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0469A - 자외선 경화형 복합필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필름 - Google Patents

자외선 경화형 복합필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0469A
KR20100070469A KR1020080129018A KR20080129018A KR20100070469A KR 20100070469 A KR20100070469 A KR 20100070469A KR 1020080129018 A KR1020080129018 A KR 1020080129018A KR 20080129018 A KR20080129018 A KR 20080129018A KR 20100070469 A KR20100070469 A KR 201000704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cles
film
weight
composition
pr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9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정준
박철진
Original Assignee
에스에스씨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에스씨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에스씨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9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70469A/ko
Publication of KR20100070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04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4Prisms
    • G02B5/045Prism arr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3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 G02B5/024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by means of dispersed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iquid Crystal Display)에 있어서 광제어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에 사용되어 도광판에서 방출되는 빛을 고르게 확산시키면서 동시에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광제어 필름형성용 수지조성물 및 광제어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광제어 필름은 제1, 제2 프리즘층 및 확산층을 동시에 구현하여 도광판에서 방출되는 빛을 고르게 확산시키면서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복합기능을 가진 필름 구현으로, 제조공정 단축과 얇은 액정 디스플레이 구현에 기여 할 수 있으며, 또한 복수의 필름 적층으로 인한 광간섭 현상, 산란 또는 흡수 등의 빛의 손실뿐만 아니라 필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광제어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자외선경화형 수지 조성물, 프리즘필름, 확산필름, 복합필름

Description

자외선 경화형 복합필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필름{UV Curable Multi Film Composition and Fil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iquid Crystal Display)에서 백라이트의 광원을 조절하는 필름구조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가 정보화 시대로 고도발전하면서 보편적으로 사용되어 오던 CRT(Cathode Ray Tube)를 대체하기 위해 얇고, 전력소비 효율이 높은 액정 디스플레이(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ED) 및 유기EL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등의 요구가 높아졌다. 이러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중, 특히 액정 디스플레이(LCD)는 장치 후면에 광원으로 설치한 발광장치에서 광이 전달되어 액정에 의한 광량 조절로 화상을 구현 하는 디스플레이다.
상기 발광 장치로 백라이트 유닛(BLU)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도 3에서 백라이트 유닛의 구성을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백라이트 유닛(100)은, 제조사 및 모델에 따라 각기 다른 종류의 광원(200a)을 사용하고, 한곳 또는 몇 곳에 위치한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도광판(120)을 거치며 전면에 분포되도록 전달하는 기능을 하고, 그 빛을 확산필름(130)를 거치면서 화면 전면에 걸쳐 균일한 광세기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하며, 프리즘필름(140a 및140b)를 통과하면서 빛의 방향을 관측자가 화상을 인식하기에 적합한 시야각(θ)범위내로 변환시키는 광 경로제어 기능을 수행하여 액정 패널(150)에 도달하여 화상을 구현하게 된다. 또한 도광판(120)의 하부에 반사판(110)이 구비되어 도광판(110), 확산필름(130), 프리즘필름(140a,b)를 거쳐 액정패널(150)로 도달하는 과정의 최적 경로가 아닌 경로로 벗어난 광을 반사시켜 광원의 빛이 재사용 될 수 있도록 광 이용 효율을 증가시키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은 특히 확산필름(130)와 프리즘필름(140a 및140b)에 관한 것으로, 화면을 보는 사용자는 주로 화면의 정면에 있게 되므로, 프리즘필름(140a 및140b)은 확산필름(130)을 통과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확산된 빛의 경로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면 휘도가 증대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밝고 선명한 화상을 구현하게 한다.
