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7856B1 - 오토바이용 가변형 짐받이 - Google Patents

오토바이용 가변형 짐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7856B1
KR101487856B1 KR20140106755A KR20140106755A KR101487856B1 KR 101487856 B1 KR101487856 B1 KR 101487856B1 KR 20140106755 A KR20140106755 A KR 20140106755A KR 20140106755 A KR20140106755 A KR 20140106755A KR 101487856 B1 KR101487856 B1 KR 101487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guide rail
flow prevention
horizontal fram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06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우향
Original Assignee
최우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우향 filed Critical 최우향
Priority to KR20140106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78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7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7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7/00Luggage carriers
    • B62J7/02Luggage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thereof on cycles
    • B62J7/04Luggage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thereof on cycles arranged above or behind the rear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7/00Luggage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을 위한 조작의 용이성과, 이동 프레임의 원활한 이동성 및 견고한 고정성을 동시에 가진 오토바이용 가변형 짐받이에 대한 것으로서, 이인승 시트가 설치된 오토바이의 뒷좌석 상단에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과, 상기 고정 프레임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이동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 프레임은 전방 고정 브라켓, 후방 고정 브라켓, 가이드 레일 및 가이드 레일 사이의 고정 프레임 보강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프레임은 짐받이 프레임이 형성된 수평 프레임, 상기 수평 프레임과 절첩 가능하게 결합된 수직 프레임을 포함하는 오토바이용 가변형 짐받이에 있어서, 고정 프레임의 일측 가이드 레일 하단에는 가변 레버가 구성되되, 가변레버는 가이드 레일의 하측으로 원통 고정구가 형성되고, 상기 원통 고정구 내부에는 고정대가 탄성체에 의해 탄성 설치되며, 상기 고정대의 상단은 수평 프레임의 고정공에 출입 가능토록 구성되고, 상기 고정대의 하단에는 손잡이가 형성되며, 일측 수평 프레임 내측 테두리에는 받침대가 구성된 제 1 종방향 유동 방지장치가 구성되되, 상기 받침대는 이동 프레임이 전방 이동을 완료하여 화물을 적재했을 때 받침대의 하단부가 고정 프레임 보강대의 저면과 접촉되며, 양측 가이드 레일 내측으로는 제 2종방향 유동 방지장치가 구성되되, 상기 제2 종방향 유동 방지장치는 양측 가이드 레일 내측으로 접속홈이 형성된 '⊂'형 스토퍼를 고정하여, 이동 프레임이 전방 이동을 완료하여 화물을 적재했을 때 수평 프레임 내측의 가로 걸림대 양측단이 스토퍼의 접속홈에 접속되도록 구성되고, 일측 가이드 레일 내부 상면과 일측 수평 프레임 외측 테두리 사이에는 이동 프레임이 전방 이동을 완료하고 화물을 적재했을 때 가이드 레일과 수평 프레임의 유격을 메우는 상하 유동방지 돌기가 형성된 제 3종방향 유동 방지장치가 구성되며, 일측 가이드 레일 내부 측면과 일측 수평 프레임 외측 테두리 사이에는 이동 프레임이 전방 이동을 완료하여 화물을 적재했을 때 가이드 레일과 수평 프레임의 유격을 메우는 좌우 유동방지 돌기가 형성된 횡방향 유동 방지장치가 구성되되, 상기 좌우 유동방지 돌기와 상하 유동방지 돌기는 일측 가이드 레일을 외측 방향에서 내측방향으로 펀칭하여 형성하거나, 고무로 형성하거나, 반원형 또는 다각형태인 볼트의 머리부로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볼트의 머리부로 하는 경우에는 가이드 레일 외부에 형성된 너트형 돌기 고정구로 좌우 유동방지 돌기와 상하 유동방지 돌기가 나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오토바이용 가변형 짐받이{Variable carrier for motorcycle}
본 발명은 오토바이용 짐받이에 관한 것으로서, 가변을 위한 조작의 용이성과 이동 프레임의 원활한 이동성 및 견고한 고정성을 동시에 가진 오토바이용 가변형 짐받이에 대한 것이다.
