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9110B1 -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해초의 가공방법 및 그 해초를 이용한 해초샐러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해초의 가공방법 및 그 해초를 이용한 해초샐러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9110B1
KR101459110B1 KR1020140057419A KR20140057419A KR101459110B1 KR 101459110 B1 KR101459110 B1 KR 101459110B1 KR 1020140057419 A KR1020140057419 A KR 1020140057419A KR 20140057419 A KR20140057419 A KR 20140057419A KR 101459110 B1 KR101459110 B1 KR 101459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eed
seaweeds
deep
cooling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7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창현
Original Assignee
백창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창현 filed Critical 백창현
Priority to KR1020140057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91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9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9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6Inorganic salts, minerals or trac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Edible Seawe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해초의 가공방법 및 그 해초를 이용한 해초샐러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초를 데치는 데침단계, 상기 데침단계를 통해 데쳐진 해초를 냉각하는 냉각단계, 상기 냉각단계를 통해 냉각된 해초를 염장하는 염장단계, 상기 염장단계를 통해 염장된 해초를 해양심층수로 세척하는 세척단계, 상기 세척단계를 통해 세척된 해초를 해양심층수에 침지하는 침지단계 및 상기 침지단계를 통해 침지된 해초를 건조하는 건조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의 과정을 통해 가공된 해초에 조미액을 혼합하여 해초샐러드로 제조된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가공되는 해초는 무기염류 및 미네랄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해양심층수와, 그 해양심층수로 제조된 해양심층수 소금으로 가공되어 인체에 유익하며 건강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해초의 가공방법 및 그 해초를 이용한 해초샐러드의 제조방법 {PROCESSING METHOD OF SEAWEED USING DEEP OCEAN WAT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EAWEED SALAD USING THE SEAWEED}
본 발명은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해초의 가공방법 및 그 해초를 이용한 해초샐러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기염류 및 미네랄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해양심층수와, 그 해양심층수로 제조된 해양심층수 소금으로 가공되어 인체에 유익하며 건강을 증진시키는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해초의 가공방법 및 그 해초를 이용한 해초샐러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용 해조류는 바다에서 자생 또는 양식되어지는 다시마, 미역, 김, 파레, 우뭇가사리, 톳과 같이 식용가능한 녹조류 및 갈조류, 홍조류를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해조류에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및 비타민 C와 같은 비타민 성분과 미네랄과 같은 무기질 성분, 타우린(taurine)과 엔-3(n-3) 지방산, 알긴산(alginic acid), 퓨코이단(fucoidan), 라미아린(lamiarin), 펙틴(pectin) 등과 같은 각종 아미노산과 식이섬유가 매우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섭취시 인체의 생리활성을 도모할 수 있으며, 웰빙시대를 맞아 훌륭한 자연식품 재료로써 여러 가지 형태로 조리되어 식생활에 이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해조류를 일반 소금으로 염장하여 가공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는데, 일반 소금으로 염장된 해조류는 염분의 함량이 높기 때문에, 다량 섭취시 성인병, 빈혈 및 체내 노폐물 축적 등과 같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해양심층수란 태양광이 도달하지 않는 수심 200m 이하의 깊은 바다 속에 위치하는 바닷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일본 수산청의 수산 심층수 협의회에서는 광합성에 의한 유기물 생성이 없고, 겨울철에 연직 혼합작용이 발생하지 않는 수심 200m이하의 해수를 해양심층수라고 정의하고 있다. 이러한 해양심층수는 생명활동에 필요한 무기 영양염이 다량 포함된 부영양성(富營養性), 화학물질에 의한 오염이 없는 청정성(淸淨性), 온도 변화가 거의 없는 저온 안정성(低溫安定性), 20기압 이상의 수압에서 오랜 세월에 걸쳐 숙성된 숙성성(熟成性) 등의 특성을 가진 해양자원으로서, 수산분야(양식), 에너지 분야(냉방), 제품 분야(식품, 소금, 술, 생수, 화장품), 의료 분야(아토피성 피부치료) 등에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특히, 해양심층수에는 마그네슘, 칼슘, 칼륨, 및 나트륨의 4대 미네랄을 비롯하여, 아연, 셀렌, 망간 등의 각종 미네랄 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담수화를 통하여 미네랄수의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의 해양심층수로부터 생산된 소금은 환경오염물질이 전혀 함유되어 있지 않으며 표층 해수에서 생산된 소금에 비해 염분과 유해 금속의 농도도 낮으면서 인체에 유용한 다양한 미네랄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한국특허등록 제10-1155082호(2012.06.04). 한국특허등록 제10-0686979호(2007.02.20).
