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1648B1 - 이륜차용 슬라이더 짐받이 - Google Patents

이륜차용 슬라이더 짐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1648B1
KR101581648B1 KR1020150135952A KR20150135952A KR101581648B1 KR 101581648 B1 KR101581648 B1 KR 101581648B1 KR 1020150135952 A KR1020150135952 A KR 1020150135952A KR 20150135952 A KR20150135952 A KR 20150135952A KR 101581648 B1 KR101581648 B1 KR 101581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guide rail
locking means
platform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5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관
Original Assignee
홍성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508819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58164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홍성관 filed Critical 홍성관
Priority to KR1020150135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16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1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1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7/00Luggage carriers
    • B62J7/02Luggage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thereof on cycles
    • B62J7/04Luggage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thereof on cycles arranged above or behind the rear wh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황에 따라 짐받이 설치대를 전진시켜 고정하거나 후퇴시켜 고정할 수 있게 하여 짐받이 공간활용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이륜차용 슬라이더 짐받이에 관한 것으로, 이륜차의 후미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것으로서, 크게 고정설치대, 이동설치대 및 짐받이설치대로 구성으로, 이동설치대의 핸들부를 하향으로 힘을 가하면 핸들부의 양단에 연결된 잠금수단이 힌지축을 기준으로 상향으로 이동되면서 잠금수단 잠금편의 제2요철부가 가이드레일의 제1요철부로부터 탈거되며, 이때 핸들부를 일측으로 당겨지도록 힘을 가하면 가이드부가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면서 가이드부 내부의 롤러가 가이드레일의 내부 저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되게 되며, 상기 가이드부가 어느 정도 이동이 되면 핸들부)를 놓게 되면 핀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잠금수단이 힌지축을 기준으로 하향 회전하면서 잠금수단 잠금편 제2요철부가 가이드레일의 제1요철부에 맞물려 끼움 결합되어 가이드부가 더 이상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여 고정설치대에 이동설치대가 고정되면서 짐받이설치대가 이동설치대의 이동으로 동시에 이동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서, 이륜차의 후미 상부에 설치되어 짐받이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이동설치대를 이동시켜 상부에 설치된 짐받이설치대를 전후 슬라이드 이동 가능케 조립 구성하면서 짐받이설치대가 슬라이드로 이동되도록 작동시키는 이동설치대의 핸들부를 누름과 당김으로 잠금수단이 해제되어 슬라이드 형태로 이동되어 사용자가 수월하면서 편리하게 작동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Description

이륜차용 슬라이더 짐받이{Sliding carrier for motorcycle}
본 발명은 이륜차용 슬라이더 짐받이에 관한 것으로서, 상황에 따라 짐받이 설치대를 전진시켜 고정하거나 후퇴시켜 고정할 수 있게 하여 짐받이 공간활용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이륜차용 슬라이더 짐받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륜차인 오토바이는 후방 상부에 짐받이를 마련하고 있으며, 상기 오토바이 짐받이는 주로 화물 오토바이의 경우 좌석시트 후방에 큰 사이즈의 짐받이를 형성하고 있고, 일반 오토바이, 소형 오토바이의 경우 좌석시트 후방에 소형 사이즈의 짐받이를 형성하고 있다. 