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3823B1 -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 - Google Patents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3823B1
KR101473823B1 KR1020140069775A KR20140069775A KR101473823B1 KR 101473823 B1 KR101473823 B1 KR 101473823B1 KR 1020140069775 A KR1020140069775 A KR 1020140069775A KR 20140069775 A KR20140069775 A KR 20140069775A KR 101473823 B1 KR101473823 B1 KR 101473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lifting
moving
electric wire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9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민수
Original Assignee
서광전기통신공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광전기통신공사(주) filed Critical 서광전기통신공사(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3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3823B1/ko
Priority to MYPI2016002156A priority Critical patent/MY173926A/en
Priority to CN201580030633.XA priority patent/CN106463938B/zh
Priority to PCT/KR2015/005797 priority patent/WO201519081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34Arrangements for erecting or lowering towers, masts, poles, chimney stack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14Supporting insulators
    • H01B17/16Fastening of insulators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H02G7/205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extending along a p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은: 기설전주의 사이에 형성되는 전선의 선로상에 신설전주를 설치하는 단계와, 가완목부를 신설전주에 고정시키는 단계와, 전선을 가완목부에 설치된 전선지지부에 결속시키는 단계와, 가완목부 또는 전선지지부를 상향 이동시켜 전선을 핀장주의 설치 예정 높이보다 상측에 위치시키는 단계와, 신설전주에 핀장주를 설치하는 단계와, 가완목부 또는 전선지지부를 핀장주측으로 하향 이동시키는 단계와, 전선지지부에 연결된 전선을 핀장주로 이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METHOD FOR HOT LINE WORK OF POWER DISTRIBUTION EQUIPMENT}
본 발명은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배전설비 활선작업용 보조장치를 이용해 전주를 신설하는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주의 상부에는 장주가 설치되며, 장주는 수평을 이루는 완철과 완철에 설치되는 3개의 애자로 이루어진다. 3상의 전선은 바인더에 의해 3개의 애자 각각에 결속된다.
기설치된 전주, 장주, 애자를 관리함에 있어서는, 기존에 설치된 애자를 새로운 애자로, 기존에 설치된 장주를 새로운 장주로, 기존의 전주를 새로운 전주로 교체하거나, 전주의 위치 변경에 따른 전선의 연장각도 증가 등으로 인해 핀장주를 내장주로 교체하는 등의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전선의 연장 위치 변경 등으로 인해 전주를 신설하는 등의 배전설비 신설 작업도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작업은 전기가 통하고 있는 활선(活線) 상태의 전선을 상하 또는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이루어지고 있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따른다. 이에 따라, 이러한 안전사고의 위험을 줄이면서 활선작업을 보다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와 공법이 개발되고 있다.
관련 선행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6-0082713호(2006.7.19. 공개, 발명의 명칭 : 2차원 및 3차원 복합 구동수단을 구비한 배전 선로 작업용 다축 로봇)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자가 전선과 이격된 원거리에서 전동력을 이용해 자동으로 전선을 이동시키면서 전주를 신설하는 배전설비 활선작업을 보다 안전하고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은: 기설전주의 사이에 형성되는 전선의 선로상에 신설전주를 설치하는 단계; 가완목부를 상기 신설전주에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전선을 상기 가완목부에 설치된 전선지지부에 결속시키는 단계; 상기 가완목부 또는 상기 전선지지부를 상향 이동시켜 상기 전선을 핀장주의 설치 예정 높이보다 상측에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신설전주에 상기 핀장주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가완목부 또는 상기 전선지지부를 상기 핀장주측으로 하향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전선지지부에 연결된 상기 전선을 상기 핀장주로 이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완목부를 상향 또는 하향 이동시키는 것은, 제1액츄에이터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가완목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1승강이동부를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선지지부를 상향 또는 하향 이동시키는 것은, 제2액츄에이터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전선지지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2승강이동부를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선을 상기 전선지지부에 결속시키는 단계는, 상기 전선이 상기 전선지지부에 구비된 브라켓부의 내부로 유입된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부의 개방부를 잠금부로 폐쇄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전선을 상기 핀장주로 이선하는 단계는,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기 전선을 상기 브라켓부의 외부로 빼내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핀장주는, 보통장주의 수평배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설비 활선작업용 보조장치에 의하면, 제1액츄에이터 또는 제2액츄에이터의 전동력을 이용해, 가완목부의 높이 또는 전선지지부 각각의 높이, 전선지지부에 걸린 전선의 높이를 자동으로 조절하면서 전주를 신설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액츄에이터 또는 제2액츄에이터로서 배전설비의 교체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동드릴, 전동드라이버 등의 전동공구를 적용할 수 있어, 전선지지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전동장치를 구비하는 번거로움 없이 작업자가 용이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가완목부와 전선지지부 전체의 높이를 다단으로 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선지지부 중 전선구속부가 형성된 서브연장부만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전선구속부 또는 전선의 높이를 3단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수직연장부의 길이, 메인연장부의 길이, 서브연장부의 길이를 합한 거리만큼, 전선구속부 또는 전선의 높이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가완목부와 전선지지부의 높이를 다단으로 조정하여 목표한 지점에 근접시킨 후 서브연장부를 미세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전선구속부를 목표한 높이에 보다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자가 작업 여건이나 편의에 따라 가완목부의 높이, 전선지지부 전체의 높이, 서브연장부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정하면서, 전선을 전선지지부상에 임시로 거치하는 작업, 신설전주에 핀장주를 설치하기 위한 필요 공간을 확보하는 작업을 안정적이면서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액츄에이터 또는 제2액츄에이터를 이용해 작업자가 전선과 이격된 위치에서 전선을 핀장주의 상부로 이격시키는 작업을 원격으로 수행할 수 있어, 전주를 신설하기 위한 활선작업 공간을 보다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고, 전주 신설 작업 시 작업자가 전선과 접촉되어 발생되는 안전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높이가 서로 다른 복수개의 LP애자를 설치하는 작업 시, 제2승강이동부를 이용해 LP애자 각각의 높이에 맞추어 전선지지부를 개별적으로 승강시키면서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활선작업에 이용되는 공구나 기구들의 취부가 곤란한 경우에도 취부 위치를 상하로 조정하면서 원활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개의 전선지지부가 가완목부에 기설치된 상태에서 가완목부를 상향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전선지지부 각각을 상향 이동시키는 번거로움 없이, 복수개의 전선지지부 전부를 동일 변위로 한꺼번에 상향이동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활선작업용 보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완목고정부 및 제1승강이동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승강이동부의 내부 구조를 측방향에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구동부의 작동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지지부 및 제2승강이동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승강이동부의 작동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구속부에 전선을 끼우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에서 기설전주의 사이에 형성되는 전선의 선로상에 신설전주를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에서 가완목부를 신설전주에 고정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에서 전선지지부를 전선측으로 상향 이동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에서 전선을 가완목부에 설치된 전선지지부에 결속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에서 전선지지부를 상향 이동시켜 전선을 핀장주의 설치 예정 높이보다 상측에 위치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에서 신설전주에 핀장주를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에서 전선지지부를 핀장주의 LP애자측으로 하향 이동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에서 전선을 LP애자로 이선하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에서 가완목부를 신설전주로부터 철거하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설비 활선작업용 보조장치(5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활선작업용 보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활선작업용 보조장치(500)는 가완목부(510), 가완목고정부(520), 제1승강이동부(530), 전선지지부(540), 제2승강이동부(550)를 포함한다.
가완목부(510)는 신설전주(13)에 고정된 상태로 전선지지부(540)와, 전선지지부(540)에 결속된 전선(30)의 하중을 지지하는 골조를 이룬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완목부(510)는 수평연장부(511), 수직연장부(513), 지지부(515)를 포함한다.
수평연장부(511)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수직연장부(513)를 신설전주(13)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수평연장부(511)는 신설전주(13)에 설치될 핀완철(24)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수평을 이루는 수평연장부(511)상에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전선지지부(540)가 설치된다.