본 발명의 목적은 무기염류 및 미네랄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해양심층수와, 그 해양심층수로 제조된 해양심층수 소금으로 가공되어 인체에 유익하며 건강을 증진시키는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해초의 가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의 가공방법을 통해 가공된 해초에 조미액을 혼합하여 해초의 갈변이 방지되고 우수한 맛과 식감 등을 나타내는 해초샐러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해초를 데치는 데침단계, 상기 데침단계를 통해 데쳐진 해초를 냉각하는 냉각단계, 상기 냉각단계를 통해 냉각된 해초를 염장하는 염장단계, 상기 염장단계를 통해 염장된 해초를 해양심층수로 세척하는 세척단계 및 상기 세척단계를 통해 세척된 해초를 해양심층수에 침지하는 침지단계 및 상기 침지단계를 통해 침지된 해초를 건조하는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해초의 가공방법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해초는 미역, 다시마, 톳, 꼬시래기, 한천, 김, 파래 및 매생이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데침단계는 85 내지 100℃의 해양심층수에 해초를 투입하고 5 내지 60초 동안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냉각단계는 상기 데침단계를 통해 데쳐진 해초를 5 내지 10℃의 냉각수로 냉각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염장단계는 상기 냉각단계를 통해 냉각된 해초 100 중량부에 해양심층수 소금 15 내지 25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세척단계는 상기 염장단계를 통해 염장된 해초의 염도가 2%를 나타내도록 해양심층수로 세척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침지단계는 상기 세척단계를 통해 세척된 해초를 해양심층수에 1 내지 5분 동안 침지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건조단계는 상기 침지단계를 통해 침지된 해초의 수분함량이 15%를 나타내도록 건조기로 건조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해초의 가공방법을 통해 가공된 해초 100 중량부에 조미액 3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초샐러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조미액은 과실추출물 100 중량부에 첨가제 10 내지 3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과실추출물은 매실추출물, 대추추출물 및 자몽추출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첨가제는 당성분, 소금, 식초 및 색소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당성분은 설탕, 만니톨 및 솔비톨이 1:1:1의 중량부로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해초의 가공방법은 무기염류 및 미네랄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해양심층수와, 그 해양심층수로 제조된 해양심층수 소금으로 가공되어 인체에 유익하며 건강을 증진시키는 해초를 제공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해초샐러드의 무기염류 및 미네랄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해초에 조미액을 혼합하여 해초의 갈변이 방지되고 우수한 맛과 식감 등을 나타내는 해초샐러드를 제공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해초의 가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해초의 가공방법은 해초를 해양심층수로 데치는 데침단계(S101), 상기 데침단계(S101)를 통해 데쳐진 해초를 냉각하는 냉각단계(S103), 상기 냉각단계(S103)를 통해 냉각된 해초를 해양심층수 소금으로 염장하는 염장단계(S105), 상기 염장단계(S105)를 통해 염장된 해초를 세척하는 세척단계(S107), 상기 세척단계(S107)를 통해 세척된 해초를 해양심층수에 침지하는 침지단계(S109) 및 상기 침지단계(S109)를 통해 침지된 해초를 건조하는 건조단계(S111)로 이루어진다.
상기 데침단계(S101)는 해초를 데치는 단계로, 85 내지 100℃의 표층수 또는 해양심층수에 해초를 투입하고 5 내지 60초 동안 데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데, 더욱 상세하게는 표층수 또는 해양심층수를 가열장치가 구비된 탱크에 투입하고 85 내지 100℃의 온도로 가열한 상태에서 해초를 투입하고 5 내지 60초 동안 교반해 주면서 데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여기서, 표층수는 통상적으로 바다표면에서 채취한 바닷물(해수표면으로부터 100m 까지의 바닷물)을 의미한다.
상기의 데침단계(S101)를 통해 표층수 또는 해양심층수로 해초를 데치면 해초의 식감이 향상되고 비린내가 제거되고, 상기의 조건에서 데치는 과정을 통해 해양심층수에 함유된 무기염류 및 미네랄 성분이 해초에 함유된다.
