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7710B1 - 극세 동축선 하네스, 그 접속방법, 배선판 접속체, 배선판 모듈 및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극세 동축선 하네스, 그 접속방법, 배선판 접속체, 배선판 모듈 및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7710B1
KR101497710B1 KR1020087022005A KR20087022005A KR101497710B1 KR 101497710 B1 KR101497710 B1 KR 101497710B1 KR 1020087022005 A KR1020087022005 A KR 1020087022005A KR 20087022005 A KR20087022005 A KR 20087022005A KR 101497710 B1 KR101497710 B1 KR 101497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wiring board
fine
exposed
coax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2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4064A (ko
Inventor
케이지 코야마
히로유키 센바
타카요시 코이누마
모토오 코바야시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14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4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7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7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24Connection to outer conductor by action of a clamping member, e.g. screw fasten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18Coaxial cables; Analogous cables having more than one inner conductor within a common outer conductor
    • H01B11/20Cables having a multiplicity of coaxial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06Connection between three or more cable e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15Connection to a rigid planar substrate, e.g. printed circuit boar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174Means to fasten electrical component to wiring board, base, or substrate

Landscapes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mmunication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의 확실성, 신속성을 도모하면서, 좁은 공간에서 기판과의 커넥터리스(connectorless) 접속을 실행할 수 있는 극세 동축선 하네스(harness)를 제공한다. 다심 극세 동축선(10)은, 복수 개의 극세 동축선(11)을 병렬로 연결시킨 것으로서, 각 극세 동축선(11)은 선단부가 노출된 중심 도체(12)와, 중간 절연체(13)와, 외측 도체(14)와, 외피(15)를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하네스는 다심 극세 동축선(10)의 외측 도체(14)를 공통으로 접속하는 접지부재(20)와, 중심 도체(12)를 고정하는 절연체 프레임(30)이 구비되어 있다. 절연체 프레임(30)의 하측 필름(31) 및 상측 필름(32)의 각 단부(31y. 32y)에는, 각 중심 도체(12)와 기판측 배선과 위치 맞추는 얼라인먼트 홀(36)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극세 동축선 하네스, 그 접속방법, 배선판 접속체, 배선판 모듈 및 전자기기{ULTRAFINE-COAXIAL-WIRE HARNESS, CONNECTING METHOD THEREOF, CIRCUIT-BOARD-CONNECTED BODY, CIRCUIT-BOARD MODULE, AND ELECTRPNIC APPARATUS}
본 발명은, 극세 동축선 하네스(harness), 그 접속방법, 배선판 접속체, 배선판 모듈 및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극세 동축선을 기판의 배선과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가 공지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커넥터(100)는, 리셉터클(도시 생략)에 끼워 붙여서 복수의 극세 동축선(101)을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이다. 커넥터(100)에는,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지는 절연체의 하우징(102)과, 하우징(102)의 폭방향을 따라서 소정의 피치로 배설된 복수 개의 도전단자(103)와, 하우징(102)의 상부면을 덮는 실드판(104)을 가지고 있다. 또, 각 도전단자(103)는, 하우징의 폭방향을 따라서 소정의 피치로 서로 인접하도록 형성된 수용오목부(105) 내에 각각 위치결정 배치되어 있다. 이 도전단자(103)에 접속되는 각 극세 동축선(101)은, 도전단자(103)에 땜납 등에 의해 접속되는 중심 도체(107)와, 중심 도체(107)를 피복하는 절연체(108)와, 절연체(108)의 외부측에 형성된 외측 도체(109)와, 외측 도 체(109)를 피복하는 외피(110)를 가지고 있다. 각 극세 동축선(101)은, 각 중심 도체(107)가 대응하는 각 도전단자(103)에 각각 접속되고, 각 외측 도체(109)는 스웨이징부재(111)에 의해서 일괄적으로 커넥터(100)에 접속되어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5-302604호 공보
그런데, 휴대전화기 등에 사용되는 극세 동축선은, 극세 동축선 상호간, 혹은 극세 동축선과 기판 등이 커넥터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이에 대해서, 특허문헌 1의 커넥터(100)에는, 복수의 극세 동축선(101)의 각각의 외부 도체(109)를 납땜하지 않고, 1매의 공통된 연결용 금속판인 스웨이징부재(111)에 의해, 커넥터와 스웨이징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서, 외부 도체(109)에의 땜납의 함침이 없으므로, 극세 동축선(101)의 굴곡성이 손상되지 않게 되며, 극세 동축선의 좁은 접속 개소에서의 작업성이 향상된다고 되어 있다.
그러나, 기기의 소형화에 따라 접속 개소로서 확보할 수 있는 공간은 점점 축소되고 있으며, 극세 동축선도 예를 들면 AWG(American Wire Gauge) 40 ~ 45의 세경(細徑)의 것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상황 하에서는, 특허문헌 1과 같은 커넥터를 통한 접속구조를 채용하는 것이 곤란해지게 되었다. 그래서, 접속의 공간을 가능한 한 축소하기 위해서, 커넥터를 이용하지 않고, 각 극세 동축선의 중심 도체를 직접 기기의 회로에 접속하는, 등의 커넥터리스(connectorless) 접속의 실현이 기대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의 확실성, 신속성을 도모하면서, 좁은 공간에서 기판과의 커넥터리스 접속을 실행할 수 있는 극세 동축선 하네스나, 이것을 이용한 배선판 접속체 등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극세 동축선 하네스는, 선단부가 노출된 중심 도체, 선단부가 노출된 통형상의 절연체, 선단부가 노출된 외측 도체 및 외피가 순차적으로 구비되어 있는 복수의 극세 동축선의, 각 중심 도체를 횡방향으로 정렬시킨 상태에서 중심 도체를 고정하는 절연체 프레임과, 각 외측 도체의 노출부분에 접속되는 접지부재를 구비하는 동시에, 절연체 프레임에, 중심 도체를 기판측의 배선에 위치 맞추기 위한 얼라인먼트부를 구비한 것이다.
