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4240B1 - 스마트 재실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재실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4240B1
KR101744240B1 KR1020160078051A KR20160078051A KR101744240B1 KR 101744240 B1 KR101744240 B1 KR 101744240B1 KR 1020160078051 A KR1020160078051 A KR 1020160078051A KR 20160078051 A KR20160078051 A KR 20160078051A KR 101744240 B1 KR101744240 B1 KR 101744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motion
room
user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8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성근
박창식
최경천
Original Assignee
(주)커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커누스 filed Critical (주)커누스
Priority to KR1020160078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42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4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4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2Status alarms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재실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설 내 복수의 공간에 각각 설치된 센싱 장치를 이용하는 스마트 재실 감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센싱 장치는, 상기 공간 내 움직임 및 온도를 각각 감지하는 제1 및 제2 센서와, 상기 제1 센서를 통해 상기 움직임이 최초 감지되는 시점에 상기 제2 센서가 온도 감지를 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설정 시간 이내에 감지된 온도가 기 설정된 임계 범위를 이탈하고 상기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공간 내 사용자가 재실한 것으로 판단하는 검지부, 및 상기 해당 공간의 재실 상태 판단 결과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재실 감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가 특정 공간의 사용 전 재실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공간의 활용도를 상승시킬 수 있으며, 공간별 재실 유무 상태를 DID 장치를 통하여 실시간 서비스할 수 있어 사용의 불편을 줄이고 사용 공간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재실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Smart occupancy detec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스마트 재실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 공간 내에서 감지되는 사람의 재실 여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스마트 재실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재실 감지 시스템은 룸 내의 사용자의 재실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한 재실 상태를 룸 외부에 표시하는 형태로 구현된다.
재실 감지 시스템의 가장 일반적인 예는 건물의 각 룸 별로 인체 감지 센서를 장착하여 인체 감지 여부를 기초로 룸 내의 전등을 자동으로 온 또는 오프 제어하거나 도어의 외부에 장착된 램프의 색상을 변경시켜 재실 상태의 확인이 가능하게 한다.
하지만, 기존의 재실 감지 시스템은 룸 내에 단일의 인체 감지 센서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재실 여부를 판단하므로 경우에 따라 사용자가 룸을 이탈한 상황에서도 재실한 것으로 알리는 오류를 범하기도 한다.
또한, 기존의 공중 화장실, 회의실, 피팅룸 등의 경우 각 룸의 도어 부분에 재실 상태 표시창을 장착하고 있으나 사용자가 직접 다가가지 않고서는 해당 룸의 재실 상태를 확인하기 어려우며 사전에 전체 룸의 상태를 직관적으로 확인하기가 곤란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공개특허 제2007-0111437호(2007.11.21 공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특정 공간의 사용 전 재실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재실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시설 내 복수의 공간에 각각 설치된 센싱 장치를 이용하는 스마트 재실 감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센싱 장치는, 상기 공간 내 움직임 및 온도를 각각 감지하는 제1 및 제2 센서와, 상기 제1 센서를 통해 상기 움직임이 최초 감지되는 시점에 상기 제2 센서가 온도 감지를 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설정 시간 이내에 감지된 온도가 기 설정된 임계 범위를 이탈하고 상기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공간 내 사용자가 재실한 것으로 판단하는 검지부, 및 상기 해당 공간의 재실 상태 판단 결과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재실 감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검지부는, 상기 설정 시간에서 상기 임계 범위의 상한 또는 하한을 이탈하는 온도 구간이 발생한 경우 상기 온도가 상기 임계 범위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설정 시간에서 상기 움직임의 감지 값이 기 설정된 임계 미만인 경우 상기 움직임이 미감지된 것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지부는, 상기 설정 시간 동안 상기 온도가 상기 임계 범위를 이탈하는 동시에 상기 움직임의 감지 값이 기 설정된 임계 이상으로 복수 회 연속하여 발생하면, 상기 공간 내 청소 또는 수리 중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상기 공간별 도어에 장착되어 상기 재실, 상기 청소 또는 상기 수리 중 하나의 상태에 대응하는 색상을 점등시키는 안내 램프로 현재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시설 