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4271B1 - 휴대용 클리너 - Google Patents

휴대용 클리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4271B1
KR101474271B1 KR1020140027449A KR20140027449A KR101474271B1 KR 101474271 B1 KR101474271 B1 KR 101474271B1 KR 1020140027449 A KR1020140027449 A KR 1020140027449A KR 20140027449 A KR20140027449 A KR 20140027449A KR 101474271 B1 KR101474271 B1 KR 101474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case
adhesive sheet
rear case
front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7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이균
정재영
Original Assignee
김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달원 filed Critical 김달원
Priority to KR1020140027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42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4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4271B1/ko
Priority to PCT/KR2015/001761 priority patent/WO2015133756A1/ko
Priority to US15/124,327 priority patent/US20170027414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0Domestic clean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L25/005Domestic clean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sing adhesive or tacky surfaces to remove dirt, e.g. lint rem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0Domestic clean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L25/08Pads or the like for cleaning clothe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머니 또는 가방 속에 넣고 다닐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되어 옷이나 주변에 묻는 먼지 등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먼지 등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점착 시트는 물로 세척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클리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클리너의 구성은 사용자의 손으로 쥘 수 있는 크기를 갖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전면에 부착되는 겔 타입의 점착 시트; 사용하지 않을 때에 상기 점착 시트의 표면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된 전방 케이스; 전방 케이스의 한쪽에서 연장 형성되어 베이스의 후면에 고정 접착이 되되 베이스에 대한 접착점은 베이스의 배면 측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간격을 두고 형성된 후방 케이스; 및 점착 시트에 달라붙지 않는 재질로 점착 시트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전방 케이스의 안쪽면에 부착되는 부착방지 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클리너{Portable cleaner}
본 발명은 주머니 또는 가방 속에 넣고 다닐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되어 옷이나 주변에 묻는 먼지 등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먼지 등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점착 시트는 물로 세척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클리너에 관한 것이다.
일상 생활 속에서 발생하게 되는 먼지,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은 미관을 해칠 뿐 아니라 위생에도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이물질의 발생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는 없기 때문에 먼지 등 오염이 발생한 경우에는 깨끗하게 청소하는 것이 최선일 것이다.
이에 비, 걸레, 진공청소기 등과 같은 전통적인 청소용품 이외에도 최근에는 스팀청소기, 부직포 청소도구, 롤 클리너 등과 같은 다양한 청소용품 등이 개발 및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일부의 경우에는 생활용품 중의 하나인 롤 타입의 접착테이프의 접착력을 이용하여 바닥이나 의류 등에 묻어 있는 먼지나 머리카락을 제거하는 경우도 있었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10-1101228호의 "폴리머젤을 이용한 롤 형 클리너",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63212호의 "전면에 돌기부가 부착된 클리너" 등은 롤 타입의 접착테이프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모습에서 착안하여 개발된 제품일 것이다.
그러나 앞에서 언급된 대부분의 청소용품들은 주머니 속이나 가방 속에 넣어 휴대하기에는 그 크기가 크기 때문에 휴대하기에는 부적절하다.
