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6739A - 기호 이미지가 적용된 설계 대상물 분석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기호 이미지가 적용된 설계 대상물 분석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6739A
KR20150006739A KR20130080574A KR20130080574A KR20150006739A KR 20150006739 A KR20150006739 A KR 20150006739A KR 20130080574 A KR20130080574 A KR 20130080574A KR 20130080574 A KR20130080574 A KR 20130080574A KR 20150006739 A KR20150006739 A KR 20150006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ymbol image
symbol
design
charac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80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중하
Original Assignee
류중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중하 filed Critical 류중하
Priority to KR20130080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6739A/ko
Priority to PCT/KR2014/006140 priority patent/WO2015005664A1/ko
Priority to US14/903,655 priority patent/US10049429B2/en
Priority to CN201480039655.8A priority patent/CN105659236B/zh
Priority to JP2016525277A priority patent/JP6131389B2/ja
Publication of KR20150006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67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기호 이미지가 적용된 설계 대상물 분석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소정의 문자에 대응되는 이미지로서, 문자의 이미지 상의 여백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생성되는 이미지인 기호 이미지가 표현되도록 구현된 설계 대상물의 외부 정보를 입력받고, 설계 대상물의 외부 정보를 분석하여, 설계 대상물에 구현된 기호 이미지를 추출하며, 추출된 기호 이미지를 표시하는 과정을 통해 구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글, 영어, 숫자 등의 문자를 상징화한 기호 이미지들을 이용하여 설계된 각종 산업 생산물(제품, 미술품, 건축물, 공예품, 건물 등)의 디자인으로부터 해당 디자인에 구현되어 있는 기호 이미지 및 그에 대응되는 문자 정보를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기호 이미지가 적용된 설계 대상물의 분석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기호 이미지가 적용된 설계 대상물 분석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for Design Applied with Mark Image}
본 발명은 기호 이미지가 적용된 설계 대상물의 분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글, 영어, 숫자 등의 문자를 상징화한 기호 이미지들을 이용하여 설계된 각종 산업 생산물(제품, 미술품, 건축물, 공예품, 건물 등)의 디자인으로부터 해당 디자인에 구현되어 있는 기호 이미지 및 그에 대응되는 문자 정보를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기호 이미지가 적용된 설계 대상물의 분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글은 1443년 세종대왕에 의해 창제되면서 세계 다른 문자들이 갖고 있지 않은 과학적 원리와 조형성의 특징을 갖고 있다. 한편, 한글은 대한민국 문화 유산이자 과학적 원리를 활용한 가장 훌륭한 발명 중 하나로 볼 수 있으나 산업, 예술, 디자인, 건축, 공예 분야에서의 한글에 대한 올바른 가치인식과 활용이 매우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와 같이, 한글이 산업적으로 활용되지 않는 이유에 대한 조사결과에 따르면, 소비자로서는 디자인이 아름답지 않기 때문에 선호하지 않고 기업으로서는 소비자들이 한글 디자인을 선호하지 않거나 관광상품으로서 수익성이 적다고 판단하여 상품에 적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현대에는 영상 미디어의 발달로 문자 외에 이미지에 대한 정보 전달의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다. 예를 들면, 기아난민구호와 관련하여 문자나 숫자만으로 표시된 장황한 호소문 보다 문자나 숫자에 이미지가 결합될 경우 더 큰 호소력이 생기는 특성을 갖게 되었으며, 이러한 시대적 특성을 반영하여 언어를 단순한 정보전달매체에서 한 단계 발전시켜 언어의 의미를 상징적으로 함축하고 산업적으로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절실히 요구된다.
특히, 산업, 예술, 디자인, 건축, 공예, 도시기획 등의 각종 분야에서 산업 생산물(제품, 미술품, 건축물, 공예품, 건물 등)에 언어의 문자나 숫자를 상징적으로 표현함으로써, 언어에 대한 인식을 제고시키고 산업적 응용이 가능토록 할 수 있는 방안이 절실히 요구될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이 한글, 영어, 숫자 등의 문자를 상징화한 기호 이미지들이 적용된 산업 생산물의 손쉬운 디자인 설계를 가능토록 하는 디자인 설계 솔루션의 제공이 절실히 요구된다.
아울러, 이와 같이 기호 이미지들이 구현되도록 설계된 산업 생산물에 구체적으로 어떠한 기호 이미지들이 구현되어 있는 것인지를 일반인에게 쉽게 설명할 수 있도록 하는 디자인 분석 및 해석 솔루션의 제공 또한 절실히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한글, 영어, 숫자 등의 문자를 상징화한 기호 이미지들을 이용하여 설계된 각종 산업 생산물(제품, 미술품, 건축물, 공예품, 건물 등)의 디자인으로부터 해당 디자인에 구현되어 있는 기호 이미지 및 그에 대응되는 문자 정보를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기호 이미지가 적용된 설계 대상물의 분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호 이미지가 적용된 설계 대상물의 분석방법은, (a) 소정의 문자에 대응되는 이미지로서, 상기 문자의 이미지 상의 여백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생성되는 이미지인 기호 이미지가 표현되도록 구현된 설계 대상물의 외부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설계 대상물의 외부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설계 대상물에 구현된 기호 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 및 (c) 추출된 상기 기호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호 이미지는 복수의 기호 이미지가 오버랩핑된 기호 이미지이며,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기호 이미지 각각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호 이미지는, 상기 기호 이미지의 해석 기준 좌표가 표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문자는, 한글 문자, 영문자, 숫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호 이미지는 해당 문자 또는 숫자 이미지 상의 여백의 모양에 따라 그 모양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호 이미지는 삼각형, 사각형, 원, 각 도형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 정보는 상기 설계 대상물의 영상 정보, 온도 정보, 및 주파수 정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호 이미지가 적용된 설계 대상물 분석 장치는, 소정의 문자에 대응되는 이미지로서, 상기 문자의 이미지 상의 여백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생성되는 이미지인 기호 이미지가 표현되도록 구현된 설계 대상물의 외부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외부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설계 대상물에 구현된 기호 이미지를 추출하는 분석부; 및 상기 분석부에 의해 추출된 기호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호 이미지는 복수의 기호 이미지가 오버랩핑된 기호 이미지이며, 상기 분석부는, 상기 복수의 기호 이미지 각각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호 이미지는, 상기 기호 이미지의 해석 기준 좌표가 표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문자는, 한글 문자, 영문자, 숫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호 이미지는 해당 문자 또는 숫자 이미지 상의 여백의 모양에 따라 그 모양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호 이미지는 삼각형, 사각형, 원, 각 도형의 형상을 갖는 것인 기호 이미지가 적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 정보는 상기 설계 대상물의 영상 정보, 온도 정보, 및 주파수 정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글, 영어, 숫자 등의 문자를 상징화한 기호 이미지들을 이용하여 설계된 각종 산업 생산물(제품, 미술품, 건축물, 공예품, 건물 등)의 디자인으로부터 해당 디자인에 구현되어 있는 기호 이미지 및 그에 대응되는 문자 정보를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기호 이미지가 적용된 설계 대상물의 분석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호 이미지를 추출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한글의 초성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를 생성하는 원리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한글의 중성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를 생성하는 원리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한글의 종성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를 생성하는 원리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호 이미지를 변형 생성하는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한글의 초성, 중성, 종성에 대한 기호 이미지가 각각 생성되는 영역을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아라비아 숫자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를 생성하는 원리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공간구획과 상징물에 의해 표현되는 숫자를 활용한 시계 디자인을 예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영어 대문자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를 생성하는 원리를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기호 이미지를 이용한 디자인 설계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기호 이미지를 이용한 디자인 설계 방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 및
도 13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기호 이미지를 이용한 디자인 설계 방법에 의해 설계된 설계 대상물을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설계 대상물의 분석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설계 대상물의 분석 방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
도 20은 도 18에서의 설계 대상물 분석 장치의 표시부의 표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문자가 오버랩핑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오버랩핑된 문자를 판독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 및
도 23 및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기호 이미지의 공간 구획선이 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문자 정보를 추출하는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기호 이미지'는 특히 한글의 문자를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소정의 구획된 공간(예컨대 사각형 이미지 프레임)에서 공간을 구분하여(공간구획) 구분된 공간의 일부분에 적어도 하나가 배치된 상징물이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일부의 문자(한글중성의 ㅡ,ㅣ,ㅢ와 영어소문자l 숫자1 등)에 있어서는, 상징물이 전혀 배치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또한, 영어의 문자나 숫자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는, 영문자나 숫자를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소정의 구획된 공간(예컨대 사각형 이미지 프레임)에서 공간의 일부분에 적어도 하나가 배치된 상징물이다. 여기서, 상징물은 언어(한글, 영어 등)의 문자나 숫자를 일정한 틀에 넣고 빈 공간(여백)으로부터 파악된 형상을 점, 선, 면 등으로 단순화한 것이며, 이때 점은 삼각형, 사각형, 원 등의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100)는 입력부(110), 제어부(120), 저장부(130) 및 출력부(1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100)는 자체 동작 가능하거나(하기의 제1 실시예 참조), 통신 단말에 구비되어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외부의 타 장치(본 발명의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100)와 같은 장치로서, 타 통신 단말에 구비되거나 타 통신 단말에 연동됨)와 통신할 수도 있다(하기의 제2 및 제3 실시예 참조). 데이터 통신망으로는, 유/무선 전화망 및 인터넷, 블루투스 등이 될 수 있다. 통신 단말은, 유/무선 전화기, SIP 단말, 휴대폰, PDA, 일반 PC, 핸드헬드 PC, 유/무선 모뎀을 장착한 노트북, 스마트글래스, 스마트카메라, 스마트와치, 블랙박스, 네비게이션, 영상기록장치 등의 유/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통신기기 등이 될 수 있다.