최근에는 화물배달 용도로 사용되는 오토바이로 기어변속이 필요없는 무단변속형 스쿠터가 대다수를 차지하게 되면서 스쿠터에 사용되는 오토바이용 짐받이로 가변형 짐받이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가변형 짐받이는 이동 프레임이 고정 프레임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화물적재시에는 이동 프레임이 뒷좌석 시트 상부에 위치되어 안정적인 무게중심으로 화물을 적재하고, 연료급유 또는 이인 승차시에는 이동 프레임이 오토바이의 후미쪽으로 이동되어 이인 승차 공간을 확보하거나 급유구가 있는 공간을 개폐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는 방식이다.
종래 가변형 짐받이는 나사체결 방식으로 이동 프레임을 고정 프레임에 고정시키고 있다.
상기한 나사체결 방식은 고정 프레임의 가이드 레일 내부에서 이동하는 이동프레임을 고정시키기 위해 가이드 레일을 관통하는 나사를 형성하고, 상기 나사를 체결하여 나사의 단부가 이동 프레임의 일측을 가압하여 가이드 레일 내부에서 이동 프레임을 고정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상기 나사체결 방식은 이동 프레임의 이동할 때마다 사용자가 나사를 체결하고 해제해야하는 불편함이 있고, 이동 프레임의 견고한 고정이 필요할 때에는 강력한 체결을 위해 별도의 공구를 사용해야 하는 큰 불편함이 있어 가변을 위한 조작의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 가변형 짐받이는 사용시 오토바이에 의한 진동 및 외부로 노출된 사용 환경에 의해 주행 중 나사체결이 풀리며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상황에서 이동 프레임이 이동하는 경우가 빈번하여 견고하지 못한 이동 프레임의 고정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다른 문제점을 살펴보면, 종래 가변형 짐받이는 가이드 레일과 이동 프레임의 결합시 결합 유격이 큰 폭으로 설계되어 이동 프레임이 고정 프레임의 가이드 레일에서 전/후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하고, 사용 중 가이드 레일에 약간의 변형이 발생하거나 부식이 발생하여도 이동 프레임이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설계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큰 폭의 결합 유격으로 인하여 가변형 짐받이에 화물이 적재되어 오토바이가 주행할 때에는 이동 프레임과 고정 프레임이 서로 부딪치며 진동과 소음이 크게 발생되고, 이러한 진동과 소음으로 인해 가변형 짐받이의 내구성이 저하되며, 지속적인 진동으로 인해 오토바이 운전자의 주행 피로도가 증가하게 되고, 사고의 위험성 또한 증가되어 가변형 짐받이의 견고한 구조를 원하는 사용자의 요구가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68704 등록실용신안 제20-44204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동 프레임의 이동을 위한 가변 조작이 편리한 오토바이용 가변형 짐받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프레임의 원활한 이동을 위한 가이드 레일과의 결합유격을 유지하면서 이동 프레임이 가이드 레일에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 유격 없이 견고하게 고정되는 견고한 구조의 오토바이용 가변형 짐받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토바이용 가변형 짐받이는, 이인승 시트가 설치된 오토바이의 뒷좌석 상단에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과, 상기 고정 프레임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이동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 프레임은 전방 고정 브라켓, 후방 고정 브라켓, 가이드 레일 및 가이드 레일 사이의 고정 프레임 보강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프레임은 짐받이 프레임이 형성된 수평 프레임, 상기 수평 프레임과 절첩 가능하게 결합된 수직 프레임을 포함하는 오토바이용 가변형 짐받이에 있어서, 고정 프레임의 일측 가이드 레일 하단에는 가변 레버가 