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7664B1 - 절전형 스마트 실내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절전형 스마트 실내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7664B1
KR101597664B1 KR1020140008294A KR20140008294A KR101597664B1 KR 101597664 B1 KR101597664 B1 KR 101597664B1 KR 1020140008294 A KR1020140008294 A KR 1020140008294A KR 20140008294 A KR20140008294 A KR 20140008294A KR 101597664 B1 KR101597664 B1 KR 101597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ve
master
sensor
person
det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8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8005A (ko
Inventor
윤영철
Original Assignee
윤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영철 filed Critical 윤영철
Priority to KR1020140008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7664B1/ko
Publication of KR20150088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8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7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7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장치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실내의 조명이 꺼진상태에서 마스터센서에서 사람이 최초로 감지되면, 마스터등을 최대밝기로 온 시키고,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슬레이브등을 최소밝기로 온시키며, 상기 마스터등이 온된 후, 사람이 감지되는 슬레이브등을 최대밝기로 제어하는, 절전형 스마트 실내 조명장치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절전형 스마트 실내 조명장치는, 실내공간의 도어 근처에 장착되어 사람의 출입을 감지하는 마스터센서; 상기 마스터센서와 인접되도록 상기 실내공간에 장착되어 있는 마스터등; 상기 실내공간에 장착되어 있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슬레이브등; 상기 슬레이브등 각각에 인접되도록 상기 실내공간에 장착되어 있는 슬레이브센서; 및 상기 마스터센서에 의해 사람이 감지되면, 상기 마스터등을 최대 밝기로 온시키고, 사람이 감지되지 않은 상기 슬레이브등은 설정된 최소 밝기로 온시키며, 상기 슬레이브센서에 의해 사람이 감지되면, 상기 슬레이브센서와 인접되어 있는 상기 슬레이브등을 최대 밝기로 제어하고, 상기 슬레이브등들 중 사람이 감지되지 않은 나머지 슬레이브등 및 상기 마스터등은 최소밝기로 제어하며, 상기 마스터등이 온된 이후, 상기 마스터센서 및 상기 슬레이브센서로부터 사람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마스터등 및 상기 슬레이브등들을 오프시키는 마스터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절전형 스마트 실내 조명장치{ENERGY-SAVING INNER LIGH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람의 감지에 따라 안정적인 조명을 수행하면서도 전력소모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스마트형 실내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무실 내부, 복도, 계단, 현관, 거실, 침실 등을 구성하는 다양한 공간에는 조명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종래의 조명장치는, 단순히 스위치에 의해 턴온 또는 턴오프되었다.
최근에는, 센서를 이용하여 조명장치를 자동으로 온 또는 오프시킬 수 있는 조명장치 제어 시스템이 이용되고 있다.
하나의 공간이 넓지 않다면, 하나의 센서에 의해 하나의 조명장치가 제어될 수 있다.
그러나, 하나의 공간이 넓다면, 복수의 센서들 및 복수의 조명장치들이 상기 공간에 장착된다. 이 경우, 종래의 조명장치 제어 시스템은, 상기 센서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사람이 감지되면, 상기 조명장치 모두를 최대밝기로 온시키고 있다.
또한, 종래의 조명장치 제어 시스템은, 상기 조명장치 모두가 최대밝기로 온된 상태에서, 상기 센서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사람이 감지되면, 상기 조명장치 모두를 지속적으로 온시키고 있다.
그러나, 넓은 공간에 사람이 많지 않다면, 사람이 있는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에서는, 필요없는 조명장치가 온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것이며, 이 경우, 전력이 낭비되고 있다.
