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7424B1 - 장애물에 의한 동작 오류를 방지하는 자동 수납식 관람석 및 그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장애물에 의한 동작 오류를 방지하는 자동 수납식 관람석 및 그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7424B1
KR102117424B1 KR1020190145953A KR20190145953A KR102117424B1 KR 102117424 B1 KR102117424 B1 KR 102117424B1 KR 1020190145953 A KR1020190145953 A KR 1020190145953A KR 20190145953 A KR20190145953 A KR 20190145953A KR 102117424 B1 KR102117424 B1 KR 102117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torage
obstacle
driving
bleach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5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규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시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시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시팅
Priority to KR1020190145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74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7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7424B1/ko
Priority to PCT/KR2020/015963 priority patent/WO2021096277A1/ko
Priority to EP20888281.1A priority patent/EP3992396A4/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3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 G05D1/024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using non-visible light signals, e.g. IR or UV sig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 E04H3/12Tribunes, grandstands or terraces for spectators
    • E04H3/123Telescopic grandstan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 E04H3/22Theatres; Concert halls; Studios for broadcasting, cinematography, television or similar purposes
    • E04H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auditorium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1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 G05D1/02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involving a learning proces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3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 G05D1/0238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using obstacle or wall senso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55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acoustic signals, e.g. ultra-sonic sing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06N20/10Machine learning using kernel methods, e.g. support vector machines [SV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4Architecture, e.g. interconnection topology
    • G06N3/045Combinations of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애물에 의한 동작 오류를 방지하는 자동 수납식 관람석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수납식 관람석이 이동하는 경로에 존재하는 장애물이 감지되면 구동장치를 제어하여, 수납식 관람석의 인출 또는 수납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예방 및 수납식 관람석 자체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애물에 의한 동작 오류를 방지하는 자동 수납식 관람석은 구동유닛부에 의해 인출 또는 수납되는 수납식 관람석, 상기 수납식 관람석에 설치되어 상기 수납식 관람석의 인출 또는 수납 경로상 물체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가 감지한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 및 상기 구동유닛부를 동작시키며, 상기 센서부로부터 물체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수납식 관람석의 인출 또는 수납 경로상에 장애물이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장애물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구동유닛부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장애물에 의한 동작 오류를 방지하는 자동 수납식 관람석 및 그의 제어 방법{stored type stand for preventing malfunction by obstacles and control method the same}
본 발명은 자동 수납식 관람석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애물에 의한 동작 오류를 방지하는 자동 수납식 관람석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람석이란, 연극, 영화, 운동경기, 미술품 등을 구경할 수 있는 관람장의 관중을 위해 계단 형태의 다단으로 구성되며, 상하로 나란하게 줄지어진 좌석을 말한다.
그러나 관람석은, 다수를 수용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설계되는 크기가 매우 크며, 관람장의 내부공간을 많이 차지하기 때문에 관람장 내부공간이 가지는 활동공간의 효율적 사용을 저해한다.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수납이 가능하도록 제작된 수납식 관람석이 이용되고 있다.
수납식 관람석은 한정된 공간을 다양한 형태로 활용할 수 있도록 이동이 가능한 관람석으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벽 한켠에 수납되어 보관되고, 사용시에는 자동으로 각 의자의 열들이 동력장치 등이 설치된 구동유닛을 통해 자동으로 인출되며, 사용이 끝난 후 다시 자동으로 수납되는 관람석이다. 수납식 관람석은 학교의 체육관, 주민센터 강당, 중소규모 공연장 및 문화홀 등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수납식 관람석은 철제 각형강관(square-shape steel pipe, 角形鋼管)을 사용하여 제작되기 때문에, 무게가 매우 무겁고, 모터 등 동력장치가 사용됨에 따라 수납식 관람석 주변 또는 수납식 관람석이 인출 또는 수납되는 경로상에 사람을 포함한 각종 장애물이 있을 경우, 안전사고 발생이 우려된다.
또한, 수납식 관람석이 수납되는 경우 내부 장애물에 의해 관람석의 기계적 구조 및 이동에 사용되는 구동 장치의 변형을 유발시켜 수납식 관람석 자체의 고장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수납식 관람석의 유지, 보수 및 안정성 확보에 커다란 장애가 될 수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69013호 (2011. 06. 22.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납식 관람석의 인출 또는 수납 시 수납식 관람석의 내부 및 수납식 관람석이 이동하는 경로 주변에 존재하는 물체를 감지하고, 물체가 감지된 경우 감지된 물체가 장애물인지 판단한 뒤, 감지된 물체가 장애물로 판단되면 수납식 관람석의 구동장치를 중지시켜 수납식 관람석의 인출 또는 수납 시의 안전사고 예방 및 수납식 관람석 자체의 안정성을 확보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애물에 의한 동작 오류를 방지하는 자동 수납식 관람석은 구동유닛부에 의해 인출 또는 수납되는 수납식 관람석, 상기 수납식 관람석에 설치되어 상기 수납식 관람석의 인출 또는 수납 경로상 물체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가 감지한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 및 상기 구동유닛부를 동작시키며, 상기 센서부로부터 물체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수납식 관람석의 인출 또는 수납 경로상에 장애물이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장애물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구동유닛부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구동유닛부의 전류를 측정하여 상기 구동유닛부의 구동부하를 감지하는 전류센서부, 상기 수납식 관람석의 인출 또는 수납 경로상에 존재하는 물체의 온도 변화를 측정하여 상기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적외선센서부 및 상기 수납식 관람석의 인출 또는 수납 경로상에 존재하는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초음파센서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구동유닛부의 전류, 상기 경로상 온도 변화 및 상기 경로상에 존재하는 물체와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구동유닛부가 동작하기 전 미리 측정 또는 설정된 기준데이터가 저장되는 기준데이터베이스부 및 상기 수납식 관람석이 인출 또는 수납될 때 상기 구동유닛부의 전류, 상기 경로상 온도 변화 및 상기 경로상에 존재하는 물체와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가 각각 실시간으로 측정된 측정데이터가 저장되는 측정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납식 관람석의 인출 또는 수납 시 