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7005B1 - 안저 촬영장치 - Google Patents

안저 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7005B1
KR101447005B1 KR1020110084309A KR20110084309A KR101447005B1 KR 101447005 B1 KR101447005 B1 KR 101447005B1 KR 1020110084309 A KR1020110084309 A KR 1020110084309A KR 20110084309 A KR20110084309 A KR 20110084309A KR 101447005 B1 KR101447005 B1 KR 101447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light
optical path
optical system
ey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4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1206A (ko
Inventor
사토시 아이카와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21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1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7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7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4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2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looking at the eye fundus, e.g. ophthalmoscop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안저 촬영장치는, 파장이 다른 복수의 광원 모듈과, 선택된 촬영 모드에 근거하여, 복수의 광원 모듈 중 1개의 광원 모듈을, 조명 광학계를 통해 피검안의 안저를 조명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이동 유닛과, 조명 광학계를 통해 조명된 피검안의 안저로부터의 귀환 광을 촬영하는 이미지 센서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안저 촬영장치{FUNDUS IMAGING APPARATUS}
본 발명은, 안저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관찰 광원으로서 적외광을 사용하고, 촬영 광원으로서 백색광을 사용하는 안저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안저 촬영장치, 특히 무산동 안저 카메라는, 관찰 광원으로서는, 피검자의 동공 축소를 방지하기 위해 적외광을 사용하고, 촬영 광원으로서 칼라 화상을 얻기 위해 가시광선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적외광원으로서, 백색의 할로겐 램프의 빛으로부터 광학필터에 의해 추출한 적외광 성분을 이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LED 기술의 발달에 의해, 최근에는 적외 LED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있다. 가시광원으로서는, 아직도 Xe관을 사용함으로써, 순간적으로 충분한 광량을 갖는 빛을 얻고 있다.
최근에는, 충분한 광량을 갖는 백색 LED도 개발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백색 LED에 의한 가시광원의 실현의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일본국 특개평 07-008459호 공보에서는, 브로드한 파장을 갖는 빛을 발광하는 광원의 전방면에 배치하는 광학 필터를, 적외 투과 필터와 가시광선 투과 필터 사이에서 전환함으로써, 적외광과 가시광선을 기계적으로 전환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 2008-212327호 공보에서는, 적외 LED와 백색 LED를 원환 형상으로 교대로 배치함으로써, 원환형의 면광원을 얻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적외광과 가시광선은 전기적으로 전환된다.
일본국 특개 2008-212375호 공보에서는, 원환 형상으로 비연속적으로 배치한 LED 광원을 촬영시에 회전함으로써, 광원 불균일을 제거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관찰 광원과 촬영 광원은 다이클로익 미러에 의해 광로가 분할되어, 전기적 스위칭에 의해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그렇지만, 다이클로익 미러를 거침으로써 광량의 손실이 생겨 버린다. 또한, 광로가 분할됨으로써, 광로도 2개소 준비할 필요가 있어, 광로를 위한 스페이스의 증가를 초래한다. 이것은 기기의 대형화를 초래하는 동시에, 구조와 구성부품의 복잡화를 초래하여 버린다.
일본국 특개평 07-008459호 공보에 따르면, LED 광원으로 불리는 소형의 광원은 발광 특성으로서 브로드한 발광 특성을 나타내지 않으므로, 적외광으로부터 가시광까지를 망라하는 광원이 될 수 없다. 또한, 이 장치는 광원 이외에 광학필터를 2개 준비할 필요가 있다. 즉, 이 장치는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하여 복잡한 구성을 갖는다.
일본국 특개 2008-212327호 공보에 따르면, 1개의 원주 위에 적외 LED와 백색 LED가 교대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적외 LED들 사이 및 백색 LED들 사이의 피치가 넓어져 버린다. 그 때문에, 이와 같은 광원은, 원환 형상으로 균일한 조명을 제공하는데 필요한 관찰/촬영 광원으로서는 만족할 수 있는 광원이 될 수 없다.
일본국 특개 2008-212375 공보에 개시된 광원은, 잔상현상에 의해, 관찰 광원으로서는 실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갖는다. 그러나, 이 광원을 촬영 광원으로서 사용할 때, 노광 시간을 연장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시선고정 벗어남으로 인해 화상 블러를 발생하여 버린다. 따라서, 충분한 품질을 갖는 촬영 화상을 얻는 것이 불가능하다.
