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8647B1 -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에서의 문자 이미지 편집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에서의 문자 이미지 편집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8647B1
KR101478647B1 KR20130011657A KR20130011657A KR101478647B1 KR 101478647 B1 KR101478647 B1 KR 101478647B1 KR 20130011657 A KR20130011657 A KR 20130011657A KR 20130011657 A KR20130011657 A KR 20130011657A KR 101478647 B1 KR101478647 B1 KR 101478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haracter
dot
character information
do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11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9600A (ko
Inventor
류중하
Original Assignee
류중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중하 filed Critical 류중하
Publication of KR20130089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9600A/ko
Priority to PCT/KR2014/00026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4109573A1/ko
Priority to EP14737862.4A priority patent/EP2945142A4/en
Priority to JP2015552580A priority patent/JP6461814B2/ja
Priority to CN201480013168.4A priority patent/CN105027178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8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8647B1/ko
Priority to US14/795,870 priority patent/US9721367B2/en
Priority to HK16105088.4A priority patent/HK1217137A1/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2Use of codes for handling textual entities
    • G06F40/151Trans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에서의 문자 이미지 편집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가,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문자 정보를 동일한 의미를 갖는 이종 언어의 문자 정보로 변환하고, 변환된 이종 언어의 문자 정보에 해당하는 문자 이미지 상의 여백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도트 이미지를 생성하는 과정을 통해 구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글 등의 문자를 상징화한 각종 제품, 미술품, 건축물, 공예품, 도시 기획 등에서의 디자인 개발이 용이하게 된다.

Description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에서의 문자 이미지 편집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Method for Editing Korean Language's Image in Korean Language's Image Editing Device, and Media being Recorded with Program Executing the Method}
본 발명은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에서의 문자 이미지 편집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글, 영문자, 숫자 등의 문자를 상징화한 각종 제품, 미술품, 건축물, 공예품, 도시 기획 등에서의 디자인 개발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산업, 예술, 디자인, 건축, 공예, 도시 기획 등의 각종 분야에서의 한글, 영문자, 숫자 등의 문자가 상징화된 산업 생산물의 개발이 촉진되도록 하는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에서의 문자 이미지 편집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한글은 565년 전 세종대왕에 의해 창제되면서 세계 다른 문자들이 갖고 있지 않은 과학적 원리와 조형성의 특징을 갖고 있다. 한편, 한글은 대한민국 문화 유산이자 과학적 원리를 활용한 가장 훌륭한 발명 중 하나로 볼 수 있으나 산업, 예술, 디자인, 건축, 공예 분야에서의 한글에 대한 올바른 가치인식과 활용이 매우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와 같이, 한글이 산업적으로 활용되지 않는 이유에 대한 조사결과 소비자는 디자인이 아름답지 않기 때문에 선호하지 않고 기업은 소비자들이 한글 디자인을 선호하지 않거나 관광상품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아 수익성이 적다고 판단하여 상품에 적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현대에는 영상 미디어의 발달로 문자 외에 이미지에 대한 정보 전달의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다. 예를 들면, 기아난민구호와 관련하여 문자나 숫자만으로 표시된 장황한 호소문 보다 문자나 숫자에 이미지가 결합될 경우 더 큰 호소력이 생기는 특성을 갖게 되었으며, 이러한 시대적 특성을 반영하여 언어를 단순한 정보전달매체에서 한 단계 발전시켜 언어의 의미를 상징적으로 함축하고 산업적으로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절실히 요구된다. 특히, 산업, 예술, 디자인, 건축, 공예, 도시기획 등의 각종 분야에서 산업 생산물(제품, 미술품, 건축물, 공예품, 건물 등)에 언어의 문자나 숫자를 상징적으로 표현함으로써, 언어에 대한 인식을 제고시키고 산업적 응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문자를 상징화한 각종 제품, 미술품, 건축물, 공예품, 도시 기획 등에서의 디자인 개발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산업, 예술, 디자인, 건축, 공예, 도시 기획 등의 각종 분야에서의 문자가 상징화된 산업 생산물의 개발이 촉진되도록 하는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에서의 문자 이미지 편집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에서의 문자 이미지 편집 방법은, (a) 상기 장치가, 문자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장치가, 상기 입력된 문자 정보를 동일한 의미를 갖는 이종 언어의 문자 정보로 변환하는 단계; 및 (c) 상기 장치가, 상기 변환된 이종 언어의 문자 정보에 해당하는 문자 이미지 상의 여백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도트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c) 단계 이후에, 상기 생성된 도트 이미지의 크기, 위치, 및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도트 이미지의 모양은, 상기 문자 이미지 상의 여백의 모양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트 이미지의 모양은, 삼각형, 사각형, 및 원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c) 단계 이후에, (d) 상기 장치가, 외부로부터 추가로 입력받은 문자 정보를 동일한 의미를 갖는 이종 언어의 문자 정보로 변환하고, 변환된 이종 언어의 문자 정보에 해당하는 문자 이미지 상의 여백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도트 이미지를 추가로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d) 단계 이후에, (e) 상기 장치가, 상기 추가로 생성된 도트 이미지를 상기 (c) 단계에서 생성된 도트 이미지 상에 오버랩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e) 단계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생성된 도트 이미지와, 상기 (d) 단계에서 추가로 생성된 도트 이미지는 색상, 명암, 명도, 패턴, 질감, 크기, 및 형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상기 변환된 이종 언어의 문자가 한글인 경우에, 변환된 한글 정보에 해당하는 한글의 초성, 중성, 종성별로 각 이미지 상의 여백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도트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에서의 문자 이미지 편집 방법은, (a) 상기 장치가, 문자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b) 상기 장치가, 상기 입력된 문자 정보를 동일한 의미를 갖는 이종 언어의 문자 정보로 변환하는 단계; 및 (c) 상기 장치가, 상기 변환된 이종 언어의 문자 정보에 해당하는 도트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도트 이미지는 상기 변환된 이종 언어의 문자 정보에 해당하는 문자 이미지 상의 여백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도트가 형성된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매체는, 상기 어느 한 항에서의 각 단계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문자 정보를 동일한 의미를 갖는 이종 언어의 문자 정보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 상기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이종 언어의 문자 정보에 해당하는 문자 이미지 상의 여백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도트 이미지를 