여기서, LCD 장치는 액정(LC, liquid crystal)의 전기적 특성을 이용하여 액정 물질의 정렬방향을 조절하여 백라이트 부의 광원으로부터 빛 투과율을 조절함에 따라 화상이 구현되는 장치로, 뒷 면의 광원 램프에서 발광하여, 도광판, 두개의 프리즘필름, 확산필름 등 각종 기능성 필름을 통과하여 방향성이 있는 균일한 빛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휘도 및 화질을 결정하는 장치이다. 하지만 여러층의 필름을 통과함으로 인하여 광손실을 유발하게 되고, 디스플레이 장치를 가공하는데 있어 여러층의 기능 필름이 들어가야 하므로 복잡하게 구성되고, 무엇보다도 얇은 디스플레이 구현하는데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복수장의 필름을 장착함으로 인하여 필름간의 물리적 접촉으로 필름의 손상에서 오는 이물질 발생, 필름간 접촉면의 공기층에서 발생하는 웨트아웃(wet-out) 현상 등 광간섭 현상을 야기하는 문제와 복수 필름 장착에서 오는 뉴턴닝(Newton's Ring) 현상이나, 복수층을 거치는 과정에서 산란, 흡수 등의 광손실을 발생하는 문제가 대두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확산필름의 확산특성과 프리즘필름의 집광 기능을 한 번에 제공하여 복수 필름 적층에서 오는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한다.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에 아크릴 수지, 광개시제 및 나노 크기의 유기 또는 무기 입자와 마이크로크기의 유기 또는 무기입자를 포함하며, 액상 굴절율이 1.46 ~ 1.70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입자를 포함하지 않은 상태의 조성물을 의미하며, 자외선 경화형 복합필름 조성물은 나노입자와 마이크로입자를 포함한 상태의 조성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정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크릴 수지는, 지방족 아크릴 모노머 수지 10 ~ 40 중량 %, 방향족 아크릴 모노머 수지 및 올리고머 수지 20 ~ 70 중량 %, 실리콘 변성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 0.1 ~ 5 중량 %, 광개시제 0.5 ~ 7 중량 %, 나노 입자 10 ~ 700㎚와 마이크로 입자 1 ~ 50 ㎛ 혼합 상태의 입자 0.1 ~ 30 중량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필름은, 기재 필름에 전술한 자외선 경화형 복합필름 조성물을 사용하여 특정한 패턴, 예를 들어 삼각 프리즘의 선형 배열 구조, 다각뿔, 원뿔, 반구형, 비구형 모양 또는 그 혼합 형태 등의 광학 패턴을 형성함에 있어 나노, 마이크로입자의 정렬형태에 따른 광효율 향상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에 입자를 첨가함으로써 프리즘필름의 외형에 변화를 주지 않고 프리즘필름 1매에 확산필름의 확산 특성과 프리즘필름의 집광특성을 동시에 부여할 수 있어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필요한 광확산필름과 프리즘필름을 1매의 프리즘필름으로 대체하여 단가가 절감되고 생산성이 향상되며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제품의 두께를 얇게 구현 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투명기재층; 투명기재층 일면에 형성된 프리즘층; 프리즘층 내부에 광 확산기능을 하는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광제어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프리즘층 내부 광확산 기능을 하는 입자는 자외선경화형 조성물에 대하여 0.1~3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확산 입자는 나노입자50~1000㎚, 마이크로 입자10~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학산 입자의 나노입자와 마이크로 입자의 함량은 나노입자에 대한 마이크로입자의 비는 0.1~1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리즘층은 평행한 삼각 프리즘의 선형 배열 구조, 다각뿔 프리즘 구조, 원뿔 프리즘 구조, 반구형 프리즘 구조 및 비구형 프리즘 구조 또는 혼합구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한 형태의 종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광제어 필름은 투명기재층(10)의 일면에 프리즘층(20)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나노입자(30)와 마이크로입자(40)이 도1 또는 도2에서처럼 순서대로 적층되어있는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명기재층(10)으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스틸렌 필름 또는 폴리에폭시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주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과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이 사용된다. 상기 투명 기재층(10)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두께인 15~400㎛의 제품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다음과 같다.
