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5419B1 - 냉동기용 윤활유 조성물 - Google Patents

냉동기용 윤활유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5419B1
KR101445419B1 KR1020097021492A KR20097021492A KR101445419B1 KR 101445419 B1 KR101445419 B1 KR 101445419B1 KR 1020097021492 A KR1020097021492 A KR 1020097021492A KR 20097021492 A KR20097021492 A KR 20097021492A KR 101445419 B1 KR101445419 B1 KR 101445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tor
oil composition
acid
lubricating oil
refrige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1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30053A (ko
Inventor
마사또 가네꼬
하루또모 이께다
Original Assignee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30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0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5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54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71/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purely physical criteria, e.g. containing as base-material, thickener or additive, ingredients which are characterised exclusively by their numerically specified physical properties, i.e. containing ingredients which are physically well-defined but for which the chemical nature is either unspecified or only very vaguely indicated
    • C10M171/008Lubricant compositions compatible with refriger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05/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base-material being a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
    • C10M105/08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base-material being a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 containing oxygen
    • C10M105/32Esters
    • C10M105/38Esters of poly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29/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oxygen
    • C10M129/02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oxygen having a carbon chain of less than 30 atoms
    • C10M129/68Esters
    • C10M129/70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37/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phosphorus
    • C10M137/02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phosphorus having no phosphorus-to-carbon bond
    • C10M137/04Phosphate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69/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containing as components a mixture of at least two types of ingredient selected from base-materials, thickeners or additives,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10M169/04Mixtures of base-materials and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7/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carbon and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7/02Hydroxy compounds
    • C10M2207/023Hydroxy compounds having hydroxy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10M2207/026Hydroxy compounds having hydroxy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with tertiary alk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7/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carbon and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7/04Ethers; Acetals; Ortho-esters; Ortho-carbonates
    • C10M2207/042Ep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7/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carbon and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7/28Esters
    • C10M2207/283Esters of polyhydroxy compounds
    • C10M2207/2835Esters of polyhydroxy compounds used as bas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23/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phosphorus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23/02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phosphorus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having no phosphorus-to-carbon bonds
    • C10M2223/04Phosphate esters
    • C10M2223/041Triaryl phosph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23/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phosphorus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23/02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phosphorus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having no phosphorus-to-carbon bonds
    • C10M2223/049Phosphit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r characteristics, i.e. function, of component of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1Physico-chemical properties
    • C10N2020/02Viscosity; Viscosity index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r characteristics, i.e. function, of component of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1Physico-chemical properties
    • C10N2020/04Molecular weight;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r characteristics, i.e. function, of component of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9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water
    • C10N2020/097Refrigerants
    • C10N2020/099Containing Chlorofluo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r characteristics, i.e. function, of component of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9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water
    • C10N2020/097Refrigerants
    • C10N2020/101Containing Hydrofluo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3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which is improved by the additive characterising the lubricating composition, e.g. multifunctional additives
    • C10N2030/10Inhibition of oxidation, e.g. anti-oxid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3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which is improved by the additive characterising the lubricating composition, e.g. multifunctional additives
    • C10N2030/40Low content or no content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30Refrigerators lubricants or compressors lubrica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Lubric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펜타에리트리톨, 디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틸올프로판 및 네오펜틸글리콜 중으로부터 선택되는 다가 알코올과, 탄소수 4 내지 20의 지방족 모노카르복실산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올에스테르계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기유와, (B) 인산트리에스테르 및/또는 아인산트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인계 첨가제 및 (C) 글리시딜에스테르, 글리시딜에테르 및 α-올레핀옥시드 중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산 포착제를 포함하는 냉동기용 윤활유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행 카 에어컨 시스템 등에 사용 가능한 냉매인 불포화 불화 탄화수소 화합물 등 특정한 구조를 갖는 냉매를 사용한 냉동기용으로서 사용되며, 상기 냉매에 대한 우수한 상용성을 가짐과 동시에, 밀봉성이 우수하고, 접동 부분에 대한 마찰 계수가 낮고, 안정성이 우수한 냉동기용 윤활유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냉동기용 윤활유 조성물, 불포화 불화 탄화수소 화합물

Description

냉동기용 윤활유 조성물{LUBRICATING OIL COMPOSITION FOR REFRIGERATORS}
본 발명은 냉동기용 윤활유 조성물, 더욱 상세하게는 지구 온난화 계수가 낮고, 특히 현행 카 에어컨 시스템 등에 사용 가능한 냉매인 불포화 불화 탄화수소 화합물 등 특정한 냉매를 사용한 냉동기용으로서 사용되며, 특정한 폴리올에스테르계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기유를 사용한 냉동기용 윤활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축형 냉동기는 적어도 압축기, 응축기, 팽창 기구(팽창 밸브등), 증발기 또는 추가로 건조기로 구성되며, 냉매와 윤활유(냉동기유)의 혼합 액체가 이 밀폐된 계 내를 순환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압축형 냉동기에서는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도 상이하지만, 일반적으로 압축기 내에서는 고온, 냉각기 내에서는 저온이 되기 때문에, 냉매와 윤활유는 저온으로부터 고온까지 폭넓은 온도 범위 내에서 상 분리되지 않고 이 계 내를 순환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냉매와 윤활유는 저온측과 고온측에 상 분리되는 영역을 갖고 있으며, 저온측 분리 영역의 최고 온도로서는 -10 ℃ 이하가 바람직하고, 특히 -20 ℃ 이하가 바람직하다. 한편, 고온측 분리 영역의 최저 온도로서는 30 ℃ 이상이 바람직하고, 특히 40 ℃ 이상이 바람직하다. 만일 냉동기의 운전 중에 상 분리가 발생하면, 장치의 수명이 나 효율에 현저한 악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면, 압축기 부분에서 냉매와 윤활유의 상 분리가 발생하면, 가동부가 윤활 불량이 되어 소부(燒付) 등을 일으켜 장치의 수명을 현저히 짧게 하고, 한편 증발기 내에서 상 분리가 발생하면, 점도가 높은 윤활유가 존재하기 때문에 열 교환의 효율 저하를 초래한다.
종래, 냉동기용 냉매로서 클로로플루오로카본(CFC), 하이드로클로로플루오로카본(HCFC) 등이 주로 사용되었지만, 환경 문제의 원인이 되는 염소를 포함하는 화합물이기 때문에, 하이드로플루오로카본(HFC) 등의 염소를 함유하지 않는 대체 냉매가 검토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하이드로플루오로카본으로서는, 예를 들면 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 디플루오로메탄, 펜타플루오로에탄, 1,1,1-트리플루오로에탄(이하, 각각 R134a, R32, R125, R143a로 불릴 수 있음)으로 대표되는 하이드로플루오로카본이 주목받게 되었으며, 예를 들면 카 에어컨 시스템에는 R134a가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 HFC도 지구 온난화의 면에서 영향이 염려되기 때문에, 더욱 환경 보호에 적합한 대체 냉매로서 이산화탄소 등의 소위 자연 냉매가 주목받고 있지만, 이 이산화탄소는 고압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현행의 카 에어컨 시스템에는 사용할 수 없다.