생성하는 생성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도트 이미지의 크기, 위치, 및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는 편집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도트 이미지의 모양은, 상기 문자 이미지 상의 여백의 모양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트 이미지의 모양은, 삼각형, 사각형, 및 원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변환부는, 외부로부터 추가로 입력받은 문자 정보를 동일한 의미를 갖는 이종 언어의 문자 정보로 추가로 변환하고, 상기 생성부는, 추가로 변환된 상기 이종 언어의 문자 정보에 해당하는 문자 이미지 상의 여백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도트 이미지를 추가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편집부는, 상기 추가로 생성된 도트 이미지를 기 생성된 도트 이미지 상에 오버랩핑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 생성된 도트 이미지와, 상기 추가로 생성된 도트 이미지는 색상, 명암, 명도, 패턴, 질감, 크기, 및 형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생성부는, 상기 변환된 이종 언어의 문자가 한글인 경우에, 변환된 한글 정보에 해당하는 한글의 초성, 중성, 종성별로 각 이미지 상의 여백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도트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된 문자 정보를 동일한 의미를 갖는 이종 언어의 문자 정보로 변환하는 변환부; 상기 변환된 이종 언어의 문자 정보에 해당하는 도트 이미지를 생성하는 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트 이미지는 상기 변환된 이종 언어의 문자 정보에 해당하는 문자 이미지 상의 여백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도트가 형성된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도트 이미지의 크기, 위치, 및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는 편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에서의 문자 이미지 편집 방법은, (a) 문자를 형상화한 기호 이미지가 입력되는 단계; (b) 상기 입력된 기호 이미지를 대응하는 문자로 전환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전환된 문자를 동일한 의미를 갖는 이종 언어의 문자 정보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호 이미지는, 상기 문자의 이미지상의 여백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매체는, 상기 각 단계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는, 문자를 형상화한 기호 이미지가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기호 이미지를 대응하는 문자로 전환하는 생성부; 및 상기 생성부에 의해 전환된 문자를 동일한 의미를 갖는 이종 언어의 문자 정보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호 이미지는, 상기 문자의 이미지상의 여백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글 등의 문자를 상징화한 각종 제품, 미술품, 건축물, 공예품, 도시 기획 등에서의 디자인 개발이 용이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산업, 예술, 디자인, 건축, 공예, 도시 기획 등의 각종 분야에서의 한글 등의 문자가 상징화된 산업 생산물의 개발을 촉진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언어에만 친숙하고 제2 언어에는 친숙하지 못한 사용자도 자신에게 친숙한 제1 언어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 제2 언어가 형상화된 기호 이미지를 자유롭게 생성 및 편집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이 그 뜻을 이해하지 못하는 문자의 정보가 형상화된 기호 이미지의 의미를 자신에게 친숙한 언어로서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이미지 편집 방법에서의 한글에 대응되는 도트 이미지를 생성하는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라 도트 이미지를 변형 생성하는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이미지 편집 방법에서의 한글의 초성, 중성, 종성에 대한 도트 이미지가 각각 생성되는 영역을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활용예에 따라 편집된 한글 이미지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아라비아 숫자에 대응되는 도트 이미지를 생성하는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활용예에 따라 편집된 한글 이미지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활용예에 따라 편집된 한글 이미지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는 기능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이미지 편집 방법의 원리를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자 이미지 편집 방법에서의 문자의 반전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호 이미지를 추출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공간구획과 상징물에 의해 표현되는 숫자를 활용한 시계 디자인을 예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영어 대문자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를 생성하는 원리를 보여주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영어 소문자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를 생성하는 원리를 보여주는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영어문자 S의 기호 이미지의 응용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영어 대문자 및 영어 소문자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의 반전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는 기능 블록도,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자 이미지 편집 방법의 원리를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자 이미지 편집 방법의 원리를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 및
도 25는 본 발명의 활용예에 따라 편집된 영어 이미지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이미지 편집 방법에서의 한글에 대응되는 도트 이미지를 생성하는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1은 한글 초성에 대응되는 도트 이미지를 생성하는 원리를 설명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의 (a)는 'ㄱ'에서의 여백 위치인 좌측 하단에 사각형 도트 이미지를 생성한 것이며, 도 1의 (b)는 'ㄴ'에서의 여백 위치인 우측 상단에 여백의 모양과 같은 사각형 도트 이미지를 생성한 것이고, 도 1의 (c)는 'ㄷ'에서의 여백 위치인 우측 중단에 여백의 모양과 같은 사각형 도트 이미지를 생성한 것이다.
한편, 도 1의 (d)는 'ㄹ'에서의 여백 위치에 여백의 모양과 같은 사각형 도트 이미지를 생성한 것이며, 도 1의 (e)는 'ㅁ'에서의 여백 위치인 중앙에 여백의 모양과 같은 사각형 도트 이미지를 생성한 것이다.
또한, 도 1의 (f)는 'ㅂ'에서의 여백 위치인 중앙과 상측 중단에 각각 여백의 모양과 같은 사각형 도트 이미지를 생성한 것이며, 도 1의 (g)는 'ㅅ'에서의 여백 위치인 하측 중단에 여백의 모양과 같은 삼각형 도트 이미지를 생성한 것이고, 또한, 도 1의 (h)는 'ㅇ'에서의 여백 위치인 중앙에 여백의 모양과 같은 원형 도트 이미지를 생성한 것이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는 각 한글의 이미지 상에서의 여백의 모양이 사각형, 삼각형, 또는 원형인 경우에만 해당 여백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여백의 모양과 동일한 모양의 도트 이미지를 생성하였으며, 각 한글의 이미지 상에서의 여백의 모양이 사각형, 삼각형, 또는 원형 중 어느 하나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여백에는 도트 이미지를 생성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술한 규칙에 따라, 도 1에서의 나머지 도트 이미지들을 분석하면 도 1의 (i)는 'ㅈ'에 대응되는 도트 이미지이며, 도 1의 (j)는 'ㅊ'에 대응되는 도트 이미지이고, 도 1의 (k)는 'ㅋ'에 대응되는 도트 이미지이며, 도 1의 (l)은 'ㅌ'에 대응되는 도트 이미지이고, 도 1의 (m)은 'ㅍ'에 대응되는 도트 이미지이며, 도 1의 (n)은 'ㅎ'에 대응되는 도트 이미지이고, 도 1의 (o)은 'ㄲ'에 대응되는 도트 이미지이며, 도 1의 (p)는 'ㄸ'에 대응되는 도트 이미지이고, 도 1의 (q)는 'ㅃ'에 대응되는 도트 이미지이며, 도 1의 (r)은 'ㅆ'에 대응되는 도트 이미지이고, 도 1의 (s)는 'ㅉ'에 대응되는 도트 이미지임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2는 한글의 초성과 중성이 결합된 글자에 대응되는 도트 이미지를 생성하는 원리를 설명하고 있다. 도 2에서와 같이 초성과 중성이 결합된 글자에 대응되는 도트 이미지를 생성함에 있어서는, 먼저 도 1에서의 사각형 이미지 프레임을 도 5의 (a),(b),(c)에서와 같이, 초성 영역과 중성 영역으로 구분하고 초성 이미지 프레임과 중성 이미지 프레임에 각각 독립적으로 초성과 중성에 대응되는 도트 이미지를 생성하게 된다.
