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8817B1 - 경계석용 줄눈밴드 및 이를 구비하는 도로경계석 조립체 - Google Patents

경계석용 줄눈밴드 및 이를 구비하는 도로경계석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8817B1
KR101478817B1 KR1020140106050A KR20140106050A KR101478817B1 KR 101478817 B1 KR101478817 B1 KR 101478817B1 KR 1020140106050 A KR1020140106050 A KR 1020140106050A KR 20140106050 A KR20140106050 A KR 20140106050A KR 101478817 B1 KR101478817 B1 KR 101478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undary
pair
joint band
boundary stones
sto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6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낙훈
Original Assignee
최낙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낙훈 filed Critical 최낙훈
Priority to KR1020140106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88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8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8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09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경계석용 줄눈밴드는,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경계석이 마주보는 면 중 상측영역에 위치되며, 상기 한 쌍의 경계석과 접촉되는 양면에 오목홈이 형성되는 상단부; 상기 상단부의 양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경계석이 마주보는 면 중 좌우측 영역에 위치되고, 하측 일부는 상기 경계석과 함께 콘크리트 타설되어 고정되며, 상기 경계석과 접촉되는 양면에 오목홈이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부; 상기 한 쌍의 측면부 하측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상기 상단부와 측면부와 연결부 사이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단부와 측면부와 연결부는, 기준치 이상의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되 동일 두께를 갖도록 일체로 제작되어 연이어 배열되는 한 쌍의 경계석 사이에 압착 고정된다. 본 발명에 의한 도로경계석 조립체는, 일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계석과,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줄눈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경계석용 줄눈밴드 및 이를 구비하는 도로경계석 조립체{Joint band for boundary stone and road boundary stone assembly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연이어 배열되는 두 개의 경계석 사이에 삽입되는 줄눈밴드 및 이를 구비하는 도로경계석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내구성과 시인성과 작업성이 우수하도록 구성되는 줄눈밴드 및 이를 구비하는 도로경계석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경계석은 인도와 차도를 구분될 수 있도록 하면서 아울러 차도로 통행하는 차가 주행 중 인도로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인도가 차도보다 소정의 높이 차를 갖도록 시공된다. 그리고 이 도로경계석을 통하여 차도와 구분된 보도는 마감재를 사용하여 경계석과 동일한 높이로 마무리된다. 보도의 마감재로는 일정한 크기를 갖는 보도블록이나 아스팔트 등을 사용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도로경계석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도로경계석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일반적으로 도로경계석 조립체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블록형상의 경계석(10)이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 연이어 배열되도록 구성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계석(10)과 경계석(10)의 사이의 틈에는 시멘트 줄눈재(20)가 채워져 각각의 경계석(10) 사이에 줄눈이 형성된다. 상기 줄눈 작업은 경계석(10)이 상호간에 유동되지 않고 결속되도록 고정하는 것과 아울러 마감을 살릴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만일 이 줄눈작업을 하지 않을 경우 경계석의 유동이 쉽게 발생하여 상호간에 분리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줄눈작업을 위해서는 경계석(10)과 경계석(10) 사이에 시멘트 줄눈재(20)를 안측까지 깊숙이 채워 넣어야 제 기능을 다하게 되므로 작업이 까다롭고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현재 인력난으로 인한 인건비 상승으로 작업이 번거로운 줄눈작업은 시공자에게 경비의 부담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작업의 필요성을 인식하면서도 형식적으로 보이는 바깥부위만 작업하던지, 아니면 아예 줄눈작업을 기피하여 시공하는 현상이 두드러진 추세에 있다.
이렇게 시공된 경계석의 줄눈은 외부충격 인가 시 경계석을 연결하는 시멘트 줄눈재(20)에 쉽게 균열이 발생하게 되고, 하절기시 빗물에 의해 쓸려가거나 동절기시 수분의 동결에 의한 기상의 변화에 의해서 쉽게 파손된다. 따라서 경계석 상호간의 결속력을 높여주는 줄눈의 기능이 소멸되어 경계석에 유동이 발생하고 심할 경우 차도로 쓰러지게 되어 각종 사고를 유발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관리자는 이로 인한 보수에 따르는 추가 경비를 부담해야 하는 형편이었다.