제1 실시예로서,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10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언어(한글, 영어 등)의 문자(숫자 포함)를 기호 이미지로 변환하여 출력부(140)를 통해 실시간으로 출력한다. 또한,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10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기호 이미지를 해석하여 해당 언어의 문자(숫자 포함)를 출력부(140)를 통해 실시간으로 출력한다. 즉, 제1 실시예는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100) 내에서 입/출력 과정을 모두 수행한다.
제2 실시예로서,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10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언어(한글, 영어 등)의 문자(숫자 포함) 정보를 외부의 타 장치로 전달한다. 또한,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10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기호 이미지를 해석하여 해당 언어의 문자(숫자 포함) 정보를 외부의 타 장치로 전달한다. 즉, 제2 실시예는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100) 내에서 입력 과정을 수행하고, 외부의 타 장치를 통해 출력 과정을 수행한다.
제3 실시예로서,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100)는 외부의 타 장치로부터 전달된 언어(한글, 영어 등)의 문자(숫자 포함)를 기호 이미지로 변환하여 출력부(140)를 통해 실시간으로 출력한다. 이때, 외부의 타 장치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언어(한글, 영어 등)의 문자(숫자 포함) 정보를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100)로 전달하거나,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기호 이미지를 해석하여 해당 언어의 문자(숫자 포함) 정보를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100)로 전달한다. 즉, 제3 실시예는 외부의 타 장치를 통해 입력 과정을 수행하고,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100) 내에서 출력 과정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제4 실시예로서 외부의 타 장치를 통해 입력 과정을 수행하되,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100) 내에서 출력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또 다른 외부의 타 장치를 통해 출력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제2 및 제3 실시예에서, 외부의 타 장치는 본 발명의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100)와 같은 장치로서, 타 통신 단말에 구비되거나 타 통신 단말에 연동되어 구동되며,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본 발명의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100)와 통신하는 장치이다.
기호 이미지는, 문자 또는 숫자 이미지 상의 여백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생성되며, 해당 문자 또는 숫자 이미지 상의 여백의 모양에 따라 결정된다.
특히 한글 문자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는, 한글 문자를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한글 문자를 표현하는 소정의 구획된 공간에서 한글의 초성, 중성, 종성을 구분할 수 있도록 공간 분할하여 분할된 공간의 일부분에 상징물이 배치된다. 또한, 영문자 또는 숫자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는, 영문자 또는 숫자를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영문자 또는 숫자를 표현하는 소정의 구획된 공간에서 공간의 일부분에 상징물이 배치된다.
상기 제2 및 제3 실시예에서 외부 타 장치의 입/출력 과정은 상기 제1 실시예에서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100)의 입/출력 과정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를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120)는 제1 실시예에 따라 입력부(110)로부터 입력된 또는 제3 실시예에 따라 외부의 타 장치로부터 전달된 언어(한글, 영어 등)의 문자(숫자 포함) 정보를 기호 이미지로 변환하여 출력부(140)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거나 프린터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어부(120)는 생성부(121) 및 편집부(122)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생성부(121)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언어의 문자나 숫자 정보에 해당하는 문자/숫자 이미지상의 여백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기호 이미지를 생성하여 출력부(140)의 표시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거나 프린터 출력한다. 생성된 기호 이미지는 저장부(130)에 저장된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저장부(130)에는 문자/숫자에 대해 하기에서 설명할 기호 이미지 생성 원리에 따라 각각 생성된 기호 이미지들이 각 문자/숫자에 맵핑되어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생성부(121)는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숫자에 맵핑되어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기호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추출하여 출력부(140)의 표시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거나 프린터 출력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생성부(121)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기호 이미지를 해석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기호 이미지에 맵핑되어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문자/숫자를 실시간으로 추출하여 해당 언어의 문자/숫자를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한다.
편집부(122)는 출력부(140)의 표시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기호 이미지를 사용자가 그 크기 또는 위치 등을 조정하는 편집 명령을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하는 경우에 편집 명령에 따라 기호 이미지를 편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출력 과정에서의 이미지 편집 기능). 또한, 편집부(122)는 기호 이미지가 표현되는 소정의 구획된 공간(예컨대 사각형 이미지 프레임) 및 그 공간을 구분한 공간구획(예컨대 한글의 초성, 중성, 종성을 구분하기 위한 공간분할)을 자유롭게 편집, 구성할 수 있다(입/출력 과정에서의 공간 편집 기능).
일실시예에 있어서, 입력부(110)는 사용자가 기호 이미지로 출력(디스플레이 또는 프린터 출력 등)을 원하는 언어의 문자나 숫자 정보를 입력하는데 사용되며, 또한 사용자가 생성된 기호 이미지에 대한 편집 명령을 입력하는데 사용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입력부(110)는 사용자가 언어의 문자나 숫자로 출력(디스플레이 또는 프린터 출력 등)을 원하는 기호 이미지를 입력하는데 사용되며, 또한 사용자가 입력하는 기호 이미지에 대한 편집 명령을 입력하는데 사용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입력부(110)는 사용자가 원하는 기호 이미지가 표현될 수 있는 소정의 구획된 공간(예컨대 사각형 이미지 프레임) 및 그 공간을 구분한 공간구획(예컨대 한글의 초성, 중성, 종성을 구분하기 위한 공간분할)에 대한 편집 명령을 입력하는데 사용된다.
입력부(110)는 키패드, 터치스크린부, 마우스패드, 마우스, 광학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터치스크린부에서 입력하는 문자/숫자 입력을 키패드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고, 키패드에서 입력하는 문자/숫자 입력을 터치스크린부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적용 대상은 키패드만을 구비한 장치, 또는 터치스크린부만을 구비한 장치, 또는 키패드 및 터치스크린부 둘 다를 구비한 장치일 수 있다.
키패드는 숫자와 특수문자 또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다수 개의 키버튼으로 구성된다. 또한 이와 함께 입력된 문자/숫자를 저장하고, 수정하거나 불러들이는 기능버튼과 일반버튼이 더 구비되며 사용자의 지시를 제어부(120)에 전송하는 매개체의 기능을 수행한다. 키패드는 사용자가 손 등을 이용하여 문자(자음, 모음)/숫자 키에 소정 압력을 가하면(또는 미세 전류를 가하거나 센서에 의해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시키면), 이에 해당하는 문자/숫자 인식에 필요한 데이터, 즉 키 데이터를 발생하여 제어부(120)로 전달하고, 제어부(120)는 인가되는 키 데이터에 대응되는 문자/숫자 코드 데이터를 저장부(130)에서 확인하고 문자/숫자 코드 데이터들에 맵핑된 기호 이미지를 추출하여 출력부(140)에 디스플레이하거나 프린터 출력한다. 문자나 숫자 입력을 위한 키패드의 하드키 구성과, 키패드를 통한 문자/숫자 인식 및 조합 방식은 공지의 기술을 준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터치스크린부는 객체지향적 문자/숫자 정보 입력수단으로, 사용자가 손이나 스타일러스 펜과 같은 필기구 등을 이용하여 패널 상면의 문자(자음, 모음)/숫자에 소정 압력을 가하면, 이에 해당하는 문자/숫자 인식에 필요한 데이터, 즉 터치스크린 데이터를 발생하여 제어부(120)로 전달하고, 제어부(120)는 인가되는 터치스크린 데이터에 대응되는 문자/숫자 코드 데이터를 저장부(130)에서 확인하고 문자/숫자 코드 데이터들에 맵핑된 기호 이미지를 추출하여 출력부(140)에 디스플레이하거나 프린터 출력한다. 문자나 숫자 입력을 위한 터치스크린부의 소프트키 구성과, 터치스크린부를 통한 문자/숫자 인식 및 조합 방식은 공지의 기술을 준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저장부(130)는 제어부(120)에 의해 처리된 기능을 구동하기 위한 프로그램, 사용자의 편리성과 기본적인 여러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예컨대 램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또는 플래쉬 메모리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며,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프로그램이나 입력부(110)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동작 프로그램 등이 저장된다. 특히, 저장부(130)는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입력 처리되는 키 데이터 또는 터치스크린 데이터에 대응하는 문자/숫자 코드 데이터와 이에 맵핑된 기호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문자/숫자 코드 데이터에 맵핑되는 기호 이미지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출력부(140)는 제어부(120)의 제어하에 디스플레이 또는 프린터 출력 동작을 수행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출력부(140)에 출력되는 기호 이미지 정보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문자/숫자 정보에 대응되는 정보이다. 즉 사용자가 문자/숫자를 입력하면 이에 대응되는 문자/숫자 코드 데이터가 추출되고 이에 맵핑된 기호 이미지가 출력되어 출력부(140)의 표시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거나 프린터 출력되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출력부(140)에 출력되는 문자/숫자 정보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기호 이미지 정보에 대응되는 정보이다. 즉 사용자가 기호 이미지를 입력하면 이를 해석하여 대응되는 문자/숫자 코드 데이터가 추출되고 이에 맵핑된 기호 이미지가 출력되어 출력부(140)의 표시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거나 프린터 출력되는 것이다.
