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7425B1 - 혈액 투석 장치 - Google Patents

혈액 투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7425B1
KR101487425B1 KR1020107000015A KR20107000015A KR101487425B1 KR 101487425 B1 KR101487425 B1 KR 101487425B1 KR 1020107000015 A KR1020107000015 A KR 1020107000015A KR 20107000015 A KR20107000015 A KR 20107000015A KR 101487425 B1 KR101487425 B1 KR 101487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pressure
circuit
blood circuit
dialysis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0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5699A (ko
Inventor
후토시 사사키
코지 나카마고에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Publication of KR20100035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5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7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7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14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 A61M1/16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with membr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14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 A61M1/16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with membranes
    • A61M1/1601Control or reg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4Filtering material out of the blood by passing it through a membrane, i.e. hemofiltration or diafil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4Filtering material out of the blood by passing it through a membrane, i.e. hemofiltration or diafiltration
    • A61M1/3403Regulation para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07Regulation para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21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26Gas bubble de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21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27Degassing devices; Buffer reservoirs; Drip chambers; Blood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21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39Blood pressure control, pressure transduc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21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43Priming, rinsing before or after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24Dialysis ; Membrane extraction
    • B01D61/243Di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15Detection of lea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 A61M2205/3344Measuring or controlling pressure at the body treatment si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혈액 투석 장치는, 혈액 처리기와, 환자로부터 도출한 혈액이 흐르는 혈액회로와, 혈액을 압송하는 혈액펌프와, 투석액 회로와, 혈액회로의 혈액펌프보다 하류측에 설치되며 혈액회로를 차단하는 클램프와, 혈액회로에 있어서 혈액펌프와 차단부 사이의 압력을 검출하는 혈액압력 센서와, 혈액펌프 및 혈액압력 센서가 접속되는 제어유닛을 구비한다. 제어유닛은, 클램프로 차단된 혈액회로에 혈액펌프에 의해 액체를 충전시킨 상태에서, 혈액회로 압력 검출부에서 검출된 압력에 기초하여, 혈액회로에 이상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다(단계(SA2, 3, 5)).
[색인어]
혈액 투석, 혈액 펌프, 혈액 회로, 프라이밍 처리, 혈액회로 압력 검출부

Description

혈액 투석 장치{HEMODIALIZER}
본 발명은, 예를 들어 혈액 투석 치료, 지속 혈액여과요법 등과 같이, 환자의 혈액을 체외순환 시키는 치료 시에 사용되는 혈액 투석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혈액이 순환하는 회로의 이상을 치료를 시작하기 전에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분야에 속한다.
종래, 환자의 혈액을 체외순환 시켜 치료를 하는 혈액 투석 장치는, 예를 들어 신부전 환자나 약물중독 환자 등에 사용된다. 이 혈액 투석 장치는, 반투막을 개재하여 혈액과 투석액을 접촉시켜 혈액을 정화하는 혈액 처리기와, 혈액 처리기가 갖는 혈액 유로에 접속되는 혈액회로와, 혈액 처리기가 갖는 투석액 유로에 접속되는 투석액 회로를 구비한다.
혈액회로는, 환자로부터 혈액을 도출하여 혈액 처리기의 혈액 유로로 도입하는 동맥 라인과, 혈액 처리기의 혈액 유로로부터 혈액을 도출하여 환자로 되돌리는 정맥 라인과, 동맥 및 정맥 라인 각각에 설치되는 드립챔버(drip chamber)를 구비한다. 또 혈액회로에는 약제주입용 라인 등도 설치된다. 한편, 투석액 회로는, 투석액을 혈액 처리기의 투석액 유로로 공급하는 투석액 공급 라인과, 투석액을 혈액 처리기의 투석액 유로로부터 배출하는 투석액 배출 라인을 구비한다. 또한 혈액 투석 장치에는 각 회로의 내압을 감시하기 위한 압력모니터 라인 등도 접속된다.
이와 같이 혈액 투석 장치는 많은 구성부품으로 이루어지며, 이들의 접속작업 시 및 점검 시에는 세심한 주의가 요구된다. 즉, 특히 혈액회로에서는 환자의 혈관에 접속되는 것이므로, 접속불량 등의 이상이 있으면, 혈액회로로 공기가 흡입되어 환자의 몸 안으로 혼입되는 사고나, 반대로 혈액회로 중의 혈액이 외부로 누출되어 환자가 실혈에 이르는 사고가 일어날 우려가 있다.
이들 사고는 미연에 방지해야 하므로, 의료종사자는 치료를 실시하는데 있어서, 혈액회로에 이상이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세심한 주의로 점검하므로 육체적 및 정신적으로 커다란 부담이 된다.
그래서, 의료종사자의 부담을 줄이면서 안전한 치료를 할 수 있도록, 특허문헌 1(일본 특허공개 2005-218709호 공보)과 2(일본 특허공개 2002-95741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혈액 투석 장치에서는, 혈액회로의 이상을 자동으로 검출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혈액 투석 장치의 혈액회로에는, 프라이밍 처리(준비작업)를 할 때 사용하는 프라이밍액 저류부가 접속되며, 이 프라이밍액 저류부는, 압력모니터 라인에 설치되는 압력검출부보다 높은 곳에 배치된다. 그리고 동맥 라인과 투석액 각 라인을 차단한 상태에서, 프라이밍액 저류부와 압력검출부의 낙차압을 검출하고, 이 낙차압에 기초하여 혈액회로의 이상을 검출하도록 한다.
또 특허문헌 2의 혈액 투석 장치에서는, 혈액회로의 압력모니터 라인에 공기펌프가 접속된다. 그리고 혈액회로를 폐쇄한 상태에서 공기펌프에 의해 혈액회로로 공기를 압송하여 압력상태를 검출하고, 이 검출값에 기초하여 혈액회로의 이상을 검출하도록 한다.
일본 특허공개 2005-218709 A 일본 특허공개 2002-95741 A
그러나 특허문헌 1의 혈액 투석 장치에서는, 프라이밍액 저류부와 압력 측정부와의 낙차압에 기초하여 혈액회로의 이상을 검출하도록 하므로, 검출감도를 충분히 얻기 위해서는 프라이밍액 저류부를 가능한 한 높은 곳에 배치해야 하므로, 준비가 번잡하다. 또 프라이밍액의 낙차압을 검출하므로, 프라이밍 처리 이후에 발생한 접속불량 등의 이상은 검출할 수 없다는 문제도 있다.