상기 측정데이터가 상기 기준데이터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면, 상기 수납식 관람석의 경로상에 장애물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구동유닛부의 구동을 중지 또는 구동 속도의 가변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납식 관람석의 경로상에 장애물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구동유닛부의 구동이 중지 또는 구동 속도의 가변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제어된 후, 상기 측정데이터가 상기 기준데이터의 범위에 포함되면, 감지된 장애물이 제거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구동유닛부를 재구동 또는 구동 속도의 정상화 중 어느 한 방법으로 제어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딥러닝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상기 제어부가 장애물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구동유닛부를 제어한 정보 및 상기 장애물이 제거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구동유닛부를 제어한 정보를 분석한 딥러닝정보가 저장되는 딥러닝데이터베이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딥러닝정보에 따라 구동유닛부를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애물에 의한 동작 오류를 방지하는 자동 수납식 관람석은 사용자 단말기와 유무선 통신 가능하며, 상기 구동유닛부의 구동여부 및 장애물 감지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송출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구동유닛부를 제어하고, 상기 구동유닛부를 제어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달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인증된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는 인증데이터베이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정보와 상기 구동유닛부의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 정보를 인증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 정보가 같으면 상기 구동유닛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수납식 관람석을 인출 또는 수납한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수납식 관람석의 내외부에 복수 개 설치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장애물에 의한 동작 오류를 방지하는 자동 수납식 관람석의 제어 방법은 수납식 관람석의 인출 또는 수납되는 경로상 주위 물체를 상기 수납식 관람석을 인출 또는 수납시키는 구동유닛부가 구동되기 전 미리 감지하여 저장하거나 설정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수납식 관람석의 인출 또는 수납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구동유닛부를 구동시키는 단계, 상기 수납식 관람석의 인출 또는 수납 시 내부 및 경로상 주위 물체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물체가 장애물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물체가 장애물로 판단된 경우, 상기 구동유닛부의 중지 또는 속도의 가변 중 어느 한 방법으로 제어하는 단계, 상기 장애물이 제거됐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장애물이 제거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구동유닛부를 재가동 또는 속도의 정상화 중 어느 한 방법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된 물체가 장애물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장애물이 제거됐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딥러닝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분석 및 저장된 딥러닝 정보에 의해 상기 구동유닛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애물에 의한 동작 오류를 방지하는 자동 수납식 관람석 및 그의 제어 방법은 수납식 관람석의 인출 또는 수납하는 구동유닛부의 전류를 측정하여 구동유닛부의 구동부하를 감지하는 전류센서부, 수납식 관람석의 인출 또는 수납 시 경로 주변에 존재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적외선센서부 및 초음파센서부를 포함하기 때문에 수납식 관람석의 인출 또는 수납하는 경로에 있는 물체를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애물에 의한 동작 오류를 방지하는 자동 수납식 관람석 및 그의 제어 방법은 전류센서부, 적외선센서부 및 초음파센서부가 구동유닛부가 구동되기 전 미리 기준데이터를 측정하여 저장되는 기준데이터베이스부와 구동유닛부가 구동되는 동안 실시간으로 측정데이터를 측정하여 저장되는 측정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하고, 수납식 관람석의 인출 또는 수납하는 동안 기준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기준데이터와 측정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측정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비교하여 장애물을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여 감지된 물체가 장애물인지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며, 감지된 물체가 장애물인지 판단되면 구동유닛부의 동작을 중지시켜 더욱 효과적으로 안전사고 예방 및 수납식 관람석 자체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애물에 의한 동작 오류를 방지하는 자동 수납식 관람석 및 그의 제어 방법은 수납식 관람석의 인출 또는 수납하는 경로에 있는 장애물을 감지하여 수납식 관람석을 인출 또는 수납하는 구동유닛부를 중지시킨 후에도 실시간으로 장애물을 계속 감지하여, 장애물이 제거되었다고 판단되면 중지된 구동유닛부를 재가동하여 더욱 효과적인 운용이 가능하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장애물에 의한 동작 오류를 방지하는 자동 수납식 관람석 및 그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통신부를 포함하기 때문에, 원격지에서도 수납식 관람석을 제어하여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물에 의한 동작 오류를 방지하는 자동 수납식 관람석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식 관람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물에 의한 동작오류를 방지하는 자동 수납식 관람석의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는 범위에서 생략될 것이라는 점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물에 의한 동작 오류를 방지하는 자동 수납식 관람석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식 관람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장애물에 의한 동작 오류를 방지하는 자동 수납식 관람석(100)은 구동유닛부(11)에 의해 인출 또는 수납되는 수납식 관람석(10), 수납식 관람석(10)에 설치되어 수납식 관람석(10)의 인출 또는 수납 경로상 물체를 감지하는 센서부(20), 센서부(20)가 감지한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30) 및 구동유닛부(11)를 동작시키며, 센서부(20)로부터 물체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데이터베이스부(30)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수납식 관람석(10)의 인출 또는 수납 경로상에 장애물이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장애물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구동유닛부(11)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제어부(40)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납식 관람석(10)은 수납식 관람석(10)의 인출 또는 수납을 위해 구동유닛부(미도시)에 의해 이동되는 가동관람석(A), 가동관람석(A)의 이동에 따라 이동되며 가동관람석(A)으로부터 다단 형식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피동관람석(B) 및 맨 끝 단에서 고정되는 고정관람석(C)이 계단형으로 구성되어 각각의 가동관람석(A), 피동관람석(B) 및 고정관람석(C)이 순차적으로 인출되거나 수납된다.
수납식 관람석(10)이 인출되는 경우(도 2의 (a)), 다수의 좌석을 확보하여 관중이 착석할 수 있고, 관람석이 수납되는 경우(도 2의 (b)) 수납식 관람석(10)이 차지하는 부피를 줄여 시설 내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구동유닛부(11)는 단일 혹은 다수의 모터 등 동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장치는 내외부 전력을 사용해 구동된다.
구동유닛부(11)는 수납식 관람석(10)의 가동관람석(A)을 인출하거나 수납한다. 가동관람석(A)의 이동에 의해 다수의 피동관람석(B)이 가동관람석(A)을 따라 이동한다.
구동유닛부(11)는 가동관람석(A)을 이동시켜 수납식 관람석(10)의 인출 또는 수납시키는 한편, 수납식 관람석(10)의 인출 또는 수납하는 동작에 따라 수납식 관람석(10)이 구비한 다수의 의자를 접거나 펴는 동작도 수행한다. 따라서 구동유닛부(11)는 수납식 관람석(10)을 수납시킬 때에는 의자를 접고, 수납식 관람석(10)을 인출시킬 때에는 수납식 관람석(10)의 인출이 모두 끝났을 때 관람석의 이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의자를 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애물에 의한 동작 오류를 방지하는 자동 수납식 관람석(100)은 센서부(20)를 더 포함한다. 센서부(20)는 수납식 관람석(10)의 내부 및 수납식 관람석(10)의 가동관람석이 이동하는 경로 주변의 물체를 감지하며, 주변상황의 변화를 감지한다.
