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7265B1 -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도어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도어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7265B1
KR101467265B1 KR1020080037122A KR20080037122A KR101467265B1 KR 101467265 B1 KR101467265 B1 KR 101467265B1 KR 1020080037122 A KR1020080037122 A KR 1020080037122A KR 20080037122 A KR20080037122 A KR 20080037122A KR 101467265 B1 KR101467265 B1 KR 101467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rotary shaft
door
shaft portion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7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1486A (ko
Inventor
박상규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7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7265B1/ko
Publication of KR20090111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1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7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7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21Driving arrangements for parts of a vehicle air-conditio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조케이스(1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몸체(210)와 상기 도어몸체(210)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공조케이스(100)의 외측면(110)으로 회전 가능하게 돌출되는 회전축부(220)로 이루어진 도어(200) 및 상기 도어(200)의 회전축부(220)에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조작력을 상기 회전축부(220)로 전달하여 도어(200)를 회전시키는 아암(300)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도어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아암(300)은, 상기 회전축부(22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단일 몸체의 와이어 부재로 이루어지며, 일측단부(310)는 상기 회전축부(220) 내부에 삽입 결합됨과 아울러, 타측단부(320)는 상기 회전축부(220)의 중심축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연장 형성되게 구성함으로써,
타측단부(320)를 캠(400)에 구비된 작동 슬롯(410)의 길이에 따라 절곡하여 탄력적으로 작동 반경을 가변시킬 수 있고, 아암(300)의 작동 범위를 축소시킬 수 있으며, 외관이 단일 몸체의 와이어 형상으로 단순하여 설계 디자인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차량, 공기, 조화, 도어, 구동, 아암, 캠

Description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도어 구동장치{A DOOR DRIVING DEVICE IN AIR CONDITIONER UNIT FOR A CAR}
본 발명은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도어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암의 타측단부를 캠에 구비된 작동 슬롯의 길이에 따라 절곡하여 탄력적으로 작동 반경을 가변시킬 수 있고, 아암의 작동 범위를 축소시킬 수 있으며, 외관이 단일 몸체의 와이어 형상으로 단순하여 설계 디자인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도어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는, 외부 환경에 관계없이 자동차의 실내를 쾌적하게 유지시킴과 아울러 우천시나 동절기에 윈드 실드에 끼게되는 서리나 성에를 제거하여 운전자의 전후방 시야가 확보될 수 있게 할 목적으로 설치되는 자동차의 내장품이다.
이러한 공기조화장치는, 통상 난방시스템과 냉방시스템을 동시에 갖추고 있어서, 외기나 내기를 선택적으로 도입하여 이를 가열 또는 냉각시켜 자동차의 실내에 공급함으로써 자동차 실내를 난방 또는 냉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가진 공기조화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측에 공기유입구(11)가 형성되고 출구측에는 각각 회전축부(16a)를 매개로 회전 작동되는 모드도어(16)에 의해 개도가 조절되는 디프로스트 벤트(12a), 페이스 벤트(12b) 및 플로어 벤트(12c)가 설치된 공조케이스(10)와; 상기 공조케이스(10)에 내장되는 증발기(2) 및 히터코어(3)와; 상기 증발기(2)와 히터코어(3)의 사이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히터코어(3)를 바이패스하는 냉풍통로(P1)와 상기 히터코어(3)를 통과하는 온풍통로(P2)의 개도를 조절하기 위해 회전축부(15a)를 매개로 하여 회전 작동되는 온도조절도어(15)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공조케이스(10)의 공기유입구(11)측에는 내/외기 전환도어(미도시)에 의해 개도가 조절되는 내/외기 유입구(미도시)를 통해 내/외기를 선택적으로 도입하여 공조케이스(10)내로 송풍하는 송풍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공조케이스(10)내에 설치되는 도어(모드도어;16, 온도조절도어;15)들는 별도의 구동장치에 의해 작동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도어 구동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케이스(10)의 외측면(10a)으로는 도어(미도시)의 회전축부(15a,16a)가 회동 가능한 상태로 돌출되어 있고, 이 도어의 회전축부(15a,16a)는 대략 부채꼴 형상으로 된 아암(20)의 일단부(20a)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아암(20)의 타단부(20b)에는 핀(21)이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는데, 이 핀(21)은 도어의 회전축부(15a,16a)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공조케이스(10) 외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캠(30)과 연결되어 있다.