관련된 종래기술로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2-0101240호(실내조명 제어장치), 한국등록특허공보 10-0987963호(가이딩조명시스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내의 조명이 꺼진상태에서 마스터센서에서 사람이 최초로 감지되면, 마스터등을 최대밝기로 온 시키고,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슬레이브등을 최소밝기로 온시키며, 상기 마스터등이 온된 후, 사람이 감지되는 슬레이브등을 최대밝기로 제어하는, 절전형 스마트 실내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절전형 스마트 실내 조명장치는, 실내공간의 도어 근처에 장착되어 사람의 출입을 감지하는 마스터센서; 상기 마스터센서와 인접되도록 상기 실내공간에 장착되어 있는 마스터등; 상기 실내공간에 장착되어 있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슬레이브등; 상기 슬레이브등 각각에 인접되도록 상기 실내공간에 장착되어 있는 슬레이브센서; 및 상기 마스터센서에 의해 사람이 감지되면, 상기 마스터등을 최대 밝기로 온시키고, 사람이 감지되지 않은 상기 슬레이브등은 설정된 최소 밝기로 온시키며, 상기 슬레이브센서에 의해 사람이 감지되면, 상기 슬레이브센서와 인접되어 있는 상기 슬레이브등을 최대 밝기로 제어하고, 상기 슬레이브등들 중 사람이 감지되지 않은 나머지 슬레이브등 및 상기 마스터등은 최소밝기로 제어하며, 상기 마스터등이 온된 이후, 상기 마스터센서 및 상기 슬레이브센서로부터 사람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마스터등 및 상기 슬레이브등들을 오프시키는 마스터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력의 낭비가 방지된 효율적인 조명이 가능해 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오감지에 의해 슬레이브등이 온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절전형 스마트 실내 조명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절전형 스마트 실내 조명장치에 적용되는 마스터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절전형 스마트 실내 조명장치의 동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절전형 스마트 실내 조명장치의 동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또 다른 일실시예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절전형 스마트 실내 조명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절전형 스마트 실내 조명장치에 적용되는 마스터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절전형 스마트 실내 조명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공간의 도어(600) 근처에 장착되어 사람의 출입을 감지하는 마스터센서(300), 상기 마스터센서(300)와 인접되도록 상기 실내공간에 장착되어 있는 마스터등(200), 상기 실내공간에 장착되어 있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슬레이브등(400)들, 상기 슬레이브등(400)들 각각에 인접되도록 상기 실내공간에 장착되어 있는 슬레이브센서(500) 및 상기 마스터센서(300)에 의해 사람이 감지되면, 상기 마스터등(200)을 최대 밝기로 온시키며, 상기 슬레이브등(400)들을 최소 밝기로 온시키는 마스터 제어부(100)를 포함한다.
우선, 상기 마스터센서(300)는, 상기 도어(600) 근처에 장착되어, 사람의 유무를 감지하는 것으로서, 현재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감지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마스터센서(300)는, 상기 마스터등(20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개별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마스터등(200)에 인접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마스터센서(300)는, 감지신호를 상기 마스터 제어부(100)로 전송한다.
다음, 상기 마스터등(200)은, 상기 도어(600) 근처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마스터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온되거나, 오프되거나, 최소 밝기로 제어되거나 또는 최대 밝기로 제어될 수 있다.
즉, 상기 마스터등(200)은, 밝기가 가변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조명장치이다.
상기 마스터등(2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600) 근처에 장착될 수 있으며, 하나의 실내공간에 두 개 이상의 도어(600)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도어(600) 마다 상기 마스터등(200)이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마스터등(200)은, 상기 도어(600) 근처에 장착되어, 상기 실내공간에서 최초로 온되는 조명장치이다.
다음, 상기 슬레이브센서(500)는, 상기 슬레이브등(400)에 인접한 위치에 장착되어, 사람의 유무를 감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마스터센서(300)와 동일한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슬레이브센서(300)는, 상기 슬레이브등(40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개별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마스터센서(300)는, 감지신호를 상기 마스터 제어부(100)로 전송한다.
다음, 상기 슬레이브등(400)은, 상기 실내공간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마스터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온되거나, 오프되거나, 최소 밝기로 제어되거나, 또는 최대 밝기로 제어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마스터 제어부(100)는, 상기 마스터센서(300)에 의해 사람이 감지되면, 상기 마스터등(200)을 온시키며, 상기 슬레이브등(400)들을 최소 밝기로 온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마스터 제어부(100)는, 상기 마스터등(200)을 최대 밝기로 온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터 제어부(100)는, 상기 마스터등(200)을 온 시킨 후, 상기 슬레이브센서(500)에 의해 사람이 감지되면, 상기 슬레이브센서(500)와 인접되어 있는 상기 슬레이브등(400)을 최대 밝기로 제어하며, 상기 마스터등(200) 및 나머지 슬레이브등(400)은 최소밝기로 제어할 수 있다.
