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8710B1 - 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자주식 가완목 시설장비 - Google Patents
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자주식 가완목 시설장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18710B1 KR101218710B1 KR1020110087930A KR20110087930A KR101218710B1 KR 101218710 B1 KR101218710 B1 KR 101218710B1 KR 1020110087930 A KR1020110087930 A KR 1020110087930A KR 20110087930 A KR20110087930 A KR 20110087930A KR 101218710 B1 KR101218710 B1 KR 1012187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ing
- support
- hydraulic
- bolt
- cas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92—Holders used for protection, repair or reinforcement of the post or pol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34—Arrangements for erecting or lowering towers, masts, poles, chimney stacks, or the like
- E04H12/348—Arrangements for demolition towers or the lik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14—Supporting insulators
- H01B17/16—Fastening of insulators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주에 대한 장비의 설치가 간편하고, 가완목의 상.하 수직이동이 기계적인 작동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활선 상태에서 작업공간 확보시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함은 물론 작업의 간편성과 신속성 및 정확성을 기할 수 있도록 하며, 전선을 이송할 때 별도의 전선 이송용 롤러를 추가 설치할 필요없이 이선 작업이 보다 간편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자주식 가완목 시설장비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유압장치 고정부에 의해서 전주에 고정됨은 물론 상.하로 관통 형성되고 하부지지턱을 갖는 유압케이싱부로 형성되고, 상기 유압케이싱부에 유압발생부가 일체로 구비된 유압발생장치와; 상기 유압케이싱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하부가 지지되고, 유압케이싱부와 동일한 단면을 갖는 다단의 아웃케이싱부 및 인너케이싱부로 형성되며, 상기 아웃케이싱부 및 인너케이싱부의 내부에 유압실린더가 구비되어 상기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서 상단부에 가완목이 설치되는 인너케이싱부를 상.하로 승강구동시킬 수 있도록 한 가완목 승강구동부;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자주식 가완목 시설장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주에 대한 장비의 설치가 간편하고, 가완목의 상.하 수직이동이 기계적인 작동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활선 상태에서 작업공간 확보시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함은 물론 작업의 간편성과 신속성 및 정확성을 기할 수 있도록 하며, 기존에서와 같이 전선을 이선 및 활선 기자재 교체시 적어도 2대 이상의 활선버켓 차량을 필요로 하지 않고 활선버켓 차량 1대만으로도 작업이 가능함은 물론 2단선로의 상단작업 및 편출장주의 작업이 가능함으로써 보조 인력 및 장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한 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자주식 가완목 시설장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주의 상단부에 애자가 구비된 완금을 가로 방향으로 설치하여 3상의 전선을 완금의 애자에 고정 및 절연하게 되고, 한국전력공사의 배전선로 공사현장에서 기설 전주의 전선 교체 및 지지부설, 각도주 변경을 위한 장주변경(핀장주-내장주 교체) 및 부식 완금(완철)교체, 가공지지대 교체시에는 가완목을 전주에 설치하여 고압 전선을 가완목에 이선한 후, 가완목을 들어 올려 작업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교체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종래의 배전선로 작업용 가완목 시설장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센터 클램프(150)에 의해서 상.하로 수평의 가완목(120)과 수직의 인양 와이어통(130)이 상.하로 직교되게 고정핀(150a)으로 연결되고, 상기 인양 와이어통(130)은 클램프(140)에 의해서 전주(100)에 고정되며, 가완목(120)의 양측은 한 쌍의 지지봉(121)에 의해서 인양 와이어통(130)에 고정 및 지지되고, 상기 수직의 인양 와이어통(130)은 지상의 작업자가 와이어(155)를 당기거나 풀어서 인양 와이어통(130)을 상.하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이를 위해 가완목(120)에 풀리(154)를 갖는 와이어 지지클램프(153)가 설치되고, 상기 풀리(154)를 통해 와이어(155)의 일단은 인양 와이어통(130)의 하단부에 고정되고 타측단부는 지상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140)는 전주 고정부(142)와 와이어통 고정부(141)의 한 쌍으로 이루어져 연결부(143)에 의해서 하나의 몸체를 이루고, 상기 전주 고정부(142) 및 와이어통 고정부(141)는 볼트 또는 체인 등을 이용하여 조이거나 풀어 전주 또는 와이어통에 대한 고정 및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지지봉(121) 역시 가완목(120)의 양측에 설치된 상측 지지클램프(151)와 인양 와이어통(130)의 하부측에 설치된 하측 지지클램프(152)에 의해서 양단이 가완목(120)과 인양 와이어통(130)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가완목(120)의 양측을 지지해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110은 완금이고, 110a는 애자이며, 200은 전선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배전선로 작업용 가완목 시설장비는, 먼저 센터클램프(150)를 이용해 수평의 가완목(120)과 수직의 인양 와이어통(130)을 서로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결하고, 한 쌍의 지지봉(121)을 가완목의 양측 상부 지지클램프(151)와 인양 와이어통의 하측 지지클램프(152) 사이에 연결하며, 인양 와이어통(130)에, 후방측으로 전주 고정부(152)를 갖는 클램프(140)를 각각 설치하고, 인양 와이어통의 하단부에 일단이 고정된 와이어(155)의 타단을 가완목(120)에 설치된 와이어 지지클램프(153)의 풀리(154)에 걸어 놓은다.
