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8578B1 - 웨빙 권취 장치 - Google Patents

웨빙 권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8578B1
KR101478578B1 KR20110050117A KR20110050117A KR101478578B1 KR 101478578 B1 KR101478578 B1 KR 101478578B1 KR 20110050117 A KR20110050117 A KR 20110050117A KR 20110050117 A KR20110050117 A KR 20110050117A KR 101478578 B1 KR101478578 B1 KR 1014785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apter
spool
opening
wall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050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1121A (ko
Inventor
타카시 오노
아키라 스미야시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10131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1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8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8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4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reducing belt tension during use under normal cond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25Details and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2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8Automatic re-sto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Buck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댑터(70)에 형성된 삽입구멍(82) 중, 나선형 스프링(74)의 가압력으로 스토퍼(100)의 삽입편(104)을 가압하는 측벽(84)은, 벽면이 어댑터(70)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직선(L1)에 대하여 평행하며, 게다가 가상직선(L1)상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측벽(84)의 벽면이 스토퍼(100)의 삽입편(104)을 가압하는 방향은, 측벽(84)과 측벽(86)이 대향하는 방향을 따르며, 이 방향에 대하여 어댑터(70)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기울지 않는다. 이로써, 측벽(84)의 벽면이 스토퍼(100)의 삽입편(104)에 부여하는 가압력이 삽입편(104)을 삽입구멍(82)으로부터 밀어내지 않고, 삽입구멍(82)으로의 삽입편(104)의 삽입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웨빙 권취 장치{WEBBING TAKE-UP DEVICE}
본 발명은, 탑승자의 신체를 구속하는 웨빙벨트를 나선형 스프링(spiral coil) 등의 가세수단(urging section)의 가압력(urging force)에 의해 권취(retract)하여 격납하기 위한 웨빙 권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본 실개평 3-76877호의 공보에 개시된 웨빙 권취 장치에서는, 어댑터(adapter)(특허문헌 1에서는 「축체(shaft body)」라고 칭하고 있다)의 플랜지부의 외주부로부터 케이스 측으로 세워 설치된 둘레벽에 절결부(cutout portion)가 형성되어 있고, 스토퍼(특허문헌 1에서는 「핀(pin)」이라고 칭하고 있다)의 네크(neck)가 절결부에 위치하면, 네크부 내측으로 둘레벽의 절결부에 있어서의 단부(end portion)가 들어간다. 이로써, 파워 스프링(power spring)의 가압력에 의한 어댑터의 회전이 규제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스토퍼의 네크부의 내측으로 둘레벽의 절결부에 있어서의 단부가 들어가 있기 때문에, 스토퍼를 빼낼 때에는, 스토퍼를 뽑아내는 힘으로 파워스프링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둘레벽의 절결부에 있어서의 단부를 인출방향(drawing-out-direction) 측으로 가압하고, 어댑터를 인출방향 측으로 회전시켜야 한다. 이 때문에, 스토퍼에 네크부를 형성하지 않고 스토퍼의 폭방향 양단을 직선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만, 이와 같이, 스토퍼의 폭방향 양단을 직선형상으로 하면, 어댑터로부터 받는 파워 스프링의 가압력이 스토퍼를 절결부로부터 밀어내도록 작용하는 경우가 있어, 스토퍼가 이동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고려하여, 가세수단의 가압력에 의한 스토퍼의 이동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는 웨빙 권취 장치를 얻는 것이 목적이다.
양태 1의 웨빙 권취 장치는,
길이가 긴 띠형상의 웨빙벨트의 길이방향 기저단(base end) 측이 걸림고정되고, 축둘레 한쪽의 권취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웨빙벨트를 길이방향 기저단 측으로부터 권취하여 격납하는 스풀(spool)과,
상기 스풀의 축방향 일단측에서 상기 스풀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스풀과 함께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어댑터와,
상기 어댑터의 외주부에 있어서 개구되는 개구를 가지고, 또한 상기 어댑터의 회전축 방향 및 상기 어댑터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상기 개구로의 방향의 양방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벽부를 가지는, 상기 어댑터에 형성된 삽입부(insertion portion)로서,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스토퍼가, 상기 벽부에 간섭함으로써 상기 어댑터의 회전이 규제되는 삽입부와,
일단이 상기 어댑터에 걸림고정되고, 상기 어댑터가 상기 권취방향과는 반대의 인출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가압력이 증가하며, 상기 가압력으로 상기 어댑터를 상기 권취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세수단,
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삽입부의 일방의 상기 벽부와 타방의 상기 벽부 사이의 중앙을, 상기 어댑터의 회전 중심과 상기 삽입부의 상기 개구를 통과하는 가상선보다도 상기 권취방향 측으로 오프셋시키고 있는 웨빙 권취 장치.
