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9205B1 - 블로워 아세이와 라디에이터의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블로워 아세이와 라디에이터의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9205B1
KR101499205B1 KR1020090095098A KR20090095098A KR101499205B1 KR 101499205 B1 KR101499205 B1 KR 101499205B1 KR 1020090095098 A KR1020090095098 A KR 1020090095098A KR 20090095098 A KR20090095098 A KR 20090095098A KR 101499205 B1 KR101499205 B1 KR 101499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blower
radiator
mounting pin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5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7595A (ko
Inventor
윤현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5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9205B1/ko
Publication of KR20110037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7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9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9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0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 B60H1/08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 B60H1/1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the other radiator being situated in a duc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mosphere outside vehicle
    • B60H1/1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the other radiator being situated in a duc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mosphere outside vehicle using an air bl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57Ventilation unit, e.g. combined with a radi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liquid cooling
    • B60K1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radiators, radiator shutters, or radiator bli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쿨링모듈을 구성하는 블로워 아세이와 라디에이터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블로워 아세이에 브라켓을 형성하고, 힘을 가하면 상기 브라켓이 수평 방향으로 삽입 또는 탈거될 수 있도록 형상을 변형시키며, 힘을 가하지 않을 시 상기 브라켓을 고정시키는 체결수단을 라디에이터에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 체결이 용이하도록 하는 블로워 아세이와 라디에이터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블로워 아세이와 라디에이터의 체결구조 {MOUNTING STRUCTURE OF RADIATOR AND BLOWER ASS'Y}
본 발명은 블로워 아세이와 라디에이터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블로워 아세이의 측면에 브라켓을 형성하고, 힘을 가하면 상기 브라켓이 수평 방향으로 삽입 또는 탈거될 수 있도록 형상을 변형시키며, 힘을 가하지 않을 시 상기 브라켓을 고정시키는 체결수단을 라디에이터의 전면에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 상기 블로워 아세이와 라디에이터의 체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블로워 아세이와 라디에이터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엔진의 쿨링모듈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덴서(condenser), 라디에이터(radiator), 블로워 아세이(blower ass'y)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자동차 엔진의 쿨링모듈은 자동차의 정비시 엔진룸의 작업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각 장치가 서로 분리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며, 특히 이중 블로워 아세이는 탈장착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야 한다.
상기와 같은 자동차 엔진의 쿨링모듈의 구조로 인하여 종래에는 상기 블로워 아세이와 라디에이터의 결합 구조는 4개의 모서리를 볼트로 결합하는 4점 볼팅 타 입이 사용되고 있었다. 상기와 같은 4점 볼팅 타입 방식은 통상의 볼트(bolt)와 같은 별도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여 결합을 하고 있으나, 별도의 체결수단을 사용함으로 인하여 제조원가가 증가하고, 또한, 결합시 볼트를 조이기 위한 공정이 추가되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블로워 아세이와 라디에이터의 결합에는 상방향끼움 타입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상방향 끼움 타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자 형상과 'ㄴ'자 형상으로 각각 형성되어 서로 맞물리면서 상하방향 및 횡방향의 움직임을 고정하는 체결수단을 상기 블로워 아세이와 상기 라디에이터의 상부와 하부 각 모서리에 각각 형성하고, 이를 통하여 상기 블로워 아세이와 상기 라디에이터가 결합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상술한 'ㄱ'자 형상 및 'ㄴ'자 형상의 체결수단은상기 블로워 아세이와 라디에이터의 결합 및 분리시 체결수단을 서로 맞물리도록 하기 위하여 블로워 아세이를 상하방향으로 소정구간 유동하여야 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로워 아세이의 양 끝단에 길이방향으로 'ㄱ'자로 형성된 체결수단을 상기 라디에이터의 전면에 형성된 'ㄴ'자의 체결수단에 걸도록 함으로써 상기 블로워 아세이와 라디에이터를 결합하는 구조에서는 각 체결수단의 세로부분이 서로 걸리게 되기 때문에 결합을 위하여 소정구간 위에서부터 결합하여 아래로 내려 완전히 결합을 완료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술한 'ㄱ'자 및 'ㄴ'자 형상의 체결수단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로워 아세이의 탈착시 블로워 아세이의 유동에 따라 그 상부의 장치외 부딪혀 충격을 입는 것을 방지하도록, 또는 블로워 아세이가 상하 방향으로 충분히 유동할 수 있도록 그 상부에 소정의 공간을 반드시 확보해야 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따라, 그 상부에 상기 블로워 아세이의 유동을 방해하는 장치들, 예를 들어, 오일쿨러 니플, 필러넥 탱크 니플 등의 설치가 제한되기 때문에 냉각계 설계상 제약이 큰 단점이 있었다. 더욱이, 최근 변경된 보행자 법규로 인하여 FEM(Front end module)의 높이가 점점 낮춰지도록 요구되고 있으며, 이에따라 상기 쌍방향 끼움 타입이 문제가 되고 있었다.
