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5345B1 -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 - Google Patents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5345B1
KR101455345B1 KR1020130021075A KR20130021075A KR101455345B1 KR 101455345 B1 KR101455345 B1 KR 101455345B1 KR 1020130021075 A KR1020130021075 A KR 1020130021075A KR 20130021075 A KR20130021075 A KR 20130021075A KR 101455345 B1 KR101455345 B1 KR 101455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ode
anode
tube
electrolyte plate
electroly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1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9868A (ko
Inventor
마코토 카와세
Original Assignee
잇빤자이단호징 덴료쿠추오켄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잇빤자이단호징 덴료쿠추오켄큐쇼 filed Critical 잇빤자이단호징 덴료쿠추오켄큐쇼
Publication of KR20130099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9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5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5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4Fuel cells with fused electrolytes
    • H01M8/144Fuel cells with fuse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45Fuel cells with fuse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comprising carbon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4Fuel cells with fused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4Fuel cells with fused electrolytes
    • H01M8/141Fuel cells with fused electrolytes the anode and the cathode being gas-permeable electrodes or electrode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4Fuel cells with fused electrolytes
    • H01M2008/147Fuel cells with molten carbon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세퍼레이터를 불필요하게 해서 부품수를 삭감하고, 코스트를 대폭 저감한다. 캐소드(14), 전해질을 지니는 전해질판(15) 및 애노드(16)을 튜브 본체(11)에 대해서 동심상으로 설치하고, 애노드(16)에 의해 전해질판(15)을 홀딩하고, 세퍼레이터를 사용하는 않고, 전해질판(15)을 사이에 두고 애노드(16)과 캐소드(14)를 구비한 전지를 구축한다.

Description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MOLTEN CARBONATE FUEL CELL}
본 발명은 대폭적인 코스트의 저감 및 기동(start-up)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한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에 관한 것이다.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는 전해질판을 사이에 두고 애노드(연료극)와 캐소드(산화제극)를 가지는 평판형의 전해질 전극 접합체를 구비하고, 세퍼레이터를 개재시켜서 전해질 전극 접합체를 복수층으로 적층해서 구성되어 있다. 세퍼레이터에는 산화제 가스 유로와 연료가스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그리고 세퍼레이터를 통해서 애노드에 연료가스를 공급하는 동시에, 캐소드에 산화제 가스를 공급하고, 전해질을 통해서 전기화학반응을 일으켜서 전력을 얻게 되어 있다.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는 전해질판에 액체상의 용융 탄산염을 보지(홀딩)하고 있기 때문에, 가스 유로 등의 형상이 고정밀도로 관리된 세퍼레이터가 필요하고, 또, 애노드 및 캐소드 등의 형상도 고정밀도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더구나, 세퍼레이터를 개재시켜서 평판형의 전해질 전극 접합체를 적층해서 스택드(stacked)하기 위해서, 판부재를 조이는 장치가 필요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기동 시에 전해질 전극 접합체에 작용하는 응력이 세퍼레이터를 통해서 서로 영향을 주기 때문에, 전지가 작동온도에 이르기 까지 시간을 필요로 하고 있는 것이 현재의 상태이다.