이에 의해, 얼라인먼트부를 통해서, 극세 동축선이 접속되는 기판측의 배선과, 중심 도체와의 위치맞춤이 신속하고 또한 용이해지며, 좁은 공간에서 커넥터리스 접속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의 극세 동축선 하네스는, 절연체 프레임에, 중심 도체를 상하로부터 끼워 유지하는 상측 부재와 하측 부재를 형성하고, 하측 부재에, 한 쌍의 직사각형부와 각 직사각형부에 이 양측 단부에서 연결되는 한 쌍의 단부를 형성해서, 각 한 쌍의 직사각형부 및 단부의 사이에 창부를 형성하여 중심 도체를 노출시키는 구조로 해도 된다. 이에 의해, 한 쌍의 직사각형부에 의해 중심 도체가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그 사이의 창부에서 기판측의 배선과의 접속을 실행할 수 있으므로, 접속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얼라인먼트부로서, 절연체 프레임의 한 쌍의 단부에 얼라인먼트 홀을 형성해도 된다. 이에 의해, 작업성이 향상된다.
상기의 접지부재에, 각 외측 도체의 노출부분과 걸어 맞추는 걸어맞춤부를 형성해도 된다. 걸어맞춤부에 의해 각 중심 도체의 정렬위치를 규정하는 구조로 하고, 접지부재를 절연체 프레임에 연결함으로써, 각 극세 동축선을 안정적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각 중심 도체와 기판측과의 접속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극세 동축선 하네스의 접속방법은, 얼라인먼트부를 기준으로 한 위치결정을 해서, 각 중심 도체를 복수의 배선부재를 가지는 배선판의 각 배선부재에 접속시키는 방법으로서, 이 방법에 의해, 극세 동축선을 신속하며 또한 용이하게 배선판에 탑재할 수 있다.
상기의 접속방법은 얼라인먼트부를 기준으로 한 위치결정을 하기 전에, 한 쌍의 필름의 사이에 극세 동축선의 각 중심 도체를 가이드 홀을 기준으로서 정렬시키고, 고착한 후, 얼라인먼트부로서 얼라인먼트 홀을 한 쌍의 필름에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한 쌍의 필름의 접합 시에, 미묘한 위치 어긋남을 발생하거나, 주름이 발생해도, 얼라인먼트 홀을 별도로 형성하고, 이것을 기준으로 한 위치맞춤을 실행함으로써, 기판측의 배선부재에 확실히 접속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배선판 접속체는, 복수의 배선이 형성된 배선판과, 이 배선판의 위에 형성된 본 발명의 극세 동축선 하네스를 구비한 것으로서, 이에 의해, 극세 동축선 하네스가 조립된 기기의 소형화ㆍ박형화에 적합한 배선판 접속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판(FPC),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FFC),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PCB)을 배선판이라 총칭한다.
본 발명의 배선판 모듈은, 본 발명의 배선판 접속체와 상기 배선판에 실장된 전자부품으로 이루어지며,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이 배선판 모듈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에 있어서도, 소형화ㆍ박형화에 적합한 배선판 모듈이나 전자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극세 동축선 하네스, 그 접속방법, 배선판 접속체, 배선판 모듈 또는 전자기기에 의하면, 작업의 신속성 및 용이성을 도모하면서, 좁은 장소에서 기판측의 배선과의 커넥터리스 접속을 실시할 수 있다.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도 1 내지 ~ 도 3C는, 상하 반대로 묘사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극세 동축선 하네스의 사시도;
도 2A는 도 1에 나타낸 극세 동축선 하네스의 평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Ⅱb-Ⅱb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3A는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극세 동축선의 제조공정에 있어서의 정렬공정을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도이며, 도 3B는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극세 동축선의 제조공정에 있어서의 압연공정을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도이고, 도 3C는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극세 동축선의 제조공정에 있어서의 피복공정을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도;
도 4A는 도 3C에 나타낸 공정의 상세한 것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B는 도 3C에 나타낸 공정의 상세한 것을 나타낸 평면도;
도 5A는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극세 동축선을 리지드 프린트 배선에 연결시키는 방법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B는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극세 동축선을 리지드 프린트 배선에 연결시키는 방법에 있어서의 조립용 지그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C는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극세 동축선을 리지드 프린트 배선에 연결시키는 방법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D는 도 5C의 Vd-Vd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6은 휴대전화기로서 기능하는 전자기기에 내장되는 각종 배선판 모듈간의 접속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종래의 극세 동축선의 접속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다심 극세 동축선 11: 극세 동축선
12: 중심 도체 13: 절연체
14: 외측 도체 15: 외피
20: 접지부재 21: 걸어맞춤부
21a: 종벽부 21b: 저벽부
22: 연결부 22a: 접지편
22b: 연결편 30: 절연체 프레임
31: 하측 필름 31a: 창부
31x: 직사각형부 31y: 단부
32: 상측 필름 33: 압압판
36: 얼라인먼트 홀 38: 가이드 홀
40: 점착테이프 50: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
51: 리지드 기판 52: 신호배선
53: 접지배선 54: 얼라인먼트 홀
60: 조립용 지그 61: 설치대
62: 핀 70: 히터 칩
<실시의 형태>
극세 동축선 하네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극세 동축선 하네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 도 2B는, 차례로, 도 1에 나타낸 극세 동축선 하네스의 평면도, 및 도 2A의 Ⅱb-Ⅱb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A,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다심 극세 동축선(10)은, 복수 개의 극세 동축선(11)을 병렬로 연결시킨 것이다. 각 극세 동축선(11)은, 단면이 대략 원형인 중심 도체(12)와, 중심 도체(12)를 피복하는 절연체(13)와, 절연체(13)의 주위에 형성되어, 접지가 되는 외측 도체(14)와, 이들의 부재 전체를 피복하는 외피(15)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중심 도체(12)의 선단부는 노출되어 있으며, 이 노출부분은, 압연되어서, 극세 동축선의 병렬면을 따르도록 편평화되어 있다. 단, 중심 도체(12)의 노출부분이 반드시 편평할 필요는 없다. 또, 절연체(13), 외측 도체(14)는 외피(15)로부터, 순차적으로 단(段)형상으로 노출되어 있다.