이러한 상태에서 활선버켓 차량을 이용해 인양 와이어통(130) 및 지지봉(121)을 포함하는 가완목(120)을 상부측 작업공간으로 이동시킨 후, 다른 활선버켓 차량을 동원해 상기 가완목의 인양 와이어통(130)에 설치된 클램프(140)의 후방측 전주 고정부(142)를 통상의 클램프 고정방식으로 전주(100)에 고정함으로써 가완목의 설치가 완료되는데, 이때 가완목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조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다시 활선버켓 차량에 탑승하여 클램핑 작업을 한 작업자가 클램프의 전주 고정부(142)를 풀어 고정을 해제한 후 지상의 작업자가 와이어(155)를 당기거나 풀어 가완목(120)을 상.하측으로 이동시킨 후 다시 활선버켓 차량의 작업자가 가완목의 인양 와이어통을 전주(100)에 고정시킴으로써 전선 이선 및 활선 기자재 교체 작업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같이 종래의 배전선로 작업용 가완목 시설장비는 보조 인력 및 장치를 많이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하여 작업의 비효율성을 초래하고, 고압의 활선 상태에서 작업이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자의 안전성에 상당한 문제가 있으며, 적어도 고가의 활선버켓 차량을 2대 이상 동원해야만 되므로 경제성 측면에서 많은 어려움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전주에 대한 장비의 설치가 간편하고, 가완목의 상.하 수직이동이 기계적인 작동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활선 상태에서 작업공간 확보시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함은 물론 작업의 간편성과 신속성 및 정확성을 기할 수 있도록 하며, 기존에서와 같이 전선을 이선 및 활선 기자재 교체시 적어도 2대 이상의 활선버켓 차량을 필요로 하지 않고 활선버켓 차량 1대만으로도 작업이 가능함은 물론 2단선로의 상단작업 및 편출장주의 작업이 가능함으로써 보조 인력 및 장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한 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자주식 가완목 시설장비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자주식 가완목 시설장비의 한 형태는, 유압장치 고정부에 의해서 전주에 고정됨은 물론 상.하로 관통 형성되고 하부지지턱을 갖는 유압케이싱부로 형성되고, 상기 유압케이싱부에 유압발생부가 일체로 구비된 유압발생장치와; 상기 유압케이싱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하부가 지지되고, 유압케이싱부와 동일한 단면을 갖는 다단의 아웃케이싱부 및 인너케이싱부로 형성되며, 상기 아웃케이싱부 및 인너케이싱부의 내부에 유압실린더가 구비되어 상기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서 상단부에 가완목이 설치되는 인너케이싱부를 상.하로 승강구동시킬 수 있도록 한 가완목 승강구동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압장치 고정부는 유압발생부의 후방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브라켓트의 볼트관통홀에 대응되게 양측에 볼트삽입홀이 형성된 취부용 브라켓트와, 상기 취부용 브라켓트의 볼트삽입홀에 삽입되는 체결볼트가 양단에 일체로 형성된 취부용 밴드를 구비하여 상기 취부용 브라켓트의 볼트삽입홀 및 고정브라켓트의 볼트관통홀에 취부용 밴드의 체결볼트를 삽입 및 관통시켜 너트로 체결 및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압발생부는 유압탱크와 유압선택밸브의 사이에 구비되어 유압펌핑레버의 조작에 의해서 유압탱크로부터 오일을 유압선택밸브 측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유압선택밸브는 밸브레버의 회전조작에 의해서 유압실린더에 오일을 승.하강방향으로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완목 승강구동부는 인너케이스의 상단부에 가완목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완목 지지부는 하부측에 인너케이스의 상단부 외측에 삽입되는 케이싱 삽입구가 형성됨과 아울러 측면부에 측면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측면관통홀을 통하여 가완목이 삽입 관통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완목은 애자부의 상.하부측에 전선 고정부 및 가완목 고정부가 일체로 형성된 애자일체형 절연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선 고정부는 롤러본체의 내부에 상.하부롤러 및 사이드롤러를 가지며, 상기 가완목 고정부는 가완목의 외부를 지지하는 지지대의 하부측에 수직의 고정볼트를 구비하여 상기 고정볼트의 조임력에 의해서 애자일체형 절연롤러를 가완목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배전선로 공사현장에서 기설 전주의 전선 교체를 위한 장주변경 및 부식 완철교체, 가공지지대의 교체 및 지지부설, 각도주 변경을 위한 작업 공간의 확보 및 전선 지지를 위해 전주에 설치되는 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자주식 가완목 시설장비에 있어서, 상기 전주의 외측 둘레를 따라 벨트 형태로 고정 및 설치되는 클램프 벨트와; 상기 클램프 벨트의 전방측에 고정되고, 상단부에 횡방향의 가완목을 갖는 수직인양대를 수동윈치로 상.하로 이동시키는 가완목 승강구동부와; 상기 가완목의 양단부를 수직인양대의 하단부에 지지되게 하는 가완목 양단지지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램프 벨트는, 전주의 전방측에 상.하 간격을 두고 횡방향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지지대의 후방측으로, 전주의 후방측 둘레를 따라 접하고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1 고정밴드 및 제2 고정밴드가 구비되고, 상기 제1 고정밴드의 단부는 지지대의 일측에 고정되며, 제2 고정밴드의 단부는 지지대의 타측에 볼트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의 타측에 측방향으로 개방된 고정홈을 형성하고, 제2 고정밴드의 단부측에, 선단부에 나선부가 형성된 고정봉이 회전 가능하게 볼트 체결되며, 상기 고정부에 나선부에 아이손잡이를 나선 결합시켜 상기 아이손잡이의 회전조작에 의해서 고정봉을 지지대의 고정홈에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의 일측에 상.하 간격을 두고 한 쌍의 지지편을 형성하고, 제1 고정밴드의 단부측에는 상기 지지편의 사이로 삽입되어 볼트 체결되는 한 쌍의 고정편을 형성하되, 상기 지지편에 다수의 볼트삽입공을 형성하여 선택적인 볼트 체결에 의해서 전주의 직경에 따라 제1 고정밴드 및 제2 고정밴드의 원주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활선버켓 차량을 이용해 먼저 수직인양대를 포함하는 가완목을 전주에 고정 및 설치한 후, 별도의 활선버켓 차량 및 보조 인력없이 활선버켓 차량에 기 탑승한 작업자의 기계적인 조작 및 수동작으로 가완목을 자유롭게 상.하로 이동시켜 전선을 이선하거나 활선 기자재 교체작업, 2단 선로의 상단작업 및 편출장주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작업의 간편성 및 신속성은 물론 작업의 효율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조 인력 및 관련 장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어 안전성 및 경제성을 한층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완목에 애자일체형 절연롤러가 구비됨으로써 전선을 이송할 때 별도의 전선 이송용 롤러를 추가 설치할 필요없을 뿐만 아니라 전선의 고정기능도 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선 작업의 간편성 및 신속성을 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주식 가완목 시설장비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2는 본 발명 제1 실시예에 의한 자주식 가완목 시설장비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의 유압발생장치의 타측부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도 2의 결합상태 및 내부 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자주식 가완목 시설장비의 애자일체형 절연롤러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내지 도 12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6은 본 발명 제2 실시예에 의한 자주식 가완목 시설장비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클램프 벨트 및 가완목 승강구동부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8a 및 도 8b는 도 7의 클램프 벨트 설치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8a는 클램프 벨트의 체결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8b는 클램프 벨트의 "B"를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도 6의 수동윈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도 6의 고정횡대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11은 도 6의 지지봉 구조를 나타낸 부분 확대단면도.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2a는 사시도.
도 12b는 부분 확대단면도.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2는 본 발명 제1 실시예에 의한 자주식 가완목 시설장비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의 유압발생장치의 타측부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도 2의 결합상태 및 내부 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자주식 가완목 시설장비의 애자일체형 절연롤러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내지 도 12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6은 본 발명 제2 실시예에 의한 자주식 가완목 시설장비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클램프 벨트 및 가완목 승강구동부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8a 및 도 8b는 도 7의 클램프 벨트 설치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8a는 클램프 벨트의 체결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8b는 클램프 벨트의 "B"를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도 6의 수동윈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도 6의 고정횡대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11은 도 6의 지지봉 구조를 나타낸 부분 확대단면도.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2a는 사시도.
도 12b는 부분 확대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주식 가완목 시설장비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압장치 고정부(2)에 의해서 전주(100)에 고정되는 유압발생장치(1)와, 상기 유압발생장치(1)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유압발생장치(1)로부터 공급된 유압에 의해서 승강구동되는 가완목 승강구동부(3)로 구성된다.