즉, 캠(30)은 도어의 회전축부(15a,16a)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공조케이스(10) 외측면(10a)에 돌출 형성된 힌지부(10b)와 결합되어 회동될 수 있도록 결합공(30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아암(20)의 타단부(20b)에 돌출되게 설치된 핀(21)은 캠(30)의 외곽부에 외곽부에 일정 구간 형성된 작동 슬롯(31)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캠(30)을 공조케이스(10)의 외측면(10a)에 대해 소정 각도 회동시키게 되면, 아암(20)의 연동 작용에 의해 도어가 회전축부(15a,16a)와 함께 공조케이스(10)의 내부에서 적절한 위치로 회동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도어는 전술한 모드도어(16) 또는 온도조절도어(15)에 해당된다.
전술한 도어 구동장치의 구성 요소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아암(20)은 대략 타단부(20b)에 타단부(20a)로 갈수록 부채꼴 형상으로 확대되는 구조로 사이즈가 크게 이루어져 있는데, 아암(20)의 타단부(20b)에는 캠(30)의 외곽부에 일정 구간 형성된 작동 슬롯(31)에 삽입되어 캠(30)의 회전시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슬롯(31)을 따라 이동하는 핀(21)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아암(20)의 일단부(20a)는 외부링(22)과, 이 외부링(22)내에 위치되어 별도의 브릿지부(23)를 매개로 일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도어의 회전축부(15a,16a)가 삽입되는 축부 삽입공(24a)이 형성된 내부링(24)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부링(24)중 일부는 축부 삽입공(24a)의 중심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는 후크부(25)가 절개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 후크부(25)는 축부 삽입공(24a)에 삽입된 회전축부(15a,16a)의 외면에 요입되게 형성된 걸림턱(15c,16c)에 걸려지게 되는 것으로, 도어의 회전축부(15a,16a)가 아암(20)의 내부링(24)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축부(15a,16a)로부터 아암(20)이 이탈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도어 구동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아암(20) 주변의 공조케이스(10) 외측면(10a)에 캠구동용 엑츄에이터(미도시)를 설치하기 위한 다수의 보스(10c)를 형성하는데, 종래 기술에 의한 아암(20)의 일단부(20a) 구조가 외부링(22)과, 외부링(22)내에 위치되어 별도의 브릿지부(23)를 매개로 일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도어의 회전축부(15a,16a)가 삽입되는 축부 삽입공(24a)이 형성된 내부링(25)으로 이루어져 사이즈가 크고, 아암(20)의 전체 외관 형상이 부채꼴 형상으로 사이즈가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캠(30)의 회전시 소정 각도 회전되는 아암(20)의 회전 반경(R) 및 작동 반경(R)이 커지게 된다. 즉, 아암(20)의 일단부(20a)에 설치된 회전축부(15a,16a)로부터 핀(21)까지의 회전 반경이 커지게 됨게 아울러 작동 반경이 커지게 되며, 이로 인해 캠(30)의 작동 슬롯(31)의 길이도 길게 형성하여야 하며, 작동 슬롯(31)의 길이가 연장됨에 따라 캠(30)의 회전 영역이 증가되어 캠(30)의 작동 범위를 벗어나는 위치를 고려하여 다수의 보스(10c)를 형성해야 하는 설계상의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아암(20)의 작동 범위(P)내에는 상기 보스(10c) 이외의 또 다른 보스등을 형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종래 기술에 의한 아암(20)의 일단부(20a) 구조가 외부링(22)과, 외부링(22)내에 위치되어 별도의 브릿지부(23)를 매개로 일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도어의 회전축부(15a,16a)가 삽입되는 축부 삽입공(24a)이 형성된 내부링(25)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부링(24)중 일부는 축부 삽입공(24a)의 중심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는 후크부(25)가 절개된 구성으로 복잡하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의 제작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셋째, 종래 기술의 아암(20)은 공기조화장치별로 항상 동일한 사이즈를 사용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사이즈가 달라질 수 있는데, 이때 사이즈가 달라질 때마다 디자인 설계 및 금형 제작을 다시 하여야 함에 따른 추가 제작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아암의 타측단부를 캠에 구비된 작동 슬롯의 길이에 따라 절곡하여 탄력적으로 작동 반경을 가변시킬 수 있고, 아암의 작동 범위를 축소시킬 수 있으며, 외관이 단일 몸체의 와이어 형상으로 단순하여 설계 디자인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도어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몸체와 상기 도어몸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공조케이스의 외측면으로 회전 가능하게 돌출되는 회전축부로 이루어진 도어 및 상기 도어의 회전축부에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조작력을 