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8796B1 -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8796B1
KR101498796B1 KR1020130072323A KR20130072323A KR101498796B1 KR 101498796 B1 KR101498796 B1 KR 101498796B1 KR 1020130072323 A KR1020130072323 A KR 1020130072323A KR 20130072323 A KR20130072323 A KR 20130072323A KR 101498796 B1 KR101498796 B1 KR 101498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mouthpiece
lid body
exponent
female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2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1135A (ko
Inventor
신 마쓰야마
Original Assignee
서어모스 케이.케이.
써모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어모스 케이.케이., 써모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어모스 케이.케이.
Publication of KR20140001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8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87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9/00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 B65D39/08Threaded or like closure members secured by rotation; Bushes therefor
    • B65D39/082Bung-rings and bungs for bung-holes
    • B65D39/088Bungs with special means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2Vacuum-jacket vessels, e.g. vacuum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B65D25/42Integral or attached nozzles or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Abstract

[과제] 지수부에 수지 성형상의 분할선을 형성할 필요가 없는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용기 본체(1)의 개구부(2)에 나사가 끼워져 맞춰지는 수지제 음용구 본체(9)와, 이 음용구 본체(9)에 나사가 끼워져 맞춰지는 수지제 뚜껑체(4)로 형성되는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에 있어서, 음용구 본체(9)의 내측에 뚜껑체(4)가 끼워져 맞춰지는 암나사(34)가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이 제 2 암나사(34)의 하방에 뚜껑체용 지수부(19)가 형성되며, 부분적으로 배치된 제 2 암나사(34)가 수지 성형시에 뚜껑체용 지수부(19)와 독립하여 부분적으로 이형되어, 뚜껑체용 지수부(19)에 수지 성형에 의한 분할선이 없고, 또한 수지 성형시에 뚜껑체측 부착부(31)가 수나사(35)와 독립하여 이형되어, 뚜껑체측 지수 부재(30)가 수지 성형에 의한 분할선이 없는 뚜껑체(4)의 하방에 부착된다. 이와 같이 음용구 본체(9)의 뚜껑체용 지수부(19)에 분할선이 없기 때문에, 음용구 본체(9)와 뚜껑체(4)와의 지수를 확실히 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및 그 제조방법{CAP BODY OF DRINK CONTAINER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 종류의 것으로서, 개구부를 가지는 용기 본체와, 상기 개구부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음용구(飮用口)와, 상기 개구부에 씌워져 부착되는 마개체를 구비한 음료용 용기(예를 들면 특허문헌 1)가 알려져 있다.
또한, 음료용 용기에 나사가 끼워져 맞춰지는 이중 마개구조로 한 마개체가 있고, 이 마개체에서는, 음용구 본체에 내외 나사, 뚜껑체에 외나사가 배치되어 있고, 이들 부품은 합성수지로 성형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나사가 언더 컷이 되기 때문에, 이형(離型) 방법에서 슬라이드 등을 이용하여 나사부를 형성하고 있다.
일본 특허출원 2011-75359의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에서는, 음용구 본체는 외측을 회전시켜 이형하는 방법, 내측을 상하 맞추어 이형하고 있고, 지수(止水) 부분에는 분할선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 구조의 결과, 뚜껑체 끼워 맞춤용 내나사부가 지수부보다 하방에 존재하고 있다. 이 때문에, 뚜껑체의 외나사도 하단에 배치할 필요가 있고, 뚜껑체의 지수 탄성 부재가 외나사 상방의 홈 안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떼어내기 어려운 데다가. 금형 구조상, 반드시 좌우 분할되어 나사와 동시에 슬라이드 이형할 필요가 있고, 부착부의 뒤편에 분할선이 생기게 되어, 지수 실현의 조정이 어렵다.
또한, 일본 특허출원 2011-269327의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에서는, 파팅라인을 없애기 위해서 용착(溶着)이나 끼워 맞춤을 할 필요가 있어, 생산 관리가 곤란한데다가 패킹 부착부에 홈이 생겨서 세정성이 나쁘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280402 호
해결하려고 하는 문제점은, 상기한 문제를 감안하여, 지수부에 수지 성형상의 분할선을 형성할 필요가 없는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의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는, 용기 본체의 개구부에 나사가 끼워져 맞춰지는 수지제 음용구 본체와, 이 음용구 본체에 나사가 끼워져 맞춰지는 수지제 뚜껑체로 형성되는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에 있어서, 상기 음용구 본체의 내측에 상기 뚜껑체가 끼워져 맞춰지는 암나사가 부분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이 암나사의 하방에 뚜껑체용 지수부가 형성되며, 상기 음용구 본체의 바닥판에는 외주 가장자리를 따라서 복수의 원고리 형상의 주액구멍이 배치되어 있고, 부분적으로 배치된 상기 암나사가 수지 성형시에 상기 뚜껑체용 지수부와 독립하여 부분적으로 이형되어, 상기 뚜껑체용 지수부에 수지 성형에 의한 분할선이 없고, 또한 수지 성형시에 뚜껑체측 부착부가 뚜껑체 수나사와 독립하여 이형되어, 뚜껑체측 지수 부재가 수지 성형에 의한 분할선이 없는 상기 뚜껑체 하방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의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는, 상기 음용구 본체에, 용기 본체에 부착하기 위한 수나사가 배치되고, 또한, 음용구 본체측 부착부가 수지 성형시에, 상기 수나사와 독립하여 이형되어, 수지 성형에 의한 분할선이 없는 상기 음용구 본체 하방에 음용구 본체측 지수 부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의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는, 상기 음용구 본체에 끼워져 맞춰지는 바깥 링부에, 상기 용기 본체에 부착하기 위한 암나사가 배치되고, 또한 음용구 본체측 부착부가 상기 음용구 본체의 하방에 형성되어, 수지 성형에 의한 분할선이 없고, 상기 음용구 본체측 부착부에 음용구 본체측 지수 부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의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의 제조방법은, 용기 본체의 개구부에 나사가 끼워져 맞춰지는 수지제 음용구 본체와, 이 음용구 본체에 나사가 끼워져 맞춰지는 수지제 뚜껑체로 형성되며, 상기 음용구 본체의 내측에 상기 뚜껑체가 끼워져 맞춰지는 암나사가 부분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이 암나사의 하방에 뚜껑체용 지수부가 형성되어 있는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음용구 본체의 바닥판에는 외주 가장자리를 따라서 복수의 원고리 형상의 주액구멍을 배치하며, 상기 뚜껑체용 지수부에 수지 성형에 의한 분할선이 없도록 상기 암나사를 수지 성형시에 상기 뚜껑체용 지수부와 독립하여 부분적으로 이형하고, 또한 뚜껑체측 지수 부재가 부착되는 상기 뚜껑체의 하방에 수지 성형에 의한 분할선이 없도록 수지 성형시에 뚜껑체측 부착부를 뚜껑체 수나사와 독립하여 이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의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의 제조방법은, 상기 음용구 본체에, 용기 본체에 부착하기 위한 수나사를 배치하고, 또한, 음용구 본체측 지수부재가 부착되는 상기 음용구 본체 하방에 수지 성형에 의한 분할선이 없도록 음용구 본체 부착부를 상기 수나사와 독립하여 이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의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의 제조방법은, 상기 음용구 본체에 끼워져 맞춰지는 바깥 링부에, 상기 용기 본체에 부착하기 위한 암나사가 배치되고, 또한 음용구 본체측 지수 부재가 부착되는 음용구 본체측 부착부에 수지 성형에 의한 분할선이 없도록, 상기 음용구 본체측 부착부를 상기 음용구 본체의 하방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음용구 본체의 뚜껑체용 지수부에 있어서의 분할선을 없앨 수 있기 때문에, 음용구 본체와 뚜껑체와의 지수를 확실히 행할 수 있고, 또한, 뚜껑체측 부착부를 수나사보다 하방에 배치했기 때문에, 뚜껑체측 부착부의 분할선을 없앨 수 있어, 지수성이 향상된다. 또한, 뚜껑체측 지수 부재가 뚜껑체의 하방에 부착되기 때문에, 뚜껑체측 지수 부재를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다.