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8825B1 - 수납식 관람석 - Google Patents

수납식 관람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8825B1
KR101488825B1 KR1020117006280A KR20117006280A KR101488825B1 KR 101488825 B1 KR101488825 B1 KR 101488825B1 KR 1020117006280 A KR1020117006280 A KR 1020117006280A KR 20117006280 A KR20117006280 A KR 20117006280A KR 101488825 B1 KR101488825 B1 KR 101488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backrest
driving mechanism
ring
lock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6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9013A (ko
Inventor
노리아키 아이다
Original Assignee
고도부끼 시팅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도부끼 시팅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고도부끼 시팅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69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9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8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8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 E04H3/12Tribunes, grandstands or terraces for spectators
    • E04H3/123Telescopic grandstan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 E04H3/12Tribunes, grandstands or terraces for spect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2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 A47C1/126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stowable in floor or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이 이동관람석은, 계단형상의 전개위치와 상하로 겹쳐진 수납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복수 단의 마루대(2)와, 상기 마루대의 전단부에 그 전단부로부터 앞으로 돌출하여 설치된 시트(3), 및 그 시트의 뒤쪽에서 상기 마루대의 전단부 위에 세운 사용위치와 뒤쪽으로 넘어진 수납위치 사이에서 눕혔다 세웠다 할 수 있게 설치된 등받이(4)를 가지는 의자(1)와, 상기 등받이를 상기 사용위치와 상기 수납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등받이 구동기구(12)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상기 등받이 구동기구(12)가, 상기 등받이의 하단부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등받이를 상기 사용위치와 상기 수납위치 사이에서 회전이동시키는 동시에, 상기 등받이를 상기 사용위치에 위치시키는 이동에 의해 맞물림부(18)와 맞물려서 상기 등받이를 상기 사용위치에 고정하는 제1 링(22)과, 상기 제1 링의 타단부에 단부가 연결되는 동시에 기부가 지지축으로 지지된 제2 링(20)과, 상기 제2 링을 회전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13)를 가지는 링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에 의해, 착좌시 등에 예를 들어 등받이에 커다란 힘이 가해졌을 경우에도, 등받이가 예기치 않게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납식 관람석{STORED TYPE STAND}
본 발명은, 계단형상의 전개위치와 상하로 겹쳐진 수납위치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복수 단의 마루대와, 이 마루대들에 설치된 의자를 구비하는 수납식 관람석에 관한 것이다.
수납식 관람석은, 일반적으로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로로 나란히 배치된 복수개의 의자(도면에서는 각 단에 1개씩 나타냄)(1)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마루대(2)를 구비하고, 그 마루대(2)들을, 도 1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시에 서로 계단형상으로 어긋나는 전개상태와, 도 1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시에 서로 상하로 정렬되는 중합상태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동시에, 중합상태에서는 각 마루대(2) 위의 의자(1)를 눕혀서 마루대(2)의 상하간격을 줄임으로써 전체적으로 컴팩트하게 정리하여 벽 등의 수납위치에 수납되고, 또한 전개상태에서는 각 마루대(2) 위의 의자(1)를 세워서 계단형상의 관람석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의자를 눕힌 상태와 일으킨 상태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하여, 수납식 관람석은 의자이동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의자이동장치는, 도 1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의자(1)의 시트(3)와 등받이(4)를 겹친 상태에서 그 시트(3)와 등받이(4)를 세우도록 모터와 그 출력회전을 감속하는 감속기로 이루어지는 회전이동기구(6)로 지지기둥(5)을 회전이동시켜서 의자(1)를 시트(3)를 앞으로 눕히면 착좌할 수 있는 사용상태로 하는 동시에, 도 1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의자(1)의 시트(3)와 등받이(4)를 겹친 상태에서 그 시트(3)와 등받이(4)를 눕히도록 지지기둥(5)을 회전이동기구(6)로 회전이동시켜서 의자(1)를 수납상태로 하고, 도 15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루대(2)의 단차 사이에 의자(1)가 들어가도록 하고 있다(예를 들어, 일본특허공개공보 H07-255555호 참조).
그런데, 수납식 관람석의 의자가, 각 마루대의 전단부로부터 앞으로 돌출하여 설치된 시트와, 그 시트의 뒤쪽에서 마루대의 전단부 위에 세워진 사용위치와 뒤쪽으로 눕혀진 수납위치 사이에서 눕혔다 세웠다 할 수 있게 설치된 등받이를 가지고, 그 등받이가 등받이 구동기구에 의해 사용위치와 수납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구성의 경우, 등받이 구동기구가 등받이를 이동시킬 뿐이면, 착좌시 등에 예를 들어 등받이에 커다란 힘이 가해졌을 때, 그 힘으로 등받이 구동기구가 역구동되어 등받이가 예기치 않게 넘어져 버릴 가능성이 있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등받이 구동기구와 별도로 예를 들어, 전동 등받이 잠금기구를 설치하면, 등받이 주변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동시에, 그 등받이 잠금기구만큼의 비용이 늘어난다는 새로운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유리하게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수납식 관람석은, 계단형상의 전개위치와 상하로 겹쳐진 수납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복수 단의 마루대와, 상기 마루대의 전단부에 그 전단부로부터 앞으로 돌출하여 설치된 시트, 및 그 시트의 뒤쪽에서 상기 마루대의 전단부 위에 세운 사용위치와 뒤쪽으로 눕혀진 수납위치 사이에서 눕혔다 세웠다 할 수 있게 설치된 등받이를 가지는 의자와, 상기 등받이를 상기 사용위치와 상기 수납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등받이 구동기구를 구비하는 수납식 관람석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구동기구가, 상기 등받이의 하단부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등받이를 상기 사용위치와 상기 수납위치 사이에서 회전이동시키는 동시에, 상기 등받이를 상기 사용위치에 위치시키는 이동에 의해 맞물림부와 맞물려서 상기 등받이를 상기 사용위치에서 고정하는 제1 링과, 상기 제1 링의 타단부에 단부가 연결되는 동시에 기부가 지지축으로 지지된 제2 링과, 상기 제2 링을 회전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를 가지는 링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수납식 관람석에 있어서는, 복수 단의 마루대가 계단형상의 전개위치로 이동하였을 때, 등받이 구동기구가 등받이를 뒤쪽으로 눕힌 수납위치로부터 세운 사용위치로 이동시키고, 그 때 액츄에이터가 제1 링의 타단부에 단부가 연결되는 동시에 기부가 지지축으로 지지된 제2 링을 회전이동시켜서, 이에 의해 등받이의 하단부에 일단부가 연결된 제1 링이 등받이를 수납위치로부터 사용위치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등받이를 그 사용위치로 위치시키는 이동에 의해 맞물림부와 맞물려서 등받이를 사용위치에서 고정시킨다.
