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6806A - 기호 이미지 교육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기호 이미지 교육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6806A
KR20150006806A KR20140086330A KR20140086330A KR20150006806A KR 20150006806 A KR20150006806 A KR 20150006806A KR 20140086330 A KR20140086330 A KR 20140086330A KR 20140086330 A KR20140086330 A KR 20140086330A KR 20150006806 A KR20150006806 A KR 20150006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mbol image
image
symbol
output
charac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86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중하
Original Assignee
류중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중하 filed Critical 류중하
Publication of KR20150006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68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Character Discrimin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호 이미지 교육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문자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에 관련된 문제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된 문제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상기 문제에 대한 답변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답변이 상기 출력된 문제에 대한 정답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답변이 정답인지 여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호 이미지는 상기 문자의 이미지상의 여백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소정 형상의 상징 이미지가 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호 이미지 교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호 이미지 교육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raining Mark Image}
본 발명은 기호 이미지 교육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게임과 테스트 방식을 통해 기호 이미지에 대한 학습 동기를 유발시킴으로써, 기호 이미지에 대한 학습을 통해, 한글, 영어, 숫자 등의 문자를 상징화한 기호 이미지 및 기호 이미지가 형상화된 설계 대상물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 수준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기호 이미지 교육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에는 영상 미디어의 발달로 문자 외에 이미지에 대한 정보 전달의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다. 예를 들면, 기아난민구호와 관련하여 문자나 숫자만으로 표시된 장황한 호소문 보다 문자나 숫자에 이미지가 결합될 경우 더 큰 호소력이 생기는 특성을 갖게 되었으며, 이러한 시대적 특성을 반영하여 언어를 단순한 정보전달매체에서 한 단계 발전시켜 언어의 의미를 상징적으로 함축하고 산업적으로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절실히 요구된다.
특히, 산업, 예술, 디자인, 건축, 공예, 도시기획 등의 각종 분야에서 산업 생산물(제품, 미술품, 건축물, 공예품, 건물 등)에 언어의 문자나 숫자를 상징적으로 표현함으로써, 언어에 대한 인식을 제고시키고 산업적 응용이 가능토록 할 수 있는 방안이 절실히 요구될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이 한글, 영어, 숫자 등의 문자를 상징화한 기호 이미지들이 적용된 산업 생산물의 손쉬운 디자인 설계를 가능토록 하는 디자인 설계 솔루션의 제공이 요구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착안된 기호 이미지 및 기호 이미지가 형상화된 설계 대상물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 게임과 테스트 방식을 통해 기호 이미지에 대한 학습 동기를 유발시킴으로써, 기호 이미지에 대한 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게임 및 교육 솔루션의 제공 또한 요구된다.
특허공개 제2013-0002690호(한글 이미지 편집 장치에서의 한글 이미지 편집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요약, 도 1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게임과 테스트 방식을 통해 기호 이미지에 대한 학습 동기를 유발시킴으로써, 기호 이미지에 대한 학습을 통해, 한글, 영어, 숫자 등의 문자를 상징화한 기호 이미지 및 기호 이미지가 형상화된 설계 대상물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 수준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기호 이미지 교육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호 이미지 교육 장치가, 소정의 문자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에 관련된 문제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기호 이미지 교육 장치가, 상기 출력된 문제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상기 문제에 대한 답변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기호 이미지 교육 장치가,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답변이 상기 출력된 문제에 대한 정답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기호 이미지 교육 장치가,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답변이 정답인지 여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호 이미지는 상기 문자의 이미지상의 여백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소정 형상의 상징 이미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호 이미지 교육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소정의 문자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에 관련된 문제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출력된 문제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상기 문제에 대한 답변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기호 이미지 교육 장치가,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답변이 상기 출력된 문제에 대한 정답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연산부; 및 상기 문제가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의 답변이 입력되는 경우 정답여부를 판정하도록 하고, 정답여부에 대한 답변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호 이미지는 상기 문자의 이미지상의 여백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소정 형상의 상징 이미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호 이미지 교육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문제는 상기 기호 이미지를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기호 이미지에 대응되는 문자를 요구하는 것이거나, 소정의 문자를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문자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의 입력을 요구하는 것이거나, 부정확한 형태의 기호 이미지를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기호 이미지의 정확한 형태를 요구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징 이미지는 소정 형상을 가진 점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호 이미지는 복수 개의 문자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가 하나의 동일한 공간에 오버래핑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호 이미지는 상기 기호 이미지를 구성하는 상징 이미지가 동시에 한 화면에 출력되지 않고, 상기 상징 이미지 중 일부만 출력된 화면이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되는 문제는 다른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호 이미지 교육 장치는 상기 출제되는 문제와 정답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게임과 테스트 방식을 통해 기호 이미지에 대한 학습 동기를 유발시킴으로써, 기호 이미지에 대한 학습을 통해, 한글, 영어, 숫자 등의 문자를 상징화한 기호 이미지 및 기호 이미지가 형상화된 설계 대상물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 수준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한글을 상징화하여 본 발명의 기호이미지로 표현되도록 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서 영어의 알파벳을 본 발명의 기호이미지로 표현되도록 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한글의 초성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를 생성하는 원리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한글의 중성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를 생성하는 원리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한글의 종성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를 생성하는 원리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호 이미지를 변형 생성하는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한글의 초성, 중성, 종성에 대한 기호 이미지가 각각 생성되는 영역을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서 아라비아 숫자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를 숫자 이미지 프레임에 생성하는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서 영어 대문자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를 생성하는 원리를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서 여백과 상징 이미지가 선의 굵기에 따라 구분된 예를 도시한 것으로 영문자 'E'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서 각 문자가 다른 공간 구획 형상에 의해 구현된 예를 도시한 것으로 'TOM'을 나타내는 기호 이미지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서 '축', '복'을 하나의 공간에 구현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서 '한', '글'을 하나의 공간에 구현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서 'T', 'O', 'M'을 하나의 공간에 구현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에서 'X'와 ''K'가 오버래핑된 경우 상징 이미지 표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에서 이용가능한 입력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기호이미지를 입력할 수 있는 전용 키보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0 및 도 21은 촬영된 특정 상징물을 상징 이미지로 인식하여 기호 이미지가 입력되도록 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2 및 도 23은 본 발명에서 손 모양을 이용하여 상징 이미지를 구현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기호 이미지 교육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26 내지 도 30은 본 발명의 문제의 유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록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 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분명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한편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퀴즈 등의 형식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기호이미지를 교육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는 사용자 또는 외부장치로부터 기호 또는 문자를 입력받고, 이에 대응되는 문자 또는 기호를 출력하는 장치로, 본 발명의 기호이미지 교육을 위한 입출력 장치로서 사용이 가능하다.
각각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기호 이미지에 대해 설명해본다.
본 발명에서 기호 이미지는 문자(한글, 영어 등 각종 언어를 나타내는 문자 및 숫자 등을 포함하는 개념)를 기호로 나타낸 것으로, 구체적으로 소정의 상징 이미지를 소정의 구획된 공간(예컨대 사각형 이미지 프레임)상에 배치하여, 그 상징 이미지의 위치 및 여백의 형상에 따라 문자를 나타내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징 이미지는 문자를 출력할 때 여백으로 파악된 형상을 점, 선, 면 등으로 나타낸 이미지를 의미하며, 삼각형, 사각형, 원 등의 다양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여백의 형상은 구획된 공간, 상징 이미지의 위치 및 상징 이미지의 형상에 따라 결정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일부의 문자(한글중성의 ㅡ,ㅣ,ㅢ와 영어소문자l 숫자1 등)에 있어서는, 상징물이 전혀 배치되지 않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기호이미지는 문자의 형태에 의해 생성되는 여백을 공간으로 정의하여 여백의 형상을 기호화하여 문자를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상징문자에 관한 것으로서 간단한 상징물로 문자를 나타낼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디자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2는 한글을 상징화하여 본 발명의 기호이미지로 표현되도록 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영어의 알파벳을 본 발명의 기호이미지로 표현되도록 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한글 또는 영어의 문자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는 언어의 문자나 숫자를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한글 문자(적어도 하나의 음절)를 표현하는 소정의 구획된 공간(예컨대 사각형 이미지 프레임)에서 공간을 구분하여(공간구획) 구분된 공간의 일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상징 이미지가 배치된 이미지이다. 이 상징 이미지는 언어(한글, 영어 등)의 문자나 숫자를 일정한 틀에 넣고 빈 공간으로부터 파악된 형상을 점, 선, 면 등으로 단순화한 것이며, 이때 점은 삼각형, 사각형, 원 등의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
언어의 문자나 숫자를 상징화한 기호 이미지는, 언어의 문자나 숫자를 인쇄 등에 사용되는 평면적인 대상이 아닌 부피와 질량을 갖는 물체로 규정하고, 이를 일정한 틀에 넣고 비어 있는 공간에 쇳물을 부어 얻게 되는 주물을 가공하여 원래의 틀과 함께 문자나 숫자를 간단하고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문자/숫자 가공 기술을 기초로 하고 있으며, 도 2에 문자나 숫자의 가공 과정이 평면적으로 예시되어 있다.