센서부(20)는 전류센서부(21), 적외선센서부(23) 및 초음파센서부(25)를 포함한다.
전류센서부(21)는 구동유닛부(11)가 구동될 때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여 구동유닛부(11)의 구동부하를 감지한다.
전류센서부(21)는 교류 전류 및 직류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센서를 포함한다. 전류센서가 전류를 감지하는 방법에는, 변류기 방식 및 홀 소자 방식 등이 있다. 변류기 방식은 도너츠 모양의 자심을 사용하여 1차 및 2차 코일을 자심에 감아 2차 전류를 측정함으로써 1차 전류를 검지한다. 홀 소자 방식은 전류에 의하여 생기는 자계 속에 홀 소자를 설치하여 홀 전압을 측정함으로써 자계의 강도, 즉 전류의 강약을 검지한다.
구동유닛부(11)의 구동 시 발생하는 구동부하는 두 가지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수납식 관람석(10)을 인출하기 위해 가동관람석(A)이 이동할 때, 이동 경로상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을 때와 비교하여 더 많은 전류가 필요하다. 따라서 가동관람석(A)을 이동시키는 구동유닛부(11)에 더 많은 전류가 흐를 수 있다.
또는 수납식 관람석(10)을 수납하기 위하여 가동관람석(A)이 이동할 때, 수납식 관람석(10)의 내부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수납식 관람석(10)의 내부에 장애물이 없을 때와 비교하여 구동유닛부(11)에 더 많은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적외선센서부(23) 및 초음파센서부(25)는 수납식 관람석(10)의 전면, 측면 및 내부에 다수 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수납식 관람석(10)의 전면, 측면 및 내부에 존재하는 물체를 감지할 수 있다.
적외선센서부(23)는 수납식 관람석(10)의 인출 또는 수납 경로상에 존재하는 물체의 온도 변화를 측정하여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적외선센서부(23)는 적외선센서를 포함하며 적외선센서는 적외선을 방출하여 수납식 관람석(10)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적외선센서는 적외선을 방출하는 발광부와 적외선을 감지하는 수광부를 포함하여, 발광부에서 방출되어 수광부에서 수신되는 적외선의 변화를 감지하는 능동식이 있다. 그리고 적외선을 방출하는 발광부를 구비하지 않고, 외부의 적외선의 변화만 감지하는 수동식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센서부(23)는 능동식과 수동식의 적외선센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센서는 장애물이 발하는 적외선 또는 장애물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장애물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온도를 측정하여 후술하게될 측정데이터베이스부(33)에 저장하므로 장애물이 사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센서부(23)는 감지된 물체와의 거리도 측정할 수 있는데,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경우 적외선센서부(23)는 3각 측량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종래의 3각 측량의 원리와 같이 2개의 경로에서 온 피측정물을 직각 프리즘으로 반사하여 2개의 이미지 센서에 입사(入射)시켜 상대적 위치가 합치했을 때, 2점 간의 거리가 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센서부(25)는 수납식 관람석(10)의 인출 또는 수납 경로상에 존재하는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하여 물체를 감지한다. 초음파센서부(25)는 초음파센서를 포함한다. 초음파센서는 초음파를 발사하고 발사된 초음파가 피 측정물의 표면에서 반사되어 다시 초음파센서로 되돌아올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물체와의 거리정보를 얻는다.
수납식 관람석(10)의 내부 및 수납식 관람석(10)이 인출 또는 수납될 때, 가동관람석(A)이 이동 경로 주위의 상황을 정확하게 감지하기 위해 센서부(20)는 수납식 관람석(10)의 내외부에 복수 개가 등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 설치되는 센서부(20)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보다 정확하게 내외부 및 주변 상황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센서부(20)는 전술한 전류센서부(21), 적외선센서부(23) 및 초음파센서부(25)가 각각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고, 다수 개가 그룹을 이루어 함께 적용될 수도 있다. 센서부(20)는 수납식 관람석(10)의 내외부에 복수 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부(30)는, 기준데이터베이스부(31)와 측정데이터베이스부(33)를 포함한다.
기준데이터베이스부(31)에는 구동유닛부(11)의 전류, 경로상 온도 변화 및 가동관람석(A)이 이동하는 경로상에 존재하는 물체와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가 구동유닛부(11)가 동작하기 전 미리 측정 또는 설정된 기준데이터가 저장된다.
측정데이터베이스부(33)에는 수납식 관람석(10)이 인출 또는 수납될 때 구동유닛부(11)의 전류, 경로상 온도 변화 및 경로상에 존재하는 물체와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가 각각 실시간으로 측정된 측정데이터가 저장된다.
기준데이터베이스부(31)에 저장된 기준데이터는 수납식 관람석(10)이 인출 또는 수납되기 전에 센서부(20)가 측정하거나 운용자가 설정한 데이터이다.
기준데이터베이스부(31)에는 수납식 관람석(10)의 내외부에 장애물이 없는 경우 수납식 관람석(10)을 인출 또는 수납할 때 센서부(20)가 포함하는 전류센서부(21), 적외선센서부(23) 및 초음파센서부(25)가 측정한 데이터가 기준데이터로서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류센서부(21)의 경우, 수납식 관람석(10)의 내외부에 장애물이 없을 때 수납식 관람석(10)을 인출 또는 수납할 시 구동되는 구동유닛부(11)에 흐르는 전류값이 기준데이터로서 일정범위를 갖도록 기준데이터베이스부(31)에 저장된다.
적외선센서부(23)의 경우 수납식 관람석(10)이 장애물 없이 인출 또는 수납되는 경로상의 온도 변화를 측정한 값이 기준데이터로서 일정범위를 갖도록 기준데이터베이스부(31)에 저장된다.
초음파센서부(25)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수납식 관람석(10)이 장애물 없이 인출 또는 수납되는 경로상에 존재하는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하여 기준데이터로서 일정범위를 갖도록 기준데이터베이스부(31)에 저장된다.