또한, 복수 단의 마루대가 상하로 겹쳐진 수납위치로 이동할 때는, 등받이 구동기구가 등받이를 세운 사용위치로부터 뒤쪽으로 눕힌 수납위치로 이동시키고, 그 때 액츄에이터가 제1 링의 타단부에 단부가 연결되는 동시에 기부가 지지축으로 지지된 제2 링을 상기와 반대로 회전이동시켜서, 이에 의해 등받이의 하단부에 일단부가 연결된 제1 링이 등받이를 사용위치로부터 수납위치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등받이를 그 수납위치로 위치시키는 이동에 의해 먼저 맞물림부로부터 분리하여 등받이의 잠금을 해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납식 관람석에 따르면, 복수 단의 마루대의 이동에 대응하여 의자의 등받이를 수납위치와 사용위치 사이에서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동시에, 복수 단의 마루대가 계단형상의 전개위치로 이동하여 의자의 등받이가 사용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등받이를 그 사용위치에 고정시키기 때문에, 착좌시 등에 예를 들어 등받이에 커다란 힘이 가해졌을 경우에도, 등받이가 예기치 않게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수납식 관람석에 따르면, 별도로 등받이 잠금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등받이 주위의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는 동시에, 등받이 잠금기구만큼의 비용을 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수납식 관람석에서는, 상기 등받이 구동기구의 상기 맞물림부가 상기 지지축이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별도로 맞물림부를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등받이 주위의 구조를 더욱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납식 관람석에서는, 상기 복수 단의 마루대 중 아래에서 두번째 단 이상의 마루대는, 각각 뒤쪽의 관통재를 통하여 외팔보(cantilever) 상태로 지지되어 있고, 상기 수납식 관람석은, 상기 관통재 앞의 상기 마루대의 후단부에, 상기 전개위치에 있는 위쪽의 상기 마루대의 전단부와 맞물려서 그 전단부를 고정지지하는 잠금위치와 그 전단부를 해방시키는 해방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 마루대 잠금부재와, 상기 마루대 잠금부재를 상기 잠금위치와 상기 해방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마루대 잠금부재 구동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시트를 마루대의 전단부로부터 돌출시켜서 설치하는 동시에, 관통재 앞의 마루대의 후단부에 마루대 잠금부재 및 그 구동기구를 설치하면, 마루대 잠금부재 및 그 구동기구만큼 의자가 앞으로 나오지 않기 때문에, 마루대 위의 의자 앞의 통로 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수납식 관람석에서는, 상기 마루대 잠금부재 구동기구는, 연직방향으로 뻗어서 배치한 나사축 또는 그것에 나사결합하는 너트를 모터로 회전이동시킴으로써, 그 나사축과 너트를 상대이동시켜서 상기 마루대 잠금부재를 상기 잠금위치와 상기 해방위치 사이에서 자동으로 승강이동시키는 나사기구이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나사기구를 이용하면, 간이한 구성으로 마루대 잠금부재를 자동으로 승강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납식 관람석에서는, 상기 마루대 잠금부재 구동기구는, 족동(足動)부재 또는 수동부재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마루대 잠금부재를 상기 잠금위치와 상기 해방위치 사이에서 승강이동시키는 토글(toggle) 기구이어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토글기구를 사용하면, 보다 간이한 구성으로 마루대 잠금부재를 승강이동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납식 관람석의 일실시예를 마루대를 전개위치 및 수납위치로 하는 동시에, 의자의 등받이를 사용위치 및 수납위치로 한 상태에서 마루대의 옆에서 보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수납식 관람석의 의자를 등받이를 사용위치로 하는 동시에 시트를 사용위치 및 수납위치로 한 상태에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수납식 관람석의 등받이 구동기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수납식 관람석의 마루대 잠금부재 및 마루대 잠금부재 구동기구를 마루대의 옆에서 보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실시예의 수납식 관람석의 마루대 잠금부재 및 마루대 잠금부재 구동기구를 마루대의 앞에서 보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의 (a)는 상기 실시예의 수납식 관람석을 마루대의 전개상태에서 나타내는 측면도, (b)는 그 수납식 관람석을 마루대의 수납상태에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상기 실시예의 수납식 관람석의 브래킷 및 마루대 잠금부재를 다르게 한 일변형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상기 실시예의 수납식 관람석의 마루대 잠금부재 구동기구를 다르게 한 일변형예를, 마루대 잠금부재를 잠금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마루대의 옆에서 보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상기 변형예에서의 마루대 잠금부재 구동기구를, 마루대 잠금부재를 잠금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마루대의 앞에서 보아 나타내는 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변형예에서의 마루대 잠금부재 구동기구를, 마루대 잠금부재를 해방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마루대의 옆에서 보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상기 변형예에서의 마루대 잠금부재 구동기구를 마루대에 설치한 상태에서 마루대의 옆에서 보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상기 실시예의 수납식 관람석의 마루대 잠금부재 구동기구를 다르게 한 다른 일변형예를, 마루대 잠금부재를 잠금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마루대의 앞에서 보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상기 다른 변형예에서의 마루대 잠금부재 구동기구를, 마루대 잠금부재를 해방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마루대의 앞에서 보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의 (a)는 종래의 수납식 관람석을 마루대의 전개상태에서 나타내는 측면도, (b)는 그 수납식 관람석을 마루대의 수납상태에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5의 (a)~(c)는 도 8에 나타내는 수납식 관람석의 마루대의 전개상태와 수납상태 사이의 이동에 따른 의자의 작동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실시예에 따라 도면에 근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수납식 관람석의 일실시예를 마루대를 전개위치 및 수납위치로 하는 동시에, 의자의 등받이를 사용위치 및 수납위치로 한 상태에서 마루대의 옆에서 보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그 실시예의 수납식 관람석의 의자를 등받이를 사용위치로 하는 동시에 시트를 사용위치 및 수납위치로 한 상태에서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그 실시예의 수납식 관람석의 등받이 구동기구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그 실시예의 수납식 관람석의 마루대 잠금부재 및 마루대 잠금부재 구동기구를 마루대의 옆에서 보아 나타내는 단면도, 그리고 도 5는 그 실시예의 수납식 관람석의 마루대 잠금부재 및 마루대 잠금부재 구동기구를 마루대의 앞에서 보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면에서 종래예와 같은 부분은 그것과 같은 부호로 나타낸다. 또한, 도 1 및 도 4에서는 왼쪽이 의자 및 마루대의 앞쪽을 나타내고, 오른쪽이 의자 및 마루대의 뒤쪽을 나타낸다.