즉, 언어의 문자나 숫자의 표현에 공간 개념을 부여하여 이를 단순화된 공간으로 표현하고, 언어의 문자나 숫자를 가공하여 이를 단순화하여 표현할 수 있는 상징물인 삼각형, 사각형, 원 등을 추출해 낸 후, 이 상징물을 공간에 배치하여 언어의 숫자나 문자를 상징적으로 표현한다.
구체적으로 각 문자에 대응되는 기호이미지의 형태를 도 4 내지 도 10에 도시하였다.
먼저, 한글의 경우 한글을 입력하기 위해서 필요한 한글의 초성 자음 개수는 총 19개이면 된다. 이러한 초성은 단자음 14개('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와 쌍자음 5개('ㄲ', 'ㄸ', 'ㅃ', 'ㅆ', 'ㅉ')면 족하다.
또한 중성의 모음 개수는 총 21개이면 표현 가능하므로, 이러한 중성은 단모음 10개('ㅏ', 'ㅓ', 'ㅗ', 'ㅜ', 'ㅡ', 'ㅣ', 'ㅐ', 'ㅔ', 'ㅚ', 'ㅟ')와 이중모음 11개('ㅑ', 'ㅕ', 'ㅛ', 'ㅠ', 'ㅒ', 'ㅖ', 'ㅘ', 'ㅙ', 'ㅚ', 'ㅝ', 'ㅞ', 'ㅟ', 'ㅢ')면 족하다.
또한 종성의 자음 개수는 총 27이면 표현 가능하므로, 이러한 종성은 단자음 14개와 쌍자음 2개와 복자음 11개('ㄳ',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ㅄ')면 족하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한글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가 생성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점, 선, 면을 함께 활용한 한글의 초성, 중성, 종성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8은 공간구획으로 한글의 초성, 중성, 종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공간구획은 예컨대 한글의 초성, 중성, 종성을 구분하기 위한 공간분할을 의미한다.
먼저, 도 4는 한글 초성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를 생성하는 원리를 설명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a)는 'ㄱ'에서의 여백 위치인 좌측 하단에 사각형 상징 이미지를 생성한 것이며, (b)는 'ㄴ'에서의 여백 위치인 우측 상단에 여백의 모양과 같은 사각형 상징 이미지를 생성한 것이고, (c)는 'ㄷ'에서의 여백 위치인 우측 중단에 여백의 모양과 같은 사각형 상징 이미지를 생성한 것이다.
또한, (d)는 'ㄹ'에서의 여백 위치에 여백의 모양과 같은 사각형 상징 이미지를 생성한 것이며, (e)는 'ㅁ'에서의 여백 위치인 중앙에 여백의 모양과 같은 사각형 상징 이미지를 생성한 것이다. 또한, (f)는 'ㅂ'에서의 여백 위치인 중앙과 상측 중단에 각각 여백의 모양과 같은 사각형 상징 이미지를 생성한 것이며, (g)는 'ㅅ'에서의 여백 위치인 하측 중단에 여백의 모양과 같은 삼각형 상징 이미지를 생성한 것이고, 또한 (h)는 'ㅇ'에서의 여백 위치인 중앙에 여백의 모양과 같은 원형 기호 이미지를 생성한 것이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는 각 한글의 이미지상에서의 여백의 모양이 사각형, 삼각형, 또는 원형인 경우에만 해당 여백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여백의 모양과 동일한 모양의 상징 이미지를 이용하여 기호 이미지를 생성하였으나, 각 한글의 이미지상에서의 여백의 위치에 여백과 다른 형상을 가진 상징 이미지의 삽입도 가능하다.
이것은 한글 이미지에서 여백의 위치가 문자의 고유한 특성을 결정짓는 가장 큰 특징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상술한 도 4의 (g)에서 'ㅅ'을 나타내기 위하여 삼각형 상징 이미지를 이용하였지만, 사각형이나 원의 모양을 가지는 상징이미지를 이용하더라도 다른 문자의 기호이미지와 중복되지 않고 구별이 가능하므로, 도 4와는 다른 상징 이미지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규칙에 따라, 도 4에서의 나머지 기호 이미지들을 분석하면 (i)는 'ㅈ'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이며, (j)는 'ㅊ'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이고, (k)는 'ㅋ'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이며, (l)은 'ㅌ'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이고, (m)은 'ㅍ'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이며, (n)은 'ㅎ'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이고, (o)은 'ㄲ'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이며, (p)는 'ㄸ'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이고, (q)는 'ㅃ'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이며, (r)은 'ㅆ'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이고, (s)는 'ㅉ'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임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5는 한글의 초성과 중성이 결합된 글자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를 생성하는 원리를 설명하고 있다. 다만 모음 단독으로 표현하지 않고 알아보기 쉽게 자음 'ㅇ'과 함께 표현하였다. 도 5에서와 같이 초성과 중성이 결합된 글자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를 생성함에 있어서, 먼저 도 4에서의 사각형 이미지 프레임을 도 8의 (a),(b)에서와 같이, 초성 영역과 중성 영역으로 구분하고(이를 '공간구획'이라 한다) 초성 이미지 프레임과 중성 이미지 프레임에 각각 독립적으로 초성과 중성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를 생성하게 된다.
초성 이미지 프레임에 초성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를 생성하는 원리는 도 4에서 설명된 원리와 동일하며, 본 발명에서는 중성 이미지 프레임에 중성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의 생성에 있어서도 중성의 이미지상에서의 여백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여백의 모양과 동일한 모양인 사각형 상징 이미지를 생성하였다.
이와 같은 기호 이미지 생성 원리에 따라 도 5에서의 각 기호 이미지가 의미하는 글자를 분석하면, (a)는 '아'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이고, (b)는 '야'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이고, (c)는 '어'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이고, (d)는 '여'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이고, (e)는 '오'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이고, (f)는 '요'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이고, (g)는 '우'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이고, (h)는 '유'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이고, (i)는 '으'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이고, (j)는 '이'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이고, (k)는 '애'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이고, (l)은 '얘'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이다.
한편, 중성 중 단모음 'ㅔ'와 이중모음 'ㅖ'의 경우에는 각각 'ㅓ', 'ㅕ'와 구분하기 위해, 중성 이미지 프레임을 (m), (n)에서와 같이 세로로 두 개로 나누어서 'ㅔ'는 'ㅓ+ㅣ'로 표기하고, 'ㅖ'는 'ㅕ+ㅣ'로 표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m)은 '에'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이고, (l)은 '예'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가 된다.
한편, 모음들 중에서 복모음의 경우에는 중성 이미지 프레임을 전체 사각형 이미지 프레임의 하단부와 우측단부로 나눈 상태에서 각 모음의 기호 이미지를 개별적으로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에 따라, (o)는 '와'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가 되며, (p)는 '왜'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가 되며, (q)는 '외'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가 되며, (r)은 '워'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가 되며, (s)는 '웨'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가 되며, (t)는 '위'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가 되며, (u)는 '의'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가 된다.