또, 본 극세 동축선 하네스에는 다심 극세 동축선(10)의 외측 도체(14)의 각 노출부분을 공통으로 접속하는 접지부재(20)와, 중심 도체(12)를 고정하는 절연체 프레임(30)이 구비되어 있다.
접지부재(20)는, 금속 도체로 이루어지는 판재(板材)의 양측면부가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단면 「コ」자 형상으로 형성된 걸어맞춤부(21)와, 걸어맞춤부(21)의 일부에 접속되는 연결편(22b)과, 중심 도체(12)와 대략 동일한 높이위치에서, 걸어맞춤부(21)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신하는 접지편(22a)을 가지는 연결부(22)를 가지고 있다. 걸어맞춤부(21)는, 파상(波狀)의 종벽부(21a)와 저벽부(21b)를 가지고 있으며, 종벽부(21a)에는, 외측 도체(14)와 걸어 맞추는 다수의 파상의 홈이 일정한 피치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부(22)의 연결편(22b)은, 각각 양측의 종벽부(21a)에 납땜에 의해서 접합되어 있다. 또 걸어맞춤부(21)의 각 홈은, 각 외측 도체(14)와 납땜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외측 도체(14)의 납땜되어 있지 않은 노출부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이 걸어맞춤부(21)에 의해, 각 극세 동축선 간격이 소정의 피치로 유지되고, 나아가서는, 각 중심 도체(12)의 정렬위치가 규정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구조에서는, 한쪽에만 걸어맞춤부(21)가 형성되어 있지만, 반대측에도, 걸어맞춤부를 가지는 압압부재, 또는 평판의 압압부재를 형성하고, 양측으로부터 외측 도체(14)를 끼워 유지하는 구조로 해도 된다.
절연체 프레임(30)은, 중심 도체(12)의 접속면(12a)을 지지하는 하측 부재인 하측 필름(31)과, 중심 도체(12)의 압압면(12b)을 지지하는 상측 부재인 상측 필름(32)과, 상측 필름(32)과 중심 도체(12)의 압압면(12b)과의 사이에 개재되는 압압판(33)을 가지고 있다. 하측 필름(31)은, 중심 도체(12)와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신하는 한 쌍의 직사각형부(31x)와, 각 직사각형부(31x)를 양측 단부에서 연결하는 한 쌍의 단부(31y)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직사각형부(31x) 및 단부(31y)로 형성되는 프레임 중에, 중심 도체를 기판측의 배선과 접속시키기 위한 창부(31a)가 형성되어 있다. 또, 각 단부(31y)에는, 각 중심 도체(12)와 기판측의 각 배선부재와의 위치결정을 하기 위한 얼라인먼트 홀(36)이 형성되어 있다. 상측 필름(32)은, 창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하측 필름 전체와 대략 합치하는 외형을 가지고 있으며, 얼라인먼트 홀(36)은, 상측 필름(32)의 양측 단부(32y)도 관통하고 있다. 그리고, 하측 필름(31), 상측 필름(32) 및 압압판(33)은, 각각 중심 도체(12)에 열경화형 수지(에폭시수지 등)에 의해서 고착되어 있다. 또, 접지부재(20)의 연결부(22)의 접지편(22a)도, 하측 필름(31) 및 상측 필름(32)에 열경화성 수지에 의해서 고착되어 있다.
극세 동축선(11)으로서는, 예를 들면 극세직경(AWG(American Wire Gauge) 40-46)의 것이 이용된다. 극세 동축선(11)의 중심에 배치되는 중심 도체(12)는, 유연하고 굽힘에 강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동선(銅線)으로 이루어지는 연선(撚線)이 바람직하지만,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변형되기 어려운 단선(單線)을 이용하고 있다. 중심 도체의 편평화된 부분의 두께는 예를 들면 75μm정도이며, 연결부(22)의 접지편(22a)의 두께도 동일한 정도이다.
하측 필름(31) 및 상측 필름(32)으로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이미드 등의 열경화성 수지를 이용할 수 있고, 하측 필름(31) 및 상측 필름(32)과 중심 도체(12)를 접착제(에폭시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서 고착함으로써, 편평한 중심 도체(12)가 중심 도체의 상하에 도포된 접착제에 의해 상하의 필름과 접합하므로, 중심 도체(12)가 확실히 유지되게 된다. 또한, 하측 필름(31)의 중앙부가 창부(31a)로 되어 있으므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부(31a)에 모든 중심 도체(12)와, 접지부재(20)의 연결부(22)의 접지편(22a)이 노출되어 있다.