예컨대, 한글 입력 모드에서 한글의 초성 자음 개수는 총 19개이면 표현 가능하므로, 이러한 초성은 단자음 14개('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와 쌍자음 5개('ㄲ', 'ㄸ', 'ㅃ', 'ㅆ', 'ㅉ')면 족하다. 또한 중성의 모음 개수는 총 21개이면 표현 가능하므로, 이러한 중성은 단모음 10개('ㅏ', 'ㅓ', 'ㅗ', 'ㅜ', 'ㅡ', 'ㅣ', 'ㅐ', 'ㅔ', 'ㅚ', 'ㅟ')와 이중모음 11개('ㅑ', 'ㅕ', 'ㅛ', 'ㅠ', 'ㅒ', 'ㅖ', 'ㅘ', 'ㅙ', 'ㅚ', 'ㅝ', 'ㅞ', 'ㅟ', 'ㅢ')면 족하다. 또한 종성의 자음 개수는 총 27이면 표현 가능하므로, 이러한 종성은 단자음 14개와 쌍자음 5개와 복자음 11개('ㄳ',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ㅄ')면 족하다.
이와 같이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100)는 언어(한글, 영어 등)의 문자(숫자 포함)를 기호 이미지로, 또는 기호 이미지를 해석하여 해당 언어의 문자(숫자 포함)로 출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한글의 문자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는 언어의 문자나 숫자를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한글 문자(적어도 하나의 음절)를 표현하는 소정의 구획된 공간(예컨대 사각형 이미지 프레임)에서 공간을 구분하여(공간구획) 구분된 공간의 일부분에 적어도 하나가 배치된 상징물이다. 이 상징물은 언어(한글, 영어 등)의 문자나 숫자를 일정한 틀에 넣고 빈 공간으로부터 파악된 형상을 점, 선, 면 등으로 단순화한 것이며, 이때 점은 삼각형, 사각형, 원 등의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언어의 문자나 숫자를 상징화한 기호 이미지는, 언어의 문자나 숫자를 인쇄 등에 사용되는 평면적인 대상이 아닌 부피와 질량을 갖는 물체로 규정하고, 이를 일정한 틀에 넣고 비어 있는 공간에 쇳물을 부어 얻게 되는 주물을 가공하여 원래의 틀과 함께 문자나 숫자를 간단하고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문자/숫자 가공 기술을 기초로 하고 있으며, 도 2에 문자나 숫자의 가공 과정을 평면적으로 예시하였다. 즉, 언어의 문자나 숫자의 표현에 공간 개념을 부여하여 이를 단순화된 공간으로 표현하고, 언어의 문자나 숫자를 가공하여 이를 단순화하여 표현할 수 있는 상징물인 삼각형, 사각형, 원 등을 추출해 낸 후, 이 상징물을 공간에 배치하여 언어의 숫자나 문자를 상징적으로 표현한다.
따라서, 출력부(140)의 표시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한글의 기호 이미지는, 적어도 하나의 한글 문자(적어도 하나의 음절)를 표현하는 소정의 구획된 제1 공간과, 제1 공간을 점, 선, 면 또는 다른 표시에 의해 구분하며(제1 공간을 공간구획하여 제2 공간으로 분할) 구분된 제2 공간들에서 초성, 중성, 종성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여 한글을 상징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공간구획과, 공간구획으로 구분된 제2 공간들에 배치되는 삼각형, 사각형, 원, 직선 중 상징물로 표현된다. 여기서 공간구획으로 구분된 제2 공간 각각은 횡방향 또는 종방향 또는 그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제1 공간은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징물은 삼각형, 사각형, 원, 각 도형의 형상을 갖는 사물이나 형상을 갖도록 구성된 사물, 및 각 도형을 연상시키는 문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한글의 문자에 대해 기호 이미지를 생성하는 원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한글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를 생성하는 원리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점, 선, 면을 함께 활용한 한글의 초성, 중성, 종성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7은 공간구획으로 한글의 초성, 중성, 종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공간구획은 예컨대 한글의 초성, 중성, 종성을 구분하기 위한 공간분할을 의미한다.
먼저, 도 3은 한글 초성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를 생성하는 원리를 설명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a)는 'ㄱ'에서의 여백 위치인 좌측 하단에 사각형 기호 이미지를 생성한 것이며, (b)는 'ㄴ'에서의 여백 위치인 우측 상단에 여백의 모양과 같은 사각형 기호 이미지를 생성한 것이고, (c)는 'ㄷ'에서의 여백 위치인 우측 중단에 여백의 모양과 같은 사각형 기호 이미지를 생성한 것이다.
또한, (d)는 'ㄹ'에서의 여백 위치에 여백의 모양과 같은 사각형 기호 이미지를 생성한 것이며, (e)는 'ㅁ'에서의 여백 위치인 중앙에 여백의 모양과 같은 사각형 기호 이미지를 생성한 것이다. 또한, (f)는 'ㅂ'에서의 여백 위치인 중앙과 상측 중단에 각각 여백의 모양과 같은 사각형 기호 이미지를 생성한 것이며, (g)는 'ㅅ'에서의 여백 위치인 하측 중단에 여백의 모양과 같은 삼각형 기호 이미지를 생성한 것이고, 또한 (h)는 'ㅇ'에서의 여백 위치인 중앙에 여백의 모양과 같은 원형 기호 이미지를 생성한 것이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는 각 한글의 이미지상에서의 여백의 모양이 사각형, 삼각형, 또는 원형인 경우에만 해당 여백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여백의 모양과 동일한 모양의 기호 이미지를 생성하였으며, 각 한글의 이미지상에서의 여백의 위치에 여백과 다른 형상을 가진 기호이미지의 생성도 가능하며 이것은 여백이 문자의 고유한 특성을 결정짓기 때문이다.
상술한 규칙에 따라, 도 3에서의 나머지 기호 이미지들을 분석하면 (i)는 'ㅈ'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이며, (j)는 'ㅊ'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이고, (k)는 'ㅋ'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이며, (l)은 'ㅌ'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이고, (m)은 'ㅍ'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이며, (n)은 'ㅎ'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이고, (o)은 'ㄲ'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이며, (p)는 'ㄸ'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이고, (q)는 'ㅃ'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이며, (r)은 'ㅆ'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이고, (s)는 'ㅉ'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임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4는 한글의 초성과 중성이 결합된 글자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를 생성하는 원리를 설명하고 있다. 다만 모음 단독으로 표현하지 않고 알아보기 쉽게 자음 'ㅇ'과 함께 표현하였다. 도 4에서와 같이 초성과 중성이 결합된 글자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를 생성함에 있어서, 먼저 도 3에서의 사각형 이미지 프레임을 도 7의 (a),(b)에서와 같이, 초성 영역과 중성 영역으로 구분하고(이를 '공간구획'이라 한다) 초성 이미지 프레임과 중성 이미지 프레임에 각각 독립적으로 초성과 중성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를 생성하게 된다.
초성 이미지 프레임에 초성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를 생성하는 원리는 도 3에서 설명된 원리와 동일하며, 본 발명에서는 중성 이미지 프레임에 중성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의 생성에 있어서도 중성의 이미지상에서의 여백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여백의 모양과 동일한 모양인 사각형 기호 이미지를 생성하였다.
이와 같은 기호 이미지 생성 원리에 따라 도 4에서의 각 기호 이미지가 의미하는 글자를 분석하면, (a)는 '아'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이고, (b)는 '야'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이고, (c)는 '어'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이고, (d)는 '여'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이고, (e)는 '오'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이고, (f)는 '요'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이고, (g)는 '우'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이고, (h)는 '유'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이고, (i)는 '으'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이고, (j)는 '이'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이고, (k)는 '애'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이고, (l)은 '얘'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이다.
한편, 중성 중 단모음 'ㅔ'와 이중모음 'ㅖ'의 경우에는 각각 'ㅓ', 'ㅕ'와 구분하기 위해, 중성 이미지 프레임을 (m), (n)에서와 같이 세로로 두 개로 나누어서 'ㅔ'는 'ㅓ+ㅣ'로 표기하고, 'ㅖ'는 'ㅕ+ㅣ'로 표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m)은 '에'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이고, (l)은 '예'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가 된다.
한편, 모음들 중에서 복모음의 경우에는 중성 이미지 프레임을 전체 사각형 이미지 프레임의 하단부와 우측단부로 나눈 상태에서 각 모음의 기호 이미지를 개별적으로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에 따라, (o)는 '와'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가 되며, (p)는 '왜'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가 되며, (q)는 '외'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가 되며, (r)은 '워'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가 되며, (s)는 '웨'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가 되며, (t)는 '위'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가 되며, (u)는 '의'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가 된다.
한편, 초성과 중성과 종성이 결합된 글자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를 생성함에 있어서는, 먼저 도 3에서의 사각형 이미지 프레임을 도 7의 (c)~(f)에서와 같이, 초성 영역, 중성 영역, 및 종성 영역으로 구분하고(이를 '공간구획'이라 한다) 초성 이미지 프레임, 중성 이미지 프레임, 및 종성 이미지 프레임에 각각 독립적으로 초성과 중성과 종성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를 생성하게 된다.