한편, 상술한 쌍방향 끼움 타입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프 볼팅 타입이 공지되어 있다.
하프 볼팅 타입은 상술한 4점 볼팅 타입과 쌍방향 끼움타입을 혼합한 것으로서, 먼저 하부의 체결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쌍방향 끼움 타입과 동일한 구성으로 끼움결합하여 먼저 고정하고, 상부는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전후방 움직임을 고정하여 체결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하프 볼팅 타입은 상술한 쌍방향 끼움 타입의 불편함은 해소하고 있지만, 볼트로 체결하는 구조로 인하여 상기 4점 볼팅 타입과 마찬가지로 제조 원가가 상승하고, 수리할 때 공간이 협소할 경우 하드웨어를 해체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여전히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자동차의 쿨링모듈을 구성하는 라디에이터와 블로워 아세이의 체결구조에 있어서, 힘을 가하면 블로워 아세이에 형성된 브라켓이 삽입 및 탈거될 수 있도록 모양을 변형시키며, 힘을 가하지 않을 시 상기 블로워 아세이의 브라켓을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체결수단을 상기 라디에이터에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체결수단을 필요하지 않으며, 손쉽게 탈장착을 할 수 있는 블로워 아세이와 라디에이터의 체결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동차의 쿨링모듈의 블로워 아세이와 라디에이터의 체결 구조에 있어서,
상기 라디에이터의 상부에 형성되는 체결부 및; 상기 블로워 아세이의 측면에 바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블로워 아세이를 상기 라디에이터에 체결시키는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브라켓에 수직으로 결합되며, 상기 브라켓이 측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마운팅핀;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디 마운팅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브라켓의 상부를 눌러 고정하는 상부지지부; 상기 상부지지부의 말단에 수직으로 결합되며, 하단이 상기 상부지지부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걸림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마운팅핀의 외부에 돌출된 형상으로 하나 이상 형성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사용자가 손쉽게 힘을 가할 수 있도록 상기 걸림고정부의 상단에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로워 아세이의 하부 측면에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ㄱ자브라켓 및 상기 라디에이터의 전면에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ㄴ자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ㄱ자 브라켓과 ㄴ자 브라켓은 서로 수직으로 결합하여 상기 블로워 아세이와 라디에이터의 하부를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로워 아세이의 브라켓은 상기 마운팅핀을 삽입할 수 있도록 상기 브라켓의 길이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삽입 홀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상부지지부와 상기 마운팅핀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추가적인 체결수단 없이 블로워 아세이와 라디에이터를 결합할 수 있으므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블로워 아세이와 라디에이터의 결합과 분리가 단지 소정의 힘을 가하는 것만으로 실행되므로, 결합 및 분리 과정을 간단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 다.