한편, 초성과 중성과 종성이 결합된 글자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를 생성함에 있어서는, 먼저 도 4에서의 사각형 이미지 프레임을 도 8의 (c)~(f)에서와 같이, 초성 영역, 중성 영역, 및 종성 영역으로 구분하고(이를 '공간구획'이라 한다) 초성 이미지 프레임, 중성 이미지 프레임, 및 종성 이미지 프레임에 각각 독립적으로 초성과 중성과 종성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를 생성하게 된다.
도 6은 한글 종성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를 종성 이미지 프레임에 생성하는 원리를 설명하고 있다. 한편, 도 4에서의 한글 초성 (3a)~(3s)의 단자음 14개('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와 쌍자음 2개('ㄲ', 'ㅆ')는 모두 한글 종성으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을 배제하고, 도 6에서는 한글 종성으로만 사용되는 복자음 11개('ㄳ',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ㅄ')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의 생성 원리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한글의 쌍자음들 중에서 초성으로는 사용되지 않고 종성으로만 사용되는 이른바 복자음의 경우에도 한글의 다른 쌍자음들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종성 이미지 프레임을 두 개의 영역으로 분획한 상태에서, 분리된 두 개의 이미지 프레임에 각각의 자음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를 생성하게 된다.
그에 따라, (a)는 'ㄳ'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가 되며, (b)는 'ㄵ'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가 되며, (c)는 'ㄶ'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가 되며, (d)는 'ㄺ'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가 되며, (e)는 'ㄻ'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가 되며, (f)는 'ㄼ'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가 되며, (g)는 'ㄽ'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가 되며, (h)는 'ㄾ'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가 되며, (i)는 'ㄿ'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가 되며, (j)는 'ㅀ'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가 되며, (k)는 'ㅄ'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가 된다.
이와 같이 도 4 내지 도 6에서의 원리에 따라 기호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고, 도 7에서와 같이 상징 이미지의 변형된 형태에 따라 이미지를 생성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의 (a), (b)에서와 같이 모음을 표시하는 기호 형태인 사각형 상징 이미지를 짧은 세로 선분으로 대체하여 생성할 수도 있고, (c)에서와 같이 자음 중 'ㄹ'를 표시하는 기호 형태인 좌우측의 사각형 상징 이미지를 각각 긴 가로 선분으로 대체하여 생성하거나, 긴 가로 선분을 대각선 선분으로 연결하여 'Z'의 형태로 표현하거나, 축소된 'z'의 형태로 표현할 수도 있다. 또한, (d), (e), (f)에서와 같이 'ㅈ', 'ㅊ', 'ㅎ'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상징 이미지들 중에서 좌우측단의 중간에서의 사각형 상징 이미지를 각각 짧은 가로 선분으로 대체하여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g)에서와 같이 'ㅋ'을 나타내는 기호 중에서 좌측단의 중간에서의 사각형 상징 이미지만을 짧은 가로 선분으로 대체하여 생성하거나, 또한 (h)에서와 같이 'ㅌ'을 나타내는 기호 형태인 우측단의 사각형 상징 이미지를 각각 긴 가로 선분으로 대체하여 생성하거나, 또한 (i)에서와 같이 'ㅂ'을 나타내는 기호 중에서 중간에서의 사각형 상징 이미지만을 짧은 선분으로 대체하여 생성할 수도 있다.
한편, 숫자 입력 모드에서 아라비아 숫자의 개수는 총 10개이면 표현 가능하다. 즉 아라비아 숫자는 '0', '1', '2', '3', '4', '5', '6', '7', '8', '9'로 구성된다.
아라비아 숫자에 대한 기호 이미지는 소정의 구획된 공간(예컨대 사각형 이미지 프레임)에서 공간의 일부분에 상징물을 배치하여 표현 가능하다. 다만 숫자는 초성/중성/종성으로 구분되지 않으므로, 구획된 공간을 다시 구분(공간구획)할 필요는 없다. 여기서, 상징물은 아라비아 숫자를 일정한 틀에 넣고 빈 공간으로부터 파악된 형상을 점, 선, 면 등으로 단순화한 것이며, 이때 점은 삼각형, 사각형, 원 등의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9는 아라비아 숫자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를 숫자 이미지 프레임에 생성하는 원리를 설명하고 있다. 도 9에서, (a)는 숫자 '0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이며, (b)는 숫자 '1'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이며, (c)는 숫자 '2'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이며, (d)는 숫자 '3'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이며, (e)는 숫자 '4'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이며, (f)는 숫자 '5'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이며, (g)는 숫자 '6'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이며, (h)는 숫자 '7'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이며, (i)는 숫자 '8'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이며, (j)는 숫자 '9'에 대응하는 기호 이미지이다.
한편, 도 10은 영어 대문자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를 생성하는 원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영어 단어 입력 모드에서 영어의 알파벳 개수는 대문자 및 소문자 각각 26씩 총 52개이면 표현 가능하다. 대문자(/소문자) 영어 알파벳 26개 중에서 모음 알파벳 5개, 즉 "A(/a)", "E(/e)", "I(/i)", "O(/o)", "U(/u)"를 제외한 나머지 21개의 알파벳을 '자음 알파벳'이라 칭한다. 즉 대문자(/소문자) 영어 알파벳은, 21개의 자음 알파벳(즉 'B(/b)', 'C(/c)', 'D(/d)', 'F(/f)', 'G(/g)', 'H(/h)', 'J(/j)', 'K(/k)', 'L(/l)', 'M(/m)', 'N(/n)', 'P(/p)', 'Q(/q)', 'R(/r)', 'S(/s)', 'T(/t)', 'V(/v)', 'W(/w)', 'X(/x)', 'Y(/y)', 'Z(/z)')과, 5개의 모음 알파벳(즉 'A(/a)', 'E(/e)', 'I(/i)', 'O(/o)', 'U(/u)')으로 구성도며, 도 10에서와 같이 표현된다.
앞에서는 대표적인 예로, 동일한 규칙에 따라 기호 이미지가 생성되는 예만을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렇게 될 필요는 없으며 다양한 방법에 따라 기호 이미지가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백이 반드시 아무 무늬나 색이 없는 형태일 필요는 없으며, 상징 이미지와 여백이 구분되기만 하면 된다.
도 11은 여백과 상징 이미지가 선의 굵기에 따라 구분된 예를 도시한 것으로 영문자 'E'를 나타내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또한, 구획된 공간이 반드시 직사각형일 필요도 없고, 반드시 일정한 크기를 가질 필요도 없다.
도 12는 각 문자가 다른 공간 구획 형상에 의해 구현된 예를 도시한 것으로 'TOM'을 나타내는 기호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하나의 구획된 공간 안에 하나의 문자만 있을 필요도 없으며, 복수의 문자가 오버래핑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복수의 기호 이미지의 오버랩핑 생성의 원리를 설명하면, 도 13에서와 같이 2개의 기호 이미지(레이어1,2)를 오버랩핑시켜 복잡한 상징물의 배치와 공간구획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3은 '축', '복'을 하나의 공간에 구현한 예를 도시한 것으로, (a)는 그 구현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로, (b), (c), (d)는 오버래핑된 다양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문자를 오버랩핑하기에 앞서, 우선 문자를 겹친 후에 쉽게 식별될 수 있도록 문자마다의 상징물을 다르게 표시해 줄 필요가 있는데, 이때 상징물의 형태, 위치, 크기, 투명도를 다르게 하거나 문자, 부호 등을 사용하여 구별할 수 있으며, 가장 쉬운 방법은 색깔로 구분하는 것이다.