또,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필름(32)과 중심 도체(12)의 압압면(12b)과의 사이에 압압판(33)을 개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압판(33)은, 중심 도체(12) 및 양측의 접지부재(20)의 연결부(22)의 접지편(22a)의 폭방향(도 2A에 있어서의 좌우방향)의 전체폭을 포함하기에 충분한 길이를 가지는 동시에, 중심 도체(12) 및 연결부(22)의 접지편(22a) 중 창부(31a)에 노출되어 있는 영역의 대부분을 커버하는 정도의 폭을 가지고 있다. 이에 의해, 하측 필름(31) 및 상측 필름(32)에 의해서 끼인 부분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 중심 도체(12)의 접속면(12a)을 기판측의 배선에 가압한 경우에, 압앞판(33)의 탄성력에 의해서, 각 중심 도체(12)나 연결부(22)의 접지편(22a)과 배선과의 접촉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어서, 양자를 확실하게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제조방법>
도 3A ~ 도 3C는,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극세 동축선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단, 도 3A ~ 도 3C에서는, 접지부재(20)의 연결부(22)의 접지편(22a)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우선, 도 3A에 나타낸 공정(정렬공정)에서, 복수 개의 극세 동축선(11)(도시는 2개)은 병렬해서, 이들의 외피(15)를 레이저로 달궈서 소정의 길이의 슬릿을 내서 제거한다. 또, 외측 도체(14), 절연체(13)도 소정의 길이의 부분을 레이저로 달궈서 제거하고, 외측 도체(14), 절연체(13) 및 중심 도체(12)를 단형상으로 소정의 길이로, 순차적으로 노출시켜 둔다. 그리고, 접지부재(20)의 걸어맞춤부(21)의 각 홈에 각 외측 도체(14)를 걸어 맞춰서, 걸어맞춤부(21)와 외측 도체(14)를 땜납 또는 도전성 접착제로 고착한다. 이에 의해, 각 극세 동축선(11)이 일정한 피치(기판측의 배선과 동일한 피치)로 정렬되고, 나아가서는, 중심 도체(12)가 기판측의 배선과 동일한 피치로 정렬된다.
다음에, 도 3B에 나타낸 공정(압연공정)에서, 중심 도체(12)의 최선단부(12c)를 제외한 노출영역, 및 절연체(13)의 선단부분의 일부를 포함한 압연영역(R)을 압연해서, 노출되어 있는 중심 도체의 선단부를 편평화한다.
또한, 도 3C에 나타낸 공정(피복공정)에서, 중심 도체(12)의 편평부분의 압압면(12b) 위에 압압판(33)을 두고, 편평화된 중심 도체(12), 및 절연체(13)의 압연된 부분에 상측 필름(32)을 접착한다. 그리고, 상측 필름(32)과 중첩되도록, 하측 필름(31)을 상기 부재에 접착한다. 이때, 하측 필름(31)의 창부(31a)로부터 중심 도체(12)의 접속면(12a)이 노출되도록 한다.
최종적으로, 중심 도체(12), 하측 필름(31) 및 상측 필름(32)을 절단선(L)에서 절단해서, 중심 도체(12)의 최선단부(12c)를 제거한다.
여기서, 도 3C에 나타낸 공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A, 도 4B는, 차례차례, 도 3C에 나타낸 공정의 상세한 것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에서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절연체 프레임(30) 중 하측 필름(31)만이 표시되고, 상측 필름(32)이나 압압판(33)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A, 도 3B에 나타낸 공정에서는 도시가 생략되어 있지만, 실제의 공정에서는 일시적으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극세 동축선(11)의 중심 도체(12)의 최선단부(12c)(도 3C 참조)는 절연체(13)에 의해서 피복되어 있다. 이 최선단부(13a)는, 점착테이프(40)에 의해 첩부되어서, 각 극세 동축선(11)이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필름(31)을, 도 3B에 나타낸 압연영역(R)에 위치시켜서, 그 위에, 중심 도체(12), 연결부(22)의 접지편(22a) 및 절연체(13)를 재치한다. 하측 필름(31)의 양측 단부에는, 하측 필름(31)과, 다심 극세 동축선(10) 및 접지부재(20)와의 연결위치를 맞추기 위한 가이드 홀(38)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압압판(33)을 중심 도체(12) 및, 연결부(22)의 접지편(22a) 위에 재치하고, 또한 이들 부재 위에, 에폭시수지 등의 접착제를 도포하고 나서, 상측 필름(32)을 재치한다. 도 4B에는, 상측 필름(32)이나 압압판(33)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지만, 접지부재(20)의 연결부(22)의 접지편(22a) 및 중심 도체(12)는, 하측 필름(31)과 압압판(33)의 사이에 끼워져 있다(도 2A 및 도 2B 참조). 상측 필름 (32)(도시하지 않음)의 양측 단부(32y)(도 1 참조)에도, 하측 필름(31)과 동일한 위치에 가이드 홀(38)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 홀(38)을 작업 지그(도시하지 않음)의 핀에 걸어 맞춰서 위치가 맞춰진 상태에서, 하측 필름(31) 및 상측 필름(32)이, 소정의 위치에서 중첩되어, 도 3C의 우측 도면에 나타낸 상태가 된다. 또, 가이드 홀(38)에 의해서, 접지부재(20)의 걸어맞춤부(21)와 하측 필름(31) 및 상측 필름(32)과 접지부재(20)의 걸어맞춤부(21)도 위치 맞춰진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하측 필름(31), 상측 필름(32), 압압판(33), 중심 도체(12), 연결부(22) 및 절연체(13)(편평화부분)를 양측으로부터 압압해서, 각 접촉부를 에폭시수지 등에 의해서 고착한다. 또한, 압압판(33)은 반드시 필요하지 않다.
다음에, 도 4A,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 도체(12), 하측 필름(31) 및 상측 필름(32)을 도 3C에 나타낸 절단선(L)에서 절단할 경우에, 하측 필름(31) 및 상측 필름(32)의 가이드 홀(38)이 형성된 양측 단부도 절단해서 제거된다. 그리고, 하측 필름(31)의 양측 단부(31y)에, 접지부재(20)의 걸어맞춤부(21)를 기준으로 하는 위치결정, 즉 중심 도체(12)의 정렬위치와 위치결정되어서, 새롭게 얼라인먼트 홀(36)을 형성한다. 이때, 도 4B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하측 필름(31)에 중합되어 있는 상측 필름(32)의 양측 단부(32y)(도 1 참조)도, 얼라인먼트 홀(36)이 관통되어 있다.
