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5982B1 -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패턴층을 가지는 복합필름 - Google Patents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패턴층을 가지는 복합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5982B1
KR101445982B1 KR1020130093266A KR20130093266A KR101445982B1 KR 101445982 B1 KR101445982 B1 KR 101445982B1 KR 1020130093266 A KR1020130093266 A KR 1020130093266A KR 20130093266 A KR20130093266 A KR 20130093266A KR 101445982 B1 KR101445982 B1 KR 101445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diacrylate
pattern layer
acrylate
composit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3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경태
박용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명성디엠아이
박용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명성디엠아이, 박용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명성디엠아이
Priority to KR1020130093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59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5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59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Landscapes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재필름; 및 상기 기재필름의 상부면에 형성되고, 일면에 패턴부를 가지는 패턴층;을 포함하고, 상기 패턴층은, (A) 2-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10 내지 25 중량%; (B) ο-페닐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0 내지 40 중량%; (C) 아크릴로일 몰포린 10 내지 20 중량%; (D) 비스페놀A 디아크릴레이트 15 내지 50 중량%; 및 (E) 비스페닐 플루오렌 디아크릴레이트 10 내지 20 중량%;로 이루어진 아크릴레이트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광개시제 2 내지 7 중량부가 포함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패턴층을 가지는 복합필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패턴층을 가지는 복합필름{Composite Film Having Pattern Layer Consisting of UV Curable Resin Composition}
본 발명은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패턴층을 가지는 복합필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접착력 및 패턴 성형성이 우수한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패턴층을 가지는 복합필름에 관한 것이다.
복합필름은 2 이상의 필름이 적층되거나 상호 부착된 필름으로, 주로 디스플레이, 전자제품 또는 가전제품의 외장재로 사용되는 필름을 의미한다. 복합필름은 휘도 향상 또는 박막화 등의 목적으로 2 이상의 필름을 부착하여 구성되고, 상기 복합필름에는 패턴층을 가지는 필름이 포함된다.
최근 디스플레이 제품 및 전자제품의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종래 각각의 필름을 적층하여 구성할 경우 유발되는 제품의 두께 증가, 불량률 상승 및 품질 저하 등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디스플레이용 복합필름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37958호는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플로렌 유도체 아크릴레이트 또는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 올리고머 15 ~ 90 중량%,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9 ~ 65 중량%, 광개시제 0.9 ~ 15 중량% 및 첨가제 0.1 ~ 5 중량%를 포함하는 광학필름용 고굴절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광학필름용 고굴절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휘도와 강도는 우수하나 접착력과 패턴 성형성이 우수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접착력과 패턴 성형성이 우수하고, 휨 특성 및 강도가 우수하며, 접착층에 의하지 아니하고 필름에 직접 형성할 수 있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패턴층을 가지는 복합필름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접착력과 패턴 성형성이 우수한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패턴층을 가지는 복합필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휨 특성 및 강도가 우수한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패턴층을 가지는 복합필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접착층에 의하지 아니하고 필름에 직접 형성할 수 있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패턴층을 가지는 복합필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패턴층을 가지는 복합필름은, 기재필름; 및 상기 기재필름의 상부면에 형성되고, 일면에 패턴부를 가지는 패턴층;을 포함하고, 상기 패턴층은, (A) 2-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10 내지 25 중량%; (B) ο-페닐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0 내지 40 중량%; (C) 아크릴로일 몰포린 10 내지 20 중량%; (D) 비스페놀A 디아크릴레이트 15 내지 50 중량%; 및 (E) 비스페닐 플루오렌 디아크릴레이트 10 내지 20 중량%;로 이루어진 아크릴레이트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광개시제 2 내지 7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광개시제는 아크릴레이트 홉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5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재필름은 도광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개시제는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잔톤, 1-히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 케톤, 벤즈알데하이드, 안트라퀴논, 3-메틸아세토페논,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디페닐 포스핀, 1-(4-이소프로필-페놀)-2-히드록시-2-메틸 프로판-1-온, 티오잔톤, 4-클로로벤조페논, 4,4'-디메톡시벤조페논, 4,4'-디아미노벤조페논, 벤조인 프로필 에테르 및 벤조인에틸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적어도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개시제는 1-히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 케톤 및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디페닐 포스핀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히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 케톤 및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디페닐 포스핀은 1:1 중량% 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접착력과 패턴 성형성이 우수하고, 휨 특성 및 강도가 우수하며, 접착층에 의하지 아니하고 필름에 직접 형성할 수 있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패턴층을 가지는 복합필름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필름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패턴층을 가지는 복합필름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필름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필름은, 기재필름(10) 및 패턴층(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패턴층(20)은 기재필름(1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일면에 패턴부(21)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필름을 광학 필름으로 사용할 경우 상기 기재필름(10)은 도광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패턴층(20)은 (A) 2-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10 내지 25 중량%; (B) ο-페닐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0 내지 40 중량%; (C) 아크릴로일 몰포린 10 내지 20 중량%; (D) 비스페놀A 디아크릴레이트 15 내지 50 중량%; 및 (E) 비스페닐 플루오렌 디아크릴레이트 10 내지 20 중량%로 이루어진 아크릴레이트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광개시제 3 내지 7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패턴층(20)을 구성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의 구성요소에 대한 실험 결과를 상세히 기술한다.