초성 이미지 프레임에 초성에 대응되는 도트 이미지를 생성하는 원리는 도 1에서 설명된 원리와 동일하며, 본 발명에서는 중성 이미지 프레임에 중성에 대응되는 도트 이미지의 생성에 있어서도 중성의 이미지 상에서의 여백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여백의 모양과 동일한 모양인 사각형 도트 이미지를 생성하였다.
이와 같은 도트 이미지 생성 원리에 따라 도 2에서의 각 도트 이미지가 의미하는 글자를 분석하면, 도 2의 (a)는 '아'에 대응되는 도트 이미지이고, 도 2의 (b)는 '야'에 대응되는 도트 이미지이고, 도 2의 (c)는 '어'에 대응되는 도트 이미지이고, 도 2의 (d)는 '여'에 대응되는 도트 이미지이고, 도 2의 (e)는 '오'에 대응되는 도트 이미지이고, 도 2의 (f)는 '요'에 대응되는 도트 이미지이고, 도 2의 (g)는 '우'에 대응되는 도트 이미지이고, 도 2의 (h)는 '유'에 대응되는 도트 이미지이고, 도 2의 (i)는 '으'에 대응되는 도트 이미지이고, 도 2의 (j)는 '이'에 대응되는 도트 이미지이고, 도 2의 (k)는 '애'에 대응되는 도트 이미지이고, 도 2의 (l)는 '얘'에 대응되는 도트 이미지이다.
한편, 중성 중 'ㅔ','ㅖ'의 경우에는 각각 'ㅓ','ㅕ'와 구분하기 위해, 중성 이미지 프레임을 도 2의 (m),(n)에서와 같이 세로로 두개로 나누어서 'ㅔ'는 'ㅓ+ㅣ'로 표기하고, 'ㅖ'는 'ㅕ+ㅣ'로 표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도 2의 (m)은 '에'에 대응되는 도트 이미지이고, 도 2의 (l)은 '예'에 대응되는 도트 이미지가 된다.
한편, 모음들 중에서 이중 모음의 경우에는 중성 이미지 프레임을 전체 사각형 이미지 프레임의 하단부와 우측단부로 나눈 상태에서 각 모음의 도트 이미지를 개별적으로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에 따라, 도 2의 (o)는 '와'에 대응하는 도트 이미지가 되며, 도 2의 (p)는 '왜'에 대응하는 도트 이미지가 되며, 도 2의 (q)는 '외'에 대응하는 도트 이미지가 되며, 도 2의 (r)은 '워'에 대응하는 도트 이미지가 되며, 도 2의 (s)는 '웨'에 대응하는 도트 이미지가 되며, 도 2의 (t)는 '위'에 대응하는 도트 이미지가 되며, 도 2의 (u)는 '의'에 대응되는 도트 이미지가 된다.
한편, 초성과 중성과 종성이 결합된 글자에 대응되는 도트 이미지를 생성함에 있어서는, 먼저 도 1에서의 사각형 이미지 프레임을 도 5에서와 같이, 초성 영역, 중성 영역, 및 종성 영역으로 구분하고 초성 이미지 프레임, 중성 이미지 프레임, 및 종성 이미지 프레임에 각각 독립적으로 초성과 중성과 종성에 대응되는 도트 이미지를 생성하게 된다.
도 3은 한글 종성에 대응되는 도트 이미지를 종성 이미지 프레임에 생성하는 원리를 설명하고 있다. 한편, 도 1에서의 한글 초성은 모두 한글 종성으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도 3에서는 한글 종성으로만 사용되는 자음에 대응되는 도트 이미지의 생성 원리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한글의 쌍자음들 중에서 초성으로는 사용되지 않고 종성으로만 사용되는 이른 바 이중 받침의 경우에도 한글의 다른 쌍자음들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종성 이미지 프레임을 두개의 영역으로 분획한 상태에서, 분리된 두개의 이미지 프레임에 각각의 자음에 대응되는 도트 이미지를 생성하게 된다.
그에 따라, 도 3의 (a)는 'ㄱㅅ'에 대응하는 도트 이미지가 되며, 도 3의 (b)는 'ㄴㅈ'에 대응하는 도트 이미지가 되며, 도 3의 (c)는 'ㄴㅎ'에 대응하는 도트 이미지가 되며, 도 3의 (d)는 'ㄹㄱ'에 대응하는 도트 이미지가 되며, 도 3의 (e)는 'ㄹㅁ'에 대응하는 도트 이미지가 되며, 도 3의 (f)는 'ㄹㅂ'에 대응하는 도트 이미지가 되며, 도 3의 (g)는 'ㄹㅅ'에 대응되는 도트 이미지가 되며, 도 3의 (h)는 'ㄹㅌ'에 대응하는 도트 이미지가 되며, 도 3의 (i)는 'ㄹㅍ'에 대응하는 도트 이미지가 되며, 도 3의 (j)는 'ㄹㅎ'에 대응하는 도트 이미지가 되며, 도 3의 (k)는 'ㅂㅅ'에 대응하는 도트 이미지가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100)는 입력부(110), 생성부(130), 저장부(150), 및 편집부(170)를 포함한다.