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5의 발명에 의하면, 음용구 본체측 부착부에 있어서의 분할선을 없앨 수 있기 때문에, 용기 본체와 음용구 본체와의 지수를 확실히 행할 수 있고, 또한, 음용구 본체측 지수 부재가 음용구 본체의 하방에 부착되기 때문에, 음용구 본체측 지수 부재를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다.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6의 발명에 의하면, 음용구 본체의 암나사를 용기 본체에 끼워 맞추게 하기 때문에, 용기 본체의 스페이스를 유효 활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음용구 본체측 부착부에 있어서의 분할선을 없앨 수 있기 때문에, 음용구 본체와 용기 본체와의 지수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용기 본체의 외나사인 수나사를 이용하여 음용구 본체를 탈착 가능하게 했기 때문에, 용기 본체와 음용구 본체의 지수부 위치인 음용구 본체측 지수 부재의 위치를 상방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져, 마개체의 높이를 억제하여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도 1을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를 분해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뚜껑 본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음용구 본체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음용구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뚜껑체를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음용구 본체를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나타내는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상기 음용구 본체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상기 뚜껑체측 부착부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상기 뚜껑체측 지수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을 나타내는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에 설명되는 구성의 모두가, 본 발명의 필수 요건이라고는 할 수 없다. 각 실시예에서는, 종래와는 다른 신규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를 채용하는 것에 의해, 종래에 없는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를 얻을 수 있고, 그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에 대해서 기술한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7에 있어서, 물, 커피, 차 혹은 청량음료를 수용하는 음료용 용기는, 금속제 용기 본체(1)의 상부 개구부인 개구부(2)에 합성수지제의 마개체(3)를 씌워 부착하고 있다. 이 마개체(3)의 상부에는 차폐 부품으로서의 뚜껑체(4)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개구부(2)의 하부에는 지름이 축소되는 지름 축소부(2A)가 형성되어 있다. 용기 본체(1)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내통(5)의 외측에,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외통(6)을 배치함과 함께, 그들의 입구부를 접합하고 있고, 내통(5)과 외통(6)과의 사이에는, 단열층인 진공 공간(6A)이 형성된다. 그리고, 개구부(2)의 내주에는, 제 1 암나사(7)가 설치되고, 그 제 1 암나사(7)는 마개체(3)의 상하 방향 방향의 중심축선(8)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지름 축소부(2A)와 제 1 암나사(7)는 내통(5)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마개체(3)는, 마개 본체인 음용구 본체(9)를 구비한다. 이 음용구 본체(9)는, 중심축선(8)과 동축 형상으로 개구부(2)에 씌워져 부착되는 원통 형상의 상방 돌출벽(10)과, 이 상방 돌출벽(10)의 하방에, 하방이 지름이 축소되는 테이퍼 통부(11)를 사이에 두고 연달아 설치되는 하부 원통부(12)가 일체로 합성수지로 성형되고, 음용구 본체(9) 내측의 중심축선(8)과 평행하게 유출로(F)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방 돌출벽(10), 테이퍼 통부(11), 하부 원통부(12)의 내벽에 의해서 유출로(F)의 내벽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방 돌출벽(10)의 상단이 입구부(10A)가 되어 음용구 또는 주입구가 된다. 한편, 성형에는 사출 성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원통부(12)의 외주에는 상기 제 1 암나사(7)에 나사 부착되는 제 1 수나사(13)가 설치되어 있고, 이 제 1 수나사(13)가 음용구 본체(9)의 수나사이다. 또한, 하부 원통부(12)의 하단 둘레면에 고무 패킹 등으로 이루어지는 음용구 본체 지수 탄성 부재인 음용구 본체측 지수 부재(14)가 설치되고, 음용구 본체측 지수 부재(14)는 단면 대략 ⊃자 형태를 이룬다. 이 음용구 본체측 지수 부재(14)는 중심축선(8)을 중심으로 한 고리 형상으로서, 하부 원통부(12)의 하단 둘레면에 중심축선(8)을 중심으로 고리 형상으로 설치된 음용구 본체 지수 탄성 부재 부착부인 음용구 본체측 부착부(15)에 끼워져 부착되어, 외주를 개구부(2)의 하부에 형성한 지름 축소부(2A)에 접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제 1 암나사(7) 및 제 1 수나사(13)는 2벌 나사이지만, 한벌 나사라도 상관없다.
상기 음용구 본체측 부착부(15)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심축선(8)을 중심으로 한 외주면부(16A)를 가지는 날밑 형상의 하단 볼록부(16)와, 이 하단 볼록부(16)의 상부에 형성된 오목부(17)를 구비하고, 이 오목부(17)의 바닥둘레면부(17A)는 중심축선(8)을 중심으로 하여, 바닥둘레면부(17A)의 상단에 옆쪽에서 외측을 향하여 높아지도록 경사져 설치한 상면부(17B)를 구비하고, 한편, 상기 하단 볼록부(16)의 하면부(16B)는, 상기 하부 원통부(12)의 바닥판(18)의 주위 하면과 동일면을 이룬다. 한편, 상기 오목부(17)는, 하단 볼록부(16)의 상면부(16C)와, 상기 바닥둘레면부(17A)와, 상면부(17B)에 의해 구성된다.
그리고, 음용구 본체측 지수 부재(14)의 내주 오목부(14A)는 상기 하단 볼록부(16)에 밀착 상태로 바깥에서 끼워지고 위치가 정해져, 빠짐 방지가 이루어지고, 음용구 본체측 지수 부재(14)의 내주면부(14B), 상면부(14C)는, 상기 바닥둘레면부(17A), 상면부(17B)에 밀착되고, 또한, 음용구 본체측 지수 부재(14)의 외주면에는, 그 상부에 상기 지름 축소부(2A)에 밀착되는 상하 방향의 상측 외주면부(14D)와, 그 하부에 상기 지름 축소부(2A)에 밀착되는 만곡 볼록부(14E)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단 볼록부(16)의 하면부(16B)에는, 음용구 본체측 지수 부재(14)의 바닥판부(14F)가 밀착된다. 또한, 바닥판부(14F)의 내주에는, 탭(Tab)인 파지부(14G)가 내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되고, 이 파지부(14G)를 잡고 음용구 본체측 지수 부재(14)를 음용구 본체측 부착부(15)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상기 마개체(3)의 뚜껑체(4)는, 합성수지제로서, 천정이 있는 통 형상체로 구성되어 있고, 음용구 본체(9)에 삽입하여 유출로(F)를 닫기 위한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뚜껑 본체(21)와, 이 뚜껑 본체(21)의 상부에 부착되는 천정판부(22)를 구비한다. 이 천정판부(22)는, 상면부(23)의 주위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설치한 외주부(24)를 일체로 구비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뚜껑 본체(21)는, 통 형상부(25)의 상단에 수평으로 외측을 향한 날밑부(26)를 형성하고, 상기 통 형상부(25)는, 하부에 축소부(27)를 가짐과 함께, 이 축소부(27)의 내단에 하측을 향한 하부 통형상부(28)를 가지고, 이 통 형상부(25)의 하단에 위치하는 하부 개구를 막도록 뚜껑 바닥판부(2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뚜껑 본체(21)의 하단 둘레면에 고무 패킹 등으로 이루어지는 뚜껑체용 지수 탄성 부재인 뚜껑체측 지수 부재(30)가 설치되고, 뚜껑체측 지수 부재(30)는 단면이 대략 ⊃자 형태를 이룬다. 이 뚜껑체측 지수 부재(30)는 중심축선(8)을 중심으로 한 고리 형상으로서, 뚜껑 본체(21)의 하단 둘레면에 중심축선(8)을 중심으로 고리 형상으로 설치된 뚜껑체 지수 탄성 부재 부착부인 뚜껑체측 부착부(31)에 끼워 부착한 것으로서, 외주를 상기 음용구 본체(9)의 내주면의 뚜껑체용 지수부(19)에 접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뚜껑체측 부착부(31)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심축선(8)을 중심으로 한 외주면부(32A)를 가지는 날밑 형상의 하단 볼록부(32)와, 이 하단 볼록부(32)의 상부에 형성한 오목부(33)를 구비하고, 이 오목부(33)의 바닥 둘레면부(33A)는 중심축선(8)을 중심으로 하여, 바닥 둘레면부(33A)의 상단에 옆쪽에서 외측을 향하여 높아지도록 경사져 설치한 상면부(33B)를 구비하고, 또한, 뚜껑체측 부착부(31)의 하면부(32B)는 대략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하면부(32B)와 뚜껑 바닥판부(29)의 하면부의 사이에 경사 단차부(29A)를 형성하고, 상기 하면부(32B)가 뚜껑 바닥판부(29)의 하면부보다 일단 낮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오목부(33)는, 하단 볼록부(32)의 상면부(32C)와, 상기 바닥 둘레면부(33A)와, 상면부(33B)에 의해 구성된다.
