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9018B1 - 컷 단위로 구성된 컨텐츠를 제어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컷 단위로 구성된 컨텐츠를 제어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9018B1
KR101839018B1 KR1020160119539A KR20160119539A KR101839018B1 KR 101839018 B1 KR101839018 B1 KR 101839018B1 KR 1020160119539 A KR1020160119539 A KR 1020160119539A KR 20160119539 A KR20160119539 A KR 20160119539A KR 101839018 B1 KR101839018 B1 KR 101839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
layer
variable
threshold line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9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재혁
박현준
양명석
김형규
임승택
Original Assignee
네이버웹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웹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웹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9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90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9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9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1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in the image signal generation
    • H04N5/21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변(changable)컷을 포함하며 컷 단위로 구성된 컨텐츠를 제어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으로서, 상기 컨텐츠의 영역 중 사용자 단말의 표시부에 표시되고 있는 표시 영역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가변컷에 대응되는 제1 임계선이 상기 표시 영역 내로 들어오는 것을 감지하는 제1 임계선 감지부; 상기 제1 임계선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촬영 장치를 구동시키는 촬영 장치 구동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촬영 장치로부터 획득한 영상이 표시된 제1 레이어를 생성하여 상기 가변컷에 적용하는 제1 레이어 적용부; 상기 가변컷에 대응되는 제2 임계선이 상기 표시 영역 내로 들어오는 것을 감지하는 제2 임계선 감지부; 상기 제2 임계선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대응하여 AR(Augmented Reality)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레이어를 생성하여 상기 가변컷에 적용하는 제2 레이어 적용부; 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컷 단위로 구성된 컨텐츠를 제어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본 발명은 컷 단위로 구성된 컨텐츠를 제어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 영역이 이동함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촬영 장치로부터 획득한 영상과 함께 AR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만화는 인물, 동물, 사물 등의 모습을 간결하고 익살스럽게 그리거나 과장하여 나타낸 그림을 말하며, 짤막한 지문을 넣어 유머나 풍자 또는 일정한 줄거리를 담아 읽을거리를 제공한다.
최근에는 온라인 만화가 출시되어 많은 유저들이 만화 열람을 통해 즐거움과 정보를 얻고 있다. 온라인 만화 제공 시스템은 회원들을 중심으로 인증처리 시 승인 결과에 따라 열람 가능하게 제한하고 있으며, 승인된 유저들은 만화를 선택하고 자동 넘김이나 수동 넘김을 선택하여 만화를 보다 쉽게 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예컨대,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123393호(공개일 2011년 11월 15일)에는 온라인 상의 직거래를 통해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형태의 만화를 제공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컷 단위로 구성된 컨텐츠에서, 가변컷에 사용자 단말의 촬영 장치로부터 획득한 영상과 함께 AR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변(changable)컷을 포함하며 컷 단위로 구성된 컨텐츠를 제어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으로서, 상기 컨텐츠의 영역 중 사용자 단말의 표시부에 표시되고 있는 표시 영역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가변컷에 대응되는 제1 임계선이 상기 표시 영역 내로 들어오는 것을 감지하는 제1 임계선 감지부; 상기 제1 임계선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촬영 장치를 구동시키는 촬영 장치 구동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촬영 장치로부터 획득한 영상이 표시된 제1 레이어를 생성하여 상기 가변컷에 적용하는 제1 레이어 적용부; 상기 가변컷에 대응되는 제2 임계선이 상기 표시 영역 내로 들어오는 것을 감지하는 제2 임계선 감지부; 상기 제2 임계선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대응하여 AR(Augmented Reality)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레이어를 생성하여 상기 가변컷에 적용하는 제2 레이어 적용부; 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레이어 적용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혹은 시간 정보가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AR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혹은 시간 정보가 상기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안내 데이터인 제1 AR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위치 정보 혹은 시간 정보가 상기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와 연관된 제2 AR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은 채로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상기 제2 AR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변컷이 팝업컷인 경우, 상기 제1 임계선 또는 제2 임계선 감지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표시 영역의 전체에 상기 가변컷의 가변 컨텐츠 영역이 표시되도록 상기 팝업컷을 활성화시키는 팝업컷 활성화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변컷이 팝업컷인 경우 상기 제1 임계선 및 상기 제2 임계선은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임계선은 상기 제2 임계선보다 먼저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레이어 적용부는, 상기 촬영 장치로부터 