지구 온난화 계수가 낮고, 현행 카 에어컨 시스템에 사용할 수 있는 냉매로서, 예를 들면 불포화 불화 탄화수소 화합물(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불화 에테르 화합물(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불화 알코올 화합물, 불화 케톤 화합물 등 분자 중에 특정한 극성 구조를 갖는 냉매가 발견되었다.
이러한 냉매를 사용하는 냉동기용 윤활유에 대해서는 상기 냉매에 대한 우수한 상용성을 가짐과 동시에, 밀봉성이 양호하고, 접동 부분에 대한 마찰 계수가 낮고, 안정성이 우수한 것이 요구된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표 제2006-503961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표 (평)7-507342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하에 지구 온난화 계수가 낮고, 특히 현행 카 에어컨 시스템 등에 사용 가능한 냉매인 불포화 불화 탄화수소 화합물 등 특정한 구조를 갖는 냉매를 사용한 냉동기용으로서 사용되며, 상기 냉매에 대한 우수한 상용성을 가짐과 동시에, 밀봉성이 양호하고, 접동 부분에 대한 마찰 계수가 낮고, 안정성이 우수한 냉동기용 윤활유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기유로서 특정한 폴리올에스테르계 화합물을 사용함과 동시에, 특정한 인계 첨가제 및 특정한 산 포착제를 사용하고, 바람직하게는 냉동기의 접동 부분에 특정한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지견에 기초하여 완성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1)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불소 함유 유기 화합물, 또는 상기 불소 함유 유기 화합물과 포화 불화 탄화수소 화합물의 조합을 포함하는 냉매를 사용하는 냉동기용의 윤활유 조성물이며,
(A) 펜타에리트리톨, 디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틸올프로판 및 네오펜틸글리콜 중으로부터 선택되는 다가 알코올과, 탄소수 4 내지 20의 지방족 모노카르복실산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올에스테르계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기유와, (B) 인산트리에스테르 및/또는 아인산트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인계 첨가제 및 (C) 글리시딜에스테르, 글리시딜에테르 및 α-올레핀옥시드 중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산 포착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기용 윤활유 조성물,
CpOqFrRs
[식 중, R은 Cl, Br, I 또는 H를 나타내고, p는 1 내지 6, q는 0 내지 2, r은 1 내지 14, s는 0 내지 13의 정수이되, 단, q가 0인 경우는, p는 2 내지 6이고, 분자 중에 탄소-탄소 불포화 결합을 1개 이상 가짐]
(2) 상기 (1)에 있어서, 냉매가 탄소수 2 내지 3의 불포화 불화 탄화수소 냉매, 또는 탄소수 1 내지 2의 포화 불화 탄화수소 냉매와 탄소수 3의 불포화 불화 탄화수소 냉매의 조합을 포함하는 냉동기용 윤활유 조성물,
(3) 상기 (1) 또는 (2)에 있어서, 기유의 100 ℃에서의 동점도가 2 내지 50 ㎟/s인 냉동기용 윤활유 조성물,
(4)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기유의 분자량이 300 이상인 냉동기용 윤활유 조성물,
(5)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기유의 인화점이 200 ℃ 이상인 냉동기용 윤활유 조성물,
(6)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기타 극압제, 유성제, 산화 방지제, 기타 산 포착제 및 소포제 중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냉동기용 윤활유 조성물,
(7)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냉동기의 접동 부분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것, 또는 유기 코팅막 또는 무기 코팅막을 갖는 것인 냉동기용 윤활유 조성물,
(8) 상기 (7)에 있어서, 유기 코팅막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코팅막, 폴리이미드 코팅막, 폴리아미드이미드 코팅막, 또는 폴리히드록시에테르 수지와 폴리술폰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 기재 및 가교제를 포함하는 수지 도료를 사용하여 형성된 열 경화형 절연막인 냉동기용 윤활유 조성물,
(9) 상기 (7)에 있어서, 무기 코팅막이 흑연막, 다이아몬드 라이크 카본막, 주석막, 크롬막, 니켈막 또는 몰리브덴막인 냉동기용 윤활유 조성물,
(10) 상기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카 에어컨, 전동 카 에어컨, 가스 히트 펌프, 공기 조절기, 냉장고, 자동 판매기 또는 쇼케이스의 각종 급탕 시스템, 또는 냉동ㆍ난방 시스템에 사용되는 냉동기용 윤활유 조성물, 및
(11) 상기 (10)에 있어서, 시스템 내의 수분 함유량이 300 질량 ppm 이하이고, 잔존 공기량이 10 kPa 이하인 냉동기용 윤활유 조성물
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르면 지구 온난화 계수가 낮고, 특히 현행 카 에어컨 시스템 등에 사용 가능한 냉매인 불포화 불화 탄화수소 화합물 등 특정한 구조를 갖는 냉매를 사용하는 냉동기용으로서 사용되며, 상기 냉매에 대한 우수한 상용성을 가짐과 동시에, 밀봉성이 양호하고, 접동 부분에 대한 마찰 계수가 낮고, 안정성이 우수한 냉동기용 윤활유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냉동기용 윤활유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불소 함유 유기 화합물, 또는 상기 불소 함유 유기 화합물과 포화 불화 탄화수소 화합물의 조합을 포함하는 냉매를 사용하는 냉동기용 윤활유 조성물이다.
<화학식 I>
CpOqFrRs
[식 중, R은 Cl, Br, I 또는 H를 나타내고, p는 1 내지 6, q는 0 내지 2, r은 1 내지 14, s는 0 내지 13의 정수이되, 단, q가 0인 경우는, p는 2 내지 6이고, 분자 중에 탄소-탄소 불포화 결합을 1개 이상 가짐]
<냉매>
상기 화학식 I은 분자 중의 원소의 종류와 수를 나타내는 것이며, 화학식 I은 탄소 원자 C의 수 p가 1 내지 6인 불소 함유 유기 화합물을 나타내고 있다. 탄소수가 1 내지 6인 불소 함유 유기 화합물이면, 냉매로서 요구되는 비점, 응고점, 증발 잠열 등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화학식 I에서 Cp로 표시되는 p개의 탄소 원자의 결합 형태는, 탄소-탄소 단결합, 탄소-탄소 이중 결합 등의 불포화 결합, 탄소-산소 이중 결합 등이 포함된다. 탄소-탄소의 불포화 결합은, 안정성의 면에서 탄소-탄소 이중 결합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수는 1 이상 이지만, 1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화학식 I에서 Oq로 표시되는 q개의 산소 원자의 결합 형태는, 에테르기, 수산기 또는 카르보닐기에서 유래하는 산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산소 원자의 수 q는 2일 수도 있고, 2개의 에테르기나 수산기 등을 갖는 경우도 포함된다.
또한, Oq에서의 q가 0이고, 분자 중에 산소 원자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는, p는 2 내지 6이고, 분자 중에 탄소-탄소 이중 결합 등의 불포화 결합을 1개 이상 갖는다. 즉, Cp로 표시되는 p개의 탄소 원자의 결합 형태 중 1개 이상은, 탄소-탄소 불포화 결합일 필요가 있다.
또한, 화학식 I에서 R은 Cl, Br, I 또는 H를 나타내고, 이들 중 어떠한 것이어도 상관없지만, 오존층을 파괴할 우려가 적다는 점에서 R은 H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화학식 I로 표시되는 불소 함유 유기 화합물로서는, 불포화 불화 탄화수소 불화 에테르 화합물, 불화 알코올 화합물 및 불화 케톤 화합물 등을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이하, 이들 화합물에 대하여 설명한다.