한편, 주머니 속이나 가방 속에 넣고 휴대하면서 의류 등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10-2004-0058580호 "먼지제거기", 대한민국특허청 실용신안공보 실1993-0007487호 "휴대형 먼지 소제구",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24293호 "테이프형 청소장치",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48580호 "휴대용 먼지 제거 테이프",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19405호 "보풀제거용 점착시트를 갖는 제품 테그", 대한민국특허청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1-0002697호 "광고판촉물로 제공되는 명함식 먼지제거구" 등과 같은 다양한 휴대용 청소용품들의 개발이 시도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위에서 언급한 휴대가능한 청소용품들 중의 대부분은 1회용으로 만들어진 단점이 있었다. 다만, 대한민국특허청 실용신안공보 실1993-0008229호 "휴대형 먼지 소제구"의 경우에는 복수 회의 사용이 가능토록 물에 씻더라도 점성이 유지되는 점착성 고무를 사용하였기는 하였으나 고정판에 점착성 고무를 일정한 두께로 도포하는 제작 공정이 까다롭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점착성 고무를 덮어 두기 위한 덮개가 힌지로써 결합이 된 구조로써 사용이 불편한 점이 있었다.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10-2004-0058580호 대한민국특허청 실용신안공보 실1993-0007487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24293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48580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19405호 대한민국특허청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1-0002697호
본 발명은 사용자의 주머니 속이나 가방 속에 넣어 휴대하기가 편리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의복 등 주변에 묻은 이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이물질이 묻은 점착부분을 물로 씻어 여러 번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클리너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클리너의 구성은 사용자의 손으로 쥘 수 있는 크기를 갖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전면에 부착되는 점착 시트; 사용하지 않을 때에 상기 점착 시트의 표면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된 전방 케이스; 전방 케이스의 한쪽에서 연장 형성되어 베이스의 후면에 고정 접착이 되되 베이스에 대한 접착점은 베이스의 배면 측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간격을 두고 형성된 후방 케이스; 및 점착 시트에 달라붙지 않는 재질로 점착 시트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전방 케이스의 안쪽면에 부착되는 부착방지 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클리너에서 베이스와 점착 시트가 적층 된 상태의 두께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 접는 부분을 매개로 전방 케이스와 후방 케이스가 일체를 이루도록 전방 케이스와 후방 케이스는 동일한 원단으로 외곽이 재단되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클리너의 베이스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연질 PVC로 형성되되, 그 바깥쪽 표면은 실크 인쇄 공정을 통해서 색상을 띄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클리너에서 부착방지 부재는 점착 시트에 접하는 표면이 실리콘 코팅된 이형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클리너에서 부착방지 부재는 반사면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클리너는 사용자의 주머니 속이나 가방 속에 넣을 수 있는 작은 크기와 가벼운 무게로 형성되며 휴대가 간편하기 때문에 외출시 의복이나 사용자 주변에 묻은 먼지 등 이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클리너의 점착 시트는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짐으로써 먼지 등 이물질로 오염된 부분을 물에 씻어 재사용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클리너의 사시도
도 2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클리너의 측면도 및 펼친 상태의 측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클리너를 펼친 상태의 정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클리너를 펼친 상태의 배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클리너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클리너에 대해서 몇 실시 예를 보인 도면들을 참고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 중에 표시되는 도면부호 100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클리너를 지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클리너(100)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은 상태로 사용자의 주머니 속 또는 가방 속에 넣고 다닐 수 있는 크기로 작고 가볍게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클리너(100)는 사용자가 쉽게 휴대하고 다니면서 사용자의 의복이나 주변에 묻은 먼지나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을 겔(gel) 타입 점착 시트(120)의 점착력을 이용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사용시에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케이스(140)에 대해 전방 케이스(130)를 펼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전방 케이스(130)와 후방 케이스(140)는 일체로 형성된 케이스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클리너(100)에 사용되는 점착 시트 원단은 소정의 면적과 두께를 갖으며 판 또는 롤의 형태로 시중에 공급되는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점착 시트 원단은 그 표면이 이물질로 오염될 경우에 물로 씻어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실리콘 계열의 점착 시트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폴리우레탄 계열의 점착 시트가 폴리실리콘 계열의 점착 시트에 비하여 오염된 표면을 물에 씻어 재사용하는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유리할 것이다.
전술한 점착 시트 원단은 별도의 재단 공정에서 원형 또는 네 모서리가 둥글게 라운딩 된 사각의 형상으로 재단이 되고, 이렇게 재단된 점착 시트(120)는 접착제 등을 매개로 베이스(110) 상에 부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클리너(100)의 베이스(110)는 원형 또는 네 모서리가 둥글게 라운딩 된 사각형의 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110)는 0.5~2mm의 두께를 갖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연질 PVC 판으로 형성되고, 점착 시트(120)가 부착되지 않는 바깥쪽 표면은 실크 인쇄 공정 등을 통해서 색상을 띈 구조로 이루어진다. 실크 인쇄 공정에서 바깥쪽 표면에는 상표나 광고문구가 인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클리너(100)의 제작공정 중에서 베이스(100)를 재단하는 단계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투명 또는 반투명의 판형이며 한쪽면에는 색상이 인쇄된 연질 PVC 원단을 사람의 손으로 쥘 수 있는 크기와 네 모서리가 라운딩된 형태로 재단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클리너(100)를 사용자가 사용을 하지 않을 때에는 상시 점착력을 지닌 겔 타입의 점착 시트(120)의 표면에 다른 소지품이나 원하지 않는 물질이 붙지 않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전방 케이스(130)가 마련된다.
