제2 입력부
180 : 제2 출력부 200 : 디스플레이 단말장치
210 : 제1 통신부 220 : 방송수신부
230 : 제1 입력부 240 : 단말 제어부
250 : 표시부 260 : 제1 출력부
270 : 제1 저장부

Claims (12)

  1. 차량의 다수 위치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기능 요청을 입력받아 멀티미디어 부가 기능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단말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장치와 접속되어 사용자의 기능 요청에 따라 상기 차량의 내외부 정보를 취득하여 기능을 제공하고 차량 통신을 통해 상기 차량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멀티미디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장치는,
    상기 메인 제어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제1 통신부;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방송수신부;
    멀티미디어 기능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소리를 출력하는 제1 출력부;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장치의 구동을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제1 저장부;
    지문정보, 터치상태, 조도, 음성 및 차량의 내외부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입력받기 위한 제1 입력부; 및
    상기 제1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기능 요청에 따라 상기 방송수신부에서 수신되는 방송을 상기 표시부와 상기 제1 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메인 제어장치에 사용자의 기능을 요청하여 제공하는 단말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멀티미디어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부는 블루투스, USB, UART, 와이파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멀티미디어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수신부는, DMB 수신부 및 라디오 수신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멀티미디어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부는, 지문인식기, 터치센서, 조도센서, 마이크, 카메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멀티미디어 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투명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멀티미디어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제2 통신부;
    상기 차량 내 전자장치와 통신하여 차량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제3 통신부;
    무선망에 접속하기 위한 무선통신부;
    위치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위치정보 수신부;
    멀티미디어 장치의 구동을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제2 저장부; 및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기능 요청에 따라 상기 제3 통신부 및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여 제공할 뿐만 아니라 상기 위치정보 수신부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내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멀티미디어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부의 작동상태를 소리로 출력하는 제2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멀티미디어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부는, 블루투스, USB, UART, 와이파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멀티미디어 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통신부는, CAN, LIN, FlexRay, UART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멀티미디어 장치.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부는, MODEM(3G/LTE), 와이파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멀티미디어 장치.
  12. 제 7항에 있어서, 음성 및 상기 차량의 내외부 이미지를 입력받기 위한 제2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멀티미디어 장치.
KR1020160039971A 2016-04-01 2016-04-01 차량의 멀티미디어 장치 KR201701140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9971A KR20170114051A (ko) 2016-04-01 2016-04-01 차량의 멀티미디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9971A KR20170114051A (ko) 2016-04-01 2016-04-01 차량의 멀티미디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051A true KR20170114051A (ko) 2017-10-13

Family

ID=60139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9971A KR20170114051A (ko) 2016-04-01 2016-04-01 차량의 멀티미디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405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97823A (zh) * 2018-01-27 2018-07-20 厦门市金福冠包装用品有限公司 汽车的智能控制系统
WO2020004767A1 (ko) * 2018-06-25 2020-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에 구비되는 텔레매틱스 시스템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WO2021029465A1 (ko) * 2019-08-14 2021-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에 장착되는 tcu를 제어하는 서버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전송하는 방안
KR102359328B1 (ko) * 2021-05-28 2022-02-09 (주)메디비젼 차량용 정보제공 장치를 이용한 승객 안전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97823A (zh) * 2018-01-27 2018-07-20 厦门市金福冠包装用品有限公司 汽车的智能控制系统
WO2020004767A1 (ko) * 2018-06-25 2020-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에 구비되는 텔레매틱스 시스템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WO2021029465A1 (ko) * 2019-08-14 2021-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에 장착되는 tcu를 제어하는 서버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전송하는 방안
US11743759B2 (en) 2019-08-14 2023-08-2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effectively transmitting downlink data by server for controlling TCU mounted in vehicle
KR102359328B1 (ko) * 2021-05-28 2022-02-09 (주)메디비젼 차량용 정보제공 장치를 이용한 승객 안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8569B2 (e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for mobile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WO2012132255A1 (ja) 情報表示システムおよび車両用装置
US9544414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 method thereof, auxiliary terminal and vehicle
US9544363B2 (e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9730182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487172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KR20190076731A (ko) 탑승자 단말 및 디스트랙션 확인을 통한 컨텐츠 표시 방법
KR20170114051A (ko) 차량의 멀티미디어 장치
TW201742028A (zh) 路況預警方法、設備、伺服器、控制設備及操作系統
ITTO20070484A1 (it) Sistema telematico multimediale integrato di bordo per informazioni ed intrattenimento
US10402147B2 (en) Vehicle multimedia display system
JP2012010287A (ja) 携帯機器と連携し、携帯機器のアプリケーションを自動的に起動する車載機器
US9858697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mmunicating a video image
CN110696614A (zh) 经由驾驶员hud和乘客hud控制车辆功能的系统和方法
JP2011166290A (ja) 室内通信用中継装置、室内通信システム及び室内通信方法
JP2021005218A (ja) 機能拡張システムおよび電子制御装置
JP2010100125A (ja) 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KR101807788B1 (ko)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70212912A1 (en) Telematics terminal, telematics server, telematics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telematics terminal, telematics server and telematics system
CN114882579A (zh) 车载屏幕的控制方法、装置及车辆
US20220078337A1 (en) Operation control device, imaging device,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JP2020049992A (ja) 車載装置、車両用通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2023000547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10876074B (zh) 显示移动装置内容的方法及其设备
JP2023129151A (ja) 車載器及びサー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