내 복수의 공간에 대한 2D 또는 3D 맵(Map)을 기 저장하며, 상기 공간 별로 상기 재실 상태를 나타내는 색상, 텍스트,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매핑하여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DID)를 통하여 출력하며, 기 등록된 사용자 단말로 상기 맵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사용자가 재실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해당 공간에 입실한 시간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입실한 시간 정보를 상기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DID)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에 장착되는 상기 안내 램프의 색상과 상기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DID)를 통해 출력되는 해당 공간의 재실 상태를 나타내는 색상은 동일한 색상으로 연동되며, 사용자가 입실한 시간으로부터 시간이 경과할수록 표시되는 색상의 명도는 시계열적으로 증가하거나 낮아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시설 내 복수의 공간에 각각 설치된 센싱 장치를 이용하는 스마트 재실 감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센싱 장치는 상기 공간 내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1 센서를 통해 상기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움직임이 최초 감지되는 시점에 제2 센서가 상기 공간 내 온도 감지를 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설정 시간 이내에 감지된 온도가 기 설정된 임계 범위를 이탈하고 상기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공간 내 사용자가 재실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해당 공간의 재실 상태 판단 결과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재실 감지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재실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특정 공간의 사용 전 재실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공간의 활용도를 상승시킬 수 있으며, 공간별 재실 유무 상태를 DID 장치를 통하여 실시간 서비스할 수 있어 사용의 불편을 줄이고 사용 공간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스마트 재실 감지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센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화장실 공간을 대상으로 구현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재실 감지 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 재실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DID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재실 감지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재실 감지 시스템은 센싱 장치(100), 관리 서버(200),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300)를 포함한다.
센싱 장치(100)는 시설 내 복수의 공간에 각각 설치되어 공간 내 사용자의 재실 상태를 검지하며 검지한 재실 정보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시설이란, 화장실, 피팅룸, 회의실, 상담실, 임원실 등에 해당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해당 시설이 복수의 공간(칸)을 가진 화장실인 것을 대표 예시로 한다.
관리 서버(200)는 시설 내 각 공간별로 설치된 복수의 센싱 장치(100)와 유무선 네트워크 연결된다. 무선 방식의 경우 RF 통신, Wi-Fi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복수의 센싱 장치(100)로부터 수집한 각 공간의 재실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는 관리 서버(200)에 유무선 연결된 일반 모니터 장치 또는 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 장치에 해당될 수 있다. 여기서 DID 장치는 관리 서버(200)가 위치한 공간상에 설치될 수도 있고, 실제 해당 시설(ex, 화장실)의 소정 공간(시설 내부, 출입구 등)에 설치되어 각 공간별 재실 상태, 재실 변동 사항 등을 실시간 보여줄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디스플레이 뿐만 아니라 기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300)로도 해당 정보를 실시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0)는 응용 프로그램(ex,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조회 대상이 되는 시설 종류의 선택 및 선택한 시설 내 각 공간의 재실 상태의 확인 등이 가능하다. 여기서 응용 프로그램은 관리 서버(200)가 제공하는 앱(App)에 해당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0)는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 태블릿 PC, 노트북 등으로서, 관리자 측 단말기 또는 일반 사용자 측 단말기에 해당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0)는 앱(App)이 구동된 상태에서 관리 서버(200)로부터 관련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센싱 장치(100)는 재실 상태 검지 결과를 관리 서버(200) 뿐만 아니라 해당 공간의 도어에 장착된 안내 램프(160)로도 전달한다. 안내 램프(160)는 센싱 장치(100)와 유무선 연결되어 있으며, 무선 방식의 경우 Wi-Fi 통신, Bluetooth 통신, RF 통신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센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화장실 공간을 대상으로 구현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100)는 제1 센서(110), 제2 센서(120), 제어부(130), 검지부(140), 통신부(150)를 포함한다.