또한, 블로워 아세이의 상단을 먼저 횡방향으로 탈거한 후 전체를 대각선 방향으로 탈거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블로워 아세이의 상단에 별도의 공간을 확보할 필요 없이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블로워 아세이와 라디에이터의 상부의 체결구조는 블로워 아세이의 상부에 형성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을 결합할 수 있도록 라디에이터의 상부에 형성되는 체결부로 이루어지며, 이를 바탕으로 상기 라디에이터와 블로워 아세이의 상부를 결합 고정하는 기능을 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블로워 아세이와 라디에이터의 체결구조가 적용된 쿨링 모듈의 블로워 아세이와 라디에이터의 결합은 상기와 같이 상부의 체결구조를 통하여 상부를 체결하고, 그 하부는 'ㄱ'자 형상 및 'ㄴ'자 형상의 의 체결수단을 통하여 체결된다. 상기 블로워 아세이와 라디에이터의 결합은 먼저 하부의 체결수단을 통하여 상기 블로워 아세이와 라디에이터의 하부를 먼저 체결하고, 그 후에 본 상기 체결부와 브라켓을 통하여 상부를 결합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블로워 아세이와 라디에이터의 체결이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로워 아세이와 라디에이터의 상 부를 체결하는 체결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는 상기 도 5의 AA'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체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체결부(100)는 마운팅핀(110), 스토퍼(120), 상부지지부(130), 연결부(140), 걸림고정부(150) 및 손잡이부(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마운팅핀(1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홀을 포함하여 형성된 블로워 아세이의 브라켓(200)에 끼움결합되어 블로워 아세이와 라디에이터를 체결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마운팅핀(110)은 상기 블로워 아세이의 브라켓(200)에 형성된 삽입홀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삽입홀에 대응되는 형상, 예를 들어, 사각의 단면을 가지는 긴 바(bar)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마운팅핀(110)은 상기 블로워 아세이의 브라켓(200)에 형성된 삽입홀에 끼움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블로워 아세이의 브라켓(200)의 삽입홀에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200)에 형성된 삽입홀에 원활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그 일단의 폭과 타단의 폭이 동일한 사각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마운팅핀(110)은 사용상 요구되는 소정의 강도를 충분히 만족한다면, 그 내부를 빈 공간으로 형성하여 제조원가를 줄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운팅핀(110)은 상기 블로워 아세이의 브라켓(200)에 결합되었을때, 불필요하게 돌출부를 형성하지 않도록 그 말단부가 평평한 형상으로 이루어 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토퍼(120)는 상기 마운팅핀(110)의 일측에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된 돌출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토퍼(120)는 상기 블로워 아세이의 브라켓(200)이 상기 마운팅핀(110)에 삽입결합되어 체결된 상태에서 전후 방향, 즉, 상기 마운팅핀(110)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위치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즉, 상기 스토퍼(120)는 상기 마운팅핀(110)의 외면에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블로워 아세이의 브라켓이 상기 마운팅핀(110)에 끼움결합될 때 상기 스토퍼(120)의 돌출된 부분에 그 일측이 걸리게 함으로써, 더이상 끼워지지 못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120)에 의하여 상기 블로워 아세이의 브라켓(200)은 정해진 위치 이상으로 끼워지지 않게 되며, 이에 의하여 상기 블로워 아세이는 전후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고, 블로워 아세이와 라디에이터가 완전히 밀착되어 충격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120)는 필요에 의하여 상기 마운팅핀(110)의 외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상부지지부(130)는 상기 블로워 아세이의 브라켓(200)의 상면을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상부지지부(130)는 그 저면이 평평한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일단은 후술할 연결부(140)에 수직으로 연결된다.
상기 블로워 아세이의 브라켓(200)이 결합될 때, 그 상면은 상기 마운팅 핀(110)과 상기 상부지지부(130)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상부지지부(130)는 상기 블로워 아세이의 브라켓(200)의 상부에 전체적인 수직 하중을 제공하여 상기 블로워 아세이와 라디에이터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부지지부(130)는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힘이 가해지면 라디에이터와 연결된 일단은 고정되고, 그 타단은 힘이 가해진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부지지부(130)에 가해지는 힘이 없어지면 탄성에 의하여 다시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지지부(130)는 힘을 가했을때 원활하게 구부러지도록 하기 위하여 그 두께를 서로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지지부(130)가 후술할 연결부(140)와 결합되는 일단의 위치는 원활하게 구부러지도록 그 두께를 얇게 형성하고, 타단은 두께를 두껍게 할 수 있다.
연결부(140)는 상기 상부지지부(130)와 상기 마운팅핀(110)을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연결부(140)는 상기 상부지지부(130)와 상기 마운팅핀(110)과 동일한 소재를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일측이 상기 라디에이터의 전면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상부지지부(130)를 상기 라디에이터와 수직으로 결합되도록 한다.