획득한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AR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변컷의 하단에 상기 표시 영역의 크기를 갖는 블랭크(blank)컷을 생성하여 삽입하는 추가컷 삽입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변컷의 하단에 공유하기 버튼을 포함하는 추가컷을 생성하여 삽입하는 추가컷 삽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경우 상기 촬영 장치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정지 버튼이 상기 제1 레이어에 삽입되고, 상기 정지 버튼은 상기 제1 레이어가 2회 이상 상기 가변컷에 적용된 경우에만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변(changable)컷을 포함하며 컷 단위로 구성된 컨텐츠를 제어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컨텐츠의 영역 중 사용자 단말의 표시부에 표시되고 있는 표시 영역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가변컷에 대응되는 제1 임계선이 상기 표시 영역 내로 들어오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1 임계선이 상기 표시 영역 내로 들어오는 것을 감지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촬영 장치를 구동시키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촬영 장치로부터 획득한 영상이 표시된 제1 레이어를 생성하여 상기 가변컷에 적용하는 단계; 상기 가변컷에 대응되는 제2 임계선이 상기 표시 영역 내로 들어오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2 임계선이 상기 표시 영역 내로 들어오는 것을 감지하는 것에 대응하여 AR(Augmented Reality)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레이어를 생성하여 상기 가변컷에 적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컷 단위로 구성된 컨텐츠의 가변컷에 사용자 단말의 촬영 장치로부터 획득한 영상과 함께 AR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컨텐츠의 내용을 현실 세계에 접합하여 보다 실감나게 전달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과 컨텐츠 제공 시스템 간의 개괄적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컨텐츠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컨텐츠가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가변컷 제어부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가변컷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 영역이 이동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가변컷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가변컷의 다른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가변컷의 다른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추가컷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터 시스템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컷 단위로 구성된 컨텐츠의 가변컷에 사용자 단말의 촬영 장치로부터 획득한 영상과 함께 AR 데이터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이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인터넷을 통해 디지털 컨텐츠 형태의 만화(이하, '웹툰'이라 칭함)를 제공하는 서비스 분야(예컨대, 웹툰 서비스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과 컨텐츠 제공 시스템 간의 개괄적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에서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200) 및 사용자 단말(100)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에서 화살표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200)과 사용자 단말(100) 간에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가 송수신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웨어러블 컴퓨터(wearable computer) 등을 포함하여, 컨텐츠 제공 시스템(200)과 관련된 웹/모바일 사이트의 접속 또는 서비스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실행이 가능한 모든 단말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웹/모바일 사이트 또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제어 하에 서비스 화면 구성, 데이터 입력, 데이터 송수신, 데이터 저장 등 서비스 전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시스템(200)은 클라이언트(client)인 사용자 단말(100)을 대상으로 웹툰을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 역할을 한다. 특히, 컨텐츠 제공 시스템(200)은 컷 단위로 구성된 컨텐츠의 가변컷에 사용자 단말의 촬영 장치로부터 획득한 영상과 함께 AR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제공 시스템(200)은 사용자 단말(100) 상에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클라이언트-서버 환경에서 웹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에 포함되는 형태로 구현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컨텐츠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200)은 프로세서(210), 버스(22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 및 메모리(24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40)는 운영체제(241) 및 서비스 제공 루틴(242)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등록부(211)와 검색부(212) 및 제공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컨텐츠 제공 시스템(200)은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메모리(240)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40)에는 운영체제(241)와 서비스 제공 루틴(242)을 위한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드라이브 메커니즘(drive mechanism, 미도시)을 이용하여 메모리(240)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아닌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메모리(240)에 로딩될 수도 있다.