[불포화 불화 탄화수소 화합물]
본 발명에서 냉동기의 냉매로서 사용되는 불포화 불화 탄화수소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화학식 I에서 R이 H이고, p가 2 내지 6, q가 0, r이 1 내지 12, s는 0 내지 11인 불포화 불화 탄화수소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불포화 불화 탄화수소 화합물로서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면 탄소수 2 내지 6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쇄상 올레핀이나 탄소수 4 내지 6의 환상 올레핀의 불소화물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1 내지 3개의 불소 원자가 도입된 에틸렌, 1 내지 5개의 불소 원자가 도입된 프로펜, 1 내지 7개의 불소 원자가 도입된 부텐류, 1 내지 9개의 불소 원자가 도입된 펜텐류, 1 내지 11개의 불소 원자가 도입된 헥센류, 1 내지 5개의 불소 원자가 도입된 시클로부텐, 1 내지 7개의 불소 원자가 도입된 시클로펜텐, 1 내지 9개의 불소 원자가 도입된 시클로헥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불포화 불화 탄화수소 화합물 중에서는, 탄소수 2 내지 3의 불포화 불화 탄화수소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프로펜의 불화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프로펜의 불화물로서는, 예를 들면 펜타플루오로프로펜의 각종 이성체, 3,3,3-트리플루오로프로펜 및 2,3,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펜 등을 들 수 있지만, 특히 1,2,3,3,3- 펜타플루오로프로펜(HFC1225ye) 및 2,3,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펜(HFC1234yf)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이 불포화 불화 탄화수소 화합물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탄소수 1 내지 2의 포화 불화 탄화수소 냉매와 탄소수 3의 불포화 불화 탄화수소 냉매의 조합도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조합으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 HFC1225ye와 CH2F2(HFC32)의 조합, HFC1225ye와 CHF2CH3(HFC152a)의 조합 및 상기 HFC1234yf와 CF3I의 조합 등을 들 수 있다.
[불화 에테르 화합물]
본 발명에서 냉동기의 냉매로서 사용되는 불화 에테르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화학식 I에서 R이 H이고, p가 2 내지 6, q가 1 내지 2, r이 1 내지 14, s는 0 내지 13인 불화 에테르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불화 에테르 화합물로서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면 탄소수가 2 내지 6이고, 1 내지 2개의 에테르 결합을 갖고, 알킬기가 직쇄상 또는 분지상인 쇄상 지방족 에테르의 불소화물이나, 탄소수가 3 내지 6이고, 1 내지 2개의 에테르 결합을 갖는 환상 지방족 에테르의 불소화물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1 내지 6개의 불소 원자가 도입된 디메틸에테르, 1 내지 8개의 불소 원자가 도입된 메틸에틸에테르, 1 내지 8개의 불소 원자가 도입된 디메톡시메탄, 1 내지 10개의 불소 원자가 도인된 메틸프로필에테르류, 1 내지 12개의 불소 원자가 도입된 메틸부틸에테르류, 1 내지 12개의 불소 원자가 도입된 에틸프로필에테르류, 1 내지 6개의 불소 원자가 도입된 옥세탄, 1 내지 6개의 불소 원자가 도입된 1,3-디옥솔란, 1 내지 8개의 불소 원자가 도입된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불화 에테르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헥사플루오로디메틸에테르, 펜타플루오로디메틸에테르. 비스(디플루오로메틸)에테르, 플루오로메틸트리플루오로메틸에테르, 트리플루오로메틸메틸에테르, 퍼플루오로디메톡시메탄, 1-트리플루오로메톡시-1,1,2,2-테트라플루오로에탄, 디플루오로메톡시펜타플루오로에탄, 1-트리플루오로메톡시-1,2,2,2-테트라플루오로에탄, 1-디플루오로메톡시-1,1,2,2-테트라플루오로에탄, 1-디플루오로메톡시-1,2,2,2-테트라플루오로에탄, 1-트리플루오로메톡시-2,2,2-트리플루오로에탄, 1-디플루오로메톡시-2,2,2-트리플루오로에탄, 퍼플루오로옥세탄, 퍼플루오로-1,3-디옥솔란, 펜타플루오로옥세탄의 각종 이성체, 테트라플루오로옥세탄의 각종 이성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 불화 에테르 화합물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불화 알코올 화합물]
본 발명에서 냉동기의 냉매로서 사용되는 화학식 I로 표시되는 불화 알코올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화학식 I에서 R이 H이고, p가 1 내지 6, q가 1 내지 2, r이 1 내지 13, s는 1 내지 13인 불화 알코올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불화 알코올 화합물로서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면 탄소수가 1 내지 6 이고, 1 내지 2개의 수산기를 갖는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지방족 알코올의 불소화물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1 내지 3개의 불소 원자가 도입된 메틸 알코올, 1 내지 5개의 불소 원자가 도입된 에틸 알코올, 1 내지 7개의 불소 원자가 도입된 프로필 알코올류, 1 내지 9개의 불소 원자가 도입된 부틸 알코올류, 1 내지 11개의 불소 원자가 도입된 펜틸 알코올류, 1 내지 4개의 불소 원자가 도입된 에틸렌글리콜, 1 내지 6개의 불소 원자가 도입된 프로필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불화 알코올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모노플루오로메틸 알코올, 디플루오로메틸 알코올, 트리플루오로메틸 알코올, 디플루오로에틸 알코올의 각종 이성체, 트리플루오로에틸 알코올의 각종 이성체, 테트라플루오로에틸 알코올의 각종 이성체, 펜타플루오로에틸 알코올, 디플루오로프로필 알코올의 각종 이성체, 트리플루오로프로필 알코올의 각종 이성체, 테트라플루오로프로필 알코올의 각종 이성체, 펜타플루오로프로필 알코올의 각종 이성체, 헥사플루오로프로필 알코올의 각종 이성체, 헵타플루오로프로필 알코올, 디플루오로부틸 알코올의 각종 이성체, 트리플루오로부틸 알코올의 각종 이성체, 테트라플루오로부틸 알코올의 각종 이성체, 펜타플루오로부틸 알코올의 각종 이성체, 헥사플루오로부틸 알코올의 각종 이성체, 헵타플루오로부틸 알코올의 각종 이성체, 옥타플루오로부틸 알코올의 각종 이성체, 노나플루오로부틸 알코올, 디플루오로에틸렌글리콜의 각종 이성체, 트리플루오로에틸렌글리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글리콜, 나아가서는 디플루오로프로필렌글리콜의 각종 이성체, 트리플루오로프로필렌글리콜의 각종 이성체, 테트라플루오로프로필렌 글리콜의 각종 이성체, 펜타플루오로프로필렌글리콜의 각종 이성체,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불화 프로필렌글리콜 및 이 불화 프로필렌글리콜에 대응하는 불화 트리메틸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들 불화 알코올 화합물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불화 케톤 화합물]
본 발명에서 냉동기의 냉매로서 사용되는 불화 케톤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화학식 I에서 R이 H이고, p가 2 내지 6, q가 1 내지 2, r이 1 내지 12, s는 0 내지 11인 불화 케톤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불화 케톤 화합물로서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면 탄소수가 3 내지 6이고, 알킬기가 직쇄상 또는 분지상인 지방족 케톤의 불소화물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1 내지 6개의 불소 원자가 도입된 아세톤, 1 내지 8개의 불소 원자가 도입된 메틸에틸케톤, 1 내지 10개의 불소 원자가 도입된 디에틸케톤, 1 내지 10개의 불소 원자가 도입된 메틸프로필케톤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불화 케톤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헥사플루오로디메틸케톤, 펜타플루오로디메틸케톤, 비스(디플루오로메틸)케톤, 플루오로메틸트리플루오로메틸케톤, 트리플루오로메틸메틸케톤, 퍼플루오로메틸에틸케톤, 트리플루오로메틸-1,1,2,2-테트라플루오로에틸케톤, 디플루오로메틸펜타플루오로에틸케톤, 트리플루오로메틸-1,1,2,2-테트라플루오로에틸케톤, 디플루오로메틸-1,1,2,2-테트라플루오로에틸케톤, 디플루오로메틸-1,2,2,2-테트라플루오로에틸케톤, 트리플루오로메틸-2,2,2-트 리플루오로에틸케톤, 디플루오로메틸-2,2,2-트리플루오로에틸케톤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들 불화 케톤 화합물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포화 불화 탄화수소 화합물]
이 포화 불화 탄화수소 화합물은, 상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불소 함유 유기 화합물에 필요에 따라 혼합할 수 있는 냉매이다.