상기한 과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광량의 손실을 저감하면서, 소형이고 간단한 구성을 갖는, 복수의 광원을 전환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파장이 다른 복수의 광원과, 선택된 촬영 모드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광원 중 1개의 광원을, 조명 광학계를 통해 피검안의 안저를 조명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이동 유닛과, 상기 조명 광학계를 통해 조명된 피검안의 안저로부터의 귀환 광을 촬영하는 이미지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복수의 광원 중 1개의 광원을 상기 조명 광학계의 광로에 삽입하고, 상기 조명 광학계의 광로로부터 후퇴하도록 다른 광원을 이동시키는, 안과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피검안을 조명하는 조명 광학계에 설치된 적외광원과, 백색광원과, 상기 피검안을 촬영할 때, 상기 적외광원을 상기 조명 광학계의 광로로부터 후퇴시키고, 상기 백색광원을 상기 광로 상에 삽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구비한 안과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주어지는 이하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안저 촬영장치의 개략 구성도다.
도 2는, 광원 유닛의 전개도다.
도 3은, 광원 유닛의 기능 구성도다.
도 4는, 광원 유닛에 있어서의 처리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이들 실시예에서 주어지는 구성요소들의 상대적인 배치, 수식 및 수치는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 주목하기 바란다.
(제1실시형태)
도 1을 참조하여, 안저 촬영장치의 개략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이 안저 촬영장치는, 대략적으로 조명 광학계(O1), 관찰/촬영 광학계(O2)로 구성된다. 광원 유닛(11)은, 적외광원으로서의 적외 LED(11a)와, 가시광원(백색광원)으로서의 백색 LED(11b)를 구비한다. 광원 구동 모터 M1은 조명 광학계(O1)에 대향하는 LED를 적외 LED(11a)와 백색 LED(11b) 사이에서 전환한다. 링 슬릿(12)은, 조명 광학계(O1)에 대해 직교하고 원환형의 마스크를 형성하여 광원 유닛(11)으로부터의 조명광을 링 형상 조명광으로 조정하는 마스크 부재이다. 조명 렌즈(13)와, 조명 릴레이 렌즈(15)는 링 조명을 피검안(19)에 결상한다. 스플릿 유닛(14)은, 포커스 지표를 투영하기 위한 포커스 지표 광원(14a)과, 광원을 분할하기 위한 프리즘(14b)과, 포커스 지표의 외형을 표시하는 포커스 지표 마스크(14c)를 구비한다. 그리고, 스플릿 유닛(14)은, 프리즘(14b) 및 포커스 지표 마스크(14c)를 관찰시에 조명 광학계(O1)의 광로 위에 이동(삽입)시킨다. 스플릿 유닛(14)은, 도 1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포커스 지표를 광축 방향으로 시프트/이동시키는 이동 기구와, 조명 광학계(O1)의 광로로부터 포커스 지표를 후퇴시키는 후퇴 기구를 더 구비한다.
스플릿 시프트 구동 모터 M2는, 스플릿 유닛(14)을 시프트/구동해서 포커스 지표에 초점을 맞춘다. 스플릿 위치 검지 센서 S2는 스플릿 유닛(14)의 정지 위치를 검출한다. 스플릿 이동 구동 모터 M3는 스플릿 유닛(14)을 조명 광학계(O1)에 대해 진퇴시킨다. 즉, 관찰시에, 스플릿 이동 구동 모터 M3는 스플릿 유닛(14)을 조명 광학계(O1) 내부로 이동(삽입)하여, 관찰 상 내부에 스플릿 지표를 투영하도록 제어된다. 촬영시에는, 스플릿 이동 구동 모터 M3는 조명 광학계(O1)로부터 스플릿 유닛(14)을 후퇴시켜, 촬영상의 내부에 포커스 지표가 찍혀들어가는 일이 없도록 제어된다. 구멍뚫린 미러(16)는, 중심에 구멍이 뚫린 전반사 미러로서, 링 형상 조명광을 외주의 미러부에 의해 반사하고, 촬영광을 중앙의 구멍을 통해 투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얼라인먼트 지표 투영 유닛(17)은, 얼라인먼트 지표를 투영하기 위한 광원(17a)과, 지표를 형성하는 라이트 가이드(17b)를 구비한다.