버스(220)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200)의 구성요소들간의 통신 및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버스(220)는 고속 시리얼 버스(high-speed serial bus), 병렬 버스(parallel bus), SAN(Storage Area Network) 및/또는 다른 적절한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200)을 컴퓨터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컴퓨터 하드웨어 구성요소일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200)을 무선 또는 유선 커넥션을 통해 컴퓨터 네트워크에 연결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컨텐츠 제공 시스템(200)의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40)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에 의해, 그리고 버스(220)를 통해 프로세서(210)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컨텐츠 제공부(260) 및 가변컷 제어부(270)를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코드는 메모리(24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도 2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프로세서(210)는 컨텐츠 제공부(260) 및 가변컷 제어부(270)를 포함한다. 컨텐츠 제공부(260) 및 가변컷 제어부(270)는 도 3 에 도시된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도 3 을 참조하면,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0)에 가변컷(VC)을 포함하며 컷 단위로 구성된 컨텐츠를 제공한다(S31). 다음으로, 가변컷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의 정보에 따라 컨텐츠에 포함된 가변컷(VC)을 제어한다(S31). 이때, 사용자 단말(100)로부터의 정보란, 컨텐츠의 영역 중 사용자 단말(100)의 표시부(110)에 표시되고 있는 표시 영역(DA)의 위치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가 사용자 단말(100)에 표시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로 방향 진행 컨텐츠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를 참조하면, 컷 단위로 구성되며 세로 방향, 즉 위에서 아래로 진행되는 컨텐츠(C)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C)는 컷 단위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컷으로 이루어진 컨텐츠로서, 각각의 컷들은 컷라인(CL)으로 구획될 수 있다. 도 4 의 실시예에서는 4 개의 컷이 존재하며, 각 컷을은 컷라인(CL)으로 구분되고 있다. 하나의 컷의 크기 및 구획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하나의 컷은 만화 컨텐츠에서 한 장면(scene)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구분하기 위한 임의적인 영역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컷은 두개 이상의 장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포함거나, 아무런 컨텐츠를 표시하지 않는 블랭크(blank) 컷이 되는 것도 가능하며, 컨텐츠 생성의 편의 혹은 컨텐츠 표시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는 한꺼번에 사용자 단말(100)에 표시되기에 내용이 많을 수 있으므로, 일부 영역만이 사용자 단말(100)의 표시부(110)에 표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현재 사용자 단말(100)의 표시부(110)에 표시되고 있는 컨텐츠의 영역을 표시 영역(DA)이라 칭하기로 한다. 도 4a 의 실시예에서, 표시 영역(DA)은 굵은 실선으로 표시되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의 표시부(110)에는 현재 표시 영역(DA)이 컨텐츠의 어느 부분인지 알 수 있도록 하는 스크롤(111)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을 스크롤 기능을 이용하여(예를 들어, 터치 기능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100)의 경우에는 상하로 드래그하여), 표시 영역(DA) 및 스크롤(111)을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a 를 참조하면, 컨텐츠(C)는 가변컷(VC) 및 비가변컷(nVC)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a 의 실시예에서, 컨텐츠는 위로부터 3개의 비가변컷(nVC)과, 후속하는 하나의 가변컷(VC)을 포함할 수 있다. 비가변컷(nVC)이란, 한번 생성되면 변하지 않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컷으로서, 사용자 단말(100)의 동작에 관계없이 항상 동일한 컨텐츠를 보여줄 수 있는 컷이다. 예를 들어, 비가변컷(nVC)은 그림파일(예를 들어, *.jpeg)로만 구성된 컨텐츠일 수 있다. 이에 반해, 가변컷(VC)이란, 컨텐츠가 표시되고 있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의 정보에 따라 그 내용이 변경될 수 있는 컷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변컷(VC)은 표시 영역(DA)의 위치에 따라 가변컷(VC) 내에 촬영 화면을 표시하거나, AR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가변컷(VC)을 제어하는 상세한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4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가로 방향 진행 컨텐츠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 를 참조하면, 컷 단위로 구성되며 가로 방향, 즉 좌측에서 우측으로 진행되는 컨텐츠(C)가 도시되어 있다. 도 4b 와 같은 가로 방향 진행 컨텐츠 역시 도 4a 의 세로 방향 진행 컨텐츠와 마찬가지로 컷(VC, nVC)들이 컷라인(VC)으로 구분되어 있다. 다만, 도 4b 의 가로 방향 진행 컨텐츠의 경우 하나의 컷(VC, nVC)이 사용자 단말(100)의 표시부(110) 전체에 표시되고, 컷 단위로 스크롤이 진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나의 컷(VC, nVC)은 사용자 단말의 표시부(110)에 전체적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크기가 조정될 수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가변컷 제어부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컷 제어부(270)는 제1 임계선 감지부(271), 촬영 장치 구동부(272), 제1 레이어 적용부(273), 제2 임계선 감지부(274), 제2 레이어 적용부(275), 팝업컷 활성화부(276), 추가컷 삽입부(277)를 포함한다. 도 5 의 가변컷 제어부(270)는 도 6 에 따른 가변컷(VC)을 제어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가변컷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컷 제어부는 컨텐츠의 영역 중 사용자 단말의 표시부에 표시되고 있는 표시 영역이 이동함에 따라, 가변컷에 대응되는 제1 임계선이 표시 영역 내로 들어오는 것을 감지하였는지를 결정한다(S61). 제1 임계선이 표시 영역 내로 들어오는 것이 감지되면, 사용자 단말의 촬영 장치를 구동한다(S62).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의 촬영 장치로부터 획득한 영상이 표시된 제1 레이어를 생성하여 가변컷에 적용한다(S63). 다음으로, 가변컷에 대응되는 제2 임계선이 표시 영역 내로 들어오는 것을 감지하였는지를 결정한다(S64). 제2 임계선이 표시 영역 내로 들어오는 것이 감지되면, AR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 2 레이어를 생성하여 가변컷에 적용한다(S65).