즉, 상기 일반 오토바이, 소형 오토바이의 경우에 좌석시트를 크게 형성하여 두 사람이 탑승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짐받이가 소형으로 이루어져 많은 화물을 적재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고자, 상기 오토바이 후미 상부에 짐받이를 추가 장착하는 기술이 알려진 바 있는데, 이는 단순히 오토바이 후미 상부에 많은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프레임을 고정 설치한 것으로 많은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장점은 갖게 되나 오토바이 후미 상부에 마련되는 주유구 사용이 곤란하거나 프레임의 위치 조절이 곤란하여 사용상 큰 불편함을 갖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 짐받이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주유구 개방이나 기타 목적을 위해 프레임을 전후 이동 조절할 수 있는 짐받이가 알려진 바 있는데, 예를 들면 등록실용신안 제20-442040호에서는 양측으로 "ㄷ"자형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하단부로 고정브라켓이 형성된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가이드레일에 수용되어 수평 이동이 가능한 이동프레임과, 상기 이동프레임이 이동 또는 고정하는 조정나사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져 상기 조정나사의 나사 조정에 의해 이동프레임을 고정하거나 이동할 수 있도록 조정하면서 전후 이동 조절하도록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짐받이는 상기 이동프레임의 일측에서 조정나사의 나사 조정에 의해 이동프레임을 이동 또는 고정하는 것으로 작업성이 떨어짐은 물론 이동프레임을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ㄷ"자형 가이드에 이동프레임이 단순히 안내되는 형태로 되어 있어 이동프레임의 전후 이동시나 고정시 이동프레임의 유동으로 사용이 불편함은 물론 짐을 안전하게 적재함이 곤란한 여러 문제점을 유발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42247호(발명의 명칭 : 스쿠터용 슬라이더 짐받이)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이륜차의 후미 상부에 설치되어 짐받이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이동설치대를 이동시켜 상부에 설치된 짐받이설치대를 전후 슬라이드 이동 가능케 조립 구성하면서 짐받이설치대가 슬라이드로 이동되도록 작동시키는 이동설치대의 핸들부를 누름과 당김으로 잠금수단이 해제되어 슬라이드 형태로 이동되며, 상기 핸들부로부터 사용자가 손을 놓게 되면 자동적으로 잠금수단이 잠금되어 짐받이설치대가 고정설치대에 고정됨으로서 편리한 슬라이드 구조를 가지도록 하면서 작동이 편리하도록 제공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이륜차의 후미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설치대과 상기 고정설치대 상부에 설치되어 이동설치대의 작동으로 잠금수단이 잠금이나 잠금 해제에 의해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짐받이설치대로 구성된 오토바이용 짐받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설치대는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일단에 짐받이고정편이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사이를 가로질러 연결되는 이격된 한쌍의 보조대와, 상기 보조대 사이를 가로질러 연결되는 이격된 판상의 체결편과, 상기 지지대 길이방향으로 상면에 면접되어 설치되고 내부에 공간을 가지면서 상부가 개방되고 내측면 상단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의 제1요철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 저면 전측와 후측을 각각 통과하여 내부 공간으로 돌출 형성되는 이탈방지봉이 설치되는 가이드레일로 구성되고,
상기 이동설치대는 상기 가이드레일 각각의 양측면과 상부를 커버하여 이동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 내부 상면 전측과 후측에 각각 롤러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롤러수용홈에 수용되어 가이드레일의 내부 하면에 면접되는 롤러와, 상기 가이드부 각각의 내측면에 설치되고 후단부가 가이드부의 내측면 일면에 돌출된 힌지축에 연결되고 전단부 상측 일면이 외측으로 절곡된 잠금편이 상기 가이드부 내측면 상측에 형성된 관통홀에 내속되면서 상기 잠금편 끝단에 복수 개의 제2요철부가 형성되어 가이드레일의 제1요철부에 면접되도록 하는 잠금수단과, 상기 잠금수단 각각의 전단부 일면에 일단이 고정되어 연장되면서 연장된 타단이 가이드부 내측면 일면에 고정되는 핀스프링과, 상기 잠금수단 각각의 전단부와 후단부 사이의 내측면에 이격된 한쌍의 고정핀이 형성되어 상기 양측 잠금수단의 고정핀에 양측 단부가 고정되어 가이드부 후측으로 연장되어 연결되는 핸들부로 구성되고,
상기 짐받이설치대는 상기 이동설치대의 양측 가이드부 상면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짐받이프레임과 상기 짐받이프레임 사이를 가로질러 연결되는 이격된 다수 개의 연결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 사이를 가로질러 연결되는 이격된 다수 개의 연결보조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이륜차용 슬라이더 짐받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륜차의 후미 상부에 설치되어 짐받이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이동설치대를 이동시켜 상부에 설치된 짐받이설치대를 전후 슬라이드 이동 가능케 조립 구성하면서 짐받이설치대가 슬라이드로 이동되도록 작동시키는 이동설치대의 핸들부를 누름과 당김으로 잠금수단이 해제되어 슬라이드 형태로 이동되며, 상기 핸들부로부터 사용자가 손을 놓게 되면 자동적으로 잠금수단이 잠금되어 짐받이설치대가 고정설치대에 고정됨으로서 편리한 슬라이드 구조를 가지면서 사용자가 수월하면서 편리하게 작동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용 슬라이더 짐받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용 슬라이더 짐받이를 나타낸 분리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용 슬라이더 짐받이에서 고정설치대와 이동설치대가 결합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용 슬라이더 짐받이에서 고정설치대를 나타낸 분리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용 슬라이더 짐받이에서 고정설치대의 가이드레일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용 슬라이더 짐받이에서 이동설치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용 슬라이더 짐받이에서 이동설치대의 가이드부에 롤러가 장착되는 저면사시도(a)와 롤러가 장착된 저면사시도(b).