한편, 기준데이터는 사용자 또는 제조 공급자에 의해 임의의 값이 선택될 수도 있다. 혹은 기준데이터에 저장된 값이 일정범위를 갖기 위해 사용자 또는 제조 공급자에 의해 일정 오차범위를 포함한 일정범위를 갖도록 설정된 값일 수도 있다. 기준데이터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식 관람석(10)이 최초 세팅될 때 측정되거나 설정될 수 있으며 일정 오차범위를 계산한 임계값 또는 임계범위를 가질 수 있다.
측정데이터베이스부(33)은 수납식 관람석(10)을 인출 또는 수납할 시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측정데이터가 저장된다. 예를 들어 전류센서부(21)의 경우, 수납식 관람석(10)을 인출 또는 수납할 시 구동되는 구동유닛부(11)에 흐르는 전류값이 측정데이터로서 측정데이터베이스부(33)에 저장된다. 적외선센서부(23)의 경우 수납식 관람석(10)이 인출 또는 수납되는 경로상의 온도 변화를 측정하여 측정데이터베이스부(33)에 저장한다. 초음파센서부(25)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수납식 관람석(10)이 인출 또는 수납되는 경로상에 존재하는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하여 측정데이터로서 측정데이터베이스부(33)에 저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센서부(20)가 측정한 측정데이터에서는 수납식 관람석(10)의 내부 및 수납식 관람석(10)이 인출 또는 수납되는 경로상에 있는 물체를 감지할 수 있으나, 감지된 물체가 장애물이 아닌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납식 관람석(10)이 설치된 바닥이나 바닥에 있는 먼지, 갑자기 불어오는 뜨거운 히터 바람 등도 센서부(20)에 의해 물체로서 감지될 수 있다. 따라서 센서부(20)가 감지한 물체가 장애물인지에 대한 판단이 더 필요할 수 있다. 센서부(20)가 감지한 물체가 장애물인지에 대한 판단은 아래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40)는 수납식 관람석(10)의 인출 또는 수납 시 기준데이터베이스부(31)에 미리 저장된 기준데이터와 현재 인출 또는 수납되고 있는 수납식 관람석(10)이 구비한 센서부(20)가 측정하여 측정데이터베이스부(33)에 저장된 측정데이터를 비교한다.
만약 측정데이터가 기준데이터의 일정범위 내에 포함된다면 수납식 관람석(10)의 내부 및 이동경로상에 장애물이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측정데이터가 기준데이터의 일정범위 보다 더 큰 값이 측정되면 수납식 관람석(10) 내외부에 장애물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미리 측정되어 저장된 기준데이터는 어느 정도의 오차범위를 갖도록 일정범위를 갖도록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측정된 값을 사용자 또는 운영자가 임의로 범위를 넓혀 저장하거나 임의의 값을 적용시켜 설정하고 저장할 수도 있다.
측정데이터가 기준데이터의 일정범위보다 높은 값을 갖게 되어, 장애물이 있다고 판단하게되면, 제어부(40)는 수납식 관람석(10)을 인출 또는 수납시키는 구동유닛부(11)의 구동을 중지시키거나, 또는 구동유닛부(11)의 구동속도를 줄일 수 있다. 측정데이터가 기준데이터의 일정범위보다 높은 값을 갖되, 큰 차이가 없다면 구동속도를 줄이면서 실시간으로 센서부(20)가 주변상황을 감지하기 위해 주변부의 측정 및 감지된 물체를 계속 추적한다.
본 발명은 측정된 측정데이터와 기준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비교하면서 장애물이 제거되었는지 판단한다. 장애물이 제거되었는지 판단하여 만약 장애물이 제거되었으면 줄어든 구동속도를 정상속도로 회복하여 계속 구동될 수 있다. 반대로 장애물이 제거되지 않았으면 구동유닛부(11)의 구동을 중지시킬 수도 있다. 측정데이터가 기준데이터의 일정범위보다 높은 값을 갖되, 큰 차이가 없을 때 구동유닛부(11)의 구동속도를 더 증가시켜 미세한 장애물을 통과하여 지나갈 수도 있다.
제어부(40)가 수납식 관람석(10)의 인출 또는 수납하는 경로와 내부에 장애물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구동유닛부(11)의 구동을 중지시키거나 구동 속도를 변화시킨 경우에도 센서부(20)는 실시간으로 감지된 물체를 계속 감지하여 측정데이터를 측정데이터부에 저장한다. 제어부(40)는 측정데이터가 기준데이터의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계속 모니터링한다. 만약 측정데이터의 값이 기준데이터의 범위에 포함되게 되면 감지된 장애물이 제거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따라서 중지시켰던 구동유닛부(11)를 재구동시키거나, 구동유닛부(11)의 구동 속도를 변화시켰을 때에는 구동 속도를 정상화 시킨다.
본 발명은 장애물이 감지된 경우 경고 신호를 송출하는 스피커(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부(30)는 딥러닝데이터베이스부(37)를 더 포함한다. 딥러닝데이터베이스부(37)에는 딥러닝데이터가 저장된다. 딥러닝데이터는 딥러닝 알고리즘에 기반한다.
딥러닝데이터는 제어부(40)가 수납식 관람석의 내외부에 장애물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구동유닛부(11)를 중지시키거나 속도를 가변하는 등 구동유닛부(11)를 제어한 정보가 분석된 데이터다. 또는 딥러닝데이터는 제어부(40)가 감지한 장애물이 제거된 것으로 판단하여 구동유닛부(11)를 재가동 및 속도의 정상화 등 구동유닛부(11)를 제어한 정보를 분석한 데이터다.
딥러닝은 인공신경망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제안된 기계학습 방법이다. 딥러닝은 많은 데이터를 저장하고 비슷한 것끼리 분류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딥러닝 알고리즘은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SVM(Support Vector Machine) 등 공지된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40)는 분석되어 기 저장된 딥러닝데이터에 따라 구동유닛부(11)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0)는 기 분석 및 저장된 딥러닝데이터와 유사한 정도의 측정데이터가 입력된다면, 과거에 구동유닛부(11)를 제어했던 것과 같은 방법으로 구동유닛부(11)를 제어할 수 있다.
딥러닝데이터를 이용해 구동유닛부(11)를 제어한 결과는 다시 딥러닝데이터베이스부(37)에 저장되어 학습 결과를 업그레이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애물에 의한 동작오류를 방지하는 자동 수납식 관람석(10)은 사용자 단말기(60)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통신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60)는 후술하게 될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방법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60)와 통신부(50)의 무선통신 방법은 NFC, RF 통신, 블루투스, 지그비, 와이파이, 적외선 통신 등을 이용한 무선통신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60)는 스마트폰, 컴퓨터, 노트북, 비콘(Beacon), 태블릿 PC 또는 무선 리모콘 등을 포함한다.