즉, 도면에서 부호 1은 의자, 2는 수납식 관람석의 마루대, 3은 의자(1)의 시트, 4는 의자(1)의 등받이, 7은 관통재를 각각 나타내고, 본 실시예의 수납식 관람석은, 각 마루대(2)를 그 하면에 설치한 들보부재(beam; 8)에 의해 마루대(2)의 후단부의 뒤쪽에 배치한 관통재(7)에 결합하고, 각 마루대(2)를 관통재(7)를 통하여 주지와 같이 그 관통재(7)의 뒷면(도 1에서는 오른쪽을 향하는 면)에 고정된 도시하지 않은 다리부재에 의해 외팔보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구조체를 구비하고 있으며, 그 지지구조체는 하단부에 주행롤러를 가지고 전후주행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예의 수납식 관람석에서는, 각 마루대(2)의 전단부에 단면이 'ㄷ'자 형상인 프레임(9)이 그 개구부를 아래쪽으로 향하게 하여 고정설치되어 있고, 각 의자(1)의 등받이(4)는 그 하단부가 지지축(4a)을 통하여 프레임(9)에 지지되어, 도 1에서 왼쪽 및 중앙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워진 사용위치와, 도 1의 오른쪽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뒤쪽으로 위를 향하게 하여 눕혀진 수납위치 사이에서 눕혔다 세웠다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더욱이, 최상단을 제외하고, 각 마루대(2)를 지지하는 관통재(7) 뒤의 상기 다리부재의 상단부에는, 그 위에 위치하는 마루대(2)를 전후이동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도시하지 않은 지지롤러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의자(1)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로로 나란히 복수개 배치되어 연결의자를 구성하고 있고, 각 의자(1)는 시트(3)의 좌우양측에 옆자리끼리 공통된 칸막이판(10)을 가지며, 이 칸막이판(10)은 그 하단부가 도 2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상기 프레임(9)에 고정설치되는 동시에, 그 상단부에 팔걸이(1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시트(3)는 그 뒷부분이 지지축(3a)을 통하여 좌우의 칸막이판(10)에 지지되어, 도 1의 중앙 및 오른쪽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워진 수납위치와, 도 1의 왼쪽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수평으로 눕혀진 사용위치 사이에서 눕혔다 세웠다 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상기 수납위치를 향하여 항상 가압되고 있다.
프레임(9) 안에는 등받이 구동기구(12)가 설치되어 있고, 이 등받이 구동기구(12)는, 도 1의 왼쪽과 중앙에서 다른 위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동시에, 도 3에 평면도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로서의 감속기부착 모터(13)와, 프레임(9)에 회전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어 마루대(2)의 좌우방향으로 뻗은 전동축(14)과, 모터(13)의 출력축에 고정설치된 구동 톱니바퀴(15), 및 전동축(14)에 고정설치되어 그 구동 톱니바퀴(15)에 맞물린 피구동 톱니바퀴(16)로 이루어지는 제1 톱니바퀴 세트(17)와, 각 의자(1)의 위치에서 프레임(9)에 회전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된 톱니바퀴 지지축(18)과, 각 의자(1)의 위치에서 전동축(14)에 고정설치된 구동 톱니바퀴(19), 및 톱니바퀴 지지축(18)에 고정설치되어 그 구동 톱니바퀴(19)와 맞물린 피구동 톱니바퀴(20)로 이루어지는 제2 톱니바퀴 세트(21)와, 상단부가 등받이(4)의 하단부의 지지축(4a)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연결된 제1 링으로서의 2개의 링(22)을 가지고, 이 2개의 링(22)의 하단부는, 상기 제2 톱니바퀴 세트(21)의 제2 링으로서의 피구동 톱니바퀴(20)의 톱니바퀴 지지축(18)에 고정된 기부로서의 중심부로부터 벗어난, 단부로서의 주변부를 관통하는 연결축(23)의 양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등받이 구동기구(12)는, 모터(13)로 제1 톱니바퀴 세트(17)를 통하여 전동축(14)을 회전이동시키고, 그 회전이동을 제2 톱니바퀴 세트(21)를 통하여 각 의자(1)에 대응하는 톱니바퀴 지지축(18)에 전동하고, 제2 톱니바퀴 세트(21)의 피구동 톱니바퀴(20)에 설치한 연결축(23)으로 2개의 링(22)을 밀고당겨서, 그 링(22)을 당김으로써 등받이(4)를 상기 세워진 사용위치로 회전이동시키는 한편, 그 링(22)을 밀므로써 등받이(4)를 상기 뒤쪽으로 눕혀진 수납위치로 회전이동시킨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느 한 톱니바퀴 지지축(18)에 캠축(24)이 결합되고, 그 캠축(24)에는 2개의 캠(25)이 설치되며, 이 캠(25)은 2개의 마이크로 스위치(26)를 각각 다른 회전이동위치에서 작동시킴으로써, 등받이(4)가 상기 사용위치와 수납위치에 위치했을 때 모터(13)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여기서, 링(22)은 하부가 대략 L자형으로 굽어 있으며, 이에 의해, 도 1의 중앙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등받이(4)가 상기 사용위치에 위치하면 링(22)의 굽은 하부가 맞물림부로서의 톱니바퀴 지지축(18)과 맞물려서, 등받이(4)로부터 링(22)에 끌어올리는 힘이 가해져도 그 끌어올림을 저지하여 등받이(4)를 사용위치에 고정시킨다. 