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8646B1 - 기호 이미지 편집 방법 및 장치와 그를 위한 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기호 이미지 편집 방법 및 장치와 그를 위한 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8646B1
KR101478646B1 KR20130002691A KR20130002691A KR101478646B1 KR 101478646 B1 KR101478646 B1 KR 101478646B1 KR 20130002691 A KR20130002691 A KR 20130002691A KR 20130002691 A KR20130002691 A KR 20130002691A KR 101478646 B1 KR101478646 B1 KR 101478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mbol image
symbol
character
im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02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1678A (ko
Inventor
류중하
Original Assignee
류중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중하 filed Critical 류중하
Publication of KR20130081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1678A/ko
Priority to CN201480013168.4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5027178A/zh
Priority to PCT/KR2014/000263 priority patent/WO2014109573A1/ko
Priority to JP2015552580A priority patent/JP6461814B2/ja
Priority to EP14737862.4A priority patent/EP2945142A4/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8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8646B1/ko
Priority to US14/795,870 priority patent/US9721367B2/en
Priority to HK16105088.4A priority patent/HK1217137A1/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2Use of codes for handling textual entities
    • G06F40/126Character en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2Use of codes for handling textual entities
    • G06F40/126Character encoding
    • G06F40/129Handling non-Latin characters, e.g. kana-to-kanji conver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001Texturing; Colouring; Generation of texture or colou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06F9/454Multi-language systems; Localisation; International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Abstract

언어(한글, 영어 등)의 문자(숫자 포함)를 기호 이미지로, 또는 기호 이미지를 해석하여 해당 언어의 문자(숫자 포함)로 출력할 수 있는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한글의 문자를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로 변환하고 변환된 기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거나, 기호 이미지를 대응하는 한글의 문자로 변환하고 변환된 한글 문자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기호 이미지는, 한글 문자를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한글 문자를 표현하는 소정의 구획된 공간에서 한글의 초성, 중성, 종성을 구분할 수 있도록 공간 분할하여 분할된 공간의 일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상징물이 배치된다.

Description

기호 이미지 편집 방법 및 장치와 그를 위한 통신 단말기{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MARK IMAGE AND COMMUNICATION TERMINAL FOR THE SAME}
본 발명은 기호 이미지 편집 방법 및 장치와 그를 위한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언어(한글, 영어 등)의 문자(숫자 포함)를 기호 이미지로, 또는 기호 이미지를 해석하여 해당 언어의 문자(숫자 포함)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기호 이미지'는 특히 한글의 문자를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소정의 구획된 공간(예컨대 사각형 이미지 프레임)에서 공간을 구분하여(공간구획) 구분된 공간의 일부분에 적어도 하나가 배치된 상징물이다. 또한, 영어의 문자나 숫자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는, 영문자나 숫자를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소정의 구획된 공간(예컨대 사각형 이미지 프레임)에서 공간의 일부분에 적어도 하나가 배치된 상징물이다. 여기서, 상징물은 언어(한글, 영어 등)의 문자나 숫자를 일정한 틀에 넣고 빈 공간(여백)으로부터 파악된 형상을 점, 선, 면 등으로 단순화한 것이며, 이때 점은 삼각형, 사각형, 원 등의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글은 1443년 세종대왕에 의해 창제되면서 세계 다른 문자들이 갖고 있지 않은 과학적 원리와 조형성의 특징을 갖고 있다. 한편, 한글은 대한민국 문화 유산이자 과학적 원리를 활용한 가장 훌륭한 발명 중 하나로 볼 수 있으나 산업, 예술, 디자인, 건축, 공예 분야에서의 한글에 대한 올바른 가치인식과 활용이 매우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와 같이, 한글이 산업적으로 활용되지 않는 이유에 대한 조사결과에 따르면, 소비자로서는 디자인이 아름답지 않기 때문에 선호하지 않고 기업으로서는 소비자들이 한글 디자인을 선호하지 않거나 관광상품으로서 수익성이 적다고 판단하여 상품에 적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현대에는 영상 미디어의 발달로 문자 외에 이미지에 대한 정보 전달의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다. 예를 들면, 기아난민구호와 관련하여 문자나 숫자만으로 표시된 장황한 호소문 보다 문자나 숫자에 이미지가 결합될 경우 더 큰 호소력이 생기는 특성을 갖게 되었으며, 이러한 시대적 특성을 반영하여 언어를 단순한 정보전달매체에서 한 단계 발전시켜 언어의 의미를 상징적으로 함축하고 산업적으로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절실히 요구된다. 특히, 산업, 예술, 디자인, 건축, 공예, 도시기획 등의 각종 분야에서 산업 생산물(제품, 미술품, 건축물, 공예품, 건물 등)에 언어의 문자나 숫자를 상징적으로 표현함으로써, 언어에 대한 인식을 제고시키고 산업적 응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언어(한글, 영어 등)의 문자(숫자 포함)를 기호 이미지로, 또는 기호 이미지를 해석하여 해당 언어의 문자(숫자 포함)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언어의 상징적 표현 체계를 수립하고 산업적 응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기호 이미지 편집 방법 및 장치와 그를 위한 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언어(한글, 영어 등)의 문자(숫자 포함)를 기호 이미지로, 또는 기호 이미지를 해석하여 해당 언어의 문자(숫자 포함)로 출력할 수 있는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한글의 문자를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로 변환하고 변환된 기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거나, 기호 이미지를 대응하는 한글의 문자로 변환하고 변환된 한글 문자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기호 이미지는, 한글 문자를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한글 문자를 표현하는 소정의 구획된 공간에서 한글의 초성, 중성, 종성을 구분할 수 있도록 공간 분할하여 분할된 공간의 일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상징물이 배치된다. 특히, 기호 이미지는, 적어도 하나의 한글 문자를 표현하는 소정의 구획된 제1 공간과, 제1 공간을 점, 선, 면 또는 다른 표시에 의해 제2 공간들로 분할하며, 분할된 제2 공간들에서 초성, 중성, 종성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여 한글을 상징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공간구획과, 공간구획으로 구분된 제2 공간들에 배치되는 삼각형, 사각형, 원, 직선 중 적어도 하나의 상징물로 표현된다. 이때, 제2 공간 각각은 횡방향 또는 종방향 또는 그 조합으로 구성되며, 제1 공간 각각은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영문자 또는 숫자를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로 변환하고, 변환된 기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거나, 기호 이미지를 대응하는 영문자 또는 숫자로 변환하고 변환된 영문자 또는 숫자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기호 이미지는, 영문자 또는 숫자를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영문자 또는 숫자를 표현하는 소정의 구획된 공간에서 공간의 일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상징물이 배치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특히 한글을 상징화한 각종 제품, 미술품, 건축물, 공예품, 도시 기획 등에서의 디자인 개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산업, 예술, 디자인, 건축, 공예, 도시 기획 등의 각종 분야에서의 한글이 상징화된 산업 생산물의 개발을 촉진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호 이미지를 추출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한글의 초성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를 생성하는 원리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한글의 중성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를 생성하는 원리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한글의 종성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를 생성하는 원리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호 이미지를 변형 생성하는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한글의 초성, 중성, 종성에 대한 기호 이미지가 각각 생성되는 영역을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아라비아 숫자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를 생성하는 원리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공간구획과 상징물에 의해 표현되는 숫자를 활용한 시계 디자인을 예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영어 대문자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를 생성하는 원리를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영어 소문자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를 생성하는 원리를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편집된 한글 이미지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공간구획에 있어 점의 사용을 예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공간구획에 있어 선의 사용을 예시한 도면.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공간구획에 있어 면의 사용을 예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공간구획에 있어 점, 선, 면의 혼합 사용을 예시한 도면.