제1 센서(110)는 해당 공간 내 움직임을 감지하고 제2 센서(120)는 해당 공간 내 온도를 감지한다. 화장실을 예를 들면, 제1 센서(110)는 해당 칸 내에 진입한 사용자에 의한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고 제2 센서(120)는 사용자에 의한 온도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제1 센서(110) 및 제2 센서(120)는 각각 움직임 PIR(Pyroelectric Infrared) 센서 및 온도 PIR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물론 각각의 센서는 움직임 감지 및 온도 감지가 가능한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제1 센서(110)를 통해 움직임이 최초 감지되는 시점에 제2 센서(120)가 온도 감지를 개시하도록 제어한다. 사람이 재실하지 않은 공간 내에 사람이 진입하게 되면 제1 센서(110)를 통해 공간 내에 움직임이 최초로 감지된다.
제어부(130)는 비어 있는 공간 내에서 제1 센서(110)에 의해 움직임이 최초로 감지된 시점을 사람이 진입한 시점으로 인지하며, 정확한 재실 상태 판단을 위하여 제2 센서(120)에게 온도 감지를 시작하도록 명령한다.
이와 같이 제2 센서(120)는 제1 센서(110)에서 움직임이 감지될 때만 활성화된다. 그 구체적인 예로서, 공간 내 사용자가 비어 있는 동안 제2 센서(12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슬립(Sleep) 상태로 존재하다가 추후 작업 개시 명령을 수신하면 어웨이크(Awake) 상태로 전환하여 온도 감지를 시작한다. 물론 이를 통해 절전형 센서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움직임과 열 감지 즉, 제1 및 제2 센서(120)를 모두 활용하되, 초기에는 움직임 감지만 수행하고, 이후에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움직임과 온도 감지를 병행하는 구성을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검지부(140)는 온도 감지를 개시한 시점을 시작으로 설정 시간(ex, 수 초)을 카운트하며, 설정 시간 이내에 감지된 온도가 기 설정된 임계 범위를 이탈하고 상기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을 때, 공간 내 사용자가 재실한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검지부(140)는 설정 시간에서 임계 범위의 상한 또는 하한을 이탈하는 온도 구간이 발생한 경우에 온도가 임계 범위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한다. 임계 범위는 사람이 존재하지 않을 때의 정상 온도 범위에 해당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공간 내 사람이 들어오면, 제2 센서(120)에 의한 시간에 따른 온도 감지 값에는 사람의 체온 등에 따라 임계 범위의 상한을 이탈하는 온도 구간이 발생하게 된다. 하지만, 눈을 맞고 오거나 추운 환경에 노출된 사람이 공간 내 들어오게 될 경우, 제2 센서(120)의 온도 갑지 값에는 정상 온도 범위의 하한보다 낮은 온도 구간이 감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온도 감지를 개시한 시점부터 설정 시간 이내에 정상 온도 범위의 상한이나 하한을 이탈한 온도 감지 구간이 발생하였다면, 해당 공간 내에 현재 사람이 머무르고 있는 상황으로 판단한다. 하지만, 온도가 정상 온도 범위(임계 범위) 이내로 관측된다면 사용자가 진입 후 바로 빠져나간 경우로 해석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화장실의 경우 해당 칸에 사람이 진입 후 소정 시간 동안에 착좌 상태로 움직임이 거의 없는 시간이 수 초간 발생하는데, 이는 화장실 사용 시에 사용자의 일반적인 사용 패턴으로 볼 수 있다. 물론, 이때 언급한 수 초는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설정 시간의 길이를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술한 점을 토대로 하여, 온도 감지가 개시된 시점을 시작으로 설정 시간 이내에 온도가 임계 범위를 이탈하면서 움직임 역시 감지되지 않는 경우, 공간 내 사용자가 재실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해당 칸에서 초기에 사용자의 경미한 움직임 정도는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움직임은 노이즈로 처리하여야 한다. 따라서, 검지부(140)는 설정 시간에서 움직임의 감지 값이 기 설정된 임계 미만인 경우(약한 움직임의 경우)를 움직임이 미감지된 것으로 간주하도록 한다.