도 5A ~ 도 5D는,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극세 동축선을 리지드 프린트 배선에 연결시킨 배선판 접속체를 작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50)은, 리지드 기판(51)과, 리지드 기판(51)의 위에 형성된 신호배선(52)과, 접지배선(53)을 가지고 있다. 또, 리지드 기판(51)에는, 얼라인먼트 홀(36)과 동일한 간격, 동일한 크기로 한 쌍의 얼라인먼트 홀(54)이 형성되어 있다. 신호배선(52) 및 접지배선(53)의 선단부에는, 땜납층이 형성되어 있다.
또,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대(61)와, 각 얼라인먼트 홀(36, 54)과 동일한 피치로 약간 큰 한 쌍의 핀(62)을 가지는 조립용 지그(60)를 준비한다.
그리고,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핀(62)에 각 얼라인먼트 홀(36, 54)을 삽입통과시켜서,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50)의 위에 다심 극세 동축선(10)을 탑재한다. 이때, 창부(31a)는 공간이므로, 핀(62)과, 각 얼라인먼트 홀(36, 54)에 의해서, 각 신호배선(52)의 바로 위에는 간극을 가지고 각 중심 도체(12)가 위치되고, 접지배선(53)의 바로 위에는 간극을 가지고 접지부재(20)의 연결부(22)의 접지편(22a)이 위치되도록, 위치결정된다. 또한, 신호배선(52)과 중심 도체(12)의 사이, 및 접지배선(53)과 연결부(22)의 접지편(22a)의 사이에 땜납을 개재해 둔다.
그리고, 도 5D(도 5C의 Vd-Vd선 단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 팁(heater tip)(70)에 의해서, 상측 필름(32)을 압압하면, 창부(31a)에 있어서, 신호배선(52)과 중심 도체(12)가 납땜에 의해 접합되고, 접지배선(53)과 연결부(22)의 접지편(22a)이 납땜에 의해 접합된다. 이에 의해서, 다심 극세 동축선(10)과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50)이, 신호라인 및 접지라인의 쌍방에 있어서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본 실시의 형태의 극세 동축선 하네스에 의하면, 극세 동축선(11)의 중심 도 체(12)를 지지하는 절연체 프레임(30)의 하측 필름(31) 및 상측 필름(32)에, 중심 도체(12)를 신호배선(52)에 위치 맞추기 위한 얼라인먼트 홀(36)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다심 극세 동축선(10)을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50) 등의 부재의 위에 탑재하는 작업을, 정확하고 또한 신속히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를 필요로 하지 않아, 연결을 위해 필요한 공간도 하측 필름(31)의 창부(31a)만큼의 좁은 공간이면 해결되게 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절연체 프레임(30)에, 하측 필름(31)이 존재하지 않고, 상측 필름(32)만으로 중심 도체(12)를 접착제에 의해 고착시켜도, 본 발명의 기본적인 효과를 발휘하는 것은 가능하다. 단, 절연체 프레임(30)이, 중심 도체를 상하로부터 끼워 유지하는 상측 필름(32)(상측 부재)과 하측 필름(31)(하측 부재)을 가지고 있음으로써, 중심 도체(12)를 확실히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필름(31, 32)을 가짐으로써, 극세 동축선 하네스의 선단부를 FPC와 같이 기능시키고, 기판에 실장된 ZIF 커넥터에 직접 삽발(揷拔)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하측 필름(31)에, 한 쌍의 직사각형부(31x)와, 각 직사각형부(31x)에 이 양측 단부에서 연결되는 한 쌍의 단부(31y)를 가지고 있으며, 직사각형부(31x) 및 단부(31y)의 사이에, 중심 도체(12)가 노출되는 창부(31a)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창부(31a) 내에서 중심 도체(12)와 신호배선(52)을 확실히 접촉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절연체 프레임(30)에, 창부(31a)가 존재하지 않고, 즉, 하측 필름(31)의 한쪽의 직사각형부(31x)만이 존재하는 구조이어도, 절연체 프레임(30)에 의해 중심 도체(12)를 지지하는 것은 가능하다. 단, 하측 필름(31)에, 한 쌍의 직사각형부(31x)가 존재함으로써, 각 중심 도체(12)가 이동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으므로, 중심 도체(12) 상호간의 피치를 보다 확실히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중심 도체(12)의 위치결정은, 반드시 접지부재(20)의 걸어맞춤부(21)에 의해서 실행할 필요는 없고, 절연체 프레임(30)의 부재에 의해 중심 도체(12)의 위치결정을 실행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런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기본적인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단, 비교적 치수가 큰 각 극세 동축선(11)의 각 외측 도체(14)와, 접지부재(20)의 걸어맞춤부(21)를 서로 걸어 맞추는 동시에, 접지부재(20)의 연결부(22)를 개재해서, 걸어맞춤부(21)와 절연체 프레임(30)을 연결시켜서, 중심 도체(12)를 정렬시킴으로써, 중심 도체(12)간의 피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또, 접지부재(20)의 연결부(22)의 접지편(22a)이 리지드 기판(51)의 위의 접지배선(53)에 접속되어 있음으로써, 접지라인의 접속도 원활하게 실행된다. 단, 접지라인의 접속방법은, 본 실시의 형태의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어서, 다양한 형태를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접지부재(20)의 연결부(22)의 접지편(22a)이 없는 상태에서 연결부(22)의 연결편(22b)에 대응하는 위치에 접지배선을 형성해 두고, 접지배선에는 땜납층을 형성하고, 열압착에 의해 접속됨으로써 접속에 필요한 공간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또, 도 4A, 도 4B 및 도 5A ~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체 프레임(30)과, 다심 극세 동축선(10) 및 접지부재(20)를 연결할 경우에는, 절연체 프레임(30)의 가이드 홀(38)을 이용함으로써, 하측 필름(31)과 상측 필름(32)과의 접합을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다. 한편, 접합이 종료된 시점에서는, 하측 필름(31)과 상측 필름(32)이, 접착제에 의해서, 미묘한 위치어긋남이 발생하거나, 주름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가이드 홀(38)과는 별도로, 중심 도체(12)의 정렬위치에 위치 맞춰진 얼라인먼트 홀(36)을 형성함으로써, 리지드 기판(51)의 위의 신호배선(52) 등의 기판측의 배선부재에 중심 도체(12)를 확실히 접속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하측 필름(31) 및 상측 필름(32)을 가지는 절연체 프레임(30)과, 중심 도체(12)를 접착제에 의해서 고착하는 공정에서는, 접합용 얼라인먼트부(가이드 홀(38))를 이용해서, 중심 도체(12)와 절연체 프레임(30)을 위치결정하는 반면에, 다심 극세 동축선(10)을 기판측의 배선부재에 접속시키는 공정에서는, 탑재용 얼라인먼트부(얼라인먼트 홀(36))를 이용해서 중심 도체(12)와 기판측의 배선(신호배선(52))과의 위치맞춤을 함으로써, 다심 극세 동축선(10)을 기판측의 배선부재에 확실히 접속시킬 수 있다.