그리고, 뚜껑체측 지수 부재(30)의 내주 오목부(30A)는 상기 하단 볼록부(32)에 밀착 상태로 바깥에서 끼워지고 위치가 정해져, 빠짐 방지가 이루어지고, 뚜껑체측 지수 부재(30)의 내주면부(30B), 상면부(30C)는, 상기 바닥 둘레면부(33A), 상면부(33B)에 밀착되고, 또한, 뚜껑체측 지수 부재(30)의 외주면에는, 그 상하에 상기 하부 통형상부(28)의 뚜껑체용 지수부(19)에 밀착되는 만곡 볼록부(30D,30D)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단 볼록부(32)의 하면부(32B)에는, 뚜껑체측 지수 부재(30)의 바닥판부(30E)가 밀착된다. 또한, 바닥판부(30E)의 내주에는, 탭인 파지부(30F)가 내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되고, 이 파지부(30F)를 잡고 뚜껑체측 지수 부재(30)를 뚜껑체측 부착부(31)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상기 상방 돌출벽(10)의 내면에는, 음용구 본체(9)의 암나사인 제 2 암나사(34)가 중심축선(8)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 2 암나사(34)에 나사 부착되는 뚜껑체 나사인 제 2 수나사(35)가 상기 뚜껑 본체(21)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그 제 2 암나사(34)는, 복수의 내향 돌기(34A,34A)에 의해 구성되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들 내향 돌기(34A,34A)의 사이에는 빈틈(34S)이 형성되고, 내향 돌기(34A)는 상방 돌출벽(10)의 상단으로부터 멀어진 중앙부보다 하방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 2 암나사(34)는, 중심축선(8)을 중심으로 하여, 대략 등분, 실시예에서는 대략 4등분한 둘레방향 길이의 것이 둘레방향의 빈틈(34S)을 통하여 대략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고, 이 분할된 내향 돌기(34A)가 전후 2개소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방 돌출벽(10)의 외면에는, 하향 단차부(36)를 형성하고, 이 하향 단차부(36)의 하부에 어깨부재(37)가 바깥에서 끼워져 고정되고, 어깨부재(37)는 하향 단차부(36)에 접촉하고 있다. 이 어깨부재(37)는, 상방 돌출벽(10)의 외측에 개구부(2)의 상부 및 외측을 덮는 덮개부(38)를 가지고, 이 어깨부재(37)는 상방 돌출벽(10)측과는 별체로 성형된 것을 상방 돌출벽(10)에 끼워부착되어 일체화하고 있다. 한편, 용기 본체(1)에 음용구 본체(9)를 장착한 상태에서, 개구부(2)와 덮개부(38)의 내면과의 사이에는 빈틈(39)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바닥판(18)은, 평면이 원형으로, 상기 음용구 본체(9)의 개구 개소에 유출로(F)를 차단하도록 중심축선(8)을 중심으로 설치한 중앙 바닥판부(41)를 가진다. 그리고, 중앙 바닥판부(41)의 외주 가장자리를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관통함과 함께 평면이 원호 형상의 주액구멍(42)을 복수 원고리 형상으로 배치함으로써, 인접하는 주액구멍(42) 사이에는 하부 원통부(12)의 하단과 중앙 바닥판부(41)를 연결하는 연락 다리부(43)가 형성된다. 이 연락 다리부(43)는 중심축선(8)을 중심으로 한 방사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실시예에서는 주액구멍(42)은, 좌우의 2개소에 형성되어 있고, 이 결과, 연락 다리부(43)는 중심축선(8)을 중심으로 전후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2개소의 연락 다리부(43,43)의 상방에 상기 제 2 암나사(34)의 2개소의 내향 돌기(34A,34A)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뚜껑 본체(21)내에 단열재(44)가 고정된 상태로 충전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뚜껑체(4)는, 뚜껑 본체(21)와 천정판부(22)가 초음파 용착에 의해 접합되어 있지만, 그 외의 끼워 맞춤·용착방법이나 접착제를 사용해도 좋다.
다음에, 뚜껑 본체(21)의 합성수지 성형에 의한 제조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서술한다. 도 3의 일점쇄선과 같이, 제 2 수나사(35)의 성형에는, 중심축선(8)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폐되는 수나사 성형용 분할 금형인 슬라이드식 분할 금형(51,52)을 이용한다. 한편, 뚜껑 본체(21)의 상부측은, 뚜껑 본체(21)의 내면, 바닥면 및 날밑부(26)의 상면(26U)의 내측을 형성하는 상부 중앙코어 금형(53)과, 날밑부(26)의 상면(26U)의 외측을 형성하는 상부 외측 코어 금형(54)을 이용하여 성형되고, 뚜껑 본체(21)의 하부측은, 뚜껑 바닥판부(29)의 하면 및 외주면부(32A)를 형성하는 하부 코어 금형(55)을 이용하여 성형된다. 그들 상부 중앙, 상부 외측, 하부 코어 금형(53,54,55)은, 중심축선(8)의 길이방향으로 개폐되고, 상부 중앙, 상부 외측 코어 금형(53,54)과 하부 코어 금형(55)이 멀어지는 방향으로 개폐된다.
상기 상부 외측 코어 금형(54)과 슬라이드식 분할 금형(51,52)은, 날밑부(26)의 외주면(26G)에 위치하는 파팅 라인(분할선)(56)에서 분할되어 있다. 한편, 분할 개소는, 외주면(26G)의 상단에서 하단까지의 범위에서 적절히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중앙, 상부 외측 코어 금형(53,54)을 일체로 설치해도 좋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식 분할 금형(51,52)은 상기 제 2 수나사(35)를 형성하고, 슬라이드식 분할 금형(51,52)과 하부 코어 금형(55)은, 상기 외주면부(32A)의 상단에 위치하는 파팅 라인(57)에서 분할되어 있다.
슬라이드식 분할 금형(51,52)은, 복수의 것이 중심축선(8)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진퇴됨으로써, 성형용 공간인 캐비티를 형성하거나 또한, 제품을 꺼낼 수 있게 되어 있어, 이 경우,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의 파팅 라인(58)(중심축선(8)과 동축 형상이기 때문에 조금 이동하여 도시한다)이 중심축선(8)의 길이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한편, 코어 금형(53,54,55)은 중심축선(8)과 동축 형상으로 배치되고, 중심축선(8)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으로서, 성형시, 슬라이드식 분할 금형(51,52), 코어 금형(53,54,55)과의 접합 개소에 파팅 라인(56,57,58)이 합성수지로 성형되지만, 뚜껑체측 부착부(31)의 외주면부(32A) 및 하면부(32B)에는, 파팅 라인이 성형되는 일은 없게 되어 있다.
계속하여, 음용구 본체(9)의 합성수지 성형에 의한 제조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서술한다. 도 4의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음용구 본체(9)의 내부는 중자 금형(61)에 의해 성형되고, 이 중자 금형(61)은, 중자 금형 본체(61A)와 상기 2개의 암나사(34,34)를 성형하는 암나사 성형부(62,62)를 가지고, 이들 암나사 성형부(62,62)는, 중자 금형 본체(61A)에 대해서, 중심축선(8)의 교차 방향으로 개폐된다. 또한, 음용구 본체(9)의 외주면의 성형에는, 중심축선(8)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폐되는 수나사 성형용 분할 금형인 슬라이드식 분할 금형(63,64)을 이용한다. 한편, 음용구 본체(9)의 하부측은, 바닥판(18)의 하면 및 외주면부(16A)를 형성하는 하부 코어 금형(65)을 이용하여 성형된다. 중자 금형(61)과 하부 코어 금형(65)은, 중심축선(8)의 길이방향으로 개폐되고, 중자 금형(61)과 하부 코어 금형(65)이 멀어지는 방향으로 개폐된다.
상기 중자 금형(61)과 슬라이드식 분할 금형(63,64)은, 상방 돌출벽(10)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파팅 라인(분할면)(66)에서 분할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식 분할 금형(63,64)과 하부 코어 금형(65)은, 상기 외주면부(16A)의 상단에 위치하는 파팅 라인(67)에서 분할되어 있다.