물론, 소정 시간 동안 온도는 임계 범위를 이탈했으나 움직임이 임계 이상으로 감지가 되면, 용무 중 사용자의 움직임이 잠시 발생한 경우 또는 화장지만 뽑아서 나가는 경우 등에 해당될 수 있다. 이때는 다시 소정 시간을 재카운트하여 온도 및 움직임 감지를 반복할 수도 있다.
또한, 검지부(140)는 설정 시간 동안 온도가 상기 임계 범위를 이탈하는 동시에 움직임의 감지 값이 기 설정된 임계 이상으로 복수 회 연속하여 발생하면, 공간 내 작업자의 청소 또는 수리 중 상태로 판단할 수도 있고, 해당 공간 내의 재실 정보 대신 수리 또는 청소 상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온도가 임계 범위를 벗어나 있으면서 임계 이상의 큰 움직임이 수회 이상 반복적으로 감지될 경우 해당 공간을 청소 또는 수리 중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검지부(140)에 의해 판단된 해당 공간의 재실 상태 판단 결과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며, 이와 동시에 해당 공간의 도어에 장착된 안내 램프(160)로 현재 상태 정보를 전송한다. 안내 램프(160)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공간별 도어에 장착되어 재실, 청소 또는 수리 중 하나의 상태에 대응하는 색상을 점등시킨다.
관리 서버(200) 시설 내 복수의 공간에 대한 2D 또는 3D 맵(Map)을 기 저장하며, 공간 별로 재실 상태를 나타내는 색상, 텍스트,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매핑하여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DID)를 통하여 출력한다. 물론 관리 서버(200)는 기 등록(회원 가입 또는 승인)된 사용자 단말기(300)로도 상기 맵을 제공한다.
또한, 통신부(150)는 사용자가 재실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사용자가 해당 공간에 입실한 시간 정보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입실한 시간 정보는 제1 센서(110)에 의해 최초 움직임이 감지된 시점에 해당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 서버(200)는 입실한 시간 정보를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DID)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물론, 센싱 장치(100)는 추후에 온도 및 움직임 모두가 감지되지 않는 시점이 발생하면 사용자가 완전한 퇴실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부(150)는 퇴실한 시간 정보를 검지부(140)로부터 전달받아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도어에 장착되는 안내 램프(160)의 색상과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DID)를 통해 출력되는 해당 공간의 재실 상태를 나타내는 색상은 동일한 색상으로 연동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DID의 정보와 도어의 램프 정보를 동기화 및 일치시킬 수 있고 정보의 인식 시 혼란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입실한 시간으로부터 시간이 경과할수록 표시되는 색상의 명도는 시계열적으로 증가하거나 낮아지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재실 감지 시스템을 이용한 재실 감지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재실 감지 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 재실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센싱 장치(100)는 제1 센서(110)를 통해 공간 내에 움직임 값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10). 움직임이 최초 감지되는 시점이 오면, 제2 센서(120)를 슬림 상태에서 어웨이크 상태로 전환시켜 공간 내 온도 감지를 개시하도록 제어한다(S420).
그리고, 온도 감지를 개시한 시점을 시작으로 설정 시간을 카운트한다(S430). 여기서, 설정 시간이란 사용자의 재실 상태 판단을 위해 실질적으로 소비되는 단위 시간에 해당될 수 있고 수 초(sec) 정도에 해당될 수 있다.
만일, 설정 시간 이내에 온도가 임계 범위(정상 온도 범위)를 이탈하고 해당 시간에 움직임 역시 감지되지 않은 경우 센싱 장치(100)는 사용자가 공간 내에 재실한 것으로 판단한다(S440~S460).
