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2218B1 - 천일염을 함유하는 기능성 벌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천일염을 함유하는 기능성 벌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2218B1
KR101452218B1 KR1020120150341A KR20120150341A KR101452218B1 KR 101452218 B1 KR101452218 B1 KR 101452218B1 KR 1020120150341 A KR1020120150341 A KR 1020120150341A KR 20120150341 A KR20120150341 A KR 20120150341A KR 101452218 B1 KR101452218 B1 KR 101452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t
honey
sun
present
m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0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1039A (ko
Inventor
황현
Original Assignee
황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현 filed Critical 황현
Priority to KR1020120150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2218B1/ko
Publication of KR20140081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1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2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2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20Products from apiculture, e.g. royal jelly or pollen; Substitutes therefor
    • A23L21/25Honey; Honey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6Inorganic salts, minerals or trac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Jellies, Jams, And Syrup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일염을 벌꿀과 함께 섭취하므로써, 천일염 및 벌꿀의 여러 유용한 작용을 동시에 기대할 수 있는 천일염을 함유하는 기능성 벌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천일염을 함유하는 기능성 벌꿀의 제조방법은, (a) 벌꿀과 천일염을 혼합하는 단계(S11); 및
(b) 혼합된 천일염벌꿀을 유리병 또는 폴리에틸렌 수지(PET) 재질의 수납용기에 수납 및 포장하는 단계(S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혼합단계에서의 천일염은, 중량%로, 10~50% 범위내에서 상기 벌꿀에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천일염을 함유하는 기능성 벌꿀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functional honey containing sun-dried salt}
본 발명은 천일염을 함유하는 기능성 벌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천일염(天日鹽)을 벌꿀과 함께 섭취하므로써, 천일염 및 벌꿀의 여러 유용한 작용을 동시에 기대할 수 있는 천일염을 함유하는 기능성 벌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금은 식품의 맛과 풍미에 영향을 주는 조미료로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물질로 신진대사 및 세포의 삼투압을 조절하는 등 생리 기능을 유지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과량의 소금 섭취는 혈압의 상승을 유도하여 고혈압을 유발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고혈압 환자 및 일반인에게도 소금 섭취량을 줄이도록 권장하고 있다.
소금은 크게 천일염(天日鹽)과 정제염(精製鹽)으로 분류된다. 천일염은 바닷물을 염전으로 끌어와 바람과 햇빛으로 수분과 함께 유해 성분을 증발시켜 만든 가공되지 않은 소금으로 굵고 반투명한 육각형의 결정이다. 이에 비하여 정제염은 바닷물을 전기분해하여 이온수지막으로 불순물과 중금속 등을 제거하고 얻어낸 염화나트륨(NaCl)의 결정체이다.
이러한 천일염에는 칼슘, 마그네슘, 아연, 칼륨, 철 등의 무기질과 수분이 많기 때문에 채소나 생선의 절임에 좋아 김치를 담그거나 간장, 된장 등을 만들 때 주로 쓰인다.
또한, 천일염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는다. 첫째, 유니세프(UNICEF)에 따르면 전세계 인구의 3분의 1이 미네랄 결핍 이라고 전하고 있는 바, 최근 과학자들의 연구 결과 인체의 미네랄 구성비와 가장 유사한 상태를 얻을수 있는 물질이 바닷물을 자연 그대로 증발 시켜서 만든 천일염이라는 연구가 발표 되었다.
둘째, 소금의 주성분인 염화나트륨의 과다섭취가 인체에 악영향을 준다는 것은 누구나 다 아는 상식인 바, 천일염에 들어있는 마그네슘 이나 칼슘등은 몸속의 염화나트륨을 밖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성인이 되면 누구나 고혈압을 걱정하게 되는 바, 고혈압은 소금 과다 섭취의 문제가 아니라 염도(염화나트륨) 99%의 정제염을 섭취해 발생하는 문제이다. 염화나트륨이 혈압을 올리기는 하지만 미네랄이 풍부한 "5선소금" 과 같은 좋은 천일염의 경우에는 미네랄이 나트륨 배설을 촉진시켜 혈압이 낮추는 결과를 가져온다.
넷째, 천일염에는 항산화 물질이 들어있으며, 인체 질병의 90%를 유발시키는 이러한 활성산소를 통제하고 제거 하는 인체내 면역 능력을 향상시킨다.
다섯째, 천일염을 이용한 발효 음식에는 암을 예방하는 물질등이 생성된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었다.
한편, 요리용 소금은 화학정제를 거친 화학염이 많이 사용되었다. 천일염을 요리염으로 만들지 않았던 이유는 일단 천일염을 그대로 요리염으로 사용할 경우, 결정이 너무 크기 때문에 음식물에 늦게 녹아들어가 자칫 요리의 간을 맞추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또한 천일염은 수분을 다량 포함하고 있으므로, 분쇄하고자 할 때 쉽게 으깨져버리기 때문이다.