따라서, 착좌중에 등받이(4)에 커다란 힘이 가해져도, 등받이(4)가 예기치 않게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의 수납식 관람석에서는, 마루대(2)의 좌우방향 양단부 부근의 관통재(7) 앞에 위치하는 마루대(2)의 후단부에 들보부재(8)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두원추형상의 상단부(27a)를 가지는 동시에 위에서 보아 'ㄷ'자 형상을 이루는 각통형상의 마루대 잠금부재(27)가 그 축선을 연직방향으로 뻗어서 배치되는 동시에, 마루대(2)의 후단부에 관통재(7) 및 들보부재(8)에 지지되어 마루대 잠금부재 구동기구(28)가 설치되어 있고, 이 마루대 잠금부재 구동기구(28)는, 도 4의 왼쪽과 중앙에서 다른 위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동시에, 도 5에 정면도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속기부착 모터(29)와, 관통재(7) 및 들보부재(8)에 회전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어 마루대(2)의 좌우방향으로 뻗은 전동축(30)과, 모터(29)의 출력축과 전동축(30)의 일단부 사이에 1개 삽입되는 동시에 전동축(30)의 도시하지 않은 타단부에 또 1개가 연결된 2개의 웜(worm)(31)과, 마루대 잠금부재(7)와 동심으로 축선을 연직방향으로 뻗어서 회전이동이 가능하게 관통재(7) 및 들보부재(8)에 지지되어 들보부재(8)의 위쪽으로 돌출하는 볼나사축(32)과, 그 볼나사축(32)의 하단부에 고정설치되어 웜(31)과 맞물리는 웜 휠(33)과, 마루대 잠금부재(27)의 하단부에 고정설치되어 볼나사축(32)과 나사결합하는 볼너트(34)와, 볼너트(34) 나아가 마루대 잠금부재(27)를 회전제지하기 위한 2개의 링(35)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마루대 잠금부재 구동기구(28)는, 모터(29)로 도 5에 나타내는 웜(31)을 회전이동시키는 동시에 전동축(30)을 통하여 도시하지 않은 또 1개의 웜(31)을 회전이동시켜서, 그 웜(31)에 의해 각각 웜 휠(33), 나아가 볼나사축(32)을 회전이동시켜서 볼너트(34)를 승강이동시킴으로써, 마루대(2)의 좌우방향 양단부 부근의 2개의 마루대 잠금부재(27)를 동시에 승강이동시켜서, 도 4의 중앙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상승위치에서, 각 마루대 잠금부재(27)의 상단부(27a)를, 그 마루대 잠금부재(27)가 설치된 마루대(2) 위의 마루대(2)의 전단부에 설치된 프레임(9) 안에 그 마루대 잠금부재(27)와 대향하여 고정설치된 브래킷(bracket; 36)의 수용구멍(36a)에 걸고, 이에 의해 그 위의 마루대(2)의 전단부를 마루대 잠금부재(27)로 고정지지하는 한편, 도 4의 오른쪽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하강위치에서, 각 마루대 잠금부재(27)의 상단부(27a)를, 그 마루대 잠금부재(27)가 설치된 마루대(2) 위의 마루대(2)의 전단부에 설치된 프레임(9) 안의 브래킷(36)의 수용구멍(36a)으로부터 이탈시켜서, 이에 의해 그 위의 마루대(2)의 전단부를 마루대 잠금부재(27)로부터 해방한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쪽 마루대 잠금부재(27)의 측면에는 캠(37)이 설치되고, 이 캠(37)은 2개의 마이크로 스위치(38)를 각각 다른 위치에서 작동시킴으로써, 마루대 잠금부재(27)가 상기 상승위치와 하강위치에 위치했을 때 모터(29)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2개의 링(35)은 서로 일단부끼리 연결되는 동시에, 타단부를 마루대 잠금부재(27)와 들보부재(8)에 각각 연결하여, 볼나사축(32)의 회전이동에 대하여 볼너트(34) 나아가 마루대 잠금부재(27)가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하는 본 실시예의 수납식 관람석에서는, 도 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 단의 마루대(2)가 계단형상의 전개위치로 이동했을 때, 등받이 구동기구(12)가 등받이(4)를 뒤쪽으로 눕힌 수납위치로부터 세운 사용위치로 자동으로 이동시키고, 그 때 모터(13)가 링(22)의 하단부에 주변부를 연결하는 동시에 중심부가 톱니바퀴 지지축(18)으로 지지된 피구동 톱니바퀴(20)를 회전이동시켜서, 이에 의해, 등받이(4)의 하단부에 상단부가 연결된 링(22)이 등받이(4)를 수납위치로부터 사용위치로 요동시키는 동시에, 등받이(4)를 그 사용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에 의해 톱니바퀴 지지축(18)과 맞물려서 등받이(4)를 사용위치에 고정시킨다.