수직연장부(513)는 수평연장부(511)의 하부에 연결된다. 수직연장부(513)는 신설전주(13)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가완목고정부(520)에 의해 신설전주(13)에 고정된다.
지지부(515)는 막대 형상을 가지고 수평연장부(511)와 수직연장부(513)의 사이에 경사지게 설치되며, 수평연장부(511)와 수직연장부(513)를 연결한다. 지지부(515)의 상부는 수평연장부(511)의 단부에 설치된 링크부재(516)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지지부(515)의 하부는 수직연장부(513)와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연결 구조에 의해 지지부(515)는 수직연장부(513)와의 연결부를 기준으로 하여 수평연장부(511)를 받쳐 지지하게 된다.
링크부재(516)를 수평연장부(511)에 설치하는 것은, 링크부재(516)를 수평대연결부(521)의 단부에 끼운 후, 아이볼트 등의 볼트부재를 링크부재(516)의 일측부를 관통하여 체결하는 것에 의해 링크부재(516)와 수평연장부(511)를 상호 밀착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완목고정부 및 제1승강이동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승강이동부의 내부 구조를 측방향에서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구동부의 작동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가완목고정부(520)는 가완목부(510) 또는 제1승강이동부(530)를 신설전주(13)에 고정시킨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완목고정부(520)는 가완목연결부(521)와 전주연결부(523)를 포함한다.
가완목연결부(521)는 가완목부(510) 또는 제1승강이동부(530)와 연결되는 부분이다. 가완목연결부(521)는 가완목부(510) 또는 제1승강이동부(530)에 마련된 제1체결부(531a)를 착탈시킬 수 있는 제2체결부(522)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체결부(531a)는 상하로 연장되고 상부에 비해 하부의 너비가 넓은 슬릿 형상을 가지며, 제2체결부(522)는 제1승강이동부(530)측으로 돌출되는 수결합부의 형상을 가지며, 단부가 제1체결부(531a)의 하부는 통과가능하면서 상부는 통과불가능한 너비를 가진다.
제1체결부(531a)의 하부를 제2체결부(522)에 끼우고, 가완목부(510) 또는 제1승강이동부(530)를 들어올린 외력을 해제하면, 가완목부(510) 또는 제1승강이동부(530)의 자중에 의해 제1체결부(531a)가 하향 이동되면서 제1체결부(531a)의 상부에 제2체결부(522)가 위치된다. 이때, 제2체결부(522)의 단부는 제1체결부(531a)의 상부에 걸린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조립에 의해 가완목부(510) 또는 제1승강이동부(530)를 가완목연결부(521)상에 착탈시킬 수 있다.
전주연결부(523)는 신설전주(13)에 고정되는 부분이다. 전주연결부(523)는 가완목연결부(521)와 연결되고, 신설전주(13)에 착탈가능한 클램프 구조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클램프는 제1부재를 제2부재에 얽어매는 데 사용되는 부재로, 제2부재를 감쌀 수 있도록 'ㄷ'자 또는 'C'자 형상을 가지거나 벨트 형상을 가지며, 그 단부에 볼트 또는 너트 등의 체결부재가 결합된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전주연결부(523)는 클램프 구조를 가지나, 가완목부(510)를 신설전주(13)에 고정시킬 수 있다면 특정한 구조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1승강이동부(530)는 가완목고정부(520)에 고정된 상태로 가완목부(510)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승강이동부(530)는 전주설치부(531)와 제1구동부(533)를 포함한다.
전주설치부(531)는 가완목고정부(520)에 설치된 상태에서 수직연장부(513)를 포함한 가완목부(510)의 하중과 전선(3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골조를 이룬다. 전주설치부(531)의 일측부에는 가완목고정부(520)상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체결부(531a)가 형성된다. 가완목고정부(520)에는 제1체결부(531a)와 암수 결합되는 제2체결부(522)가 형성된다. 제1체결부(531a)와 제2체결부(522)를 암수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제1승강이동부(530)를 가완목고정부(520)상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제1체결부(531a)와 제2체결부(522)의 암수 결합을 해제시키는 것에 의해 제1승강이동부(530)를 가완목고정부(52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전주설치부(531)의 타측부에는 수직연장부(513)가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수직연장부(513)는 전주설치부(531)를 상하로 관통하여 설치된 상태로 제1구동부(533)의 작동에 연동하여 상하로 이동된다. 수직연장부(513)와 접하는 전주설치부(531)상에는 전주설치부(531)와의 마찰 접촉으로 인해 수직연장부(513) 이동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롤러부재(532)가 상하로 배열된 구조를 가진다. 수직연장부(513)의 상향 또는 하향 이동 시, 롤러부재(532)는 수직연장부(513)와 접촉된 상태로 수직연장부(513)의 이동에 연동하여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전된다.
제1구동부(533)는 전주설치부(531)에 설치되며, 제1액츄에이터(41)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가완목부(510)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제1액츄에이터(41)로는 배전설비를 교체하기 위한 작업 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동드릴, 전동드라이버 등의 전동공구, 또는 모터 등의 구동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구동부(533)는 제1동력전달부(534), 제1축통부(537), 제1벨트부(538)을 포함한다.
제1동력전달부(534)는 제1액츄에이터(41)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동력전달부(534)는 제1웜(535)과 제1웜휠(536)을 포함한다.
제1웜(535)의 단부에는 제1액츄에이터(41)와 맞물리는 제1동력유입부(535a)가 형성되어, 제1액츄에이터(41)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제1웜휠(536)은 제1웜(535)과 치합되고, 제1축통부(537)와 동축상에 설치되며, 제1웜(535)에 연동하여 회전된다. 제1액츄에이터(41)로 전동공구를 적용 시, 제1웜(535)이 제1액츄에이터(41)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며, 제1웜휠(536)은 제1웜(535)의 회전에 연동하여 감속 회전됨과 동시에 회전력이 증가된다.
상기와 같이 제1웜(535)과 제1웜휠(536)을 구비한 웜기어 구조에 의하면, 제1웜(535)측에서 제1웜휠(536)측으로만 회전 동력을 전달가능하고, 제1웜휠(536)측에서 제1웜(535)측으로는 회전 동력이 전달되지 못한다. 즉, 제1웜휠(536)에 회전력을 가하는 것에 의해서는 제1웜(535)의 회전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제1웜휠(536)의 회전 또한 이루어지지 못한다.
제1웜휠(536)은 제1축통부(537) 및 제1벨트부(538)에 의해 가완목부(510)와 연결되는데, 상기와 같은 웜기어 구조에 의하면, 가완목부(510)와 전선(30) 등의 자중으로 인해 가완목부(510)가 하향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축통부(537)는 제1동력전달부(534)에 의해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전되면서 제1벨트부(538)를 감거나 풀어낸다. 제1축통부(537)는 제1벨트부(538)를 권취가능한 원주형상의 외면부를 구비하여 제1웜휠(536)과 동축상에 연결된다.
제1벨트부(538)는 제1축통부(537)에 권취되며, 단부가 가완목부(510)와 연결된다. 여기서, 제1벨트부(538)로는 납작한 직사각형 또는 선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일반적인 벨트, 또는 와이어, 로프 등의 선형부재를 적용할 수 있다. 제1벨트부(538)의 단부는 걸고리, 끼움쇠(fitting), 클립, 암수 체결부재등의 결속 및 분리가능한 결합부재에 의해 가완목부(510)와 연결된다.
제1액츄에이터(41)의 단부를 제1동력유입부(535a)에 맞물린 상태로 제1액츄에이터(41)를 일측으로 회전 구동시키면, 회전력이 제1동력전달부(534)를 통해 제1축통부(537)로 전달되어 제1축통부(537)가 일측으로 회전되며 제1벨트부(538)가 제1축통부(537)에 감김과 동시에 제1벨트부(538)의 단부와 연결된 가완목부(510)가 상측으로 당겨 올려진다. 또한, 제1액츄에이터(41)를 타측으로 회전 구동시키면, 제1축통부(537)가 타측으로 회전되며 제1벨트부(538)가 풀어짐과 동시에 가완목부(510)가 하측으로 내려간다.