슬라이드식 분할 금형(63,64)은, 복수의 것이 중심축선(8)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진퇴됨으로써, 성형용 공간인 캐비티를 형성하거나 또한, 제품을 꺼낼 수 있게 되어 있어, 이 경우,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의 파팅 라인(68)(중심축선(8)과 동축 형상이기 때문에 조금 이동하여 도시한다)이 중심축선(8)의 길이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중자 금형 본체(61A)와 암나사 성형부(62)와의 파팅 라인(69)은, 음용구 본체(9)의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암나사(34)를 사이에 두고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세로 라인(69A,69A)과, 이들 세로 라인(69A,69A)의 하단을 연결하는 가로 라인(69B)을 구비하고, 세로 라인(69A,69A)의 상단은, 상방 돌출벽(10)의 상단부의 파팅 라인(66)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테이퍼 통부(11)의 하방에 위치하는 하부 원통부(12)의 내면에는, 파팅 라인은 형성되지 않고, 여기에 상기 뚜껑체용 지수부(19)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중자 금형(61) 및 하부 코어 금형(65)은 중심축선(8)과 동축 형상으로 배치되어, 중심축선(8)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으로서, 성형시, 중자 금형(61), 암나사 성형부(62), 슬라이드식 분할 금형(63,64), 하부 코어 금형(65)과의 접합 개소에 파팅 라인(66,67,68,69)이 합성수지로 성형되지만, 음용구 본체측 부착부(15)의 외주면부(16A), 하면부(16B) 및 뚜껑체용 지수부(19)에는, 파팅 라인이 성형되는 일은 없게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에 대해서, 그 작용을 설명한다. 음용구 본체(9)의 하단에 설치한 음용구 본체측 부착부(15)에, 음용구 본체측 지수 부재(14)를 장착한다. 그리고, 제 1 암나사(7)에 제 1 수나사(13)를 나사맞춤하는 것에 의해, 음용구 본체측 지수 부재(14)의 외주가 지름 축소부(2A)에 접촉하여 지수성을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음용구 본체측 부착부(15)의 외주면부(16A) 및 하면부(16B)에는, 파팅 라인이 없기 때문에, 우수한 지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뚜껑 본체(21)의 하단에 설치한 뚜껑체측 부착부(31)에, 뚜껑체측 지수 부재(30)를 장착한다. 그리고, 제 2 암나사(34)에 제 2 수나사(35)를 나사맞춤하는 것에 의해, 뚜껑체측 지수 부재(30)의 외주가 하부 원통부(12)의 내주에 접촉하여 지수성을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뚜껑체측 부착부(31)의 외주면부(32A) 및 하면부(32B)에는, 파팅 라인이 없기 때문에, 우수한 지수성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뚜껑체측 지수 부재(30)가 접촉하는 뚜껑체용 지수부(19)에도 파팅 라인이 없기 때문에, 우수한 지수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뚜껑체(4)를 잡고 조작함으로써 회동시켜 제 2 수나사(35)를 제 2 암나사(34)로부터 이탈함으로써, 양자간의 걸어멈춤이 해제되어 뚜껑체(4)를 연다.
다음에, 용기 본체(1)를 손으로 잡아 상방 돌출벽(10)의 상단에 입을 대어 용기 본체(1)를 기울임으로써, 수용되어 있는 음료를 용기 본체(1)로부터 주액구멍(42)을 통하여 하부 원통부(12), 테이퍼 통부(11)를 통하여 상방 돌출벽(10)에 이르러 멈출 수 있다.
이 때, 용기 본체(1)내의 음료의 흐름은, 중앙 바닥판부(41) 및 연락 다리부(43)에 부딪혀서 대량의 유출이 저지된다. 또한 주액구멍(42)으로부터 유출된 음료의 전부 또는 일부는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제 2 암나사(34)에 부딪혀서 우회하여 흐름의 기세를 약하게 하여 흐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수지제의 음용구 본체(9)의 암나사(34)가 부분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나사(34)의 내향 돌기(34A)는 파팅 라인(69)에 의해 분할된다. 이 때문에, 뚜껑체용 지수부(19)에 분할선이 없고, 확실히 지수가 가능해진다. 또한, 수지제 뚜껑체(4)에서도, 수나사(35)가 뚜껑체측 부착부(31)보다 상방에 배치되기 때문에,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성형용 금형이 분할되고, 뚜껑체측 부착부(31)에 분할선이 없다. 이들 구조에 의해 확실히 지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뚜껑체측 지수 부재(30)가 뚜껑체(4)의 하단에 배치되었기 때문에,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다. 이 경우, 탭 등의 형상을 붙이는 것에 의해 뚜껑체측 지수 부재(30)를 더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다. 또한, 마개체(3)는 입구 근방 개구 지름(상방 돌출벽(10)의 내경)이 크고 세정성도 우수하다.
또한, 수지제 음용구 본체(9)의 음용구 본체측 부착부(15)가 수나사(13)보다 하방에 있기 때문에,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성형용 금형이 분할되어, 음용구 본체측 부착부(15)에 분할선이 없다. 따라서, 용기 본체(1)와의 지수를 보다 확실히 행할 수 있다. 또한, 음용구 본체측 지수 부재(14)가 하단에 배치되기 때문에,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다. 이 경우, 탭 등의 형상을 붙이는 것에 의해 음용구 본체측 지수 부재(14)를 더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대응하여, 용기 본체(1)의 개구부(2)에 나사가 끼워져 맞춰지는 수지제 음용구 본체(9)와, 이 음용구 본체(9)에 나사가 끼워져 맞춰지는 수지제 뚜껑체(4)로 형성되는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에 있어서, 음용구 본체(9)의 내측에 뚜껑체(4)가 끼워져 맞춰지는 암나사인 제 2 암나사(34)가 부분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이 제 2 암나사(34)의 하방에 뚜껑체용 지수부(19)가 형성되며, 부분적으로 배치된 상기 제 2 암나사(34)가 수지 성형시에 뚜껑체용 지수부(19)와 독립하여 부분적으로 이형되어, 뚜껑체용 지수부(19)에 수지 성형에 의한 분할선이 없고, 또한 수지 성형시에 뚜껑체측 부착부(31)가 뚜껑체 나사인 제 2 수나사(35)와 독립하여 이형되어, 뚜껑체측 지수 부재(30)가 수지 성형에 의한 분할선이 없는 뚜껑체(4)의 하방에 부착되므로, 음용구 본체(9)의 뚜껑체용 지수부(19)에 분할선이 없기 때문에, 음용구 본체(9)와 뚜껑체(4)와의 지수를 확실히 행할 수 있고, 또한, 뚜껑체측 부착부(31)를 수나사(35)보다 하방에 배치했기 때문에, 뚜껑체측 부착부(31)에 분할선이 없고, 지수성이 향상한다. 또한, 뚜껑체측 지수 부재(30)가 뚜껑체(4)의 하방에 부착되기 때문에,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5에 대응하여, 음용구 본체(9)에, 용기 본체(1)에 부착하기 위한 수나사(13)가 배치되고, 또한, 음용구 본체측 부착부(15)가 수지 성형시에, 수나사(13)와 독립하여 이형되어, 수지 성형에 의한 분할선이 없는 음용구 본체(9)의 하방에 음용구 본체측 지수 부재(14)가 부착되기 때문에, 음용구 본체측 부착부(15)에 분할선이 없고, 용기 본체(1)와 음용구 본체(9)와의 지수를 확실히 행할 수 있고, 또한, 음용구 본체측 지수 부재(14)가 음용구 본체(9)의 하방에 부착되기 때문에,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상의 효과로서, 음용구 본체(9)의 내주면에 제 2 암나사(34)를 설치하고, 이 제 2 암나사(34)는, 복수의 내향 돌기(34A,34A)에 의해 구성되고, 제 2 암나사(34)는, 중심축선(8)을 중심으로서 대략 등분, 실시예에서는 대략 4등분한 둘레방향 길이의 것이 둘레방향의 빈틈(34S)을 통하여 대략 등간격으로 배치했기 때문에, 중자 금형(61)에 의한 성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용구 본체(9)의 뚜껑체용 지수부(19)는, 상부의 상방 돌출벽(10)의 내경보다 지름이 축소되어 있기 때문에, 뚜껑체측 지수 부재(30)에 의한 지수를 확실히 행할 수 있다. 또한, 마개체(3)는 개구부가 지름이 확대되어 세정성이 우수하다.