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용 슬라이더 짐받이에서 이동설치대의 가이드-잠금수단-핀스프링이 설치되는 분리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용 슬라이더 짐받이에서 가이드레일-가이드부-잠금수단-핀스프링이 결합된 상태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절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용 슬라이더 짐받이에서 가이드부에 결합된 잠금수단에 핸들부가 결합되는 분리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용 슬라이더 짐받이에서 짐받이설치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용 슬라이더 짐받이가 작동되는 구조를 나타낸 작동설명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상세하게 설명된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를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뒤에 설명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구조, 역할 및 기능 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오로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하여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프레임"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륜차용 슬라이더 짐받이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륜차의 후미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설치대(100)과 상기 고정설치대(100) 상부에 설치되어 이동설치대(200)의 작동으로 잠금수단(230)이 잠금이나 잠금 해제에 의해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짐받이설치대(300)로 구성된 이륜차용 슬라이더 짐받이(10)에 있어서,
상기 고정설치대(100)는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일단에 짐받이고정편(111)이 설치되는 지지대(110)와, 상기 지지대(110) 사이를 가로질러 연결되는 이격된 한쌍의 보조대(120)와, 상기 보조대(120) 사이를 가로질러 연결되는 이격된 판상의 체결편(130)과, 상기 지지대(110) 길이방향으로 상면에 면접되어 설치되고 내부에 공간을 가지면서 상부가 개방되고 내측면 상단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의 제1요철부(141)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110) 저면 전측와 후측을 각각 통과하여 내부 공간으로 돌출 형성되는 이탈방지봉(142)이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40)로 구성되고,
상기 이동설치대(200)는 상기 가이드레일(140) 각각의 양측면과 상부를 커버하여 이동되는 가이드부(210)와, 상기 가이드부(210) 내부 상면 전측과 후측에 각각 롤러수용홈(211)이 형성되어 상기 롤러수용홈(211)에 수용되어 가이드레일(140)의 내부 하면에 면접되는 롤러(220)와, 상기 가이드부(210) 각각의 내측면에 설치되고 후단부가 가이드부(210)의 내측면 일면에 돌출된 힌지축(212)에 연결되고 전단부 상측 일면이 외측으로 절곡된 잠금편(231)이 상기 가이드부(210) 내측면 상측에 형성된 관통홀(213)에 내속되면서 상기 잠금편(231) 끝단에 복수 개의 제2요철부(232)가 형성되어 가이드레일(140)의 제1요철부(141)에 면접되도록 하는 잠금수단(230)과, 상기 잠금수단(230) 각각의 전단부 일면에 일단이 고정되어 연장되면서 연장된 타단이 가이드부(210) 내측면 일면에 고정되는 핀스프링(240)과, 상기 잠금수단(230) 각각의 전단부와 후단부 사이의 내측면에 이격된 한쌍의 고정핀(233)이 형성되어 상기 양측 잠금수단(230)의 고정핀(233)에 양측 단부가 고정되어 가이드부(210) 후측으로 연장되어 연결되는 핸들부(250)로 구성되고,
상기 짐받이설치대(300)는 상기 이동설치대(200)의 양측 가이드부(210) 상면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짐받이프레임(310)과 상기 짐받이프레임(310) 사이를 가로질러 연결되는 이격된 다수 개의 연결프레임(320)과 상기 연결프레임(320) 사이를 가로질러 연결되는 이격된 다수 개의 연결보조프레임(330)으로 구성되는 이륜차용 슬라이더 짐받이(10, 이하, ‘짐받이’로 칭함)를 제공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짐받이(10)는 이륜차 즉, 오토바이의 후미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것으로서, 크게 고정설치대(100), 이동설치대(200) 및 짐받이설치대(30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설치대(100)는 이륜차의 후미에 설치 고정되는 것으로 다음과 같이 상세한 구성요소 및 결합관계를 서술한다.