또한,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는 시멘트 줄눈재(20)는 통상적으로 무채색으로 제작되어 시인성이 낮으므로, 도로의 패턴을 운전자나 보행자에게 시각적으로 알리는 기능은 전혀 수행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KR 10-0212952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이웃하는 두 개의 경계석 사이에 압착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종래의 시멘트 줄눈재를 대체할 수 있고, 시인성이 매우 우수하여 운전자나 보행자에게 도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줄눈밴드 및 이를 구비하는 도로경계석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경계석용 줄눈밴드는,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경계석이 마주보는 면 중 상측영역에 위치되며, 상기 한 쌍의 경계석과 접촉되는 양면에 오목홈이 형성되는 상단부;
상기 상단부의 양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경계석이 마주보는 면 중 좌우측 영역에 위치되고, 하측 일부는 상기 경계석과 함께 콘크리트 타설되어 고정되며, 상기 경계석과 접촉되는 양면에 오목홈이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부;
상기 한 쌍의 측면부 하측을 연결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여,
상기 상단부와 측면부와 연결부 사이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단부와 측면부와 연결부는, 기준치 이상의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되 동일 두께를 갖도록 일체로 제작되어 연이어 배열되는 한 쌍의 경계석 사이에 압착 고정된다.
상기 상단부와 측면부 중 외부를 향하는 측에 발광부가 매립구조로 장착되되, 상기 발광부는 다수 개의 엘이디를 구비하여 외부로 빛을 조사하도록 구성되거나, 외부로부터 인가된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판 구조로 구성된다.
폭방향 일측이 상기 상단부의 상면과 상기 측면부의 외측면에 접착되고, 폭방향 타측이 상기 경계석의 상면과 측면에 접착되어, 상기 상단부와 측면부를 상기 경계석의 길이방향 일단에 고정시키는 접착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상단부의 상단과 상기 측면부의 외측단으로부터 상기 경계석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경계석의 상면과 측면에 접착되며, 상기 상단부 및 측면부와 연결된 부위에는 절취홈이 형성되는 접착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도로경계석 조립체는,
일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계석과,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줄눈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줄눈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도로경계석 조립체는, 이웃하는 두 개의 경계석 사이에 시멘트 줄눈재를 채워 넣는 작업 없이도 이웃하는 두 개의 경계석을 고정시킬 수 있고, 외부충격이나 빗물 등에 의해 줄눈이 파손되거나 유실되지 아니하므로 내구성이 우수하며, 시인성이 매우 우수하여 운전자나 보행자에게 도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도로경계석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도로경계석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줄눈밴드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줄눈밴드 제2 실시예의 사시도 및 장착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줄눈밴드 제3 실시예의 사시도 및 장착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줄눈밴드 제4 실시예의 정면도 및 장착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줄눈밴드 제5 실시예의 정면도 및 장착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경계석용 줄눈밴드 및 이를 구비하는 도로경계석 조립체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도로경계석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줄눈밴드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도로경계석 조립체는 인도와 차도를 구분하기 위한 구조물로서, 일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계석(200)과, 상기 경계석(200)의 길이방향 일단에 부착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 이상의 경계석(200)이 길이방향으로 일렬 배열될 때 두 경계석(200) 사이에 압착되는 줄눈밴드(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줄눈밴드(100)는 종래와 같이 시멘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기준치 