[실시예 2]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나타내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여 상세히 서술한다. 용기 본체(1)에는, 개구부(2)에 연달아 형성되는 머리부로 되어 있는 외통(6)의 외주에 제 3 수나사(108)가 용기 본체(1)의 중심축선(8)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개구부(2)의 내면의 하부에 내향 지수 돌기가 되는 제 1 단차부(110) 및 그 상부에 제 2 단차부(111)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제 1 단차부(110), 제 2 단차부(111)는 모두 하방이 상방보다 지름이 축소되도록 중심축선(8)을 중심으로 한 원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마개체(3)는, 마개 본체인 음용구 본체(112)를 구비하고, 이 음용구 본체(112)는, 합성수지제로서, 중심축선(8)과 동축 형상의 거의 원통 형상이며, 개구부(2)상에 씌워져 부착되고 상단이 입구부(113A)가 되어 음용구 또는 주입구가 되는 상부 원통부(113)와, 이 상부 원통부(113)의 하방의 외측에 연달아 설치되고 외통(6)의 머리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하부 외측 원통부(114)와, 상부 원통부(113)의 하방의 내측에 연달아 설치되고 개구부(2)의 내측에 배치되어 마개체(3)의 내측을 형성하는 하부 내측 원통부(115)와, 이 하부 내측 원통부(115)의 하부에, 용기 본체(1)의 내부로부터 상부 원통부(113)에 이르는 음료의 유출로(116)를 차단하도록 중심축선(8)을 중심으로 한 평면이 원형인 상기 바닥판(18)을 구비한다. 그리고, 하부 내측 원통부(115)의 외면에 지수를 위한 실리콘 등의 고무 형상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음용구 본체 지수 탄성 부재인 음용구 본체측 지수 부재(118)가 장착되어 있다.
하부 외측 원통부(114)의 내면에는 제 3 수나사(108)에 나사 부착되는 제 3 암나사(119)가 형성되고, 이 제 3 암나사(119)가 바깥 링부의 수나사이다. 또한, 하부 내측 원통부(115)의 내면에는, 상기 제 2 암나사(34)가 중심축선(8)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제 2 암나사(34)에 뚜껑체(4)에 형성된 상기 제 2 수나사(35)가 나사 부착될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제 2 암나사(34)는 토출된 액체의 장벽을 겸용한다. 또한, 하부 내측 원통부(115)의 외면의 상하 방향의 거의 중간에 제 3 단차부(122)가 형성되고, 이 제 3 단차부(122)는 하부 내측 원통부(115)의 상방보다 단차부 하향면(123)을 통하여 하방이 지름이 축소되게 형성되고, 하부 내측 원통부(115)의 하단에 상기 바닥판(18)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음용구 본체측 지수 부재(118)는, 중심축선(8)을 중심으로 한 바닥이 있는 짧은 원통형으로서, 하부 내측 원통부(115)의 외주면부(115A)에 끼워져 부착되는 짧은 원통 형상의 둘레면부(127)와, 이 둘레면부(127)의 하부에 연달아 설치되어 하방을 막아 바닥벽(117)의 하면에 달라붙도록 바닥벽(117)의 하면을 덮는 바닥판부(128)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하부 내측 원통부(115)의 단차부 하향면(123)보다 아래의 부분이 음용구 본체측 부착부(120)가 된다.
상기 음용구 본체측 지수 부재(118)의 둘레면부(127)의 외면은, 개구부(2)측에 있는 제 1 단차부(110)와 제 2 단차부(111)와의 사이에 빈틈(129)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고 있고, 둘레면부(127)의 외면의 하부에 제 1 단차부(110)에 접촉하는 제 1 지수부(130)를 일체로 형성한다. 이 제 1 지수부(130)는 그 종단면이 테이퍼인 삼각형 혹은 사각형의 작은 돌기 형상으로서 중심축선(8)을 중심으로 원고리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제 1 지수부(130)의 선단이 제 1 단차부(110)에 접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음용구 본체측 지수 부재(118)의 둘레면부(127)의 외면 상부에, 제 2 단차부(111)의 바로 위와 바로 아래에 접촉하는 상하 한 쌍의 제 2 지수부(131)를 일체로 형성한다. 이 제 2 지수부(131)는 그 종단면이 사각형 혹은 테이퍼인 작은 돌기 형상으로서 중심축선(8)을 중심으로 원고리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제 2 지수부(131,131)의 선단이 제 2 단차부(111)의 바로 위와 바로 아래에 각각 접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둘레면부(127)의 상측 가장자리면(127A)이 상기 하향 단차부면(123)에 접촉한다.
음용구 본체측 지수 부재(118)의 바닥판부(128)에는, 그 외주 가장자리를 따라서 상하 방향을 관통함과 함께 평면이 원호 형상의 제 2 주액구멍(136)을 복수 원고리 형상으로 배치함으로써, 인접하는 제 2 주액구멍(136) 사이에는 바닥판부(128)의 둘레가장자리와 중심축선(8)상의 제 2 중앙 바닥판부(137)를 연결하는 제 2 연락 다리부(138)가 형성된다. 이 제 2 연락 다리부(138)는 중심축선(8)을 중심으로 한 방사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한편, 제 1 주액구멍(42)과 제 2 주액구멍(136)에 있어서의 중심축선(8)을 중심으로 한 바깥가장자리, 안가장자리의 반경은 거의 같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중심축선(8)을 중심으로 하여 제 1 중앙 바닥판부(41), 제 2 중앙 바닥판부(137)는 거의 같은 외경을 가지는 것으로서, 제 2 중앙 바닥판부(137)의 상면 중앙에 종단면이 T자형이 되는 걸어맞춤 돌기(139)가 상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즉, 이 걸어맞춤 돌기(139)는 상단에 손가락 댈 수 있고 거의 수평인 평탄을 이룬 상부 지촉부(140)가 설치됨과 함께, 이 상부 지촉부(140)의 외주에, 제 2 중앙 바닥판부(137)보다 약간 지름이 작은 빠짐방지 날밑부(141)를 가지는 원기둥 형상 돌기 본체(142)를 중심축선(8)상에 세워 설치한 것이다. 한편, 상부 지촉부(140)는 약간 상방으로 돌출 형성하거나 약간 하방으로 오목하게 형성해도 좋다. 또한, 원기둥 형상 돌기 본체(142)의 하면에는 상향으로 약간 오목하게 형성한 하부 지촉부(14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중앙 바닥판부(137)의 중심축선(8)상에 형성되어 돌기 본체(142)와 거의 지름이 동일하고 평면 원형인 걸어맞춤 구멍(144)에, 돌기 본체(142)를 하방으로부터 무리하게 삽입함으로써, 걸어맞춤 구멍(144)에 돌기 본체(142)가 걸어 맞춰지고, 빠짐방지 날밑부(141)가 제 1 중앙 바닥판부(41)의 상면에 걸어 멈춰짐과 함께 제 2 중앙 바닥판부(137)가 제 1 중앙 바닥판부(41)의 하면에 걸어 멈춰짐으로써, 음용구 본체측 지수 부재(118)가 마개체(3)에 둘레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게 되어 있다.
또한, 중심축선(8)을 중심으로 하여 제 1 주액구멍(42), 제 2 주액구멍(136)의 내주 지름과 외주 지름이 각각 대략 동일해짐과 함께, 음용구 본체측 지수 부재(118)가 마개체(3)에 대해서 회동한 경우에도 서로 마주한 제 1 주액구멍(42), 제 2 주액구멍(136)끼리가 전부 덮이지 않고 마개체(3) 안팎으로 연통하는 유출로(116)가 액의 토출과 통기에 필요한 개구면적, 위치 관계를 유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뚜껑 본체(21)의 상기 통 형상부(25)는, 위로부터 제 1 축소부(71)와 제 2 축소부(72)를 가지고, 이들 축소부(71,72)에 있어서 상부의 직경이 하부의 직경보다 작아진다. 또한, 통 형상부(25)의 외주에는, 상기 제 1 과 제 2 축소부(71,72)의 사이에서, 상기 제 2 수나사(35)가 설치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뚜껑체측 부착부(31)에는, 하단 오목부(73)가 형성되고, 이 하단 오목부(73)는, 외주면부(73A)와, 이 외주면부(73A)의 상단에 옆쪽으로 외측에 설치되는 상면부(73B)를 구비하고, 이 상면부(73B)는 상기 하단 볼록부(32)의 하면부이다.