전방 케이스(130)는 베이스(110)에 대응하는 크기 또는 적어도 점착 시트(120)를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전방 케이스(130)는 프레스 금형 가공을 통해서 그 외형이 형성되는데, 이때 사용되는 원단으로는 PVC, DS, 인조피혁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전방 케이스(130)가 베이스(110)에 대해서 고정 장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휴대용 클리너(100)의 사용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하는 후방 케이스(140)가 접는 부분(150)을 매개로 전방 케이스(130)와 일체로 형성된다. 즉, 전방 케이스(130)와 후방 케이스(140)는 프레스 금형을 이용한 재단 공정을 통해서 동일한 원단으로 일체로 형성된다. 접는 부분(150)을 중심으로 전방 케이스(130)와 후방 케이스(140)를 접었을 경우에, 전방 케이스(140)와 후방 케이스(140)는 상호 겹쳐질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후방 케이스(140)는 전방 케이스(130)에 비하여 작은 사이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는 부분(150)을 기준으로, 전방 케이스(130)와 후방 케이스(140)의 폭(w)은 동일하게 형성되는 한편 후방 케이스(130)의 길이(d)는 전방 케이스(130)의 길이(D)에 비하여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전방 케이스(130)와 후방 케이스(140)가 일체를 이루도록 케이스를 제작하는 프레스 금형 공정에서는 전방 케이스(130) 또는 후방 케이스(140)의 바깥 표면에 상호 또는 광고문구가 음각 또는 양각으로 새겨지게 하는 공정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클리너(100)를 제작하는 과정 중에서 케이스를 재단하는 단계에서는 베이스(100)의 크기에 대응하는 전방 케이스(130) 부분과 베이스(100)의 뒤쪽에 고정 접착되기 위한 후방 케이스(140) 부분이 형성되도록 하고, 전방 케이스(130) 부분과 후방 케이스(140) 부분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케이스(130) 및 후방 케이스(140)의 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갖는 접는부분(150)을 매개로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케이스를 제작하기 위한 원단은 PVC, DS 또는 인조피혁 중 어느 한 재질로 된 판형의 원단이 사용되고, 프레스 가공을 통해 원단을 재단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작된 후방 케이스(140)에 베이스(110)를 조립하는 과정에서는, 베이스(110)와 후방 케이스(140)가 상호 마주하여 접촉하는 면 중에서 특정 부분만이 고주파 접착 또는 접착제를 통해서 접착된다. 즉,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접착점(200)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판 형상의 베이스(110)와 후방 케이스(140)가 접착 공정에서 간격을 두고 접착점(200)이 설정되고, 이 접착점(200) 사이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끼우게 되면 베이스(110)와 후방 케이스(140)의 재질 특성상 양쪽의 접착점(200) 위치가 가까워지면서 베이스(110)와 후방 케이스(140) 사이가 벌어지면서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클리너(100)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고주파 접착 단계를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베이스(110)의 뒤쪽에 후방 케이스(140)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고주파 접착을 통해서 베이스(110)와 후방 케이스(140)가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공정이다. 이때, 베이스(110)와 후방 케이스(140)는 상호 마주하는 면 전체가 접착되는 것이 아니라 접는부분(150)이 위치된 방향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간격을 두고 접착점(200)이 형성되도록 접착 공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휴대용 클리너(1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점착 시트(120)를 보호하기 위한 전방 케이스(130)의 안쪽 면에는 점착 시트(120)에 쉽게 달라붙지 않는 재질로 된 부착방지 부재(160)가 장착된다. 이 부착방지 부재(160)는 적어도 점착 시트(120)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거나 전방 케이스(130)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부착방지 부재(160)는 점착 시트에 접하게 되는 표면이 실리콘 코팅이 된 이형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부착방지 부재(160)는 금속 소재의 거울과 같은 반사면을 갖는 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각 부분은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 또는 고주파 접착과 같은 조립 공정을 통해서 조립된다.
연질 PVC 재질로 이루어진 베이스(110)와 PVC, DS, 인조피혁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후방 케이스(140)는 고주파 접착을 통해 조립이 된다.