제어부(40)는 통신부(50)를 통해 구동유닛부(11)의 구동여부, 수납식 관람석(10) 내부 및 수납식 관람석(10)이 인출 또는 수납되는 경로상에 존재하는 장애물의 감지 여부 등을 사용자 단말기(60)에 송출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50)는 사용자 단말기(60)로부터 구동유닛부(11)의 제어신호를 송출받아 제어부(40)로 전달할 수 있다. 구동유닛부(11)의 제어신호를 송출받은 제어부(40)는 구동유닛부(11)를 구동하거나 구동중인 구동유닛부(11)를 중지시킬 수 있다.
제어부(40)는 통신부(50)를 통해 구동유닛부(11)를 구동하거나 구동중인 구동유닛부(11)를 중지, 재구동 및 구동 속도조절 등 구동유닛부(11)를 제어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60)에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는 통신부(50)를 통해 구동유닛부(11)를 제어한 정보 및 감지된 장애물 정보를 제조 공급자에게도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유닛부(11)를 제어한 정보 및 감지된 장애물 정보를 사용자 및 제조 공급자에게 전달하여 문제해결방법의 제시 및 수납식 관람석(10)의 운용상 발생하는 각종 문제점에 대한 분석이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부(30)는 인증된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는 인증데이터베이스부(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0)는 인증된 사용자 정보가 입력되었을 때에만 구동유닛부(11)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운용될 수 있다. 사용자 정보의 인증은 통신부(50)가 사용자 단말기(60)로부터 사용자 정보와 구동유닛부(11)의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입력받은 사용자 정보 및 구동유닛부(11)의 제어신호를 제어부(40)에 전송한다. 제어부(40)는 통신부(50)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 정보를 인증데이터베이스부(35)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 정보가 같으면 구동유닛부(11)의 제어신호에 따라 수납식 관람석(10)을 인출 또는 수납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장애물에 의한 동작 오류를 방지하는 자동 수납식 관람석(100)의 또 다른 일 실시예로서, 원격지에서 수납식 관람석(10)을 제어할 때와 근거리에서 수납식 관람석(10)을 제어할 때를 구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애물에 의한 동작 오류를 방지하는 자동 수납식 관람석(100) 제어를 달리할 수도 있다.
원격지가 아닌 근거리에서 수납식 관람석(10)을 제어할 때에는, 센서부에 의해 가동관람석(C)이 이동하는 경로 주변의 물체 감지 및 구동유닛부(11)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여 주변상황의 변화를 감지한 후, 현재 수납식 관람석(10)의 운용자가 원격지에서 원격으로 제어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현재 운용자가 근거리에서 수납식 관람석(10)을 제어하는 경우, 센서부(20)가 물체 감지 또는 전류를 측정한 측정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최적 대응 방안을 설계한다. 즉, 현재 실시간으로 측정되고 있는 측정데이터를 이용하여, 측정데이터의 변화가 감지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수납식 관람석(10)의 인출 또는 수납을 중지시키거나 인출 또는 수납되는 속도를 제어한다. 이후, 제어한 결과를 확인하여 정상적으로 운영되었는지 확인한다.
그러나 만약, 원격지에서 수납식 관람석(10)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센서부(20)에 의해 측정된 측정데이터와 기준데이터베이스부(31)에 저장된 기준데이터를 비교한다.
이때, 기준데이터의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기준데이터가 존재한다면, 전술한 바와 같이 측정데이터와 기준데이터를 비교하여 센서부(20)가 감지한 물체가 장애물인지 판단하여 구동유닛부(11)를 제어하게 된다.
기준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근거리에서 수납식 관람석(10)을 제어하는 경우와 같이 센서부(20)가 물체 감지 또는 전류를 측정한 측정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최적 대응 방안을 설계 한 후, 수납식 관람석(10)의 인출 또는 수납을 중지시키거나 인출 또는 수납되는 속도를 제어한다. 이후, 제어한 결과를 확인하여 정상적으로 운영되었는지 확인한다.
요약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장애물에 의한 동작 오류를 방지하는 자동 수납식 관람석(100)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원격지에서 원격으로 수납식 관람석(10)을 제어하는 지 판단하여, 근거리에서 수납식 관람석(10)을 제어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부(30)를 이용하지 않고, 센서부(20)에 의해 측정된 측정데이터로만 구동될 수 있다.
원격지에서 수납식 관람석(10)을 제어하는 경우, 기준데이터와 측정데이터를 비교하여 수납식 관람석(10)을 제어할 수 있으며, 만약 기준데이터가 없는 경우라면, 근거리에서 제어하는 경우와 같이 센서부(20)에 의해 측정된 측정데이터로만 구동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의 원격지란, 해외(海外)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물에 의한 동작오류를 방지하는 자동 수납식 관람석의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장애물에 의한 동작오류를 방지하는 자동 수납식 관람석의 제어 방법은 수납식 관람석(10)의 인출 또는 수납되는 경로상 주위 물체를 수납식 관람석(10)을 인출 또는 수납시키는 구동유닛부(11)가 구동되기 전 미리 감지하여 저장하거나 설정하는 단계(S101), 사용자 단말기(60)로부터 수납식 관람석(10)의 인출 또는 수납 신호를 수신받아 구동유닛부(11)를 구동시키는 단계(S102), 수납식 관람석(10)의 인출 또는 수납 시 내부 및 경로상 주위 물체를 감지하는 단계(S103), 감지된 물체가 장애물인지 판단하는 단계(S104), 감지된 물체가 장애물로 판단된 경우, 구동유닛부(11)의 중지 또는 속도의 가변 중 어느 한 방법으로 제어하는 단계(S105), 장애물이 제거됐는지 판단하는 단계(S106) 및 장애물이 제거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구동유닛부(11)를 재가동 또는 속도의 정상화 중 어느 한 방법으로 제어하는 단계(S107)를 포함한다.
S101단계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부(20)의 구성에 따라 수납식 관람석(10)의 인출 또는 수납되는 경로상 주위 물체를 감지하는 단계가 달라질 수 있다.