상기 유압발생장치(1)는 상.하로 관통된 수직의 사각 관 형태로 형성된 유압케이싱부(11)가 구비되고, 상기 유압케이싱부(11)의 후방 및 양측에 유압탱크(13)와 유압펌핑레버(12a)를 갖는 유압발생부(1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레버(15a)를 갖는 유압선택밸브(15)가 일체로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유압발생부(12)는 유압라인A(16a)에 의해서 유압탱크(13)와 연결되고, 상기 유압라인A(16a)는 유압라인B(16b)에 의해서 유압선택밸브(15)와 연결되며, 상기 유압선택밸브(15)는 유압라인C(16c) 및 유압라인D(16d)에 의해서 후술되어질 가완목 승강구동부(3)의 유압실린더(미도시됨)와 연결되고, 유압선택밸브(15)는 다시 유압라인E(16e)에 의해서 유압탱크(13)와 연결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유압탱크(13)의 후방측에는 양측에 볼트관통홀(14a)을 갖는 고정브라켓트(14)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가완목 승강구동부(3)는 유압발생장치(1)의 유압케이싱부(11)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유압케이싱부(11)와 동일한 사각단면 형상의 관 형태로 형성하되, 아웃케이싱부(31)와 인너케이싱부(32)의 다단 형태로 구성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지지턱(11a)을 갖는 유압케이싱부(11)의 내부에 삽입되는 중공의 아웃케이싱부(31)와 상기 아웃케이싱부(31)의 내부에 구비되는 인너케이싱부(32)의 다단 형태로 구성되어 아웃케이싱부(31) 및 인너케이싱부(32)의 내부에 유압실린더(33)가 구비된다. 상기 유압실린더(33)는 아웃케이싱부(31)의 하부측에 고정되고 실린더로드(33a)는 인너케이싱부(32)의 상부측에 고정되어 상기 실린더로드(33a)의 전후진에 의해서 인너케이싱부(32)가 아웃케이싱부(31)의 내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유압장치 고정부(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발생장치(1)의 유압탱크(13) 후방측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브라켓트(14)의 볼트관통홀(14a)에 대응되게 양측에 볼트삽입홀(21a)을 갖는 취부용 브라켓트(21)와, 상기 취부용 브라켓트(21)의 볼트삽입홀(21a)에 삽입되는 체결볼트(22a)가 양단에 일체로 형성된 취부용 밴드(22)를 구비하여 상기 취부용 브라켓트(21)의 볼트삽입홀(21a) 및 고정브라켓트(14)의 볼트관통홀(14a)에 취부용 밴드(22)의 체결볼트(22a)를 삽입 및 관통시켜 너트(N)로 체결 및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함께 상기 가완목 승강구동부(3)는 인너케이싱부(32)의 상단부에 가완목 지지부(4)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가완목 지지부(4)는 하부측에 인너케이싱부(32)의 상단부 외측에 삽입되는 케이싱 삽입구(4b)가 형성됨과 아울러 측면부에 측면관통홀(4a)이 형성되어 상기 측면관통홀(4a)을 통하여 가완목(120)이 삽입 관통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자주식 가완목 시설장비의 애자일체형 절연롤러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상기 가완목(120)은 애자부(51)의 상.하부측에 전선 고정부(52) 및 가완목 고정부(53)가 일체로 형성된 애자일체형 절연롤러(5)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선 고정부(52)는 롤러본체(52a)의 내부에 상.하부롤러(52b)(52c) 및 사이드롤러(52d)를 가지며, 상기 가완목 고정부(53)는 가완목(120)의 외부를 지지하는 지지대(53a)의 하부측에 수직의 고정볼트(53c)를 구비하여 상기 고정볼트(53c)의 조임력에 의해서 애자일체형 절연롤러(5)를 가완목(120)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한국전력공사의 배전선로 공사현장에서 기설 전주의 전선 교체를 위한 장주변경 및 부식 완철교체, 가공지지대 교체 및 지지부설, 각도주 변경을 위한 작업 공간 확보 및 전선 지지를 위해 먼저, 전주(100)에 유압장치 고정부(2)를 구성하는 취부용 밴드(22)를 채운 다음, 상기 취부용 밴드(22)의 양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체결볼트(22a)에 취부용 브라켓트(21)의 볼트삽입홀(21a)을 삽입 관통시킨 후 너트(N)로 단단히 고정시킨다. 그런 다음 유압발생장치(1)의 후방측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브라켓트(14)의 양측에 형성된 볼트관통홀(14a)을 다시 취부용 밴드(22)의 체결볼트(22a)에 삽입 관통시켜 너트(N)로 고정시킴으로써 전주(100)에 대한 유압발생장치(1)의 설치 및 고정을 완료하게 된다.
이렇게 전주(100)에 유압발생장치(1)를 고정한 후에는 아웃케이싱부(31)와 인너케이싱부(32)의 다단 형태로 이루어진 가완목 승강구동부(3)를 유압발생장치(1)의 유압케이싱부(11)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삽입하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 유압케이싱부(11)의 내부에 삽입된 가완목 승강구동부(3)는 아웃케이싱부(31)의 하단부가 유압케이싱부(11)의 하단부 내측으로 돌출된 하부지지턱(11a)에 걸림으로써 하부가 지지되는 것으로서, 이때 상기 아웃케이싱부(31) 및 인너케이싱부(32)의 내부에 구비된 유압실린더(33)에 유압선택밸브(15)의 유압라인C(16c) 및 유압라인D(16d)를 먼저 연결한 상태에서 유압케이싱부(11)에 삽입 및 설치한다.
그런 다음, 가완목 지지부(4)의 하부측 케이싱 삽입구(4b)를 인너케이싱부(32)의 상단부 외측에 끼워 가완목 지지부(4)를 인너케이싱부(32)에 설치 및 고정하게 되는 것이며, 다시 가완목(120)을 가완목 지지부(4)의 측면관통홀(4a)에 삽입 관통시킴으로써 가완목(120)을 인너케이싱부(32)의 상부측에 설치하게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자일체형 절연롤러(5)를 가완목(120)에 고정하게 되는 것으로서, 먼저 통상의 전선이송용 롤러와 마찬가지로 하부측 "U"자형 지지대(53a)의 개방부를 막고 있는 개폐바(53b)를 힌지축(미도시됨)과 함께 구비되어 상기 개폐바(53b)를 폐쇄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미도시됨)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회전시켜 개방부를 통하여 가완목(120)을 "U"자형 지지대(53a)의 내부에 삽입한다. 그리고 다시 개폐바(53b)를 놓으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서 개폐바(53b)가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U"자형 지지대(53a)의 개방부를 막아 폐쇄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애자일체형 절연롤러(5)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지지대(53a)의 고정볼트(53c)를 볼트손잡이(53d)로 회전시켜 조임으로써 상기 고정볼트(53c)의 상단부의 가압판(53e)이 가완목(120)을 가압하여 애자일체형 절연롤러(5)를 가완목(120)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본 발명에 의한 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시설장비를 전주(100)에 고정 및 설치한 상태에서 유압선택밸브(15)의 밸브레버(15a)를 실린더의 전진방향으로 회전 및 변환시킨 후 유압펌핑레버(12a)를 상.하로 작동시키면, 이 펌핑동작에 의해 유압라인A(16a)를 통하여 유압탱크(13)로부터 유압발생부(12) 측으로 오일이 공급됨은 물론 다시 유압라인B(16b)를 통하여 유압선택밸브(15) 측으로 오일이 공급되며, 유압선택밸브(15) 측으로 공급된 오일은 개방된 유압라인C(16c)를 통하여 가완목 승강구동부(3) 내부의 유압실린더(33) 측으로 공급되어 유압실린더(33)의 실린더로드(33a)가 전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아웃케이싱부(31) 내부의 인너케이싱부(32)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인너케이싱부(32)의 상단부에 설치된 가완목(120)도 함께 상측으로 이동하여 전선에 대한 리프팅 동작이 이루어짐으로써 활선상태에서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교체작업을 마친 후 다시 유압선택밸브(15)의 밸브레버(15a)를 실린더의 후진방향으로 회전 및 변환시킨 후 유압펌핑레버(12a)를 상.하로 작동시키면, 유압라인D(16d)를 통하여 유압실린더(33) 측으로 오일이 공급되어 실린더로드(33a)가 후진함으로써 인너케이싱부(32)를 다시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유압라인E는 유압탱크(13)에 연결된 드레인 라인이다.