물론, 설정 시간 이내에 온도가 임계 범위 이내인 경우는 사용자가 공간 내 진입 후 빠른 시간 내로 이탈한 경우로 해석될 수 있다. 이때는 초기의 S410 단계를 다시 진행한다.
또한, 설정 시간 이내에 온도는 임계 범위를 이탈했으나 움직임이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으로 감지가 된 경우는, 공간 내에 있는 사용자에 의해 움직임이 잠시 발생한 경우 또는 화장지만 뽑아서 공간 밖으로 나간 경우 등에 해당될 수 있다. 이 경우는 다시 S440 단계부터 수행한다. 물론, 다시 수행한 결과 온도가 임계 범위 이내이면 사용자가 완전히 이탈한 상황으로 판단하고, 온도가 임계 범위를 벗어난 동시에 움직임이 소정 시간 동안 없다면 사용자가 재실한 것으로 판정한다.
이후에는 판단한 재실 정보(사용자의 재실 여부 등)를 관리 서버(200)와 안내 램프(160)로 각각 전송한다(S470). 관리 서버(200)는 시설의 내부 구조에 상당하는 가상 맵을 통해 각 공간별 재실 상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안내 램프(160)는 해당 공간의 재실 상태를 색상 점등을 통해 직관적으로 안내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DID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스마트 화장실 이용 안내를 제공하는 화면 예시로서, 화장실 내부 구조와 공간 배치를 가상 맵의 형태로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도 5와 같은 형태는 사용자 단말기(300)의 앱을 통해서도 제공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가상 맵의 각 공간별로 사용자의 재실 상태, 청소 또는 수리 상태 등을 대응 이미지, 색상, 텍스트(문자, 숫자) 등과 매핑하여 제공하며, 각 상태(빈자리, 사용중, 청소중, 수리중) 별 수치를 통계화하여 제공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시설의 각 공간에 대한 재실 상태, 점유 상태 등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여 시설의 활용 편의성을 높인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재실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특정 공간의 사용 전 재실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공간의 활용도를 상승시킬 수 있으며, 공간별 재실 유무 상태를 DID 장치를 통하여 실시간 서비스할 수 있어 사용의 불편을 줄이고 사용 공간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격에서 스마트 폰 등을 이용하여 특정 공간의 재실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공간별 사용 빈도, 점유율, 방문객 수 등의 통계를 산출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특정 시설의 공간 설계나 영업 등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센싱 장치 110: 제1 센서
120: 제2 센서 130: 제어부
140: 검지부 150: 통신부
160: 안내 램프 200: 관리 서버
300: 사용자 단말기

Claims (14)

  1. 시설 내 복수의 공간에 각각 설치된 센싱 장치를 이용하는 스마트 재실 감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센싱 장치는,
    상기 공간 내 움직임 및 온도를 각각 감지하는 제1 및 제2 센서;
    상기 제1 센서를 통해 상기 움직임이 최초 감지되는 시점에 상기 제2 센서가 온도 감지를 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설정 시간 이내에 감지된 온도가 기 설정된 임계 범위를 이탈하고 상기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공간 내 사용자가 재실한 것으로 판단하는 검지부; 및
    해당 공간의 재실 상태 판단 결과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시설 내 복수의 공간에 대한 2D 또는 3D 맵(Map)을 기 저장하며, 상기 공간 별로 상기 재실 상태를 나타내는 색상, 텍스트,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매핑하여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DID)를 통하여 출력하며,
    상기 검지부는,
    상기 설정 시간 동안 상기 온도가 상기 임계 범위를 이탈하는 동시에 상기 움직임의 감지 값이 기 설정된 임계 이상으로 복수 회 연속하여 발생하면, 상기 공간 내 청소 또는 수리 중 상태로 판단하는 스마트 재실 감지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검지부는,
    상기 설정 시간에서 상기 임계 범위의 상한 또는 하한을 이탈하는 온도 구간이 발생한 경우 상기 온도가 상기 임계 범위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설정 시간에서 상기 움직임의 감지 값이 기 설정된 임계 미만인 경우 상기 움직임이 미감지된 것으로 처리하는 스마트 재실 감지 시스템.