또 특허문헌 2의 혈액 투석 장치에서는, 혈액처리에는 직접 상관이 없는 공기펌프를 이상을 검출하기 위해서만 설치하므로, 혈액 투석 장치의 원가상승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압축성 유체인 공기를 혈액회로로 압송하도록 하므로, 공기의 압송을 시작하고 나서 압력이 안정되고 검출 가능하게 될 때까지의 시간이 오래 걸린다. 또, 공기의 경우, 주위의 온도변화에 의해 압력이 변동되기 쉬우며, 정확한 검출결과를 얻을 수 없다는 우려도 있다. 더불어, 혈액회로로 공기를 압송한다는 점에서, 프라이밍 처리 전밖에 이상을 검출할 수 없으며, 프라이밍 처리 시 및 그 이후에 혈액회로에 이상이 발생했다 하더라도, 그것을 검출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준비작업을 번잡하게 하는 일없이, 더욱이 원가상승을 초래하는 일없이, 프라이밍 처리 시나 프라이밍 처리 후에 있어서, 혈액회로의 이상을 높은 정밀도로 또 단시간에 검출할 수 있도록 하며, 체외순환을 수반하는 치료의 안전성을 높이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혈액펌프에 의해 혈액회로에 액체를 충전시키고, 혈액회로 내 압력에 기초하여 혈액회로의 이상을 검출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제 1 발명에서는, 환자의 혈액이 흐르는 혈액유로와, 투석액이 흐르는 투석액 유로가 반투막에 의해 구획 형성된 혈액 처리기와, 환자로부터 도출한 혈액을 상기 혈액유로로 도입하고, 이 혈액유로를 흐른 혈액을 도출시켜 환자로 되돌리는 혈액회로와, 상기 혈액회로에 설치되며 혈액을 압송하는 혈액펌프와, 투석액을 상기 투석액 유로로 도입하고 이 투석액 유로를 흐른 투석액을 도출시키는 투석액 회로와, 상기 혈액회로의 혈액펌프보다 하류측에 설치되며 이 혈액회로를 차단하는 차단부와, 상기 혈액회로 내의 상기 혈액펌프와 상기 차단부 사이의 압력을 검출하는 혈액회로 압력 검출부와, 상기 혈액펌프 및 상기 혈액회로 압력 검출부가 접속되는 제어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차단부로 차단된 상기 혈액회로에 상기 혈액펌프에 의해 액체를 충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혈액회로 압력 검출부에서 검출된 압력에 기초하여 상기 혈액회로에 이상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이 구성에 따르면, 혈액펌프에 의해 혈액회로에 액체를 충전하고, 그 혈액회로 내 압력을 검출하여 혈액회로에 이상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므로, 종래예와 같은 프라이밍액의 낙차압에 기초하는 일없이, 또 혈액처리에는 상관이 없는 공기펌프를 이용하는 일없이, 혈액회로의 이상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프라이밍액의 낙차압을 이용하지 않으므로, 프라이밍액을 가능한 한 높은 곳에 배치할 필요가 없으며, 준비작업이 용이해지고, 더욱이 프라이밍 처리 후에, 액체로서의 혈액을 혈액회로에 충전한 상태라도 이상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공기펌프를 이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원가상승을 초래하는 일은 없으며, 또 액체로서의 프라이밍액을 충전한 프라이밍 처리 시, 및 그 이후에 혈액을 충전한 상태라도, 혈액회로의 이상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비압축성 유체인 프라이밍액이나 혈액을 혈액회로에 충전하여 혈액회로의 압력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검출할 수 있게 될 때까지의 시간이 공기를 충전하는 경우에 비해 짧아지고, 더욱이 주위 온도변화에 따라 압력이 변동되기 어려워지므로, 정확한 검출이 가능해진다.
제 2 발명에서는, 제 1 발명에 있어서 제어유닛은, 프라이밍 처리 후에, 혈액회로에 이상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제 3 발명에서는, 제 1 또는 제 2 발명에 있어서, 투석액 회로 내의 압력을 검출하는 투석액회로 압력 검출부를 구비하며, 혈액회로는 혈액회로 압력 검출부가 접속되는 압력모니터 라인을 가지고, 제어유닛은 상기 혈액회로 압력 검출부에서 검출된 혈액 압력 상승량과, 상기 투석액회로 압력 검출부에서 검출된 투석액 압력 상승량을 비교하여, 혈액 압력 상승량이 투석액 압력 상승량보다 소정값 이상으로 적은 것을 검출한 경우에, 상기 압력모니터 라인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일반적인 혈액 투석 장치에 장비된 혈액회로 압력 검출부와 투석액회로 압력 검출부를 이용하여, 혈액회로가 갖는 압력모니터 라인에 이상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4 발명에서는, 제 1에서 제 3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어유닛은, 혈액회로 압력 검출부에서 검출된 압력이 소정 압력 이하인 경우에, 혈액회로에 누출부분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일반적인 혈액 투석 장치에 장비된 혈액회로 압력 검출부를 이용하여, 혈액회로에 누출부분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5 발명에서는, 제 4 발명에 있어서, 제어유닛은, 혈액회로 내 압력을 혈액처리 실행 시의 압력보다 높은 압력으로 한 후, 혈액회로에 누출부분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이 구성에 따르면, 혈액회로 내 압력을 환자의 혈액처리 실행 시보다 높은 압력으로 한 상태에서, 혈액회로에 누출부분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게 된다. 이로써, 혈액회로의 접속부분이 느슨해져 누출량이 미소한 부분이나, 혈액처리 실행 시와 같이 저압에서는 접속불량의 발견이 어려운 부분이 있는 경우에, 이들을 발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6 발명에서는, 제 1에서 제 5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어유닛은, 혈액회로에 액체를 충전시킨 상태에서 혈액펌프를 정지시킨 후, 혈액회로 압력 검출부에 의해 혈액회로 내 압력을 계속해서 얻고, 이 압력이 소정시간 내에 소정값 이상으로 저하된 것을 검출한 경우에, 이 혈액회로에 누출부분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이 구성에 따르면, 혈액회로 내 압력을 계속해서 얻도록 하므로, 혈액회로로부터 액체가 누출된 것을 바로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7 발명에서는, 제 1에서 제 6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투석액 회로가 폐색되도록 구성된다.
이 구성에 따르면, 투석액회로를 폐색해 둠으로써, 혈액회로 내 압력을 검출할 때, 혈액회로에 충전된 액체가 혈액처리기의 반투막을 개재하여 투석액회로 쪽으로 흐르기 어려워지므로, 혈액회로의 이상 판정에 악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8 발명에서는, 제 1에서 제 7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혈액회로는, 환자로부터 도출한 혈액을 혈액처리기의 혈액유로로 도입시키는 동맥 라인과, 이 혈액유로를 흐른 혈액을 도출시켜 환자로 되돌리는 정맥 라인을 구비하며, 상기 동맥 라인 및 정맥 라인에 혈액회로 압력 검출부가 각각 설치되고, 제어유닛에는 상기 2개의 혈액회로 압력 검출부가 접속된다.
이 구성에 따르면, 한쪽 혈액회로 압력 검출부가 고장난 경우에, 다른 쪽 혈액회로 압력 검출부를 이용하여 혈액회로에 이상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9 발명에서는, 제 1, 제 3에서 제 8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투석액회로 내 압력을 검출하는 투석액 회로 압력 검출부가 제어유닛에 접속되며,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투석액 회로 압력 검출부에서 검출된 압력에 기초하여 상기 혈액회로에 이상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즉, 혈액회로와 투석회로는 혈액처리기의 반투막을 개재하여 액체의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되므로, 혈액회로 압력 검출부가 고장난 경우에, 투석액회로 압력 검출부를 이용하여 혈액회로에 이상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1 발명에 따르면, 차단부로 차단된 혈액회로에 혈액펌프에 의해 액체를 충전한 상태에서, 혈액회로 압력 검출부와 검출한 압력에 기초하여 혈액회로에 이상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하므로, 준비작업을 번잡하게 하는 일없이, 더욱이 원가상승을 초래하는 일없이, 프라이밍 처리 시나 프라이밍 처리 후에도 혈액회로의 이상을 높은 정밀도로 또 단시간에 검출할 수 있어, 치료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제 2 발명에 따르면, 프라이밍 처리 후에 혈액회로에 이상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으므로, 투석을 시작하기 전에 혈액회로의 이상을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제 3 발명에 따르면, 일반적인 혈액 투석 장치에 장비된 혈액회로 압력 검출부와 투석액회로 압력 검출부를 이용하여 혈액회로 압력모니터 라인의 이상 유무를 판정할 수 있으므로, 회로구성을 복잡하게 하는 일없이, 압력모니터 라인의 이상이 판정 가능한 구조로 할 수 있다.