이하에서는, 도 5 에 도시된 가변컷 제어부(270)의 각 구성들을 중심으로, 후술할 도 7 내지 도 11 을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7 을 참조할 때, 제1 임계선 감지부(271)는 표시 영역(DA)이 이동함에 따라, 가변컷(VC)에 대응되는 제1 임계선(tl1)이 표시 영역(DA) 내로 들어오는 것을 감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 영역(DA)이란 컨텐츠의 영역 중 사용자 단말(100)의 표시부(110)에 표시되고 있는 영역이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을 제어하여 표시부(110)에서 표시되고 있는 컨텐츠의 표시 영역(DA)을 제어할 수 있다. 도 7 의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스크롤링하는 제스처를 통해 표시 영역(DA)을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도 7 의 실시예에서, 컨텐츠의 진행방향은 세로방향이므로, 표시 영역(DA)이 아래로 이동함에 따라 제1 임계선 감지부(271)는 제1 임계선(tl1)이 표시 영역(DA) 내로 들어오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가변컷(VC)에 대응되는 제1 임계선(tl1)은 가변컷(VC)의 상측 컷라인(CL)일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영역(DA)이 가변컷(VC)의 경계를 지날 때 촬영 장치가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혹은, 다른 선택적 실시예에서, 가변컷(VC)에 대응되는 제1 임계선(tl1)은 가변컷(VC) 내에 존재하는 가변 컨텐츠 영역(VA)의 상측 경계선일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영역(DA)이 가변 컨텐츠 영역(VA)의 경계를 지날 때 촬영 장치가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혹은, 컨텐츠가 가로 방향 진행 컨텐츠라면, 제1 임계선(tl1)은 가변컷(VC)의 좌측 컷라인(CL)이거나, 혹은 가변 컨텐츠 영역(VA)의 좌측 경계선일 수 있다.
촬영 장치 구동부(272)는 제1 임계선 감지부(271)의 감지 결과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촬영 장치를 구동시킨다. 즉, 촬영 장치 구동부(272)는 제1 임계선(tl1)이 표시 영역(DA) 내로 들어오는 것이 감지되면, 사용자 단말(100)의 촬영 장치를 구동시킨다. 사용자 단말(100)의 촬영 장치란, 사용자 단말(100)에 내장된 혹은 연결된 촬영 장치로서, 이미지를 기록할 수 있는 이미지 센서를 가진 모든 촬영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00)의 촬영 장치는 사용자 단말(100)에 내장된 후방 카메라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촬영 장치 구동부(272)는 사용자로부터의 동의가 존재하는 경우에만 촬영 장치를 구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C)가 처음 로딩될 때, 촬영 장치 구동에 동의하는지 여부를 사용자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의 동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촬영 장치 구동부(272)는 촬영 장치를 구동하지 않고, 가변컷(VC)에는 기설정된 컨텐츠 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다.
제1 레이어 적용부(273)는 사용자 단말(100)의 촬영 장치로부터 획득한 영상이 표시된 제1 레이어를 생성하여 가변컷(VC)에 적용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임계선(tl1)이 표시 영역(DA) 내로 들어오면 사용자 단말(100)의 촬상 장치가 구동되고, 구동된 촬상 장치로부터 획득한 실시간 촬영 영상으로 제1 레이어를 생성하여 가변컷(VC)에 적용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경우 상기 촬영 장치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정지 버튼이 제1 레이어에 삽입될 수 있다. 즉, 구동된 촬영 장치를 사용자가 정지시킬 수 있도록 제1 레이어와 함께 정지 버튼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정지 버튼은 제1 레이어가 2회 이상 가변컷에 적용된 경우에만 표시될 수 있다. 즉, 처음 제1 레이어가 적용될 때는 정지 버튼을 표시하지 않고, 해당 컨텐츠(C)에서 제1 레이어가 두번이상 표시되는 경우 구동된 촬영 장치를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촬영 장치가 구동되지 않는 경우, 가변컷(VC)에는 기설정된 컨텐츠 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다.