실시예 비교예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2-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는 한농화성의 PHA-011을 구입하여 사용하였고, o-페닐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는 한농화성의 PP-011을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아크릴로일 몰포린은 KOHJIN의 ACMO를 구입하여 사용하였고, 비스페놀A 디아크릴레이트는 한농화성의 BP-032를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비스페닐 플루오렌 디아크릴레이트는 한농화성의 BPF-022를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1. 실시예
실시예 1
250㎖의 배합기에 상기 2-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10g, ο-페닐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0g, 아크릴로일 몰포린 10g, 비스페놀A 디아크릴레이트 50g, 비스페닐 플루오렌 디아크릴레이트 10g 및 광개시제 3g(1-히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 케톤 1.5g 및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디페닐 포스핀 1.5g)을 투입하여 25℃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필터를 이용하여 상기 물질들을 여과하여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2
2-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10g, ο-페닐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0g, 아크릴로일 몰포린 10g, 비스페놀A 디아크릴레이트 40g, 비스페닐 플루오렌 디아크릴레이트 20g 및 광개시제 4g(1-히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 케톤 2g 및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디페닐 포스핀 2g)을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실시예 3
2-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10g, ο-페닐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30g, 아크릴로일 몰포린 20g, 비스페놀A 디아크릴레이트 30g, 비스페닐 플루오렌 디아크릴레이트 10g 및 광개시제 5g(1-히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 케톤 2.5g 및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디페닐 포스핀 2.5g)을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실시예 4
2-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10g, ο-페닐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40g, 아크릴로일 몰포린 15g, 비스페놀A 디아크릴레이트 20g, 비스페닐 플루오렌 디아크릴레이트 150g 및 광개시제 6g(1-히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 케톤 3g 및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디페닐 포스핀 3g)을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실시예 5
2-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0g, ο-페닐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0g, 아크릴로일 몰포린 10g, 비스페놀A 디아크릴레이트 40g, 비스페닐 플루오렌 디아크릴레이트 10g 및 광개시제 7g(1-히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 케톤 3.5g 및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디페닐 포스핀 3.5g)을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실시예 6
2-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5g, ο-페닐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30g, 아크릴로일 몰포린 10g, 비스페놀A 디아크릴레이트 25g, 비스페닐 플루오렌 디아크릴레이트 10g 및 광개시제 5g(1-히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 케톤 2.5g 및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디페닐 포스핀 2.5g)을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실시예 7
2-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10g, ο-페닐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35g, 아크릴로일 몰포린 15g, 비스페놀A 디아크릴레이트 25g, 비스페닐 플루오렌 디아크릴레이트 15g 및 광개시제 4g(1-히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 케톤 2g 및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디페닐 포스핀 2g)을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상기 제조된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에 대한 실시예 1 내지 7의 조성비는 하기 표 1과 같다.