이상의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제작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렬로 배열되는 두 개의 경계석(10) 사이의 줄눈이 시멘트 줄눈재(20)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도로경계석 조립체를 설치하는 현장에서 두 개의 경계석(10)을 일렬로 배열시키고 상기 경계석(10)의 하측이 묻히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두 개의 경계석(10) 사이의 공간으로 시멘트 줄눈재(20)를 밀어 넣는 공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해야하므로, 공사기간이 길어질 뿐만 아니라, 외부 충격이나 폭우 등에 의해 상기 시멘트 줄눈재(20)가 파손되어 유실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줄눈밴드(100)는 제조공장에서 기 제작되어 공사현장으로 공급되므로, 도로경계석 조립체를 시공하는 공사현장에서는 상기 줄눈밴드(100)를 사이에 두고 경계석(200)을 일렬로 배열시킨 후 상기 경계석(200)과 줄눈밴드(100)의 하측이 묻히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공정만으로 도로경계석 조립체를 완성시킬 수 있어 공가기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줄눈밴드(100)는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므로, 외부충격이나 폭우 등에 의해 파손되거나 유실될 우려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줄눈밴드(100)는 플라스틱 성분의 원재료에 색소를 첨가하여 다양한 색상으로 제작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나 보행자의 눈에 쉽게 띄일 수 있어 도로의 패턴이나 경계석(200)의 위치 등과 같은 각종 도로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까지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줄눈밴드(100)의 원료에 형광물질을 포함시키면, 주간 시인성뿐만 아니라 야간 시인성까지도 현저히 높아지므로, 주간 및 야간의 자동차 사고발생을 줄일 수 있다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물론, 상기 줄눈밴드(100)를 특정 색으로 제작할 필요가 없는 경우, 상기 언급한 색소 첨가는 생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줄눈밴드(100)는 경계석(200)의 길이방향 일단 전체에 접촉되도록 하나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경계석(200)이 마주보는 면 중 상측영역에 위치되는 상단부(110)와, 상기 상단부(110)의 양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경계석(200)이 마주보는 면 중 좌우측 영역에 위치되는 한 쌍의 측면부(120)와, 상기 한 쌍의 측면부(120) 하측을 연결하는 연결부(140)를 포함하여, 상기 상단부(110)와 측면부(120)와 연결부(140) 사이에는 개구부(130)가 마련되는 구조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줄눈밴드(100)가 가운데 부위에 개구부(130)가 마련되도록 상단부(110)와 측면부(120)와 연결부(140)로 구성되면, 두 개의 경계석(200)에 의해 가압되었을 때의 두께 변형량이 커지게 되므로 즉, 경계석(200) 사이에서 더욱 얇게 압축되므로, 상기 두 개의 경계석(200) 사이에서 쉽게 빠지지 아니하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줄눈밴드(100)는 두 개의 경계석(200)에 의해 가압되었을 때의 두께 변형량이 더욱 커질 수 있도록, 상기 상단부(110) 중 경계석(200)과 접촉되는 양면에는 상단부(110)의 길이방향(도 3에서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홈(102)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부(120) 중 경계석(200)과 접촉되는 양면에는 측면부(120)의 길이방향(도 3에서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홈(10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단부(110)와 측면부(120)에 오목홈(102)이 형성되면, 한 쌍의 경계석(200) 사이에서 압착되었을 때 압축변형량이 더욱 커지게 되는바, 줄눈밴드(100)가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줄눈밴드(100)가 한 쌍의 경계석(200) 사이에서 압착되면 개구부(130) 내의 공기도 일정비율 압축되는데, 이때 개구부(130) 내의 공기 일부가 외부로 배출되면, 상기 경계석(200)을 줄눈밴드(100) 측으로 가압하던 힘이 해제되었을 때 상기 개구부(130) 내부에 약간의 진공압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상기 줄눈밴드(100)의 고착력이 더욱 크게 발생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줄눈밴드(100) 제2 실시예의 사시도 및 장착단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줄눈밴드(100) 제3 실시예의 사시도 및 장착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줄눈밴드(100)가 한 쌍의 경계석(200) 사이에 단순히 삽입되는 구조로만 구성되면, 경계석(200)들의 배열방향을 정렬하는 과정에서 상기 줄눈밴드(100)의 위치가 틀어지거나 상기 줄눈밴드(100)가 한 쌍의 경계석(200) 사이에서 이탈되는 현상까지 발생될 우려가 있다. 