대물렌즈(18)는, 구멍뚫린 미러(16)에서 반사된 링 조명을 피검안(19)에 결상하여, 링 형상으로 피검안의 안저를 조명한다. 대물렌즈(18)는, 조명된 피검안의 안저상을 구멍뚫린 미러 근방의 조리개(20)의 위치에 결상한다. 관찰/촬영 광학계(O2) 내부로 빛이 더 진행한다. 포커스 렌즈(21)는, 구멍뚫린 미러(16)의 중앙의 구멍을 통과한 촬영 광속의 초점 조절을 행하기 위한 렌즈이다, 포커스 렌즈(21)는, 도 1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초점 조절을 행한다. 포커스 렌즈 구동 모터 M4는 포커스 렌즈(21)를 구동해서 초점을 맞춘다. 포커스 렌즈 위치 검지부 S4는, 포커스 렌즈(21)의 정지 위치를 검출한다. 이미지 센서를 구성하는 촬상소자(22)는 촬영광을 광전변환한다. 처리회로(미도시)는, 촬상소자(22)에서 얻어진 전기신호를 A-D 변환한다. 그후, 표시장치(미도시)는 적외광을 사용한 관찰시에 신호를 표시한다. 이 신호는 촬영시에 기록매체에 기억된다.
도 2를 참조하여, 광원 유닛(11)에 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광원 유닛(11)은, 적외 LED(11a)와, 백색 LED(11b)과, LED 홀더(11c)와, LED 홀더 구멍(11d)과, 확산 시이트(11e)와, 콘덴서 렌즈(11f)와, 링 슬릿(11g)과, 광원 지판(ground plate)(11h)과, 광원 구동 모터 M1을 구비한다.
적외 LED(11a) 및 백색 LED(11b)은, 모두 면실장 타입의 패키지에 들어간 LED를 1매의 프린트 배선판 위에 원환 형상으로 배치하고, 그것들을 LED 홀더(11c) 위에 일체로 장착함으로써 얻어진다. 이와 같은 배치에 따라, 광원 유닛(11)으로부터의 빛은 대략 원환형의 빛이 된다. LED 홀더(11c) 내부에는 LED 홀더 구멍(11d)이 형성되어 있다. LED 홀더 구멍(11d)은 조명 광학계(O1)에 대해 평행하며, 광원 지판(11h)에 형성되어 있는 축(미도시)에 끼워맞추어져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확산 시이트(11e) 및 콘덴서 렌즈(11f)는, 적외 LED(11a) 및 백색 LED(11b)로부터의 광속을 확산해서 LED에 의한 조명 얼룩(illumination irregularity)을 없애, 균일한 조도를 얻는다. 링 슬릿(11g)은, 대략 원환 형상으로 균일화된 광속을 정확한 원환형으로 형성하기 위해 이 광속의 불필요한 부분을 마스크하는 마스크 부재이다.
즉, 광원 유닛(11)의 적외 LED(11a) 혹은 백색 LED(11b)는, 조명 광학계(O1)에 대향하였을 때에는, 그것의 원환형의 배열이 링 슬릿(12)의 환형 개구에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이것들은 광원 지판(11h)에 부착된다. 이들 구성요소는, 광원 구동 모터 M1과 함께 광원 지판(11h)에 고정된다. 광원 구동 모터 M1에 전력을 공급하면, 광원 지판(11h)에 대해 LED 홀더(11c)가 회전한다. 그후, 스톱퍼(미도시)에 의해 LED 홀더(11c)의 위치가 정해진다. LED 홀더(11c)가 도 1에 도시된 상태에 있을 때에는, 백색 LED(11b)가 조명 광학계(O1)와 대향한다. LED 홀더(11c)가 회전하면, 적외 LED(11a)가 조명 광학계(O1)와 대향하게 된다.
즉, 도 3을 참조해서 후술하는 광원 구동 모터 M1은, 적외 LED(11a)(제1 광원 모듈) 및 백색 LED(11b)(제2 광원 모듈)을 포함하는 복수의 광원 모듈 중 1개의 광원 모듈을, 링 형상 조명광이 이끌어지는 광로에 대해 직교하는 평면 내에서, 해당 광원 모듈의 중심과 광로의 중심축이 일치하는 위치로 이동가능하다. 광원 구동 모터 M1은, 복수의 광원 모듈 중 1개의 광원 모듈을, 광원 모듈의 중심과 광로의 중심축이 일치하지 않는 위치로 더 이동가능하다. 광원 모듈의 중심이 광로의 중심축과 일치하는 위치와 일치하지 않는 위치로 복수의 광원 모듈 중 1개의 광원 모듈을 동일 평면 내에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 구성요소가 1개의 프린트 배선판 위에 실장되어 있어도 된다. 이때, 광로의 중심축과 평행한 축을 기준으로 한 회전운동에 의해, 광원 모듈의 중심과 광로의 중심축이 일치하지 않는 위치로부터 그들이 서로 일치하는 위치로, 또는, 광원 모듈의 중심과 광로의 중심축이 일치하는 위치로부터 그들이 일치하지 않는 위치로, 복수의 광원 모듈 중 1개의 광원 모듈을 이동 가능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여 광원 유닛의 기능 구성을 설명한다. 안저 촬영장치에서는, CPU(301)가 모든 동작을 제어하고 있다. 광원 위치 검지부 S1은, 조명 광학계(O1)에 대향하는 광원을 검출한다. 광원 구동 모터 M1은, 원하는 광원을 조명 광학계(O1)에 대향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적외 LED(11a)와 백색 LED(11b)의 점등/소등 동작 뿐만 아니라, 그것의 발광 강도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촬영 스위치 SW1에 의한 스위치 조작의 검출시에, 장치가 촬영 동작을 개시한다.