가완목부(510)의 하부에 가완목부(510)의 하향 이동을 구속하는 안전스토퍼부(539)를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안전스토퍼부(539)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벨트 또는 띠 형상을 가지고, 그 단부가 가완목부(510)와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안전스토퍼부(539) 또한 제1벨트부(538)와 마찬가지로 걸고리, 끼움쇠(fitting), 클립, 암수 체결부재 등의 결속 및 분리가능한 결합부재에 의해 가완목부(510)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활선작업용 보조장치(500)는, 가완목부(510)가 제1승강이동부(530)를 매개로 하여 가완목고정부(520)와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 즉, 가완목고정부(520)가 제1승강이동부(530)와 가완목고정부(520)에 의해 신설전주(13)에 고정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설비 활선작업용 보조장치(500)에서 제1승강이동부(530)는 가완목부(510)를 승강시킬 수만 있다면, 가완목부(510)와 가완목고정부(520)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가완목부(510)는 제1승강이동부(530)를 매개로 하지 않고 가완목고정부(520)에 의해 신설전주(13)에 직접 결속될 수도 있으며, 제1승강이동부(530)는 가완목부(510)와 가완목고정부(520)의 사이가 아닌, 다른 위치에서 신설전주(13)에 설치된 상태로 가완목부(510)를 승강시킬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지지부 및 제2승강이동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승강이동부의 작동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구속부에 전선을 끼우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전선지지부(540)는 가완목부(510)에 설치된 상태로 신설전주(13)에 연결된 전선(30)을 이선(移線)받아 지지하는 부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지지부(540)는 연장부(541)와 전선구속부(545)를 포함한다.
연장부(541)는 상하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고 수평연장부(511)에 설치되며, 제2승강이동부(550)에 의해 상하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장부(541)는 메인연장부(542), 서브연장부(543), 고정부(544)를 포함한다.
메인연장부(542)는 승강이동부(550)와 연결되며, 제2액츄에이터(42)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는 제2승강이동부(550)에 의해 상하로 이동된다. 서브연장부(543)는 절연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원통 형상의 메인연장부(542)의 내부에 하부가 삽입된 상태로 메인연장부(542)의 상부로 출몰가능하게 설치된다.
고정부(544)는 연장부(541)는 상향 이동된 서브연장부(543)를 메인연장부(542)상에 고정시킨다. 고정부(544)로는 고정부(544)로는 회전식 고정구, 서브연장부(543)와 메인연장부(542)를 관통하는 관통구 등을 적용할 수 있다.
고정부(544)로서 회전식 고정구를 적용 시, 고정부(544)를 일측으로 돌리는 회전 조작에 의해 서브연장부(543)를 메인연장부(542)에 고정시키고, 타측으로 돌리는 회전 조작에 의해 서브연장부(543)와 메인연장부(542)의 결속을 해제할 수 있다. 고정부(544)를 구비하면, 서브연장부(543)를 원하는 높이로 이동시키고, 고정부(544)를 이용해 서브연장부(543)를 위치 고정시키는 과정을 통해 연장부(541)의 길이를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고정부(544)를 구비하지 않고, 서브연장부(543)와 메인연장부(542)간의 연결부에 각각 암체결부와 수체결부를 형성하는 구조에 의해, 서브연장부(543)를 일측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서브연장부(543)를 메인연장부(542)상에 상하로 이동불가능하게 고정시키고, 서브연장부(543)를 타측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서브연장부(543)를 메인연장부(542)에 고정시킨 상태를 해제할 수도 있다.
전선구속부(545)는 전선(30)이 걸리는 부분으로, 서브연장부(543)의 상부에 형성된다. 전선구속부(545)는 전선(30)이 전선지지부(540)에서 임의로 이탈되지 않게 결속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전선구속부(545)는 브라켓부(546)와 잠금부(548)를 포함한다.
브라켓부(546)는 연장부(541)와 연결되며, 전선(30)이 통과가능한 개방부(546a)가 형성된다. 잠금부(548)는 브라켓부(546)와 연결되며, 개방부(546a)를 개폐시킨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개방부(546a)는 브라켓부(546)의 상부에 형성되고, 잠금부(548)는 브라켓부(546)의 일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잠금부(548)를 일측으로 회동시키는 조작 시, 잠금부(548)가 브라켓부(546)의 타단부에 걸리면서 개방부(546a)를 폐쇄한다.(도 5 참조) 잠금부(548)를 타측으로 회동시키는 조작 시, 잠금부(548)가 브라켓부(546)의 타단부로부터 이격되면서 개방부(546a)를 개방시킨다.(도 7 참조) 상기와 같이 잠금부(548)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개방부(546a)를 개폐시키면서 전선구속부(545)에 전선(30)을 끼워 구속하거나, 전선구속부(545)로부터 전선(30)을 분리할 수 있다.
브라켓부(546)상에는 하부롤러(547)가 정위치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잠금부(548)상에는 상부롤러(549)가 정위치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전선(30)을 브라켓부(546)의 내부에 끼우고 잠금부(548)를 채운 상태에서, 전선(30)의 외면부는 하부롤러(547), 상부롤러(549)와 접하게 된다. 즉, 전선(30)이 전선구속부(545)에 끼워진 상태에서, 전선(30)은 전선구속부(545)와 구름접촉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배전 설비를 교체하는 과정에서 전선구속부(545)와 전선(30)간의 상대 변위 발생 시, 전선(30)이 전선구속부(545)로 인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전선구속부(545)와 전선(30)이 상호 결속된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하면서도 전선구속부(545) 또는 전선(30)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2승강이동부(550)는 전선지지부(540)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제2승강이동부(550)는 전선지지부(540) 각각을 독립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제2승강이동부(550)는 전선지지부(540)의 개수에 비례하여 그 설치 개수가 결정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승강이동부(550)는 가완목설치부(551)와 제2구동부(553)를 포함한다.
가완목설치부(551)는 수평연장부(511)에 설치된다. 가완목설치부(551)는 클램프 구조를 가지고 수평연장부(511)상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가완목설치부(551)상에는 클램프 구조에 대해서는 전주연결부(523)에 대해 기설명한 바를 따르는 바 그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완목설치부(551)에는 전선지지부(54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552)가 형성된다. 가이드부(552)상에는 전선지지부(540)가 내부에 끼워진 상태로 승강 이동될 수 있도록, 상하로 연장된 중공의 가이드홀부(552a)가 형성된다.
가완목설치부(551)는, 승강이동부(550)를 수평연장부(511)상에 고정시킬 수 있다면, 가완목고정부(520)에 적용되는 클램프 구조, 또는 가완목고정부(520)와 상이한 구조를 포함하여 특정한 구조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2구동부(553)는 가완목설치부(551)에 설치되며, 제2액츄에이터(42)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전선지지부(540)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제2액츄에이터(42)로는 제1액츄에이터(41)와 마찬가지로, 배전설비를 교체하기 위한 작업 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동 드라이버 등의 전동공구, 또는 모터 등의 구동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구동부(553)는 제2동력전달부(554), 제2축통부(557), 제2벨트부(558)를 포함한다.
제2동력전달부(554)는 제2액츄에이터(42)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2동력전달부(554)는 제2웜(555)과 제2웜휠(556)을 포함하며, 제2웜(555)의 단부에는 제2액츄에이터(42)와 맞물리는 제2동력유입부(555a)가 형성된다.