즉, 사람이 상기 도어(600)로부터 상기 실내공간의 특정 공간으로 이동하면, 상기 마스터 제어부(100)는, 사람이 이동한 위치에 장착되어 있는 슬레이브등(400)을 최대 밝기로 제어하고, 상기 마스터등(200) 및 나머지 슬레이브등(400)들은 최소 밝기로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마스터 제어부(100)는, 최대 밝기로 제어된 슬레이브등(400)과 인접되어 있는 또 다른 슬레이브등(400) 역시 최대 밝기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슬레이브등(400)의 제어는, 상기 마스터 제어부(100)와 통신을 수행하는 슬레이브 제어부(102)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우선, 상기 슬레이브 제어부(102)가 상기 마스터 제어부(100)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일예로 하여 본 발명이 설명된 후, 상기 슬레이브 제어부(102)가 개별적으로 상기 슬레이브등(400)을 제어하는 방법이 설명된다.
또한, 상기 마스터 제어부(100)는, 상기 마스터등(200)이 온된 이후, 상기 마스터센서(300) 및 상기 슬레이브센서(500)로부터 사람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마스터등(200) 및 상기 슬레이브등(400)들을 오프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마스터센서(300) 및 상기 슬레이브센서(500)로부터 사람이 감지되지 않는 다는 것은, 상기 실내공간에 사람이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상기 마스터 제어부(100)는, 상기 마스터등(200) 및 상기 슬레이브등(400)들을 모두 오프시킨다.
또한, 상기 마스터 제어부(100)는, 상기 마스터센서(300)에 의해 사람이 감지되지 않아 상기 마스터등(200) 및 상기 슬레이브등(400)들이 온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슬레이브센서(500)로부터 사람이 감지되면, 상기 마스터등(200) 및 상기 슬레이브등(400)들을 오프상태로 유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실내공간의 가장 우측에 장착되어 있는 슬레이브센서(500)는, 창문(700)과 인접되게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도어(600)를 통해 사람이 들어오지 않아, 상기 마스터센서(300)에서 사람이 감지되지 않았다면, 상기 실내공간에는 사람이 없다. 그러나, 상기 슬레이브센서(500)의 감지 반경이 큰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창문(700) 밖에 있는 사람이 상기 슬레이브센서(500)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비록, 상기 슬레이브센서(500)에서 사람이 감지되었으나, 상기 실내공간에 사람이 있는 것은 아니므로, 상기 실내공간에 장착되어 있는 상기 마스터등(200) 및 상기 슬레이브등(400)들이 온되어서는 않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도어(600)와 인접되어 있는 상기 마스터센서(300)로부터 사람이 감지된 경우에만, 상기 마스터등(200) 및 상기 슬레이브등(400)들이 온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마스터 제어부(100)는, 상기 마스터센서(300)에 의해 사람이 감지되지 않아 상기 마스터등(200) 및 상기 슬레이브등(400)들이 온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슬레이브센서(500)로부터 사람이 감지되면, 상기 마스터등(200) 및 상기 슬레이브등(400)들을 오프상태로 유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터 제어부(100)는, 상기 슬레이브센서(500)들로부터 사람이 감지되지 않으면, 기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 상기 마스터등 및 상기 슬레이브등들을 오프시킨다. 즉, 슬레이브센서들중 어느 것으로부터도 감지신호가 없고 이 상태가 설정된 시간 동안 지속되면 사람이 그 공간에 진입하지 않았거나 다른 방법 가령, 공간에 진입후 도어를 통하지 않고 창문등 다른 수단을 통해 나갔거나 혹은 도어를 통해 나갔지만 오류로 마스터센서가 감지를 하지 못한 경우 일 수 있음으로 슬레이브센서로부터 감지신호가 일정한 시간동안 없으면 마스터등과 슬레이브등 전체를 오프시켜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마스터 제어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스터센서(300)와, 상기 마스터등(200)과, 상기 슬레이브센서(500)들과, 상기 슬레이브등(400)들과 무선통신 또는 유선통신을 수행하는 통신기(110), 각종 동작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기(130), 각종 동작에 대한 제어정보를 입력받는 입력기(140), 각종 제어정보 또는 동작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기(150) 및 상기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스터 제어부(100)는 상기 마스터등(200)에 내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마스터 제어부(100)는, 상기 통신기(110)를 통해,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마스터센서(300)와, 상기 슬레이브센서(500)들과, 상기 슬레이브등(400)들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마스터 제어부(100)는 상기 통신기(110)를 통해, 유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구성요소들과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절전형 스마트 실내 조명장치의 동작 방법이 설명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절전형 스마트 실내 조명장치의 동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 흐름도로서, 특히, 마스터센서로부터 사람이 감지된 후, 마스터센서와 슬레이브센서로부터 즉시 감지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마스터등과 모든 슬레이브등이 바로 오프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절전형 스마트 실내 조명장치의 동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또 다른 일실시예 흐름도로서, 특히, 마스터센서로부터 사람이 감지되고 일정시간이 경과된 후, 마스터센서와 슬레이브센서로부터 감지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마스터등과 모든 슬레이브등이 오프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사람이 없는 상기 실내공간에, 상기 도어(600)를 통해 사람이 들어오면, 상기 마스터센서(300)에서 사람이 감지된다.