구성되되, 가변레버는 가이드 레일의 하측으로 원통 고정구가 형성되고, 상기 원통 고정구 내부에는 고정대가 탄성체에 의해 탄성 설치되며, 상기 고정대의 상단은 수평 프레임의 고정공에 출입 가능토록 구성되고, 상기 고정대의 하단에는 손잡이가 형성되며, 일측 수평 프레임 내측 테두리에는 받침대가 구성된 제 1 종방향 유동 방지장치가 구성되되, 상기 받침대는 이동 프레임이 전방 이동을 완료하여 화물을 적재했을 때 받침대의 하단부가 고정 프레임 보강대의 저면과 접촉되며, 양측 가이드 레일 내측으로는 제 2종방향 유동 방지장치가 구성되되, 상기 제2 종방향 유동 방지장치는 양측 가이드 레일 내측으로 접속홈이 형성된 '⊂'형 스토퍼를 고정하여, 이동 프레임이 전방 이동을 완료하여 화물을 적재했을 때 수평 프레임 내측의 가로 걸림대 양측단이 스토퍼의 접속홈에 접속되도록 구성되고, 일측 가이드 레일 내부 상면과 일측 수평 프레임 외측 테두리 사이에는 이동 프레임이 전방 이동을 완료하고 화물을 적재했을 때 가이드 레일과 수평 프레임의 유격을 메우는 상하 유동방지 돌기가 형성된 제 3종방향 유동 방지장치가 구성되며, 일측 가이드 레일 내부 측면과 일측 수평 프레임 외측 테두리 사이에는 이동 프레임이 전방 이동을 완료하여 화물을 적재했을 때 가이드 레일(13)과 수평 프레임의 유격을 메우는 좌우 유동방지 돌기가 형성된 횡방향 유동 방지장치가 구성되되, 상기 좌우 유동방지 돌기와 상하 유동방지 돌기는 일측 가이드 레일을 외측 방향에서 내측방향으로 펀칭하여 형성하거나, 고무로 형성하거나, 반원형 또는 다각형태인 볼트의 머리부로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볼트의 머리부로 하는 경우에는 가이드 레일 외부에 형성된 너트형 돌기 고정구로 좌우 유동방지 돌기와 상하 유동방지 돌기가 나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고정 프레임의 일측 가이드 레일에 고정대가 탄설되고, 상기 고정대의 상단은 수평 프레임의 고정공에 출입 가능토록 형성된 가변 레버를 하부로 당기는 한 번의 조작으로 이동 프레임의 이동이 가능하여 오토바이용 가변형 짐받이의 가변 조작이 매우 용이한 효과가 있으며, 고정대의 상단이 수평 프레임의 고정공에 출입 가능토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상황에서 이동 프레임이 이동하는 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일측 가이드 레일 측면 내부와 일측 수평 프레임 측면 사이에 유동방지 돌기가 형성된 횡 방향 유동 방지장치로 인해 이동 프레임이 화물을 적재하기 위해 전방으로 이동을 완료했을 때 유동방지 돌기가 가이드 레일과 수평 프레임의 유격을 메워 이동 프레임이 가이드 레일 내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동 프레임의 단부가 후방으로 이동을 시작하여 유동방지 돌기와의 접촉이 해제되면 이동 프레임과 가이드 레일 사이의 유격에 의해 이동 프레임의 이동이 원활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일측 수평 프레임 내측 테두리에 이동 프레임의 전방 이동 완료시 하단부가 고정 프레임 보강대의 저면에 접촉하도록 형성된 받침대를 포함하는 제 1 종방향 유동 방지장치에 의해 상기 받침대의 하단부가 고정 프레임 보강대의 저면을 받쳐 이동 프레임이 상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양측 가이드 레일 내측으로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제 2 종방향 유동방지 장치를 구성하되, 상기 스토퍼는 접속홈이 형성되어 이동 프레임의 전방 이동 완료시 수평 프레임 내측의 가로 걸림대 양측단이 스토퍼의 접속홈에 삽입되도록 하고, 일측 가이드 레일 내부 상면과 일측 수평 프레임 테두리 사이에 유동방지 돌기가 형성된 제 3종방향 유동 방지장치를 구비하여, 이동 프레임의 전방 이동 완료시 상/하 방향 유동을 3중으로 방지하여 화물 적재시 짐받이의 구조가 견고하고 진동과 소음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는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이동 프레임을 후방으로 이동시킨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를 나타낸 부분 단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측면도