먼저,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100)의 입력부(110)는 사용자가 이미지 편집을 원하는 한글 정보를 입력하는데 사용되며, 또한 사용자가 생성된 도트 이미지에 대한 편집 명령을 입력하는데 사용된다.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100)의 생성부(13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한글 정보에 해당하는 한글 이미지 상의 여백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도 1 내지 도3, 및 도 5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도트 이미지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표시하며, 생성된 도트 이미지는 저장부(150)에 저장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100)의 저장부(150)에는 한글의 모든 글자에 대해 도 1 내지 도 3 및 도 5를 통해 설명한 도트 이미지 생성 원리에 따라 각각 생성된 도트 이미지들이 각 글자에 맵핑되어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생성부(130)는 사용자가 입력한 글자에 맵핑되어 저장부(150)에 저장되어 있는 도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편집부(170)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도트 이미지를 사용자가 그 크기, 형태 또는 위치 등을 조정하는 편집 명령을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하는 경우에 편집 명령에 따라 도트 이미지를 편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이미지 편집 방법의 원리를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이미지 편집 방법의 원리를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는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100)의 입력부(110)를 통해 도트 이미지 생성 및 편집을 원하는 글자를 입력한다(S210).
이에 따라,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100)의 생성부(130)는 입력부(110)에 입력된 한글의 이미지 상의 여백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도트 이미지를 도 1 내지 도 3, 및 도 5에서 상술한 방법에 따라 생성하고(S220), 생성된 도트 이미지는 저장부(150)에 저장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100)의 생성부(130)는 도 1 내지 도 3에서의 원리에 따라 도트 이미지를 생성할 수도 있을 것이고, 도 4에서의 도트의 변형된 형태에 따라 이미지를 생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도 4의 (a),(b)에서와 같이 모음을 표시하는 도트 형태인 사각형 도트를 짧은 세로 선분으로 대체하여 생성할 수도 있을 것이며, 도 4의 (c)에서와 같이 자음 중 'ㄹ'을 표시하는 도트 형태인 좌우측의 사각형 도트를 각각 가로 선분으로 대체하여 생성하거나, 가로 선분을 대각선 선분으로 연결하여 'Z'의 형태로 표현하거나, 축소된 'Z'인 'z'의 형태로 표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도 4의 (d),(e),(f)에서와 같이 'ㅈ','ㅊ','ㅎ'을 나타내는 도트들 중에서 좌우측단의 중단에서의 사각형 도트 이미지를 각각 짧은 가로 선분으로 대체하여 생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사용자는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100)에 한글 뿐만 아니라, 아라비아 숫자를 입력할 수도 있을 것이며, 이 경우에 본 발명은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100)로서의 기능까지 구현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7은 각 아라비아 숫자에 대응되는 도트 이미지를 생성하는 원리를 설명하고 있다. 도 7의 (a)에서와 같이 입력부(110)에 '0'이 입력된 경우에 생성부(130)는 '0'에서의 여백 위치인 중앙에 원형 도트 이미지를 생성하게 되며, 도 7의 (b)에서와 같이 입력부(110)에 '1'이 입력된 경우에 '1'은 여백이 없는 숫자이므로 생성부(130)는 도트가 없는 이미지를 생성하게 된다.
또한, 도 7의 (c) 내지 (j)에서와 같이 입력부(110)에 '2' 내지 '9'가 입력된 경우에 생성부(130)는 각각 '2' 내지 '9'에서의 여백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사각형, 원형 또는 삼각형의 도트 이미지(즉, 여백의 모양과 같은 모양의 도트 이미지)를 생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숫자에 대응하는 도트 이미지는 도 16에서와 같이 시계에 적용하여 공간구획과 상징물에 의해 숫자를 표현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100)를 이용하여 한글에 대응되는 도트 이미지를 생성한 후에 생성된 도트 이미지를 자유롭게 편집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입력부(110)를 통해 도트 이미지에서의 사각형 이미지 프레임의 크기 또는 모양을 조절하거나, 사각형 이미지 프레임을 구성하는 초성 이미지 프레임, 중성 이미지 프레임, 종성 이미지 프레임의 각 크기 또는 상대 비율을 조절하거나, 도트 이미지를 구성하는 각 도트의 크기를 조절하거나, 각 이미지 프레임의 테두리의 굵기 및 선분 표시 방식(점선, 실선 등)을 변경하는 명령을 입력하며, 이에 따라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100)의 편집부(170)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도트 이미지의 크기, 위치 또는 형태를 조절하여 이를 저장부(150)에 저장한다(S230).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각각 '단','청'을 의미하는 도트 이미지를 도 6에서와 같이, 사각형 이미지 프레임의 테두리의 굵기를 조절하고, 선분 표시 방식을 부분적으로 점선으로 변경하도록 편집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용'을 의미하는 도트 이미지를 도 8의 좌측 도면에서와 같이 중성 이미지 프레임이 세로 방향으로 넓게 확장되도록 편집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이 편집된 '용'에 대한 도트 이미지는 도 8의 우측 도면에서와 같이, 넓어진 중앙의 여백에 용에 대한 그림을 그릴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추가의 한글 정보를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할 수 있으며(S240), 이 경우에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100)의 생성부(130)는 전술한 S220 단계에서의 방법에 따라 추가로 입력된 한글에 대한 도트 이미지를 생성하고(S250), 생성된 도트 이미지는 저장부(150)에 저장된다.
한편, 사용자는 추가로 생성된 도트 이미지(제2 도트 이미지)를 최초 생성된 도트 이미지(제1 도트 이미지)에 겹쳐지도록 편집을 명령할 수도 있을 것이여, 이 경우에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100)의 편집부(170)는 제2 도트 이미지가 제1 도트 이미지에 도 9에서와 같이 오버랩핑되도록 편집한다(S260).