또한, 최근에는 원당을 가수분해하여 전화당으로 변화시킨 후 다른 당류와 혼합하여 요리시 사용이 편리하도록 점도와 당도를 조정한 요리당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요리당은 다량의 당분만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웰빙(well-being)을 추구하는 소비자의 경향에 부합하지 않으므로 소비자의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요리당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039784호(2011. 06. 01), 배경기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2-0129497호(2012. 11. 28), 배경기술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강 증진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천일염을 함유하는 기능성 벌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탈수를 포함하는 정제작업을 통해 요리의 간을 맞추는 데 유용하게 사용 가능한 천일염을 함유하는 기능성 벌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웰빙(well-being)을 추구하는 소비자의 경향에 부합하는 것이 가능한 천일염을 함유하는 기능성 벌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a) 벌꿀과 천일염을 혼합하는 단계(S11); 및 (b) 혼합된 천일염벌꿀을 유리병 또는 폴리에틸렌 수지(PET) 재질의 수납용기에 수납 및 포장하는 단계(S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혼합단계에서의 천일염은, 중량%로, 10~50% 범위내에서 상기 벌꿀에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일염을 함유하는 기능성 벌꿀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벌꿀은 액상 형태로서 21중량%의 수분을 함유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천일염은, 1차 탈수단계, 이물질 제거단계, 2차 탈수단계, 분쇄단계, 건조단계, 입자 선별단계를 거쳐서 정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천일염을 함유하는 기능성 벌꿀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여러 장점을 갖는 천일염이 벌꿀과 함께 혼합된 상태로서 섭취되는 것이 가능하므로, 건강 증진을 도모할 수 있다.
둘째, 천일염이 탈수를 포함하는 정제작업을 통해 요리의 간을 맞추는 데 유용하게 사용 가능하다.
셋째, 천일염이 벌꿀과 함께 사용되므로 웰빙(well-being)을 추구하는 소비자의 경향에 부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일염을 함유하는 기능성 벌꿀의 제조방법의 공정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천일염의 정제 과정도,
도 3은 벌꿀과 천일염이 혼합된 상태로서 수납용기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수납용기의 라벨을 나타낸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천일염을 함유하는 기능성 벌꿀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일염을 함유하는 기능성 벌꿀의 제조방법의 공정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천일염의 정제 과정도이며, 도 3은 벌꿀과 천일염이 혼합된 상태로서 수납용기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수납용기의 라벨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우선 벌꿀과 천일염을 혼합한다(S11). 이때, 벌꿀은 액상 형태로서 보건복지부 규격기준인 21중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다. 천일염은 자연상태에서의 제조로 인하여 소금이 함유하고 있는 염화마그네슘, 비소 등은 물론 각종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어 이를 제거하기 위한 정제작업이 요구된다.
본 발명에서는 별도로 화학약품을 사용하지 않고, 정제된 상태의 천일염을 사용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우선 염전에서 증발되어 결정화된 천일염을 단위 포대에 넣고 창고에서 약 2개월 정도 적치하여 자연배수 시킨다(1차 탈수). 이후, 자연배수를 거친 천일염을 깨끗한 소금물로 세척하여 천일염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한다.
세척을 거친 천일염은 소금물에 의해 수분 함유량이 높아진 상태이므로 탈수기(원심분리기)에 넣어 2차 탈수시킨 후, 천일염을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조리용 소금의 범위인 15~40메쉬의 크기로 분쇄기에서 분쇄한다. 이후, 분쇄를 거친 천일염을 건조실에서 50~70℃, 보다 바람직하게는 60℃의 열풍으로 9~11시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시간 건조시킨다.
이후, 건조된 천일염을 15~40메쉬 크기의 체 또는 선별기에 통과시켜 15~40메쉬 크기의 입자를 선별한 후, 선별단계를 거친 천일염을 정량 계량하여 포장한 후, 수요가에게 공급한다.
한편, 상기 혼합된 천일염벌꿀(120)은 유리병 또는 폴리에틸렌 수지(PET) 재질의 수납용기(100)에 수납 및 포장하여(S12), 수요가에게 제공한다.
이때, 전술한 혼합단계에서의 천일염은, 중량%로, 10~50% 범위내에서 벌꿀에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수납용기(100)의 일측 하단에 부착된 라벨(130)에 천일염의 혼합비가 표시되어 있어서, 개인의 선호도나 요리에 따라 천일염 함유량이 표시된 수납용기(100)를 선택한 후, 마개(110)를 열어서 천일염벌벌(120)을 취하게 되며, 라벨(130)에는 천일염 함유량이 10~50% 범위내에서 표시된다.