도 2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정설치대(100)는 지지대(110), 상기 지지대(110) 사이를 연결하는 보조대(120), 상기 보조대(120) 사이를 연결하는 체결편(130), 상기 지지대(110) 상면에 고정되는 가이드레일(140)로 구성된다.
도 4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110)의 길이방향으로 지지대(110) 상면에 설치되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가이드레일(140)은 내부에 공간을 가지면서 상부가 개방되어 단면이 “└┘”형태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레일(140)의 내측면 상단의 길이방향으로 요철(凹凸)형태의 제1요철부(141)가 다수 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레일(140)의 내부 저면에 돌출되어 이격된 한쌍의 이탈방지봉(142)이 돌출되어 하기 서술되는 롤러(220)가 이탈방지봉(142) 사이를 이동거리로 제한하면서 차단 및 이탈방지기능을 가지도록 제공된다.
이때, 상기 이탈방지봉(142)은 지지대(110)와 가이드레일(140)을 상호 결합 고정시키는 볼트/너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지지대(110)의 저면을 통과하여 가이드레일(140)의 내부 공간으로 볼트의 머리부가 돌출 형성하도록 체결 고정한다.
그리고, 도 6 내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이동설치대(200)는 가이드레일(14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로 이동되도록 작동하는 것으로 다음과 같이 상세한 구성요소 및 결합관계를 서술한다.
상기 이동설치대(200)는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140)을 커버하는 가이드부(210), 상기 가이드부(210) 내부 상면에 설치되는 롤러(220), 상기 가이드부(210) 내측에 설치되는 잠금수단(230), 상기 잠금수단(230)을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핀스프링(240), 상기 잠금수단(230)을 작동시키는 핸들부(250)로 구성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210)는 고정설치대(100)의 가이드레일(140) 각각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레일(140)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면서 가이드레일(140)의 양측면과 상부를 커버하도록 단면이 “┌┐”형태를 가진다.
또한, 도 5와 도 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레일(140)의 양측면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걸림홈(143)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143)에 대응되어 가이드부(210)의 양측면 하단에 각각 절곡된 걸림편(214)이 형성되어 가이드부(210)가 가이드레일(14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하면서 가이드레일(140)의 길이방향으로 전후로 이동되도록 유도하게 된다.
도 7의 (a)와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롤러(220)는 가이드부(210)의 내부 상면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한쌍이 설치되며, 상기 롤러(220)가 가이드부(210)의 내부 상면에 결속되어 가이드부(210)의 이동시 구속되어 동시에 롤러(220)가 회전하도록 가이드부(210) 내부 상면 전측과 후측 일면에 롤러수용홈(211)이 형성되어 롤러(220)를 수용하게 되며, 상기 롤러(220)가 가이드레일(140)의 내부 저면에 면접되면서 가이드부(210)가 이동되면서 회전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잠금수단(230)은 가이드부(210) 각각 내측면에 설치되어 가이드부(210)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도록 잠금 또는 잠금해제를 하도록 작동된다.