그리고, 상기 뚜껑체측 지수 부재(30)의 내주 오목부(30A)는 상기 하단 볼록부(32)에 밀착 상태로 바깥에서 끼워지고 위치가 정해져, 빠짐 방지가 이루어지고, 뚜껑체측 지수 부재(30)의 내주면부(30B)는, 상기 외주면부(32A)에 밀착된다. 또한, 뚜껑체측 지수 부재(30)의 외주면에는, 하부 내측 원통부(115)의 내면의 뚜껑체용 지수부(19)에 밀착되는 만곡 볼록부(30D)가 상하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단 오목부(73)의 상면부(73B)에는, 뚜껑체측 지수 부재(30)의 바닥판부(30E)가 밀착되고, 뚜껑체측 지수 부재(30)의 바닥판부(30E)의 하면은 바닥판(18)의 하면과 면이 일치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 내측 원통부(115)의 외면(74)은, 그 상단(74A)으로부터 하단(74B)까지 중심축선(8)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하측 방향을 향하여 언더 컷이 없는 형상을 이룬다. 또한, 하부 외측 원통부(114)의 내면(75)에 있어서, 제 3 암나사(119)의 상하는, 중심축선(8)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언더 컷이 없는 형상을 이룬다.
따라서, 상기 외면(74)과 내면(75)을 성형하는 회전식 금형(76)을, 제 3 암나사(119)와의 나사 맞춤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중심축선(8)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이형될 수 있다.
도 9의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음용구 본체(112)의 내부는 상부 코어 금형을 겸용하는 중자 금형(61)에 의해 성형되고, 이 중자 금형(61)은, 중자 금형 본체(61A)와 상기 2개의 암나사(34,34)를 성형하는 암나사 성형부(62,62)를 가지고, 이들 암나사 성형부(62,62)는, 중자 금형 본체(61A)에 대해서, 중심축선(8)의 교차 방향으로 개폐된다. 또한, 음용구 본체(112)의 외주면의 성형에는, 중심축선(8)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폐되는 수나사 성형용 분할 금형인 슬라이드식 분할 금형(63,64)을 이용한다. 한편, 음용구 본체(112)의 하부측은, 하부 코어 금형(65)을 이용하여 성형되고, 이 하부 코어 금형(65)에 상기 회전식 금형(76)이 설치되어 있다. 중자 금형(61)과 하부 코어 금형(65)은, 중심축선(8)의 길이방향으로 개폐되고, 중자 금형(61)과 하부 코어 금형(65)이 멀어지는 방향으로 개폐된다.
상기 중자 금형(61)과 슬라이드식 분할 금형(63,64)은, 상부 원통부(113)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파팅 라인(분할선)(66A)에서 분할되고, 이 파팅 라인(66A)은 중심축선(8)과 교차 방향을 이룬다. 또한, 슬라이드식 분할 금형(63,64)과 하부 코어 금형(65)은, 상기 하부 외측 원통부(114)의 하단에 위치하는 파팅 라인(67A)에서 분할되어 있다.
슬라이드식 분할 금형(63,63)은, 복수의 것이 중심축선(8)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진퇴됨으로써, 성형용 공간인 캐비티를 형성하거나 또한, 제품을 꺼낼 수 있게 되어 있고, 이 경우,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의 파팅 라인(68)(중심축선(8)과 동축 형상이기 때문에 조금 이동하여 도시한다)이 중심축선(8)의 길이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중자 금형 본체(61A)와 암나사 성형부(62)와의 파팅 라인(69)은, 음용구 본체(112)의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암나사(34)를 사이에 두고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세로 라인(69A,69A)과, 이들 세로 라인(69A,69A)의 하단을 연결하는 가로 라인(69B)을 구비하고, 세로 라인(69A,69A)의 상단은, 상방 돌출벽(10)의 상단부의 파팅 라인(66A)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회전식 금형(76)은 중심축선(8)을 중심으로 한 대략 원통 형상에 형성되고, 하부 코어 금형(65)에 있어서, 외주면 위치와 내주면 위치가 파팅라인(76G,76N)이 되고, 파팅 라인(76G)은 하부 외측 원통부(114)의 하단 위치에 설치되고, 파팅 라인(76N)은 하부 내측 원통부(115)의 하단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중자 금형(61) 및 하부 코어 금형(65)은 중심축선(8)과 동축 형상으로 배치되고, 중심축선(8)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으로서, 성형시, 중자 금형(61), 암나사 성형부(62), 슬라이드식 분할 금형(63,64), 하부 코어 금형(65)과의 접합 개소에 파팅 라인(66,67,68,69)이 합성수지로 성형되지만, 음용구 본체측 부착부(120)의 외주면부(115A), 하면부(115B)에는, 파팅 라인이 성형되는 일은 없게 되어 있다.
또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뚜껑 본체(21)의 성형에 이용하는 하부 코어 금형(55)과 슬라이드식 분할 금형(51,52)은, 상기 외주면부(32A)의 상단에 위치하는 파팅 라인(57A)에서 분할되어 있고, 뚜껑체측 부착부(31)의 외주면부(32A), 상면부(73B) 및 외주면부(73A)에는, 파팅 라인이 성형되는 일은 없게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개구부(2)로부터, 예를 들면 차 등의 음료액을 용기 본체(1)에 수용한 후에, 제 3 암나사(119)를 제 3 수나사(108)에 나사 부착함으로써, 용기 본체(1)에 마개체(3)를 장착한다. 이 경우, 뚜껑체측 지수 부재(30)는 뚜껑을 닫을 때에 뚜껑체용 지수부(19)에 접촉하여 유출로(116)가 차단된다. 또한, 제 2 암나사(34)에 제 2 수나사(35)를 나사 부착됨으로써, 음용구 본체(112)에 뚜껑체(4)를 장착한다. 이 경우, 음용구 본체측 지수 부재(118)는 뚜껑을 닫을 때에 제 1 및 제 2 단차부(110,111)에 접촉하고, 용기 본체(1)에 수용되어 있는 차의 액체는 액밀(液密)하게 보온된다.
한편, 음용구 본체측 지수 부재(118)를 떼어낼 때는, 상부 지촉부(140)에 손가락(도시하지 않음)을 다소 무리하게 누름으로써, 날밑부(141), 나아가서는 걸어맞춤 돌기(139)가 탄성 변형되어 걸어맞춤 구멍(144)을 하방으로 빠져나옴으로써, 음용구 본체측 지수 부재(118)를 꺼낼 수 있다.
한편, 세정 후에 조립할 때는, 하부 지촉부(143)에 손가락(도시하지 않음)을 대고, 음용구 본체측 지수 부재(118)의 걸어맞춤 돌기(139)를 걸어맞춤 구멍(144)에 약간 무리하게 삽입함으로써 날밑부(141)를 바닥판(18)의 상면에 걸어 멈추게 하여 빠짐 방지한다. 그리고, 음용구 본체측 지수 부재(118)를 개구부(2)의 하방으로 눌러 제 3 수나사(108)에 제 3 암나사(119)를 나사 부착함으로써, 마개체(3)를 개구부(2)에 장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음용구 본체(112)의 암나사(119)를 용기 본체(1)의 수나사(108)와 끼워 맞추게 하기 때문에, 용기 본체(1)의 스페이스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음용구 본체(112)의 암나사(119)는 음용구 본체측 부착부(120)에 언더 컷이 없기 때문에 함께 회전되어 이형되므로, 음용구 본체측 부착부(120)에 분할선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리고, 용기 본체(1)의 외나사인 수나사(108)를 이용하여 음용구 본체(112)를 탈착 가능하게 했기 때문에, 용기 본체(1)와 음용구 본체(112)의 지수부 위치인 음용구 본체측 지수 부재(14)의 위치를 상방에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대응하여, 음용구 본체(112)의 내측에 뚜껑체(4)가 끼워져 맞춰지는 암나사인 제 2 암나사(34)가 부분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이 제 2 암나사(34)의 하방에 뚜껑체용 지수부(19)가 형성되며, 부분적으로 배치된 제 2 암나사(34)가 수지 성형시에 뚜껑체용 지수부(19)와 독립하여 부분적으로 이형되어, 뚜껑체용 지수부(19)에 수지 성형에 의한 분할선이 없고, 또한 수지 성형시에 뚜껑체측 부착부(31)가 뚜껑체 나사인 제 2 수나사(35)와 독립하여 이형되어, 뚜껑체측 지수 부재(30)가 수지 성형에 의한 분할선이 없는 뚜껑체(4)의 하방에 부착되기 때문에,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작용·효과를 이룬다.