도 5는 한글 종성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를 종성 이미지 프레임에 생성하는 원리를 설명하고 있다. 한편, 도 3에서의 한글 초성 (3a)~(3s)의 단자음 14개('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와 쌍자음 2개('ㄲ', 'ㅆ')는 모두 한글 종성으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을 배제하고, 도 5에서는 한글 종성으로만 사용되는 복자음 11개('ㄳ',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ㅄ')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의 생성 원리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한글의 쌍자음들 중에서 초성으로는 사용되지 않고 종성으로만 사용되는 이른바 복자음의 경우에도 한글의 다른 쌍자음들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종성 이미지 프레임을 두 개의 영역으로 분획한 상태에서, 분리된 두 개의 이미지 프레임에 각각의 자음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를 생성하게 된다.
그에 따라, (a)는 'ㄳ'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가 되며, (b)는 'ㄵ'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가 되며, (c)는 'ㄶ'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가 되며, (d)는 'ㄺ'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가 되며, (e)는 'ㄻ'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가 되며, (f)는 'ㄼ'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가 되며, (g)는 'ㄽ'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가 되며, (h)는 'ㄾ'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가 되며, (i)는 'ㄿ'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가 되며, (j)는 'ㅀ'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가 되며, (k)는 'ㅄ'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가 된다.
이와 같이 도 3 내지 도 5에서의 원리에 따라 기호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고, 도 6에서와 같이 기호의 변형된 형태에 따라 이미지를 생성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의 (a), (b)에서와 같이 모음을 표시하는 기호 형태인 사각형 기호를 짧은 세로 선분으로 대체하여 생성할 수도 있고, (c)에서와 같이 자음 중 'ㄹ'를 표시하는 기호 형태인 좌우측의 사각형 기호를 각각 긴 가로 선분으로 대체하여 생성하거나, 긴 가로 선분을 대각선 선분으로 연결하여 'Z'의 형태로 표현하거나, 축소된 'z'의 형태로 표현할 수도 있다. 또한, (d), (e), (f)에서와 같이 'ㅈ', 'ㅊ', 'ㅎ'을 나타내는 기호들 중에서 좌우측단의 중간에서의 사각형 기호 이미지를 각각 짧은 가로 선분으로 대체하여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g)에서와 같이 'ㅋ'을 나타내는 기호 중에서 좌측단의 중간에서의 사각형 기호만을 짧은 가로 선분으로 대체하여 생성하거나, 또한 (h)에서와 같이 'ㅌ'을 나타내는 기호 형태인 우측단의 사각형 기호를 각각 긴 가로 선분으로 대체하여 생성하거나, 또한 (i)에서와 같이 'ㅂ'을 나타내는 기호 중에서 중간에서의 사각형 기호만을 짧은 선분으로 대체하여 생성할 수도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일실시예로서 생성부(121)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한글의 문자에 해당하는 문자 이미지상의 여백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기호 이미지를 생성하여, 즉 사각형 이미지 프레임을 도 7의 (a),(b)에서와 같이 초성 영역과 중성 영역으로 구분하고(공간구획) 초성 이미지 프레임과 중성 이미지 프레임에 각각 독립적으로 초성과 중성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를 생성하거나, 또는 사각형 이미지 프레임을 도 7의 (c)~(e)에서와 같이 초성 영역, 중성 영역, 및 종성 영역으로 구분하고(공간구획) 초성 이미지 프레임, 중성 이미지 프레임, 및 종성 이미지 프레임에 각각 독립적으로 초성과 중성과 종성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를 생성하여 출력부(140)의 표시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거나 프린터 출력한다.
또한, 생성부(121)는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에 맵핑되어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기호 이미지를 추출하여, 사각형 이미지 프레임을 도 7의 (a),(b)에서와 같이 초성 영역과 중성 영역으로 구분하고(공간구획) 초성 이미지 프레임과 중성 이미지 프레임에 각각 독립적으로 초성과 중성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나, 또는 사각형 이미지 프레임을 도 7의 (c)~(e)에서와 같이 초성 영역, 중성 영역, 및 종성 영역으로 구분하고(공간구획) 초성 이미지 프레임, 중성 이미지 프레임, 및 종성 이미지 프레임에 각각 독립적으로 초성과 중성과 종성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를 출력부(140)의 표시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거나 프린터 출력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입력부(110)를 통해 사용자는 언어의 문자로 출력(디스플레이 또는 프린터 출력 등)을 원하는 기호 이미지를 입력할 수도 있는데, 한글의 초성과 중성이 결합된 문자에 대해서는 도 7의 (a),(b)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한글의 초성과 중성과 종성이 결합된 문자에 대해서는 도 7의 (c) ~ (e)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후, 상징물을 배치할 부분을 지정한다. 그러면, 상징물의 형상(점, 선, 면 등)을 선택할 수 있는 단계로 진입하고, 만약 사용자가 "점"을 선택한 경우 다시 점의 형상(삼각형, 사각형, 원 등)을 선택할 수 있는 단계로 진입한다. 이와 같이 소정의 구획된 공간(예컨대 사각형 이미지 프레임)에서 공간구획으로 구분된 공간의 일부분에 상징물을 배치하면, 생성부(121)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기호 이미지를 해석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기호 이미지에 맵핑되어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문자를 추출하여 해당 언어의 문자를 출력부(140)를 통해 실시간으로 출력한다.
이와 같이 입력부(110)를 통해 사용자가 기호 이미지로 출력(디스플레이 또는 프린터 출력 등)을 원하는 언어의 문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 사용자가 언어의 문자로 출력(디스플레이 또는 프린터 출력 등)을 원하는 기호 이미지를 입력할 수도 있다.
한편, 숫자 입력 모드에서 아라비아 숫자의 개수는 총 10개이면 표현 가능하다. 즉 아라비아 숫자는 '0', '1', '2', '3', '4', '5', '6', '7', '8', '9'로 구성된다.
아라비아 숫자에 대한 기호 이미지는 소정의 구획된 공간(예컨대 사각형 이미지 프레임)에서 공간의 일부분에 상징물을 배치하여 표현 가능하다. 다만 숫자는 초성/중성/종성으로 구분되지 않으므로, 구획된 공간을 다시 구분(공간구획)할 필요는 없다. 여기서, 상징물은 아라비아 숫자를 일정한 틀에 넣고 빈 공간으로부터 파악된 형상을 점, 선, 면 등으로 단순화한 것이며, 이때 점은 삼각형, 사각형, 원 등의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8은 아라비아 숫자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를 숫자 이미지 프레임에 생성하는 원리를 설명하고 있다. 도 8에서, (a)는 숫자 '0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이며, (b)는 숫자 '1'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이며, (c)는 숫자 '2'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이며, (d)는 숫자 '3'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이며, (e)는 숫자 '4'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이며, (f)는 숫자 '5'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이며, (g)는 숫자 '6'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이며, (h)는 숫자 '7'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이며, (i)는 숫자 '8'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이며, (j)는 숫자 '9'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이다. 상기와 같이 숫자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는 도 9와 같이 시계에 적용하여 공간구획과 상징물에 의해 숫자를 표현할 수 있다.
한편, 영어 단어 입력 모드에서 영어의 알파벳 개수는 대문자 및 소문자 각각 26씩 총 52개이면 표현 가능하다. 대문자(/소문자) 영어 알파벳 26개 중에서 모음 알파벳 5개, 즉 "A(/a)", "E(/e)", "I(/i)", "O(/o)", "U(/u)"를 제외한 나머지 21개의 알파벳을 '자음 알파벳'이라 칭한다. 즉 대문자(/소문자) 영어 알파벳은, 21개의 자음 알파벳(즉 'B(/b)', 'C(/c)', 'D(/d)', 'F(/f)', 'G(/g)', 'H(/h)', 'J(/j)', 'K(/k)', 'L(/l)', 'M(/m)', 'N(/n)', 'P(/p)', 'Q(/q)', 'R(/r)', 'S(/s)', 'T(/t)', 'V(/v)', 'W(/w)', 'X(/x)', 'Y(/y)', 'Z(/z)')과, 5개의 모음 알파벳(즉 'A(/a)', 'E(/e)', 'I(/i)', 'O(/o)', 'U(/u)')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100)에 의해 생성된 한글, 영어, 숫자 등의 문자를 상징화한 기호 이미지들을 이용하여 산업 생산물(제품, 미술품, 건축물, 공예품, 건물 등)의 디자인 설계를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기술적 수요가 존재할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도 11에서와 같은 기호 이미지를 이용한 디자인 설계 장치(200)를 추가로 제안하게 되었다.
구체적으로,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호 이미지를 이용한 디자인 설계 장치(200)는 입력부(210), 저장부(230), 변환부(250), 조작부(270), 설계 처리부(290), 및 출력부(280)를 포함한다.