양태 1의 웨빙 권취 장치에서는, 스풀의 축방향 일단측에는 어댑터가 설치되어, 이 어댑터와 스풀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이로써, 스풀과 어댑터가 동축(同軸)적으로 일체 회전한다. 또한, 스풀의 일단측에 설치된 가세수단의 일단은 어댑터에 걸림고정되어, 웨빙벨트를 스풀로부터 인출함으로써, 스풀과 함께 어댑터가 인출방향으로 회전하면, 가세수단의 가압력이 증가한다. 가세수단은 이 가압력으로 어댑터를 권취방향으로 가압하고, 간접적으로 스풀을 권취방향으로 가압하여, 이 가압력으로 스풀이 권취방향으로 회전하면, 스풀에 웨빙벨트가 권취된다.
한편, 스풀과 어댑터를 연결할 때에는, 어댑터를 인출방향으로 회전시켜 가세수단에 권취방향의 가압력을 발생시켜 둔다. 이와 같이 가세수단에 가압력이 생긴 상태에서, 삽입부에 있어서의 어댑터의 외주부에서의 개구로부터 스토퍼가 삽입된다. 삽입부에는, 어댑터의 회전축 방향 및 어댑터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삽입부의 개구로의 방향의 양방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대향하는 벽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부에 삽입된 스토퍼는, 상기의 벽부 중, 적어도 인출방향 측에 위치하는 쪽에 간섭한다. 이로써, 가세수단의 가압력에 의한 어댑터의 권취방향으로의 회전이 규제되어, 가세수단에 가압력이 생긴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삽입부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벽부의 중앙은, 어댑터의 회전 중심과 삽입부의 개구를 통과하는 가상선보다도 권취방향 측으로 오프셋되어 있다. 이 때문에, 벽부의 중앙과 상기의 가상선이 일치하고 있는 구성과 비교하면, 어댑터에 권취방향으로의 회전력이 부여되었을 때에, 인출방향 측의 벽부가 스토퍼를 가압하는 가압력(pressing force)에 있어서 스토퍼를 삽입부의 바깥쪽으로 밀어내는 방향의 성분이 적어지거나, 또는 이러한 성분이 없어진다. 이로써, 가세수단의 가압력에 의해 스토퍼가 삽입부에 있어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양태 2의 웨빙 권취 장치는, 양태 1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에 있어서의 상기 벽부 중, 상기 인출방향 측에 위치하는 쪽을, 상기 가상선 상 또는 상기 가상선보다도 상기 권취방향 측으로 형성하고 있다.
양태 2의 웨빙 권취 장치에서는, 삽입부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벽부 중, 인출방향 측에 위치하는 쪽은, 어댑터의 회전 중심과 삽입부의 개구를 통과하는 가상선 상 또는 이 가상선보다도 권취방향 측으로 형성된다. 이 때문에, 어댑터에 권취방향으로의 회전력이 부여되었을 때에, 인출방향 측의 벽부가 스토퍼를 가압하는 가압력에 있어서 스토퍼를 삽입부의 바깥쪽으로 밀어내는 방향의 성분이 없어진다. 이로써, 가세수단의 가압력으로 스토퍼가 삽입부에 있어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양태 3의 웨빙 권취 장치는, 양태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벽부를 상기 가상선에 대하여 평행하게 형성하고 있다.