센서부(20)가 전류센서부(21)를 포함한 경우, S101 단계는 구동유닛부(11)의 전류를 측정 또는 설정한 기준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센서부(20)가 적외선센서부(23)를 포함한 경우, S101단계는 수납식 관람석(10)이 인출 또는 수납되도록 움직이는 경로상 온도변화를 측정 또는 설정한 기준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센서부(20)가 초음파센서부(25)를 포함한 경우, S101단계는 수납식 관람석(10)이 인출 또는 수납되도록 움직이는 경로상에 존재하는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 또는 설정한 기준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S101단계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식 관람석(10)이 본격적으로 운용되기 전 최초 세팅될 때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센서부(20)는 전류센서부(21), 적외선센서부(23) 및 초음파센서부(2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S101단계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부(20)에 포함된 각 센서부(20)에 따라 독립적으로 운용된다.
S102단계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부(50)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60)로부터 수납식 관람석(10)을 인출 또는 수납시키는 구동유닛부(11)에 대한 제어신호를 전송받아 제어부(40)가 구동유닛부(11)를 구동시킨다. 구동되는 구동유닛부(11)에 의해 수납식 관람석(10)의 가동관람석(A)이 전면방향 또는 후면방향으로 이동된다. 사용자 단말기(60)로부터 구동유닛부(11)에 대한 제어신호를 받을 때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실시할 수 있다. 사용자에 대한 인증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다.
S103단계는, S102단계에서 구동유닛부(11)가 가동관람석(A)을 이동시킬 때 본 발명에 따른 센서부(20)는 가동관람석(A)이 이동하는 경로상에 존재하는 물체 및 수납식 관람석(10) 내부에 존재하는 물체를 감지한다. 따라서 센서부(20)에 포함된 전류센서부(21), 적외선센서부(23) 및 초음파센서부(25)에 따라 물체를 감지하는 단계가 서로 다를 수 있다. 그리고 센서부(20)에 포함된 각 센서부(20)에 따라 물체를 감지하는 단계는 서로 독립적으로 운용될 수 있다.
S103단계는, 센서부(20)에 전류센서부(21)가 포함된 경우, 구동유닛부(11)의 전류를 측정한 측정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센서부(20)에 적외선센서부(23)가 포함된 경우, 수납식 관람석(10)의 인출 또는 수납 경로상 물체의 온도의 변화를 측정한 측정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센서부(20)에 초음파센서부(25)가 포함된 경우, 수납식 관람석(10)의 인출 또는 수납 경로상에 존재하는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한 측정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S103단계에서 수납식 관람석(10)의 내부 및 가동관람석(A)의 이동 경로상에 물체가 감지되지 않는다면, 구동유닛부(11)는 중지되지 않고 계속 구동된다. 그러나 물체를 감지하는 단계에서 수납식 관람석(10)의 내부 및 가동관람석의 이동 경로상에 물체가 감지된다면, 감지된 물체가 장애물인지 판단하는 단계(S104)로 넘어간다.
감지된 물체가 장애물인지 판단하는 단계(S104)는, 물체를 미리 감지하는 단계(S101)에서 측정 또는 설정하여 저장한 범위와, 물체를 감지하는 단계(S103)에서 측정하여 저장한 값을 비교하여, 물체를 감지하는 단계(S103)에서 측정하여 저장한 값이 물체를 미리 감지하는 단계(S101)에서 미리 측정 또는 설정하여 저장한 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면 감지된 물체가 장애물이라고 판단한다.
즉, S104단계는, S103단계에서 측정한 측정데이터와 S101단계에서 측정하거나 설정한 기준데이터를 비교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준데이터는 일정범위를 갖도록 저장된다.
따라서 기준데이터의 일정범위 안에 측정데이터의 값이 포함되게 되면, 감지된 물체는 장애물이 아닌 것으로 판단한다. 감지된 물체가 장애물이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가동관람석(A)을 이동시키는 구동유닛부(11)를 계속 구동한다.
그러나 기준데이터의 일정범위에 측정데이터의 값이 포함되지 않으면, 감지된 물체는 장애물로 판단된다.
S105단계는, 수납식 관람석(10)의 내부 및 수납식 관람석(10)의 인출 또는 수납시 가동관람석(A)이 이동하는 경로상에 장애물이 있다고 판단되면 장애물이 제거될 때까지 구동유닛부(11)의 구동이 중지되거나 구동 속도가 변화된다. 만약, 기준데이터의 일정범위에 측정데이터의 값이 포함되지 않으나 측정데이터의 값이 기준데이터의 일정범위에 적은 차이로 벗어나는 경우 구동유닛부(11)의 구동속도를 줄이거나 증가시킬 수 있다.
S105단계에서 구동유닛부(11)를 중지시키거나 구동속도를 가변시킨경우 센서부(20)는 계속 수납식 관람석(10)의 내부와 가동관람석(A)의 이동경로상 물체를 감지하여 측정데이터로 저장하고, 제어부(40)는 측정데이터와 기준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비교한다. 따라서 S105단계 이후 장애물이 제거되었는 지 실시간으로 계속 판단한다.
S106단계는, 센서부(20)에 전류센서부(21)가 포함된 경우 구동유닛부(11)의 전류 수치를 측정한 측정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가진다. 센서부(20)에 적외선센서부(23)가 포함된 경우 수납식 관람석(10)의 인출 또는 수납 경로상 물체의 온도 변화를 측정한 측정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가진다. 센서부(20)에 초음파센서부(25)가 포함된 경우 수납식 관람석(10)의 인출 또는 수납 경로상에 존재하는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한 측정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가진다.
센서부(20)에 포함된 각 센서부(20)에 따라 장애물이 제거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각각 독립적으로 운용된다. 센서부(20)에 포함된 각 센서부(20)에 따라 측정하고 저장한 값은 측정데이터로서 측정데이터베이스부(33)에 저장된다.
이후, S101단계에서 측정 또는 설정하여 미리 저장한 범위, 즉 기준데이터의 일정범위를 비교하며 미리 저장한 기준데이터의 일정범위에 장애물이 감지되어 구동유닛부(11)를 중지시킨 후에도 계속 각 센서부(20)가 측정하여 저장한 측정데이터가 포함되면 장애물이 제거?다고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애물에 의한 동작 오류를 방지하는 자동 수납식 관람석(100)의 제어 방법은, S106단계에서 장애물이 제거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구동유닛부(11)를 재가동 또는 속도의 정상화 중 어느 한 방법으로 제어하는 단계(S107)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S104단계 및 S106단계에서 장애물 판단 및 감지된 장애물이 제거됐는지 판단할 때, S104단계 및 S106단계는 각각 딥러닝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분석 및 저장된 딥러닝데이터를 이용하여 구동유닛부(11)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104단계에서 딥러닝데이터를 이용하여 구동유닛부(11)를 제어하는 단계는 아래와 같다.