도 7은 도 6의 B-B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종방향 유동 방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9, 도 10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데, 공지된 구성 및 그와 관련된 작용은 생략하였고,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으며, 이하 설명에서 전/후 방향표기는 오토바이의 전진 방향 및 후진 방향에 따른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오토바이용 가변형 짐받이는, 이인승 시트가 설치된 오토바이의 뒷좌석 상단에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10)과, 상기 고정 프레임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이동 프레임(2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 프레임은 전방 고정 브라켓(11), 후방 고정 브라켓(12), 가이드 레일(13) 및 가이드 레일(13) 사이의 고정 프레임 보강대(14)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프레임(20)은 짐받이 프레임(21)이 형성된 수평 프레임(22), 상기 수평 프레임과 절첩 가능하게 결합된 수직 프레임(23)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오토바이용 가변형 짐받이에 이동 프레임(20)의 가변을 용이하게 하는 가변 레버(30), 이동 프레임(20)의 횡 방향 유동을 방지하는 횡 방향 유동 방지장치(40), 이동 프레임의 종방향 유동을 방지하는 제 1종방향 유동 방지장치(50), 제 2종방향 유동 방지장치(60), 제 3종방향 유동 방지장치(70)를 더욱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 레버(30)는 고정 프레임(10)의 일측 가이드 레일(13)에 고정대(32)가 탄설되고, 상기 고정대(32)의 상단부는 수평 프레임(22)의 고정공(33)에 출입 가능토록 구성된다.
상기 가변 레버(30)는 고정 프레임(10)의 일측 가이드 레일(13)에 원통 고정구(31)가 구성되고, 상기 원통 고정구(31) 내부에는 탄성체가 원통 고정구(31)의 하부와 고정대(32)의 플랜지 사이에 형성되며, 고정대(32)의 상단은 수평 프레임(22)의 고정공(33)에 출입 가능토록 구성되고, 고정대(32)의 하단에는 손잡이가 구성된다.
상기 고정대(32)의 상단은 수평 프레임(22)의 두개의 고정공(33) 중 일 측 고정공(33)에 삽입되어 이동 프레임(20)을 고정시키고 있다가, 사용자가 고정대(32) 하단의 손잡이를 잡고 하부로 당기면 고정대(32)의 상단이 일측 고정공(33)에서 빠지면서 이동 프레임(20)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 후, 이동 프레임(20)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을 완료하면 고정대(32)의 상단은 탄성체에 의해 다시 타측 고정공(33)에 삽입되어 이동 프레임(20)이 고정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인해 사용자는 가변 레버(30)의 손잡이를 하단으로 당기는 간단한 조작으로 이동 프레임(20)의 이동이 가능하여 가변 조작이 매우 용이하고, 고정대(32)의 상단이 수평 프레임(22)의 고정공(33)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이동 프레임(20)이 고정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상황에서 이동 프레임이 이동하는 사고 또한 방지되는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 유동 방지장치(40)는 일측 가이드 레일(13) 내부 측면과 일측 수평 프레임(22) 테두리 사이의 좌우 유동방지 돌기(41)로 구성된다.
상기 좌우 유동방지 돌기(41)는 가이드 레일(13) 외부에 형성되는 너트형 돌기고정구(42)로 나사체결되고, 그 형태는 반원형 또는 다각형태인 통상적인 볼트의 머리부로 할 수 있다. 또는 일 측 가이드 레일(13)을 펀칭하여 형성할 수 있다(이때 돌기고정구는 필요하지 않다). 또 상기 좌우 유동방지 돌기(41)를 고무로 하면 충격과 진동 등을 완충할 수 있음은 물론 금속과 금속의 부딪힘으로 인한 소음 등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작용이 있다.