양태 3의 웨빙 권취 장치에서는, 삽입부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벽부는 어댑터의 회전 중심과 삽입부의 개구를 통과하는 가상선에 대하여 평행하게 형성된다. 그런데, 인출방향 측의 벽부가 스토퍼를 가압하는 가압력의 방향은 벽부의 형성 위치에 있어서의 어댑터의 회전 접선방향(tangential direction)이다. 따라서, 이러한 인출방향 측의 벽부가 상기의 가상선 측에 위치함으로써, 스토퍼를 삽입부의 바깥쪽으로 밀어내는 방향의 성분이 적어지거나, 또는 이러한 성분이 없어진다. 이로써, 가세수단의 가압력으로 스토퍼가 삽입부에 있어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양태 4의 웨빙 권취 장치는,
길이가 긴 띠형상의 웨빙벨트의 길이방향 기저단 측이 걸림고정되며, 축둘레 한쪽의 권취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웨빙벨트를 길이방향 기저단 측으로부터 권취하여 격납하는 스풀과,
상기 스풀의 축방향 일단측에서 상기 스풀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스풀과 함께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어댑터와,
상기 어댑터의 외주부(outer peripheral portion)에 있어서 개구되는 개구를 가지고, 또한 상기 어댑터의 회전축 방향 및 상기 어댑터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상기 개구로의 방향의 양방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벽부를 가진, 상기 어댑터에 형성된 삽입부로서,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스토퍼가, 상기 벽부에 간섭함으로써 상기 어댑터의 회전이 규제되는 삽입부와,
일단이 상기 어댑터에 걸림고정되며, 상기 어댑터가 상기 권취방향과는 반대의 인출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가압력이 증가하고, 상기 가압력으로 상기 어댑터를 상기 권취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세수단,
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삽입부의 일방의 상기 벽부와 타방의 상기 벽부 사이의 중앙을, 상기 어댑터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상기 삽입부의 상기 개구측으로, 상기 벽부의 적어도 일방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는 가상선보다도 상기 권취방향측으로 오프셋시키고 있는 웨빙 권취 장치.
양태 4의 웨빙 권취 장치에 있어서도, 상기 양태 1과 같은 작용, 효과를 가지며, 또한 양태 2 및/또는 3과 같은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양태에 있어서는,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삽입부로 삽입된 스토퍼가, 상기 벽부 중, 상기 인출방향 측에 위치하는 쪽에 간섭함으로써, 상기 어댑터의 상기 권취방향으로의 회전이 규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웨빙 권취 장치는, 가세수단의 가압력에 의한 스토퍼의 이동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웨빙 권취 장치의 스프링 커버(spring cover)의 개구 측으로부터 스프링 시트(spring seat) 및 어댑터를 바라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웨빙 권취 장치의 스프링 시트 및 어댑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에 관한 웨빙 권취 장치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에 관한 웨빙 권취 장치의 주요부와 종래 구조의 주요부를 비교하는 확대 단면도로, (A)가 제1의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B)는 종래 구조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웨빙 권취 장치의 주요부를 도 4를 참조해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구성>
도 3에는, 본 발명의 1 실시형태에 관한 웨빙 권취 장치(10)의 구성이 정면단면도에 의해 나타나 있다.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웨빙 권취 장치(10)는 프레임(12)을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12)은 각각의 두께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다리판(leg plates)(14, 16)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다리판(14, 16)의 차량 상방측의 단부는 배면판(back plate, 18)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프레임(12)은 전체적으로 배면판(18)로부터의 다리판(14, 16)의 연장방향을 향하여 개구된 오목(凹)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12)의 다리판(14)과 다리판(16)의 사이에는 스풀(20)이 설치되어 있다. 스풀(20)은 축방향이 다리판(14)과 다리판(16) 간의 대향 방향을 따른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스풀(20)에는 길이가 긴 띠형상으로 형성된 웨빙벨트(22)의 길이방향 기저단 측이 걸림고정되어 있고, 스풀(20)이 그 중심축선(도 3의 일점쇄선(C1)) 둘레의 한쪽인 권취방향으로 회전하면, 웨빙벨트(22)가 그 기저단 측으로부터 스풀(20)로 권취되어 격납되며, 웨빙벨트(22)를 그 선단측으로 잡아당기면 스풀(20)에 권취되어 있는 웨빙벨트(22)가 인출되는 동시에 상기의 권취방향과는 반대의 인출방향으로 스풀(20)이 회전한다.
한편, 스풀(20)의 축방향 일단부(다리판(16) 측의 단부)에는 로킹베이스(lock base, 2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로킹베이스(24)는 스풀(20)에 대하여 동축의 원판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로킹베이스(24)에는 폴수용부(pawl-accommodating portion, 26)가 형성되어 있다. 폴수용부(26)는 적어도 로킹베이스(24)의 외주 일부에서 개구된 구멍부이며, 그 내측에는 로킹기구(lock mechanism, 28)를 구성하는 로킹폴(lock pawl , 30)이 수용되어 있다.