이 포화 불화 탄화수소 화합물로서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칸의 불화물이 바람직하고, 특히 탄소수 1 내지 2의 메탄이나 에탄의 불화물인 트리플루오로메탄, 디플루오로메탄, 1,1-디플루오로에탄, 1,1,1-트리플루오로에탄, 1,1,2-트리플루오로에탄, 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 1,1,2,2-테트라플루오로에탄, 1,1,1,2,2-펜타플루오로에탄이 바람직하다. 또한, 포화 불화 탄화수소 화합물로서는, 상기 알칸의 불화물을 추가로 불소 이외의 할로겐 원자로 할로겐화한 것일 수도 있고, 예를 들면 트리플루오로요오드메탄(CF3I)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 포화 불화 탄화수소 화합물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해당 포화 불화 탄화수소 화합물의 배합량은, 냉매 전량에 기초하여 통상적으로 30 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이다.
본 발명의 냉동기용 윤활유 조성물(이하, 냉동기유 조성물로 부르는 경우가 있음)은 상술한 냉매를 사용하는 냉동기용의 윤활유 조성물이며, 기유로서 하기의 것이 사용된다.
[기유]
본 발명의 냉동기유 조성물의 기유로서는, 펜타에리트리톨, 디페타에리트리톨, 트리메틸올프로판 및 네오펜틸글리콜 중으로부터 선택되는 다가 알코올과, 탄소수 4 내지 20의 지방족 모노카르복실산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올에스테르계 화합물이 사용된다.
탄소수 4 내지 20의 지방족 모노카르복실산 중에서도 윤활성의 면에서는 탄소수가 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수가 6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탄소수가 8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냉매와의 상용성의 면에서는 탄소수가 1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수가 12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탄소수 9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직쇄상, 분지상 중 어떠한 것이어도 상관없고, 윤활성의 면에서는 직쇄상 지방족 모노카르복실산이 바람직하고, 가수분해 안정성의 면에서는 분지상 지방족 모노카르복실산이 바람직하다.
또한, 포화 지방족 모노카르복실산, 불포화 지방족 모노카르복실산 중 어떠한 것이어도 상관없다.
지방족 모노카르복실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펜탄산, 헥산산, 헵탄산, 옥탄 산, 노난산, 데칸산, 운데칸산, 도데칸산, 트리데칸산, 테트라데칸산, 펜타데칸산, 헥사데칸산, 헵타데칸산, 옥타데칸산, 노나데칸산, 이코산산, 올레산 등의 직쇄 또는 분지된 것, 또는 α 탄소 원자가 4급인 소위 네오산 등을 들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발레르산(n-펜탄산), 카프로산(n-헥산산), 에난트산(n-헵탄산), 카프릴산(n-옥탄산), 펠라르곤산(n-노난산), 카프르산(n-데칸산), 올레산(시스-9-옥타데센산), 이소펜탄산(3-메틸부탄산), 2-메틸헥산산, 2-에틸펜탄산, 2-에틸헥산산, 3,5,5-트리메틸헥산산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올에스테르계 화합물로서는 폴리올의 모든 수산기가 에스테르화되지 않고 남은 부분 에스테르일 수도 있고, 모든 수산기가 에스테르화된 완전 에스테르일 수도 있고, 부분 에스테르와 완전 에스테르의 혼합물일 수도 있지만, 완전 에스테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펜타에리트리톨, 디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틸올프로판 및 네오펜틸글리콜 중으로부터 선택되는 다가 알코올과 상기 지방족 모노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가 디에스테르 이상인 경우, 혼합 지방족 모노카르복실산과 다가 알코올의 에스테르일 수도 있다. 이러한 에스테르는, 저온 특성이나 냉매와의 상용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냉동기유 조성물에서는, (A) 성분의 기유로서 상술한 폴리올에스테르계 화합물 중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것이 사용된다. 여기서 주성분으로서 포함한다는 것은, 해당 폴리올에스테르계 화합물을 50 질량% 이상의 비율로 포함하는 것을 나타낸다. 기유 중의 해당 폴리올에스테르계 화합물의 바람직한 함유량은 7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한 함유량은 90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한 함유량은 100 질량%이다.
본 발명에서의 기유는, 특히 상술한 불포화 불화 탄화수소 냉매용으로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기유의 100 ℃의 동점도가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0 ㎟/s,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40 ㎟/s, 더욱 바람직하게는 4 내지 30 ㎟/s이다. 상기 동점도가 2 ㎟/s 이상이면 양호한 윤활 성능(내하중성)이 발휘됨과 동시에, 밀봉성도 우수하고, 50 ㎟/s 이하이면 에너지 절약성도 양호하다.
또한, 기유의 분자량은 3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00 내지 3000이 보다 바람직하고, 600 내지 2500이 더욱 바람직하다. 기유의 인화점은 20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유의 분자량이 300 이상이면 냉동기유로서의 원하는 성능을 발휘할 수 있음과 동시에, 기유의 인화점을 200 ℃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산화 안정성의 면에서 증발량은 5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증발량은 열 안정도 시험(JIS K 2540)에 기초하여 측정한 값이다.
본 발명에서는 기유로서 상기 성상을 갖고 있으면, 해당 폴리올에스테르계 화합물과 함께 50 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의 비율로 기타 기유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기타 기유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해당 폴리올에스테르계 화합물과 병용할 수 있는 기유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류, 폴리비닐에테르류,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 또는 그의 모노에테르와 폴리비닐에테르의 공중합체, 기타 폴리에스테르류, 폴리카르보네이트류, α-올레핀 올리고머의 수소화물, 나아가서는 광유, 지환식 탄화수소 화합물, 알킬화 방향족 탄화수소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냉동기유 조성물은 상술한 불포화 불화 탄화수소 냉매용으로서 바람직하지만, 상기 냉매 자체가 올레핀 구조를 갖기 때문에 안정성이 저하된다는 점에서, 해당 냉동기유 조성물에는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B) 성분의 특정한 인계 첨가제 및 (C) 성분의 특정한 산 포착제를 함유시킬 필요가 있다.
