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0141A - 스마트 관람석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관람석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0141A
KR20230140141A KR1020220038899A KR20220038899A KR20230140141A KR 20230140141 A KR20230140141 A KR 20230140141A KR 1020220038899 A KR1020220038899 A KR 1020220038899A KR 20220038899 A KR20220038899 A KR 20220038899A KR 20230140141 A KR20230140141 A KR 20230140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eacher
controller
command
smart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8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희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호수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호수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호수산업
Priority to KR1020220038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0141A/ko
Publication of KR20230140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014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2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8Use of remote contro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 E04H3/12Tribunes, grandstands or terraces for spect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관람석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마트폰 및 무선 리모콘 방식으로 관람석을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 관람석 제어 시스템에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양태에 따르면, 관람석 컨트롤러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및 관람석의 인입, 인출, 좌석의 높이를 제어하기 위한 관람석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스마트 관람석 제어 시스템이 제공되고, 이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과 관람석 컨트롤러 사이에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중계 서버를 더 포함하고, 중계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관람석 인입 명령, 인출 명령, 좌석 상승 명령, 좌석 하강 명령을 수신받아 관람석 컨트롤러에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스마트 관람석 제어 시스템{SMART GRANDSTAND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 관람석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마트폰 및 무선 리모콘 방식으로 관람석을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 관람석 제어 시스템에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람석이란, 강당, 체육관, 경기장 등('시설'로 통칭)의 내곽에 설치되며, 이에 착석하여 운동경기 또는 다목적 행사 등을 관람 및 응원할 수 있도록 하는 의자를 의미한다. 그러나 관람석은, 다수를 수용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설계되는 크기가 매우 크며, 관람장의 내부공간을 많이 차지하기 때문에 관람장 내부공간이 가지는 활동공간의 효율적 사용을 저해한다.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수납이 가능하도록 제작된 수납식 관람석이 이용되고 있다.
수납식 관람석은 한정된 공간을 다양한 형태로 활용할 수 있도록 이동이 가능한 관람석으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벽 한켠에 수납되어 보관되고, 사용시에는 자동으로 각 의자의 열들이 동력장치 등이 설치된 구동유닛을 통해 자동으로 인출되며, 사용이 끝난 후 다시 자동으로 수납되는 관람석이다. 수납식 관람석은 학교의 체육관, 주민센터 강당, 중소규모 공연장 및 문화홀 등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수납식 관람석을 도 1을 통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수납식 관람석은, 일반적인 관람석의 수납 및 인출을 위해 이동하는 가동관람석(A), 가동관람석(A)의 이동에 따라 이동되며 가동관람석(A)으로부터 다단 형식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피동관람석(B) 및 맨 끝 단에서 고정되는 고정관람석(C)이 계단형으로 구성되어 각각의 가동관람석(A), 피동관람석(B) 및 고정관람석(C)이 순차적으로 수납되거나 인출되는 관람석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관람석이 수납되는 경우(도 1의 (b)), 시설 내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인출되는 경우(도 1의 (a)), 다수의 좌석을 확보하여 관람객(또는 응원객)이 착석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위와 같은 수납식 관람석의 수납 및 인출을 하기 위해서는 수납식 관람석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연결된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수납식 관람석 기술에 대한 한국등록특허 제10-1488825호 "수납식 관람석"에 기술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계단형상의 전개위치와 상하로 겹쳐진 수납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복수 단의 마루대와 이 마루대들에 설치된 의자를 구비하는 수납식 관람석에 관한 기술이다. 그러나 위의 선행기술에 의하더라도 수납식 관람석을 수납 및 인출하는 경우에 유선으로 연결된 컨트롤러를 조작하여 단선의 위험을 가지거나, 무선으로 컨트롤러를 조작하여 수납 및 인출하는 경우, 지정된 무선 컨트롤러만을 가지고 조작을 해야 하는 단점이 존재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88825호(2015.01.27)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에 기반하여 안출된 발명으로 기존의 유, 무선 리모콘 방식에 더하여 스마트폰 및 PC를 사용하여 관람석의 다중제어가 가능하고, 관람석의 조작시 비디오 화상을 사용자에게 더 제공하여 원격으로 관람석 제어시 발생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스마트 관람석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양태에 따르면, 관람석 컨트롤러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및 관람석의 인입, 인출, 좌석의 높이를 제어하기 위한 관람석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스마트 관람석 제어 시스템이 제공되고, 이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과 관람석 컨트롤러 사이에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중계 