또한, 줄눈밴드(100)와 경계석(200)이 각각 분리된 상태로 제공되면, 한 명의 작업자가 한 쌍의 경계석(200)을 일렬로 배열하는 동안 다른 한명의 작업자는 줄눈밴드(100)를 잡고 있어야 하므로, 도로경계석 조립체 설치에 많은 노동력이 요구된다는 단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줄눈밴드(100)는 도로경계석(200)의 길이방향 일단에 부착되는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즉, 상기 줄눈밴드(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방향 일측이 상기 상단부(110)의 상면과 상기 측면부(120)의 외측면에 접착되고, 폭방향 타측이 상기 경계석(200)의 상면과 측면에 접착되는 접착부(15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줄눈밴드(100)에 접착부(150)가 추가로 구비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계석(200)의 길이방향 일단(도 6에서는 좌측 경계석(200)의 우측단)에 고정될 수 있으므로, 한 쌍의 경계석(200)을 일렬로 배열시키는 과정에서 안착위치가 변경되거나 틀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지 아니하게 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착부(150)가 접착된 상태에서는 상단부(110) 및 측면부(120)가 상기 접착부(150)에 가려져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하게 되므로, 상기 접착부(150)는 경계석(200)을 공사현장으로 이송하는 동안에는 도 6의 좌측 형상과 같이 경계석(200)에 부착되어 있다가, 경계석(200) 및 측면부(120)의 하단을 묻는 콘크리트 타설이 완료된 이후에는 도 6의 우측 형상과 같이 제거되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접착부(150)는, 부착 및 제거가 가능한 테이프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착부(150)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110)나 측면부(120)와 별도로 제작되는 테이프로 적용되면, 한 쌍의 경계석(200)을 일렬로 배열하는 동안 상단부(110)와 측면부(120)로부터 떨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접착부(150)는 상단부(110) 및 측면부(120)와 일체로 제작되되, 콘크리트 타설이 완료된 이후 제거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접착부(1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단부(110)의 상단과 상기 측면부(120)의 외측단으로부터 상기 경계석(2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경계석(200)의 상면과 측면에 접착되며, 콘크리트 타설 이후 상단부(110) 및 측면부(120)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상단부(110) 및 측면부(120)와 연결된 부위에는 절취홈(152)이 형성되는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도 8의 확대도 참조). 즉, 상기 접착부(150)는 경계석(200)을 공사현장으로 이송하는 동안에는 도 8의 좌측 형상과 같이 경계석(200)에 부착되어 있다가, 경계석(200) 및 측면부(120)의 하단을 묻는 콘크리트 타설이 완료된 이후에는 도 8의 우측 형상과 같이 제거된다. 물론, 상기 접착부(150)가 경계석(200)의 상면에 접착되기 위해서는, 상기 접착부(150)의 저면에 접착물질이 도포되어 있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접착부(150)가 상단부(110) 및 측면부(120)와 일체로 제작되면, 한 쌍의 경계석(200)을 일렬로 배열하는 동안 접착부(150)가 상단부(110) 및 측면부(120)로부터 분리될 우려가 없으므로, 보다 안정적인 도로경계석 조립체 시공이 가능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접착부(150)의 구조를 명확하게 도시하기 위하여 상단부(110)와 측면부(120)에 오목홈(102)이 형성되지 아니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부(150)가 구비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상단부(110)와 측면부(120)에는 오목홈(102)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줄눈밴드(100) 제4 실시예의 정면도 및 장착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줄눈밴드(100)는 야간 시인성이 현저히 향상되도록, 발광 기능을 갖는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즉, 상기 줄눈밴드(10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110)와 측면부(120) 중 외부를 향하는 측(상단부(110)의 상측과 측면부(120)의 좌우측)에는, 다수 개의 엘이디(162)를 구비하여 외부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160)가 매립구조로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단부(110)와 측면부(120)에 발광부(160)가 