또한, 도 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 단의 마루대(2)가 상하로 겹쳐진 수납위치로 이동할 때는, 등받이 구동기구(12)가 등받이(4)를 세운 사용위치로부터 뒤쪽으로 눕힌 수납위치로 자동으로 이동시키고, 그 때 모터(13)가 링(22)의 하단부에 주변부를 연결하는 동시에 중심부가 톱니바퀴 지지축(18)으로 지지된 피구동 톱니바퀴(20)를 상기와 반대로 회전이동시켜서, 이에 의해 등받이(4)의 하부에 상단부가 연결된 링(22)이 등받이(4)를 사용위치로부터 수납위치로 요동시키는 동시에, 등받이(4)를 그 수납위치로 위치시키는 이동에 의해 먼저 톱니바퀴 지지축(18)과의 맞물림 상태로부터 분리하여 등받이(4)의 잠금을 해제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수납식 관람석에 따르면, 복수 단의 마루대(2)가 계단형상의 전개위치로 이동하여 의자(1)의 등받이(4)가 사용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등받이(4)를 그 사용위치에 고정시키고 있기 때문에, 착좌시 등에 예를 들어 등받이(4)에 커다란 힘이 가해졌을 경우에도, 등받이(4)가 예기치 않게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예의 수납식 관람석에 따르면, 별도로 등받이 잠금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등받이(4) 주위의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는 동시에, 등받이 잠금기구만큼의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의 수납식 관람석에 따르면, 등받이 구동기구의 맞물림부가 톱니바퀴 지지축(18)이기 때문에, 별도로 맞물림부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서 등받이 주위의 구조를 더욱 간략화할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의 수납식 관람석에서는, 도 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 단의 마루대(2)가 계단형상의 전개위치로 이동했을 때는, 관통재(7) 앞의 마루대(2)의 후단부에 설치된 마루대 잠금부재(27)가 마루대 잠금부재 구동기구(28)에 의해 구동되어 잠금위치로 자동으로 상승이동하고, 그 위의 마루대(2)의 전단부의 브래킷(36)과 맞물려서 그 전단부를 아래 단의 지지롤러로부터 약간 들어올려서 고정지지함으로써, 전개위치에서의 각 마루대(2)의 가로 흔들림이나 전후 흔들림을 방지하고, 또한, 도 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 단의 마루대(2)가 상하로 겹쳐진 수납위치로 이동할 때는, 마루대 잠금부재(27)가 마루대 잠금부재 구동기구(28)에 의해 구동되어 해방위치로 자동으로 하강이동하여, 그 위의 마루대(2)의 전단부를 해방시켜서 아래 단의 지지롤러 위에 내려놓는다.
그런데, 이 관람석과 같이 아래에서 두번째 단 이상의 마루대(2)가 각각 뒤쪽의 관통부재(7)를 통하여 외팔보 상태로 지지되어 있는 경우에는, 전개위치에 있는 마루대(2)가 의자(1)에 착좌하거나 일어설 때 상하로 움직이기 쉽기 때문에, 마루대 잠금부재 및 그 구동기구를 설치하는 경우가 많고, 그 경우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관통재 앞에 설치하는 경우가 많은데, 도 15에 나타내는 종래의 수납식 관람석에서는 의자가 관통재 앞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마루대 잠금부재 및 그 구동기구를 관통재 앞에 설치하면 그만큼 의자가 앞으로 나와서, 마루대 위의 의자 앞의 통로 공간이 좁아진다는 문제가 있는 바, 본 실시예의 수납식 관람석에 따르면, 시트(3)를 마루대(2)의 전단부로부터 돌출시켜서 설치하는 동시에, 관통재(7) 앞의 마루대(2)의 후단부에 마루대 잠금부재(27) 및 마루대 잠금부재 구동기구(28)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그 마루대 잠금부재(27) 및 마루대 잠금부재 구동기구(28)의 공간만큼 의자(1)가 앞으로 나오는 경우가 없어서, 마루대(2) 위의 의자(1) 앞의 통로 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수납식 관람석에 따르면, 마루대 잠금부재 구동기구(28)는 연직방향으로 뻗어서 배치한 나사축(32)을 모터(29)로 회전이동시킴으로써, 나사축(32)과 너트(34)를 상대이동시켜서 마루대 잠금부재(27)를 잠금위치와 해방위치 사이에서 자동으로 승강이동시키는 나사기구이기 때문에, 간이한 구성으로 마루대 잠금부재(27)를 자동으로 승강이동시킬 수 있다.
도 7은 상기 실시예의 수납식 관람석의 브래킷(36) 및 마루대 잠금부재(27)를 다르게 한 일변형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이 변형예는, 브래킷(36)이 수용구멍(36a)을 가지지 않고, 대신 마루대(1)의 가로방향 양측에 앞에서 보아 삼각형의 탄성체제 예를 들어, 고무제의 돌출블록(36b)이 고정설치되어 있고, 또한 마루대 잠금부재(27)가 그 상단부에 브래킷(36)과 그 양측의 돌출블록(36b)의 형상에 대응하여 위로 갈수록 열린 대략 'ㄷ'자형인 맞물림부(27b)를 가지고 있는 점만 앞의 실시예와 다르고, 다른 점에서는 앞의 실시예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변형예의 수납식 관람석에 따르면, 앞의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작용효과가 얻어지는데 더하여, 돌출블록(36b)이 진동억제작용을 가지기 때문에, 마루대(2)에 설령 가로 흔들림이 발생하여도 그것을 조기에 멈출 수 있다.