단, 본 발명의 얼라인먼트부는,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얼라인먼트 홀(36)이나 가이드 홀(38)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작업 지그의 걸어맞춤용 부재와 걸어 맞추는 것이면 된다.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하측 필름(31) 및 상측 필름(32)과 중심 도체(12)와의 고착용 접착제로서, 열경화성 수지인 에폭시수지를 이용해서, 가열ㆍ경화시키도록 했지만, 열가소성 수지인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을 이용하여, 가열ㆍ용융해서 융착시키도록 해도 된다.
<배선판 모듈 및 전자기기의 구조>
도 6은, 휴대전화기로서 기능하는 전자기기에 내장되는 각종 배선판간의 접속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의 형태의 전자기기에 내장되는 배선판 모듈은, LED(90)를 탑재한 휴대전화기의 화면을 표시하는 메인디스플레이(61)와, 전자기기 내의 주요한 제어를 담당하는 제1 서브 PCB(62) 및 메인 PCB(63)와, 휴대전화기의 부차적인 정보를 표시하는 서브디스플레이(64)와, 안테나(65)와, 인카메라(incamera)(91)를 제어하기 위한 인카메라제어용 PCB(66)와, 부속회로용 PCB(67)를, FPC에 의해 접속된 일체화 모듈의 일부를 점유한다. 상기 제1 서브 PCB(62) 및 메인 PCB(63)에는, 내장 메모리, 베이스 밴드 LSI, 전원제어 IC, 음원 IC, RF수신 LSI, RF송신 LSI, 파워 업, 스위치 IC 등이 배분되어서 배치되어 있다.
또, 일체화 모듈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아웃카메라(outcamera)(93) 및 아웃카메라(93)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94)도, 전자기기 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서브 PCB(62)와 메인 PCB(63)는, 극세 동축선(83) 또는 FPC에 의해 접속되어 있으며, 극세 동축선(83)과 제1 서브 PCB(62)와의 접속부에는 극세 동축선용 커넥터(73)가 구비되어 있다. 극세 동축선용 커넥터(73)는, 극세 동축선(83)과 메인 PCB(63)와의 접속부에 있어서 분해되어 나타낸 바와 같이, 접지부재나 극세 동축선의 중심 도체를 고정하는 절연체 프레임을 포함한 극세 동축선 하네스(77a)와, 기판측의 동축선 접속부(77b)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또, 메인디스플레이(61)와, 제1 서브 PCB(62)는, 2개의 FPC(81a, 81b)에 의 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2개의 FPC(81a, 81b)는, 메인디스플레이(61)에 있어서는, 액정패널측과 LED(90)측으로 분류되지만, 제1 서브 PCB(62)의 위에서는, 공통의 커넥터(71)에 접속되어 있다.
또, 제1 서브 PCB(62)와 서브디스플레이(64)는, FPC(82)에 의해, 커넥터(72)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제1 서브 PCB(62)와 인카메라제어용 PCB(66)는, FPC(84)에 의해, 커넥터(74)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제1 서브 PCB(62)와 부속회로용 PCB(67)는, FPC(85)에 의해, 커넥터(75, 76)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메인 PCB(63)와 안테나(65)는, FPC(86)에 의해, 커넥터(78)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각 PCB의 리지드 기판으로서는, 유리 에폭시판에 한정되지 않고, 종이 페놀판, 종이 에폭시판, 불소수지판, 알루미나판 등이 이용된다. 배선의 재료로서는, 동합금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플렉서블 기판으로서는, 폴리이미드판에 한정되지 않고, 폴리에스테르판(저온 사용), 유리 에폭시판(박판) 등이 이용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의 형태의 극세 동축선 하네스를, 일체화 모듈의 일부분인 배선판 모듈, 나아가서는 배선판 모듈을 포함한 전자기기에 조립됨으로써, 극세 동축선 하네스를 배선판의 위에 탑재하는 작업을, 커넥터리스에 의해 정확하고 또한 신속하게 실행할 수 있다.
상기의 전자기기로서는, 휴대전화기 이외에, 디지털카메라, 비디오카메라 등의 카메라, 휴대용 오디오플레이어, 휴대용 DVD 플레이어, 휴대용 노트북 등이 있다.