제2구동부(553)에 구비되는 제2동력전달부(554), 제2축통부(557), 제2벨트부(558)는 각각, 제1구동부(533)에 구비되는 제1동력전달부(534), 제1축통부(537), 제1벨트부(538)에 대응되는 구조를 가지는 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2웜(555)과 제2웜휠(556)을 포함하는 웜기어 구조에 의하면, 전선(30) 등의 하중으로 인해 전선지지부(540)가 하향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액츄에이터(42)의 단부를 제2동력유입부(555a)에 맞물린 상태로 제2액츄에이터(42)를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전 구동시키는 것에 의해, 전선지지부(540)를 상측으로 당겨 올리거나,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설비 활선작업용 보조장치(500)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제1액츄에이터(41) 또는 제2액츄에이터(42)의 전동력을 이용해, 가완목부(510)의 높이 또는 전선지지부(540) 각각의 높이, 전선지지부(540)에 걸린 전선(30)의 높이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액츄에이터(41)를 이용해 가완목부(510)와, 가완목부(510)에 설치된 전선지지부(540)를 전선(30)에 보다 근접하거나 이격되게 1차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제2액츄에이터(42)를 이용해 전선지지부(540)를 전선(30)에 보다 근접하거나 이격되게 2차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서브연장부(543)의 높이를 3차로 조정하는 것에 의해, 서브연장부(543)의 상부에 연결된 전선구속부(545)의 높이를 미세 조정하거나, 전선지지부(540)의 전체 길이를 신축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액츄에이터(41) 또는 제2액츄에이터(42)로서 배전설비의 교체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동드릴, 전동드라이버 등의 전동공구를 적용할 수 있어, 전선지지부(540)를 이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전동장치를 구비할 필요 없이 작업자가 용이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선(30)의 무게를 지지하는 전선지지부(540)를 제1액츄에이터(41) 또는 제2액츄에이터(42)의 전동력을 이용해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어, 도르래 등을 이용하여 인력에 의해 전선(3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번거로움 없이, 활선작업을 보다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액츄에이터(41) 및 제1승강이동부(530), 제2액츄에이터(42) 및 제2승강이동부(550)를 이용해 전선지지부(540) 또는 전선(30)을 일정한 속도로 이동시키면서 목적한 높이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설비 활선작업용 보조장치(500)를 이용해 전주를 신설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신설전주(13)상에는 핀장주(23)가 설치되며, 핀장주(23)는 보통장주의 수평배열을 가진다. 보통장주는 복수개의 애자 전부가 신설전주(13)의 일측에 편중되게 설치되는 편출장주와 구분되는 것으로, 애자가 신설전주(13)를 기준으로 하여 일측과 타측으로 분산되어 설치되는 장주 구조를 의미한다. 핀장주(23)가 보통장주의 구조를 가지는 경우, 신설전주(13)를 기준으로 하여 일측과 타측으로 분산되게 설치된 LP애자(25)간의 이격 공간상에 작업자가 위치한 상태로 핀장주(23)를 설치하는 활선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은, 기설전주(10)의 사이에 형성되는 전선(30)의 선로상에 신설전주(13)를 설치하는 단계(S1)와, 가완목부(510)를 신설전주(13)에 고정시키는 단계(S2)와, 가완목부(510)에 설치된 전선지지부(540)를 전선(30)측으로 상향 이동시키는 단계(S3)와, 전선(30)을 가완목부(510)에 설치된 전선지지부(540)에 결속시키는 단계(S4)와, 가완목부(510) 또는 전선지지부(540)를 더욱 상향 이동시켜 전선(30)을 핀장주(23)의 설치 예정 높이보다 상측에 위치시키는 단계(S5)와, 신설전주(13)에 핀장주(23)를 설치하는 단계(S6)와, 가완목부(510) 또는 전선지지부(540)를 핀장주(23)측으로 하향 이동시키는 단계(S7)와, 전선지지부(540)에 연결된 전선(30)을 핀장주(23)로 이선하는 단계(S8)와, 가완목부(510)를 신설전주(13)로부터 철거하는 단계(S9)를 포함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에서 기설전주의 사이에 형성되는 전선의 선로상에 신설전주를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에서 가완목부를 신설전주에 고정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에서 전선지지부를 전선측으로 상향 이동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에서 전선을 가완목부에 설치된 전선지지부에 결속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에서 전선지지부를 상향 이동시켜 전선을 핀장주의 설치 예정 높이보다 상측에 위치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에서 신설전주에 핀장주를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에서 전선지지부를 핀장주의 LP애자측으로 하향 이동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에서 전선을 LP애자로 이선하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에서 가완목부를 신설전주로부터 철거하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기설전주(10)의 사이에 형성되는 전선(30)의 선로상에 신설전주(13)를 설치하는 단계(S1)는, 한 쌍의 기설전주(10) 사이에 형성되는 전선(30)의 선로상에 신설전주(13)를 직립되게 설치하는 과정을 거쳐 이루어진다.
도 10을 참조하면, 가완목부(510)를 신설전주(13)에 고정시키는 단계(S2)는, 가완목고정부(520)를 신설전주(13)에 고정시키고, 제1승강이동부(530)를 가완목고정부(520)에 고정시키며, 제1승강이동부(530)와 가완목부(510)를 연결하고, 기설LP애자(22)에 위치에 대응되도록 가완목부(510)상에 제2승강이동부(550)와 전선지지부(540)를 고정시키는 과정을 거쳐 이루어진다.
한 쌍의 기설전주(10) 사이에 위치되는 전선(3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로 처진 형상을 가지므로, 전선(30)은 신설전주(13)상에서 핀장주(23)가 설치될 위치보다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가완목부(510)는 그 보다 아래에, 즉 전선(30) 보다 아래에 그 설치가 이루어진다. 즉, 가완목부(510)를 신설전주(13)에 설치함에 있어서는 전선지지부(540)가 전선(30)의 아래에 위치되게 그 설치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가완목부(510)를 제1승강이동부(530)와 연결함에 있어서는, 먼저 수직연장부(513)를 제1승강이동부(530)에 설치하고, 수직연장부(513)의 상부에 수평연장부(511)를 연결한 후, 수평연장부(511)와 수직연장부(513)의 사이에 지지부(515)를 설치하는 순서로 이루어진다.
수평연장부(511)와 수직연장부(513)의 사이에 지지부(515)를 설치하는 것은, 링크부재(516)를 수평연장부(511)상에 설치한 후, 지지부(515)의 상부를 링크부재(516)에 회동가능하게 연결하고, 지지부(515)의 하부를 수직연장부(513)의 하부에 마련된 아이볼트 등의 체결부재상에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과정을 거쳐 이루어진다.
제2승강이동부(550)와 전선지지부(540)를 가완목부(510)상에 고정시키는 것은, 제2승강이동부(550)를 먼저 가완목부(510)상에 고정시킨 후, 제2승강이동부(550)상에 전선지지부(540)를 결합시키는 과정을 거쳐 이루어진다. 또한, 제2승강이동부(550)상에 전선지지부(540)를 결합시킨 후, 제2승강이동부(550)를 가완목부(510)상에 고정시키는 과정을 거쳐 이루어질 수도 있다.
가완목부(510)를 신설전주(13)에 고정시키는 단계(S2)는, 제2승강이동부(550)와 전선지지부(540)가 기설치된 상태의 가완목부(510)를 제1승강이동부(530) 또는 가완목고정부(520)에 결합시키는 과정을 거쳐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가완목부(510) 또는 전선지지부(540)를 전선(30)측으로 상향 이동시키는 단계(S3)는, 작업자가 수동 조작에 의해 서브연장부(543)를 전선(30)측으로 상향 이동시키는 과정을 거쳐 이루어진다.