구비되면, 야간 시인성이 극대화되므로, 야간에 차를 운전하는 운전자에게 도로 정보를 보다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로 주변이 밝아지므로 탁월한 사고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도로의 진행방향이 급격하게 변경되는 구간, 예를 들어 도로가 직각으로 절곡되는 구간의 도로경계석(200)에 상기와 같이 발광부(160)를 구비하는 줄눈밴드(100)가 설치되면, 매우 높은 사고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발광부(160)가 외부로 직접 노출되면 외부 충격에 의해 파손될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발광부(160)는 상단부(110) 및 측면부(120) 내에 매립됨이 바람직하며, 높은 방수성을 갖도록 인서트사출 공법 등에 의해 상단부(110) 및 측면부(120)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발광부(160)의 구조를 명확하게 도시하기 위하여 상단부(110)와 측면부(120)에 오목홈(102)이 형성되지 아니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부(160)가 구비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상단부(110)와 측면부(120)에는 오목홈(102)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줄눈밴드(100) 제5 실시예의 정면도 및 장착사시도이다.
상기 발광부(160)는 별도의 전원 없이도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빛을 반사시킴으로써 야간 시인성을 높일 수 있도록,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판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발광부(160)가 엘이디(132) 대신 반사판 구조로 구성되면, 별도의 전원이 필요 없으므로 에너지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광부(160) 구조 단순화를 통해 제품의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발광부(160)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판 구조로 구성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발광부(160)는 상단부(110) 및 측면부(120) 내에 매립됨이 바람직하며, 높은 방수성을 갖도록 인서트사출 공법 등에 의해 상단부(110) 및 측면부(120)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줄눈밴드 102 : 오목홈
110 : 상단부 120 : 측면부
130 : 개구부 140 : 연결부
150 : 접착부 152 : 절취홈
160 : 발광부 162 : 엘이디
200 : 경계석

Claims (5)

  1.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경계석(200)이 마주보는 면 중 상측영역에 위치되며, 상기 한 쌍의 경계석(200)과 접촉되는 양면에 오목홈(102)이 형성되는 상단부(110);
    상기 상단부(110)의 양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경계석(200)이 마주보는 면 중 좌우측 영역에 위치되고, 하측 일부는 상기 경계석(200)과 함께 콘크리트 타설되어 고정되며, 상기 경계석(200)과 접촉되는 양면에 오목홈(102)이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부(120);
    상기 한 쌍의 측면부(120) 하측을 연결하는 연결부(140);
    를 포함하여,
    상기 상단부(110)와 측면부(120)와 연결부(140) 사이에는 개구부(130)가 형성되고,
    상기 상단부(110)와 측면부(120)와 연결부(140)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되 동일 두께를 갖도록 일체로 제작되어 연이어 배열되는 한 쌍의 경계석(200) 사이에 압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용 줄눈밴드(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110)와 측면부(120) 중 외부를 향하는 측에 발광부(160)가 매립구조로 장착되되, 상기 발광부(160)는 다수 개의 엘이디(162)가 구비되어 외부로 빛을 조사하도록 구성되거나, 외부로부터 인가된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판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용 줄눈밴드(100).
  3. 제1항에 있어서,
    폭방향 일측이 상기 상단부(110)의 상면과 상기 측면부(120)의 외측면에 접착되고, 폭방향 타측이 상기 경계석(200)의 상면과 측면에 접착되어, 상기 상단부(110)와 측면부(120)를 상기 경계석(200)의 길이방향 일단에 고정시키는 접착부(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용 줄눈밴드(100).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110)의 상단과 상기 측면부(120)의 외측단으로부터 상기 경계석(2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경계석(200)의 상면과 측면에 접착되며, 상기 상단부(110) 및 측면부(120)와 연결된 부위에는 절취홈(152)이 형성되는 접착부(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용 줄눈밴드(100).