제 4 발명에 따르면, 일반적인 혈액 투석 장치에 장비된 혈액회로 압력 검출부를 이용하여 누출부분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으므로, 회로구성을 복잡하게 하는 일없이, 혈액회로의 누출 및 혈액 투석 장치로의 접속 이상 유무가 판정 가능한 구조로 할 수 있다.
제 5 발명에 따르면, 혈액회로의 압력을 환자의 혈액처리 시 압력보다 높은 압력으로 한 후, 혈액회로에 누출부분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하므로, 누출량이 미소하더라도 치료를 시작하기 전에 확실하게 발견할 수 있어, 보다 안전한 치료를 할 수 있다.
제 6 발명에 따르면, 혈액회로에 혈액을 충전시킨 상태에서 혈액펌프를 정지시킨 후, 혈액회로 압력 검출부로부터 계속해서 얻은 압력에 기초하여 혈액회로에 누출부분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하므로, 누출이 발생한 것을 바로 검출하여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제 7 발명에 따르면, 투석액회로를 폐색할 수 있으므로, 혈액회로에 충전한 액체가 투석액회로로 흐르기 어려워지며, 혈액회로의 이상 판정에 악영향을 주지 않도록 할 수 있어, 혈액회로의 이상을 보다 높은 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다.
제 8 발명에 따르면, 동맥 라인 및 정맥 라인에 혈액회로 압력 검출부를 각각 설치하여, 제어유닛에 2개의 혈액회로 압력 검출부를 접속하도록 하므로, 한쪽 혈액회로 압력 검출부가 고장나더라도 혈액회로에 이상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제 9 발명에 따르면, 투석액회로 압력 검출부를 제어유닛에 접속하고, 투석액회로 압력 검출부에서 검출된 압력에 기초하여 혈액회로에 이상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하므로, 혈액회로 압력 검출부가 고장나더라도 혈액회로에 이상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관한 혈액 투석 장치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2는, 혈액 투석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혈액회로의 이상을 판정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투석준비의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변형예에 관한 도 1의 상당한 도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설명은 본질적으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 그 적용물, 또는 그 용도범위의 제한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혈액 투석 장치(1)를 이용하여 혈액투석을 실행하는 경우를 설명하는 도이다. 혈액 투석 장치(1)는, 혈액투석처리 실행부(2)와, 조작표시부(3) 및 제어유닛(4)을 구비한다. 이들 중, 혈액투석처리 실행부(2)는 실제로 혈액투석을 실행하는 부분이다. 또 제어부(4)는 컴퓨터의 정보처리부를 중심으로 구성되며, 혈액투석처리 실행부(2)를 제어한다. 또한 조작표시부(3)는 의료종사자들에 의한 데이터의 입력과, 각종 정보 및 입력된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혈액투석처리 실시부(2)는, 혈액투석의 중심인 혈액 처리기(dialyzer)(10)와, 혈액 처리기(10)에 접속되는 혈액회로(11) 및 투석액회로(12), 혈액펌프(13), 제수(除水)펌프(14), 및 투석액회로(12)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밸브(15, 16)를 구비한다.
혈액 처리기(10)는, 통모양의 케이스 내에 복수의 중공사(도시 생략)가 수납되어 구성된다. 도시하지 않으나, 이들 중공사의 내부는, 환자의 혈액이 흐르는 혈액유로이며, 중공사 외부와 케이스 내부 사이의 공간은 투석액이 흐르는 투석액 유로가 된다. 즉, 혈액 처리기(10)의 내부에는, 중공사를 구성하는 반투막에 의해 혈액유로와 투석액 유로가 구획 형성된다.
혈액 처리기(10)의 케이스에는, 도시하지 않으나, 중공사의 내부로 연통되는 혈액 유입포트 및 혈액 유출포트와, 중공사 외부와 케이스 내부 사이의 공간으로 연통되는 투석액 유입포트 및 투석액 유출포트가 형성된다.
혈액회로(11)는, 동맥에 천자되는 천자바늘(20)을 갖는 동맥 라인(21)과, 정맥에 천자되는 천자바늘(22)을 갖는 정맥 라인(23)과, 동맥 라인(21) 중간부에 설치되는 동맥측 드립챔버(24)와, 정맥 라인(23) 중간부에 설치되는 정맥측 드립챔버(25)와, 동맥 라인(21)으로부터 분기되는 프라이밍용 라인(26) 및 실린지펌프 접속라인(28)과, 정맥측 드립챔버(25)에 접속된 압력모니터 라인(27) 및 배액(overflow) 라인(29)을 갖는다.
동맥 라인(21)의 하류측은, 혈액 처리기(10)의 혈액 유입포트에 접속된다. 동맥 라인(21) 중간부에는 혈액펌프(13)가 배치된다. 혈액 펌프(13)는 전동모터(도시 생략)를 가지며, 동맥 라인(21)을 구성하는 유연한 튜브를 훑어줌으로써 혈액을 정맥측으로 압송하도록 구성된 형식의 펌프이다. 혈액펌프(13)의 모터 회전속도를 변경함으로써, 혈액회로(11)를 흐르는 혈액의 유량이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혈액 펌프(13)는 상기한 바와 같은 형식의 펌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형식의 펌프를 이용하도록 해도 된다.
동맥측 드립챔버(24)는 혈액펌프(13)보다 하류측에 배치된다. 또 프라이밍용 라인(26)은, 동맥 라인(21)의 혈액펌프(13)보다 상류측 부위에서 분기되며, 프라이밍액이 들어간 용기(A)에 접속된다. 프라이밍액은 생리적 식염수이다. 프라이밍용 라인(26)에는, 이 라인(26)을 개폐하는 클램프(30)가 배치된다.
실린지펌프 접속라인(28)은, 동맥라인(21)에서 혈액펌프(13)와 동맥측 드립챔버(24) 사이의 부위에서 분기되며, 실린지펌프(SP)에 설치되는 실린지에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동맥라인(21)에는, 동맥라인(21) 내 기포를 검지하는 기포검지기(31)가 설치된다. 이 기포검지기(31)는, 종래, 혈액 투석 장치(1)에 설치되는 주지의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정맥라인(23)의 상류측은 혈액 처리기(10)의 혈액 유출포트에 접속된다. 정맥라인(23)의 정맥측 드립챔버(25)보다 하류측에는, 정맥라인(23) 내 기포를 검지하는 주지의 기포검지기(32)가 설치된다. 정맥라인(23)의 기포검지기(32)보다 하류측에는, 이 라인(23)을 개폐하는 클램프(33)가 배치된다. 또 압력모니터 라인(27)에는, 정맥라인(23) 내 압력을 검출하기 위한 혈액 압력센서(혈액회로 압력 검출부)(35)가 설치된다. 혈액 압력센서(35)는, 예를 들어 1초간에 수회 정도의 짧은 주기로 혈액회로(11) 내 압력을 계속해서 출력하도록 구성된 주지의 것이다. 압력모니터 라인(27)에는, 이 라인(27)을 개폐하는 클램프(34)가 배치된다.
또 배액 라인(29)에는, 이 라인(29)을 개폐하기 위한 클램프(36)가 장착된다. 상술한 클램프(30, 33, 34, 36)의 종류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 클램프(30, 33, 34, 36) 대신, 겸자 등으로 각 라인을 개폐하도록 해도 되며, 각 라인에 밸브장치를 설치하여 개폐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 클램프(33, 36)가 본 발명의 차단부를 구성한다.