즉, 벌꿀 90%에 천일염 10%, 벌꿀 80%에 천일염 20%, ... , 벌꿀 50%에 천일염 50%등이다. 이때, 천일염의 배합비를 10~50%로 한정한 것은 10% 미만 첨가시 첨가 효과가 미미하고, 50%이상 과다 첨가시 벌꿀의 고유 기능이 발현되는 것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본 발명에 따른 천일염을 함유하는 벌꿀은 전술한 여러 장점을 갖는 천일염이 벌꿀과 함께 혼합된 상태로서 섭취되는 것이 가능하므로, 건강 증진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천일염이 탈수를 포함하는 정제작업을 통해 요리의 간을 맞추는 데 유용하게 사용 가능하고, 벌꿀과 함께 사용되므로 웰빙(well-being)을 추구하는 소비자의 경향에 부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천일염을 함유하는 기능성 벌꿀의 제조방법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수납용기 110 : 마개
120 : 천일염벌꿀 130 : 라벨

Claims (4)

  1. (a) 벌꿀과 천일염을 혼합하는 단계(S11); 및
    (b) 혼합된 천일염벌꿀을 유리병 또는 폴리에틸렌 수지(PET) 재질의 수납용기에 수납 및 포장하는 단계(S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혼합단계에서의 천일염은, 중량%로, 10∼50% 범위내에서 상기 벌꿀에 혼합되어지되,
    상기 벌꿀은 액상 형태로서 21중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상기 천일염은,
    1차 탈수단계, 이물질 제거단계, 2차 탈수단계, 분쇄단계, 건조단계, 입자 선별단계를 거쳐서 정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일염을 함유하는 기능성 벌꿀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20150341A 2012-12-21 2012-12-21 천일염을 함유하는 기능성 벌꿀의 제조방법 KR101452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0341A KR101452218B1 (ko) 2012-12-21 2012-12-21 천일염을 함유하는 기능성 벌꿀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0341A KR101452218B1 (ko) 2012-12-21 2012-12-21 천일염을 함유하는 기능성 벌꿀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1039A KR20140081039A (ko) 2014-07-01
KR101452218B1 true KR101452218B1 (ko) 2014-10-22

Family

ID=51732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0341A KR101452218B1 (ko) 2012-12-21 2012-12-21 천일염을 함유하는 기능성 벌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22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4348A (ko) 2021-05-13 2022-11-22 오종오 기능성 혼합 벌꿀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5200A (ko) * 2009-09-30 2011-04-06 송춘종 꿀과 죽염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77283A (ko) * 2009-12-30 2011-07-07 주식회사농심 천일염의 정제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5200A (ko) * 2009-09-30 2011-04-06 송춘종 꿀과 죽염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77283A (ko) * 2009-12-30 2011-07-07 주식회사농심 천일염의 정제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4348A (ko) 2021-05-13 2022-11-22 오종오 기능성 혼합 벌꿀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1039A (ko) 2014-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ingh et al. Manufacturing jaggery, a product of sugarcane, as health food
KR100903739B1 (ko) 과립형 조미소금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820270B (zh) 一种具有生物学功效的复方树莓酒及其生产方法
CN102007990A (zh) 三花茶饮料及其生产方法
KR101452218B1 (ko) 천일염을 함유하는 기능성 벌꿀의 제조방법
CN103211006A (zh) 一种黄花菜保鲜杀青剂
KR101704750B1 (ko) 천일염 및 함초를 이용한 함초소금 제조 방법
KR102321510B1 (ko) 꼬막맛이 가미된 함초소금 및 이의 제조방법
CN101756212A (zh) 一种蜂胶保健茶的制作方法
RU2537198C1 (ru) Лечебно-профилактический напиток
KR20040028886A (ko) 황토 지장수를 이용한 기능성 천일염 제조 방법
KR20190016688A (ko) 옥소금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60083282A (ko) 섭취가 가능한 고농축 칼슘수용액 제조방법 및 이를이용한 칼슘이온음료
KR20130099631A (ko) 톳을 이용한 후코이단 함유 소금제조 기술개발
CN104473279A (zh) 一种猴头菇饮料
JP2007166990A (ja) 海洋深層水の利用方法
KR20150112174A (ko) 청양고추 소금 및 그 제조 방법
KR101395661B1 (ko) 기능성 물회소스
KR101581617B1 (ko) 죽용 채수 농축액 제조방법
CN108432985A (zh) 一种青少年水果运动饮料及其制备方法
KR102662891B1 (ko) 해삼 열수추출물을 이용한 소금 가공방법
JP2003159036A (ja) 海藻飲料とその製造方法
TWI520688B (zh) A low-nucleic acid yeast composition,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a weight loss composition comprising the low-nucleic acid yeast
KR20050083033A (ko) 수박 쨈을 주제로 한 수박쨈 제조 방법
KR20170006795A (ko) 안구건조증 및 골다공증에 효과가 있는 석결명 식초 및 이의 제조방법 및 그 복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