도 6 내지 도 12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6은 본 발명 제2 실시예에 의한 자주식 가완목 시설장비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전주(100)의 외측 둘레를 따라 벨트 형태로 고정 및 설치되는 클램프 벨트(310)와, 상기 클램프 벨트(310)의 전방측에 고정되고, 상단부에 횡방향의 가완목(120)을 갖는 수직인양대(321)를 수동윈치(330)로 상.하로 이동시키는 가완목 승강구동부(320)로 구성된다.
상기 클램프 벨트(3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간격을 두고 횡방향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지지대(311)가 전방측에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지지대(311)의 후방측으로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전주의 후방측 둘레를 따라 접하는 제1 고정밴드(312a) 및 제2 고정밴드(312b)가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고정밴드(312a)의 단부는 지지대(311)의 일측에 고정되고, 제2 고정밴드(312b)의 단부는 지지대(311)의 타측에 볼트 체결된다.
이를 첨부된 도 8a 및 도 8b를 참고로 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측방향으로 개방된 고정홈(311a)을 지지대(311)의 타측에 형성하고, 제2 고정밴드(312b)의 단부측에 아이손잡이(317)가 결합된 고정봉(316)을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여 상기 고정봉(316)을 지지대(311)의 고정홈(311a)에 끼운 후 아이손잡이(317)를 회전시켜 조임으로써 클램프 벨트(310)를 전주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이를 위해 고정봉(316)의 선단부에는 나선부(316a)가 형성되고, 상기 나선부(316a)에 지지대(311)의 고정홈(311a)보다 큰 직경을 갖는 아이손잡이(317)를 나선 결합하여서 된 것이며, 고정봉(316)은 제2 고정밴드(312b)의 단부측에 상.하 간격을 두고 형성된 연결편(318)의 사이에 삽입되어 연결볼트(319)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연결볼트(319)의 체결을 위해 상기 연결편(318) 및 고정봉(316)의 단부측에 볼트삽입공(미도시됨)이 형성됨은 당연하다.
그리고,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311)의 일측에 상.하 간격을 두고 한 쌍의 지지편(314)을 형성하고, 제1 고정밴드(312a)의 단부측에는 상기 지지편(314)의 사이로 삽입되는 한 쌍의 고정편(315)을 형성하여 고정볼트(314b)의 체결에 의해서 지지대(311)에 제1 고정밴드(312a)가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지지편(314)에는 선택적인 볼트 체결에 의해서 전주의 직경에 따라 제1 고정밴드(312a) 및 제2 고정밴드(312b)의 원주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볼트삽입공(314a)이 다수개 형성된다.
한편, 상기 가완목 승강구동부(320)는, 수직인양대(321)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상.하로 관통된 관 형태를 이루는 외부 지지케이싱부(322)가 구비되고, 상기 외부 지지케이싱부(322)의 후방측에 수동윈치(330)를 구비하여 상기 수동윈치(330)의 회전조작에 의해서 외부 지지케이싱부(322) 내부의 수직인양대(321)를 상.하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상기 외부 지지케이싱부(322)는 수직인양대(321)의 상.하 이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측면에 미끄럼용 패드(322a)도 함께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 지지케이싱부(322)를 클램프 벨트(310)의 전방측에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외부 지지케이싱부(322)의 후방측 상.하부에 한 쌍의 횡방향 고정플레이트(323)가 구비되고, 외부 지지케이싱부(322)와 고정플레이트(323)의 대향면에 양단부가 각각 용접에 의해서 고정되는 지지브라켓트(325)이 구비되어 외부 지지케이싱부(322)와 고정플레이트(323)의 사이를 연결하며, 상부측 지지브라켓트(325)의 내부에는 수동윈치(330)의 상측고리(331a)를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고리홀(325b)을 갖는 고리고정판(325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동윈치(330)의 하측고리(331b)는 수직인양대(321)의 하단부에 걸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외부 지지케이싱부(322)를 클램프 벨트(310)의 전방측에 착탈식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클램프 벨트(310)의 지지대(311) 전면부 양측에 걸고리용 볼트(311b)가 일체로 형성되고, 고정플레이트(323)의 양측에는 상기 걸고리용 볼트(311b)가 삽입 및 고정되는 걸이홈(324)이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걸이홈(324)은 걸고리용 볼트(311b)의 머리보다 작은 직경의 상측 고정공(324a)과 걸고리용 볼트(311b)의 머리보다 큰 직경의 하측 삽입공(324b)을 서로 연통하게 내측으로 경사진 형태로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즉, 걸이홈(324)의 하측 삽입공(324b)을 걸고리용 볼트(311b)의 외측으로 삽입한 후 하측으로 내려 상측 고정공(324a)에 걸고리용 볼트(311b)가 위치되게 함으로써 걸이홈(324)에 걸고리용 볼트(311b)가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수동윈치(330)는 기성품으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에 권취릴(332)과 안내릴(333)이 구비되고, 상기 안내릴(333)에 각각 하측고리(331b)가 연결되며, 상기 권취릴(332)에 감겨진 밴드로프(334)의 단부가 안내릴(333)을 통하여 권취릴(332)에 인접한 고정롤(335)에 고정되고, 권취릴(332)의 일측에 일방향 치형부(336) 및 폴(pawl)(337)이 구비되어 상기 일방향 치형부(336)에 장착된 작동레버의 회전 조작에 의해서 권취릴(332)의 밴드로프(334)를 풀거나 감아 안내릴(333) 및 하측고리(331b)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작동레버는 도 6 및 도 7의 작동레버, 즉 상.하로 회전시키는 것과 달리 크랭크(338b) 형태로 되고 선단부에 육각볼트의 외측에 삽입되는 홈을 갖는 삽입구(338)가 일체로 형성된 공구를 이용할 수 있고, 통상의 임팩,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삽입구(338)를 가지면서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서 삽입구를 회전시키는 전동공구에 의해 밴드로프(334)를 풀거나 감을 수 있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완목(120)의 일측을 수직인양대(321)의 하부측에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한 상기 가완목 양단지지부(340)는, 가완목(120)의 양단부 외측에 끼워져 핀 결합되는 가완목 고정구(341)와, 수직인양대(321)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고정횡대(342)와, 상기 가완목 고정구(341)와 고정횡대(342)의 사이에 구비되는 지지봉(343)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완목 고정구(341)는 가완목(120)과 동일한 사각형의 단관 형태를 이루고, 하부측에 한 쌍의 지지봉 고정편(341a)이 일체로 형성된 것이며, 상기 고정횡대(342)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인양대(321)의 하단부에 원형의 삽입홈(321a)을 형성하고, 상기 수직인양대(321)의 삽입홈(321a)에 삽입되는 원형 단면의 고정돌부(342a)를 구비하되, 상기 고정돌부(342a)의 전.