또한, 가완목부(510) 또는 전선지지부(540)를 전선(30)측으로 상향 이동시키는 단계(S3)는, 작업 여건이나 작업자의 편의에 따라 제1액츄에이터(41) 및 제1승강이동부(530)에 의해 가완목부(510)를 상향 이동시키는 과정만을 거치거나, 제2액츄에이터(42) 및 제2승강이동부(550)에 의해 가완목부(510)에 설치된 전선지지부(540)를 상향 이동시키는 과정만을 거쳐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가완목부(510) 또는 전선지지부(540)를 전선(30)측으로 상향 이동시키는 단계(S3)는, 작업 여건이나 작업자의 편의에 따라 제1액츄에이터(41) 및 제1승강이동부(530)에 의해 가완목부(510)를 상향 이동시키는 것과, 제2액츄에이터(42) 및 제2승강이동부(550)에 의해 가완목부(510)에 설치된 전선지지부(540)를 상향 이동시키는 과정을 복합적으로 거쳐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가완목부(510) 또는 전선지지부(540)를 전선(30)측으로 상향 이동시키는 단계(S3)는, 작업 여건이나 작업자의 편의에 따라 제1액츄에이터(41) 및 제1승강이동부(530)에 의해 가완목부(510)를 상향 이동시키는 것과, 작업자가 수동 조작에 의해 서브연장부(543)를 전선(30)측으로 상향 이동시키는 과정을 복합적으로 거쳐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가완목부(510) 또는 전선지지부(540)를 전선(30)측으로 상향 이동시키는 단계(S3)는, 작업 여건이나 작업자의 편의에 따라 제2액츄에이터(42) 및 제2승강이동부(550)에 의해 가완목부(510)에 설치된 전선지지부(540)를 상향 이동시키는 것과, 작업자가 수동 조작에 의해 서브연장부(543)를 전선(30)측으로 상향 이동시키는 과정을 복합적으로 거쳐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가완목부(510) 또는 전선지지부(540)를 전선(30)측으로 상향 이동시키는 단계(S3)는, 작업 여건이나 작업자의 편의에 따라 제1액츄에이터(41) 및 제1승강이동부(530)에 의해 가완목부(510)를 상향 이동시키는 과정과, 제2액츄에이터(42) 및 제2승강이동부(550)에 의해 가완목부(510)에 설치된 전선지지부(540)를 상향 이동시키는 과정과, 작업자가 수동 조작에 의해 서브연장부(543)를 전선(30)측으로 상향 이동시키는 과정을 복합적으로 거쳐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전선지지부(540)를 상향 또는 하향 이동시킨다는 것은, 메인연장부(542)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메인연장부(542)와 서브연장부(543)를 포함하는 전선지지부(540) 전체를 이동시키거나, 전선지지부(540)의 상부에 형성된 서브연장부(543)만을 이동시키는 실시예를 포함하여, 전선지지부(540) 중 전선(30)과 연결되는 전선구속부(545)가 형성된 부분, 즉 전선지지부(540)의 상부의 높이를 상향 또는 하향 조정하는 것을 통합하여 의미한다.
즉, 본 발명의 설명에서 전선지지부(540)를 이동시킨다는 것은, 제2액츄에이터(42) 및 제2승강이동부(550)에 의해 전선지지부(540) 전체를 이동시키는 실시예는 물론, 전선지지부(540) 중 서브연장부(543)만을 이동시키는 실시예, 전선지지부(540) 전체를 이동시키는 과정과 서브연장부(543)를 이동시키는 과정을 복합적으로 거치는 실시예 모두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설명에서 전선지지부(540)를 이동시킨다는 것은, 전선지지부(540) 전체를 이동시키는 것과, 서브연장부(543)를 이동시키는 것을 개별적으로 언급하지 않아도, 상기 세가지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를 적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브라켓부(546)의 상부에 형성된 개방부(546a)를 개방시킨 상태로 가완목부(510) 또는 전선지지부(540)를 전선(30)측으로 상향 이동시키는 단계(S3)를 수행하면, 전선지지부(540)를 전선(30)측으로 상향 이동시키는 단계(S3)가 완료된 시점에서 전선(30)은 개방부(546a)를 통해 브라켓부(546)의 내부로 유입된 상태가 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전선(30)을 가완목부(510)에 설치된 전선지지부(540)에 결속시키는 단계(S4)는, 개방부(546a)를 통해 전선(30)이 유입된 상태의 브라켓부(546)에 잠금부(548)를 채우는 조작, 즉 잠금부(548)로 개방부(546a)를 폐쇄하는 조작에 의해 이루어진다.
가완목부(510) 또는 전선지지부(540)를 상향 이동시켜 전선(30)을 핀장주(23)의 설치 예정 높이보다 상측에 위치시키는 단계(S5)는, 신설전주(13)상에 핀장주(23)를 설치하기 위한 작업 공간을 확보하는 과정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전선(30)을 핀장주(23)의 설치 예정 높이보다 상측에 위치시키는 단계(S5)는, 제1액츄에이터(41)와 제1승강이동부(530)에 의해 가완목부(510)를 상향 이동시키는 과정과, 제2액츄에이터(42)와 제2승강이동부(550)에 의해 전선지지부(540)를 상향 이동시키는 과정을 복합적으로 거쳐 이루어진다.
전선(30)을 핀장주(23)의 설치 예정 높이보다 상측에 위치시키는 단계(S5)는, 작업 여건이나 작업자의 편의에 따라 제1액츄에이터(41)와 제1승강이동부(530)에 의해 가완목부(510)를 이동시키는 과정만을 수행하거나, 제2액츄에이터(42)와 제2승강이동부(550)에 의해 전선지지부(540)를 이동시키는 과정만을 수행하거나, 작업자가 수동 조작에 의해 서브연장부(543)를 전선(30)측으로 상향 이동시키는 과정만을 거쳐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전선(30)을 핀장주(23)의 설치 예정 높이보다 상측에 위치시키는 단계(S5)는, 작업 여건이나 작업자의 편의에 따라 제1액츄에이터(41) 및 제1승강이동부(530)에 의해 가완목부(510)를 상향 이동시키는 것과, 작업자가 수동 조작에 의해 서브연장부(543)를 전선(30)측으로 상향 이동시키는 과정을 복합적으로 거쳐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전선(30)을 핀장주(23)의 설치 예정 높이보다 상측에 위치시키는 단계(S5)는, 작업 여건이나 작업자의 편의에 따라 제2액츄에이터(42) 및 제2승강이동부(550)에 의해 가완목부(510)에 설치된 전선지지부(540)를 상향 이동시키는 것과, 작업자가 수동 조작에 의해 서브연장부(543)를 전선(30)측으로 상향 이동시키는 과정을 복합적으로 거쳐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전선(30)을 핀장주(23)의 설치 예정 높이보다 상측에 위치시키는 단계(S5)는, 작업 여건이나 작업자의 편의에 따라 제1액츄에이터(41) 및 제1승강이동부(530)에 의해 가완목부(510)를 상향 이동시키는 것과, 제2액츄에이터(42) 및 제2승강이동부(550)에 의해 가완목부(510)에 설치된 전선지지부(540)를 상향 이동시키는 것, 작업자가 수동 조작에 의해 서브연장부(543)를 전선(30)측으로 상향 이동시키는 과정을 복합적으로 거쳐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전선(30)을 핀장주(23)의 설치 예정 높이보다 상측에 위치시키는 단계(S5)에서 전선(30)을 상향 이동시키는 거리는, 핀장주(23)의 설치 예정 높이가 일정하다는 가정하에서, 한 쌍의 기설전주(10) 사이에 위치되는 전선(30)의 처진 정도, 즉 가완목부(510)를 신설전주(13)에 고정시키는 단계(S2)에서 가완목부(510)를 설치한 높이에 따라 달라진다. 특히, 서브연장부(543)는 작업자가 전선(30)의 처짐 정도를 예측함에 있어서 오차가 있거나, 가완목부(510)와 메인연장부(542)의 최대 상향 이동 거리를 합한 만큼의 가동 거리가 전선(30)의 상향 이동 거리보다 짧을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가 전선(30)의 처짐 정도를 1m 로 예측하고, 가완목부(510)와 메인연장부(542)의 최대 상향 이동 거리를 합한 만큼의 가동 거리 또한 1m로 셋팅된 경우, 실제 전선(30)의 처짐 정도가 1.5m라도 작업자는 서브연장부(543)를 0.5m 더 상향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전선(30)을 핀장주(23)의 설치 예정 높이보다 상측에 위치시키는 단계(S5)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신설전주(13)에 핀장주(23)를 설치하는 단계(S6)는, 전선(30)을 핀장주(23)의 설치 예정 높이보다 상측에 위치시키는 단계(S5)를 통해 확보된 작업 공간을 활용해, 핀완철(24)과 복수개의 LP애자(25)를 포함하는 핀장주(23)를 설치하는 과정을 거쳐 이루어진다.