이 로킹폴(30)은 스풀(20)의 회전 반경방향을 따라 다리판(16)에 형성된 래칫구멍(ratchet hole, 32)의 내주(內周)부와 대향하고 있으며, 로킹폴(30)의 선단측이 폴수용부(26)로부터 빠져나오면, 로킹폴(30)에 형성된 로킹톱니(lock teeth)가 래칫구멍(32)의 래칫톱니(ratchet teeth)에 맞물린다. 이와 같이 로킹폴(30)의 로킹톱니가 래칫구멍(32)의 래칫톱니에 맞물림으로써 로킹베이스(24)의 인출방향으로의 회전, 나아가서는 스풀(20)의 인출방향으로의 회전이 규제된다.
한편, 다리판(16)의 외측(다리판(16)의 다리판(14)과는 반대측)에서는 하우징(34)이 다리판(16)에 부착되어 있다. 하우징(34)은 다리판(16) 측을 향해 개구된 박스형상 또는 바닥이 있는 튜브형상(tubular shape with bottom)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하우징(34) 내측에는, 차량이 감속했을 때의 가속도가 소정의 크기 이상인 경우에 작동하는 소위 「VSIR 기구」나 스풀(20)의 인출방향으로의 회전 가속도가 소정의 크기 이상인 경우에 작동하는 소위 「WSIR 기구」등을 구성하는 각종 부품이 수용되어 있다.
또한, 이 하우징(34)에는 스풀(20)에 대하여 동축적으로 로킹베이스(24)로부터 돌출형성된 축부가 들어가 있으며, 축부의 선단이 스풀(20)의 중심축선(도 3의 일점쇄선(C1)) 둘레로 회전가능하게 하우징(34)에 지지되어 있다.
한편, 스풀(20)의 축방향 타단(다리판(14) 측의 단부)으로부터는 스풀(20)의 회전 반경방향 바깥쪽을 향하여 플랜지부(42)가 연장되어 있다. 플랜지부(42)는, 스풀(20)에 대하여 동축의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플랜지부(42)가 형성된 스풀(20)의 축방향 타단으로부터는 또한 축부(44)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 축부(44)의 선단측은 다리판(14)에 형성된 관통구멍(46)을 관통하여 다리판(14)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다리판(14)의 외측(다리판(14)의 다리판(16)과는 반대측)에서는 다리판(14)에 스프링 커버(52)가 부착되어 있다. 스프링 커버(52)는 다리판(14) 측을 향해 개구된 박스형상 또는 바닥이 있는 튜브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개구 단부는 스프링 시트(54)에 의해 폐지(閉止)되어 있다. 스프링 시트(54)는 두께 방향이 스풀(20)의 축방향을 따른 베이스부(56)를 구비하고 있다. 이 베이스부(56)의 외주부로부터는 스풀(20) 측을 향해 둘레벽(58)이 연장되어 있다. 이 둘레벽(58)의 외주형상은, 스프링 커버(52)의 내주형상에 대응하고 있어, 둘레벽(58)이 스프링 커버(52)의 내측으로 끼워져 들어감으로써 스프링 커버(52)의 개구 단부가 폐지된다.
또한, 베이스부(56)에는 스풀(20)에 대하여 동축의 원형구멍(circular hole, 60)이 형성되어 있다. 이 원형구멍(60)의 주변가장자리((peripheral edge)로부터는 내주형상이 원형구멍(60)의 내주형상과 같은 원통형상의 보스(boss, 62)가 스풀(20) 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이 스프링 시트(54)와 스프링 커버(52)의 바닥부와의 사이에는 어댑터(70)가 배치되어 있다. 어댑터(70)는, 스프링 걸림고정부(spring-engagement(spring-catching) portion, 72)를 구비하고 있다. 스프링 걸림고정부(72)는 스풀(20)에 대하여 동축의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스프링 커버(52)에 의해 스풀(20)에 대하여 동축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스프링 걸림고정부(72)의 외측에는 가세수단으로서의 나선형 스프링(74)이 설치되어 있다. 나선형 스프링(74)은, 나선방향 외측 단부가 스프링 커버(52)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고정편(76)(catching piece)에 걸림고정되어 있는 동시에, 나선방향 내측 단부가 스프링 걸림고정부(72)에 걸림고정되어 있다. 나선형 스프링(74)은 어댑터(70)가 인출방향으로 회전하면 감아조일 수 있으며(wound up), 이로써 어댑터(70)를 권취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력이 증가한다.