투석액회로(12)는, 투석액 공급장치(도시 생략)에 접속되는 공급라인(40)과, 배출라인(41) 및 압력모니터 라인(42)을 구비한다. 공급라인(40)은, 혈액 처리기(10)의 투석액 유입포트에 접속되며, 상류측으로부터 투석액 공급장치에 의해 투석액이 압송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공급라인 개폐밸브(15)는 공급라인(40)에 설치된다. 또 배출라인(41)은 혈액 처리기(10)의 투석액 유출포트에 접속된다. 배출라인(41)에는 배출라인 개폐밸브(16)가 설치된다.
압력모니터 라인(42)은 배출라인(41) 중간부에서 분기된다. 압력모니터 라인(42)에는, 배출라인(41) 내의 압력을 검출하기 위한 투석액압력 센서(투석액회로 압력검출부)(43)가 설치된다. 투석액압력 센서(43)는 상기 혈액 압력센서(35)와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제수펌프(14)는 배출라인(41)에 설치된다. 개폐밸브(15, 16)는 전자기밸브 등으로 구성되며, 양 밸브를 폐쇄상태로 함으로써 투석액회로(12)가 막히도록 구성된다. 압력모니터 라인(42)은 공급라인(40)에 배치해도 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혈액펌프(13), 혈액 압력센서(35), 투석액 압력센서(43), 기포검지기(31, 32) 및 개폐밸브(15, 16)는 조작표시부(3)와 함께 제어유닛(4)에 접속된다. 제어유닛(4)은 CPU(중앙연산처리장치)(도시 생략)와, RAM 등 메인메모리(도시 생략)와,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된 ROM(도시 생략)을 구비하며, 제어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도 1에 나타내는 조작스위치(3a)는, 환자에 관한 각종 데이터나, 혈액 처리기(10)의 성능데이터, 투석시간, 제수량 등을 환자별로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 표시패널(3b)은, 터치패널 디스플레이로 구성된 표시기이다. 표시패널(3b)에 표시된 조작버튼에 접촉함으로써 각종 데이터 등의 입력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 표시패널(3b)은, 입력된 데이터, CPU에서 연산된 결과 등이 표시되도록 구성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어유닛(4)에는 제어프로그램에 따라 혈액펌프(13) 등을 제어하여, 환자에 따른 투석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투석실행부(4a)가 설치된다. 이 투석실행부(4a)는, 종래, 주지의 구성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 이 제어유닛(4)에는, 혈액회로(11) 및 혈액펌프(13)에 이상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4b)가 설치된다.
이하, 판정부(4b)의 동작을 도 3에 나타내는 흐름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개시 후 단계(SA1)에서는, 혈액펌프(13)를 작동시켜 혈액회로(11)에 액체를 충전시킨다. 이때 충전시키는 액체는, 탈혈 전이면 프라이밍액이며, 탈혈 후이면 혈액이다. 또 이때의 유량은 10㎖/min∼30㎖/min이 바람직하다. 또 혈액펌프(13)를 작동시키기 전의 혈액회로(11) 내 압력은 -50㎜Hg 정도이다.
단계(SA1) 다음의 단계(SA2)에서는, 혈액 압력센서(35)의 출력값(P) 상승량(혈액 압력 상승량)이, 투석액 압력센서(43)의 출력값(V) 상승량(투석액 압력 상승량)보다 소정값 이상으로 적은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소정값은, 투석액 압력센서(43)의 출력값(V) 상승량의 5%∼30%가 바람직하다. 또 이 단계(SA3)에서는, 예를 들어 5초∼10초 정도의 시간 내에 판정한다.
단계(SA2)에서 "YES"로 판정되면, 혈액 압력센서(35)의 출력값(P) 상승량이, 투석액 압력센서(43)의 출력값(V) 상승량에 대해 소정값 이상으로 적다는 것이다. 즉 압력모니터 라인(27)이 폐색되거나 폐색되어 가는 이상상태인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는 단계(SA12)로 진행하며, "이상 있음"으로 통지한다. 단계(SA12)에서는, 구체적으로 표시패널(3b)에 "이상 있음"으로 표시해도 되며, 혈액 투석 장치(11)에 설치한 표시등(도시 생략)을 점등시키거나 점멸시켜도 되며, 혈액 투석 장치(1)에 설치한 부저 등(도시 생략)으로 경보음을 발하도록 해도 된다.
한편, 단계(SA2)에서 "NO"로 판정되면, 혈액 압력센서(35)의 출력값(P) 상승량과 투석액 압력센서(43)의 출력값(V) 상승량에 큰 차가 없다는 것이므로, 압력모니터 라인(27)에는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단계(SA2)에서 "NO"로 판정되어 진행한 단계(SA3)에서는, 혈액 압력센서(35)의 출력값(P)이 소정 압력값(Pa)에 달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소정 압력값(Pa)은 -10㎜Hg∼10㎜Hg이 바람직하다. 단계(SA3)에서, 혈액 압력센서(35)의 출력값(P)이 소정 압력값(Pa)에 달하여 "YES"로 판정되면, 다음 단계(SA4)로 진행한다.
한편, 단계(SA3)에서 "NO"로 판정된 경우에는, 혈액펌프(13)를 작동시켜도 혈액회로(11)의 압력이 충분히 높아지지 않는다는 것이며, 혈액회로(11)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생각되므로, 단계(SA12)로 진행하고, "이상 있음"으로 통지한다. 이 경우의 "이상"이란, 혈액회로(11) 라인(21, 23, 27, 28, 29)의 접속부가 빠진 상태나, 클램프(33, 36)가 장착되지 않는 상태, 또는 라인(21, 23, 27, 28, 29)에 균열이 발생하여 액체가 누출된 상태 등을 말한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으나, 혈액 처리기(10)에 다른 라인이 접속되거나, 동맥측 드립챔버(24) 및 정맥측 드립챔버(25)에 다른 라인이 각각 접속된 경우에는, 그들 라인 접속부가 빠지거나 균열이 발생한 경우도, 상기 "이상"에 포함된다.
단계(SA3)에서 "YES"로 판정되어 진행한 단계(SA4)에서는, 혈액펌프(13)에 의해 공급하는 액체의 유량을 증가시킨다. 이때 유량은 50㎖/min∼100㎖/min이 바람직하다. 이 단계(SA4)에서는, 혈액회로(11)에, 미리 설정한 양의 액체가 충전된다.
단계(SA4) 다음의 단계(SA5)에서는, 혈액 압력센서(35)의 출력값(P)이 소정 압력값(Pb)에 달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소정 압력값(Pb)은, 통상 투석실행 시의 혈액회로(11) 내 압력(200㎜Hg 미만)보다 높은 값(200㎜Hg 이상)이다. 소정 압력값(Pb)의 상한은 300㎜Hg 이하가 바람직하다. 300㎜Hg보다 높게 하면, 혈액회로(11)에 걸리는 부하가 커지기 때문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혈액회로(11) 내 압력을 통상 투석실행 시보다 높이기 전(단계(SA3))에, "이상" 유무를 1회 판정하도록 하므로, 가령 누출이 있는 경우라도, 그 누출량을 적게 할 수 있다.
단계(SA5)에서 "NO"로 판정된 경우에는, 혈액펌프(13)를 작동시켜도 혈액회로(11)의 압력이 충분히 높아지지 않는다는 것이며, 상기한 바와 같은 "이상"이 혈액회로(11)에 발생한 것으로 생각되므로, 단계(SA12)로 진행하며, "이상 있음"으로 통지한다.
단계(SA5)에서 "YES"로 판정되어 진행한 단계(SA6)에서는 혈액펌프(13)를 정지시킨다.
단계(SA6) 다음의 단계(SA7)에서는, 혈액펌프(13)가 정지된 직후의 혈액회로(11) 내 압력을 혈액 압력센서(35)로부터 얻고, P0으로 기억해 둔다.