도 18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공간구획의 자유로운 변형을 예시한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징물의 과장과 위치변화를 예시한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공간구획에 있어 상징물의 위치를 정의한 위치좌표를 예시한 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동일한 상징물을 초성, 중성, 종성에 사용한 것을 예시한 도면.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호, 도형 형상의 사물, 및 문자를 상징물로 각각 사용한 것을 예시한 도면.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공간에 그림을 배치하고 낙관을 상징물로 사용한 것을 예시한 도면.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건축물을 이용해 공간구획과 스테인드글라스를 상징물로 사용한 것을 예시한 도면.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로를 이용해 공간구획을, 건축물을 이용한 공간구획을 예시한 도면.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로와 강, 나무, 수풀, 공원 등의 지형지물을 이용한 공간구획을 예시한 도면.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문자가 오버랩핑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오버랩핑된 문자를 판독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호 이미지 편집 방법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는 경우, 널리 알려진 기능이나 구성에 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100)는 입력부(110), 제어부(120), 저장부(130) 및 출력부(1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100)는 자체 동작 가능하거나(하기의 제1 실시예 참조), 통신 단말에 구비되어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외부의 타 장치(본 발명의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100)와 같은 장치로서, 타 통신 단말에 구비되거나 타 통신 단말에 연동됨)와 통신할 수도 있다(하기의 제2 및 제3 실시예 참조). 데이터 통신망으로는, 유/무선 전화망 및 인터넷 등이 될 수 있다. 통신 단말은, 유/무선 전화기, SIP 단말, 휴대폰, PDA, 일반 PC, 핸드헬드 PC, 유/무선 모뎀을 장착한 노트북 등의 유/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통신기기 등이 될 수 있다.
제1 실시예로서,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10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언어(한글, 영어 등)의 문자(숫자 포함)를 기호 이미지로 변환하여 출력부(140)를 통해 실시간으로 출력한다. 또한,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10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기호 이미지를 해석하여 해당 언어의 문자(숫자 포함)를 출력부(140)를 통해 실시간으로 출력한다. 즉, 제1 실시예는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100) 내에서 입/출력 과정을 모두 수행한다.
제2 실시예로서,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10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언어(한글, 영어 등)의 문자(숫자 포함) 정보를 외부의 타 장치로 전달한다. 또한,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10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기호 이미지를 해석하여 해당 언어의 문자(숫자 포함) 정보를 외부의 타 장치로 전달한다. 즉, 제2 실시예는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100) 내에서 입력 과정을 수행하고, 외부의 타 장치를 통해 출력 과정을 수행한다.
제3 실시예로서,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100)는 외부의 타 장치로부터 전달된 언어(한글, 영어 등)의 문자(숫자 포함)를 기호 이미지로 변환하여 출력부(140)를 통해 실시간으로 출력한다. 이때, 외부의 타 장치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언어(한글, 영어 등)의 문자(숫자 포함) 정보를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100)로 전달하거나,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기호 이미지를 해석하여 해당 언어의 문자(숫자 포함) 정보를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100)로 전달한다. 즉, 제3 실시예는 외부의 타 장치를 통해 입력 과정을 수행하고,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100) 내에서 출력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제2 및 제3 실시예에서, 외부의 타 장치는 본 발명의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100)와 같은 장치로서, 타 통신 단말에 구비되거나 타 통신 단말에 연동되어 구동되며,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본 발명의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100)와 통신하는 장치이다.
기호 이미지는, 문자 또는 숫자 이미지 상의 여백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생성되며, 해당 문자 또는 숫자 이미지 상의 여백의 모양에 따라 결정된다.
특히 한글 문자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는, 한글 문자를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한글 문자를 표현하는 소정의 구획된 공간에서 한글의 초성, 중성, 종성을 구분할 수 있도록 공간 분할하여 분할된 공간의 일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상징물이 배치된다. 또한, 영문자 또는 숫자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는, 영문자 또는 숫자를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영문자 또는 숫자를 표현하는 소정의 구획된 공간에서 공간의 일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상징물이 배치된다.
상기 제2 및 제3 실시예에서 외부 타 장치의 입/출력 과정은 상기 제1 실시예에서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100)의 입/출력 과정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를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120)는 제1 실시예에 따라 입력부(110)로부터 입력된 또는 제3 실시예에 따라 외부의 타 장치로부터 전달된 언어(한글, 영어 등)의 문자(숫자 포함) 정보를 기호 이미지로 변환하여 출력부(140)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거나 프린터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어부(120)는 생성부(121) 및 편집부(122)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생성부(121)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언어의 문자나 숫자 정보에 해당하는 문자/숫자 이미지상의 여백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기호 이미지를 생성하여 출력부(140)의 표시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거나 프린터 출력한다. 생성된 기호 이미지는 저장부(130)에 저장된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저장부(130)에는 문자/숫자에 대해 하기에서 설명할 기호 이미지 생성 원리에 따라 각각 생성된 기호 이미지들이 각 문자/숫자에 맵핑되어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생성부(121)는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숫자에 맵핑되어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기호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추출하여 출력부(140)의 표시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거나 프린터 출력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생성부(121)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기호 이미지를 해석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기호 이미지에 맵핑되어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문자/숫자를 실시간으로 추출하여 해당 언어의 문자/숫자를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한다.
편집부(122)는 출력부(140)의 표시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기호 이미지를 사용자가 그 크기 또는 위치 등을 조정하는 편집 명령을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하는 경우에 편집 명령에 따라 기호 이미지를 편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출력 과정에서의 이미지 편집 기능). 또한, 편집부(122)는 기호 이미지가 표현되는 소정의 구획된 공간(예컨대 사각형 이미지 프레임) 및 그 공간을 구분한 공간구획(예컨대 한글의 초성, 중성, 종성을 구분하기 위한 공간분할)을 자유롭게 편집, 구성할 수 있다(입/출력 과정에서의 공간 편집 기능).
일실시예에 있어서, 입력부(110)는 사용자가 기호 이미지로 출력(디스플레이 또는 프린터 출력 등)을 원하는 언어의 문자나 숫자 정보를 입력하는데 사용되며, 또한 사용자가 생성된 기호 이미지에 대한 편집 명령을 입력하는데 사용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입력부(110)는 사용자가 언어의 문자나 숫자로 출력(디스플레이 또는 프린터 출력 등)을 원하는 기호 이미지를 입력하는데 사용되며, 또한 사용자가 입력하는 기호 이미지에 대한 편집 명령을 입력하는데 사용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입력부(110)는 사용자가 원하는 기호 이미지가 표현될 수 있는 소정의 구획된 공간(예컨대 사각형 이미지 프레임) 및 그 공간을 구분한 공간구획(예컨대 한글의 초성, 중성, 종성을 구분하기 위한 공간분할)에 대한 편집 명령을 입력하는데 사용된다.
입력부(110)는 키패드, 터치스크린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터치스크린부에서 입력하는 문자/숫자 입력을 키패드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고, 키패드에서 입력하는 문자/숫자 입력을 터치스크린부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적용 대상은 키패드만을 구비한 장치, 또는 터치스크린부만을 구비한 장치, 또는 키패드 및 터치스크린부 둘 다를 구비한 장치일 수 있다.
키패드는 숫자와 특수문자 또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다수 개의 키버튼으로 구성된다. 또한 이와 함께 입력된 문자/숫자를 저장하고, 수정하거나 불러들이는 기능버튼과 일반버튼이 더 구비되며 사용자의 지시를 제어부(120)에 전송하는 매개체의 기능을 수행한다. 키패드는 사용자가 손 등을 이용하여 문자(자음, 모음)/숫자 키에 소정 압력을 가하면, 이에 해당하는 문자/숫자 인식에 필요한 데이터, 즉 키 데이터를 발생하여 제어부(120)로 전달하고, 제어부(120)는 인가되는 키 데이터에 대응되는 문자/숫자 코드 데이터를 저장부(130)에서 확인하고 문자/숫자 코드 데이터들에 맵핑된 기호 이미지를 추출하여 출력부(140)에 디스플레이하거나 프린터 출력한다. 문자나 숫자 입력을 위한 키패드의 하드키 구성과, 키패드를 통한 문자/숫자 인식 및 조합 방식은 공지의 기술을 준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터치스크린부는 객체지향적 문자/숫자 정보 입력수단으로, 사용자가 손이나 스타일러스 펜과 같은 필기구 등을 이용하여 패널 상면의 문자(자음, 모음)/숫자에 소정 압력을 가하면, 이에 해당하는 문자/숫자 인식에 필요한 데이터, 즉 터치스크린 데이터를 발생하여 제어부(120)로 전달하고, 제어부(120)는 인가되는 터치스크린 데이터에 대응되는 문자/숫자 코드 데이터를 저장부(130)에서 확인하고 문자/숫자 코드 데이터들에 맵핑된 기호 이미지를 추출하여 출력부(140)에 디스플레이하거나 프린터 출력한다. 문자나 숫자 입력을 위한 터치스크린부의 소프트키 구성과, 터치스크린부를 통한 문자/숫자 인식 및 조합 방식은 공지의 기술을 준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저장부(130)는 제어부(120)에 의해 처리된 기능을 구동하기 위한 프로그램, 사용자의 편리성과 기본적인 여러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예컨대 램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또는 플래쉬 메모리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며,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프로그램이나 입력부(110)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동작 프로그램 등이 저장된다. 특히, 저장부(130)는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입력 처리되는 키 데이터 또는 터치스크린 데이터에 대응하는 문자/숫자 코드 데이터와 이에 맵핑된 기호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문자/숫자 코드 데이터에 맵핑되는 기호 이미지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출력부(140)는 제어부(120)의 제어하에 디스플레이 또는 프린터 출력 동작을 수행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출력부(140)에 출력되는 기호 이미지 정보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문자/숫자 정보에 대응되는 정보이다. 즉 사용자가 문자/숫자를 입력하면 이에 대응되는 문자/숫자 코드 데이터가 추출되고 이에 맵핑된 기호 이미지가 출력되어 출력부(140)의 표시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거나 프린터 출력되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출력부(140)에 출력되는 문자/숫자 정보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기호 이미지 정보에 대응되는 정보이다. 즉 사용자가 기호 이미지를 입력하면 이를 해석하여 대응되는 문자/숫자 코드 데이터가 추출되고 이에 맵핑된 기호 이미지가 출력되어 출력부(140)의 표시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거나 프린터 출력되는 것이다.