도 13의 (a)의 첫 번째 이미지와 같이 '축' 문자를 검은색으로 하고 (a)의 두 번째 이미지와 같이 '복' 문자를 회색으로 구분한 후 두 개의 기호 이미지를 오버랩핑하여 (a)의 세 번째 이미지와 같이 표현한다. 이때, '축'과 '복'의 종성이 같은 'ㄱ'이므로 도형의 형태와 크기가 같을 경우 제1 기호 이미지(레이어1)의 도형에 제2 기호 이미지(레이어2)의 도형(종성 이미지)이 가려지게 되는데, 이때는 제1 기호 이미지(레이어1)의 도형(종성 이미지) 크기를 축소하거나(b), 제2 기호 이미지(레이어2)의 크기를 확대하여(c), 2개의 기호 이미지의 도형 크기를 달리함으로써 오버랩핑된 상태를 명확히 구분해준다.
또한, 제2 기호 이미지의 도형이 제1 기호 이미지의 도형에 가려지고, 이를 쉽게 유추 가능하다면 제2 기호 이미지의 도형 표시를 생략할 수도 있다(d).
오버랩핑된 2개의 기호 이미지(레이어1,2)는 구분될 수 있도록 고유의 특성을 부여하여, 이러한 특성에 의해 각 레이어를 분리하여 독립된 하나의 문자로 구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레이어에 부여되는 특성으로는 색상, 질감(엄밀하게는 시각), 명도, 채도, 형상, 명암, 패턴, 크기, 위치, 투명도 외에도, 2차원과 3차원에 의한 공간 분리 등 다양한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4에서와 같이 오버랩핑된 레이어의 상부에 각각의 레이어의 특성과 동일한 특성을 갖는 표시(구분자)를 하여 오버랩핑된 레이어의 순서를 표시한다. 구분자의 목적은 순서표시와 장식이므로 레이어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표시하거나 달리해도 무방하며 레이어의 순서는 구분자에서 파악하고 레이어의 개수는 겹쳐진 기호문자 안의 기호 종류의 개수에 의해 파악이 가능하다. 구분자의 순서는 문자를 읽는 방법에 따라 수직으로 표시된 경우에는 '상'에서 '하'로, 수평으로 표시된 경우에는 '좌'에서 '우'로 정한다. 따라서, 가장 상측 및 좌측에 위치한 식별자가 첫 번째 레이어를 표시한다.
일예로, 먼저 생성된 제1 기호 이미지(레이어1)의 색상, 위치, 크기, 투명도, 명암, 명도, 패턴, 및 질감 중 하나와 동일한 구분자(검은색 구분자)를 도 14의 첫 번째 이미지(a)에서와 같이 앞에 표시하고, 나중에 생성된 제2 기호 이미지(레이어2)의 색상, 위치, 크기, 투명도, 명암, 명도, 패턴, 및 질감 중 하나와 동일한 구분자(회색 구분자)를 도 22의 첫 번째 이미지(a)에서와 같이 뒤에 표시한다. 도 14의 첫 번째 이미지(a)와 같이 오버랩핑된 2개의 기호 이미지(레이어1,2)에서, 구분자의 순서를 통해 도 24의 두 번째 이미지(b)에서와 같이 '한'을 먼저 판독하고, 도 24의 세 번째 이미지(c)에서와 같이 '글'을 나중에 판독함으로써, 오버랩핑된 첫 번째 이미지(a)를 '한글'로 판독할 수 있게 된다.
컴퓨터 장치도 또한 설계 대상물에 구현된 오버랩핑된 기호 이미지들을 구분자를 통해 구별할 수 있게 되며, 구체적으로 연산부(470)는 도 14의 첫 번째 이미지와 같이 오버랩핑된 2개의 기호 이미지(레이어1,2)에서, 구분자의 순서를 통해 도 14의 두 번째 이미지에서와 같이 '한'을 먼저 판독하고, 도 14의 세 번째 이미지에서와 같이 '글'을 나중에 판독함으로써, 오버랩핑된 첫 번째 이미지를 '한글'로 판독 및 분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기호 이미지에 대응되는 문자는, 한글(자음, 모음, 음절, 어절, 단어 등을 모두 포함), 영어(대문자, 소문자, 단어 등을 모두 포함), 또는 기타의 외국어 문자 뿐만 아니라, 이들의 겹침 문자 등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5는 영문자에 오버래핑이 적용된 예를 도시한 것으로, 'T', 'O', 'M'을 하나의 공간 안에 오버래핑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한편, 오버래핑이 된 각 기호 이미지의 상징 이미지의 위치가 동일하여 정확히 판독하기 힘든 경우도 발생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도 16에서와 같이 각 기호이미지의 상징 이미지의 크기를 다르게 하거나(a), 상징 이미지의 위치를 조금씩 다르게 하거나(b), 상징 이미지의 형상을 다르게 하여 (c) 복수의 상징 이미지가 동일한 위치에 중첩되어 있음을 알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6은 'X'와 ''K'가 오버래핑된 경우 상징 이미지 표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어느 하나의 상징 이미지가 다른 기호 이미지의 상징 이미지에 의해 가려지는 경우에도 해당되는 기호 이미지를 유추할 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
다시 도 1로 돌아가서, 본 발명에서 이용될 수 있는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100)는 입력부(110), 제어부(120), 저장부(130) 및 출력부(1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100)는 자체 동작 가능하거나(하기의 제1 실시예 참조), 통신 단말에 구비되어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외부의 타 장치(본 발명의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100)와 같은 장치로서, 타 통신 단말에 구비되거나 타 통신 단말에 연동됨)와 통신할 수도 있다(하기의 제2 및 제3 실시예 참조).
데이터 통신망으로는, 유/무선 전화망 및 인터넷, 블루투스 등이 될 수 있다. 통신 단말은, 유/무선 전화기, SIP 단말, 휴대폰, PDA, 일반 PC, 핸드헬드 PC, 유/무선 모뎀을 장착한 노트북, 스마트글래스, 스마트카메라, 스마트와치, 블랙박스, 네비게이션, 영상기록장치 등의 유/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통신기기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100)는 본 발명의 교육 장치의 일부로 이용될 수도 있고, 자체적으로 기호 또는 문자의 입출력을 위해 사용되어질 수도 있다. 기호 또는 문자의 입출력을 위해 사용되어지는 경우가 기본적인 경우이고, 교육을 위해서는 퀴즈를 생성하거나 타인과 서로 퀴즈를 낼 수 있는 프로그램 등이 더 부가되는 형태이므로, 기본적인 경우를 위주로 먼저 설명한다.
제1 실시예로서,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10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언어(한글, 영어 등)의 문자(숫자 포함)를 기호 이미지로 변환하여 출력부(140)를 통해 실시간으로 출력한다. 또한,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10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기호 이미지를 해석하여 해당 언어의 문자(숫자 포함)를 출력부(140)를 통해 실시간으로 출력한다. 즉, 제1 실시예는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100) 내에서 입/출력 과정을 모두 수행한다.
제2 실시예로서,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10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언어(한글, 영어 등)의 문자(숫자 포함) 정보를 외부의 타 장치로 전달한다. 또한,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10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기호 이미지를 해석하여 해당 언어의 문자(숫자 포함) 정보를 외부의 타 장치로 전달한다. 즉, 제2 실시예는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100) 내에서 입력 과정을 수행하고, 외부의 타 장치를 통해 출력 과정을 수행한다.
제3 실시예로서,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100)는 외부의 타 장치로부터 전달된 언어(한글, 영어 등)의 문자(숫자 포함)를 기호 이미지로 변환하여 출력부(140)를 통해 실시간으로 출력한다. 이때, 외부의 타 장치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언어(한글, 영어 등)의 문자(숫자 포함) 정보를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100)로 전달하거나,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기호 이미지를 해석하여 해당 언어의 문자(숫자 포함) 정보를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100)로 전달한다. 즉, 제3 실시예는 외부의 타 장치를 통해 입력 과정을 수행하고,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100) 내에서 출력 과정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제4 실시예로서 외부의 타 장치를 통해 입력 과정을 수행하되,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100) 내에서 출력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또 다른 외부의 타 장치를 통해 출력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제2 및 제3 실시예에서, 외부의 타 장치는 본 발명의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100)와 같은 장치로서, 타 통신 단말에 구비되거나 타 통신 단말에 연동되어 구동되며,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본 발명의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100)와 통신하는 장치이다.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문자, 또는 기호를 입력받거나, 타 장비로부터 문자, 기호 또는 그에 대응되는 정보를 입력받거나, 사용자가 생성된 기호 이미지에 대한 편집 명령을 입력하는데 사용된다.