서버를 더 포함하고, 중계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관람석 인입 명령, 인출 명령, 좌석 상승 명령, 좌석 하강 명령을 수신받아 관람석 컨트롤러에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양태에서 관람석이 제공된 장소에는 관람석을 촬영하기 위한 웹캠이 더 제공되고, 웹캠은 상기 관람석 컨트롤러에 연결되고, 상기 관람석 컨트롤러는 상기 웹캠으로부터의 촬영되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어느 하나의 양태에서 관람석에는 사용자의 착석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인체 감지 센서가 더 제공되고, 인체 감지 센서는 사용자의 착석 여부를 상기 관람석 컨트롤러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전술한 어느 하나의 양태에서 관람석 컨트롤러에는 리모콘 신호 수신부가 더 제공되고, 상기 리모콘 신호 수신부는 무선 리모콘 또는 유선 리모콘으로부터 관람석 동작 제어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전술한 어느 하나의 양태에서 사용자 단말은 상기 웹캠으로부터의 촬영되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면서 관람석 인입 명령, 인출 명령, 좌석 상승 명령, 좌석 하강 명령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전술한 어느 하나의 양태에서 관람석 컨트롤러는 동작 신호 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 신호 발생부는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동작 제어 명령 또는 리모콘으로부터의 동작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관람석을 인입하거나, 인출하거나,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도록 관람석에 설치된 액츄에이터를 구동시킨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유, 무선 리모콘 방식에 더하여 스마트폰 및 PC를 사용하여 관람석의 다중제어가 가능하고, 관람석의 조작시 비디오 화상을 사용자에게 더 제공하여 원격으로 관람석 제어시 발생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스마트 관람석 제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관람석의 인입 및 인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관람석 제어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관람석 제어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와이파이를 이용한 내부 네트워크가 구성된 경우의 스마트 관람석 제어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관람석 제어 시스템의 관람석 컨트롤러의 내부 기능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관람석 제어 시스템(10)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관람석 제어 시스템(10)은 사용자 단말(100), 중계 서버(200), 및 관람석 컨트롤러(300)를 포함하고, 사용자 단말(100)과 중계 서버(200)를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중계 서버(200)가 관람석 컨트롤러(300)에 유선 또는 무선 연결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사용자는 스마트폰, PDA, 스마트패드, PC, 노트북, 랩탑 컴퓨터와 같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 관람석 컨트롤러(3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 단말인 모바일 장치(100) 또는 PC(100)는 관람석(400)의 인입동작, 입출동작, 상승동작, 하강동작을 포함하는 동작 제어 명령, 웹캠(490)으로부터 촬영되는 영상을 수신하기 위한 뷰어 명령을 실행하기 위한 단말 장치로서 기능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또는 중계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화면 인터페이스를 통해 관람석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관람석(4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는 먼저 중계 서버에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설정하고 설정된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통해 중계 서버에 로그인해야 한다. 사용자가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고 나면 중계 서버(200)는 사용자에게 액세스 권한이 부여된 관람석 컨트롤러(300)의 리스트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호출하고 사용자에 이용가능한 명령, 예를 들면 복수의 관람석 컨트롤러가 등록된 경우 컨트롤러의 선택, 관람석의 인입, 인출, 상승, 하강과 같은 명령, 관람석 모니터링, 관람석 착석 상태와 같은 명령 인터페이스르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네트워크(500)는 사용자 단말(100), 중계서버(200) 사이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인프라를 총칭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500)는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Multiple Access, CDMA), 와이드 밴드 코드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DMA, WCDMA), 고속 패킷 접속(High Speed Packet Access, HSPA),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등과 같은 이동통신망; 이더넷(Ethernet), 디지털가입자선(x Digital Subscriber Line, xDSL), 광동축 혼합망(Hybrid Fiber Coax, HFC), 광가입자망(Fiber To The Home, FTTH) 등과 같은 유선통신망 또는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통신망이 이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중계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의 동작 제어 명령 또는 웹캠 뷰어 명령을 수신하면 해당하는 관람석 컨트롤러(300)에 액세스하여 동작 제어 명령을 전달하거나 웹캠(320)으로부터의 영상을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중계 서버(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람석 컨트롤러(300)에 유선/무선을 통해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람석(400)을 포함하는 장소에 AP 또는 공유기(450)가 설치된 경우 공유기(450)를 통해 관람석 컨트롤러(300)에 접속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네트워크가 구성된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중계 서버(200)에 접속하여 관람석 컨트롤러(300)에 액세스하거나, 사용자 단말(100)이 내부 네트워크에 접속된 경우에는 관람석 컨트롤러(300)에 중계 서버를 거치지 않고 직접 액세스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람석 컨트롤러(300)에는 무선 리모콘 또는 유선 리모콘과 같은 제어장치가 더 연결될 수도 있고 사용자는 현장에서 무선 리모콘 또는 유선 리모콘과 같은 제어장치를 통해 관람석 의자를 직접 제어할 수도 있다.