예컨대, 한글 입력 모드에서 한글의 초성 자음 개수는 총 19개이면 표현 가능하므로, 이러한 초성은 단자음 14개('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와 쌍자음 5개('ㄲ', 'ㄸ', 'ㅃ', 'ㅆ', 'ㅉ')면 족하다. 또한 중성의 모음 개수는 총 21개이면 표현 가능하므로, 이러한 중성은 단모음 8개('ㅏ', 'ㅓ', 'ㅗ', 'ㅜ', 'ㅡ', 'ㅣ', 'ㅐ', 'ㅔ')와 이중모음 6개('ㅑ', 'ㅕ', 'ㅛ', 'ㅠ', 'ㅒ', 'ㅖ'), 복모음 7개('ㅘ', 'ㅙ', 'ㅚ', 'ㅝ', 'ㅞ', 'ㅟ', 'ㅢ')면 족하다. 또한 종성의 자음 개수는 총 27이면 표현 가능하므로, 이러한 종성은 단자음 14개와 쌍자음 5개와 복자음 11개('ㄳ',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ㅄ')면 족하다.
이와 같이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100)는 언어(한글, 영어 등)의 문자(숫자 포함)를 기호 이미지로, 또는 기호 이미지를 해석하여 해당 언어의 문자(숫자 포함)로 출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한글의 문자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는 언어의 문자나 숫자를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한글 문자(적어도 하나의 음절)를 표현하는 소정의 구획된 공간(예컨대 사각형 이미지 프레임)에서 공간을 구분하여(공간구획) 구분된 공간의 일부분에 적어도 하나가 배치된 상징물이다. 이 상징물은 언어(한글, 영어 등)의 문자나 숫자를 일정한 틀에 넣고 빈 공간으로부터 파악된 형상을 점, 선, 면 등으로 단순화한 것이며, 이때 점은 삼각형, 사각형, 원 등의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언어의 문자나 숫자를 상징화한 기호 이미지는, 언어의 문자나 숫자를 인쇄 등에 사용되는 평면적인 대상이 아닌 부피와 질량을 갖는 물체로 규정하고, 이를 일정한 틀에 넣고 비어 있는 공간에 쇳물을 부어 얻게 되는 주물을 가공하여 원래의 틀과 함께 문자나 숫자를 간단하고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문자/숫자 가공 기술을 기초로 하고 있으며, 도 2에 문자나 숫자의 가공 과정을 평면적으로 예시하였다. 즉, 언어의 문자나 숫자의 표현에 공간 개념을 부여하여 이를 단순화된 공간으로 표현하고, 언어의 문자나 숫자를 가공하여 이를 단순화하여 표현할 수 있는 상징물인 삼각형, 사각형, 원 등을 추출해 낸 후, 이 상징물을 공간에 배치하여 언어의 숫자나 문자를 상징적으로 표현한다.
따라서, 출력부(140)의 표시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한글의 기호 이미지는, 적어도 하나의 한글 문자(적어도 하나의 음절)를 표현하는 소정의 구획된 제1 공간과, 제1 공간을 점, 선, 면 또는 다른 표시에 의해 구분하며(제1 공간을 공간구획하여 제2 공간으로 분할) 구분된 제2 공간들에서 초성, 중성, 종성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여 한글을 상징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공간구획과, 공간구획으로 구분된 제2 공간들에 배치되는 삼각형, 사각형, 원, 직선 중 적어도 하나의 상징물로 표현된다. 여기서 공간구획으로 구분된 제2 공간 각각은 횡방향 또는 종방향 또는 그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제1 공간은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징물은 삼각형, 사각형, 원, 각 도형의 형상을 갖는 사물, 및 각 도형을 연상시키는 문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한글의 문자에 대해 기호 이미지를 생성하는 원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한글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를 생성하는 원리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점, 선, 면을 함께 활용한 한글의 초성, 중성, 종성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7은 공간구획으로 한글의 초성, 중성, 종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공간구획은 예컨대 한글의 초성, 중성, 종성을 구분하기 위한 공간분할을 의미한다.
먼저, 도 3은 한글 초성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를 생성하는 원리를 설명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a)는 'ㄱ'에서의 여백 위치인 좌측 하단에 사각형 기호 이미지를 생성한 것이며, (b)는 'ㄴ'에서의 여백 위치인 우측 상단에 여백의 모양과 같은 사각형 기호 이미지를 생성한 것이고, (c)는 'ㄷ'에서의 여백 위치인 우측 중단에 여백의 모양과 같은 사각형 기호 이미지를 생성한 것이다.
또한, (d)는 'ㄹ'에서의 여백 위치에 여백의 모양과 같은 사각형 기호 이미지를 생성한 것이며, (e)는 'ㅁ'에서의 여백 위치인 중앙에 여백의 모양과 같은 사각형 기호 이미지를 생성한 것이다. 또한, (f)는 'ㅂ'에서의 여백 위치인 중앙과 상측 중단에 각각 여백의 모양과 같은 사각형 기호 이미지를 생성한 것이며, (g)는 'ㅅ'에서의 여백 위치인 하측 중단에 여백의 모양과 같은 삼각형 기호 이미지를 생성한 것이고, 또한 (h)는 'ㅇ'에서의 여백 위치인 중앙에 여백의 모양과 같은 원형 기호 이미지를 생성한 것이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는 각 한글의 이미지상에서의 여백의 모양이 사각형, 삼각형, 또는 원형인 경우에만 해당 여백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여백의 모양과 동일한 모양의 기호 이미지를 생성하였으며, 각 한글의 이미지 상에서의 여백의 모양이 사각형, 삼각형, 또는 원형 중 어느 하나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여백에 기호 이미지를 생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술한 규칙에 따라, 도 3에서의 나머지 기호 이미지들을 분석하면 (i)는 'ㅈ'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이며, (j)는 'ㅊ'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이고, (k)는 'ㅋ'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이며, (l)은 'ㅌ'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이고, (m)은 'ㅍ'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이며, (n)은 'ㅎ'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이고, (o)은 'ㄲ'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이며, (p)는 'ㄸ'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이고, (q)는 'ㅃ'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이며, (r)은 'ㅆ'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이고, (s)는 'ㅉ'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임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4는 한글의 초성과 중성이 결합된 글자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를 생성하는 원리를 설명하고 있다. 다만 모음 단독으로 표현하지 않고 알아보기 쉽게 자음 'ㅇ'과 함께 표현하였다. 도 4에서와 같이 초성과 중성이 결합된 글자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를 생성함에 있어서, 먼저 도 3에서의 사각형 이미지 프레임을 도 7의 (a),(b)에서와 같이, 초성 영역과 중성 영역으로 구분하고(이를 '공간구획'이라 한다) 초성 이미지 프레임과 중성 이미지 프레임에 각각 독립적으로 초성과 중성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를 생성하게 된다.
초성 이미지 프레임에 초성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를 생성하는 원리는 도 3에서 설명된 원리와 동일하며, 본 발명에서는 중성 이미지 프레임에 중성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의 생성에 있어서도 중성의 이미지상에서의 여백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여백의 모양과 동일한 모양인 사각형 기호 이미지를 생성하였다.