한편, 오버랩핑된 제2 도트 이미지는 제1 도트 이미지와는 구분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므로, 편집부(170)는 제2 도트 이미지의 색상, 명암, 명도, 패턴, 질감, 크기, 및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도트 이미지와는 차별되도록 편집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사용자는 직접 입력부(110)를 통해 제2 도트 이미지의 색상, 명암, 명도, 패턴, 질감, 및 크기, 및 형태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도트 이미지와는 차별되도록 하는 편집 명령을 입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오버랩핑된 두 개의 도트 이미지는 판독 순서가 편집된 이미지 상에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이에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100)의 편집부(170)는 먼저 입력된 제1 도트 이미지의 색상, 명암, 명도, 패턴, 질감, 크기, 및 형태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한 식별자를 도 9의 첫번째 이미지(a)에서와 같이 상단의 앞부분에 표시하고(진한색 말모양), 나중에 입력된 제2 도트 이미지의 색상, 명암, 명도, 패턴, 질감, 크기, 및 형태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한 식별자는 도 9의 첫번째 이미지(a)에서와 같이 상단의 뒷부분에 표시함으로써(옅은색 말모양), 도 9의 첫번째 이미지(a)인 편집된 도트 이미지를 통해 제3자들이 도 9의 두번째 이미지(b)에서의 '한'을 먼저 판독한 후에, 도 9의 세번째 이미지(c)에서의 '글'을 나중에 판독함으로써, 도 9의 첫번째 이미지(a)인 편집된 도트 이미지를 '한글'로 판독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100)의 생성부(130)가 이미지를 생성함에 있어서는,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은 이미지를 생성할 수도 있지만, 도 12 내지 도 14에서와 같은 반전 이미지를 생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100)의 생성부(130)가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은 이미지를 생성한 후에, 생성된 이미지를 편집하는 작업자의 반전 명령에 따라, 편집부(170)에 의해 도 12 내지 도 14에서와 같은 반전 이미지를 편집을 통해 생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2 내지 도 14에서와 같은 반전 이미지에 의하면, 사용자에게 해당 한글의 의미를 보다 직접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는 실익이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 상의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기호 이미지'는 도트 이미지를 포함하는 의미를 갖는 용어로서, 특히 한글의 문자를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소정의 구획된 공간(예컨대 사각형 이미지 프레임)에서 공간을 구분하여(공간구획) 구분된 공간의 일부분에 적어도 하나가 배치된 상징물이다. 또한, 영어의 문자나 숫자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는, 영문자나 숫자를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소정의 구획된 공간(예컨대 사각형 이미지 프레임)에서 공간의 일부분에 적어도 하나가 배치된 상징물이다. 여기서, 상징물은 언어(한글, 영어 등)의 문자나 숫자를 일정한 틀에 넣고 빈 공간(여백)으로부터 파악된 형상을 점, 선, 면 등으로 단순화한 것이며, 이때 점은 삼각형, 사각형, 원 등의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본원 발명의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100)의 동작 원리에 대해 보다 근본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100)는 언어(한글, 영어 등)의 문자(숫자 포함)를 기호 이미지로, 또는 기호 이미지를 해석하여 해당 언어의 문자(숫자 포함)로 출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한글의 문자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는 언어의 문자나 숫자를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한글 문자(또는, 하나의 음절)를 표현하는 소정의 구획된 공간(예컨대 사각형 이미지 프레임)에서 공간을 구분하여(공간구획) 구분된 공간의 일부분에 적어도 하나가 배치된 상징물이다. 이 상징물은 언어(한글, 영어 등)의 문자나 숫자를 일정한 틀에 넣고 빈 공간으로부터 파악된 형상을 점, 선, 면 등으로 단순화한 것이며, 이때 점은 삼각형, 사각형, 원 등의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언어의 문자나 숫자를 상징화한 기호 이미지는, 언어의 문자나 숫자를 인쇄 등에 사용되는 평면적인 대상이 아닌 부피와 질량을 갖는 물체로 규정하고, 이를 일정한 틀에 넣고 비어 있는 공간에 쇳물을 부어 얻게 되는 주물을 가공하여 원래의 틀과 함께 문자나 숫자를 간단하고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문자/숫자 가공 기술을 기초로 하고 있으며, 도 15에 문자나 숫자의 가공 과정을 평면적으로 예시하였다.
즉, 언어의 문자나 숫자의 표현에 공간 개념을 부여하여 이를 단순화된 공간으로 표현하고, 언어의 문자나 숫자를 가공하여 이를 단순화하여 표현할 수 있는 상징물인 삼각형, 사각형, 원 등을 추출해 낸 후, 이 상징물을 공간에 배치하여 언어의 숫자나 문자를 상징적으로 표현한다.
따라서, 생성부(130)에 의해 생성되는 한글의 기호 이미지는, 적어도 하나의 한글 문자(적어도 하나의 음절)를 표현하는 소정의 구획된 제1 공간과, 제1 공간을 점, 선, 면 또는 다른 표시에 의해 구분하며(제1 공간을 공간구획하여 제2 공간으로 분할) 구분된 제2 공간들에서 초성, 중성, 종성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여 한글을 상징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공간구획과, 공간구획으로 구분된 제2 공간들에 배치되는 삼각형, 사각형, 원, 직선 중 적어도 하나의 상징물로 표현된다.
여기서 공간구획으로 구분된 제2 공간 각각은 횡방향 또는 종방향 또는 그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제1 공간은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징물은 삼각형, 사각형, 원, 각 도형의 형상을 갖는 사물, 및 각 도형을 연상시키는 문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도 10에서의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100)에는 도 22에서와 같이 출력부(18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생성부(130)에 의해 생성된 기호 이미지는 출력부(180)를 통해 실시간으로 출력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입력부(110)를 통해 기호 이미지가 입력될 수도 있으며, 생성부(130)는 기호 이미지를 해석하여, 해당 기호 이미지에 대응되는 문자를 추출하고, 추출된 문자는 출력부(180)를 통해 실시간으로 출력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생성부(130)가 기호 이미지를 해석하여, 해당 기호 이미지에 대응되는 문자를 추출함에 있어서는, 도 15에서의 각 문자로부터 기호 이미지를 생성하는 연산을 역으로 적용함으로써, 기호 이미지로부터 문자를 추출할 수 있을 것이다.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10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언어(한글, 영어 등)의 문자(숫자 포함)를 기호 이미지로 변환하여 출력부(180)를 통해 실시간으로 출력한다. 또한,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10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기호 이미지를 해석하여 해당 언어의 문자(숫자 포함)를 출력부(180)를 통해 실시간으로 출력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영어 단어 입력 모드가 실행되는 경우에, 영어의 알파벳 개수는 대문자 및 소문자 각각 26씩 총 52개이면 표현 가능하다. 대문자(/소문자) 영어 알파벳 26개 중에서 모음 알파벳 5개, 즉 "A(/a)", "E(/e)", "I(/i)", "O(/o)", "U(/u)"를 제외한 나머지 21개의 알파벳을 '자음 알파벳'이라 칭한다. 즉 대문자(/소문자) 영어 알파벳은, 21개의 자음 알파벳(즉 'B(/b)', 'C(/c)', 'D(/d)', 'F(/f)', 'G(/g)', 'H(/h)', 'J(/j)', 'K(/k)', 'L(/l)', 'M(/m)', 'N(/n)', 'P(/p)', 'Q(/q)', 'R(/r)', 'S(/s)', 'T(/t)', 'V(/v)', 'W(/w)', 'X(/x)', 'Y(/y)', 'Z(/z)')과, 5개의 모음 알파벳(즉 'A(/a)', 'E(/e)', 'I(/i)', 'O(/o)', 'U(/u)')으로 구성된다.