따라서,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는 구성부품에 대해서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는 동시에, 연료전지를 구성하기 위한 부품수가 많아지고, 제조 코스트가 높아지고 있는 것이 현재의 상태이다. 또, 소망하는 출력을 얻기까지는 어느 정도의 기동시간을 필요로 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7-265845호
본 발명은 상기 상황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세퍼레이터를 불필요하게 해서 부품수를 삭감하고, 코스트를 대폭 저감시킬 있는 동시에, 기동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청구항 제 1 항에 따른 본 발명의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는, 튜브 면에 다수의 구멍을 가지는 튜브 본체와, 상기 튜브 본체의 튜브 면의 주위에 구비되는 튜브형상의 제1 전극과, 상기 제1 전극의 주위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전극이 접촉해서 전해질을 홀딩하는 튜브형상의 전해질판과, 상기 전해질판의 주위에 구비되고, 상기 전해질판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전해질판을 홀딩하는 튜브형상의 제2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튜브 본체의 내측에 산화제 가스 혹은 연료가스가 공급되는 동시에, 상기 제2 전극에 연료가스 혹은 산화제 가스가 공급됨으로써, 전기화학반응에 의해 전력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1 항에 따른 본 발명에서는 제1 전극, 전해질판 및 제2 전극을 튜브 본체에 대해서 동심상으로 설치하고, 튜브형상의 제2 전극에 의해 전해질판을 홀딩하고 있으므로, 세퍼레이터를 사용하지 않고, 전해질판을 사이에 두고 애노드와 캐소드를 구비한 전지를 구축할 수 있다. 또, 전지를 복수 구비한 경우라고 하여도, 기동 시에 전지에 작용하는 응력이 복수의 전지 상호간이 서로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소망하는 작동온도에 이르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소망하는 출력을 얻기까지의 기동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 결과, 세퍼레이터를 불필요하게 해서 부품수를 삭감하고, 코스트를 대폭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동시에, 기동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튜브 본체는 금속제인 것이 바람직하고,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은 주성분으로서 Ni의 분말을 포함하는 슬러리가 소결되어 구성되고, 전해질판은 LiAlO2에 탄산염이 홀딩된다.
또, 청구항 제 2 항에 따른 본 발명의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는, 청구항 제 1 항에 기재된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캐소드인 동시에, 상기 제2 전극은 애노드이고, 상기 애노드를 구성하는 재료를 소결하는 것에 의해 상기 애노드가 지름방향 내측으로 조여되고, 상기 전해질판이 상기 애노드와 상기 캐소드에 협지되어 홀딩되고, 상기 튜브 본체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다수의 구멍을 통해서 상기 캐소드에 상기 산화제 가스가 공급되는 동시에, 상기 애노드에 상기 연료가스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 제 3 항에 따른 본 발명의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는, 제 2 항에 있어서의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에 응력억제 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2 항, 제 3 항에 따른 본 발명에서는, 튜브 본체의 내측으로부터 다수의 구멍을 통해서 산화제 가스가 캐소드에 공급되고, 외주부로부터 연료가스가 애노드에 공급되고, 전해질을 통해서 산화제 가스와 연료가스에 의해 전기화학반응을 일으켜서 전력을 얻을 수 있다.
또, 청구항 제 4 항에 따른 본 발명의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는, 청구항 제 1 항에 기재된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애노드인 동시에, 상기 제2 전극은 캐소드이고, 상기 캐소드의 주위에는 금속제의 다공튜브가 배치되고, 상기 캐소드를 구성하는 재료가 소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캐소드가 지름방향 내측으로 조여지는 동시에, 상기 캐소드가 산화되었을 때에 상기 다공튜브에 의해 상기 캐소드가 지름방향 내측으로 조여진 상태가 유지되어 상기 전해질판이 상기 캐소드와 상기 애노드에 협지되어 홀딩되고, 상기튜브 본체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다수의 구멍을 통해서 상기 애노드에 상기연료가스가 공급되는 동시에, 상기 캐소드에 상기 산화제 가스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4 항에 따른 본 발명에서는, 캐소드를 구성하는 재료가 소결된 후에 캐소드의 주위에 금속제의 다공튜브가 배치되고, 캐소드를 구성하는 재료가 소결되는 것에 의해 캐소드가 지름방향 내측으로 조여지는 동시에, 캐소드가 산화되었을 때에 다공튜브에 의해 캐소드가 지름방향 내측으로 조여진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튜브 본체의 내측으로부터 다수의 구멍을 통해서 연료가스가 애노드에 공급되고, 외주부로부터 산화제 가스가 캐소드에 공급되고, 전해질을 통해서 산화제 가스와 연료가스에 의해 전기화학반응을 일으켜서 전력을 얻을 수 있다.
또, 청구항 제 5 항에 따른 본 발명의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는,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에 있어서, 상기 튜브 본체의 내주에, 유통하는 가스를 확산시키는 확산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5 항에 따른 본 발명에서는, 튜브 본체의 내주에 공급한 가스를 확산부재에 의해 확산할 수 있다.