이와 같은 기호 이미지 생성 원리에 따라 도 4에서의 각 기호 이미지가 의미하는 글자를 분석하면, (a)는 '아'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이고, (b)는 '야'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이고, (c)는 '어'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이고, (d)는 '여'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이고, (e)는 '오'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이고, (f)는 '요'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이고, (g)는 '우'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이고, (h)는 '유'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이고, (i)는 '으'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이고, (j)는 '이'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이고, (k)는 '애'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이고, (l)은 '얘'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이다.
한편, 중성 중 단모음 'ㅔ'와 이중모음 'ㅖ'의 경우에는 각각 'ㅓ', 'ㅕ'와 구분하기 위해, 중성 이미지 프레임을 (m), (n)에서와 같이 세로로 두 개로 나누어서 'ㅔ'는 'ㅓ+ㅣ'로 표기하고, 'ㅖ'는 'ㅕ+ㅣ'로 표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m)은 '에'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이고, (l)은 '예'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가 된다.
한편, 모음들 중에서 복모음의 경우에는 중성 이미지 프레임을 전체 사각형 이미지 프레임의 하단부와 우측단부로 나눈 상태에서 각 모음의 기호 이미지를 개별적으로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에 따라, (o)는 '와'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가 되며, (p)는 '왜'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가 되며, (q)는 '외'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가 되며, (r)은 '워'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가 되며, (s)는 '웨'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가 되며, (t)는 '위'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가 되며, (u)는 '의'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가 된다.
한편, 초성과 중성과 종성이 결합된 글자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를 생성함에 있어서는, 먼저 도 3에서의 사각형 이미지 프레임을 도 7의 (c)~(f)에서와 같이, 초성 영역, 중성 영역, 및 종성 영역으로 구분하고(이를 '공간구획'이라 한다) 초성 이미지 프레임, 중성 이미지 프레임, 및 종성 이미지 프레임에 각각 독립적으로 초성과 중성과 종성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를 생성하게 된다.
도 5는 한글 종성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를 종성 이미지 프레임에 생성하는 원리를 설명하고 있다. 한편, 도 3에서의 한글 초성 (3a)~(3s)의 단자음 14개('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와 쌍자음 5개('ㄲ', 'ㄸ', 'ㅃ', 'ㅆ', 'ㅉ')는 모두 한글 종성으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을 배제하고, 도 5에서는 한글 종성으로만 사용되는 복자음 11개('ㄳ',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ㅄ')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의 생성 원리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한글의 쌍자음들 중에서 초성으로는 사용되지 않고 종성으로만 사용되는 이른바 복자음의 경우에도 한글의 다른 쌍자음들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종성 이미지 프레임을 두 개의 영역으로 분획한 상태에서, 분리된 두 개의 이미지 프레임에 각각의 자음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를 생성하게 된다.
그에 따라, (a)는 'ㄳ'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가 되며, (b)는 'ㄵ'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가 되며, (c)는 'ㄶ'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가 되며, (d)는 'ㄺ'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가 되며, (e)는 'ㄻ'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가 되며, (f)는 'ㄼ'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가 되며, (g)는 'ㄽ'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가 되며, (h)는 'ㄾ'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가 되며, (i)는 'ㄿ'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가 되며, (j)는 'ㅀ'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가 되며, (k)는 'ㅄ'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가 된다.
이와 같이 도 3 내지 도 5에서의 원리에 따라 기호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고, 도 6에서와 같이 기호의 변형된 형태에 따라 이미지를 생성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의 (a), (b)에서와 같이 모음을 표시하는 기호 형태인 사각형 기호를 짧은 세로 선분으로 대체하여 생성할 수도 있고, (c)에서와 같이 자음 중 'ㄹ'를 표시하는 기호 형태인 좌우측의 사각형 기호를 각각 긴 가로 선분으로 대체하여 생성하거나, 긴 가로 선분을 대각선 선분으로 연결하여 'Z'의 형태로 표현하거나, 축소된 'z'의 형태로 표현할 수도 있다. 또한, (d), (e), (f)에서와 같이 'ㅈ', 'ㅊ', 'ㅎ'을 나타내는 기호들 중에서 좌우측단의 중간에서의 사각형 기호 이미지를 각각 짧은 가로 선분으로 대체하여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g)에서와 같이 'ㅋ'을 나타내는 기호 중에서 좌측단의 중간에서의 사각형 기호만을 짧은 가로 선분으로 대체하여 생성하거나, 또한 (h)에서와 같이 'ㅌ'을 나타내는 기호 형태인 우측단의 사각형 기호를 각각 긴 가로 선분으로 대체하여 생성하거나, 또한 (i)에서와 같이 'ㅂ'을 나타내는 기호 중에서 중간에서의 사각형 기호만을 짧은 선분으로 대체하여 생성할 수도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일실시예로서 생성부(121)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한글의 문자에 해당하는 문자 이미지상의 여백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기호 이미지를 생성하여, 즉 사각형 이미지 프레임을 도 7의 (a),(b)에서와 같이 초성 영역과 중성 영역으로 구분하고(공간구획) 초성 이미지 프레임과 중성 이미지 프레임에 각각 독립적으로 초성과 중성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를 생성하거나, 또는 사각형 이미지 프레임을 도 7의 (c)~(e)에서와 같이 초성 영역, 중성 영역, 및 종성 영역으로 구분하고(공간구획) 초성 이미지 프레임, 중성 이미지 프레임, 및 종성 이미지 프레임에 각각 독립적으로 초성과 중성과 종성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를 생성하여 출력부(140)의 표시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거나 프린터 출력한다.
또한, 생성부(121)는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에 맵핑되어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기호 이미지를 추출하여, 사각형 이미지 프레임을 도 7의 (a),(b)에서와 같이 초성 영역과 중성 영역으로 구분하고(공간구획) 초성 이미지 프레임과 중성 이미지 프레임에 각각 독립적으로 초성과 중성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나, 또는 사각형 이미지 프레임을 도 7의 (c)~(e)에서와 같이 초성 영역, 중성 영역, 및 종성 영역으로 구분하고(공간구획) 초성 이미지 프레임, 중성 이미지 프레임, 및 종성 이미지 프레임에 각각 독립적으로 초성과 중성과 종성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를 출력부(140)의 표시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거나 프린터 출력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입력부(110)를 통해 사용자는 언어의 문자로 출력(디스플레이 또는 프린터 출력 등)을 원하는 기호 이미지를 입력할 수도 있는데, 한글의 초성과 중성이 결합된 문자에 대해서는 도 7의 (a),(b)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한글의 초성과 중성과 종성이 결합된 문자에 대해서는 도 7의 (c) ~ (e)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후, 상징물을 배치할 부분을 지정한다. 그러면, 상징물의 형상(점, 선, 면 등)을 선택할 수 있는 단계로 진입하고, 만약 사용자가 "점"을 선택한 경우 다시 점의 형상(삼각형, 사각형, 원 등)을 선택할 수 있는 단계로 진입한다. 이와 같이 소정의 구획된 공간(예컨대 사각형 이미지 프레임)에서 공간구획으로 구분된 공간의 일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상징물을 배치하면, 생성부(121)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기호 이미지를 해석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기호 이미지에 맵핑되어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문자를 추출하여 해당 언어의 문자를 출력부(140)를 통해 실시간으로 출력한다.
이와 같이 입력부(110)를 통해 사용자가 기호 이미지로 출력(디스플레이 또는 프린터 출력 등)을 원하는 언어의 문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 사용자가 언어의 문자로 출력(디스플레이 또는 프린터 출력 등)을 원하는 기호 이미지를 입력할 수도 있다.
한편, 숫자 입력 모드에서 아라비아 숫자의 개수는 총 10개이면 표현 가능하다. 즉 아라비아 숫자는 '0', '1', '2', '3', '4', '5', '6', '7', '8', '9'로 구성된다.
아라비아 숫자에 대한 기호 이미지는 소정의 구획된 공간(예컨대 사각형 이미지 프레임)에서 공간의 일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상징물을 배치하여 표현 가능하다. 다만 숫자는 초성/중성/종성으로 구분되지 않으므로, 구획된 공간을 다시 구분(공간구획)할 필요는 없다. 여기서, 상징물은 아라비아 숫자를 일정한 틀에 넣고 빈 공간으로부터 파악된 형상을 점, 선, 면 등으로 단순화한 것이며, 이때 점은 삼각형, 사각형, 원 등의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8은 아라비아 숫자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를 숫자 이미지 프레임에 생성하는 원리를 설명하고 있다. 도 8에서, (a)는 숫자 '0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이며, (b)는 숫자 '1'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이며, (c)는 숫자 '2'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이며, (d)는 숫자 '3'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이며, (e)는 숫자 '4'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이며, (f)는 숫자 '5'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이며, (g)는 숫자 '6'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이며, (h)는 숫자 '7'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이며, (i)는 숫자 '8'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이며, (j)는 숫자 '9'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이다. 상기와 같이 숫자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는 도 9와 같이 시계에 적용하여 공간구획과 상징물에 의해 숫자를 표현할 수 있다.