[첨가제]
<인계 첨가제>
인계 첨가제로서는, 인산트리에스테르 및 아인산트리에스테르가 사용된다. 인산트리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아릴포스페이트, 트리알킬포스페이트, 트리알킬아릴포스페이트, 트리아릴알킬포스페이트, 트리알케닐포스페이트 등이 있고, 구체적으로는 트리페닐포스페이트, 트리크레실포스페이트, 벤질디페닐포스페이트, 에틸디페닐포스페이트, 트리부틸포스페이트, 에틸디부틸포스페이트, 크레실디페닐포스페이트, 디크레실페닐포스페이트, 에틸페닐디페닐포스페이트, 디(에틸페닐)페닐포스페이트, 프로필페닐디페닐포스페이트, 디(프로필페닐)페닐포스페이트, 트리스(에틸페닐)포스페이트, 트리스(이소프로필페닐)포스페이트, 부틸페닐디페닐포스페이트, 디(부틸페닐)페닐포스페이트, 트리스(부틸페닐)포스페이트, 트리헥실포스페이트, 트리스(2-에틸헥실)포스페이트, 트리스데실포스페이트, 트리라우릴포스페이트, 트리미리스틸포스페이트, 트리팔미틸포스페이트, 트리스테아릴포스페이트, 트리올레일포스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아인산트리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에틸포스파이트, 트리부틸포스파이트, 트리페닐포스파이트, 트리크레실포스파이트,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2-에틸헥실)포스파이트, 트리스데실포스파이트, 트리라우릴포스파이트, 트리이소옥틸포스파이트, 디페닐이소데실포스파이트, 트리스테아릴포스파이트, 트리올레일포스파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들 인계 첨가제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그 배합량은 조성물 전량에 기초하여 통상적으로 0.1 내지 3 질량%,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2 질량%이다.
<산 포착제>
산 포착제로서는, 글리시딜에스테르, 글리시딜에테르 및 α-올레핀옥시드 중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 사용된다.
글리시딜에스테르로서는 탄소수가 통상적으로 3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4 내지 24, 보다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6인 직쇄상, 분지상, 환상의 포화 또는 불포화된 지방족 카르복실산 또는 방향족 카르복실산의 글리시딜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상기 지방족 카르복실산이나 방향족 카르복실산은 모노카르복실산일 수도 있고, 폴리카르복실산일 수도 있다. 폴리카르복실산인 경우, 윤활유 조성물의 안정성을 위해 산가의 상승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카르복실기가 모두 글리시딜에스테르화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중에서 특히 탄소수 6 내지 16의 직쇄상, 분지상, 환상의 포화 지방족 모노카르복실산의 글리시딜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글리시딜에스테르로서 는, 예를 들면 2-에틸헥산산글리시딜에스테르, 3,5,5-트리메틸헥산산글리시딜에스테르, 카프르산글리시딜에스테르, 라우르산글리시딜에스테르, 베르사트산글리시딜에스테르, 미리스트산글리시딜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글리시딜에테르로서는 탄소수가 통상적으로 3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4 내지 24, 보다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6인 직쇄상, 분지상, 환상의 포화 또는 불포화된 지방족 모노 또는 다가 알코올, 또는 수산기를 1개 이상 함유하는 방향족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글리시딜에테르를 들 수 있다. 지방족 다가 알코올이나 수산기를 2개 이상 함유하는 방향족 화합물인 경우, 윤활유 조성물의 안정성을 위해 수산기가의 상승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수산기가 모두 글리시딜에테르화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중에서 특히 탄소수 6 내지 16의 직쇄상, 분지상, 환상의 포화 지방족 모노 알코올에서 유래하는 글리시딜에테르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글리시딜에테르로서는, 예를 들면 2-에틸에틸글리시딜에테르, 이소노닐글리시딜에테르, 카프리노일글리시딜에테르, 라우릴글리시딜에테르, 미리스틸글리시딜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α-올레핀옥시드로서는 탄소수가 일반적으로 4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4 내지 24, 보다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6인 것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산 포착제는 1종을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배합량은 효과 및 슬러지 발생 억제의 면에서, 조성물 전량에 기초하여 통상적으로 0.005 내지 10 질량%, 특히 0.05 내지 6 질량% 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냉동기유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기타 극압제, 유성제, 산화 방지제, 기타 산 포착제 및 소포제 등 중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상기 기타 극압제로서는, 산성 인산에스테르, 산성 아인산에스테르 및 이들의 아민염 등의 기타 인계 극압제를 들 수 있다.
또한, 기타 극압제로서는, 카르복실산의 금속염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카르복실산의 금속염은,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3 내지 60의 카르복실산,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3 내지 30, 특히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30의 지방산의 금속염이다. 또한, 상기 지방산의 다이머산이나 트리머산 및 탄소수 3 내지 30의 디카르복실산의 금속염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탄소수 12 내지 30의 지방산 및 탄소수 3 내지 30의 디카르복실산의 금속염이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금속염을 구성하는 금속으로서는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류 금속이 바람직하고, 특히 알칼리 금속이 최적이다.
또한, 기타 극압제로서는, 예를 들면 황화 유지, 황화 지방산, 황화 에스테르, 황화 올레핀, 디히드로카르빌폴리술피드, 티오카르바메이트류, 티오테르펜류, 디알킬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류 등의 황계 극압제를 들 수 있다.
기타 산 포착제로서는, 예를 들면 시클로헥센옥시드, 에폭시시화 대두유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성제의 예로서는, 스테아르산, 올레산 등의 지방족 포화 및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 다이머산, 수소 첨가 다이머산 등의 중합 지방산, 리시놀레산,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등의 히드록시 지방산, 라우릴 알코올, 올레일 알코올 등의 지방족 포화 및 불포화 모노 알코올, 스테아릴아민, 올레일아민 등의 지방족 포화 및 불포화 모노아민, 라우르산아미드, 올레산아미드 등의 지방족 포화 및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아미드, 글리세린, 소르비톨 등의 다가 알코올과 지방족 포화 또는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의 부분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배합량은 조성물 전량에 기초하여 통상적으로 0.01 내지 10 질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질량%의 범위에서 선정된다.
상기 산화 방지제로서는 2,6-디-tert-부틸-4-메틸페놀, 2,6-디-tert-부틸-4-에틸페놀, 2,2'-메틸렌비스(4-메틸-6-tert-부틸페놀) 등의 페놀계, 페닐-α-나프틸아민, N.N'-디-페닐-p-페닐렌디아민 등의 아민계의 산화 방지제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 방지제는, 효과 및 경제성 등의 면에서 조성물 중에 통상적으로 0.01 내지 5 질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3 질량% 배합한다.