또, 청구항 제 6 항에 따른 본 발명의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는,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에 있어서, 상기 튜브 본체는 케이싱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6 항에 따른 본 발명에서는, 소망하는 수의 튜브 본체를 개별적으로 케이싱에 장착함으로써, 서로를 밀착해서 적층하지 않고, 소망하는 출력의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는 세퍼레이터를 불필요하게 해서 부품수를 삭감하고, 코스트를 대폭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를 구비한 전지설비의 외관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튜브 본체의 외관도이다.
도 4는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의 외관도이다.
도 5는 제작 공정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를 구비한 전지설비의 외관 단면도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를 구비한 전지설비의 외관 단면,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을 나타내 있다. 또, 도 3에는 튜브 본체의 외관, 도 4에는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의 외관을 나타내고 있다. 또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의 제작의 순서를 나타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공의 케이싱(1)에는 복수(도시 예에서는 3개)의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MCFC)(2)가 개별적으로 형성되고, 전지설비(3)가 구축되어 있다. 즉, 케이싱(1)의 벽부에 MCFC(2)의 튜브 본체(11)의 단부가 고정되고, 튜브 본체(11)의 양단이 외부에 면하고 있다. 튜브 본체(11)의 내주에는 산화제 가스가 공급되고, 케이싱(1)의 내부(MCFC(2)의 외측부)에는 연료가스가 공급된다.
케이싱(1)에 소망하는 수의 튜브 본체(11)를 개별적으로 장착함으로써, 복수의 MCFC(2)를 셀로서 서로 밀착해서 적층하지 않고, 소망하는 출력의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간단한 구조로 소망하는 출력을 얻기 위한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를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발전 시에 MCFC(2)에 작용하는 응력이 복수의 MCFC(2) 상호간이 서로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소망하는 작동온도에 이르는 시간을 짧게 할 수 있고, 소망한 출력을 얻기까지의 기동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제의 튜브 본체(11)의 중앙부(12)의 튜브 면에는 다수의 구멍(13)이 형성되어 있다. 또, 튜브 본체(11)의 내주에, 내주에 유통하는 가스(후술하는 산화제 가스)를 확산시키기 위한 확산부재(fin)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부(12)의 튜브 면의 주위에는 제1 전극으로서 튜브형상의 캐소드(14)가 구비되고, 캐소드(14)의 주위에는 캐소드(14)가 접촉해서 전해질을 홀딩(함침)하는 튜브형상의 전극판으로서의 전해질판(15)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전해질판(15)의 주위에는 전해질판(15)에 접촉함으로써 전해질판(15)을 홀딩하는 제2 전극으로서의 튜브형상의 애노드(16)가 구비되어 있다.
또, 도 1,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애노드(16)의 주위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펀치판(17)이 랩핑되어 있다. 펀치판(17)이 애노드(16)의 주위에 랩핑되어 있는 것에 의해, 애노드(16)에 의한 전해질판(15)의 홀딩을 확실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펀치판(17)은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MCFC(2)에서는 튜브 본체(11)의 내측에 산화제 가스가 공급되고, 케이싱(1)의 내부(MCFC(2)의 외측부)에 연료가스가 공급됨으로써, 전해질판(15)에 홀딩된(함침된) 전해질을 통해서 전기화학반응을 일으켜서 전력이 수득된다.
상기한 MCFC(2)는 캐소드(14), 전해질판(15) 및 애노드(16)를 튜브 본체(11)에 대해서 동심상으로 설치하고, 애노드(16)에 의해 전해질판(15)을 홀딩하고 있으므로, 세퍼레이터를 사용하는 않고, 전해질판(15)을 사이에 두고 애노드(16)과 캐소드(14)을 구비한 전지를 구축할 수 있다. 이 결과, 세퍼레이터를 불필요하게 해서 부품수를 삭감하고, 코스트를 대폭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5에 의거해서 MCFC(2)의 제작의 순서를 설명한다.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부(12)의 튜브 면에 다수의 구멍(13)이 형성된 스테인레스제의 튜브 본체(11)를 준비한다.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부(12)에 캐소드(14)를 구성하기 위한 재료를 도포하고, 건조시켜서 소결하고, 캐소드(14)로 한다. 캐소드(14)를 구성하기 위한 재료는 주성분으로서 Ni의 분말을 포함하는 슬러리가 사용된다.