도 17은 영어 대문자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를 영문자 이미지 프레임에 생성하는 원리를 설명하고 있고, 도 18은 영어 소문자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를 영문자 이미지 프레임에 생성하는 원리를 설명하고 있다. 도 17 및 도 18에서의 (a) 내지 (z)는 영어 대문자 및 소문자 "A(/a)"에서부터 "Z(/z)"에 대응하는 각각의 기호 이미지를 보여준다.
이와 같이 영어의 대문자 및 소문자 알파벳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기호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는데, 영어의 알파벳에 대한 기호 이미지 역시 소정의 구획된 공간(예컨대 사각형 이미지 프레임)에서 공간의 일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상징물을 배치하여 표현 가능하다. 여기서, 상징물은 영어의 알파벳을 일정한 틀에 넣고 빈 공간으로부터 파악된 형상을 점, 선, 면 등으로 단순화할 수 있으며, 이때 점은 삼각형, 사각형, 원 등의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출력부(180)의 표시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영문 또는 숫자의 기호 이미지는, 적어도 하나의 영문 문자 또는 숫자를 표현하는 소정의 구획된 공간과, 공간에 배치되며 영문자 또는 숫자를 상징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삼각형, 사각형, 원, 직선 중 적어도 하나의 상징물로 표현된다. 여기서 각 공간은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징물은 삼각형, 사각형, 원, 각 도형의 형상을 갖는 사물, 및 각 도형을 연상시키는 문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도 19에서와 같이 영어문자 S의 기호 이미지는 다양한 응용 변형예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100)의 생성부(130)가 이미지를 생성함에 있어서는, 도 17 내지 도 19에서와 같은 이미지를 생성할 수도 있지만, 도 20 및 도 21에서와 같은 반전 이미지를 생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100)의 생성부(130)가 도 17 내지 도 19에서와 같은 이미지를 생성한 후에, 생성된 이미지를 편집하는 작업자의 반전 명령에 따라, 편집부(170)에 의해 도 20 및 도 21에서와 같은 반전 이미지를 편집을 통해 생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20 및 도 21에서와 같은 반전 이미지에 의하면, 사용자에게 해당 영어 문자의 의미를 보다 직접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는 실익이 있을 것이다.
한편, 숫자나 영어 단어의 입력이나 이의 기호 이미지에 대한 해석 및 출력 방식은, 문자의 입력이나 이의 기호 이미지에 대한 해석 및 출력 방식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100)에는 도 10에서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에서의 입력부(110), 생성부(130), 저장부(150), 및 편집부(170)를 기본적으로 포함하며, 출력부(180), 및 변환부(190)를 추가로 포함한다.
먼저, 출력부(180)의 기능은 이미 상술한 바와 같으며, 변환부(190)는 특정 문자 정보를 동일한 의미를 갖는 이종 언어의 문자 정보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저장부(150)에는 동일한 의미를 갖는 다양한 언어(한국어, 중국어, 일본어, 영어 등)의 문자 정보가 함께 저장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입력부(110)를 통해 자신이 입력할 언어와 변환될 언어를 각각 제1 언어와 제2 언어로서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언어를 국어, 제2 언어를 영어로서 지정한 경우에 사용자가 입력부(110)를 통해 국어 문자 정보를 입력하면, 변환부(19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해당 국어 문자 정보에 대응되는 영어 문자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영어 문자 정보로 입력된 국어 문자 정보를 변환한다.
한편, 변환된 영어 문자 정보는 생성부(130)로 전달되어 이후의 이미지 생성 및 편집의 절차가 수행된다.
한편, 도 22에서의 입력부(110), 생성부(130), 저장부(150), 및 편집부(170)는 기본적으로 도 10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자 이미지 편집 방법의 원리를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이다. 도 2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자 이미지 편집 방법의 원리를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할 언어인 제1 언어를 국어로 입력하고, 변환 언어인 제2 언어를 영어로서 입력 및 설정한 후에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100)의 입력부(110)를 통해 도트 이미지 생성 및 편집을 원하는 글자로서 한글 정보를 입력한다(S310).
한편, 도 23에서는 제1 언어를 한국어, 제2 언어를 영어로 예시하여 설명하였지만, 제1 언어 및 제2 언어는 전 세계 각국의 다양한 언어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변환부(19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해당 국어 문자 정보에 대응되는 영어 문자 정보를 검색하고, 해당 국어 문자 정보를 검색된 영어 문자 정보로 변환한다(S320).
이에 따라,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100)의 생성부(130)는 변환부(190)에 의해 변환된 영어 단어의 이미지 상의 여백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도트 이미지를 도 17 및 도 18에서 상술한 방법에 따라 생성하고(S330), 생성된 도트 이미지는 저장부(150)에 저장된다.
이와 같이 도 23에서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자 이미지 편집 방법에 의하면, 제1 언어에만 친숙하고 제2 언어에는 친숙하지 못한 사용자도 자신에게 친숙한 제1 언어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 제2 언어가 형상화된 기호 이미지를 자유롭게 생성 및 편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는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100)를 이용하여 영어에 대응되는 도트 이미지를 생성한 후에 생성된 도트 이미지를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음은 도 11에서 전술한 바와 같다(S340).
한편,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추가의 한글 정보를 제1 언어로서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할 수 있으며(S350), 이에 변환부(190)는 추가로 입력된 한글 정보에 대응되는 영어 문자 정보를 저장부(150)를 통해 검색하고, 검색된 영어 문자 정보로 추가 입력된 국어 문자 정보를 변환한다(S360).
아울러,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100)의 생성부(130)는 전술한 S330 단계에서의 방법에 따라 추가로 변환된 영어에 대한 도트 이미지를 생성하고(S370), 생성된 도트 이미지는 저장부(150)에 저장된다.