스프링 걸림고정부(72)의 스풀(20) 측의 단부에는 축끼움삽입부(shaft fit-insertion portion, 78)가 형성되어 있다. 축끼움삽입부(78)는 외부직경 치수가 스프링 걸림고정부(72)보다도 작은 직경의 원기둥형상으로, 스프링 걸림고정부(72)에 대하여 동축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축끼움삽입부(78)에는 끼움삽입구멍(80)이 형성되어 있다. 끼움삽입구멍(80)은 내주 형상이 비(非)원형으로 되어 있고, 축끼움삽입부(78)에 있어서의 스프링 걸림고정부(72)와는 반대측의 면에서 개구되어 있다. 상기의 축부(44)의 적어도 선단측은 끼움삽입구멍(80)에 끼움삽입가능한 비원형으로 되어 있으며, 축부(44)의 선단측이 끼움삽입구멍(80)에 삽입됨으로써 스풀(20)과 어댑터(70)가 상대회전이 불가능하게 연결된다.
한편,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댑터(70)의 축끼움삽입부(78)에는 삽입부로서의 삽입구멍(82)이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구멍(82)은 축끼움삽입부(78)의 외주부에서 개구된 직사각형의 구멍으로 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구멍(82)은 어댑터(70)의 축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측벽(84, 86)을 구비하고 있다.
측벽(84, 86) 중, 상대적으로 인출방향 측에 위치하는 측벽(84)의 벽면은, 어댑터(70)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직선(L1)에 대하여 평행하며, 게다가 가상직선(L1) 상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측벽(84, 86) 중, 상대적으로 권취방향 측에 위치하는 측벽(86)은 벽면이 상기의 가상직선(L1)과 평행하지만, 당연히 측벽(86)은 가상직선(L1)보다도 권취방향 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측벽(84)과 측벽(86) 사이의 중앙(중심선)은, 가상직선(L1)보다도 권취방향 측으로 오프셋되어 있다.
또한, 가상직선(L1)은 어댑터(70)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삽입구멍(82)의 개구 측으로, 적어도 측벽(84)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구멍(82)에 대응하여, 스프링 시트(54)의 베이스부(56)에는 스토퍼 유지홈(92)이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 유지홈(92)은 길이방향이 보스(62)를 중심으로 하는 반경방향을 따른 홈으로, 베이스부(56)의 스풀(20)측의 면에서 개구되어 있다. 이 스토퍼 유지홈(92)에 있어서의 베이스부(56)의 외주부 측의 단부에 대응하여 둘레벽(58)에는 컷아웃(cutout, 93)이 형성되어 있고, 스토퍼 유지홈(92)은 스프링 시트(54)의 외주부에서도 개구되어 있다.
또한, 스토퍼 유지홈(92)의 보스(62) 측의 단부는, 보스(62)에 형성된 관통구멍(94)에 연결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통구멍(94)은 삽입구멍(82)과 마찬가지인 직사각형의 구멍으로, 보스(62)의 내주부 및 외주부의 양방에서 개구되어 있다. 이 관통구멍(94)은 어댑터(70)의 축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측벽(96, 98)을 구비하고 있다.
도 1 및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벽(96, 98) 중, 상대적으로 인출방향 측에 위치하는 측벽(96)의 벽면은, 어댑터(70)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직선(L1)에 대하여 평행하며, 게다가 가상직선(L1) 상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측벽(96, 98) 중, 상대적으로 권취방향 측에 위치하는 측벽(98)은 벽면이 상기의 가상직선(L1)과 평행하지만, 당연히 측벽(98)은 가상직선(L1)보다도 권취방향 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측벽(96)과 측벽(98) 사이의 중앙은, 삽입구멍(82)의 측벽(84, 86)과 마찬가지로 가상직선(L1)보다도 권취방향 측으로 오프셋되어 있다.
상기의 스토퍼 유지홈(92)에는 스토퍼(100)의 베이스부(102)가 끼워져 들어간다. 베이스부(102)는 폭치수(width dimension)가 스토퍼 유지홈(92)의 내부 폭치수와 거의 동일한 직사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길이방향 선단으로부터는 삽입편(104)이 연장되어 있다. 삽입편(104)은 폭치수가 관통구멍(94)의 측벽(96)과 측벽(98)간의 간격 및 삽입구멍(82)의 측벽(84)과 측벽(86)간의 간격과 동일하며, 베이스부(102)가 스토퍼 유지홈(92)에 끼워 넣어진 상태로 관통구멍(94)을 관통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베이스부(102)로부터의 삽입편(104)의 연장 치수는, 관통구멍(94)의 길이(보스(62)의 외주부에 있어서의 관통구멍(94)의 단부로부터 보스(62)의 내주부에 있어서의 관통구멍(94)의 단부까지의 길이)보다도 길고, 관통구멍(94)과 삽입구멍(82)이 연통된 상태에서는, 보스(62)의 내주부에 있어서의 관통구멍(94)의 단부로부터 돌출한 삽입편(104)이 삽입구멍(82)에 들어간다.