상기 회전축부로 전달하여 도어를 회전시키는 아암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도어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아암은, 상기 회전축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단일 몸체의 와이어 부재로 이루어지며, 일측단부는 상기 회전축부 내부에 삽입 결합됨과 아울러, 타측단부는 상기 회전축부의 중심축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도어 구동장치에 따르면, 아암의 타 측단부를 캠에 구비된 작동 슬롯의 길이에 따라 절곡하여 탄력적으로 작동 반경을 가변시킬 수 있고, 아암의 작동 범위를 축소시킬 수 있으며, 외관이 단일 몸체의 와이어 형상으로 단순하여 설계 디자인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도어 구동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 구동장치에에서 캠의 회전 상태에 따른 아암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아암이 회전축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확대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평면도이며, 도 10은 도 9에서의 지시선 "A-A"부의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9에서의 지시선 "B-B"부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공조케이스(1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몸체(210)와 이 도어몸체(210)에 일체로 형성되어 공조케이스(100)의 외측면(110)으로 회전 가능하게 돌출되는 회전축부(220)로 이루어진 도어(200) 및 도어(200)의 회전축부(220)에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조작력을 회전축부(220)로 전달하여 도어(200)를 회전시키는 아암(300)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도어 구동장치에 있어서, 아암(300)의 구조를 개량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아암(300)은, 좀더 상세하게는 도 5, 도 8, 도 9, 도 10,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암(300)은, 회전축부(22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단일 몸체의 와이어 부재로 이루어지며, 일측단부(310)는 회전축부(220) 내부에 삽입 결합됨과 아울러, 타측단부(320)는 회전축부(220)의 중심축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아암(300)을 회전축부(220)의 직경(D)보다 작은 직경(d)의 와이어부재로 구성함으로써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아암(20)과 비교한 결과 사이즈를 축소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아암(300)의 작동 범위(P1;도 6참조)를 축소시킬 수 있으며, 외관이 단순하여 설계 디자인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아암(300)을 구성하는 와이어부재를 강성이 있는 스틸(STEEL)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아암(300)의 타측단부(320)로 회전력이라는 조작력이 가해져도 휘어지지 않게 되는 등 내구성이 우수하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아암(300)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일례로 일직선으로 된 일정한 길이의 아암 본체(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일측단부(310)는 아암 본체(330)의 일측에서 절곡 연장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부(220)에 삽입 결합되며, 타측단부(320)는 아암 본체(330)의 타측에서 절곡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일측단부(310)와 타측단부(320)의 절곡 각도는 아암 본체(330)에 대해 수직으로 절곡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일측단부(310)와 타측단부(320)를 서로 반대 방향이 되게 절곡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일측단부(310)와 타측단부(320)의 절곡 방향을 아암 본체(330)를 기준으로 하여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방향으로 절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아암 본체(330)는, 상기 회전축부(220)의 단부면(221)에 지지 고정되도록 회전축부(220)의 단부면을 따라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회전축부(220)는, 그 단부면(221)에 위치한 아암 본체(330)를 고정함으로써, 회전축부(220)로부터 아암(30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이탈방지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이 이탈방지수단 일 실시예로 도면상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별도의 커버판을 회전축부(220)의 단부면(221)에 덧대어 고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미도시된 커버판을, 회전축부(220)의 단부면(221)으로 노출된 아암 본체(330)의 일부(331)를 커버하여 회전축부(220)의 단부면(221)에 덧대어 고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이탈방지수단은 회전축부(220)로부터 아암(30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 뿐만 아니라 아암 본체(330)가 회전축부(220)의 단부면(221)에 밀착되어 지지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도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아암(300)을 단일 몸체의 와이어 부재를 이용하여 형성함에 따라, 도어(200)의 회전축부(220)와 아암(300) 사이에 체결력이 약화될 우려가 있다. 