후방측에 한 쌍의 횡편(342a)이 일체로 형성되며, 수직인양대(321)와 고정돌부(342a)는 삽입시 서로 일치되어 핀 결합되는 핀 관통홀(321b) 및 핀 삽입홀(342b)가 형성되고, 횡편(342a)에도 핀홀(342d)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봉(343)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볼트(343a)가 양단부에 나선 결합되고, 일측 아이볼트(343a)는 가완목 고정구(341)의 지지봉 고정편(341a)에 아이핀(P)으로 고정되며, 타측 아이볼트(343a)는 고정횡대(342)의 양측 횡편(342a) 사이에 삽입되어 아이핀(P)으로 고정된 것으로서, 지지봉(343)을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전시키면 지지봉(343)의 길이를 길게 하거나 짧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수동윈치(330)의 폴(337)을 일방향 치형부(336)에 안내릴(333)이 상승하는 방향으로 세팅후 작동레버(338)를 회전시키면, 수동윈치(330)의 안내릴(333) 및 하측고리(331b)가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수직인양대(321)를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고, 다시 상기 폴(337)을 일방향 치형부(336)에 안내릴(333)이 하강하는 방향으로 세팅후 작동레버(338)를 회전시키면, 수동윈치(330)의 안내릴(333) 및 하측고리(331b)가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수직인양대(321)를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외부 지지케이싱부(322)의 후방측 고정브라켓트()의 걸이홈(324)을 상측으로 이동시켜 클램프 벨트(310)의 전방측 걸고리용 볼트(311b)가 걸이홈(324)의 하부측 삽입공(324b)에 위치되게 한 후 당기면, 상기 걸고리용 볼트(311b)가 고정플레이트(323)의 걸이홈(324)으로부터 빠져 이탈됨으로써 전주(100)에 고정된 클램프 벨트(310)만 남겨두고 가완목 승강구동부(320) 및 가완목 양단지지부(340)의 관련 조립품을 전주(100)로부터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음은 물론 다시 클램프 벨트(310)의 걸고리용 볼트(311b)에 상기 고정플레이트(323)의 걸이홈(324)에 걸어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와함께 상기 클램프 벨트(310)는 벨트 형태로 전주에 감아 한쪽 아이볼트(343a)의 체결에 의해서 간단하게 전주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에 최소한 두 사람이 작업하던 것을 한 사람이 작업이 가능하고, 또한 클램프 벨트(310)에 다수 형성된 볼트삽입공(314a)에 대한 선택적인 고정볼트(314b)의 체결에 의해서 전주(100)의 둘레를 따라 접하는 제1 고정밴드(312a) 및 제2 고정밴드(312b)의 원주 직경을 조절할 수 있어 전주의 직경에 무관하게 전주에 클램프 벨트(310)를 장착 및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상기 클램프 벨트(310)에 의해 전주에 지지되는 외부 지지케이싱부(322)에 미끄럼용 패드(322a)가 구비됨으로써 수동윈치(330)의 작동에 의한 수직인양대(321)의 상.하 이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2a는 사시도이고, 도 12b는 부분 확대단면도이다. 여기서 특징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 같이 가완목을 이용한 활선 교체작업 이외의 전주(100)의 중심을 지나는 전선을 교체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직인양대(321)의 상단부에 전선 지지부(350)를 형성한 것에 있고, 상기 전선 지지부(350)는 베이스판(351)의 중앙부를 전선롤(352a)을 갖는 "U"자형 볼트(352)가 관통하고, 상기 "U"자형 볼트(352)는 베이스판(351)의 내.외측 로크너트(353)(354)에 의해서 고정된다. 즉, 외측 로크너트(354)를 풀면 "U"자형 볼트(352)는 회전이 자유로워져 전선의 방향에 무관하게 전선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그 방향이 정해지면 외측 로크너트(354)를 조여 그 위치를 고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같이 본 발명은 배전선로 공사현장에서 기설 전주의 전선 교체를 위한 장주변경 및 부식 완철교체, 가공지지대 교체 및 지지부설, 각도주 변경을 위한 작업공간 확보 및 전선 지지를 위해 전주에 장비를 설치할 때 간편하고, 가완목의 상.하 수직이동이 기계적인 작동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활선 상태에서 작업공간 확보시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함은 물론 작업의 간편성과 신속성 및 정확성을 기할 수 있도록 하며, 기존에서와 같이 전선을 이선 및 활선 기자재 교체시 적어도 2대 이상의 활선버켓 차량을 필요로 하지 않고 활선버켓 차량 1대만으로도 작업이 가능함은 물론 2단선로의 상단작업 및 편출장주의 작업이 가능함으로써 보조 인력 및 장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되고, 전선을 이송할 때 별도의 전선 이송용 롤러를 추가 설치할 필요없이 이선 작업이 보다 간편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자주식 가완목 시설장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 유압발생장치
11: 유압케이싱부 11a: 하부지지턱
12: 유압발생부 12a: 유압펌핑레버
13: 유압탱크 14: 고정브라켓트
14a: 볼트관통홀 15: 유압선택밸브
16a,16b,16c,16d,16e: 유압라인A,B,C,D,E
2: 유압장치 고정부
21: 취부용 브라켓트 21a: 볼트삽입홀
22: 취부용 밴드 22a: 체결볼트
3: 가완목 승강구동부
31: 아웃케이싱부 32: 인너케이싱부
33: 유압실린더 33a: 실린더로드
4: 가완목 지지부
4a: 측면관통홀 4b: 케이싱 삽입구
5: 애자일체형 절연롤러
51: 애자부 52: 전선 고정부
52a: 롤러본체 52b: 상부롤러
52c: 하부롤러 52d: 사이드롤러
52e: 롤러손잡이 53: 가완목 고정부
53a: 지지대 53b: 개폐바
53c: 고정볼트 53d: 볼트손잡이
53e: 가압판 N: 너트
310: 클램프 벨트
311: 지지대 311a: 고정홈
311b: 걸고리용 볼트 312a,312b: 제1,2 고정밴드
313: 체결부 314: 지지편
314a: 볼트삽입공 314b: 고정볼트
315: 고정편 316: 고정봉
316a: 나선부 317: 아이손잡이
318: 연결편 319: 연결볼트
320: 가완목 승강구동부
321: 수직인양대 322: 외부 지지케이싱부
322a: 미끄럼용 패드 323: 고정플레이트
324: 걸이홈 324a: 고정공
324b: 삽입공 325: 지지브라켓트
325a: 고리고정판 325b: 고리홀
330: 수동윈치
331a,331b: 상.하측고리 332: 권취릴
333: 안내릴 334: 밴드로프
335: 고정롤 336: 일방향 치형부
337: 폴(pawl) 338: 작동레버
340: 가완목 지지부
341: 가완목 고정구 341a: 지지봉 고정편
342: 고정횡대 342a: 고정돌부
342b: 핀 삽입홀 342c: 횡편
342d: 핀홀 343: 지지봉