상기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구조는, 어디까지나 예시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이들의 기재의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의 범위의 기재에 의해서 나타나며, 또한 특허청구의 범위의 기재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휴대전화기 이외에, 디지털카메라, 비디오카메라 등의 카메라, 휴대용 오디오플레이어, 휴대용 DVD 플레이어, 휴대용 노트북 등의 전자기기에 이용될 수 있다.

Claims (9)

  1. 선단부가 노출된 중심 도체, 선단부가 노출된 통형상의 절연체, 선단부가 노출된 외측 도체 및 외피가 순차적으로 구비되어 있는 복수의 극세 동축선과,
    상기 각 극세 동축선의 각 중심 도체가 횡방향으로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중심 도체를 고정하는 절연체 프레임과,
    상기 각 극세 동축선의 각 외측 도체의 선단부가 노출된 부분에 접속되는 접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절연체 프레임에는, 상기 중심 도체를 기판측의 배선에 위치 맞추기 위한 얼라인먼트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절연체 프레임은, 상기 중심 도체를 상하로부터 끼워 유지하는 상측 부재와 하측 부재를 가지며,
    상기 하측 부재는, 한 쌍의 직사각형부와, 해당 각 직사각형부에 이 양측 단부에서 연결되는 한 쌍의 단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각 한 쌍의 직사각형부 및 단부의 사이에?하나의 창부가 형성되어 있고, 또, 상기 상측부재는 창부가 없는 부재이며,
    상기 횡방향으로 정렬된 중심도체가 상기 하나의 창부에 노출하고, 또한 상기 접지부재의 연장되는 부분이 상기 하나의 창부에 노출하는 극세동축선 하네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재는, 상기 각 극세 동축선의 각 외측도체를 상하로부터 끼워유지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는 끝에 있어서 상기 중심도체와 동일한 높이 위치에서 상기 하측부재의 창부로 연장되는 접지편을 구비하고, 상기 접지편이 상기 하나의 창부에 노출하는 극세동축선 하네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부재 및 하측부재는 필름이고, 상기 하측부재의 창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있어서 상기 상측부재와 상기 중심도체와의 사이에 압압판이 개재되어 있는 극세동축선 하네스.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극세동축선 하네스와, 복수의 배선이 형성된 배선판이 접속된 배선판 접속체로서,
    상기 극세동축선 하네스의 하나의 창부에 있어서, 상기 배선판의 신호배선과 상기 극세동축선의 중심도체가, 또 상기 배선판의 접지배선과 상기 극세동축선의 접지부재의 연장되는 부분이 접속되어 있는 배선판 접속체.
  5. 제 4항 기재에 기재된 배선판 접속체와,
    상기 배선판에 실장된 전자부품을 구비하고 있는 배선판 모듈.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87022005A 2007-03-20 2008-02-08 극세 동축선 하네스, 그 접속방법, 배선판 접속체, 배선판 모듈 및 전자기기 KR1014977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72515 2007-03-20
JPJP-P-2007-00072515 2007-03-20
PCT/JP2008/052170 WO2008082018A1 (ja) 2007-03-20 2008-02-08 極細同軸線ハーネス,その接続方法,配線板接続体,配線板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4064A KR20100014064A (ko) 2010-02-10
KR101497710B1 true KR101497710B1 (ko) 2015-03-02

Family

ID=39588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2005A KR101497710B1 (ko) 2007-03-20 2008-02-08 극세 동축선 하네스, 그 접속방법, 배선판 접속체, 배선판 모듈 및 전자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973239B2 (ko)
JP (1) JP5326574B2 (ko)
KR (1) KR101497710B1 (ko)
CN (1) CN101542844B (ko)
TW (1) TWI388094B (ko)
WO (1) WO20080820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46354A (zh) * 2008-12-16 2011-11-16 株式会社藤仓 同轴线束的连接构造
JP5657217B2 (ja) * 2009-07-13 2015-01-21 オリンパス株式会社 集合ケーブル
JP2011108387A (ja) * 2009-11-13 2011-06-02 Advantest Corp 端子、同軸ケーブルモジュール、及びインタフェース装置
JP5420389B2 (ja) * 2009-12-24 2014-02-1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ケーブル接続構造
JP5510090B2 (ja) * 2010-06-10 2014-06-04 日立金属株式会社 ケーブル接続構造、及びケーブル接続方法
JP5794142B2 (ja) * 2011-12-27 2015-10-14 日立金属株式会社 接続構造、接続方法及び差動信号伝送用ケーブル
JP6053472B2 (ja) * 2012-11-26 2016-12-2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ケーブル整列構造およびケーブル整列構造の製造方法
JP6187866B2 (ja) * 2013-10-03 2017-08-3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
US10239164B2 (en) * 2013-10-23 2019-03-26 Onanon, Inc. Robotic wire termination system
JP5754527B2 (ja) * 2014-03-12 2015-07-29 日立金属株式会社 ケーブル接続方法
JP5748013B2 (ja) * 2014-03-12 2015-07-15 日立金属株式会社 ケーブル接続構造、及びケーブル接続方法
US10249414B2 (en) * 2014-06-30 2019-04-02 Emerson Electric Co. Connecting electrical equipment through wiring harnesses
US9960563B2 (en) 2014-06-30 2018-05-01 Emerson Electric Co. Connecting electrical equipment through wiring harnesses
DE112015005937T5 (de) 2015-01-13 2017-10-19 Olympus Corporation Einbaukabe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Einbaukabels
JP6320629B2 (ja) * 2015-04-14 2018-05-09 三菱電機株式会社 多極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装置
JP6452565B2 (ja) * 2015-07-15 2019-01-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ケーブル接続構造、ケーブル整線部品
CN107851910A (zh) * 2015-11-30 2018-03-27 住友电气工业株式会社 电线束
EP3264426B1 (de) * 2016-06-30 2019-01-09 MD Elektronik GmbH Geschirmtes elektrisches kabe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gleichen
JP6638583B2 (ja) * 2016-07-12 2020-01-29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接続アセンブリ
US10283883B2 (en) * 2017-01-27 2019-05-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pace-saving micro-coax cable harness