도 8은 상기 실시예의 수납식 관람석의, 마루대 잠금부재 구동기구(28)를 다르게 한 일변형예를, 마루대 잠금부재(27)를 잠금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마루대(2)의 옆에서 보아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상기 변형예에서의 마루대 잠금부재 구동기구(28)를, 마루대 잠금부재(27)를 잠금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마루대(2)의 앞에서 보아 나타내는 투시도, 도 10은 상기 변형예에서의 마루대 잠금부재 구동기구(28)를, 마루대 잠금부재(27)를 해방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마루대(2)의 옆에서 보아 나타내는 단면도, 그리고 도 11은 상기 변형예에서의 마루대 잠금부재 구동기구(28)를 마루대(2)에 설치한 상태에서 마루대(2)의 옆에서 보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 변형예의 수납식 관람석은, 마루대 잠금부재 구동기구(28)가 마루대 잠금부재(27)를 족동부재로 승강구동하도록 구성한 것으로, 도면에서 앞의 실시예 및 변형예와 같은 부분은 그것과 같은 부호로 나타낸다. 여기서 마루대 잠금부재 구동기구(28)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판(39) 위에 세워져서 위에서 보아 'ㄷ'자 형상을 이루는 지지기둥(40)을 가지고, 이 지지기둥(40)은 양측 벽에 상하방향으로 뻗은 긴 구멍(40a)이 형성되는 동시에, 양측 벽을 잇는 중앙벽의 하반부에 개구부(40b)가 형성되고, 그 지지기둥(40)의 상단부에는 둥근 구멍(41a)을 가지는 잠금부재 브래킷(41)이 고정설치되고, 그 둥근구멍(41a) 안에 마루대 잠금부재(27)의 여기서는 둥근 파이프 형상의 지지부(27c)가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한편, 이 변형예에서는 앞의 변형예와 마찬가지로, 브래킷(36)이 수용구멍(36a)을 가지지 않고, 대신 마루대(1)의 가로방향 양측에 앞에서 보아 삼각형의 탄성체제 예를 들어, 고무제의 돌출블록(36b)이 고정설치되어 있고, 마루대 잠금부재(27)도, 지지부(27c)의 상단부에 고정설치되고 브래킷(36)과 그 양측의 돌출블록(36b)의 형상에 대응하여 위로 갈수록 열린 대략 'ㄷ'자형인 맞물림부(27b)와, 그 맞물림부(27b) 위에 설치된 탄성패드(27d)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이 변형예에서의 마루대 잠금부재 구동기구(28)는, 베이스판(39) 위에 세워져서 이것도 위에서 보아 'ㄷ'자 형상을 이루는 페달 브래킷(42)과, 족동부재로서의 페달(43)을 가지고, 페달 브래킷(42)은 지지기둥(40)의 개구부(40b) 안에 지지기둥(40)과 반대방향으로 개구하도록 배치되고, 페달(43)의 중앙부를 지지축(44)을 통하여 요동할 수 있게 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페달(43)은 선단부(43a)에 긴 구멍(43b)을 가지고 있다.
더욱이, 이 변형예에서의 마루대 잠금부재 구동기구(28)는, 토글기구를 구성하는 각각 2개씩의 하측 링(45) 및 상측 링(46)을 가지고, 하측 링(45)의 상단부와 상측 링(46)의 하단부는 페달(43)의 선단부(43a)의 긴 구멍(43b)을 관통하는 핀(47)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며, 하부 링(45)의 하단부는 핀(48)을 통하여 지지기둥(40)의 하단부에 요동이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부 링(46)의 상단부는 지지기둥(40)의 양측 벽의 긴 구멍(40a)을 관통하는 동시에, 마루대 잠금부재(27)의 지지부(27c)의 하단부를 관통하는 핀(49)을 통하여 그 마루대 잠금부재(27)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2개의 상부 링(46)은 브래킷(50)을 통하여 서로 일체로 결합되고, 또한 2개의 하부 링(45)도 핀(51)을 통하여 서로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며, 2개의 핀(48, 49) 사이에는 인장 스프링(52)이 걸쳐져 있다.
이러한 마루대 잠금부재 구동기구(28)에서는, 페달(43)의 기단부(도 8에서는 좌단부)를 사람이 발로 밟아내리면, 페달(43)의 선단부(43a)의 긴 구멍(43b)을 관통하는 핀(47)이 들려올라가서 하부 링(45)을 위쪽으로 요동시키고, 이에 의해 핀(47)을 통하여 상부 링(46)이 들려올라가서, 그 상부 링(46)에 지지기둥(40)의 긴 구멍(40a)으로 안내된 핀(49)을 통하여 연결된 마루대 잠금부재(27)가 인장 스프링(52)의 장력에 대하여 상승하여,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잠금위치에 이른다. 이 잠금위치에 마루대 잠금부재(27)가 이르는 동안 핀(47)은 핀(48, 49)을 잇는 선 상의 사점(死點)을 넘어서 도면에서는 왼쪽으로 이동하고 있기 때문에, 이 잠금위치에서는 하부 링(45) 및 상부 링(46)이 인장 스프링(52)의 장력에 의해 페달 브래킷(42)에 맞닿아서 안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잠금위치에서는 하부 링(45) 및 상부 링(46)의 3개의 핀이 상하방향으로 거의 직선형상으로 나열되어 있기 때문에, 위의 마루대(2)의 브래킷(36)으로부터 마루대 잠금부재(27)에 가해지는 눌러내리는 힘의 대부분은 핀(48) 및 지지기둥(40)을 통하여 베이스판(39)으로 지지된다.
또한, 이 마루대 잠금부재 구동기구(28)에서는, 페달(43)의 기단부(도 8에서는 좌단부)를 사람이 발 등을 걸어서 들어올리면, 페달(43)의 선단부(43a)의 긴 구멍(43b)을 관통하는 핀(47)이 비스듬하게 아래쪽으로 밀려내려가, 상기 안정된 상태로부터 핀(47)이 핀(48, 49)을 잇는 선 상의 사점을 넘어 도면에서는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하부 링(45)을 위쪽으로 요동시키고, 이에 의해 핀(47)을 통하여 상부 링(46)이 인장 스프링(52)의 장력과 작용하여 밀려내려가기 때문에, 그 상부 링(46)에 핀(49)을 통하여 연결된 마루대 잠금부재(27)가 하강하고, 도 10에 나타내는 해방위치에 이른다.
이러한 변형예의 수납식 관람석에 따르면, 복수 단의 마루대(2)가 계단형상의 전개위치에 이동했을 때는, 도 11의 왼쪽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통재(7) 앞의 마루대(2)의 후단부에 설치한 마루대 잠금부재(27)가 마루대 잠금부재 구동기구(28)에 의해 구동되어 잠금위치로 상승이동하고, 그 위의 마루대(2)의 전단부의 브래킷(36)과 맞물려서 그 전단부를 고정지지함으로써 전개위치에서의 각 마루대(2)의 가로 흔들림이나 전후 흔들림을 방지하며, 또한 복수 단의 마루대(2)가 상하로 겹쳐진 수납위치로 이동할 때는, 도 11의 오른쪽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루대 잠금부재(27)가 마루대 잠금부재 구동기구(28)에 의해 구동되어 해방위치로 하강이동하고, 그 위의 마루대(2)의 전단부를 해방할 수 있다.