한편, 사용자는 추가로 생성된 도트 이미지(제2 도트 이미지)를 최초 생성된 도트 이미지(제1 도트 이미지)에 겹쳐지도록 편집을 명령할 수도 있을 것이여, 이 경우에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100)의 편집부(170)는 제2 도트 이미지가 제1 도트 이미지에 오버랩핑되도록 편집하게 된다(S380).
한편, 여기서도 전술한 바와 같이, 오버랩핑된 제2 도트 이미지는 제1 도트 이미지와는 구분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므로, 편집부(170)는 제2 도트 이미지의 색상, 명암, 명도, 패턴, 질감, 크기, 및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도트 이미지와는 차별되도록 편집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사용자는 직접 입력부(110)를 통해 제2 도트 이미지의 색상, 명암, 명도, 패턴, 질감, 크기, 및 형태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도트 이미지와는 차별되도록 하는 편집 명령을 입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오버랩핑된 두 개의 도트 이미지는 판독 순서가 편집된 이미지 상에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이에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100)의 편집부(170)는 먼저 입력된 제1 도트 이미지의 색상, 명암, 명도, 패턴, 질감, 크기, 및 형태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한 식별자를 도 9의 첫번째 이미지에서와 같이 앞에 표시하고, 나중에 입력된 제2 도트 이미지의 색상, 명암, 명도, 패턴, 질감, 크기, 및 형태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한 식별자는 도 9의 첫번째 이미지에서와 같이 뒤에 표시함으로써, 도 25의 첫번째 이미지인 편집된 도트 이미지(ONE)를 통해 제3자들이 도 25의 두번째 이미지에서의 'O'를 먼저 판독한 후에, 도 25의 세번째 이미지에서의 'N' 및 도 25의 네번째 이미지에서의 'E'를 나중에 판독함으로써, 도 25의 첫번째 이미지인 편집된 도트 이미지를 'ONE'로 판독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S390).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자 이미지 편집 방법의 원리를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이다. 도 24에서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자 이미지 편집 방법의 원리를 설명하면,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입력부(110)를 통해 기호 이미지가 입력될 수도 있으며, 생성부(130)는 기호 이미지를 해석하여, 해당 기호 이미지에 대응되는 문자를 추출하고, 변환부(190)는 추출된 문자를 사용자가 지정하는 언어의 문자로 변환하며, 변환부(190)에 의해 변환된 문자는 출력부(180)를 통해 실시간으로 출력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도 24에서의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의 기능을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그 뜻을 이해하지 못하는 문자의 정보가 형상화된 기호 이미지의 의미를 자신에게 친숙한 언어로서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자신에게 친숙한 언어로 변환된 문자 정보가 형상화된 기호 이미지를 다시 생성할 수도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자 이미지 편집 방법의 원리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는 변환부(190)에 입력되는 언어인 제1 언어(예를 들어, 한국어)와 변환부(190)에 의해 변환 및 생성되는 언어인 제2 언어(예를 들어, 영어)를 입력부(110)를 통해 사전 설정하게 된다.
그 다음,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의 입력부(110)에는 문자를 형상화한 기호 이미지가 입력되고(S410), 이에 생성부(130)가 해당 기호 이미지를 해석하여, 해당 기호 이미지에 대응되는 문자 정보로 전환 추출하게 된다(S430).
한편, 생성부(130)가 이미지를 분석하여 대응되는 문자 정보를 전환 추출함에 있어서는, 도 15에서의 각 문자로부터 기호 이미지를 생성하는 연산을 역으로 적용함으로써, 기호 이미지로부터 문자를 전환 추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변환부(190)는 생성부(130)가 전환 추출한 제1 언어의 문자 정보(예를 들어, 국어 문자)를 저장부(150)에 저장된 문자 정보에 대응되는 제2 언어의 문자 정보(예를 들어, 영어 문자)를 검색하고, 제1 언어의 문자 정보를 검색된 제2 언어의 문자 정보로 변환한다(S450).
한편,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100)의 출력부(180)는 변환부(190)를 통해 변환된 문자 정보를 실시간으로 출력한다(S470).
아울러,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100)의 변환(190)에 의해 변환된 영어 단어의 이미지 상의 여백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도트 이미지를 도 17 및 도 18에서 상술한 방법에 따라 생성하고(S490), 생성된 도트 이미지는 저장부(150)에 저장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 110: 입력부,
130: 생성부, 150: 저장부,
170: 편집부, 180: 출력부,
190: 변환부.

Claims (23)

  1.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에서의 문자 이미지 편집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장치가, 문자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장치가, 상기 입력된 문자 정보를 동일한 의미를 갖는 이종 언어의 문자 정보로 변환하는 단계; 및
    (c) 상기 장치가, 상기 변환된 이종 언어의 문자 정보에 해당하는 문자 이미지 상의 여백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도트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문자 이미지 편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에,
    상기 생성된 도트 이미지의 크기, 위치,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문자 이미지 편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트 이미지의 모양은, 상기 문자 이미지 상의 여백의 모양에 따라 결정되는 것인 문자 이미지 편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트 이미지의 모양은, 삼각형, 사각형, 및 원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인 문자 이미지 편집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에,
    (d) 상기 장치가, 외부로부터 추가로 입력받은 문자 정보를 동일한 의미를 갖는 이종 언어의 문자 정보로 변환하고, 변환된 이종 언어의 문자 정보에 해당하는 문자 이미지 상의 여백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도트 이미지를 추가로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문자 이미지 편집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이후에,
    (e) 상기 장치가, 상기 추가로 생성된 도트 이미지를 상기 (c) 단계에서 생성된 도트 이미지 상에 오버랩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문자 이미지 편집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생성된 도트 이미지와, 상기 (d) 단계에서 추가로 생성된 도트 이미지는 색상, 명암, 명도, 패턴, 질감, 크기, 및 형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구분되는 것인 문자 이미지 편집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변환된 이종 언어의 문자가 한글인 경우에, 변환된 한글 정보에 해당하는 한글의 초성, 중성, 종성별로 각 이미지 상의 여백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도트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인 문자 이미지 편집 방법.