신설전주(13)에 핀장주(23)를 설치하는 단계(S6)는, 먼저 핀완철(24)을 신설전주(13)에 설치한 후, 복수개의 LP애자(25)를 핀완철(24)에 설치하는 과정을 거치거나, 복수개의 LP애자(25)가 설치된 상태의 핀완철(24)을 신설전주(13)에 설치하는 과정을 거쳐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가완목부(510) 또는 전선지지부(540)를 핀장주(23)측으로 하향 이동시키는 단계(S7)는, 작업자가 전선(30)과 이격된 위치에서 제1액츄에이터(41)와 제1승강이동부(530)를 이용해 가완목부(510)를 자동 및 원격으로 하향 이동시키는 과정을 거쳐 이루어진다.
또한, 가완목부(510) 또는 전선지지부(540)를 핀장주(23)측으로 하향 이동시키는 단계(S7)는, 작업 여건이나 작업자의 편의에 따라 제2액츄에이터(43) 및 제2승강이동부(550)에 의해 가완목부(510)를 하향 이동시키는 과정만을 거치거나, 작업자가 수동 조작에 의해 서브연장부(543)를 전선(30)측으로 하향 이동시키는 과정만을 거쳐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가완목부(510) 또는 전선지지부(540)를 핀장주(23)측으로 하향 이동시키는 단계(S7)는, 작업 여건이나 작업자의 편의에 따라 제1액츄에이터(41) 및 제1승강이동부(530)에 의해 가완목부(510)를 하향 이동시키는 과정과, 제2액츄에이터(42) 및 제2승강이동부(550)에 의해 가완목부(510)에 설치된 전선지지부(540)를 하향 이동시키는 과정을 복합적으로 거쳐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가완목부(510) 또는 전선지지부(540)를 핀장주(23)측으로 하향 이동시키는 단계(S7)는, 작업 여건이나 작업자의 편의에 따라 제1액츄에이터(41) 및 제1승강이동부(530)에 의해 가완목부(510)를 하향 이동시키는 것과, 작업자가 수동 조작에 의해 서브연장부(543)를 전선(30)측으로 하향 이동시키는 과정을 복합적으로 거쳐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가완목부(510) 또는 전선지지부(540)를 핀장주(23)측으로 하향 이동시키는 단계(S7)는, 작업 여건이나 작업자의 편의에 따라 제2액츄에이터(42) 및 제2승강이동부(550)에 의해 가완목부(510)에 설치된 전선지지부(540)를 하향 이동시키는 것과, 작업자가 수동 조작에 의해 서브연장부(543)를 전선(30)측으로 하향 이동시키는 과정을 복합적으로 거쳐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가완목부(510) 또는 전선지지부(540)를 핀장주(23)측으로 하향 이동시키는 단계(S7)는, 작업 여건이나 작업자의 편의에 따라 제1액츄에이터(41) 및 제1승강이동부(530)에 의해 가완목부(510)를 하향 이동시키는 과정과, 제2액츄에이터(42) 및 제2승강이동부(550)에 의해 가완목부(510)에 설치된 전선지지부(540)를 하향 이동시키는 과정과, 작업자가 수동 조작에 의해 서브연장부(543)를 전선(30)측으로 하향 이동시키는 과정을 복합적으로 거쳐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전선지지부(540)에 연결된 전선(30)을 핀장주(23)로 이선하는 단계(S8)는, 복수개의 전선지지부(540)와 연결된 복수개의 전선(30)을 복수개의 LP애자(25) 각각에 밀착시킨 상태로 바인더하여 결속시킨 후, 전선(30)과 전선지지부(540)의 결속을 해제하는 과정을 거쳐 이루어진다. 여기서 전선(30)을 LP애자(25)에 바인더한다는 것은, 피복된 와이어, 테이프, 클립 등의 바인더부재를 이용해 전선(30)을 LP애자(25)에 고정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전선(30)과 전선지지부(540)의 결속을 해제하는 것은, 잠금부(548)를 회동 조작하여 개방부(546a)를 개방시키고, 개방부(546a)를 통해 브라켓부(546)의 외부로 전선(30)를 빼내는 과정을 거쳐 이루어진다.
도 17을 참조하면, 가완목부(510)를 신설전주(13)로부터 철거하는 단계(S9)는, 제2승강이동부(550)와 전선지지부(540)를 가완목부(510)에서 분리시킨 후, 가완목부(510)를 가완목고정부(520) 또는 제1승강이동부(530)에서 분리시키고, 제1승강이동부(530)를 가완목고정부(520)에서 분리시키며, 가완목고정부(520)를 신설전주(13)에서 분리시키는 과정을 거쳐 이루어진다.
또한, 가완목부(510)를 신설전주(13)로부터 철거하는 단계(S9)는, 제2승강이동부(550)와 전선지지부(540)가 설치된 상태의 가완목부(510)를 신설전주(13)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거쳐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에 의하면, 도 9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과정을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배전설비 활선작업용 보조장치(500)를 이용해 전주를 용이하게 신설할 수 있다.
복수개의 LP애자(25) 전부에 대해, 도 10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각 단계를 일괄적으로 적용하면, 가완목부(510) 또는 전선지지부(540)를 전선(30)측으로 상향 이동시키는 단계(S3) 내지 전선(30)을 핀장주(23)로 이선하는 단계(S8)를 한차례 거치는 것에 의해 신설전주(13)상에 핀장주(23)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LP애자(25) 각각에 대해, 가완목부(510) 또는 전선지지부(540)를 전선(30)측으로 상향 이동시키는 단계(S3) 내지 전선(30)을 핀장주(23)로 이선하는 단계(S8)를 독립적으로 거치면서, 즉, 가완목부(510) 또는 전선지지부(540)를 전선(30)측으로 상향 이동시키는 단계(S3) 내지 전선(30)을 핀장주(23)로 이선하는 단계(S8)를 복수회 거치면서, 복수개의 LP애자(25) 각각을 순차적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제1액츄에이터(41) 또는 제2액츄에이터(42)의 전동력을 이용해, 가완목부(510)의 높이 또는 전선지지부(540) 높이, 전선지지부(540)측으로 이선된 전선(30)의 높이를 자동으로 조절하면서 전주를 신설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가완목부(510)와 전선지지부(540) 전체의 높이를 다단으로 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선지지부(540) 중 전선구속부(545)가 형성된 서브연장부(543)만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전선구속부(545) 또는 전선(30)의 높이를 3단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자가 작업 여건이나 편의에 따라 가완목부(510)의 높이, 전선지지부(540) 전체의 높이, 서브연장부(543)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정하면서 전주 신설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액츄에이터(41) 또는 제2액츄에이터(42)를 이용해 작업자가 전선(30)과 이격된 위치에서 전선(30)을 핀장주(23)의 상부로 이격시키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신설전주(13)상에 핀장주(23)를 설치하기 위한 활선작업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고, 핀장주(23) 설치 시 작업자가 전선(30)과 접촉되어 발생되는 안전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개의 전선지지부(540)가 가완목부(510)에 기설치된 상태에서 가완목부(510)를 상향 이동시키면, 전선지지부(540) 각각을 상향 이동시키는 번거로움 없이, 복수개의 전선지지부(540) 전부를 동일 변위로 상향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기설전주 13 : 신설전주
23 : 핀장주 24 : 핀완철
25 : LP애자 30 : 전선
41 : 제1액츄에이터 42 : 제2액츄에이터
500 : 배전설비 활선작업용 보조장치
510 : 가완목부 511 : 수평연장부
513 : 수직연장부 515 : 지지부
516 : 링크부재 520 : 가완목고정부
521 : 가완목연결부 522 : 제2체결부
523 : 전주연결부 530 : 제1승강이동부
531 : 전주설치부 531a : 제1체결부
532 : 롤러부재 533 : 제1구동부
534 : 제1동력전달부 535 : 제1웜
535a : 제1동력유입부 536 : 제1웜휠
537 : 제1축통부 538 : 제1벨트부
539 : 안전스토퍼부 540 : 전선지지부
541 : 연장부 542 : 메인연장부
543 : 서브연장부 544 : 고정부
545 : 전선구속부 546 : 브라켓부
546a : 개방부 547 : 하부롤러
548 : 잠금부 549 : 상부롤러
550 : 제2승강이동부 551 : 가완목설치부
552 : 가이드부 552a : 가이드홀부
553 : 제2구동부 554 : 제2동력전달부
555 : 제2웜 555a : 제2동력유입부
556 : 제2웜휠 557 : 제2축통부
558 : 제2벨트부

Claims (5)

  1. 가완목부; 상기 가완목부를 신설전주에 고정시키는 가완목고정부; 상기 가완목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1승강이동부; 상기 가완목부에 설치되며, 전선을 지지하는 전선지지부; 및 상기 전선지지부 각각을 독립적으로 승강시키는 제2승강이동부;를 포함하는 배전설비 활선작업용 보조장치를 이용하여 전주를 신설하는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에 있어서,
    기설전주의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전선의 선로상에 상기 신설전주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가완목부를 상기 신설전주에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전선을 상기 가완목부에 설치된 상기 전선지지부에 결속시키는 단계;