상기 잠금수단(230)의 후단부(가이드부에 면접되는 면의 후단부)는 가이드부(210)의 내측면 일면에 형성된 힌지축(212)에 결속되어 힌지축(212)을 기준으로 잠금수단(230)이 회전하며, 상기 잠금수단(230)의 전단부 상측 일면이 절곡되어 수평으로 연장되는 잠금편(231)이 형성되면서 상기 잠금편(231) 끝단이 가이드레일(140)의 제1요철부(141)와 동일한 형태의 제2요철부(232)가 형성되어 잠금수단(230)의 작동으로 잠금편(231)의 제2요철부(232)가 가이드레일(140)의 제1요철부(141)에 맞물려 끼움 결합 또는 탈거되게 된다.
이때, 상기 잠금수단(230)의 잠금편(231)이 가이드레일(140)의 내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잠금편(231)과 대응되는 가이드부(210)의 내측면 일면에 관통홀(213)이 형성된다.
상기 힌지축(212)에 잠금수단(230)이 결속시 상기 잠금수단(230)의 후단부 일면에 관통된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구멍을 통해 힌지축(212)이 내속되어 결합되는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힌지축(212)의 끝단이 소정의 길이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잠금수단(230)의 후단부 일면에 형성된 구멍에 내속되어 구멍 외측으로 상기 힌지축(212)의 절곡 연장된 부분이 돌출되어 힌지축(212)으로부터 잠금수단(23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관통홀(213) 상측의 가이드부(210) 일면에 돌출된 차단편(215)이 더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213)로 내속된 잠금편(231)이 상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후술되는 잠금수단(230)의 힌지축(212)에 의해 상향으로 회전시 잠금편(231)의 제2요철부(232)가 가이드레일(140)의 제1요철부(141)로부터 탈거되어 더 이상 잠금편(231)이 상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핀스프링(240)은 잠금수단(230)에 연결되어 가이드부(210) 내측면 일면에 고정되어 잠금수단(230)이 힌지축(212)을 기준으로 소정의 길이로 상향 또는 하향 회전시 원상태로 복귀하도록 유도하는 탄성복원력을 가진 것으로 핀스프링(240)의 일단은 상기 잠금수단(230) 각각의 전단부 일면에 고정되어 일선상으로 연장되면서 연장된 핀스프링(240)의 타단이 가이드부(210) 내측면 일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핀스프링(240)의 일단이 고정되는 잠금수단(230)의 전단부 또는 도 8과 같이 전단부 일측에서 절곡 연장되는 연장편(234) 일면에 상기 핀스프링(240)의 일단이 고정될 수 있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핸들부(250)는 가이드부(210) 사이에 일체로 설치되어 각각의 가이드부(210)에 설치된 잠금수단(230)을 동시에 작동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잠금수단(230) 각각의 전단부와 후단부 사이의 내측면에 이격된 한쌍의 고정핀(233)이 형성되어 상기 양측 잠금수단(230)의 고정핀(233)에 양측 단부가 고정되어 가이드부(210) 후측으로 연장되어 연결되는 일몸체를 가진다.
상기 핸들부(250)는 관형의 형태를 가져 상기 고정핀(233)이 핸들부(250) 내부로 끼움 고정되는 결합구조를 가지면서 핸들부(250) 양측이 외력 즉, 외측으로 벌어지려는 힘을 가져 상기 핸들부(250) 양측 단부에 각각 형성된 통공(미도시)을 통해 양측 잠금수단(230)의 고정핀(233)에 결속시켜 핸들부(250)의 외력에 대항하는 응력을 가지도록 가이드부(210) 사이의 폭을 제한하여 핸들부(250)를 고정시킨다.