한편, 영어 단어 입력 모드에서 영어의 알파벳 개수는 대문자 및 소문자 각각 26씩 총 52개이면 표현 가능하다. 대문자(/소문자) 영어 알파벳 26개 중에서 모음 알파벳 5개, 즉 "A(/a)", "E(/e)", "I(/i)", "O(/o)", "U(/u)"를 제외한 나머지 21개의 알파벳을 '자음 알파벳'이라 칭한다. 즉 대문자(/소문자) 영어 알파벳은, 21개의 자음 알파벳(즉 'B(/b)', 'C(/c)', 'D(/d)', 'F(/f)', 'G(/g)', 'H(/h)', 'J(/j)', 'K(/k)', 'L(/l)', 'M(/m)', 'N(/n)', 'P(/p)', 'Q(/q)', 'R(/r)', 'S(/s)', 'T(/t)', 'V(/v)', 'W(/w)', 'X(/x)', 'Y(/y)', 'Z(/z)')과, 5개의 모음 알파벳(즉 'A(/a)', 'E(/e)', 'I(/i)', 'O(/o)', 'U(/u)')으로 구성된다.
도 10은 영어 대문자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를 영문자 이미지 프레임에 생성하는 원리를 설명하고 있고, 도 11은 영어 소문자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를 영문자 이미지 프레임에 생성하는 원리를 설명하고 있다. 도 10 및 도 11에서의, (a) 내지 (z)는 영어 대문자 및 소문자 "A(/a)"에서부터 "Z(/z)"에 대응하는 각각의 기호 이미지를 보여준다.
이와 같이 영어의 대문자 및 소문자 알파벳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기호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는데, 영어의 알파벳에 대한 기호 이미지 역시 소정의 구획된 공간(예컨대 사각형 이미지 프레임)에서 공간의 일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상징물을 배치하여 표현 가능하다. 다만 영어의 알파벳은 초성/중성/종성으로 구분되지 않으므로, 구획된 공간을 다시 구분(공간구획)할 필요는 없다. 여기서, 상징물은 영어의 알파벳을 일정한 틀에 넣고 빈 공간으로부터 파악된 형상을 점, 선, 면 등으로 단순화할 수 있으며, 이때 점은 삼각형, 사각형, 원 등의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출력부(140)의 표시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영문 또는 숫자의 기호 이미지는, 적어도 하나의 영문 문자 또는 숫자를 표현하는 소정의 구획된 공간과, 공간에 배치되며 영문자 또는 숫자를 상징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삼각형, 사각형, 원, 직선 중 적어도 하나의 상징물로 표현된다. 여기서 각 공간은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징물은 삼각형, 사각형, 원, 각 도형의 형상을 갖는 사물, 및 각 도형을 연상시키는 문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숫자나 영어 단어의 입력이나 이의 기호 이미지에 대한 해석 및 출력 방식은, 문자의 입력이나 이의 기호 이미지에 대한 해석 및 출력 방식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에서 공간구획은 예컨대 한글의 초성, 중성, 종성을 구분하기 위한 공간분할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도 7과 같이 실시할 수 있다. 예컨대, 초성과 중성이 결합된 한글의 문자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에 대해서는, (a) 또는 (b)와 같이 초성 영역과 중성 영역으로 구분하고, 초성과 중성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를 표현한다. 또한, 초성과 중성과 종성이 결합된 한글의 문자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에 대해서는, (c) 내지 (e) 중 어느 하나와 같이 초성 영역과 중성 영역과 종성 영역으로 구분하고, 초성과 중성과 종성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를 표현한다.
여기서, 초성, 중성, 종성을 구분하기 위한 공간구획의 비율은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으며, 외곽의 형태도 자유롭게 변형이 가능하다. 예컨대, 도 9와 같이 사각형 이미지 프레임의 테두리 굵기를 조절하고 선분 표시 방식을 부분적으로 점선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도 12에서는 '단'(a), '청'(b)을 의미하는 기호 이미지를 표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명료한 설명을 위해 정형화된 형태로 공간구획의 비율과 상징물의 크기를 정한 것에 불과하다. 공간구획의 방법에 있어서도 폐곡선의 형태를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점, 선, 면, 색상 또는 명도 대비, 기호, 재질, 질감(엄밀하게는 시각), 명암, 패턴 등의 차이와 같이 공간의 구분을 인지시킬 수 있는 방법 등이 가능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편집된 한글 이미지의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폐곡선이 아닌 경우를 예시하였다.
이처럼 공간구획에 있어서는 점, 선, 면 등의 사용이 모두 가능하다. 예컨대, 도 13은 점에 의한 공간분리를, 도 14는 선에 의한 공간분리를, 도 15 및 도 16은 면에 의한 공간분리를, 도 17은 점, 선, 면의 혼용에 의한 공간분리를 보여준다. 예를 들면, 도 17에서와 같이 점과 선을 병행하면 문자의 종성이나 작은 글자의 표현에 있어 편리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공간 또는 공간구획 역시 자유로운 재구성이 가능하여 도 18에서와 같이 "대한민국"이라는 문자를 표현함에 있어서, 문자와 문자가 서로 독립되어 있는 공간(a), 문자와 문자가 서로 이웃하며 경계를 공유하는 공간(b,c), 그리고 초성, 중성, 종성이 각각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표현되어 있는 공간구획(c)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사각형 이미지 프레임의 공간에서 공간을 구분하여(공간구획) 공간구획으로 구분된 공간의 일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상징물을 배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19 내지 22에서와 같이 이미지 프레임의 외곽 형태 및 공간구획의 외곽 형태를 자유롭게 재구성할 수 있다. 도 19에서는 공간구획으로 구분된 공간의 외곽 형태를 풍경, 장독, 한옥으로 표현한 것이다. 또한, 도 20은 공간구획에 있어 공간구성의 자유로운 변형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21은 공간구획의 외곽 형태의 자유로운 변형을 예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22는 도심의 건축물에 적용하여 공간구획의 외곽형태의 변형과 겹침의 응용을 예시한 도면이다.
또한, 공간구획으로 구분된 공간에 배치되는 상징물 역시 위치 변화 및 과장에 의해서도 인식이 가능한데, 예컨대 도 23에서와 같이 상징물의 위치 변화와 과장(비약)에 의해서도 문자 인식이 가능하다. 또한, 정형화된 도형 상징물 외에도, 관념, 논리에 의해서도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다.
즉, 도 24는 상징물이 위치할 좌표를 정의하고 있으며 이러한 좌표의 위치만으로 한글 자음과 모음이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ㄱ'은 좌측 하단 꼭지점에 상징물이 위치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ㅏ'는 우측 상단 및 하단 꼭지점에 상징물이 위치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좌표의 위치만으로 한글의 자음과 모음 전체를 정의할 수 있으며, 영어 문자 및 숫자에 대해서도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상징물의 위치좌표 개념에 의해 도 25와 같이 초성, 중성, 종성에 위치하는 상징물이 모두 같게 되어도 문자 인식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좌표에 의해 상징물 자체를 대체할 수 있으며, 사각형, 원, 삼각형 등의 도형 상징물을 다른 심벌로 대체하여 문자로 표현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한편,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호, 도형 형상의 사물, 및 문자를 상징물로 각각 사용한 것을 예시한 도면으로, 좌측 도면은 한글의 초성, 중성, 종성을 기호로 변환한 예이며, 중간 도면은 그 기호를 연상시키는 도형 형상의 사물로 변환한 예이며, 우측 도면은 이러한 사물을 연상시키는 문자로 변환한 예이다. 즉, 피자박스는 사각형, 피자는 원, 피자 한조각은 마름모꼴을 연상시키므로 도 26의 우측 도면에서와 같이 이를 문자로 표현하여도 논리적인 유추에 의해 한글 인식이 가능해진다.