전원 스위치 SW2는, 안저 촬영장치 전체의 전원을 켜거나 끈다. 안저 촬영장치의 기동후에 있어서는, 이 장치가 소정의 촬영 모드로 설정되어도 된다. 소정의 촬영 모드란, 적외 영역에 발광 피크 파장을 갖는 적외 LED와, 가시 영역에 발광 피크 파장을 갖는 백색 LED와, 특정 파장이 발광 피크 파장이 되는 특정 색의 LED 등을 사용한 각종 촬영 모드의 어느 한 개다. 리셋 스위치 SW3는, 동작 이상(異常)의 발생시에 CPU(301)의 동작을 리셋하고, 동작을 재기동시킨다. 리셋 동작후에, 장치는 소정의 촬영 모드로 설정되어도 된다.
도 4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기 기능 구성을 사용한 광원 유닛에 있어서의 처리절차를 설명한다. 우선, 전원 스위치 SW2에 의해 전원이 켜지면 처리가 개시된다.
스텝 S401에 있어서, CPU(301)는, 우선 적외 LED(11a)가 조명 광학계(O1)에 대향하도록 셋트한다. CPU(301)는, 광원 위치 검지부 S1에 의해 광원의 위치를 모니터하면서, 광원 구동 모터 M1을 구동한다.
스텝 S402에 있어서, CPU(301)는, 적외 LED(11a)를 점등시키고, 안저 관찰을 위해 적외 LED를 연속 점등시킨다. 적외 LED가 피검안(19)에 빛을 조사하기 때문에, 동공은 축소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검사자는 흑백 화상을 사용하여 얼라이먼트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스텝 S403에 있어서, CPU(301)는, 촬영 스위치 SW1의 상태를 확인하여, 촬영 스위치 SW1가 ON으로 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촬영 스위치 SW1이 ON으로 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403에서 YES), 스텝 S404로 처리를 진행한다. 촬영 스위치 SW1이 ON으로 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403에서 NO), CPU(301)는 촬영 스위치 SW1이 ON으로 될 때까지 대기한다.
스텝 S404에 있어서, CPU(301)는 적외 LED(11a)를 소등한다. 광원 유닛(11)을 움직이고자 하는 시도로 인해, 동작중에 조명 얼룩이 커지기 때문에, CPU(301)는 점등하고 있는 조명 광원을 소등한다.
스텝 S405에 있어서, CPU(301)는, 백색 LED(11b)을 조명 광학계(O1)에 셋트하는 조작을 개시한다.
스텝 S406에 있어서, 광원 구동 모터 M1은, 광원 위치 검지부 S1에 의해 광원의 위치를 모니터하면서, 촬영 동작에 필요한 백색 LED(11b)을 이동한다. 그후, CPU(301)은, 백색 LED(11b)을 조명 광학계(O1)에 셋트하는 조작이 완료하였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CPU(301)가, 조작이 완료했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406에서 YES), 스텝 S407로 처리를 진행한다. CPU(301)이 조작이 완료하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406에서 NO), CPU(301)는 조작이 완료할 때까지 대기한다.
스텝 S407에 있어서, CPU(301)는, 타이머를 사용해서 소정 시간을 카운트한다. CPU(301)는, 광원 구동 모터 M1가 구동을 정지해도, 백색 LED(11b)가 정지시의 반동으로 인해 바운드(bound)하는 시간을 고려하여 타이머가 카운트를 행하게 한다.
스텝 S408에 있어서, 이미지 센서는 촬영 상태로 이행해서 촬영 동작을 행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 카메라가 노광을 개시하고, CPU(301)이 백색 LED(11b)를 점등한다. 백색 LED(11b)가 소등하면, 노광이 종료이므로, 디지털 카메라가 노광을 종료한다.