상기 마스터센서(300)는 사람이 감지된 감지신호를 상기 마스터 제어부(100)로 전송한다.
상기 마스터 제어부(100)는 상기 마스터센서(300)로부터 전송된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사람이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마스터등(200)을 온시킨다(S302).
이 경우, 상기 마스터 제어부(100)는, 상기 마스터등(200)을 최대 밝기로 제어할 수 있다.
다음, 상기 마스터 제어부(100)는, 상기 슬레이브등(400)들도 온시킨다(S304).
이 경우, 상기 마스터 제어부(100)는, 상기 슬레이브등(400)들을 최소 밝기로 제어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실내공간으로 들어온 사용자는, 상기 실내공간을 이동할 수 있다.
사람이 상기 실내공간을 이동함에 따라, 상기 슬레이브센서(500)에서 사람이 감지될 수 있다.
상기 마스터 제어부(100)는 사람이 감지된 상기 슬레이브센서(500)에 인접되어 있는 슬레이브등(400)을 최대 밝기로 제어한다(S306).
이 경우, 상기 마스터 제어부(100)는, 최대 밝기로 제어되는 슬래드등을 제외한 나머지 등들을 최소 밝기로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마스터 제어부(100)는, 최대 밝기로 제어되는 슬레이브등과 인접되어 있는 등들 역시 최대 밝기로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마스터 제어부(100)는, 상기 슬레이브등(400)을 최대 밝기로 제어하고, 기설정된 기간이 지난 후, 최대 밝기로 제어된 상기 슬레이브등에 인접되어 있는 슬레이브센서(500)로부터 사람이 감지되지 않으면, 최대 밝기로 제어된 상기 슬레이브등의 밝기를 순차적으로 낮추어 최소 밝기로 유지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마스터 제어부(100)는 상기 슬레이브등의 밝기를 순차적으로 낮출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터 제어부(100)는 상기 마스터등(200)의 밝기도 순차적으로 낮출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터 제어부는, 상기 슬레이브등을 최대 밝기로 제어할 때, 상기 슬레이브등의 밝기가 순차적으로 상기 최대 밝기가 되도록 상기 슬레이브등을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슬레브등의 밝기가 최소 밝기에서 최대 밝기로 되는 경우, 상기 슬레브등의 밝기는 기설정된 기간 안에(예를 들어, 2초~5초 사이)에 순차적으로 밝아져, 최종적으로 상기 최대 밝기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되는 이유는, 최소 밝기로 제어되고 있는 상기 슬레이브등이, 갑자기 최대 밝기로 제어되는 것보다는, 일정 기간 안에 순차적으로 밝아지는 것이, 사람의 눈을 피로하게 만들지 않기 때문이다.
다음, 마스터등에 장착되어 있는 마스터센서로부터 사람이 감지된 후, 상기 마스터센서(300) 및 상기 슬레이브센서(500)들로부터 사람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마스터 제어부(100)는, 상기 마스터등(200) 및 상기 슬레이브등(400)들을 모두 오프시킨다(S308). 즉, 상기 마스터센서(300)로부터 사람이 감지된 후, 상기 마스터센서와 상기 슬레이브센서들로부터 즉시 감지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스터등과 모든 슬레이브등이 바로 오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스터센서(300)로부터 사람이 감지되고 일정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마스터센서와 상기 슬레이브센서로부터 감지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마스터등과 모든 슬레이브등이 오프될 수도 있다(S408).