뿐만 아니라, 공간구획으로 구분된 공간은 '용'을 의미하는 기호 이미지를 도 27의 좌측 도면에서와 같이 중성 이미지 프레임이 세로 방향으로 넓게 확장되도록 변형할 수 있고, 우측 도면에서와 같이 중앙의 여백에 용에 대한 그림을 삽입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7은 한글 '용' 글자를 그림과 접목한 예시로서, 중성에 해당하는 'ㅛ'의 공간에 용그림을 삽입하여 초성과 종성의 공간을 분리시키고, 초성과 중성은 원모양으로 'ㅇ'을 표시하는 한편 중성은 사각 모양의 낙관을 찍어 'ㅛ'를 표현하였다.
점, 선, 면의 개념을 적용할 경우 응용할 수 있는 문자 표현 방법이 더욱 다양해지며, 도로, 가로수, 호수, 강, 댐, 교각, 건물 등 자연 지형지물과 인공 구조물을 이용한 문자 표현이 가능하다. 또한, 나무의 종류, 논과 밭의 구분 등에 의한 질감(엄밀하게는 시각) 차이, 단풍에 의한 색상 변화, 태양의 위치 변화에 의한 빛과 그림자를 이용해서도 문자 표현이 가능해진다.
또한, 공간구획과 상징물의 배치는 단순한 질감(엄밀하게는 시각)이나 색감의 차이에 의해서도 표현이 가능하다. 즉 공간의 구획은 실선이 아닌 질감(엄밀하게는 시각)의 차이에서도 인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초성의 공간에 아스팔트를, 중성의 공간에 황토를, 종성의 공간에 모래를 채울 경우 세 가지 공간은 채워진 물질의 색상이나 질감(엄밀하게는 시각)에 의해 공간이 분리되어 인식되는 것처럼 공간구획과 상징물의 배치를 이러한 물질에 의해 표현할 수 있다. 도 28은 건물의 외관에 스테인드글라스를 이용해 한글을 표현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공간구획과 상징물의 배치는 도로, 논과 밭, 호수, 강, 산림 등과 같은 지형지물에 의해서도 표현될 수 있고, 따라서 도시계획에 있어 지형지물을 활용한 문자의 표현이 가능하다. 도 29는 도로와 건축물을 이용한 한글 '복'자를 표현하였으며, 도 30은 도로와 강, 나무, 수풀, 공원 등 지형지물을 이용해 한글 '한글' 글자를 공간구획과 상징물의 배치를 통해 표현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한편, 서로 다른 공간구획과 상징물의 배치를 오버랩핑되도록 표현할 수 있다. 즉 도 31에서와 같이 2개의 기호 이미지(레이어1,2)를 오버랩핑시켜 복잡한 상징물의 배치와 공간구획을 달성할 수 있다.
문자를 오버랩핑하기에 앞서, 우선 문자를 겹친 후에 쉽게 식별될 수 있도록 문자마다의 상징물을 다르게 표시해 줄 필요가 있는데, 이때 상징물의 형태를 다르게 하거나 문자, 부호 등을 사용하여 구별할 수 있으며, 가장 쉬운 방법은 색깔로 구분하는 것이다.
도 31의 (a)의 첫 번째 이미지와 같이 '축' 문자를 검은색으로 하고 (a)의 두 번째 이미지와 같이 '복' 문자를 회색으로 구분한 후 두 개의 기호 이미지를 오버랩핑하여 (a)의 세 번째 이미지와 같이 표현한다. 이때, '축'과 '복'의 종성이 같은 'ㄱ'이므로 도형의 형태와 크기가 같을 경우 제1 기호 이미지(레이어1)의 도형에 제2 기호 이미지(레이어2)의 도형(종성 이미지)이 가려지게 되는데, 이때는 제1 기호 이미지(레이어1)의 도형(종성 이미지) 크기를 축소하거나(b), 제2 기호 이미지(레이어2)의 크기를 확대하여(c), 2개의 기호 이미지의 도형 크기를 달리함으로써 오버랩핑된 상태를 명확히 구분해준다. 또한, 제2 기호 이미지의 도형이 제1 기호 이미지의 도형에 가려지고, 이를 쉽게 유추 가능하다면 제2 기호 이미지의 도형 표시를 생략할 수도 있다(d).
오버랩핑된 2개의 기호 이미지(레이어1,2)는 구분될 수 있도록 고유의 특성을 부여하여, 이러한 특성에 의해 각 레이어를 분리하여 독립된 하나의 문자로 구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레이어에 부여되는 특성으로는 색상, 질감(엄밀하게는 시각), 명도, 채도, 형상, 명암, 패턴 외에도, 2차원과 3차원에 의한 공간 분리 등 다양한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2에서와 같이 오버랩핑된 레이어의 상부에 각각의 레이어의 특성과 동일한 특성을 갖는 표시(식별자)를 하여 오버랩핑된 레이어의 순서를 표시한다. 식별자는 레이어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가 표시되고, 식별자의 순서는 문자를 읽는 방법에 따라 수직으로 표시된 경우에는 '상'에서 '하'로, 수평으로 표시된 경우에는 '좌'에서 '우'로 정한다. 따라서, 가장 상측 및 좌측에 위치한 식별자가 첫 번째 레이어를 표시한다.
일예로, 먼저 생성된 제1 기호 이미지(레이어1)의 색상, 명암, 명도, 패턴, 및 질감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한 식별자(검은색 식별자)를 도 29의 첫 번째 이미지에서와 같이 앞에 표시하고, 나중에 생성된 제2 기호 이미지(레이어2)의 색상, 명암, 명도, 패턴, 및 질감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한 식별자(회색 식별자)를 도 32의 첫 번째 이미지에서와 같이 뒤에 표시한다. 도 32의 첫 번째 이미지와 같이 오버랩핑된 2개의 기호 이미지(레이어1,2)에서, 식별자의 순서를 통해 도 32의 두 번째 이미지에서와 같이 '한'을 먼저 판독하고, 도 32의 세 번째 이미지에서와 같이 '글'을 나중에 판독함으로써, 오버랩핑된 첫 번째 이미지를 '한글'로 판독할 수 있게 된다.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호 이미지 편집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르면,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10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언어(한글, 영어 등)의 문자(숫자 포함)를 제어부(120)에서 기호 이미지로 변환하여 출력부(140)를 통해 실시간으로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제2 실시예에 따라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100) 내에서 입력 과정을 수행하고 외부의 타 장치를 통해 출력 과정을 수행하는 절차나, 제3 실시예에 따라 외부의 타 장치를 통해 입력 과정을 수행하고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100) 내에서 출력 과정을 수행하는 절차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는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100)의 입력부(110)를 통해 기호 이미지 생성 및 편집을 원하는 문자/숫자를 입력한다(S331).
이에 따라 생성부(121)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문자/숫자에 해당하는 문자/숫자 이미지상의 여백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기호/숫자 이미지를 생성한다(S332). 예컨대, 사각형 이미지 프레임을 도 7의 (a),(b)에서와 같이 초성 영역과 중성 영역으로 구분하고(공간구획) 도 3 및 도 4에서 상술한 방법에 따라 초성 이미지 프레임과 중성 이미지 프레임에 각각 독립적으로 초성과 중성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를 생성하거나, 또는 사각형 이미지 프레임을 도 7의 (c)~(e)에서와 같이 초성 영역, 중성 영역, 및 종성 영역으로 구분하고(공간구획) 도 3 내지 도 5에서 상술한 방법에 따라 초성 이미지 프레임, 중성 이미지 프레임, 및 종성 이미지 프레임에 각각 독립적으로 초성과 중성과 종성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를 생성한다. 한편, 생성부(121)는 도 6에서 상술한 방법에 따라 기호의 변형된 형태에 따라 기호 이미지를 생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른 한편, 사각형 이미지 프레임에 도 8에서 상술한 방법에 따라 숫자에 대응되는 숫자 이미지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 다른 한편, 사각형 이미지 프레임에 도 10 또는 도 11에서 상술한 방법에 따라 영어 대문자 또는 소문자에 대응되는 영문자 이미지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가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생성부(121)는 해당 문자에 맵핑된 기호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추출할 수 있다. 즉, 생성부(121)는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에 맵핑되어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기호 이미지를 추출하여, 사각형 이미지 프레임을 도 7의 (a),(b)에서와 같이 초성 영역과 중성 영역으로 구분하고(공간구획) 초성 이미지 프레임과 중성 이미지 프레임에 각각 독립적으로 초성과 중성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를 구성하거나, 또는 사각형 이미지 프레임을 도 7의 (c)~(e)에서와 같이 초성 영역, 중성 영역, 및 종성 영역으로 구분하고(공간구획) 초성 이미지 프레임, 중성 이미지 프레임, 및 종성 이미지 프레임에 각각 독립적으로 초성과 중성과 종성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를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는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100)를 이용하여 문자/숫자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를 생성한 후에 생성된 기호 이미지의 크기 또는 위치를 자유롭게 편집할 수도 있다(S333).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입력부(110)를 통해 기호 이미지에서의 사각형 이미지 프레임의 크기 또는 모양을 조절하거나, 사각형 이미지 프레임을 구성하는 초성 이미지 프레임, 중성 이미지 프레임, 종성 이미지 프레임의 각 크기 또는 상대 비율을 조절하거나, 기호 이미지를 구성하는 각 기호의 크기를 조절하거나, 각 이미지 프레임의 테두리의 굵기 및 선분 표시 방식(점선, 실선 등)을 변경하는 명령을 입력하며, 이에 따라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100)의 편집부(122)는 출력부(140)의 표시화면에 디스플레이된 기호 이미지의 크기 또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S333).