관람석 컨트롤러(300)는 중계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관람석 동작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수신된 명령에 대응하여 관람석(400)에 제공된 관람석 구동 수단(예를 들면 모터, 액츄에이터 등)을 구동시켜 관람석을 인입시키거나 인출시키는 동작, 관람석의 높이를 높이거나 낮추는 동작을 수행하고, 또한 웹캠(490)으로부터의 영상을 수신하여 이를 네트워크 전송에 적합한 영상처리(예를 들면 영상 압축 처리)를 수행하여 중계서버(2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는 전술한 바와 같은 관람석 컨트롤러(300)의 내부 기능을 블록화하여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람석 컨트롤러(300)는 중계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310); 웹캠(390)으로부터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처리부(330); 관람석(400)에 설치된 인체감지센서 또는 압력센서(미도시)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센서 신호 수신부(320); 무선 또는 유선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리모콘 신호 수신부(360); 제어부(380)의 제어하에 관람석(400)의 동작신호를 발생시키는 동작신호 발생부(350); 및 센서 신호 수신부(320)의 감지신호에 기반하여 사용자 알림 경보를 생성하는 경보 생성부(370)을 포함한다.
통신부(310)는 중계 서버(200)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통신부(310)는 TCP/IP를 지원하고, TCP/IP는 컴퓨터 시스템을,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다른 인터넷 호스트와 통신할 수 있는 인터넷 호스트로 만드는 기능을 제공하며, 시스템 사이에서 파일 전송; 원격 시스템에 로그인; 원격 시스템에서 명령 실행; 네트워크 관리; 가상 IP 어드레스 지원; 스트림 제어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센서 신호 수신부(320)는 관람석의 의자마다 설치된 인체감지센서로부터의 센서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감지된 센서 신호는 제어부(380)로 보내지고, 제어부(380)는 감지된 센서 신호에 기반하여 관람석 중 어느 좌석이 비어 있고 어느 좌석이 착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판단 결과를 통신부(310)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380)는 사용자 단말(100) 또는 리모콘으로부터 관람석 동작 명령을 수신한 경우 먼저 센서 신호 수신부(320)로부터 입력되는 센서 신호를 검출하고 센서 신호 중 하나라도 입력이 감지된 경우, 사용자의 동작 명령을 대기시키고 경보 생성부(370)를 통해 사용자 알림 메시지를 작성하여 이를 사용자의 단말(100)에 전송하거나, 사용자가 리모콘을 통해 관람석 동작 명령을 수행한 경우, 사용자의 동작 명령을 대기시키고 공연장 등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 알림 사운드를 발생시켜 관람석을 체크할 것을 사용자에게 요청할 수도 있다.