걸림고정부(150)는 상기 상부지지부(130)의 말단에 연결되며, 상기 상부지지부(130)의 말단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된 바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걸림고정 부(150)는 서로 끼움 결합된 블로워 아세이와 라디에이터의 결합이 유동되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블로워 아세이의 브라켓(200)의 말단을 고정함으로써, 결합된 브라켓(200)이 빠지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상기 걸림고정부(150)의 하단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지지부(130)의 저면보다 아래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고정부(150)의 하단의 일측은 상기 상부지지부(130)의 저면과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 함으로써,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상기 블로워 아세이의 브라켓(200)의 말단에 완전히 밀착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림고정부(150)의 하단의 타측은 대각선으로 비스듬한 경사면을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블로워 아세이의 브라켓의 말단이 상기 마운팅핀(110)에 끼움결합될 때 상기 대각선의 경사면을 따라 힘을 가하고, 이에 따라, 상기 상부고정부가 위쪽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함으로써, 원활하게 끼움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손잡이부(160)는 상기 블로워 아세이를 탈거할 경우 상기 걸림고정부(150)를 용이하게 들어올려 상기 블로워 아세이의 브라켓(200)이 빠져나갈 수 있도록 공간을 확보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손잡이부(160)는 상기 걸림고정부(150)의 상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에 의하여 가해지는 힘을 상기 걸림고정부(150)의 상단에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사용자로부터 가해지는 힘을 효율적으로 전달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손잡이부(160)는 대각선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말해서, 상기 손잡이부(160)는 블로워 아세이를 탈거할 경우에 사용되는데, 이때, 상기 상부지지부(130)와 걸림고정부(150)의 하부를 들어올림으로써 공간을 벌어지도록 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걸림고정부(150)의 상부에 미는힘을 가함으로써, 중단이 상기 상부지지부(130)에 고정되어있는 상기 걸림고정부(150)의 하부가 상대적으로 사용자 측으로 기울어지게 한다. 또한, 상기 상부지지부(130) 또한, 말단이 라디에이터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걸림고정부(150)와 함께 대각선 방향 즉, 힘이 가해지는 방향의 대각선 위쪽으로 휘어지며 상기 마운팅핀(110)과의 간격을 벌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상부지지부(130)외 걸림고정부(150)를 변형시키기 위하여 힘을 가할때 상기 손잡이부(160)를 통하여 상기 걸림지지부(50)에 효율적으로 힘이 전달되도록 하기 위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힘이 가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가해지는 힘의 수직 방향으로 상기 손잡이부(160)를 형성함으로써, 효율적으로 힘이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 6에서 미설명된 부호 (1000)은 라디에이터의 상부의 일부를 나타낸다.
한편, 상기 체결부(100)와 체결되는 블로워 아세이의 브라켓(2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로워 아세이의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블로워 아세이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바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블로워 아세이의 브라켓은 그 길이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삽입홀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삽입홀은 상술한 체결부(100)의 마운팅핀(1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마운팅핀(110)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블로워 아세이의 브라켓(200)은 말단에 손잡이부(160)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손잡이부(160)는 그 형상이 한정되지 않으며, 다만 블로워 아세이를 손쉽게 잡을 수 있도록 상기 블로워 아세이의 브라켓의 말단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부의 체결구조를 나타낸다.
본발명의 하부 체결구조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로워 아세이의 측면에 'ㄱ'자의 형상으로 형성된 ㄱ자 브라켓(400)과 라디에이터의 전면에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ㄱ자 브라켓(400)과 상하로 끼움결합되어 이를 고정하는 ㄴ자 브라켓(300)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하부 체결구조로 인하여 상기 블로워 아세이와 라디에이터의 하부는 상하로 소정구간 이동함으로써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하부의 체결구조에 의하여 결합된 상태로 상술한 상부 체결부가 대각선 방향으로 유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ㄱ자 브라켓(400)과 ㄴ자 브라켓(300)이 결합된 상태에서 블로워 아세이가 대각선 방향으로 소정구간 유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 내지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로워 아세이와 라디에이터의 체결구조가 적용된 쿨링모듈의 탈거 과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블로워 아세이와 라디에이터의 체결구조가 적용된 쿨링모듈은 상술한 바와 같이 블로워 아세이의 탈거를 위하여 상기 블로워 아세이의 상부를 먼저 탈거하게 된다.