따라서, 사람이 없는 실내공간에 조명장치가 온상태로 유지되어, 전력이 낭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마스터 제어부(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스터센서(300)를 통해 사람이 감지된 이후, 상기 슬레이브센서 및 상기 마스터센서로부터 즉시 감지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마스터등과 상기 슬레이브등을 모두 오프시킬 수도 있으나(S308),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마스터센서(300) 및 상기 슬레이브센서(500)로부터 감지신호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판단결과, 사람이 감지되는 감지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마스터등(200) 및 상기 슬레이브등(400)들을 모두 오프시킬 수 있다(S408).
즉, 사람이 상기 실내공간을 나갈 때는, 반드시 상기 마스터등(200)을 지나게 되므로, 상기 마스터등(200)에 인접되어 있는 상기 마스터센서(300)에서 사람이 감지된다. 따라서, 상기 마스터센서(300)로부터 사람이 감지된 후, 즉시 또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 모든 센서에서 사람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실내공간에 사람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마스터 제어부(100)는 상기 마스터등(200) 및 상기 슬레이브등(400)들을 모두 오프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이 적용되어야, 진동이나 다른 요인에 의해 상기 마스터등 및 상기 슬레이브등들이 오작동되어 오프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마스터 제어부(100)는,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마스터센서(300)에 의해 사람이 감지되지 않아 상기 마스터등(200) 및 상기 슬레이브등(400)들이 온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슬레이브센서(500)로부터 사람이 감지되면, 상기 마스터등(200) 및 상기 슬레이브등(400)들을 오프상태로 유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설명에서는, 하나의 공간에 도어(600)가 하나만 있는 경우를 일예로 하여 본 발명이 설명되었으나, 상기 하나의 공간에는 도어(600)가 두 개 이상 장착되어 있을 수 있다.
첫 번째 예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마스터등(200)이 있는 경우, 일단 어느 하나의 마스터등(200)이 온되면, 나머지 마스터등(200)은 상기 슬레이브등(400)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두 개의 마스터등(200) 및 상기 공간에 장착되어 있는 모든 슬레이브등(400)들은, 하나의 마스터 제어부(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일단 어느 하나의 마스터센서(300)에 의해 사람이 감지되어, 상기 마스터센서와 인접되어 있는 마스터등(200)이 온되면, 나머지 마스터등 및 모든 슬레이브등들이 최소 밝기로 온될 수 있다. 이후의 동작은, 상기에서, 하나의 마스터등을 일예로하여 설명된 동작 방법이 그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실내공간에 도어가 두 개 있어서, 상기 마스터등이 2개인 경우, 하나의 마스터등에서 사람이 감지되면, 나머지 마스터등과 모든 슬레이브등이 최소밝기가 된다. 이 경우, 나머지 마스터등도 상기에서 설명된 슬레브등(400)들과 같이 취급된다.
두 번째 예로서, 두 개의 마스터등(200)은,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도 있다. 즉, 각각의 마스터등(200)은 각각의 마스터 제어부(100)를 통해 상기에서 설명되는 방법을 이용하여 제어될 수 있으며, 각각의 마스터 제어부(100)는, 각각의 마스터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슬레이브등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하나의 실내공간에 사람이 들어왔다고 하더라도, 사람이 입장한 도어(600) 근처에 장착되어 있는 마스터등과 연결되어 있는 슬레이브등들만이, 상기에서 설명된 동작 방법을 통해 구동될 수 있다.
따라서, 사람이 입장하지 않은 도어 근처에 장착되어 있는 마스터등 및 상기 마스터등과 연결되어 있는 슬레이브등들은 온되지 않는다.