다음 단계(SA8)에서는, 단계(SA7)를 거친 후의 혈액 압력센서(35) 출력값을 P1로 기억해 둔다. 여기서, 혈액 압력센서(35)는 짧은 주기로 혈액회로(11)의 압력을 출력하므로, P1은, P0이 측정되고 나서 1초 이내의 짧은 시간이 경과한 후의 혈액회로(11) 내 압력을 나타내는 것이다.
단계(SA8) 다음의 단계(SA9)에서는, P0으로부터 P1을 뺀 값이 소정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소정값은 5㎜Hg∼10㎜Hg이 바람직하다.
단계(SA9)에서 "NO"로 판정되면, 단계(SA10)로 진행한다. 단계(SA10)에서는, 혈액펌프(13)를 정지시킨 후 소정시간이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소정시간은 5초∼10초가 바람직하다. 단계(SA10)에서 "NO"로 판정되면, 단계(SA8)로 돌아가, 전회 P1로 기억한 값을 소거하고, 혈액 압력센서(35)의 출력값(P)을 새로 P1로서 기억한 후 단계(SA9)로 진행한다.
단계(SA9)에서 "YES"로 판정되면, 혈액펌프(13)가 정지된 후 단시간(5초∼10초)에 혈액회로(11) 내 압력이 소정값(5㎜Hg∼10㎜Hg) 이상으로 저하되었다는 것이며, 혈액회로(11) 내 액체가 누출된 것으로 생각되므로, 단계(SA12)로 진행하고, "이상 있음"으로 통지한다.
즉, 상기 단계(SA7∼SA10)에 의해, 혈액펌프(13)가 정지된 후 소정시간 내에 혈액회로(11) 압력이 소정값 이상으로 저하됐는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단계(SA6)에서 혈액펌프(13)를 정지시킬 때의 압력은 200㎜Hg 미만이라도 된다.
단계(SA10)에서 "YES"로 판정되면, 혈액펌프(13)가 정지된 후 단시간(5초∼10초)에 혈액회로(11) 내 압력이 크게 저하되지 않는다는 것이며, 누출 등의 이상이 없는 것으로 생각되므로, 다음 단계(SA11)로 진행하고, "이상 없음"으로 통지한다. 단계(SA11)에서는 표시패널(3b)에 "이상 없음"으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기포검지기(31, 32)가 기포를 검지한 경우에는, 제어유닛(4)이 표시패널(3b) 등에 그 내용을 표시하여 통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기포검지기(31)가 프라이밍용 라인(26)보다 하류측에 설치되므로, 기포검지기(31)의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프라이밍용 라인(26)에 이상이 발생한 것도 검지할 수 있다. 기포검지기(31)는 프라이밍용 라인(26)보다 상류측에 설치해도 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혈액 투석 장치(1)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투석을 시작하기 전에 의료종사자가 투석준비를 한다. 이 투석준비의 순서를 도 4의 흐름도에 나타낸다. 개시 후 단계(SB1)에서는 회로를 설치한다. 즉, 혈액 처리기(10)에 동맥라인(21) 및 정맥라인(23)을 접속하고, 프라이밍액 용기(A) 및 실린지펌프(SP)를 동맥라인(21)에 접속한다. 또 투석액회로(12)를 혈액 처리기(10)에 접속한다. 또한 압력모니터 라인(27, 42)을 혈액 압력센서(35) 및 투석액 압력센서(43)에 접속해 둔다. 그리고 실린지펌프(SP)에는 혈액 응고제 등이 충전된 실린지를 설치해 둔다.
단계(SB1) 다음의 단계(SB2)에서는 프라이밍 처리를 실시한다. 즉, 프라이밍용 라인(26)의 클램프(30)를 개방상태로 하여, 프라이밍용 용기(A) 내의 프라이밍액을 혈액회로(11)로 공급한다. 이때 유속은 150㎖/min 정도가 바람직하다. 이로써, 혈액회로(11) 및 혈액 처리기(10)를 세척하는 동시에, 혈액회로(11) 내 및 혈액 처리기(10)의 혈액유로 내로부터 기포를 제거한다. 이 기포를 제거할 때, 혈액 처리기(10) 등을 가볍게 두드린다. 혈액회로(11) 내 및 혈액 처리기(10)를 충분히 세척한 후(프라이밍 처리 후), 혈액회로(11) 및 혈액 처리기(10)로의 충전용 생리적 식염수를 프라이밍용 라인(26)으로부터 혈액회로(11) 및 혈액 처리기(10)로 충전한다.
단계(SB2) 다음의 단계(SB3)에서는, 배액 라인(29)의 클램프(36)를 폐쇄상태로 하며, 정맥라인(23)에 개방상태인 클램프(33)를 장착한다. 그 후 단계(SB4)로 진행하고, 혈액 처리기(10)의 투석액유로와, 투석액회로(12)에 투석액을 충전한다. 그리고 투석액회로(12)의 개폐밸브(15, 16)를 폐쇄상태로 하여 투석액회로(12)를 폐색해 둔다.
단계(SB4) 다음의 단계(SB5)에서는, 혈액회로(11)에 이상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단계(SB5)에서는, 도 3에 나타낸 판정 흐름에 의한 제어가 이루어진다.
즉, 혈액펌프(13)를 작동시킨 후, 먼저 단계(SA2)에서 혈액회로(11)의 압력상승량이 투석액회로(12)의 압력상승량보다 소정값 이상으로 적은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혈액회로(11)의 압력상승량과 투석액회로(12)의 압력상승량과의 차가 작으면 단계(SA3)로 진행하며, 출력값(P)이 소정 압력값(Pa)에 달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출력값(P)이 소정 압력값(Pa)에 달한 경우에는 단계(SA4)로 진행하며, 혈액펌프(13)에 의해 수송하는 생리적 식염수의 유량을 증가시킨다. 그리고 단계(SA5)로 진행하며, 출력값(P)이 소정 압력값(Pb)에 달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출력값(P)이 소정 압력값(Pb)에 달한 경우에는 단계(SA6)로 진행하며, 혈액펌프(13)를 정지시킨다. 그리고 단계(SA7∼SA10)에서, 혈액펌프(13)가 정지된 후 단시간에 혈액회로(11) 내 압력이 크게 저하됐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저하되지 않았다고 판정되면, 단계(SA11)에서 "이상 없음"으로 통지한다.
한편, 단계(SA2)에서 "YES"로 판정되면, 예를 들어 압력모니터 라인(27)이 폐색되거나 폐색되어 가는 이상상태인 것을 생각할 수 있으며, 단계(SA12)에 진행하여 의료종사자에게 통지한다. 단계(SA2)에서 "NO"로 판정되어도 단계(SA3)에서 "NO"로 판정되면, 혈액회로(11)의 압력이 상승하지 않는다는 것이므로, 혈액회로(11) 각 라인(21, 22, 26∼29)의 접속부가 빠지거나, 각 라인(21, 22, 26∼29)이나 혈액 처리기(10)에 누출부분이 있어, 생리적 식염수가 누출되고 있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단계(SA12)로 진행하여 의료종사자에게 통지한다. 이 단계(SA3)에서는, 클램프(33, 36)가 개방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계(SA3)에서 "YES"로 판정되어도, 단계(SA5)에서 "NO"로 판정되면, 혈액회로(11)의 압력이 소정 압력값(Pb)에 달하지 않는다는 것이므로, 혈액회로(11) 각 라인(21, 22, 26∼29)의 접속부가 빠지거나, 또는 각 라인(21, 22, 26∼29)이나 혈액 처리기(10)에 누출부분이 있어, 생리적 식염수가 누출되고 있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단계(SA12)에서 의료종사자에게 통지한다.