먼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의 손잡이부(160)에 F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브라켓이 빠지도록 상기 상부지지부(130)와 마운팅핀(110) 사이의 간격을 벌린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힘을 대각선 방향 F로 가하면 상기 걸림지지부와 상기 상부지지부(130)가 함께 들어올려지며, 상기 상부지지부(130)와 마운팅핀(110)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고, 상기 걸림지지부의 하부도 들어올려지면서 상기 블로워 아세이의 브라켓이 빠져나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손잡이부(160)에 힘을 가하여 상기 블로워 아세이의 브라켓의 탈거가 가능해지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로워 아세이 전체를 기울여 상단부를 먼저 탈거한다. 이때, 블로워 아세이의 상단은 단지 기울임을 통하여 탈거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상부의 어떠한 공간도 필요하지 않는다. 이때, 상기 블로워 아세이의 하부는 아직 체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블로워 아세이의 상부를 단지 대각선으로 기울임으로써 상단부를 탈거할 수 있다.
상기 블로워 아세이의 상단이 탈거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로워 아세이 전체를 상 방향으로 들어올림으로써, 하단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다시말해서, 상기 블로워 아세이의 하단부는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ㄱ자 브라켓이 형성되고, 상기 ㄱ자 브라켓을 상기 라디에이터에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ㄴ자 브라켓에 의하여 서로 수직으로 교차하여결합되는 구성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블로워 아세이의 하단부는 수평방향의 움직임은 고정하며,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경우에 서로 탈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블로워 아세이의 상부는 이미 탈거되었기 때문에 상기 블로워 아세이는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되며,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기울인 상태에서 상방향으로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상기 블로워 아세이를 완전히 라디에이터에서 탈거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블로워 아세이와 라디에이터의 체결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특정한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자동차 엔진의 사용되는 쿨링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는 종래의 쌍방향 끼움 타입의 결합구조를 나타낸다.
도 3은 쌍방향 끼움 타입의 문제점을 나타낸다.
도 4는 종래의 하프 볼팅 타입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로워 아세이와 라디에이터의 상부를 체결하는 체결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는 상기 도 5의 AA'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체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부의 체결구조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부 체결구조의 탈거단계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로워 아세이의 상부 탈거단계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부 체결구조의 탈거단계를 나타낸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0: 체결부 110: 마운팅핀
120: 스토퍼 130: 상부지지부
140: 연결부 150: 걸림고정부
160: 손잡이부 200: 블로워 아세이 브라켓
300: ㄴ자 브라켓 400: ㄱ자 브라켓

Claims (6)

  1. 자동차의 쿨링모듈의 블로워 아세이와 라디에이터의 체결 구조에 있어서,
    상기 라디에이터의 상부에 형성되는 체결부(100); 및
    상기 블로워 아세이의 측면에 바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블로워 아세이를 상기 라디에이터에 체결시키는 브라켓(200)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100)는,
    상기 브라켓에 수직으로 결합되며, 상기 브라켓이 측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마운팅핀(110);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디 마운팅핀(1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브라켓의 상부를 눌러 고정하는 상부지지부(130);
    상기 상부지지부(130)의 말단에 수직으로 결합되며, 하단이 상기 상부지지부(130)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걸림고정부(1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워 아세이와 라디에이터의 체결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100)는
    상기 마운팅핀(110)의 외부에 돌출된 형상으로 하나 이상 형성되는 스토 퍼(1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워 아세이와 라디에이터의 체결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100)는
    사용자가 손쉽게 힘을 가할 수 있도록 상기 걸림고정부(150)의 상단에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되는 손잡이부(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워 아세이와 라디에이터의 체결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워 아세이의 하부 측면에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ㄱ자 브라켓 및 상기 라디에이터의 전면에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ㄴ자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ㄱ자 브라켓과 ㄴ자 브라켓은 서로 수직으로 결합하여 상기 블로워 아세이와 라디에이터의 하부를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워 아세이와 라디에이터의 체결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워 아세이의 브라켓(200)은 상기 마운팅핀(110)을 삽입할 수 있도록 상기 브라켓의 길이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삽입 홀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워 아세이와 라디에이터의 체결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100)는
    상기 상부지지부(130)와 상기 마운팅핀(110)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부(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워 아세이와 라디에이터의 체결구조.