스텝 S409에 있어서, CPU(301)는, 적외 LED(11a)를 조명 광학계(O1)에 셋트한다.
스텝 S410에 있어서, CPU(301)는, 스텝 S407과 마찬가지로, 적외 LED(11a)의 바운딩이 끝나는 시간을 적외 LED(11a)가 이동중인 시간으로 간주하면서 타이머가 카운트를 행하게 한다.
스텝 S411에 있어서, CPU(301)는, 이동 완료한 후 소정 시간 경과후에, 적외 LED(11a)를 점등해서 안저 관찰 상태로 이행한다. CPU(301)는, 광원들이 이동중인지 아닌지에 따라 광원들을 점등 및 소등시킨다. 그후, 처리가 종료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하고 소형의 장치가 광량 로스가 없이 관찰 광원/촬영 광원의 전환을 실현할 수 있다.
(제2실시형태)
안저 상의 관찰에 있어서는, 특정한 파장을 사용한 촬상에 의해 질환의 확인을 행하는 것이 유효하다. 그 경우, 촬영 광원에 대해, 특정 파장 이외의 파장을 갖는 광속을 컷트하는 광학필터가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케이스에 본 발명에 따른 안저 촬영장치를 적용한 경우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한다.
제1실시형태에서는 촬영 광원과 관찰 광원에 관해 서술하고, 촬영 광원으로서 백색 LED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백색 LED 대신에, 특정 색의 LED를 사용함으로써 촬영 모드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화상을 취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경우, LED 홀더(11c)에, 적외 LED, 백색 LED 및 특정 색 LED를 각각 원환 형상으로 배치하고, 선택된 모드에 따른 LED를 조명 광학계에 대향시킴으로써, 특정한 파장에서의 촬영도 실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촬영 조건이 다른 복수의 촬영 모드를 전환하는 촬영 모드 전환에 의해, 복수의 광원 모듈 중, 전환에 의해 설정된 촬영 모드에 대응하는 광원 모듈을, 광로에 대해 직교하는 동일 평면 내에서, 해당 광원 모듈의 중심과 광로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이동시키면 된다. 이와 같은 촬영 모드 전환 동작은 CPU(310)에 의해 실행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취하는 것에 의해, 특정 파장에서의 촬영이 가능한 안저 촬영장치를, 간단하고 소형의 구성으로 광량 손실이 없이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량의 손실을 저감하면서, 소형이며 간단한 구성을 사용하여 복수의 광원을 전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기타 실시형태)
본 발명의 국면은, 전술한 실시예(들)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기억장치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또는 CPU 또는 MPU 등의 소자)의 컴퓨터나,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예(들)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기억장치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들을 갖는 방법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예를 들어, 네트워크를 거쳐, 또는 기억장치로서의 역할을 하는 다양한 종류의 기록매체(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부터 이 프로그램이 컴퓨터로 주어진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자명하다. 이하의 청구범위의 보호범위는 가장 넓게 해석되어 모든 변형, 동등물 구조 및 기능을 포괄하여야 한다.

Claims (24)

  1. 파장이 다른 복수의 광원과,
    선택된 촬영 모드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광원 중 1개의 광원을, 조명 광학계를 통해 피검안의 안저를 조명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이동 유닛과,
    상기 조명 광학계를 통해 조명된 피검안의 안저로부터의 귀환 광을 촬영하는 이미지 센서와,
    상기 광원이 상기 이동 유닛에 의해 이동하는 동안 상기 광원을 소등시키고, 이동이 완료된 후,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상기 광원을 점등시키는 소등/점등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복수의 광원 중 1개의 광원을 상기 조명 광학계의 광로에 삽입하고, 상기 조명 광학계의 광로로부터 후퇴하도록 다른 광원을 이동시키는, 안과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원 중 1개의 광원으로부터의 광속을 링 형상 조명광으로 조정하도록 구성된 조정 유닛과,
    상기 링 형상 조명광을 상기 피검안의 안저로 이끌도록 구성된 라이트 가이드 유닛을 더 구비한, 안과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복수의 광원 중 1개의 광원을, 상기 라이트 가이드 유닛에 의해 이끌어진 상기 링 형상 조명광의 광로에 대해 직교하는 평면 내에서, 상기 광원의 중심과 상기 광로의 중심축이 일치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안과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1개의 광원을, 상기 광원의 중심과 상기 광로의 중심축이 일치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광원의 중심과 상기 광로의 중심축이 일치하지 않는 위치로 더 이동하도록 구성된, 안과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원은, (a)적외 영역에 발광 피크 파장을 갖는 제1 광원과, (b)가시 영역에 발광 피크 파장을 갖는 제2 광원을 구비한, 안과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상기 피검안의 안저상을 관찰 또는 촬영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이동 유닛이 설정할 광원을 상기 제1 광원으로부터 상기 제2 광원으로 전환할 때, 상기 이미지 센서를 사용하여 안저상을 관찰하는 관찰 모드가, 안저상을 촬영하는 촬영 모드로 전환되고,