또 단계(SA5)에서 "YES"로 판정되어 진행한 단계(SA7∼SA10)에서, 혈액펌프(13)가 정지되고 나서 단시간에 혈액회로(11)의 압력이 크게 저하된 것으로 판정되면, 혈액회로(11)의 생리적 식염수가 누출된 것으로 생각되며, 단계(SA12)로 진행하여 의료종사자에게 통지한다.
상기 판정 시에는, 혈액회로(11)의 압력을 통상 투석실행 시의 압력보다 높게 하므로, 혈액회로(11)의 접속부분이 느슨해진 부분이나, 투석실행 시와 같이 저압에서는 접속불량 발견이 어려운 부분이 있는 경우에, 그들을 발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압력 상한을 300㎜Hg 이하로 하므로, 혈액회로(11)에 무리하게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이 혈액 투석 장치(1)에 의하면, 프라이밍 처리 후에, 혈액회로(11)에 혈액펌프(13)에 의해 생리적 식염수를 충전시킨 상태에서, 혈액 압력센서(35)의 출력값(P)에 기초하여, 혈액회로(11)에 이상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얼마 후, 도 4에 나타내는 흐름도의 단계(SB6)에 진행하며, 탈혈을 실행한다. 탈혈 전에는, 투석액을 액체온도가 기준값이 될 때가지 덥혀 둔다. 그리고 천자바늘(20, 22)을 환자에 천자하고 혈액펌프(13)를 작동시키는 동시에, 배액 라인(29)의 클램프(36)를 개방함으로써, 환자의 혈액을 동맥라인(21)으로부터 동맥측 드립챔버(24)를 거쳐 혈액 처리기(10)로 유입시킨다. 혈액펌프(13)의 회전속도는, 혈액 유량이 10㎖/min∼30㎖/min으로 되도록 한다. 혈액이 혈액 처리기(10)에 달할 때까지는, 혈액회로(11) 및 혈액 처리기(10) 내 생리적 식염수가 배액 라인(29)으로부터 유출된다. 이때, 프라이밍용 라인(26)의 클램프(30)는 폐쇄해 둔다.
탈혈이 끝나면, 배액 라인(29)의 클램프(36)를 폐쇄상태로 하며, 정맥라인(23)의 클램프(33)도 폐쇄상태로 한다. 그리고 단계(SB7)로 진행하며, 단계(SB5)와 마찬가지로, 혈액회로(11)에 이상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때 혈액회로(11)에는 혈액이 도입되게 되며, 그 유량은 50㎖/min∼100㎖/min가 바람직하다. 이 단계(SB7)에서는, 단계(SB5)와 마찬가지의 제어가 실행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에 관한 혈액 투석 장치(1)에 의하면, 혈액회로(11)에 혈액펌프(13)에 의해 생리적 식염수나 혈액을 충전시킨 상태에서, 혈액 압력센서(35)의 출력값(P)에 기초하여, 혈액회로(11)에 이상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하므로, 종래예와 같은 프라이밍액의 낙차압에 기초하는 일없이, 또 혈액처리에는 상관이 없는 공기펌프를 이용하는 일없이, 혈액회로(11)의 이상을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라이밍액의 낙차압을 이용하지 않으므로, 프라이밍액을 가능한 한 높은 곳에 배치할 필요가 없고, 준비작업이 용이해지며, 더욱이 프라이밍 처리 후에, 혈액을 혈액회로(11)에 충전한 상태라도 접속불량 등의 이상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공기펌프를 이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원가상승을 초래하는 일은 없으며, 또 생리적 식염수를 충전한 프라이밍 처리 시, 및 그 이후에 혈액을 충전한 탈혈 후라도, 이상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비압축성 유체인 생리적 식염수나 혈액을 혈액회로(11)에 충전하여 혈액회로(11)의 압력을 검출하도록 함으로써, 검출작업 실행이 가능해질 때까지의 시간이, 공기를 충전하여 검출하는 경우에 비해 짧아지며, 더욱이 주위 온도변화에 따라 압력이 변동되기 어려워져, 정확한 검출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준비작업을 번잡하게 하는 일없이, 더욱이 원가상승을 초래하는 일없이, 프라이밍 처리 시나 프라이밍 처리 후에도 "이상"을 높은 정밀도로 또 단시간에 검출할 수 있어, 치료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또 혈액회로(11)의 압력을 환자의 투석실행 시 압력보다 높은 압력으로 한 후, 혈액 압력센서(35)의 출력값이 단시간에 저하된 것을 검출한 경우, 혈액회로(11)에 누출부분이 있다고 판정하도록 하므로, 누출될 우려가 있는 부분을 치료개시 전에 확실하게 발견할 수 있다.
또한 투석액회로(12)를 폐색할 수 있으므로, 혈액회로(11)에 충전한 액체가 투석액회로(12)로 흐른 경우라도, 혈액회로(11)의 이상 판정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게 할 수 있어, 혈액회로(11)의 이상을 높은 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혈액회로(11)의 정맥라인(23)에만 압력모니터 라인(27)을 접속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5에 나타내는 변형예 1과 같이, 동맥측 드립챔버(24)에 압력모니터 라인(45)을 접속하여, 이 압력모니터 라인(45)에 동맥측 압력센서(46)를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이 동맥측 압력센서(46)는 제어유닛(4)에 접속된다. 이로써, 예를 들어 한쪽 압력센서가 고장난 경우나, 그 한쪽 압력센서가 접속된 압력모니터 라인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 다른 쪽 압력센서의 출력값에 기초하여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또 투석액 압려센서(43)의 출력값에 기초하여, 혈액회로(11)에 불량부분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해도 된다. 즉, 혈액 처리기(10)의 혈액유로 내에는 혈액펌프(13)에 의한 압력이 작용하므로, 혈액유로 내에 생리적 식염수가 있는 경우에는 그 생리적 식염수가 반투막을 통과하여 투석액유로로 흐르게 되어, 투석액 압력센서(43)의 출력값(V)은 상승한다. 이것을 이용하여, 혈액 압력센서(35)가 고장난 경우나, 혈액회로(11)의 압력모니터 라인(27)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 투석액 압력센서(43)의 출력값에 기초하여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실린지펌프 접속라인(28)을 혈액펌프(13)와 동맥측 드립챔버(24) 사이에 접속하도록 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혈액펌프(13)보다 상류측에 접속하도록 해도 된다. 또 실린지펌프 접속라인(28)은 생략해도 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으나, 공급라인(40) 상류 끝과 배출라인(41) 하류 끝에 접속되는 등량화 챔버와, 라인(40, 41) 중간부에 설치되는 액 수송펌프에 의해 밀폐 순환회로를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이 밀폐 순환회로로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공개 2007-222668호 공보에 개시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등량화 챔버 내에는 가요성을 갖는 격막이 설치된다. 등량화 챔버의 한쪽 방으로부터 공급라인(40)으로 공급된 신선한 투석액과 동일량의 사용후 투석액이 배출라인(41)으로부터 등량화 챔버 내의 다른 쪽 방으로 환류되게 된다.