<본 실시형태의 작용, 효과>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웨빙 권취 장치(10)에서는, 어댑터(70)와 스풀(20)의 축부(44)를 연결할 때는, 스프링 커버(52), 어댑터(70), 나선형 스프링(74), 및 스프링 시트(54)가 미리 조립된다. 스프링 커버(52)에 어댑터(70), 나선형 스프링(74), 및 스프링 시트(54)가 조립되면, 어댑터(70)가 인출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나선형 스프링(74)에 권취방향으로의 가압력을 발생시킨다. 이 상태에서는, 스프링 시트(54)의 컷아웃(93)으로부터 스토퍼 유지홈(92)으로 스토퍼(100)가 들어가고, 스토퍼(100)의 베이스부(102)가 스토퍼 유지홈(92)으로 끼워져 들어가면, 베이스부(102)를 스토퍼 유지홈(92)으로 안내시켜 보스(62) 측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스토퍼(100)를 보스(62) 측으로 이동시키면, 삽입편(104)이 관통구멍(94)에 들어간다. 이 상태에서, 나선형 스프링(74)의 가압력을 유지한 채 관통구멍(94)과 삽입구멍(82)이 대향하게 되며, 관통구멍(94)을 통과한 삽입편(104)이 삽입구멍(82)에 들어간다. 이 상태에서, 나선형 스프링(74)의 가압력으로 어댑터(70)가 권취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면, 스토퍼(100)의 삽입편(104)이 삽입구멍(82)의 측벽(84)에 간섭한다. 이로써, 어댑터(70)의 권취방향으로의 회전이 규제되며, 나선형 스프링(74)에 의해 발생된 가압력이 유지된 채 어댑터(70)가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스풀(20)의 축부(44)가 어댑터(70)에 연결된다.
여기서, 도 4의 (A)에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웨빙 권취 장치(10)에 있어서의 어댑터(70)의 삽입구멍(82)과 그 근방부분의 확대 단면도가 나타나 있으며, 도 4의 (B)에는, 도 4의 (A)에 대응한 종래 구조의 도면이 나타나 있다. 한편, 도 4(B)는 종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지만, 부호가 편의상, 본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 구조의 경우, 삽입구멍(82)의 폭방향 중앙을 상기의 가상직선(L1)이 통과한다. 이 때문에, 삽입편(104)에 대하여 인출방향 측으로부터 접촉하는 측벽(84)은 가상직선(L1)보다도 인출방향 측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삽입편(104)과 측벽(84)간의 접촉 위치와 어댑터(70)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도 4B의 비스듬한 일점쇄선)은 가상직선(L1)에 대하여 각도 θ만큼 기울어져 있다.
여기서, 나선형 스프링(74)의 가압력으로 측벽(84)의 벽면이 삽입편(104)을 가압하는 가압력(pressing force, F)의 방향은, 측벽(84)과 삽입편(104)간의 접촉 위치에 있어서의 접선방향이 된다. 이 때문에, 이러한 종래 구조의 경우, 가압력(F)의 방향은, 측벽(84)의 벽면의 방향에 대하여 상기의 각도 θ만큼 어댑터(70)의 회전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기운다. 이와 같이, 가압력(F)이 측벽(84)의 벽면의 방향에 대하여 어댑터(70)의 회전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기울어짐으로써, 이러한 가압력(F)은 삽입편(104)을 삽입구멍(82)으로부터 밀어내려고 한다.
이에 대하여,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웨빙 권취 장치(10)에서는, 측벽(84)과 측벽(86) 사이의 중앙이 가상직선(L1)보다도 권취방향측으로 오프셋되며, 측벽(84, 86) 중, 상대적으로 인출방향 측에 위치하는 측벽(84)의 벽면이 가상직선(L1) 상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나선형 스프링(74)의 가압력으로 측벽(84)의 벽면이 삽입편(104)을 가압하는 가압력(F)의 방향은, 측벽(84)과 삽입편(104)간의 접촉 위치에 있어서의 접선방향이 되지만, 측벽(84)의 벽면과 삽입편(104)간의 접촉 위치가 가상직선(L1) 상에 위치하고 있음으로써, 가압력(F)의 방향은 가상직선(L1)에 대하여 직교하고, 가압력(F)의 방향이 어댑터(70)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기울지 않는다.