게다가 이 변형예의 수납식 관람석에 따르면, 마루대 잠금부재 구동기구(28)가 페달(43)에 의해 구동되어 마루대 잠금부재(27)를 잠금위치와 해방위치 사이에서 승강이동시키는 토글기구이기 때문에, 보다 간이한 구성으로 마루대 잠금부재(27)를 승강이동시킬 수 있다.
도 12는 상기 실시예의 수납식 관람석의 마루대 잠금부재 구동기구(28)를 다르게 한 다른 일변형예를, 마루대 잠금부재(27)를 잠금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마루대(2)의 앞에서 보아 나타내는 단면도, 또한 도 13은 상기 다른 변형예에서의 마루대 잠금부재 구동기구(28)를, 마루대 잠금부재(27)를 해방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마루대(2)의 앞에서 보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 변형예의 수납식 관람석은, 마루대 잠금부재 구동기구(28)가 마루대 잠금부재(27)를 수동부재로 승강구동하도록 구성한 것으로, 도면에서 앞의 실시예 및 변형예와 같은 부분은 그것과 같은 부호로 나타낸다. 여기서의 마루대 잠금부재 구동기구(28)는 앞의 변형예와 마찬가지로, 토글기구로 마루대 잠금부재(27)를 승강시키는 것인데, 그 토글기구를 레버로 구동하도록 한 것으로, 이 때문에 도 12,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링(45)과 일체로 형성되어 하부 링(45)의 일단부로부터 지지기둥(40)의 옆쪽으로 뻗은 레버(53)를 가지고 있는 점, 및 지지기둥(40)의 상단부에 고정설치된 둥근 구멍(41a)을 가지는 잠금부재 브래킷(41)이 판재를 'ㄷ'자 형상으로 절곡하여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앞의 변형예와 다르고, 다른 점에서는 앞의 변형예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변형예의 수납식 관람석에 의해서도, 상기 변형예와 같은 작용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상, 도시한 예에 근거하여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은 상술한 예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마루대 잠금부재(27)를 후크형상으로 하는 동시에, 마루대 잠금부재 구동기구(28)가 그 마루대 잠금부재(27)를 회전이동시키도록 하여, 그 위의 마루대(2)의 전단부를 걸어 고정하여도 된다. 또한, 등받이 구동기구의 제2 링이 맞물리는 맞물림부는, 톱니바퀴 지지축(28)이 아니라 별개로 설치하여도 되고, 그 제2 링은, 피구동 톱니바퀴(20)가 아니라 축으로 구동되는 통상의 암(arm) 형상의 링으로 하여도 되며, 그 제2 링을 회전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는, 모터(13)가 아니라 액압 실린더 등이어도 된다. 그리고, 마루대 잠금부재 구동기구(28)는, 상기 실시예 및 변형예 이외의 기구를 이용하여 마루대 잠금부재를 이동시키는 것이어도 된다.
이렇게 하여, 본 발명의 수납식 관람석에 따르면, 복수 단의 마루대의 이동에 대응하여 의자의 등받이를 수납위치와 사용위치 사이에서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동시에, 복수 단의 마루대가 계단형상의 전개위치로 이동하여 의자의 등받이가 사용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등받이를 그 사용위치에 고정시키고 있기 때문에, 착좌시 등에 예를 들어 등받이에 커다란 힘이 가해졌을 경우에도, 등받이가 예기치 않게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별도로 등받이 잠금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등받이 주변의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는 동시에, 등받이 잠금기구만큼의 비용을 줄일 수 있다.
1: 의자 2: 마루대
3: 시트 4: 등받이
7: 관통재 8: 들보부재
9: 프레임 10: 칸막이판
11: 팔걸이 12: 구동기구
13: 모터 14: 전동축
15: 구동 톱니바퀴 16: 피구동 톱니바퀴
17: 제1 톱니바퀴 세트 18: 톱니바퀴 지지축
19: 구동 톱니바퀴 20: 피구동 톱니바퀴
21: 제2 톱니바퀴 세트 22: 링
23: 연결축 24: 캠축
25: 캠 26: 마이크로 스위치
27: 마루대 잠금부재 28: 마루대 잠금부재 구동기구
29: 모터 30: 전동축
31: 웜 32: 볼나사축
33: 윔 휠 34: 볼너트
35: 링 36: 브래킷
37: 캠 38: 마이크로 스위치
39: 베이스판 40: 지지기둥
41: 잠금부재 브래킷 42: 페달 브래킷
43: 페달 44: 지지축
45: 하측 링 46: 상측 링
47, 48, 49: 핀 50: 브래킷
51: 핀 52: 인장 스프링
53: 레버

Claims (5)

  1. 계단형상의 전개위치와 상하로 겹쳐진 수납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복수 단의 마루대와,
    상기 마루대의 전단부에 그 전단부로부터 앞으로 돌출하여 설치된 시트, 및 그 시트의 뒤쪽에서 상기 마루대의 전단부 위에 세워진 사용위치와 뒤쪽으로 눕혀진 수납위치 사이에서 눕혔다 세웠다 할 수 있게 설치된 등받이를 가지는 의자와,
    상기 등받이를 상기 사용위치와 상기 수납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등받이 구동기구를 구비하는 수납식 관람석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구동기구가,
    상기 등받이의 하단부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등받이를 상기 사용위치와 상기 수납위치 사이에서 회전이동시키는 동시에, 상기 등받이를 상기 사용위치에 위치시키는 이동에 의해 맞물림부와 맞물려서 상기 등받이를 상기 사용위치에 고정하는 제1 링과,
    상기 제1 링의 타단부에 단부가 연결되는 동시에 기부가 지지축으로 지지된 제2 링과,
    상기 제2 링을 회전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를 가지는 링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관람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구동기구의 상기 맞물림부는 상기 지지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관람석.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단의 마루대 중 아래에서 두번째 단 이상의 마루대는, 각각 뒤쪽의 관통재를 통하여 외팔보 상태로 지지되어 있고,
    상기 수납식 관람석은,
    상기 관통재 앞의 상기 마루대의 후단부에, 상기 전개위치에 있는 위쪽의 상기 마루대의 전단부와 맞물려서 그 전단부를 고정지지하는 잠금위치와 그 전단부를 해방시키는 해방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 마루대 잠금부재와,
    상기 마루대 잠금부재를 상기 잠금위치와 상기 해방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마루대 잠금부재 구동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관람석.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마루대 잠금부재 구동기구는, 연직방향으로 뻗어서 배치한 나사축 또는 그것에 나사결합하는 너트를 모터로 회전이동시킴으로써, 그 나사축과 너트를 상대이동시켜서 상기 마루대 잠금부재를 상기 잠금위치와 상기 해방위치 사이에서 자동으로 승강이동시키는 나사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관람석.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마루대 잠금부재 구동기구는, 족동부재 또는 수동부재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마루대 잠금부재를 상기 잠금위치와 상기 해방위치 사이에서 승강이동시키는 토글 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관람석.