그리고,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짐받이설치대(300)는 짐받이(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이동설치대(200)의 양측 가이드부(210) 상면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짐받이프레임(310)과 상기 짐받이프레임(310) 사이를 가로질러 연결되는 이격된 다수 개의 연결프레임(320)과 상기 연결프레임(320) 사이를 가로질러 연결되는 이격된 다수 개의 연결보조프레임(33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짐받이설치대(300)의 짐받이프레임(310), 연결프레임(320) 및 연결보조프레임(330)을 프레임으로 칭하여 서술하면, 사각의 테두리에 프레임으로 연결하며, 상기 사각의 테두리 내부로 가로와 세로 배열로 다수 개의 프레임을 연결하게 되며, 이때 사각의 테두리 일측면에서 이격된 한쌍의 프레임이 소정의 길이로 연결하여 상기 연결된 프레임의 끝단을 서로 연결하면서 내부에 가로 또는 세로배열로 프레임을 가로질러 연결 설치하는 구조를 가진다.
다음은 본 발명의 짐받이(10)가 슬라이드로 이동되는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10의 상세한 기술구성요소를 통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부(250)를 하향으로 힘을 가하면 핸들부(250)의 양단에 연결된 잠금수단(230)이 힌지축(212)을 기준으로 상향으로 이동되면서 잠금수단(230) 잠금편(231)의 제2요철부(232)가 가이드레일(140)의 제1요철부(141)로부터 탈거되며, 이때 핸들부(250)를 일측으로 당겨지도록 힘을 가하면 가이드부(210)가 가이드레일(140)을 따라 이동되면서 가이드부(210) 내부의 롤러(220)가 가이드레일(140)의 내부 저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되게 되며, 상기 가이드부(210)가 어느 정도 이동이 되면 핸들부(250)를 놓게 되면 핀스프링(240)의 복원력에 의해 잠금수단(230)이 힌지축(212)을 기준으로 하향 회전하면서 잠금수단(230) 잠금편(231) 제2요철부(232)가 가이드레일(140)의 제1요철부(141)에 맞물려 끼움 결합되어 가이드부(210)가 더 이상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여 고정설치대(100)에 이동설치대(200)가 고정되게 된다.
이때, 상기 이동설치대(20))의 가이드부(210)가 이동과 동시에 짐받이설치대(300)가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작동으로 짐받이설치대(300) 하부에 고정된 이동설치대(200)의 전후로 슬라이드 형태로 이동시켜 짐받이설치대(300)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륜차의 후미 상부에 설치되어 짐받이 폭의 확장을 위해 이동설치대가 고정설치대를 따라 전후 슬라이드 이동 조절하면서 동시에 이동설치대의 이동에 따라 짐받이설치대가 이동되어 짐받이 공간이 확장되고, 상기 짐받이설치대의 하부에 고정 설치된 이동설치대의 슬라이드 이동시 유동을 방지하면서 일정하게 이동 조절하며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예들의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비록 실시 예에 제시되지 않았지만 첨부된 청구항의 기재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본 발명에 대한 모조나 개량이 가능하며, 이들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함은 너무나 자명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짐받이 : 10, 고정설치대 : 100, 지지대 : 100, 보조대 : 120, 체결편 : 130, 가이드레일 : 140, 제1요철부 : 141, 이탈방지봉 : 142, 이동설치대 : 200, 가이드부 : 210, 롤러 : 220, 잠금수단 : 230, 잠금편 : 231, 제2요철부 : 232, 고정핀 : 233, 핀스프링 : 240, 핸들부 : 250, 짐받이설치대 : 300

Claims (3)

  1. 이륜차의 후미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설치대(100)과 상기 고정설치대(100) 상부에 설치되어 이동설치대(200)의 작동으로 잠금수단(230)이 잠금이나 잠금 해제에 의해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짐받이설치대(300)로 구성된 이륜차용 슬라이더 짐받이(10)에 있어서,
    상기 고정설치대(100)는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일단에 짐받이고정편(111)이 설치되는 지지대(110)와, 상기 지지대(110) 사이를 가로질러 연결되는 이격된 한쌍의 보조대(120)와, 상기 보조대(120) 사이를 가로질러 연결되는 이격된 판상의 체결편(130)과, 상기 지지대(110) 길이방향으로 상면에 면접되어 설치되고 내부에 공간을 가지면서 상부가 개방되고 내측면 상단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의 제1요철부(141)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110) 저면 전측와 후측을 각각 통과하여 내부 공간으로 돌출 형성되는 이탈방지봉(142)이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40)로 구성되고,