이때, 상기 해초는 미역, 다시마, 톳, 꼬시래기, 한천, 김, 파래 및 매생이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해양심층수는 용존산소(DO)가 7.26 내지 9.68 mg/L으로서, 각종 무기염류와 미네랄이 다량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조건에서 해양심층수도 데쳐진 해초는 상기의 무기염류와 미네랄이 다량 함유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해양심층수는 동해 고성에서 취수되며, 수심 200 내지 1,000m에서 취수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동해 고성에서 수득된 수심 600m의 해양심층수의 무기염류 및 미네랄 함량을 아래 표 1에 나타내었으며, 수질검사 자료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112014044999677-pat00001

<표 2>
Figure 112014044999677-pat00002

상기 냉각단계(S103)는 상기 데침단계(S101)를 통해 데쳐진 해초를 냉각하는 단계로, 상기 데침단계(S101)를 통해 데쳐진 해초를 5 내지 10℃의 냉각수로 냉각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데침단계(S101)를 통해 데쳐진 해초를 터널식 수로에 냉각수와 함께 투입하여 상기의 냉각수의 온도 범위로 해초를 급냉하는 단계다.
상기의 냉각단계(S103)를 통해 급냉된 해초는 형태가 뭉그러지지 않고 찰기가 유지되어 우수한 식감을 나타내며, 해초가 갖는 영양소, 맛 및 향이 보존된다.
이때, 상기 냉각수는 일반 표층수가 사용되거나 해양심층수가 사용될 수 있는데, 냉각수로 해양심층수를 사용하게 되면, 무기염류와 미네랄의 함량이 더욱 향상된 해초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때 사용되는 해양심층수는 상기 데침단계(S101)에서 사용되는 해양심층수와 그 성분이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염장단계(S105)는 상기 냉각단계(S103)를 통해 냉각된 해초를 염장하는 단계로, 상기 냉각단계(S103)를 통해 냉각된 해초를 일반소금이나 해양심층수 소금으로 염장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염장단계(S105)는 상기 냉각단계(S103)를 통해 냉각된 해초 100 중량부에 일반소금이나 해양심층수 소금 15 내지 25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냉각단계(S103)를 통해 냉각된 해초에 일반소금이나 해양심층수 소금을 혼합한 상태에서 저장탱크에 투입하고 20 내지 30시간 동안 염장하게 되면, 해초의 염도가 20% 내외로 조절된다.
이때, 상기 해양심층수 소금은 한국특허등록 제10-0899014호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의 선행기술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되, 상기에 기재된 동해 고성에서 취수된 해양 심층수를 적용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의 과정을 통해 제조되는 해양심층수 소금은 무기염류와 미네랄이 다량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의 해양심층수 소금으로 염장된 해초는 무기염류와 미네랄의 함량이 더욱 향상된다.
상기 세척단계(S107)는 상기 염장단계(S105)를 통해 염장된 해초를 세척하는 단계로, 상기 염장단계(S105)를 통해 염장된 해초의 염도가 2%를 나타내도록 해양심층수로 세척하여 이루어지는데,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염장단계(S105)를 통해 염장된 해초를 염도 측정장치 등을 이용하여 확인하는 과정을 거치며 해양심층수의 원수로 세척하여 해초의 염도를 3%로 조절한 후에, 염도가 3%로 조절된 해초를 탈염수 처리된 해양심층수로 다시 세척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해초의 염도를 2%로 조절하는 과정으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세척단계(S107)는 총 30 내지 60분 동안 이루어지며, 상기 세척단계(S107)에서 사용되는 해양심층수는 상기 데침단계(S101)에서 사용되는 해양심층수와 동일한 성분이 사용되며, 상기와 같이 세척단계(S107)에서도 해양심층수가 사용되면, 해양심층수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무기염류와 미네랄 성분이 해초에 더욱 많이 함유될 수 있다.
상기 침지단계(S109)는 상기 세척단계(S107)를 통해 세척된 해초를 해양심층수에 침지하는 단계로, 상기 세척단계를 통해 세척된 해초를 해양심층수에 1 내지 5분 동안 침지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때, 상기 해양심층수는 상기 데침단계(S101)에서 사용되는 해양심층수와 동일한 성분이 사용되는데, 상기 해양심층수는 30 내지 50℃의 온도를 나타내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의 침지단계(S109)를 거치면 해양심층수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무기염류와 미네랄 성분이 해초의 표면 및 내부로 더욱 많이 침투될 수 있으며, 상기의 온도조건에서는 해초에 함유된 영양소를 파괴하지 않으면서도 무기염류 및 미네랄 성분의 침투량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건조단계(S111)는 상기 침지단계(S109)를 통해 세척된 해초를 건조하는 단계로, 상기 침지단계(S109)를 통해 친지된 해초의 수분함량이 15%를 나타내도록 건조기로 건조하여 이루어지는데,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침지단계(S109)를 통해 침지된 해초를 건조기에 투입하고 50 내지 60℃의 온도에서 30분 내지 2시간 동안 건조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의 조건에서 건조과정이 진행되면, 해초의 수분함량이 약 14 내지 16%로 조절되며, 해초에 스며들었던 해양심층수의 수분만 제거되고 무기염류와 미네랄 성분은 그대로 잔존하기 때문에, 무기염류 및 미네랄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인체에 유익하며, 건강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 해초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건조단계(S111)는 건조기를 이용하는 방법 외에, 일광건조나 해풍건조를 이용하여 해초의 수분함량을 14 내지 16%로 조절하는 과정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해초샐러드의 제조방법은 상기의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해초의 가공방법을 통해 가공된 해초 100 중량부에 조미액 3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된다.