제2 임계선 감지부(274)는, 도 7 을 참조할 때, 가변컷(VC)에 대응되는 제2 임계선(tl2)이 사용자 단말(100)의 표시 영역(DA)의 경계을 통과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제2 임계선(tl2)은 제1 임계선(tl1)과 마찬가지로, 가변컷(VC)에 대응되는 임의의 위치에 설정되는 선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임계선(tl1)과 제2 임계선(tl2)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제2 레이어 적용부(275)는 제2 임계선(tl2)을 감지하는 것에 대응하여, AR(Augmented Reality) 데이터가 표시된 제2 레이어를 생성하여 가변컷(VC)에 적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R 데이터란, 사용자 단말(100)의 촬영 장치로부터 획득한 영상에 겹쳐질 수 있는 가상의 오브젝트 데이터이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레이어가 상술한 제1 레이어와 함께 가변컷(VC)에 적용될 경우, 현실 세계의 영상과 함께 가상의 오브젝트 데이터가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R 데이터는 촬영 영상에 대응될 뿐만 아니라, 컨텐츠와 연관될 수 있다. 컨텐츠와 연관된 AR 데이터란, 비가변컷(nVC)들에서 표현되었더 컨텐츠들에 연관된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AR 데이터는 컨텐츠에 등장하는 캐릭터 오브젝트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컨텐츠가 공포 만화 컨텐츠인 경우 AR 데이터는 귀신 캐릭터 오브젝트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제2 레이어 적용부(275)는 촬영 장치로부터 획득한 촬영 영상에 기초하여 AR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레이어에 표시된 촬영 영상을 분석하여, 분석된 촬영 영상에 대응하는 AR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레이어에 표시된 촬영 영상을 분석하여 한 결과 현재 촬영 영상이 컴퓨터 모니터를 포함하는 경우, 해당 컴퓨터 모니터에서 귀신이 나오는 AR 데이터가 표시된 제2 레이어가 생성되어, 가변컷(VC)에 적용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제2 레이어 적용부(275)는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정보 혹은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 혹은 시간 정보가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AR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정보는 GPS 신호, 중력 센서(자이로 센서) 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혹은 시간 정보를 기설정된 조건과 비교하여,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제1 AR 데이터가 제2 레이어에서 표시되도록 하고,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2 AR 데이터가 제2 레이어에서 표시되도록 한다. 이때, 제1 AR 데이터는 사용자의 동작을 지시하는 안내 데이터일 수 있고, 제2 AR 데이터는 컨텐츠와 연관된 AR 컨텐츠를 표시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AR 데이터는 음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AR 데이터에는 그림 오브젝트 뿐만 아니라, 음향 오브젝트가 함께 포함될 수 있다.
팝업컷 활성화부(276)는 가변컷(VC)이 팝업컷인 경우, 제1 임계선(tl1) 또는 제2 임계선(tl2)이 감지되는 것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표시부(110) 전체에 가변컷(VC)의 가변 컨텐츠 영역(VA)이 표시되도록 가변컷(VC)을 활성화한다. 이때, 제1 임계선(tl1) 및 제2 임계선(tl2)은 동일하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팝업컷 활성화부(276)는 제1 임계선 또는 제2 임계선 감지되는 것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표시부(110) 전체에 가변 컨텐츠 영역(VA)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추가컷 삽입부(27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내용을 보조하기 위한 추가적인 컷을 삽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가컷 삽입부(277)는 가변컷(VC)의 하단에 표시 영역(DA)과 동일한 크기의 블랭크컷을 삽입할 수 있다. 혹은,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컷(VC)의 하단에 공유하기 버튼을 포함하는 추가컷을 생성하여 삽입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과 함께 구체적인 예시들로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 영역이 이동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스크롤링에 의해 컨텐츠의 영역 중 사용자 단말(100)의 표시부(110)에 표시되고 있은 표시 영역(DA)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표시 영역(DA)이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제1 임계선(tl1)이 표시 영역(DA)내로 들어올 수 있고, 제1 임계선 감지부(271)는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제1 임계선(tl1)은 가변컷(VC)에 대응되어 위치가 설정된 가상의 선일 수 있으며, 제1 임계션의 위치는 가변컷(VC) 내에 존재할 수 있고, 혹은 가변컷(VC) 밖에 존재할 수 있다.
도 7 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임계선(tl1)은 가변컷(VC) 중에서도 가변 컨텐츠 영역(VA)의 상측 경계선에 존재할 수 있다. 도 7 의 실시예와 같이, 제1 임계선(tl1)이 가변 컨텐츠 영역(VA)의 상측 경계선에 존재하는 경우, 가변 컨텐츠 영역(VA)이 사용자 단말(100)의 표시부(110)에 표시되는 즉시 사용자 단말(100)의 촬영 장치가 구동되어 가변 컨텐츠 영역(VA)에 촬영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도7 의 예를 들면, 가변컷(VC) 내에서 선으로 구분된 특정 영역인 가변 컨텐츠 영역(VA)에 촬영 영상이 실시간으로 표시될 수 있다. 가변 컨텐츠 영역(VA)이란, 가변컷(VC) 중에서도 가변되는 컨텐츠가 표시될 수 있는 구획을 한정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현재 사용자 단말(100)의 촬영 장치에서 찍고 있는 영상이 가변 컨텐츠 영역(VA)에 표시될 수 있으며, 이에 더해 상술한 바와 같이 AR 데이터가 영상과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도 7 과 같이 컨텐츠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제1 임계선(tl1)은 제2 임계선(tl2)보다 먼저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 레이어가 제2 레이어보다 먼저 상기 가변컷(VC)에 적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표시 영역(DA)이 하측 방향으로 진행할 때, 도 7 의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영역(DA)의 하측 경계선이 제1 임계선(tl1)을 지나는 순간 촬영 영상이 표시된 제1 레이어가 적용되어 가변 컨텐츠 영역(VA)에 촬영 영상이 표시된다. 