표 1
Figure 112013071304474-pat00001

2. 비교예
비교예 1
250㎖의 배합기에 상기 2-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5g, ο-페닐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5g, 아크릴로일 몰포린 10g, 비스페놀A 디아크릴레이트 40g, 비스페닐 플루오렌 디아크릴레이트 20g 및 광개시제 3g(1-히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 케톤 1.5g 및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디페닐 포스핀 1.5g)을 투입하여 25℃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필터를 이용하여 상기 물질들을 여과하여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2
2-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30g, ο-페닐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5g, 아크릴로일 몰포린 10g, 비스페놀A 디아크릴레이트 25g, 비스페닐 플루오렌 디아크릴레이트 10g 및 광개시제 4g(1-히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 케톤 2g 및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디페닐 포스핀 2g)을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비교예 3
2-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0g, ο-페닐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15g, 아크릴로일 몰포린 10g, 비스페놀A 디아크릴레이트 45g, 비스페닐 플루오렌 디아크릴레이트 10g 및 광개시제 5g(1-히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 케톤 2.5g 및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디페닐 포스핀 2.5g)을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비교예 4
2-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10g, ο-페닐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45g, 아크릴로일 몰포린 10g, 비스페놀A 디아크릴레이트 25g, 비스페닐 플루오렌 디아크릴레이트 10g 및 광개시제 6g(1-히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 케톤 3g 및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디페닐 포스핀 3g)을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비교예 5
2-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5g, ο-페닐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40g, 아크릴로일 몰포린 5g, 비스페놀A 디아크릴레이트 20g, 비스페닐 플루오렌 디아크릴레이트 10g 및 광개시제 7g(1-히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 케톤 3.5g 및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디페닐 포스핀 3.5g)을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비교예 6
2-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0g, ο-페닐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5g, 아크릴로일 몰포린 25g, 비스페놀A 디아크릴레이트 20g, 비스페닐 플루오렌 디아크릴레이트 10g 및 광개시제 5g(1-히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 케톤 2.5g 및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디페닐 포스핀 2.5g)을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비교예 7
2-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5g, ο-페닐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30g, 아크릴로일 몰포린 15g, 비스페놀A 디아크릴레이트 10g, 비스페닐 플루오렌 디아크릴레이트 20g 및 광개시제 4g(1-히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 케톤 2g 및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디페닐 포스핀 2g)을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비교예 8
2-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10g, ο-페닐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0g, 아크릴로일 몰포린 10g, 비스페놀A 디아크릴레이트 55g, 비스페닐 플루오렌 디아크릴레이트 10g 및 광개시제 5g(1-히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 케톤 2.5g 및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디페닐 포스핀 2.5g)을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비교예 9
2-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5g, ο-페닐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40g, 아크릴로일 몰포린 10g, 비스페놀A 디아크릴레이트 20g, 비스페닐 플루오렌 디아크릴레이트 5g 및 광개시제 6g(1-히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 케톤 3g 및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디페닐 포스핀 3g)을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비교예 10
2-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10g, ο-페닐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30g, 아크릴로일 몰포린 10g, 비스페놀A 디아크릴레이트 25g, 비스페닐 플루오렌 디아크릴레이트 25g 및 광개시제 7g(1-히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 케톤 3.5g 및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디페닐 포스핀 3.5g)을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상기 제조된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에 대한 비교예 1 내지 10의 조성비는 하기 표 2과 같다.
표 2
Figure 112013071304474-pat00002

상기 표 1의 실시예 1 내지 7과 비교예 1 내지 10에 의해 제조된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점도, 굴절률, 접착력, 패턴 성형성, 휨 특성, 연필경도, 경화도 및 황변 발생 여부를 측정하였다.
점도는 JIS K7117에 따른 회전형 점도계를 사용하여 25℃에서의 점도를 측정하였고, 굴절률은 굴절계(ABBE)의 589nm의 광원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접착력은 ASTM(American Society for Testing Materials, 미국 재료 시험 협회) D3359에 의거하여 시편 제조 및 평가를 진행하였고, 가로×세로 1mm 간격으로 10개씩 선을 긋고 테이프를 붙였다가 바로 떼어내서 100 칸 중 남아 있는 칸의 수를 세는 방식으로 수행하였다.
패턴 성형성은 금속 몰드 위에 조성물을 도포하고, 투명 PET 기재필름을 겹쳐 두께가 3㎛가 되도록 압력을 가한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하고, 상기 PET 기재필름을 떼어낸 후, PET 기재필름 위에 형성된 패턴을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패턴 성형이 되지 않은 곳이 10곳 이상이면 매우 불량, 7~9곳이면 불량, 4~6곳이면 보통, 1~3곳이면 양호, 없으면 매우 양호로 구분하여 표기하였다.
휨 평가는 PET 기재필름 위에 패턴을 성형한 후, 210mm×297mm의 사이즈로 절단한 시료를 평평한 유리판 위에, 패턴면을 상측으로 배치하고, 25℃ 50%RH에서 4곳의 꼭지점이 유리판에서 떨어진 거리를 측정하여 평균값을 측정하였다. 여기서 15mm 이하이면 매우 양호, 15~30mm 이면 양호, 30~40mm 이면 보통, 40~60mm이면 불량, 60mm 이상이면 매우 불량으로 구분하여 표기하였다.