    상기 이동설치대(200)는 상기 가이드레일(140) 각각의 양측면과 상부를 커버하여 이동되는 가이드부(210)와, 상기 가이드부(210) 내부 상면 전측과 후측에 각각 롤러수용홈(211)이 형성되어 상기 롤러수용홈(211)에 수용되어 가이드레일(140)의 내부 하면에 면접되는 롤러(220)와, 상기 가이드부(210) 각각의 내측면에 설치되고 후단부가 가이드부(210)의 내측면 일면에 돌출된 힌지축(212)에 연결되고 전단부 상측 일면이 외측으로 절곡된 잠금편(231)이 상기 가이드부(210) 내측면 상측에 형성된 관통홀(213)에 내속되면서 상기 잠금편(231) 끝단에 복수 개의 제2요철부(232)가 형성되어 가이드레일(140)의 제1요철부(141)에 면접되도록 하는 잠금수단(230)과, 상기 잠금수단(230) 각각의 전단부 일면에 일단이 고정되어 연장되면서 연장된 타단이 가이드부(210) 내측면 일면에 고정되는 핀스프링(240)과, 상기 잠금수단(230) 각각의 전단부와 후단부 사이의 내측면에 이격된 한쌍의 고정핀(233)이 형성되어 상기 양측 잠금수단(230)의 고정핀(233)에 양측 단부가 고정되어 가이드부(210) 후측으로 연장되어 연결되는 핸들부(250)로 구성되고,
    상기 짐받이설치대(300)는 상기 이동설치대(200)의 양측 가이드부(210) 상면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짐받이프레임(310)과 상기 짐받이프레임(310) 사이를 가로질러 연결되는 이격된 다수 개의 연결프레임(320)과 상기 연결프레임(320) 사이를 가로질러 연결되는 이격된 다수 개의 연결보조프레임(33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용 슬라이더 짐받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140)의 양측면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걸림홈(143)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143)에 대응되어 가이드부(210)의 양측면 하단에 각각 절곡된 걸림편(21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용 슬라이더 짐받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213) 상측의 가이드부(210) 일면에 돌출된 차단편(215)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용 슬라이더 짐받이.
KR1020150135952A 2015-09-24 2015-09-24 이륜차용 슬라이더 짐받이 KR101581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952A KR101581648B1 (ko) 2015-09-24 2015-09-24 이륜차용 슬라이더 짐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952A KR101581648B1 (ko) 2015-09-24 2015-09-24 이륜차용 슬라이더 짐받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1648B1 true KR101581648B1 (ko) 2015-12-30

Family

ID=55088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5952A KR101581648B1 (ko) 2015-09-24 2015-09-24 이륜차용 슬라이더 짐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1648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279B1 (ko) * 2016-03-08 2016-06-29 최우향 오토바이용 가변형 짐받이
KR20170086431A (ko) 2017-07-06 2017-07-26 김보식 이륜차용 짐받이
CN108056675A (zh) * 2017-12-19 2018-05-22 广州祈信金属制品有限公司 烤炉支架及其烤炉
KR20210078753A (ko) 2019-12-19 2021-06-29 박재모 오토바이용 짐받이
KR102410957B1 (ko) * 2021-04-14 2022-06-22 구동현 오토바이용 캐리어
RU218416U1 (ru) * 2023-01-23 2023-05-25 Дмитрий Геннадьевич Тутукин Трансформируем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мещения груза, предназначенное для установки на багажник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относящегося к классу мототехники
KR20230122408A (ko) 2022-02-14 2023-08-22 주식회사 세화오토모티브 오토바이용 슬라이드 짐받이