343a: 아이볼트 P: 아이핀
350: 전선 지지부
351: 베이스판 352: "U"자형 볼트
353: 내측 로크너트 354: 외측 로크너트
11: 유압케이싱부 11a: 하부지지턱
12: 유압발생부 12a: 유압펌핑레버
13: 유압탱크 14: 고정브라켓트
14a: 볼트관통홀 15: 유압선택밸브
16a,16b,16c,16d,16e: 유압라인A,B,C,D,E
2: 유압장치 고정부
21: 취부용 브라켓트 21a: 볼트삽입홀
22: 취부용 밴드 22a: 체결볼트
3: 가완목 승강구동부
31: 아웃케이싱부 32: 인너케이싱부
33: 유압실린더 33a: 실린더로드
4: 가완목 지지부
4a: 측면관통홀 4b: 케이싱 삽입구
5: 애자일체형 절연롤러
51: 애자부 52: 전선 고정부
52a: 롤러본체 52b: 상부롤러
52c: 하부롤러 52d: 사이드롤러
52e: 롤러손잡이 53: 가완목 고정부
53a: 지지대 53b: 개폐바
53c: 고정볼트 53d: 볼트손잡이
53e: 가압판 N: 너트
310: 클램프 벨트
311: 지지대 311a: 고정홈
311b: 걸고리용 볼트 312a,312b: 제1,2 고정밴드
313: 체결부 314: 지지편
314a: 볼트삽입공 314b: 고정볼트
315: 고정편 316: 고정봉
316a: 나선부 317: 아이손잡이
318: 연결편 319: 연결볼트
320: 가완목 승강구동부
321: 수직인양대 322: 외부 지지케이싱부
322a: 미끄럼용 패드 323: 고정플레이트
324: 걸이홈 324a: 고정공
324b: 삽입공 325: 지지브라켓트
325a: 고리고정판 325b: 고리홀
330: 수동윈치
331a,331b: 상.하측고리 332: 권취릴
333: 안내릴 334: 밴드로프
335: 고정롤 336: 일방향 치형부
337: 폴(pawl) 338: 작동레버
340: 가완목 지지부
341: 가완목 고정구 341a: 지지봉 고정편
342: 고정횡대 342a: 고정돌부
342b: 핀 삽입홀 342c: 횡편
342d: 핀홀 343: 지지봉
343a: 아이볼트 P: 아이핀
350: 전선 지지부
351: 베이스판 352: "U"자형 볼트
353: 내측 로크너트 354: 외측 로크너트
Claims (12)
- 배전선로 공사현장에서 기설 전주의 전선 교체를 위한 장주변경 및 부식 완철교체, 가공지지대의 교체 및 지지부설, 각도주 변경을 위한 작업 공간의 확보 및 전선 지지를 위해 전주에 설치되는 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자주식 가완목 시설장비에 있어서,
유압장치 고정부(2)에 의해서 전주(100)에 고정됨은 물론 상.하로 관통 형성되고 하부지지턱(11a)을 갖는 유압케이싱부(11)로 형성되고, 상기 유압케이싱부(11)에 유압발생부(12)가 일체로 구비된 유압발생장치(1)와;
상기 유압케이싱부(11)의 내부에 삽입되어 하부가 지지되고, 유압케이싱부(11)와 동일한 단면을 갖는 다단의 아웃케이싱부(31) 및 인너케이싱부(32)로 형성되며, 상기 아웃케이싱부(31) 및 인너케이싱부(32)의 내부에 유압실린더(33)가 구비되어 상기 유압실린더(33)의 작동에 의해서 상단부에 가완목(120)이 설치되는 인너케이싱부(32)를 상.하로 승강구동시킬 수 있도록 한 가완목 승강구동부(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자주식 가완목 시설장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장치 고정부(2)는 유압발생부(12)의 후방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브라켓트(14)의 볼트관통홀(14a)에 대응되게 양측에 볼트삽입홀(21a)이 형성된 취부용 브라켓트(21)와, 상기 취부용 브라켓트(21)의 볼트삽입홀(21a)에 삽입되는 체결볼트(22a)가 양단에 일체로 형성된 취부용 밴드(22)를 구비하여 상기 취부용 브라켓트(21)의 볼트삽입홀(21a) 및 고정브라켓트(14)의 볼트관통홀(14a)에 취부용 밴드(22)의 체결볼트(22a)를 삽입 및 관통시켜 너트(N)로 체결 및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자주식 가완목 시설장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발생부(12)는 유압탱크(13)와 유압선택밸브(15)의 사이에 구비되어 유압펌핑레버(12a)의 조작에 의해서 유압탱크(13)로부터 오일을 유압선택밸브(15) 측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유압선택밸브(15)는 밸브레버(15a)의 회전조작에 의해서 유압실린더(33)에 오일을 승.하강방향으로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자주식 가완목 시설장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완목 승강구동부(3)는 인너케이싱부(32)의 상단부에 가완목 지지부(4)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완목 지지부(4)는 하부측에 인너케이싱부(32)의 상단부 외측에 삽입되는 케이싱 삽입구(4b)가 형성됨과 아울러 측면부에 측면관통홀(4a)이 형성되어 상기 측면관통홀(4a)을 통하여 가완목(120)이 삽입 관통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자주식 가완목 시설장비.
-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완목(120)은 애자부(51)의 상.하부측에 전선 고정부(52) 및 가완목 고정부(53)가 일체로 형성된 애자일체형 절연롤러(5)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선 고정부(52)는 롤러본체(52a)의 내부에 상.하부롤러(52b)(52c) 및 사이드롤러(52d)를 가지며, 상기 가완목 고정부(53)는 가완목(120)의 외부를 지지하는 지지대(53a)의 하부측에 수직의 고정볼트(53c)를 구비하여 상기 고정볼트(53c)의 조임력에 의해서 애자일체형 절연롤러(5)를 가완목(120)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자주식 가완목 시설장비.
- 배전선로 공사현장에서 기설 전주의 전선 교체를 위한 장주변경 및 부식 완철교체, 가공지지대의 교체 및 지지부설, 각도주 변경을 위한 작업 공간의 확보 및 전선 지지를 위해 전주에 설치되는 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자주식 가완목 시설장비에 있어서,
상기 전주(100)의 외측 둘레를 따라 벨트 형태로 고정 및 설치되는 클램프 벨트(310)와;
상기 클램프 벨트(310)의 전방측에 고정되고, 상단부에 횡방향의 가완목(120)을 갖는 수직인양대(321)를 수동윈치(330)로 상.하로 이동시키는 가완목 승강구동부(3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자주식 가완목 시설장비.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벨트(310)는, 전주(100)의 전방측에 상.하 간격을 두고 횡방향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지지대(311)의 후방측으로, 전주의 후방측 둘레를 따라 접하고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1 고정밴드(312a) 및 제2 고정밴드(312b)가 구비되고, 상기 제1 고정밴드(312a)의 단부는 지지대(311)의 일측에 고정되며, 제2 고정밴드(312b)의 단부는 지지대(311)의 타측에 볼트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자주식 가완목 시설장비.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311)의 타측에 측방향으로 개방된 고정홈(311a)을 형성하고, 제2 고정밴드(312b)의 단부측에, 선단부에 나선부(316a)가 형성된 고정봉(316)이 회전 가능하게 볼트 체결되며, 상기 고정봉(316)의 나선부(316a)에 아이손잡이(317)를 나선 결합시켜 상기 아이손잡이(317)의 회전조작에 의해서 고정봉(316)을 지지대(311)의 고정홈(311a)에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특징으로 한 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자주식 가완목 시설장비.