먼저, 디자인 설계 장치(200)의 입력부(210)를 통해 사용자가 산업 생산물의 디자인을 설계함에 있어서 사용하고자 하는 문자 정보 또는 해당 문자 정보에 대응되어 생성된 기호 이미지가 입력되며, 사용자가 디자인 설계를 하려고 하는 설계 대상물인 제품, 미술품, 건축물, 공예품, 건물 등의 산업 생산물에 대한 파일 정보(이미지 파일, 3D 캐드 파일, 도시계획 설계정보 등)가 입력되며, 이들은 향후 디자인 설계 작업을 위해 저장부(230)에 저장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디자인 설계에 사용하려는 기호 이미지는 USB 등의 외부 저장 기기로부터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되거나, 기호 이미지가 저장된 외부 D/B로부터 입력부(210)를 통해 저장부(230)에 다운로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설계 대상물에 대한 파일 정보 또한 USB 등의 외부 저장 기기로부터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되거나, 외부 D/B를 통해 키워드 검색을 활용하여 검색된 이미지 파일 등이 입력부(210)를 통해 저장부(230)에 다운로딩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 외에도, 입력부(210)를 통해 설계 대상물의 형태, 구조, 색상, 재질, 질감, 환경 정보 등이 입력될 수도 있을 것이며, 설계 대상물에 결합되어 표현될, 기호 이미지의 크기 정보, 비율 정보, 형태 정보, 위치 정보 등이 설계자에 의해 결정되어 입력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디자인 설계 장치(200)의 변환부(250)는, 입력부(210)를 통해 문자 정보가 입력된 경우에, 도 2를 통해 설명된 과정을 이용하여, 해당 문자 정보를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로 변환생성하며, 생성된 기호 이미지는 향후 디자인 설계 작업을 위해 저장부(230)에 저장된다.
뿐만 아니라, 변환부(250)는 입력부(210)를 통해 외국어 문자 정보가 입력된 경우에 설계자의 조작부(270)를 통한 선택에 따라, 외국어 문자 정보를 국어 문자 정보로 자동 번역한 후에, 번역된 국어 문자 정보를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로 변환생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변환부(250)는 입력부(210)를 통해 국어 문자 정보가 입력된 경우에 설계자의 조작부(270)를 통한 선택에 따라, 국어 문자 정보를 외국어 문자 정보로 자동 번역한 후에, 번역된 외국어 문자 정보를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로 변환생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디자인 설계 장치(200)의 조작부(270)는 설계자가 축소, 확대, 비율 조정, 삭제 등의 다양한 조작 및 편집 명령을 입력하는데 사용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디자인 설계 장치(200)의 조작부(270)에 구비된 문자 자판을 통해 디자인 설계에 사용하고자 하는 특정 문자 정보를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또한, 디자인 설계 장치(200)의 설계 처리부(290)는, 조작부(270)를 통해 입력된 조작 및 편집 명령에 따라, 소정의 기호 이미지가 설계 대상물에 표현되도록 설계 대상물의 데이터 파일을 수정 및 변형함으로써, 설계 대상물을 설계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설계 처리부(290)에 의해 설계된 설계 대상물의 이미지는 화면 또는 프린터 등의 출력부(280)를 통해 외부로 출력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기호 이미지를 이용한 디자인 설계 방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호 이미지를 이용한 디자인 설계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설계자가 산업 생산물의 디자인을 설계함에 있어서 사용하고자 하는 문자 정보와, 사용자가 디자인 설계를 하려고 하는 설계 대상물인 제품, 미술품, 건축물, 공예품, 건물 등의 산업 생산물에 대한 파일 정보(이미지 파일, 3D 캐드 파일 등)가 디자인 설계 장치(200)의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되고(S310), 이들 정보는 향후 디자인 설계 작업을 위해 저장부(230)에 저장된다.
한편, 디자인 설계 장치(200)의 변환부(250)는 전술한 S310 단계에서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된 문자 정보를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로 변환생성하며, 생성된 기호 이미지는 향후 디자인 설계 작업을 위해 저장부(230)에 또한 저장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전술한 S310 단계에서 입력부(210)를 통해 문자 정보가 입력되지 않고 기 존재하는 기호 이미지가 입력될 수도 있을 것이며, 이 경우에는 변환부(250)는 입력된 기호 이미지로부터 해당 기호 이미지에 대응되는 문자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문자 정보는 저장부(230)에 저장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디자인 설계 장치(200)의 변환부(250)가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된 기호 이미지로부터 대응되는 문자 정보를 추출함에 있어서는, 도 2에서의 각 문자로부터 기호 이미지를 생성하는 연산을 역으로 적용함으로써, 기호 이미지로부터 문자를 전환 추출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변환부(250)를 통해 추출된 문자 정보 및 입력부(210)를 통해 직접 입력된 문자 정보는 기호 이미지가 적용되어 최종 설계된 설계 대상물의 이미지에 함께 표시됨으로써, 설계 대상물에 형상화된 문자 정보를 나타내는데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전술한 S310 단계의 실행에 따라, 설계에 사용할 기호 이미지 및 설계 대상물의 정보가 저장부(230)에 저장된 상태에서, 설계자는 조작부(270)의 조작을 통해 구체적인 설계 명령을 입력하게 된다(S330).
그에 따라, 디자인 설계 장치(200)의 설계 처리부(290)는 설계자의 설계 명령에 따라 소정의 기호 이미지가 설계 대상물에 표현되도록 설계 대상물의 데이터 파일(이미지 파일 또는 3D CAD 파일 등)을 수정 및 변형함으로써, 설계 대상물에 소정의 기호 이미지에 대응되는 문자가 형상화되도록 설계를 수행하게 된다(S350).
한편, 설계 처리부(290)에 의해 설계된 설계 대상물의 이미지는 저장부(230)에 저장되며, 설계자의 조작부(270)를 통한 조작 명령에 따라 설계 대상물의 최종 설계 이미지는 화면 또는 프린터 등의 출력부(280)를 통해 외부로 출력되게 된다(S370).
전술한 S350 단계에서의 설계 처리부(290)의 설계 기능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설계 처리부(290)는 설계자의 조작 명령에 따라, 설계 대상물의 구조 자체를 기호 이미지의 형상에 따라 변형 설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설계 처리부(290)는 특정 블록에 건축될 일련의 빌딩들을 항공 사진을 통해 위에서 촬영하는 경우에, 설계자가 입력한 소정의 문자에 대응되어 생성된 기호 이미지의 형상이 표현되도록 복수의 빌딩의 블록 내에서의 시공 위치 및 간격, 블록의 색상, 형태, 크기, 재질을 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전술한 S350 단계에서 설계 처리부(290)는 설계자의 조작 명령에 따라, 설계 대상물의 외면을 기호 이미지의 형상에 따라 수정 설계할 수도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디자인 설계 장치(200)의 설계 처리부(290)는 도 13에서와 같이, 복수의 빌딩들을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각각의 빌딩의 정면에 설계자가 의도한 기호 이미지들이 순차적으로 표시되도록, 각각의 빌딩의 정면의 형상, 모양, 재질, 크기, 위치 및 색채를 수정 설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도 14a에서와 같이, 디자인 설계 장치(200)의 설계 처리부(290)는 정육면체의 박스를 설계함에 있어서, 박스의 상면에 설계자가 입력한 문자인 "사"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가 표시되고, 박스의 정면에는 설계자가 입력한 문자인 "랑"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가 표시되며, 박스의 측면에는 설계자가 입력한 문자인 "해"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설계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도 14b에서와 같이 디자인 설계 장치(200)의 설계 처리부(290)는 정육면체의 박스를 설계함에 있어서, 박스의 상면에는 어떠한 기호 이미지도 표시하지 않고, 박스의 정면에 설계자가 입력한 문자인 "사","랑"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가 표시되고, 박스의 측면에는 설계자가 입력한 문자인 "해"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설계할 수 있을 것이다.
게다가, 디자인 설계 장치(200)의 설계 처리부(290)는 도 14b에서 설계된 박스에 추가의 문양을 표시함으로써, 도 14c에서와 같이 박스 구조물의 외형 디자인의 완성도를 더욱 높일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 설계 장치(200)를 이용하여 설계한 의자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에서의 의자의 방석부의 상면에는 설계자가 입력한 문자인 "ㅂ"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가 표시되어 있으며, 방석부를 지지하는 다리 부재에는 그 중앙에 형성된 구멍의 형상이 "ㅗ"과 "ㄱ"에 각각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들을 순차적으로 나타내고 있음으로써, 도 15에서의 의자에는 문자 정보인 "복"을 형상화한 디자인이 반영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도 15에서의 의자를 어느 각도에서 보아도 "복"자가 형상화될 수 있도록, 도 15에서와 같이 다리 부재를 4방향에서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대칭설계를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그에 따라, 방석부의 상면에도 4개의 각 방향에서 모두 "ㅂ"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상부면의 기호 이미지를 4방향으로 대칭 설계(이른바, 사방 설계)를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이 경우에는 다리 부재의 4방향에서의 각 색상과 상부면의 4방향에 따라 각각 표시된 기호 이미지의 색상을 일치시킴으로써, 방석부의 상부면의 사방설계에 따른 사용자의 혼동이 없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6는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 설계 장치(200)를 이용한 시계의 이미지 설계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의 (a)에서와 같은, 설계 대상물의 이미지로서, 시계 이미지가 입력되면, 설계 처리부(290)는 도 9에서와 같은 기호 이미지의 생성 과정을 통해 생성된 기호 이미지가 시계 이미지에 표현되도록, 도 16의 (b)에서와 같이 설계 대상물을 설계하고, 시계줄의 이미지를 추가로 생성 및 결합함으로써, 도 16의 (c)에서와 같은 최종 설계 이미지를 생성하게 된다.