그리고 베이스(110)의 표면에는 특정 크기로 재단된 점착 시트(120)가 부착되고, 전방 케이스(130)의 안쪽 표면에는 접착방지 부재(160)가 부착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클리너(100)를 제작하기 위한 공정 중에서 접착시트 결합 단계에서 베이스(110)와 케이스가 결합된 상태의 베이스(110) 전면에는 베이스(100)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된 점착 시트(120)를 결합시키게 되고, 부착방지부재 결합 단계에서는 전방 케이스(130)의 전면에 베이스(110)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된 부착방지부재(160)를 결합시키게 된다.
이후, 전방 케이스(130)와 후방 케이스(140) 사이에 마련되어 있는 접는 부분(150)을 기준으로 전방 케이스(130)와 후방 케이스(140)가 상호 겹치도록 접고, 접힌 상태에서 비닐 포장을 하여 상품으로 유통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휴대용 클리너(100)를 사용할 때에는 베이스(110)와 후방 케이스(140) 사이에 손가락을 끼운 상태에서 점착 시트(120)의 표면을 먼지나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로 오염된 의복 또는 주변에 접촉시킴으로써 의복 또는 주변에 묻은 이물질이 점착 시트(120)에 달라붙을 수 있게 한다.
특히, 점착 시트(120)는 물로 씻으면 먼지나 이물질이 표면으로부터 떨어지게 되고, 물기가 제거된 상태에서 점착 시트(120)의 점착력은 재생하게 됨으로써 재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클리너의 여러 실시 예를 설명하였다. 이러한 여러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 사상에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 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한정 해석해서는 아니 된다.
100 : 휴대용 클리너 110 : 베이스
120 : 점착 시트 130 : 전방 케이스
140 : 후방 케이스 150 : 접는 부분
160 : 부착방지 부재 200 : 접착점

Claims (5)

  1. 사용자의 손으로 쥘 수 있는 크기를 갖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전면에 부착되는 겔 타입의 점착 시트;
    상기 베이스에 대응하는 크기로 상기 점착 시트의 표면을 덮는 전방 케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뒤쪽에 고정 접착되는 후방 케이스로 형성되되, 상기 전방 케이스와 후방 케이스는 그 사이가 상기 전방 케이스와 후방 케이스의 폭에 비해 좁은 폭을 갖는 접는부분을 매개로 일체가 되도록 동일한 원단으로 형성되며, 상기 접는부분이 위치된 방향에서 사용자가 상기 베이스와 후방 케이스 사이로 손가락을 끼우는 것이 가능토록 상기 후방 케이스는 상기 베이스의 양쪽에 각각 형성된 접착점을 통해 고정 접착되는 케이스;
    상기 점착 시트에 달라붙지 않는 재질로 상기 점착 시트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전방 케이스의 안쪽 면에 부착되는 부착방지 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클리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연질 PVC로 형성되되, 그 바깥쪽 표면은 실크 인쇄 공정을 통해서 색상을 띄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클리너.
  3. 투명 또는 반투명의 판형이며 한쪽면에는 색상이 인쇄된 연질 PVC 원단을 사람의 손으로 쥘 수 있는 크기와 네 모서리가 라운딩된 형태로 베이스를 재단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의 크기에 대응하는 전방 케이스 부분과 상기 베이스의 뒤쪽에 고정 접착되기 위한 후방 케이스 부분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전방 케이스 부분과 후방 케이스 부분은 상기 전방 케이스 및 후방 케이스의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갖는 접는부분을 매개로 일체로 연결 형성되도록 하며, PVC, DS 또는 인조피혁 중 어느 한 재질로 된 판형의 원단을 프레스 가공하여 케이스를 재단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를 재단하는 단계를 통해 형성된 베이스의 뒤쪽에 상기 후방 케이스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접는부분이 위치된 방향을 통해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후방 케이스 사이로 사용자의 손가락을 끼울 수 있게 상기 베이스의 양쪽과 상기 후방 케이스의 양쪽을 접합시키는 고주파 접착 단계;
    상기 단계에서 베이스와 케이스가 결합된 상태의 상기 베이스의 전면에 상기 베이스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된 점착 시트를 부착시키는 접착시트 결합 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 베이스와 케이스가 결합된 상태의 상기 전방 케이스의 전면에 상기 베이스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된 부착방지부재를 부착시키는 부착방지부재 결합 단계; 를 포함하는 제작 공정들을 통해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클리너.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방지 부재는 점착 시트에 접하는 표면이 실리콘 코팅된 이형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클리너.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방지 부재는 반사면을 갖는 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클리너.