(A) 지방족 아크릴 모노머 수지 2~30%
(B) 방향족 아크릴 모노머 및 올리고머 수지 20~70%
(C) 실리콘 변성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 01.~5%
(D) 광개시제 0.5~7%
(E) 입자 0.1~30%
본 발명의 레진 조성물 (A)와 (B)성분으로는 에틸렌옥사이드를 포함하거나 또는 포함하지 않는 지방족 및 방향족 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한 성분으로 지방족 아크릴 모노머로는 비닐모노머와,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브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디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트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디플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한편 다관능모노머 성분으로는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 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 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화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그리세릴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프로폭시화 그리세릴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스(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티롤프로판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족 모노머 및 올리고머의 성분으로는 페닐옥시에틸렌아크릴레이트, 벤조일아크릴레이트, 페닐옥시페닐에틸아크릴레이트가 주성분으로 지방족 단관능성 아크릴레이트에 의해서 저하되는 굴절률 조정에 필요한 요소 성분이다. 상기 방향족 모노머 및 올리고머의 예로는 에틸렌옥사이드를 포함하는 에톡시비스페놀A디(메타)아크릴레이트로 에톡시의 반복단위가 2∼30을 함유하는 성분을 들 수 있으며, 비스페놀F우레탄디아크릴레이트, 에톡시 비스페놀A에폭시디아크릴레이트 성분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레진 조성물인 (C) 성분은 상기의 실리콘, 실리콘 변성 폴리머로서 BYK-Chemie사(社) 제품인 BYK-307, BYK-323, BYK-331, BYK-333, BYK-356, BYK-371, BYK-377 BYK-UV3510, BYK-3500, BYK-UV3530, BYK-UV3570, Dow Chem.社 제품인DC-57, DC-190, Degussa社 제품인 Tego glide 100, Tego glide 410, Tego glide 432, Tego glide 435, Tego glide 440, Tego glide 440, Tego glide 455, Tego glide, Tego glide A 115, Tego glide B 1484, Tego glide ZG 400, Tego rad 2100, Tego rad 2200N, Tego rad 2250, Tego rad 2300, Tego rad 2500, Tego rad 2600, Tego rad 700, EEKA 社 제품인EFKA-3232, EFKA-3236, EFKA-3239, EFKA-3288, EFKA-3299를 들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실리콘 변성 폴리머의 명칭들은 모두 상업적으로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는 것으므로 그 구체적인 화학 조성은 언급하지 않는다.
그리고 이 (C) 성분의 적정함량은 0.02~5% 중량%이고 좀더 바람직하게는 0.02~2.0중량%이다.
본 발명 레진조성물 (D)인 광중합 개시제는 수지조성물 전체에 대한 함유량으로서 1.0 ~ 10중량%가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2~5중량%이다.
1.0 중량% 미만에서는 광경화성이 이뤄지지 않아 패턴형상이 형성되지 않은tacky 성분으로 존재하며, 10 중량%를 넘게 레진 조성물의 광경화가 빠르게 진행이 되긴 하지만 부산물로 분자량이 작은 레진성분이 발생이 되어 최종 경화물의 물성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성분 (D)의 예로는,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히드록시-2-메틸-1-페닐-1-프로판온, 2-히드록시-1-[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메틸-1-프로판온, 메틸벤조일포르메이트, 옥시-페닐-아세틱엑시드2-[2옥소-2페닐-아세톡시-에톡시]-에틸에스테르/옥시-페닐-아세틱2-[2-히드록시-에톡시]-에틸에스테르 혼합물, 2-벤질-2-(디메틸아미노)-1-[4-(4-몰포리닐)페닐-1-부타논,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틴옥사이드, 2-히드록시-1- 4-[4-(2-히드록시-2-메틸-프로피오닐)-벤질]-페닐 -2-메틸-프로판-1-온, 올리고[2-히드록시-2-메틸-1-[4(1-메틸비닐)페닐]프로판논], 올리고[2-히드록시-2-메틸-1-[4(1-메틸비닐)페닐]프로판논]/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혼합물, 올리고[2-히드록시-2-메틸-1-[4(1-메틸비닐)페닐]프로판논]/에틸렌옥사이드 또는 프리필렌옥사이드를 함유한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혼합물, 올리고[2-히드록시-2-메틸-1-[4(1-메틸비닐)페닐]프로판논]/글리세릴프로폭시드트리아크릴레이트 혼합물, 올리고[2-히드록시-2-메틸-1-[4(1-메틸비닐)페닐]프로판논]/2-히드록시-2-메틸-1-페닐-1-프로판온 혼합물, Esacure ONE (Lamberti社), 2,4,6-트리메틸벤조페논/4-메틸벤조페논 혼합물, 올리고[2-히드록시-2-메틸-1-[4(1-메틸비닐)페닐]프로판논]/2,4,6-트리메틸벤조페논/4-메틸벤조페논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는 단독 사용 또는 혼합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프리즘층(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평행한 삼각 프리즘의 선형 배열 구조일 수 있으며, 그 이외에 다각뿔 프리즘 구조, 원뿔 프리즘 구조, 반구형 프리즘 구조 및 비구형 프리즘 구조 또는 그 혼합구조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프리즘층(20)의 구조가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 프리즘의 선형배열이 사용되는 경우 프리즘 구조의 상부 꼭지각에 따라 전방 휘도와 시야각내 광세기 분포 등의 광학적 특성변화가 심한데, 상기 삼각 프리즘 구조의 상부 꼭지각은 80˚~100˚ 바람직하다. 각도 가 80˚ 미만인 경우 집광에 의한 전방 휘도는 양호하나 시야각 내 광세기 분포가 불량하여 적용하기 어렵고, 100˚ 초과인 경우시야각 내 광세기 분포 특성은 양호하나, 전방 휘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입자(E)는 나노입자(30)와 마이크로 입자(40)이 각각 적용된다.