상기 소포제로서는, 실리콘유나 불소화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냉동기유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기타 공지된 각종 첨가제, 예를 들면 N-[N,N'-디알킬(탄소수 3 내지 12의 알킬기)아미노메틸]트리아졸 등의 구리 불활성화제 등을 적절하게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냉동기유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불소 함유 유기 화합물, 또는 상기 불소 함유 유기 화합물과 포화 불화 탄화수소 화합물의 조합을 포함하는 냉매를 사용한 냉동기에 적용된다. 특히 불포화 불화 탄화수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냉매를 사용한 냉동기용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냉동기유 조성물을 사용하는 냉동기의 윤활 방법에서 상기 각종 냉매와 냉동기유 조성물의 사용량에 대해서는, 냉매/냉동기유 조성물의 질량비로 99/1 내지 10/90이고, 95/5 내지 30/7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냉매의 양이 상기 범위보다 적은 경우에는 냉동 능력의 저하가 관찰되고, 상기 범위보다 많은 경우에는 윤활 성능이 저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냉동기유 조성물은 다양한 냉동기에 사용 가능하지만, 특히 압축형 냉동기의 압축식 냉동 사이클에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냉동기유 조성물이 적용되는 냉동기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 기구(팽창 밸브 등) 및 증발기, 또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 기구, 건조기 및 증발기를 필수로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냉동 사이클을 가짐과 동시에, 냉동기유로서 상술한 본 발명의 냉동기유 조성물을 사용하고, 냉매로서 상술한 각종 냉매가 사용된다.
여기서 건조기 중에는, 세공 직경 0.33 ㎚ 이하의 제올라이트로 이루어지는 건조제를 충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제올라이트로서는 천연 제올라이트나 합성 제올라이트를 들 수 있고, 이 제올라이트는 25 ℃, CO2 가스 분압 33 kPa에서의 CO2 가스 흡수 용량이 1.0 % 이하인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이러한 합성제올라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유니온 쇼와(주) 제조의 상품명 XH-9, XH-600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러한 건조제를 사용하면, 냉동 사이클 중의 냉매를 흡수하지 않고 수분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음과 동시에, 건조제 자체의 열화에 의한 분말화가 억제되며, 따라서 분말화에 의해 발생하는 배관의 폐색이나 압축기 접동부로의 진입에 의한 이상 마모 등의 우려가 없어질 뿐만 아니라, 냉동기를 장시간에 걸쳐서 안정적으로 운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냉동기유 조성물이 적용되는 냉동기에서는, 압축기 내에 다양한 접동 부분(예를 들면 베어링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 접동 부분으로서 특히 밀봉성의 면에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것, 또는 유기 코팅막 또는 무기 코팅막을 갖는 것이 사용된다.
상기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서는, 밀봉성, 접동성, 내마모성 등의 면에서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페닐렌술피드 수지, 폴리아세탈 수지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또한, 유기 코팅막으로서는 밀봉성, 접동성, 내마모성 등의 면에서, 예를 들면 불소 함유 수지 코팅막(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코팅막 등), 폴리이미드 코팅막, 폴리아미드이미드 코팅막, 나아가서는 폴리히드록시에테르 수지와 폴리술폰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 기재 및 가교제를 포함하는 수지 도료를 사용하여 형성된 열 경화형 절연막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무기 코팅막으로서는, 밀봉성, 접동성, 내마모성 등의 면에서 흑연막, 다이아몬드 라이크 카본막, 니켈막, 몰리브덴막, 주석막, 크롬막 등을 들 수 있다. 이 무기 코팅막은 도금 처리로 형성할 수도 있고, PVD법(물리적 기상 증착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해당 접동 부분으로서 종래의 합금계, 예를 들면 Fe기 합금, Al기 합금, Cu기 합금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냉동기유 조성물은, 예를 들면 카 에어컨, 전동 카 에어컨, 가스 히트 펌프, 공기 조절기, 냉장고, 자동 판매기 또는 쇼케이스 등의 각종 급탕 시스템, 또는 냉동ㆍ난방 시스템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시스템 내의 수분 함유량은 300 질량 ppm 이하가 바람직하고, 200 질량 pp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시스템 내의 잔존 공기량은 10 kPa 이하가 바람직하고, 5 kPa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냉동기유 조성물은 기유로서 특정한 산소 함유 화합물을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것이며, 점도가 낮기 때문에 에너지 절약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밀봉성이 우수하다.
이어서,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기유의 성상 및 냉동기유 조성물의 다양한 특성은, 이하에 나타내는 요령에 따라 구하였다.
<기유의 성상>
(1) 100 ℃ 동점도
JIS K2283-1983에 준하여, 유리제 모관식 점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2) 인화점
JIS K2265에 준하여, C.O.C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3) 분자량
기유를 구성하는 화합물의 화학 구조에 기초한 계산값이다.
<냉동기유 조성물의 특성>
(4) 안정성(실드 튜브 시험(sealed tube test))
유리관에 오일/냉매 4 mL/1 g(수분 함유량 200 ppm) 및 철, 구리, 알루미늄의 금속 촉매를 충전하여 봉관하고, 공기압 26.6 kPa, 온도 175 ℃의 조건으로 30일간 유지한 후, 오일 외관, 촉매 외관, 슬러지의 유무를 육안 관찰함과 동시에 산가를 측정하였다.
냉동기유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한 각 성분의 종류를 이하에 나타낸다.
기유로서 A1 내지 A5를 사용하였다. 각 기유의 화합물명 및 성상을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09063078434-pct00001
또한, 첨가제로서 하기의 것을 사용하였다.
<인계 첨가제>
B1: 트리크레실포스페이트
B2: 트리스(이소프로필페닐)포스페이트
B3: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B4: 디크레실포스페이트
B5: 모노(이소프로필페닐)포스페이트
B6: 디올레일하이드로젠포스파이트
<산 포착제>
C1: C10 카르복실산글리시딜에스테르
C2: 2-에틸헥실글리시딜에테르
C3: C14α-올레핀옥시드
<산화 방지제>
D1: 2,6-디-t-부틸-4-메틸페놀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5
표 2에 나타낸 조성의 냉동기유 조성물을 제조하고, 냉매로서 HFC1234yf(2,3,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펜)을 사용하여 상기 조성물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112009063078434-pct00002
Figure 112009063078434-pct00003
표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냉동기유 조성물(실시예 1 내지 7)은 냉매 HFC1234yf를 사용한 실드 튜브 시험에서 안정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냉동기용 윤활유 조성물은 지구 온난화 계수가 낮고, 특히 현행 카 에어컨 시스템 등에 사용 가능한 냉매인 불포화 불화 탄화수소 화합물 등 특정한 구조를 갖는 냉매를 사용하는 냉동기용으로서 사용되며, 상기 냉매에 대한 우수한 상용성을 가짐과 동시에, 밀봉성이 양호하고, 접동 부분에 대한 마찰 계수가 낮고, 안정성이 우수하다.