즉, 입력부는 사용자가 기호 이미지로 출력(디스플레이, 전송 또는 프린터 출력 등)을 원하는 언어의 문자나 숫자 정보를 입력하는데 사용되거나, 사용자가 언어의 문자나 숫자로 출력(디스플레이, 전송 또는 프린터 출력 등)을 원하는 기호 이미지를 입력하는데 사용되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기호 이미지가 표현될 수 있는 소정의 구획된 공간(예컨대 사각형 이미지 프레임) 및 그 공간을 구분한 공간구획(예컨대 한글의 초성, 중성, 종성을 구분하기 위한 공간분할)에 대한 편집 명령을 입력하는데 사용되거나, 사용자가 생성된 기호 이미지에 대한 편집 명령을 입력하는데 사용된다.
입력부(110)는 키패드, 터치스크린부, 마우스패드, 마우스, 광학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터치스크린부에서 입력하는 문자/숫자 입력을 키패드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고, 키패드에서 입력하는 문자/숫자 입력을 터치스크린부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적용 대상은 키패드만을 구비한 장치, 또는 터치스크린부만을 구비한 장치, 또는 키패드 및 터치스크린부 둘 다를 구비한 장치일 수 있다.
키패드는 숫자와 특수문자 또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다수 개의 키버튼으로 구성된다. 또한 이와 함께 입력된 문자/숫자를 저장하고, 수정하거나 불러들이는 기능버튼과 일반버튼이 더 구비되며 사용자의 지시를 제어부(120)에 전송하는 매개체의 기능을 수행한다. 키패드는 사용자가 손 등을 이용하여 문자(자음, 모음)/숫자 키에 소정 압력을 가하면(또는 미세 전류를 가하거나 센서에 의해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시키면), 이에 해당하는 문자/숫자 인식에 필요한 데이터, 즉 키 데이터를 발생하여 제어부(120)로 전달하고, 제어부(120)는 인가되는 키 데이터에 대응되는 문자/숫자 코드 데이터를 저장부(130)에서 확인하고 문자/숫자 코드 데이터들에 맵핑된 기호 이미지를 추출하여 출력부(140)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전송하거나 프린터 출력한다. 문자나 숫자 입력을 위한 키패드의 하드키 구성과, 키패드를 통한 문자/숫자 인식 및 조합 방식은 공지의 기술을 준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터치스크린부는 객체지향적 문자/숫자 정보 입력수단으로, 사용자가 손이나 스타일러스 펜과 같은 필기구 등을 이용하여 패널 상면의 문자(자음, 모음)/숫자에 소정 압력을 가하면, 이에 해당하는 문자/숫자 인식에 필요한 데이터, 즉 터치스크린 데이터를 발생하여 제어부(120)로 전달하고, 제어부(120)는 인가되는 터치스크린 데이터에 대응되는 문자/숫자 코드 데이터를 저장부(130)에서 확인하고 문자/숫자 코드 데이터들에 맵핑된 기호 이미지를 추출하여 출력부(140)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전송하거나 프린터 출력한다. 문자나 숫자 입력을 위한 터치스크린부의 소프트키 구성과, 터치스크린부를 통한 문자/숫자 인식 및 조합 방식은 공지의 기술을 준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입력부(110)를 통하여 문자 등을 입력하는 방식은 일반적인 컴퓨터, 스마트 폰 등의 키보드, 키패드 등에서의 입력방식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기호를 입력하는 방법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에서 이용가능한 입력부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사용자는 기호 이미지 교육 장치(400) 또는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100)의 입력부(430)에 구비된 삼각형, 원, 사각형의 버튼 중 어느 하나를 누름으로써, 표시부(410)에 버튼에 대응되는 상징 이미지(삼각형, 원, 사각형)가 표시되도록 한 상태에서, 도 22에서와 같이, 입력부(430)에 구비된 입력 패드 상에 손가락을 접촉한 상태에서 드래그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표시부(410)에 표시되어 있는 기호를 정사각형의 표시부(410) 상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입력부(430)를 이용함으로써, 문제로 제시된 문자 정보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로서, 자신이 생각한 기호 이미지를 자유롭게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도 19는 기호이미지를 입력할 수 있는 전용 키보드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키보드의 일부에 기호 이미지를 입력할 수 있는 키를 배치하였다.
하단 중앙의 기호좌표패드(12)는 도 17 및 도 18에서와 같이 상징 이미지의 위치를 지정하기 위한 것이며, 선(1), 원(2), 삼각형(3), 사각형(4) 버튼은 해당하는 상징 이미지를 선택하기 위한 키이다.
그 밖에 오버래핑(5) 키는 2 이상의 문자를 서로 오버래핑(이에 대해서는 후술함)하기 위한 키이고, 반전(6)은 상징 이미지와 여백의 색을 반전시키기 위한 키이고, 시간차(7)은 한 문자를 구성하는 상징 이미지를 한 번에 다 출력하지 않고, 순차적으로 출력되도록 하고자 하는 경우에 이용되는 키이고, 구분자(8)는 복수의 문자를 오버래핑한 경우 그 문자를 읽는 순서를 나타내기 위한 구분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이고, 순서(9)는 오버래핑된 순서를 변경하기 위한 키이고, 무테(10)은 공간구획선을 무테로 하기 위한 키이고, 다른 심벌(기호)(11)는 상징 이미지를 다른 것으로 변경하기 위해 사용되는 키이다.
상기한 방법 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기호 이미지의 입력이 가능하다.
일 예로,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상에서 직접 자신이 원하는 상징 이미지를 그리고, 위치를 지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공간상에 특정 사물을 위치하게 하고, 그 사물을 촬영하여, 공간상의 그 사물의 위치에 따라 기호 이미지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카메라 등의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기호 이미지가 입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20 및 도 21은 촬영된 특정 상징물을 상징 이미지로 인식하여 기호 이미지가 입력되도록 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촬영을 통하여 기호 이미지를 입력하는 방법은 도 20과 같이 상징물(원기둥)을 사각형의 패드 위에 올려놓고, 입력부(110)는 사각형의 패드를 구획된 공간으로 인식하고, 그 공간에서의 상징물(원기둥)의 상대적인 위치가 기호 이미지의 상징 이미지의 위치로 인식하도록 하는 방법도 가능하고, 도 21과 같이, 패드를 이용하지 않고 촬영된 화면 전체에서 상징물(원기둥)의 상대적인 위치를 상징 이미지의 위치로 인식하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그 밖에, 상징 이미지의 형상을 결정하기 위하여 손모양을 도 22 및 도 23과 같이 만들어서 그 모양을 인식하도록 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상징 이미지를 먼저 입력받고, 상징 이미지의 위치를 별도로 입력받는 경우에. 그 위치 지정 방법 역시 다양한 방법의 적용이 가능하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터치패드나 터치스크린 등에서 사용자가 드래그하는 방식도 가능하고, 키보드의 방향지시키 등을 이용하는 방법, 리모컨 등을 이용하는 경우 그 리모컨의 방향 변화, 포인팅 지점의 이동 등을 인식하여 상징 이미지의 위치변화 등을 하는 것도 가능하는 등, 기존의 위치제어를 위한 모든 방법이 적용 가능하다.