  3. 삭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공간별 도어에 장착되어 상기 재실, 상기 청소 또는 상기 수리 중 하나의 상태에 대응하는 색상을 점등시키는 안내 램프로 현재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스마트 재실 감지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기 등록된 사용자 단말로 상기 맵을 제공하는 스마트 재실 감지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사용자가 재실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해당 공간에 입실한 시간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입실한 시간 정보를 상기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DID)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스마트 재실 감지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장착되는 상기 안내 램프의 색상과 상기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DID)를 통해 출력되는 해당 공간의 재실 상태를 나타내는 색상은 동일한 색상으로 연동되며,
    사용자가 입실한 시간으로부터 시간이 경과할수록 표시되는 색상의 명도는 시계열적으로 증가하거나 낮아지는 스마트 재실 감지 시스템.
  8. 시설 내 복수의 공간에 각각 설치된 센싱 장치를 이용하는 스마트 재실 감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센싱 장치는 상기 공간 내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1 센서를 통해 상기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움직임이 최초 감지되는 시점에 제2 센서가 상기 공간 내 온도 감지를 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설정 시간 이내에 감지된 온도가 기 설정된 임계 범위를 이탈하고 상기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공간 내 사용자가 재실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해당 공간의 재실 상태 판단 결과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시설 내 복수의 공간에 대한 2D 또는 3D 맵(Map)을 기 저장하며, 상기 공간 별로 상기 재실 상태를 나타내는 색상, 텍스트,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매핑하여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DID)를 통하여 출력하며,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 시간 동안 상기 온도가 상기 임계 범위를 이탈하는 동시에 상기 움직임의 감지 값이 기 설정된 임계 이상으로 복수 회 연속하여 발생하면, 상기 공간 내 청소 또는 수리 중 상태로 판단하는 스마트 재실 감지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 시간에서 상기 임계 범위의 상한 또는 하한을 이탈하는 온도 구간이 발생한 경우 상기 온도가 상기 임계 범위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설정 시간에서 상기 움직임의 감지 값이 기 설정된 임계 미만인 경우 상기 움직임이 미감지된 것으로 처리하는 스마트 재실 감지 방법.
  10. 삭제
  11.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공간별 도어에 장착되어 상기 재실, 상기 청소 또는 상기 수리 중 하나의 상태에 대응하는 색상을 점등시키는 안내 램프로 현재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스마트 재실 감지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기 등록된 사용자 단말로 상기 맵을 제공하는 스마트 재실 감지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재실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해당 공간에 입실한 시간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입실한 시간 정보를 상기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DID)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스마트 재실 감지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장착되는 상기 안내 램프의 색상과 상기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DID)를 통해 출력되는 해당 공간의 재실 상태를 나타내는 색상은 동일한 색상으로 연동되며,
    사용자가 입실한 시간으로부터 시간이 경과할수록 표시되는 색상의 명도는 시계열적으로 증가하거나 낮아지는 스마트 재실 감지 방법.