또한,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6에 대응하여, 음용구 본체(112)에 끼워져 맞춰지는 바깥 링부인 하부 외측 원통부(114)에, 용기 본체(1)에 부착하기 위한 암나사(119)가 배치되고, 또한 음용구 본체측 부착부(120)가 음용구 본체(112)의 하방에 형성되어, 수지 성형에 의한 분할선이 없고, 음용구 본체측 부착부(15)에 음용구 본체측 지수 부재(14)가 부착되기 때문에, 음용구 본체(112)의 암나사(119)를 용기 본체(1)에 끼워 맞추게 하기 때문에, 용기 본체(1)의 스페이스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음용구 본체측 부착부(15)에 분할선이 없기 때문에, 음용구 본체(112)와 용기 본체(1)와의 지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상의 효과로서, 음용구 본체(112)에 하부 외측 원통부(114)가 일체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할 필요가 없고, 제조가 용이해진다. 또한, 개구부(2)측에 있는 제 1 단차부(110)와 제 2 단차부(111)와의 사이에 빈틈(129)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고 있고, 둘레면부(127)의 외면의 하부에 제 1 단차부(110)에 접촉하는 제 1 지수부(130)를 일체로 설치하여, 이 제 1 지수부(130)는 그 종단면이 테이퍼인 삼각형 혹은 사각형의 작은 돌기 형상으로서 중심축선(8)을 중심으로 원고리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제 1 지수부(130)의 선단이 제 1 단차부(110)에 접촉하기 때문에, 우수한 지수성을 얻을 수 있다.
[실시예 3]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을 나타내며, 상기 각 실시예와 동일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여 상세히 서술한다. 이 예에서는 상부 원통부(113)와 하부 내측 원통부(115)를 일체로 형성하여 음용구 본체(9)를 구성하고, 음용구 본체(9)와 별체의 바깥 링부인 하부 외측 원통부(114)를 끼워 맞춰서 조립하고 있고, 하부 외측 원통부(114)의 내면에는 제 3 암나사(119)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부 원통부(113)와 하부 내측 원통부(115)와의 경계선에서 음용구 본체(9)의 외면에 두꺼운 부분(81)을 팽출 형성하고, 이 두꺼운 부분(81)의 외면에 끼워 맞춤 받이부인 오목부(82)를 형성하며, 하부 외측 원통부(114)의 상부 링부(114A)의 내주에, 끼워 맞춤부인 볼록부(83)를 형성하고, 오목부(82)에 볼록부(83)를 끼워 맞추고 음용구 본체(20)에 하부 외측 원통부(114)를 일체로 조립해 넣고 있다. 한편, 음용구 본체(9)와 하부 외측 원통부(114)의 한쪽에, 오목부(82)를 형성하고, 다른쪽에 볼록부(83)를 형성하여, 요철 끼워 맞춤 구조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하부 내측 원통부(115)의 하단에는, 상기 마개 본체 지수 탄성 부재 부착부인 음용구 본체측 부착부(15)를 형성하고, 이 음용구 본체측 부착부(15)에, 상기 음용구 지수 탄성 부재인 음용구 본체측 지수 부재(14)를 탈착 가능하게 부착하고 있다.
그리고, 실시예 1과 같이, 음용구 본체측 부착부(15)의 외주면부(16A), 하면부(16B) 및 뚜껑체용 지수부(19)에는, 파팅 라인이 성형되는 일은 없게 되어 있다.
상기 뚜껑 본체(21)의 통 형상부(25)의 높이 방향 중앙에는, 하방을 향하여 축소되는 중앙 축소부(25A)를 설치하고, 뚜껑 본체(21)의 하단에는, 뚜껑체측 부착부(31)를 설치하여, 이 뚜껑체측 부착부(31)에 뚜껑체측 지수 부재(30)를 부착하고 있다.
그리고, 실시예 1과 같이, 뚜껑체측 부착부(31)의 외주면부(32A) 및 하면부(32B)에는, 파팅 라인이 성형되는 일은 없게 되어 있다.
또한, 음용구 본체측 지수 부재(14)는 상기 지름 축소부(2A)에 접촉하고, 뚜껑체측 지수 부재(30)는, 하부 내측 원통부(115)의 하부측 내주면에 위치하는 뚜껑체용 지수부(19)에 접촉하고, 이 뚜껑체용 지수부(19)는, 음용구 본체측 부착부(15)의 내주측에 위치하고, 상방에 위치하는 하부 내측 원통부(115)의 내주면보다 지름이 축소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음용구 본체(9)의 암나사(119)를 용기 본체(1)의 수나사(108)와 끼워 맞추게 하기 때문에, 용기 본체(1)의 스페이스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음용구 본체(9)의 암나사(119)는 음용구 본체측 부착부(15)에 언더 컷이 없기 때문에 함께 회전되어 이형되므로, 음용구 본체측 부착부(15)에 분할선이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암나사(119)를 가지는 바깥 링부인 하부 외측 원통부(114)를, 상부 원통부(113)와 하부 내측 원통부(115)를 별체로 구성하고, 상부 원통부(113)와 하부 내측 원통부(115)를 성형 후, 상부 원통부(113)와 하부 내측 원통부(115)에, 하부 외측 원통부(114)를 끼워 맞춰서 일체화해도 좋다. 그리고, 용기 본체(1)의 외나사인 수나사(108)를 이용하여 음용구 본체(9)를 탈착 가능하게 했기 때문에, 용기 본체(1)와 음용구 본체(9)의 지수부 위치인 음용구 본체측 지수 부재(14)의 위치를 상방에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대응하여, 음용구 본체(9)의 내측에 뚜껑체(4)가 끼워져 맞춰지는 암나사인 제 2 암나사(34)가 부분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이 제 2 암나사(34)의 하방에 뚜껑체용 지수부(19)가 형성되며, 부분적으로 배치된 제 2 암나사(34)가 수지 성형시에 뚜껑체용 지수부(19)와 독립하여 부분적으로 이형되어, 뚜껑체용 지수부(19)에 수지 성형에 의한 분할선이 없고, 또한 수지 성형시에 뚜껑체측 부착부(31)가 뚜껑체 나사인 제 2 수나사(35)와 독립하여 이형되어, 뚜껑체측 지수 부재(30)가 수지 성형에 의한 분할선이 없는 뚜껑체(4)의 하방에 부착되므로, 음용구 본체(9)의 뚜껑체용 지수부(19)에 분할선이 없기 때문에, 음용구 본체(9)와 뚜껑체(4)와의 지수를 확실히 행할 수 있고, 또한, 뚜껑체측 부착부(31)를 수나사(35)보다 하방에 배치했기 때문에, 뚜껑체측 부착부(31)에 분할선이 없고, 지수성이 향상된다. 또한, 뚜껑체측 지수 부재(30)가 뚜껑체(4)의 하방에 부착되기 때문에,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어,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작용·효과를 이룬다.
또한,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6에 대응하여, 음용구 본체(9)에 끼워져 맞춰지는 바깥 링부인 하부 외측 원통부(114)에, 용기 본체(1)에 부착하기 위한 암나사(119)가 배치되고, 또한 음용구 본체측 부착부(15)가 음용구 본체(9)의 하방에 형성되어, 수지 성형에 의한 분할선이 없고, 음용구 본체측 부착부(15)에 음용구 본체측 지수 부재(14)가 부착되므로, 음용구 본체(9)의 암나사(119)를 용기 본체(1)에 끼워 맞추게 하기 때문에, 용기 본체(1)의 스페이스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음용구 본체측 부착부(15)에 분할선이 없기 때문에, 음용구 본체(9)와 용기 본체(1)와의 지수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용기 본체(1)의 외나사인 수나사(108)를 이용하여 음용구 본체(9)를 탈착 가능하게 했기 때문에, 용기 본체(1)와 음용구 본체(9)의 지수 부위치인 음용구 본체측 지수 부재(14)의 위치를 상방에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마개체(3)의 높이를 억제하여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상의 효과로서, 음용구 본체(9)와 별체의 바깥 링부인 하부 외측 원통부(114)를 끼워 맞춰서 조립하고, 하부 외측 원통부(114)의 내면에 제 3 암나사(119)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하부 외측 원통부(114)의 성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2와 비교하여, 실시예 1 및 3에서는 탄성 지수 부재인 음용구 본체측 지수 부재(14)의 부피가 작기 때문에, 탄성 지수 부재의 성형이 용이하다.
한편, 본 발명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성형에 이용하는 성형 공금형의 형상은 적절히 선정 가능하다.