또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지속 혈액여과요법 등을 행하는 장치에 적용할 수도 있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혈액 투석 장치는, 혈액회로의 이상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1 : 혈액 투석 장치 4 : 제어유닛
10 : 혈액 처리기 11 : 혈액회로
12 : 투석액회로 13 : 혈액펌프
21 : 동맥 라인 23 : 정맥 라인
27 : 압력모니터 라인 33, 36 : 클램프(차단부)
35 : 혈액 압력센서(혈액회로 압력 검출부)
43 : 투석액 압력센서(투석액회로 압력 검출부)

Claims (9)

  1. 환자의 혈액이 흐르는 혈액유로와, 투석액이 흐르는 투석액 유로가 반투막에 의해 구획 형성된 혈액 처리기와,
    환자로부터 도출한 혈액을 상기 혈액유로로 도입하며, 상기 혈액유로를 흐른 혈액을 도출시켜 환자로 되돌리는 혈액회로와,
    상기 혈액회로에 설치되며, 혈액을 압송하는 혈액펌프와,
    투석액을 상기 투석액 유로로 도입하며, 상기 투석액 유로를 흐른 투석액을 도출시키는 투석액 회로와,
    상기 혈액회로의 혈액펌프보다 하류측에 설치되며, 상기 혈액회로를 차단하는 차단부와,
    상기 혈액회로 내의 상기 혈액펌프와 상기 차단부 사이의 압력을 검출하는 혈액회로 압력 검출부와,
    상기 혈액펌프 및 상기 혈액회로 압력 검출부가 접속되는 제어유닛과,
    상기 투석액 회로 내의 압력을 검출하는 투석액 회로 압력 검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차단부로 차단된 상기 혈액회로에 상기 혈액펌프에 의해 액체를 충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혈액회로 압력 검출부에서 검출된 압력에 기초하여 상기 혈액회로에 이상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혈액회로는, 상기 혈액회로 압력 검출부가 접속되는 압력모니터 라인을 가지며,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혈액회로 압력 검출부에서 검출된 혈액 압력 상승량과, 상기 투석액회로 압력 검출부에서 검출된 투석액 압력 상승량을 비교하여, 혈액 압력 상승량이 투석액 압력 상승량보다 소정값 이상으로 적은 것을 검출한 경우에, 상기 압력모니터 라인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혈액회로 압력 검출부에서 검출된 압력이 소정 압력 이하인 경우에, 상기 혈액회로에 누출부분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투석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프라이밍(priming) 처리 후에, 상기 혈액회로에 이상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투석 장치.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혈액회로 내의 압력을 혈액처리 실행 시의 압력보다 높은 압력으로 한 후, 상기 혈액회로에 누출부분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투석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혈액회로에 액체를 충전시킨 상태에서 혈액펌프를 정지시킨 후, 상기 혈액회로 압력 검출부로부터 상기 혈액회로 내 압력을 계속해서 얻고, 상기 압력이 소정시간 내에 소정값 이상으로 저하된 것을 검출한 경우에, 상기 혈액회로에 누출부분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투석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석액 회로가 폐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투석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혈액회로는, 환자로부터 도출한 혈액을 혈액 처리기의 혈액유로로 도입시키는 동맥 라인과, 상기 혈액유로를 흐른 혈액을 도출시켜 환자로 되돌리는 정맥 라인을 구비하며,
    상기 동맥 라인 및 상기 정맥 라인에 혈액회로 압력 검출부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어유닛에는, 상기 2개의 혈액회로 압력 검출부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투석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석액회로 내 압력을 검출하는 투석액 회로 압력 검출부가 상기 제어유닛에 접속되며,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투석액 회로 압력 검출부에서 검출된 압력에 기초하여 상기 혈액회로에 이상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투석 장치.
KR1020107000015A 2007-06-29 2008-06-27 혈액 투석 장치 KR1014874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72945 2007-06-29
JPJP-P-2007-172945 2007-06-29
PCT/JP2008/001682 WO2009004777A1 (ja) 2007-06-29 2008-06-27 血液透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5699A KR20100035699A (ko) 2010-04-06
KR101487425B1 true KR101487425B1 (ko) 2015-01-29

Family

ID=40225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0015A KR101487425B1 (ko) 2007-06-29 2008-06-27 혈액 투석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287480B2 (ko)
EP (1) EP2174677A1 (ko)
JP (1) JP5370152B2 (ko)
KR (1) KR101487425B1 (ko)
CN (1) CN101687069B (ko)
TW (1) TW200902100A (ko)
WO (1) WO20090047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82764B2 (ja) * 2005-09-30 2010-06-16 Smc株式会社 外部配管保護機能をもつ恒温液循環装置
US8092414B2 (en) 2005-11-09 2012-01-10 Nxstage Medical, Inc. Diaphragm pressure pod for medical fluids
US10537671B2 (en) 2006-04-14 2020-01-21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Automated control mechanisms in a hemodialysis apparatus
US9028691B2 (en) 2007-02-27 2015-05-12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Blood circuit assembly for a hemodialysis system
US10463774B2 (en) 2007-02-27 2019-11-05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Control systems and methods for blood or fluid handling medical devices
US8409441B2 (en) 2007-02-27 2013-04-02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Blood treatment systems and methods
US8491184B2 (en) 2007-02-27 2013-07-23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Sensor apparatus systems, devices and methods
EP3533481B1 (en) 2007-02-27 2024-04-03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Hemodialysis systems
US10201647B2 (en) 2008-01-23 2019-02-12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Medical treatment system and methods using a plurality of fluid lines
US11833281B2 (en) 2008-01-23 2023-12-05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Pump cassette and methods for use in medical treatment system using a plurality of fluid lines
JP5231964B2 (ja) * 2008-12-09 2013-07-10 日機装株式会社 血液浄化装置
JP5231967B2 (ja) * 2008-12-11 2013-07-10 日機装株式会社 血液浄化装置
US8747297B2 (en) 2009-03-02 2014-06-10 Olympus Corporation Endoscopic heart surgery method
JP5415925B2 (ja) 2009-03-02 2014-02-12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
JP5567840B2 (ja) * 2009-09-22 2014-08-0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細胞注入デバイス
EP2481377A4 (en) * 2009-09-22 2017-12-20 Olympus Corporation Space-securing device
WO2011037046A1 (ja) * 2009-09-22 2011-03-31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治療液注入デバイス
CA3210106A1 (en) 2010-07-07 2012-01-12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Medical treatment system and methods using a plurality of fluid lines
CN103037916A (zh) * 2010-08-05 2013-04-10 日机装株式会社 血液净化装置及其漏液检查方法
DE102010034553A1 (de) * 2010-08-17 2012-03-08 Fresenius Medical Care Deutschland Gmbh Vorrichtung zur Ermittlung und/oder Überwachung von Fremdstrukturen in einem Fluid oder einem Fluidstrom sowie Verfahren hierzu
PL2468324T3 (pl) * 2010-12-22 2014-06-30 Gambro Lundia Ab Sposób i system do wykrywania lub weryfikowania obwodu krwi podłączonego do konsoli do pozaustrojowej obróbki krwi
DE102011016870B4 (de) * 2011-04-13 2013-06-20 Fresenius Medical Care Deutschland Gmbh Vorrichtung zum Fördern von einer Flüssigkeit zu einer Filtereinheit einer medizinischen Behandlungsvorrichtung sowie Verfahren zum Messen des Drucks in dem Flüssikgeitssystem einer derartigen Vorrichtung
US9999717B2 (en) 2011-05-24 2018-06-19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vascular access disconnection
MX368025B (es) 2011-05-24 2019-09-13 Deka Products Lp Sistema de hemodiálisis.