KR1020160078051A 2016-06-22 2016-06-22 스마트 재실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44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051A KR101744240B1 (ko) 2016-06-22 2016-06-22 스마트 재실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051A KR101744240B1 (ko) 2016-06-22 2016-06-22 스마트 재실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4240B1 true KR101744240B1 (ko) 2017-06-12

Family

ID=59219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8051A KR101744240B1 (ko) 2016-06-22 2016-06-22 스마트 재실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424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1620A (ko) 2018-08-21 2020-03-02 김혜인 위치기반서비스를 활용한 스마트 안심 화장실
KR102078961B1 (ko) 2019-04-11 2020-04-07 이복균 재부재 표시장치
KR20210001350A (ko) 2019-06-27 2021-01-06 주식회사 전북인터넷기술 산업보안시설 관리대상 공간 관리시스템
CN113742402A (zh) * 2020-05-27 2021-12-03 纬创资通股份有限公司 设备检测系统及设备检测方法
KR102353587B1 (ko) * 2020-10-20 2022-01-21 주식회사 열림정보기술 IoT 센서를 이용한 독립 공간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4927076A (zh) * 2022-03-31 2022-08-19 浙江摩根智能技术有限公司 智能家居感应开关面板信息显示控制方法、系统以及设备
CN114927076B (zh) * 2022-03-31 2024-06-04 浙江摩根智能技术有限公司 智能家居感应开关面板信息显示控制方法、系统以及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1121B1 (ko) 2012-09-13 2012-12-11 (주)커누스 다중 센서를 이용한 출입 카운트 장치 및 방법
KR101260789B1 (ko) * 2012-04-16 2013-05-06 (주)커누스 다중 센서를 이용한 대상물 감지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0789B1 (ko) * 2012-04-16 2013-05-06 (주)커누스 다중 센서를 이용한 대상물 감지 장치 및 방법
KR101211121B1 (ko) 2012-09-13 2012-12-11 (주)커누스 다중 센서를 이용한 출입 카운트 장치 및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1620A (ko) 2018-08-21 2020-03-02 김혜인 위치기반서비스를 활용한 스마트 안심 화장실
KR102078961B1 (ko) 2019-04-11 2020-04-07 이복균 재부재 표시장치
KR20210001350A (ko) 2019-06-27 2021-01-06 주식회사 전북인터넷기술 산업보안시설 관리대상 공간 관리시스템
CN113742402A (zh) * 2020-05-27 2021-12-03 纬创资通股份有限公司 设备检测系统及设备检测方法
KR102353587B1 (ko) * 2020-10-20 2022-01-21 주식회사 열림정보기술 IoT 센서를 이용한 독립 공간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4927076A (zh) * 2022-03-31 2022-08-19 浙江摩根智能技术有限公司 智能家居感应开关面板信息显示控制方法、系统以及设备
CN114927076B (zh) * 2022-03-31 2024-06-04 浙江摩根智能技术有限公司 智能家居感应开关面板信息显示控制方法、系统以及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4240B1 (ko) 스마트 재실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1008907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nergy device and system status
US20160350654A1 (en) Intelligent home system and method
EP3237978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energy consuming devices within a building
US20210373919A1 (en) Dynamic user interface
US10847014B1 (en) Recording activity detection
US11676360B2 (en) Assisted creation of video rules via scene analysis
US10964140B2 (en) Monitoring system for monitoring unattended services
US10948965B2 (en) User-configurable person detec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JP2010050664A (ja) 家電機器制御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20230403359A1 (en) Smart electronic chime and mechanical chime dehum board
US10825319B1 (en) Underwater video monitoring for swimming pool
CN107409241A (zh) 用于聚合和分析系统状态的系统和方法
KR20150131913A (ko) Hvac 시스템의 에너지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734932B2 (en) State and event monitoring
CN112888118B (zh) 一种照明灯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10965899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on of a television into a connected-home monitoring system
KR101597664B1 (ko) 절전형 스마트 실내 조명장치
US11915171B2 (en) System and method integrating smart vehicles with a monitoring system
KR20220044174A (ko)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 및 상기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를 포함하는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CN115439989A (zh) 对象检测方法、装置及智能家居系统
US11521384B1 (en) Monitoring system integration with augmented reality devices
KR101307988B1 (ko) 공간 특징과 상태 추론에 의한 에너지 사용 제어 방법 및 시스템
US20230251672A1 (en) Assistive robotic manipulation of building controls
KR102637691B1 (ko) 영상 기반 설비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