도 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소드(14)의 외주면에 전해질판(15)을 구성하기 위한 재료를 도포해서 건조시키고, 추가로 애노드(16)를 구성하기 위한 재료를 도포해 건조시킨다. 전해질판(15)을 구성하기 위한 재료 및 애노드(16)를 구성하기 위한 재료를 소결함으로써, 전해질판(15) 및 애노드(16)로 한다. 애노드(16)를 구성하기 위한 재료는 주성분으로서 Ni의 분말을 포함하는 슬러리가 사용되고, 전해질판(15)을 구성하기 위한 재료는 탄산염을 홀딩하는 LiAlO2의 분말을 포함하는 슬러리로 구성되어 있다.
애노드(16)를 구성하기 위한 재료를 소결하는 것에 의해 재료가 수축되고, 애노드(16)에 조임력이 발생해서 전해질판(15)이 튜브 본체(11) 측에 확실하게 홀딩되고, 애노드(16)와 전해질판(15) 사이, 및, 전해질판(15)과 캐소드(14) 사이의 접촉저항이 저감되어, 가스리크가 억제된다.
도 5(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애노드(16)의 외주에 펀치판(17)을 장착하고, 조임 효과(접촉저항의 저감, 가스리크 억제)를 보조한다. 펀치판(17)은 금속제이고, 예를 들면, Ni로 구성되어 있다.
도 5(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튜브 본체(11)의 내주에 고형의 용융 탄산염(18)을 두고, 환원 분위기에서 탄산염을 용융한다. 탄산염을 용융시킴으로써, 캐소드(14), 전해질판(15) 및 애노드(16)에 탄산염을 함침시킨다. 도 5(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튜브 본체(11)의 내주에 산화제 가스를 흘려 보내고, 캐소드(14)의 산화ㆍ리튬화를 실시하고, 캐소드(14)를 Li화 NiO의 상태로 한다.
도 5(a)에서 도 5(e)의 공정에 의해, 튜브 본체(11)에 제1 전극으로서 캐소드(14)가 구비되는 동시에, 용융 탄산염이 함침된 전해질판(15)이 구비되고, 추가로, 전해질판(15)의 외주에 제2 전극으로서 애노드(16)가 구비되고, 애노드(16)가 지름방향 내측으로 조여져서 전해질판(15)이 애노드(16)와 캐소드(14)에 협지되어 홀딩된 MCFC(2)로 할 수 있다.
또,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애노드(16)에 깨짐방지를 위한 응력억제 부재로서 메쉬(19)를 랩핑하는 것도 가능하다. 응력억제 부재로서는 메쉬(19)에 한정되지 않고, 와이어나 섬유재료를 개재시키는 등, 다른 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7, 도 8에 의거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를 구비한 전지설비의 외관단면을 나타내 있다. 도 7, 도 8은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도 2, 도 1에 해당한다. 제1 실시예와 동일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튜브 본체(11)의 중앙부(12)의 튜브 면의 주위에는 제1 전극으로서 튜브형상의 애노드(21)(애노드재)가 구비되고, 애노드(21)의 주위에는 튜브형상의 전해질판(15)이 구비되어 있다. 전해질판(15)의 주위에는 전해질판(15)에 접촉하는 제2 전극으로서의 튜브형상의 캐소드(22)이 구비되어 있다. 캐소드(22)캐소드(22)의 주위에는 금속제의 다공튜브(23)가 배치되고, 다공튜브(23)에 의해 캐소드(22)가 홀딩되고 있다.
또, 다공튜브(23)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캐소드(22)를 구성하기 위한 재료가 소결된 후에 캐소드(22)의 주위에 배치된다.