이로써, 측벽(84)의 벽면이 스토퍼(100)의 삽입편(104)에 부여하는 가압력이 삽입편(104)을 삽입구멍(82)으로부터 밀어내지 않고, 삽입구멍(82)으로의 삽입편(104)의 삽입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측벽(84)의 벽면이 가상직선(L1) 상에 위치하도록 삽입구멍(82)을 형성했지만, 측벽(84)의 벽면이 가상직선(L1)과 평행한 상태로 측벽(84)과 측벽(86) 사이의 중앙(중심선(C))이 가상직선(L1)보다도 권취방향 측으로 오프셋되어 있으면, 측벽(84)의 벽면과 가상직선(L1)이 일치하지 않아도 좋다. 즉, 측벽(84)의 벽면이 가상직선(L1)과 평행한 상태로 측벽(84)과 측벽(86) 사이의 중앙과, 측벽(84)과의 사이를 가상직선(L1)이 통과하도록 삽입구멍(82)을 형성해도 좋고(도 5A), 측벽(84)의 벽면이 가상직선(L1)과 평행한 상태로 가상직선(L1)이 삽입구멍(82)보다도 인출방향 측을 통과하도록 삽입구멍(82)을 형성해도 좋다(도 5B).

Claims (10)

  1. 길이가 긴 띠형상의 웨빙벨트의 길이방향 기저단 측이 걸림고정되며, 축둘레 한쪽의 권취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웨빙벨트를 길이방향 기저단 측으로부터 권취하여 격납하는 스풀과,
    상기 스풀의 축방향 일단측에서 상기 스풀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스풀과 함께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어댑터와,
    상기 어댑터의 외주부에 있어서 개구되는 개구를 가지고, 또한 상기 어댑터의 회전축 방향 및 상기 어댑터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상기 개구로의 방향의 양방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벽부를 가진, 상기 어댑터에 형성된 삽입부로서,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스토퍼가, 상기 벽부에 간섭함으로써 상기 어댑터의 회전이 규제되는 삽입부와,
    일단이 상기 어댑터에 걸림고정되고, 상기 어댑터가 상기 권취방향과는 반대의 인출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가압력이 증가하며, 상기 가압력으로 상기 어댑터를 상기 권취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세수단,
    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삽입부의 일방의 상기 벽부와 타방의 상기 벽부 사이의 중앙을, 상기 어댑터의 회전 중심과 상기 삽입부의 상기 개구를 통과하는 가상선보다도 상기 권취방향 측으로 오프셋시키고 있는 웨빙 권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에 있어서의 상기 벽부 중, 상기 인출방향 측에 위치하는 쪽을, 상기 가상선 상 또는 상기 가상선보다도 상기 권취방향 측으로 형성한 웨빙 권취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를 상기 가상선에 대하여 평행하게 형성한 웨빙 권취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를 상기 가상선에 대하여 평행하게 형성한 웨빙 권취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스토퍼가, 상기 벽부 중, 상기 인출방향 측에 위치하는 쪽(84)에 간섭함으로써, 상기 어댑터의 상기 권취방향으로의 회전이 규제되는, 웨빙 권취 장치.
  6. 길이가 긴 띠형상의 웨빙벨트의 길이방향 기저단 측이 걸림고정되며, 축둘레 한쪽의 권취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웨빙벨트를 길이방향 기저단 측으로부터 권취하여 격납하는 스풀과,
    상기 스풀의 축방향 일단측에서 상기 스풀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스풀과 함께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어댑터와,
    상기 어댑터의 외주부에 있어서 개구되는 개구를 가지고, 또한 상기 어댑터의 회전축 방향 및 상기 어댑터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상기 개구로의 방향의 양방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벽부를 가진, 상기 어댑터에 형성된 삽입부로서,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스토퍼가, 상기 벽부에 간섭함으로써 상기 어댑터의 회전이 규제되는 삽입부와,
    일단이 상기 어댑터에 걸림고정되며, 상기 어댑터가 상기 권취방향과는 반대의 인출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가압력이 증가하고, 상기 가압력으로 상기 어댑터를 상기 권취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세수단
    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삽입부의 일방의 상기 벽부와 타방의 상기 벽부 사이의 중앙을, 상기 어댑터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상기 삽입부의 상기 개구측으로, 상기 벽부의 적어도 일방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하는 가상선보다도 상기 권취방향 측으로 오프셋시키고 있는 웨빙 권취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에 있어서의 상기 벽부 중, 상기 인출방향 측에 위치하는 쪽을, 상기 가상선 상 또는 상기 가상선보다도 상기 권취방향 측으로 형성한 웨빙 권취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를 상기 가상선에 대하여 평행하게 형성한 웨빙 권취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를 상기 가상선에 대하여 평행하게 형성한 웨빙 권취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스토퍼가, 상기 벽부 중, 상기 인출방향측에 위치하는 쪽(84)에 간섭함으로써, 상기 어댑터의 상기 권취방향으로의 회전이 규제되는, 웨빙 권취 장치.