이에, 아암(300)의 회전시 도어(200)의 회전축부(220)와 아암(300)간의 상대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아암(300)의 일측단부(310)가 회전축부(220)의 축방향을 따라 삽입 장착되도록 함과 아울러, 회전축부(200)의 단부면(221)에 아암 본체(330)가 밀착되어 고정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회전축부(220)와 아암(300)의 체결력을 높 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면상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아암(300)의 일측단부(310) 또는 전체의 횡단면을 각형의 단면 또는 비원형 단면 구조로 하고, 이 일측단부(310)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단면 형상으로 회전축부(220)의 단부면(221)에 삽입홈을 형성하는 경우에도 아암(300)의 회전시 도어(200)의 회전축부(220)와 아암(300)간의 상대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아암(300)은 공기조화장치별로 항상 동일한 사이즈를 사용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사이즈가 달라질 수 있는데, 이때 사이즈가 달라질 때마다 아암(300)을 구성하는 아암 본체(330)로부터 일측단부(310)와 타측단부(320)의 절곡 지점을 변경하여, 아암 본체(330)의 길이를 다르게 할 수 있음으로 인해, 아암(300)의 작동 반경(R1;도 9참조)을 가변시켜 대부분의 공기조화장치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등 공용화의 실현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300)의 일측단부(310) 중심(O1)이 회전축부(220)의 중심(O2)으로부터 편심되는 위치에, 아암(300)의 일측단부(310)가 회전축부(220)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렇게 함으로써, 아암(300)의 타측단부(320)로 전달된 회전력이라는 조작력에 의해 아암(300)의 회전시 최대한 큰 힘으로 회전축부(220)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6, 도 8,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부(220)에 는, 아암(300)의 일측단부(310)가 삽입 결합되도록 회전축부(220)의 내부에 형성된 제1 삽입홈(221a)과, 아암 본체(330)가 삽입 결합되도록 회전축부(220)의 단부면(221)에 형성된 제2 삽입홈(221b)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좀더 상세하게는 회전축부(220)에는 단부면(221)에서 시작되어 내부로 일측단부(310)와 이에 인접한 아암 본체(330)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일측단부(310)가 삽입되는 제1 삽입홈(221a)과, 아암 본체(330)의 일부(331)가 삽입되는 제2 삽입홈(221b)이 형성되되, 제1 삽입홈(221a)과 제2 삽입홈(221b)은 서로 연결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아암(300)의 타측단부(320)로 회전력이 가해질때 일측단부(310)와 아암 본체(330)의 일부(331)가 제1,2 삽입홈(221a)(221b)에 동시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아암(300)의 타측단부(320)로 가해진 회전력을 보전한 상태로 회전축부(220)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부언하면, 아암 본체(330)의 일부(331)가 제2 삽입홈(221b)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 삽입홈(221b)의 내측벽면(221b-1)에 지지되기 때문에 아암(300)의 타측단부(320)로 가해진 회전력을 보전한 상태로 회전축부(220)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면상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회전축부(220)에 제2 삽입홈(221b)를 형성하지 않고 제1 삽입홈(221a)만을 형성하되, 이 제1 삽입홈(221a)의 내벽면을 각지게 형성하고, 제1 삽입홈(221a)의 내벽면 형상에 대응하는 외면 형상으로 아암(300)의 일측단부(310)를 형성하여, 이 일측단부(310)만이 제1 삽입홈(221a)에 삽입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에 아암 본체(330)는 회전축부(220)의 단부면(221)에 접촉되어 이 단부면(221)을 따라 평행한 상태가 된다.
즉, 상기 아암 본체(330)는, 아암(300)의 일측단부(310)만 제1 삽입홈(221a)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축부(220)의 단부면(221)에 지지 고정되도록 회전축부(220)의 단부면을 따라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제1 삽입홈(221a)과 제2 삽입홈(221b)에 삽입된 아암(300)이 회전축부(2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수단을 더 구비한다.