WO2012166980A2 (en) 2011-05-31 2012-12-06 Nxstage Medical, Inc. Pressure measurement devices, methods, and systems
DE102011108784A1 (de) * 2011-07-29 2013-01-31 Fresenius Medical Care Deutschland Gmbh Verfahren sowie Vorrichtungen zum Überprüfen wenigstens einer Funktion einer medizinischen Funktionseinrichtung
JP5778004B2 (ja) * 2011-11-14 2015-09-16 日機装株式会社 血液浄化装置
US9844620B2 (en) * 2012-12-20 2017-12-19 Gambro Lundia Ab Blood set component connection detection
EP4233987A3 (en) * 2013-03-15 2023-09-20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Blood treatment systems
DE102013007044A1 (de) * 2013-04-24 2014-10-30 Fresenius Medical Care Deutschland Gmbh Steuereinheit und Verfahren zur Bestimmung eines Drucks in einem Blutgefäß, insbesondere in einer arteriovenösen Fistel
JP6147146B2 (ja) * 2013-09-02 2017-06-14 日機装株式会社 血液浄化装置
WO2015188154A1 (en) 2014-06-05 2015-12-10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System for calculating a change in fluid volume in a pumping chamber
WO2016057981A1 (en) 2014-10-10 2016-04-14 Nxstage Medical, Inc. Pinch clamp devices, methods, and systems
JP6488712B2 (ja) * 2015-01-15 2019-03-27 ニプロ株式会社 透析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517023B2 (ja) * 2015-01-23 2019-05-22 日機装株式会社 血液浄化装置
JP6437349B2 (ja) 2015-03-10 2018-12-12 日機装株式会社 血液浄化装置
JP6516559B2 (ja) 2015-05-21 2019-05-22 日機装株式会社 血液浄化装置
JP6813484B2 (ja) 2015-06-24 2021-01-13 日機装株式会社 血液浄化装置
JP6111351B1 (ja) 2016-01-25 2017-04-05 日機装株式会社 血液浄化装置
US11865243B2 (en) 2016-08-30 2024-01-09 Nxstage Medical, Inc. Parameter monitoring in medical treatment systems
JP6998112B2 (ja) 2016-09-12 2022-01-18 日機装株式会社 血液浄化装置
JP6826852B2 (ja) 2016-09-23 2021-02-10 日機装株式会社 血液浄化装置
US10376843B2 (en) 2017-01-20 2019-08-13 Fresenius Medical Care Holdings, Inc. Method of detecting a leak in a heat exchanger of a hemodialysis machine
DE102017007485A1 (de) 2017-08-09 2019-02-14 Lts Lohmann Therapie-Systeme Ag Adaptersystem mit Rahmen, Wirkstoffpad und Deckel
CN112867517A (zh) * 2017-12-22 2021-05-28 费森尤斯医疗护理德国有限责任公司 用于测量平衡腔系统的填充时间的装置、用于检测平衡腔系统中的异常的装置、平衡腔模块、透析系统及相应的方法
JP6571234B1 (ja) * 2018-03-26 2019-09-04 日機装株式会社 血液浄化装置
CN112566678B (zh) * 2018-08-09 2024-04-09 甘布罗伦迪亚股份公司 用于检测体外回路中的流动阻塞的方法、装置和计算机程序
CN115887804A (zh) * 2021-08-18 2023-04-04 汾沃有限公司 在流体流动回路的灌注期间对流体流的控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75440U (ko) * 1987-11-06 1989-05-22
JPH0775668A (ja) * 1992-11-27 1995-03-20 Fresenius Ag 血液透析装置の透析器の透析セクションにおける構成部品の操作性を決定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装置
JPH11253550A (ja) * 1997-12-23 1999-09-21 Fresenius Medical Care Deutsche Gmbh 血液処理装置の個別装置の機能性を監視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血液処理装置の個別装置の機能性を監視するための装置を備えた血液処理装置
JP2003180823A (ja) * 2001-12-18 2003-07-02 Kita Kyushu Biophysics Kenkyusho:Kk 自動血液透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8871B2 (ja) 1987-09-16 1995-11-22 三井石油化学工業株式会社 4,4’‐ジヒドロキシビフェニルの製造方法
DE3923078C1 (ko) * 1989-07-13 1990-09-27 Fresenius Ag, 6380 Bad Homburg, De
US5910252A (en) * 1993-02-12 1999-06-08 Cobe Laboratories, Inc. Technique for extracorporeal treatment of blood
US5591344A (en) * 1995-02-13 1997-01-07 Aksys, Ltd. Hot water disinfection of dialysis machines, including the extracorporeal circuit thereof
US5711883A (en) * 1995-09-27 1998-01-27 Fresenius Usa, Inc. Method for testing dialyzer integrity prior to use
JP2002095741A (ja) 2000-09-25 2002-04-02 Kuraray Co Ltd 体液処理装置および体液回路内の接続不良の検出方法
JP4457235B2 (ja) * 2001-12-18 2010-04-28 株式会社北九州バイオフィジックス研究所 自動血液透析装置および該装置を使用したプライミング方法。
DE10201109C1 (de) * 2002-01-15 2003-01-23 Fresenius Medical Care D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Detektion einer Leckage in einem Flüssigkeitssystem einer Blutbehandlungsvorrichtung
EP1590018B1 (en) * 2003-01-28 2012-09-26 Gambro Lundia AB An apparatus for monitoring a vascular access of a patient
JP4282505B2 (ja) 2004-02-06 2009-06-24 旭化成クラレメディカル株式会社 血液浄化装置における回路の接続不良検出方法および血液浄化装置
JP2007222668A (ja) 2007-04-27 2007-09-06 Toray Medical Co Ltd 血液透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75440U (ko) * 1987-11-06 1989-05-22
JPH0775668A (ja) * 1992-11-27 1995-03-20 Fresenius Ag 血液透析装置の透析器の透析セクションにおける構成部品の操作性を決定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装置
JPH11253550A (ja) * 1997-12-23 1999-09-21 Fresenius Medical Care Deutsche Gmbh 血液処理装置の個別装置の機能性を監視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血液処理装置の個別装置の機能性を監視するための装置を備えた血液処理装置
JP2003180823A (ja) * 2001-12-18 2003-07-02 Kita Kyushu Biophysics Kenkyusho:Kk 自動血液透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370152B2 (ja) 2013-12-18
EP2174677A1 (en) 2010-04-14
CN101687069B (zh) 2013-01-16
CN101687069A (zh) 2010-03-31
US20100191164A1 (en) 2010-07-29
TW200902100A (en) 2009-01-16
KR20100035699A (ko) 2010-04-06
US8287480B2 (en) 2012-10-16
WO2009004777A1 (ja) 2009-01-08
JPWO2009004777A1 (ja) 2010-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7425B1 (ko) 혈액 투석 장치
KR101150292B1 (ko) 혈액투석장치
US7985196B2 (en) Method for at least partially draining an extracorporeal blood flow and haemodialysis device for use with said method
US4490135A (en) Single needle alternating blood flow system
US7935249B2 (en) Blood pur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blood purification
JP2005525129A (ja) 流体ラインの漏れを検出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本願は、2001年7月7日に出願された米国特許出願第09/900,362号の優先権を主張するものである。
EP3299048A1 (en) Blood purification device
JP3865152B2 (ja) 血液透析用自動準備装置
EP3369442B1 (en) Blood purification apparatus
EP3679965A1 (en) Blood pur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charging bubbles therefrom
JP2004105226A (ja) 血液透析装置
JP2007222668A (ja) 血液透析装置
US20200093976A1 (en) Blood Purification Apparatus
US20200093975A1 (en) Blood Purification Apparatus
WO2020138151A1 (ja) 血液透析装置及び補充液ラインの接続状態検出方法
JP7293761B2 (ja) 透析装置及び回路セットの判定方法
JP2019170856A (ja) 液面調整機構及び該液面調整機構を備える血液浄化装置
JP6783897B1 (ja) 血液浄化装置
US11992595B2 (en) Extracorporeal blood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pressures in an extracorporeal blood treatment apparatus
CN117881438A (zh) 血液净化装置
JP2022185796A (ja) 血液浄化装置
JP2024035694A (ja) 透析装置および補液通路の接続チェック方法
JP5078122B2 (ja) 血液浄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