한편, 저장부(130)는 제어부(120)에 의해 처리된 기능을 구동하기 위한 프로그램, 사용자의 편리성과 기본적인 여러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예컨대 램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또는 플래쉬 메모리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며,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프로그램이나 입력부(110)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동작 프로그램 등이 저장된다. 특히, 저장부(130)는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입력 처리되는 키 데이터 또는 터치스크린 데이터에 대응하는 문자/숫자 코드 데이터와 이에 맵핑된 기호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문자/숫자 코드 데이터에 맵핑되는 기호 이미지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출력부(140)는 제어부(120)의 제어하에 디스플레이 또는 프린터 출력 동작을 수행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출력부(140)에 출력되는 기호 이미지 정보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문자/숫자 정보에 대응되는 정보이다. 즉 사용자가 문자/숫자를 입력하면 이에 대응되는 문자/숫자 코드 데이터가 추출되고 이에 맵핑된 기호 이미지가 출력되어 출력부(140)의 표시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거나, 전송되거나 프린터 출력되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출력부(140)에 출력되는 문자/숫자 정보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기호 이미지 정보에 대응되는 정보이다. 즉 사용자가 기호 이미지를 입력하면 이를 해석하여 대응되는 문자/숫자 코드 데이터가 추출되고 이에 맵핑된 기호 이미지가 출력되어 출력부(140)의 표시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거나 전송되거나 프린터 출력되는 것이다.
출력부(140)의 표시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한글의 기호 이미지는,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한글 문자(적어도 하나의 음절)를 표현하는 소정의 구획된 제1 공간과, 제1 공간을 점, 선, 면 또는 다른 표시에 의해 구분하며(제1 공간을 공간구획하여 제2 공간으로 분할) 구분된 제2 공간들에서 초성, 중성, 종성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여 한글을 상징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공간구획과, 공간구획으로 구분된 제2 공간들에 배치되는 삼각형, 사각형, 원, 직선 중 상징물로 표현된다. 여기서 공간구획으로 구분된 제2 공간 각각은 횡방향 또는 종방향 또는 그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제1 공간은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징물은 삼각형, 사각형, 원, 각 도형의 형상을 갖는 사물이나 형상을 갖도록 구성된 사물, 및 각 도형을 연상시키는 문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제어부(120)는 입력부(110) 또는 타장치로부터 전달된 문자가 기호이미지로 변환되어 출력부(140)를 통하여 출력(화면에 출력되거나 전송되거나 프린터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하거나, 입력부(110) 또는 타장치로부터 전달된 기호 이미지가 문자로 변환되어 출력부(140)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20)는 생성부(121) 및 편집부(1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생성부(121)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언어의 문자나 숫자 정보에 해당하는 문자/숫자 이미지상의 여백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징 이미지를 삽입한 기호 이미지를 생성하여 출력부(140)의 표시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전송하거나 프린터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생성된 기호 이미지는 저장부(130)에 저장된다.
또한, 생성부(121)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기호 이미지를 해석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기호 이미지에 맵핑되어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문자/숫자를 실시간으로 추출하여 해당 언어의 문자/숫자를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생성부(121)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한글의 문자에 해당하는 문자 이미지상의 여백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기호 이미지를 생성하여, 즉 사각형 이미지 프레임을 도 8의 (a),(b)에서와 같이 초성 영역과 중성 영역으로 구분하고(공간구획) 초성 이미지 프레임과 중성 이미지 프레임에 각각 독립적으로 초성과 중성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를 생성하거나, 또는 사각형 이미지 프레임을 도 8의 (c)~(e)에서와 같이 초성 영역, 중성 영역, 및 종성 영역으로 구분하고(공간구획) 초성 이미지 프레임, 중성 이미지 프레임, 및 종성 이미지 프레임에 각각 독립적으로 초성과 중성과 종성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를 생성하여 출력부(140)의 표시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전송하거나 프린터 출력한다.
또한, 생성부(121)는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에 맵핑되어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기호 이미지를 추출하여, 사각형 이미지 프레임을 도 8의 (a),(b)에서와 같이 초성 영역과 중성 영역으로 구분하고(공간구획) 초성 이미지 프레임과 중성 이미지 프레임에 각각 독립적으로 초성과 중성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나, 또는 사각형 이미지 프레임을 도 8의 (c)~(e)에서와 같이 초성 영역, 중성 영역, 및 종성 영역으로 구분하고(공간구획) 초성 이미지 프레임, 중성 이미지 프레임, 및 종성 이미지 프레임에 각각 독립적으로 초성과 중성과 종성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를 출력부(140)의 표시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전송하거나 프린터 출력한다.
사용자가 한글의 기호 이미지를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는 한글의 초성과 중성이 결합된 문자에 대해서는 도 8의 (a),(b)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한글의 초성과 중성과 종성이 결합된 문자에 대해서는 도 8의 (c) ~ (e)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후, 상징물을 배치할 부분을 지정한다. 그러면, 상징물의 형상(점, 선, 면 등)을 선택할 수 있는 단계로 진입하고, 만약 사용자가 "점"을 선택한 경우 다시 점의 형상(삼각형, 사각형, 원 등)을 선택할 수 있는 단계로 진입한다. 이와 같이 소정의 구획된 공간(예컨대 사각형 이미지 프레임)에서 공간구획으로 구분된 공간의 일부분에 상징물을 배치하면, 생성부(121)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기호 이미지를 해석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기호 이미지에 맵핑되어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문자를 추출하여 해당 언어의 문자를 출력부(140)를 통해 실시간으로 출력되도록 한다.
한편, 저장부(130)에 문자/숫자에 대해 앞에서 설명한 기호 이미지 생성 원리에 따라 각각 생성된 기호 이미지들이 각 문자/숫자에 맵핑되어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생성부(121)는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숫자에 맵핑되어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기호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추출하여 출력부(140)의 표시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전송하거나 프린터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편집부(122)는 출력부(140)의 표시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기호 이미지를 사용자가 그 크기 또는 위치 등을 조정하는 편집 명령을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하는 경우에 편집 명령에 따라 기호 이미지를 편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출력 과정에서의 이미지 편집 기능). 또한, 편집부(122)는 기호 이미지가 표현되는 소정의 구획된 공간(예컨대 사각형 이미지 프레임) 및 그 공간을 구분한 공간구획(예컨대 한글의 초성, 중성, 종성을 구분하기 위한 공간분할)을 자유롭게 편집, 구성할 수 있다(입/출력 과정에서의 공간 편집 기능).
도 24는 본 발명의 기호 이미지 교육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기호 이미지 교육 장치는 입력부(410), 제어부(420), 저장부(430)출력부(440) 및 연산부(4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각 구성요소의 기능은 도 1의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100)와 거의 유사하므로, 중복된 기능에 대해서는 간단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호 이미지 교육 장치는 설정된 교육 프로그램에 따라 문답 형식으로 사용자에게 기호 이미지의 교육을 시키는 장치이다.
이에 따라, 도 1의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100)는 단순히 입력된 기호 이미지 또는 문자에 대응되는 문자 또는 기호이미지가 출력되도록 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호 이미지 교육 장치는 사용자에게 기호 이미지와 관련된 문제를 출력하고, 그 문제에 대해 사용자가 답변을 입력하면 그 답변에 대해 정답 여부를 알려준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 교육 프로그램은 다양한 방식으로 교육이 가능하며, 특히 퀴즈나 게임과 같은 방식으로 교육이 가능하고, 사용자 혼자 이용하도록 할 수도 있고, 다른 사용자와 연동하여 같이 게임하는 방식으로 교육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부(410)는 사용자로부터 기호 이미지 또는 문자 등을 입력받거나, 타 장치로부터 기호 이미지 또는 문자 등을 입력받는다.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는 경우는 사용자가 문제에 대한 답변을 입력하는 경우, 다른 사용자와 같이 게임형식으로 하는 경우 다른 사용자에게 문제를 입력하는 경우 등에 해당한다.
입력부(410)로 이용될 수 있는 장치로는 키보드, 키패드,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카메라 등 다양한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는 점은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으며, 입력방법과 관련해서도 도 1의 입력부(110)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출력부(440)는 화면 또는 프린터 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기호 이미지 혹은 문자 등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전송하거나 프린터로 출력한다.
또한, 출력부(440)는 사용자가 문제에 대한 답변을 입력한 경우 그에 대한 정답 여부도 출력한다.