KR1020117006280A 2008-08-29 2008-08-29 수납식 관람석 KR1014888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8/065552 WO2010023754A1 (ja) 2008-08-29 2008-08-29 収納式観覧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9013A KR20110069013A (ko) 2011-06-22
KR101488825B1 true KR101488825B1 (ko) 2015-02-02

Family

ID=41720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6280A KR101488825B1 (ko) 2008-08-29 2008-08-29 수납식 관람석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914903B2 (ko)
KR (1) KR101488825B1 (ko)
WO (1) WO201002375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1630B1 (ko) 2015-08-13 2016-02-18 엔피씨시팅 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수납식 관람석 제어 시스템
KR20230140141A (ko) 2022-03-29 2023-10-06 주식회사 호수산업 스마트 관람석 제어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59262A1 (fr) * 2010-04-22 2011-10-28 Rocco Compagnone Gradins telescopiques a pente variable
CN103953207B (zh) * 2014-04-25 2016-04-06 温州南方游乐设备工程有限公司 一种球幕影院旋转观影平台
JP6338217B2 (ja) * 2014-06-06 2018-06-06 株式会社オカムラ 組み合わせ什器
GB2564708B (en) * 2017-07-21 2020-02-12 Magma Global Ltd Void volume measurement for a composite pipe
JP7088548B2 (ja) * 2018-10-02 2022-06-21 コトブキシーティング株式会社 収納式観覧席
KR102117424B1 (ko) 2019-11-14 2020-06-01 주식회사 엔시팅 장애물에 의한 동작 오류를 방지하는 자동 수납식 관람석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320919B1 (ko) * 2021-03-15 2021-11-02 최현식 가동형 관람석의 거더 지지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4145U (ko) * 1984-11-26 1986-06-18
JPH07110252B2 (ja) * 1986-09-12 1995-11-29 株式会社コトブキ 椅子収納床ユニツト
JP2000017870A (ja) * 1998-07-03 2000-01-18 Kotobuki Corp 移動観覧席の床材支持装置
JP7110252B2 (ja) * 2014-06-14 2022-08-01 マジック リープ,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仮想および拡張現実を作成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5Y2 (ja) * 1981-04-18 1984-01-05 愛知株式会社 観覧席における折りたたみ式椅子
JP4002121B2 (ja) * 2002-03-11 2007-10-31 株式会社コトブキ 収納式観覧席用椅子形態変更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4145U (ko) * 1984-11-26 1986-06-18
JPH07110252B2 (ja) * 1986-09-12 1995-11-29 株式会社コトブキ 椅子収納床ユニツト
JP2000017870A (ja) * 1998-07-03 2000-01-18 Kotobuki Corp 移動観覧席の床材支持装置
JP7110252B2 (ja) * 2014-06-14 2022-08-01 マジック リープ,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仮想および拡張現実を作成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1630B1 (ko) 2015-08-13 2016-02-18 엔피씨시팅 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수납식 관람석 제어 시스템
KR20230140141A (ko) 2022-03-29 2023-10-06 주식회사 호수산업 스마트 관람석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0023754A1 (ja) 2012-01-26
KR20110069013A (ko) 2011-06-22
JP4914903B2 (ja) 2012-04-11
WO2010023754A1 (ja) 201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8825B1 (ko) 수납식 관람석
JP3776565B2 (ja) 伸縮式階段状観覧席
JP6591873B2 (ja) フロア昇降装置
JPH07301015A (ja) 収納式椅子
JP4508760B2 (ja) 立ち上がり補助椅子
JP6242482B2 (ja) 移動観覧席
WO2020071118A1 (ja) 収納式観覧席
JP5723393B2 (ja) 移動観覧席
JP6083063B2 (ja) 車両用シートの掛止構造
WO2016139792A1 (ja) 移動観覧席
JP3525308B2 (ja) 家具等の移動装置
JP2008073453A (ja) 玄関
JPH0210199Y2 (ko)
JPH0727321Y2 (ja) 移動観覧席の塞ぎ板装置
JP2519189Y2 (ja) 伸縮式階段状観覧席
JP4153437B2 (ja) 階段状観覧席における床形成装置
JPH0431953Y2 (ko)
JP2948801B1 (ja) 客席可変装置
JP2550968Y2 (ja) 椅 子
JP3373118B2 (ja) 床装置
JP2019119589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567183Y2 (ja) 伸縮式階段状観覧席
JP2787226B2 (ja) リトラクタブル・シーティング装置
JP2617494B2 (ja) 観覧席
JP2003227239A (ja) 移動観覧席用折り畳み式ステ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