상기 광확산 입자(30,40)은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0.1~ 30중량%를 포함한다. 광확산 입자 중 나노입자(30)는 50~1000㎚이고 마이크로 입자(40)는 10~100㎛이고, 나노입자(30) 대비 마이크로 입자(40)의 함량비는 0.1~1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확산 입자(30,40)로는 복수 개의 유기입자 또는 무기입자를 사용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유기입자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아크릴산, 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드, 메티롤아크릴아미드,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노말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아크릴계 입자와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입자와 아크릴과 올레핀계의 공중합체 입자 및 단일중합체의 입자를 형성한 후 그 층위에 다른 종류의 단량체로 덮어 씌워 만든 다층 다성분계 입자를 사용하며, 무기 입자로서는 산화규소, 산화알루미늄, 산화티타늄, 산화지르 코늄 및 불화마그네슘 등을 사용한다. 상기 유기 및 무기 입자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상기 나열된 유기 또는 무기 재질의 입자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한 다른 공지된 재료로 얼마든지 대치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며, 이러한 재질 변경의 경우도 역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이다.
상기와 같이 광제어 필름을 제조함으로써, 광확산 입자(30,40)를 통과하면서 일차로 확산된 후 투명기재층(10)을 통과하여 광확산 입자(30,40)에서 고르게 확산된 빛이 곧바로 프리즘층(20)에 도달하게 되므로, 종래에 비하여 빛이 손실되는 양이 대폭 감소하며, 빛의 확산 기능과 휘도의 증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별도로 제조하였던 필름들을 한번에 제조하므로 제조공정과 원가가 절감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복합필름을 구현하기 위해서 배합조성물에대한 실시예는 (A)성분 17중량%,(B)성분 62중량%,(C)성분 1중량%,(D)성분 5중량%,(E)성분 15중량%를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이를 투명기재층인 125㎛의 초투명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T600(미쓰비시社)의 한 면에 그라비아 코터를 사용하여 프리즘 형상롤러의 프레임 위에 자외선 경화형 복합필름 조성물 코팅시키고, 자외선(H-bulb, 500~600mJ/㎠)을 투명기재층 쪽에서 조사하여 프리즘 꼭지각이 90˚, 프리즘 광학구조의 피치가 50 ㎛, 프리즘 광학구조의 높이가 25㎛인 선형의 삼각 프리즘을 형성시켜 프리즘 층을 형성하였다.
<비교예1>
실시예에 광확산입자(30, 40)를 포함하지 않고 프리즘필름을 만들었고, 확산필름(신화인터텍 )을 적층하여 평가하였다.
<비교예2>
확산필름(신화인터텍),프리즘필름(3M)을 적층하여 평가하였다.
<평가 방법>
<휘도평가(Cd/㎡)>
17인치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용 백라이트 유닛(모델명 : LJ96-00697F, 대한민국)에 상기 제조된 실시예의 복합필름 한 장일때와 비교예1, 2의 프리즘필름 2중을 직교방향으로 적층하고, 확산필름을 하단에 적층한 상태로 각각 휘도계(모델명 : BM-7, 일본 TOPCON사)를 사용하여 임의의 13지점의 휘도를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구하였다.