아울러, 도 17a에서와 같이, 디자인 설계 장치(200)의 설계 처리부(290)는 건물의 외부면을 설계함에 있어서, 건물의 정면에 설계자가 입력한 문자인 "보"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가 표시되고, 건물의 정면 중앙부에 'ㅁ'자 모양의 홀을 형성하여, 건물 뒤측의 태양광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건물의 그림자에 의해 'ㅁ'자가 표현됨으로써, 건물의 정면의 기호 이미지와 건물의 그림자가 결합되어 '봄'을 표현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이 경우에 건물 뒤측의 태양의 고도가 낮아지게 되면, 건물의 그림자가 점점 짧아지게 되고, 그에 따라 건물의 그림자에 의해 'ㄱ'자가 표현됨으로써, 건물의 정면의 기호 이미지와 건물의 그림자가 결합되어 '복'을 표현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그림자, 수면에 투영된 이미지, 계절의 변화에 따른 눈내림, 적설된 눈의 녹음, 단풍, 바람 등의 자연현상을 활용한 설계 대상물의 설계가 가능하게 된다. 즉, 설계 처리부(290)는 상술한 바와 같은 자연현상을 고려한 설계를 실행함으로써, 설치가 완료된 설계 대상물은 자연현상에 따라 특정 문자의 형상화된 이미지를 나타낼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봄, 여름에는 같은 녹색을 유지하다 가을에 다른 색깔로 단풍이 드는 나무들을 배치하는 것에 의해 가을에만 기호 이미지가 구현되는 설계가 가능하며, 겨울에는 열선을 설치하여 눈이 내린 후 특정부분만 눈이 녹아 기호 이미지가가 표현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여름에 특정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면 기호 이미지가 표현되도록 보도 블럭을 설계하여 '열사병 주의' '오존 경보'등과 같은 경고 메세지를 전달할 수도 있을 것이며, 이와 같이, 도시 안의 모든 건축물과 공간을 활용한 문자표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바람이 불면 회전됨으로써 정지상태와는 다른 색상을 표시하는 바람개비와 바람이 불어도 회전되지 않는 정지상태의 색상만을 표시하는 바람개비를 함께 설계 대상물의 외면에 설치함으로써, 바람이 불지 않는 경우에는 기호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다가, 바람이 불면 회전되는 바람개비에 의해 기호 이미지가 설계 대상물의 외면에 구현되도록 설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자연 현상에 따른 설계 대상물에의 기호 이미지의 구현은, 설계 처리부(290)에서 제공하는 시뮬레이션 기능을 통해 출력부(280)를 통해 사용자에게 '미리보기'로서, 제공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아울러, 설계 처리부(290)는 설계 대상물이 가진 형태, 구조, 재질, 색상, 광택, 질감, 설치 환경 등을 분석하여 기호 이미지가 설계 대상물에 결합될 수 있는 다양한 가능성을 출력부(280)를 통해 설계자에게 자동 제시하고, 이에 설계자는 출력부(280)를 통해 제시된 다양한 결합예를 기반으로 다시 조작부(270)를 통한 편집 작업을 통해 설계 대상물에의 기호 이미지의 구현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설계 처리부(290)가 제공하는 상술한 바와 같은 자동 설계 기능은 소규모의 설계 대상물의 설계에 적용됨이 바람직하며, 건축물과 같은 대규모의 설계 대상물의 설계에 있어서는, 자동 설계를 적용하기보다는 설계자가 조작부(270)를 통해 특정한 특징을 설계 대상물에 부여하는 방법으로 설계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설계 처리부(290)는 설계 또는 수정 설계가 완료된 설계 대상물의 하중 분포를 분석하여 안정성을 자동 점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며, 이를 위해서 설계 처리부(290)에는 토목, 건축 공학에서 사용되는 하중 분석 프로그램이 설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아울러, 설계 처리부(290)는, 설계 대상물의 외부면에 육안으로 구분 가능한 형상으로 기호 이미지가 결합되도록 설계할 수도 있으나, 자외선, 적외선, 미세 전류, 음파, 화학 반응 시료 등을 이용하여 설계 대상물에 기호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설계함으로써, 육안으로는 구분되지 않으나, 적외선 카메라 등의 특수 장비를 통해 기호 이미지가 인지될 수 있도록 설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이와 같은 육안으로 구분 가능한 기호 이미지의 설계 반영과, 육안으로 구분 불가능한 기호 이미지의 설계 반영은 동일 설계 대상물에 중첩하여 적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디자인 설계 장치(200)의 설계 처리부(290)는, 기호 이미지에서의 배경색과 동일하게 기호 이미지의 공간 구획선을 배색함으로써, 기호 이미지의 실루엣이 변형되도록 설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검은색 공간구획선과 기호 이미지들이 흰색 배경위에 표현된 경우 기호 이미지와 공간구획선을 흰색으로 비어있던 흰색공간을 검은색으로 반전시킬 경우 문자형태가 실루엣으로 표현되게 되는데 이는 공간구획선이 배경과 같은 색상으로 변경되며 사라진 것같이 보이기 때문이다.
아울러, 설계 처리부(290)는 기호 이미지를 설계에 적용함에 있어서, 설계 대상물의 외면에 표시되는 기호 이미지를 암호화한 기호 이미지가 되도록 설계할 수도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계 대상물의 외면을 전광기능에 의해 장식하고, 기호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해 발광되어야 하는 복수의 전구들의 발광을 동시에 실행하지 않고, 시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교번되며 발광되도록 함으로써, 전광판을 연속 촬영하는 경우에만 기호 이미지를 외부에서 인지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디자인 설계 장치(200)의 조작부(270)를 통해 입력된 문자 정보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를 변환부(250)가 생성하고, 생성된 기호 이미지가 외부에 설치된 전광판에 송신되면, 전광판은 디자인 설계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기호 이미지가 구현되도록 전광판의 점등을 제어함으로써, 설계자가 디자인 설계 장치(200)를 통해 설계한 설계 대상물이, 전광판을 통해 즉각적으로 구현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에 디자인 설계 장치(200)는, 상술한 각 기능을 지원하는 소정의 응용 프로그램이 설치된 스마트 폰이 될 수 있을 것이며, 외국인 관광객은 이와 같은 스마트 폰을 소지한 상태에서, 자신의 이름과 한국 방문날짜를 입력하고, 해당 문자가 형상화된 기호 이미지 앞에서 기념 촬영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도 13 내지 도 17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 설계 장치(200)에 의해 설계된 설계 대상물이 실외 공간에 설치 및 시공된 경우에, 일반 사용자들은 해당 설계 대상물에 구체적으로 어떤 기호 이미지가 구현되어 있는 것인지를 쉽게 파악하기 어려울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전술한 바에 따라, 기호 이미지들이 구현되도록 설계된 산업 생산물에 구체적으로 어떠한 기호 이미지들이 구현되어 있는 것인지를 일반인에게 쉽게 설명할 수 있도록 하는 디자인 분석 및 해석 솔루션의 제공 또한 절실히 요구되는 것이다.
이에 본원 발명에서는 도 18에서와 같은, 기호 이미지가 적용된 설계 대상물 분석 장치(400)를 추가로 제안하게 되었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호 이미지가 적용된 설계 대상물 분석 장치(400)는 입력부(410), 저장부(430), 분석부(450), 및 표시부(470)를 포함한다.
먼저, 입력부(410)를 통해 기호 이미지가 표현되도록 구현된 설계 대상물의 외부 정보가 입력되며, 입력부(410)를 통해 입력된 설계 대상물의 외부 정보는 저장부(430)에 저장된다. 구체적으로, 입력부(410)를 통해 입력되는 설계 대상물의 외부 정보는 설계 대상물에 대한 촬영 이미지 파일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며, 이와 같은 설계 대상물의 외부 정보는, USB 등의 외부 저장 기기로부터 입력부(410)를 통해 입력되거나, 설계 대상물의 외부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외부 D/B로부터 입력부(410)를 통해 저장부(430)에 다운로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설계 대상물 분석 장치(400)의 분석부(450)는 외부 정보를 분석하여 설계 대상물에 구현된 기호 이미지를 추출하고, 해당 기호 이미지에 대응되는 문자 정보를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표시부(470)는 분석부(450)에 의해 추출된 기호 이미지 및 문자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분석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설계 대상물 분석 장치(400)는 카메라 모듈을 별도로 구비하고, 이를 통해 설계 대상물을 직접 촬영함으로써, 이미지 파일을 외부 정보로서 획득할 수도 있을 것이며, 이와 같이 카메라 모듈에 의해 획득된 이미지 파일 또한 분석부(450)를 통한 분석을 위해 저장부(430)에 저장될 것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기호 이미지가 적용된 설계 대상물의 분석방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이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호 이미지가 적용된 설계 대상물의 분석방법을 설명하면, 설계 대상물 분석 장치(400)의 입력부(410)를 통해 설계 대상물의 외부 정보가 입력되고(S510), 입력된 설계 대상물의 외부 정보는 분석을 위해 저장부(430)에 저장된다.
저장부(430)에 저장된 설계 대상물의 외부 정보를 기초로, 설계 대상물 분석 장치(400)의 분석부(450)는 설계 대상물에 구현된 기호 이미지를 추출하고, 해당 기호 이미지에 대응되는 문자 정보를 분석한다(S530).
구체적으로, 설계 대상물 분석 장치(400)의 입력부(410)를 통해 도 14a와 같은 설계 대상물의 이미지가 입력된 경우에, 분석부(450)는 설계 대상물인 박스의 상면에 대한 이미지 분석을 통해 상면에 표시되어 있는 기호 이미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기호 이미지로부터, 대응되는 문자 정보인 "사"를 분석하게 된다.