KR1020090095098A 2009-10-07 2009-10-07 블로워 아세이와 라디에이터의 체결구조 KR101499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5098A KR101499205B1 (ko) 2009-10-07 2009-10-07 블로워 아세이와 라디에이터의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5098A KR101499205B1 (ko) 2009-10-07 2009-10-07 블로워 아세이와 라디에이터의 체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7595A KR20110037595A (ko) 2011-04-13
KR101499205B1 true KR101499205B1 (ko) 2015-03-05

Family

ID=44045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5098A KR101499205B1 (ko) 2009-10-07 2009-10-07 블로워 아세이와 라디에이터의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92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26506B2 (en) * 2019-07-03 2022-05-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fan shroud with integrated support structur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8833A (ja) * 1995-01-30 1995-09-12 Calsonic Corp ラジエータの取付及びラジエータの樹脂製下部タンク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製造用金型
JP2002098113A (ja) * 2000-09-25 2002-04-05 Calsonic Kansei Corp 樹脂部材の取付構造
JP2002205558A (ja) * 2001-01-09 2002-07-23 Nissan Motor Co Ltd モータファンユニット取付構造
JP2004205120A (ja) * 2002-12-25 2004-07-22 Calsonic Kansei Corp 熱交換器用のモータファンシュラウドの取付け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8833A (ja) * 1995-01-30 1995-09-12 Calsonic Corp ラジエータの取付及びラジエータの樹脂製下部タンク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製造用金型
JP2002098113A (ja) * 2000-09-25 2002-04-05 Calsonic Kansei Corp 樹脂部材の取付構造
JP2002205558A (ja) * 2001-01-09 2002-07-23 Nissan Motor Co Ltd モータファンユニット取付構造
JP2004205120A (ja) * 2002-12-25 2004-07-22 Calsonic Kansei Corp 熱交換器用のモータファンシュラウドの取付け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7595A (ko) 2011-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75748B2 (ja) ワイパーブレードとウインドスクリーンワイパーブレードホルダとのロック装置
US7559592B2 (en) Vehicle interior member and method for removal thereof
CN101402334B (zh) 卡定结构
US10471909B2 (en) Clip and mounting structure of door trim
JP2005132272A (ja) バッテリカバーの押え構造
US7393004B2 (en) Airbag module removal structure
KR101499205B1 (ko) 블로워 아세이와 라디에이터의 체결구조
WO2014065179A1 (ja) サンバイザホルダ
KR101105339B1 (ko) 차량 와이퍼용 멀티 어댑터
JP5447448B2 (ja) 表示装置キャビネット
US20080105795A1 (en) Cable retention feature
KR101628520B1 (ko) 차량의 어시스트 핸들 고정장치
JP2011252525A (ja) 部品の取付構造
KR100559554B1 (ko) 자동차용 카 매트와 카 매트 고정구
JP2004221121A (ja) フック取付構造およびこのフック取付構造を用いた筐体構造
KR100811952B1 (ko) 자동차의 도어 스커프 트림 및 도어 스커프 트림의 마운팅구조
CN213800013U (zh) 车辆驾驶舱结构及全地形车
JPH0642450U (ja) バンパー構造
CN218661602U (zh) 一种非承载式行李架及汽车
CN211493747U (zh) 面套曲面扣件以及汽车座椅
JP3865730B2 (ja) 車両用前方シッピング・フック・アセンブリー
KR20080086036A (ko) 차량용 오디오 인스톨장치
JP4601858B2 (ja) シートの車体外れ防止装置
JP2005053261A (ja) バッテリ搬送取付装置
KR20020047673A (ko) 자동차용 착탈식 시트의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