이 이탈방지수단은 회전축부(220)과 아암(300)을 결합 상태를 공고히 하는 역할을 하고, 공조케이스(100)내에 도어를 조립한 상태에서 아암(300)를 회전축부(220)에 조립한 후 운반시 가조립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도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이탈방지수단은 제2 삽입홈(221b)의 개구부(221c)측에 형성된 후크(222)로 구성할 수 있다.
부언하면, 제2 삽입홈(221b)의 양내측벽면(221b-1)중 제2 삽입홈(221b)의 개구부(221c)에 해당되는 양내측벽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후크(222)로 구성한다.
여기서, 후크(222)는 회전축부(220)와 동일한 재질인 합성수지재인 것으로, 아암(300)의 아암 본체(330)의 일부(331) 및 일측단부(310)를 제2 삽입홈(221b) 및 제1 삽입홈(221a)에 동시에 외력을 가하여 삽입하게 되면, 후크(222)는 일부 파손되면서 아암 본체(330)의 일부(331)가 제2 삽입홈(221b)내로 삽입 안착될 수 있게 된다.
이때, 후크(222)가 일부 파손되기는 하나, 제2 삽입홈(221b)내로 삽입된 아암 본체(330)의 일부(331)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은 여전히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후크(222) 사이의 폭(W)이 제2 삽입홈(221b)내로 삽입된 아암 본체(330)의 일부(331) 외경(d)보다 좁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이제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구성에서, 아암(300)의 일측단부(310)가 회전축부(220)의 단부면(221)으로부터 축방향으로 형성된 제1 삽입홈(221a)에 삽입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설계상 필요에 따라 회전축부(220)의 단부면(221)이 아닌 회전축부(220)의 원주면에 장착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구성에서 도 5, 도 6,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300)의 타측단부(320)에 회전력을 가하기 위해, 회전축부(220)로부터 편심된 위치의 공조케이스(100) 외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아암(300)의 타측단부(320)가 삽입 결합되어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일정 길이의 작동 슬롯(410)이 구비된 캠(40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캠(400)의 회전에 따라 타측단부(320)가 작동 슬롯(410)내에서 이동되면서 아암(300)이 회전되어 회전축부(220)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캠(400)을 구비하게 되는 경우, 아암(300) 주변의 공조케이스(100) 외측면에 캠구동용 엑츄에이터(미도시)를 설치하기 위한 다수의 보스(500)를 형성하는데, 본 발명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아암(20)과 비교한 결과, 아암(300)의 작동 범위(P1;도 6참조)를 축소시킬 수 있음에 따라 종래 보다 다수의 보스(500)들의 형성 반경을 축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본 발명의 아암(300)의 작동 범위(P1)와 중첩되지 않게 바로 인접하여 상기 보스(500) 이외의 다른 보스 등의 구조물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아암(300)의 일측단부(310)가 결합되는 회전축부(220)로부터 타측단부(320)까지의 작동 반경(R1:도 9참조)을 축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캠(500)의 작동 슬롯(410)의 길이를 작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캠(400)의 사이즈 및 작동 역역을 축소시킬 수 있어, 종래보다 캠구동용 액츄에이터를 설치하기 위한 다수의 보스(500)들의 전체 설치 반경을 축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아암(300)의 일측단부(310)가 회전축부(220)로부터 설치된 지점으로부터 타측단부(320)까지의 작동 반경을 축소시킬 수 있는 또 다른 이유로는,아암(300)의 일측단부(310) 중심(O1)이 회전축부(220)의 중심(O2)으로부터 편심되는 위치에, 아암(300)의 일측단부(310)가 회전축부(220)에 결합되도록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아암(300)의 타측단부(320)를 캠(400)에 구비된 작동 슬롯(410)의 길이에 따라 절곡하여 탄력적으로 작동 반경(R1)을 가변시켜 제작하여 공조케이스(100)에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캠(400)을 매개로 하여 회전력을 가하지 않고, 아암(300)의 타측단부(320)에 직접 외력을 가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제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도어(200)는 종래 기술에서 언급한 모드 도어(16)와 온도조절도어(15)에 모두 적용 가능하며, 뿐만 아니라 공조케이스내로 내기 또는 외기를 선택적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내/외기 전환도어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도어 구동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 도 4는 종래 기술에 의한 도어 구동장치에서 캠의 회전 상태에 따른 아암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도어 구동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 구동장치에에서 캠의 회전 상태에 따른 아암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아암이 회전축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확대 사시도.