또한, 표시 영역(DA)이 좀더 하측으로 진행하여 표시 영역(DA)의 하측 경계선이 제2 임계선(tl2)을 지나야만, AR 데이터가 표시된 제2 레이어가 적용되어 가변 컨텐츠 영역(VA)에 AR 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다. 즉, 도 7 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컨텐츠(C)를 스크롤할 때, 표시 영역(DA)의 하측 경계선이 제1 임계선(tl1)을 지나면 제1 레이어에 촬영 영상이 적용되지만, 촬영 영상만이 가변 컨텐츠 표시 영역(DA)에 표시되다가, 사용자가 조금 더 스크롤링하여 표시 영역(DA)의 하측 경계선이 제2 임계선(tl2)을 지난 후에야, AR 데이터가 표시된 제2 레이어가 가변컷(VC)에 적용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제2 임계선(tl2)은 가변 컨텐츠 영역(VA)의 위쪽에서부터 1/3 지점에 존재할 수 있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가변컷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의 (a)는 생성된 제1 레이어를 예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 영역(DA)에 제1 임계선(tl1)이 들어오면, 사용자 단말(100)의 촬영 장치가 구동되고, 촬영 영상이 표시된 제1 레이어가 도 8 의 (a)와 같이 생성된다. 또한, 도 8 의 (b)는 생성된 제2 레이어를 예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 영역(DA)에 제2 임계선(tl2)이 들어오면 AR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레이어가 도 8 의 (b)와 같이 생성된다. 도 8의 (b)에서는, AR 데이터가 귀신 캐릭터 오브젝트인 것으로 예시되었다.
도 8 의 (c)는 생성된 제1 레이어 및 제2 레이어가 가변컷(VC)에 적용된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즉, 도 8 의 (c)예시를 참조하면, 모니터를 찍은 촬영 화면을 표시한 제1 레이어와 함께, 귀신 캐릭터 오브젝트가 표현된 제2 레이어가 겹쳐 가변 표시 영역(DA)에 표시된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촬영 영상을 표시한 제1 레이어와 함께 AR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레이어를 가변컷(VC)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실감있는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8 의 (c) 는 상술한 바와 같이, 촬영 장치로부터 획득한 촬영 영상에 기초하여 생성된 AR 데이터를 예시한 것이다. 즉, 단순히 모니터를 찍고 있는 촬영 화면에 귀신 캐릭터가 포함된 AR 데이터를 합성한 것이 아니라, 모니터로부터 귀신 캐릭터가 튀어나오는 효과가 표시되도록 AR 데이터를 합성함으로써, 보다 실감있는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가변컷의 다른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레이어 적용부(275)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정보 혹은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 혹은 시간 정보가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여부에 따라 AR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 에서는 기설정된 조건이 '사용자 단말(100)이 50cm 이상 이동' 인 경우를 가정한다. 조건을 만족되지 않은 경우, 도 9 의 (a)의 실시예와 같이 표시 영역(DA)에는 촬영 영상이 표시된 제1 레이어와 함께, 사용자 단말(100)의 이동을 유도하기 위한 '뒤로 돌아보세요' 의 메시지(m1)가 표시된 제1 AR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레이어가 적용된 것을 알 수 있다. 만약, 사용자 단말(100)이 50cm 이상 이동하여 조건이 만족된 경우 경우, 도 9 의 (b)의 실시예와 같이, 표시 영역(DA)에는 제1 레이어와 함께, 귀신 캐릭터가 표시된 제2 AR 데이터가 포함된 제2 레이어가 적용될 수 있다. 즉,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해야만, 컨텐츠와 연관된 AR 데이터인 제2 AR 데이터가 생성되고, 생성된 제2 AR 데이터가 포함된 제2 레이어가 적용될 수 있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가변컷의 다른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은 가변컷(VC)이 팝업컷(PA)인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 팝업컷 활성화부(276)는, 도 10 의 (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임계선(tl1) 또는 제2 임계선(tl2)이 감지되는 것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표시부(110) 전체에 가변컷(VC)의 가변 컨텐츠 영역(VA)가 표시되도록 팝업컷(PA)을 활성화한다. 도 10 의 (a) 의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110) 전체에 촬영 영상을 표시한 제1 레이어가 적용되고, 그와 함께, 사용자 단말(100)의 특정 동작을 유도하는 화살표 메시지(m2)가 표시된 제1 AR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레이어가 적용된 것이 예시되었다. 화살표 메시지(m2)의 지시에 따라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을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면, 도 10 의 (b)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10) 전체에 촬영 영상을 표시한 제1 레이어와 함께, 귀신 캐릭터 오브젝트가 표시된 제2 AR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레이어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 10 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레이어에 '그만 볼래요' 와 같은 촬영 장치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정지 버튼(m3)이 삽입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정지 버튼(m3)를 선택하여 촬영 장치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촬영 영상 및 촬영 영상에 대응되는 AR 데이터도 생성될 수 없으므로, 제1 레이어 및 제2 레이어가 모두 적용되지 않은 가변컷(VC)에는 기설정된 컨텐츠가 삽입될 수 있다 정지 버튼(m3)은 제1 레이어가 2회 이상 가변컷에 적용된 경우에만 표시될 수 있다. 즉, 처음 제1 레이어가 적용될 때는 정지 버튼을 표시하지 않고, 해당 컨텐츠(C)에서 제1 레이어가 두번이상 표시되는 경우 구동된 촬영 장치를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촬영 장치가 구동되지 않는 경우, 가변컷(VC)에는 기설정된 컨텐츠 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추가컷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의 실시예에서, 가변컷(VC) 아래에는 블랭크컷(BK)이 추가컷으로서 삽입되어 있다. 도 11 의 실시예에서 블랭크컷의 크기는 표시 영역(DA)의 크기와 동일할 수 있고, 컨텐츠의 배경색만 표시된 컷일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가변컷(VC)에서 촬영 영상 및 AR 데이터가 표시되는 것을 본 후, 스크롤을 내려도 바로 컨텐츠가 끝나는 것이 아니라 내용이 없는 블랭크컷이 표시되도록 하여, 컨텐츠 감상의 여운을 느낄 수 있다.