    상기 가완목부와 상기 전선지지부 모두를 상향 이동시켜 상기 전선을 핀장주의 설치 예정 높이보다 상측에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신설전주에 상기 핀장주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전선지지부를 상기 핀장주측으로 하향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전선지지부에 연결된 상기 전선을 상기 핀장주로 이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완목부를 상향 또는 하향 이동시키는 것은, 제1액츄에이터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가완목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기 제1승강이동부를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전선지지부를 상향 또는 하향 이동시키는 것은, 제2액츄에이터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전선지지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기 제2승강이동부를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가완목부와 상기 전선지지부 모두를 상향 이동시켜 상기 전선을 핀장주의 설치 예정 높이보다 상측에 위치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액츄에이터와 상기 제1승강이동부에 의해 상기 가완목부를 상향 이동시키는 과정과, 상기 제2액츄에이터와 상기 제2승강이동부에 의해 상기 전선지지부를 상향 이동시키는 과정을 모두 거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을 상기 전선지지부에 결속시키는 단계는,
    상기 전선이 상기 전선지지부에 구비된 브라켓부의 내부로 유입된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부의 개방부를 잠금부로 폐쇄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전선을 상기 핀장주로 이선하는 단계는,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기 전선을 상기 브라켓부의 외부로 빼내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장주는, 보통장주의 수평배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
KR1020140069775A 2014-01-20 2014-06-09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 KR101473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MYPI2016002156A MY173926A (en) 2014-06-09 2015-06-09 Power distribution facility live-line working method
CN201580030633.XA CN106463938B (zh) 2014-01-20 2015-06-09 配电设备带电作业方法
PCT/KR2015/005797 WO2015190814A1 (ko) 2014-06-09 2015-06-09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6513 2014-01-20
KR1020140006513 2014-01-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3823B1 true KR101473823B1 (ko) 2014-12-18

Family

ID=52679199

Family Applications (1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9768A KR20150087783A (ko) 2014-01-20 2014-06-09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
KR1020140069767A KR20150087782A (ko) 2014-01-20 2014-06-09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
KR1020140069775A KR101473823B1 (ko) 2014-01-20 2014-06-09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
KR1020140069769A KR20150087784A (ko) 2014-01-20 2014-06-09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
KR1020140069759A KR20150087780A (ko) 2014-01-20 2014-06-09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
KR1020140069763A KR101473821B1 (ko) 2014-01-20 2014-06-09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
KR1020140069770A KR20150087785A (ko) 2014-01-20 2014-06-09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
KR1020140069772A KR101473822B1 (ko) 2014-01-20 2014-06-09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
KR20140069760A KR101473820B1 (ko) 2014-01-20 2014-06-09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
KR1020140069766A KR20150087781A (ko) 2014-01-20 2014-06-09 배전설비 활선작업용 보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
KR1020140069758A KR20150087779A (ko) 2014-01-20 2014-06-09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
KR1020140069771A KR101592964B1 (ko) 2014-01-20 2014-06-09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9768A KR20150087783A (ko) 2014-01-20 2014-06-09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
KR1020140069767A KR20150087782A (ko) 2014-01-20 2014-06-09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9)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9769A KR20150087784A (ko) 2014-01-20 2014-06-09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
KR1020140069759A KR20150087780A (ko) 2014-01-20 2014-06-09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
KR1020140069763A KR101473821B1 (ko) 2014-01-20 2014-06-09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
KR1020140069770A KR20150087785A (ko) 2014-01-20 2014-06-09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
KR1020140069772A KR101473822B1 (ko) 2014-01-20 2014-06-09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
KR20140069760A KR101473820B1 (ko) 2014-01-20 2014-06-09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
KR1020140069766A KR20150087781A (ko) 2014-01-20 2014-06-09 배전설비 활선작업용 보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
KR1020140069758A KR20150087779A (ko) 2014-01-20 2014-06-09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
KR1020140069771A KR101592964B1 (ko) 2014-01-20 2014-06-09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2) KR20150087783A (ko)
CN (4) CN106463939B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45213A (zh) * 2015-09-23 2017-03-29 国网辽宁省电力有限公司本溪供电公司 一种可调式轴承抱杆腰环
CN107288406A (zh) * 2016-03-30 2017-10-24 国网辽宁省电力有限公司本溪供电公司 一种可调式轴承抱杆腰环
KR101889080B1 (ko) 2017-02-20 2018-08-16 주식회사진흥기업 활선상태의 점퍼선을 무선으로 절단 연결하는 방법
KR102112471B1 (ko) * 2018-11-30 2020-05-19 한국전력공사 활선 작업 방법
KR20220085571A (ko) 2020-12-15 2022-06-22 한국전력공사 배전기자재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전기자재 고정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1916B1 (ko) 2015-09-14 2016-06-20 탑이앤지 주식회사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방법
KR101616484B1 (ko) 2015-09-21 2016-04-28 (주)우신전기기술사사무소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방법
CN105762702B (zh) * 2016-04-01 2017-08-04 中国南方电网有限责任公司超高压输电公司南宁局 更换±800kV直流输电线路L串绝缘子的方法
KR101757195B1 (ko) * 2016-10-11 2017-07-11 주식회사 성진 무정전 배전공사에 이용하는 고정식 가완목 장치 및 공법
CN107437712A (zh) * 2016-12-30 2017-12-05 广州程科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耐用电力绝缘柱
KR101864309B1 (ko) 2017-01-19 2018-06-05 삼성기술감리 주식회사 활선 상태에서의 배전선로 교체 장치
CN107086488A (zh) * 2017-04-28 2017-08-22 国网山东省电力公司青岛供电公司 一种带电更换架空线路直线杆横担、绝缘子装置
CN107039919A (zh) * 2017-05-05 2017-08-11 国网江苏省电力公司常州供电公司 一种架线装置
CN107504343A (zh) * 2017-08-11 2017-12-22 国网浙江台州市黄岩区供电公司 台架变压器底座水平调整装置