Claims (11)

  1. 올레핀 구조를 가진 탄소수 2 내지 3의 불포화 불화 탄화수소로 이루어진 냉매를 사용하는 냉동기용의 윤활유 조성물이며,
    (A) 펜타에리트리톨, 디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틸올프로판 및 네오펜틸글리콜 중으로부터 선택되는 다가 알코올과, 탄소수 4 내지 20의 지방족 모노카르복실산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올에스테르계 화합물을 50 질량% 이상의 비율로 포함하는 기유와, (B) 인산트리에스테르 및/또는 아인산트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인계 첨가제 및 (C) 글리시딜에스테르, 글리시딜에테르 및 α-올레핀옥시드 중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산 포착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기용 윤활유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냉매가 2,3,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펜(HFC1234yf)인 냉동기용 윤활유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A) 기유의 100 ℃에서의 동점도가 2 내지 50 ㎟/s인 냉동기용 윤활유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A) 기유의 분자량이 300 이상인 냉동기용 윤활유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A) 기유의 인화점이 200 ℃ 이상인 냉동기용 윤활유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기타 극압제, 유성제, 산화 방지제, 기타 산 포착제 및 소포제 중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냉동기용 윤활유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냉동기의 접동 부분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것, 또는 유기 코팅막 또는 무기 코팅막을 갖는 것인 냉동기용 윤활유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유기 코팅막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코팅막, 폴리이미드 코팅막, 폴리아미드이미드 코팅막, 또는 폴리히드록시에테르 수지와 폴리술폰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 기재 및 가교제를 포함하는 수지 도료를 사용하여 형성된 열 경화형 절연막인 냉동기용 윤활유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무기 코팅막이 흑연막, 다이아몬드 라이크 카본막, 주석막, 크롬막, 니켈막 또는 몰리브덴막인 냉동기용 윤활유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카 에어컨, 전동 카 에어컨, 가스 히트 펌프, 공기 조절기, 냉장고, 자동 판매기 또는 쇼케이스의 급탕 시스템, 또는 냉동ㆍ난방 시스템에 사용되는 냉동기용 윤활유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시스템 내의 수분 함유량이 300 질량 ppm 이하이고, 잔존 공기량이 10 kPa 이하인 냉동기용 윤활유 조성물.
KR1020097021492A 2007-04-18 2008-04-18 냉동기용 윤활유 조성물 KR1014454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109705 2007-04-18
JP2007109705A JP5226242B2 (ja) 2007-04-18 2007-04-18 冷凍機用潤滑油組成物
PCT/JP2008/057577 WO2008130026A1 (ja) 2007-04-18 2008-04-18 冷凍機用潤滑油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0053A KR20090130053A (ko) 2009-12-17
KR101445419B1 true KR101445419B1 (ko) 2014-09-26

Family

ID=39875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1492A KR101445419B1 (ko) 2007-04-18 2008-04-18 냉동기용 윤활유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480919B2 (ko)
EP (1) EP2138559B1 (ko)
JP (1) JP5226242B2 (ko)
KR (1) KR101445419B1 (ko)
CN (1) CN101663381B (ko)
BR (1) BRPI0810526A2 (ko)
WO (1) WO20081300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39665B2 (ja) 2006-11-02 2013-02-06 出光興産株式会社 冷凍機用潤滑油組成物
JP5572284B2 (ja) * 2007-02-27 2014-08-13 Jx日鉱日石エネルギー株式会社 冷凍機油および冷凍機用作動流体組成物
CN101668836A (zh) * 2007-04-18 2010-03-10 出光兴产株式会社 冷冻机用润滑油组合物以及使用该组合物的压缩机
JP5363980B2 (ja) * 2007-06-12 2013-12-11 出光興産株式会社 冷凍機用潤滑油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圧縮機
JP5612250B2 (ja) * 2008-03-07 2014-10-22 出光興産株式会社 冷凍機用潤滑油組成物
JP2009222032A (ja) * 2008-03-18 2009-10-01 Daikin Ind Ltd 冷凍装置
JP2011002217A (ja) * 2009-05-18 2011-01-06 Panasonic Corp 冷凍装置および冷暖房装置
JP5464512B2 (ja) * 2009-05-18 2014-04-09 日本サン石油株式会社 カーエアコン用作動流体
JP5464513B2 (ja) * 2009-05-18 2014-04-09 日本サン石油株式会社 カーエアコン用作動流体
CN101928216A (zh) * 2009-06-19 2010-12-29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润滑油用酯的制备方法及润滑油用酯
WO2011024663A1 (ja) * 2009-08-28 2011-03-03 Jx日鉱日石エネルギー株式会社 冷凍機油および冷凍機用作動流体組成物
JP2011052032A (ja) * 2009-08-31 2011-03-17 Hitachi Appliances Inc 2,3,3,3−テトラフルオロプロペンを用いた冷凍空調装置
JP2011112327A (ja) * 2009-11-30 2011-06-09 Panasonic Corp 冷暖房装置および冷凍装置
FR2957083B1 (fr) 2010-03-02 2015-12-11 Arkema France Fluide de transfert de chaleur pour compresseur centrifuge
JP5577831B2 (ja) * 2010-05-10 2014-08-27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冷凍機用潤滑油組成物
FR2959999B1 (fr) 2010-05-11 2012-07-20 Arkema France Fluides de transfert de chaleur et leur utilisation dans des echangeurs de chaleur a contre-courant
FR2959997B1 (fr) 2010-05-11 2012-06-08 Arkema France Fluides de transfert de chaleur et leur utilisation dans des echangeurs de chaleur a contre-courant
WO2012026212A1 (ja) * 2010-08-24 2012-03-01 協和発酵ケミカル株式会社 ペンタエリスリトールのテトラエステル
FR2964977B1 (fr) * 2010-09-20 2013-11-01 Arkema France Composition a base de 3,3,3-tetrafluoropropene
KR101505344B1 (ko) * 2010-12-20 2015-03-23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냉동 공조용 압축기 및 냉동 공조 장치
CA2851255C (en) * 2011-10-07 2018-09-25 American Pacific Corporation Bromofluorocarbon compositions
CN105505326A (zh) 2011-10-26 2016-04-20 吉坤日矿日石能源株式会社 冷冻机用工作流体组合物及其应用
WO2013146683A1 (ja) 2012-03-27 2013-10-03 Jx日鉱日石エネルギー株式会社 冷凍機用作動流体組成物
KR20150084994A (ko) 2012-11-16 2015-07-22 바스프 에스이 플루오로중합체 씰 상용성을 개선하기 위한 에폭시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윤활제 조성물
US20140165631A1 (en) * 2012-12-14 2014-06-1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Refrigeration Compositions, Refrigeration Systems and Methods of Making, Operating and Using the Same
US10066186B2 (en) 2013-04-22 2018-09-04 Basf Se Lubricating oil compositions containing a halide seal compatibility additive and a second seal compatibility additive
AU2014257156A1 (en) 2013-04-22 2015-11-12 Basf Se Seal compatibility additive to improve fluoropolymer seal compatibility of lubricant compositions