상기 좌우 유동방지 돌기(41)는 이동 프레임(20)이 화물을 적재하기 위해 전방으로 이동을 완료했을 때, 가이드 레일(13)과 수평 프레임(22)의 유격을 메워 이동 프레임(20)이 가이드 레일(13) 내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유격 방지 작용으로 인해 화물 적재시 가변형 짐받이의 구조는 견고해진다. 반면 가변 레버(30)가 작동되어 이동 프레임(20)이 후방으로 이동을 시작하게 되면 이동 프레임(20)의 단부가 횡방향 유동 방지장치(40)를 벗어나면서 이동 프레임(20)과 가이드 레일(13) 사이의 유격에 의해 이동 프레임(20)의 후방 이동이 원활해진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종방향 유동 방지장치(50)는 일측 수평 프레임(22) 내측 테두리에 구비된 받침대(51)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대는 이동 프레임(20)의 전방 이동 완료시 하단부가 고정 프레임 보강대(14)의 저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 1종방향 유동 방지장치(50)는 도 수평 프레임(22)의 내측 테두리에 받침대 고정구(52)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 고정구(52)의 하부에는 받침대(51)가 결합되어 구성되거나, 상기 받침대(51)를 수평 프레임(22)의 내측에 용접에 의해 고정하는 등 여러 가지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받침대(51)는 이동 프레임(20)이 화물 적재를 위해 전방으로 이동을 완료 했을 때 받침대(51)의 하단부가 고정 프레임 보강대(14)의 저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받침대(51)의 하단부가 고정 프레임 보강대(14)의 저면을 받치며 이동 프레임(20)이 상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 1종방향 유동 방지장치(50)는 이동 프레임(20)이 전방으로 이동을 완료하고 화물을 적재했을 때 이동 프레임(20)이 상부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동 프레임과 가이드 레일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고, 이동 프레임이 후방으로 이동할 때에는 고정 프레임 보강대(14)의 저면과 분리되면서 가이드 레일과 이동 프레임 사이의 유격에 의해 이동 프레임이 후방 이동이 원활하도록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종방향 유동 방지장치(60)는 양측 가이드 레일(13) 내측으로 접속홈(62)이 형성된 '⊂'형 스토퍼(61)를 고정하고, 이동 프레임(10)의 전방 이동 완료시 수평 프레임(22) 내측의 가로 걸림대(64) 양측단이 스토퍼(61)의 접속홈(62)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2종방향 유동 방지장치(60)는 가이드 레일(13)의 외측 둘레를 감싸는 듯한 형상으로 고정된 스토퍼 고정구(34)가 구성되고, 상기 스토퍼 고정구(63)의 일 측으로 후방을 향해 접속홈(62)이 형성된 스토퍼(61)가 고정되거나, 양측 가이드 레일(13) 내측으로 접속홈(62)이 형성된 스토퍼(61)가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등 여러 가지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61)의 접속홈(62)에는 이동 프레임(20)이 전방 이동을 완료 했을 때 가로 걸림대(64) 양측 단부가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이동 프레임(20)의 전방 이동 범위를 제한함과 동시에 접속홈(62)에 삽입된 가로 걸림대(64)에 의해 이동 프레임(20)의 상/하 방향 유동을 방지한다. 또한 제 2종방향 유동 방지장치(60)와 제 1 종방향 유동 방지장치(50)의 동시 작용으로 인해 화물 적재시 가변형 짐받이의 구조를 견고하게 하고 이동 프레임(20)이 가이드 레일(13) 사이의 유격으로 인한 진동과 소음을 방지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3종방향 유동 방지장치(70)는 일 측 가이드 레일(13) 상면 내부와 일측 수평 프레임(22) 상면 사이의 상하 유동방지 돌기(71)로 구성된다.