  5. 일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계석(200)과, 제3항 또는 제4항에 의한 줄눈밴드(1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석 조립체.
KR1020140106050A 2014-08-14 2014-08-14 경계석용 줄눈밴드 및 이를 구비하는 도로경계석 조립체 KR101478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6050A KR101478817B1 (ko) 2014-08-14 2014-08-14 경계석용 줄눈밴드 및 이를 구비하는 도로경계석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6050A KR101478817B1 (ko) 2014-08-14 2014-08-14 경계석용 줄눈밴드 및 이를 구비하는 도로경계석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8817B1 true KR101478817B1 (ko) 2015-01-08

Family

ID=52587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6050A KR101478817B1 (ko) 2014-08-14 2014-08-14 경계석용 줄눈밴드 및 이를 구비하는 도로경계석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88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397U (ko) 2016-08-01 2018-02-09 최낙훈 경계석용 탄성줄눈밴드
KR102045159B1 (ko) 2018-12-27 2019-11-14 최영자 경계석용 줄눈 밴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9965A (ko) * 2005-06-23 2005-08-11 이정락 경계석 줄눈 채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계석 시공방법
KR100849198B1 (ko) * 2007-10-17 2008-07-31 (주) 부경종합기술단 도로경계석용 연결구
KR20080087964A (ko) * 2007-03-28 2008-10-02 박경환 도로 경계석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9965A (ko) * 2005-06-23 2005-08-11 이정락 경계석 줄눈 채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계석 시공방법
KR20080087964A (ko) * 2007-03-28 2008-10-02 박경환 도로 경계석
KR100849198B1 (ko) * 2007-10-17 2008-07-31 (주) 부경종합기술단 도로경계석용 연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397U (ko) 2016-08-01 2018-02-09 최낙훈 경계석용 탄성줄눈밴드
KR102045159B1 (ko) 2018-12-27 2019-11-14 최영자 경계석용 줄눈 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2086B1 (ko) 직선 날개가 있는 도로표지병 및 그 제조방법과 시공방법
KR102330579B1 (ko) 횡단보도 신호등에 연동 제어되는 바닥신호등 및 그 시공방법
KR101511475B1 (ko) 도로 표지병의 제조방법
KR101478817B1 (ko) 경계석용 줄눈밴드 및 이를 구비하는 도로경계석 조립체
KR100848475B1 (ko) 야광기능을 갖는 도로안전 경계석의 이중결합장치
KR100749364B1 (ko) 경계석
KR101622766B1 (ko) 과속방지턱
KR101253593B1 (ko) 경계석
KR100586876B1 (ko) 경계석 이음부에 설치되는 도로표시구
KR200304306Y1 (ko) 도로표지병
KR20180000397U (ko) 경계석용 탄성줄눈밴드
KR20200112366A (ko) 고휘도 반사 부재를 이용한 차선 시공방법
KR200327724Y1 (ko) 도로경계블록
KR200447417Y1 (ko) 도로 경계석의 반사판 설치 구조
KR101607276B1 (ko) Led 모듈이 구비되는 도로용 경계석
KR200419650Y1 (ko) 융착식 도료를 이용한 도로 표지병
KR102045159B1 (ko) 경계석용 줄눈 밴드
KR101538403B1 (ko) 보도블록용 줄눈밴드 및 이를 구비하는 보도블록 조립체
KR200248484Y1 (ko) 타이어의 파손을 방지하는 완충부를 구비한 도로경계석
KR100300090B1 (ko) 도로매설용차선표시구
KR20030024015A (ko) 교량및구조물의 다중세포고무판 삽입형 신축이음형성 방법
CN214033242U (zh) 一种可拼接式环保型路沿砖
KR20060133895A (ko) 폐프라스틱을 이용하고 발광부재를 갖는 중앙분리블럭
KR200180323Y1 (ko) 도로 경계석용 표시판
KR101406295B1 (ko) 경계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