-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311)의 일측에 상.하 간격을 두고 한 쌍의 지지편(314)을 형성하고, 제1 고정밴드(312a)의 단부측에는 상기 지지편(314)의 사이로 삽입되어 볼트 체결되는 한 쌍의 고정편(315)을 형성하되, 상기 지지편(314)에 다수의 볼트삽입공(314a)을 형성하여 선택적인 볼트 체결에 의해서 전주의 직경에 따라 제1 고정밴드(312a) 및 제2 고정밴드(312b)의 원주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자주식 가완목 시설장비.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완목 승강구동부(320)는, 수직인양대(321)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상.하로 관통된 관 형태를 이루고, 각 측면에 미끄럼용 패드(322a)가 구비된 외부 지지케이싱부(322)와;
상기 외부 지지케이싱부(322)의 후방측에 구비되어 클램프 벨트(310)의 전방측에 고정되는 횡방향의 고정플레이트(323)와;
상기 외부 지지케이싱부(322)와 고정플레이트(323)의 사이를 연결하고, 내부에 고리고정판(325a)이 일체로 형성된 지지브라켓트(325)와;
상기 지지브라켓트(325)의 고리고정판(325a)에 상측고리(331a)를 걸어 고정하고, 하측고리(331b)는 수직인양대(321)의 하단부에 걸어 고정되는 수동윈치(3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자주식 가완목 시설장비.
- 제7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벨트(310)의 지지대(311) 전면부 양측에 걸고리용 볼트(311b)를 일체로 형성하고, 가완목 승강구동부(320)의 고정플레이트(323) 양측에 걸이홈(324)을 형성하되, 상기 걸이홈(324)은 걸고리용 볼트(311b)의 머리보다 작은 직경의 상측 고정공(324a)과 걸고리용 볼트(311b)의 머리보다 큰 직경의 하측 삽입공(324b)을 서로 연통하게 내측으로 경사진 형태로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자주식 가완목 시설장비.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완목(120)과 수직인양대(321)의 사이에 가완목 양단지지부(3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완목 양단지지부(340)는, 가완목(120)의 양단부 외측에 끼워져 핀 결합되고 하부측에 한 쌍의 지지봉 고정편(341a)이 일체로 형성된 가완목 고정구(341)와;
상기 수직인양대(321)의 하단부에 원형의 삽입홈(321a)이 형성되고, 수직인양대(321)의 삽입홈(321a)에 삽입되는 원형 단면의 고정돌부(342a) 및, 상기 고정돌부(342a)의 전.후방측에 한 쌍의 횡편(342a)이 일체로 형성된 고정횡대(342)와;
상기 수직인양대(321)와 고정돌부(342a)에 각각 형성되어 삽입시 서로 일치되어 핀 결합되는 핀 관통홀(321b) 및 핀 삽입홀(342b) 및, 횡편(342a)에 형성되는 핀홀(342d)과;
상기 고정횡대(342)의 횡편(342a) 사이로 일측 아이볼트(343a)가 삽입되어 횡편(342a)의 양측 핀홀(342d)을 통한 아이핀(P)의 삽입에 의해 고정되고, 타측 아이볼트(343a)는 가완목 고정구(341)의 지지봉 고정편(341a) 사이로 삽입되어 아이핀(P)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일측 및 타측 아이볼트(343a)의 사이로 양단이 나선 결합되는 지지봉(34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자주식 가완목 시설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10009581 | 2011-01-31 | ||
KR1020110009581 | 2011-01-3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88500A KR20120088500A (ko) | 2012-08-08 |
KR101218710B1 true KR101218710B1 (ko) | 2013-01-09 |
Family
ID=46873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87930A KR101218710B1 (ko) | 2011-01-31 | 2011-08-31 | 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자주식 가완목 시설장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18710B1 (ko)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73822B1 (ko) | 2014-01-20 | 2014-12-18 | 서광전기통신공사(주) |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 |
WO2015190813A1 (ko) * | 2014-06-09 | 2015-12-17 | 서광전기통신공사(주) | 배전설비 활선작업용 보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 |
WO2018074690A1 (ko) * | 2016-10-19 | 2018-04-26 | 이광석 | 삽입식 일체형 절연완금 |
KR102117192B1 (ko) | 2019-05-27 | 2020-05-29 | 김형배 | 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활선작업 방법 |
KR102117193B1 (ko) | 2019-05-27 | 2020-05-29 | 최선희 | 회전 가능한 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활선작업 방법 |
KR102173377B1 (ko) | 2020-06-10 | 2020-11-03 | 김정호 | 전선이선장치를 이용한 내장주 교체 무정전공법 |
KR102173378B1 (ko) | 2020-06-10 | 2020-11-03 | 김정호 | 무정전공법용 전선이선장치 |
KR102173375B1 (ko) | 2020-03-30 | 2020-11-03 | 김정호 | 배전선로용 전선이선장치 및 전선이선장치를 이용한 내장주 교체 무정전공법 |
KR102525034B1 (ko) | 2023-03-09 | 2023-04-24 | (주)나이스에너지엔지니어링 | 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자주식 가완목 시설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966258B (zh) * | 2012-11-30 | 2015-06-17 | 湖州电力局 | 一种带电作业用临时支撑横担 |
CN103510739A (zh) * | 2013-10-24 | 2014-01-15 | 国网湖南省电力公司带电作业中心 | 多功能组合绝缘横担 |
KR101593000B1 (ko) * | 2014-06-11 | 2016-02-11 | 주식회사 이디엔씨 |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 및 활선 공법 |
KR101579183B1 (ko) * | 2015-02-16 | 2015-12-24 | 주식회사 현신 | 가공 배전선로의 전신주 교체 방법이 적용된 가공배전선로 교체 장치 |
KR200480634Y1 (ko) * | 2015-04-14 | 2016-06-16 |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 긴급복구용 윈치의 고정장치 |
KR102070481B1 (ko) * | 2016-06-22 | 2020-01-28 | 양희성 | 컷아웃스위치 장착 브라켓 |
CN107086488A (zh) * | 2017-04-28 | 2017-08-22 | 国网山东省电力公司青岛供电公司 | 一种带电更换架空线路直线杆横担、绝缘子装置 |
CN108155601A (zh) * | 2018-01-08 | 2018-06-12 | 国网辽宁省电力有限公司鞍山供电公司 | 一种带负荷直线杆改耐张杆的方法 |
KR101873712B1 (ko) * | 2018-03-16 | 2018-07-03 | 대원전기 주식회사 |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 |