JP6033262B2 (ja) 2013-12-25 2016-11-30 株式会社デンソー 冷凍機用作動流体組成物及び冷凍機油
JP6354616B2 (ja) * 2014-02-20 2018-07-11 旭硝子株式会社 熱サイクルシステム用組成物および熱サイクルシステム
JP6519909B2 (ja) * 2014-07-18 2019-05-29 出光興産株式会社 冷凍機油組成物、及び冷凍装置
JP2016098256A (ja) * 2014-11-18 2016-05-30 Jxエネルギー株式会社 冷凍機油及び冷凍機用作動流体組成物
TWI555838B (zh) * 2015-02-10 2016-11-01 百達精密化學股份有限公司 迴轉式螺桿壓縮機的潤滑方法
CN106147924B (zh) * 2015-03-27 2022-07-19 百达精密化学股份有限公司 冷冻机油
JP6575009B2 (ja) * 2015-03-30 2019-09-18 出光興産株式会社 冷凍機潤滑油及び冷凍機用混合組成物
EP4063761A1 (en) 2015-03-30 2022-09-28 Carrier Corporation Low-oil refrigerants and vapor compression systems
JP2017075278A (ja) * 2015-10-16 2017-04-20 出光興産株式会社 冷凍機油、冷凍機用組成物、及び冷凍機
CN106010751A (zh) * 2016-05-25 2016-10-12 苏州铱诺化学材料有限公司 一种矿物油型冷冻机油
CN106047446A (zh) * 2016-05-25 2016-10-26 苏州铱诺化学材料有限公司 一种合成冷冻机油
CN106762663A (zh) * 2016-11-23 2017-05-31 广东美芝精密制造有限公司 旋转式压缩机和具有该旋转式压缩机的制冷设备
CN108865325B (zh) * 2017-09-28 2021-03-02 上海东大化学有限公司 一种冷冻机油基础油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10913913B2 (en) * 2018-01-23 2021-02-09 The Chemours Company Fc, Llc Polyol ester compositions
JP7198589B2 (ja) * 2018-03-13 2023-01-04 Eneos株式会社 冷凍機、冷凍機油の使用、オリゴマーの溶出を抑制する方法、冷凍機油、冷凍機用作動流体組成物、及び冷凍機油の製造方法
US11453839B2 (en) 2018-08-28 2022-09-27 Eneos Corporation Refrigerator oil
CN113316630B (zh) 2019-01-23 2023-06-20 引能仕株式会社 冷冻机油及冷冻机油的制造方法
KR20210118102A (ko) 2019-01-29 2021-09-29 에네오스 가부시키가이샤 냉동기유 및 냉동기유의 제조 방법
KR20220020930A (ko) 2019-07-29 2022-02-21 에네오스 가부시키가이샤 냉동기유 및 냉동기용 작동 유체 조성물
CN110628389B (zh) * 2019-09-12 2020-08-2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含cf3i的低可燃或不可燃混合制冷剂
DE112021002590T5 (de) * 2020-04-24 2023-02-16 Kyb Corporation Schmierölzusammensetzung und Gleitmechanismu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3273A (ja) * 1998-04-15 1999-10-26 Toshiba Corp 冷凍サイクル用組成物、乾燥剤および冷媒圧縮機
WO2005103190A1 (en) * 2004-04-16 2005-11-0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zeotrope-like compositions of tetrafluoropropene and trifluoroiodomethane
JP2006316147A (ja) * 2005-05-11 2006-11-24 Idemitsu Kosan Co Ltd 冷凍機油組成物、これを用いた圧縮機及び冷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10388A (ja) * 1990-08-31 1992-04-10 Daikin Ind Ltd 熱伝達用流体
JP2999622B2 (ja) * 1992-02-20 2000-01-17 日石三菱株式会社 フッ化アルカン冷媒用冷凍機油組成物
US5605882A (en) 1992-05-28 1997-02-2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Azeotrope(like) compositions of pentafluorodimethyl ether and difluoromethane
JPH08151590A (ja) * 1994-11-30 1996-06-11 Mitsubishi Oil Co Ltd 冷凍機油組成物及び圧縮機
JP4079469B2 (ja) * 1996-06-25 2008-04-23 出光興産株式会社 冷凍機油組成物
JP4564111B2 (ja) 1998-09-02 2010-10-20 Jx日鉱日石エネルギー株式会社 冷凍機油
MXPA01011520A (es) * 1999-05-10 2003-08-20 New Japan Chem Co Ltd Aceite lubricante para refrigerador, composicion de fluido hidraulico para refrigerador y metodo para la lubricacion del refrigerador.
TW552302B (en) * 1999-06-21 2003-09-11 Idemitsu Kosan Co Refrigerator oil for carbon dioxide refrigerant
JP3860942B2 (ja) 1999-11-18 2006-12-20 株式会社ジャパンエナジー 冷凍装置用潤滑油組成物、作動流体及び冷凍装置
JP4876331B2 (ja) 2001-05-29 2012-02-15 日油株式会社 冷凍機潤滑油組成物および冷凍機作動流体用組成物
US7279451B2 (en) * 2002-10-25 2007-10-09 Honeywell International Inc. Compositions containing fluorine substituted olefins
US20040089839A1 (en) * 2002-10-25 2004-05-1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Fluorinated alkene refrigerant compositions
CN102140329B (zh) 2002-10-25 2016-12-21 霍尼韦尔国际公司 含有氟取代烯烃的组合物
JP4110388B2 (ja) 2003-01-10 2008-07-02 荒川化学工業株式会社 金めっき部品用洗浄剤およびすすぎ剤並びに洗浄方法およびすすぎ方法
JP4772504B2 (ja) * 2003-08-01 2011-09-14 Jx日鉱日石エネルギー株式会社 冷凍機油組成物
US20080111100A1 (en) * 2006-11-14 2008-05-15 Thomas Raymond H Use of low gwp refrigerants comprising cf3i with stable lubricants
ES2366706T3 (es) * 2004-12-21 2011-10-2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Composiciones de yodocarbono estabilizadas.
US8070978B2 (en) * 2005-08-31 2011-12-06 Idemitsu Kosan Co., Ltd. Refrigerator oil composition
US7708903B2 (en) * 2005-11-01 2010-05-04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ompositions comprising fluoroolefins and uses thereof
US20080157023A1 (en) * 2006-11-14 2008-07-03 Samuels George J Fluorocarbon stabilizer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3273A (ja) * 1998-04-15 1999-10-26 Toshiba Corp 冷凍サイクル用組成物、乾燥剤および冷媒圧縮機
WO2005103190A1 (en) * 2004-04-16 2005-11-0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zeotrope-like compositions of tetrafluoropropene and trifluoroiodomethane
JP2006316147A (ja) * 2005-05-11 2006-11-24 Idemitsu Kosan Co Ltd 冷凍機油組成物、これを用いた圧縮機及び冷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33463A1 (en) 2010-06-03
CN101663381A (zh) 2010-03-03
WO2008130026A1 (ja) 2008-10-30
EP2138559A1 (en) 2009-12-30
EP2138559B1 (en) 2018-12-19
JP5226242B2 (ja) 2013-07-03
EP2138559A4 (en) 2011-07-06
JP2008266423A (ja) 2008-11-06
CN101663381B (zh) 2013-11-27
US8480919B2 (en) 2013-07-09
KR20090130053A (ko) 2009-12-17
BRPI0810526A2 (pt) 2014-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5419B1 (ko) 냉동기용 윤활유 조성물
KR101512205B1 (ko) 냉동기용 윤활유 조성물 및 이것을 사용한 압축기
KR101555075B1 (ko) 냉동기용 윤활유 조성물
KR101519180B1 (ko) 냉동기용 윤활유 조성물
KR101497179B1 (ko) 냉동기용 윤활유 조성물
KR101477832B1 (ko) 냉동기용 윤활유 조성물 및 이것을 사용한 압축기
EP3118289B1 (en) Lubricating oil composition for refrigerators
KR101398751B1 (ko) 냉동기유
JP6178839B2 (ja) 冷凍機油及び冷凍機用作動流体組成物
KR102609782B1 (ko) 냉동기 윤활유 및 냉동기용 혼합 조성물
WO2017065134A1 (ja) 冷凍機油、冷凍機用組成物、及び冷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6