또한, 도 11 의 실시예에서, 추가컷 삽입부(277)는 공유하기 버튼(m4)을 표시하는 추가컷을 삽입할 수 있다. 공유하기 버튼(m4)을 누르는 경우, 사용자는 가변컷(VC)에에 표시되었던 컨텐츠를 타 사용자와 SNS 등을 통해 공유할 수 있다.
도 4, 도 7 내지 도 11 에 도시한 화면들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일부 서비스 화면만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화면의 구성이나 순서 등은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도 12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터 시스템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터 시스템(11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 메모리(memory)(112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1140), 전력 회로(1150) 및 통신 회로(116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터 시스템(1100)은 사용자 단말(100)에 해당될 수 있다.
메모리(112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는 컴퓨터 시스템(11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1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는 컴퓨터 시스템(11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 및 메모리(112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는 메모리(112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터 시스템(11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115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16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터 시스템과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터 시스템과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12 의 실시예는, 컴퓨터 시스템(11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터 시스템(1100)은 도 12 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12 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터 시스템은 도 12 에 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 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터 시스템(11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시스템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사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사용자 단말기
200: 컨텐츠 제공 시스템
210: 프로세서
260: 컨텐츠 제공부
270: 가변컷

Claims (20)

  1. 가변(changable)컷을 포함하며 컷 단위로 구성된 컨텐츠를 제어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으로서,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상기 컨텐츠의 영역 중 상기 사용자 단말의 표시부에 표시되고 있는 표시 영역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가변컷에 대응되는 제1 임계선이 상기 표시 영역 내로 들어오는 것을 감지하는 제1 임계선 감지부;
    상기 제1 임계선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촬영 장치를 구동시키는 촬영 장치 구동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촬영 장치로부터 획득한 영상이 표시된 제1 레이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상기 컨텐츠의 상기 가변컷에 적용하는 제1 레이어 적용부;
    상기 표시 영역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가변컷에 대응되는 제2 임계선이 상기 표시 영역 내로 들어오는 것을 감지하는 제2 임계선 감지부; 및
    상기 제2 임계선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대응하여 AR(Augmented Reality)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레이어를 생성하여 상기 제1 레이어가 적용된 상기 가변컷에 적용하는 제2 레이어 적용부;
    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레이어 적용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혹은 시간 정보가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AR 데이터를 생성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혹은 시간 정보가 상기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안내 데이터인 제1 AR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위치 정보 혹은 시간 정보가 상기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와 연관된 제2 AR 데이터를 생성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은 채로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상기 제2 AR 데이터를 생성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컷이 팝업컷인 경우, 상기 제1 임계선 또는 제2 임계선 감지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표시 영역의 전체에 상기 가변컷의 가변 컨텐츠 영역이 표시되도록 상기 팝업컷을 활성화시키는 팝업컷 활성화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변컷이 팝업컷인 경우 상기 제1 임계선 및 상기 제2 임계선은 동일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임계선은 상기 제2 임계선보다 먼저 위치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레이어 적용부는,
    상기 촬영 장치로부터 획득한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AR 데이터를 생성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컷의 하단에 상기 표시 영역의 크기를 갖는 블랭크(blank)컷을 생성하여 삽입하는 추가컷 삽입부; 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컷의 하단에 공유하기 버튼을 포함하는 추가컷을 생성하여 삽입하는 추가컷 삽입부;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경우 상기 촬영 장치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정지 버튼이 상기 제1 레이어에 삽입되고, 상기 정지 버튼은 상기 제1 레이어가 2회 이상 상기 가변컷에 적용된 경우에만 표시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11.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가변(changable)컷을 포함하며 컷 단위로 구성된 컨텐츠를 제어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으로서,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상기 컨텐츠의 영역 중 상기 사용자 단말의 표시부에 표시되고 있는 표시 영역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가변컷에 대응되는 제1 임계선이 상기 표시 영역 내로 들어오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1 임계선이 상기 표시 영역 내로 들어오는 것을 감지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촬영 장치를 구동시키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촬영 장치로부터 획득한 영상이 표시된 제1 레이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상기 컨텐츠의 상기 가변컷에 적용하는 단계;