상기 상하 유동방지 돌기(71)는 이동 프레임(20)이 화물을 적재하기 위해 전방으로 이동을 완료했을 때 가이드 레일(13)과 수평 프레임(22)의 유격을 메워 이동 프레임(20)이 가이드 레일(13)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화물 적재시 가변형 짐받이의 구조를 견고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상하 유동방지 돌기(71)는 위 기재의 좌우 유동방지 돌기(41)와 구성 및 그 형태를 동일하게 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양측 가이드 레일(13)의 상단에는 돌기 형으로 형성된 후방 슬라이드 스토퍼(80)가 구성되고, 수평프레임(22)을 기반으로 하여 세워지고 눕혀지는 수직프레임(23)의 힌지 작용은 공지 기술이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며, 따라서 그러한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고정 프레임 11: 전방 고정 브라켓
12: 후방 고정 브라켓 13: 가이드 레일
14: 고정 프레임 보강대 20: 이동 프레임
21: 짐받이 프레임 22: 수평 프레임
23: 수직 프레임 30: 가변 레버
31: 원통 고정구 32: 고정대
33: 고정공 40: 횡방향 유동 방지장치
41: 좌우 유동방지 돌기 42: 돌기고정구
50: 제 1종방향 유동 방지장치 51: 받침대
52: 받침대 고정구 60: 제 2종방향 유동 방지장치
61: 스토퍼 62: 접속홈
63: 스토퍼 고정구 70: 제 3종방향 유동 방지장치
71: 상하 유동방지 돌기 80: 후방 슬라이드 스토퍼

Claims (7)

  1. 2인승 시트가 설치된 오토바이의 뒷좌석 상단에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10)과, 상기 고정 프레임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이동 프레임(2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 프레임은 전방 고정 브라켓(11), 후방 고정 브라켓(12), 가이드 레일(13) 및 가이드 레일(13) 사이의 고정 프레임 보강대(14)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프레임(20)은 짐받이 프레임(21)이 형성된 수평 프레임(22), 상기 수평 프레임과 절첩 가능하게 결합된 수직 프레임(23)을 포함하는 오토바이용 가변형 짐받이에 있어서,
    고정 프레임(10)의 일측 가이드 레일(13) 하단에는 가변 레버(30)가 구성되되, 가변레버(30)는 가이드 레일(13)의 하측으로 원통 고정구(31)가 형성되고, 상기 원통 고정구(31) 내부에는 고정대(32)가 탄성체에 의해 탄성 설치되며, 상기 고정대(32)의 상단은 수평 프레임(22)의 고정공(33)에 출입 가능토록 구성되고, 상기 고정대(32)의 하단에는 손잡이가 형성되며,
    일측 수평 프레임(22) 내측 테두리에는 받침대(51)가 구성된 제 1 종방향 유동 방지장치(50)가 구성되되, 상기 받침대(51)는 이동 프레임(20)이 전방 이동을 완료하여 화물을 적재했을 때 받침대의 하단부가 고정 프레임 보강대(14)의 저면과 접촉되며,
    양측 가이드 레일(13) 내측으로는 제 2종방향 유동 방지장치(60)가 구성되되, 상기 제2 종방향 유동 방지장치는 양측 가이드 레일(13) 내측으로 접속홈(62)이 형성된 '⊂'형 스토퍼(61)를 고정하여, 이동 프레임(10)이 전방 이동을 완료하여 화물을 적재했을 때 수평 프레임(22) 내측의 가로 걸림대(64) 양측단이 스토퍼(61)의 접속홈(62)에 접속되도록 구성되고,
    일측 가이드 레일(13) 내부 상면과 일측 수평 프레임(22) 외측 테두리 사이에는 이동 프레임이 전방 이동을 완료하고 화물을 적재했을 때 가이드 레일(13)과 수평 프레임(22)의 유격을 메우는 상하 유동방지 돌기(71)가 형성된 제 3종방향 유동 방지장치(70)가 구성되며,
    일측 가이드 레일(13) 내부 측면과 일측 수평 프레임(22) 외측 테두리 사이에는 이동 프레임이 전방 이동을 완료하여 화물을 적재했을 때 가이드 레일(13)과 수평 프레임(22)의 유격을 메우는 좌우 유동방지 돌기(41)가 형성된 횡방향 유동 방지장치(40)가 구성되되,