DE102017209868B4 (de) 2017-06-12 2019-07-04 Leoni Kabel Gmbh Kontaktierungselement für Twinaxialkabel
US11211742B2 (en) 2017-07-24 2021-12-28 Molex, Llc Cable connector
US9979167B1 (en) * 2017-08-28 2018-05-22 Delphi Technologies, Inc. Device and method for splicing shielded wire cables
WO2020012566A1 (ja) * 2018-07-10 2020-01-1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ケーブル接続構造体、内視鏡およびケーブル接続構造体の製造方法
US10886685B2 (en) 2019-03-08 2021-01-05 Onanon, Inc. Preformed solder-in-pin system
DE112019007459B4 (de) * 2019-07-16 2023-06-2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Verbinder
JP7446094B2 (ja) * 2019-12-03 2024-03-0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接続対象物、コネクタ、及びハーネス
JP7387412B2 (ja) * 2019-12-03 2023-11-2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US10868401B1 (en) 2020-03-04 2020-12-15 Onanon, Inc. Robotic wire termination system
DE102020203971A1 (de) * 2020-03-26 2021-09-30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ingetragener Verein Hochfrequenzanordnung mit zwei miteinander verbundenen Hochfrequenzkomponenten
CN111756902B (zh) * 2020-07-30 2021-09-14 闻泰通讯股份有限公司 埋线前壳结构及终端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09030A (ja) * 1995-05-17 1999-08-03 ザ ウィタカー コーポレーション 同軸ケーブル用終端構造
JP2005063878A (ja) * 2003-08-19 2005-03-10 Sony Corp 接続構造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36222C (ko) * 1963-03-21
US5281762A (en) * 1992-06-19 1994-01-25 The Whitaker Corporation Multi-conductor cable grounding connection and method therefor
US5347711A (en) * 1992-07-15 1994-09-20 The Whitaker Corporation Termination of multi-conductor electrical cables
FR2739731B1 (fr) * 1995-10-09 1998-01-02 Axon Cable Sa Procede de raccordement de micro-cables coaxiaux aux pistes d'un circuit imprime
FR2742007B1 (fr) * 1995-12-01 1998-02-27 Axon Cable Sa Procede et dispositif de raccordement d'un cable a un connecteur electrique
US5768771A (en) * 1996-03-01 1998-06-23 Molex Incorporated System for terminating the shield of a high speed cable
US5940963A (en) * 1997-07-21 1999-08-24 Tensolite Company Finished mass terminated end for a miniature coaxial ribbon cable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JP4317482B2 (ja) 2004-04-14 2009-08-19 株式会社アイペックス 電気コネクタ
JP5032006B2 (ja) * 2005-07-05 2012-09-26 株式会社潤工社 フラットケーブ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09030A (ja) * 1995-05-17 1999-08-03 ザ ウィタカー コーポレーション 同軸ケーブル用終端構造
JP2005063878A (ja) * 2003-08-19 2005-03-10 Sony Corp 接続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42844A (zh) 2009-09-23
JP5326574B2 (ja) 2013-10-30
JPWO2008082018A1 (ja) 2010-04-30
US7973239B2 (en) 2011-07-05
CN101542844B (zh) 2012-04-11
KR20100014064A (ko) 2010-02-10
TWI388094B (zh) 2013-03-01
WO2008082018A1 (ja) 2008-07-10
TW200845516A (en) 2008-11-16
US20090101408A1 (en) 2009-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7710B1 (ko) 극세 동축선 하네스, 그 접속방법, 배선판 접속체, 배선판 모듈 및 전자기기
US7108516B2 (en) Flexible board, connection method thereof, and connection structure thereof
US7525326B2 (en) Test apparatus capable of accurately connecting a test object to a substrate
CN102017313B (zh) 具有柔性互连部的电连接器
KR20090122872A (ko) 배선판 모듈 및 그 배선판 모듈의 제조 방법
JP2009081009A (ja) 極細同軸ハーネス,配線板接続体,配線板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
JP2005116447A (ja) コネクタおよび電子機器
JP2009081010A (ja) 極細同軸ハーネス,配線板接続体,配線板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
KR10199337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전자 부품 접속 장치
JP2008112699A (ja) 極細同軸線ハーネス、極細同軸線ハーネス接続体、および極細同軸線ハーネスの接続方法
JP2001102712A (ja) コネクタ付きの配線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479018B2 (en) Electronic component assembly
JP2008234998A (ja) 接続構造体,配線板接続体,配線板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
JP2009037773A (ja) コネクタ、ケーブル接続構造、電子機器及びコネクタと基板の接続方法
JP2005183010A (ja) コネクター装置
JP2003346963A (ja) 電気コネクタ
JP2009224362A (ja) 配線板,配線板接続体,配線板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
JP3753615B2 (ja) 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lcd電気接続構造及び接続方法
JP2002270979A (ja) 導電部材の取付構造および取付方法
KR102728551B1 (ko) 커넥터
JP2001250519A (ja) 電池パック
KR100625452B1 (ko) 이어마이크 잭을 통해 그라운딩된 연성회로기판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525169B1 (ko) Pcb 실장구조가 개선된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를 위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CN212085262U (zh) 一种信号连接器、主板及电子设备
JP5616132B2 (ja) ループアンテ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