1 : 용기 본체
2 : 개구부(상부 개구부)
3 : 마개체
4 : 뚜껑체
9 : 음용구 본체(마개 본체)
13 : 제 1 수나사(음용구 본체의 수나사)
14 : 음용구 본체측 지수 부재(음용구 본체 지수 탄성 부재)
15 : 음용구 본체측 부착부(음용구 본체 지수 탄성 부재 부착부)
19 : 뚜껑체용 지수부
21 : 뚜껑 본체
30 : 뚜껑체측 지수 부재(뚜껑체 지수 탄성 부재)
31 : 뚜껑체측 부착부(뚜껑체 지수 탄성 부재 부착부)
34 : 제 2 암나사(음용구 본체의 암나사)
35 : 제 2 수나사(뚜껑체 나사)
112 : 음용구 본체(마개 본체)
114 : 하부 외측 원통부(바깥 링부)
118 : 음용구 본체측 지수 부재(음용구 본체 지수 탄성 부재)
119 : 제 3 암나사(바깥 링부의 수나사)
120 : 음용구 본체측 부착부(음용구 본체 지수 탄성 부재 부착부)

Claims (6)

  1. 용기 본체(1)의 개구부(2)에 나사가 끼워져 맞춰지는 수지제 음용구 본체(9)와, 이 음용구 본체에 나사가 끼워져 맞춰지는 수지제 뚜껑체(4)로 형성되는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에 있어서,
    상기 음용구 본체의 내측에 상기 뚜껑체가 끼워져 맞춰지는 암나사(34)가 부분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이 암나사의 하방에 뚜껑체용 지수부(19)가 형성되며,
    상기 음용구 본체의 바닥판(18)에는 외주 가장자리를 따라서 복수의 원고리 형상의 주액구멍(42)이 배치되어 있고,
    부분적으로 배치된 상기 암나사가 수지 성형시에 상기 뚜껑체용 지수부와 독립하여 부분적으로 이형되어, 상기 뚜껑체용 지수부에 수지 성형에 의한 분할선이 없고, 또한 수지 성형시에 뚜껑체측 부착부(31)가 뚜껑체 수나사(35)와 독립하여 이형되어, 뚜껑체측 지수 부재(30)가 수지 성형에 의한 분할선이 없는 상기 뚜껑체 하방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구 본체에, 용기 본체에 부착하기 위한 수나사(13)가 배치되고, 또한, 음용구 본체측 부착부(15)가 수지 성형시에, 상기 수나사와 독립하여 이형되어, 수지 성형에 의한 분할선이 없는 상기 음용구 본체 하방에 음용구 본체측 지수 부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구 본체에 끼워져 맞춰지는 바깥 링부(114)에, 상기 용기 본체에 부착하기 위한 암나사(119)가 배치되고, 또한 음용구 본체측 부착부(15)가 상기 음용구 본체의 하방에 형성되어, 수지 성형에 의한 분할선이 없고, 상기 음용구 본체측 부착부에 음용구 본체측 지수 부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4. 용기 본체(1)의 개구부(2)에 나사가 끼워져 맞춰지는 수지제 음용구 본체(9)와, 이 음용구 본체에 나사가 끼워져 맞춰지는 수지제 뚜껑체(4)로 형성되며, 상기 음용구 본체의 내측에 상기 뚜껑체가 끼워져 맞춰지는 암나사(34)가 부분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이 암나사의 하방에 뚜껑체용 지수부(19)가 형성되어 있는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음용구 본체의 바닥판(18)에는 외주 가장자리를 따라서 복수의 원고리 형상의 주액구멍(42)을 배치하며, 상기 뚜껑체용 지수부에 수지 성형에 의한 분할선이 없도록 상기 암나사를 수지 성형시에 상기 뚜껑체용 지수부와 독립하여 부분적으로 이형하고, 또한 뚜껑체측 지수 부재(30)가 부착되는 상기 뚜껑체의 하방에 수지 성형에 의한 분할선이 없도록 수지 성형시에 뚜껑체측 부착부(31)를 뚜껑체 수나사(35)와 독립하여 이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의 제조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구 본체에, 용기 본체에 부착하기 위한 수나사(13)를 배치하고, 또한, 음용구 본체측 지수부재(14)가 부착되는 상기 음용구 본체 하방에 수지 성형에 의한 분할선이 없도록 음용구 본체측 부착부(15)를 상기 수나사와 독립하여 이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의 제조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구 본체에 끼워져 맞춰지는 바깥 링부(114)에, 상기 용기 본체에 부착하기 위한 암나사(119)가 배치되고, 또한 음용구 본체측 지수 부재(14)가 부착되는 음용구 본체측 부착부(15)에 수지 성형에 의한 분할선이 없도록, 상기 음용구 본체측 부착부를 상기 음용구 본체의 하방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의 제조방법.


KR1020130072323A 2012-06-26 2013-06-24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4987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43526A JP6051616B2 (ja) 2012-06-26 2012-06-26 飲料用容器の栓体
JPJP-P-2012-143526 2012-06-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135A KR20140001135A (ko) 2014-01-06
KR101498796B1 true KR101498796B1 (ko) 2015-03-11

Family

ID=49891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2323A KR101498796B1 (ko) 2012-06-26 2013-06-24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051616B2 (ko)
KR (1) KR1014987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82014B2 (ja) * 2017-03-03 2021-06-02 サーモス株式会社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JP7332756B2 (ja) * 2018-02-07 2023-08-23 三菱ケミカル・クリンスイ株式会社 浄水器
CN108378644A (zh) * 2018-04-03 2018-08-10 张学军 一种可调节出水比例的多容积保温杯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9225Y2 (ja) * 1993-12-29 1998-08-20 株式会社織田島器物製作所 液体容器用の栓体
JPH11253312A (ja) * 1998-03-12 1999-09-21 Nippon Sanso Kk 茶漉し付保温容器
JP2010280402A (ja) * 2009-06-03 2010-12-16 Thermos Kk 飲料用容器
JP3171801U (ja) * 2011-09-06 2011-11-17 オルゴ株式会社 携帯用飲料容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5533U (ja) * 1983-08-01 1985-12-09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回動注出式液体容器
JP3408092B2 (ja) * 1996-12-12 2003-05-19 大和製罐株式会社 合成樹脂製キヤツプおよびその射出成形装置
JP3687084B2 (ja) * 1997-05-09 2005-08-24 サーモス株式会社 液体容器用栓体
JP2002037351A (ja) * 2000-07-26 2002-02-06 Tiger Vacuum Bottle Co Ltd 携帯用保温容器
JP4906021B2 (ja) * 2001-08-02 2012-03-28 大和製罐株式会社 合成樹脂製キャップの密封構造
JP5240313B2 (ja) * 2011-03-30 2013-07-17 サーモス株式会社 飲料用容器の栓体
JP5310831B2 (ja) * 2011-12-08 2013-10-09 サーモス株式会社 飲料用容器の栓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9225Y2 (ja) * 1993-12-29 1998-08-20 株式会社織田島器物製作所 液体容器用の栓体
JPH11253312A (ja) * 1998-03-12 1999-09-21 Nippon Sanso Kk 茶漉し付保温容器
JP2010280402A (ja) * 2009-06-03 2010-12-16 Thermos Kk 飲料用容器
JP3171801U (ja) * 2011-09-06 2011-11-17 オルゴ株式会社 携帯用飲料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135A (ko) 2014-01-06
JP2014005065A (ja) 2014-01-16
JP6051616B2 (ja) 2016-12-27
CN103508062A (zh) 2014-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2937B1 (ko)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US7938281B2 (en) Leakproof bottle for infant food
US11014715B2 (en) Safety cap spout
KR101498796B1 (ko)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및 그 제조방법
US10945546B2 (en) Drinking attachment for a drinking vessel and drinking vessel with such attachment
US20070221608A1 (en) Handle and finish attachment for a container
JP3223051U (ja) スポイト付キャップ
JP5310831B2 (ja) 飲料用容器の栓体
JP7094083B2 (ja) 二重容器
JP6507505B2 (ja) 嵌合キャップ及びその嵌合構造を有する容器
JP5877634B2 (ja) キャップおよび薬液供給器
JP5946239B2 (ja) 蓋付き容器
JP3895704B2 (ja) 注出筒付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
WO2012063798A1 (ja) 薬液容器用ノズル
JP5815398B2 (ja) 吐出器
JP3242883U (ja) 水筒用蓋体
CN103508062B (zh) 饮料用容器的栓体
JP2004238023A (ja) 計量キャップ
JP7420479B2 (ja) 飲料容器
JP5317104B2 (ja) サーバー用飲料水収容具
JP6157955B2 (ja) ヒンジキャップ
JP4457013B2 (ja) 薬液容器、及び薬液容器用の抽出ノズル
JP4227714B2 (ja) プッシュプル開閉式蓋
JP6966268B2 (ja) エアゾール容器
JP5965802B2 (ja) 本体及び外蓋を具備する合成樹脂製容器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