<하중 산강도 측정>
대성정밀 社에서 제작한 steel wool # 0000 tester기에서 steel wool를 고정 시키는 부분에 원추형을 고정할 수 있게 변형한 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원추의 뾰족한 부분이 편광필름위에 위치하게 하고 편광필름 밑에는 측정하고자 하 는 패턴이 형성된 필름을 위치해 놓는다. 일정한 무게(g)를 순차적으로 증가시키면서 원추를 일정한 속도로 5회 왕복 실시한다. 편광필름 밑에 적층된 패턴형상 필름(프리즘)의 표면 스크레치 정도를 추의 무게에 따라 g으로 평가하였다. 스크레치된 표면의 복원정도는 외관으로 30초 후에 평가하였다.
<광학간섭현상측정>
상기 각 실시예 또는 비교예의 프리즘필름 2장을 복수의 유리판 사이에 배치하고, 유리판에 압력을 가하여 필름에서 발생되는 과도한 밀착에 의한 광간섭현상(Wet-out, Newton's Ring)을 관찰하여, 각 현상의 발생 정도에 따라 하기와 같이 상대 평가하였다.
Wet-out : 발생 ← ◎ - ○ - △ - × → 미발생
Newton's Ring : 발생 ← ◎ - ○ - △ - × → 미발생
구분 실시예 비교예1 비교예2
휘도 2030 2015 2045
Steel wool 250 250 120
광간섭현상 Wet-out ×
Newton's Ring ×
상기 물성평가결과, 본 발명에 따라 확산기능 입자의 배열구조를 가진 프리즘층을 구비하고 있는 실시예는 확산입자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비교예 1에 비하여 휘도가 우수하였고, 상기 광확산층과 프리즘층을 별도로 장착한 비교예 2의 경우보다 경도가 우수한 것을 볼수 있고, 또한 광간섭 현상이 적게 발생되었음을 볼 수 있다.
따라서 광손실을 최소화하면서 광원의 이용효율을 증대시키고, 휘도 및 경도가 종래 광확산필름 및 프리즘필름을 별도로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였을 때 동등 이상의 효과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산모양(1a), 렌즈모양(1b)의 복합 필름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산모양(2a), 렌즈모양의(2b) 복합 필름 단면도이다.
도 3은 일반적인 액정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 : 투명기재 20 : 자외선 경화형 수지 층
30 : 나노입자 40 : 마이크로 입자
20,30,40포함 : 자외선 경화형 복합필름 층
100 : 백라이트 유닛 110 : 반사판
120 : 도광판 130 : 확산판
140a : 프리즘필름 140b : 프리즘필름
150 : 액정 패널 200 : 광원

Claims (15)

  1. 투명기재층;
    상기투명기재층의 일면에 형성된 프리즘 층;
    상기프리즘 층 내부에 확산기능을 하는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제어 필름.
  2. 제 1항에 있어서,
    확산기능을 하는 입자는 나노입자와 마이크로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제어 필름.
  3. 제 1항에 있어서
    프리즘층을 이루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지방족 아크릴 모노머 수지 2 ~ 30 중량 %,
    방향족 아크릴 모노머 수지 및 올리고머 수지 20 ~ 70 중량 %,
    실리콘 변성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 0.1 ~ 5 중량 %,
    광개시제 0.5 ~ 7 중량 %
    입자 0.1~30중량%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제어 필름.
  4. 제 3항에 있어서
    입자는 나노입자 50 ~ 1000㎚, 마이크로입자 01 ~ 100㎛의 입자 0.1 ~ 30 중량 %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제어 필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층 구현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의 액상굴절률이 1.46 ~ 1.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제어 필름.
  6. 제 4항에 있어서
    나노입자에 대한 마이크로입자의 비율이 0.1 내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제어 필름.
  7. 제 4항에 있어서 나노입자 및 마이크로입자는 유기입자, 무기입자 중 1가지 이상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제어 필름
  8. 프리즘 층을 이루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확산기능을 하는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복합필름 조성물.
  9. 제 8항에 있어서,
    확산기능을 하는 입자는 나노입자와 마이크로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복합필름 조성물.