또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추가의 문자/숫자 정보를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할 수 있으며(S334), 이 경우에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100)의 생성부(121)는 전술한 S332 단계에서의 방법에 따라 추가로 입력된 문자/숫자에 대한 기호 이미지를 생성한다(S335).
또한, 사용자는 추가로 생성된 기호 이미지(제2 기호 이미지)를 최초 생성된 기호 이미지(제1 기호 이미지)에 겹쳐지도록 편집을 명령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100)의 편집부(122)는 제2 기호 이미지가 제1 기호 이미지에 도 31에서와 같이 오버랩핑되도록 편집한다(S336). 이때, 도 32에서와 같이 오버랩핑된 두 개의 기호 이미지에 대한 판독 순서를 나타내는 이미지(식별자)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S337).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10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기호 이미지를 제어부(120)에서 해석하여 해당 언어의 문자(숫자 포함)를 출력부(140)를 통해 실시간으로 출력한다.
이를 위해, 입력부(110)를 통해 사용자는 언어의 문자로 출력(디스플레이 또는 프린터 출력 등)을 원하는 기호 이미지를 입력할 수 있는데, 예컨대 한글의 초성과 중성이 결합된 문자에 대해서는 도 7의 (a),(b)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한글의 초성과 중성과 종성이 결합된 문자에 대해서는 도 7의 (c) ~ (e)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후, 상징물을 배치할 부분을 지정한다. 이후에, 상징물의 형상(점, 선, 면 등)을 선택할 수 있는 단계로 진입하고, 만약 사용자가 "점"을 선택한 경우 다시 점의 형상(삼각형, 사각형, 원 등)을 선택할 수 있는 단계로 진입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생성부(121)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문자/숫자 이미지에 해당하는 문자/숫자를 생성하여 출력부(140)의 표시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거나 프린터 출력한다.
사용자는 편집부(122)를 통해 입력한 기호 이미지를 편집하거나, 소정의 구획된 공간(예컨대 사각형 이미지 프레임) 및 그 공간을 구분한 공간구획(예컨대 한글의 초성, 중성, 종성을 구분하기 위한 공간분할)을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특정 실시예들을 통하여 설명되었지만, 상기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케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이 일부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명세서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00: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 110: 입력부
120: 제어부 121: 생성부
122: 편집부 130: 저장부
140: 출력부

Claims (21)

  1.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로서,
    문자를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로 변환하는 생성부; 및
    상기 변환된 기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며,
    상기 기호 이미지는, 상기 문자의 이미지 상의 여백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생성되는 것인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
  2.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로서,
    기호 이미지를 대응하는 문자로 변환하는 생성부; 및
    상기 변환된 문자를 디스플레이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며,
    상기 기호 이미지는, 상기 문자의 이미지 상의 여백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인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는, 한글 문자, 영문자, 숫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호 이미지의 크기 또는 위치를 조정하는 편집부를 더 포함하는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호 이미지는 해당 문자 또는 숫자 이미지 상의 여백의 모양에 따라 그 모양이 결정되는 것인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호 이미지는 원의 형상, 및 다각형의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 것인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호 이미지는, 적어도 하나의 한글 문자를 표현하는 소정의 구획된 제1 공간과, 상기 제1 공간을 점, 선, 면 또는 다른 표시에 의해 제2 공간들로 분할하며, 분할된 제2 공간들에서 초성, 중성, 종성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여 한글을 상징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공간구획과, 상기 공간구획으로 구분된 상기 제2 공간들에 배치되는 삼각형, 사각형, 원, 직선 중 적어도 하나의 상징물로 표현되는 것인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간 각각은, 횡방향 또는 종방향 또는 그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인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간 각각은,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것인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호 이미지는, 적어도 2개의 기호 이미지가 오버랩핑되며, 오버랩핑된 각각의 기호 이미지를 구분하기 위해 색상, 명암, 명도, 패턴, 및 질감 중 적어도 하나를 달리하여 표현하며, 각 기호 이미지의 판독 순서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구비하는 것인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
  11. 기호 이미지 편집 방법으로서,
    a) 문자를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로 변환하는 단계; 및
    b) 상기 변환된 기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기호 이미지는, 상기 문자의 이미지 상의 여백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생성되는 것인 기호 이미지 편집 방법.
  12. 기호 이미지 편집 방법으로서,
    a) 기호 이미지를 대응하는 문자로 변환하는 단계; 및
    b) 상기 변환된 문자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기호 이미지는, 상기 문자의 이미지 상의 여백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인 기호 이미지 편집 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는, 한글 문자, 영문자, 숫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기호 이미지 편집 방법.
  14.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호 이미지의 크기 또는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호 이미지 편집 방법.
  15.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호 이미지는 해당 문자 또는 숫자 이미지 상의 여백의 모양에 따라 그 모양이 결정되는 것인 기호 이미지 편집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호 이미지는 원의 형상, 및 다각형의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 것인 기호 이미지 편집 방법.
  17.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호 이미지는, 적어도 하나의 한글 문자를 표현하는 소정의 구획된 제1 공간과, 상기 제1 공간을 점, 선, 면 또는 다른 표시에 의해 제2 공간들로 분할하며, 분할된 제2 공간들에서 초성, 중성, 종성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여 한글을 상징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공간구획과, 상기 공간구획으로 구분된 상기 제2 공간들에 배치되는 삼각형, 사각형, 원, 직선 중 적어도 하나의 상징물로 표현되는 것인 기호 이미지 편집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간 각각은, 횡방향 또는 종방향 또는 그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인 기호 이미지 편집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간 각각은,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것인 기호 이미지 편집 방법.
  20.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호 이미지는, 적어도 2개의 기호 이미지가 오버랩핑되며, 오버랩핑된 각각의 기호 이미지를 구분하기 위해 색상, 명암, 명도, 패턴, 및 질감 중 적어도 하나를 달리하여 표현하며, 각 기호 이미지의 판독 순서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구비하는 것인 기호 이미지 편집 방법.
  21. 제11항 또는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각 단계를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들이 저장된 기록 매체.