  9.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에서의 문자 이미지 편집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장치가, 문자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b) 상기 장치가, 상기 입력된 문자 정보를 동일한 의미를 갖는 이종 언어의 문자 정보로 변환하는 단계; 및
    (c) 상기 장치가, 상기 변환된 이종 언어의 문자 정보에 해당하는 도트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도트 이미지는 상기 변환된 이종 언어의 문자 정보에 해당하는 문자 이미지 상의 여백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도트가 형성된 이미지인 것인 문자 이미지 편집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문자 이미지 편집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1.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에 있어서,
    문자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문자 정보를 동일한 의미를 갖는 이종 언어의 문자 정보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
    상기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이종 언어의 문자 정보에 해당하는 문자 이미지 상의 여백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도트 이미지를 생성하는 생성부;
    를 포함하는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도트 이미지의 크기, 위치, 및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는 편집부를 더 포함하는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도트 이미지의 모양은, 상기 문자 이미지 상의 여백의 모양에 따라 결정되는 것인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도트 이미지의 모양은, 삼각형, 사각형, 및 원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인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외부로부터 추가로 입력받은 문자 정보를 동일한 의미를 갖는 이종 언어의 문자 정보로 추가로 변환하고,
    상기 생성부는, 추가로 변환된 상기 이종 언어의 문자 정보에 해당하는 문자 이미지 상의 여백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도트 이미지를 추가로 생성하는 것인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부는, 상기 추가로 생성된 도트 이미지를 기 생성된 도트 이미지 상에 오버랩핑 처리하는 것인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 생성된 도트 이미지와, 상기 추가로 생성된 도트 이미지는 색상, 명암, 명도, 패턴, 질감, 크기, 및 형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구분되는 것인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부는, 상기 변환된 이종 언어의 문자가 한글인 경우에, 변환된 한글 정보에 해당하는 한글의 초성, 중성, 종성별로 각 이미지 상의 여백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도트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인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
  19.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에 있어서,
    문자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된 문자 정보를 동일한 의미를 갖는 이종 언어의 문자 정보로 변환하는 변환부;
    상기 변환된 이종 언어의 문자 정보에 해당하는 도트 이미지를 생성하는 생성부;
    를 포함하며,
    상기 도트 이미지는 상기 변환된 이종 언어의 문자 정보에 해당하는 문자 이미지 상의 여백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도트가 형성된 이미지인 것인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도트 이미지의 크기, 위치, 및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는 편집부를 더 포함하는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
  21.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에서의 문자 이미지 편집 방법에 있어서,
    (a) 문자를 형상화한 기호 이미지가 입력되는 단계;
    (b) 상기 입력된 기호 이미지를 대응하는 문자로 전환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전환된 문자를 동일한 의미를 갖는 이종 언어의 문자 정보로 변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기호 이미지는, 상기 문자의 이미지상의 여백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인 문자 이미지 편집 방법.
  22. 제21항에 따른 문자 이미지 편집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23.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로서,
    문자를 형상화한 기호 이미지가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기호 이미지를 대응하는 문자로 전환하는 생성부; 및
    상기 생성부에 의해 전환된 문자를 동일한 의미를 갖는 이종 언어의 문자 정보로 변환하는 변환부
    를 포함하며,
    상기 기호 이미지는, 상기 문자의 이미지상의 여백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인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




KR20130011657A 2012-02-02 2013-02-01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에서의 문자 이미지 편집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101478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4/000263 WO2014109573A1 (ko) 2013-01-09 2014-01-09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EP14737862.4A EP2945142A4 (en) 2013-01-09 2014-01-09 DEVICE AND METHOD FOR EDITING SYMBOL IMAGES AND RECORDING MEDIUM WITH A RECORDED PROGRAM FOR IMPLEMENTING THEREOF
JP2015552580A JP6461814B2 (ja) 2013-01-09 2014-01-09 記号イメージ編集装置及び方法並びにこれを実行する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
CN201480013168.4A CN105027178A (zh) 2013-01-09 2014-01-09 符号图像编辑装置、方法及记录有用以执行该方法的程序的记录介质
US14/795,870 US9721367B2 (en) 2013-01-09 2015-07-09 Apparatus, method and medium for editing symbol images
HK16105088.4A HK1217137A1 (zh) 2013-01-09 2016-05-04 符號圖像編輯裝置、方法及記錄有用以執行該方法的程序的記錄介質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0621 2012-02-02
KR20120010621 2012-02-02
KR20120114691 2012-10-16
KR1020120114691 2012-10-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9600A KR20130089600A (ko) 2013-08-12
KR101478647B1 true KR101478647B1 (ko) 2015-01-02

Family

ID=49215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11657A KR101478647B1 (ko) 2012-02-02 2013-02-01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에서의 문자 이미지 편집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864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5061A (ko) * 1998-10-22 2000-06-26 미야모또 아끼라 문자입력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5061A (ko) * 1998-10-22 2000-06-26 미야모또 아끼라 문자입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9600A (ko) 2013-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8645B1 (ko) 한글 이미지 편집 장치에서의 한글 이미지 편집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JP4874436B2 (ja) ロゴ付き二次元コード、ロゴ付き二次元コード生成装置、ロゴ付き二次元コード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969403B2 (ja) ロゴ付き二次元コード
JP6461814B2 (ja) 記号イメージ編集装置及び方法並びにこれを実行する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
KR100518928B1 (ko) 입력되는 문자를 애니메이션하는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
JP2011188291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US8804187B2 (en) Image processing to superimpose code on a document image
KR101478647B1 (ko)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에서의 문자 이미지 편집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101434442B1 (ko) 한글­알파벳 결합서체 구현 방법 및 그 장치
KR101376852B1 (ko) 글씨쓰기 학습방법 및 학습교재
KR102531614B1 (ko) 한글 및 외국어 매칭출력방법 및 그 장치
KR101845780B1 (ko) 기호 이미지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기호 이미지 검색용 서버
JP2009075873A (ja) ロゴ付き二次元コード作成装置、ロゴ付き二次元コード作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50006738A (ko) 기호 이미지를 이용한 디자인 설계 장치 및 방법
Haralambous Tiqwah: a typesetting system for biblical Hebrew, based on TEX
JP6131389B2 (ja) 記号イメージを用いたデザイン設計装置及び設計方法と記号イメージが適用された設計対象物分析装置及び分析方法
KR20160085549A (ko) 기호 이미지 설계 장치
KR20120078761A (ko) 한글 자소 조합 기반의 힌팅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Syropoulos Replicating archaic documents: A typographic challenge
KR20150006806A (ko) 기호 이미지 교육 장치 및 방법
Jacobsen The language of graphic novels
KR20150006739A (ko) 기호 이미지가 적용된 설계 대상물 분석 장치 및 방법
JP2017090635A (ja) 学習教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