    상기 이동 유닛이 설정할 광원을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상기 제1 광원으로 전환할 때, 상기 촬영 모드가 상기 관찰 모드로 전환되는, 안과 장치.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다른 촬영 조건에서 촬영하기 위한 복수의 촬영 모드를 전환하도록 구성된 촬영 모드 전환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복수의 광원 중, 상기 촬영 모드 전환 유닛에 의한 전환에 의해 설정된 촬영 모드에 대응하는 1개의 광원을 이동시키는, 안과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모드 전환 유닛은, 상기 장치의 기동 후 또는 리셋 후에, 소정의 촬영 모드로의 전환을 행하고,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장치의 기동 후 또는 리셋 후에, 상기 소정의 촬영 모드에 대응하는 상기 광원을, 광로에 대해 직교하는 평면 내에서, 해당 광원의 중심과 상기 광로의 중심축이 일치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안과 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원 중 1개의 광원은 LED를 구비한, 안과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유닛이,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속을 링 형상 조명광으로 조정하기 위한 환형 개구를 갖는 마스크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광원은, 상기 마스크 부재의 상기 환형 개구에 대향하도록, 환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LED를 구비한, 안과 장치.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원은, 상기 광원이 상기 광원의 중심과 광로의 중심축이 일치하는 위치에 있을 때와, 상기 광원이 상기 광원의 중심과 상기 광로의 중심축이 일치하지 않는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광로에 대해 직교하는 평면 내에 배치되어 있는, 안과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원은, 1개의 프린트 배선판 위에 실장되어 있는, 안과 장치.
  1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광로의 중심축과 평행한 축을 기준으로 한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광원의 중심과 상기 광로의 중심축이 일치하지 않는 위치로부터 상기 광원의 중심과 상기 광로의 중심축이 일치하는 위치로 상기 복수의 광원 중 1개의 광원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안과 장치.
  15. 피검안을 조명하는 조명 광학계에 설치된 적외광원과,
    백색광원과,
    상기 피검안을 촬영할 때, 상기 적외광원을 상기 조명 광학계의 광로로부터 후퇴시키고, 상기 백색광원을 상기 광로 상에 삽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유닛과,
    상기 적외광원 또는 상기 백색광원이 이동하는 동안 상기 적외광원 또는 상기 백색광원을 소등시키고, 이동이 완료된 후,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상기 적외광원 또는 상기 백색광원을 점등시키는 소등/점등 유닛을 구비한, 안과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턴온된 상기 적외광원이 턴오프되도록 제어한 후에, 상기 조명 광학계로부터 상기 적외광원을 후퇴시키고, 상기 광로 상에 상기 백색 광원을 삽입하는, 안과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백색 광원이 상기 광로 상에 삽입된 후에, 상기 백색 광원을 턴온하는, 안과 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광원과 상기 백색 광원은 모두 홀더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홀더의 이동에 의해 상기 광로로부터 상기 적외광원을 후퇴시키고, 상기 광로 상에 상기 백색 광원을 삽입하는, 안과 장치.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원 중 제 1 광원은 상기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위치에 설치된 상기 제 1 광원 대신에, 상기 제 1 광원과는 다른 상기 복수의 광원 중 제 2 광원을 상기 위치로 이동시키는, 안과 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원 및 상기 제 2 광원은 모두 홀더 위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제 1 광원 대신에, 상기 홀더를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 2 광원을 상기 위치로 이동시키는, 안과 장치.
  21. 파장이 다른 복수의 광원; 선택된 촬영 모드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광원 중 1개의 광원을, 조명 광학계를 통해 피검안의 안저를 조명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이동 유닛; 및 상기 조명 광학계를 통해 조명된 피검안의 안저로부터의 귀환 광을 촬영하는 이미지 센서를 구비한 안과 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복수의 광원 중 1개의 광원을 상기 조명 광학계의 광로에 삽입하고, 상기 조명 광학계의 광로로부터 후퇴하도록 다른 광원을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광원이 상기 이동 유닛에 의해 이동하는 동안 상기 광원을 소등시키고, 이동이 완료된 후,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상기 광원을 점등시키는 소등/점등 단계를포함하는, 안과 장치의 제어방법.