출력부(440)은 프로그램에 의한 문제 출력, 다른 사용자와 같이 게임하는 형식의 경우 다른 사용자가 입력한 문제의 출력, 정답 여부에 대한 출력 등을 수행한다. 또한, 다른 사용자와 같이 게임하는 경우 다른 사용자의 단말기로 문제 등의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저장부(430)는 도 1의 기호 이미지 편집 장치(100)의 저장부(130)에서와 같이 문자/숫자에 대한 기호 이미지들이 맵핑된 정보가 저장되며, 사용자에 의해 새로운 모양의 기호 이미지가 생성되면 그에 대한 정보도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에는 본 발명의 교육 프로그램에 사용되는 각종 문제 및 정답에 관한 정보 등도 저장될 것이다.
연산부(450)는 사용자가 문제에 대한 답변을 입력한 경우에 문제에 대한 답변이 정확한지 여부를 연산한다.
제어부(420)는 본 발명의 교육 프로그램에 따라 출력부(440)를 통하여 문제 등이 출력되도록 하고, 입력부(410)를 통하여 사용자가 답변을 입력하면 그에 대한 정답 여부를 연산부(450)에서 판단하게 하여 그 결과를 출력부(440)에 출력되도록 한다.
도 1에서 도시한 생성부(121) 및 편집부(122)의 기능도 도 24의 기호 이미지 교육 장치의 제어부(420)에 그대로 적용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인 방법은 방법을 설명하면서 다시 설명한다.
도 25는 본 발명의 기호 이미지 교육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제어부(420)는 소정의 기호 이미지와 관련된 문제가 출력부(440)을 통하여 출력되도록 한다(S610).
출력되는 문제는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에 따라 각기 다른 형식의 문제 출제가 가능하다.
일 예로, 사용자 혼자 게임을 진행하는 경우, 제어부(420)는 저장부(430)에 저장되어 있는 문제들 중에서 설정된 순서에 따라 선택되는, 혹은 임의로 선택되는 문제를 선택하여 사용자에게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출력되는 방식은 단순히 문자가 출력되도록 하여 그에 해당하는 기호 이미지를 입력되도록 하거나, 기호 이미지가 출력되고 문자를 답변으로 받도록 할 수도 있다.
그 외에 서로 다른 언어의 형태로 문제 및 답변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5와 같이 한글로 '복'이 문제로 출력되고, 사용자는 그에 대한 답변으로 이의 영어 단어인 'LUCK'을 기호 이미지로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13 내지 도 16에서와 같이 복수의 기호 이미지를 오버래핑하고, 그에 대응하는 문자를 답변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예로, 소정의 문자 또는 기호 이미지를 문제로 출력하고, 그에 해당하는 기호 이미지를 사용자가 공간상에 구현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사용자는 도 20 내지 도 23에서와 같이 공간상에 상징물이나 손모양을 이용하여 상징 이미지 및 그 위치를 표현하여 문제에 대해 답변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반대로 공간상에서 상징물로 구현된 영상을 보여주고, 사용자로 하여금 해당되는 영상에 해당되는 기호 이미지 또는 문자를 답변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예로, 기호 이미지를 구성하는 상징 이미지를 한 번에 다 출력하지 않고, 시간을 두고 하나씩 출력하고, 사용자가 출력된 상칭 이미지들로부터 유추하여 해당되는 문자 또는 기호 이미지를 답변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 27에서와 같이, (a), (b)의 순으로 화면에 출력되는 경우, 양 화면을 결합하면 (c)와 같이 'A'를 나타내는 기호 이미지가 된다. 사용자는 (a), (b)의 화면만을 보고 답변을 하도록 요구받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28에서와 같이 상징 이미지의 일부를 생략하여 보여주고, 사용자로 하여금 생략된 상징 이미지를 찾아내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예로, 도 29에서와 같이 상징 이미지를 정확하지 않은 자리에 위치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정확한 자리에 위치시켜서 기호 이미지를 완성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예로, 도 30에서와 같이 상징 이미지의 형상을 일부 다르게 하여, 사용자가 정확한 형상으로 수정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복수의 사용자가 같이 게임 형식으로 진행하여 일방이 문제를 내고 타방이 답변을 하는 방식으로 게임이 진행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때, 일방은 앞에서 설명한 방식 중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문제를 낼 수도 있을 것이다.
또 다른 방식으로, 끝말잇기와 같은 방식으로, 끝말잇기를 할 단어를 입력하면 그 단어가 기호 이미지로 다른 사용자의 단말기에 출력되고, 그 단어를 받은 사용자는 그 단어에 끝말을 이을 단어를 기호 이미지 또는 문자로 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렇게 다양한 방식으로 제어부(420)를 통하여 문제가 출력되면 사용자는 입력부(410)를 통하여 그에 해당하는 기호 이미지 또는 문자를 입력하게 된다(S620).
입력부(410)를 통하여 입력하는 방식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키보드,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등을 이용하여 입력하는 방법,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입력하는 방법 등이 있을 수 있으며, 다양한 방법을 통한 입력이 가능하다.
이렇게 사용자로부터 답변이 입력되면, 연산부(450)는 정답 여부를 판정한다(S650).
정답여부를 판정하는 방법은, 저장부(430)에 문제에 대한 답이 같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정답을 추출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답변과 일치 여부를 판정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제어부(420)의 생성부(미도시)를 통하여 정답에 해당하는 문자 또는 기호 이미지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문자 또는 기호 이미지와 사용자의 답변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판정한다.
이렇게 연산부(450)를 통하여 정답여부가 판정되면 제어부(420)는 출력부(440)를 통하여 그 정답여부에 대한 정보가 출력되도록 한다(S670).
한편, 사용자가가 정답을 맞춘 것으로 판정이 되면, 다음 난이도의 문자 정보를 이용한 학습게임을 진행하게 할 수 있을 것이고, 정답을 맞추지 못한 것으로 판정되면 제어부(420)는 사용자에게 주어진 미션이 실패되었음을 출력부(440)를 통해 표시하고, 그 보다 낮은 난이도의 이미지를 이용한 학습게임을 진행하게 하거나, 다른 문제로 구성된 동일한 난이도의 이미지를 이용한 학습게임이 진행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는 기호 이미지 교육 장치에 구비된 입력부(410)의 촬영기능을 이용하여, 기호 이미지가 구현되어 있는 설계 대상물을 촬영함으로써(S510), 설계 대상물의 촬영 이미지를 확보한다.
이렇게 확보된 설계 대상물의 촬영 이미지는 저장부(430)에 저장되며, 연산부(450)는 저장부(430)에 저장된 촬영 이미지로부터 기호 이미지를 추출하고(S520), 추출된기호 이미지로부터 해당 기호 이미지에 대응되는 문자 정보를 분석한다(S530). 한편, 연산부(450)에 의해 추출 및 분석된 기호 이미지 및 문자 정보는 저장부(430)에 저장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입력부(410)로 외부 설계 대상물로부터 표출되는 온도 정보를 촬영하는 적외선 카메라가 이용될 수 있으며, 확보된 설계 대상물의 열 영상 이미지는 저장부(430)에 저장되며, 연산부(450)는 저장부(430)에 저장된 열 영상 이미지로부터 기호 이미지를 추출하고(S520), 추출된 기호 이미지로부터 해당 기호 이미지에 대응되는 문자 정보를 분석할 수도 있을 것이다(S530).
이와 같이, 기호 이미지 교육 장치는 외부 설계 대상물로부터, 영상 이미지, 열 영상 이미지 이외에도, 주파수, 온도, 적외선, 자외선 등의 다양한 수단으로 기호 이미지가 표현되어 있는 외부 설계 대상물의 외부 정보를 확보함으로써, 전술한 S530 단계를 실행할 수도 있을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기호 이미지 교육 장치는 눈으로 보이지 않는 요소로 외부 설계 대상물에 표시된 기호 이미지 정보를 인지할 수 있는 별도의 감지 모듈(예를 들면, 적외선 감지 모듈, 자외선 감지 모듈, 열 감지 모듈, 신호 감지 모듈, 주파수 감지 모듈 등)이 구비되어 있어야 할 것이다.