KR20230169725A (ko) 2022-06-09 2023-12-18 주식회사 세화오토모티브 경사 개방 타입의 오토바이용 짐받이
KR102662893B1 (ko) * 2021-11-24 2024-05-07 정화봉 오토바이 짐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247B1 (ko) 2009-11-12 2010-02-18 주식회사 레드블리츠 스쿠터용 슬라이더 짐받이
KR200468704Y1 (ko) * 2013-02-19 2013-09-03 최우향 오토바이용 가변형 짐받이의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247B1 (ko) 2009-11-12 2010-02-18 주식회사 레드블리츠 스쿠터용 슬라이더 짐받이
KR200468704Y1 (ko) * 2013-02-19 2013-09-03 최우향 오토바이용 가변형 짐받이의 고정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279B1 (ko) * 2016-03-08 2016-06-29 최우향 오토바이용 가변형 짐받이
KR20170086431A (ko) 2017-07-06 2017-07-26 김보식 이륜차용 짐받이
CN108056675A (zh) * 2017-12-19 2018-05-22 广州祈信金属制品有限公司 烤炉支架及其烤炉
KR20210078753A (ko) 2019-12-19 2021-06-29 박재모 오토바이용 짐받이
KR102410957B1 (ko) * 2021-04-14 2022-06-22 구동현 오토바이용 캐리어
WO2022220473A1 (ko) * 2021-04-14 2022-10-20 구동현 오토바이용 캐리어
KR102662893B1 (ko) * 2021-11-24 2024-05-07 정화봉 오토바이 짐대
KR20230122408A (ko) 2022-02-14 2023-08-22 주식회사 세화오토모티브 오토바이용 슬라이드 짐받이
KR20230169725A (ko) 2022-06-09 2023-12-18 주식회사 세화오토모티브 경사 개방 타입의 오토바이용 짐받이
RU218416U1 (ru) * 2023-01-23 2023-05-25 Дмитрий Геннадьевич Тутукин Трансформируем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мещения груза, предназначенное для установки на багажник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относящегося к классу мототехник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1648B1 (ko) 이륜차용 슬라이더 짐받이
US8136857B2 (en) Pick-up style utility vehicle with expandable cargo bed
PL1714826T3 (pl) Podstawa oraz dziecięcy fotelik do pojazdów wyposażony w taką podstawę
KR20100007874U (ko) 오토바이용 가변 짐받이
KR200442040Y1 (ko) 이인승 시트가 설치된 오토바이용 짐받이
US7806306B2 (en) Vehicle article carrier having single side release mechanism
US6729513B2 (en) Vehicle article carrier having telescopically extendable article carrier portion
CN108337852B (zh) 滑轨机构及其托架装置
TW201722771A (zh) 電動自行車及其電池升降裝置
EP3065975B1 (en) Roof rack assemblies and securing mechanisms for roof rack assemblies
JP4787972B2 (ja) テーブル
US20100283300A1 (en) Vehicle seat apparatus
JP2001354178A (ja) 車用バスケットの装着構造
US20060163900A1 (en) Motorcycle fairing mounting bracket
KR101487856B1 (ko) 오토바이용 가변형 짐받이
WO2003039913A1 (en) Vehicle with integrated load carrier
KR200479183Y1 (ko) 오토바이용 짐받이
KR20170086431A (ko) 이륜차용 짐받이
JP4453950B2 (ja) 自動2輪車用キャリヤ
IES20070361A2 (en) An adjustable bolster assembly for a semi-trailer
TW200701913A (en) Childcare apparatus
KR102450017B1 (ko) 이륜차용 슬라이딩형 짐받이 장치
EP3915841B1 (en) Load carrier
JP4323831B2 (ja) ジャッキの位置調整具
JP2014094672A (ja) 車両用シートのスライ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0000376;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60215

Effective date: 2017032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