JP6670399B2 (ja) 2017-10-12 2020-03-18 株式会社クレハ 連続重合装置および重合体の連続製造方法
CN111492548B (zh) * 2017-12-18 2021-07-13 株式会社永木精机 绝缘子分离施工方法以及用于该施工方法的方向变换件、杆上起重装置、绝缘子支承件和相对电杆固定件
CN108321753A (zh) * 2017-12-28 2018-07-24 青岛九州汇德新能源有限公司 一种太阳能系统供电支撑装置
CN108155601A (zh) * 2018-01-08 2018-06-12 国网辽宁省电力有限公司鞍山供电公司 一种带负荷直线杆改耐张杆的方法
CN108258617A (zh) * 2018-01-16 2018-07-06 国网新疆电力公司塔城供电公司 一种用于输电线路架空导线绞式悬垂金具的更换装置
CN108683122B (zh) * 2018-06-08 2020-07-28 国网山东省电力公司青岛供电公司 带电迁移共用走廊直线杆的辅助装置及方法
KR101955155B1 (ko) * 2018-07-11 2019-03-06 대원전기 주식회사 배전선로용 간접활선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공법
KR102321043B1 (ko) 2018-12-12 2021-11-03 주식회사 중앙백신연구소 클루이베로마이세스 막시아누스 균주에서 유도 발현이 가능한 프로모터 및 이를 이용한 유전자 발현 시스템
KR102273339B1 (ko) * 2019-06-10 2021-07-06 한국전력공사 개폐기 리드선 또는 점퍼선을 지지하는 전선지지장치
KR102650799B1 (ko) * 2019-12-18 2024-03-26 한국전력공사 배전설비 무정전작업용 보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배전설비 무정전작업방법
CN111456520B (zh) * 2020-03-22 2021-04-02 徐宏坤 一种配电线路搭建装置及安装方法
KR102173375B1 (ko) * 2020-03-30 2020-11-03 김정호 배전선로용 전선이선장치 및 전선이선장치를 이용한 내장주 교체 무정전공법
KR102173377B1 (ko) * 2020-06-10 2020-11-03 김정호 전선이선장치를 이용한 내장주 교체 무정전공법
KR102173378B1 (ko) * 2020-06-10 2020-11-03 김정호 무정전공법용 전선이선장치
CN111987639A (zh) * 2020-08-04 2020-11-24 中国电建集团河南工程有限公司 一种更换耐张瓷质绝缘子施工方法
CN111910982A (zh) * 2020-08-05 2020-11-10 国网黑龙江省电力有限公司伊春供电公司 输电线路离地间隙提升横担
KR102240478B1 (ko) * 2020-09-22 2021-04-16 대원전기 주식회사 간접활선용 애자클립 및 이를 이용한 lp 애자 교체 간접 활선공법
KR102236410B1 (ko) * 2020-10-14 2021-04-05 이종학 전선 설치 방법
CN112366603B (zh) * 2020-11-18 2022-05-24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电力支撑设备
CN112551258B (zh) * 2020-11-18 2023-01-24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电缆支撑装置及电力支撑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860B1 (ko) * 2012-04-27 2013-03-20 임용호 배전선로용 엘피애자 교체장치
KR101254577B1 (ko) * 2012-11-21 2013-04-15 서광전기통신공사(주) 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자주식 가완목 시설장비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88477B2 (ja) * 1999-02-04 2008-11-26 株式会社中電工 架空地線の撤去方法
KR20050103700A (ko) * 2004-04-27 2005-11-01 양희성 전력선 이선 및 완금 교체 기구
KR100934083B1 (ko) * 2007-11-05 2009-12-24 양희성 점퍼선 고정기구
JP5306031B2 (ja) * 2009-04-13 2013-10-02 中国電力株式会社 間接活線工具支持具
FI125939B (fi) * 2010-12-30 2016-04-15 Meclimb Oy Menetelmä ja laitteisto työkalujen kuljettamiseksi työkohteeseen pitkänomaista kappaletta pitkin ja laitteiston käyttö
KR101218710B1 (ko) 2011-01-31 2013-01-09 서광전기통신공사(주) 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자주식 가완목 시설장비
KR101106236B1 (ko) * 2011-06-28 2012-01-19 주식회사 지이플러스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활선 작업장치 및 작업공법
CN102510029B (zh) * 2011-11-22 2015-02-18 上海市电力公司 一种地电位带电调换杆刀装置的方法
KR101344289B1 (ko) * 2012-04-27 2013-12-23 임용호 승강구동장치를 이용한 배전활선 장주 교체공법
KR101275111B1 (ko) * 2013-02-13 2013-06-17 임용호 이중절연 공간확보를 위한 직접활선 배전설비 교체공법
CN103510739A (zh) * 2013-10-24 2014-01-15 国网湖南省电力公司带电作业中心 多功能组合绝缘横担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860B1 (ko) * 2012-04-27 2013-03-20 임용호 배전선로용 엘피애자 교체장치
KR101254577B1 (ko) * 2012-11-21 2013-04-15 서광전기통신공사(주) 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자주식 가완목 시설장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45213A (zh) * 2015-09-23 2017-03-29 国网辽宁省电力有限公司本溪供电公司 一种可调式轴承抱杆腰环
CN107288406A (zh) * 2016-03-30 2017-10-24 国网辽宁省电力有限公司本溪供电公司 一种可调式轴承抱杆腰环
KR101889080B1 (ko) 2017-02-20 2018-08-16 주식회사진흥기업 활선상태의 점퍼선을 무선으로 절단 연결하는 방법
KR102112471B1 (ko) * 2018-11-30 2020-05-19 한국전력공사 활선 작업 방법
KR20220085571A (ko) 2020-12-15 2022-06-22 한국전력공사 배전기자재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전기자재 고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7786A (ko) 2015-07-30
CN106463938B (zh) 2018-09-07
KR20150087781A (ko) 2015-07-30
CN106463939A (zh) 2017-02-22
KR20150087779A (ko) 2015-07-30
CN106463941A (zh) 2017-02-22
KR101473822B1 (ko) 2014-12-18
CN106463940B (zh) 2018-09-11
KR101592964B1 (ko) 2016-02-25
CN106463939B (zh) 2018-09-11
KR20150087784A (ko) 2015-07-30
KR101473821B1 (ko) 2014-12-18
KR20150087785A (ko) 2015-07-30
KR101473820B1 (ko) 2014-12-18
KR20150087780A (ko) 2015-07-30
KR20150087782A (ko) 2015-07-30
CN106463941B (zh) 2018-09-07
CN106463938A (zh) 2017-02-22
KR20150087783A (ko) 2015-07-30
CN106463940A (zh) 201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3823B1 (ko)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
CN100367589C (zh) 电力线绞线辊子及其操作方法
KR101848936B1 (ko) 크레인을 이용한 배전설비 교체 기구
US8714525B2 (en) Portable manipulator for carrying out works on energized overhead electrical lines
KR101873421B1 (ko)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공간확장형 기계화 작업장치
KR20210016895A (ko) 간접활선용 완철을 이용한 간접활선 작업방법
KR101344289B1 (ko) 승강구동장치를 이용한 배전활선 장주 교체공법
KR101757195B1 (ko) 무정전 배전공사에 이용하는 고정식 가완목 장치 및 공법
US8282080B2 (en) Cable guide with automatic cable release and method of use
KR20170110312A (ko) 독립형 전선드럼 거치대
JP2019190021A (ja) シャッター装置のシャッターカーテン施工装置及びその施工方法
CN207117056U (zh) 一种建筑施工临电电缆支撑装置
CA289589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installation of cables or pipes in tunnels
GB249550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installation of cables or pipes in tunnels
KR100987530B1 (ko) 현수 애자 장치 긴선 작업 전선 인상용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긴선 작업 공정
WO2015190814A1 (ko)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
CN219394230U (zh) 一种建筑电气与智能化线路铺设装置
JP3819738B2 (ja) 架空線路へのかん類の設置方法及び装置
JP2023140110A (ja) 架空線引き留め用カムアロングとこれを用いた架空線張力の仮支持工法
CN205097979U (zh) 一种线索挂钩以及包含该线索挂钩的张力定位辅助器
JP3427118B2 (ja) 架設電線を活線のまま移動する装置
CN115173316B (zh) 一种用于电力电缆在建筑墙体的铺设装置及铺设方法
KR200412798Y1 (ko) 풀링머신이 구비된 굴삭기
CN117166837A (zh) 一种电力建设电杆埋设装置及其方法
CN203453597U (zh) 改进型深井手柄蝶阀专用操作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