상기 조미액은 과실추출물 100 중량부에 첨가제 10 내지 3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조미액의 함량이 3 중량부 미만이면 해조 샐러드에 맛이 저하되며, 상기 조미액의 함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조미액의 맛과 향이 지나치게 증가하여 해초의 맛과 향이 저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과실추출물은 매실추출물, 대추추출물 및 자몽추출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의 과실추출물은 영양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상큼한 맛과 향을 나타내어 기호도가 향상된 해초샐러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의 매실추출물, 대추추출물 및 자몽추출물은 열수 추출과정을 통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표층수 100 중량부에 매실, 대추 및 자몽을 각각 5 내지 20 중량부씩 투입하고, 85 내지 95℃의 온도에서 30분 내지 90분 동안 열수 추출한 후에 매실, 대추 및 자몽 등의 고형분을 걸러내어 제조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첨가제는 당성분, 소금, 식초 및 색소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당성분은 설탕, 만니톨 및 솔비톨이 1:1:1의 중량부로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설탕에 만니톨 및 솔비톨이 함유되어 이루어진 당성분이 함유된 첨가제가 함유되면 해초에 갈변이 방지되어 상품성이 우수한 샐러드가 제공되며, 상기의 소금, 식초, 및 색소 등의 첨가제가 함유되면 하며, 해초의 맛, 색 및 식감이 증대된 해초샐러드를 제공할 수 있다.
S101 ; 데침단계
S103 ; 냉각단계
S105 ; 염장단계
S107 ; 세척단계
S109 ; 침지단계
S111 ; 건조단계

Claims (13)

  1. 해초를 데치는 데침단계;
    상기 데침단계를 통해 데쳐진 해초를 냉각하는 냉각단계;
    상기 냉각단계를 통해 냉각된 해초를 염장하는 염장단계;
    상기 염장단계를 통해 염장된 해초를 해양심층수로 세척하는 세척단계;
    상기 세척단계를 통해 세척된 해초를 해양심층수에 침지하는 침지단계; 및
    상기 침지단계를 통해 침지된 해초를 건조하는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해초의 가공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해초는 미역, 다시마, 톳, 꼬시래기, 한천, 김, 파래 및 매생이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해초의 가공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침단계는 85 내지 100℃의 해양심층수에 해초를 투입하고 5 내지 60초 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해초의 가공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각단계는 상기 데침단계를 통해 데쳐진 해초를 5 내지 10℃의 냉각수로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해초의 가공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염장단계는 상기 냉각단계를 통해 냉각된 해초 100 중량부에 해양심층수 소금 15 내지 25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해초의 가공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척단계는 상기 염장단계를 통해 염장된 해초의 염도가 2%를 나타내도록 해양심층수로 세척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해초의 가공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침지단계는 상기 세척단계를 통해 세척된 해초를 해양심층수에 1 내지 5분 동안 침지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해초의 가공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는 상기 침지단계를 통해 침지된 해초의 수분함량이 15%를 나타내도록 건조기, 일광건조 및 해풍건조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의 방법으로 건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해초의 가공방법.
  9. 청구항 1 내지 8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해초의 가공방법을 통해 가공된 해초 100 중량부에 조미액 3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초샐러드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조미액은 과실추출물 100 중량부에 첨가제 10 내지 3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초샐러드의 제조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과실추출물은 매실추출물, 대추추출물 및 자몽추출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초샐러드의 제조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당성분, 소금, 식초 및 색소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초샐러드의 제조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당성분은 설탕, 만니톨 및 솔비톨이 1:1:1의 중량부로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초샐러드의 제조방법.