KR1020140027449A 2014-03-07 2014-03-07 휴대용 클리너 KR101474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7449A KR101474271B1 (ko) 2014-03-07 2014-03-07 휴대용 클리너
PCT/KR2015/001761 WO2015133756A1 (ko) 2014-03-07 2015-02-24 휴대용 클리너
US15/124,327 US20170027414A1 (en) 2014-03-07 2015-02-24 Portable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7449A KR101474271B1 (ko) 2014-03-07 2014-03-07 휴대용 클리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4271B1 true KR101474271B1 (ko) 2014-12-18

Family

ID=52679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7449A KR101474271B1 (ko) 2014-03-07 2014-03-07 휴대용 클리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70027414A1 (ko)
KR (1) KR101474271B1 (ko)
WO (1) WO20151337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60881B2 (ja) 2019-04-19 2022-04-27 株式会社モレーンコーポレーション 医療廃棄物回収具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4755B2 (ja) * 1991-03-20 2000-08-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ガス絶縁電気機器
JP2002263052A (ja) * 2001-03-12 2002-09-17 Cosmo Instruments Co Ltd 粘着式ゴミ取り具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10640A (en) * 1984-01-06 1985-04-16 Shogo Omori Duster-polisher made of plastic film
US5569521A (en) * 1995-04-21 1996-10-29 Francoeur, Sr.; Normand Flexible cleaning pad
US5894623A (en) * 1997-08-13 1999-04-20 Thill; Anthony J. Disposable lint remover
JP3057702U (ja) * 1998-09-11 1999-06-02 株式会社金沢シール ほこり取りシート
JP3074047U (ja) * 2000-04-25 2000-12-19 和子 竹岡 積層式ゴミ、埃取りシート
JP3074755U (ja) * 2000-06-20 2001-01-26 株式会社大鹿印刷所 携帯用服の塵取り具
US7401375B2 (en) * 2005-07-29 2008-07-22 Mcleod Pamela S Lint removal apparatus
US8220099B2 (en) * 2007-02-19 2012-07-17 John Michael Vidmar Lint patch—portable disposable lint and particle remover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4755B2 (ja) * 1991-03-20 2000-08-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ガス絶縁電気機器
JP2002263052A (ja) * 2001-03-12 2002-09-17 Cosmo Instruments Co Ltd 粘着式ゴミ取り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33756A1 (ko) 2015-09-11
US20170027414A1 (en) 2017-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1375B2 (en) Lint removal apparatus
US20020124335A1 (en) Disposable lint remover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KR101474271B1 (ko) 휴대용 클리너
KR101495075B1 (ko) 기능성 필름을 갖는 액정보호필름 구조체
KR20150027798A (ko) 스티커 블랭크로 만든 위생적인 손잡이
JP2014069465A (ja) 保護フィルム貼着部材
KR20150004639U (ko) 클리너가 내장된 휴대형 거울
KR200406199Y1 (ko) 부착이 용이한 스티커
JP4875215B1 (ja) 粘着性材を設けた袋の口開け具
JP3160346U (ja) 使い捨て取手保護具
JP2008081895A (ja) 使い捨て手袋
US10321800B2 (en) Cleaning pad for electronic devices
JP3195957U (ja) 容器用トップカバーフィルム
KR20160000402U (ko) 휴대용 클리너 및 이 클리너가 내장된 휴대용 거울
JP3106449U (ja) 埃・塵等のゴミ取り具
JP3033542U (ja) ほこり取りシート
JP2008062019A (ja) つけ爪
US20070277335A1 (en) Lint removal device
JP2011052345A (ja) 付けまつ毛用の接着具とその製造方法
KR200216202Y1 (ko) 로울러 소제구의 롤페이퍼
KR20150133522A (ko) 휴대용 먼지 제거 패드
CN2530514Y (zh) 胶粘式服装保洁板刷
JP3211763U (ja) 携帯用粘着ごみ取り具
KR101547692B1 (ko) 투명 필름 립스틱 샘플
JP3188858U (ja) マニキュア除去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