도 9는 도 8의 평면도.
도 10은 도 9에서의 지시선 "A-A"부의 단면도.
도 11은 도 9에서의 지시선 "B-B"부의 단면도.
도 12는 종래 기술의 아암과 본 발명의 아암을 서로 오버랩시켜서 비교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공조케이스 200 : 도어 210 : 도어 몸체 220 : 회전축부 221 : 단부면 300 : 아암 310 : 일측단부 20 : 타측단부

Claims (8)

  1. 공조케이스(1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몸체(210)와 상기 도어몸체(210)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공조케이스(100)의 외측면(110)으로 회전 가능하게 돌출되는 회전축부(220)로 이루어진 도어(200) 및 상기 도어(200)의 회전축부(220)에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조작력을 상기 회전축부(220)로 전달하여 도어(200)를 회전시키는 아암(300)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도어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아암(300)은,
    상기 회전축부(22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단일 몸체의 와이어 부재로 이루어지며, 일측단부(310)는 상기 회전축부(220) 내부에 삽입 결합됨과 아울러, 타측단부(320)는 상기 회전축부(220)의 중심축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아암(300)은, 일정한 길이의 아암 본체(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일측단부(310)는 상기 아암 본체(330)의 일측에서 절곡 연장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부(220)에 삽입 결합되고, 상기 타측단부(320)는 상기 아암 본체(330)의 타측에서 절곡 연장 형성되며;
    상기 아암 본체(330)는, 상기 회전축부(220)의 단부면(221)에 지지 고정되도록 회전축부(220)의 단부면(221)을 따라 평행하게 연장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도어 구동장치.
  2. 삭제
  3. 삭제
  4. 공조케이스(1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몸체(210)와 상기 도어몸체(210)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공조케이스(100)의 외측면(110)으로 회전 가능하게 돌출되는 회전축부(220)로 이루어진 도어(200) 및 상기 도어(200)의 회전축부(220)에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조작력을 상기 회전축부(220)로 전달하여 도어(200)를 회전시키는 아암(300)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도어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아암(300)은,
    상기 회전축부(22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단일 몸체의 와이어 부재로 이루어지며, 일측단부(310)는 상기 회전축부(220) 내부에 삽입 결합됨과 아울러, 타측단부(320)는 상기 회전축부(220)의 중심축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아암(300)은, 일정한 길이의 아암 본체(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일측단부(310)는 상기 아암 본체(330)의 일측에서 절곡 연장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부(220)에 삽입 결합되고, 상기 타측단부(320)는 상기 아암 본체(330)의 타측에서 절곡 연장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부(220)는, 그 단부면(221)에 위치한 상기 아암 본체(330)를 고정함으로써, 회전축부(220)로부터 상기 아암(30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이탈방지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도어 구동장치.
  5. 공조케이스(1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몸체(210)와 상기 도어몸체(210)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공조케이스(100)의 외측면(110)으로 회전 가능하게 돌출되는 회전축부(220)로 이루어진 도어(200) 및 상기 도어(200)의 회전축부(220)에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조작력을 상기 회전축부(220)로 전달하여 도어(200)를 회전시키는 아암(300)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도어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아암(300)은,
    상기 회전축부(22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단일 몸체의 와이어 부재로 이루어지며, 일측단부(310)는 상기 회전축부(220) 내부에 삽입 결합됨과 아울러, 타측단부(320)는 상기 회전축부(220)의 중심축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아암(300)은, 일정한 길이의 아암 본체(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일측단부(310)는 상기 아암 본체(330)의 일측에서 절곡 연장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부(220)에 삽입 결합되고, 상기 타측단부(320)는 상기 아암 본체(330)의 타측에서 절곡 연장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부(220)는,
    상기 아암(300)의 일측단부(310)가 삽입 결합되도록 상기 회전축부(220) 내부에 형성된 제1 삽입홈(221a)과, 상기 아암 본체(330)가 삽입 결합되도록 상기 회전축부(220)의 단부면(221)에 형성된 제2 삽입홈(221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도어 구동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홈(221a)과 제2 삽입홈(221b)에 삽입된 아암(300)이 상기 회전축부(2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도어 구동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제2 삽입홈(221b)의 개구부(221c)에 형성된 후크(22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도어 구동장치.