    상기 표시 영역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가변컷에 대응되는 제2 임계선이 상기 표시 영역 내로 들어오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임계선이 상기 표시 영역 내로 들어오는 것을 감지하는 것에 대응하여 AR(Augmented Reality)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레이어를 생성하여 상기 제1 레이어가 적용된 상기 가변컷에 적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레이어를 생성하여 상기 가변컷에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혹은 시간 정보가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AR 데이터를 생성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혹은 시간 정보가 상기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안내 데이터인 제1 AR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위치 정보 혹은 시간 정보가 상기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와 연관된 제2 AR 데이터를 생성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은 채로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상기 제2 AR 데이터를 생성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컷이 팝업컷인 경우, 상기 제1 임계선 또는 제2 임계선 감지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표시 영역의 전체에 상기 가변컷의 가변 컨텐츠 영역이 표시되도록 상기 팝업컷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변컷이 팝업컷인 경우 상기 제1 임계선 및 상기 제2 임계선은 동일한, 컨텐츠 제공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임계선은 상기 제2 임계선보다 먼저 위치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레이어를 생성하여 상기 가변컷에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 장치로부터 획득한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AR 데이터를 생성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컷의 하단에 상기 표시 영역의 크기를 갖는 블랭크(blank)컷을 생성하여 삽입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컷의 하단에 공유하기 버튼을 포함하는 추가컷을 생성하여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20. 제 11 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경우 상기 촬영 장치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정지 버튼이 상기 제1 레이어에 삽입되고, 상기 정지 버튼은 상기 제1 레이어가 2회 이상 상기 가변컷에 적용된 경우에만 표시되는, 컨텐츠 제공 방법.
KR1020160119539A 2016-09-19 2016-09-19 컷 단위로 구성된 컨텐츠를 제어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KR101839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539A KR101839018B1 (ko) 2016-09-19 2016-09-19 컷 단위로 구성된 컨텐츠를 제어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539A KR101839018B1 (ko) 2016-09-19 2016-09-19 컷 단위로 구성된 컨텐츠를 제어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9018B1 true KR101839018B1 (ko) 2018-03-15

Family

ID=61659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9539A KR101839018B1 (ko) 2016-09-19 2016-09-19 컷 단위로 구성된 컨텐츠를 제어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90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16295B2 (ja) 2018-04-03 2022-08-10 株式会社ミクシィ 情報処理装置、コンテンツ表示方法及びコンテンツ表示プログラム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조은애 외 2인."Scene flow 방식을 이용한 모바일 만화 저작 기법".만화애니메이션 연구.2010.06.30.통권 제19호,(제113면 내지 제126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16295B2 (ja) 2018-04-03 2022-08-10 株式会社ミクシィ 情報処理装置、コンテンツ表示方法及びコンテンツ表示プログラ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4257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blank area in screen
US10310730B2 (en) Display device for controlling displaying of a window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090116B1 (ko) 반응형 영상 생성방법 및 생성프로그램
CN104025003B (zh) 平移动画
US202100199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gmented reality scenes
US10969949B2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information display program
KR101143606B1 (ko)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전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사용자 단말 및 전시 정보 제공 방법
CN106663115A (zh) 通过不同的输出设备继续播放媒体内容
CN105191327A (zh) 用于显示多面体图形用户界面的显示装置和显示方法
US1101941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s controlled or synthesized based on interaction of user
KR102171657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문맥 파악 기반의 동영상 편집 방법 및 시스템
KR20150012067A (ko) 메시지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220062400A (ko) 투사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14632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03809870A (zh) 信息处理方法和信息处理装置
KR101616671B1 (ko) 인터넷 만화 컨텐츠의 유통을 위한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CN106911839A (zh)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KR101839018B1 (ko) 컷 단위로 구성된 컨텐츠를 제어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KR101875049B1 (ko) 컷 단위로 구성된 컨텐츠를 제어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KR101893093B1 (ko)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372181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456134B1 (ko) 발표자 참여형 3d 콘텐츠 생성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1832993B1 (ko) 컷 단위로 구성된 컨텐츠를 제어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US981844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program
US20180097865A1 (en) Video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