  22. 피검안을 조명하는 조명 광학계에 설치된 적외광원; 백색광원; 및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안과 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피검안을 촬영할 때, 상기 적외광원을 상기 조명 광학계의 광로로부터 후퇴시키고, 상기 백색광원을 상기 광로 상에 삽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단계와,
    상기 적외광원 또는 상기 백색광원이 이동하는 동안 상기 적외광원 또는 상기 백색광원을 소등시키고, 이동이 완료된 후,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상기 적외광원 또는 상기 백색광원을 점등시키는 소등/점등 단계를 포함하는, 안과 장치의 제어방법.
  23. 청구항 제21항에 따른 안과장치의 제어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억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24. 청구항 제22항에 따른 안과장치의 제어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억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10084309A 2010-08-30 2011-08-24 안저 촬영장치 KR1014470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92707A JP5753354B2 (ja) 2010-08-30 2010-08-30 眼底撮影装置、眼底撮影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JP-P-2010-192707 2010-08-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1206A KR20120021206A (ko) 2012-03-08
KR101447005B1 true KR101447005B1 (ko) 2014-10-06

Family

ID=44651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4309A KR101447005B1 (ko) 2010-08-30 2011-08-24 안저 촬영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480232B2 (ko)
EP (1) EP2422692A1 (ko)
JP (1) JP5753354B2 (ko)
KR (1) KR101447005B1 (ko)
CN (1) CN10237968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44461B2 (en) 2019-05-21 2023-09-0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Retina imaging method and device, and retina and optic nerve function evaluation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65432B2 (ja) 2010-08-31 2015-02-04 キヤノン株式会社 眼科装置
JP5550495B2 (ja) 2010-08-31 2014-07-16 キヤノン株式会社 眼底撮影装置
US9655517B2 (en) 2012-02-02 2017-05-23 Visunex Medical Systems Co. Ltd. Portable eye imaging apparatus
US20150021228A1 (en) 2012-02-02 2015-01-22 Visunex Medical Systems Co., Ltd. Eye imaging apparatus and systems
US9351639B2 (en) 2012-03-17 2016-05-31 Visunex Medical Systems Co. Ltd. Eye imaging apparatus with a wide field of view and related methods
CN102613957B (zh) * 2012-04-05 2014-07-30 深圳典邦科技有限公司 一种眼底检查设备
FI125445B (fi) * 2012-09-12 2015-10-15 Trividi Oy Katseenohjausjärjestely
JP6116188B2 (ja) * 2012-10-26 2017-04-19 キヤノン株式会社 眼底撮像装置
JP6173169B2 (ja) * 2012-11-26 2017-08-02 キヤノン株式会社 眼科装置及び眼科装置の制御方法
CN103099601B (zh) * 2012-12-19 2015-11-11 苏州康捷医疗股份有限公司 一种眼底检查镜头
CN103099600B (zh) * 2012-12-19 2015-11-11 苏州康捷医疗股份有限公司 一种可视眼底检查仪
TW201513827A (zh) * 2013-10-04 2015-04-16 Univ Nat Chiao Tung 可攜式多頻段刺激光及紅外線照明之瞳孔偵測裝置
WO2015054672A1 (en) 2013-10-10 2015-04-1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Ocular cellscope apparatus
US9986908B2 (en) 2014-06-23 2018-06-05 Visunex Medical Systems Co. Ltd. Mechanical features of an eye imaging apparatus
CN107708524A (zh) 2015-01-26 2018-02-16 威盛纳斯医疗系统公司 用于眼睛成像装置的一次性隔离套以及相关方法
US10582852B2 (en) 2015-02-05 2020-03-10 Carl Zeiss Meditec Ag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scattered light in broad-line fundus imaging
TWI636767B (zh) * 2016-04-14 2018-10-01 明達醫學科技股份有限公司 光學量測裝置及其運作方法
WO2017180965A1 (en) 2016-04-15 2017-10-19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Retinal cellscope apparatus
CN106073698B (zh) * 2016-06-14 2017-12-22 江苏大学 一种基于安卓的眼底成像方法