  10. 제 8항에 있어서
    프리즘층을 이루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지방족 아크릴 모노머 수지 10 ~ 40 중량 %,
    방향족 아크릴 모노머 수지 및 올리고머 수지 20 ~ 70 중량 %,
    실리콘 변성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 0.1 ~ 5 중량 %,
    광개시제 0.5 ~ 7 중량 %
    입자 0.1~30중량%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복합필름 조성물.
  11. 제 10항에 있어서
    나노입자는 50 ~ 1000㎚, 마이크로입자 01 ~ 100㎛의 입자 0.1 ~ 30 중량 %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복합필름 조성물.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층 구현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의 액상굴절률이 1.46 ~ 1.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복합필름 조성물.
  13. 제 11항에 있어서
    나노입자에 대한 마이크로입자의 비율이 0.1 내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복합필름 조성물.
  14. 자외선 경화형 복합필름 조성물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광제어 필름의 구조가 삼각 프리즘의 선형 배열 구조, 다각뿔, 원뿔, 반구형, 비구형 모양 또는 그 혼합 형태 등의 광학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제어 필름
  15. 상기 자외선 경화형 복합필름 조성물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광제어 필름을 포함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CD 패널.
KR1020080129018A 2008-12-18 2008-12-18 자외선 경화형 복합필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필름 KR201000704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9018A KR20100070469A (ko) 2008-12-18 2008-12-18 자외선 경화형 복합필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9018A KR20100070469A (ko) 2008-12-18 2008-12-18 자외선 경화형 복합필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0469A true KR20100070469A (ko) 2010-06-28

Family

ID=42368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9018A KR20100070469A (ko) 2008-12-18 2008-12-18 자외선 경화형 복합필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7046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08325A (zh) * 2011-10-31 2012-06-20 常州山由帝杉防护材料制造有限公司 一种扩散膜及其制备方法
KR101287493B1 (ko) * 2010-12-23 2013-07-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백라이트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1445982B1 (ko) * 2013-08-06 2014-10-30 주식회사 명성디엠아이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패턴층을 가지는 복합필름
WO2018008938A1 (ko) * 2016-07-08 2018-01-11 주식회사 엘엠에스 광학시트,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7493B1 (ko) * 2010-12-23 2013-07-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백라이트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US9939677B2 (en) 2010-12-23 2018-04-10 Lg Innotek Co., Ltd. Back 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USRE49101E1 (en) 2010-12-23 2022-06-07 Lg Innotek Co., Ltd. Back 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CN102508325A (zh) * 2011-10-31 2012-06-20 常州山由帝杉防护材料制造有限公司 一种扩散膜及其制备方法
KR101445982B1 (ko) * 2013-08-06 2014-10-30 주식회사 명성디엠아이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패턴층을 가지는 복합필름
WO2018008938A1 (ko) * 2016-07-08 2018-01-11 주식회사 엘엠에스 광학시트,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38767B2 (ja) 輝度上昇フィルム及びこれを有するディスプレイ装置
US20060029784A1 (en) Laminated optical article
CN106461820B (zh) 光扩散性片及包含该片材的背光装置
US9056935B2 (en)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method of fabricating optical film using the same, and optical film including the same
WO2016194344A1 (ja) 組成物とポリマー成形用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て得られた波長変換体、波長変換部材、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液晶表示装置
US20100028660A1 (en) Polymerizable composition and its uses
US20110058257A1 (en) Optical element
KR20150120627A (ko) 도광판 미세 패턴 형성용 광경화형 임프린팅 조성물 및 그 임프린팅 도광판과,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니트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100070469A (ko) 자외선 경화형 복합필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필름
US20060027321A1 (en) Adhesive composition
KR102167662B1 (ko)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2009198749A (ja) 光線制御部材
KR102097610B1 (ko)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66847B1 (ko)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6365917B1 (ja) 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組成物
US20240077762A1 (en) Display
KR102215026B1 (ko)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370167B1 (ko) 백라이트 유닛 어셈블리
KR20190003232A (ko)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67975B1 (ko) 확산기능이 내재된 헤이즈 광학필름 제조방법
JP2008250266A (ja) 反射防止フィルム
TW202411066A (zh) 顯示器
KR100902156B1 (ko) 광제어 필름
KR20190106812A (ko)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19107924A1 (ko)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