  8. 공조케이스(1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몸체(210)와 상기 도어몸체(210)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공조케이스(100)의 외측면(110)으로 회전 가능하게 돌출되는 회전축부(220)로 이루어진 도어(200) 및 상기 도어(200)의 회전축부(220)에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조작력을 상기 회전축부(220)로 전달하여 도어(200)를 회전시키는 아암(300)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도어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아암(300)은,
    상기 회전축부(22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단일 몸체의 와이어 부재로 이루어지며, 일측단부(310)는 상기 회전축부(220) 내부에 삽입 결합됨과 아울러, 타측단부(320)는 상기 회전축부(220)의 중심축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아암(300)의 일측단부(310) 중심이 상기 회전축부(220)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되는 위치에, 상기 아암(300)의 일측단부(310)가 상기 회전축부(22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도어 구동장치.
KR1020080037122A 2008-04-22 2008-04-22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도어 구동장치 KR101467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7122A KR101467265B1 (ko) 2008-04-22 2008-04-22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도어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7122A KR101467265B1 (ko) 2008-04-22 2008-04-22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도어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1486A KR20090111486A (ko) 2009-10-27
KR101467265B1 true KR101467265B1 (ko) 2014-12-01

Family

ID=41539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7122A KR101467265B1 (ko) 2008-04-22 2008-04-22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도어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726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4919U (ja) * 1992-03-18 1993-10-12 株式会社クボタ キャビンの空調装置
JP2003175716A (ja) * 2001-12-12 2003-06-24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KR20040073858A (ko) * 2003-02-15 2004-08-21 한라공조주식회사 공조유니트
JP2007152982A (ja) * 2005-11-30 2007-06-21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用ドア手段の組付機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4919U (ja) * 1992-03-18 1993-10-12 株式会社クボタ キャビンの空調装置
JP2003175716A (ja) * 2001-12-12 2003-06-24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KR20040073858A (ko) * 2003-02-15 2004-08-21 한라공조주식회사 공조유니트
JP2007152982A (ja) * 2005-11-30 2007-06-21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用ドア手段の組付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1486A (ko) 2009-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68417A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US10525795B2 (en) Vehicle air-conditioning device
EP2104017B1 (en) Rotary switch assembly for air conditioner in vehicle
KR101467265B1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도어 구동장치
KR101492148B1 (ko) 자동차 공기조화장치
KR10123847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0932627B1 (ko) 차량의 공조장치용 캠과 액츄에이터 결합구조
JP2001080347A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080009385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온도조절도어 조립구조
KR101481693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145276Y1 (ko) 자동차용 공기 조화 케이스
KR200151005Y1 (ko) 차량용 공기 조화 케이스
KR20040102529A (ko) 공기조화장치용 도어 구동유닛
KR100531638B1 (ko) 온도편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에어컨디셔닝 도어용 듀얼액츄에이터 장치 및 그 액츄에이터
KR101492149B1 (ko) 차량 공조장치용 캠 및 구동유닛 조립체
KR10253661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37511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0845263B1 (ko) 자동차 공조장치의 도어조작용 캠기구
KR200310307Y1 (ko)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
KR101445555B1 (ko) 차량 공조장치용 캠 및 구동유닛의 조립체
JP2002274158A (ja) 空調装置のリンクプレート構造
KR20080009400A (ko) 공조장치의 모드 스위치 조립체
KR101030501B1 (ko)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용 액츄에이터의 모터 결합구조 및 체결 방법
KR20100087792A (ko) 차량 공조장치용 캠과 엑츄에이터 조립체
KR101960833B1 (ko) 차량용 듀얼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