세 번째 예로서, 각각의 마스터 제어부는 두 번째 예와 같이 개별적으로 동작하고 있으나, 서로 통신을 수행하여, 각각의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마스터등(200)이 있는 경우, 제1마스터등이 턴온되면, 상기 제1마스터등을 제어하는 제1마스터 제어부는, 제2마스터등을 제어하는 제2마스터 제어부로 온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온정보를 수신한 상기 제2마스터 제어부는, 상기 제2마스터등 및 상기 제2마스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제2슬레이브등들을 최소밝기로 온시킬 수도 있으며, 온시키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제2마스터 제어부는, 상기 제2마스터등 및 상기 제2슬레이브등에 장착되어 있는 센서들로부터 사람이 감지되면, 상기 제2마스터등 및 상기 제2슬레이브등을 최소 밝기로 온시킬 수 있으며, 특히, 사람이 감지된 제2슬레이브등 또는 제1마스터등을 최대 밝기로 온시킬 수도 있다.
즉, 하나의 마스터등만 장착되어 있는 경우나, 상기 제1실시예 또는 상기 제2실시예에서는, 마스터등이 온되지 않은 상태에서, 슬레이브센서에서 사람이 감지되더라도, 해당 슬레이브등이 온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상기 제3실시예에서는, 이미, 제1마스터 제어부로부터 상기 실내공간에 사람이 있다는 온정보가 수신되었기 때문에, 상기 제2마스터 제어부는, 어느 하나의 제2슬레이브센서로부터 사람이 감지되면, 해당 제2슬레이브등 및 나머지 등들을 온시킬 수 있으며, 특히, 사람이 감지된 제2슬레이브등을 최대 밝기로 온 시킬 수 있다.
상기 제2마스터 제어부는, 상기 제1마스터 제어부로부터 모든 등이 오프되었다는 정보가 전송되고, 상기 제2마스터등 및 상기 제2슬레이브등에 장착되어 있는 센서들로부터 사람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2마스터등 및 상기 제2슬레이브등들을 오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하나의 상기 마스터 제어부(100)가 상기 마스터등(200) 및 상기 슬레이브등(400)들을 모두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상기 슬레이브등(400)의 제어는, 상기 마스터 제어부(100)와 통신을 수행하는 슬레이브 제어부(102)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마스터 제어부(100)는, 상기 마스터센서(300)에 의해 사람이 감지되면, 상기 마스터등(200)을 최대 밝기로 온시키고, 사람이 감지되지 않은 상기 슬레이브등(400)들은 설정된 최소 밝기로 온시킨다. 상기 마스터 제어부(100)는, 상기 마스터등(200)이 온된 이후, 상기 마스터센서(300) 및 상기 슬레이브센서(500)로부터 사람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마스터등(200) 및 상기 슬레이브등(400)들을 모두 오프시킨다.
상기 슬레이브 제어부(102)는, 하나의 상기 슬레이브등(400) 및 상기 슬레이브등과 인접되어 있는 하나의 상기 슬레이브센서(500)와 통신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슬레이 제어부(102)의 갯수는 상기 스레이브등(400)의 갯수와 동일하다. 상기 슬레이브 제어부(102)는 상기 슬레이브등(400) 및 상기 슬레이브센서(500)와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레이브 제어부(102)는 상기 마스터 제어부(100)와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슬레이브 제어부(102)는, 상기 슬레이브센서에 의해 사람이 감지되면, 상기 슬레이브센서와 인접되어 있는 상기 슬레이브등을 최대 밝기로 제어하며, 상기 슬레이브센서로부터 수신된 감지신호를 상기 마스터 제어부(100)로 전송한다.
즉, 상기 슬레이브등(400)은, 상기 슬레이브 제어부(102)에 의해 최대 밝기로 온될 수 있다.
상기 마스터 제어부(100)는 상기 슬레이브 제어부(102)로부터 전송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슬레이브 제어부(102)에 의해 제어되는 슬레이브등(400)이 온 또는 오프되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마스터 제어부(100)는, 사람이 감지되고 있는 슬레이브등을 제어하는 상기 슬레이브 제어부로, 상기 슬레이브등을 지속적으로 최대 밝기로 온시키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상기 실내 공간에 1명이 존재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마스터센서(100)가 사람을 감지하면, 상기 마스터 제어부(100)는 상기 마스터등(200)을 최대 밝기로 온시키고 나머지 슬레이브등(400)들을 최소 밝기로 온시킨다. 그러나, 상기 슬레이브 제어부(102)와의 통신을 통해, 이미 사람이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슬레이브등(400)은 최소 밝기로 온시키지 않고, 현재의 최대 밝기가 지속되도록 한다.