KR1020140057419A 2014-05-13 2014-05-13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해초의 가공방법 및 그 해초를 이용한 해초샐러드의 제조방법 KR101459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419A KR101459110B1 (ko) 2014-05-13 2014-05-13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해초의 가공방법 및 그 해초를 이용한 해초샐러드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419A KR101459110B1 (ko) 2014-05-13 2014-05-13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해초의 가공방법 및 그 해초를 이용한 해초샐러드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9110B1 true KR101459110B1 (ko) 2014-11-12

Family

ID=52287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7419A KR101459110B1 (ko) 2014-05-13 2014-05-13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해초의 가공방법 및 그 해초를 이용한 해초샐러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911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67011A (zh) * 2015-08-17 2015-12-23 济南舜昊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紫菜沙拉及其制备方法
KR101689808B1 (ko) * 2016-04-08 2016-12-26 백창현 해양심층수 소금과 스피루리나가 도포된 조미김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582920B1 (ko) * 2023-03-14 2023-09-26 이영도 기호도가 우수하며 영양성분의 함량이 풍부한 해초쌈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979B1 (ko) * 2005-10-06 2007-03-02 서희동 해양 심층수로부터 고순도 청정소금을 제조하는 방법
KR100899014B1 (ko) * 2008-07-07 2009-05-21 김문수 해양심층수 천연 미네랄 소금의 제조 방법
KR20100131400A (ko) * 2010-11-01 2010-12-15 서희동 해양 심층수를 식품가공에 이용하는 방법
KR101155082B1 (ko) * 2009-10-30 2012-06-11 문혜리 해초샐러드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979B1 (ko) * 2005-10-06 2007-03-02 서희동 해양 심층수로부터 고순도 청정소금을 제조하는 방법
KR100899014B1 (ko) * 2008-07-07 2009-05-21 김문수 해양심층수 천연 미네랄 소금의 제조 방법
KR101155082B1 (ko) * 2009-10-30 2012-06-11 문혜리 해초샐러드 제조방법
KR20100131400A (ko) * 2010-11-01 2010-12-15 서희동 해양 심층수를 식품가공에 이용하는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67011A (zh) * 2015-08-17 2015-12-23 济南舜昊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紫菜沙拉及其制备方法
KR101689808B1 (ko) * 2016-04-08 2016-12-26 백창현 해양심층수 소금과 스피루리나가 도포된 조미김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582920B1 (ko) * 2023-03-14 2023-09-26 이영도 기호도가 우수하며 영양성분의 함량이 풍부한 해초쌈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03973B (zh) 低盐风味腊鱼及其制作方法
KR101459110B1 (ko)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해초의 가공방법 및 그 해초를 이용한 해초샐러드의 제조방법
KR20160129477A (ko)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냉동 수산물 가공방법
KR102096169B1 (ko) 해양심층수의 염도조절수를 이용한 배추절임 제조방법
KR101580501B1 (ko) 해양심층수 코다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211024B1 (ko) 해파리 젓갈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해파리 젓갈
KR101582075B1 (ko) 홍삼성분이 함유된 염장란의 제조방법
KR101413235B1 (ko) 육질과 기호성이 향상된 반건조 어류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반건조 어류
KR101347539B1 (ko) 반건조 송어 또는 송어 굴비의 제조방법
KR101252685B1 (ko) 진주성분이 함유된 고칼슘 마른 멸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적용한 마른 멸치
KR101571791B1 (ko)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가금육의 가공방법
KR102582920B1 (ko) 기호도가 우수하며 영양성분의 함량이 풍부한 해초쌈의 제조방법
KR101359002B1 (ko) 대왕오징어 어육의 제조 방법
KR20150060243A (ko)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어류의 가공방법
CN107549279B (zh) 利用高温除菌品质改良剂去除头足类水产品中微生物的方法
KR102043619B1 (ko) 염장생선의 가공방법
KR20120034354A (ko) 포장용 김치 제조방법 및 그 제품
JP3377141B2 (ja) 加工食品の製造方法
JP2011004696A (ja) 漬物の製造方法
KR101028900B1 (ko) 홍삼성분을 함유하는 저염도 마른 멸치의 제조방법
KR100639236B1 (ko) 미더덕 육의 갈변억제 방법, 갈변억제 미더덕 육 및 이를이용한 제품
KR102615389B1 (ko) 키토산 고등어 제조 방법
KR20140146418A (ko) 해양심층수의 유용 성분을 이용하는 절임배추 제조방법
KR102334858B1 (ko) 보존기간이 연장된 반건조 생선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30173A (ko) 해양심층수 소금이 도포된 조미김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