KR20130002691A 2012-01-09 2013-01-09 기호 이미지 편집 방법 및 장치와 그를 위한 통신 단말기 KR101478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80013168.4A CN105027178A (zh) 2013-01-09 2014-01-09 符号图像编辑装置、方法及记录有用以执行该方法的程序的记录介质
PCT/KR2014/000263 WO2014109573A1 (ko) 2013-01-09 2014-01-09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JP2015552580A JP6461814B2 (ja) 2013-01-09 2014-01-09 記号イメージ編集装置及び方法並びにこれを実行する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
EP14737862.4A EP2945142A4 (en) 2013-01-09 2014-01-09 DEVICE AND METHOD FOR EDITING SYMBOL IMAGES AND RECORDING MEDIUM WITH A RECORDED PROGRAM FOR IMPLEMENTING THEREOF
US14/795,870 US9721367B2 (en) 2013-01-09 2015-07-09 Apparatus, method and medium for editing symbol images
HK16105088.4A HK1217137A1 (zh) 2013-01-09 2016-05-04 符號圖像編輯裝置、方法及記錄有用以執行該方法的程序的記錄介質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02557 2012-01-09
KR1020120002557 2012-01-09
KR1020120010621 2012-02-02
KR20120010621 2012-02-02
KR1020120114691 2012-10-16
KR20120114691 2012-10-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1678A KR20130081678A (ko) 2013-07-17
KR101478646B1 true KR101478646B1 (ko) 2015-01-02

Family

ID=4878202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02690A KR101478645B1 (ko) 2012-01-09 2013-01-09 한글 이미지 편집 장치에서의 한글 이미지 편집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20130002691A KR101478646B1 (ko) 2012-01-09 2013-01-09 기호 이미지 편집 방법 및 장치와 그를 위한 통신 단말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02690A KR101478645B1 (ko) 2012-01-09 2013-01-09 한글 이미지 편집 장치에서의 한글 이미지 편집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510168B2 (ko)
EP (1) EP2804112A4 (ko)
JP (1) JP6034404B2 (ko)
KR (2) KR101478645B1 (ko)
CN (1) CN104040534B (ko)
HK (1) HK1201956A1 (ko)
WO (1) WO2013105793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10168B2 (en) 2012-01-09 2019-12-17 Jungha Ryu Method for editing character image in character image edit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having program recorded thereon for executing the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6740A (ko) * 2013-07-09 2015-01-19 류중하 문자에 대한 기호 이미지 구성 방법, 및 기호 이미지에 대한 대응되는 문자의 분석 방법
US10049429B2 (en) * 2013-07-09 2018-08-14 Jung Ha RYU Device and method for designing using symbolized image, and device and method for analyzing design target to which symbolized image is applied
KR20150006806A (ko) * 2013-07-09 2015-01-19 류중하 기호 이미지 교육 장치 및 방법
WO2016006939A1 (ko) * 2014-07-09 2016-01-14 류중하 저작물에 대한 워터마크 적용 장치 및 방법
CN117113962A (zh) * 2020-04-01 2023-11-24 支付宝(杭州)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装置及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5310U (ko) * 1989-10-05 1991-05-28
JPH1115589A (ja) * 1997-06-20 1999-01-22 Soosu:Kk キー入力練習方法、キー入力練習システム、及び表示装 置の表示を制御する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4384A (ja) * 1983-09-20 1985-04-12 三洋電機株式会社 パタ−ン表示方法
GB8602836D0 (en) * 1986-02-05 1986-03-12 Philips Electronic Associated Data display apparatus
JPH0355310Y2 (ko) 1987-03-20 1991-12-09
US5175811A (en) * 1987-05-20 1992-12-29 Hitachi, Ltd. Font data processor using addresses calculated on the basis of access parameters
GB8719115D0 (en) 1987-08-12 1987-09-16 Linotype Ltd Printing
JPH01174463A (ja) * 1987-12-28 1989-07-11 Sharp Corp ドットパターン補正方法
JPH04118694A (ja) 1990-09-10 1992-04-20 Fujitsu Ltd 文字の縁取り処理方法
JP2562727B2 (ja) * 1990-10-25 1996-12-11 三洋電機株式会社 表示用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
EP0579873B1 (en) * 1992-07-20 1999-05-06 Océ-Technologies B.V. Method of reproducing text on a raster output device
JPH06274482A (ja) * 1993-03-19 1994-09-30 Canon Inc 文字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5796409A (en) * 1993-04-06 1998-08-18 Ecole Polytechnique Federale De Lausanne Method for producing contrast-controlled grayscale characters
TW363158B (en) * 1993-06-25 1999-07-01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A system for automatic adjustment of, character spacing
US5436974A (en) * 1993-10-12 1995-07-25 Innovator Corporation Method of encoding confidentiality markings
JPH08160934A (ja) 1994-12-07 1996-06-21 King Jim Co Ltd 文字情報処理装置
JP3714827B2 (ja) 1998-10-22 2005-11-09 株式会社キングジム 文字入力装置
US7322524B2 (en) * 2000-10-20 2008-01-29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Graphic design software using an interface surface
JP2002366462A (ja) * 2001-06-11 2002-12-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インターネットアクセスシステム、インターネットアクセス方法
US20030088398A1 (en) * 2001-11-08 2003-05-08 Jin Guo User interface of a keypad entry system for korean text input
KR20030042618A (ko) 2001-11-23 2003-06-02 이경희 컴퓨터를 이용한 커팅 플로터의 문자 및 그래픽 이미지편집 방법
EP1345154A1 (en) 2002-03-11 2003-09-17 Bracco Imaging S.p.A. A method for encoding image pixels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s aimed at qualitative recognition of the object reproduced by one more image pixels
US20070128899A1 (en) * 2003-01-12 2007-06-07 Yaron Mayer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comfort, and/or reliability in Operating Systems, such as for example Windows
WO2005001675A2 (en) * 2003-06-30 2005-01-06 Hyder Syed S Algorithmic generation of afu calligraphy
US20050175811A1 (en) 2004-02-06 2005-08-11 Daikin Industries, Ltd. Treatment comprising water-and oil-repellent agent
MX2009010074A (es) * 2007-03-21 2010-03-03 Interdigital Tech Corp Metodo y aparato de comunicacion inalambrico (mimo) para transmitir y descodificar estructuras de bloque de recurso en base en un modo de señal de referencia dedicado.
JP2008242866A (ja) * 2007-03-27 2008-10-09 Fujitsu Component Ltd 情報処理装置、情報漏洩防止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9031629A (ja) * 2007-07-30 2009-02-12 Dream Font Kk 審美性に優れた文字を生成する装置
JP4772888B2 (ja) * 2009-03-27 2011-09-14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記録媒体
CN104040534B (zh) 2012-01-09 2018-10-12 柳仲夏 文字图像编辑装置的文字图像编辑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5310U (ko) * 1989-10-05 1991-05-28
JPH1115589A (ja) * 1997-06-20 1999-01-22 Soosu:Kk キー入力練習方法、キー入力練習システム、及び表示装 置の表示を制御する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10168B2 (en) 2012-01-09 2019-12-17 Jungha Ryu Method for editing character image in character image edit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having program recorded thereon for executing the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04112A4 (en) 2015-11-25
WO2013105793A3 (ko) 2013-09-19
KR20130081678A (ko) 2013-07-17
CN104040534A (zh) 2014-09-10
WO2013105793A2 (ko) 2013-07-18
EP2804112A2 (en) 2014-11-19
CN104040534B (zh) 2018-10-12
JP2015510609A (ja) 2015-04-09
HK1201956A1 (en) 2015-09-11
WO2013105793A9 (ko) 2013-10-24
JP6034404B2 (ja) 2016-11-30
US10510168B2 (en) 2019-12-17
KR101478645B1 (ko) 2015-01-02
KR20130081677A (ko) 2013-07-17
US20150015587A1 (en) 2015-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8646B1 (ko) 기호 이미지 편집 방법 및 장치와 그를 위한 통신 단말기
KR20150006740A (ko) 문자에 대한 기호 이미지 구성 방법, 및 기호 이미지에 대한 대응되는 문자의 분석 방법
Tselentis et al. Typography, referenced: A comprehensive visual guide to the language, history, and practice of typography
JP4969403B2 (ja) ロゴ付き二次元コード
Luna Typography: A very short introduction
KR101434442B1 (ko) 한글­알파벳 결합서체 구현 방법 및 그 장치
KR20150006738A (ko) 기호 이미지를 이용한 디자인 설계 장치 및 방법
Hardy et al. Portrayal and cartography
CN105659236B (zh) 图案设计装置及方法、设计对象的分析装置及方法
Samara Letterforms: Typeface Design from Past to Future
KR101478647B1 (ko)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에서의 문자 이미지 편집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20150006739A (ko) 기호 이미지가 적용된 설계 대상물 분석 장치 및 방법
Stephenson The Column of Trajan in the light of ancient cartography and geography
JP6227133B2 (ja) 記号イメージ検索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記号イメージ検索用サーバ
Wang Interview with Charles Bigelow
KR102510875B1 (ko) 한글학습교재
Kruhl Drawing geological structures
Luu Saigon Vintage Lettering
Brewer et al. Comparison of GIS and graphics software for advanced cartographic symbolization and labeling: Five GIS projects
Stapko Typographic labyrinths: Mutable typography and its connection to the semiotic Model Q
Harris et al. Typography
Louvel Varia: From Letters to Texts and Images, from Texts and Images to Letters: Catching the Reader’s/Spectator’s Gaze
Aling Spatial codices: On architecture book design
US20160163213A1 (en) Symbol Image Educa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長江貞彦 et al. Development of a KANJI (Chinese Character) Instruction Tool by Using Image-Processing-Aide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