이러한 기능은 상기 마스터 제어부(100)가 모든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상기 마스터 제어부(100)는 상기 슬레이브센서(500)로부터 수신된 감지신호들을 이용하여, 이미 사람이 있다고 판단되는 슬레이브등(400)은 지속적으로 최대 밝기로 온시킬 수 있다.
상기 슬레이브 제어부(102)의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상기 마스터 제어부(100)의 구성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슬레이브 제어부(102)는, 상기 마스터 제어부(100)와 상기 슬레이브센서(500)와 상기 슬레이브등(400)과 무선통신 또는 유선통신을 수행하는 통신기, 각종 동작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기, 각종 동작에 대한 제어정보를 입력받는 입력기, 각종 제어정보 또는 동작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기 및 상기 슬레이브센서(500) 또는 상기 마스터 제어부(1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슬레이브등을 최대 밝기 또는 최소 밝기로 턴온시키거나 또는 턴오프시키기 위한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마스터 제어부 200 : 마스터등
300 : 마스터센서 400 : 슬레이브등
500 : 슬레이브센서 600 : 도어
700 : 창문

Claims (9)

  1. 실내공간의 도어 근처에 장착되어 사람의 출입을 감지하는 마스터센서;
    상기 마스터센서와 인접되도록 상기 실내공간에 장착되어 있는 마스터등;
    상기 실내공간에 장착되어 있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슬레이브등;
    상기 슬레이브등 각각에 인접되도록 상기 실내공간에 장착되어 있는 슬레이브센서; 및
    상기 마스터센서에 의해 사람이 감지되면, 상기 마스터등을 최대 밝기로 온시키고, 사람이 감지되지 않은 상기 슬레이브등은 설정된 최소 밝기로 온시키며, 상기 슬레이브센서에 의해 사람이 감지되면, 상기 슬레이브센서와 인접되어 있는 상기 슬레이브등을 최대 밝기로 제어하고, 상기 슬레이브등들 중 사람이 감지되지 않은 나머지 슬레이브등 및 상기 마스터등은 최소밝기로 제어하며,
    상기 마스터등이 온된 이후 상기 마스터센서 및 상기 슬레이브센서로부터 사람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마스터등 및 상기 슬레이브등들을 오프시키고, 상기 마스터센서에 의해 사람이 감지되지 않아 상기 마스터등 및 상기 슬레이브등들이 온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슬레이브센서로부터 사람이 감지되면, 상기 마스터등 및 상기 슬레이브등들을 오프상태로 유지시키며, 상기 슬레이브센서로부터 사람이 감지되지 않으면, 기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 상기 마스터등 및 상기 슬레이브등들을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제어부를 포함하는 절전형 스마트 실내 조명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공간의 또 다른 도어 근처에 장착되어 사람의 출입을 감지하는 또 다른 마스터센서;
    상기 또 다른 마스터센서와 인접되도록 상기 실내공간에 장착되어 있는 또 다른 마스터등; 및
    상기 실내공간에 장착되어 있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또 다른 슬레이브등; 및
    상기 또 다른 슬레이브등 각각에 인접되도록 상기 실내공간에 장착되어 있는 또 다른 슬레이브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마스터 제어부는, 상기 두 개의 마스터센서들 중 어느 하나의 마스터센서로부터 사람이 감지되면, 사람이 감지된 마스터센서가 장착되어 있는 마스터등을 최대 밝기로 온시키고, 사람이 감지되지 않은 나머지 마스터등 및 모든 상기 슬레이브등들을 설정된 최소 밝기로 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스마트 실내 조명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제어부는,
    상기 슬레이브등을 최대 밝기로 제어하고, 최대 밝기로 제어된 상기 슬레이브등에 인접되어 있는 슬레이브센서로부터 사람이 감지되지 않으면, 최대 밝기로 제어된 상기 슬레이브등의 밝기를 순차적으로 낮추어 최소 밝기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스마트 실내 조명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제어부는,
    상기 슬레이브등을 최대 밝기로 제어할 때, 상기 슬레이브등의 밝기가 순차적으로 상기 최대 밝기가 되도록 상기 슬레이브등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스마트 실내 조명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제어부는,
    상기 마스터등이 온된 이후, 상기 마스터센서 및 상기 슬레이브센서로부터 사람이 감지되지 않으면, 기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 상기 마스터등 및 상기 슬레이브등들을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스마트 실내 조명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슬레이브등 각각은 슬레이브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슬레이브 제어부는, 상기 슬레이브등과 인접되어 있는 하나의 상기 슬레이브센서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슬레이브센서에 의해 사람이 감지되면, 상기 슬레이브등을 최대 밝기로 제어하며, 상기 슬레이브센서로부터 수신된 감지신호를 상기 마스터제어부로 전송하는 절전형 스마트 실내 조명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제어부는, 최대 밝기로 제어된 상기 슬레이브등에 인접되어 있는 슬레이브센서로부터 사람이 감지되지 않으면, 최대 밝기로 제어된 상기 슬레이브등의 밝기를 순차적으로 낮추어 최소 밝기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스마트 실내 조명장치.