S104단계는, S101단계 및 S103단계에서 각각 입력받은 기준데이터와 측정데이터가 분석되어 저장된 딥러닝데이터의 존재 여부를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딥러닝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딥러닝데이터에 의해 구동유닛부(11)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 후, 딥러닝데이터에 의해 구동유닛부(11)를 제어한 결과를 분석하여 딥러닝데이터를 업그레이드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S106단계에서 딥러닝데이터를 이용하여 구동유닛부(11)를 제어하는 단계는 아래와 같다.
S106단계는, S101단계 및 S105단계에서 각각 입력받은 기준데이터와 측정데이터가 분석되어 저장된 딥러닝데이터의 존재 여부를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딥러닝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딥러닝데이터에 의해 구동유닛부(11)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 후, 딥러닝데이터에 의해 구동유닛부(11)를 제어한 결과를 분석하여 딥러닝데이터를 업그레이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애물에 의한 동작 오류를 방지하는 자동 수납식 관람석(100)의 제어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 : 수납식 관람석
11 : 구동유닛부
20 : 센서부
21 : 전류센서부
23 : 적외선센서부
25 : 초음파센서부
30 : 데이터베이스부
31 : 기준데이터베이스부
33 : 측정데이터베이스부
35 : 인증데이터베이스부
37 : 딥러닝데이터베이스부
40 : 제어부
50 : 통신부
60 : 사용자 단말기
100 : 장애물에 의한 동작 오류를 방지하는 자동 수납식 관람석
A : 가동관람석
B : 피동관람석
C : 고정관람석

Claims (12)

  1. 구동유닛부에 의해 인출 또는 수납되는 수납식 관람석;
    상기 수납식 관람석에 설치되어 상기 수납식 관람석의 인출 또는 수납 경로상 주위 물체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수납식 관람석의 인출 또는 수납되는 경로상 주위 물체를 상기 센서부로 상기 수납식 관람석을 인출 또는 수납시키는 구동유닛부가 구동되기 전 미리 감지하여 저장하거나 설정한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 및
    상기 구동유닛부를 동작시키며, 상기 센서부로부터 수신되는 물체감지 신호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수납식 관람석의 인출 또는 수납 경로상에 장애물이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장애물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구동유닛부의 동작을 중지 또는 구동 속도의 가변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물에 의한 동작 오류를 방지하는 자동 수납식 관람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구동유닛부의 전류를 측정하여 상기 구동유닛부의 구동부하를 감지하는 전류센서부;
    상기 수납식 관람석의 인출 또는 수납 경로상에 존재하는 물체의 온도 변화를 측정하여 상기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적외선센서부; 및
    상기 수납식 관람석의 인출 또는 수납 경로상에 존재하는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초음파센서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물에 의한 동작 오류를 방지하는 자동 수납식 관람석.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구동유닛부의 전류, 상기 경로상 온도 변화 및 상기 경로상에 존재하는 물체와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구동유닛부가 동작하기 전 미리 측정 또는 설정된 기준데이터가 저장되는 기준데이터베이스부; 및
    상기 수납식 관람석이 인출 또는 수납될 때 상기 구동유닛부의 전류, 상기 경로상 온도 변화 및 상기 경로상에 존재하는 물체와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가 각각 실시간으로 측정된 측정데이터가 저장되는 측정데이터베이스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물에 의한 동작 오류를 방지하는 자동 수납식 관람석.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납식 관람석의 인출 또는 수납 시 상기 측정데이터가 상기 기준데이터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면,
    상기 수납식 관람석의 경로상에 장애물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구동유닛부의 구동을 중지 또는 구동 속도의 가변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물에 의한 동작 오류를 방지하는 자동 수납식 관람석.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납식 관람석의 경로상에 장애물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구동유닛부의 구동이 중지 또는 구동 속도의 가변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제어된 후, 상기 측정데이터가 상기 기준데이터의 범위에 포함되면, 감지된 장애물이 제거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구동유닛부를 재구동 또는 구동 속도의 정상화 중 어느 한 방법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물에 의한 동작 오류를 방지하는 자동 수납식 관람석.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딥러닝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상기 제어부가 장애물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구동유닛부를 제어한 정보 및 상기 장애물이 제거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구동유닛부를 제어한 정보를 분석한 딥러닝정보가 저장되는 딥러닝데이터베이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딥러닝정보에 따라 구동유닛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물에 의한 동작 오류를 방지하는 자동 수납식 관람석.
  7.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와 유무선 통신 가능하며, 상기 구동유닛부의 구동여부 및 장애물 감지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송출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구동유닛부를 제어하고, 상기 구동유닛부를 제어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물에 의한 동작 오류를 방지하는 자동 수납식 관람석.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인증된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는 인증데이터베이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정보와 상기 구동유닛부의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 정보를 인증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 정보가 같으면 상기 구동유닛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수납식 관람석을 인출 또는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물에 의한 동작 오류를 방지하는 자동 수납식 관람석.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수납식 관람석의 내외부에 복수 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물에 의한 동작 오류를 방지하는 자동 수납식 관람석.