애노드(21) 및 캐소드(22)를 구성하기 위한 재료는 주성분으로서 Ni의 분말을 포함하는 슬러리가 소결되어 구성되고 있다. 캐소드(22)를 구성하기 위한 재료가 소결됨으로써, 재료가 수축해서 캐소드(22)가 수축하고, 캐소드(22)가 산화되었을 때에 캐소드(22)의 수축상태가 변화해도 다공튜브(23)에 의해 캐소드(22)가 지름방향 내측으로 조여진 상태가 유지되고, 전해질판(15)이 캐소드(22)와 애노드(21)에 협지되어 홀딩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한 MCFC(25)는 중공의 케이싱(27)에 개별적으로 형성되고, 전지설비(26)가 구축되어 있다. 즉, 케이싱(27)의 벽부에 MCFC(25)의 튜브 본체(11)의 단부가 고정되고, 튜브 본체(11)의 양단이 외부에 면하고 있다.
튜브 본체(11)의 내주에는 연료가스가 공급되고, 케이싱(27)의 내부(MCFC(25)의 외측부)에는 산화제 가스가 공급된다.
케이싱(27)에 소망의 수의 튜브 본체(11)를 개별적으로 장착함으로써, 복수의 MCFC(25)를 셀로서 서로 밀착해서 적층하지 않고, 소망하는 출력의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간단한 구조로 소망하는 출력을 얻기 위한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를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는 세퍼레이터가 불필요해서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고, 코스트를 대폭 저감해서 기동시간의 단축을 가능하게 한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를 구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MCFC(2, 25)의 수를 적당하게 설정함으로써, 작은 전지설비에서 큰 전지설비까지, 코스트를 대폭 억제해서 제작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의 산업분야에서 이용할 수 있다.
1, 2: 케이싱
2, 2: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MCFC)
3, 2: 전지설비
11: 튜브 본체
12: 중앙부
13: 구멍
14, 22: 캐소드
15: 전해질판
16, 21: 애노드
17: 펀치판
18: 용융 탄산염
19: 메쉬
23: 다공튜브

Claims (6)

  1. 튜브 면에 다수의 구멍을 가지는 튜브 본체와,
    상기 튜브 본체의 튜브 면의 주위에 구비되는 튜브형상의 캐소드와,
    상기 캐소드의 주위에 구비되고, 상기 캐소드가 접촉해서 전해질을 보지(홀딩)하는 튜브형상의 전해질판과,
    상기 전해질판의 주위에 구비되고, 상기 전해질판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전해질판을 홀딩하는 튜브형상의 애노드를 구비하고,
    상기 튜브 본체의 내측에 산화제 가스가 공급되어 상기 튜브 본체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다수의 구멍을 통해서 상기 캐소드에 상기 산화제 가스가 공급되는 동시에, 상기 애노드에는 연료가스가 공급됨으로써, 전기화학반응에 의해 전력을 얻되,
    상기 애노드를 구성하는 재료를 소결하는 것에 의해 상기 애노드가 지름방향 내측으로 조여지고, 상기 전해질판이 상기 애노드와 상기 캐소드에 협지되어 홀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에 응력억제 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
  3. 튜브 면에 다수의 구멍을 가지는 튜브 본체와,
    상기 튜브 본체의 튜브 면의 주위에 구비되는 튜브형상의 애노드와,
    상기 애노드의 주위에 구비되고, 상기 애노드가 접촉해서 전해질을 보지(홀딩)하는 튜브형상의 전해질판과,
    상기 전해질판의 주위에 구비되고, 상기 전해질판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전해질판을 홀딩하는 튜브형상의 캐소드를 구비하고,
    상기 캐소드의 주위에는 금속제의 다공튜브가 배치되고,
    상기 튜브 본체의 내측에 연료가스가 공급되어 상기 튜브 본체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다수의 구멍을 통해서 상기 애노드에 상기 연료가스가 공급되는 동시에, 상기 캐소드에는 산화제 가스가 공급됨으로써, 전기화학반응에 의해 전력을 얻되,
    상기 캐소드를 구성하는 재료가 소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캐소드가 지름방향 내측으로 조여지는 동시에, 상기 캐소드가 산화되었을 때에 상기 다공튜브에 의해 상기 캐소드가 지름방향 내측으로 조여진 상태가 유지되어 상기 전해질판이 상기 캐소드와 상기 애노드에 협지되어 홀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본체의 내주에, 유통하는 가스를 확산시키는 확산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본체는 케이싱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
  6. 삭제
KR1020130021075A 2012-02-29 2013-02-27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 KR1014553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44790A JP5825524B2 (ja) 2012-02-29 2012-02-29 溶融炭酸塩形燃料電池
JPJP-P-2012-044790 2012-02-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9868A KR20130099868A (ko) 2013-09-06
KR101455345B1 true KR101455345B1 (ko) 2014-10-27

Family

ID=49003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1075A KR101455345B1 (ko) 2012-02-29 2013-02-27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190690B2 (ko)