  9. 삭제
KR1020140008294A 2014-01-23 2014-01-23 절전형 스마트 실내 조명장치 KR101597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8294A KR101597664B1 (ko) 2014-01-23 2014-01-23 절전형 스마트 실내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8294A KR101597664B1 (ko) 2014-01-23 2014-01-23 절전형 스마트 실내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8005A KR20150088005A (ko) 2015-07-31
KR101597664B1 true KR101597664B1 (ko) 2016-02-25

Family

ID=53877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8294A KR101597664B1 (ko) 2014-01-23 2014-01-23 절전형 스마트 실내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76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4596B1 (ko) 2019-04-01 2019-05-02 김용근 건물의 절전제어시스템
KR101974592B1 (ko) 2018-11-14 2019-05-02 김용근 냉난방 제어 및 조명 제어를 통한 건물의 절전제어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7184B1 (ko) * 2017-03-22 2018-08-10 주식회사 제이피케이코리아 조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1468A (ja) 2001-01-31 2002-08-1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照明システム
KR100987963B1 (ko) 2009-04-07 2010-10-18 주식회사 바이오엘이디 가이딩 조명 시스템
KR101200247B1 (ko) 2012-03-08 2012-11-09 윤영철 복합센서를 구비한 조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명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1468A (ja) 2001-01-31 2002-08-1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照明システム
KR100987963B1 (ko) 2009-04-07 2010-10-18 주식회사 바이오엘이디 가이딩 조명 시스템
KR101200247B1 (ko) 2012-03-08 2012-11-09 윤영철 복합센서를 구비한 조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명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4592B1 (ko) 2018-11-14 2019-05-02 김용근 냉난방 제어 및 조명 제어를 통한 건물의 절전제어시스템
KR101974596B1 (ko) 2019-04-01 2019-05-02 김용근 건물의 절전제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8005A (ko) 2015-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40149A1 (en) Load control system responsive to location of an occupant and mobile devices
US11960264B2 (en) Load control system responsive to sensors and mobile devices
US11726516B2 (en) Load control system responsive to the location of an occupant and/or mobile device
US7880394B2 (en) Lighting system to facilitate remote modification of a light fixture modifiable operating parameter
JP2011523494A (ja) 局所的な照明装置の制御を含む、エリア・ベースの照明制御システム
KR101597664B1 (ko) 절전형 스마트 실내 조명장치
KR101864025B1 (ko) 지능형 인체감지를 통한 전기콘센트의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
JP5416004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無線受信器
KR101510409B1 (ko) 무선통신기능을 가진 인체감지센서와 플러그를 이용한 절전형 전력제어 시스템
KR101765033B1 (ko) Rf감지신호의 수신감도에 의해 점등되는 주차장등
KR20050102617A (ko) 무선 분산 제어 기능의 인체 감지 센서등
KR20130033852A (ko) 조명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12043626A (ja) 照明システム
JP2022538043A (ja) リモコン通信を用いた節電制御システム
JP6600950B2 (ja) 照明システム
KR101208901B1 (ko) 전력선통신을 이용한 조명 제어시스템
KR20110130303A (ko) 양방향 무선통신을 이용한 조명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