연산부(450)가 설계 대상물의 외부 이미지 정보인 영상 정보로부터 기호 이미지를 추출함에 있어서는, 저장부(43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다양한 기호 이미지들을 설계 대상물의 촬영 이미지정보와 1:1로 대비하는 패턴 검색을 통해, 가장 높은 일치도를 보이는 기호 이미지를 선택하는 방법을 사용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아울러, 연산부(450)가 추출된 기호 이미지로부터 대응되는 문자 정보를 추출 및 분석함에 있어서는, 도 2에서의 각 문자로부터 기호 이미지를 생성하는 연산을 역으로 적용함으로써, 기호 이미지로부터 문자 정보를 전환 추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S530 단계에서 추출된 기호 이미지는 사용자의 교육을 위한 문제로서 출력부(44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게 된다(S540).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전술한 S540 단계에서 출력부(440)를 통해 사용자에게 문제로서 제공되는 기호 이미지는 전술한 S510 단계 내지 S530 단계에서와 같이 설계 대상물로부터 직접 추출한 기호 이미지일 수도 있지만, 저장부(430)에 미리 저장해놓은 복수의 기호 이미지 중에서 무작위적으로 선택된 기호 이미지일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사용자는 전술한 S540 단계에서 출력부(440)를 통해 제공된 기호 이미지가 의미하는 문자 정보를 추론하고, 그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문자 정보를 입력부(410)를 통해 입력한다(S550).
그에 따라, 기호 이미지 교육 장치의 연산부(450)는 사용자가 입력부(410)를 통해 입력한 문자 정보와 출력부(440)에 표시되어 있는 기호 이미지에 대응되는 문자 정보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고(S560), 양자가 일치하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주어진 미션이 성취되었음을 출력부(440)를 통해 표시하고(S570), 그 다음 난이도의 기호 이미지를 이용한 학습게임을 진행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입력부(410)를 통해 입력한 문자 정보와 출력부(440)에 표시되어 있는 기호 이미지에 대응되는 문자 정보가 불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연산부(450)는 사용자에게 주어진 미션이 실패되었음을 출력부(440)를 통해 표시하고(S570), 그 보다 낮은 난이도의 이미지를 이용한 학습게임을 진행하게 하거나, 다른 문제로 구성된 동일한 난이도의 이미지를 이용한 학습게임을 진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8)

  1. 기호 이미지 교육 장치가, 소정의 문자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에 관련된 문제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기호 이미지 교육 장치가, 상기 출력된 문제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상기 문제에 대한 답변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기호 이미지 교육 장치가,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답변이 상기 출력된 문제에 대한 정답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기호 이미지 교육 장치가,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답변이 정답인지 여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호 이미지는 상기 문자의 이미지상의 여백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소정 형상의 상징 이미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호 이미지 교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는 상기 기호 이미지를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기호 이미지에 대응되는 문자를 요구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호 이미지 교육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는 소정의 문자를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문자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의 입력을 요구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호 이미지 교육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는 부정확한 형태의 기호 이미지를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기호 이미지의 정확한 형태를 요구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호 이미지 교육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징 이미지는 소정 형상을 가진 점 이미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호 이미지 교육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호 이미지는 복수 개의 문자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가 하나의 동일한 공간에 오버래핑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호 이미지 교육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호 이미지는 상기 기호 이미지를 구성하는 상징 이미지가 동시에 한 화면에 출력되지 않고, 상기 상징 이미지 중 일부만 출력된 화면이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호 이미지 교육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되는 문제는 다른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호 이미지 교육 방법.
  9. 소정의 문자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에 관련된 문제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출력된 문제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상기 문제에 대한 답변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기호 이미지 교육 장치가,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답변이 상기 출력된 문제에 대한 정답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연산부; 및
    상기 문제가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의 답변이 입력되는 경우 정답여부를 판정하도록 하고, 정답여부에 대한 답변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호 이미지는 상기 문자의 이미지상의 여백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소정 형상의 상징 이미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호 이미지 교육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는 상기 기호 이미지를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기호 이미지에 대응되는 문자를 요구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호 이미지 교육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는 소정의 문자를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문자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의 입력을 요구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호 이미지 교육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는 부정확한 형태의 기호 이미지를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기호 이미지의 정확한 형태를 요구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호 이미지 교육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징 이미지는 소정 형상을 가진 점 이미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호 이미지 교육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호 이미지는 복수 개의 문자에 대응되는 기호 이미지가 하나의 동일한 공간에 오버래핑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호 이미지 교육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호 이미지는 상기 기호 이미지를 구성하는 상징 이미지가 동시에 한 화면에 출력되지 않고, 상기 상징 이미지 중 일부만 출력된 화면이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호 이미지 교육 장치.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되는 문제는 다른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호 이미지 교육 장치.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호 이미지 교육 장치는
    상기 출제되는 문제와 정답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호 이미지 교육 장치.
  18.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140086330A 2013-07-09 2014-07-09 기호 이미지 교육 장치 및 방법 KR201500068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0575 2013-07-09
KR20130080575 2013-07-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6806A true KR20150006806A (ko) 2015-01-19

Family

ID=52280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86330A KR20150006806A (ko) 2013-07-09 2014-07-09 기호 이미지 교육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60163213A1 (ko)
KR (1) KR20150006806A (ko)
WO (1) WO2015005682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79502C (zh) * 2000-06-13 2006-10-11 B·J·L·谭 教育设备
KR101085623B1 (ko) * 2009-03-20 2011-11-22 (주)아토미디어 인지과학 이론을 적용한 외국어 단어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169849B1 (ko) * 2009-12-30 2012-07-30 김성림 문자표시방법
WO2011129665A2 (ko) * 2010-04-16 2011-10-20 브레인보카주식회사 동영상을 이용한 언어 학습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42160B1 (ko) * 2011-10-13 2013-12-18 최병찬 단계별 힌트 제공을 이용한 학습 방법 및 학습 시스템
EP2804112A4 (en) * 2012-01-09 2015-11-25 Jungha Ryu CHARACTER IMAGE EDITING METHOD IN CHARACTER IMAGE EDIT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HAVING PROGRAM RECORDED FOR EXECUTING THE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05682A1 (ko) 2015-01-15
US20160163213A1 (en) 2016-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23784A1 (en) Sequenced multi-meaning tactile symbols useable to produce synthetic plural word messages including words, phrases and sentences
KR101017598B1 (ko) 증강 현실을 이용한 한글 교습 시스템 및 한글 정보 제공 방법
US6140913A (en) Apparatus and method of assisting visually impaired persons to generate graphical data in a computer
US20050032026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ng tactile language with the visual alphanumeric characters
Costa et al. Accessible educational digital book on tablets for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JP2015036788A (ja) 外国語の発音学習装置
Bitter Braille in mathematics education
KR101080092B1 (ko) 외국어 단어 학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 장치
CN112204639A (zh) 用于进行新的训练的装置及程序
KR20150006806A (ko) 기호 이미지 교육 장치 및 방법
Ravi et al. Raspberry pi based smart reader for blind people
KR100973680B1 (ko) 학습수행이 게임형식으로 안내되는 아동학습용 매트를 이용한 학습시스템 및 방법
KR101845780B1 (ko) 기호 이미지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기호 이미지 검색용 서버
KR20140071178A (ko) 한글­알파벳 결합서체 구현 방법 및 그 장치
KR102078446B1 (ko) 시각장애인용 점자 교육 시스템 및 방법
Goncu et al. Generation of accessible graphics
TWM592580U (zh) 圖像式發音標示系統
KR102389954B1 (ko) 한글 학습 장치
Thompson et al. Louis Braille
JP4689389B2 (ja) 点字表示装置、点字表示方法、コンピュータを点字表示装置として機能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および当該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2112059B1 (ko) 청음 기반 중국어 발음 한글 표기 형성 방법, 청음 기반 중국어 발음 한글 표기 표시 방법 및 이것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 방법
JP2023122177A (ja) 点字学習ツール
Fadhlillah Optimizing Visually Impaired Ability To Read Tactile Pictogram Through Texture Design
US20160063886A1 (en) Color Reading and Language Teaching Method
Ardiansah et al. The Implementation of a Braille to Speech Prototype Application as a Self-study Tool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