  10. 수납식 관람석의 인출 또는 수납되는 경로상 주위 물체를 상기 수납식 관람석에 설치된 센서부로 상기 수납식 관람석을 인출 또는 수납시키는 구동유닛부가 구동되기 전 미리 감지하여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거나 설정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수납식 관람석의 인출 또는 수납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구동유닛부를 구동시키는 단계;
    상기 센서부로 상기 수납식 관람석의 인출 또는 수납 시 내부 및 경로상 주위 물체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물체가 장애물인지 판단할 때, 상기 센서부로부터 수신되는 물체감지 신호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수납식 관람석의 인출 또는 수납 경로상에 장애물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물체가 장애물로 판단된 경우, 상기 구동유닛부의 중지 또는 속도의 가변 중 어느 한 방법으로 제어하는 단계;
    상기 장애물이 제거됐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장애물이 제거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구동유닛부를 재가동 또는 속도의 정상화 중 어느 한 방법으로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물에 의한 동작 오류를 방지하는 자동 수납식 관람석의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물체가 장애물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장애물이 제거됐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딥러닝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분석 및 저장된 딥러닝 정보에 의해 상기 구동유닛부를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물에 의한 동작 오류를 방지하는 자동 수납식 관람석의 제어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기재된 장애물에 의한 동작 오류를 방지하는 자동 수납식 관람석의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
KR1020190145953A 2019-11-14 2019-11-14 장애물에 의한 동작 오류를 방지하는 자동 수납식 관람석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117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953A KR102117424B1 (ko) 2019-11-14 2019-11-14 장애물에 의한 동작 오류를 방지하는 자동 수납식 관람석 및 그의 제어 방법
PCT/KR2020/015963 WO2021096277A1 (ko) 2019-11-14 2020-11-13 장애물에 의한 동작 오류를 방지하는 자동 수납식 관람석 및 그의 제어 방법
EP20888281.1A EP3992396A4 (en) 2019-11-14 2020-11-13 AUTOMATIC RETRACTABLE SEAT FOR PREVENTING OBSTACLE-RELATED FAILUR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953A KR102117424B1 (ko) 2019-11-14 2019-11-14 장애물에 의한 동작 오류를 방지하는 자동 수납식 관람석 및 그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7424B1 true KR102117424B1 (ko) 2020-06-01

Family

ID=71083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5953A KR102117424B1 (ko) 2019-11-14 2019-11-14 장애물에 의한 동작 오류를 방지하는 자동 수납식 관람석 및 그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3992396A4 (ko)
KR (1) KR102117424B1 (ko)
WO (1) WO2021096277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6277A1 (ko) * 2019-11-14 2021-05-20 주식회사 엔시팅 장애물에 의한 동작 오류를 방지하는 자동 수납식 관람석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220075543A (ko) 2020-11-30 2022-06-08 주식회사 엔시팅 다중 무선통신을 이용한 출납식 관람석 제어 시스템
KR20230060107A (ko) 2021-10-27 2023-05-04 주식회사삼광엔시팅 재난 대응을 강화를 위한 IoT 기반의 수납식 관람석 시스템
KR20240003159A (ko) 2022-06-30 2024-01-08 주식회사삼광엔시팅 사용 환경에 따라 통합 제어가 가능한 올인원(all-in-one) 수납식 제어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9013A (ko) 2008-08-29 2011-06-22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끼 수납식 관람석
KR101427805B1 (ko) * 2014-04-23 2014-08-07 주식회사 승원에스앤씨 수납식 관람석의 수평 이동을 위한 구동장치
KR101736134B1 (ko) * 2014-11-14 2017-05-16 이창길 행동블록을 이용한 로봇 구동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903147U1 (de) * 1999-02-22 1999-12-16 Kurz Rosa Einrichtung zur Raumgestaltung und Raumumwandlung
JP2003155829A (ja) * 2001-11-21 2003-05-30 Aichi Kk 移動観覧席の停止制御装置
FR2955344B1 (fr) * 2010-01-15 2012-03-23 Serapid France Tribune telescopique motorisee
US9194144B2 (en) * 2010-12-10 2015-11-24 Stageright Corporation Seating system
KR101591630B1 (ko) * 2015-08-13 2016-02-18 엔피씨시팅 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수납식 관람석 제어 시스템
KR102117424B1 (ko) * 2019-11-14 2020-06-01 주식회사 엔시팅 장애물에 의한 동작 오류를 방지하는 자동 수납식 관람석 및 그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9013A (ko) 2008-08-29 2011-06-22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끼 수납식 관람석
KR101427805B1 (ko) * 2014-04-23 2014-08-07 주식회사 승원에스앤씨 수납식 관람석의 수평 이동을 위한 구동장치
KR101736134B1 (ko) * 2014-11-14 2017-05-16 이창길 행동블록을 이용한 로봇 구동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6277A1 (ko) * 2019-11-14 2021-05-20 주식회사 엔시팅 장애물에 의한 동작 오류를 방지하는 자동 수납식 관람석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220075543A (ko) 2020-11-30 2022-06-08 주식회사 엔시팅 다중 무선통신을 이용한 출납식 관람석 제어 시스템
KR20230060107A (ko) 2021-10-27 2023-05-04 주식회사삼광엔시팅 재난 대응을 강화를 위한 IoT 기반의 수납식 관람석 시스템
KR20240003159A (ko) 2022-06-30 2024-01-08 주식회사삼광엔시팅 사용 환경에 따라 통합 제어가 가능한 올인원(all-in-one) 수납식 제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96277A1 (ko) 2021-05-20
EP3992396A4 (en) 2022-08-24
EP3992396A1 (en) 2022-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7424B1 (ko) 장애물에 의한 동작 오류를 방지하는 자동 수납식 관람석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391322B1 (ko) 이동 로봇
EP3428761B1 (en) Moving robot and controlling method
US8285482B2 (en) Mobile robot and method for moving mobile robot
US10783363B2 (en) Method of creating map by identifying moving object, and robot implementing the method
KR102125901B1 (ko) 전기 자동차를 무선으로 충전하는 이동식 충전 장치 및 방법
US10399446B2 (en) Wireless power supply system and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US11964847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passengers movement, elevator-calling control method, readable storage medium and elevator system
US11854353B2 (en) Height-adjustable kiosk apparatus
KR102367424B1 (ko) 교통약자 및 비교통약자 겸용 실내외 경로 안내를 위한 키오스크 장치를 포함하는 교통 정보 시스템
KR101591630B1 (ko)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수납식 관람석 제어 시스템
KR101744240B1 (ko) 스마트 재실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99586B1 (ko) 드론 촬영 영상의 빅데이터를 활용한 인공지능 기반 건물 시공법 도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10058980A (ko)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주행면 변경에 적응적으로 카트로봇의 이동을 제어하는 방법 및 카트로봇
US11417328B1 (en) Autonomously motile device with speech commands
WO2017067864A1 (en) Trajectory tracking using low cost occupancy sensor
JP2018092293A (ja) 入退場管理システム
US11766779B2 (en) Mobile robot for recognizing queue and operating method of mobile robot
JP2017126133A (ja) 自動運転車両
KR102393619B1 (ko) 딥러닝을 이용한 주차지도 제작 및 주차장내 차량위치확인 시스템
KR102285927B1 (ko) 대피 경로 안내 장치 및 방법
EP3131173A1 (en) Contactless electricity supply system and contactless electricity reception device
KR102258733B1 (ko) 대피 안내를 위한 무인 비행체 운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대피 안내 방법
US20200012273A1 (en) Communication robot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2097871B1 (ko) 특정 공간 녹취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