영상 처리부(330)는 영상 수신부(332) 및 영상 압축부(334)를 더 포함하고, 영상 수신부(332)는 웹캠(390)으로부터의 영상을 수신하고 영상 압축부(334)는 수신된 웹캠 영상을 압축한다. 압축 형식으로는 비손실압축, 손실압축 모두 사용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H.264, MP4, MOV, WMV와 같은 손실 압축 방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380)는 중계 서버(20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웹캠 요청을 수신하면 영상 압축부(334)에서 실시간으로 영상을 압축하고 압축된 영상을 중계 서버(200)를 통해 사용자 단말에 제공함에 따라 사용자는 웹캠의 영상을 화면을 통해 모니터링하면서 화면에 제공된 동작 제어 아이콘을 실행시킴으로써 관람석의 동작을 보다 안전하게 원격지에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동작신호 발생부(350)는 통신부(31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동작 명령에 대응하여 관람석을 인입시키거나(IN) 인출시키거나(OUT) 관람석의 높이를 높이거나(UP) 관람석의 높이를 낮추는(DOWN)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명령은 관람석(400)에 제공된 좌석 구동기(예를 들면 액추에이터)에 전달되어 원하는 만큼의 동작 제어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관람석 컨트롤러(300)는 상태 저장부(3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태 저장부는 관람석의 현재의 상태 정보, 예를 들면, 현재의 좌석 인출 정보, 현재의 좌석 높낮이 정보를 저장하도록 기능하고 저장된 좌석의 상태 정보는 필요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호출함으로써 언제든지 정해진 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유, 무선 리모콘 방식에 더하여 스마트폰 및 PC를 사용하여 관람석의 다중제어가 가능하고, 관람석의 조작시 비디오 화상을 사용자에게 더 제공하여 원격으로 관람석 제어시 발생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스마트 관람석 제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100: 사용자 단말 200: 중계 서버
300: 관람석 컨트롤러 310: 통신부
320: 센서 수신부 330: 영상 처리부
350: 동작신호 발생부 400: 관람석
420: 웹캠 450: 공유기

Claims (6)

  1. 관람석 컨트롤러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및 관람석의 인입, 인출, 좌석의 높이를 제어하기 위한 관람석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스마트 관람석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과 관람석 컨트롤러 사이에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중계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계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관람석 인입 명령, 인출 명령, 좌석 상승 명령, 좌석 하강 명령을 수신받아 관람석 컨트롤러에 전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관람석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람석이 제공된 장소에는 관람석을 촬영하기 위한 웹캠이 더 제공되고,
    상기 웹캠은 상기 관람석 컨트롤러에 연결되고, 상기 관람석 컨트롤러는 상기 웹캠으로부터의 촬영되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관람석 제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람석에는 사용자의 착석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인체 감지 센서가 더 제공되고,
    상기 인체 감지 센서는 사용자의 착석 여부를 상기 관람석 컨트롤러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관람석 제어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람석 컨트롤러에는 리모콘 신호 수신부가 더 제공되고, 상기 리모콘 신호 수신부는 무선 리모콘 또는 유선 리모콘으로부터 관람석 동작 제어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관람석 제어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웹캠으로부터의 촬영되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면서 관람석 인입 명령, 인출 명령, 좌석 상승 명령, 좌석 하강 명령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관람석 제어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람석 컨트롤러는 동작 신호 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 신호 발생부는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동작 제어 명령 또는 리모콘으로부터의 동작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관람석을 인입하거나, 인출하거나,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도록 관람석에 설치된 액츄에이터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관람석 제어 시스템.
KR1020220038899A 2022-03-29 2022-03-29 스마트 관람석 제어 시스템 KR202301401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8899A KR20230140141A (ko) 2022-03-29 2022-03-29 스마트 관람석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8899A KR20230140141A (ko) 2022-03-29 2022-03-29 스마트 관람석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0141A true KR20230140141A (ko) 2023-10-06

Family

ID=88296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8899A KR20230140141A (ko) 2022-03-29 2022-03-29 스마트 관람석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014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8825B1 (ko) 2008-08-29 2015-02-02 고도부끼 시팅 가부시키가이샤 수납식 관람석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8825B1 (ko) 2008-08-29 2015-02-02 고도부끼 시팅 가부시키가이샤 수납식 관람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933965B (zh) 屏幕内容共享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11962858B2 (en) Video playback method, video playback terminal, and non-volatile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8923919B2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ractive home monitoring
JP4380252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US8831780B2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virtual presence
KR20180061088A (ko)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을 위한 클라우드 동기화된 아키텍처
EP345167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three-dimensional image data transmission method
CN101291398A (zh) 一种多画面设置方法及设备
CN113329240A (zh) 投屏的方法及装置
CN107809609A (zh) 基于触摸设备的视频监控会议系统
CN110809874A (zh) 数据的同步方法及系统、可移动平台和可读存储介质
WO202310182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n electric vehicle us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WO2017151039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cident handling
CN101771861A (zh) 一种监控方法及系统
KR20230140141A (ko) 스마트 관람석 제어 시스템
US2021000506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n immersive experience of a facility control room using virtual reality
CN103581619A (zh) 监视摄像机控制装置
RU2613176C1 (ru) Устройство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й
KR101649776B1 (ko) 모니터링 시스템
CN104980424B (zh) 网络安全系统及其方法
KR101942798B1 (ko) 유휴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서버
JP6295522B2 (ja) 伝送システム、伝送端末および伝送端末プログラム
US1165058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viewing of self-driving vehicles
KR101739691B1 (ko) 스마트 환경에서 이기종 디바이스 간의 콘텐츠 및 이벤트를 끊김없이 전달하는 전달 장치 및 방법
KR101839018B1 (ko) 컷 단위로 구성된 컨텐츠를 제어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