아울러, 분석부(450)는 설계 대상물인 박스의 정면에 대한 이미지 분석을 통해 정면에 표시되어 있는 기호 이미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기호 이미지로부터, 대응되는 문자 정보인 "랑"를 분석하게 되며, 설계 대상물인 박스의 측면에 대한 이미지 분석을 통해 측면에 표시되어 있는 기호 이미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기호 이미지로부터, 대응되는 문자 정보인 "해"를 분석하게 된다.
분석부(450)가, 설계 대상물의 외부 이미지 정보인 영상 정보로부터 기호 이미지를 추출함에 있어서는, 저장부(43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다양한 기호 이미지들을 입력부(410)에 입력된 설계 대상물의 영상 정보와 1:1로 대비하는 패턴 검색을 통해, 가장 높은 일치도를 보이는 기호 이미지를 선택하는 방법을 사용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아울러, 분석부(450)가, 추출된 기호 이미지로부터 대응되는 문자 정보를 추출 및 분석함에 있어서는, 도 2에서의 각 문자로부터 기호 이미지를 생성하는 연산을 역으로 적용함으로써, 기호 이미지로부터 문자 정보를 전환 추출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추출된 기호 이미지 및 문자 정보는 설계 대상물 분석 장치(400)의 표시부(470)를 통해 표시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제공된다(S550).
뿐만 아니라, 설계 대상물 분석 장치(400)의 입력부(410)를 통해 도 15에서와 같은 설계 대상물의 이미지가 입력된 경우에, 분석부(450)는 의자의 방석부의 상면에 대한 이미지 분석을 통해 상면에 표시되어 있는 기호 이미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기호 이미지로부터 대응되는 문자 정보인 "ㅂ"을 분석하게 된다.
아울러, 분석부(450)는 방석부를 지지하는 다리 부재에 대한 이미지 분석을 통해 기호 이미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기호 이미지로부터 대응되는 문자 정보인 "ㅗ"와 "ㄱ"을 순차적으로 분석하게 된다.
도 15를 통해 추출된 기호 이미지인 도트 문자(b)가 도 20에서와 같이 설계 대상물 분석 장치(400)의 표시부(470)를 통해 표시되며, 기호 이미지로부터 분석된 문자 정보(c)인 "복"과 이에 대한 영어 번역 정보(d)인 "LUCK", 한자어 번역 정보(e)인 "福"이 도 15에서의 설계 대상물인 의자 이미지와 함께 표시되게 된다.
아울러, 설계 대상물 분석 장치(400)에 구비된 카메라 모듈을 통해 촬영하여 표시부(470)에 설계 대상물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분석부(450)가 상기의 분석을 실행하고, 분석의 결과로서의 기호 이미지 또는 문자 정보를 표시부(470)에 설계 대상물의 촬상 이미지와 오버랩핑되도록 표시한다면, 사용자는 현재 촬영하고 있는 설계 대상물을 통한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이와 같이 기호 이미지 등이 오버랩핑되어 표시된 설계 대상물의 이미지와 설계 대상물의 원 이미지를 저장부(430)에 함께 저장하여 둠으로써, 향후 사용자는 양자를 손쉽게 비교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설계 대상물 분석 장치(400)의 표시부(470)에는 기타의 부가 정보(f) 및 옵션 설정 정보(g)가 추가로 표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설계 대상물 분석 장치(400)의 입력부(410)를 통해 입력되는 설계 대상물의 외부 정보는 설계 대상물의 영상 정보 이외에도, 설계 대상물의 부위별 온도 정보, 설계 대상물의 부위별 주파수 정보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분석부(450)는 설계 대상물의 외부 영상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기호 이미지를 추출할 수도 있지만, 눈에 보이지 않는 온도 분포 또는 주파수 분포로서 기호 이미지가 구현되어 있는 설계 대상물이라면 분석부(450)는 이와 같은 설계 대상물의 외부 온도 분포 정보 또는 주파수 분포 정보의 시각적 그래픽 처리를 실행하고, 시각적 그래픽 처리가 된 온도 분포 이미지 또는 주파수 분포 이미지를 분석함으로써, 기호 이미지를 추출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외부 정보로서 적외선 영상 정보, 자외선 영상 정보, 열 영상 정보, 음파 분포 정보, 화학 반응 감지 영상 정보, 전기 신호 감지 영상 정보 등이 각각 독립적으로 또는 복합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며, 분석부(450)는 이들 외부 정보에 대한 시각적 처리를 통해 확보한 이미지로부터 기호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입력부(410)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정보는 설계 대상물에 대한 상면, 저면, 정면, 배면, 좌우 측면에 대한 영상 이미지가 각각 분리된 상태에서 입력될 수도 있지만, 줌 기능을 구비된 카메라 모듈을 통해 외부 정보를 입력받는 경우에는, 줌 기능을 활용해 광각으로 최대 삼면에서의 이미지 정보를 입력부(410)를 통해 동시에 입력받을 수도 있을 것이며, 이러한 경우에는 분석부(450)는 삼면에서의 이미지 정보를 동시에 분석하여 기호 이미지를 추출함으로써, 보다 정밀도 높은 분석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아울러, 분석부(450)는 입력부(410)를 통해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외부 정보에 기초하여 분석을 실행하되, 1차 입력된 외부 정보에 따른 분석 완료후, 분석된 기호 이미지와 연관된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추가 검색을 통해 입력부(410)를 통해 2차 입력된 외부 정보에 대한 분석을 실행하는 등의 추가 검색에 따른 순차적 분석을 실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공연장에서의 무대에 "성원에 감사드립니다."라는 각각의 문자 정보에 대응되는 각각의 기호 이미지가 구현된 조명이 순차적으로 조사되는 경우와 같이, 시간차를 두고 각각 기호 이미지가 구현된 무대 조명으로 무대를 순차적으로 장식하는 경우, 설계 대상물 분석 장치(400)에 구비된 카메라 모듈이 해당 무대를 연속적으로 촬영함으로써, 분석부(450)는 무대의 조명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분석하게 되고, 그에 따라 "성원에 감사드립니다."라는 공연 조명을 통한 메시지를 표시부(470)를 통해 표시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복수의 기호 이미지가 겹침표시(오버랩핑)되도록 구현된 설계 대상물의 분석에도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도 21에서와 같이 서로 다른 공간구획과 상징물의 배치를 오버랩핑되도록 표현된 상태에서도 분석이 가능하다.
먼저, 복수의 기호 이미지의 오버랩핑 생성의 원리를 설명하면, 도 21에서와 같이 2개의 기호 이미지(레이어1,2)를 오버랩핑시켜 복잡한 상징물의 배치와 공간구획을 달성할 수 있다.
문자를 오버랩핑하기에 앞서, 우선 문자를 겹친 후에 쉽게 식별될 수 있도록 문자마다의 상징물을 다르게 표시해 줄 필요가 있는데, 이때 상징물의 형태, 위치, 크기, 투명도를 다르게 하거나 문자, 부호 등을 사용하여 구별할 수 있으며, 가장 쉬운 방법은 색깔로 구분하는 것이다.
도 21의 (a)의 첫 번째 이미지와 같이 '축' 문자를 검은색으로 하고 (a)의 두 번째 이미지와 같이 '복' 문자를 회색으로 구분한 후 두 개의 기호 이미지를 오버랩핑하여 (a)의 세 번째 이미지와 같이 표현한다. 이때, '축'과 '복'의 종성이 같은 'ㄱ'이므로 도형의 형태와 크기가 같을 경우 제1 기호 이미지(레이어1)의 도형에 제2 기호 이미지(레이어2)의 도형(종성 이미지)이 가려지게 되는데, 이때는 제1 기호 이미지(레이어1)의 도형(종성 이미지) 크기를 축소하거나(b), 제2 기호 이미지(레이어2)의 크기를 확대하여(c), 2개의 기호 이미지의 도형 크기를 달리함으로써 오버랩핑된 상태를 명확히 구분해준다.
또한, 제2 기호 이미지의 도형이 제1 기호 이미지의 도형에 가려지고, 이를 쉽게 유추 가능하다면 제2 기호 이미지의 도형 표시를 생략할 수도 있다(d).
오버랩핑된 2개의 기호 이미지(레이어1,2)는 구분될 수 있도록 고유의 특성을 부여하여, 이러한 특성에 의해 각 레이어를 분리하여 독립된 하나의 문자로 구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레이어에 부여되는 특성으로는 색상, 질감(엄밀하게는 시각), 명도, 채도, 형상, 명암, 패턴 외에도, 2차원과 3차원에 의한 공간 분리 등 다양한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2에서와 같이 오버랩핑된 레이어의 상부에 각각의 레이어의 특성과 동일한 특성을 갖는 표시(식별자)를 하여 오버랩핑된 레이어의 순서를 표시한다. 식별자의 목적은 순서표시와 장식이므로 레이어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표시하거나 달리해도 무방하며 레이어의 순서는 식별자에서 파악하고 레이어의 개수는 겹쳐진 기호문자 안의 기호 종류의 개수에 의해 파악이 가능하다. 식별자의 순서는 문자를 읽는 방법에 따라 수직으로 표시된 경우에는 '상'에서 '하'로, 수평으로 표시된 경우에는 '좌'에서 '우'로 정한다. 따라서, 가장 상측 및 좌측에 위치한 식별자가 첫 번째 레이어를 표시한다.