KR20110050117A 2010-05-28 2011-05-26 웨빙 권취 장치 KR1014785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23408 2010-05-28
JP2010123408A JP5539031B2 (ja) 2010-05-28 2010-05-28 ウエビング巻取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1121A KR20110131121A (ko) 2011-12-06
KR101478578B1 true KR101478578B1 (ko) 2015-01-02

Family

ID=44484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050117A KR101478578B1 (ko) 2010-05-28 2011-05-26 웨빙 권취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550394B2 (ko)
EP (1) EP2390149B1 (ko)
JP (1) JP5539031B2 (ko)
KR (1) KR101478578B1 (ko)
CN (1) CN10231083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84563B2 (ja) * 2012-09-24 2015-09-2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ェビング巻取装置
CN104057912A (zh) * 2013-03-21 2014-09-24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安全带卷收装置、安全带装置和车辆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2512Y2 (ja) * 1989-11-30 1996-06-26 富士オートリブ株式会社 予巻きしたゼンマイばね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014283B (it) * 1974-06-04 1977-04-20 Fiat Spa Dissipatore di energia per cinture di sicurezza di autoveicoli
US4385736A (en) * 1980-03-26 1983-05-31 Fuji Kiko Kabushiki Kaisha Retractor for seat belt
DE3018006A1 (de) 1980-05-10 1981-11-12 Hoechst Ag, 6000 Frankfurt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igmenten der perylen-3,4,9,10-tetracarbonsaeurediimidreihe und ihre verwendung
JPS6135063U (ja) * 1984-08-06 1986-03-0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用巻取軸
JPH02140042U (ko) * 1989-04-26 1990-11-22
JPH08133010A (ja) * 1994-11-10 1996-05-28 Nippon Seiko Kk シートベルト巻取装置
JP2001163180A (ja) * 1999-12-09 2001-06-19 Suncall Corp 渦巻きばねの外端側固定端の固定構造
JP3076877U (ja) 2000-10-10 2001-04-20 株式会社カネサン製作所 ホースバンド
CN2797139Y (zh) * 2005-05-23 2006-07-19 张学栋 汽车安全带松紧控制器
JP2007176343A (ja) * 2005-12-28 2007-07-12 Takata Corp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およ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装置
CN100445140C (zh) * 2006-12-16 2008-12-24 张学栋 汽车安全带的防回拉控制装置
JP5098967B2 (ja) 2008-11-20 2012-12-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燃料電池発電装置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2512Y2 (ja) * 1989-11-30 1996-06-26 富士オートリブ株式会社 予巻きしたゼンマイばね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539031B2 (ja) 2014-07-02
EP2390149B1 (en) 2013-09-11
US20110290928A1 (en) 2011-12-01
US8550394B2 (en) 2013-10-08
CN102310838A (zh) 2012-01-11
KR20110131121A (ko) 2011-12-06
EP2390149A3 (en) 2012-06-06
CN102310838B (zh) 2013-07-03
JP2011246071A (ja) 2011-12-08
EP2390149A2 (en) 201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18249B2 (en) Webbing winder
JP4917395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4627229B2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ー
US9212023B2 (en) Webbing take-up device
EP2390148B1 (en) Webbing retractor
JP5753736B2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JP5784563B2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2011116284A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KR101478578B1 (ko) 웨빙 권취 장치
JP5384438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KR101485039B1 (ko) 웨빙권취장치
US9212024B2 (en) Webbing retractor
KR101485924B1 (ko)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JP2000302010A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5714624B2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2014129032A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JP6151966B2 (ja) シート巻取装置の取付部構造
JP4118667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5518685B2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5448891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2016124437A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2015140079A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2012051516A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2009269562A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