EP3379994B1 (en) * 2016-09-07 2019-05-01 Remidio Innovative Solutions Pvt. Ltd. Ophthalmologic imaging apparatus
CN106618478A (zh) * 2017-01-16 2017-05-10 中国科学院上海光学精密机械研究所 照明主光线共光路的手持式眼底照相机
EP3616602A4 (en) * 2017-04-28 2021-04-14 Nikon Corporation SYSTEM FOR OPHTHALMOLOGICAL IMAGING, DEVICE FOR OPHTHALMOLOGICAL IMAGING, METHOD FOR CAPTURING AN OPHTHALMOLOGICAL IMAGE AND OPHTHALMOLOGICAL IMAGE SYSTEM
CN108174115B (zh) * 2017-12-26 2020-05-26 浙江大华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飞碟摄像机补光方法及装置
CN108324241B (zh) * 2018-01-22 2024-02-02 深圳盛达同泽科技有限公司 多光谱光源、眼底成像系统和成像方法
JP7220471B2 (ja) * 2019-11-27 2023-02-10 株式会社タカギセイコー マイボーム腺観察可能な細隙灯顕微鏡
CN117320613A (zh) * 2020-12-18 2023-12-29 泰斯艾科特健康公司 装置辅助的眼睛成像和/或测量
KR102588910B1 (ko) * 2021-02-02 2023-10-13 인더스마트 주식회사 안과용 영상 촬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4984A (ja) * 2004-12-22 2006-07-06 Kowa Co 照明装置及びその照明装置を用いた眼科撮影装置
JP2010119591A (ja) * 2008-11-19 2010-06-03 Canon Inc 眼科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459A (ja) 1993-06-22 1995-01-13 Canon Inc 眼科撮影装置
JP3986350B2 (ja) * 2002-04-16 2007-10-03 興和株式会社 眼科検査装置
JP2004081255A (ja) * 2002-08-23 2004-03-18 Kowa Co 眼底カメラ
US7347553B2 (en) * 2004-09-24 2008-03-25 Canon Kabushiki Kaisha Ophthalmic image sensing apparatus
DE102005034332A1 (de) * 2005-07-22 2007-01-25 Carl Zeiss Meditec Ag Einrichtung und Verfahren zur Beobachtung, Dokumentation und/oder Diagnose des Augenhintergrundes
JP5031405B2 (ja) * 2007-03-02 2012-09-19 キヤノン株式会社 眼科撮影装置、眼科撮影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8212375A (ja) 2007-03-05 2008-09-18 Canon Inc 眼科撮影装置
CN101352387B (zh) * 2008-08-26 2010-12-08 北京航空航天大学 弱视治疗仪的光源转动机构
JP5268583B2 (ja) * 2008-11-17 2013-08-21 キヤノン株式会社 眼科撮影装置
JP5213772B2 (ja) * 2009-03-19 2013-06-19 キヤノン株式会社 眼底カメ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4984A (ja) * 2004-12-22 2006-07-06 Kowa Co 照明装置及びその照明装置を用いた眼科撮影装置
JP2010119591A (ja) * 2008-11-19 2010-06-03 Canon Inc 眼科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44461B2 (en) 2019-05-21 2023-09-0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Retina imaging method and device, and retina and optic nerve function evalu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480232B2 (en) 2013-07-09
US20120050672A1 (en) 2012-03-01
JP2012045321A (ja) 2012-03-08
EP2422692A1 (en) 2012-02-29
CN102379681A (zh) 2012-03-21
JP5753354B2 (ja) 2015-07-22
KR20120021206A (ko) 2012-03-08
CN102379681B (zh) 2015-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7005B1 (ko) 안저 촬영장치
JP5031405B2 (ja) 眼科撮影装置、眼科撮影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267516B2 (en) Fundus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JP2010269015A (ja) 眼底観察装置
JP2016007433A (ja) 眼科装置
US8752962B2 (en) Ophthalmic apparatus
EP2080472B1 (en) Ophthalmic photography apparatus
CN115542641A (zh) 照明装置以及摄像装置
JP4545418B2 (ja) 眼底カメラ
JP2006110113A (ja) 眼科撮影装置
JP2006334047A (ja) 眼科装置
JP2014050462A (ja) 眼科撮影装置
JP5631450B2 (ja) 眼科装置及び眼科装置の制御方法
US9226659B2 (en) Fundus camera
JP7355194B2 (ja) 眼底撮影装置
JP4515851B2 (ja) 眼科撮影装置
WO2011148597A1 (en) Imag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the same, and program
JP7302924B2 (ja) 眼科撮影装置
JP2002058646A (ja) 眼撮影装置
JP2017064188A (ja) 眼底撮影装置
JP2014217422A (ja) 眼底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