연필경도 평가는 ASTM D 3363에 의거하여 시편제조 및 평가를 진행한다. 연필로 45도 경사를 주고 1kg 하중으로 측정하였다. 구체적인 실험 방법은 연필심의 방향으로 약 3mm/sec 속도로 약 20mm의 긁기의 위치를 변화하면서 5회 실시하여 시험면에 부착된 연필의 흑연을 고무지우개 또는 가제로 닦아내어 시험면의 홈을 조사한다. 이 때, 부드러운 연필부터 5회 실시하여 3회 이상 긁힘이 없어야 한다. 연필의 경도는 6B, 5B, 4B, 3B, 2B, B, HB, F, H, 2H, 3H, 4H, 5H, 6H의 순으로 갈수록 점점 더 경도가 높다.
경화도는 조성물을 바코터(Bar coater)를 이용하여 50㎛ 두께로 도막 형성한 후, 3,000mJ/cm2의 광량으로 경화시키고 적외선 분광기를 이용하여 아크릴레이트 그룹의 특성 파장수(Wavenumber)인 1435cm-1의 분광피크의 크기비교를 통하여 경화도를 측정하였다.
황변은 상기 경화도 측정을 위한 샘플을 경화시킨 후 각 샘플에 대한 황변 발생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황변이 발생하지 아니하면 매우양호, 미세한 황변이 발생하여도 제품 적합성이 인정되면 양호, 황변이 발생하고 제품 적합성이 인정되지 아니하면 불량으로 구분하여 표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7에 대한 조성물을 상술한 평가 방법에 의하여 평가된 결과는 하기 표 3과 같다.
표 3
Figure 112013071304474-pat00003

또한, 상기 비교예 1 내지 10에 대한 조성물을 상술한 평가 방법에 의하여 평가된 결과는 하기 표 4와 같다.
표 4
Figure 112013071304474-pat00004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7에서의 점도는 90 내지 400cps이었고, 굴절률은 1.5481 내지 1.5590이었으며, 접착력은 0/100이었고, 패턴 성형성은 양호 또는 매우 양호하였으며, 휨 특성은 양호 또는 매우 양호하였고, 연필경도는 H 또는 2H이었으며, 경화도는 92 내지 95%이었고, 황변 발생 여부는 매우양호 또는 양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7에 대하여, 점도와 굴절률은 양호하고, 접착력은 매우 우수하였으며, 패턴 성형성과 휨 특성은 양호 또는 매우 양호하였고, 연필경도는 양호하며, 경화도는 양호하고, 황변 발생 여부는 매우 양호 또는 양호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표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 1 내지 10에서의 점도는 80 내지 420cps이었고, 굴절률은 1.5469 내지 1.5614이었으며, 접착력은 0/100 내지 10/100이었고, 패턴 성형성은 불량 또는 양호하였으며, 휨 특성은 불량 또는 양호하였고, 연필경도는 HB 또는 H이었으며, 경화도는 81 내지 97%이었고, 황변 발생 여부는 매우양호 또는 불량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점도 및 굴절률은 양호하였으나, 비교예 2, 4, 5 및 6은 접착력이 불량하였고, 비교예 3, 5, 7 및 9는 패턴 성형성이 불량하거나 우수하지 아니하였으며, 비교예 1, 2 내지 8 및 10은 휨 특성이 불량하거나 우수하지 아니하였으며, 연필경도와 관련하여 비교예 1 내지 10은 실시예 1 내지 7과 비교할 때 동일하거나 우수하지 못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 1 내지 3의 경화도는 90%이하로 불량하고, 비교예 4 내지 10의 황변 발생 여부는 불량하여 제품 적합성이 인정되지 아니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은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 기재필름 20: 패턴층
21: 패턴부

Claims (6)

  1. 기재필름; 및
    상기 기재필름의 상부면에 형성되고, 일면에 패턴부를 가지는 패턴층;을 포함하고,
    상기 패턴층은,
    (A) 2-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10 내지 25 중량%;
    (B) ο-페닐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0 내지 40 중량%;
    (C) 아크릴로일 몰포린 10 내지 20 중량%;
    (D) 비스페놀A 디아크릴레이트 15 내지 50 중량%; 및
    (E) 비스페닐 플루오렌 디아크릴레이트 10 내지 20 중량%;
    로 이루어진 아크릴레이트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광개시제 2 내지 7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패턴층을 가지는 복합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개시제는 아크릴레이트 홉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5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패턴층을 가지는 복합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필름은 도광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패턴층을 가지는 복합필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개시제는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잔톤, 1-히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 케톤, 벤즈알데하이드, 안트라퀴논, 3-메틸아세토페논,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디페닐 포스핀, 1-(4-이소프로필-페놀)-2-히드록시-2-메틸 프로판-1-온, 티오잔톤, 4-클로로벤조페논, 4,4'-디메톡시벤조페논, 4,4'-디아미노벤조페논, 벤조인 프로필 에테르 및 벤조인에틸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적어도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패턴층을 가지는 복합필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개시제는 1-히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 케톤 및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디페닐 포스핀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패턴층을 가지는 복합필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1-히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 케톤 및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디페닐 포스핀은 1:1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패턴층을 가지는 복합필름.