일예로, 먼저 생성된 제1 기호 이미지(레이어1)의 색상, 명암, 명도, 패턴, 및 질감 중 하나와 동일한 식별자(검은색 식별자)를 도 22의 첫 번째 이미지에서와 같이 앞에 표시하고, 나중에 생성된 제2 기호 이미지(레이어2)의 색상, 명암, 명도, 패턴, 및 질감 중 하나와 동일한 식별자(회색 식별자)를 도 22의 첫 번째 이미지에서와 같이 뒤에 표시한다. 도 22의 첫 번째 이미지(a)와 같이 오버랩핑된 2개의 기호 이미지(레이어1,2)에서, 식별자의 순서를 통해 도 22의 두 번째 이미지(b)에서와 같이 '한'을 먼저 판독하고, 도 22의 세 번째 이미지(c)에서와 같이 '글'을 나중에 판독함으로써, 오버랩핑된 첫 번째 이미지(a)를 '한글'로 판독할 수 있게 된다.
즉, 설계 대상물 분석 장치(400) 또한, 설계 대상물에 구현된 오버랩핑된 기호 이미지들을 식별자를 통해 구별할 수 있게 되며, 구체적으로 분석부(450)는 도 22의 첫 번째 이미지와 같이 오버랩핑된 2개의 기호 이미지(레이어1,2)에서, 식별자의 순서를 통해 도 22의 두 번째 이미지에서와 같이 '한'을 먼저 판독하고, 도 22의 세 번째 이미지에서와 같이 '글'을 나중에 판독함으로써, 오버랩핑된 첫 번째 이미지를 '한글'로 판독 및 분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설계 대상물에 구현된 기호 이미지는 도 23의 (c)에서와 같이 공간 구획선이 없는 상태에서 설계 대상물에 구현되어 있는 경우도 있을 것이며, 이러한 경우에 분석부(450)를 통한 기호 이미지로부터의 문자 정보의 분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 23에서와 같이 공간 구획선의 4측 모서리에 각각 '+'의 형태로 기준 좌표를 표시하여 두었으며 기준좌표 표시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른 형태로 표현되거나 추가, 생략될 수 있다.
도23의 (c)와 같은 입력에 대해 분석부(450)는 기호 이미지의 4측 모서리에 표시된 기준 좌표를 인식하고, 해당 기준 좌표를 모서리로 하는 공간 구획선의 종류를 도 7에서 도시된 총 6가지의 공간 구획선으로 하여, 도 24에서와 같이 순차적으로 적용한 상태에서 총 6가지의 공간 구획선에 대해서 각각 분석되는 문자 정보를 분석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24에서와 같이 순차적으로 적용된 총 6가지의 공간 구획선에 따라 각각 분석되는 문자 정보 중 유효한 문자 정보는 (i)로부터 추출되는 '복'이 유일하다.
그에 따라, 분석부(450)는 도 23의 (c)에서와 같이 기호 이미지의 공간 구획선이 표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라도, 기준 좌표(+)에 기초해서, 해당 기호 이미지로부터 문자 정보를 분석해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 110,210,410: 입력부,
120: 제어부, 121: 생성부,
122: 편집부, 130,230,430: 저장부,
140,280: 출력부, 200: 디자인 설계 장치,
250: 변환부, 270: 조작부,
290: 설계 처리부, 400: 설계 대상물 분석 장치,
450: 분석부, 470: 표시부.

Claims (14)

  1. 기호 이미지가 적용된 설계 대상물의 분석방법에 있어서,
    (a) 소정의 문자에 대응되는 이미지로서, 상기 문자의 이미지 상의 여백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생성되는 이미지인 기호 이미지가 표현되도록 구현된 설계 대상물의 외부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설계 대상물의 외부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설계 대상물에 구현된 기호 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 및
    (c) 추출된 상기 기호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기호 이미지가 적용된 설계 대상물의 분석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호 이미지는 복수의 기호 이미지가 오버랩핑된 기호 이미지이며,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기호 이미지 각각을 추출하는 것인 기호 이미지가 적용된 설계 대상물의 분석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호 이미지는, 상기 기호 이미지의 해석 기준 좌표가 표시되어 있는 것인 기호 이미지가 적용된 설계 대상물의 분석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는, 한글 문자, 영문자, 숫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기호 이미지가 적용된 설계 대상물의 분석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호 이미지는 해당 문자 또는 숫자 이미지 상의 여백의 모양에 따라 그 모양이 결정되는 것인 기호 이미지가 적용된 설계 대상물의 분석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호 이미지는 삼각형, 사각형, 원, 각 도형의 형상을 갖는 것인 기호 이미지가 적용된 설계 대상물의 분석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정보는 상기 설계 대상물의 영상 정보, 온도 정보, 및 주파수 정보 중 어느 하나인 것인 기호 이미지가 적용된 설계 대상물의 분석방법.
  8. 기호 이미지가 적용된 설계 대상물 분석 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문자에 대응되는 이미지로서, 상기 문자의 이미지 상의 여백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생성되는 이미지인 기호 이미지가 표현되도록 구현된 설계 대상물의 외부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외부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설계 대상물에 구현된 기호 이미지를 추출하는 분석부; 및
    상기 분석부에 의해 추출된 기호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기호 이미지가 적용된 설계 대상물 분석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호 이미지는 복수의 기호 이미지가 오버랩핑된 기호 이미지이며,
    상기 분석부는, 상기 복수의 기호 이미지 각각을 추출하는 것인 기호 이미지가 적용된 설계 대상물 분석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호 이미지는, 상기 기호 이미지의 해석 기준 좌표가 표시되어 있는 것인 기호 이미지가 적용된 설계 대상물 분석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는, 한글 문자, 영문자, 숫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기호 이미지가 적용된 설계 대상물 분석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호 이미지는 해당 문자 또는 숫자 이미지 상의 여백의 모양에 따라 그 모양이 결정되는 것인 기호 이미지가 적용된 설계 대상물 분석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호 이미지는 삼각형, 사각형, 원, 각 도형의 형상을 갖는 것인 기호 이미지가 적용된 설계 대상물 분석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정보는 상기 설계 대상물의 영상 정보, 온도 정보, 및 주파수 정보 중 어느 하나인 것인 기호 이미지가 적용된 설계 대상물 분석 장치.
KR20130080574A 2013-07-09 2013-07-09 기호 이미지가 적용된 설계 대상물 분석 장치 및 방법 KR20150006739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0574A KR20150006739A (ko) 2013-07-09 2013-07-09 기호 이미지가 적용된 설계 대상물 분석 장치 및 방법
PCT/KR2014/006140 WO2015005664A1 (ko) 2013-07-09 2014-07-09 기호 이미지를 이용한 디자인 설계 장치 및 설계 방법과 기호 이미지가 적용된 설계 대상물 분석 장치 및 분석 방법
US14/903,655 US10049429B2 (en) 2013-07-09 2014-07-09 Device and method for designing using symbolized image, and device and method for analyzing design target to which symbolized image is applied
CN201480039655.8A CN105659236B (zh) 2013-07-09 2014-07-09 图案设计装置及方法、设计对象的分析装置及方法
JP2016525277A JP6131389B2 (ja) 2013-07-09 2014-07-09 記号イメージを用いたデザイン設計装置及び設計方法と記号イメージが適用された設計対象物分析装置及び分析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0574A KR20150006739A (ko) 2013-07-09 2013-07-09 기호 이미지가 적용된 설계 대상물 분석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6739A true KR20150006739A (ko) 2015-01-19

Family

ID=52569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80574A KR20150006739A (ko) 2013-07-09 2013-07-09 기호 이미지가 적용된 설계 대상물 분석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673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llison et al. An introduction to information design
CN110544218B (zh) 一种图像处理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0168616A (zh) 增强现实显示器中的叠加对比度控制
US20110300516A1 (en) Tactile Tile Vocalization
KR101478646B1 (ko) 기호 이미지 편집 방법 및 장치와 그를 위한 통신 단말기
JP7105210B2 (ja) 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画像処理システム
JP6461814B2 (ja) 記号イメージ編集装置及び方法並びにこれを実行する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
KR101017598B1 (ko) 증강 현실을 이용한 한글 교습 시스템 및 한글 정보 제공 방법
JP2009104451A (ja) ロゴ付き二次元コード
Zhang From abstract painting to information visualization
CN109063538A (zh) 一种基于ar与bim的工程图纸读图装置
Bah Inkscape: guide to a vector drawing program (Digital Short Cut)
CN105659236B (zh) 图案设计装置及方法、设计对象的分析装置及方法
KR20150006738A (ko) 기호 이미지를 이용한 디자인 설계 장치 및 방법
KR20150006739A (ko) 기호 이미지가 적용된 설계 대상물 분석 장치 및 방법
Hardy et al. Portrayal and cartography
JP7105209B2 (ja) 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画像処理システム
WO2013051077A1 (ja) コンテンツ表示装置、コンテンツ表示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uhl Drawing geological structures
JPH09244616A (ja) 文字情報格納方法、および筆順表示方法、並びに筆順表示装置
JPS6395590A (ja) 手書き文字認識装置
US20160163213A1 (en) Symbol Image Educa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Brewer et al. Comparison of GIS and graphics software for advanced cartographic symbolization and labeling: Five GIS projects
Oleck Graphic design and desktop publishing
JP2001292300A (ja) 画像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