JP (1) JP5825524B2 (ko)
KR (1) KR1014553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61350B1 (fr) * 2010-06-11 2012-08-03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Procede de fabrication de cellules electrochimiques elementaires pour systemes electrochimiques producteurs d'energie ou d'hydrogene, notamment du type sofc et eht
CN103647093B (zh) * 2013-11-26 2016-02-10 中国华能集团清洁能源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熔融碳酸盐燃料电池的性能诊断方法
CN109755611A (zh) * 2019-01-25 2019-05-14 广东工业大学 直接丙烷部分氧化重整制氢的固体氧化物燃料电池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9910A (ja) * 1996-03-25 1997-10-03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溶融炭酸塩型燃料電池とこれを用いた発電装置
JP2001297780A (ja) * 2000-04-12 2001-10-26 Kokichi Uematsu 溶融炭酸塩型燃料電池とこれを用いた発電装置
JP2006179295A (ja) * 2004-12-22 2006-07-06 Shinko Electric Ind Co Ltd 燃料電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7932A (en) * 1996-10-16 1999-12-28 Gore Enterprise Holdings, Inc. Tubular fuel cell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e
GB2409101B (en) * 2003-12-08 2006-05-24 Rmg Services Pty Ltd Improved fuel cell
JP2007265845A (ja) 2006-03-29 2007-10-11 Toppan Printing Co Ltd 溶融炭酸塩型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溶融炭酸塩型燃料電池
EP2351133A1 (en) * 2008-10-28 2011-08-03 Alan Devoe Fuel cell device and system
KR100980205B1 (ko) * 2008-12-30 2010-09-03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용융탄산염 연료전지의 인-시츄 소결용 연료극 강화 시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9910A (ja) * 1996-03-25 1997-10-03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溶融炭酸塩型燃料電池とこれを用いた発電装置
JP2001297780A (ja) * 2000-04-12 2001-10-26 Kokichi Uematsu 溶融炭酸塩型燃料電池とこれを用いた発電装置
JP2006179295A (ja) * 2004-12-22 2006-07-06 Shinko Electric Ind Co Ltd 燃料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224621A1 (en) 2013-08-29
JP2013182738A (ja) 2013-09-12
JP5825524B2 (ja) 2015-12-02
KR20130099868A (ko) 2013-09-06
US9190690B2 (en) 2015-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30532B2 (ja)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
JP4422458B2 (ja) 燃料電池
JP5188218B2 (ja)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サブモジュールおよび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モジュール
JP2018525800A (ja) 端子フィードスルーのための封止システム
KR101455345B1 (ko)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
JP5645467B2 (ja) 電気エネルギを得るための電気化学セル
JP6131426B2 (ja) 燃料電池のシール構造
JP2007220632A (ja) チューブ型燃料電池モジュール
JP2010238432A (ja) 燃料電池の発電セル
EP2916378B1 (en) Solid oxide fuel cell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6118230B2 (ja) 燃料電池スタック
JP2012124020A (ja) 固体電解質燃料電池
JP2006310104A (ja) 燃料電池用の拡散層及び燃料電池
JP6711578B2 (ja) 溶融炭酸塩形燃料電池
JP5846936B2 (ja) 燃料電池
JP7077851B2 (ja) メタルサポートセルの支持構造
JP5727432B2 (ja) セパレータ付燃料電池セル,その製造方法,および燃料電池スタック
JP2013222505A (ja) 燃料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9192364A (ja) 燃料電池スタック
KR101479682B1 (ko)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의 제조방법
JP5300199B2 (ja) 燃料電池
EP2916379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solid oxide fuel cell device
KR101300469B1 (ko) 고체산화물 연료 전지
JP2014191992A (ja) 固体酸化物型燃料電池の製造方法
JP2010049839A (ja) 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およびその電極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