KR1020130093266A 2013-08-06 2013-08-06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패턴층을 가지는 복합필름 KR101445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3266A KR101445982B1 (ko) 2013-08-06 2013-08-06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패턴층을 가지는 복합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3266A KR101445982B1 (ko) 2013-08-06 2013-08-06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패턴층을 가지는 복합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5982B1 true KR101445982B1 (ko) 2014-10-30

Family

ID=51996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3266A KR101445982B1 (ko) 2013-08-06 2013-08-06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패턴층을 가지는 복합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598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824B1 (ko) 2007-06-27 2008-07-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레지스트 용액 및 이를 이용한 평판표시소자의 제조장치 및방법
KR20100023126A (ko) * 2008-08-21 2010-03-04 에스에스씨피 주식회사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KR20100070469A (ko) * 2008-12-18 2010-06-28 에스에스씨피 주식회사 자외선 경화형 복합필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필름
KR100972625B1 (ko) 2010-03-16 2010-07-27 주식회사 신광화학산업 자외선 경화형 수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패턴필름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824B1 (ko) 2007-06-27 2008-07-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레지스트 용액 및 이를 이용한 평판표시소자의 제조장치 및방법
KR20100023126A (ko) * 2008-08-21 2010-03-04 에스에스씨피 주식회사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KR20100070469A (ko) * 2008-12-18 2010-06-28 에스에스씨피 주식회사 자외선 경화형 복합필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필름
KR100972625B1 (ko) 2010-03-16 2010-07-27 주식회사 신광화학산업 자외선 경화형 수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패턴필름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88910B (zh) 光硬化性樹脂組成物、使用其的光學膜的製造方法及含有其的光學膜
KR102353577B1 (ko) 무기 미립자 분산액의 제조 방법, 당해 분산액을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 및 그 경화물
CN105445989B (zh) 图像显示装置的制造方法
JP5752947B2 (ja) ハードコート用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及びハードコート用樹脂組成物
JP6767170B2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組成物
CN106414525B (zh) 光固化性树脂组合物
KR20070075327A (ko) 블로킹방지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기판 및 그 위에도포되어 경화된 블로킹방지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포함하는 블로킹방지 구조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02227475B (zh) 具有遮光性与粘合性的光固化性树脂组合物及其固化物
CN1977189A (zh) 微透镜
JP2014213596A (ja) 樹脂積層体
KR20140050296A (ko) 실세스퀴옥산을 포함하는 조성물과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하드 코팅막과 그 제조 방법
CN104220465A (zh) 光固化性树脂组合物、图像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KR101362463B1 (ko) 접착력 및 내환경성이 우수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과 그 제조 방법 및 디스플레이의 커버 윈도우 접착 방법
TW201925355A (zh) 含有硫醇化合物之可固化組成物
JP2009287017A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樹脂組成物、硬化物及び物品
JP2008115207A (ja) 樹脂組成物
JPWO2014125976A1 (ja) 樹脂積層体
CN103163570A (zh) 光学膜、包括其的背光单元和包括其的光学显示设备
KR101445982B1 (ko)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패턴층을 가지는 복합필름
KR20150106770A (ko) 저유전상수를 가지며 접착력 및 내환경성이 우수한 평판 디스플레이 커버 윈도우 접착용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JP6188562B2 (ja) 樹脂硬化物および表示装置
KR101251457B1 (ko) 아크릴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JP2011026409A (ja) 耐指紋性硬化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る耐指紋性被膜を形成する方法
KR101851364B1 (ko) 하드코팅용 수지조성물, 이를 이용한 하드코팅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화상표시장치
KR20150098355A (ko) 지방족 티올 관능기를 가진 실세스퀴옥산 유도체 나노물질이 첨가된 자외선 바인더 조성물 및 자외선 조성물 첨가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