CN108565748B (zh) * | 2018-04-17 | 2024-06-14 | 国网浙江桐庐县供电有限公司 | 一种用于更换跌落式熔断器的绝缘抱杆装置 |
CN109672111B (zh) * | 2019-02-11 | 2024-01-30 | 国家电网有限公司 | 水平旋转法更换直流接地极线路耐张串的组合工具及方法 |
CN110011222B (zh) * | 2019-05-06 | 2024-04-02 | 国网黑龙江省电力有限公司电力科学研究院 | 一种线路转角杆放线装置 |
CN110416912A (zh) * | 2019-07-05 | 2019-11-05 | 国家电网有限公司 | 挂环连接组合式特高压绝缘子串横担侧带电作业更换工具 |
CN110601074B (zh) * | 2019-10-12 | 2024-06-18 | 国网新疆电力有限公司伊犁供电公司 | 便携式提线器 |
CN111934239A (zh) * | 2020-08-28 | 2020-11-13 | 国家电网有限公司 | 一种地电位直线杆横担拆装工具及其使用方法 |
CN112117708B (zh) * | 2020-09-02 | 2021-12-07 | 广西电网有限责任公司贵港供电局 | 一种10kV绝缘横担导线安装滑轮支架 |
CN112412153A (zh) * | 2020-11-11 | 2021-02-26 | 国网山东省电力公司淄博供电公司 | 狭窄空间废旧电杆分段垂直拆除工具套装及其应用方法 |
RU210695U1 (ru) * | 2022-02-18 | 2022-04-27 |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Сектор Энерго" | Траверса сборная изоляционная |
CN114961402B (zh) * | 2022-06-30 | 2024-03-08 | 江苏华电铁塔制造有限公司 | 一种电力钢管塔用可调式横担 |
CN116505431B (zh) * | 2023-06-26 | 2024-01-26 |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佛山供电局 | 一种电杆抱紧装置及其攀爬接地装置 |
CN117691530B (zh) * | 2024-02-01 | 2024-04-26 | 国网山东省电力公司单县供电公司 | 一种电力线路架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56837A (ja) | 2002-07-16 | 2004-02-19 | Tohoku Electric Power Co Inc | 電線仮支持装置 |
KR20070112594A (ko) * | 2006-05-22 | 2007-11-27 | 합자회사 대광전기 | 활선 전선로의 보수 및 교체작업을 위한 보조 가지지장치의설치공법 및 활선전선로의 보조가지지장치 |
KR100865480B1 (ko) | 2007-07-21 | 2008-10-27 | 양희성 |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직접 활선 작업장치 |
KR100898988B1 (ko) | 2008-10-08 | 2009-05-25 | (주)우전엔지니어링 | 배전선로 지지형 완철 |
-
2011
- 2011-08-31 KR KR1020110087930A patent/KR10121871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56837A (ja) | 2002-07-16 | 2004-02-19 | Tohoku Electric Power Co Inc | 電線仮支持装置 |
KR20070112594A (ko) * | 2006-05-22 | 2007-11-27 | 합자회사 대광전기 | 활선 전선로의 보수 및 교체작업을 위한 보조 가지지장치의설치공법 및 활선전선로의 보조가지지장치 |
KR100865480B1 (ko) | 2007-07-21 | 2008-10-27 | 양희성 |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직접 활선 작업장치 |
KR100898988B1 (ko) | 2008-10-08 | 2009-05-25 | (주)우전엔지니어링 | 배전선로 지지형 완철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73822B1 (ko) | 2014-01-20 | 2014-12-18 | 서광전기통신공사(주) |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 |
CN106463940A (zh) * | 2014-01-20 | 2017-02-22 | 曙光电子通讯工程(株) | 配电设备带电作业用辅助装置和利用其进行配电设备带电作业的方法 |
WO2015190813A1 (ko) * | 2014-06-09 | 2015-12-17 | 서광전기통신공사(주) | 배전설비 활선작업용 보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 |
WO2018074690A1 (ko) * | 2016-10-19 | 2018-04-26 | 이광석 | 삽입식 일체형 절연완금 |
KR102117192B1 (ko) | 2019-05-27 | 2020-05-29 | 김형배 | 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활선작업 방법 |
KR102117193B1 (ko) | 2019-05-27 | 2020-05-29 | 최선희 | 회전 가능한 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활선작업 방법 |
KR102173375B1 (ko) | 2020-03-30 | 2020-11-03 | 김정호 | 배전선로용 전선이선장치 및 전선이선장치를 이용한 내장주 교체 무정전공법 |
KR102173377B1 (ko) | 2020-06-10 | 2020-11-03 | 김정호 | 전선이선장치를 이용한 내장주 교체 무정전공법 |
KR102173378B1 (ko) | 2020-06-10 | 2020-11-03 | 김정호 | 무정전공법용 전선이선장치 |
KR102525034B1 (ko) | 2023-03-09 | 2023-04-24 | (주)나이스에너지엔지니어링 | 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자주식 가완목 시설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88500A (ko) | 2012-08-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18710B1 (ko) | 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자주식 가완목 시설장비 | |
CN205955358U (zh) | 一种内拉线悬浮式抱杆的组塔装置 | |
JP3204989U (ja) | 仮設電柱設置回収装置 | |
CN103618258A (zh) | 一种输电线路架设紧线器 | |
CN114156783A (zh) | 一种绝缘杆间接带电旁路电缆与带电导线连接装置 | |
CN116667221A (zh) | 一种输电线路架设用导线提升装置 | |
CN104967047B (zh) | ±800kV特高压直流线路耐张塔专用伸缩硬梯及其使用方法 | |
CN217252413U (zh) | 一种用于不锈钢丝绳生产用顶部连接处成环设备 | |
CN206865025U (zh) | 一种电力工程线缆安装用紧线器 | |
CN109531491A (zh) | 拉拔紧固器 | |
CN207098455U (zh) | 一种棘轮卷筒式双钩双回紧线装置 | |
CN111969496B (zh) | 一种电力架空线路施工装置及其施工方法 | |
CN209478076U (zh) | 拉拔紧固器 | |
CN110593275B (zh) | 一种基坑围护系统 | |
CN210247628U (zh) | 一种幼树拉枝辅助工具 | |
CN209308434U (zh) | 一种倒u型预应力钢绞线防滑脱装置 | |
RU138511U1 (ru) | Домкрат для выправки электрических опор | |
RU92576U1 (ru) | Раскрепля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ор из стальных труб линий электропередач | |
KR20050065702A (ko) | 활선 작업암용 장선기 | |
JP2879316B2 (ja) | 建柱用ポール | |
CN219498748U (zh) | 光伏发电支架电缆敷设工具 | |
CN211388664U (zh) | 一种打孔支架 | |
CN111395849B (zh) | 一种升降电杆式架空临时用电电缆装置 | |
CN215059197U (zh) | 一种制作拉线回头的装置 | |
CN220839933U (zh) | 一种用于ut线夹拆装的辅助设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