    상기 좌우 유동방지 돌기(41)와 상하 유동방지 돌기(71)는 일측 가이드 레일을 외측 방향에서 내측방향으로 펀칭하여 형성하거나, 고무로 형성하거나, 반원형 또는 다각형태인 볼트의 머리부로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볼트의 머리부로 하는 경우에는 가이드 레일(13) 외부에 형성된 너트형 돌기 고정구(42)로 좌우 유동방지 돌기와 상하 유동방지 돌기가 나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용 가변형 짐받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20140106755A 2014-08-18 2014-08-18 오토바이용 가변형 짐받이 KR101487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06755A KR101487856B1 (ko) 2014-08-18 2014-08-18 오토바이용 가변형 짐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06755A KR101487856B1 (ko) 2014-08-18 2014-08-18 오토바이용 가변형 짐받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7856B1 true KR101487856B1 (ko) 2015-02-05

Family

ID=52589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06755A KR101487856B1 (ko) 2014-08-18 2014-08-18 오토바이용 가변형 짐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785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279B1 (ko) * 2016-03-08 2016-06-29 최우향 오토바이용 가변형 짐받이
KR101867305B1 (ko) * 2017-01-16 2018-06-15 대원정밀공업(주) 작동품질이 향상된 레그레스트 장치
KR101954885B1 (ko) 2018-03-09 2019-03-06 주식회사 제이아이씨 오토바이용 슬라이드형 짐받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247B1 (ko) 2009-11-12 2010-02-18 주식회사 레드블리츠 스쿠터용 슬라이더 짐받이
KR20100007874U (ko) * 2010-05-07 2010-08-06 주식회사 용진 오토바이용 가변 짐받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247B1 (ko) 2009-11-12 2010-02-18 주식회사 레드블리츠 스쿠터용 슬라이더 짐받이
KR20100007874U (ko) * 2010-05-07 2010-08-06 주식회사 용진 오토바이용 가변 짐받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279B1 (ko) * 2016-03-08 2016-06-29 최우향 오토바이용 가변형 짐받이
KR101867305B1 (ko) * 2017-01-16 2018-06-15 대원정밀공업(주) 작동품질이 향상된 레그레스트 장치
KR101954885B1 (ko) 2018-03-09 2019-03-06 주식회사 제이아이씨 오토바이용 슬라이드형 짐받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3279B1 (ko) 오토바이용 가변형 짐받이
KR101487856B1 (ko) 오토바이용 가변형 짐받이
US9751431B2 (en) Seat track assembly having load absorption features
US20120161468A1 (en) Utility Vehicle
KR101199061B1 (ko) 도어트림용 핸들
US9994124B2 (en) Vehicle seat
KR101581648B1 (ko) 이륜차용 슬라이더 짐받이
US9821870B2 (en) Rear carrier for saddle-ride vehicle
KR20060117193A (ko) 차량용 시트의 슬라이드 장치
JP4419518B2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2017030441A (ja) サンルーフ装置
JP5729076B2 (ja) 鞍乗り型車両の風防装置とその取付方法
KR102530050B1 (ko)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
KR102501242B1 (ko)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
KR102478817B1 (ko) 착탈형 스톱퍼를 구비한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
JP2016094090A (ja) 車両用リヤゲート
JP5232604B2 (ja) 荷掛けフックの取付構造
JP2009126488A (ja) ドアモジュール
JP2008297866A (ja) 転圧車両における散水タンク周りの構造
WO2015162726A1 (ja) 乗り物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102450017B1 (ko) 이륜차용 슬라이딩형 짐받이 장치
JP3378217B2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のレール体構造
JP4027174B2 (ja) 自動車のシートトラックカバー
CN212921805U (zh) 摩托车的后扶手装置
JP6946981B2 (ja) リアゲートのリアスポイ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